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263B1 - 박하, 진피 및 의이인 정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박하, 진피 및 의이인 정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263B1
KR102567263B1 KR1020200168587A KR20200168587A KR102567263B1 KR 102567263 B1 KR102567263 B1 KR 102567263B1 KR 1020200168587 A KR1020200168587 A KR 1020200168587A KR 20200168587 A KR20200168587 A KR 20200168587A KR 102567263 B1 KR102567263 B1 KR 102567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sential oil
derived
oil derived
uiyii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9128A (ko
Inventor
김미려
이예지
Original Assignee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68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263B1/ko
Publication of KR20220079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9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2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4Mentha (m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4Coix (Job's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6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ountering cellulit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Abstract

본 발명은 박하, 진피 및 의이인 정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박하(Mentha haplocalyx) 유래 정유, 진피(Citrus unshiu peel) 유래 정유 및 의이인(Coicis Semen) 유래 정유 혼합물은 각각의 단독 또는 2종 혼합물 대비 지방세포의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현저하고, 지방세포의 분화 및 지방의 대사 조절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하는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비만 등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셀룰라이트 감소 또는 예방을 위한 용도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박하, 진피 및 의이인 정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treating or improving metabolic diseases containing essential oil mixture of Mentha haplocalyx, Citrus unshiu peel and Coicis Semen}
본 발명은 박하, 진피 및 의이인 정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이란 대사 장애로 인하여 지방이 체내에 과잉 축적된 상태로서, 칼로리 섭취가 성장과 신체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보다 초과되어 일어나는 열량 불균형 현상으로 야기되며, 대개 체내의 지방이 남자는 체중의 25%, 여자는 30%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특히 비만은 당뇨, 고지혈증, 심혈관계 질환 및 동맥경화증 등, 각종 대사성 질환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비만으로 인한 사망률의 증가는 대사성 질환, 담낭질환, 호르몬 감수성 암과 위장관 암 등에서 명확하게 나타나며, 비만은 또한 비치명적인 요통, 관절염, 불임 등의 신체적 질병과 정신·사회적 기능의 저하 등 정신적 질병의 위험성도 증가시킨다.
AMPK(AMP-activated protein kinase)는 catalytic α subunit, regulatory β 및 γ subunit로 구성되어 있는 serine/threonine kinase이다. 에너지 균형 조절자로서 지질과 포도당을 조절하여 당뇨와 비만의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AMPK는 에너지 소모로 유발된 AMP/ATP ratio의 증가에 따른 γ subunit의 AMP 결합이며, α subunit의 threonine residue Thr172 인산화와 allosteric activation 촉진에 의해 활성화가 유발된다. AMPK의 활성화는 포도당 생성 및 지방 생성을 감소시키며, ACC 및 포도당 산화의 불활성화를 통해 지방산과 같은 ATP 소비에서 활성 ATP 생산 과정으로 전환시킨다. 또한, AMPK의 활성화는 지방산 합성과 콜레스테롤 합성을 조절하는 ACC(acetyl-CoA carboxylase)를 인산화시킴으로서 ACC효소를 불활성화시킨다.
전지방세포에서 지방세포로 분화가 일어나는 과정은 세포형태의 변화, 유전자 발현의 변화, 호르몬 민감성의 변화 그리고 단백질 발현의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과정이다. 지방세포의 형성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조절 인자는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PPAR)s와 CAAT/enhancer binding protein(C/EBP)s로 알려져 있다. 분화가 시작되면 초기 전사 인자인 C/EBP-β, C/EBP-δ가 C/EBP-α와 PPAR-γ의 발현량을 증가시키며, 이는 최종적으로 lipoprotein lipase (LPL), leptin, adiponectin, fatty acid binding protein (FABP) 4와 같은 최종 마커들의 발현을 촉진시킨다.
