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999B1 - 전자기 계전기 - Google Patents

전자기 계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999B1
KR102568999B1 KR1020210018246A KR20210018246A KR102568999B1 KR 102568999 B1 KR102568999 B1 KR 102568999B1 KR 1020210018246 A KR1020210018246 A KR 1020210018246A KR 20210018246 A KR20210018246 A KR 20210018246A KR 102568999 B1 KR102568999 B1 KR 102568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contact
plate
elastic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4793A (ko
Inventor
랴오 포-젠
Original Assignee
송 추안 프레시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 추안 프레시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송 추안 프레시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10018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999B1/ko
Publication of KR20220114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9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 계전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케이싱과, 코일 세트와, 회전 브리지와, 제1 및 제2 연장 암과, 제1 및 제2 스위치 도전 플레이트 어셈블리와, 제1 및 제2 그리퍼 모듈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전자기 계전기는 회전 브리지의 신규한 설계에 의해 제1 스위치 도전 플레이트 어셈블리는 제2 스위치 도전 플레이트 어셈블리와 동기적으로 접촉 또는 단절하는 작동을 실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1 스위치 도전 플레이트 어셈블리 및 제2 스위치 도전 플레이트 어셈블리의 제1 가동 접점과 제1 고정 접점, 및 제2 가동 접점과 제2 고정 접점은 접촉시에 충분하고 또한 적절한 힘을 갖고서 안정된 도통 상태를 얻을 수 있고, 단절시에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음으로써, 작동시의 전기 저항 값의 변화가 과대해지는 결점을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접점의 접촉이 불완전한 것에 의한 고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상의 효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참신한 전자기 계전기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기 계전기{ELECTROMAGNETIC RELAY}
본 발명은 계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규한 구조적 특징을 갖고 사용상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기 계전기(electromagnetic relay)에 관한 것이다.
계전기(relay)는 다른 이름으로 「릴레이」라고도 불리며, 전자 제어 구성부재이다. 동작 원리에 기초하여 분류하면, 광 계전기, 전자기 계전기, 열 계전기 등으로 크게 구별된다.
전자기 계전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그의 내부에는 대체로 전자기 코일과,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구비되어 있음과 동시에, 고정 접점에 외측으로 제어 회로가 연결된다. 전자기 코일이 전기적으로 도통된 후에, 가동 접점은 전자기 코일의 전자기 작용에 따라 변위하여 전기적인 개폐를 제어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그러나 전자기 계전기의 사용 수요의 변화에 따라 그의 설계가 복잡해지고 있으며, 이와 같이 복수의 복잡한 전자 구성부재의 작동 하의 전기적 전도의 안정성을 어떻게 해서 유지할지가 관련 제조회사가 직면하는 도전 과제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스위치 도전 플레이트 어셈블리(switch conductive plate assembly)가 동기적으로 접촉 또는 단절(disconnection)하는 작동을 실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스위치 도전 플레이트 어셈블리의 접점이 접촉시에 충분하고 또한 적절한 힘을 갖고서 안정한 도통 상태를 얻을 수 있고, 단절시에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에 의해, 작동 중에 전기 저항 값의 변화가 과대해지는 결점을 줄일 수 있고 접점의 불완전한 접촉으로 인한 고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기 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개시된 전자기 계전기는 베이스와 상부 커버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베이스 내에 설치되는 코일 세트(coil set)와, 상기 베이스 내에 피봇 방식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코일 세트의 일측에 배치되는 회전 브리지와, 상기 베이스 내의 제1 슬라이드 홈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브리지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연장 암과, 상기 베이스 내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연장 암의 인근측에 마련되는 제1 스위치 도전 플레이트 어셈블리와, 제1 그리퍼 모듈과,, 상기 베이스 내의 제2 슬라이드 홈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브리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 연장 암과, 상기 베이스 내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연장 암의 인근측에 설치되는 제2 스위치 도전 플레이트 어셈블리와, 제2 그리퍼 모듈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코일 세트의 축 양단에 각각 제1 요크 암과 제2 요크 암이 연장 설치되고, 상기 회전 브리지는 본체와, 인접판과, 링크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수용 케이스와 상기 수용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자성 부재를 갖고, 상기 인접판은 상기 수용 케이스의 상단부를 관통해서 상기 수용 케이스의 상단 양측에 제1 인접섹션(abutting section)과 제2 인접섹션이 형성되고, 여기서 상기 코일 세트의 자력 변화시에 상기 회전 브리지를 대응해서 회전시켜, 상기 제1 인접섹션이 상기 제1 요크 암의 말단에 접근하여 맞닿는 상태 또는 상기 제2 인접섹션이 상기 제2 요크 암의 말단에 접근하여 맞닿는 상태를 형성하고, 상기 링크 플레이트는 상기 수용 케이스의 하단부를 관통하고, 또한 관통부와, 제1 걸림 마디와, 제2 걸림 마디를 갖고, 상기 관통부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이고, 상기 수용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걸림 마디와 상기 제2 걸림 마디는 각각 상기 관통부의 양측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 케이스의 하단부의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설치되고, 여기서, 상기 제1 걸림 마디와 상기 제2 걸림 마디는 각각 상기 관통부에 대해 하향 굴절 각도를 갖고, 또한 상기 제1 걸림 마디의 단부와 상기 제2 걸림 마디의 단부는 상향 굴절 각도를 갖고, 상기 제1 연장 암의 일단은 상기 제1 걸림 마디와 걸림 부착해서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1 연장 암은 상기 제1 슬라이드 홈에 상하 변위가능하게 되고, 상기 제1 스위치 도전 플레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 내에 일부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 핀 시트와, 일단이 상기 베이스 내의 상기 제1 삽입 핀 시트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에 접촉면이 하향하는 제1 가동 접점이 마련되고, 또한 상기 타단이 