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422Y1 - 벽체 배수판 - Google Patents

벽체 배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422Y1
KR200433422Y1 KR2020060026961U KR20060026961U KR200433422Y1 KR 200433422 Y1 KR200433422 Y1 KR 200433422Y1 KR 2020060026961 U KR2020060026961 U KR 2020060026961U KR 20060026961 U KR20060026961 U KR 20060026961U KR 200433422 Y1 KR200433422 Y1 KR 2004334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ase frame
support
fix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9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규
Original Assignee
이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규 filed Critical 이영규
Priority to KR20200600269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4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4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4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02D31/025Draining membranes, sheets or fabric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ith dimp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지하공간의 내벽을 마감하는 벽체배수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벽체배수판에 있어서, 장식판 조립이 가능하도록 된 홈(12)에 의해 구획 형성됨과 동시에 둘레면 중 길이가 길고 짧은 두개의 면에 고정턱(14a)(15a)을 가지는 결합간(14)(15)이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두개의 둘레면 중 길이가 긴 면에는 단턱진 결합홈(13)이 형성됨과 동시에 길이가 짧은 면에는 결합홈(16)이 형성되어 있고, 휘청거림이 일어나지 않도록 내측으로 인입된 보강절형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보강리브살을 구비한 저면 네모서리에 내벽에 측량 시공되는 고정바(30)의 두께와 상응하는 깊이의 고정홈턱(17a)을 가지는 지지대(17)가 형성됨과 동시에 지지대(17)와 이웃하여 지지대(17)의 고정홈턱(17a)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피벗지주(pivot suspension)(18)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프레임(10)과; 베이스프레임(10)에 장식되는 장식판(2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피벗지주(18)가 얹혀져 체결부재(40)에 의해 고정되어지고, 지지대(17)의 고정홈턱(17a)이 안착되어짐과 동시에 건축물 지하공간의 내벽에 측량 고정되어지는 고정바(3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베이스프레임, 결합홈, 보강절형부, 지지대, 고정홈턱, 피벗지주, 장식판, 고정바

Description

벽체 배수판{Drainage Plate for Wall}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벽체배수판의 베이스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도1의 벽체배수판의 베이스프레임을 반대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벽체배수판의 베이스프레임의 평면도.
도4는 도1의 A-A선 단면도.
도5는 도4의 방향에서 선 시공된 베이스프레임에 후 시공되는 베이스프레임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6은 도1의 B-B선 단면도.
도7은 도6의 방향에서 선 시공된 베이스프레임에 후 시공되는 베이스프레임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8은 본 고안에 의한 벽체배수판의 베이스프레임에 장식판이 결합된 상태의 예시도.
도9는 본 고안에 의한 벽체배수판을 지하공간의 내벽에 설치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10은 본 고안에 의한 벽체배수판의 베이스프레임이 고정바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프레임 11 : 보강절형부
12 : 홈 13,16 : 결합홈
13a : 끼움부 13b : 걸림부
14,15 : 결합간 17 : 지지대
17a : 고정홈턱 18 : 피벗지주
20 : 장식판 30 : 고정바
본 고안은 건축물의 지하공간 중 출입구가 항시 개방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중의 습도가 온도차이로 인해 응결되어 내벽에 응결수가 발생하거나 백화현상이 발생하는 주차공간 등의 내벽에 결로현상에 의한 곰팡이 발생과 백화현상 등으로 인해 미관을 해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벽체배수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벽체배수판의 구조를 개선하여 생산원가를 낮춤과 동시에 시공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시공시 또는 시공후에 벽체배수판 베이스프레임의 변형(휘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벽체배수판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킨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지상으로 축조되는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지하에 옹벽을 쳐서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하에 건설되는 옹벽은 구조물 자체의 중력에 따른 안정성을 확보하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건설된 옹벽은 지하에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지하공간은 유용하게 활용되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활용되어지는 지하공간은 땅속에 매립되어 있는 공간이어서 옹벽을 통해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옹벽을 건설할 때에는 몰탈에 방수제를 첨가하여 옹벽을 건설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방수제를 첨가한 몰탈을 이용해 옹벽을 건설함으로써, 땅속에 존재하는 수분(물)의 침투를 예방할 수 있었으나, 지하공간 활용에 따른 지하공간 내의 습기유입 및 온도 차이로 인하여 백화현상 또는 결로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백화현상 및 결로현상은 출입구가 항시 개방되어 있는 주차공간에 흔히 발생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중의 습도가 온도차이로 인해 응결되어지면서 내벽에 응결수가 생성되어지게 되고, 내벽에 생성된 응결수는 내벽에 곰팡이가 발생하여 지하공간에서 메케한 냄새는 물론 외관이 지저분해 지며 내벽의 부식을 촉진시켜 백화현상까지도 초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건출물의 지하공간 내벽에 발생하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공되는 것이 벽체배수판이다.
