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490B1 - 유량 제어 밸브 및 이것을 이용한 온도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유량 제어 밸브 및 이것을 이용한 온도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6490B1
KR102566490B1 KR1020197032285A KR20197032285A KR102566490B1 KR 102566490 B1 KR102566490 B1 KR 102566490B1 KR 1020197032285 A KR1020197032285 A KR 1020197032285A KR 20197032285 A KR20197032285 A KR 20197032285A KR 102566490 B1 KR102566490 B1 KR 102566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body
temperature
gap
temperature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2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3380A (ko
Inventor
시게히코 오노
카츠미치 히라오카
Original Assignee
신와 콘트롤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와 콘트롤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와 콘트롤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03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4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4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cylind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16K5/0414Plug channel at 90 degrees to the in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 F16K11/08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16K11/105Three-way check or safety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temperature var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4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cylind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4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cylind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16K5/0457Packings
    • F16K5/0464Packings in the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2007/14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Sliding Valves (AREA)
  • Taps Or Cocks (AREA)

Abstract

밸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와 대향하는 부재의 간극을 부분적으로 축소하도록 마련된 간극 축소부를 갖지 않는 유량 제어 밸브와 비교하여, 상기 유량 제어 밸브의 완전 닫힘 시의 유체의 누설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유량 제어 밸브 및 이것을 이용한 온도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유체가 유통되는 단일 또는 복수개의, 절단면이 직사각형상인 밸브포트가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밸브시트를 가지는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포트를 개폐하도록 상기 밸브 본체의 밸브시트 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배치되고, 외주면에 개구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밸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가 대향하는 부재의 간극을 부분적으로 축소하도록 마련된 간극 축소부와, 상기 밸브보디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갖춘다.

Description

유량 제어 밸브 및 이것을 이용한 온도 제어 장치
본 발명은 유량 제어 밸브 및 이것을 이용한 온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량 제어 밸브에 관한 기술로서, 본 출원인은 특허문헌 1 등에 개시된 것을 이미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은 제1 유체가 유입되고 절단면이 직사각형상인 제1 밸브포트와 제2 유체가 유입되고 절단면이 직사각형상인 제2 밸브포트가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밸브시트(valve seat)를 가지는 밸브 본체와, 상기 제1 밸브포트를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제2 밸브포트를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밸브 본체의 밸브시트 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배치되고, 미리 정해진 중심각을 가지는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둘레방향을 따른 양 단면(端面)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밸브보디(valve body)와, 상기 밸브보디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갖추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본 특허공보 특허제6104443호
본 발명은 밸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와 대향하는 부재의 간극을 부분적으로 축소하도록 마련된 간극 축소부를 갖지 않는 유량 제어 밸브와 비교하여, 상기 유량 제어 밸브의 완전 닫힘 시의 유체의 누설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유량 제어 밸브 및 이것을 이용한 온도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유체가 유통되는 단일 또는 복수개의, 절단면이 직사각형상인 밸브포트가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밸브시트를 가지는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포트를 개폐하도록 상기 밸브 본체의 밸브시트 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배치되고, 외주면(外周面)에 개구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밸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가 대향하는 부재의 간극을 부분적으로 축소하도록 마련된 간극 축소부와,
상기 밸브보디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밸브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제1 유체가 유입되고 절단면이 직사각형상인 제1 밸브포트와 제2 유체가 유입되고 절단면이 직사각형상인 제2 밸브포트가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밸브시트를 가지는 밸브 본체와,
상기 제1 밸브포트를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제2 밸브포트를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밸브 본체의 밸브시트 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배치되고, 미리 정해진 중심각을 가지는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둘레방향을 따른 양 단면이 곡면 형상 또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밸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가 대향하는 부재의 간극을 부분적으로 축소하도록 마련된 간극 축소부와,
상기 밸브보디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밸브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유체가 유출되고 절단면이 직사각형상인 제1 밸브포트와 상기 유체가 유출되고 절단면이 직사각형상인 제2 밸브포트가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밸브시트를 가지는 밸브 본체와,
상기 제1 밸브포트를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제2 밸브포트를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밸브 본체의 밸브시트 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배치되고, 미리 정해진 중심각을 가지는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둘레방향을 따른 양 단면이 곡면 형상 또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밸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가 대향하는 부재의 간극을 부분적으로 축소하도록 마련된 간극 축소부와,
상기 밸브보디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밸브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원기둥 형상의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밸브시트를 가지며, 상기 밸브시트의 둘레면에 유체가 유통되고 절단면이 직사각형상인 제1 밸브포트와 상기 밸브시트의 축방향을 따른 일단부(一端部)에 유체가 유통되는 제3 밸브포트가 형성된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 본체의 상기 밸브시트 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밸브포트의 개구 면적을 직선 형상으로 변화시키도록 미리 정해진 중심각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일부를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된 밸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가 대향하는 부재의 간극을 부분적으로 축소하도록 마련된 간극 축소부와,
상기 밸브보디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밸브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포트는 상기 밸브 본체와 다른 부재로 이루어지는 밸브포트 형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간극 축소부는 상기 밸브포트 형성 부재의 상기 밸브보디와 대향하는 선단부로 이루어지는 유량 제어 밸브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보디와 상기 간극 축소부의 간극을 조정하는 간극 조정 부재를 갖는 유량 제어 밸브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혼합비가 조정된 저온 측 유체 및 고온 측 유체로 이루어지는 온도 제어용 유체가 흐르는 온도 제어용 유로를 가지는 온도 제어 수단과,
저온 측의 미리 정해진 제1 온도로 조정된 상기 저온 측 유체를 공급하는 제1 공급 수단과,
고온 측의 미리 정해진 제2 온도로 조정된 상기 고온 측 유체를 공급하는 제2 공급 수단과,
상기 제1 공급 수단과 상기 제2 공급 수단에 접속되고, 상기 제1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저온 측 유체와 상기 제2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고온 측 유체를 혼합비를 조정하여 상기 온도 제어용 유로에 흘려 보내는 유량 제어 밸브를 갖추고,
상기 유량 제어 밸브로서 제1항, 제2항, 제5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량 제어 밸브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제어 장치이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혼합비가 조정된 저온 측 유체 및 고온 측 유체로 이루어지는 온도 제어용 유체가 흐르는 온도 제어용 유로를 가지는 온도 제어 수단과,
저온 측의 미리 정해진 제1 온도로 조정된 상기 저온 측 유체를 공급하는 제1 공급 수단과,
고온 측의 미리 정해진 제2 온도로 조정된 상기 고온 측 유체를 공급하는 제2 공급 수단과,
상기 제1 공급 수단과 상기 제2 공급 수단에 접속되고, 상기 제1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저온 측 유체와 상기 제2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고온 측 유체를 혼합하여 상기 온도 제어용 유로에 공급하는 혼합 수단과,
상기 온도 제어용 유로를 유통한 온도 제어용 유체를 상기 제1 공급 수단과 상기 제2 공급 수단에 유량을 제어하면서 분배하는 유량 제어 밸브를 갖추고,
상기 유량 제어 밸브로서 제1항, 제3항, 제5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량 제어 밸브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제어 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와 대향하는 부재의 간극을 부분적으로 축소하도록 마련된 간극 축소부를 갖지 않는 유량 제어 밸브와 비교하여, 상기 유량 제어 밸브의 완전 닫힘 시의 유체의 누설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유량 제어 밸브 및 이것을 이용한 온도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유량제어용 삼방 밸브의 일례로서의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유량제어용 삼방 밸브의 일례로서의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를 나타내는 정면도, 동(同) 우측면도 및 엑츄에이터부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유량제어용 삼방 밸브의 일례로서의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를 나타내는 도 2(b)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유량제어용 삼방 밸브의 일례로서의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유량제어용 삼방 밸브의 일례로서의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밸브 시트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밸브 시트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 구성도이다.
도 8은 조정 링을 나타내는 사시 구성도이다.
도 9는 밸브축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10은 밸브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1은 다른 밸브축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밸브축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유량제어용 삼방 밸브의 일례로서의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유량제어용 삼방 밸브의 일례로서의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실험예 2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유량제어용 삼방 밸브의 일례로서의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유량제어용 삼방 밸브의 일례로서의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유량제어용 삼방 밸브의 일례로서의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를 적용한 항온 유지 장치(칠러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유량제어용 삼방 밸브의 일례로서의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를 적용한 항온 유지 장치(칠러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유량 제어 밸브의 일례로서의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2(a)(b)(c)는 정면도, 동(同) 우측면도 및 엑츄에이터부의 저면도, 도 3은 도 2(b)의 A-A선 단면도, 도 4는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5는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는 회전형 3방향 밸브로 구성되어 있다.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게 나누어 하부에 배치된 밸브부(2)와, 상부에 배치된 엑츄에이터부(3)와, 밸브부(2)와 엑츄에이터부(3) 사이에 배치된 실링부(sealing portion )(4) 및 커플링부(5)로 구성되어 있다.