상기 제1 연장 암과 걸림 부착해서 연결되는 제1 중간 탄성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내에 일부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 외부로 일부 연장설치되는 제1 도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 플레이트의 상기 베이스 내에 마련되는 일단부에 접촉면이 상향하는 제1 고정 접점이 마련되고, 또한 상기 제1 가동 접점은 상기 제1 고정 접점의 위치에 대응해서 설치되고, 상기 제1 그리퍼 모듈은 상기 제1 도전 플레이트에 고정 연결되어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연장 암의 일단은 상기 제2 걸림 마디와 걸림 부착해서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2 연장 암은 상기 제2 슬라이드 홈에 상하 변위가능하게 되고, 상기 제2 스위치 도전 플레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 내에 일부 고정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 내의 일단에 접촉면이 하향하는 제2 고정 접점이 마련되는 제2 삽입 핀 시트와, 상기 베이스 내에 일부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 외부로 일부 연장 설치되는 제2 도전 플레이트와, 일단이 상기 베이스 내에 설치되는 상기 제2 도전 플레이트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에 접촉면이 상향하는 제2 가동 접점이 마련되고, 또한 상기 타단이 상기 제2 연장 암과 걸림 부착해서 연결되는 제2 중간 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동 접점은 상기 제2 고정 접점의 위치에 대응해서 설치되고, 상기 제2 그리퍼 모듈은 상기 제2 도전 플레이트에 고정 연결되어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전자기 계전기에 의하면, 참신한 구조 설계로 사용시의 작동 안전성을 유효하게 증진시킬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회전 브리지의 구조를 거쳐 전자기 계전기 내의 제1 스위치 도전 플레이트 어셈블리와 제2 스위치 도전 플레이트 어셈블리가 작동시에 접점에서 동기적으로 접촉 또는 단절할 수 있는 것 외에,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을 접촉시에 적절한 작용력으로 서로 접촉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단절시에는 확실하게 상호 분리시키는 것에 의해 접점과의 단절 또는 접촉시에 과대한 전기 저항 값의 변화나 고온 발생이 생기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따라서, 전자기 계전기의 사용 안정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방면의 사용 효능의 세부 기술적 특징의 향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고정 공중 브리지를 거쳐 상기 회전 브리지의 회동 안정성의 향상, 상기 제1 그리퍼 모듈 및 상기 제2 그리퍼 모듈의 구조 설계, 및 보조 접점 모듈의 설치 등을 들 수 있고, 어느 것이든 상기 전자기 계전기의 사용 효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자기 계전기의 분해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회전 브리지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1 및 제2 그리퍼 모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1 및 제2 그리퍼 모듈의 다른 시각으로부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보조 접점 모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보조 접점 모듈의 평면 구조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자기 계전기의 제1 사용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자기 계전기의 제2 사용 개략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회전 브리지와 보조 접점 모듈의 제1 작동 개략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회전 브리지와 보조 접점 모듈의 제2 작동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실시양태의 제1 및 제2 그리퍼 모듈의 분해 모식도이다.
도 1, 도 2, 도 5 및 도 6을 우선 참조한다. 이들 도면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자기 계전기의 분해 모식도, 회전 브리지의 구조 모식도, 전자기 계전기의 제1 사용 개략도 및 제2 사용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개시된 전자기 계전기(1)는 케이싱(10)과, 코일 세트(coil set)(11)와, 회전 브리지(12)와, 제1 연장 암(13)과, 제1 스위치 도전 플레이트 어셈블리(14)와, 제1 그리퍼 모듈(15)과, 제2 연장 암(16)과, 제2 스위치 도전 플레이트 어셈블리(17)와, 제2 그리퍼 모듈(18)를 구비한다. 케이싱(10)은 베이스(101)와 상부 커버(102)를 가지며, 상부 커버(102)는 베이스(101) 위를 덮기 위해 제공된다. 코일 세트(11)는 베이스(101) 내에 설치되고, 코일 세트(11)의 축 양단에는 각각 제1 요크 암(111)과 제2 요크 암(112)이 연장 설치된다.
회전 브리지(12)는 베이스(101) 내에 피봇 방식으로 설치되고 코일 세트(11)의 일측에 배치되며, 회전 브리지(12)는 본체(121)와, 인접판(abutting plate)(122)과, 링크 플레이트(123)를 포함한다. 본체(121)는 수용 케이스(containment)(1211)와, 수용 케이스(1211) 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자성 부재(1212)를 갖고, 인접판(abutting plate)(122)은 수용 케이스(1211)의 상단부를 관통하고, 수용 케이스(1211)의 상단 양측에는 제1 인접섹션(abutting section)(1221)과 제2 인접섹션(1222)이 형성된다. 여기서, 코일 세트(11)의 자력이 변할 때, 회전 브리지(12)를 대응적으로 회전시켜, 제1 인접섹션(1221)이 제1 요크 암(111)의 말단에 접근하여 맞닿는 상태 또는 제2 인접섹션(1222)이 제2 요크 암(112)의 말단에 접근하여 맞닿는 상태를 형성한다. 링크 플레이트(123)는 수용 케이스(1211)의 하단부를 관통하고, 링크 플레이트(123)는 관통부(1233)와, 제1 걸림 마디(snap section)(1231)와, 제2 걸림 마디(1232)를 갖고, 관통부(1233)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이고 수용 케이스(1211) 내에 배치되고, 제1 걸림 마디(1231)와 제2 걸림 마디(1232)는 각각 관통부(1233)의 양측에 연결되고, 수용 케이스(1211)의 하단부의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설치된다. 여기서, 제1 걸림 마디(1231)와 제2 걸림 마디(1232)는 각각 관통부(1233)에 대해 하향 굴절 각도를 갖고, 제1 걸림 마디(1231)의 단부와 제2 걸림 마디(1232)의 단부는 상향 굴절 각도를 갖는다.
제1 연장 암(13)은 베이스(101) 내의 제1 슬라이드 홈(1011)에 설치됨과 동시에 회전 브리지(12)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1 연장 암(13)의 일단은 제1 걸림 마디(1231)와 걸림 부착해서 연결되고, 제1 연장 암(13)은 제1 슬라이드 홈(1011)에 상하 변위가능하게 된다. 제1 스위치 도전 플레이트 어셈블리(14)는 베이스(101) 내에 설치됨과 동시에 제1 연장 암(13)의 인근 측에 배치되고, 제1 삽입 핀 시트(141)와, 제1 중간 탄성 플레이트(142)와, 제1 도전 플레이트(143)을 포함한다. 제1 삽입 핀 시트(141)는 베이스(101) 내에 일부 고정 설치된다. 제1 중간 탄성 플레이트(142)의 일단이 베이스(101) 내의 제1 삽입 핀 시트(141)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에는 접촉면이 하향하는 제1 가동 접점(1421)이 마련되고, 타단은 제1 연장 암(13)과 걸림 부착해서 연결된다. 제1 도전 플레이트(143)는 베이스(101) 내에 일부 설치되고 케이싱(10) 외부로 일부가 연장설치되고, 제1 도전 플레이트(143)의 베이스(101) 내에 마련되는 일단부에는 접촉면이 상향하는 제1 고정 접점(1431)이 마련되고, 제1 가동 접점(1421)은 제1 고정 접점(1431)의 위치에 대응해서 설치된다. 제1 그리퍼 모듈(15)은 제1 도전 플레이트(143)에 고정 연결되어 케이싱(10)의 외부에 설치됨으로써 외부 부품과 조립을 위해 제공된다.
