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239B1 - 내구성이 향상된 아파트 및 오피스텔 건식 내벽 - Google Patents

내구성이 향상된 아파트 및 오피스텔 건식 내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239B1
KR102569239B1 KR1020220091105A KR20220091105A KR102569239B1 KR 102569239 B1 KR102569239 B1 KR 102569239B1 KR 1020220091105 A KR1020220091105 A KR 1020220091105A KR 20220091105 A KR20220091105 A KR 20220091105A KR 102569239 B1 KR102569239 B1 KR 102569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late
plates
reinforcing fram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1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섭
Original Assignee
(주)아이팝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팝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아이팝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20091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2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2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좌우측벽체(60,60a) 사이에 시공되는 아파트 및 오피스텔 건식 내벽에 있어서, 수직기립된 금속재질의 박스체로 정면에서 정사각형상이고 측면에서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일정간격 수평되게 전후방측으로 이격된 수직판체인 전후면판(11a,11b)을 갖으며 전후면판(11a,11b) 상하단을 수평되게 연결시키는 상하단판(11c,11d)을 갖고 전후면판(11a,11b) 사이에 삽입공간부(11e)를 갖으며 전면판(11a) 중심부 좌우측에서 전방측으로 일정두께 수직돌출되어 내부에는 좌우측전방삽입요부(11ac,11ad)가 각각 형성되는 좌우측전방수직돌부(11aa,11ab)를 각각 갖고 이에 대응되는 후면판(11b) 중심부 좌우측에서 후방측으로 일정두께 수직돌출되어 내부에는 좌우측후방삽입요부(11bc,11bd)가 각각 형성되는 좌우측후방수직돌부(11ba,11bb)를 각각 갖는 내벽보강프레임(11)이 형성되고, 수직기립되는 판체로 상기 내벽보강프레임(11)의 전면판(11a) 전면에 밀착고정되데 배면 중심부에는 상기 좌우측전방수직돌부(11aa,11ab)가 각각 삽입고정되는 좌우측전방수직돌기삽입홈(12a,12b)을 갖고 상하단부가 내벽보강프레임(11) 상하부로 각각 연장되어 벽체를 이루는 전면마감판(12)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마감판(12)과 대응되게 상기 내벽보강프레임(11)의 후면판(11b)에 밀착고정되어 수직기립되는 판체로 정면 중심부에는 상기 좌우측후방수직돌부(11ba,11bb)가 각각 삽입고정되는 좌우측후방수직돌기삽입홈(13a,13b)을 갖고 상하단부가 내벽보강프레임(11) 상하부로 각각 연장되어 벽체를 이루는 후면마감판(13)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보강프레임(11)의 상하단판(11c,11d)과 전후면마감판(12,13) 사이의 공간에 일정간격 수직기립되어 전후면마감판(12,13)을 이격연결시키는 다수개의 상하부수직보강리브(14,14a)가 형성되는 건식내벽몸체(10); 몸체일측이 상기 건식내벽몸체(10) 내벽보강프레임(11)의 삽입공간부(11e) 타측에 삽입고정되고 몸체타측이 인접된 다른 건식내벽몸체(10) 내벽보강프레임(11)의 삽입공간부(11e) 일측에 삽입고정되어 건식내벽몸체(10)와 인접한 다른 건식내벽몸체(10)를 이음고정시키는 수직기립된 사각판체로, 일측은 건식내벽몸체(10) 내벽보강프레임(11)의 삽입공간부(11e) 타측에 삽입되데 선단이 좌우측전방삽입요부(11ac,11ad) 사이의 중간측에 위치되면서 일측 전후방면에는 우측전방삽입요부(11ad)와 우측후방삽입요부(11bd)에 각각 대응되는 일측전후방수직설치홈(21,22)이 각각 형성되며, 평단면이 "<"형상인 탄성판체로 일측은 고정볼트(32a)에 의해 상기 일측전후방수직설치홈(21,22)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고정판(32)을 갖고 타측은 고정판(32) 외측단에서 내측전후방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삽입공간부(11e) 삽입시 탄성절첩되어 삽입되면서 우측전후방삽입요부(11ad,11bd)에서 각각 탄성확장되어 탄성걸림되는 탄성걸림판(31)을 갖는 일측전후방탄성걸림수직판(30,30a)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은 인접한 다른 건식내벽몸체(10) 내벽보강프레임(11)의 삽입공간부(11e) 일측에 삽입되데 선단이 좌우측전방삽입요부(11ac,11ad) 사이의 중간측에 위치되면서 타측 전후방면에는 좌측전방삽입요부(11ac)와 좌측후방삽입요부(11bc)에 각각 대응되는 타측전후방수직설치홈(23,24)이 각각 형성되며, 평단면이 ">"형상인 탄성판체로 일측은 고정볼트(32a)에 의해 상기 타측전후방수직설치홈(23,24)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고정판(32)을 갖고 타측은 고정판(32) 외측단에서 내측전후방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삽입공간부(11e) 일측에 삽입시 탄성절첩되어 삽입되면서 좌측전후방삽입요부(11ac,11bc)에서 각각 탄성확장되어 탄성걸림되는 탄성걸림판(31)을 갖는 타측전후방탄성걸림수직판(30b,30c)이 각각 형성되는 내벽몸체체결연장판(20); 수직기립되어 좌측벽체(60)에 앵커볼트(41a)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벽체고정판(41)이 각각 형성되고, 벽체고정판(41) 중심측 중간부에서 수평돌출되어 인접된 상기 건식내벽몸체(10) 내벽보강프레임(11)의 삽입공간부(11e) 일측에 