밸브부(2)는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US 등의 금속에 의해 대략 직방체상으로 형성된 밸브 본체(6)를 갖고 있다. 밸브 본체(6)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한쪽 측면(도시예에서는 좌측면)에 제1 유체로서의 저온 측 유체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7)와, 원기둥 형상의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밸브시트(8)에 연통되고 절단면이 직사각형상인 제1 밸브포트(9)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유입구(7) 및 제1 밸브포트(9)를 밸브 본체(6)에 직접 마련하는 것이 아닌, 제1 유입구(7) 및 제1 밸브포트(9)를 형성한 밸브포트 형성 부재의 일례로서의 제1 밸브시트(70)를 밸브 본체(6)에 장착함으로써, 제1 유입구(7) 및 제1 밸브포트(9)를 마련하고 있다.
제1 밸브시트(7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본체(6)의 내측에 배치되는 각통(角筒) 형상으로 형성된 각통부(71)와, 밸브 본체(6)의 외측에 배치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원통부(72)와, 각통부(71)와 원통부(72) 사이에 원통부(82) 측을 향해 외경이 커지는 바와 같이 배치된 테이퍼부(73)를 일체적으로 갖추고 있다. 제1 밸브시트(70)의 각통부(71)의 내부에는 직사각형상(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방형상)의 절단면을 가지는 각기둥 형상의 제1 밸브포트(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밸브시트(70)의 원통부(72)의 내부에는 제1 밸브포트(9)에 대략 외접하는 원 형상의 절단면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제1 유입구(7)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밸브시트(70)의 재료로는 예를 들면, 이른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 사용된다.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통상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상회하는 내열성이나 고온 시의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것이다.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T),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아미드이미드(PAI), 액정 폴리머(LCP),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혹은 이들의 복합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제1 밸브시트(70)의 재료로는 예를 들면, 엔징거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의 절삭 가공용 PEEK 수지 소재인 "TECAPEEK"(등록상표), 특히 10% PTFE를 배합하여 미끄럼성이 뛰어난 "TECAPEEK TF 10 blue"(상품명) 등이 알맞게 사용된다.
밸브 본체(6)에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지는 바와 같이, 제1 밸브시트(70)의 외형상에 대응하고 상기 밸브시트(70)와 상사(相似) 형상의 오목 부분(76)이 절삭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오목 부분(76)은 제1 밸브시트(70)의 각통부(71)에 대응한 각통부(76a)와, 원통부(72)에 대응한 원통부(76b)와, 테이퍼부(73)에 대응한 테이퍼부(76c)를 갖고 있다. 제1 밸브시트(70)는 밸브 본체(6)의 오목 부분(76)에 액밀 상태로 장착된다. 또한, 제1 밸브시트(70)의 테이퍼부(73)와 오목 부분(76)의 테이퍼부(76c) 사이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소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밸브 본체(6)의 오목 부분(76)은 제1 밸브시트(70)를 장착한 상태에서, 테이퍼부(73)와 오목 부분(76)의 테이퍼부(76c) 사이의 미소한 간극에 대응한 거리만큼, 상기 밸브시트(70)가 밸브 본체(6)의 내외방향을 따라 수 100㎛~수 ㎜ 정도에 걸쳐 이동이 자유로우며, 밸브시트(70)의 장착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밸브시트(70)의 각통부(71)의 선단에는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본체(6)에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밸브시트(8)에 대응한 원기둥 형상의 곡면의 일부를 이루고, 평면이 원호(圓弧) 형상인 간극 축소부의 일례로서의 오목부(74)가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74)의 곡률반경(R)은 밸브시트(8)의 곡률반경 또는 밸브축(34)의 곡률반경과 대략 동일한 값으로 설정된다. 밸브 본체(6)의 밸브시트(8)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밸브시트(8)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밸브축(34)의 갉음을 방지하기 위해, 밸브축(34)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을 형성하고 있다. 제1 밸브시트(70)의 오목부(74)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밸브시트(70)를 밸브 본체(6)에 장착한 상태로 밸브 본체(6)의 밸브시트(8)보다 밸브축(34) 측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된다. 그 결과, 밸브축(34)과 상기 밸브축(34)과 대향하는 부재로서의 밸브 본체(6)의 밸브시트(8)의 내면과의 간극(G)은 제1 밸브시트(70)의 오목부(74)가 돌출된 부분만큼 밸브시트(8)의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부분적으로 축소된 값으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제1 밸브시트(70)의 오목부(74)와 밸브축(34)의 간극(G1)은 밸브축(34)과 밸브시트(8)의 내면의 간극(G2)보다 좁은(작은) 소요값(G1<G2)으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제1 밸브시트(70)의 오목부(74)와 밸브축(34)의 간극(G1)은 밸브시트(70)의 오목부(74)가 밸브축(34)에 접촉된 상태, 즉 간극이 없는 상태(간극(G1)=0)이어도 된다.
단, 제1 밸브시트(70)의 오목부(74)가 밸브축(34)에 접촉하는 경우에는 밸브축(34)을 회전 구동할 때에 오목부(74)의 접촉 저항에 의해 밸브축(34)의 회전 토크가 상승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제1 밸브시트(70)의 오목부(74)가 밸브축(34)에 접촉하는 정도는 밸브축(34)의 회전 토크를 고려하여 조정된다. 즉, 밸브축(34)의 회전 토크가 증가하지 않거나, 증가해도 그 증가량이 얼마 안되어서 밸브축(34)의 회전에 지장이 없을 정도로 조정된다.
제1 밸브시트(70)의 원통부(72)의 외측에 위치하는 단면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부(72)보다도 외경이 작게 설정되고, 얇은 두께의 짧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환상부(75)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제1 밸브시트(70)의 환상부(75)에는 O링(15)이 외장된 상태로 장착된다. O링(15)은 내열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에 의해 절단면이 원형 또는 절단면이 직사각형인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O링(15)의 외측에는 O링 누름 부재(retainer)(16)가 장착된다. O링 누름 부재(16)는 내열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 또는 금속에 의해 절단면이 직사각형인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추가로, 제1 밸브시트(70)의 외측에는 밸브축(34)과 제1 밸브시트(70)의 오목부(74)의 간극(G1)을 조정하는 간극 조정 부재의 일례로서의 조정 링(77)이 배치된다. 조정 링(77)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열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 또는 금속에 의해 외주면에 수나사(77a)가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게 설정된 원통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조정 링(77)의 외측 단면에는 상기 조정 링(77)을 밸브 본체(6)에 마련된 암나사부(78)에 조여서 장착할 때에, 조임량을 조정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지그(jig)를 걸어서 상기 조정 링(77)을 회전시키기 위한 오목홈(77b)이 180도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밸브 본체(6)에는 조정 링(77)을 장착하기 위한 암나사부(78)가 마련되어 있다. 암나사부(78)의 외측에 위치하는 개구 단부에는 바깥둘레를 향해 직경이 확대되도록 테이퍼부(79)가 마련되어 있다. 테이퍼부(79)에는 O링(79a)이 개재되어 있다.
