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8002A - 멀티비전 시스템 및 동기화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비전 시스템 및 동기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8002A
KR20190118002A KR1020180041065A KR20180041065A KR20190118002A KR 20190118002 A KR20190118002 A KR 20190118002A KR 1020180041065 A KR1020180041065 A KR 1020180041065A KR 20180041065 A KR20180041065 A KR 20180041065A KR 20190118002 A KR20190118002 A KR 20190118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ynchronization
terminals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41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8002A/ko
Publication of KR20190118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0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6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the same content streams on multiple devices, e.g. when family members are watching the same movie on differ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15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involving a public display, viewable by several users in a public space outside their home, e.g. movie theatre, information kio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비전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단말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단말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방법은 복수 개의 단말 각각이 복수 개의 단말 각각의 위치에 기초하여 웹 서버로 콘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웹 서버가 복수 개의 단말 각각의 위치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단말 각각으로 분할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단계, 복수 개의 단말 중 제 1 단말이 제 1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동기화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동기화 서버가 제 1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로 보정하는 단계,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제 1 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단말들로 전송하는 단계, 나머지 단말들이 제 1 단말과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비전 시스템 및 동기화 방법 {Multivisio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본 발명은 멀티비전 시스템 및 동기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비전에서 동기를 맞추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공장소에서 광고를 위해 다수의 스크린을 인접 배열하여 대형 스크린을 구성하거나, 박물관 또는 전시회 등에서 전시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형태를 갖도록 스크린들을 배열하는 멀티비전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다.
멀티비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콘텐츠를 분할하여 각 스크린에 재생하고, 분할된 콘텐츠들을 하나의 콘텐츠처럼 느끼게 하기 위한 동기화 기술이 요구된다. 기존 멀티비전 시스템은 멀티비전을 구성하는 스크린들과 연결된 고성능 처리 장치가 각 스크린에 콘텐츠를 분할 재생하는 방법과, 각 스크린마다 전용 셋탑 박스를 연결하고 셋탑 박스에 저장된 분할 콘텐츠를 스크린에 표출하면서 네트워크를 통해서 콘텐츠 동기정보를 교환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모든 스크린을 고성능 처리장치에 연결하는 방법은 설치 비용이 높으며, 고성능 처리장치의 제한된 스크린 연결 인터페이스와 선의 길이 등으로 인해서 멀티비전의 확장이 어렵다. 또한, 다수의 멀티비전을 운용할 경우 콘텐츠 배포 및 제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반면에 각 스크린마다 전용 셋탑박스를 연결하는 방법은 구축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멀티비전의 확장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멀티비전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스트리밍 기반의 멀티비전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멀티비전 동기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DASH-SRD에 기초하여 멀티비전 동기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멀티비전 서비스의 설치 비용 감소 및 편의성 향상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가변적으로 멀티비전 스크린 규모를 조절하고, 콘텐츠를 배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멀티비전 시스템에 기초하여 제어 편의성을 향상 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독립적인 멀티비전 구축이 가능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DASH-SRD 표준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분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웹 브라우저 구동이 가능한 디지털 사이니지들에게 분할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고, 각 디지털 사이니지에게 스트리밍되는 콘텐츠간에 동기를 맞춤으로써, 일반 디지털 사이니지들을 인접 배열하여 대형 멀티비전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비전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단말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단말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방법은 복수 개의 단말 각각이 복수 개의 단말 각각의 위치에 기초하여 웹 서버로 콘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웹 서버가 복수 개의 단말 각각의 위치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단말 각각으로 분할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단계, 복수 개의 단말 중 제 1 단말이 제 1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동기화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동기화 서버가 제 1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로 보정하는 단계,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제 1 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단말들로 