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0518A - 내진 창호 - Google Patents

내진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0518A
KR20200140518A KR1020190067211A KR20190067211A KR20200140518A KR 20200140518 A KR20200140518 A KR 20200140518A KR 1020190067211 A KR1020190067211 A KR 1020190067211A KR 20190067211 A KR20190067211 A KR 20190067211A KR 20200140518 A KR20200140518 A KR 20200140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eismic
window frame
composite material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지
송수빈
김지현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90067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0518A/ko
Publication of KR20200140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5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 기능을 가진 내진 창호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천장 슬라브와 바닥 슬라브를 연결하는 벽체에 설치되되, 강화섬유와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복합소재 프로파일의 결합으로 구성된 창틀을 포함하고, 상기 창틀의 최대 변위(4.5m(가로)×2.8m(높이)×0.25m(세로)의 창틀을 대상으로 2.5ton의 하중을 가력한 경우)는 0.07mm 이하인 내진 창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진 창호{Window with earthquake resisting function}
본 발명은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호 자체가 내진 성능을 구비한 내진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窓戶)란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되는 각종의 창 또는 문을 말하는 것으로, 실내의 환기를 위해 설치되며, 창호를 통해 건물의 내부에서 외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러한 창호는 개구부를 슬라이딩 개폐 또는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하는 창짝과, 이러한 창짝이 설치되는 창틀로 구분된다. 이렇게 창짝과 창틀로 구성되는 창호를 이루는 프레임은 양단이 45° 경사지게 절단된 다수의 단위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사각형상의 창짝 또는 창틀을 이루도록 제작되고 있는 것으로 창호 소재에 따라 금속 창호 또는 합성수지 창호로 나뉜다. 금속 소재의 창호는 외관이 미려하나 가격이 고가이고 단열 성능이 저하되어 주로 대개 합성수지 소재의 창호가 대중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53445호는 합성수지 소재의 창호의 프레임 내부에 스틸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보강재를 삽입 설치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합성수지 소재의 창호에 보강력 및 내풍압 등의 성능을 어느 정도 개선 시켜줄 수는 있지만, 내진 성능을 기대하기는 어려우며, 또한 상기 금속 보강재로 인하여 열전도 현상에 의해 외부로 손실되는 열이 많아 단열 성능을 저하 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한편, 건물 개구부는 다른 부분에 비해 응력 집중이 심하여 지진 발생 시 개구부로부터 조적벽체의 인장균열이 시작되기 쉬워, 지진에 취약하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 잦은 지진 발생으로 인하여 창호가 설치되는 건물 개구부의 내진 설계의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건물 개구부의 내진 설계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5320호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상부 슬라브(21)와 하부 슬라브(22) 및 양 수직기둥(23) 사이의 공간인 건물 개구부(S)에 사각형태의 스틸프레임(30)을 설치하고 스틸프레임(30)의 내측 하부에 철근콘크리트 벽체(40)를 시공한 후 창호(10)를 장착함으로 인해 건물 개구부의 내진 성능을 보강하도록 한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내진 설계 구조는 창호(10) 자체가 내진 성능을 구비한 것이 아니라 스틸프레임(30) 및 철근콘크리트 벽체(40) 등에 의해 내진 성능이 보강되도록 한 것으로, 상기 스틸프레임(30)은 고가의 H 형강인 상부부재(31), 수직부재(32), 하부부재(33) 및 가새부재(34)를 용접 또는 체결볼트로 체결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자재비가 증가하고, 창호(10)가 설치되는 공간 하부에 철근조립체(41)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부어 철근콘크리트 벽체(40)를 시공하는 등 공사가 복잡하여 공기가 길고, 공사비용이 높으며, 스틸프레임(30) 등의 이용에 따라 단열 성능 및 기밀 성능의 확보에도 불리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53445호(2006.12.06.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5320호(2012.07.18.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창호의 재질 및 구조 성능 개선으로 창호 자체가 내진 성능을 구비하도록 하고, 단열 성능과 기밀 성능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내진 창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천장 슬라브와 바닥 슬라브 사이에 형성된 벽체에 설치되는 내진 창호로서,