삽입되데 선단이 좌우측전방삽입요부(11ac,11ad) 중간측에 위치되면서 좌측전후방삽입요부(11ac,11bc)에 각각 대응되는 타측전후방수직설치홈(42a,42b)을 갖는 타측설치돌부(42)가 형성되며, 평단면이 ">"형상인 탄성판체로 일측은 고정볼트(32a)에 의해 상기 타측전후방수직설치홈(42a,42b)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고정판(32)을 갖고 타측은 고정판(32) 외측단에서 내측전후방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삽입공간부(11e) 일측에 삽입시 탄성절첩되어 삽입되면서 좌측전후방삽입요부(11ac,11bc)에서 각각 탄성확장되어 탄성걸림되는 탄성걸림판(31)을 갖는 타측전후방탄성걸림수직판(30ba,30ca)이 각각 형성되고, 벽체고정판(41) 중심측 타측설치돌부(42) 상부에서 수평돌출되어 전후면마감판(12,13) 사이의 내벽보강프레임(11) 상부로 삽입되는 상측삽입돌부(43)가 형성되며, 벽체고정판(41) 중심측 타측설치돌부(42) 하부에서 수평돌출되어 전후면마감판(12,13) 사이의 내벽보강프레임(11) 하부로 삽입되는 하측삽입돌부(44)가 형성되는 좌측벽체고정틀(40); 및 상기 좌측벽체고정틀(40)이 형성된 좌측벽체(60)와 수직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우측벽체(60a)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틀로, 수직기립되어 우측벽체(60a)에 앵커볼트(51a)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벽체고정판(51)이 각각 형성되고, 벽체고정판(51) 중심측 중간부에서 수평돌출되어 인접된 상기 건식내벽몸체(10) 내벽보강프레임(11)의 삽입공간부(11e) 타측에 삽입되데 선단이 좌우측전방삽입요부(11ac,11ad) 중간측에 위치되면서 우측전후방삽입요부(11ad,11bd)에 각각 대응되는 일측전후방수직설치홈(52a,52b)을 갖는 일측설치돌부(52)가 형성되며, 평단면이 "<"형상인 탄성판체로 일측은 고정볼트(32a)에 의해 상기 일측전후방수직설치홈(52a,52b)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고정판(32)을 갖고 타측은 고정판(32) 외측단에서 내측전후방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삽입공간부(11e) 타측에 삽입시 탄성절첩되어 삽입되면서 우측전후방삽입요부(11ad,11bd)에서 각각 탄성확장되어 탄성걸림되는 탄성걸림판(31)을 갖는 일측전후방탄성걸림수직판(30bb,30cb)이 각각 형성되고, 벽체고정판(51) 중심측 타측설치돌부(42) 상부에서 수평돌출되어 전후면마감판(12,13) 사이의 내벽보강프레임(11) 상부로 삽입되는 상측삽입돌부(53)가 형성되며, 벽체고정판(51) 중심측 타측설치돌부(42) 하부에서 수평돌출되어 전후면마감판(12,13) 사이의 내벽보강프레임(11) 하부로 삽입되는 하측삽입돌부(54)가 형성되는 우측벽체고정틀(50)을 구비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아파트 및 오피스텔 건식 내벽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금속재질의 내벽보강프레임을 갖는 건식내벽몸체와 일측전후방탄성걸림수직판과 타측전후방탄성걸림수직판을 갖고 내벽보강프레임에 일측이 삽입걸림고정되어 건식내벽몸체를 좌우측방향으로 길이연장시키는 내벽몸체체결연장판과 좌우측벽체고정틀을 구비하여 손쉽고 빠르게 내벽을 시공할 수 있어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금속재질의 내벽보강프레임을 구비하여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되지 않아 내구성이 크게 강화되어 유지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내구성이 향상된 아파트 및 오피스텔 건식 내벽{Durable dry inner wall used in apartments and officetels}
본 발명은 내구성이 향상된 아파트 및 오피스텔 건식 내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쉽고 빠르게 내벽을 시공할 수 있어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금속재질의 내벽보강프레임을 구비하여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되지 않아 내구성이 크게 강화되어 유지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내구성이 향상된 아파트 및 오피스텔 건식 내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및 오피스텔에서는 내벽을 건축시 벽돌을 사용하여 조적하거나 건식 내벽을 사용하여 내벽을 마감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아파트 및 오피스텔에 벽돌을 사용하여 내벽을 조적하는 경우는, 내벽을 시공하는 기간이 장기간 소요되며 인건비도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른 방법인 건식 내벽을 사용하여 각 철골조의 사이에 내벽을 설치하는 경우도, 상기 건식 내벽은 그 재질상 비중이 1.6~2.0정도로 높은 편이고 소방법상 필요한 내화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졌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아파트 및 오피스텔에서 벽돌대신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시멘트, 규석분, 무기섬유, 보습제, 모래 및 공업용수를 교반하여 제작한 건식 내벽에 있어서, 상기 건식 내벽(30)은 시멘트 42±15%, 규석분 20±10%, 섬유 7±6%, 보습제 1±0.7%, 모래 20±10%, 질석 4±3%, 펄프 6±5%의 총배합비와 상기 배합비의 총합에 대하여 공업용수 35±10%를 배합하여, 상기 건식 내벽(30)이 건식타입인 경우 상기의 배합비로 2분이상 교반하고 습식타입인 경우 30초~5분 정도 교반하며, 상기 배합된 원료를 압출성형하여 건식 내벽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및 오피스텔의 건식 내벽."이 특허등록 제10-0406148호(2003.11.15. 공고)로 개시된바 있었다.