전송하는 단계, 나머지 단말들이 상기 제 1 단말과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단말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멀티비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멀티비전 시스템은 웹 서버, 동기화 서버 및 복수 개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단말 각각은 복수 개의 단말 각각의 위치에 기초하여 웹 서버로 콘텐츠를 요청하고, 웹 서버가 복수 개의 단말 각각의 위치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단말 각각으로 분할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고, 복수 개의 단말 중 제 1 단말이 제 1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동기화 서버로 전송하고, 동기화 서버가 제 1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로 보정하고,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제 1 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단말들로 전송하고, 나머지 단말들이 제 1 단말과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기화 서버가 복수 개의 단말로 스트리밍되는 콘텐츠에 대한 동기화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동기화를 수행하는 방법은 복수 개의 단말 중 제 1 단말로부터 제 1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 1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로 보정하는 단계,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제 1 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단말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단말 각각은 복수 개의 단말 각각의 위치에 기초하여 웹 서버로 콘텐츠를 요청하고, 웹 서버는 복수 개의 단말 각각의 위치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단말 각각으로 분할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고, 나머지 단말들은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단말과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마스터 단말이 슬레이브 단말들과 동기화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동기화를 수행하는 방법은 웹 서버로 콘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웹 서버로부터 마스터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분할된 콘텐츠를 스트리밍 받는 단계, 복수 개의 단말 각각이 복수 개의 단말 각각의 위치에 기초하여 웹 서버로 콘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제 1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동기화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슬레이브 단말들이 동기화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단말들과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슬레이브 단말들도 웹 서버로부터 슬레이브 단말들 각각의 위치에 기초하여 분할된 콘텐츠를 스트리밍 받고, 동기화 서버는 제 1 콘텐츠 정보를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로 보정하여 슬레이브 단말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음의 실시예들은 멀티비전 시스템, 동기화 서버, 마스터 단말 및 그에 대한 방법에서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단말은 마스터 단말이고, 나머지 단말들은 슬레이브 단말들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콘텐츠 동기화 정보는 제 1 단말이 재생 중인 콘텐츠의 현재 시간 정보 및 제 1 단말의 시스템 현재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기화 서버는 제 1 단말의 시스템 현재 시간 정보 및 동기화 서버의 시스템 현재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 지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기화 서버는 제 1 네트워크 지연 정보 및 제 1 단말이 재생 중인 콘텐츠의 현재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로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는 동기화 서버의 시스템 현재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나머지 단말들 각각은 자신의 시스템 현재 시간 정보와 동기화 서버의 시스템 현재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제 2 네트워크 지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나머지 단말들 각각은 제 2 네트워크 지연 정보 및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단말과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단말과의 동기화는 나머지 단말들이 나머지 단말들 각각이 재생 중인 콘텐츠의 현재 시간 정보와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비교하여 두 값의 차이가 임계값 이상이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나머지 단말들 각각은 제 1 단말과의 동기화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재생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비전 동기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DASH-SRD에 기초하여 멀티비전 동기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비전 서비스의 설치 비용 감소 및 편의성 향상을 위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변적으로 멀티비전 스크린 규모를 조절하고, 콘텐츠를 배포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비전 시스템에 기초하여 제어 편의성을 향상 시키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독립적인 멀티비전 구축이 가능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DASH-SRD 표준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분할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웹 브라우저 구동이 가능한 디지털 사이니지들에게 분할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고, 각 디지털 사이니지에게 스트리밍되는 콘텐츠간에 동기를 맞춤으로써, 일반 디지털 사이니지들을 인접 배열하여 대형 멀티비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멀티비전 시스템 구성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동기화를 수행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동기화 서버 없이 마스터 단말과 슬레이브 단말이 동기화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은 동기화 서버에 기초하여 콘텐츠 동기화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동기화 서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콘텐츠 동기화 흐름도를 나타낸 도며이다.
