KR200389716Y1 - 가구용 수평조절받침 - Google Patents

가구용 수평조절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716Y1
KR200389716Y1 KR20-2005-0010518U KR20050010518U KR200389716Y1 KR 200389716 Y1 KR200389716 Y1 KR 200389716Y1 KR 20050010518 U KR20050010518 U KR 20050010518U KR 200389716 Y1 KR200389716 Y1 KR 2003897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urniture
screw rod
horizontal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05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우
Original Assignee
이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우 filed Critical 이창우
Priority to KR20-2005-00105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7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7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7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47B91/022Adjustable feet using screw means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구용 수평조절받침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구멍(216)이 형성된 상부측면고정부(211a)와 나사봉 삽입구멍(221)이 형성된 상부연결부(213a)로 구성된 상부지지부(214)와, 다수의 구멍(216)이 형성된 하부측면고정부(211b)와 나사봉 삽입구멍(221)이 형성된 하부연결부(213b) 및 다수의 구멍(216)이 형성된 하면고정부(212)로 구성된 하부지지부(215)로 이루어진 가구지지부(210)와; 상기 상부연결부(213a)와 하부연결부(213b)의 나사봉 삽입구멍(221)에 결합되는 나사봉(222) 및 이 나사봉(222)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나사봉받침(223)으로 구성된 높이조절부(220)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연결부가 상부연결부와 하부연결부의 두 겹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지지하는 하중이 증가하여 다른 부재의 도움없이도 충분히 가구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여러 부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제작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가구용 수평조절받침{Height adjustable leg for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용 수평조절받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부측면고정부와 상부연결부로 구성된 상부지지부와 하부측면고정부와 하부연결부 및 하면고정부로 구성된 하부지지부로 이루어진 가구지지부와, 상기 상부연결부 및 하부연결부와 결합되는 나사봉 및 나사봉받침으로 구성된 높이조절부로 이루어진 가구용 수평조절받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를 설치할 때 아무런 조작 없이 설치하게 되면 바닥면의 높낮이가 전반적으로 약간씩 다르기 때문에 가구의 수평이 맞지 않아 가구가 기울어지게 된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구의 4개의 모서리에 이를 위한 수평조절받침을 설치하고 가구를 설치할 때 이를 조절하여 가구의 수평을 맞추어 준다.
이에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는바, 도4에는 이들 중 하나인 나사봉의 회전에 의해서 가구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가구의 수평을 맞추는 수평조절받침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조절받침은 가구를 지지하는 가구지지부(110)와 이 가구지지부(110)에 연결되어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1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가구지지부(110)는 수직판이며 가구의 측면에 고정되는 측면고정부(111)와, 이의 하단부에서 직각으로 뻗어서 형성된 수평판이고 가구의 하면에 고정되는 하면고정부(112) 및, 가구지지부(110)와 높이조절부(120)를 연결시키는 연결부(11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구지지부(110)의 측면고정부(111)와 하면고정부(112)는 이들에 형성된 구멍(116)을 통해 나사못 등으로 전술된 바와 같이 가구의 측면과 하면에 각각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120)는 상기 연결부(113)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너트(121)와, 이에 삽입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나사봉(122) 및, 이의 하단부에 형성된 나사봉받침(123)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13)는 하면고정부(112)의 반대쪽의 측면고정부(111)에 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된 수평연결판(114)이 용접 등으로 부착되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 수평연결판(1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121)를 용접 등으로 고정시키고 나사봉(122)을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가구지지부(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만일 연결부(113)를 상기와 같이 수평연결판(114)으로만 이루어지게 하면 가구지지부(110)에 걸리는 가구의 하중을 수평연결판(114)이 지지하지 못하고 측면고정부(111)에서 떨어지거나 휘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연결판(114)의 한쪽 단부와 측면고정부(111)의 한쪽 단부를 블래킷(115)으로 연결하여 수평연결판(114)이 떨어지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수평연결판(114)과 블래킷(115)의 2개의 부재로 된 연결부(113)를 가지는 가구용 수평조절받침(100)을 제작할 때에는 일체로 된 측면고정부(111)와 하면고정부(112) 이외에도 수평연결판(114)과 블래킷(115)을 포함하여 3개의 분리된 부재를 따로 제작해야 하며 이들을 용접 등으로 제자리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더 필요로 하므로 그만큼 재료가 더 들어가게 되고 제작시간이 더 요구되어 제작이 용이하지 못하고 제작단가가 높게 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용접 등으로 수평연결판(114)을 측면고정부(111)에 그리고 블래킷(115)을 수평연결판(114)과 측면고정부(111)에 고정시킨다고 하더라도, 이들 부재들이 분리되어 있는 부재이므로 가구의 하중이 그 용접부위에 집중하게 된다. 그러므로, 만일 제작시에 잘못된 용접부위가 발생하여 가구의 하중이 용접부위가 견딜 수 있는 하중을 넘게 되거나 피로응력이 쌓이면 수평연결판(114)이나 블래킷(115)이 떨어지거나 휘어져 버리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가구지지부(110)가 분리된 여러 부재로 되어 있지 않아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113)가 블래킷(115)과 같이 다른 부재의 도움없이도 가구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가구용 수평조절받침의 필요성이 발생했다.