상기 내진 창호는 강화섬유와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복합소재 프로파일의 결합으로 구성된 창틀을 포함하고,
상기 창틀의 최대 변위(4.5m(가로)×2.8m(높이)×0.25m(세로)의 창틀을 대상으로 2.5ton의 하중을 가력한 경우)는 0.07mm 이하인 것인 내진 창호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내진 창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복합소재 프로파일로 제작된 창호를 사용함으로써, 건물 개구부에 내진 설계를 위한 고가의 스틸프레임 및 철근콘크리트 벽체의 시공 없이도 내진 성능이 우수하고, 시공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며, 단열 성능과 기밀 성능 또한 더욱 향상된 효과가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 은 종래의 건물 개구부의 내진 설계의 일 예로 스틸프레임 및 철근콘크리트 벽체를 이용하여 창호를 시공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슬라브와 바닥 슬라브 사이 벽체에 내진 창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창호 중 창틀의 구체적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창호로 창틀에 보강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5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창호의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6은 스틸 재질 또는 복합소재 재질의 창틀의 최대 변위 측정의 구체적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스틸 재질 또는 복합소재 재질의 창틀의 최대 변위 측정의 또 다른 구체적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판단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슬라브(210)와 바닥 슬라브(220) 사이 벽체(300)에 내진 창호(100)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내진 창호(100)는 복합소재 프로파일의 결합으로 구성된 창틀(1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벽체(300)는 벽돌이나 돌 등의 재료를 하나씩 축조하여 설치한 조적벽체 또는 콘크리트 벽체일 수 있으며, 구체적 일 예로는 시멘트 벽돌, 콘크리트 벽돌, 붉은 벽돌 또는 타일 등의 블록을 모르타르로 점착하여 축조한 조적벽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창틀(120)은 도 2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측과 하측을 서로 연결하는 천장 슬라브(210)와 바닥 슬라브(220) 사이의 벽체(300)에 설치되되, 상부 프로파일(121)과 하부 프로파일(122) 및 측부 프로파일(123)로 구성된다.
상기 각 프로파일(121)(122)(123) 양단부는 경사지게 절단되거나 'ㄴ'자 형 또는 일자형으로 절단된 상태에서 상부 프로파일(121)의 양단은 측부 프로파일(123)의 상단과 용접 또는 체결수단으로 결합되어 모서리를 이루고, 하부 프로파일(122)의 양단은 측부 프로파일(123)의 하단과 용접 또는 체결수단으로 결합되어 모서리를 이루면서 창틀(120)은 대략 사각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렇게 창틀(120)을 구성하는 상부 프로파일(121), 하부 프로파일(122) 및 측부 프로파일(1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는 상부 프로파일(121), 하부 프로파일(122) 및 측부 프로파일(123) 모두는 내진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단열 성능이 우수한 복합소재 프로파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합소재 프로파일은 복합소재 조성물로 압출성형 또는 사출성형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압출성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복합소재는 강화섬유와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강화섬유는 일례로 유리섬유 및 탄소섬유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 일례로, 상기 강화섬유는 유리섬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강화섬유는 길이가 3-30mm, 7-25mm 또는 8-20mm인 단섬유 또는 장섬유인 것일 수 있다. 강화섬유가 상기 길이를 가질 경우, 내진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프로파일로의 성형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 수지 중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일 수 있다.