제2 연장 암(16)은 베이스(101) 내의 제2 슬라이드 홈(1012)에 설치됨과 동시에 회전 브리지(12)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 연장 암(16)의 일단은 제2 걸림 마디(1232)와 걸림 부착해서 연결되고, 제2 연장 암(16)은 제2 슬라이드 홈(1012)에 상하 변위가능하게 된다. 제2 스위치 도전 플레이트 어셈블리(17)는 베이스(101) 내에 설치됨과 동시에 제2 연장 암(16)의 인근 측에 배치되고, 제2 삽입 핀 시트(171)와, 제2 도전 플레이트(172)와, 제2 중간 탄성 플레이트(173)를 포함한다. 제2 삽입 핀 시트(171)는 베이스(101) 내에 일부 고정 설치됨과 동시에, 베이스(101) 내의 일단에는 접촉면이 하향하는 제2 고정 접점(1711)이 마련된다. 제2 도전 플레이트(172)는 베이스(101) 내에 일부 설치되고, 케이싱(10) 외부로 일부가 연장 설치된다. 제2 중간 탄성 플레이트(173)는 일단이 베이스(101) 내에 설치되는 제2 도전 플레이트(172)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에는 접촉면이 상향하는 제2 가동 접점(1731)이 마련되고, 타단은 제2 연장 암(16)과 걸림 부착해서 연결되고, 제2 가동 접점(1731)은 제2 고정 접점(1711)의 위치에 대응해서 설치된다. 제2 그리퍼 모듈(18)은 제2 도전 플레이트(172)에 고정 연결되어 케이싱(10)의 외부에 설치됨으로써 외부 부품과 조립을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회전 브리지(12)의 구조를 거쳐 제1 스위치 도전 플레이트 어셈블리(14) 및 제2 스위치 도전 플레이트 어셈블리(17)의 작동을 동기화시킬 수 있고, 즉, 제1 스위치 도전 플레이트 어셈블리(14)의 제1 가동 접점(1421)과 제1 고정 접점(1431)의 접촉 또는 단절을 형성할 때, 제2 스위치 도전 플레이트 어셈블리(17)의 제2 가동 접점(1731)과 제2 고정 접점(1711)을 동기적으로 접촉 또는 단절을 형성할 수 있고, 전자기 계전기(1)에서 안정된 전기적인 개폐 작동을 실현할 수 있다. 두 세트의 스위치 도전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동기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것 외에, 본 발명의 구조에 의하면, 제1 가동 접점(1421)과 제1 고정 접점(1431) 및 제2 가동 접점(1731)과 제2 고정 접점(1711)은 비교적 커서 적당한 세기로 상호 접촉할 수 있고 단절시에는 확실하게 상호 분리할 수 있고, 따라서, 전자기 계전기(1)의 작동시의 전기 저항 값의 변화를 대폭 줄일 수 있고, 그럼으로써 전기적인 개폐의 확실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 외에, 전자기 계전기(1)의 사용 수명을 유효하게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전자기 계전기(1)는 고정 공중 브리지(19)를 더 구비할 수 있고, 고정 공중 브리지는 베이스(101) 내에 마련되고, 일단이 제1 요크 암(111)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요크 암(112)에 고정 연결되고, 제1 요크 암(111)과 제2 요크 암(112) 사이에 가설된다. 회전 브리지(12)의 수용 케이스(1211)의 대향 양측에는 각각 피봇(1213)이 연장 설치되고, 베이스(101)와 고정 공중 브리지(19)에는 복수의 피봇(1213)에 대응해서 각각 피봇 구멍(1013, 191)이 구성되고, 각 피봇(1213)은 대응하는 피봇 구멍(1013, 191) 내에 설치됨으로써, 회전 브리지(12)를 복수의 피봇(1213)을 축으로 하여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고정 공중 브리지(19)와 베이스(101)의 피봇 구멍(1013, 191)을 거쳐 복수의 피봇(1213)의 구조에 맞추면, 회전 브리지(12)를 복수의 피봇(1213)을 축으로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회전 브리지(12)의 회동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1 연장 암(13)은 제1 걸림 홈(snap slot)(131)을 포함하고, 제1 걸림 홈(131)은 개방단을 갖고, 회전 브리지(12)의 제1 걸림 마디(1231)는 제1 연결 접합 구간(connecting segment)(12311)과 제1 걸림 부착 구간(snapping segment)(12312)을 갖는다. 여기서 제1 걸림 부착 구간(12312)은 제1 연결 접합 구간(12311)과 접합됨과 동시에 상향 굴절 각도를 형성하고, 제1 걸림 부착 구간(12312)은 제1 걸림 홈(131)의 개방단으로부터 안으로 넣어져서 제1 걸림 홈(131)과 걸림 부착하여 연결된다. 제2 연장 암(16)은 제2 걸림 홈(161)을 포함하고, 제2 걸림 홈(161)은 개방단을 갖고, 회전 브리지(12)의 제2 걸림 마디(1232)는 제2 연결 접합 구간(12321)과 제2 걸림 부착 구간(12322)을 갖고, 여기서 제2 걸림 부착 구간(12322)은 제2 연결 접합 구간(12321)과 접합되어 상향 굴절 각도를 형성하고, 제2 걸림 부착 구간(12322)은 제2 걸림 홈(161)의 개방단으로부터 안으로 넣어져서 제2 걸림 홈(161)과 걸림 부착하여 연결된다. 