도 6은 멀티비전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는 단말에 대한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일 실시 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일 실시 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 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멀티비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멀티비전 시스템은 스트리밍 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다. 스트리밍 기반 멀티비전 시스템은 스트리밍 서버에 콘텐츠를 분할하여 저장하고, 멀티비전을 구성하는 각 스크린에 연결된 단말에 분할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방식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콘텐츠를 전부 내려받을 때까지 기다리지 않을 수 있으며, 단말의 저장공간을 차지하지 않기 때문에 콘텐츠 배포가 용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기반으로한 스트리밍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랫폼 독립적인 서비스가 가능하며 고가의 처리 장치 없이 PC등의 장치를 재활용할 수 있어 구축 비용이 저렴하며 확장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비전 시스템은 DASH-SRD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Spatial Relationship Description) 표준에 기초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DASH-SRD 표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다른 표준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반면, 스트리밍 기반의 멀티비전 서비스를 위해서는 하나의 콘텐츠를 분할하여 서로 다른 스크린으로 스트리밍하는 기술이 필요할 수 있다. 각 스크린에 스트리밍되는 콘텐츠들이 하나의 콘텐츠처럼 보이기 위해서 매우 낮은 스크린간 동기화 지연이 요구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스크린간의 동기 정보가 교환돼야 하며, 네트워크의 지연을 고려하여 동기 정보를 보정하는 기술이 필요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멀티비전 시스템의 동기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하기에서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를 단말로 지칭하지만, 명칭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각각의 단말들은 표지판, 간판, 사이니지(signage) 등일 수 있다. 즉, 단말들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치들을 지칭할 수 있으며, 특정 명칭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로 지칭한다.
도 1은 멀티비전 시스템에 대한 구성일 수 있다.
도 1은 멀티비전 시스템을 구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도 1에 기초하면 멀티비전 시스템은 콘텐츠 서버(10), 웹 서버(20), 동기화 서버(30), 마스터 단말(40) 및 슬레이브 단말(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슬레이브 단말(50)의 수에 기초하여 콘텐츠가 분할되는 수가 정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멀티비전 시스템은 DASH-SRD에 기초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멀티비전 시스템의 콘텐츠 서버는 서비스 콘텐츠와 콘텐츠 정보를 기록한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MPD는 DASH의 구성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웹 서버는 콘텐츠 서버(10)의 콘텐츠를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웹 서버(20)는 네트워크 망을 통해 콘텐츠를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말은 상술한 마스터 단말(40) 및 슬레이브 단말(50)일 수 있다. 또한, 동기화 서버(30)는 멀티비전 스크린 간의 동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단말 중 마스터 단말(40)이 동기화에 기준이 되는 단말일 수 있다. 슬레이브 단말(50) 또는 슬레이브 단말들(50)은 마스터 단말과 동기를 맞추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콘텐츠 서버(10)는 멀티비전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서버(10)는 멀티비전을 구성하는 스크린의 개수에 맞게 원본 콘텐츠를 분할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단말 및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멀티비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다양한 해상도와 비트율을 갖도록 콘텐츠를 인코딩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콘텐츠 서버(10)는 멀티비전을 구성하는 스크린 개수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알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서버(10)는 멀티비전을 구성하는 스크린 개수에 대한 정보를 마스터 단말(40)로부터 피드백 받을 수 있다. 일 예로, 마스터 단말(40)은 네트워크망을 통해 슬레이브 단말들(50)의 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정보를 콘텐츠 서버(10)로 피드백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피드백 정보를 줄이기 위해 콘텐츠 서버(10)와 마스터 단말(40)은 스크린 수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마스터 단말(40)는 리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작은 정보로서 피드백 정보를 콘텐츠 서버(10)로 제공할 수 있고, 콘텐츠 서버(10)는 이를 통해 멀티비전의 수를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콘텐츠 서버(10)는 콘텐츠 분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콘텐츠는 다시 재생 가능한 최소의 단위인 세그먼트로 분할될 수 있다. 