상기 지하공간의 내벽에 시공되는 벽체배수판은 그 형태가 다양하고, 상기 벽체배수판은 체결부재(못, 나사못, 고정핀)를 직접 지하공간 내벽에 박아 고정시켜 시공하는 타입이 있고, 별도의 고정매개물을 체결부재(못, 나사못, 고정핀)로 내벽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매개물에 고정시켜 시공하는 타입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분되는 벽체배수판 중 지하공간의 내벽에 직접 시공하는 벽체배수판이 국내 공개특허 제 2005-73725호로 공개된바 있다.
상기 국내 공개특허는 단위체로 이루어진 벽체 배수판을 사방으로 연속 반복 연결하여서 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국내 공개특허는 지하공간 내벽에 체결부재를 직접 타공 해가면서 벽체배수판을 고정시키는 구조로써, 내벽이 견고한 옹벽일 때에는 체결부재(못 나사못, 고정핀)에 큰 힘이 가해지도록 타격하여야만 상기 체결부재의 고정이 가능한데, 좁은 공간에서 큰힘을 체결부재에 가할 수가 없어 벽체배수판의 시공에 어려움을 격게됨은 물론 내벽으로부터 체결부재에 타격반발력이 작용하여 상기 체결부재가 튕겨져 작업자가 상해를 입게 되는 문제가 야기됨은 물론, 튀겨져 나가는 체결부재에 의해 벽체배수판이 파손되어지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또한 벽체배수판을 지하공간의 내벽에 직접 고정시킬 경우, 벽체에 수많은 구멍이 타공되어 타공된 구멍으로 인해 벽체 손상이 가중되어진다.
상기한 국내 공개특허의 단점을 해결하기 이하여 개발한 것이 국내 특허 제603001호가 있다.
상기 선등록 고안은 상기에서 기술한 공개특허를 개선한 것으로써, 별도의 고정바를 지하공간 내벽에 측량 고정시킨 후, 상기 고정바에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분리 구성되도록 된 고정용 착탈부재를 고정시켜 시공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지하공간의 내벽에 고정바를 측량 시공한 후 벽체배수판을 시공 하는 것이어서 전술한 공개특허의 문제점을 해결한 반면,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생산에 따른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시 베이스프레임에 고정용착탈부재를 조립해야 하는 등 시공에 따른 작업시간이 오래 걸려 공기(工期)단축에 어려움이 있음은 물론 그로 인하여 인건비의 지출이 커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지하공간의 내벽에 측량 시공된 고정바에 고정용착탈부재만이 고정되어지는 것이어서 고정용착탈부재로부터 멀리 떨어진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다리가 내벽에 대하여 밀착되어지지 않고 들뜸이 발생하게 된다.
그 이유는 선등록 고안의 베이스프레임이 단순 평단면을 이루고 있어 휘어짐이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고정용착탈부재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의 지지대가 내벽에 대하여 밀착되어지지 못하고 들뜸이 발생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또한 베이스프레임에 휘어짐이 발생하므로써, 시공후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고정용착탈부재로부터 멀리 떨어진 부위가 볼록해지는 문제가 동반된다.
상기와 같이 벽체배수판에 변형이 일어나면, 잦은 유지보수가 필요로 하게 되고, 잦은 유지보수는 시공사의 신뢰성을 손상시킴은 물론 유지보수에 따른 경비지출이 추가적으로 발생하여 시공사의 손실이 커지게 되는 단점이 야기된다.