이런 종래의 아파트 및 오피스텔의 건식 내벽은, 벽돌 대신 시멘트, 규석분, 섬유, 모래, 질석, 펄프, 공업용수를 배합하여 압출성형하여 이루어지므로 시공기간을 단축시키고 내화 성능이 향상되는 반면에,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되어 복구비용이 크게 증대하는 등 내구성은 크게 저하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KR)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06148호(2003.11.15.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금속재질의 내벽보강프레임을 갖는 건식내벽몸체와 일측전후방탄성걸림수직판과 타측전후방탄성걸림수직판을 갖고 내벽보강프레임에 일측이 삽입걸림고정되어 건식내벽몸체를 좌우측방향으로 길이연장시키는 내벽몸체체결연장판과 좌우측벽체고정틀을 구비하여 손쉽고 빠르게 내벽을 시공할 수 있어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금속재질의 내벽보강프레임을 구비하여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되지 않아 내구성이 크게 강화되어 유지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내구성이 향상된 아파트 및 오피스텔 건식 내벽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 좌우측벽체(60,60a) 사이에 시공되는 아파트 및 오피스텔 건식 내벽에 있어서,
수직기립된 금속재질의 박스체로 정면에서 정사각형상이고 측면에서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일정간격 수평되게 전후방측으로 이격된 수직판체인 전후면판(11a,11b)을 갖으며 전후면판(11a,11b) 상하단을 수평되게 연결시키는 상하단판(11c,11d)을 갖고 전후면판(11a,11b) 사이에 삽입공간부(11e)를 갖으며 전면판(11a) 중심부 좌우측에서 전방측으로 일정두께 수직돌출되어 내부에는 좌우측전방삽입요부(11ac,11ad)가 각각 형성되는 좌우측전방수직돌부(11aa,11ab)를 각각 갖고 이에 대응되는 후면판(11b) 중심부 좌우측에서 후방측으로 일정두께 수직돌출되어 내부에는 좌우측후방삽입요부(11bc,11bd)가 각각 형성되는 좌우측후방수직돌부(11ba,11bb)를 각각 갖는 내벽보강프레임(11)이 형성되고, 수직기립되는 판체로 상기 내벽보강프레임(11)의 전면판(11a) 전면에 밀착고정되데 배면 중심부에는 상기 좌우측전방수직돌부(11aa,11ab)가 각각 삽입고정되는 좌우측전방수직돌기삽입홈(12a,12b)을 갖고 상하단부가 내벽보강프레임(11) 상하부로 각각 연장되어 벽체를 이루는 전면마감판(12)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마감판(12)과 대응되게 상기 내벽보강프레임(11)의 후면판(11b)에 밀착고정되어 수직기립되는 판체로 정면 중심부에는 상기 좌우측후방수직돌부(11ba,11bb)가 각각 삽입고정되는 좌우측후방수직돌기삽입홈(13a,13b)을 갖고 상하단부가 내벽보강프레임(11) 상하부로 각각 연장되어 벽체를 이루는 후면마감판(13)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보강프레임(11)의 상하단판(11c,11d)과 전후면마감판(12,13) 사이의 공간에 일정간격 수직기립되어 전후면마감판(12,13)을 이격연결시키는 다수개의 상하부수직보강리브(14,14a)가 형성되는 건식내벽몸체(10);
몸체일측이 상기 건식내벽몸체(10) 내벽보강프레임(11)의 삽입공간부(11e) 타측에 삽입고정되고 몸체타측이 인접된 다른 건식내벽몸체(10) 내벽보강프레임(11)의 삽입공간부(11e) 일측에 삽입고정되어 건식내벽몸체(10)와 인접한 다른 건식내벽몸체(10)를 이음고정시키는 수직기립된 사각판체로, 일측은 건식내벽몸체(10) 내벽보강프레임(11)의 삽입공간부(11e) 타측에 삽입되데 선단이 좌우측전방삽입요부(11ac,11ad) 사이의 중간측에 위치되면서 일측 전후방면에는 우측전방삽입요부(11ad)와 우측후방삽입요부(11bd)에 각각 대응되는 일측전후방수직설치홈(21,22)이 각각 형성되며, 평단면이 "<"형상인 탄성판체로 일측은 고정볼트(32a)에 의해 상기 일측전후방수직설치홈(21,22)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고정판(32)을 갖고 타측은 고정판(32) 외측단에서 내측전후방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삽입공간부(11e) 삽입시 탄성절첩되어 삽입되면서 우측전후방삽입요부(11ad,11bd)에서 각각 탄성확장되어 탄성걸림되는 탄성걸림판(31)을 갖는 일측전후방탄성걸림수직판(30,30a)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은 인접한 다른 건식내벽몸체(10) 내벽보강프레임(11)의 삽입공간부(11e) 일측에 삽입되데 선단이 좌우측전방삽입요부(11ac,11ad) 사이의 중간측에 위치되면서 타측 전후방면에는 좌측전방삽입요부(11ac)와 좌측후방삽입요부(11bc)에 각각 대응되는 타측전후방수직설치홈(23,24)이 각각 형성되며, 평단면이 ">"형상인 탄성판체로 일측은 고정볼트(32a)에 의해 상기 타측전후방수직설치홈(23,24)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고정판(32)을 갖고 타측은 고정판(32) 외측단에서 내측전후방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삽입공간부(11e) 일측에 삽입시 탄성절첩되어 삽입되면서 좌측전후방삽입요부(11ac,11bc)에서 각각 탄성확장되어 탄성걸림되는 탄성걸림판(31)을 갖는 타측전후방탄성걸림수직판(30b,30c)이 각각 형성되는 내벽몸체체결연장판(20);