이때, HTTP를 기반으로 단말이 요청하는 세그먼트를 전송하기 위해서 각 세그먼트의 번호,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해상도, 비트율 그리고 원본 콘텐츠에서의 공간적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MPD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즉, MPD 파일은 콘텐츠의 세그먼트 전송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웹 서버(20)는 콘텐츠 서버(10)가 생성한 콘텐츠와 MPD를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이 세그먼트를 요청하면 웹 서버(20)는 해당 콘텐츠를 HTTP를 기반으로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세그멘트를 요청하는 단말은 마스터 단말(40)일 수 있다. 또한, 마스터 단말(40) 및 슬레이브 단말들(50) 각각은 세그멘트를 요청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단말은 콘텐츠 선택 정보, 품질 결정 정보 및 동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피드백 할 수 있다. 단말은 MPD 파일을 참고하여 분할된 콘텐츠 중 자신이 재생할 영역을 선택하고 화면 크기 정보, 단말 처리 능력 정보 및 네트워크 대역폭에 적합한 품질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단말(40)은 다른 스크린들과의 콘텐츠 동기화를 위해서 현재 자신이 재생하고 있는 콘텐츠의 동기화 정보를 동기화 서버(30)에게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슬레이브 단말(50)은 동기화 서버로부터 마스터 단말(40)의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고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지연을 보정한 후, 자신과 마스터 단말(40)의 동기가 어긋났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슬레이브 단말(50)은 동기가 어긋났으면, 마스터 단말의 동기 정보에 따라 콘텐츠의 재생 시간을 조절 하여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동기화 서버(30)는 마스터 단말(40)로부터 주기적으로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고, 네트워크에서 지연을 보정한 후 슬레이브 단말(50)에게 마스터 단말(40)의 동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동기화를 수행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를 참조하면, 각 스크린에서 재생되는 분할 콘텐츠들이 결합해서 하나의 완성된 콘텐츠처럼 보이기 위해서는 각 스크린에서 재생되는 분할 콘텐츠들간에 매우 낮은 재생 동기화 지연이 요구된다. 재생 동기화 지연은 단말 성능 및 상태에 따른 콘텐츠 재생 시작 시간의 차이, 네트워크 대역폭 저하에 의한 버퍼링에 의해서 발생하며 재생 동기화 지연을 줄이기 위해서는 먼저 각 스크린의 콘텐츠 재생 시간을 모니터링하여 동기가 어긋나는지를 판단하고 동기가 어긋났을 경우 콘텐츠의 재생 시간을 조절해서 동기를 맞춰야 한다. 도 2는 DASH-SRD 기반 멀티비전 시스템을 위해 제안하는 콘텐츠 동기화 동작 구조를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는, 동기화 서버(30)는 모니터링 모듈(31), 동기 연산 모듈(32) 및 동기 제어 모듈(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모니터링 모듈(31)은 마스터 단말(40)이 전송하는 동기화 정보를 수집해서 동기 연산 모듈(32)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동기 연산 모듈(32)은 네트워크 지연을 보정한 동기화 정보를 계산하여 동기 제어 모듈(33)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동기 제어 모듈(33)은 보정된 마스터의 동기 정보를 슬레이브 단말(5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즉, 동기화 서버는 마스터 단말(40)로부터 수신한 동기화 정보를 이용하여 동기화 정보를 계산하고, 이를 슬레이브 단말(5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마스터 단말(40)은 피드백 모듈(41)과 재생 모듈(4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재생 모듈(42)은 웹서버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재생하고, 피드백 모듈(41)은 재생 중인 콘텐츠의 동기화 정보를 모니터링 모듈(42)에게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송 주기는 콘텐츠에 대한 해상도, 비트율 등과 같이 콘텐츠에 대한 정보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슬레이브 단말(50)은 모니터링 모듈(51), 동기 연산 모듈(52), 동기 판단 모듈(53) 및 재생 모듈 (5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모니터링 모듈(51)은 동기화 서버(30)의 동기 제어 모듈(33)로부터, 보정된 마스터 단말의 동기 정보를 수집하여 동기 연산 모듈(52)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동기 연산 모듈(52)은 네트워크 지연을 반영한 동기화 정보를 동기 판단 모듈(53)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동기 판단 모듈(53)은 마스터 단말(40)과의 동기가 어긋났는지를 판단하고 동기가 어긋났을 경우 동기화 정보를 재생 모듈(54)에게 전달할 수 있다. 