본 고안은 상기한 필요성을 만족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상부측면고정부와 상부연결부로 구성된 상부지지부와 하부측면고정부와 하부연결부 및 하면고정부로 구성된 하부지지부로 이루어진 가구지지부와, 상기 상부연결부와 하부연결부에 결합되는 나사봉 및 나사봉받침으로 구성된 높이조절부로 이루어져서 연결부가 두 겹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종래의 가구용 수평조절받침보다 더 많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시간이 단축되며 제작비용이 감소된 가구용 수평조절받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구용 수평조절받침은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수직판인 상부측면고정부와 이의 하단부에서 수평하게 뻗는 수평판이고 나사봉 삽입구멍이 형성된 상부연결부로 구성된 상부지지부와,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수직판인 하부측면고정부와 이의 상단부에서 상기 상부연결부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맞대게 위치되며 나사봉 삽입구멍이 형성된 하부연결부 및 상기 하부측면고정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하부연결부와 반대방향으로 뻗는 수평판이며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하면고정부로 구성된 하부지지부로 이루어진 가구지지부와; 상기 상부연결부와 하부연결부의 나사봉 삽입구멍에 결합되는 나사봉 및 이 나사봉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나사봉받침으로 구성된 높이조절부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상부연결부의 단부와 하부연결부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부와 하부지지부가 일체로 되어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상부연결부의 나사봉 삽입구멍이나 상기 하부연결부의 나사봉 삽입구멍 중 적어도 하나에는 나사봉 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상부측면고정부와 상부연결부가 만나는 모서리나 상기 하부측면고정부와 하부연결부가 만나는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보강용 삼각앵글이 형성되어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부의 하부연결부에는 이에 수직하게 결합고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지지부의 상부연결부에는 상기 결합고정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부와 하부지지부가 결합될 때 상기 결합고정부가 상기 결합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구멍 위로 돌출된 결합고정부를 꺾어 줌으로 해서 상기 상부지지부와 하부지지부의 결합을 강화하도록 하였다.
이하, 본 고안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수평조절받침(200)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구용 수평조절받침(200)은 종래의 가구용 수평조절받침(100)과 같이 가구지지부(210)와 높이조절부(220)로 이루어져 있다.
가구지지부(210)는 종래의 가구용 수평조절받침(100)의 가구지지부(110)와는 달리 상부지지부(214)와 하부지지부(215)로 나뉘어져 있다.
도2에는 본 고안의 가구용 수평조절받침(200)의 가구지지부(210)가 사시도와 전개도로 자세히 도시되어 있는바, 상부지지부(214)는 다수의 구멍(216)이 형성된 수직판인 상부측면고정부(211a)와 이의 하단부에서 수평하게 뻗는 수평판이고 나사봉 삽입구멍(221)이 형성된 상부연결부(213a)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하부지지부(215)는 다수의 구멍(216)이 형성된 수직판인 하부측면고정부(211b)와 이의 상단부에서 상부지지부(214)의 상부연결부(213a)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맞대게 위치되고 나사봉 삽입구멍(221)이 형성된 하부연결부(213b) 및 상기 하부측면고정부(211b)의 하단부에서 상기 하부연결부(213b)의 반대방향으로 뻗는 수평판이고 다수의 구멍(216)이 형성된 하면고정부(212)로 이루어져 있다.
