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593B1 -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peba) 를 함유하는 성형 화합물 - Google Patents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peba) 를 함유하는 성형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593B1
KR102567593B1 KR1020217022106A KR20217022106A KR102567593B1 KR 102567593 B1 KR102567593 B1 KR 102567593B1 KR 1020217022106 A KR1020217022106 A KR 1020217022106A KR 20217022106 A KR20217022106 A KR 20217022106A KR 102567593 B1 KR102567593 B1 KR 102567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atoms
subunit
molding
composition according
peb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2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4799A (ko
Inventor
프란츠-에리히 바우만
카트린 잘비첵
알렉산더 리히터
Original Assignee
에보닉 오퍼레이션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보닉 오퍼레이션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보닉 오퍼레이션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104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5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40Polyamide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2Making granule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6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1/00Use of polyethers, e.g. PEEK, i.e. polyether-etherketone or PEK, i.e. polyetherketone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7/00Use of PA, i.e. 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85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yamid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5 내지 15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선형 지방족 디아민 및 6 내지 16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선형 지방족 또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으로 구성된 서브유닛 1 을 기반으로 하는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PEBA) 를 포함하는 성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PEBA 는 또한 에테르 산소 당 적어도 3 개의 탄소 원자 및 사슬 말단에 1 차 OH 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테르 디올로 구성된 서브유닛 2 를 함유한다. 디아민과 디카르복실산으로부터의 탄소 원자의 합은 홀수이고 19 또는 21 이며, 서브유닛 2 의 수평균 몰 질량은 200 내지 900 g/mol 이다. 성형된 물품은 성형 화합물로부터 제작될 수 있고, 이 물품은 성형된 부품, 필름, 강모 (bristle), 섬유 또는 포말일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PEBA) 를 함유하는 성형 화합물
본 발명은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PEBA) 를 포함하는 성형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된 물품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PEBA) 는 (올리고)폴리아미드, 특히 산-조절된 폴리아미드와 알코올-말단 또는 아미노-말단 폴리에테르의 중축합에 의해 수득된 블록 공중합체이다. 산-조절된 폴리아미드는 과량의 카르복실산 말단기를 갖는다. 당업자는 폴리아미드 블록을 경질 블록으로, 폴리에테르 블록을 연질 블록으로 지칭한다. 그의 제조는 원칙적으로 알려져 있다. DE2712987A1 (US4207410) 은 10-12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락탐, 디카르복실산 및 폴리에테르 디올로 구성된, 이러한 유형의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를 기재한다. 본 발명에 따라 수득가능한 생성물은 저온에서도 장기간 지속되는 유연성 및 연성에 의해 구별되지만, 중층 두께의 성형물에서 이미 흐리고 불투명하며, 실온에서 장기간 보관시, 곰팡이 유사 외관을 갖는 표면 침착물로 인해 눈에 띈다. 6-20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디아민, 지방족 또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폴리에테르 디올로부터 조립된, 유사하게 구조화된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는 EP0095893 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특유의 특성은 증가된 열 변형 저항성 및 유연성이다. 몰딩의 반투명성 및 침착물의 형성에 관한 데이터는 이 문서로부터 수집될 수 없다.
PA 11-기반 및 PA 12-기반 PEBA 성형 조성물은 또한 불투명하고, 흐린 외관 및 표면 침착물의 형성으로 인해 부정적인 이유로 두드러진다. 이들은 동시에 낮은 반투명성을 갖는 높은 수준의 침착물을 갖는다는 것이 추가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현재의 성형 조성물은 적용에 대해 거의 적합하지 않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긴 기간에 걸쳐, 낮은 헤이즈 및 증착물로부터의 자유도를 갖는 높은 반투명성과 관련된 적합한 성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목적은 5 내지 15 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2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형 지방족 디아민 및 6 내지 16 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4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형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으로 구성된 서브유닛 1 과, 에테르 산소 당 적어도 3 개의 탄소 원자 및 사슬 말단에 1 차 OH 기를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테르 디올로 구성된 서브유닛 2 를 기반으로 하는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PEBA) 를 포함하는 성형 조성물로 달성되었다. 디아민과 디카르복실산으로부터의 탄소 원자의 총합은 홀수이고 19 또는 21 개의 탄소 원자이며; 서브유닛 2 의 수평균 몰 질량은 200 내지 900 g/mol 이다. 바람직하게는, 서브유닛의 몰 질량은 400 내지 700 g/mol 이다. 따라서, 서브유닛 1 은 일반적으로 경질 블록으로 지칭되는 부분을 형성하고, 서브유닛 2 는 연질 블록을 형성한다. 용어 "선형" 은 탄소 사슬이 비분지형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서브유닛 1 의 수평균 몰 질량은 250 내지 4500 g/mol,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2500 g/mol,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2000 g/mol, 가장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1600 g/mol 이다. 이는 더 높은 반투명성 및 동시에 감소된 침착물의 형성을 갖는 재료를 산출한다.