조정 링(77)은 밸브 본체(6)의 암나사부(78)에 대한 조임량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조정 링(77)이 제1 밸브시트(70)를 내측을 향해 밀어 움직이는 양(거리)을 조정하는 것이다. 조정 링(77)의 조임량을 증가시키면, 제1 밸브시트(70)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정 링(77)에 의해 O링 누름 부재(16)를 통해 밀려서, 오목부(74)가 밸브시트(8)의 내주면(內周面)으로부터 돌출되어 밸브축(34)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위되고, 상기 오목부(74)와 밸브축(34)의 간극(G1)이 감소한다. 또한, 조정 링(77)의 조임량을 미리 적은 양으로 설정하면, 제1 밸브시트(70)는 조정 링(77)에 의해 밀려 움직이는 거리가 감소하고, 밸브축(34)으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배치되며, 제1 밸브시트(70)의 오목부(74)와 밸브축(34)의 간극(G1)이 상대적으로 증대된다. 조정 링(77)의 수나사(77a) 및 밸브 본체(6)의 암나사부(78)는 그 피치가 작게 설정되어 있고, 제1 밸브시트(70)의 돌출량을 미세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 본체(6)의 일측면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온 측 유체를 유입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배관을 접속하기 위한 제1 플랜지 부재(10)가 4개의 육각구멍이 있는 볼트(11)(도 3 참조)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도 5 중 부호 11a는 육각구멍이 있는 볼트(11)가 체결되는 나사 구멍을 나타내고 있다. 제1 플랜지 부재(10)는 밸브 본체(6)와 마찬가지로 SUS 등의 금속에 의해 형성된다. 제1 플랜지 부재(10)는 밸브 본체(6)의 측면 형상과 동일한, 측면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 플랜지부(12)와, 플랜지부(12)의 내측면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어 마련된 삽입부(13)(도 4 참조)와, 플랜지부(12)의 외측면에 두꺼운 두께의 대략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며, 도시하지 않은 배관이 접속되는 배관 접속부(14)를 가지고 있다. 배관 접속부(14)의 안둘레는 예를 들면, 그 구경이 직경 약 21㎜의 테이퍼 암나사인 Rc 1/2이나 지름 약 0.58인치의 암나사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배관 접속부(14)의 형상은 테이퍼 암나사 혹은 암나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튜브를 장착하는 튜브 피팅 등이어도 되고, 제1 유입구(7)로부터 유체를 유입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밸브 본체(6)에는 그 다른쪽 측면(도 3 중 우측면)에 제2 유체로서의 고온 측 유체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17)와, 원기둥 형상의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밸브시트(8)에 연통되고 절단면이 직사각형상인 제2 밸브포트(18)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유입구(17) 및 제2 밸브포트(18)를 밸브 본체(6)에 직접 마련하는 것이 아닌, 제2 유입구(17) 및 제2 밸브포트(18)를 형성한 밸브포트 형성 부재의 일례로서의 제2 밸브시트(80)를 밸브 본체(6)에 장착함으로써, 제2 유입구(17) 및 제2 밸브포트(18)를 마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밸브시트(80)는 도 6에 부호를 괄호 붙임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밸브시트(70)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2 밸브시트(80)는 밸브 본체(6)의 내측에 배치되는 각통 형상으로 형성된 각통부(81)와, 밸브 본체(6)의 외측에 배치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원통부(82)와, 각통부(81)와 원통부(82) 사이에 원통부(82) 측을 향해 외경이 커지도록 배치된 테이퍼부(83)를 일체적으로 갖추고 있다. 제2 밸브시트(80)의 각통부(81)의 내부에는 직사각형상(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방형상)의 절단면을 가지는 각기둥 형상의 제2 밸브포트(1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밸브시트(80)의 원통부(82)의 내부에는 제2 밸브포트(18)에 대략 외접하는 원형상의 절단면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제2 유입구(17)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 본체(6)에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지는 바와 같이, 제2 밸브시트(80)의 외형상에 대응하고 상기 밸브시트(80)와 상사 형상의 오목 부분(86)이 절삭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오목 부분(86)은 제2 밸브시트(80)의 각통부(81)에 대응한 각통부(86a)와, 원통부(82)에 대응한 원통부(86b)와, 테이퍼부(83)에 대응한 테이퍼부(86c)를 갖고 있다. 제2 밸브시트(80)는 밸브 본체(6)의 오목 부분(86)에 액밀 상태로 장착된다. 또한, 제2 밸브시트(80)의 테이퍼부(83)와 오목 부분(86)의 테이퍼부(86c) 사이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소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밸브 본체(6)의 오목 부분(86)은 제2 밸브시트(80)를 장착한 상태로, 테이퍼부(83)와 오목 부분(86)의 테이퍼부(86c) 사이의 미소한 간극에 대응한 거리만큼, 상기 밸브시트(80)가 밸브 본체(6)의 내외방향을 따라 수 100㎛∼수 ㎜ 정도에 걸쳐 이동이 자유로우며, 밸브시트(80)의 장착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2 밸브시트(80)는 제1 밸브시트(70)와 동일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2 밸브시트(80)의 원통부(82)의 외측에 위치하는 단면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부(82)보다도 외경이 작게 설정되고, 얇은 두께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환상부(85)가 짧게 마련되어 있다. 제2 밸브시트(80)의 환상부(85)에는 O링(24)이 외장된 상태로 장착된다. 또한, O링(24)의 외측에는 O링 누름 부재(25)가 장착된다. 추가로, 제2 밸브시트(80)의 외측에는 밸브축(34)과 제2 밸브시트(80)의 선단부(84)의 간극(G3)을 조정하는 간극 조정 부재의 일례로서의 조정 링(87)이 배치된다. 한편, 간극(G3)은 간극(G1)과 동일한 값으로 설정된다. 조정 링(87)은 도 8에 부호를 괄호 붙임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면에 수나사(87a)가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게 설정된 원통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조정 링(87)의 외측 단면에는, 상기 조정 링(87)을 밸브 본체(6)에 마련된 암나사부(88)에 조여서 장착할 때에 조임량을 조정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지그를 걸어서 상기 조정 링(87)을 회전시키기 위한 오목홈(87b)이 180도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밸브 본체(6)에는 조정 링(87)을 장착하기 위한 암나사부(88)가 마련되어 있다. 암나사부(88)의 외측에 위치하는 개구 단부에는 바깥둘레를 향해 직경이 확대되도록 테이퍼부(89)가 마련되어 있다. 테이퍼부(89)에는 O링(89a)이 개재되어 있다.
밸브 본체(6)의 다른쪽 측면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온 측 유체를 유입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배관을 접속하기 위한 제2 플랜지 부재(19)가 4개의 육각구멍이 있는 볼트(20)(도 3 참조)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제2 플랜지 부재(19)는 제1 플랜지 부재(10)와 마찬가지로 SUS 등의 금속에 의해 형성된다. 제2 플랜지 부재(19)는 밸브 본체(6)의 측면 형상과 동일한, 측면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 플랜지부(21)와, 플랜지부(21)의 내측면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어 마련된 삽입부(22)와, 플랜지부(21)의 외측면에 두꺼운 두께의 대략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어 마련되고, 도시하지 않은 배관이 접속되는 배관 접속부(23)를 가지고 있다. 배관 접속부(23)의 안둘레는 예를 들면, 그 구경이 직경 약 21㎜의 테이퍼 암나사인 Rc 1/2이나, 직경 약 0.58인치의 암나사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배관 접속부(23)의 형상은 배관 접속부(14)와 마찬가지로 테이퍼 암나사 혹은 암나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튜브를 장착하는 튜브 피팅 등이어도 되고, 제2 유입구(17)로부터 유체를 유입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여기서, 제1 유체로서의 저온 측 유체 및 제2 유체로서의 고온 측 유체는 온도 제어용에 사용되는 유체로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유체를 저온 측 유체라 칭하고,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유체를 고온 측 유체라 칭하고 있다. 따라서, 저온 측 유체 및 고온 측 유체는 상대적인 것을 의미하고, 절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저온의 유체 및 절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고온의 유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저온 측 유체 및 고온 측 유체로는 예를 들면, 압력이 0~1㎫, 0~80℃ 정도의 온도범위에서 0∼30℃ 정도의 온도로 조정된 물(순수(純水) 등), 및 50~80℃ 정도의 온도로 조정된 물(순수) 등이 알맞게 사용된다. 또한, 저온 측 유체 및 고온 측 유체로는 예를 들면, -20~+120℃ 정도의 온도범위에서, -20℃ 정도의 온도에서도 동결되지 않고, +120℃ 정도에서도 비등하지 않는 플루오리너트(등록상표) 등의 불소계 불활성 액체, 에틸렌글리콜 등의 유체가 사용된다.