도2에 도시된 전개도와 같이 일체로 각각의 부분을 형성한 후 이들을 전술된 바와 같이 절곡하여 가구지지부(210)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연결부가 상부연결부(213a)와 하부연결부(213b)의 두 겹으로 되어 있어서 종래의 가구용 수평조절받침(100)의 연결부(113)보다 더 많은 하중을 받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의 가구용 수평조절받침(200)은 종래의 가구용 수평조절받침(100)과 같이 상부연결부(213a)와 하부연결부(213b)로 구성된 연결부에 높이를 조절하는 나사봉(222) 및 이 나사봉(222)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나사봉(222)을 받치는 나사봉받침(223)으로 이루어진 높이조절부(220)가 결합되어 있다.
상부지지부(214)와 하부지지부(215)의 상부연결부(213a)와 하부연결부(213b)의 결합을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는 용접이나 볼트결합 등 다른 결합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2의 전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구지부(215)의 하부연결부(213b)에는 이의 일부에서 따내어 절곡되어져서 하부지지부(215)에 대하여 수직하게 세워지는 결합고정부(228)가 2개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는 상부지지부(214)의 상부연결부(213a)에는 상기 결합고정부(228)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구멍(227)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부지지부(214)와 하부지지부(215)가 절곡되어 가구지지부(210)를 형성하면, 상기 결합고정부(228)가 결합구멍(227)으로 삽입되게 된다. 이후, 상부연결부(213a) 위로 돌출된 결합고정부(228)의 일부를 꺾어주면, 용이하게 상부지지부(214)와 하부지지부(215)의 결합을 확실히 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가구지지부(210)를 상부지지부(214)와 하부지지부(215)로 구성하면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작시간도 감소된다. 또한, 연결부가 상부연결부(213a)와 하부연결부(213b)로 형성되어 두 겹이 되므로 그 강도가 종래의 가구용 수평조절받침(100)의 연결부(113)보다 더 강하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가구용 수평조절받침(100)의 연결부(113)보다 더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어서, 다른 부재 즉, 블래킷(115)의 도움을 받지 않고도 가구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구지지부(210)가 형성된 후 이의 지지강도를 보강하고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 가구지지부(210)를 절곡하여 형성하는 중에 상부측면고정부(211a)와 상부연결부(213a)가 만나는 모서리와 하부측면고정부(211b)와 하부연결부(213b)가 만나는 모서리에 보강용 삼각앵글(226)이 각각 형성될 수 있게 하였다. 이와 같이 삼각앵글(226)을 형성하면 다른 부재를 덧대지 않아도 용이하게 가구지지부(210)의 지지강도를 보강하고 더 향상시킬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가구지지부(210)를 구성하는 상부지지부(214)와 하부지지부(215)를 일체로 형성하여도 되지만, 이들을 별도의 부재로 만들어서 제작하여도 된다. 즉, 상부지지부(214)의 상부연결부(213a)의 단부와 하부지지부(215)의 하부연결부(213b)의 단부를 서로 연결시키지 않고 상부지지부(214)와 하부지지부(215)를 별도의 부재로 제작하여 상부지지부(214)의 상부연결부(213a)와 하부지지부(215)의 하부연결부(213b)를 맞대어 겹친 상태에서 용접이나 볼트 또는 전술된 바와 같이 결합구멍(227)과 결합고정부(228)로 결합하여 가구지지부(210)를 형성하여도 된다.
상부연결부(213a)와 하부연결부(213b)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봉 삽입구멍(2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봉 삽입구멍(221)의 안쪽에는 암나산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 암나산이 형성된 나사봉 삽입구멍(221)을 통해서 나사봉(222)이 나사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나사봉(222)이 상부연결부(213a)와 하부연결부(213b)의 나사봉 삽입구멍(221)을 통해 나사결합됨으로 해서 가구지지부(210)와 높이조절부(220)가 결합되어 가구용 수평조절받침(200)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나사봉 삽입구멍(221)이 형성된 상부연결부(213a)와 하부연결부(213b)에는 나사봉(222)이 삽입될 때 이를 안내할 수 있는 나사봉 안내부(225)가 상부연결부(213a)의 나사봉 삽입구멍(221)의 상부와 하부연결부(213b)의 나사봉 삽입구멍(221)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나사봉 삽입구멍(221)에서 연장되는 나사봉 안내부(225)를 형성하면 나사봉(222)을 안내해주고 지지해주므로 바람직하다.
