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470B1 - 코팅된 시트 금속 밴드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코팅된 시트 금속 밴드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6470B1
KR102566470B1 KR1020207033280A KR20207033280A KR102566470B1 KR 102566470 B1 KR102566470 B1 KR 102566470B1 KR 1020207033280 A KR1020207033280 A KR 1020207033280A KR 20207033280 A KR20207033280 A KR 20207033280A KR 102566470 B1 KR102566470 B1 KR 102566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heet metal
metal strip
adhesive
reaction accel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3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5896A (ko
Inventor
로날드 플루흐
Original Assignee
뵈스트알파인 스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뵈스트알파인 스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뵈스트알파인 스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005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5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4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4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iron or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0Interconnection of layers at least one layer having inter-reactive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3/02Cores, Yokes, or armatures made from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6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metal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평탄 측 및 제2 평탄 측을 가지는 압연된 시트 금속 밴드를 포함하는 코팅된 시트 금속 밴드에 관한 것이다. 제1 평탄 측 위에 있는 제1 층은 캐리어 층을 포함한다. 캐리어 층은 접착제를 위한 반응 가속제를 포함하고 그리고 물리적인 형태로 반응 가속제를 저장한다. 접착제를 가지는 제2 층은 제2 평탄 측 위에 적용된다. 제2 층은 반응 가속제 또는 임의의 종류의 반응 가속제가 없다.

Description

코팅된 시트 금속 밴드 및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 및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들은 많은 기술 영역들에서 사용된다. 예로써, 전기 시트 스트립들로서 공지되는 것의 형태로,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들은, 발전기들, 전기 모터들, 변압기들 또는 다른 전기 디바이스들에 사용되는 전기 코어들의 구성을 위한 시작 재료를 형성한다. 이러한 전기 코어들은, 코팅된 전기 시트 스트립을 개별적인 시트 금속 적층체들로 절단함으로써 제조되어, 시트 금속 적층체들을 쌓고 그리고 적층 스택(lamination stack)을 형성하기 위해 시트 금속 적층체들을 함께 접착식으로 결합한다. 또한, 접착식으로 함께 결합된,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들 또는 시트 금속 적층체들은 또한 전기 코어들의 외측에서의 적용들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또는 다른 적용들에서 시트 금속 적층체들의 간단한 접착제 결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하나 또는 둘 모두의 평탄 측들 상에서 압연된 시트 금속 스트립을 접착제 층, 예컨대 베이킹 래커 층으로 덮는 것이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이는, 예를 들어, 페인팅하는 단계 또는 접착제를 적용하는 단계와 같은 중간 작업 단계들을 요구하지 않고,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을 절단함으로써 획득된 시트 금속 적층체들로부터 직접적으로 적층 스택들을 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접착제 결합 프로세스 (적층 스택의 베이킹) 동안에서야 비로소, 접착제 층이 활성화되며 그리고 적층 스택이 그의 치수 안정성을 획득한다.
접착제 결합 프로세스에 의한 시트 금속 적층 스택들의 제조시에 공지된 단점은, 대안적인 조치들(예를 들어, 시트 금속 적층체들을 나사결합(screwing)하거나 브레이싱하는(bracing) 것 등)과 비교하여 접착제 결합 프로세스가 비교적으로 시간-소모적이라는 점이다. 종래의 베이킹 프로세스에서의 접착제 결합 시간은 통상적으로 복수의 시간에 걸쳐 연장되며, 그 결과, 전기 코어들(적층 스택들)의 제조는 값비싸지고 그리고 시간-소모적이게 된다.
접착제로의 시트 금속 스트립들의 사전코팅시의 추가의 단점은, 액체 접착제가 아직 적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액체 접착제는 낮은 저장 안정성을 나타내고 그리고 적용 후에 신속한 에이징의 경향을 보인다는 점이다. 실제로, 이는, 액체 접착제가 시트 금속 스트립에 적용되어야 하기 전에, 액체 접착제가 최대 단지 약 6개월 동안만 저장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후, 시트 금속 스트립에 적용되는 접착제는 아무리 늦어도 6개월 후에 활성화(접착식으로 결합)되어야 하는데, 왜냐하면 그렇지 않으면 적층 스택(예컨대, 전기 코어)이 요망되는 (높은) 기계적인 안정성을 보유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접착제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들의 낮은 저장 및 에이징 안정성은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들의 제조사 및 구매자 둘 모두에 관한 문제를 나타내고 그리고 이에 따라 적층 스택들의 제조를 위한 접착제-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들의 시장 침투를 크게 방해한다.
DE 10 2015 012 172 A1은 에폭시 수지, 잠재성 경화제(latent hardener) 및 잠재성 가속제로 구성되는 열적으로 활성화가능한 빠른-경화 접착제 층을 개시한다.
WO 2016/033630 A1은, 촉매제가 베이킹 래커 층에 직접적으로 적용되는 베이킹 래커-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DE 35 03 019 C2는 접착제 층 및 절연 층으로 코팅된 전기 시트 스트립을 설명하며, 절연 층은 이미 경화된 접착제 층으로 구성된다.
EP 0 756 297 B1은 양 측들 상에서 코팅된 전기 시트를 설명하며, 여기서 둘 모두의 코팅들은 상이한 조성을 가지며, 그리고 코팅들 중 적어도 하나는 아미노 수지들의 화학적 그룹으로부터 경화 가속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을 제공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으며,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은, 접착식으로 결합된 시트 금속 적층체들로 구성되는 구성요소들을 위한 시작 재료로서, 특히 저장 안정성 및/또는 에이징 안정성 및 제조 프로세스에 대한 유리한 특성들을 갖는다. 더욱이, 본 발명은 언급된 특성들을 가지는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특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목적은 독립항들의 특징들에 의해 달성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 및 개량예들은 종속항들의 청구 대상이다.
이에 따라,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은 제1 평탄 측 및 제2 평탄 측을 가지는 압연된 시트 금속 스트립을 포함한다. 제1 층은 제1 평탄 측 위에서 연장하고, 그리고 접착제를 위한 반응 가속제를 포함하고 그리고 물리적인 기반으로 반응 가속제를 저장하는 캐리어 층을 포함한다. 접착제를 포함하는 제2 층은 제2 평탄 측 위에서 연장한다. 캐리어 층은, 예를 들어, 시트 금속 스트립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제2 층은 제1 층의 반응 가속제가 없거나 임의의 반응 가속제가 없다.