PEBA 의 폴리에테르 디올은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판-1,3-디올,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PEBA 에서 디아민과 디카르복실산으로부터의 탄소 원자의 총 합은 홀수이다. 이것은 19 또는 21 이다. 바람직하게는, 총 합은 19 이다.
또한, 디아민의 탄소 원자의 수는 짝수이고, 산의 탄소 원자의 수는 홀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서브유닛 1 의 적합한 폴리아미드는, 예로서, 5,14, 5,16, 6,13, 6,15, 7,12, 7,14, 8,11, 8,13, 9,10, 9,12, 10,9, 10,11, 11,8, 11,10, 12,7, 12,9, 13,6, 13,8 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서브유닛 1 은 나일론-6,13, 나일론-10,9 및 나일론-12,9 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성형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된 물품을 제공한다. 성형된 물품은 바람직하게는 몰딩, 필름, 강모, 섬유 또는 발포체이다. 성형된 물품은 예를 들어 압축 성형, 발포, 압출, 공압출, 블로우 성형, 3D 블로우 성형, 공압출 블로우 성형, 공압출 3D 블로우 성형, 공압출 흡입 블로우 성형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방법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된 물품의 용도를 제공하며, 이는 예를 들어 섬유 복합 구성요소, 신발 솔,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용 상부 시트, 매체용 라인, 안경 프레임, 디자인 물품, 밀봉 재료, 신체 보호, 절연 재료 또는 필름이 제공된 하우징 부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PEBA) 의 제조
PEBA 를 제조하기 위한 일반 절차:
앵커 교반기가 제공된, 100-l 이중 탱크 중축합 설비의 공급 탱크 내에, 디아민, 이의 질량의 10% 의 탈이온수 (DI), 디카르복실산 및 폴리에테르 디올 폴리테트라히드로푸란 (PTHF) 을 초기에 60℃ 미만에서 연속적으로 충전한다. PTHF 는 서브유닛 2 를 형성한다. 폴리에테르 디올을 기준으로, 0.1% Irganox® 1098 (BASF SE) 을 공정 안정화제로서 첨가한다. 총 고체 함량을 기준으로, 0.3% 50%-강도 하이포아인산을 촉매로서 첨가한다. N2 로 반복된 압력 불활성화 후, 탱크 내용물을 180℃ - 190℃ 로 가열하고; 160℃ 에서 교반기를 맞물리게 한다. 출발 물질을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나선형 교반기 및 토크 기록기가 제공된 중축합 반응기로 옮긴다. 2 개의 용기 사이에서 압력이 균등화된 후, 반응기 밸브를 폐쇄하고, 25 rpm 에서 교반 하에 6 시간 내에 내용물을 245℃ 로 상승시켰다. 21 bar 자생 압력 - 일반적으로 210℃ 내지 225℃ 내부 온도 - 에 도달하면, 2 시간 압력 유지 단계가 관찰되고, 그 후, 온도의 추가 상승 하에서 대기압으로 연속적으로 감압이 수행된다. 대기압에서 3-4 시간 후, 40-60 mbar 의 최종 감압이 도달될 때까지 5 시간 내에 감압을 가한다. 원하는 최종 토크에 도달할 때까지 이러한 조건 하에서 추가의 교반이 수행된다. 용융물을 수조로 압출하고, 펠렛화하고, 텀블 건조기에서 70℃-90℃ 에서 물 함량 0.1% 미만으로 건조시켰다.