셀룰라이트(cellulite)는 과도한 지방과 노폐물의 축적에 의한 순환장애로 피부가 거친 오렌지 껍질 같이 울퉁불퉁하게 되는 현상으로, 콜라겐과 엘라스틴이 존재하는 피부의 진피층 내에서 생성되며 여성에서 특히 빈번하게 발생한다. 셀룰라이트 비만은 피하 지방조직의 이상 누적 외에도 임파체계의 이상으로 임파액이 인체 조직 간극에 정체됨으로써 그 부위에 일종의 부종현상이 나타나 마치 살이 찐 것처럼 보이는 것으로, 체형 변화의 큰 요인이 된다. 조직 간극에 임파액이 정체되면 비만증과 같은 미용상의 문제뿐만 아니라 체내에 독성물질이 누적되어 피부세포에 악영향을 끼치고 세포의 영양섭취를 위한 이온화 활동을 저해하여 피부의 노화는 물론 세포의 괴사현상까지 유발하게 된다.
항비만 약물에 대한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sibutramine은 심혈관계 부작용으로 인하여 사용 금지되었고, 소장에서 지방분해 효소의 작용을 억제하여 지방흡수를 감소시키는 orlistat는 지방변, 복부불편감 등의 부작용이 있다. 최근에는 locaserine, bupropione-naltrexone, phentermine-topiramate가 비만치료 약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 중 가장 빈용 처방되는 locaserine은 sibutramine과 유사한 serotonin 활성 관련 약물로서 낮은 빈도의 두통, 오심, 현훈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비만과 같은 대사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천연 유래 성분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박하, 진피 및 의이인 정유 혼합 추출물이 비만과 같은 대사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에 대한 상승 효과가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110040호
본 발명의 목적은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셀룰라이트 감소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방 축적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지방 축적 억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다이어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박하(Mentha haplocalyx) 유래 정유; 진피(Citrus unshiu peel) 유래 정유 및 의이인(Coicis Semen) 유래 정유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박하(Mentha haplocalyx) 유래 정유; 진피(Citrus unshiu peel) 유래 정유 및 의이인(Coicis Semen) 유래 정유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박하(Mentha haplocalyx) 유래 정유; 진피(Citrus unshiu peel) 유래 정유 및 의이인(Coicis Semen) 유래 정유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박하(Mentha haplocalyx) 유래 정유; 진피(Citrus unshiu peel) 유래 정유 및 의이인(Coicis Semen) 유래 정유를 포함하는 셀룰라이트 감소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박하(Mentha haplocalyx) 유래 정유; 진피(Citrus unshiu peel) 유래 정유 및 의이인(Coicis Semen) 유래 정유를 포함하는 지방 축적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방 축적 억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다이어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박하(Mentha haplocalyx) 유래 정유, 진피(Citrus unshiu peel) 유래 정유 및 의이인(Coicis Semen) 유래 정유 혼합물은 각각의 단독 또는 2종 혼합물 대비 지방세포의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현저하고, 지방세포의 분화 및 지방의 대사 조절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하는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비만 등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셀룰라이트 감소 또는 예방을 위한 용도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및 의이인 유래 정유 혼합물의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및 의이인 유래 정유 혼합물의 3T3-L1 세포에서 지방축적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및 의이인 유래 정유 혼합물의 3T3-L1 세포에서 P-AMPK 및 AMPK 단백질 발현을 western blot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및 의이인 유래 정유 혼합물의 3T3-L1 세포에서 P-ACC 및 ACC 단백질 발현을 western blot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c)는 3T3-L1 세포에서의 CPT-1 단백질 발현을 western blot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
본 발명은 박하(Mentha haplocalyx) 유래 정유; 진피(Citrus unshiu peel) 유래 정유 및 의이인(Coicis Semen) 유래 정유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및 의이인 유래 정유는 각각 박하, 진피 및 의이인을 헥산(hexane)으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및 의이인 유래 정유는 박하 유래 정유 100중량부 기준 진피 유래 정유 20 내지 250 중량부, 의이인 유래 정유 20 내지 250 중량부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박하 유래 정유 100중량부 기준 진피 유래 정유 50 내지 200 중량부, 의이인 유래 정유 50 내지 200 중량부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 박하 유래 정유 100중량부 기준 진피 유래 정유 200 중량부, 의이인 유래 정유 10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의 예로는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증, 동맥경화증 또는 지방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만, 당뇨 또는 고콜레스테롤증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비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및 의이인 유래 정유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식품보조첨가제"란 식품에 보조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각 제형의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식품보조첨가제의 예로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포함되지만, 상기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식품보조첨가제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및 