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4637B1 - 건축구조물용 인방구조 - Google Patents

건축구조물용 인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637B1
KR102634637B1 KR1020210076747A KR20210076747A KR102634637B1 KR 102634637 B1 KR102634637 B1 KR 102634637B1 KR 1020210076747 A KR1020210076747 A KR 1020210076747A KR 20210076747 A KR20210076747 A KR 20210076747A KR 102634637 B1 KR102634637 B1 KR 102634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tel
lightweight block
steel material
presen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7592A (ko
Inventor
김정찬
Original Assignee
김정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찬 filed Critical 김정찬
Priority to KR1020210076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637B1/ko
Publication of KR20220167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6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6L- or T-shaped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에 사용되는 인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방의 제조와 시공을 쉽고 빠르게 하며, 특히 현장에서 직접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현장대응 능력을 향상시키고, 무게를 경량화 하면서도 하중에 대한 응력을 증강시켜 시공의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구조물용 인방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용 인방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인방(1)을 무게가 가볍고 가공성이 우수한 경량블럭(3)과 경량블럭(3)에 결합되면서 인장응력이 우수한 강재(2)로 구성하되, 상기 경량블럭(3)의 하부에는 이후 설명될 강재(2)의 보강판(21)이 삽입되는 결합홈(31)을 형성시키고, 상기 강재(2)의 지지판(20) 상면 중앙에 경량블럭(3)의 결합홈(31)내에 삽입결합되는 보강판(21)을 기립 설치시켜 구성함으로써, 중량 대비 강도가 높아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충격에 의한 파손의 우려가 없고, 하중 및 외력이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되므로 처짐에 의한 균열이 발생되지 아니하며, 전기 배선 등과 같은 다른 부재의 관통을 위해 일부가 절단되어야 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인방은, 강재의 종류 및 결합구조에 따라 정확한 강도가 계산될 수 있으므로, 구조 설계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건축구조물용 인방구조{Linking assembly for lintel at building work}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에 사용되는 인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방의 제조와 시공을 쉽고 빠르게 하며, 특히 현장에서 직접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현장대응 능력을 향상시키고, 무게를 경량화 하면서도 하중에 대한 응력을 증강시켜 시공의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구조물용 인방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인방은 조적 공사로 형성한 벽체의 개구부(출입구, 창)에 설치되어 개구부 상부측의 벽돌 하중을 지지한다. 인방은 조적 공사 현장에서 직접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하거나, 별도로 제작된 기성제품을 사용하기도 한다.
인방은 소정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내부에 철근이 배치되고, 철근을 콘크리트가 감싸 형성된다. 이 경우 철근에 의해 인방의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인방의 운반 및 설치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비되었다. 또한, 이러한 인방의 경우 거푸집을 이용하여 형성하므로 거푸집 설치 및 해체에 따른 작업이 발생하므로 인방 제조가 효율적이지 못하였다. 그리고 제조 후 야적된 상태에서 빗물이 맞게 되면 빗물은 인방 내부로 침투하고 철근은 부식되는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68320호(2004.11.10.)에서는 금형을 통하여 연속압출 후 고온 고압에서 양생 처리하여 생산하는 창호용 인방을 제시하고 있다. 창호용 인방의 경우 내부가 빈 중공부로 형성되어 무게는 가벼우나 큰 하중을 견디지 못하였다. 또한, 시멘트와 보강섬유 등이 혼합되어 형성되므로 조적 공사 완료 후 미장을 할 때 보강섬유와 미장용 시멘트의 이질감 때문에 미장 시멘트가 창호용 인방에 효과적으로 붙지 않게 되었다.