여기서, 회전 브리지(12)의 제1 인접섹션(1221)이 제1 요크 암(111)의 말단에 접근하여 맞닿을 때, 제1 걸림 부착 구간(12312)과 제1 연결 접합 구간(12311)의 접합 개소가 제1 걸림 홈(131)과 서로 접근하여 맞닿고, 제2 걸림 부착 구간(12322)의 말단이 제2 걸림 홈(161)에 접근하여 맞닿으며, 회전 브리지(12)의 제2 인접섹션(1222)이 제2 요크 암(112)의 말단에 접근하여 맞닿을 때, 제1 걸림 부착 구간(12312)의 말단이 제1 걸림 홈(131)과 서로 접근하여 맞닿고, 제2 걸림 부착 구간(12322)과 제2 연결 접합 구간(12321)의 접합 개소가 제2 걸림 홈(161)에 접근하여 맞닿는다. 이와 같이 하여, 회전 브리지(12)의 작동을 보다 안정되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1 스위치 도전 플레이트 어셈블리(14)와 제2 스위치 도전 플레이트 어셈블리(17)의 동기화 작동을 보다 확실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그 외에, 도 1 및 도 3a, 도 3b를 아울러 참조한다. 여기서,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1 및 제2 그리퍼 모듈의 구조 모식도 및 다른 시각으로부터의 구조 모식도이다. 적절한 실시형태에서, 제1 그리퍼 모듈(15)은 제1 주 클립(primary clip)(151)과, 제1 부 클립(secondary clip)(152)과, 제1 탄성 클립(elastic clip)(153)을 포함하고, 제1 주 클립(151)은 제1 도전 플레이트(143)에 고정 연결되고, 제1 부 클립(152)은 제1 주 클립(151)에 겹쳐지고, 제1 탄성 클립(153)은 제1 부 클립(152)에 겹쳐진다. 여기서, 제1 주 클립(151)과 제1 부 클립(152)이 서로 상반하는 굴절 방향을 갖고, 겹쳐진 후에는 말단에 제1 그리퍼 입구(gripper mouth)(154)를 형성하고, 제1 탄성 클립(153)과 제1 부 클립(152)은 동일한 굴절 방향을 갖고, 제1 탄성 클립(153)의 굴절 개소는 제1 부 클립(152)의 굴절 개소에 접근하여 맞닿는다. 제2 그리퍼 모듈(18)은 제2 주 클립(181)과, 제2 부 클립(182)과, 제2 탄성 클립(183)을 포함하고, 제2 주 클립(181)은 제2 도전 플레이트(172)에 고정 연결되고, 제2 부 클립(182)은 제2 주 클립(181)에 겹쳐지고, 제2 탄성 클립(183)은 제2 부 클립(182)에 겹쳐진다. 여기서, 제2 주 클립(181)과 제2 부 클립(182)이 서로 상반하는 굴절 방향을 갖고, 겹쳐진 후에는 말단에 제2 그리퍼 입구(184)를 형성하고, 제2 탄성 클립(183)과 제2 부 클립(182)은 동일한 굴절 방향을 갖고, 제2 탄성 클립(183)의 굴절 개소는 제2 부 클립(182)의 굴절 개소에 접근하여 맞닿는다. 제1 그리퍼 모듈(15)과 제2 그리퍼 모듈(18)은 외부 부품을 클램핑 고정하기 위해 제공됨과 동시에 도전 효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전자기 계전기(1)의 사용에 유리하게 되고, 조립시에는 외부 부품을 제1 그리퍼 모듈(15) 및 제2 그리퍼 모듈(18)에 삽입 설치하고, 외부 부품을 제거할 때는 잡아 당기는 방식으로 실시된다. 또한, 상기 기술적 특징에 의해, 제1 그리퍼 모듈(15) 및 제2 그리퍼 모듈(18)는 꼽고 빼기(plugging and unplugging)를 하기 쉽다는 이점을 갖게 되고, 여러 번의 꼽고 빼기 사용에 의해, 제1 그리퍼 입구(154) 또는 제2 그리퍼 입구(184)의 간극에 약간의 변화가 생기게 되고, 외부 부품을 조립함과 동시에 사용시의 전기 저항 값의 변화가 과대해져서 전자기 계전기(1)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음과 동시에, 매우 적절한 클램핑력(clamping force)과 높은 도전 효과를 유지할 수도 있다. 즉, 제1 주 클립(151)과 제1 부 클립(152)의 상반하는 굴절 방향으로 인해, 제1 그리퍼 입구(154)를 형성하고, 제2 주 클립(181)과 제2 부 클립(182)의 상반하는 굴절 방향으로 인해, 제2 그리퍼 입구(184)를 형성하고, 그럼으로써 제1 탄성 클립(153)의 굴절 개소와 제1 부 클립(152)의 접근하여 맞닿는 설계 및 제2 탄성 클립(183)의 굴절 개소와 제2 부 클립(182)의 접근하여 맞닿는 설계에 의해, 제1 탄성 클립(153) 및 제2 탄성 클립(183)을 각각 제1 그리퍼 입구(154) 및 제2 그리퍼 입구(184)의 폐쇄 개소에 대해 압력을 가해서 세게 맞부딪칠 수 있고, 제1 그리퍼 입구(154) 및 제2 그리퍼 입구(184)의 폐쇄력(closing force)을 증강 및 제한한다. 여기서, 폐쇄 개소는 제1 주 클립(151)과 제1 부 클립(152), 및 제2 주 클립(181)과 제2 부 클립(182)이 겹쳐진 후에 서로 접근하여 맞닿는 구역을 가리킨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1 탄성 클립(153)에는 적어도 한 개의 제1 탄성 클립 슬릿(1531)이 마련되고, 제1 탄성 클립 슬릿(1531)은 제1 탄성 클립(153)의 말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 연장하고, 제2 탄성 클립(183)에는 적어도 한 개의 제2 탄성 클립 슬릿(1831)이 마련되고, 제2 탄성 클립 슬릿(1831)은 제2 탄성 클립(183)의 말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 연장함으로써, 제1 그리퍼 모듈(15) 및 제2 그리퍼 모듈(18)을 보다 양호한 꼽고 빼기 작용을 갖게 함과 동시에 클램핑력 세기를 겸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탄성 클립(153)에 한 개의 제1 탄성 클립 슬릿(1531)이 마련되고, 제2 탄성 클립(183)에 한 개의 제2 탄성 클립 슬릿(1831)이 마련되는 것을 예시한다.
