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550B1 -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6550B1
KR102566550B1 KR1020220049500A KR20220049500A KR102566550B1 KR 102566550 B1 KR102566550 B1 KR 102566550B1 KR 1020220049500 A KR1020220049500 A KR 1020220049500A KR 20220049500 A KR20220049500 A KR 20220049500A KR 102566550 B1 KR102566550 B1 KR 102566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roduction
delay time
playback
correction amount
connected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9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3542A (ko
Inventor
조인제
이대희
Original Assignee
애드커넥티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드커넥티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애드커넥티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9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6550B1/ko
Publication of KR20220053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5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6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the same content streams on multiple devices, e.g. when family members are watching the same movie on differ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5Synchronising client clock from received content stream, e.g. locking decoder clock with encoder clock, extraction of the PCR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4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g. by modifying time stamps or remapping the packet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81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temporal resolution, e.g. by frame ski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7Content authoring involving timestamps for synchronizing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재생 듀티 사이클동안 마스터 장치로부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 또는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장치를 포함한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 간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기 위해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를 참조하여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에 따라 상기 재생 동기화에 사용되는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슬레이브 장치가 각자 자신의 상태를 고려하여 다른 재생 지연 시간을 적용함으로써, 네트워크로 연결된 장치들 간에 재생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Method of display playback synchronization of digital contents in multiple connected device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레이브 장치가 각자 자신의 상태를 고려하여 다른 재생 지연 시간을 적용하고, 네트워크로 연결된 장치들 간에 재생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디오 콘텐츠 및 비디오 콘텐츠의 재생 싱크(playback synchronization)를 맞추기 위해서는 마스터 장치(master device)의 마스터 클락(master clock) 및 재생 지연 시간(playback delay time)이 조절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마스터 클락을 기준으로, 모든 슬레이브 장치(slave devices)의 로컬 클락(local clock)의 동기화가 이루어졌다. 또한, 슬레이브 장치마다 서로 다른 기계사양 및 가용 리소스(available resource) 상태를 고려하여, 마스터 장치가 보내준 재생 싱크 시간을 고려하여 디지털 콘텐츠 재생을 동기화하였다.
이러한 경우, 마스터 클락과 클락 편차(drift)가 큰 슬레이브 장치의 경우이거나 기계사양이 낮고 가용 리소스가 작은 슬레이브 장치는 한정된 재생 듀티 사이클 내에서 상대적으로 재생 싱크 가능한 시간이 짧아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서 슬레이브 장치의 상태를 고려하여, 슬레이브 장치마다 서로 다른 기준으로, 마스터 장치와 함께 재생 지연 시간을 조절하여, 재생 동기화 수행이 필요하다.
선행특허 1(KR 10-2017-0016413 A, 2017.02.13. 공개)는 재생 동기화 방법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제1 디바이스가 재생 스케줄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하고, 제2 디바이스도 재생 스케줄에 따른 재생이 가능하도록 제2 디바이스에 재생 스케줄을 전송하는 것이다. 선행특허 1에 따르면,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재생 중인 내용이 다른 디바이스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날 수 있게 된다.
선행특허 2(KR 10-2017-0044922 A, 2017.04.26)는 멀티스크린 장치간 콘텐츠 동기화 재생 방법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제 1 멀티 스크린 장치가 제 2 멀티 스크린 장치로 동기화를 위한 콘텐츠를 요청하고, 상기 제 2 멀티 스크린 장치가 제 1 멀티 스크린 장치로 콘텐츠 및 동기정보를 제공하면, 상기 동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멀티 스크린 장치에서 콘텐츠 동기화 재생을 수행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 1과 2를 살펴보면, 종래와 같이 어느 하나의 장치가 동기화 정보를 다른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복수의 장치가 콘텐츠 동기화를 하고 있을 뿐, 각 장치별로 서로 다른 기계사양과 가용 리소스와 같은 특성을 반영하면서 복수의 장치의 지연시간을 줄이고 있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슬레이브 장치가 각자 자신의 상태를 고려하여 다른 재생 지연 시간을 적용함으로써, 네트워크로 연결된 장치들 간에 재생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각 장치별로 서로 다른 기계사양과 가용 리소스로 인한 재생 지연 시간 차이를 고려하여 복수의 장치의 지연시간 차이를 트레이닝 기간을 통해 줄일 수 있는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커넥티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첫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재생 듀티 사이클동안 마스터 장치로부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 또는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장치를 포함한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 간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기 위해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를 참조하여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에 따라 상기 재생 동기화에 사용되는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커넥티드 장치는 상기 재생 듀티 사이클 동안 보정된 재생 지연 시간을 상기 마스터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재생 듀티 사이클 동안 입력된 사용자 피드백 신호를 상기 마스터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생 듀티 사이클은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프레임 레이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재생 지연 리스트에 포함된 재생 지연 시간들 간의 시간 차이는 상기 재생 듀티 사이클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 계산은 상기 마스터 장치를 포함한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 간의 차이를 최소화시키는 커넥티드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차이를 계산함으로써,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에서 재생 비동기화로 발생한 디지털 콘텐츠의 위치정보, 즉 타임 스탬프의 위치 정보를 변경하여 저장하고,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을 통해 조정된 위치의 타임 스탬프 정보로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함으로써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의 재생 동기화를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 적용 이후에는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로 부터 일정 듀티 사이클 마다 현재 재생중인 디지털 컨텐츠의 타임 스탬프에 대한 재생 지연 시간을 공유함으로써 재보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재생 듀티 사이클 동안에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로부터 재생 지연 시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재생 지연 시간 및 마스터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을 이용하여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를 이용하여 재생 싱크 타임 스탬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 또는 재생 동기화에 사용되는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상기 커넥티드 장치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생 동기화를 위한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는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 또는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 내에 있는 재생 지연 시간들 간의 시간 차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생 듀티 사이클은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프레임 레이트 또는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은 상기 재생 