나사봉 안내부(225)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부연결부(213a)의 나사봉 삽입구멍(221)과 하부연결부(213b)의 나사봉 삽입구멍(221)에 모두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도 되지만, 상부연결부(213a)와 하부연결부(213b) 둘 중에 적어도 하나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3은 본 고안의 가구용 수평조절받침(200)을 사용한 사용상태로도서, 가구(300)의 수직판이 바닥판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된 부분의 안쪽에서 이의 측면과 하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용 수평조절받침(200)의 가구지지부(210)를 설치하고 나사못 등을 이용해서 상기 가구지지부(210)의 상부측면고정부(211a)와 하부측면고정부(211b) 및 하면고정부(212)에 형성된 구멍(216)을 통해 이들을 가구(300)의 수직판에 고정시킨다.
가구용 수평조절받침(200)의 높이조절부(220)의 나사봉(222)의 상단부 윗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렌치(400)가 들어갈 수 있도록 홈(224)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홈(224)에 렌치(400)를 끼워서 나사봉(222)을 회전시키면 나사봉(222)의 회전으로 인해서 가구지지부(210)의 높이가 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300)의 바닥판에 구멍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렌치(400)가 삽입되어 나사봉(222)을 회전시키도록 한다.
나사봉(222)을 회전시키는 방법은 상기와 같이 나사봉(222)의 상단부 윗면에 홈(224)을 형성하여 이에 렌치(400)를 삽입하여 회전시켜도 되지만, 나사봉(222)을 회전시키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가구용 수평조절받침(200)을 가구(300)의 4개의 모서리에 설치한 후 나사봉(222)을 회전시켜서 각각의 가구용 수평조절받침(200)의 높이를 조정하는 방법으로 가구(300)를 수평하게 조절하여 제자리에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부측면고정부와 상부연결부로 구성된 상부지지부와 하부측면고정부와 하부연결부 및 하면고정부로 구성된 하부지지부로 이루어진 가구지지부와, 상기 상부연결부와 하부연결부에 결합되는 나사봉 및 나사봉받침으로 구성된 높이조절부로 가구용 수평조절받침을 이루어서 상부지지부와 하부지지부를 결합하여 가구지지부가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연결부가 상부연결부와 하부연결부의 두 겹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지지하는 하중이 증가하여 다른 부재의 도움없이도 충분히 가구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여러 부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제작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수평조절받침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가구용 수평조절받침의 가구지지부의 사시도 및 전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수평조절받침의 한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4는 종래의 가구용 수평조절받침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가구용 수평조절받침, 110, 210 --- 가구지지부,
120, 220 --- 높이조절부, 111 -------- 측면고정부,
211a ------- 상부측면고정부, 211b ------- 하부측면고정부,
112, 212 --- 하면고정부, 113 -------- 연결부,
213a ------- 상부연결부, 213b ------- 하부연결부,
114 -------- 수평연결판, 115 -------- 블래킷,
214 -------- 상부지지부, 215 -------- 하부지지부,
116, 216 --- 구멍, 121 -------- 너트,
221 -------- 나사봉 삽입구멍, 122, 222 --- 나사봉,
123, 223 --- 나사봉받침, 224 -------- 홈,
225 -------- 나사봉 안내부, 226 -------- 삼각앵글,
227 -------- 결합구멍, 228 -------- 결합고정부,
300 -------- 가구, 400 -------- 렌치.