등록특허 제10-0890403호(2009.03.18.)에서는 인방본체, 인방본체 내부에 위치하고 안착부가 형성된 걸림편, 상기 안착부에 결합되는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철재 인방을 제시하고 있다. 휴대용 철재 인방의 경우 철재로만 형성되므로 무겁게 형성된다. 이에 운반 및 설치에 따른 어려움이 있다. 또한, 미장 시멘트와 철재의 이질감으로 시멘트가 인방에 견고히 붙지 않아 미장 시공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인방이 철재로 형성되어 있어 시멘트와 접하면서 인방이 부식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24352호(2001.03.07)에서는 석회(Ca), 규소(Si) 및 보강섬유를 포함하는 세라멘트 소재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창호용 세라멘트 인방을 제시하고 있다. 창호용 세라멘트 인방의 경우 내부를 보강하는 구조가 없으므로 큰 하중을 견디기 어렵다. 창호용 세라멘트 인방과 미장 시 사용되는 시멘트의 이질감으로 미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즉, 미장 시 시멘트가 인방에 붙지 않고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창호용 세라멘트 인방은 밀도가 높아 문틀 등을 고정을 위해 인방에 타카(tacker), 앵커볼트(anchorbolt) 등을 결합할 경우 인방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68320호 (2004.11.10.) 등록특허 제10-0890403호 (2009.03.18.) 등록실용신안 제20-0224352호 (2001.03.07) 참조.
본 발명은 인방의 제조와 시공을 쉽고 빠르게 하며, 특히 현장에서 직접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현장대응 능력을 향상시키고, 무게를 경량화 하면서도 하중에 대한 응력을 증강시켜 시공의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구조물용 인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방을 무게가 가볍고 가공성이 우수한 경량블럭과 경량블럭에 결합되면서 인장응력이 우수한 강재로 구성하되, 상기 경량블럭의 하부에는 이후 설명될 강재의 보강판이 삽입되는 결합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강재의 상면 중앙에 경량블럭의 결합홈내에 삽입결합되는 보강판을 기립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을 둔 것이다.
본 발명은 지지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보강판을 적어도 1개 이상 형성시키고, 경량블럭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결합홈을 상기 보강판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을 둔 것이다.
본 발명은 보강판의 측면에 경량블럭의 결합홈과의 결합력을 증강시키는 결합미늘을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을 둔 것이다.
본 발명은 보강판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을 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인방은, 중량 대비 강도가 높아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충격에 의한 파손의 우려가 없고, 하중 및 외력이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되므로 처짐에 의한 균열이 발생되지 아니하며, 전기 배선 등과 같은 다른 부재의 관통을
위해 일부가 절단되어야 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인방은, 강재의 종류 및 결합구조에 따라 정확한 강도가 계산될 수 있으므로, 구조 설계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인방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인방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인방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인방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용 인방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인방(1)을 무게가 가볍고 가공성이 우수한 경량블럭(3)과 상기 경량블럭(3)에 결합되면서 인장응력이 우수한 강재(2)로 구성하되, 상기 경량블럭(3)의 하부에는 이후 설명될 강재(2)의 보강판(21)이 삽입되는 결합홈(31)을 형성시키고, 상기 강재(2)의 지지판(20) 상면 중앙에 경량블럭(3)의 결합홈(31)내에 삽입결합되는 보강판(21)을 기립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은 미장이나 콘크리트 몰탈 또는 벽지, 페인트와 결합이 양호한 경량블럭(3)의 하부면과 내부에 강재(2)의 지지판(20)과 보강판(21)이 삽입결합되는 지지됨으로써, 중량 대비 강도가 높아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충격에 의한 파손의 우려가 없고, 하중 및 외력이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되므로 처짐에 의한 균열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특히 결합홈(31)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보강판(21)은 그 두께를 얇게 형성시키더라도 결합홈(31)의 내부에서 견고하게 지지되어 수직하중에 대한 휨모우먼트가 매우 우수하여 안정되게 수직하중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지지판(20)의 상면에 형성되는 보강판(21)을 적어도 1개 이상 형성시키고, 경량블럭(3)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결합홈(31)을 상기 보강판(31)의 개수에 상응하는 개수로 형성시켜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보강판(21)의 측면에 경량블럭(3)의 결합홈(31)과의 결합력을 증강시키는 결합미늘(25)을 형성시켜 구성함으로써, 강재(2)와 경량블럭(3)과의 결합력을 더욱 견고하게 구성하였다.
그리고 도면 4에는 상기 결합미늘(25)을 대신하여 보강판(21)의 형상을 지그재그의 형상으로 형성시키고, 이러한 보강판(21)을 결합홈(31)의 내부에 억지끼움되게 설치함으로써, 강재(2)와 경량블럭(3)과의 결합력을 더욱 견고하게 구성하였다.
1. 인방 2. 강재
3. 경량블럭 20. 지지판
21. 보강판 31. 결합홈