접착제 층 및 반응 가속제를 시트 금속 스트립의 상이한 측면들에 적용함으로써, 접착제 및 반응 가속제가 디커플링된다(decoupled). 그 결과, 시트 금속 스트립에 대한 적용 전에 액체 접착제의 저장 안정성 및 코팅 프로세스 후의 접착제 층의 에이징 안정성은 혼합된 반응 가속제를 채택하는 종래의 용액들과 비교하여 상당히 증가된다. 동시에, 2개의 층들의 커플링 후의 접착제 결합 프로세스는, 반응 가속제의 존재 때문에, 짧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층은 캐리어 층에 포함되는 반응 가속제가 그의 나중의 사용 동안 준비된 상태로 유지되는 디폿 코팅(depot coating)을 형성한다.
따라서,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은, 시트 금속 스트립으로 제조되는 적층 스택의 저장 안정성, 에이징 안정성, 및 또한 짧은 접착제 결합 시간, 그리고 높은 기계적인 안정성에 대한 요망되는 요건들을 완전히 충족할 수 있다.
화학적 프로세스를 통해 캐리어 층에서 반응 가속제의 저장을 촉진하는 작은 양의 접착제가 제1 층의 캐리어 층 재료에 부가될 수 있다. 접착제의 양은, 이러한 경우에 작으며, 예를 들어, 캐리어 층의 20 체적% 이하 또는 10 체적% 이하이다.
(작은 비율의 접착제를 갖는 또는 접착제가 없는) 캐리어 층의 캐리어 층 재료 대 반응 가속제의 비율은 예를 들어 1/1 내지 3/1일 수 있고 그리고 특히 (체적% 단위로) 대략 2/1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층은 반응 가속제를 포함하는 캐리어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캐리어 층은 예를 들어, 유기 수지, PVA(polyvinyl alcohol), 및/또는 페녹시(phenoxy) 수지를 포함할 수 있거나 이들 물질들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반응 가속제는, 예를 들어, 우레아(urea) 또는 우레아 유도체들, 루이스 염기(Lewis base)(예컨대, 3급 아민들), 루이스 산(Lewis acid)(예컨대, BF3), 또는 이미다졸, 특히 1-메틸이미다졸(methylimidazole), 2-메틸이미다졸 또는 2-에틸-4-메틸이미다졸(2E4MIm)로, 또는 다른 이미다졸 유도체들 또는 이미다졸 부가물들을 포함하거나 언급된 물질들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미다졸들은 수지들,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들의 중합을 위한 효과적인 촉매제들이다. 더욱이, 개질된 또는 헤테로시클릭 아민들은 또한 반응 가속제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제1 층은 전체적으로 또는 완전히 접착제가 없는 층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층은 20 체적% 이하의 접착제, 특히 10 체적% 이하의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거나, 접착제가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접착제”는, 반응 가속제와 상호작용하는 제2 층의 접착제 또는 임의의 접착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접착제가 없는”은, 반응 가속제와 상호작용하는 제2 층의 접착제가 없는 것 또는 임의의 접착제가 없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층은 또한, 20 체적% 초과의 접착제, 예를 들어 30 체적%, 40 체적%, 50 체적%, 60 체적%, 또는 70 체적% 이상의 접착제의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이 접착제의 소정 비율을 포함한다면, 반응 가속제는 접착제와 반응할 수 있으며(예를 들어, 예로서 이미다졸이 베이킹 래커의 에폭시드기, 다시 말해 예시적인 접착제와 반응함), 반응 가속제가 제1 층(즉, “디폿 층”)에서 반응 가속제 부가물(예컨대, 이미다졸 부가물)의 원위치에 있을 경우, 제조를 초래한다.
예시적인 이미다졸 부가물(또는 일반적으로 반응 가속제 부가물)은 캐리어 층에, 다시 말해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경질인 페녹시 수지에 매립된다. 20 체적% 미만의 접착제(예컨대, 베이킹 래커)의 경우에, 캐리어 층(다시 말해, 예를 들어 페녹시 수지)의 경도는 지배적이다. 이는, 제1 층(“디폿 코팅”)이 보다 경질인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이점은,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이 코일로 권선되고 그리고 높은 압력들이 코일의 고유한 중량의 결과로서 우세할 때 역할을 하기 시작한다.
실험들은, 그러나, 20 체적% 초과의 접착제가 또한 제1 층에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예로써, 40 체적%의 접착제와 동일한 방식으로, 50 체적%의 접착제와 동일한 방식으로, 60 체적%의 접착제와 동일한 방식으로, 70 체적%의 접착제와 동일한 방식으로, 30 체적%의 접착제(예컨대, 베이킹 래커)는 접착제 결합 후에, 다시 말해 반응 가속제가 제1 층으로부터 제2 층으로 방출되었을 때, 전체적인 코팅 시스템의 보다 양호한 균일성으로 이어진다. 제1 층의 보다 많은 접착제의 이점은 또한, 보다 많은 이미다졸(또는 일반적으로: 반응 가속제)이 이에 의해 결속될 수 있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반응 가속제가 예를 들어 접착제와 같은 캐리어를 가지며 그리고 그러므로 반응 가속제 부가물이 현장에서(in situ)에서 형성된다면 유리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미다졸 이외에, 이미다졸 유도체가 또한 반응 가속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제1 층에 대한 “접착제가 없다는 것”이 순수 이미다졸과 함께 작동하지 않거나 단지 매우 제한된 범위로 작동하고 그리고 대신에 단지 이미다졸이 보다 높은 분자량(molecular weight)의 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이미다졸 부가물로서 존재할 때 작동하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
제1 층의 두께는 2㎛, 1㎛ 또는 0.5㎛ 이하이도록 선택될 수 있다. 제1 층의 두께는 50nm, 100nm 또는 250nm 초과이도록 선택될 수 있다. 반응 가속제가 비교적으로 낮은 두께의 층(디폿 층)에 수용되는 사실의 결과로서, 반응 가속제는 열적 접착제 결합 프로세스 동안 확산에 의해 (즉, 짧은 확산 경로 길이들을 통해) 제2 층의 접착제에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다.