또한, 밸브 본체(6)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하단면에 저온 측 유체와 고온 측 유체가 혼합된 온도 제어용 유체가 유출되는 제3 밸브포트로서 절단면이 원형상인 유출구(26)가 개구되어 있다. 밸브 본체(6)의 하단면에는 온도 제어용 유체를 유출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배관을 접속하기 위한 제3 플랜지 부재(27)가 4개의 육각구멍이 있는 볼트(28)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유출구(26)의 하단부에는 제3 플랜지 부재(27)를 장착하기 위해 테이퍼 형상으로 지름이 확장된 테이퍼부(26a)를 통해 원통부(26b)가 개구되어 있다. 제3 플랜지 부재(27)는 제1 및 제2 플랜지 부재(10, 19)와 마찬가지로 SUS 등의 금속에 의해 형성된다. 제3 플랜지 부재(27)는 밸브 본체(6)의 하단면 형상보다 작고, 평면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 플랜지부(29)와, 플랜지부(29)의 상단면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어 마련된 삽입부(30)와, 플랜지부(29)의 하단면에 두꺼운 두께의 대략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어 마련되고, 도시하지 않은 배관이 접속되는 배관 접속부(31)를 가지고 있다. 배관 접속부(31)의 안둘레는 예를 들면, 그 구경이 직경 약 21㎜의 테이퍼 암나사인 Rc 1/2이나 직경 약 0.58인치의 암나사로 설정되어 있다. 밸브 본체(6)의 제3 유입구(26)의 하단 안둘레끝에는 제3 플랜지 부재(27)의 플랜지부(29)와의 사이에 O링(32)을 장착하기 위한 모따기(33)가 되어 있다. 한편, 배관 접속부(31)의 형상은 테이퍼 암나사 혹은 암나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튜브를 장착하는 튜브 피팅 등이어도 되고, 유출구(26)로부터 유체를 유출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밸브 본체(6)의 중앙에는 제1 및 제2 밸브시트(70, 80)를 장착함으로써 절단면이 직사각형상인 제1 밸브포트(9) 및 절단면이 직사각형상인 제2 밸브포트(18)가 마련되는 밸브시트(8)를 갖고 있다. 밸브시트(8)는 후술하는 밸브보디의 외부 형상에 대응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빈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밸브시트(8)의 일부는 제1 및 제2 밸브시트(70, 8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밸브시트(8)는 밸브 본체(6)의 상단면에 관통된 상태로 마련된다. 밸브 본체(6)에 마련되는 제1 밸브포트(9) 및 제2 밸브포트(18)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밸브시트(8)의 중심축(회전축)(C)에 대하여 축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추가로 설명하면, 제1 밸브포트(9) 및 제2 밸브포트(18)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밸브시트(8)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1 밸브포트(9)의 한쪽 끝가장자리는 중심축(C)을 통해 제2 밸브포트(18)의 다른 쪽 끝가장자리와 대향하는 위치(180도 다른 위치)에 개구되어 있다. 또한, 제1 밸브포트(9)의 다른 쪽 끝가장자리는 중심축(C)을 통해 제2 밸브포트(18)의 한쪽 끝가장자리와 대향하는 위치(180도 다른 위치)에 개구되어 있다. 한편, 도 9에서는 편의상, 밸브시트(8)와 밸브축(34)의 간극은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또한, 제1 밸브포트(9) 및 제2 밸브포트(18)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밸브 본체(6)에 제1 및 제2 밸브시트(70, 80)를 장착함으로써 형성되고, 정방형상 절단면 등의 직사각형상 절단면으로 형성된 개구부로 이루어진다. 제1 밸브포트(9) 및 제2 밸브포트(18)는 그 한 변의 길이가 제1 유입구(7) 및 제2 유입구(17)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1 유입구(7) 및 제2 유입구(17)에 내접하는 절단면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보디의 일례로서의 밸브축(34)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US 등의 금속에 의해 외형이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축(34)은 크게 나누어 밸브보디로서 기능하는 밸브보디부(35)와, 상기 밸브보디부(35)의 상하에 각각 마련되어 밸브축(34)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상하의 축 지지부(36, 37)와, 위의 축 지지부(36)의 상부에 마련된 실링부(38)와, 실링부(38)의 상부에 테이퍼부(39)를 통해 마련된 커플링부(40)를 일체적으로 갖추고 있다.
상하의 축 지지부(36, 37)는 밸브보디부(35)보다 외경이 작고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설정된 원통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아래의 축 지지부(37)의 축방향을 따른 길이는 위의 축 지지부(36)보다 약간 길게 설정되어 있다. 아래의 축 지지부(37)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본체(6)에 마련된 밸브시트(8)의 하단부에 베어링(41)을 통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밸브시트(8)의 하부에는 베어링(41)을 지지하는 환상의 지지부(42)가 안둘레를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베어링(41), 지지부(42) 및 제3 플랜지 부재(27)의 삽입부(30)는 동일한 내경으로 설정되어 있고, 밸브보디부(35)의 내부를 통과한 온도 제어용 유체가 저항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고 제3 플랜지 부재(27)의 접속부(31)에 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위의 축 지지부(36)에는 스러스트 워셔(thrust washer)(43)가 장착되어 있고, 밸브축(34)이 후술할 실링 케이스(53)에 가압됨으로써 발생되는 부하를 저감시키고 있다.
또한, 밸브보디부(35)는 도 3 및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밸브포트(9, 18)의 개구 높이(H1)보다 높이가 낮은 개구 높이(H2)를 가지는 대략 반원통 형상의 개구부(44)가 마련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보디부(35)의 개구부(44)가 마련된 밸브 동작부(45)는 미리 정해진 중심각(α)(예를 들면, 약 190도)을 가지는 반원통 형상(원통 형상의 부분 중 개구부(44)를 제외한 대략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 동작부(45)는 개구부(44)의 상하에 위치하는 밸브보디부(35)를 포함시켜 제1 밸브포트(9)를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함과 동시에, 제2 밸브포트(18)를 역방향의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전환하도록 밸브시트(8) 내에 또한 밸브시트(8)의 내주면에 금속끼리의 갉음을 방지하기 위해 미소한 간극을 통해 비접촉 상태가 되도록 회전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밸브 동작부(45)의 상하에 배치된 상하의 밸브축부(46, 47)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동작부(45)와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밸브시트(8)의 내주면에 미소한 간극을 통해 비접촉 상태로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밸브 동작부(45) 및 상하의 밸브축부(46, 47), 나아가서는 실링부(38)에 걸치는 내부에는 상단부가 작은 지름인 원기둥 형상의 빈 공간(48)이 하단부를 향해 관통된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밸브 동작부(45)는 둘레방향(회전방향)을 따른 양 단면(45a, 45b)이 그 중심축(C)과 교차하는(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절단면 형상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추가로 설명하면, 밸브 동작부(45)는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방향을 따른 양 단부(45a, 45b)의 회전축(C)과 교차하는 절단면 형상이 개구부(44)를 향해 볼록 형상을 이루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양 단부(45a, 45b)의 곡률반경은 예를 들면, 밸브 동작부(45)의 두께(T)의 1/2로 설정된다. 그 결과, 양 단부(45a, 45b)의 절단면 형상은 반원 형상이 된다.
밸브 동작부(45)는 둘레방향을 따른 양 단부(45a, 45b)의 회전축(C)과 교차하는 절단면 형상이 원호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둘레방향(회전방향)을 따른 양 단면(45a, 45b)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밸브 동작부(45)로는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방향을 따른 양 단부(45a, 45b)의 회전축(C)과 교차하는 절단면 형상이 외주면 측에 위치하는 제1 곡선부(50)와, 내주면 측에 위치하여 제1 곡선부(50)보다 곡률반경이 작은 제2 곡선부(51)를 매끄럽게 접속한 곡선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밸브 동작부(45)의 둘레방향을 따른 양 단부(45a, 45b)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축(34)이 회전 구동되어 제1 및 제2 밸브포트(9, 18)를 개폐할 때에 저온 측 유체 및 고온 측 유체의 흐름 속에서, 제1 및 제2 밸브포트(9, 18)의 둘레방향을 따른 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또는 퇴피하도록 이동(회전)함으로써 제1 및 제2 밸브포트(9, 18)를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 혹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바꾼다. 이때, 밸브 동작부(45)의 둘레방향을 따른 양 단부(45a, 45b)는 밸브축(34)의 회전 각도에 대한 제1 및 제2 밸브포트(9, 18)의 개구 면적을 한층 더 리니어(직선 형상)로 변화시키기 위해, 절단면 형상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 동작부(45)의 둘레방향을 따른 양 단부(45a, 45b)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지름방향을 따른 평면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밸브 동작부(45)의 둘레방향을 따른 양 단부(45a, 45b)를 절단면 형상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축(34)의 열림 정도가 50%를 초과해도 밸브축(34)의 회전 각도에 대한 제1 및 제2 밸브포트(9, 18)의 개구 면적을 한층 더 리니어(직선 형상)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링부(4)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축(34)을 액밀 상태로 밀봉하는 것이다. 실링부(4)는 SUS 등의 금속에 의해 밸브축(34)을 삽입통과하는 삽입통과 구멍(52)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실링 케이스(53)를 가지고 있다. 실링 케이스(53)는 밸브 본체(6)의 상단면에 마련된 원기둥 형상의 오목부(54)에 배치되어 있다. 실링 케이스(53)는 환상의 실링 부재(55, 56)를 통해 밸브축(34)과의 위치 관계가 결정되고, 도시하지 않은 위치 결정 핀을 통해 후술할 스페이서 부재(59)에 대하여 회전 방지 상태로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실링 케이스(53)의 내주면에는 밸브축(34)을 밀봉하는 O링 등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환상의 실링 부재(55, 56)가 상하에 배치되어 있다. 실링 부재(55, 56)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DM)제의 O링이 사용된다. 상방에 위치하는 실링 부재(56)는 누름 부재(retaining member)(56a)에 의해 눌려 있다. 또한, 실링 케이스(53)는 O링 등으로 이루어지는 환상의 실링 부재(57)에 의해 밸브 본체(6)에 대하여 밀봉되어 있다.