수직기립되어 좌측벽체(60)에 앵커볼트(41a)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벽체고정판(41)이 각각 형성되고, 벽체고정판(41) 중심측 중간부에서 수평돌출되어 인접된 상기 건식내벽몸체(10) 내벽보강프레임(11)의 삽입공간부(11e) 일측에 삽입되데 선단이 좌우측전방삽입요부(11ac,11ad) 중간측에 위치되면서 좌측전후방삽입요부(11ac,11bc)에 각각 대응되는 타측전후방수직설치홈(42a,42b)을 갖는 타측설치돌부(42)가 형성되며, 평단면이 ">"형상인 탄성판체로 일측은 고정볼트(32a)에 의해 상기 타측전후방수직설치홈(42a,42b)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고정판(32)을 갖고 타측은 고정판(32) 외측단에서 내측전후방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삽입공간부(11e) 일측에 삽입시 탄성절첩되어 삽입되면서 좌측전후방삽입요부(11ac,11bc)에서 각각 탄성확장되어 탄성걸림되는 탄성걸림판(31)을 갖는 타측전후방탄성걸림수직판(30ba,30ca)이 각각 형성되고, 벽체고정판(41) 중심측 타측설치돌부(42) 상부에서 수평돌출되어 전후면마감판(12,13) 사이의 내벽보강프레임(11) 상부로 삽입되는 상측삽입돌부(43)가 형성되며, 벽체고정판(41) 중심측 타측설치돌부(452) 하부에서 수평돌출되어 전후면마감판(12,13) 사이의 내벽보강프레임(11) 하부로 삽입되는 하측삽입돌부(44)가 형성되는 좌측벽체고정틀(40); 및
상기 좌측벽체고정틀(40)이 형성된 좌측벽체(60)와 수직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우측벽체(60a)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틀로, 수직기립되어 우측벽체(60a)에 앵커볼트(51a)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벽체고정판(51)이 각각 형성되고, 벽체고정판(51) 중심측 중간부에서 수평돌출되어 인접된 상기 건식내벽몸체(10) 내벽보강프레임(11)의 삽입공간부(11e) 타측에 삽입되데 선단이 좌우측전방삽입요부(11ac,11ad) 중간측에 위치되면서 우측전후방삽입요부(11ad,11bd)에 각각 대응되는 일측전후방수직설치홈(52a,52b)을 갖는 일측설치돌부(52)가 형성되며, 평단면이 "<"형상인 탄성판체로 일측은 고정볼트(32a)에 의해 상기 일측전후방수직설치홈(52a,52b)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고정판(32)을 갖고 타측은 고정판(32) 외측단에서 내측전후방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삽입공간부(11e) 타측에 삽입시 탄성절첩되어 삽입되면서 우측전후방삽입요부(11ad,11bd)에서 각각 탄성확장되어 탄성걸림되는 탄성걸림판(31)을 갖는 일측전후방탄성걸림수직판(30bb,30cb)이 각각 형성되고, 벽체고정판(51) 중심측 타측설치돌부(52) 상부에서 수평돌출되어 전후면마감판(12,13) 사이의 내벽보강프레임(11) 상부로 삽입되는 상측삽입돌부(53)가 형성되며, 벽체고정판(51) 중심측 타측설치돌부(52) 하부에서 수평돌출되어 전후면마감판(12,13) 사이의 내벽보강프레임(11) 하부로 삽입되는 하측삽입돌부(54)가 형성되는 우측벽체고정틀(50)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금속재질의 내벽보강프레임을 갖는 건식내벽몸체와 일측전후방탄성걸림수직판과 타측전후방탄성걸림수직판을 갖고 내벽보강프레임에 일측이 삽입걸림고정되어 건식내벽몸체를 좌우측방향으로 길이연장시키는 내벽몸체체결연장판과 좌우측벽체고정틀을 구비하여 손쉽고 빠르게 내벽을 시공할 수 있어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금속재질의 내벽보강프레임을 구비하여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되지 않아 내구성이 크게 강화되어 유지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내구성이 향상된 아파트 및 오피스텔 건식 내벽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내구성이 향상된 아파트 및 오피스텔 건식 내벽의 시공모습을 보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내구성이 향상된 아파트 및 오피스텔 건식 내벽의 체결모습을 보인 요부절취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내구성이 향상된 아파트 및 오피스텔 건식 내벽의 시공모습을 보인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내구성이 향상된 아파트 및 오피스텔 건식 내벽의 시공모습을 보인 정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 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내구성이 향상된 아파트 및 오피스텔 건식 내벽은, 내부 좌우측벽체(60,60a) 사이에 시공되는 건식 내벽으로, 건식내벽몸체(10)와, 내벽몸체체결연장판(20)과, 일측전후방탄성걸림수직판(30,30a)(30bb,30cb)과, 타측전후방탄성걸림수직판(30b,30c)(30ba,30ca)과, 좌측벽체고정틀(40)과, 우측벽체고정틀(50)로 구성된다.