제1 탄성 클립(153) 및 제2 탄성 클립(183)에 슬릿이 마련되는 것 이외에, 제1 부 클립(152)에는 제1 탄성 클립 슬릿(1531)에 대응해서 적어도 한 개의 제1 부 클립 슬릿(1521)이 마련되고, 제2 부 클립(182)에는 제2 탄성 클립 슬릿(1831)에 대응해서 적어도 한 개의 제2 부 클립 슬릿(1821)이 마련되는 상태를 한 개의 적절한 실시 상태로 한다. 이렇게 하여 제1 그리퍼 모듈(15) 및 제2 그리퍼 모듈(18)의 사용시의 탄성 변화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고, 꼽고 빼기 후에, 제1 그리퍼 입구(154)와 제2 그리퍼 입구(184)의 간극에 변화가 발생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고, 따라서 도통 상태가 될 때마다 이 개소의 전기 저항 값의 변화가 과대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도 1, 도 4a, 도 4b, 도 5, 도 6, 도 7a 및 도 7b를 아울러 참조한다. 여기서,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보조 접점 모듈의 구조 모식도 및 평면 구조 모식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회전 브리지와 보조 접점 모듈의 제1 및 제2 작동 개략도이다. 전자기 계전기의 작동 상태가 정상인지 아닌지를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해, 전자기 계전기(1)는 베이스(101) 내에 마련되고 회전 브리지(12)의 일측에 위치하는 보조 접점 모듈(2)을 더 구비하고, 보조 접점 모듈(2)은 제1 접점 플레이트 세트(20)와, 제2 접점 플레이트(21)과, 탄성 스위칭 플레이트(22)를 갖는다. 제1 접점 플레이트 세트(20)는 상부 보조 플레이트(201)와 하부 보조 플레이트(202)를 포함하고, 상부 보조 플레이트(201)의 일단은 상부 커버(102) 외부로 연장하고, 하부 보조 플레이트(202)의 일단에는 접촉면이 상향하는 고정 보조 접점(2021)이 마련되고, 타단은 상부 커버(102) 외부로 연장하고, 제2 접점 플레이트(21)는 제1 접점 플레이트 세트(20)의 일측에 마련되고, 일단은 상부 커버(102) 외부로 연장한다. 탄성 스위칭 플레이트(22)는 제1 접점 플레이트 세트(20)와 제2 접점 플레이트(21) 사이에 가로 놓이고, 탄성 스위칭 플레이트(22)의 일단은 베이스(101) 내의 제2 접점 플레이트(21) 상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은 상부 보조 플레이트(201)와 하부 보조 플레이트(202) 사이에 연장하고 가동 보조 접점(221)을 가지며, 가동 보조 접점(221)은 고정 보조 접점(2021)과 접촉하거나 또는 단절하기 위해 제공된다. 여기서, 회전 브리지(12)의 수용 케이스(1211)에는 누름 레버(1214)가 연장 설치되어 탄성 스위칭 플레이트(22)를 눌러 이동시키도록 제공되며, 회전 브리지(12)의 제1 인접섹션(1221)이 제1 요크 암(111)의 말단에 접근하여 맞닿을 때, 누름 레버(1214)로 탄성 스위칭 플레이트(22)를 눌러 이동시켜 탄성 스위칭 플레이트(22)의 가동 보조 접점(221)을 고정 보조 접점(2021)과 접촉시키고, 회전 브리지(12)의 제2 인접섹션(1222)이 제2 요크 암(112)의 말단에 접근하여 맞닿을 때, 누름 레버(1214)로 탄성 스위칭 플레이트(22)를 눌러 이동시키지 않는 것에 의해 탄성 스위칭 플레이트(22)의 가동 보조 접점(221)을 고정 보조 접점(2021)과 단절시키므로, 제1 가동 접점(1421)과 제1 고정 접점(1431), 제2 가동 접점(1731)과 제2 고정 접점(1711) 및 가동 보조 접점(221)과 고정 보조 접점(2021)을 동기적으로 접촉 또는 단절시키는 상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보조 접점 모듈(2)과 제1 스위치 도전 플레이트 어셈블리(14) 및 제2 스위치 도전 플레이트 어셈블리(17)와의 동기성에 기초하여, 전자기 계전기(1)의 외부로부터 그의 작동이 정상인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고, 전자기 계전기(1)의 상태를 용이하게 감시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실시 상태에서, 상부 보조 플레이트(201)에도 접점이 마련되고, 또한 탄성 스위칭 플레이트(22)를 회전 브리지(12)의 누름 레버(1214)에 따라 변위시킬 때, 가동 보조 접점(221)을 고정 보조 접점(2021)과 분리한 후에, 상부 보조 플레이트(201)의 접점과 접촉을 형성한다. 이런 종류의 도통 설계에 의하면, 외부에서도 보조 접점 모듈(2)을 거쳐 전자기 계전기(1)의 상태를 감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예를 들면, 각 항의 전기적 수치가 정상인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전자기 계전기(1)의 작동이 정상인지 아닌지를 알 수 있다.
전자기 계전기(1)의 작동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코일 세트(coil set)(11)의 자력 변화에 따라, 회전 브리지(12)는 대응적으로 회전하여 제1 인접섹션(1221)이 제1 요크 암(111)의 말단에 접근하여 맞닿는 상태, 또는 제2 인접섹션(1222)이 제2 요크 암(112)의 말단에 접근하여 맞닿는 상태를 형성하고, 이 상태에 의해 제1 스위치 도전 플레이트 어셈블리(14), 제2 스위치 도전 플레이트 어셈블리(17) 및 보조 접점 모듈(2)가 연동된다. 도 5에는 회전 브리지(12)의 제1 인접섹션(1221)이 제1 요크 암(111)의 말단에 접근하여 맞닿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제1 인접섹션(1221)이 제1 요크 암(111)의 말단에 접근하여 맞닿을 때, 제1 걸림 마디(1231)의 제1 걸림 부착 구간(12312)과 제1 연결 접합 구간(12311)의 접합 개소는, 제1 걸림 홈(131)에 접근하여 맞닿으면, 도면에서 하향으로 변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연장 암(13)을 이동시켜, 제1 중간 탄성 플레이트(142) 상의 제1 가동 접점(1421)을 제1 고정 접점(1431)과 접촉시키고, 그리고 회전 브리지(12)의 제2 걸림 마디(1232)의 제2 걸림 부착 구간(12322)의 말단이 제2 걸림 홈(161)에 접근하여 맞닿음으로써, 도면에서 상향으로 변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연장 암(16)을 제1 연장 암(13)과는 상반하는 방향을 향해 이동시키고, 제2 중간 탄성 플레이트(173)의 제2 가동 접점(1731)이 제2 고정 접점(1711)과 접촉한다. 이때,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브리지(12)의 누름 레버(1214)로 탄성 스위칭 플레이트(22)를 눌러 이동시켜 탄성 스위칭 플레이트(22)의 가동 보조 접점(221)을 제1 접점 플레이트 세트(20)의 고정 보조 접점(2021)과 접촉시키고, 제1 가동 접점(1421)과 제1 고정 접점(1431), 제2 가동 접점(1731)과 제2 고정 접점(1711) 및 가동 보조 접점(221)과 고정 보조 접점(2021)을 동기적으로 접촉시키는 상태를 형성한다.