상기 복합소재는 강화섬유를 50중량% 이상, 60중량% 이상 또는 70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강화섬유가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내진 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합성수지의 함량이 감소되어 강화섬유와의 결속력이 저하되므로 성형성, 강도, 단열성 및 기밀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복합소재 내 강화섬유 함량의 상한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일례로 100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복합소재는 비중이 1.10-1.90g/cm3, 1.30-1.70g/cm3 또는 1.40-1.60g/cm3일 수 있다. 상기 복합소재의 비중은 KS M 3016: 2006(A법)에 따라 측정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복합소재의 비중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복합소재에 포함되는 강화섬유를 형성하는 필라멘트 사이에 보이드(void) 등이 많이 존재하거나, 상기 필라멘트의 치밀성이 낮아져 복합소재의 압축강도가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경량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복합소재는 항복 시 인장강도가 500Mpa 이상, 600MPa 이상 또는 700Mpa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복합소재의 인장강도는 KS M 3006: 2003에 따라 측정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장강도의 상한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일례로 1500MPa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복합소재는 상기 범위의 인장강도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구조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복합소재는 열전도도가 0.50W/mK 이하, 0.40W/mK 이하 또는 0.30W/mK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복합소재의 열전도도는 열전도도 측정기(ThermoConTester M100, Metrotech Co., Ltd., Korea)를 사용하여 측정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열전도도의 하한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일례로 0.01W/mK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복합소재는 상기 범위의 열전도도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단열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복합소재 조성물은 상기 복합소재 외에 필요에 따라 안료, 충전제, 난연제, 안정제 등 기타 첨가제를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종류 및 함량은 내진 성능 및 단열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한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창틀(120)을 구성하는 복합소재의 프로파일 중, 상부 프로파일(121) 및 하부 프로파일(122)의 폭의 비는 1:1-6, 1:1-4 또는 1:1-3일 수 있다.
상기 폭은 상기 창틀(120)을 전면 또는 후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보이는 상부 프로파일(121)의 높이 길이(ℓ1) 및 하부 프로파일(122)의 높이 길이(ℓ2)일 수 있다(도 3 참조).
상부 프로파일(121) 및 하부 프로파일(122)의 폭의 비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건물 개구부에 내진 설계를 위한 고가의 스틸프레임 및 철근콘크리트 벽체의 시공 없이도 창호 자체가 내진 보강 구조 기능을 수행하여 내진 성능이 우수하고, 시공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는,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프로파일(121) 및 하부 프로파일(122)와 창틀(120)의 개구부(124)의 폭의 비는 1:1-6:6-10, 1:1-4:7-10 또는 1:1-3:7-9일 수 있다.
상기 폭은 창틀(120)을 전면 또는 후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보이는 상부 프로파일(121)의 높이 길이(ℓ1), 하부 프로파일(122)의 높이 길이(ℓ2) 및 개구부(124)의 높이 길이(ℓ3)일 수 있다(도 3 참조).
상부 프로파일(121), 하부 프로파일(122) 및 개구부(124)의 폭의 비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건물 개구부에 내진 설계를 위한 고가의 스틸프레임 및 철근콘크리트 벽체의 시공 없이도 창호 자체가 창호 및 기존의 내진 보강 구조 기능을 수행하여 내진 성능이 우수하며, 시공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내진 창호(100)의 창틀(120)에 장착되는 창짝(140)은 통상의 합성수지 소재의 프로파일로 구성되거나 복합소재 프로파일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우수한 내진 성능을 구현하고자 창틀(120)과 동일하게 복합소재 프로파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내진 창호(100)는 천장 슬라브(210)와 바닥 슬라브(220) 사이의 벽체(300)에 창호를 설치할 때, 기존의 내진 설계에 사용되었던 스틸프레임 및 철큰콘크리트 벽체를 사용할 필요 없이 복합소재로 구성된 창호 만으로도 우수한 내진 성능을 구현할 수 있고, 아울러 단열 성능 및 기밀 성능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창틀(120)의 최대 변위는 0.07mm 이하, 0.06mm 이하 또는 0.055mm 이하일 수 있다. 