의이인 유래 정유를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건강기능식품에 함유될 수 있는 적절한 기타 보조 성분과 공지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한 즙, 차, 젤리 및 주스 등에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본 발명은 박하(Mentha haplocalyx) 유래 정유; 진피(Citrus unshiu peel) 유래 정유 및 의이인(Coicis Semen) 유래 정유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및 의이인 유래 정유는 각각 박하, 진피 및 의이인을 헥산(hexane)으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및 의이인 유래 정유는 박하 유래 정유 100중량부 기준 진피 유래 정유 20 내지 250 중량부, 의이인 유래 정유 20 내지 250 중량부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박하 유래 정유 100중량부 기준 진피 유래 정유 50 내지 200 중량부, 의이인 유래 정유 50 내지 200 중량부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 박하 유래 정유 100중량부 기준 진피 유래 정유 200 중량부, 의이인 유래 정유 10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의 예로는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증, 동맥경화증 또는 지방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만, 당뇨 또는 고콜레스테롤증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비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및 의이인 유래 정유는 지방세포의 분화 및 지방 생성을 억제하고, 지방 세포에서 AMPK, ACC 인산화를 유의적으로 증가시키고, CPT-1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지방 축적 억제 및 지방 대사 조절 효과를 나타내므로, 비만 등 대사성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실험예 2 내지 3 참조).
본 발명의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및 의이인 유래 정유는 임상 투여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 경피 투여, 국소 투여, 흡입 투여, 비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진피내 투여, 복강내 투여, 주사 및 피하 주사용 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투여되는 것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자, 산제, 과립제, 캡슐제, 트로키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하나 이상의 본 발명의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및 의이인 유래 정유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크림, 겔, 스프레이, 점적제(drops)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및 의이인 유래 정유의 인체에 대한 효과적인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약 0.01-1000 mg/kg/일이며, 바람직하게는 0.1-500 mg/kg/일 수 있고,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및 의이인 유래 정유 이외에 공지된 대사성 질환 치료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이들 질환의 치료를 위해 공지된 다른 치료와 병용될 수 있다.
셀룰라이트 감소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박하(Mentha haplocalyx) 유래 정유; 진피(Citrus unshiu peel) 유래 정유 및 의이인(Coicis Semen) 유래 정유를 포함하는 셀룰라이트 감소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및 의이인 유래 정유는 각각 박하, 진피 및 의이인을 헥산(hexane)으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및 의이인 유래 정유는 박하 유래 정유 100중량부 기준 진피 유래 정유 20 내지 250 중량부, 의이인 유래 정유 20 내지 250 중량부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박하 유래 정유 100중량부 기준 진피 유래 정유 50 내지 200 중량부, 의이인 유래 정유 50 내지 200 중량부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 박하 유래 정유 100중량부 기준 진피 유래 정유 200 중량부, 의이인 유래 정유 10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오일,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상기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및 의이인 유래 정유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물에 본 발명의 상기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및 의이인 유래 정유가 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및 의이인 유래 정유를 피부 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및 의이인 유래 정유는 천연 식물을 원료로 하므로 약학적, 식품 또는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할 경우에도 일반적인 합성 화합물에 비하여 부작용이 덜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게 약학적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건강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박하(Mentha haplocalyx) 유래 정유; 진피(Citrus unshiu peel) 유래 정유 및 의이인(Coicis Semen) 유래 정유를 포함하는 지방 축적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방 축적 억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다이어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세포배양 및 분화유도>
3T3-L1 세포주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CL-173TM)에서 구입하여 본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세포는 1%의 P/S가 포함된 10%의 BCS을 DMEM 배지에 37℃, 5% CO2배양기 (MCO-15AC, SANYO, Japan)에서 8일간 배양시킨 후, 배양액을 분화유도 배양액 (10% FBS, 5 ㎍/㎖ insulin, 2uM DEX, 111 ㎍/㎖ IBMX)으로 바꾸고 2일간 배양한다. 2일 후, 분화유도 배양액 (10% FBS, 5 ㎍/㎖ insulin)이 포함된 DMEM 배지로 교환해 주어 2일간 배양시킨 뒤, 마지막으로 insulin을 첨가하지 않은 10% FBS가 포함된 DMEM 배지로 배양하였다. 정유 혼합물의 각각의 농도는 (0.01, 0.02 및 0.03 ㎎/㎖) 배지 교체시기마다 함께 처리하였다.