상기 건식내벽몸체(10)는, 수직기립된 금속재질의 박스체로 정면에서 정사각형상이고 측면에서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일정간격 수평되게 전후방측으로 이격된 수직판체인 전후면판(11a,11b)을 갖으며 전후면판(11a,11b) 상하단을 수평되게 연결시키는 상하단판(11c,11d)을 갖고 전후면판(11a,11b) 사이에 삽입공간부(11e)를 갖으며 전면판(11a) 중심부 좌우측에서 전방측으로 일정두께 수직돌출되어 내부에는 좌우측전방삽입요부(11ac,11ad)가 각각 형성되는 좌우측전방수직돌부(11aa,11ab)를 각각 갖고 이에 대응되는 후면판(11b) 중심부 좌우측에서 후방측으로 일정두께 수직돌출되어 내부에는 좌우측후방삽입요부(11bc,11bd)가 각각 형성되는 좌우측후방수직돌부(11ba,11bb)를 각각 갖는 내벽보강프레임(11)이 형성되고, 수직기립되는 판체로 상기 내벽보강프레임(11)의 전면판(11a) 전면에 밀착고정되데 배면 중심부에는 상기 좌우측전방수직돌부(11aa,11ab)가 각각 삽입고정되는 좌우측전방수직돌기삽입홈(12a,12b)을 갖고 상하단부가 내벽보강프레임(11) 상하부로 각각 연장되어 벽체를 이루는 전면마감판(12)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마감판(12)과 대응되게 상기 내벽보강프레임(11)의 후면판(11b)에 밀착고정되어 수직기립되는 판체로 정면 중심부에는 상기 좌우측후방수직돌부(11ba,11bb)가 각각 삽입고정되는 좌우측후방수직돌기삽입홈(13a,13b)을 갖고 상하단부가 내벽보강프레임(11) 상하부로 각각 연장되어 벽체를 이루는 후면마감판(13)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보강프레임(11)의 상하단판(11c,11d)과 전후면마감판(12,13) 사이의 공간에 일정간격 수직기립되어 전후면마감판(12,13)을 이격연결시키는 다수개의 상하부수직보강리브(14,14a)가 형성된다.
상기 내벽몸체체결연장판(20)은, 몸체일측이 상기 건식내벽몸체(10) 내벽보강프레임(11)의 삽입공간부(11e) 타측에 삽입고정되고 몸체타측이 인접된 다른 건식내벽몸체(10) 내벽보강프레임(11)의 삽입공간부(11e) 일측에 삽입고정되어 건식내벽몸체(10)와 인접한 다른 건식내벽몸체(10)를 이음고정시키는 수직기립된 사각판체로, 일측은 건식내벽몸체(10) 내벽보강프레임(11)의 삽입공간부(11e) 타측에 삽입되데 선단이 좌우측전방삽입요부(11ac,11ad) 사이의 중간측에 위치되면서 일측 전후방면에는 우측전방삽입요부(11ad)와 우측후방삽입요부(11bd)에 각각 대응되는 일측전후방수직설치홈(21,22)이 각각 형성되며, 평단면이 "<"형상인 탄성판체로 일측은 고정볼트(32a)에 의해 상기 일측전후방수직설치홈(21,22)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고정판(32)을 갖고 타측은 고정판(32) 외측단에서 내측전후방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삽입공간부(11e) 삽입시 탄성절첩되어 삽입되면서 우측전후방삽입요부(11ad,11bd)에서 각각 탄성확장되어 탄성걸림되는 탄성걸림판(31)을 갖는 일측전후방탄성걸림수직판(30,30a)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은 인접한 다른 건식내벽몸체(10) 내벽보강프레임(11)의 삽입공간부(11e) 일측에 삽입되데 선단이 좌우측전방삽입요부(11ac,11ad) 사이의 중간측에 위치되면서 타측 전후방면에는 좌측전방삽입요부(11ac)와 좌측후방삽입요부(11bc)에 각각 대응되는 타측전후방수직설치홈(23,24)이 각각 형성되며, 평단면이 ">"형상인 탄성판체로 일측은 고정볼트(32a)에 의해 상기 타측전후방수직설치홈(23,24)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고정판(32)을 갖고 타측은 고정판(32) 외측단에서 내측전후방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삽입공간부(11e) 일측에 삽입시 탄성절첩되어 삽입되면서 좌측전후방삽입요부(11ac,11bc)에서 각각 탄성확장되어 탄성걸림되는 탄성걸림판(31)을 갖는 타측전후방탄성걸림수직판(30b,30c)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좌측벽체고정틀(40)은, 수직기립되어 좌측벽체(60)에 앵커볼트(41a)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벽체고정판(41)이 각각 형성되고, 벽체고정판(41) 중심측 중간부에서 수평돌출되어 인접된 상기 건식내벽몸체(10) 내벽보강프레임(11)의 삽입공간부(11e) 일측에 삽입되데 선단이 좌우측전방삽입요부(11ac,11ad) 중간측에 위치되면서 좌측전후방삽입요부(11ac,11bc)에 각각 대응되는 타측전후방수직설치홈(42a,42b)을 갖는 타측설치돌부(42)가 형성되며, 평단면이 ">"형상인 탄성판체로 일측은 고정볼트(32a)에 의해 상기 타측전후방수직설치홈(42a,42b)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고정판(32)을 갖고 타측은 고정판(32) 외측단에서 내측전후방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삽입공간부(11e) 일측에 삽입시 탄성절첩되어 삽입되면서 좌측전후방삽입요부(11ac,11bc)에서 각각 탄성확장되어 탄성걸림되는 탄성걸림판(31)을 갖는 타측전후방탄성걸림수직판(30ba,30ca)이 각각 형성되고, 벽체고정판(41) 중심측 타측설치돌부(42) 상부에서 수평돌출되어 전후면마감판(12,13) 사이의 내벽보강프레임(11) 상부로 삽입되는 상측삽입돌부(43)가 형성되며, 벽체고정판(41) 중심측 타측설치돌부(42) 하부에서 수평돌출되어 전후면마감판(12,13) 사이의 내벽보강프레임(11) 하부로 삽입되는 하측삽입돌부(44)가 형성된다.