창틀의 최대 변위는 창틀의 규격에 따라 상이한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창틀(120)은 규격이 다양하므로, 상기 최대 변위는 구체적 일 예로 4.5m(가로)×2.8m(높이)×0.25m(세로)의 창틀을 대상으로 2.5ton의 하중을 가력하여 측정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 일 예로, 도 6과 같은 창틀(ℓ1: 0.2m, ℓ2: 0.2m, ℓ3: 2.4m)의 경우, 스틸 재질의 창틀은 최대 변위가 0.0801mm이고, 복합소재 재질의 창틀은 최대 변위가 0.0543mm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 일 예로, 도 7과 같은 창틀(ℓ1: 0.2m, ℓ2: 0.8m, ℓ3: 1.8m)의 경우, 스틸 재질의 창틀은 최대 변위가 0.0820mm이고, 복합소재 재질의 창틀은 최대 변위가 0.0563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소재 재질의 창틀(120)은 상기 범위의 최대 변위를 가짐으로써 고가의 스틸 재질의 창틀 대비 동등 수준 이상의 우수한 내진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진 창호(100)의 단열 성능은 1.5W/㎡·K 이하, 1.0 W/㎡·K 이하 또는 0.8W/㎡·K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단열 성능은 2m(가로)×2m(높이)의 창틀을 대상으로 측정한 열관류율(thermal transmittance, 熱貫流率)일 수 있다. 상기 열관류율의 하한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일례로 0.1W/㎡·K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진 창호(100)는 상기 범위의 열관류율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단열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진 창호(100)의 기밀 성능은 2㎥/㎡h 이하, 1.5㎥/㎡h 이하 또는 1㎥/㎡h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기밀 성능은 1.5m(가로)×1.5m(높이)의 창틀을 대상으로 KS F 2292:2008 규격에 따라 한 쪽에서 각각 10, 30, 50, 100pa의 압력을 가하여 시험체를 통과한 누기량을 시험체의 면적으로 나누는 방법을 사용한 기밀 성능일 수 있다. 상기 기밀성능의 하한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일례로 0.001㎥/㎡h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진 창호(100)는 상기 범위의 기밀 성능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기밀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내진 창호(100)는 도 2 와 같이 복합소재의 창틀(120)의 상부 프로파일(121)과 하부 프로파일(122) 각각이 천장 슬라브(210)와 바닥 슬라브(220)에 결합되고 측부 프로파일(123)은 벽체(300)에 고정되며, 상기 창틀(120)에 창짝(140)이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그 시공이 매우 간단하면서 시공기간이 짧은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내진 창호(100)는 창틀(120)의 내진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상부 프로파일(121)과 하부 프로파일(122)이 결합되는 각 모서리에 금속 또는 복합재료로 구성되는 보강부재(160)를 설치함으로써, 지진 등의 외력에 의해 창틀(120)의 모서리가 변형되거나 분리되어 창틀(120)의 강성 유지가 어려워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보강부재(160)는 일 예로 도 4 에서와 같이 창틀(120)의 모서리와 상응하도록 일측과 타측이 직각으로 구부러진 대략 "ㄱ" 형상으로 구성되어 각 모서리의 바깥면 또는 안쪽면에 접면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결합된 보강부재(160)가 창틀(12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각 모서리의 바깥면 또는 안쪽면에 보강부재(160)가 수용되도록 함몰된 수용홈이 더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보강부재(160)는 각 모서리를 구성하는 상부 프로파일(121)과 측부 프로파일(123), 측부 프로파일(123)과 하부 프로파일(122)의 중공부(미도시)에 보강부재(160)의 일측과 타측이 삽입된 상태로 용접 또는 체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S : 건물 개구부 100 : 내진 창호
120 : 창틀 121 : 상부 프로파일
122 : 하부 프로파일 123 : 측부 프로파일
124 : 창틀 개구부 R : 레일
140 : 창짝 160 : 보강부재
210 : 천장 슬라브 220 : 바닥 슬라브
300 : 벽체

Claims (11)

  1. 천장 슬라브(210)와 바닥 슬라브(220) 사이에 형성된 벽체(300)에 설치되는 내진 창호(100)로서,
    상기 내진 창호(100)는 강화섬유와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복합소재 프로파일의 결합으로 구성된 창틀(120)을 포함하고,
    상기 창틀(120)의 최대 변위(4.5m(가로)×2.8m(높이)×0.25m(세로)의 창틀을 대상으로 2.5ton의 하중을 가력한 경우)는 0.07mm 이하인 것인 내진 창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120)의 최대 변위(4.5m(가로)×2.8m(높이)×0.25m(세로)의 창틀을 대상으로 2.5ton의 하중을 가력한 경우)는 0.06mm 이하인 것인 내진 창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120)을 구성하는 복합소재의 프로파일 중, 상부 프로파일(121) 및 하부 프로파일(122)의 폭의 비는 1:1-6인 내진 창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120)을 구성하는 복합소재의 프로파일 중, 상부 프로파일(121) 및 하부 프로파일(122)와 개구부(124)의 폭의 비는 1:1-6:6-10인 것인 내진 창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120)의 사방 모서리에는 보강부재(160)가 더 구비된 것인 내진 창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소재 내 강화섬유는 50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는 것인 내진 창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섬유는 유리섬유 및 탄소섬유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인 내진 창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 창호(100)는 단열 성능이 1.5 W/㎡·K 이하인 것인 내진 창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 창호(100)는 단열 성능이 1.0 W/㎡·K 이하인 것인 내진 창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 창호(100)는 기밀 성능이 2㎥/㎡h 이하인 것인 내진 창호.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 창호(100)는 기밀 성능이 1.5㎥/㎡h 이하 인 것인 내진 창호.