커플링부(5)는 실링부(4)가 내장된 밸브 본체(6)와 엑츄에이터부(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커플링부(5)는 밸브축(34)과 상기 밸브축(34)을 일체로 회전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회전축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커플링부(5)는 실링부(4)와 엑츄에이터부(3)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 부재(59)와, 스페이서 부재(59)의 상부에 고정된 어댑터 플레이트(60)와, 스페이서 부재(59) 및 어댑터 플레이트(60)의 내부에 관통 상태로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공간(61)에 수용되고, 밸브축(34)과 도시하지 않은 회전축을 연결하는 커플링 부재(62)로 구성되어 있다. 스페이서 부재(59)는 SUS 등의 금속에 의해 밸브 본체(6)와 대략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가지는 비교적 높이가 낮은 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 부재(59)는 나사 고정 등의 수단에 의해 밸브 본체(6) 및 어댑터 플레이트(60) 쌍방에 고정된다. 또한, 어댑터 플레이트(60)는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US 등의 금속에 의해 평면이 다각형인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어댑터 플레이트(60)는 육각구멍이 있는 볼트(63)에 의해 엑츄에이터부(3)의 기반(64)에 고정된 상태로 장착된다.
커플링 부재(6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이나 내열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 혹은 세라믹스 등에 의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밸브축(34)의 상단에는 수평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오목홈(65)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축(34)은 커플링 부재(62)에 마련된 볼록부(66)를 오목홈(65)에 끼워 맞춤으로써 커플링 부재(62)에 연결 고정되어 있다. 한편, 커플링 부재(62)의 상단에는 수평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오목홈(67)이 마련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회전축은, 커플링 부재(62)에 마련된 오목홈(67)에 도시하지 않은 볼록부를 끼워 맞춤으로써 커플링 부재(62)에 연결 고정된다. 스페이서 부재(59)는 실링 부재(55, 56)로부터 액체가 누설됐을 때, 삽입통과 구멍(52)을 통해 누설된 액체를 검지하기 위한 개구부(68)를 측면에 가지고 있다. 개구부(68)는 예를 들면, 그 구경이 직경 약 8mm의 테이퍼 암나사인 Rc 1/16로 설정되어 있다.
엑츄에이터부(3)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 기반(64)을 갖고 있다. 기반(64)의 상부에는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나 인코더(encoder)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동 수단을 내장한 직방체형상의 상자체로 구성된 케이싱(90)이 나사(91) 고정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엑츄에이터부(3)의 구동 수단은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회전축(58)을 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정밀도로 회전 가능한 것이면 되고, 그 구성은 한정되지 않는다. 구동 수단은 스테핑 모터 및 상기 스테핑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기어 등의 구동력 전달 수단을 통해 회전축(58)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 기구, 그리고 회전축(58)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인코더 등의 각도 센서에 의해 구성된다.
한편, 도 2 중 부호 92는 스테핑 모터 측 케이블을, 93은 각도 센서 측 케이블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들 스테핑 모터 측 케이블(92) 및 각도 센서 측 케이블(93)은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를 제어하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에 각각 접속된다.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의 동작>
본 실시형태에 따른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에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 저온 측 유체 및 고온 측 유체의 유량이 제어된다.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립할 때 또는 사용할 때의 조정 시에 제1 및 제2 플랜지 부재(10, 19)가 밸브 본체(6)로부터 떼어져, 조정 링(77, 87)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지그를 이용하여 조정 링(77, 87)의 밸브 본체(6)에 대한 조임량을 조정함으로써,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밸브시트(70, 80)에서의 밸브 본체(6)의 밸브시트(8)에 대한 돌출량을 변화시킨다. 조정 링의 밸브 본체(6)에 대한 조임량을 증가시킨 경우에는 제1 및 제2 밸브시트(70, 80)의 오목부가 밸브 본체(6)의 밸브시트(8)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 및 제2 밸브시트(70, 80)의 오목부와 밸브축(34)의 외주면의 간극(G1)이 감소한다. 한편, 조정 링의 밸브 본체(6)에 대한 조임량을 감소시킨 경우에는 제1 및 제2 밸브시트(70, 80)의 오목부가 밸브 본체(6)의 밸브시트(8)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감소하고, 제1 및 제2 밸브시트(70, 80)의 오목부와 밸브축(34)의 외주면의 간극(G1)이 증가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밸브시트(70, 80)의 오목부와 밸브축(34)의 외주면의 간극(G1)은 5~10㎛ 정도로 설정된다. 단, 제1 및 제2 밸브시트(70, 80)의 오목부와 밸브축(34)의 외주면의 간극(G1)은 이 값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값보다 작은 값, 예를 들면 간극(G1)=0㎛이어도 되고, 10㎛ 이상으로 설정해도 된다.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플랜지 부재(10) 및 제2 플랜지 부재(19)를 통해, 미리 정해진 저온 측의 설정 온도로 조정된 저온 측 유체 및 미리 정해진 고온 측의 설정 온도로 조정된 고온 측 유체가 도시하지 않은 배관을 통해 공급된다.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는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동작을 개시하기 전의 초기 상태에서 밸브축(34)의 밸브 동작부(45)가 제1 밸브포트(9)을 폐색(완전 닫힘)함과 동시에 제2 밸브포트(18)를 개방(완전 열림)한 상태가 된다.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엑츄에이터부(3)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스테핑 모터를 소정량만큼 회전 구동시키면, 스테핑 모터의 회전량에 따라 회전축(58)이 회전 구동된다.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는 회전축(58)이 회전 구동되면, 상기 회전축(58)에 연결 고정된 밸브축(34)이 회전축(58)의 회전량(회전각)과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한다. 밸브축(34)의 회전에 따라 밸브 동작부(45)가 밸브시트(8)의 내부에서 회전하고,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동작부(45)의 둘레방향을 따른 일단부(45a)가 제1 밸브포트(9)를 서서히 개방하여, 제1 하우징 부재(10)로부터 제1 유입구(7)를 통해 유입되는 저온 측 유체가 제1 밸브포트(9)로부터 밸브시트(8)의 내부에 유입된다.
이때, 밸브 동작부(45)의 둘레방향을 따른 타단부(他端部)(45b)는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밸브포트(18)를 개방하고 있기 때문에, 제2 하우징 부재(19)로부터 제2 유입구(17)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 측 유체가 제2 밸브포트(18)로부터 밸브시트(8)의 내부로 유입되어 있고, 저온 측 유체와 혼합된 고온 측 유체가 밸브시트(8)를 통해 밸브 본체(6)의 유출구(30)를 통해 제3 하우징 부재(27)로부터 외부로 유출된다. 고온 측 유체의 온도는 저온 측 유체보다 높은 온도이며 미리 정해진 일정 온도(예를 들면, 80℃)가 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는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축(34)이 회전 구동되어 밸브 동작부(45)의 둘레방향을 따른 일단부(45a)가 제1 밸브포트(9)를 서서히 개방하면, 제1 하우징 부재(10)로부터 유입되는 저온 측 유체와 제2 하우징 부재(19)로부터 유입되는 고온 측 유체가 밸브실(8) 그리고 밸브축(34)의 내부에서 혼합되어 온도 제어용 유체가 되고 밸브 본체(6)의 유출구(30)를 통해 제3 하우징 부재(27)로부터 외부로 공급된다.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는 회전축(58)이 회전 구동됨에 따라 밸브축(34)이 회전하고, 밸브 동작부(45)의 둘레방향을 따른 일단부(45a)가 제1 밸브포트(9)를 점차 개방함과 동시에, 밸브 동작부(45)의 둘레방향을 따른 타단부(45b)가 제2 밸브포트(18)를 점차 폐색하고, 제1 밸브포트(9)로부터 유입되는 저온 측 유체와 제2 밸브포트(18)로부터 유입되는 고온 측 유체가 밸브실(8) 및 밸브축(34)의 내부에서 혼합되며, 저온 측 유체와 고온 측 유체의 혼합비에 따라 온도가 조정된 온도 제어용 유체로서 밸브 본체(6)의 유출구(30)로부터 외부로 공급된다.