서브유닛 1 대 서브유닛 2 의 몰비:
실시예 1 내지 14, 51-55 및 58-60: 100:103; 실시예 15-35, 48-50 및 56-57: 100:102; 실시예 36-40: 100:105.
130℃-135℃ 에서 고체상의 DE4301801A1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건조시킨 후, PEBA 및 안정화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95 중량% 의 안정화제 혼합물을 PEBA 의 일부에 첨가하였다 (이하 "st" 로 나타냄).
제조된 PEBA 를 하기 표 1 에 요약한다. 서브유닛 1 의 몰 질량은 사용된 디카르복실산과 디아민의 몰비로부터 기인한다.
표 1: 제조된 PEBA
제조된 PEBA 를 압출물의 외관, 상대 점도 ηrel 및 융점 Tm 에 대해 조사하였다 (표 2 참조). 압출물의 외관: 시각적 검사. 점도: ISO 307. Tm: DSC, ISO 11357 로의 제 2 가열 단계.
표 2: 제조된 PEBA 의 속성
PA 12 또는 PA 11 에 기반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PEBA 를 또한 조사하였다. 이들은 Evonik (Vestamid®) 또는 Arkema (PEBAX®) 에서 입수가능하다.
제조된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의 시험
침착 시험
60 mm x 60 mm x 2 mm 로 측정되는 사출 성형된 플라크를 시험 시편으로서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로부터 제조하였다. 75℃ 에서 수증기 포화도를 갖는 밀폐된 용기에서 10 일의 시험 기간 동안 시험 시편을 저장한 후에 침착물의 형성을 확인하였다. 침착물은 4 점 척도 (0-3, 여기서 0 = 침착물 없음 및 3 = 무거운 침착물에 해당) 를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일부 시편의 경우, 침착 시험을 수행하지 않았다. 이 경우, 다음 표에는 항목이 작성되지 않는다.
반투명성의 결정
전술한 시험 시편의 반투명성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였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은 평가가 사용되었다 (반투명도 감소):
0 = 반투명성 ++
1 = 반투명성 +
2 = 반투명성 0
3 = 불투명/유백색, 반투명성 0
4 = 불투명/유백색, 반투명성 -
5 = 유백색-백색
헤이즈 값 측정
헤이즈 값은 투과된 광에서 물품을 통한 조명을 특정한다. 헤이즈 값은 Konica-Minolta CM-3600d 를 사용하여 ASTM 표준 D 1003 에 대한 60 x 60 x 2 mm 플라크에 의해 여기서 측정된다. 표본이 불투명/유백색 또는 심지어는 유백색-백색인 경우, 헤이즈 값의 측정은 보통 생략되었다.
표 3: PEBA 6.10-650 의 시험 결과 (비-발명)
일부 양호한 침착 시험 결과에도 불구하고, PEBA 6.10 의 시편은 불충분하게 낮은 반투명성을 나타낸다.
표 4: PEBA 6.13-650 의 시험 결과 (본 발명에 따름)
PEBA 6.13 은 침착 시험과 반투명성에 대한 요구 사항을 모두 충족한다.
표 5: PEBA 10.10-650 및 7.13-650 의 시험 결과 (비-발명)
PEBA 10.10 및 PEBA 7.13 의 시험 표본은 낮은 반투명성을 갖는 불투명/유색이거나 또는 (실시예 60) 증가된 침착물을 갖는 특정 투명성을 갖는다.
표 6: PEBA 10.13-650 의 시험 결과 (비-발명)
비-안정화된 및 안정화된 PEBA 10.13 둘 모두가 중간 내지 양호한 반투명성을 나타내지만, 이들 시편은 침착 시험을 통과하지 못한다.
표 7: PEBA 10.9-650 의 시험 결과 (본 발명에 따름)
PEBA 10.9 는 침착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고, 양호한 내지 중간 반투명성을 보인다.
표 8: PEBA 6.13-1000 의 시험 결과 (비-발명)
몰 질량이 1000 인 폴리에테르 서브유닛을 갖는 PEBA 6.13 은 유백색-백색 시험 시편을 생성한다. 대조적으로, 650 g/mol 의 폴리에테르 서브유닛을 갖는 PEBA 6.13 표본은 중간 내지 양호한 반투명성을 나타낸다 (실험 7 내지 14).