제1 층은 무기질 충전재들이 없을 수 있다. 이는 제2 층(접착제 층) 위로의 반응 가속제의 통과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1 층은 임의의 접착제 및 특히 반응 가속제가 작용하는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또는 완전히 없을 수 있다. 그 결과, 반응 가속제를 갖는 요망되지 않는 반응 프로세스가 방지될 수 있다. 제1 층은 접착제가 완전히 없을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비율의, 예를 들어, 최대 20 체적% 또는 심지어 그 초과(예컨대, 30 체적%, 40 체적%, 50 체적%, 60 체적%, 또는 70 체적%)의 제1 층에서의 접착체는 요망되지 않는 3차원 가교화(crosslinking)를 유발시키지 않고 부가될 수 있다. 반응 가속제가 작용하는 접착제(예컨대, 제2 층의 베이킹 래커 또는 접착제)의 비율은 이러한 경우에 최대 10 체적%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에서의 접착제에 관한 체적% 도면들은 제1 층의 전체 체적에 기초한다.
제2 층은 에폭시 수지계 층 및/또는 베이킹 래커 층, 특히 에폭시 수지계 베이킹 래커 층일 수 있다. 이러한 층들은 높은 결합력들 및 양호한 전기 절연 효과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은 전기 코어들의 구성을 위해 사용되는 전기 시트 스트립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헌의 개시는 또한 시트 금속 스트립들을 포함하며, 시트 금속 스트립들의 접착제 결합은 전기 코어들이 아닌 구성요소들을 제조한다.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은, 예를 들어, 코일(권선, 롤, 스풀(spool))의 형태로 롤 업될(rolled up) 수 있다. 코일에서의 요망되지 않은 사전-반응은, (주변 온도에서) 반응 가속제에 대한 높은 결착력(binding power)을 가지는 캐리어 층을 위한 적합한 재료를 통해 여기서 억제될 수 있다.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예를 들어, 압연된 시트 금속 스트립의 제1 평탄 측 위에 제1 층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층은 캐리어 층을 포함하고, 이 캐리어 층은 접착제를 위한 반응 가속제를 포함하고 그리고 물리적 기반으로 반응 가속제를 저장하며, 그리고 접착제를 포함하는 제2 층을 압연된 시트 금속 스트립의 제2 평탄 측 위에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반응 가속제(활성화제)(소위 디폿 코팅)를 포함하는 제1 층은 단지 접착제를 포함하는 제2 층과 같이 사실상 무단 시트 금속 스트립에 이미 적용될 수 있다.
캐리어 층은, 예를 들어, 시트 금속 스트립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제1 층은 접착제가 없을 수 있거나,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작은 비율의 접착제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제2 층은 제1 층의 반응 가속제가 없을 수 있거나 임의의 반응 가속제가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층 및/또는 제2 층은 롤러 적용에 의해 각각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방법들 또는 분무 방법들과 같은 다른 적용 방법들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방법은, 더욱이, 280℃, 270℃, 260℃, 또는 250℃ 이하의 건조 온도로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낮은 건조 온도를 사용함으로써, 주요 부품을 위한 반응 가속제가 제1 층의 캐리어 층 재료에 있는 상태를 유지하며, 다시 말해 축출되지 않거나 단지 작은 범위에 있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추가의 양태에 따르면,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은 제1 평탄 측 및 제2 평탄 측을 가지는 압연된 시트 금속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접착제를 위한 반응 가속제를 포함하는 제1 층(예를 들어, 그의 제1 층은 없을 수 있음)은 제1 평탄 측 위에 배열되며, 그리고 접착제가 없는 절연 래커 층을 포함하는 제3 층은 제2 평탄 측 위에 배열된다. 절연 래커로 코팅되고 그리고 디폿 코팅을 가지는 이러한 시트 금속 스트립은 마찬가지로, 시트 금속 적층체들로 구성되는 구성요소들, 예를 들어 전기 코어들의 구성을 위한 전구체(precursor)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의 접착제 결합은, 접착제 층으로 제1 평탄 측 상에 제공되고 그리고 제2 평탄 측 상에 절연 래커 층으로 코팅되지 않거나 또한 절연 래커 층이 제공되는 추가의 시트 금속 스트립으로 제조되는 시트 금속 적층체들을 사용하여 실시된다. 따라서, 디폿 코팅을 가지는 시트 금속 스트립에서 제1 평탄 측 위에 존재하는 반응 가속제는, 다른 시트 금속 스트립 상에 제공되는 접착제 층으로 접착제 결합 프로세스에서 상호작용하도록 여기에 제공된다.
제1 층에 대해, 절연 래커로 코팅되고 그리고 디폿 코팅을 가지는 시트 금속 스트립은 모든 특징들을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으로 가질 수 있으며, 이 특징들은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과 연관되어 언급된다.
제3 층(접착제가 없는 절연 래커 층)은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에서의 제2 층을 위한 두께 규격들에 따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문헌에서의 “절연 래커 층들”은, 전기 절연하고 있지만 나중의 접착제 결합 프로세스에서 임의의 효과적인 접착제 결합을 가능하게 하지 않는 층들을 지칭한다.
이러한 문헌에서의 “접착제 층들”은, 3차원 가교화 반응들을 통해 (즉, 화학적으로) 구성요소의 치수 안정성을 달성하기 위해 접착제 결합 프로세스에서 시트 금속 적층체들의 접착제 결합을 유발시키는 층들을 지칭한다. 또한, 접착제 층들을 선택적으로 또한 접착식으로 결합되는 시트 금속 적층체들 사이에 충분한 전기 절연을 유발시킬 수 있다(예를 들어, 베이킹 래커 층들은 접착제 층들 및 전기 절연 층들 둘 모두로서 기능함). 그러나, 접착식으로 결합된 시트 금속 적층체들로 구성되는 일부 구성요소들을 위해, 접착제 층이 임의의 전기 절연 보증을 보장하지 않거나 가능하게는 심지어 전기 전도성이 있는 것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이후에, 예시적인 실시예들 및 개량예들은 개략도들을 기초하여 예시적인 방식으로 설명되며, 상이한 정도의 상세는 도면들 중 일부에서 사용된다. 유사한 도면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품들을 표시한다.
도 1은 반응 가속제(reaction accelerator)를 가지는 제1 층 및 압연된 시트 금속 스트립의 대향 평탄 측들 위에 접착제를 가지는 제2 층을 적용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2는, 예를 들어, 도 1에 예시되는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양 측면들 상에 코팅되는 시트 금속 스트립을 통과하는 단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2로부터의 양 측면들 상에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의 접착식으로 함께 결합된 적층체들로 구성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4는 반응 가속제를 갖는 제1 층 및 절연 래커(insulating lacquer)를 갖는 제3 층을 가지는 추가의 시트 금속 스트립을 통과하는 단면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4로부터의 추가의 시트 금속 스트립의 그리고 접착제-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의 접착식으로 함께 결합되는 적층체들로 제조되는 예시적인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도 6은 접착제 결합 직후에 그리고 또한 에이징(aging) 직후에 2개의 접착식으로 결합된 시트 금속 스트립들로 구성되는 시편들(specimens)의 (N/mm 단위의) 롤러 박리 저항을 예시적인 방식으로 예시한다.