<준비예 1> 박하 정유의 제조
박하(Mentha haplocalyx) 건조물 500g에 추출용매로 헥산(hexane) 5L를 가하여 상온에서 24시간동안 침출시켰고, 추출액은 여과지(Advantec No.2)로 여과하여 여액을 회수한 후, 걸러진 추재에 다시 동량의 용매를 가하여 총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상기 회수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박하의 정유 성분이 다량 함유된 추출물(박하 유래 정유)을 수득하였다.
<준비예 2> 진피 정유의 제조
상기 준비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진피(Citrus unshiu peel) 건조물 500g을 사용하여 진피의 정유 성분이 다량 함유된 추출물(진피 유래 정유)을 수득하였다.
<준비예 3> 의이인 정유의 제조
상기 준비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의이인(Coicis Semen) 건조물 500g을 사용하여 진피의 정유 성분이 다량 함유된 추출물(의이인 유래 정유)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박하, 진피 및 의이인 정유 혼합물의 제조
상기 준비예 1의 박하 유래 정유, 준비예 2의 진피 유래 정유 및 준비예 3의 의이인 유래 정유를 혼합하여, 박하, 진피 및 의이인 유래 정유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1과 같이 중량비를 달리하여,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박하, 진피 및 의이인 유래 정유의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구분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의이인 유래 정유
실시예 1 2 1 1
실시예 2 1 2 1
실시예 3 1 1 2
비교예 1 1 - -
비교예 2 - 1 -
비교예 3 - - 1
비교예 4 1 1 -
<실험예 1> 세포생존율 (MTT) 측정
박하, 진피, 의이인의 정유가 3T3-L1 세포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96well plate에서 각 정유를 각 농도 (0.01, 0.02 및 0.03 ㎎/㎖)별로 처리하여 MTT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세포에 정유 혼합물을 처리하고 24시간 배양 후, MTT 용액 60㎕를 넣어서 암실에서 2시간 반응시킨 뒤, DMSO를 200㎕를 가하였다. 흡광도는 ELISA reader (Sunrise, TECAN, Grodig, Austria)에,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모두 3개의 well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0.03 ㎎/㎖을 포함한 모든 농도에서 모두 세포 생존율이 80% 이상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3T3-L1 세포의 분화 및 지방축적 억제 확인
3T3-L1 세포에서 지방 축적에 정유 혼합물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Oil red O 염색을 수행하였다. 세포분화 중에서 정유 혼합물을 0.03 ㎎/㎖로 이틀에 한번씩 배지를 교환하며 처리 하였다. 8일 후 세포배양액 제거 후 DPBS로 3회 세척하고 cacodylate buffer (pH 7.2)로 4℃에서 세포를 2시간 고정시킨 후, 증류수로 세척하여 지방구를 Oil red O 염색시약으로 염색하였다. 40% Isopropyl alcohol로 3회 세척을 하고 현미경(CK2, Olympus, Japan)으로 관찰하였다. 염색된 지방세포의 지방함량 측정을 위해 건조시킨 후, 100% isopropyl alcohol로 지방을 추출하여 510㎚ 파장에서 분광광도계 (Sunrise, TECAN, Grodig, Austria)로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처리군의 지방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3의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또는 의이인 유래 정유 단독의 경우, 각각 90%, 82% 및 87%의 지방축적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비교예 4의 박하 및 진피 유래 정유 혼합물의 경우, 78%의 억제 활성을 보인 반면, 실시예 1 내지 3의 따른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및 의이인 유래 정유 혼합물의 경우, 각각 62%, 52% 및 60%의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즉,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또는 의이인 유래 정유 단독 또는 2종의 혼합물 대비 본 발명의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및 의이인 유래 정유 혼합물을 처리하는 경우, 현저한 지방 축적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생성 관련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확인