표 9: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PEBA 를 이용한 시험 결과
침착 시험은 PA 11 또는 PA 12 에 기반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PEBA 에 대한 중간 결과를 나타낸다. 대부분의 경우 반투명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표 10: PEBA 6.9-650, PEBA 7.10-650 및 5.12-650 의 시험 결과 (비-발명)
PEBA 6.9, PEBA 7.10 및 5.12 를 함유하는 시편은 불투명/유백색에서 유백색-백색 시험 시편을 나타낸다.
표 11: 7.12-650, 14-650 및 12.9-650 의 시험 결과 (본 발명에 따름)
PEBA 7.12, 7.14 또는 12.9 를 함유하는 시험 시편은 적은 내지 전혀 침착되지 않고 높은 투명성을 나타낸다.

Claims (14)

  1. 5 내지 15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형 지방족 디아민 및 6 내지 16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형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으로 구성되는 서브유닛 1, 및 에테르 산소 당 적어도 3 개의 탄소 원자 및 사슬 말단에 1 차 OH 기를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테르 디올로 구성되는 서브유닛 2 를 기반으로 하는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PEBA) 를 포함하는 성형 조성물로서, 디아민과 디카르복실산으로부터의 탄소 원자의 총 합이 홀수이고 19 또는 21 개의 탄소 원자이고; 서브유닛 2 의 수평균 몰 질량은 200 내지 900 g/mol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서브유닛 2 의 수평균 몰 질량이 400 내지 700 g/mol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서브유닛 1 의 수평균 몰 질량이 250 내지 4500 g/mol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서브유닛 1 의 수평균 몰 질량이 400 내지 2500 g/mol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에테르 디올이 폴리프로판-1,3-디올,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디아민의 탄소 원자의 수는 짝수이고, 산의 탄소 원자의 수는 홀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디아민과 디카르복실산으로부터의 탄소 원자의 총 합이 19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서브유닛 1 이 나일론-6,13, 나일론-10,9 및 나일론-12,9 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선형 지방족 디아민이 6 내지 12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디카르복실산이 6 내지 1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성형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된 물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이 몰딩, 필름, 강모 (bristle), 섬유 또는 발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된 물품.
  13. 제 11 항에 있어서, 압축 성형, 발포, 압출, 공압출, 블로우 성형, 3D 블로우 성형, 공압출 블로우 성형, 공압출 3D 블로우 성형, 공압출 흡입 블로우 성형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성형된 물품.
  14. 제 11 항에 있어서, 섬유 복합 구성요소, 신발 솔,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용 상부 시트, 매체용 라인, 안경 프레임, 디자인 물품, 밀봉 재료, 신체 보호, 절연 재료, 또는 필름이 제공된 하우징 부분으로 사용되는 성형된 물품.
KR1020217022106A 2018-12-19 2019-10-09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peba) 를 함유하는 성형 화합물 KR1025675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213932.9 2018-12-19
EP18213932 2018-12-19
PCT/EP2019/077424 WO2020126148A1 (de) 2018-12-19 2019-10-09 Formmasse enthaltend polyetherblockamid (peb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799A KR20210104799A (ko) 2021-08-25
KR102567593B1 true KR102567593B1 (ko) 2023-08-16

Family

ID=64746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2106A KR102567593B1 (ko) 2018-12-19 2019-10-09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peba) 를 함유하는 성형 화합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025118A1 (ko)
EP (1) EP3688067B1 (ko)
JP (1) JP7203980B2 (ko)
KR (1) KR102567593B1 (ko)
CN (1) CN113195593B (ko)
ES (1) ES2906430T3 (ko)
WO (1) WO20201261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1476A1 (en) * 2021-01-18 2022-07-21 Evonik Operations Gmbh Foamed articl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N115894904A (zh) * 2021-08-27 2023-04-04 上海凯赛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透明聚酰胺弹性体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2418A (ja) 2001-01-17 2002-07-31 Fuji Kasei Kogyo Co Ltd 熱可塑性ポリアミドエラストマー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69530B1 (ko) 2015-06-26 2018-06-22 아르끄마 프랑스 Tpe로의 직접 접착을 위한 peba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73021B1 (ko) * 1974-05-31 1977-03-11 Ato Chimie
JPS603178B2 (ja) * 1976-08-10 1985-01-26 コニカ株式会社 静電荷像現像用トナ−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2712987C2 (de) 1977-03-24 1981-09-24 Chemische Werke Hüls AG, 4370 Marl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hermoplastischen Polyetheresteramiden mit statistisch in der Polymerkette verteilten Einheiten der Ausgangskomponenten
CH642982A5 (de) * 1979-02-26 1984-05-15 Inventa Ag Polyaetherpolyamide.