지연 시간을 수신한 마스터 장치를 포함한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기기의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 간의 차이를 최소화시키는 커넥티드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차이를 계산함으로써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마스터 장치가 재생 듀티 사이클 동안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로부터 재생 지연 시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재생 지연 시간 및 마스터 기기의 재생 지연 시간을 이용하여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를 이용하여 재생 싱크 타임 스탬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 또는 재생 동기화에 사용되는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상기 커넥티드 장치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이 상기 재생 듀티 사이클동안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 또는 재생 동기화에 사용되는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장치를 포함한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이 재생 동기화를 맞추기 위해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를 참조하여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장치와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이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에 따라 상기 재생 동기화에 사용되는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두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재생 듀티 사이클동안 마스터 장치로부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 또는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마스터 장치를 포함한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 간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기 위해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를 참조하여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을 계산하는 재생지연시간 보정량 계산부,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에 따라 상기 재생 동기화에 사용되는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보정하는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 보정부, 및 상기 보정된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커넥티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두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 예로서, 재생 듀티 사이클 동안에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로부터 재생 지연 시간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재생 지연 시간 및 마스터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을 이용하여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를 생성하는 재생지연시간 리스트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 또는 재생 동기화에 사용되는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상기 커넥티드 장치들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마스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두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재생 듀티 사이클동안 마스터 장치로부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 또는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마스터 장치를 포함한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 간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기 위해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를 참조하여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을 계산하는 재생지연시간 보정량 계산부,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에 따라 상기 재생 동기화에 사용되는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보정하는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 보정부, 및 상기 보정된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넥티드 장치 및 재생 듀티 사이클 동안에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로부터 재생 지연 시간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재생 지연 시간 및 마스터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을 이용하여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를 생성하는 재생지연시간 리스트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 또는 재생 동기화에 사용되는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상기 커넥티드 장치들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마스터 장치로 구성된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된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레이브 장치가 각자 자신의 상태를 고려하여 다른 재생 지연 시간을 적용함으로써, 네트워크로 연결된 장치들 간에 재생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장치별로 서로 다른 기계사양과 가용 리소스로 인한 재생 지연 시간 차이를 고려하여 복수의 장치의 지연시간 차이를 트레이닝 기간을 통해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들 간의 클락 정보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싱크를 맞추는 커넥티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싱크를 맞추는 마스터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티드 장치가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싱크를 맞추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스터 장치가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싱크를 맞추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그리고 그 이외의 제반 사항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마스터 장치(100)와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200, 제1 슬레이브 장치~제n 슬레이브 장치) 간에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동기화를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고 있다.
110 단계에서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200)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마스터 장치(100)로 재생 지연 시간 정보를 전송한다. 네트워크를 통해 슬레이브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 슬레이브 장치와 마스터 장치 사이에 무선 연결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200)는 커넥티드 장치가 될 수 있다. 상기 커넥티드 장치는 개념적으로 마스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슬레이브 장치의 재생 듀티 사이클은 재생하는 콘텐츠의 프레임 레이트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20 단계에서 마스터 장치(100)는 110 단계에서 수신한 재생 지연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슬레이브 장치(200)의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 및 재생 싱크 타임 스탬프를 생성한다.
130 단계에서 각 슬레이브 장치(200)는 마스터 장치(100)로부터 상기 생성된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 정보 및 재생 싱크 타임 스탬프를 수신한다.
140 단계에서 각 슬레이브 장치(200)는 마스터 장치(100)에서 수신한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 및 재생 듀티 사이클을 이용하여,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을 상기 재생 듀티 사이클 내에서 결정한다.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로부터 리스트에 있는 마스터 재생 지연 시간과 각각의 슬레이브 재생 지연 시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델타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가 생성될 수 있다.
150 단계에서 각 슬레이브 장치(200)는 130 단계에서 수신한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을 이용하여 보정한다.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 보정 이후에도 각 슬레이브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의 시간 차이는 재생 듀티 사이클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160 단계에서 각 슬레이브 장치(200)는 보정된 재생 싱크 타임 스탬프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한다.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간에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 이후, 사용자의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고, 재생 듀티 사이클 동안 피드백 신호의 송신이 이루어지면, 다수의 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간 지연없이 사용자 피드백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도 2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들 간의 클락 정보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마스터 장치는 마스터 클락(110)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하고, 슬레이브 장치는 각 슬레이브 로컬 클락(210, 220, 230, 및 240)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한다.