상기 우측벽체고정틀(50)은, 상기 좌측벽체고정틀(40)이 형성된 좌측벽체(60)와 수직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우측벽체(60a)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틀로, 수직기립되어 우측벽체(60a)에 앵커볼트(51a)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벽체고정판(51)이 각각 형성되고, 벽체고정판(51) 중심측 중간부에서 수평돌출되어 인접된 상기 건식내벽몸체(10) 내벽보강프레임(11)의 삽입공간부(11e) 타측에 삽입되데 선단이 좌우측전방삽입요부(11ac,11ad) 중간측에 위치되면서 우측전후방삽입요부(11ad,11bd)에 각각 대응되는 일측전후방수직설치홈(52a,52b)을 갖는 일측설치돌부(52)가 형성되며, 평단면이 "<"형상인 탄성판체로 일측은 고정볼트(32a)에 의해 상기 일측전후방수직설치홈(52a,52b)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고정판(32)을 갖고 타측은 고정판(32) 외측단에서 내측전후방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삽입공간부(11e) 타측에 삽입시 탄성절첩되어 삽입되면서 우측전후방삽입요부(11ad,11bd)에서 각각 탄성확장되어 탄성걸림되는 탄성걸림판(31)을 갖는 일측전후방탄성걸림수직판(30bb,30cb)이 각각 형성되고, 벽체고정판(51) 중심측 타측설치돌부(42) 상부에서 수평돌출되어 전후면마감판(12,13) 사이의 내벽보강프레임(11) 상부로 삽입되는 상측삽입돌부(53)가 형성되며, 벽체고정판(51) 중심측 타측설치돌부(42) 하부에서 수평돌출되어 전후면마감판(12,13) 사이의 내벽보강프레임(11) 하부로 삽입되는 하측삽입돌부(54)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금속재질의 내벽보강프레임(11)을 갖는 건식내벽몸체(10)와, 일측전후방탄성걸림수직판(30,30a)과 타측전후방탄성걸림수직판(30b,30c)을 갖고 내벽보강프레임(11)에 일측이 삽입걸림고정되어 건식내벽몸체(10)를 인접된 다른 건식내벽몸체(10)와 좌우측방향으로 길이연장시키는 내벽몸체체결연장판(20)과, 좌우측벽체고정틀(40,50)을 구비하여, 손쉽고 빠르게 내벽을 시공할 수 있어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금속재질의 내벽보강프레임(11)을 구비하여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되지 않아 내구성이 크게 강화되어 유지비용이 크게 절감된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건식내벽몸체
11 ; 내벽보강프레임
12 ; 전면마감판
13 : 후면마감판
14,14a : 상하부수직보강리브
20 : 내벽몸체체결연장판
30,30a : 일측전후방탄성걸림수직판
30b,30c : 타측전후방탄성걸림수직판
40,50 : 좌우측벽체고정틀
60,60a : 좌우측벽체

Claims (1)

  1. 내부 좌우측벽체(60,60a) 사이에 시공되는 아파트 및 오피스텔 건식 내벽에 있어서,
    수직기립된 금속재질의 박스체로 정면에서 정사각형상이고 측면에서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일정간격 수평되게 전후방측으로 이격된 수직판체인 전후면판(11a,11b)을 갖으며 전후면판(11a,11b) 상하단을 수평되게 연결시키는 상하단판(11c,11d)을 갖고 전후면판(11a,11b) 사이에 삽입공간부(11e)를 갖으며 전면판(11a) 중심부 좌우측에서 전방측으로 일정두께 수직돌출되어 내부에는 좌우측전방삽입요부(11ac,11ad)가 각각 형성되는 좌우측전방수직돌부(11aa,11ab)를 각각 갖고 이에 대응되는 후면판(11b) 중심부 좌우측에서 후방측으로 일정두께 수직돌출되어 내부에는 좌우측후방삽입요부(11bc,11bd)가 각각 형성되는 좌우측후방수직돌부(11ba,11bb)를 각각 갖는 내벽보강프레임(11)이 형성되고, 수직기립되는 판체로 상기 내벽보강프레임(11)의 전면판(11a) 전면에 밀착고정되데 배면 중심부에는 상기 좌우측전방수직돌부(11aa,11ab)가 각각 삽입고정되는 좌우측전방수직돌기삽입홈(12a,12b)을 갖고 상하단부가 내벽보강프레임(11) 상하부로 각각 연장되어 벽체를 이루는 전면마감판(12)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마감판(12)과 대응되게 상기 내벽보강프레임(11)의 후면판(11b)에 밀착고정되어 수직기립되는 판체로 정면 중심부에는 상기 좌우측후방수직돌부(11ba,11bb)가 각각 삽입고정되는 좌우측후방수직돌기삽입홈(13a,13b)을 갖고 상하단부가 내벽보강프레임(11) 상하부로 각각 연장되어 벽체를 이루는 후면마감판(13)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보강프레임(11)의 상하단판(11c,11d)과 전후면마감판(12,13) 사이의 공간에 일정간격 수직기립되어 전후면마감판(12,13)을 이격연결시키는 다수개의 상하부수직보강리브(14,14a)가 형성되는 건식내벽몸체(10);