JPS58206628A (ja) 1982-05-27 1983-12-01 Toray Ind Inc ポリエ−テルエステルアミドの製造方法
JPS61289120A (ja) * 1985-06-14 1986-12-19 Toray Ind Inc 弾性繊維およびその製法
JP3181374B2 (ja) * 1992-05-15 2001-07-03 富士化成工業株式会社 ポリアミドエラストマーの製造方法
DE4301801A1 (de) 1993-01-23 1994-07-28 Basf Ag Verfahren zur selektiven Adsorption von großen organischen Anionen
DE10201903A1 (de) * 2002-01-19 2003-07-31 Degussa Formmasse auf Basis von Polyetheramiden
FR2846332B1 (fr) 2002-10-23 2004-12-03 Atofina Copolymeres transparents a blocs polyamides et blocs polyethers
DE102004063220A1 (de) * 2004-12-29 2006-07-13 Degussa Ag Transparente Formmassen
FR2897355B1 (fr) 2006-02-16 2012-07-20 Arkema Copolymeres comportant des blocs polyamide et des blocs polyether, ayant des proprietes optiques et thermiques ameliorees
FR3047245B1 (fr) 2016-01-29 2018-02-23 Arkema France Mousse de copolymere a blocs polyamides et a blocs polyethers
FR3076834B1 (fr) * 2018-01-15 2020-08-21 Arkema France Composition thermoplastique elastomere - silicone
FR3083540B1 (fr) * 2018-07-03 2021-01-08 Arkema France Utilisation de mousses de peba pour le filtrage des vibra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2418A (ja) 2001-01-17 2002-07-31 Fuji Kasei Kogyo Co Ltd 熱可塑性ポリアミドエラストマー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69530B1 (ko) 2015-06-26 2018-06-22 아르끄마 프랑스 Tpe로의 직접 접착을 위한 peb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1012031A2 (pt) 2021-09-21
JP2022516002A (ja) 2022-02-24
WO2020126148A1 (de) 2020-06-25
ES2906430T3 (es) 2022-04-18
JP7203980B2 (ja) 2023-01-13
CN113195593A (zh) 2021-07-30
EP3688067B1 (de) 2021-12-01
EP3688067A1 (de) 2020-08-05
CN113195593B (zh) 2023-01-13
US20220025118A1 (en) 2022-01-27
KR20210104799A (ko) 202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7355B1 (ko) 반-결정성 반-방향족 폴리아마이드
KR101484320B1 (ko) 개선된 광학 특성을 갖는, 아미드 단위 및 에테르 단위를 포함하는 비정질 내지 반결정질 공중합체 기재의 혼화물 및합금
JP5384334B2 (ja) 光学的特性が改良されたアミド単位とエーテル単位とを有するコポリマー
JP5117408B2 (ja) 光学的特性が改良されたポリアミドブロックとポリエーテルブロックとを有するコポリマー
KR102567593B1 (ko)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peba) 를 함유하는 성형 화합물
EP3529018B1 (en) Filament compositions for fused filament fabrication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2617755A1 (en) Polyoxamide resin having excellent impact resistance and impact-resistant part
KR20220062337A (ko) 폴리에테르아미드 (pea) 를 함유하는 성형 조성물
BR112021012031B1 (pt) Composto de moldagem que contém amida em bloco de poliéter (peba), artigo moldado e seu uso
WO2014078125A1 (en) Copolyamide compositions
KR19980056774A (ko) 유연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의 제조방법
JPH041925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