본 고안은 종래 벽체 배수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벽체배수판을 이루는 베이스프레임의 구조를 개선하여 휘어짐이 일어나 시공시 또는 시공후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피벗지주(pivot suspension)의 개선으로 시공 후 버팀지지대가 내벽에 밀착되어지지 못하고 들뜸이 발생하였던 종래 벽체배수판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벽체배수판을 사방으로 연결 설치할 때 보다 간편하게 연결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공에 따른 공기단축과 함께 인건비를 줄여 벽체배수판 시공에 따른 건설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벽체배수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하공간(주차장)의 내벽에 발생하는 백화현상 및 결로현상을 해소함과 동시에 내벽 인테리어를 목적으로 시공하는 벽체배수판에 있어서,
장식판 조립이 가능하도록 된 홈(12)에 의해 구획 형성됨과 동시에 둘레면 중 길이가 길고 짧은 두개의 면에 고정턱(14a)(15a)을 가지는 결합간(14)(15)이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두개의 둘레면 중 길이가 긴 면에는 단턱진 결합홈(13)이 형성됨과 동시에 길이가 짧은 면에는 결합홈(16)이 형성되어 있고, 휘청거림이 일어나지 않도록 내측으로 인입된 보강절형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보강리브살을 구비한 저면 네모서리에 내벽에 측량 시공되는 고정바(30)의 두께와 상응하는 깊이의 고정홈턱(17a)을 가지는 지지대(17)가 형성됨과 동시에 지지대(17)와 이웃하여 지지대(17)의 고정홈턱(17a)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피벗지주(pivot suspension)(18)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프레임(10)과;
베이스프레임(10)에 장식되는 장식판(2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피벗지주(18)가 얹혀져 체결부재(40)에 의해 고정되어지고, 지지대(17)의 고정홈턱(17a)이 안착되어짐과 동시에 건축물 지하공간의 내벽에 측량 고정되어지는 고정바(3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벽체배수판은,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장식되는 장식판(20)과, 베이스프레임(10)이 고정되는 고정바(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장방형으로 홈(12)을 기준으로 구획 형성되어 있으며, 휘청거림이 일어나지 않도록 내측으로 인입된 보강절형부(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보강절형부(11)는 각형을 이룬 것으로 육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각형을 이루게 된다.
상기 홈(12)의 내측면에는 장식판(20)의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홈(21)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돌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둘레면 중 길이가 긴 면의 일측에는 단턱진 결합홈(13)이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의 면에는 결합간(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턱진 결합홈(13)은 후 시공되어지는 베이스프레임(10)의 결합간(14)이 끼워지는 끼움부(13a)와 결합간(14)의 고정턱(14a)이 걸림고정되어지는 걸림부(13b)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간(14)은 상기 결합홈(13)의 끼움부(13a)에 대하여 약간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선 시공된 베이스프레임(10)에 후 시공되는 베이스프레임(10)이 나란하게 위치하였을 때 상기 결합홈(13)의 걸림부(13b)에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둘레면중 길이가 짧은 면의 일측에는 결합홈(16)이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의 측면에는 측방향을 향하고 상기 결합홈(16)에 대응하는 폭을 이루는 결합간(15)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프레임(10)의 내구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보강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저면 네모서리에 지하공간의 내벽에 측량 시공되는 고정바(30)의 두께와 상응하는 깊이로 파여진 고정홈턱(17a)을 가지는 지지대(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17)는 뒤틀림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디귿자형을 이루게 된다.
상기 지지대(17)와 이웃하는 위치에 피벗지주(pivot suspension)(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벗지주(pivot suspension)(18)는 지지대(17)의 고정홈턱(17a)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그 끝단이 고정바(30)의 상면에 얹혀질 수 있는 길이를 가진다.
지하공간의 내벽에 측량 시공되는 고정바(30)는 체결부재(40)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속이 빈 사각기둥형으로 그 두께는 베이스프레임(10)의 지지대(17)에 형성된 고정홈턱(17a)의 깊이와 대응하는 뚜께를 가지고 있다.
상기 고정바(30)는 베이스프레임(10)의 장방향 폭에 대응하는 간격을 이루도록 시공되어져 상,하. 좌,우 사방으로 연결 설치되는 각각의 베이스프레임(10)의 지지대(17)에 고정홈턱(17a)이 양쪽으로 안착되어질 수 있는 폭을 이루게 된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벽체배수판을 시공할 때에는 지하공간의 내벽에 고정바(30)를 먼저 시공한다.