도 6에는 회전 브리지(12)의 제2 인접섹션(1222)이 제2 요크 암(112)의 말단에 접근하여 맞닿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제2 인접섹션(1222)이 제2 요크 암(112)의 말단에 접근하여 맞닿을 때, 제1 걸림 마디(1231)의 제1 걸림 부착 구간(12312)의 말단이 제1 걸림 홈(131)에 접근하여 맞닿으면, 도면에서 상향으로 변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연장 암(13)이 이동하여, 제1 중간 탄성 플레이트(142) 상의 제1 가동 접점(1421)을 제1 고정 접점(1431)과 단절시키고, 그리고 회전 브리지(12)의 제2 걸림 마디(1232)의 제2 걸림 부착 구간(12322)과 제2 연결 접합 구간(12321)의 접합 개소는, 제2 걸림 홈(161)에 접근하여 맞닿음으로써, 도면에서 하향으로 변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연장 암(16)을 제1 연장 암(13)과는 상반하는 방향을 향해 이동시키고, 제2 중간 탄성 플레이트(173)의 제2 가동 접점(1731)은 제2 고정 접점(1711)과 단절한다. 이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브리지(12)의 누름 레버(1214)로 탄성 스위칭 플레이트(22)을 눌러 이동시키지 않는 것에 의해, 탄성 스위칭 플레이트(22)의 가동 보조 접점(221)을 제1 접점 플레이트 세트(20)의 고정 보조 접점(2021)과 단절시키고, 제1 가동 접점(1421)과 제1 고정 접점(1431), 제2 가동 접점(1731)과 제2 고정 접점(1711), 및 가동 보조 접점(221)과 고정 보조 접점(2021)을 동기적으로 단절하는 상태를 형성한다.
도 1 및 도 8을 아울러 참조한다. 여기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실시양태의 제1 및 제2 그리퍼 모듈의 분해 모식도이다. 사용 수요에 기초하여, 제1 그리퍼 모듈(15) 및 제2 그리퍼 모듈(18)의 다른 실시양태는 제1 탄성 클립 슬릿(1531)이 복수 설치되는 경우, 복수의 제1 탄성 클립 슬릿(1531)은 평행하게 배열 설치되고, 제2 탄성 클립 슬릿(1831)이 복수 설치되는 경우, 복수의 제2 탄성 클립 슬릿(1831)은 평행하게 배열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제1 부 클립 슬릿(1521)이 복수 설치되는 경우, 복수의 제1 부 클립 슬릿(1521)은 평행하게 배열 설치되고, 제2 부 클립 슬릿(1821)이 복수 설치되는 경우, 복수의 제2 부 클립 슬릿(1821)은 평행하게 배열 설치되는 것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하여, 평행하게 배열되는 다수개의 슬릿 구조에 의하면, 제1 그리퍼 모듈(15) 및 제2 그리퍼 모듈(18)의 꼽고 빼는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충분한 클램핑력과 우수한 도전 효능을 유지할 수도 있다.
위의 설명을 종합하면, 본 발명의 전자기 계전기(1)는 참신한 구조 설계로 사용시의 작동 안전성을 유효하게 증진시킬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회전 브리지(12)의 구조를 거쳐 전자기 계전기(1) 내의 제1 스위치 도전 플레이트 어셈블리(14)와 제2 스위치 도전 플레이트 어셈블리(17)는 작동시 접점에서 동기적으로 접촉 또는 단절할 수 있는 것 외에,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을 접촉시 적절한 작용력으로 상호 접촉시킬 수도 있음과 동시에, 단절시에 확실하게 상호 분리시키는 것에 의해, 접점과의 단절 또는 접촉시에 과대한 전기 저항 값의 변화를 일으키는 것을 회피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고온을 발생하고, 따라서, 전자기 계전기(1)의 사용 안정성과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방면의 사용 효능의 세부 기술적 특징의 향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고정 공중 브리지(19)를 거쳐 회전 브리지(12)의 회동 안정성의 향상, 제1 그리퍼 모듈(15) 및 제2 그리퍼 모듈(18)의 구조 설계, 및 보조 접점 모듈(2)의 설치 등을 들 수 있고, 어느 것이든 전자기 계전기(1)의 사용 효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1: 전자기 계전기
10: 케이싱
101: 베이스 1011: 제1 슬라이드 홈
1012: 제2 슬라이드 홈 1013: 피봇 구멍
102: 상부 커버
11: 코일 세트
111: 제1 요크 암 112: 제2 요크 암
12: 회전 브리지
121: 본체 1211: 수용 케이스
1212: 자성 부재 1213: 피봇
1214: 누름 레버
122: 인접판 1221: 제1 인접섹션
1222: 제2 인접섹션
123: 링크 플레이트 1231: 제1 걸림 마디
12311: 제1 연결 접합 구간 12312: 제1 걸림 부착 구간
1232: 제2 걸림 마디 12321: 제2 연결 접합 구간
12322: 제2 걸림 부착 구간 1233: 관통부
13: 제1 연장 암
131: 제1 걸림 홈
14: 제1 스위치 도전 플레이트 어셈블리
141: 제1 삽입 핀 시트 142: 제1 중간 탄성 플레이트
1421: 제1 가동 접점
143: 제1 도전 플레이트 1431: 제1 고정 접점
15: 제1 그리퍼 모듈
151: 제1 주 클립 152: 제1 부 클립
1521: 제1 부 클립 슬릿
153: 제1 탄성 클립 1531: 제1 탄성 클립 슬릿
154: 제1 그리퍼 모듈 입구
16: 제2 연장 암
161: 제2 걸림 홈
17: 제2 스위치 도전 플레이트 어셈블리
171: 제2 삽입 핀 시트 1711: 제2 고정 접점
172: 제2 도전 플레이트 173: 제2 중간 탄성 플레이트
1731: 제2 가동 접점
18: 제2 그리퍼 모듈
181: 제2 주 클립 182: 제2 부 클립
1821: 제2 부 클립 슬릿
183: 제2 탄성 클립 1831: 제2 탄성 클립 슬릿
184: 제2 그리퍼 모듈 입구
19: 고정 공중 브리지
191: 피봇 구멍
2: 보조 접점 모듈
20: 제1 접점 플레이트 세트
201: 상부 보조 플레이트 202: 하부 보조 플레이트
2021: 고정 보조 접점
21: 제2 접점 플레이트 22: 탄성 스위칭 플레이트
221: 가동 보조 접점

Claims (9)

  1. 베이스와 상부 커버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베이스 내에 설치되는 코일 조립체와,
    상기 베이스 내에 피봇 방식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코일 조립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회전 브리지와,
    상기 베이스 내의 제1 슬라이드 홈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브리지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연장 암과,
    상기 베이스 내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연장 암의 인근측에 마련되는 제1 스위치 도전 판 어셈블리와,
    제1 그리퍼 모듈과,
    상기 베이스 내의 제2 슬라이드 홈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브리지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2 연장 암과,
    상기 베이스 내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연장 암의 인근측에 마련되는 제2 스위치 도전 플레이트 어셈블리와,
    제2 그리퍼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기 계전기로서,
    상기 코일 조립체의 축 양단에 각각 제1 요크 암과 제2 요크 암이 연장 설치되고,
    상기 회전 브리지는 본체와, 인접판과, 링크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수용 케이스와 상기 수용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자성 부재를 갖고,