KR1020190067211A 2019-06-07 2019-06-07 내진 창호 KR202001405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211A KR20200140518A (ko) 2019-06-07 2019-06-07 내진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211A KR20200140518A (ko) 2019-06-07 2019-06-07 내진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518A true KR20200140518A (ko) 2020-12-16

Family

ID=74042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211A KR20200140518A (ko) 2019-06-07 2019-06-07 내진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05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5758A (ko) 2022-03-17 2023-09-26 한국철강협회 내진용 무용접 설치 창호
KR20230148942A (ko) 2022-04-19 2023-10-26 한국철강협회 단열 성능이 향상된 내진 창호 조립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445B1 (ko) 2005-12-13 2006-12-06 동양제철화학 주식회사 계단식 프레임을 갖는 창호
KR101165320B1 (ko) 2011-12-12 2012-07-18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개구부 내진보강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445B1 (ko) 2005-12-13 2006-12-06 동양제철화학 주식회사 계단식 프레임을 갖는 창호
KR101165320B1 (ko) 2011-12-12 2012-07-18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개구부 내진보강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5758A (ko) 2022-03-17 2023-09-26 한국철강협회 내진용 무용접 설치 창호
KR20230148942A (ko) 2022-04-19 2023-10-26 한국철강협회 단열 성능이 향상된 내진 창호 조립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2872B1 (ko) 유리블럭패널과그구성방법및이에사용되는연결구
US20080086965A1 (en) Composite structural panel
Palios et al. Unbonded brickwork for the protection of infills from seismic damage
US10214905B2 (en) Composite structure members for construction of multi-floor structures
KR100717568B1 (ko)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
KR20200140518A (ko) 내진 창호
KR101948812B1 (ko) Uh형 보강블럭으로 단부가 보강된 압축 보강형 복합보
US10876291B2 (en) Composite frame brick embodiment
KR102126906B1 (ko) 단열성과 시공성이 개선된 창호구조
NZ539980A (en) Masonry wall system including blocks with tongues which form furring ridges
AU596683B2 (en) Composite building panels
KR102634637B1 (ko) 건축구조물용 인방구조
KR101846305B1 (ko) 에어 단열 건축자재
KR100804090B1 (ko) 건축용 경량 단열블록
JP4024489B2 (ja) 下地部材と係合する係合部材、下地部材組立体、及び、下地部材組立法
JP2007177574A (ja) 耐震壁及び耐震補強方法
KR200377961Y1 (ko) 보강부재를 구비한 건축용 복합 판넬
KR102324930B1 (ko) 모듈러 시스템 접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TWI782285B (zh) 用於磚牆體之補強結構
CN205153294U (zh) 一种高密封卡扣式墙板
JP2010144405A (ja) サッシ枠及びサッシ枠用アタッチメント枠
JP5922345B2 (ja) 面格子壁構造および木造建築物
JP4317773B2 (ja) 既存外装壁の耐震改修構造
KR102642852B1 (ko) 인발 보강부재가 구비된 grp 패널도어
CN216892938U (zh) Alc墙板与门框的连接节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