재생 모듈(54)은 수신한 동기화 정보를 기반으로 콘텐츠의 재생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동기화 서버 없이 마스터 단말과 슬레이브 단말이 동기화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마스터 단말(40)은 피드백 모듈(41) 및 재생 모듈(4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슬레이브 단말(50)은 모니터링 모듈(51), 동기 연산 모듈(52), 동기 판단 모듈(53) 및 재생 모듈(5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마스터 단말(40)은 동기화 서버없이 슬레이브 단말들(50-1, 50-2, 50-3)으로 동기화 정보를 직접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마스터 단말(40)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방식을 통해 복수의 슬레이브 단말들(50-1, 50-2, 50-3)에게 동기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마스터 단말(40)의 피드백 모듈(41)이 슬레이브 단말들(50-1, 50-2, 50-3)의 모니터링 모듈(51-1, 51-2, 51-3)로 피드백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슬레이브 단말들(50-1, 50-2, 50-3)은 동기화 서버(30)의 동기 연산 모듈(32) 및 동기 제어 모듈(330)에서 수행하던 기능을 직접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슬레이브 단말들(50-1, 50-2, 50-3) 각각의 동기 연산 모듈(52-1, 52-2, 52-3)은 동기화 서버(30)가 수행하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동기화 서버(30)가 존재하는 경우, 동기화 서버(30)는 마스터 단말(4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연산을 통해 보정된 동기화 정보를 생생하고, 이를 각각의 슬레이브 단말들(50-1, 50-2, 50-3)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슬레이브 단말들(50-1, 50-2, 50-3)은 보정된 정보를 일괄적으로 받을 수 있는바, 동기화의 정확도가 높을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동기화 서버(30)가 없는 경우, 각각의 슬레이브 단말들(50-1, 50-2, 50-3)은 마스터 단말(40)들로부터 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직접 보정된 동기화 정보를 생성하여 재생 모듈에 반영할 수 있다. 이때, 각각 연산을 수행하는바,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으나, 마스터 단말(40)과의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바,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즉, 상술한 방법들을 통해, 마스터 단말(40)과 슬레이브 단말들(50-1, 50-2, 50-3)은 멀티비전 재생을 위한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은 동기화 서버에 기초하여 콘텐츠 동기화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동기화 서버는 마스터 단말의 동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 대기하고, 마스터 단말은 콘텐츠 재생이 시작되면 동기 정보를 주기적으로 동기화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동기화 정보는 재생 중인 콘텐츠의 현재 재생 시간 정보(프레임 번호 또는 재생 시간)와 네트워크 지연 계산을 위한 시스템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동기화 서버는 동기 정보를 수신하면, 현재의 시스템 시간과 동기 정보에 기록된 시스템 시간의 차를 계산하여 동기 정보 송신 중에 발생한 네트워크 지연을 계산하고, 마스터 단말 콘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에 네트워크 지연을 더해서 동기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동기화 서버의 동기 제어 모듈은 보정된 재생 시간 정보와 네트워크 지연 계산을 위한 시스템 시간을 포함한 보정된 동기 정보를 슬레이브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슬레이브 단말은 보정된 동기 정보를 수신하면 현재의 시스템 시간과 동기 정보에 기록된 동기화 서버의 시스템 시간의 차를 계산하여 동기 정보 송신 중에 발생한 네트워크 지연을 계산하고 보정된 재생 시간 정보에 네트워크 지연을 더해서 동기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동기 판단 모듈은 보정된 마스터 단말의 콘텐츠 재생 시간 정보를 슬레이브 단말의 콘텐츠 재생 시간과 비교하여 두 시간의 차이가 임계값을 넘어가면 슬레이브 단말의 콘텐츠 재생 시간을 보정된 마스터 단말의 재생 시간에 맞춰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동기화 서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콘텐츠 동기화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마스터 단말의 동기 정보를 슬레이브 단말들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동기 정보는 주기적으로 슬레이브 단말들로 전송될 수 있다. 동기화 정보는 재생 중인 콘텐츠의 현재 재생 시간 정보(프레임 번호 또는 재생 시간)와 네트워크 지연 계산을 위한 시스템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슬레이브 단말들은 동기 정보를 수신하면 현재의 시스템 시간과 동기 정보에 기록된 시스템 시간의 차를 계산하여 동기 정보 수신 중에 발생한 네트워크 지연을 계산하고, 마스터 단말 콘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에 네트워크 지연을 더해서 동기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슬레이브 단말들은 보정된 재생 시간 정보와 네트워크 지연 계산을 위한 시스템 시간을 포함한 보정된 동기 정보를 통해 콘텐츠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슬레이브 단말은은 보정된 동기 정보를 계산하여 현재의 시스템 시간과 시스템 시간 차 정보를 계산하여 동기 정보 수신 중에 발생한 네트워크 지연을 계산하고 보정된 재생 시간 정보에 네트워크 지연을 더해서 동기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슬레이브 단말들은 슬레이브 단말의의 콘텐츠 재생 시간과 비교하여 두 시간의 차이가 임계값을 넘어가면 콘텐츠 재생 시간을 보정된 마스터 단말의 재생 시간에 맞춰 조절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를 통해, 고성능 처리 장치없이 웹브라우저가 동작하는 저사양 단말들을 이용해서 멀티비전 시스템 구성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멀티비전 구축 비용이 감소하고 확장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스트리밍 기반으로 콘텐츠를 제공하기 때문에 콘텐츠의 배포 및 제어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은 멀티비전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멀티비전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단말 각각은 복수 개의 단말 각각의 위치에 기초하여 웹 서버로 