    상기 인접판은 상기 수용 케이스의 상단부를 관통해서 상기 수용 케이스의 상단 양측에 제1 인접섹션과 제2 인접섹션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 조립체의 자력 변화시에 상기 회전 브리지가 대응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인접섹션이 상기 제1 요크 암의 말단에 접근하여 맞닿는 상태, 또는 상기 제2 인접섹션이 상기 제2 요크 암의 말단에 접근하여 맞닿는 상태를 형성하고,
    상기 링크 플레이트는 상기 수용 케이스의 하단부를 관통하고, 또한 관통부와, 제1 걸림 마디와, 제2 걸림 마디를 갖고,
    직사각형 플레이트인 상기 관통부는 상기 수용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걸림 마디와 상기 제2 걸림 마디는 각각 상기 관통부의 양측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 케이스의 하단부의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설치되고,
    상기 제1 걸림 마디와 상기 제2 걸림 마디는 각각 상기 관통부에 대해 하향 굴절 각도를 갖고, 또한 상기 제1 걸림 마디의 단부와 상기 제2 걸림 마디의 단부는 상향 굴절 각도를 갖고,
    상기 제1 연장 암의 일단은 상기 제1 걸림 마디와 걸림 부착해서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1 연장 암은 상기 제1 슬라이드 홈에 상하 변위가능하게 되고,
    상기 제1 스위치 도전 플레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 내에 일부 고정설치 되는 제1 삽입 핀 시트와, 일단이 상기 베이스 내의 상기 제1 삽입 핀 시트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에 접촉면이 하향하는 제1 가동 접점이 마련되고, 또한 상기 타단이 상기 제1 연장 암과 걸림 부착해서 연결되는 제1 중간 탄성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내에 일부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 외부로 일부 연장 설치되는 제1 도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 플레이트의 상기 베이스 내에 마련되는 일단부에 접촉면이 상향하는 제1 고정 접점이 마련되고, 또한 상기 제1 가동 접점은 상기 제1 고정 접점의 위치에 대응해서 설치되고,
    상기 제1 그리퍼 모듈은 상기 제1 도전 플레이트에 고정 연결되어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연장 암의 일단은 상기 제2 걸림 마디와 걸림 부착해서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2 연장 암은 상기 제2 슬라이드 홈에 상하 변위가능하게 되고,
    상기 제2 스위치 도전 플레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 내에 일부 고정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 내의 일단에 접촉면이 하향하는 제2 고정 접점이 마련되는 제2 삽입 핀 시트와, 상기 베이스 내에 일부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 외부로 일부 연장 설치되는 제2 도전 플레이트와, 일단이 상기 베이스 내에 설치되는 상기 제2 도전 플레이트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에 접촉면이 상향하는 제2 가동 접점이 마련되고, 또한 상기 타단이 상기 제2 연장 암과 걸림 부착해서 연결되는 제2 중간 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동 접점은 상기 제2 고정 접점의 위치에 대응해서 설치되고,
    상기 제2 그리퍼 모듈은 상기 제2 도전 플레이트에 고정 연결되어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내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회전 브리지의 일측에 위치하는 보조 접점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보조 접점 모듈은 상부 보조 플레이트와, 하부 보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1 접점 플레이트 세트와, 상기 제1 접점 플레이트 세트의 일측에 마련되고, 또한 일단이 상기 상부 커버 외부로 연장하는 제2 접점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접점 플레이트 세트와 상기 제2 접점 플레이트 사이에 가로 놓이는 탄성 스위칭 플레이트를 갖고, 상기 상부 보조 플레이트의 일단이 상기 상부 커버 외부로 연장하고, 상기 하부 보조 플레이트의 일단에 접촉면이 상향하는 고정 보조 접점이 마련되고, 상기 하부 보조 플레이트의 타단이 상기 상부 커버 외부로 연장하고, 또한 상기 탄성 스위칭 플레이트의 일단이 상기 베이스 내의 상기 제2 접점 플레이트 상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탄성 스위칭 플레이트의 타단에는 상기 상부 보조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보조 플레이트 사이에 연장하고, 또한 상기 고정 보조 접점과 접촉하거나 단절하기 위해 제공되는 가동 보조 접점이 마련되고,
    상기 회전 브리지의 상기 수용 케이스에 상기 탄성 스위칭 플레이트를 눌러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누름 레버가 연장 설치되고,
    상기 회전 브리지의 상기 제1 인접섹션이 상기 제1 요크 암의 말단에 접근하여 맞닿을 때, 상기 누름 레버로 상기 탄성 스위칭 플레이트를 눌러 이동시켜 상기 탄성 스위칭 플레이트의 상기 가동 보조 접점을 상기 고정 보조 접점과 접촉시키고, 상기 회전 브리지의 상기 제2 인접섹션이 상기 제2 요크 암의 말단에 접근하여 맞닿을 때, 상기 누름 레버로 상기 탄성 스위칭 플레이트를 눌러 이동시키지 않는 것에 의해 상기 탄성 스위칭 플레이트의 상기 가동 보조 접점을 상기 고정 보조 접점과 단절시키고, 상기 제1 가동 접점과 상기 제1 고정 접점, 상기 제2 가동 접점과 상기 제2 고정 접점 및 상기 가동 보조 접점과 상기 고정 보조 접점을 동기적으로 접촉 또는 단절시키는 상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계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내에 마련되고, 또한 일단이 상기 제1 요크 암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요크 암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 요크 암과 상기 제2 요크 암 사이에 가설되는 고정 공중 브리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회전 브리지의 상기 수용 케이스의 대향 양측에 각각 피봇이 연장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고정 공중 브리지에는 복수의 상기 피봇에 대응해서 각각 피봇 구멍이 구성되고,
    각 상기 피봇은 대응하는 상기 피봇 구멍 내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회전 브리지를 복수의 상기 피봇을 축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계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 암은 개방단을 갖는 제1 걸림 홈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브리지의 상기 제1 걸림 마디는 제1 연결 접합 구간과 제1 걸림 부착 구간을 갖고, 상기 제1 걸림 부착 구간은 상기 제1 연결 접합 구간과 접합됨과 동시에 상기 상향 굴절 각도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제1 걸림 부착 구간은 상기 제1 걸림 홈의 개방단으로부터 안으로 넣어져서 상기 제1 걸림 홈과 걸림 부착해서 연결되고,