상기 고정바(30)를 시공할 때에는 벽체배수판을 구성하는 베이스프레임(10)의 저면 네모서리에 형성된 지지대(17)의 고정홈턱(17a)이 안착되어질 수 있는 폭을 갖도록 측량 시공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고정바(30)가 측량 시공되어진 내벽에 벽체배수판의 베이스프레임(10)을 도9에서와 같이 시공하여 내벽이 인테리어 된다.
도9a는 고정바(30)에 벽체배수판을 이루는 베이스프레임(10)을 설치한 상태로써,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저면 네모서리에 형성된 지지대(17)의 고정홈턱(17a)이 고정바(30)에 안착되어지도록 한 후, 피벗지주(18)에 체결부재(40)를 삽입 위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부재(40)를 고정바(30)에 체결하게 된다.(도10참조)
상기 도9a에서와 같이 선 시공된 베이스프레임(10)에 상부와, 측면으로 다른 베이스프레임(10)을 후 시공하게 된다.
상기 선 시공된 베이스프레임(10)에 다른 베이스프레임(10)을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함에 있어 선 시공된 상부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9b는 선 시공된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에 다른 베이스프레임(10)을 시공하는 과정으로써, 후 시공되는 베이스프레임(10)의 긴 면에 형성된 결합간(14)이 선 시공된 베이스프레임(10)의 긴 면에 형성된 결합홈(13)의 끼움부(13a)로 삽입 위치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후 시공되는 베이스프레임(10)을 도9c에서와 같이 측방향으로 살짝 이동시켜 결합간(14)이 선 시공된 결합홈(13)의 걸림부(13b)로 위치하도록 하여 결합간(14)의 고정턱(14a)이 걸림 고정되어지게 된다.(도5참조)
상기와 같이 선 시공된 베이스프레임(10)에 후 시공되는 베이스프레임(10)이 연결된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피벗지주(18)를 고정바(30)에 체결부재(40)로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도9d,e는 선 시공된 베이스프레임(10)의 옆으로 다른 베이스프레임(10)을 후 시공하는 상태로써, 도9d에서와 같이 후 시공되는 결합간(15)을 선시공된 베이스프레임(10)의 결합홈(16)에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9e에서와 같이 후 시공되는 베이스프레임(10)의 결합간(15)을 선 시공된 베이스프레임(10)의 결합홈(16)에 끼워 고정턱(15a)이 걸림고정되어지도록 한다.(도7참조)
이상에서와 같이 연결되어지는 베이스프레임(10)을 사방으로 연결 설치함으로써, 벽체배수판에 의한 지하공간 내벽이 인테리어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지하공간 내벽에 베이스프레임(10)의 시공으로 이루어진 벽체배수판상에 시공사의 로고 또는 특정되어지지 않은 그림 등을 표현하고자할 때에는 장식판(20)을 이용하게 된다.