마스터 장치의 마스터 클락(110)에서 특정 디지털 콘텐츠가 재생되는 시점을 111로 표시하고, 각 슬레이브 장치의 슬레이브 로컬 클락(210 내지 240)을 기준으로 특정 디지털 콘텐츠가 재생되는 시점을 211, 221, 231, 241로 표시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클락 정보를 참조하면, 마스터 장치보다 제1 슬레이브 장치와 제4 슬레이브 장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가 빨리 재생되고, 제2 슬레이브 장치와 제3 슬레이브 장치는 늦게 재생되는 것을 나타낸다.
재생 지연 시간은 마스터 장치 및 슬레이브 장치들에서 재생 듀티 사이클 동안 재생된 디지털 콘텐츠의 타임 스탬프 정보를 고려하여 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마스터 장치 및 슬레이브 장치들은 각각의 클락 정보(210 내지 240)를 고려하여 재생 듀티 사이클 동안 재생된 디지털 콘텐츠의 타임 스탬프의 차이를 계산하여 재생 지연 시간을 계산한다.
즉, 재생 지연 시간은 하나의 재생 듀티 사이클 내에 존재하는, 또는 서로 다른 듀티 사이클에 존재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두 개의 타임 스탬프 (A), (B)를 고려하여 아래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서로 다른 듀티 사이클에 타임 스탬프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타임 스탬프 (A), (B) 차이값으로 어떤 듀티 사이클에서 디지털 콘텐츠 재생 동기화가 이루어져야 하는지 계산될 수 있다.
재생 지연 시간 = ((제n 슬레이브 로컬 클락(디지털 콘텐츠의 타임 스탬프(B) - 제n 슬레이브 로컬 클락(디지털 콘텐츠의 타임 스탬프(A)) - ((디지털 콘텐츠의 타임스탬프(B) - 디지털 콘텐츠의 타임스탬프(A))가 된다.
상기 타임 스탬프(A), (B)는 하나의 재생 듀티 사이클 내에 존재하며, B가 A보다 큰 값을 갖는 경우이다.
타임 스탬프는 디지털 콘텐츠에 포함된 시간으로, 비디오 디지털 콘텐츠의 경우 특정 프레임을 재생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제n 슬레이브 로컬 클락(디지털 콘텐츠의 타임 스탬프(B)는 디지털 콘텐츠의 타임 스탬프 (B)가 재생되는 로컬 클락을 의미하므로, 제n 슬레이브 로컬 클락(디지털 콘텐츠의 타임 스탬프(B) - 제n 슬레이브 로컬 클락(디지털 콘텐츠의 타임 스탬프(A)는 제n 슬레이브 장치에서 타임 스탬프(B)와 타임스탬프(A)를 재생한 로컬 클락의 차를 나타낸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의 타임스탬프(B) - 디지털 콘텐츠의 타임스탬프(A))는 타임스탬프(B)와 타임스탬프(A)의 절대적 시간 차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재생 지연 시간은 두 개의 타임스탬프의 로컬 클럭의 차에 타임스탬프의 차를 반영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마스터 장치는 일정한 재생 듀티 사이클마다 슬레이브 장치에서 수신한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 재생 지연 시간들 간의 시간 차이, 또는 델타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마스터 재생 지연 시간과 각각의 슬레이브 재생 지연 시간의 차이를 말한다. 또는 각 장치 간의 재생 지연 시간의 차이의 합을 가장 작게 만드는 버추얼 마스터 장치를 선정하고, 버추얼 마스터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과 각 슬레이브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의 차이로 계산된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 말한다. 이러한 경우, 재생 지연 시간을 보정하기 위한 버추얼 마스터 장치는 듀티 사이클 마다 변경될 수 있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생성한 후, 모든 슬레이브 장치로 브로드캐스팅한다. 이때, 브로드캐스팅은 재생 듀티 사이클마다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터 장치는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된 슬레이브 장치들이 재생 듀티 사이클 동안 재생 동기화의 문제가 없도록 재생 싱크 타임 스탬프(playback sync timestamp)를 계산하여 브로드캐스팅한다.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재생 싱크 타임 스탬프는 다음 재생 듀티 사이클 동안 디지털 콘텐츠에 재생 지연 시간을 적용하는 기준이 된다.
마스터 장치가 재생 싱크 타임 스탬프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이유는 각 슬레이브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몇 번의 재생 듀티 사이클 이후에 싱크를 맞추는 것이 효율적인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마스터 장치가 모든 슬레이브 장치들의 재생 지연 시간을 이용하여 모든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 차이를 계산하고, 계산된 재생 지연 시간 차이가 하나의 재생 듀티 사이클 내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재생 지연 시간 보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마스터 장치가 재생 싱크 타임 스탬프를 브로드캐스팅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러나 마스터 장치가 재생 싱크 타임 스탬프를 브로드캐스팅할 필요가 없다고 할지라도 슬레이브 장치들은 각자의 재생 지연 시간을 스트로브 신호를 통해 마스터 장치로 보내 마스터 장치가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슬레이브 장치는 수신한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 또는 델타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를 이용하여 슬레이브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을 계산한다.