본 설명에서의 “적용” 또는 “적용함”과 같은 용어 및 다른 유사한 용어들(예컨대, “적용됨”)은, 적용된 층들이 적용될 때, 적용된 층들이 표면과 직접 접촉되어야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개입 요소들 또는 층들은 “적용된” 요소들 또는 층들과 밑에 있는 표면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에서 위에서 언급된 또는 유사한 용어들은 또한, 요소들 또는 층들이 밑에 있는 표면과 직접 접촉하는 것, 다시 말해, 개입 요소들 또는 층들이 존재하지 않는 특정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표면 “위에” 형성되거나 적용되는 요소 또는 재료 층에 대해 사용되는 용어 “위에”는, 요소 또는 재료 층이 표면 “상에 간접적으로” 적용된다는 점에서 여기서 사용될 수 있으며, 표면과 요소 또는 재료 층 사이의 개입 요소들 또는 층들은 가능하게 존재한다. 그러나, 용어 “위에”는 또한, 표면 “위에” 적용되는 요소 또는 재료 층이 관련된 표면 “상에 직접적으로” 적용되며, 다시 말해 관련된 표면과 직접 접촉하는 특정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동일한 것은, 예를 들어, “위에 있는”, “아래에”, “밑에 있는” 등과 같은 유사한 용어들과 유사하게 적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200)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100)을 예시적인 방식으로 도시한다. 방법(100)의 시작 제품은 압연된 시트 금속 스트립(110)이다. 시트 금속 스트립(110)은 예를 들어 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시트 금속 스트립(110)은, 예를 들어 전기 코어들의 구성을 위해 제공되는 전기 시트 스트립일 수 있다. 압연된 시트 금속 스트립(110)은 연속적인 벨트 런(belt run)(화살표(P)를 참조)에서, 예를 들어 제강소(steelworks)에서 사실상으로 무단 시트 금속 스트립(110)의 형태일 수 있다.
시트 금속 스트립(110)은 예를 들어 최종적으로 어닐링된 상태에서 냉간 압연된 시트 금속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 스트립일 수 있다. 다른 시트 금속 스트립들, 예컨대, 비최종적으로(non-finally) 어닐링된 시트 금속 스트립들 또는 전기 시트 스트립들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시트 금속 스트립(110)은 코팅 시스템(150)에 공급된다. 여기서 예시되는 예에서, 코팅 시스템(150)은 양면(double-sided) 코팅 시스템(150)으로서 예시된다. 그러나, 최상부-측면 및 저부-측면 코팅들이 압연된 시트 금속 스트립의 단지 하나의 평탄 측을 각각 코팅하는 상이한 코팅 시스템들에 적용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또한,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코팅들이 다수의 코팅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것, 다시 말해 다수의 코팅 단계들로 이 코팅들을 각각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에서, 제1 층(120)은 압연된 시트 금속 스트립(110)의 제1 평탄 측(110A) 위에 적용되며, 그리고 제2 층(130)은 압연된 시트 금속 스트립(110)의 제1 평탄 측(110A) 반대편에 있는 제2 평탄 측(110B) 위에 적용된다.
제1 층(120)은 접착제를 위한 반응 가속제를 포함하는 소위 디폿 코팅(depot coating)이다. 제1 층은, 반응 가속제가 의도되는 접착제에 대해 전체적으로 또는 완전히 접착제가 없을 수 있으며, 다시 말해, 접착제는 제1 층(120)에 존재하지 않거나 단지 작은 정도(예를 들어, 20 체적% 또는 10 체적% 이하)로 존재한다. 동일한 것이 반응 가속제와 상호작용하는 임의의 접착제에 대해 적용된다. 제1 층(120)은 또한, 접착제가 제1 층(120)에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완전히 접착제가 없을 수 있다.
다른 한편, 제1 층(120)이 보다 높은 비율의 접착제, 예를 들어, 30 체적%, 40 체적%, 50 체적%, 60 체적%, 또는 70 체적% 초과의 접착제의 더 높은 비율을 포함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며, 이는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110)의 또는 코팅된 금속 스트립으로 제조된 시트 금속 적층체들(시트 금속 플레이트들)(320)의 접착제 결합 후에 전체 코팅 시스템의 보다 양호한 균일성을 초래한다(도 3 참조). 이러한 보다 높은 비율의 접착제는 특히 이미다졸(imidazole)과 같은 낮은 분자량 반응 가속제에 대해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반응 가속제는 (제1 층(120)에 존재하지 않는) 접착제를 위한 활성화제 또는 촉매제일 수 있다. 이는, 접착제와의 접촉 및 예를 들어 반응 가속제 없이 요구될 것인 시간과 비교하여 2, 3, 4, 5, 6, 7, 8, 9 또는 10배 이상만큼 화학적 접착제의 완전한 반응을 위해 요구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열적 활성화시에, 반응 가속제가 유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접착제는 압연된 시트 금속 스트립(110)의 제2 평탄 측(110B) 위에 적용되는 제2 층(130)에 존재한다. 따라서, 접착제 및 반응 가속제는 적용 동안 분리되고 그리고 추가의 벨트에서 개입하는 시트 금속 스트립(110)에 의해 동작된다.
제1 평탄 측(110A) 및/또는 제2 평탄 측(110B)은 롤러 적용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은 2개의 롤러들(151, 152)을 예시하며, 이는 제1 층(120) 및 제2 층(130) 각각을 예를 들어 습윤하게 적용한다. 그러나, 제1 및/또는 제2 층(120, 130)의 층 적용이 다른 방법들, 예컨대, 분무 프로세스 또는 인쇄 방법에 의해 실행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제1 및 제2 층(120, 130)은 코팅되지 않은, 압연된 시트 금속 스트립(110) 상에 또는 이미 사전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110) 상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라이머(primer)의 형태의 사전 코팅부(예시되지 않음)가 존재할 수 있으며, 사전 코팅부 위에, 제1 층(120) 및/또는 제2 층(130)이 적용된다. 벨트 런에서 코팅 시스템(150)의 상류에 있는 시트 금속 스트립(110)에는 일 측면 상에서 또는 양 측면들 상에서 절연 래커 층이 이미 제공되어 있어서, 제1 층(120) 및/또는 제2 층(130)이 이미 적용된 절연 래커 층 상에 적용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절연 래커 층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재료들이 또한 이후에 언급된다.