상기 장식판(20)은 내측면에 고정홈(21)이 형성되어 있어 베이스프레임(100 홈(12) 사이로 측벽이 끼워져 조립될 때 홈(12) 내면으로 형성된 고정돌부(12a)에 체결되어 조립유지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어지는 장식판(20)을 이용해 다양한 그림을 표현할 수가 있는 것이다.(도8참조)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벽체배수판은, 벽체배수판을 이루는 베이스프레임(10)의 구조를 개선하여 휘어짐이 일어나 시공시 또는 시공후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피벗지주(18)(pivot suspension)의 개선으로 시공 후 지지대(17)가 내벽에 밀착되어지지 못하고 들뜸이 발생하였던 종래 벽체배수판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벽체배수판을 사방으로 연결 설치할 때 보다 간편하게 연결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공에 따른 공기(工期)단축과 함께 인건비를 줄여 벽체배수판 시공에 따른 건설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1)

  1. 지하공간(주차장)의 내벽에 발생하는 백화현상 및 결로현상을 해소함과 동시에 내벽 인테리어를 목적으로 시공하는 벽체배수판에 있어서,
    장식판 조립이 가능하도록 된 홈(12)에 의해 구획 형성됨과 동시에 둘레면 중 길이가 길고 짧은 두개의 면에 고정턱(14a)(15a)을 가지는 결합간(14)(15)이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두개의 둘레면 중 길이가 긴 면에는 끼움부(13a)와 걸림부(13b)로 이루어져 단턱을 이루는 결합홈(13)이 형성됨과 동시에 길이가 짧은 면에는 결합홈(16)이 형성되어 있고, 휘청거림이 일어나지 않도록 내측으로 인입된 보강절형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보강리브살을 구비한 저면 네모서리에 내벽에 측량 시공되는 고정바(30)의 두께와 상응하는 깊이의 고정홈턱(17a)을 가지는 지지대(17)가 형성됨과 동시에 지지대(17)와 이웃하여 지지대(17)의 고정홈턱(17a)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피벗지주(pivot suspension)(18)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프레임(10)과;
    베이스프레임(10)에 장식되는 장식판(2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피벗지주(18)가 얹혀져 체결부재(40)에 의해 고정되어지고, 지지대(17)의 고정홈턱(17a)이 안착되어짐과 동시에 건축물 지하공간의 내벽에 측량 고정되어지는 속이빈 고정바(3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KR2020060026961U 2006-09-29 2006-09-29 벽체 배수판 KR2004334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961U KR200433422Y1 (ko) 2006-09-29 2006-09-29 벽체 배수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961U KR200433422Y1 (ko) 2006-09-29 2006-09-29 벽체 배수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834A Division KR100742152B1 (ko) 2006-09-29 2006-09-29 벽체 배수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422Y1 true KR200433422Y1 (ko) 2006-12-08

Family

ID=41781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961U KR200433422Y1 (ko) 2006-09-29 2006-09-29 벽체 배수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42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84431A (zh) * 2016-09-09 2017-01-04 上海三彩科技发展有限公司 根据水的现象发明构造做法是完整的防水理论
CN110130404A (zh) * 2019-05-20 2019-08-16 宁波建工建乐工程有限公司 一种地下室底板排水板及其施工工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84431A (zh) * 2016-09-09 2017-01-04 上海三彩科技发展有限公司 根据水的现象发明构造做法是完整的防水理论
CN110130404A (zh) * 2019-05-20 2019-08-16 宁波建工建乐工程有限公司 一种地下室底板排水板及其施工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6341A (ko) 거푸집용 인코너부재를 위한 연결시스템
KR200433422Y1 (ko) 벽체 배수판
KR100888209B1 (ko) 알루미늄폼 거푸집 지지용 지지바 고정장치
KR20070090133A (ko) 벽체 배수판
KR100742152B1 (ko) 벽체 배수판
KR200384386Y1 (ko) 거푸집용 다용도 유로폼
KR102181071B1 (ko) 곡면형 벽체 형성용 거푸집 체결장치
KR20060114572A (ko) 직교되는 보강재를 갖는 한 쌍의 익스펜디드 메탈라스를이용한 매립형 거푸집 시스템
KR200380884Y1 (ko) 데크판넬 연결용 상부런너와 벽체거푸집의 결합 구조
KR100523457B1 (ko) 창인방
KR100663378B1 (ko) 거푸집용 다용도 유로폼
KR100973584B1 (ko)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
KR102516115B1 (ko) 경사면 밴드로 문양을 형성하는 스테인리스 패널 및 이의 콘크리트 라이닝 시공방법
KR20080015041A (ko) 벽체 배수판
JP4705365B2 (ja) 基礎構築用の支持具及びその取付構造
KR200400388Y1 (ko) 시공성이 우수한 방수턱 거푸집용 받침부재
KR200426149Y1 (ko) 거푸집용 라인 빔
KR102595834B1 (ko) 폭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건식 방수턱
KR200354100Y1 (ko) 거푸집 연결핀
KR200400389Y1 (ko) 시공성이 우수한 방수턱 거푸집용 받침부재
KR200415591Y1 (ko) 슬래브 공사용 유로폼
KR200385726Y1 (ko) 벽돌
KR102016111B1 (ko) 벽체 방수패널
KR200347889Y1 (ko) 조립식 울타리
KR200306769Y1 (ko) 건축용 거푸집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