슬레이브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의 계산은 마스터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이 아니라 각 슬레이브 장치에서 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제3 슬레이브 로컬 클락(230)을 통해 재생 지연 시간, 및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제3 슬레이브 장치의 제3 슬레이브 로컬 클락(230)을 살펴보면, 재생 지연 시간(232)이 해당 듀티 사이클을 벗어나 있다.
이때, 제3 슬레이브 장치는 마스터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을 계산하지 않고, 네트워크에 연결된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 차이 리스트 또는 델타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평균 재생 지연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계산된 평균 재생 지연 시간(233)과 각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232)과의 차(234)가 제3 슬레이브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235으로 적용될 수 있다.
각 슬레이브 장치에서는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 만큼 재생해야할 타임스탬프 정보를 보정해야 한다. 재생 시간 보정량이 큰 경우는, 재생 지연 시간이 큰 경우이므로, 다른 슬레이브 기기보다 이전의 디지털 컨텐츠의 타임 스탬프를 재생하고 있는 경우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재생할 디지털 컨텐츠를 다른 기기보다 미리 재생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현재의 디지털 컨텐츠의 재생 위치, 즉 타임스탬프를 변경하여 저장한 후, 재생한다.
그리고 일정 듀티 사이클마다, 이전에 계산된 타임스탬프와 현재 타임스탬프를 이용한 재생 로컬 클락을 계산, 재생 지연 시간을 계산하여 마스터 기기에 송신한다. 마스터 기기는 수신한 재생 지연 시간의 크기를 모니터링하여, 재생 동기화를 위한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송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평균 재생 지연 시간이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235)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터 장치도 슬레이브 장치에 적용된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과 동일한 보정량을 적용하게 되므로, 네트워크에 연결된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의 재생 시간 차이는 줄어들게 된다.
또한 이렇게 조정된 네트워크에 연결된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의 델타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에 있는 값들간의 모든 차이는 재생 듀티 사이클보다 보다 작아야 하고, 재생 듀티 사이클 내에서 조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재생 듀티 사이클 동안,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들간에 비동기적으로 재생시간의 시간 차이를 상대적으로 조정하므로, 다음 재생 듀티 사이클에서는 상대적인 시간 차이가 줄어들게 되고, 모든 장치들 간에 안정적으로 재생 동기화 수행이 가능하다.
이러한 조건을 이용하여, 마스터 장치는 재생 싱크 타임 스탬프(playback sync timestamp)를 설정할 수 있다.
제3 슬레이브 장치는 다른 장치들보다 긴 재생 지연 시간(232)을 가지므로, 마스터 장치가 선정한 재생 싱크 타임 스탬프에 콘텐츠 프레임을 동기화하여 재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가장 낮다. 따라서 다수의 장치들에서 콘텐츠 재생 동기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체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의 시간 차이의 평균값을 사용하여 각각의 슬레이브 장치마다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을 계산하고, 또한 계산된 값이 재생 듀티 사이클 내에서 재생 지연 시간에 반영되도록 한다. 제3 슬레이브 로컬 클락(230)의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235)이 재생 듀티 사이클을 벗어나는 경우, 재생 듀티 사이클 범위로 다시 조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스터 장치는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 조건을 반영하여, 미리 정의된 재생 듀티 사이클 내에서 재생 싱크 타임 스탬프를 선정할 수 있다. 제3 슬레이브 로컬 클락(230)의 재생 지연 시간(232) 보다 작은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235)이 적용되었고,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235)은 재생 듀티 사이클 내에서 조정된 경우이다.
따라서 제3 슬레이브 로컬 클락(230)의 경우 제1 재생 듀티 사이클의 재생 싱크 타임 스탬프로 재생하는 경우, 재생 지연 시간(235)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마스터 장치의 경우에도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을 적용하였으므로, 전체적인 델타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의 평균값은 줄어들게 된다.
재생 듀티 사이클은 재생할 콘텐츠의 해상도 및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듀티 사이클을 조절할 수 있다. 콘텐츠의 해상도가 높고, 많은 채널 정보를 포함한 경우, 네트워크 장치마다 특정 재생시간에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확률은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따라서 재생 콘텐츠의 해상도가 높고, 채널수가 많을수록 재생 듀티 사이클은 상대적으로 길게 마스터 장치에서 설정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2 재생 듀티 사이클은 제1 재생 듀티 사이클보다 길게 설정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재생 듀티 사이클 정의는 재생 콘텐츠의 프레임 레이트 및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마스터 장치에서 설정될 수 있다.
재생 싱크 타임 스탬프는 마스터 장치(100)가 설정한 각 슬레이브 장치의 재생 동기화 시간이다.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이 정해지면, 수신한 디지털 콘텐츠의 타임 스탬프 값의 조정이 필요하고, 제3 슬레이브 장치는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235)만큼 조정되어도, 다른 슬레이브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과의 차이가 발생한다.