Claims (4)

  1. 건축구조물용 인방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인방(1)을 무게가 가볍고 가공성이 우수한 경량블럭(3)과 경량블럭(3)에 결합되면서 인장응력이 우수한 강재(2)로 구성하되, 상기 경량블럭(3)의 하부에는 이후 설명될 강재(2)의 보강판(21)이 삽입되는 결합홈(31)을 형성시키고, 상기 강재(2)의 지지판(20) 상면 중앙에 경량블럭(3)의 결합홈(31)내에 삽입결합되는 보강판(21)을 기립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용 인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0)의 상면에 형성되는 보강판(21)을 적어도 1개 이상 형성시키고, 경량블럭(3)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결합홈(31)을 상기 보강판(21)의 개수에 상응하는 개수로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용 인방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21)의 측면에 경량블럭(3)의 결합홈(31)과의 결합력을 증강시키는 결합미늘(25)을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용 인방구조.
  4. 삭제
KR1020210076747A 2021-06-14 2021-06-14 건축구조물용 인방구조 KR102634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747A KR102634637B1 (ko) 2021-06-14 2021-06-14 건축구조물용 인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747A KR102634637B1 (ko) 2021-06-14 2021-06-14 건축구조물용 인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592A KR20220167592A (ko) 2022-12-21
KR102634637B1 true KR102634637B1 (ko) 2024-02-07

Family

ID=84536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747A KR102634637B1 (ko) 2021-06-14 2021-06-14 건축구조물용 인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6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673B1 (ko) * 2023-01-05 2024-02-02 주식회사 튼튼보강 건축물의 콘크리트 보용 보강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173Y1 (ko) * 2003-06-07 2004-01-24 주식회사 건설기술네트워크 창호용 인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8058A (ja) * 1996-11-19 1998-06-02 Daiken Trade & Ind Co Ltd 鴨居レール取付構造及び鴨居レール
KR200224352Y1 (ko) 2000-11-29 2001-05-15 쌍용건설주식회사 창호용 세라멘트 인방
KR200368320Y1 (ko) 2004-08-12 2004-11-18 주식회사 익성 압출성형 인방
KR100890403B1 (ko) 2007-10-05 2009-03-26 주식회사 한미파슨스건축사사무소 휴대용 철재 인방
KR101212259B1 (ko) * 2010-10-08 2012-12-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파형 굴곡판으로 형성된 보강재를 이용한 합성바닥판 및 그 제작방법
KR101818318B1 (ko) * 2016-01-07 2018-01-16 장용수 현관문 문틀 지지용 장식 마감 프레임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173Y1 (ko) * 2003-06-07 2004-01-24 주식회사 건설기술네트워크 창호용 인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592A (ko) 2022-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03291B2 (en) Stronger wall system
US4219978A (en) Pre-cast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panel wall structure
US9856639B2 (en) Wall assembly and a building structure including the wall assembly
US7908804B2 (en) Structural lintel assembly and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US20090113820A1 (en) Prefabricated wall panel system
EP1945879A2 (en) Bolt-a-blok - a system for unitized, post-tensioned masonry structures
US6151857A (en) Prefabricated composite construction system for internal and/or external building-walls
KR102634637B1 (ko) 건축구조물용 인방구조
KR100588788B1 (ko) 발포 플라스틱 중공 패널 조립체
JP2010112090A (ja) 仮設材を必要としない連結部材と連結方法
WO2006032078A1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CN112443078A (zh) 一种预制空心构件
CN214884639U (zh) 一种现浇剪力墙装配式房屋预制轻质整体墙板
KR102505922B1 (ko) 개량형 조적지지 보수 보강 구조
KR102440307B1 (ko) 조적조 건물의 내진 보강 구조
CN220100272U (zh) 一种装配式建筑预制墙板结构
WO1991006720A1 (en) Building prefabrication by room elements
KR102324930B1 (ko) 모듈러 시스템 접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337504B1 (ko) 폐 스티로폼을 재활용한 고단열 경량 구조용 조립식 블록의 시공방법
KR20110029490A (ko) 경량화 구조로된 프리캐스트 패널 리모델링 시공 방법 및 프리캐스트 연결구조
WO2008089414A1 (en) Building panel for walls, roofs and floors, buildings made therefrom and construction techniques using such panels
KR20010107872A (ko) 건축 구조물 복합 판넬
JPH10266334A (ja) 建造物構築パネル組合せ体及びそれを用いた建造物施工方法
WO2005052271A1 (en) A set of construction panels and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CN108951960A (zh) 一种装配式墙体的加高结构及其安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