또한,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는 밸브 동작부(45)의 둘레방향을 따른 양 단부(45a, 45b)가 절단면이 곡면 형상 또는 절단면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축(34)의 회전 각도에 대하여 제1 및 제2 밸브포트(9, 18)의 개구 면적을 리니어(직선 형상)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밸브 동작부(45)의 양 단부(45a, 45b)에 의해 유량이 규제되는 저온 측 유체 및 고온 측 유체가 층류에 가까운 상태로 유동한다고 생각할 수 있고, 제1 밸브포트(9) 및 제2 밸브포트(18)의 개구 면적에 따라 저온 측 유체 및 고온 측 유체의 혼합비(유량)를 높은 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초기적으로 밸브축(34)의 밸브 동작부(45)가 제1 밸브포트(9)를 폐색(완전 닫힘)함과 동시에 제2 밸브포트(18)를 개방(완전 열림)한 상태가 된다.
이때,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는 밸브축(34)의 밸브 동작부(45)가 제1 밸브포트(9)를 폐색(완전 닫힘)하면, 이상적으로는 제1 유체인 저온 측 유체의 유량이 제로가 될 것이다.
그러나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축(34)이 밸브시트(8)의 내주면에 대하여 금속끼리의 갉음을 방지하기 위해, 밸브축(34)의 외주면과 밸브시트(8)의 내주면 사이에 미소한 간극을 통해 비접촉 상태가 되도록 회전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밸브축(34)의 외주면과 밸브시트(8)의 내주면 사이에는 미소한 간극(G2)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는 밸브축(34)의 밸브 동작부(45)가 제1 밸브포트(9)를 폐색(완전 닫힘)한 경우에도 저온 측 유체의 유량이 제로가 되지 않고, 밸브축(34)의 외주면과 밸브시트(8)의 내주면 사이에 존재하는 미소한 간극(G2)을 통해 저온 측 유체가 소량이지만 제2 밸브포트(18) 측으로 흘러 들어가려고 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밸브시트(70, 80)에 오목부(74, 84)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74, 84)가 밸브시트(8)의 내주면으로부터 밸브축(34) 측으로 돌출되어, 밸브축(34)의 외주면과 밸브시트(8)의 내주면 사이의 간극(G1)을 부분적으로 축소하고 있다.
따라서,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는 밸브축(34)이 밸브시트(8)의 내주면에 대하여 금속끼리의 갉음을 방지하기 위해, 밸브축(34)의 외주면과 밸브시트(8)의 내주면 사이에 미소한 간극을 통해 비접촉 상태가 되도록 회전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어도, 저온 측 유체가 제1 밸브포트(9)로부터 밸브축(34)의 외주면과 밸브시트(8)의 내주면 사이에 존재하는 미소한 간극(G2)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이 밸브축(34)의 외주면과 밸브시트(8)의 내주면의 간극이 부분적으로 축소된 영역인 간극(G1)에 의해 대폭적으로 제한되어 억제된다.
그 때문에,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에서는 밸브축(34)과 상기 밸브축(34)과 대향하는 제1 및 제2 밸브시트(70, 80)의 간극을 부분적으로 축소하도록 마련된 오목부(74, 84)를 갖지 않는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와 비교하여, 상기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의 완전 닫힘 시의 유체의 누설을 대폭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마찬가지로,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는 밸브축(34)의 밸브 동작부(45)가 제2 밸브포트(18)를 폐색(완전 닫힘)으로 한 경우에도 제2 유체인 고온 측 유체가 제2 밸브포트(18)를 통해, 저온 측 유체 측으로 누설되어 유입되는 것을 대폭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실험예 1
본 발명자는 도 10(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밸브축(34)을 갖춘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를 시험 제작하고, 밸브축(34)의 회전에 따른 제1 밸브포트(9) 및 제2 밸브포트(18)의 열림 정도에 따라, 저온 측 유체 및 고온 측 유체의 유량계수 Cv값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확인하는 실험을 실시했다.
한편, 저온 측 유체, 고온 측 유체 및 저온 측 유체와 고온 측 유체가 혼합된 온도 제어용 유체의 유량계수 Cv값은 밸브축(34)의 회전각을 변화시켰을 때에, 검출 정밀도가 높은 1대의 유량 센서를 제1 밸브포트(9), 제2 밸브포트(18) 및 유출구(30) 각각에 개별적으로 이동시켜 측정했다.
도 13 및 도 14는 상기 실험예의 결과를 각각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도 11(a)의 밸브축에 대응하고, 도 14는 도 11(b)의 밸브축에 대응한다.
그 결과,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그래프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밸브축(34)의 회전각에 따라 저온 측 유체가 대략 직선 형상으로 유량계수를 나타내는 Cv값이 증가함과 함께, 고온 측 유체가 대략 직선 형상으로 유량계수를 나타내는 Cv값이 감소하고, 저온 측 유체 및 고온 측 유체의 혼합비(유량)를 높은 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그래프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도 11(a)(b)의 어느 밸브축도 밸브축(34)의 열림 정도가 50% 이상인 영역에서 유량계수 Cv값이 직선상에서 약간 어긋난 영역이 존재한다. 이것은 도 11(a)의 밸브축과 비교하여 도 11(b)의 밸브축 쪽이 유량계수 Cv값이 직선상에서 약간 어긋난 영역은 밸브축(34)의 열림 정도가 높은 영역으로 시프트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 동작부(45)의 양 단부(45a, 45b)의 곡면 형상이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도 14에 나타내는 그래프에서는 밸브 동작부(45)의 둘레방향을 따른 양 단부(45a, 45b)의 바깥둘레 측의 곡률반경을 크게 설정하고 있는 영향때문인지, 밸브축(34)을 완전 닫힘 위치에 회전시킨 경우에도 한쪽 유체의 유량계수 Cv값이 완전히 제로가 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또한, 본 발명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1 및 제2 밸브시트(70, 80)를 갖춘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를 시험 제작하고, 밸브축(34)의 회전에 따라 제1 밸브포트(9)를 완전히 닫았을 때에, 저온 측 유체의 유량(누설량)이 어느 정도 되는지 측정하는 실험을 실시했다. 실험은 밸브축(34)의 외주면과 밸브시트(8)의 내주면 사이에 존재하는 미소한 간극(G1)을 150㎛, 28㎛, 6.5㎛로 각각 변화시킴과 함께, 저온 측 유체의 제1 밸브포트(9)의 상류 측과 하류 측의 차압을 0.44㎫, 0.68㎫로 변화시켜 실시했다.
도 15는 실험예 2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5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밸브축의 외주면과 밸브 본체의 밸브시트의 내주면의 간극(클리어런스)이 150㎛인 경우에는 제1 유입구와 유출구의 차압이 0.44㎫이면, 매 분당 누설량이 2.20ℓ/min이며, 제1 유입구와 유출구의 차압이 0.68㎫이면, 매 분당 누설량이 2.73ℓ/min으로 대폭적으로 커진다.
이에 반하여, 본 실험예 2에서는 밸브축의 외주면과 밸브 본체의 밸브시트의 내주면의 간극(클리어런스)을 28㎛로 설정한 경우, 제1 유입구와 유출구의 차압이 0.44㎫이면, 매 분당 누설량이 0.21ℓ/min이고, 제1 유입구와 유출구의 차압이 0.68㎫여도 매 분당 누설량이 0.26ℓ/min로 대폭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추가로, 본 실험예 2에서는 밸브축의 외주면과 밸브 본체의 밸브시트의 내주면의 간극(지름의 클리어런스)을 6.5㎛로 설정하면, 제1 유입구와 유출구의 차압이 0.44㎫이면, 매 분당 누설량이 0.08ℓ/min이고, 제1 유입구와 유출구의 차압이 0.68㎫이어도 매 분당의 누설량을 0.10ℓ/min로 더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유량 제어 밸브의 일례로서의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 2에 따른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는 다른 2종류의 유체를 혼합하는 것이 아닌, 동일한 유체를 둘로 분배하는 분배용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로 구성된 것이다.
분배용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는 상술한 혼합용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단, 분배용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본체(6)의 하단부에 유입구(26)를 가지고 있음과 함께, 밸브 본체(6)의 양 측면에 제1 유출구(7) 및 제2 유출구(17)를 가지고 있다. 기타 구성은 상술한 혼합용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와 동일하다.
[실시형태 3]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유량 제어 밸브의 일례로서의 이방 밸브형 모터 밸브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 3에 따른 이방 밸브형 모터 밸브(1)는 1종류의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용 이방 밸브형 모터 밸브(1)로서 구성된 것이다.