제1 층(120) 및/또는 제2 층(130)은 전체 표면 위에 또는 단지 표면의 일부 위에 있는 압연된 시트 금속 스트립(110)의 각각의 평탄 측(110A 또는 110B) 상에 적용될 수 있다. 제2 층(130)은, 예를 들어, 시트 금속 스트립(110)의 평탄 측(110B)의 영역의 80%, 60%, 40% 또는 20% 이하의 범위의 정도로 제조될 수 있다. 제2 층(130)은, 예를 들어, 스트리핑된 패턴(striped pattern)으로 적용될 수 있다. 제1 층(120)은 바람직하게는 전체 표면 위에 제1 평탄 측(110A) 상에 적용되며; 표면의 단지 부분 위에서의 적용은 또한 선택적으로 이러한 층을 위해 가능하며, 덮히지 않은(좌-개방) 영역들은 그 후, 또한 제2 층(130)에 의해 덮히지 않아야 한다.
건조 스테이션(160)은 벨트 런 경로에서 코팅 시스템(150)의 하류에 위치될 수 있다. 건조 시스템(160)은, 예를 들어,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110)이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연속적인 건조 오븐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 시스템(160)에서의 시트 금속 스트립(110)의 최대 온도는 150℃ 내지 280℃일 수 있으며, 270℃, 260℃, 250℃, 240℃, 230℃, 220℃, 210℃, 205℃, 195℃, 185℃, 175℃ 또는 165℃ 이하의 온도 값들이 제공될 수 있다.
건조 시스템(160)에서의 열처리의 기속 기간은 예를 들어, 10초 내지 40초일 수 있고, 그리고 특히 20초 또는 30초 이하이거나, 더 클 수 있다. 열처리의 건조 온도 및/또는 지속 기간의 적합한 선택의 결과로써, 반응 가속제가 제1 층(120)에 완전히 또는 사실상 완전히 남아 있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151)에 의한 롤러 적용이 건조 시스템(160)의 하류에서까지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또는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층(120)의 캐리어 층이 벨트 런에서 건조 시스템(160)의 상류에서 적용되지만 반응 가속제가 단지 건조 시스템(160)의 하류에서 추가의 적용 프로세스에 의해 적용된다는 점에서, 벨트 런에서 건조 시스템(160)의 하류에서 반응 가속제를 적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건조 시스템(160)에서, 제2 층(130) 및 선택적으로 제1 층(120)은 적어도 이러한 층들(120, 130)이 벨트 런에서 건조 시스템(160)의 하류에서 기계적으로 안정적이고 그리고 내마모성이 있는 정도까지 건조된다. 그 후, 이는 예를 들어 편향 롤러들에 의해 또는 건조된,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을 코일로 권선함으로써 건조된,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110)의 추가의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건조 시스템(160)에서의 건조 동안, 제2 층(130)에서의 접착제는 아직 활성화되지 않으며, 다시 말해, 접착제의 화학 반응(예컨대 가교화)가 개시되지 않거나 적어도 접착제가 완료로 반응하지 않는다.
도 2는, 예로써, 양 측면들 상에 코팅되고 그리고 도 1에서 유도되는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되는 시트 금속 스트립(200)을 도시한다. 제1 층(120)은 0.5 ㎛, 1.0 ㎛ 또는 2.0 ㎛보다 더 작거나 더 크거나 동일한 두께(D1)를 가질 수 있다. 제1 층(120)은 반응 가속제가 부가되는 캐리어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캐리어 층은 예를 들어, 유기 수지, PVA(polyvinyl alcohol), 및/또는 페녹시(phenoxy) 수지로 구성될 수 있거나 언급된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반응 가속제는, 예를 들어, 이미다졸, 특히 1-메틸이미다졸(methylimidazole), 2-메틸이미다졸 또는 2-에틸-4-메틸이미다졸(2E4MIm)로,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이미다졸 유도체들 또는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와 함께 그의 부가물들로 구성될 수 있거나, 우레아(urea) 또는 우레아 유도체들, 루이스 염기(Lewis base)(예컨대, 3급 아민들), 루이스 산(Lewis acid)(예컨대, BF3)을 포함하거나, 언급된 물질들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개질된 또는 헤테로시클릭 아민들은 또한 반응 가속제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언급된 물질들 모두는 개별적으로 또는 반응 가속제에서의 혼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캐리어 층은 반응 가속제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다시 말해, 제2 층(130)과의 커플링이 실시되기 전에, 반응 가속제가 제1 층(120)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캐리어 층 재료는 물리적인 방식으로 단독으로 반응 가속제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 목적을 위해 캐리어 층 재료들이 적합하다.
특히 낮은 몰질량을 가지는 용이하게 증발가능한 반응 가속제들을 위해, 물리적인 기반으로의 저장은 적은 양의 접착제를 제1 층(120)의 캐리어 층 재료에 부가함으로써 선택적으로 개선될 수 있으며, 이는 화학적 프로세스를 통해 캐리어 층에서 반응 가속제의 저장을 촉진한다. 이러한 경우에서의 접착제의 양은, 반응 가속제의 상당한 소모나 제1 층(120)/캐리어 층의 3차원 가교화가 존재하지 않도록 매우 작다(예를 들어, 제1 층(120)/캐리어 층의 20 체적% 또는 10 체적% 이하). 부가되는 접착제는 예를 들어, 반응 가속제와 상호작용하는 제2 층에 존재하는 접착제 및/또는 다른 접착제일 수 있다.
(작은 비율의 접착제를 갖는 또는 접착제가 없는) 캐리어 층의 캐리어 층 재료 대 반응 가속제의 비율은 예를 들어 1/1 내지 3/1일 수 있고 그리고 특히 (체적% 단위로) 대략 2/1일 수 있다.
캐리어 층 재료는 부가적으로 또한, 예를 들어 (예컨대, 이소시아네이트들의 그룹으로부터) 가교제(crosslinker)와 같은 추가의 활성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층(130)을 위해, 베이킹 래커(baking lacquer)로서 공지되어 있는 것이 예를 들어 사용될 수 있다. 베이킹 래커 층들은, 전기 코어들의 구성을 위해 특별히 개발되었고 그리고 높은 치수 안정성, 작동 안정성 및 높은 결합력들을 가지는 화학적으로 경화가능한 접착제 절연 래커 층들이다. 예를 들어, Backlack-V®로서 공지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감소된 압력에서 높은 결합력들, 낮은 에이징으로 인한 사용의 긴 지속 기간, 개선된 장기간 거동 및 짧은 베이킹 시간을 가능하게 한다. 제2 층(130)은 예를 들어, 4㎛, 6㎛, 8㎛, 10㎛, 12㎛ 또는 15㎛보다 더 작거나 더 크거나 동일한 두께(D2)를 가질 수 있다.