콘텐츠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S610) 이때, 도 1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멀티비전 시스템은 콘텐츠 서버, 웹 서버, 동기화 서버, 마스터 단말 및 슬레이브 단말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복수 개의 단말들은 마스터 단말과 슬레이브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마스터 단말과 슬레이브 단말들은 상대적 위치에 대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즉, 마스터 단말과 슬레이브 단말들은 신호 교환을 통해 상대적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 정보에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에 맞는 분할된 콘텐츠를 웹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마스터 단말 및 슬레이브 단말들은 자신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을 웹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웹 서버는 마스터 단말 및 슬레이브 단말들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각각의 분할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각각의 단말들은 자신의 위치 정보 또는 다른 단말들과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웹 서버가 복수 개의 단말 각각의 위치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단말 각각으로 분할된 콘텐츠를 스트리밍할 수 있다.(S620) 이때, 도 1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단말들에 대한 정보는 웹 서버로 피드백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콘텐츠 스트리밍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동기화 작업이 필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복수 개의 단말 중 제 1 단말이 제 1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동기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630) 이때, 도 1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단말은 마스터 단말일 수 있다. 마스터 단말은 자신이 재생 중인 콘텐츠에 대한 현재 시간 정보 및 마스터 단말의 시스템 현재 시간 정보를 상술한 제 1 콘텐츠 동기화 정보에 포함시켜 동기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마스터 단말은 재생 중인 콘텐츠 정보와 함께 시스템 시간 정보로서 기준 시간에 대한 정보를 동기화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기화 서버는 제 1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제 2 콘텐츠 정보로 보정할 수 있다.(S640) 이때, 도 1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동기화 서버는 마스터 단말의 시스템 현재 시간 정보 및 동기화 서버의 시스템 현재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 지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스템 현재 시간 정보는 절대적인 값을 가지는 정보로서 동기화 서버 및 마스터 단말 사이에서 기준이 되는 시간 정보일 수 있다. 이때, 마스터 단말이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를 동기화 서버로 전송하는바 지연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정보를 상술한 시스템 현재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 지연 정보로서 도출할 수 있다. 이때, 동기화 서버는 제 1 네트워크 지연 정보 및 마스터 단말이 재생 중인 콘텐츠의 현재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로 보정할 수 있다. 즉, 마스터 단말이 재생 중인 콘컨텐츠의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동기화 정보로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는 동기화 서버에 대한 시스템 현재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기화 서버는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제 1 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단말들로 전송할 수 있다. (S650) 이때, 도 1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동기화 서버는 슬레이브 단말들로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슬레이브 단말들 각각은 자신의 시스템 현재 시간 정보와 동기화 서버의 현재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제 2 네트워크 지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기준이 되는 시간 정보를 통해 신호 전송에 기초한 지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슬레이브 단말들 각각은 제 2 네트워크 지연 정보 및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이용하여 마스터 단말과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마스터 단말과의 동기화는 슬레이브 단말들 각각이 재생 중인 콘텐츠의 현재 시간 정보와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비교하여 두 값의 차이가 임계값 이상이면 될 수 있다. 이때, 임계값은 동기화 수행을 위한 기준 값으로서 변경되어 설정될 수 있으며, 일정한 오차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나머지 단말들이 제 1 단말과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S660) 이때, 도 1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나머지 단말들은 슬레이브 단말들이고, 제 1 단말은 마스터 단말이며, 슬레이브 단말은 상술한 방법을 통해 재생되는 콘텐츠의 재생 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동기화를 완료할 수 있다.