그러나 제1 재생 듀티 사이클에서의 재생 지연 시간(235)은 이전의 재생 듀티 사이클에서 발생한 재생 지연 시간(232)보다 줄어들게 된다. 또한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에서의 시간 차이도 줄어들게 된다. 이후 상기 과정을 반복하면서 시간 차이가 일정 임계값을 만족하는 경우, 재생 동기화를 위한 트레이닝을 종료하거나 유보할 수 있다.
상기의 네트워크에 연결된 마스터 장치 또는 슬레이브 장치들 간의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 및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 보정은 지속적으로 재생 듀티 사이클마다 이루어져야 하는데, 동기화를 위해서는 모든 장치간에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을 계산하기 위한 트레이닝 기간이 필요하다.
이후에 마스터 장치는 재트레이닝이 필요한 경우에만 재생 듀티 사이클마다 수집하는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 또는 델타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를 선택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고, 슬레이브 장치는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 또는 델타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를 수신하는 경우에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 및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 보정을 적용할 수 있다.
마스터 장치가 선택적으로 트레이닝 기간에 브로드캐스팅을 결정하는 경우는, 모든 장치의 델타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의 시간 차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 차이가 재생 듀티 사이클을 초과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마스터 장치는 수신한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와 새로운 재생 싱크 타임 스탬프를 브로드캐스팅하여, 슬레이브 장치의 콘텐츠 재생을 다시 동기화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슬레이브 장치는 항상 미리 정해진 재생 듀티 사이클동안 슬레이브 장치에서 발생된 재생 지연 시간 또는 델타 재생 지연 시간 정보를 스트로브 신호로 마스터 장치에게 송신할 수 있다.
마스터 장치가 또 다른 선택적 브로드캐스팅을 결정하는 경우는 콘텐츠 프레임 레이트가 변경되는 경우이다. 통신상태가 좋지 않거나 인위적으로 콘텐츠 프레임 레이트가 조정되는 경우, 재생 듀티 사이클이 조정되어야 하고, 따라서 다수의 장치들간의 콘텐츠 재생 동기화를 위한 트레이닝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싱크를 맞추는 커넥티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싱크를 맞추는 커넥티드 장치는 수신부(300), 재생지연시간 보정량 계산부(310), 재생싱크 타임스탬프 보정부(320), 재생부(330), 및 전송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신부(300)는 재생 듀티 사이클동안 마스터 장치로부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 또는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수신한다. 상기 수신된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는 마스터 장치가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재생 지연 시간을 이용하여 생성한 것이다.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로부터 재생 지연 시간들 간의 시간 차이, 또는 델타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마스터 재생 지연 시간과 각각의 슬레이브 재생 지연 시간의 차이를 말한다) 등이 생성될 수 있다.
재생지연시간 보정량 계산부(310)는 상기 마스터 장치를 포함한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 간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기 위해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를 참조하여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을 계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이 마스터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을 이용하여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을 조정하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에 연결된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 차이 리스트 또는 델타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의 평균값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평균값과 각 슬레이브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과의 차이를 각 슬레이브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는 평균값을 이용하였으나 다른 통계값으로 대체될 수 있을 것이다.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를 계산하는 다른 실시예로서, 어느 하나의 커넥티드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을 기준으로 각 커넥티드 장치들과의 차이를 계산할 때 상기 차이의 합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기준 커넥티드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커넥티드 장치를 마스터 장치에서 결정하는 경우 마스터 장치가 각 슬레이브 장치로 재생 지연 시간 차이 리스트를 보내주면, 각 슬레이브 장치는 상기 재생 지연 시간 차이 리스트를 이용하여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을 계산할 수 있다.
반면, 상기 기준 커넥티드 장치를 각 슬레이브 장치에서 결정하는 경우 마스터 장치는 각 슬레이브 장치로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를 보내고, 각 슬레이브 장치가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를 참조하여 기준 커넥티드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재생싱크 타임스탬프 보정부(320)는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에 따라 상기 재생 동기화에 사용되는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보정한다.
재생부(330)는 상기 보정된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한다.
전송부(340)는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으로 보정된 재생 지연 시간을 상기 마스터 장치로 전송한다. 상기 재생 지연 시간을 마스터 장치로 전송하는 경우,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 적용 여부에 대한 플래그 정보를 반영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마스터 기기에서는 상기 슬레이브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의 적용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싱크를 맞추는 마스터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싱크를 맞추는 마스터 장치는 수신부(400), 재생지연시간 리스트 생성부(405), 재생지연시간 보정량 계산부(410), 재생싱크 타임스탬프 보정부(420), 재생부(430), 및 전송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신부(400)는 재생 듀티 사이클 동안에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로부터 재생 지연 시간을 주기적으로 수신한다.
재생지연시간 리스트 생성부(405)는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재생 지연 시간을 이용하여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를 생성한다.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로부터 재생 지연 시간들 간의 시간 차이, 또는 델타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마스터 재생 지연 시간과 각각의 슬레이브 재생 지연 시간의 차이를 말한다) 등이 생성될 수 있다.
재생지연시간 보정량 계산부(410)는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 간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기 위해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를 참조하여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을 계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이 마스터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을 이용하여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을 조정하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에 연결된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 차이 리스트 또는 델타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을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생싱크 타임스탬프 보정부(420)는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에 따라 상기 재생 동기화에 사용되는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보정한다.