즉, 유량 제어용 이방 밸브형 모터 밸브(1)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본체(6)의 일측면에 단일 유입구(17)를 가지고 있음과 함께, 밸브 본체(6)의 바닥면에 유출구(26)를 갖고 있다. 기타 구성은 상술한 혼합용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와 동일하다.
[실시예 1]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유량 제어용 삼방 밸브를 적용한 항온 유지 장치(칠러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 칠러 장치(100)는 예를 들면, 플라스마 에칭 처리 등을 수반하는 반도체 제조 장치에 사용되고, 온도 제어 대상(W)의 일례로서의 반도체 웨이퍼 등의 온도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다. 반도체 웨이퍼 등의 온도 제어 대상(W)은 플라스마 에칭 처리 등을 받으면, 플라스마의 생성이나 방전 등에 따라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가 있다.
칠러 장치(100)는 온도 제어 대상(W)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온도 제어 수단의 일례로서의 테이블 형상으로 구성된 온도 제어부(101)를 갖춘다. 온도 제어부(101)는 혼합비가 조정된 저온 측 유체 및 고온 측 유체로 이루어지는 온도 제어용 유체가 흐르는 온도 제어용 유로(102)를 내부에 가지고 있다.
온도 제어부(101)의 온도 제어용 유로(102)에는 개폐 밸브(103)를 통해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가 접속되어 있다.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의 제1 플랜지부(10)에는 미리 정해진 저온 측의 설정 온도로 조정된 저온 유체를 저장한 저온 측 항온조(104)가 접속되어 있다. 저온 측 항온조(104)로부터는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에 제1 펌프(105)에 의해 저온 측 유체가 공급된다. 또한,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의 제2 플랜지부(19)에는 미리 정해진 고온 측의 설정 온도로 조정된 고온 유체를 저장한 고온 측 항온조(106)가 접속되어 있다. 고온 측 항온조(106)로부터는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에 제2 펌프(107)에 의해 고온 측 유체가 공급된다.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의 제3 플랜지부(27)는 개폐 밸브(103)를 통해 온도 제어부(101)의 온도 제어용 유로(10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온도 제어부(101)의 온도 제어용 유로(102)의 유출 측에는 귀환용 배관이 마련되어 있고, 저온 측 항온조(104) 및 고온 측 항온조(106)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는 밸브축(34)을 회전 구동하는 스테핑 모터(108)를 갖고 있다. 또한, 온도 제어부(101)에는 상기 온도 제어부(101)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센서(109)가 마련되어 있다. 온도 센서(109)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 장치는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의 스테핑 모터(108)의 구동을 제어한다.
칠러 장치(100)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도 제어 대상(W)의 온도를 온도 센서(109)에 의해 검지하고, 상기 온도 센서(109)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에 의해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의 스테핑 모터(108)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온도 제어 대상(W)의 온도를 미리 정해진 설정 온도와 동일한 온도가 되도록 제어한다.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는 스테핑 모터(108)에 의해 밸브축(34)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저온 측 항온조(104)로부터 제1 펌프(105)에 의해 공급되는 저온 측 유체와, 고온 측 항온조(106)로부터 제2 펌프(107)에 의해 공급되는 고온 측 유체의 혼합비를 제어하고,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로부터 개폐 밸브(103)를 통해 온도 제어부(101)의 온도 제어용 유로(102)에 공급하는 저온 측 유체와 고온 측 유체가 혼합된 온도 제어용 유체의 온도를 제어한다.
이때,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축(34)의 회전각에 따라 저온 측 유체와 고온 측 유체의 혼합비를 높은 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고, 온도 제어용 유체의 온도를 미세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를 사용한 칠러 장치(100)는 저온 측 유체와 고온 측 유체의 혼합비가 제어된 소정의 온도로 조정된 온도 제어용 유체를 온도 제어부(101)의 온도 제어용 유로(102)에 흘려보냄으로써, 온도 제어부(101)가 접촉하는 온도 제어 대상(W)의 온도를 원하는 온도로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유량제어용 삼방 밸브를 적용한 항온 유지 장치(칠러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 칠러 장치(100)는 온도 제어부(101)의 온도 제어용 유로(102)를 흐른 제어용 유체를 저온 측 항온조(104)와 고온 측 항온조(106)에 각각 분배하기 위해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를 사용하고 있다.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는 스테핑 모터(110)에 의해 밸브축(34)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저온 측 항온조(104)와 고온 측 항온조(106)에 각각 분배하는 제어용 유체의 유량을 제어한다.
한편, 저온 측 항온조(104)로부터 제1 펌프(105)에 의해 공급되는 저온 측 유체와, 고온 측 항온조(106)로부터 제2 펌프(107)에 의해 공급되는 고온 측 유체의 혼합부(111)에는 각 저온 측 유체 및 고온 측 유체의 유량을 제어한 후에 적절히 혼합하는 혼합 수단이 이용된다. 혼합 수단으로는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혼합용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1)를 이용해도 된다.
유량 제어 밸브의 완전 닫힘 시에서의 유체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고, 온도 제어 장치에 사용함으로써 온도 제어 대상의 온도를 높은 정밀도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 삼방 밸브형 모터 밸브 2: 밸브부
3: 엑츄에이터부 4: 실링부
5: 커플링부 6: 밸브 본체
7: 제1 유입구 8: 밸브시트
9: 제1 밸브포트 10: 제1 플랜지 부재
11: 육각구멍이 있는 볼트 12: 플랜지부
13: 삽입부 14: 배관 접속부
15: O링 16: 누름 부재
17: 제2 유입구 18: 제2 밸브포트
19: 제2 플랜지 부재 20: 육각구멍이 있는 볼트
21: 플랜지부 22: 삽입부
23: 배관 접속부 34: 밸브축
35: 밸브보디부 45: 밸브 동작부
45a, 45b: 양 단부 70, 80: 제1 및 제2 밸브시트
74, 84: 오목부(간극 축소부)

Claims (8)

  1. 유체가 유통되는 단일 또는 복수개의, 절단면이 직사각형상인 밸브포트가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밸브시트(valve seat)를 가지는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포트를 개폐하도록 상기 밸브 본체의 밸브시트 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배치되고, 외주면(外周面)에 개구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밸브보디(valve body)와,
    상기 밸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가 대향하는 부재의 간극을 부분적으로 축소함과 함께 상기 간극을 조정 가능하면서 상기 밸브보디의 회전 동작에 의해 이동이 불가하게 마련된 간극 축소부와,
    상기 밸브보디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갖추고,
    상기 밸브포트는 상기 밸브 본체와 다른 부재로 이루어지는 밸브포트 형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간극 축소부는 상기 밸브포트 형성 부재의 상기 밸브보디와 대향하는 선단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밸브.
  2. 제1 유체가 유입되고 절단면이 직사각형상인 제1 밸브포트와 제2 유체가 유입되고 절단면이 직사각형상인 제2 밸브포트가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밸브시트를 가지는 밸브 본체와,
    상기 제1 밸브포트를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제2 밸브포트를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밸브 본체의 밸브시트 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배치되고, 미리 정해진 중심각을 가지는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둘레방향을 따른 양 단면(端面)이 곡면 형상 또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밸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가 대향하는 부재의 간극을 부분적으로 축소함과 함께 상기 간극을 조정 가능하면서 상기 밸브보디의 회전 동작에 의해 이동이 불가하게 마련된 간극 축소부와,
    상기 밸브보디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갖추고,
    상기 밸브포트는 상기 밸브 본체와 다른 부재로 이루어지는 밸브포트 형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간극 축소부는 상기 밸브포트 형성 부재의 상기 밸브보디와 대향하는 선단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밸브.
  3. 유체가 유출되고 절단면이 직사각형상인 제1 밸브포트와 상기 유체가 유출되고 절단면이 직사각형상인 제2 밸브포트가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밸브시트를 가지는 밸브 본체와,
    상기 제1 밸브포트를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제2 밸브포트를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밸브 본체의 밸브시트 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배치되고, 미리 정해진 중심각을 가지는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둘레방향을 따른 양 단면이 곡면 형상 또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밸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가 대향하는 부재의 간극을 부분적으로 축소함과 함께 상기 간극을 조정 가능하면서 상기 밸브보디의 회전 동작에 의해 이동이 불가하게 마련된 간극 축소부와,
    상기 밸브보디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갖추고,
    상기 밸브포트는 상기 밸브 본체와 다른 부재로 이루어지는 밸브포트 형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간극 축소부는 상기 밸브포트 형성 부재의 상기 밸브보디와 대향하는 선단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밸브.