도 7은 단말에 대한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100)은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110),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20) 및 송신부(110)와 수신부(120)를 제어하는 프로세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말(100)은 송신부(110) 및 수신부(12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외부 디바이스는 기지국 및 다른 단말 장치 등 그 밖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단말은 다른 추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도 7에서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만을 서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명세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콘텐츠 서버
20 : 웹 서버
30 : 동기화 서버
40 : 마스터 단말
50 : 슬레이브 단말

Claims (20)

  1. 멀티비전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단말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단말 각각이 상기 복수 개의 단말 각각의 위치에 기초하여 웹 서버로 콘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웹 서버가 상기 복수 개의 단말 각각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단말 각각으로 분할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단말 중 제 1 단말이 제 1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동기화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동기화 서버가 제 1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로 보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단말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나머지 단말들이 상기 제 1 단말과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스트리밍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은 마스터 단말이고,
    상기 나머지 단말들은 슬레이브 단말들인, 콘텐츠 스트리밍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콘텐츠 동기화 정보는 상기 제 1 단말이 재생 중인 콘텐츠의 현재 시간 정보 및 상기 제 1 단말의 시스템 현재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스트리밍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서버는
    상기 제 1 단말의 시스템 현재 시간 정보 및 상기 동기화 서버의 시스템 현재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 지연 정보를 획득하는, 콘텐츠 스트리밍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서버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지연 정보 및 상기 제 1 단말이 재생 중인 콘텐츠의 현재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상기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로 보정하되,
    상기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는 상기 동기화 서버의 시스템 현재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스트리밍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단말들 각각은 자신의 시스템 현재 시간 정보와 상기 동기화 서버의 시스템 현재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제 2 네트워크 지연 정보를 획득하는, 콘텐츠 스트리밍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단말들 각각은 상기 제 2 네트워크 지연 정보 및 상기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단말과 동기화를 수행하는, 콘텐츠 스트리밍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과의 동기화는 상기 나머지 단말들 각각이 재생 중인 콘텐츠의 현재 시간 정보와 상기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비교하여 두 값의 차이가 임계값 이상이면 수행되는, 콘텐츠 스트리밍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단말들 각각은 상기 제 1 단말과의 동기화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재생 시간을 조절하는, 콘텐츠 스트리밍 방법.
  10. 복수 개의 단말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멀티비전 시스템에서 있어서,
    웹 서버;
    동기화 서버; 및
    복수 개의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단말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단말 각각의 위치에 기초하여 웹 서버로 콘텐츠를 요청하고,
    상기 웹 서버가 상기 복수 개의 단말 각각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단말 각각으로 분할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고,
    상기 복수 개의 단말 중 제 1 단말이 제 1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동기화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동기화 서버가 상기 제 1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로 보정하고,
    상기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단말들로 전송하고, 및
    상기 나머지 단말들이 상기 제 1 단말과 동기화를 수행하는, 콘텐츠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은 마스터 단말이고,
    상기 나머지 단말들은 슬레이브 단말들인, 콘텐츠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콘텐츠 동기화 정보는 상기 제 1 단말이 재생 중인 콘텐츠의 현재 시간 정보 및 상기 제 1 단말의 시스템 현재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서버는
    상기 제 1 단말의 시스템 현재 시간 정보 및 상기 동기화 서버의 시스템 현재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 지연 정보를 획득하는, 콘텐츠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서버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지연 정보 및 상기 제 1 단말이 재생 중인 콘텐츠의 현재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상기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로 보정하되,
    상기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는 상기 동기화 서버의 시스템 현재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단말들 각각은 자신의 시스템 현재 시간 정보와 상기 동기화 서버의 시스템 현재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제 2 네트워크 지연 정보를 획득하는, 콘텐츠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단말들 각각은 상기 제 2 네트워크 지연 정보 및 상기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단말과 동기화를 수행하는, 콘텐츠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과의 동기화는 상기 나머지 단말들 각각이 재생 중인 콘텐츠의 현재 시간 정보와 상기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비교하여 두 값의 차이가 임계값 이상이면 수행되는, 콘텐츠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단말들 각각은 상기 제 1 단말과의 동기화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재생 시간을 조절하는, 콘텐츠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19. 동기화 서버가 복수 개의 단말로 스트리밍되는 콘텐츠에 대한 동기화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단말 중 제 1 단말로부터 제 1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로 보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단말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단말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단말 각각의 위치에 기초하여 웹 서버로 콘텐츠를 요청하고,
    상기 웹 서버는 상기 복수 개의 단말 각각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단말 각각으로 분할된 콘텐츠를 스트리밍하고,
    상기 나머지 단말들은 상기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단말과 동기화를 수행하는, 콘텐츠에 대한 동기화를 수행하는 방법.