재생부(430)는 상기 보정된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한다.
전송부(440)는 상기 생성된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 또는 재생 동기화에 사용되는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상기 커넥티드 장치들로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티드 장치가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싱크를 맞추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티드 장치가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싱크를 맞추는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커넥티드 장치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3에 도시된 커넥티드 장치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티드 장치가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싱크를 맞추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510 단계에서 슬레이브 장치는 네트워크에 연결 요청 신호를 마스터 장치에 요청한다.
520 단계에서 슬레이브 장치는 슬레이브 장치의 위치를 결정한다. 슬레이브 장치의 위치 정보는 각각의 슬레이브 장치에서 결정될 수도 있고, 마스터 장치에서 결정할 수 있다. 마스터 장치에 장착된 카메라 및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슬레이브 장치 위치 정보를 보정(calibration)할 수 있다.
530 단계는 슬레이브 장치는 재생 듀티 사이클동안 마스터 장치가 수집한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 델타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 정보또는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재생 듀티 사이클은 마스터 장치가 재생 콘텐츠의 프레임 레이트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 또는 델타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 정보 외에 로컬 클락 드리프트 리스트 또는 델타 로컬 클락 드리프트 리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 또는 재생 동기화에 사용되는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는 트레이닝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고, 슬레이브 장치는 재생 듀티 사이클 내에 디스플레이 재생 동기화에 사용되는 트레이닝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40 단계에서 슬레이브 장치는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playback-delay-time correction)을 계산한다. 슬레이브 장치들 간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기 위해 상기 트레이닝 데이터에 포함된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를 참조하여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을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마스터 장치는 마스터 장치의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의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을 계산한다.
550 단계에서 재생 듀티 사이클(playback-duty-cycle) 내에서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playback-delay-time correction)을 결정한다. 여기에서 클락 듀티 사이클은 재생 듀티 사이클보다 항상 짧다.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 조건을 이용하여 마스터 장치는 재생 콘텐츠의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550 단계에서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슬레이브 장치의 로컬 클락 드리프트 리스트 및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를 이용하여, 슬레이브 장치는 클락 듀티 사이클(clock-duty-cycle) 내에서 로컬 클락 보정량(local-clock correction)을 추가로 조정할 수 있다.
560 단계에서 슬레이브 장치는 550 단계에서 결정된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으로 타이머와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보정하여, 콘텐츠의 재생을 동기화한다.
570 단계는 슬레이브 장치에서 재생 듀티 사이클의 주기로 계산된 재생 지연 시간을 마스터 장치로 송신한다.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으로 보정된 재생 지연 시간을 상기 재생 듀티 사이클에 기초한 스트로브 신호에 포함하여 마스터 장치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80 단계에서 슬레이브 장치는 정해진 임계값의 만족 여부에 따라서, 재생 지연 시간 송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570 단계에서 계산된 재생 지연 시간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 520 단계 또는 530 단계로 진행할 수 있고, 570 단계에서 계산된 재생 지연 시간이 임계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 종료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수의 슬레이브 장치에서 사용자 피드백 신호를 마스터 장치에 전송하는 경우, 동일한 재생 듀티 사이클 구간내에서 전송함으로써, 다수의 장치에서 사용자 실시간 신호를 지연없이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스터 장치가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싱크를 맞추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티드 장치가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싱크를 맞추는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마스터 장치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4에 도시된 마스터 장치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마스터 장치가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싱크를 맞추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610 단계에서 마스터 장치는 네트워크에 연결 요청 신호를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수신한다.
620 단계에서 마스터 장치는 슬레이브 장치의 위치를 결정한다. 슬레이브 장치의 위치 정보는 각각의 슬레이브 장치에서 결정될 수도 있고, 마스터 장치에서 결정할 수 있다. 마스터 장치에 장착된 카메라 및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슬레이브 장치 위치 정보를 보정(calibration)할 수 있다.
630 단계에서 마스터 장치는 재생 콘텐츠의 프레임 레이트를 고려하여 재생 듀티 사이클을 결정한다. 상기 재생 듀티 사이클은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프레임 레이트 외에 채널 정보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640 단계는 마스터 장치는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재생 듀티 사이클의 주기로 계산된 재생 지연 시간을 수신한다.
650 단계에서 마스터 장치는 슬레이브 장치로 재생 듀티 사이클 동안 수집한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 델타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 정보또는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 또는 델타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 정보는 로컬 클락 드리프트 리스트 또는 델타 로컬 클락 드리프트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생 싱크 타임 스탬프는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 또는 상기 재생 듀티 사이클 내에 있는 재생 지연 시간들 간의 시간 차이, 즉 델타 재생 지연 시간 리트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는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 내에 있는 재생 지연 시간 간의 표준편차가 가장 작게 계산되는 타임스탬프를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로 결정할 수 있다.
660 단계에서 마스터 장치는 마스터 장치의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보정할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을을 계산한다.