  4. 원기둥 형상의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밸브시트를 가지며, 상기 밸브시트의 둘레면에 유체가 유통되고 절단면이 직사각형상인 제1 밸브포트와 상기 밸브시트의 축방향을 따른 일단부(一端部)에 유체가 유통되는 제3 밸브포트가 형성된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 본체의 상기 밸브시트 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밸브포트의 개구 면적을 선형적으로 변화시키도록 미리 정해진 중심각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일부를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된 밸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가 대향하는 부재의 간극을 부분적으로 축소함과 함께 상기 간극을 조정 가능하면서 상기 밸브보디의 회전 동작에 의해 이동이 불가하게 마련된 간극 축소부와,
    상기 밸브보디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갖추고,
    상기 밸브포트는 상기 밸브 본체와 다른 부재로 이루어지는 밸브포트 형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간극 축소부는 상기 밸브포트 형성 부재의 상기 밸브보디와 대향하는 선단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밸브.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보디와 상기 간극 축소부의 간극을 조정하는 간극 조정 부재를 갖는 유량 제어 밸브.
  7. 혼합비가 조정된 저온 측 유체 및 고온 측 유체로 이루어지는 온도 제어용 유체가 흐르는 온도 제어용 유로를 가지는 온도 제어 수단과,
    저온 측의 미리 정해진 제1 온도로 조정된 상기 저온 측 유체를 공급하는 제1 공급 수단과,
    고온 측의 미리 정해진 제2 온도로 조정된 상기 고온 측 유체를 공급하는 제2 공급 수단과,
    상기 제1 공급 수단과 상기 제2 공급 수단에 접속되고, 상기 제1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저온 측 유체와 상기 제2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고온 측 유체를 혼합비를 조정하여 상기 온도 제어용 유로에 흘려 보내는 유량 제어 밸브를 갖추며,
    상기 유량 제어 밸브로서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유량 제어 밸브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제어 장치.
  8. 혼합비가 조정된 저온 측 유체 및 고온 측 유체로 이루어지는 온도 제어용 유체가 흐르는 온도 제어용 유로를 가지는 온도 제어 수단과,
    저온 측의 미리 정해진 제1 온도로 조정된 상기 저온 측 유체를 공급하는 제1 공급 수단과,
    고온 측의 미리 정해진 제2 온도로 조정된 상기 고온 측 유체를 공급하는 제2 공급 수단과,
    상기 제1 공급 수단과 상기 제2 공급 수단에 접속되고, 상기 제1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저온 측 유체와 상기 제2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고온 측 유체를 혼합하여 상기 온도 제어용 유로에 공급하는 혼합 수단과,
    상기 온도 제어용 유로를 유통한 온도 제어용 유체를 상기 제1 공급 수단과 상기 제2 공급 수단에 유량을 제어하면서 분배하는 유량 제어 밸브를 갖추고,
    상기 유량 제어 밸브로서 제1항 또는 제3항에 기재된 유량 제어 밸브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제어 장치.
KR1020197032285A 2017-05-02 2018-04-17 유량 제어 밸브 및 이것을 이용한 온도 제어 장치 KR1025664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91644 2017-05-02
JP2017091644A JP6947532B2 (ja) 2017-05-02 2017-05-02 流量制御弁及びこれを用いた温度制御装置
PCT/JP2018/015805 WO2018203472A1 (ja) 2017-05-02 2018-04-17 流量制御弁及びこれを用いた温度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380A KR20200003380A (ko) 2020-01-09
KR102566490B1 true KR102566490B1 (ko) 2023-08-11

Family

ID=64016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2285A KR102566490B1 (ko) 2017-05-02 2018-04-17 유량 제어 밸브 및 이것을 이용한 온도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80258B2 (ko)
JP (1) JP6947532B2 (ko)
KR (1) KR102566490B1 (ko)
CN (1) CN110537045B (ko)
TW (1) TWI794226B (ko)
WO (1) WO20182034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90058B2 (ja) * 2017-07-24 2022-01-12 伸和コントロールズ株式会社 温度制御装置
CN109723863B (zh) * 2018-12-28 2020-08-25 广州雪霸专用设备有限公司 一种气动转阀柱塞泵的旋转阀
KR102275434B1 (ko) * 2021-05-09 2021-07-12 동주에이피 주식회사 반도체 칠러장치용 밸브 모듈
EP4283168A1 (de) * 2022-05-24 2023-11-29 Andreas Stihl AG & Co. KG Druckverstelleinrichtung für einen hochdruckreinig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21679A1 (en) 2013-07-05 2015-01-07 Esbe AB Temperature adjustment valve
JP6104443B1 (ja) * 2016-08-26 2017-03-29 伸和コントロールズ株式会社 流量制御用三方弁及びこれを用いた温度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8849A (en) * 1973-06-29 1974-11-19 Vapor Corp Fluid control valve
USRE30224E (en) * 1973-11-08 1980-03-11 Purex Corporation Valve construction
JPS5837218A (ja) * 1981-08-27 1983-03-04 Aoki Kensetsu:Kk ドレン材打設方法およびドレン材打設機
IT1155408B (it) * 1982-10-27 1987-01-28 Giorgio Bormioli Dispositivo di comando per movimenti sequenziali, in particolare per la manovra di valvole a sfera a movimento rototraslatorio per prodotti fluidi ad altissima o bassissima temperatura
JPS614443U (ja) 1984-06-15 1986-01-11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JPH01176864A (ja) * 1987-12-29 1989-07-13 Toto Ltd 湯水混合弁
JPH089495Y2 (ja) * 1988-07-04 1996-03-21 昭 神戸 弁装置
JP3552438B2 (ja) * 1996-02-05 2004-08-11 株式会社デンソー 流量制御装置
JP3978395B2 (ja) * 2002-01-23 2007-09-19 愛三工業株式会社 流量制御弁
CN2654976Y (zh) * 2003-11-13 2004-11-10 冯圣印 套筒式三通换向阀
JP5007858B2 (ja) * 2007-02-08 2012-08-22 Smc株式会社 流量制御弁
CN101230929B (zh) * 2008-02-29 2010-04-21 合肥通用机械研究院 两位三通粉体换向阀
JP5182326B2 (ja) * 2010-06-09 2013-04-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流量制御弁
TWM522296U (zh) * 2016-03-01 2016-05-21 Yu Xiang Machinery Co Ltd 流量控制閥
CN105972256B (zh) * 2016-07-09 2018-06-05 浙江艾默樱零部件有限公司 旋转式水路三通切换装置
CN106065961A (zh) * 2016-08-04 2016-11-02 中国电力工程顾问集团中南电力设计院有限公司 独体旋转阀芯型汽轮机冷油器六通切换装置
JP6928484B2 (ja) * 2017-06-02 2021-09-01 伸和コントロールズ株式会社 流量制御用三方弁及びこれを用いた温度制御装置
JP6990058B2 (ja) * 2017-07-24 2022-01-12 伸和コントロールズ株式会社 温度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21679A1 (en) 2013-07-05 2015-01-07 Esbe AB Temperature adjustment valve
JP6104443B1 (ja) * 2016-08-26 2017-03-29 伸和コントロールズ株式会社 流量制御用三方弁及びこれを用いた温度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380A (ko) 2020-01-09
CN110537045A (zh) 2019-12-03
JP2018189144A (ja) 2018-11-29
JP6947532B2 (ja) 2021-10-13
WO2018203472A1 (ja) 2018-11-08
CN110537045B (zh) 2022-06-21
US20200378515A1 (en) 2020-12-03
TW201843407A (zh) 2018-12-16
US11480258B2 (en) 2022-10-25
TWI794226B (zh) 2023-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8314B1 (ko) 유량제어용 삼방 밸브 및 이것을 이용한 온도제어 장치
KR102366594B1 (ko) 유량 제어용 삼방 밸브 및 이것을 이용한 온도 제어 장치
KR102566490B1 (ko) 유량 제어 밸브 및 이것을 이용한 온도 제어 장치
KR102522388B1 (ko) 온도제어 장치
JP6963662B2 (ja) 流量制御弁、流量制御用三方弁及び温度制御装置
JP6144441B1 (ja) 流量制御用三方弁及びこれを用いた温度制御装置
KR20230108340A (ko) 유량 제어용 삼방 밸브 및 온도 제어 장치
KR20230108338A (ko) 유량 제어용 삼방 밸브 및 온도 제어 장치
KR20230113383A (ko) 유량 제어용 삼방 밸브 및 온도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