시트 금속 스트립(110)은 예를 들어 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시트 금속 스트립(100)의 두께(D3)는 예를 들어, 0.35mm, 0.5mm, 0.75mm, 1.0mm, 1.5mm, 2.0mm 또는 2.5mm보다 더 크거나 더 작거나 동일할 수 있다.
도 3은 예를 들어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200)으로 제조되는 구성요소들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300)을 예로써 예시한다.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200)은 예를 들어 코일(권선(winding), 롤(roll), 스풀(spool))(310)의 형태일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제강소들에 의해 소비자에게 운반되었다.
하나의 방법 단계에서,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200)은 개별적인 시트 금속 적층체들(시트 금속 플레이트들(320))로 분리된다. 분리는, 예를 들어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200)을 횡방향으로 분할함으로써 분리 시스템(330)에서 발생할 수 있다. 그 후, 시트 금속 적층체들(320)은 이들의 최종 형태로 절단될 수 있다.
그 후, 적어도 2개의 시트 금속 적층체들(320_1 및 320_2)이 쌓이고 그리고 접착제-포함 제2 층(130)에 의해 접착식으로 함께 결합된다. 이를 위해, 340에서, 적어도 2개의 시트 금속 적층체들(320_1, 320_2)은, 하나의 시트 금속 적층체(320_1)의 제2 층(130)이 다른 시트 금속 적층제(320_2)의 제1 층(120)을 향하고 있고 그리고 (열, UV 방사, 적외선 방사 등에 의한) 에너지가 도입되는 경우, 0.5MPa 내지 10Mpa, 특히 2MPa 내지 5Mpa의 영역 압력(F)을 적용함으로써 함께 가압되도록 쌓인다.
제2 층(130)에서의 접착제는 프로세스에서 활성화되며, 이는 접착제의 화학적 반응, 예를 들어, 3차원 가교화를 수반한다. (열적) 접착제 결합 프로세스 동안, 반응 가속제는 제1 층(120)으로부터 밖으로 제2 층(130)의 접착제로 확산된다. 반응 가속제(활성화제, 촉매제)는 화학적 반응 및 그러므로 접착제 결합 프로세스의 엄청난 가속을 유발시킬 수 있다.
340의 접착제 결합은, 예를 들어, 오븐 또는 가열가능한 프레스(press)(예시되지 않음)에서 압축된 시트 금속 적층체들(320_1, 320_2)을 온도(T)로 가열함으로써 실시될 수 있으며, 이 온도는, 예를 들어, 100℃ 내지 250℃, 특히 80℃ 내지 150℃의 주변 온도와 비교하여 상승되고, 그 결과, 제2 층(130)으로의 반응 가속제의 확산 및 접착제의 활성화 둘 모두를 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방사 에너지의 적용을 수반할 수 있는 다른 활성화 프로세스들은 마찬가지로 고려가능하다. 짧은 접착제 결합 시간(t), 예를 들어, 20분, 15분, 10분, 5분, 1분 이하 이후에, 구성요소는 기계적으로 마무리되고 그리고 접착제 결합 시스템(예컨대, 오븐 또는 프레스)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접착제 결합 반응이 프레스의 하류에서 완료되고 그리고 여전히 공구의 외측에서 계속되는 것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다.
반응 가속 이외에도, 반응 가속제의 사용은 추가의 이점들을 유발시킨다. 짧은 접착제 결합 시간(t)으로 인해, 누출 거동에서의 개선이 달성될 수 있으며, 접착제 갭에서의 접착제의 측방향 빠져나옴(emergence)이 최소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반응 가속제는 또한, 보다 많은 에이징-내성이 있는 반응 메카니즘(reaction mechanism)을 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다시 말해 반응 가속제와의 접착제 결합의 에이징 안정성은 반응 가속제가 없는 접착제 결합과 비교하여 증가될 수 있다(도 6를 또한 참조).
도 4는 반응 가속제를 갖는 제1 층(120) 및 절연 래커(insulating lacquer)를 포함하거나 구성되는 선택적인 제3 층(430)을 가지는 추가의 시트 금속 스트립(400)을 통과하는 단면을 도시한다.
반복들을 회피하기 위해, 시트 금속 스트립(110) 및 제1 층(120)에 관한 위의 설명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진다.
제3 층(430)의 절연 래커는 예를 들어 C6 래커일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레미솔(Remisol) EB500FF C6 래커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서의 “FF” “포름알데히드 없음(formaldehyde-free)”(즉, 포름알데히드 방출들이 없음)을 상징한다. C5 래커 또는 C3 래커는 예를 들어, 마찬가지로 또한 채택가능하다. 제3 층(430)의 절연 래커는 접착제가 없을 수 있다.
도 5는 디폿(depot) 코팅을 갖는 추가의 시트 금속 스트립(400)(도 4 참조)의 그리고 접착제-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510)의 접착식으로 함께 결합되는 적층체들로 제조되는 예시적인 구성요소(500)를 도시한다.
접착제-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510)은 시트 금속 스트립(110) 및 시트 금속 스트립(110)의 제2 평탄 측(110B) 위에 배열되는 제2 층(1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위의 설명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200)과는 대조적으로, 그러나, 접착제-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510)은 제1 층(120)(디폿 코팅)을 가지지 않는다. 대신에, 시트 금속 스트립(110)의 제1 평탄 측(110A)은 코팅되지 않을 수 있거나 가능하게는 제3 층(430)에 대응하는 절연 래커 코팅(530)으로 코팅될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되는 구성요소(500)를 제조하기 위해, 따라서, 통상적으로 2개의 코일들의 형태로 공급되는 2개의 상이한 시트 금속 스트립들이 요구되며, 하나의 코일(예시되지 않음)은 디폿 코팅을 갖는 시트 금속 스트립(400)을 포함하며, 그리고 다른 코일(예시되지 않음)은 접착제 코팅을 갖는 시트 금속 스트립(510)을 포함한다.