Claims (5)

  1. 다수의 구멍(216)이 형성된 수직판인 상부측면고정부(211a)와 이의 하단부에서 수평하게 뻗는 수평판이고 나사봉 삽입구멍(221)이 형성된 상부연결부(213a)로 구성된 상부지지부(214)와, 다수의 구멍(216)이 형성된 수직판인 하부측면고정부(211b)와 이의 상단부에서 상기 상부연결부(213a)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맞대게 위치되며 나사봉 삽입구멍(221)이 형성된 하부연결부(213b) 및 상기 하부측면고정부(211b)의 하단부에서 상기 하부연결부(213b)와 반대방향으로 뻗는 수평판이며 다수의 구멍(216)이 형성된 하면고정부(212)로 구성된 하부지지부(215)로 이루어진 가구지지부(210)와;
    상기 상부연결부(213a)와 하부연결부(213b)의 나사봉 삽입구멍(221)에 결합되는 나사봉(222) 및 이 나사봉(222)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나사봉받침(223)으로 구성된 높이조절부(220)로 이루어진 가구용 수평조절받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부(213a)의 단부와 하부연결부(213b)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부(214)와 하부지지부(215)가 일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수평조절받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부(213a)의 나사봉 삽입구멍(221)이나 상기 하부연결부(213b)의 나사봉 삽입구멍(221) 중 적어도 하나에는 나사봉 안내부(22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수평조절받침.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측면고정부(211a)와 상부연결부(213a)가 만나는 모서리나 상기 하부측면고정부(211b)와 하부연결부(213b)가 만나는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보강용 삼각앵글(22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수평조절받침.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부(215)의 하부연결부(213b)에는 이에 수직하게 결합고정부(22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지지부(214)의 상부연결부(213a)에는 상기 결합고정부(228)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구멍(227)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부(214)와 하부지지부(215)가 결합될 때 상기 결합고정부(228)가 상기 결합구멍(227)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구멍(227) 위로 돌출된 결합고정부(228)를 꺾어 줌으로 해서 상기 상부지지부(214)와 하부지지부(215)의 결합을 강화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수평조절받침.
KR20-2005-0010518U 2005-04-15 2005-04-15 가구용 수평조절받침 KR2003897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518U KR200389716Y1 (ko) 2005-04-15 2005-04-15 가구용 수평조절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518U KR200389716Y1 (ko) 2005-04-15 2005-04-15 가구용 수평조절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716Y1 true KR200389716Y1 (ko) 2005-07-14

Family

ID=43690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518U KR200389716Y1 (ko) 2005-04-15 2005-04-15 가구용 수평조절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71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44845A (zh) * 2018-01-20 2018-07-06 厦门顾信家居有限公司 一种平衡衣柜及其制作工艺
KR101876448B1 (ko) * 2018-02-27 2018-07-10 황종성 상품 진열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44845A (zh) * 2018-01-20 2018-07-06 厦门顾信家居有限公司 一种平衡衣柜及其制作工艺
KR101876448B1 (ko) * 2018-02-27 2018-07-10 황종성 상품 진열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95983A1 (en) Foundation headboard bracket system for bed
US11730261B1 (en) Beam structure for leg stand of electric table
US11737555B2 (en) Electric table, leg stand and lightweight beam structure thereof
KR200389716Y1 (ko) 가구용 수평조절받침
KR101029151B1 (ko) 칸막이 패널의 고정 프레임
KR101531812B1 (ko) 조립형 테이블
ZA200704213B (en) Support structure for elevated floor assembly
JP7481756B2 (ja) 幅と高さ調節が可能なパレット用組立式棚構造物
KR102092858B1 (ko) 가구용 철재 프레임 연결구조
CN110528821A (zh) 一种抗举式高架地板脚架结构
KR101865581B1 (ko) 조립식 책상 프레임
KR102125062B1 (ko)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
KR101281159B1 (ko)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
KR102269457B1 (ko) 조립가능한 건축용 패널 체결 장치
KR20070099160A (ko) 넉다운 파티션 결합장치
KR200294360Y1 (ko)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
KR101055760B1 (ko) 조정판을 이용한 건축물의 벽체 시공구조
KR200422697Y1 (ko) 조립식 가구의 지주
JP6666146B2 (ja) 水平ブレース構造、水平ブレースの支持装置、及び空間構造体
JP3133932B2 (ja) 折り畳み式ベッド
KR100239367B1 (ko) 세탁기의 수평조절장치
KR20190095978A (ko) 테이블 및 그의 제조방법
CN219109036U (zh) 一种横插式卡扣橱柜可调脚
CN217763881U (zh) 空调机
CN218651107U (zh) 一种床架边沿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