    몸체일측이 상기 건식내벽몸체(10) 내벽보강프레임(11)의 삽입공간부(11e) 타측에 삽입고정되고 몸체타측이 인접된 다른 건식내벽몸체(10) 내벽보강프레임(11)의 삽입공간부(11e) 일측에 삽입고정되어 건식내벽몸체(10)와 인접한 다른 건식내벽몸체(10)를 이음고정시키는 수직기립된 사각판체로, 일측은 건식내벽몸체(10) 내벽보강프레임(11)의 삽입공간부(11e) 타측에 삽입되데 선단이 좌우측전방삽입요부(11ac,11ad) 사이의 중간측에 위치되면서 일측 전후방면에는 우측전방삽입요부(11ad)와 우측후방삽입요부(11bd)에 각각 대응되는 일측전후방수직설치홈(21,22)이 각각 형성되며, 평단면이 "<"형상인 탄성판체로 일측은 고정볼트(32a)에 의해 상기 일측전후방수직설치홈(21,22)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고정판(32)을 갖고 타측은 고정판(32) 외측단에서 내측전후방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삽입공간부(11e) 삽입시 탄성절첩되어 삽입되면서 우측전후방삽입요부(11ad,11bd)에서 각각 탄성확장되어 탄성걸림되는 탄성걸림판(31)을 갖는 일측전후방탄성걸림수직판(30,30a)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은 인접한 다른 건식내벽몸체(10) 내벽보강프레임(11)의 삽입공간부(11e) 일측에 삽입되데 선단이 좌우측전방삽입요부(11ac,11ad) 사이의 중간측에 위치되면서 타측 전후방면에는 좌측전방삽입요부(11ac)와 좌측후방삽입요부(11bc)에 각각 대응되는 타측전후방수직설치홈(23,24)이 각각 형성되며, 평단면이 ">"형상인 탄성판체로 일측은 고정볼트(32a)에 의해 상기 타측전후방수직설치홈(23,24)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고정판(32)을 갖고 타측은 고정판(32) 외측단에서 내측전후방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삽입공간부(11e) 일측에 삽입시 탄성절첩되어 삽입되면서 좌측전후방삽입요부(11ac,11bc)에서 각각 탄성확장되어 탄성걸림되는 탄성걸림판(31)을 갖는 타측전후방탄성걸림수직판(30b,30c)이 각각 형성되는 내벽몸체체결연장판(20);
    수직기립되어 좌측벽체(60)에 앵커볼트(41a)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벽체고정판(41)이 각각 형성되고, 벽체고정판(41) 중심측 중간부에서 수평돌출되어 인접된 상기 건식내벽몸체(10) 내벽보강프레임(11)의 삽입공간부(11e) 일측에 삽입되데 선단이 좌우측전방삽입요부(11ac,11ad) 중간측에 위치되면서 좌측전후방삽입요부(11ac,11bc)에 각각 대응되는 타측전후방수직설치홈(42a,42b)을 갖는 타측설치돌부(42)가 형성되며, 평단면이 ">"형상인 탄성판체로 일측은 고정볼트(32a)에 의해 상기 타측전후방수직설치홈(42a,42b)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고정판(32)을 갖고 타측은 고정판(32) 외측단에서 내측전후방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삽입공간부(11e) 일측에 삽입시 탄성절첩되어 삽입되면서 좌측전후방삽입요부(11ac,11bc)에서 각각 탄성확장되어 탄성걸림되는 탄성걸림판(31)을 갖는 타측전후방탄성걸림수직판(30ba,30ca)이 각각 형성되고, 벽체고정판(41) 중심측 타측설치돌부(42) 상부에서 수평돌출되어 전후면마감판(12,13) 사이의 내벽보강프레임(11) 상부로 삽입되는 상측삽입돌부(43)가 형성되며, 벽체고정판(41) 중심측 타측설치돌부(42) 하부에서 수평돌출되어 전후면마감판(12,13) 사이의 내벽보강프레임(11) 하부로 삽입되는 하측삽입돌부(44)가 형성되는 좌측벽체고정틀(40); 및
    상기 좌측벽체고정틀(40)이 형성된 좌측벽체(60)와 수직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우측벽체(60a)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틀로, 수직기립되어 우측벽체(60a)에 앵커볼트(51a)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벽체고정판(51)이 각각 형성되고, 벽체고정판(51) 중심측 중간부에서 수평돌출되어 인접된 상기 건식내벽몸체(10) 내벽보강프레임(11)의 삽입공간부(11e) 타측에 삽입되데 선단이 좌우측전방삽입요부(11ac,11ad) 중간측에 위치되면서 우측전후방삽입요부(11ad,11bd)에 각각 대응되는 일측전후방수직설치홈(52a,52b)을 갖는 일측설치돌부(52)가 형성되며, 평단면이 "<"형상인 탄성판체로 일측은 고정볼트(32a)에 의해 상기 일측전후방수직설치홈(52a,52b)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고정판(32)을 갖고 타측은 고정판(32) 외측단에서 내측전후방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삽입공간부(11e) 타측에 삽입시 탄성절첩되어 삽입되면서 우측전후방삽입요부(11ad,11bd)에서 각각 탄성확장되어 탄성걸림되는 탄성걸림판(31)을 갖는 일측전후방탄성걸림수직판(30bb,30cb)이 각각 형성되고, 벽체고정판(51) 중심측 타측설치돌부(42) 상부에서 수평돌출되어 전후면마감판(12,13) 사이의 내벽보강프레임(11) 상부로 삽입되는 상측삽입돌부(53)가 형성되며, 벽체고정판(51) 중심측 타측설치돌부(42) 하부에서 수평돌출되어 전후면마감판(12,13) 사이의 내벽보강프레임(11) 하부로 삽입되는 하측삽입돌부(54)가 형성되는 우측벽체고정틀(5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아파트 및 오피스텔 건식 내벽.