그 후, 접착제 결합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던 것에 대해 유사하게 실시되며, 여기서, 또한, 반응 가속제와 접착제 사이의 접촉은, 접착제 결합 프로세스 동안까지 발생하지 않으며, 그리고 그러므로 전술된 바와 같은 동일한 피처들, 특성들, 및 이점들이 존재하고 그리고 달성된다.
도 3 및 도 5에 의해 예시되는 구성요소들은 모든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실질적으로 2개 초과의 접착식으로 결합되는 시트 금속 적층체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예를 들어, (예컨대, 10개, 50개, 100개 등보다 더 크거나 동일한) 많은 수의 시트 금속 적층체들의 스택(stack)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도 6의 그래프는 접착제 결합 직후에 그리고 또한 에이징 직후에 2개의 접착식으로 결합된 시트 금속 스트립들로 구성되는 시편들의 (N/mm 단위로) 롤러 박리 저항을 나타내는 실험들의 결과들을 예시한다. 롤러 박리 저항은 2개의 접착식으로 결합되는 시트 금속 스트립들을 떨어지게 뜯도록 요구되는 인열력(tearing force)의 측정값이다.
접착제 결합 온도(T)는 실험들 동안 150℃였으며, 10분의 접착제 결합 시간(t)을 기다렸고 그리고 3Mpa의 가압력(F)이 적용되었다. 반응 가속제(2E4MIm)가 제1 층(120)에서 사용되었으며, 제2 층(130)은 Backlack-V®층이었다.
실험들의 결과들은, 이러한 매개변수들로, 6N/mm 초과의 평균의 인열력들로 시트 금속 스트립들의 높고 강도 결합이 접착제 결합 직후(바(601))에 달성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1개월 동안의 에이징 후(바(602))에, 강도 값들은 동일한 구역 내에 놓이며(실험 공차들을 참조), 다시 말해, 에이징의 결과로서의 접착제 결합의 상당한 열화가 검출되지 않을 수 있다.
비교시에, 디폿 코팅 없이, (즉, 반응 가속제의 사용 없이) 이러한 매개변수들로 임의의 사용가능한 접착제 결합을 달성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았다(오른쪽 바(603) 참조).
도 6의 실험들을 참조하여 예시되는 결과들이 일반적으로 이러한 개시 내에서 설명되는 모든 예시적인 실시예들로 전달가능한 유효한 언급들을 일반적으로 나타내는 것이 추정될 수 있다.

Claims (21)

  1.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coated sheet metal strip)으로서,
    제1 평탄 측 및 제2 평탄 측을 가지는 압연된 시트 금속 스트립(rolled sheet metal strip);
    제1 평탄 측 위에 있는 제1 층 ─ 상기 제1 층은 캐리어 층(carrier layer)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층은 상기 시트 금속 스트립에 직접적으로 적용되며, 접착제를 위해 상기 캐리어 층에 매립되는 반응 가속제(reaction accelerator)를 함유하고, 그리고 물리적인 기반으로 상기 반응 가속제를 저장하며, 상기 캐리어 층의 캐리어 층 재료 대 상기 반응 가속제의 체적 비율은 1/1 내지 3/1임 ─ ; 및
    상기 제2 평탄 측 위에 있고 그리고 상기 접착제를 포함하는 제2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층은 상기 반응 가속제 또는 임의의 반응 가속제가 없고, 상기 제1 층의 두께는 2㎛ 이하이고 상기 제2 층의 두께는 4㎛ 이상인,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층은 유기 수지, 폴리비닐 알콜 또는 페녹시 수지를 포함하는,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가속제는 우레아(urea) 또는 우레아 유도체, 루이스 염기(Lewis base), 루이스 산(Lewis acid), 또는 이미다졸, 이미다졸 유도체들 또는 이미다졸 부가물들, 또는 개질된 또는 헤테로시클릭 아민들(heterocyclic amines)을 포함하는,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은 에폭시 수지계(epoxy resin-based) 층 또는 베이킹 래커(baking lacquer) 층인,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
  5.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은 접착제가 없는,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
  6.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은 20 체적% 이하의 접착제를 포함하는,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
  7.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은 20 체적% 이상의 접착제를 포함하는,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
  8.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은 무기질 충전재들이 없는,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
  9.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금속 스트립은 전기 시트 스트립인,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
  10.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은 코일로 권선되는,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
  11.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압연된 시트 금속 스트립의 제1 평탄 측 위에 제1 층을 적용하는 단계 ─ 상기 제1 층은 캐리어 층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층은 상기 시트 금속 스트립에 직접적으로 적용되며, 접착제를 위해 상기 캐리어 층에 매립되는 반응 가속제를 함유하고, 그리고 물리적인 기반으로 상기 반응 가속제를 저장하며, 상기 캐리어 층의 캐리어 층 재료 대 상기 반응 가속제의 체적 비율은 1/1 내지 3/1임 ─ ; 및
    상기 압연된 시트 금속 스트립의 제2 평탄 측 위에 상기 접착제를 포함하는 제2 층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층은 상기 반응 가속제 또는 임의의 반응 가속제가 없고, 상기 제1 층의 두께는 2㎛ 이하이고 상기 제2 층의 두께는 4㎛ 이상인,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층은 유기 수지, 폴리비닐 알콜 또는 페녹시 수지를 포함하는,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은 롤러 적용에 의해 적용되는,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4. 제11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은 롤러 적용에 의해 적용되는,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5. 제11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80℃ 이하의 건조 온도로 상기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6. 절연 래커(insulating lacquer)로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으로서,
    제1 평탄 측 및 제2 평탄 측을 가지는 압연된 시트 금속 스트립;
    상기 제1 평탄 측 위에 있는 제1 층 ─ 상기 제1 층은 캐리어 층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층은 접착제를 위해 상기 캐리어 층에 매립되는 반응 가속제를 함유하고, 그리고 물리적인 기반으로 상기 반응 가속제를 저장하며, 상기 캐리어 층의 캐리어 층 재료 대 상기 반응 가속제의 체적 비율은 1/1 내지 3/1임 ─ ; 및
    접착제가 없는 절연 래커 층을 포함하는, 상기 제2 평탄 측 위에 있는 제2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의 두께는 2㎛ 이하이고 상기 제2 층의 두께는 4㎛ 이상인,
    절연 래커로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은 반응 가속제를 포함하는 캐리어 층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캐리어 층은 유기 수지, 폴리비닐 알콜 또는 페녹시 수지를 포함하며, 또는
    상기 반응 가속제는 우레아 또는 우레아 유도체, 루이스 염기, 루이스 산, 또는 이미다졸, 이미다졸 유도체들 또는 이미다졸 부가물들, 또는 개질된 또는 헤테로시클릭 아민들을 포함하는,
    절연 래커로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
  18. 제16 항 또는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은 상기 반응 가속제를 포함하는 캐리어 층을 포함하는,