3T3-L1 전지방세포의 세포분화 및 성숙 지방세포의 지방생성에 관여하는 단백질 발현을 관찰하기 위하여, 대조군(CON), 양성대조군(FF) 및 비교예 1 내지 4 및 실시예 1 내지 3을 처리한 3T3-L1 세포를 대상으로 웨스턴 블랏(western blot)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분화유도 및 혼합물의 처치가 끝난 3T3-L1 세포에 RIPA buffer 200 ㎍/㎖을 넣어 균질화 시킨 다음 13,000 rpm, 4℃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추출액을 Bradford법을 사용하여 단백질을 정량한 뒤 25 ㎍을 12% Sodium dodecyl sulfate (SDS, BIO-RAD, USA)-PAGE에서 전기영동을 시킨 후 전개시킨 gel을 PVDF membrane (0.45㎜, Millipore, USA)으로 transfer하였다. 단백질이 전이된 membrane을 5% skim milk 처리하여 비 특이적인 단백질에 대한 blocking을 실시한 후 p-ACC, ACC, p-AMPK, AMPK (1:1000; dilution, Cell Signaling, USA), CPT-1 (1: 1000; dilution, abcam, USA) 및 β -actin (1:3000; dilution, Santa-Cruz Biotechnology, USA) 등의 단백질 항체를 4℃에서 각각 overnight 반응 처리하여 phosphatebuffered saline (PBS)에 0.1%의 Tween 20을 함유시킨 PBS-T로 세척 후 각각의 단백질 항체에 알맞은 2차 항체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membrane은 PBS-T로 수차례 세척 후 ECL (GE Healthcare, UK)시약을 처리하여 Lugen™Sensi-Q2000 Chemidoc (Lugen Scim Inc., Korea)을 이용하여 western band를 검출하였다.
에너지 대사 및 지방대사를 조절하는 pAMPK 및 AMPK의 단백 발현을 확인한 결과,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3의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또는 의이인 유래 정유 단독의 경우, 각각 0.5, 0.54 및 0.59로 pAMPK/AMPK의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며, 비교예 4의 박하 및 진피 유래 정유 혼합물의 경우, 0.64의 단백질 발현을 증가를 보인 반면, 실시예 1 내지 3의 따른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및 의이인 유래 정유 혼합물의 경우, 각각 1.05, 1.45 및 1.13으로 비교예 1 내지 3의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또는 의이인 유래 정유 단독 또는 2종의 혼합물 대비 현저히 우수한 pAMPK/AMPK 발현 증가가 나타났다.
또한, 지방산 합성과 콜레스테롤 합성을 조절하는 pACC 및 ACC의 단백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3의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또는 의이인 유래 정유 단독의 경우, 각각 0.55, 0.61 및 0.64로 pACC/ACC의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며, 비교예 4의 박하 및 진피 유래 정유 혼합물의 경우, 0.73의 단백질 발현을 증가를 보인 반면, 실시예 1 내지 3의 따른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및 의이인 유래 정유 혼합물의 경우, 각각 1.11, 1.39 및 1.27으로 비교예 1 내지 3의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또는 의이인 유래 정유 단독 또는 2종의 혼합물 대비 현저히 우수한 pACC/ACC 발현 증가가 나타났다.
또한, 지방산 산화 조절효소인 CPT(Carnitine palmitoyl transferase)-1 단백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3의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또는 의이인 유래 정유 단독의 경우, 각각 0.41, 0.49 및 0.55로 CPT-1/β-actin의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며, 비교예 4의 박하 및 진피 유래 정유 혼합물의 경우, 0.68의 단백질 발현을 증가를 보인 반면 실시예 1 내지 3의 따른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및 의이인 유래 정유 혼합물의 경우, 각각 0.84, 1.18 및 0.91로 비교예 1 내지 3의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또는 의이인 유래 정유 단독 또는 2종의 혼합물 대비 현저히 우수한 CPT-1/β-actin 발현 증가가 나타났다.