KR1020220091105A 2022-07-22 2022-07-22 내구성이 향상된 아파트 및 오피스텔 건식 내벽 KR102569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105A KR102569239B1 (ko) 2022-07-22 2022-07-22 내구성이 향상된 아파트 및 오피스텔 건식 내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105A KR102569239B1 (ko) 2022-07-22 2022-07-22 내구성이 향상된 아파트 및 오피스텔 건식 내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9239B1 true KR102569239B1 (ko) 2023-08-23

Family

ID=87848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1105A KR102569239B1 (ko) 2022-07-22 2022-07-22 내구성이 향상된 아파트 및 오피스텔 건식 내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923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148B1 (ko) 2000-03-21 2003-11-15 주식회사 벽산 아파트 및 오피스텔의 건식 내벽
KR20070019330A (ko) * 2005-08-12 2007-02-15 주식회사 유 창 벽체 구조물
JP2011026926A (ja) * 2009-07-29 2011-02-10 Takiron Co Ltd 中空パネル用補強材および壁体
JP2018193854A (ja) * 2018-08-10 2018-12-06 日建リース工業株式会社 ユニットハウス用の壁面パネルおよび壁面構造、ならびに壁面パネル用の連結具
KR20200120005A (ko) * 2019-04-11 2020-10-21 남궁민우 건축용 벽체 일체형 거푸집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148B1 (ko) 2000-03-21 2003-11-15 주식회사 벽산 아파트 및 오피스텔의 건식 내벽
KR20070019330A (ko) * 2005-08-12 2007-02-15 주식회사 유 창 벽체 구조물
JP2011026926A (ja) * 2009-07-29 2011-02-10 Takiron Co Ltd 中空パネル用補強材および壁体
JP2018193854A (ja) * 2018-08-10 2018-12-06 日建リース工業株式会社 ユニットハウス用の壁面パネルおよび壁面構造、ならびに壁面パネル用の連結具
KR20200120005A (ko) * 2019-04-11 2020-10-21 남궁민우 건축용 벽체 일체형 거푸집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9239B1 (ko) 내구성이 향상된 아파트 및 오피스텔 건식 내벽
KR100952409B1 (ko) 조립식 벽판넬 구조
KR101279811B1 (ko) 패널지지 어셈블리
KR20190017509A (ko) 콘크리트 균열방지구
KR102120940B1 (ko) 건축용 다기능 다목적 지지대
KR20200140518A (ko) 내진 창호
KR200414945Y1 (ko) 유러폼의 슬라브 타설용 데크패널
KR20100062003A (ko) 거푸집 인코너 마감부재
KR102114006B1 (ko) 공동주택 난간의 고정부위 확대 보강시설
KR200421001Y1 (ko) 거푸집용 아웃코너 패널 조립체
CN209163486U (zh) 一种底模可拆卸式钢筋桁架楼承板安装用连接件
KR20110008084U (ko) 방수턱 거푸집
KR20100031310A (ko) 건물의 벽체구조물
KR200231222Y1 (ko) 데크플레이트용 철근 간격 유지구
KR100717970B1 (ko) 공동주택용 빨래걸이 기능을 구비한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
JP4705365B2 (ja) 基礎構築用の支持具及びその取付構造
KR200433422Y1 (ko) 벽체 배수판
KR200418001Y1 (ko)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
KR200400388Y1 (ko) 시공성이 우수한 방수턱 거푸집용 받침부재
CN212053348U (zh) 一种骨架板用连接结构
CN110273505B (zh) 圈梁模块、圈梁、建筑体及构筑方法
KR200397863Y1 (ko) 거푸집용 층고 조절 내모드
CN210767827U (zh) 一种楼板支模及楼板
KR100926767B1 (ko) 건축용 슬라브 폼
KR200198576Y1 (ko) 합성수지재 거푸집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