    절연 래커로 코팅된 시트 금속 스트립.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207033280A 2018-04-20 2019-04-12 코팅된 시트 금속 밴드 및 제조 방법 KR1025664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206151.3 2018-04-20
DE102018206151.3A DE102018206151A1 (de) 2018-04-20 2018-04-20 Beschichtetes blechband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PCT/EP2019/059476 WO2019201788A1 (de) 2018-04-20 2019-04-12 Beschichtetes blechband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896A KR20210005896A (ko) 2021-01-15
KR102566470B1 true KR102566470B1 (ko) 2023-08-10

Family

ID=66223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3280A KR102566470B1 (ko) 2018-04-20 2019-04-12 코팅된 시트 금속 밴드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529796B2 (ko)
EP (1) EP3781394A1 (ko)
JP (1) JP7275458B2 (ko)
KR (1) KR102566470B1 (ko)
CN (1) CN112334300B (ko)
DE (1) DE102018206151A1 (ko)
WO (1) WO20192017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13658A1 (de) * 2019-09-09 2021-03-11 Elringkling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lechstapels, Blechstapel, Maschinenbauteil und Elektromotor
EP3822078A1 (de) * 2019-11-15 2021-05-19 voestalpine Stahl GmbH Elektroband oder -blech, verfahren zur herstellung solch eines elektrobands oder -blechs sowie blechpaket daraus
DE102019134136B3 (de) * 2019-12-12 2021-04-29 Voestalpine Stahl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eschichteten elektrobändern und beschichtetes elektroband
EP4000919A1 (de) 2020-11-11 2022-05-25 voestalpine Stahl GmbH Verfahren zum verbinden von blechteilen zu blechpaketen
EP4325533A1 (de) 2022-08-19 2024-02-21 voestalpine Stahl GmbH Verfahren zum paketieren von blechteilen aus einem elektroband oder -blech zu einem blechpake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6825A (ja) * 2004-10-18 2012-03-08 Nippon Steel Corp 耐熱接着性絶縁被膜
US20180082773A1 (en) * 2014-09-05 2018-03-22 Voestalpine Stahl Gmbh Coil and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ic strip laminate wound as a coil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03019C2 (de) 1985-01-30 1994-10-06 Blum Gmbh & Co E Elektroblech zur Herstellung von aus einer Vielzahl von Blechlagen bestehenden Eisenkernen für elektrische Geräte
JPS6290235A (ja) * 1985-10-15 1987-04-24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電気用金属箔張積層板
FR2737338B1 (fr) * 1995-07-26 1997-08-22 Ugine Sa Tole d'acier electrique revetue utilisee dans la fabrication de circuits magnetiques
EP0880815B1 (de) * 1996-02-12 2001-09-19 Vantico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lechpaketen und elektromagnetischen baugruppen
JPH11151779A (ja) * 1997-11-25 1999-06-08 Mitsubishi Plastics Ind Ltd 樹脂被覆金属板の製造方法
JP2005109209A (ja) * 2003-09-30 2005-04-21 Mitsui Chemicals Inc 磁性基材、磁性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08026613A1 (de) * 2008-05-30 2009-12-0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Blechstruktur aus miteinander verklebten Blechbauteilen
AT512931B1 (de) * 2012-12-11 2013-12-15 Voestalpine Stahl Gmbh Blechpaket und Verfahren zum Verbinden von Blechteilen zu einem Blechpaket
TWI652005B (zh) * 2013-05-29 2019-02-21 大自達電線股份有限公司 電磁波遮蔽膜及利用此電磁波遮蔽膜之印刷電路板
WO2015041281A1 (ja) * 2013-09-20 2015-03-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池用包装材料
DE102015012172A1 (de) 2015-09-23 2017-03-23 Universität Kassel Thermisch aktivierbare, schnellhärtende Klebstoffbeschicht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6825A (ja) * 2004-10-18 2012-03-08 Nippon Steel Corp 耐熱接着性絶縁被膜
US20180082773A1 (en) * 2014-09-05 2018-03-22 Voestalpine Stahl Gmbh Coil and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ic strip laminate wound as a co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8206151A1 (de) 2019-10-24
JP7275458B2 (ja) 2023-05-18
US11529796B2 (en) 2022-12-20
EP3781394A1 (de) 2021-02-24
CN112334300B (zh) 2022-12-13
WO2019201788A1 (de) 2019-10-24
JP2021521024A (ja) 2021-08-26
KR20210005896A (ko) 2021-01-15
US20210146657A1 (en) 2021-05-20
CN112334300A (zh) 202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6470B1 (ko) 코팅된 시트 금속 밴드 및 제조 방법
JP6548081B2 (ja) 成層鉄芯、及びシートメタル部材から成層鉄芯へ結合する方法
US20220271635A1 (en) Method for producing a stack of metal sheets for an electric motor
US5944938A (en) wood bonding method
JP7071001B2 (ja) ラッカーコーティングされた電気シートストリップを製造するプロセス
JP6802280B2 (ja) コイルに巻き取られる電磁鋼板積層体を製造するための鋼板通過プロセス
JP4792856B2 (ja) 基材への化粧シートの貼着方法
JPS62108513A (ja) 電磁誘導機器鉄心の製造方法
KR102651599B1 (ko) 필름 합지 강판의 제조 방법
JP2005297393A (ja) 低鉄損複数層電磁鋼板とそ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5457303B2 (ja) 木質化粧板の製造方法
JP6654083B2 (ja) 化粧貼内装材の製造方法
KR102670309B1 (ko) 필름 합지 강판의 제조 설비
JP2006263974A (ja) 強化木質繊維板、その製造方法及び床基材
JP2010030092A (ja) 繊維複合基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213197989U (zh) 阻燃无醛生态板
JPH11268186A (ja) 化粧板の製造方法
KR101375239B1 (ko) 배터리 케이스용 포장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포장재
JP2022168835A (ja) 木質積層材の製造方法
JP2018062099A (ja) 木質積層体の製造方法
KR100724846B1 (ko) 표면 접합 방법
JPH05147006A (ja) 化粧板の製造方法
JPS6039016B2 (ja) 積層品の製造方法
JP2021059110A (ja) 集成材の製造方法
JPH0577862A (ja) 包装用ラミネートフイル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