    상기 제2 연장 암은 개방단을 갖는 제2 걸림 홈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브리지의 상기 제2 걸림 마디는 제2 연결 접합 구간과 제2 걸림 부착 구간을 갖고, 상기 제2 걸림 부착 구간은 상기 제2 연결 접합 구간과 접합되어 상기 상향 굴절 각도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제2 걸림 부착 구간은 상기 제2 걸림 홈의 개방단으로부터 안으로 넣어져서 상기 제2 걸림 홈과 걸림 부착해서 연결되고,
    상기 회전 브리지의 상기 제1 인접섹션이 상기 제1 요크 암의 말단에 접근하여 맞닿을 때, 상기 제1 걸림 부착 구간과 상기 제1 연결 접합 구간의 접합 개소는 상기 제1 걸림 홈과 서로 접근하여 맞닿고, 상기 제2 걸림 부착 구간의 말단은 상기 제2 걸림 홈에 접근하여 맞닿고, 상기 회전 브리지의 상기 제2 인접섹션이 상기 제2 요크 암의 말단에 접근하여 맞닿을 때, 상기 제1 걸림 부착 구간의 말단은 상기 제1 걸림 홈과 서로 접근하여 맞닿고, 상기 제2 걸림 부착 구간과 상기 제2 연결 접합 구간의 접합 개소는 상기 제2 걸림 홈에 접근하여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계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리퍼 모듈은 제1 주 클립과, 제1 부 클립과, 제1 탄성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주 클립은 상기 제1 도전 플레이트에 고정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1 부 클립은 상기 제1 주 클립에 겹쳐지고,
    상기 제1 탄성 클립은 상기 제1 부 클립에 겹쳐지고, 상기 제1 주 클립과 상기 제1 부 클립이 서로 상반하는 굴절 방향을 갖고 겹쳐진 후에는 말단에 제1 그리퍼 모듈 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1 탄성 클립과 상기 제1 부 클립이 동일한 굴절 방향을 갖고, 또한 상기 제1 탄성 클립의 굴절 개소는 상기 제1 부 클립의 굴절 개소에 접근하여 맞닿고,
    상기 제2 그리퍼 모듈은 제2 주 클립과, 제2 부 클립과, 제2 탄성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주 클립은 상기 제2 도전 플레이트에 고정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2 부 클립은 상기 제2 주 클립에 겹쳐지고,
    상기 제2 탄성 클립은 상기 제2 부 클립에 겹쳐지고, 상기 제2 주 클립과 상기 제2 부 클립이 서로 상반하는 굴절 방향을 갖고 겹쳐진 후에는 말단에 제2 그리퍼 모듈 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2 탄성 클립과 상기 제2 부 클립이 동일한 굴절 방향을 갖고, 또한 상기 제2 탄성 클립의 굴절 개소는 상기 제2 부 클립의 굴절 개소에 접근하여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계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클립에는 상기 제1 탄성 클립의 말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 연장하는 적어도 한 개의 제1 탄성 클립 슬릿이 구성되고,
    상기 제2 탄성 클립에는 상기 제2 탄성 클립의 말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 연장하는 적어도 한 개의 제2 탄성 클립 슬릿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계전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클립 슬릿이 복수 설치되는 경우, 복수의 상기 제1 탄성 클립 슬릿은 평행하게 배열 설치되고,
    상기 제2 탄성 클립 슬릿이 복수 설치되는 경우, 복수의 상기 제2 탄성 클립 슬릿은 평행하게 배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계전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 클립에는 상기 제1 탄성 클립 슬릿에 대응해서 적어도 한 개의 제1 부 클립 슬릿이 구성되고,
    상기 제2 부 클립에는 상기 제2 탄성 클립 슬릿에 대응해서 적어도 한 개의 제2 부 클립 슬릿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계전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 클립 슬릿이 복수 설치되는 경우, 복수의 상기 제1 부 클립 슬릿은 평행하게 배열 설치되고,
    상기 제2 부 클립 슬릿이 복수 설치되는 경우, 복수의 상기 제2 부 클립 슬릿은 평행하게 배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계전기.
  9. 삭제
KR1020210018246A 2021-02-09 2021-02-09 전자기 계전기 KR102568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246A KR102568999B1 (ko) 2021-02-09 2021-02-09 전자기 계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246A KR102568999B1 (ko) 2021-02-09 2021-02-09 전자기 계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793A KR20220114793A (ko) 2022-08-17
KR102568999B1 true KR102568999B1 (ko) 2023-08-18

Family

ID=83110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246A KR102568999B1 (ko) 2021-02-09 2021-02-09 전자기 계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999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9339410B2 (en) * 2009-02-04 2013-10-10 Hongfa Holdings U.S., Inc. Electromagnetic relay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793A (ko)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7647B1 (en) Electromagnetic relay
KR101174933B1 (ko) 레버 동작에 의한 기계적 보조를 받는 커넥터
EP2493038B1 (en) Circuit breaker having cradle
JP5329330B2 (ja) コネクタ組立体
KR101632715B1 (ko) 전기결합장치
US8851921B2 (en) Connector with detection unit
CN105790244A (zh) 可插拔式电涌保护器
JP2007533115A (ja) 2つの作用を有する機械補助付きコネクタ
US20130038968A1 (en) Receptacle type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with reverse wire protection
CN101154539B (zh) 电路断开器
TWI747587B (zh) 電磁繼電器
US7670158B2 (en) Connector engaging structure
KR102568999B1 (ko) 전자기 계전기
CN108695120A (zh) 用于断路器的可移动触头组件
CN102891045A (zh) 电气开关装置及其辅助脱扣机构
CN113328292A (zh) 连接器
CN110600939B (zh) 供电电路断路装置
JP7100726B1 (ja) 電磁継電器
CN218769343U (zh) 动接线组件
CN108987138B (zh) 电触头系统
US20100290163A1 (en) Ground-fault circuit interrupter with reverse wiring proteciton function
CN114724895A (zh) 电磁继电器
CN109103695B (zh) 电连接器及其活动插接端模组
KR101632709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1632708B1 (ko) 커넥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