  20. 마스터 단말이 슬레이브 단말들과 동기화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웹 서버로 콘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마스터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분할된 콘텐츠를 스트리밍 받는 단계;
    복수 개의 단말 각각이 상기 복수 개의 단말 각각의 위치에 기초하여 웹 서버로 콘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제 1 콘텐츠 동기화 정보를 동기화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슬레이브 단말들이 상기 동기화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슬레이브 단말들과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슬레이브 단말들도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슬레이브 단말들 각각의 위치에 기초하여 분할된 콘텐츠를 스트리밍 받고,
    상기 동기화 서버는 상기 제 1 콘텐츠 정보를 제 2 콘텐츠 동기화 정보로 보정하여 상기 슬레이브 단말들로 전송하는, 콘텐츠 스트리밍 방법.
KR1020180041065A 2018-04-09 2018-04-09 멀티비전 시스템 및 동기화 방법 KR201901180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065A KR20190118002A (ko) 2018-04-09 2018-04-09 멀티비전 시스템 및 동기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065A KR20190118002A (ko) 2018-04-09 2018-04-09 멀티비전 시스템 및 동기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002A true KR20190118002A (ko) 2019-10-17

Family

ID=68424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065A KR20190118002A (ko) 2018-04-09 2018-04-09 멀티비전 시스템 및 동기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80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542A (ko) * 2019-12-19 2022-04-29 애드커넥티드 주식회사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WO2022181859A1 (ko) * 2021-02-26 2022-09-01 애드커넥티드 주식회사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542A (ko) * 2019-12-19 2022-04-29 애드커넥티드 주식회사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WO2022181859A1 (ko) * 2021-02-26 2022-09-01 애드커넥티드 주식회사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7351B2 (en) Synchronizing playback of segmented video content across multiple video playback devices
US1041269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ynchronized viewing experience across multiple devices
JP6415468B2 (ja) 空間的にセグメント化されたコンテンツの配信
CN102752642B (zh) 一种基于ip网络的多终端视频同步播放的方法及系统
JP2011023992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再生装置、及び配信サーバ
JP6333173B2 (ja)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US990063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ransmission device, recep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terminal
JP5841715B2 (ja) 映像音声出力装置、および映像音声出力システム、およびマスタ装置
KR102566550B1 (ko) 복수의 커넥티드 장치 간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기화를 맞추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JPWO2006027969A1 (ja) 送信装置、中継装置、受信装置およびそれらを備えた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20190118002A (ko) 멀티비전 시스템 및 동기화 방법
CN111669605B (zh) 多媒体数据与其关联互动数据的同步方法和装置
KR20150146116A (ko) 이종망 기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6157278A (ja) 情報配信システム
KR20200053178A (ko) 미디어 서비스 채널 전환 방법 및 장치
WO2021241264A1 (ja) 放送コンテンツ制作システムおよび放送コンテンツ制作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000212B1 (ko) 대화형 멀티 스트림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