670 단계에서 마스터 장치는 클락 듀티 사이클(clock-duty-cycle) 내에서 마스터 클락 보정량(local-clock correction)을 조정하거나, 재생 듀티 사이클(playback-duty-cycle) 내에서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playback-delay-time correction)을 결정한다. 여기에서 클락 듀티 사이클은 재생 듀티 사이클보다 항상 짧다.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 조건을 이용하여 마스터 장치는 재생 콘텐츠의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680 단계에서 마스터 장치는 670 단계에서 결정된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으로 타이머를 보정하고,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보정하여, 콘텐츠의 재생을 동기화한다.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모든 기능은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코딩된 소프트웨어나 프로그램 코드 등에 따른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과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코드의 설계, 개발 및 구현은 본 발명의 설명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의 모든 실시 예들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재생 듀티 사이클 동안 마스터 장치로부터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장치를 포함한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 간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기 위해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에 따라 상기 재생 동기화에 사용되는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의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평균 재생 지연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이 상기 계산된 평균 재생 지연 시간과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 각각의 재생 지연 시간과의 차를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 각각의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으로 적용하고,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의 계산은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이 아니라 각 슬레이브 장치에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단계를 반복하면서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에서의 시간 차이가 일정 임계값을 만족하는 경우, 재생 동기화를 위한 트레이닝을 종료하거나 유보하고,
    어느 하나의 커넥티드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을 기준으로 각 커넥티드 장치들과의 차이를 계산할 때, 상기 차이의 합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기준 커넥티드 장치를 결정하고,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이 재생 듀티 사이클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재생 듀티 사이클 범위로 다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듀티 사이클은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프레임 레이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방법.
  3. 재생 듀티 사이클 동안에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로부터 재생 지연 시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재생 지연 시간 및 마스터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을 이용하여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를 이용하여 재생 싱크 타임 스탬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상기 커넥티드 장치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평균 재생 지연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이 상기 계산된 평균 재생 지연 시간과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 각각의 재생 지연 시간과의 차를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 각각의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으로 적용하고,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의 계산은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이 아니라 각 슬레이브 장치에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단계를 반복하면서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에서의 시간 차이가 일정 임계값을 만족하는 경우, 재생 동기화를 위한 트레이닝을 종료하거나 유보하고,
    어느 하나의 커넥티드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을 기준으로 각 커넥티드 장치들과의 차이를 계산할 때, 상기 차이의 합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기준 커넥티드 장치를 결정하고,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이 재생 듀티 사이클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재생 듀티 사이클 범위로 다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듀티 사이클은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프레임 레이트 또는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방법.
  5. 마스터 장치가 재생 듀티 사이클 동안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로부터 재생 지연 시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재생 지연 시간 및 마스터 기기의 재생 지연 시간을 이용하여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를 이용하여 재생 싱크 타임 스탬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상기 커넥티드 장치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이 상기 재생 듀티 사이클동안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재생 동기화에 사용되는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장치를 포함한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이 재생 동기화를 맞추기 위해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장치와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이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에 따라 상기 재생 동기화에 사용되는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평균 재생 지연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이 상기 계산된 평균 재생 지연 시간과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 각각의 재생 지연 시간과의 차를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 각각의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으로 적용하고,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의 계산은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이 아니라 각 슬레이브 장치에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단계를 반복하면서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에서의 시간 차이가 일정 임계값을 만족하는 경우, 재생 동기화를 위한 트레이닝을 종료하거나 유보하고,
    어느 하나의 커넥티드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을 기준으로 각 커넥티드 장치들과의 차이를 계산할 때, 상기 차이의 합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기준 커넥티드 장치를 결정하고,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이 재생 듀티 사이클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재생 듀티 사이클 범위로 다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방법.
  6. 재생 듀티 사이클동안 마스터 장치로부터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마스터 장치를 포함한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 간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기 위해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을 계산하는 재생지연시간 보정량 계산부;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에 따라 상기 재생 동기화에 사용되는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보정하는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 보정부; 및
    상기 보정된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평균 재생 지연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이 상기 계산된 평균 재생 지연 시간과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 각각의 재생 지연 시간과의 차를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 각각의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으로 적용하고,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의 계산은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이 아니라 각 슬레이브 장치에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에서의 시간 차이가 일정 임계값을 만족하는 경우, 재생 동기화를 위한 트레이닝을 종료하거나 유보하고,
    어느 하나의 커넥티드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을 기준으로 각 커넥티드 장치들과의 차이를 계산할 때, 상기 차이의 합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기준 커넥티드 장치를 결정하고,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이 재생 듀티 사이클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재생 듀티 사이클 범위로 다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커넥티드 장치.
  7. 재생 듀티 사이클 동안에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로부터 재생 지연 시간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재생 지연 시간 및 마스터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을 이용하여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를 생성하는 재생지연시간 리스트 생성부;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를 참조하여 계산된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에 따라 재생 동기화에 사용되는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보정하는 재생싱크 타임스탬프 보정부; 및
    상기 재생 동기화에 사용되는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상기 커넥티드 장치들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평균 재생 지연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이 상기 계산된 평균 재생 지연 시간과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 각각의 재생 지연 시간과의 차를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 각각의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으로 적용하고,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의 계산은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이 아니라 각 슬레이브 장치에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에서의 시간 차이가 일정 임계값을 만족하는 경우, 재생 동기화를 위한 트레이닝을 종료하거나 유보하고,
    어느 하나의 커넥티드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을 기준으로 각 커넥티드 장치들과의 차이를 계산할 때, 상기 차이의 합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기준 커넥티드 장치를 결정하고,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이 재생 듀티 사이클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재생 듀티 사이클 범위로 다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마스터 장치.