즉,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또는 의이인 유래 정유 단독 또는 2종의 혼합물 대비 본 발명의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및 의이인 유래 정유 혼합물을 처리하는 경우, 지방세포의 분화 및 지방의 대사 조절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발현을 현저하게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통계처리>
본 연구의 모든 실험 결과는 SPSS Statistics(ver. 11.0, SPSS Inc., Chicago, IL, USA) 이용하여 산출되었고, 결과는 mean±S.E. (standard error)로 표시하였다. 실험결과는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한 후,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 p<0.05 수준에서 각 실험군의 평균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히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박하(Mentha haplocalyx) 유래 정유 1 중량부 기준;
    진피(Citrus unshiu peel) 유래 정유 1.9-2.1 중량부; 및
    의이인(Coicis Semen) 유래 정유 0.9-1.1 중량부;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및 의이인 유래 정유는 각각 박하, 진피 및 의이인을 헥산(hexane)으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형태의 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6. 박하(Mentha haplocalyx) 유래 정유 1 중량부 기준;
    진피(Citrus unshiu peel) 유래 정유 1.9-2.1 중량부; 및
    의이인(Coicis Semen) 유래 정유 0.9-1.1 중량부;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및 의이인 유래 정유는 각각 박하, 진피 및 의이인을 헥산(hexane)으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식품은 각종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캔디류, 스넥류, 면류, 아이스크림, 유제품, 스프, 이온음료, 음료수, 알코올 음료, 껌, 차 및 비타민 복합제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11. 박하(Mentha haplocalyx) 유래 정유 1 중량부 기준;
    진피(Citrus unshiu peel) 유래 정유 1.9-2.1 중량부; 및
    의이인(Coicis Semen) 유래 정유 0.9-1.1 중량부;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2. 삭제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박하 유래 정유, 진피 유래 정유 및 의이인 유래 정유는 각각 박하, 진피 및 의이인을 헥산(hexane)으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5. 삭제
  16. 박하(Mentha haplocalyx) 유래 정유 1 중량부 기준;
    진피(Citrus unshiu peel) 유래 정유 1.9-2.1 중량부; 및
    의이인(Coicis Semen) 유래 정유 0.9-1.1 중량부;를 포함하는 지방 축적 억제용 조성물.
  17. 제16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다이어트 조성물.



KR1020200168587A 2020-12-04 2020-12-04 박하, 진피 및 의이인 정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567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587A KR102567263B1 (ko) 2020-12-04 2020-12-04 박하, 진피 및 의이인 정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587A KR102567263B1 (ko) 2020-12-04 2020-12-04 박하, 진피 및 의이인 정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128A KR20220079128A (ko) 2022-06-13
KR102567263B1 true KR102567263B1 (ko) 2023-08-16

Family

ID=81984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587A KR102567263B1 (ko) 2020-12-04 2020-12-04 박하, 진피 및 의이인 정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26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055B1 (ko) 2012-11-19 2015-04-08 대한민국 비만 및 지질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4692A (ko) * 2012-03-15 2013-09-25 김형준 산사육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110040B1 (ko) 2018-06-29 2020-05-1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토종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055B1 (ko) 2012-11-19 2015-04-08 대한민국 비만 및 지질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20 KFN INTERNATIONAL SYMPOSIUM AND ANNUAL MEETING [초록집], 219쪽, 2020년 10월 31일.
FOOD AND FUNCTION 제11권 제8호, 7217_7230쪽, 2020년 08월 01일.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제54권 제9호, 3254_3258쪽, 2006년 04월 08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128A (ko) 202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1256B1 (ko) 피부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
US10960040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uscle diseases or improving muscular function, containing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
KR101767248B1 (ko) 모루신, 구와논 지 또는 상백피를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US20210401916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uscular diseases or for improvement of muscle function containing 3,5-dicaffeoylquinic acid or chrysanthemum extract
KR101914441B1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67263B1 (ko) 박하, 진피 및 의이인 정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904501B1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3171A (ko) 까마중 추출물 또는 솔라소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50115414A (ko) 오미자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상처치유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12343B1 (ko) 마리안 플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항노화 및 보습용 조성물
JP2011032177A (ja) Kit切断抑制剤
KR20170025363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88569B1 (ko) 천궁 유래 정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502445B1 (ko) 자귀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76197B1 (ko) 수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저해용 조성물
KR102411895B1 (ko) 수선화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40052B1 (ko) 포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67752B1 (ko) 다이플렉트리아 바르바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5572B1 (ko) 고욤나무 잎 및 포도송이 줄기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55203A (ko) 남가새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4728570B2 (ja) レプチン産生抑制剤
KR20240054647A (ko) 대황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40054646A (ko) 야생딸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40054648A (ko) 궐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10127655A (ko) 참도박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