  8. 재생 듀티 사이클동안 마스터 장치로부터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마스터 장치를 포함한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 간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기 위해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을 계산하는 재생지연시간 보정량 계산부;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에 따라 상기 재생 동기화에 사용되는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보정하는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 보정부; 및
    상기 보정된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넥티드 장치 및
    재생 듀티 사이클 동안에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로부터 재생 지연 시간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재생 지연 시간 및 마스터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을 이용하여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를 생성하는 재생지연시간 리스트 생성부;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를 참조하여 계산된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에 따라 상기 재생 동기화에 사용되는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보정하는 재생싱크 타임스탬프 보정부; 및
    상기 재생 동기화에 사용되는 재생 싱크 타임스탬프를 상기 커넥티드 장치들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마스터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평균 재생 지연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이 상기 계산된 평균 재생 지연 시간과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 각각의 재생 지연 시간과의 차를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들 각각의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으로 적용하고,
    상기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의 계산은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이 아니라 각 슬레이브 장치에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리스트에서의 시간 차이가 일정 임계값을 만족하는 경우, 재생 동기화를 위한 트레이닝을 종료하거나 유보하고,
    어느 하나의 커넥티드 장치의 재생 지연 시간을 기준으로 각 커넥티드 장치들과의 차이를 계산할 때, 상기 차이의 합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기준 커넥티드 장치를 결정하고,
    상기 재생 지연 시간 보정량이 상기 재생 듀티 사이클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재생 듀티 사이클 범위로 다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시스템.
  9. 제1 항 내지 제5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20049500A 2019-12-19 2022-04-21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566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500A KR102566550B1 (ko) 2019-12-19 2022-04-21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988A KR102390872B1 (ko) 2019-12-19 2019-12-19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0220049500A KR102566550B1 (ko) 2019-12-19 2022-04-21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988A Division KR102390872B1 (ko) 2019-12-19 2019-12-19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542A KR20220053542A (ko) 2022-04-29
KR102566550B1 true KR102566550B1 (ko) 2023-08-11

Family

ID=766267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988A KR102390872B1 (ko) 2019-12-19 2019-12-19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0220049500A KR102566550B1 (ko) 2019-12-19 2022-04-21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988A KR102390872B1 (ko) 2019-12-19 2019-12-19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908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1859A1 (ko) * 2021-02-26 2022-09-01 애드커넥티드 주식회사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N114143584B (zh) * 2021-09-29 2024-03-26 杭州当虹科技股份有限公司 在多终端之间实现同步播放的播出系统和方法
CN114339328B (zh) * 2021-12-31 2023-09-01 杭州当虹科技股份有限公司 时间戳同步服务实现方法和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207152A (ja) 2017-05-30 2018-12-2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同期制御装置及び同期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321B1 (ko) * 2009-09-17 2011-06-29 주식회사 디지털존 동기화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150026069A (ko) * 2013-08-30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재생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CN105917645A (zh) * 2014-10-28 2016-08-31 巴科公司 同步式媒体服务器和投影仪
KR20190118002A (ko) * 2018-04-09 2019-10-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비전 시스템 및 동기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207152A (ja) 2017-05-30 2018-12-2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同期制御装置及び同期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0872B1 (ko) 2022-04-26
KR20220053542A (ko) 2022-04-29
KR20210078985A (ko) 202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6550B1 (ko)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US11503366B2 (en) Dynamic playout of transition frames while transitioning between play out of media streams
US98325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media output devices connected on a network
JP6275326B2 (ja) 映像情報再生システム及び映像情報再生装置
JP7313445B2 (ja) 置換コンテンツの最後を被置換コンテンツの最後と揃えるのに役立つ置換コンテンツ再生における動的短縮
CN108366283B (zh) 多设备间的媒体同步播放方法
US20120050613A1 (en) Method of synchronization, corresponding system and device
KR100902013B1 (ko)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서의 동기화방법
KR20100064532A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오디오 및 비디오 동기화 장치 및 방법
CN111954050B (zh) 一种多设备间视频同步的方法及系统
JP7181989B2 (ja) 新規コンテンツを取得する際の予想待ち時間に基づくコンテンツ修正の事前準備
CN104284200A (zh) 多屏同步播放方法、系统及相关装置
CN113852824A (zh) 视频转码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4827681A (zh) 视频同步方法、装置、电子设备、终端设备及存储介质
KR20130099515A (ko) 키 프레임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말기의 장치 및 방법
CN107948703B (zh) 播放进度同步方法及装置
CN116156233A (zh) 一种显示画面同步方法、系统及电子设备
CN114697720B (zh) 自适应音视频rtp时间戳的同步方法和装置
TWI660628B (zh) 多設備間的媒體同步播放方法
KR102000212B1 (ko) 대화형 멀티 스트림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2017059966A (ja)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