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961B1 - 지중연속벽 이음부 보강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지중연속벽 이음부 보강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961B1
KR102565961B1 KR1020230054566A KR20230054566A KR102565961B1 KR 102565961 B1 KR102565961 B1 KR 102565961B1 KR 1020230054566 A KR1020230054566 A KR 1020230054566A KR 20230054566 A KR20230054566 A KR 20230054566A KR 102565961 B1 KR102565961 B1 KR 102565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avation
block assembly
excavation space
stress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4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6640A (ko
Inventor
장태일
배성완
임대성
김태현
서두원
Original Assignee
엘티삼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티삼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티삼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54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961B1/ko
Publication of KR20230086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6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18Bulkheads or similar walls made solely of concrete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9/00Keeping dry foundation sites or other areas in the ground
    • E02D19/06Restraining of underground water
    • E02D19/12Restraining of underground water by damming or interrupting the passage of underground water
    • E02D19/16Restraining of underground water by damming or interrupting the passage of underground water by placing or applying sealing substa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지중연속벽 이음부 보강 시공 방법이 개시되며, 상기 지중연속벽 이음부 보강 시공 방법은, (a) 굴착장비를 이용하여 선행 굴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선행 굴착 공간의 일측 벽면에 상기 지수블록 조립체의 배면이 대향하도록 상기 지수블록 조립체를 배치하되, 상기 지수블록 조립체는 상기 워터스탑 블록의 배면이 상기 선행 굴착 공간의 일측 배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워터스탑 블록의 배면에 대하여 설치되는 간격재를 포함하는 단계; (b) 상기 선행 굴착 공간에 철근망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선행 판넬을 형성하는 단계; (c) 굴착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선행 굴착 공간의 일측에 상기 후행 굴착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지수블록 조립체를 상기 지수재 및 상기 응력재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하는 단계; 및 (e) 상기 후행 굴착 공간에 철근망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후행 판넬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중연속벽 이음부 보강 시공 방법{CONTINUOUS WALL JOINT REINFORCEMENT CONSTRUCTION METHOD}
본원은 내진설계 기준을 충족시키는 응력재 연속성 확보가 가능한 지중연속벽 이음부 보강(C.J.R., Continuous wall Joint Reinforcement)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이어프램 월(지중연속벽) 형성을 위한 시공 공법은 공법의 특성 상 각각 분리되어 형성된 판넬을 이어 하나의 구조체로 형성한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 오버 커팅을 이용해 연속벽의 이음부를 보강한 시공 공법이 개시된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시공 공법은 이음부가 연속벽 무근구간으로 내진 해석에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 기존의 시공 공법에 의하면 판넬과 판넬 사이에 무근 구간이 발생하여 내진설계 측면에서 보았을 때 다소 취약한 부분이 있었다. 특히, 건축물 내진설계기준이 최근(2019년) 개정됨에 따라 건축물의 지상층과 연결되어 있는 지하구조물도 내진설계 대상으로 지정되었는바, 다이어프램 월 시공에 대해서도 내진설계 반영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내진설계 기준을 충족시키면서도 시공이 간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경제성 또한 일정 수준 이상 확보할 수 있도록 응력재 연속성이 필요한 구간에는 본 출원의 출원인이 기보유한 지중연속벽 형성을 위한 워터스탑 시공시 이용되는 지수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지중연속벽 시공 방법(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242163호)를 적용하면서 다른 구간에는 오버커팅을 이용한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시공 공법이 새롭게 구현될 필요가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응력재 연속성이 필요한 구간에는 이음부 쐐기 형태를 구현하면서 응력재가 설치되어 이음부가 보강될 수 있고, 차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다른 구간은 오버커팅에 의한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지중연속벽 이음부 보강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지중연속벽 이음부 보강 시공 방법은, (a) 굴착장비를 이용하여 선행 굴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선행 굴착 공간의 일측 벽면에 상기 블록 조립체의 배면이 대향하도록 상기 블록 조립체를 배치하되, 상기 블록 조립체는 상기 블록의 배면이 상기 선행 굴착 공간의 일측 배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상기 블록의 배면에 대하여 설치되는 간격재를 포함하는 단계; (b) 상기 선행 굴착 공간에 철근망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선행 판넬을 형성하는 단계; (c) 굴착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선행 굴착 공간의 일측에 상기 후행 굴착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블록 조립체를 상기 응력재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하는 단계; 및 (e) 상기 후행 굴착 공간에 철근망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후행 판넬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선행 굴착 공간은 지중연속벽 이음부에 대한 응력재 연속성이 요구되는 제1 심도 구간 및 나머지 심도 구간인 제2 심도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블록 조립체는 상기 제1 심도 구간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기 (c) 단계에서, 굴착장비는 상기 후행 굴착 공간 형성을 위한 굴착시,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미리 설정된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 평면 영역 중 상기 후행 굴착 공간과 이웃하는 적어도 일부의 이웃 평면 영역에 대한 병행 굴착을 수행하고, 상기 간격재는 상기 (c) 단계에서 굴착장비의 굴착에 의해 적어도 일부 제거되거나, 상기 (b) 단계와 상기 (c) 단계 사이에 미리 제거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선행 굴착 공간 형성 후 지중연속벽 이음부에 대한 응력재 연속성이 요구되는 제1 심도 구간에 응력재가 삽입된 블록 조립체가 배치되고 선행 판넬이 형성된 후 후행 굴착 공간이 형성되되, 후행 굴착 공간 형성시 간격재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되거나 또는 후행 굴착 공간 형성 전에 간격재가 제거되고, 굴착장비는 간격 평면 영역 중 후행 굴착 공간과 이웃하는 적어도 일부의 이웃 평면 영역에 대한 병행 굴착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후, 블록이 제거되고 후행 판넬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심도 구간에 대해서는 후행 판넬이 후행 굴착 공간뿐만 아니라 블록이 제거된 영역에도 형성될 수 있어, 지중연속벽 이음부에서 후행 판넬이 선행 판넬에 대해 쐐기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제1 심도 구간에 대해서는 응력재의 잔존으로 내진 성능이 보강될 수 있고, 차수 효과가 확보될 수 있고, 제2 심도 구간에서는 선행 판넬과 후행 판넬 사이에 오버 커팅에 의한 매끄럽지 않은 면이 형성되어 차수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연속벽 이음부 보강 시공 방법의 선행 굴착 공간을 형성하고 지수블록 조립체를 배치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연속벽 이음부 보강 시공 방법의 제1 심도 구간 및 제2 심도 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연속벽 이음부 보강 시공 방법의 선행 판넬을 형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3의 (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연속벽 이음부 보강 시공 방법의 후행 굴착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연속벽 이음부 보강 시공 방법의 지수블록 조립체를 제거하는 단계 및 후행 판넬을 형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수블록 조립체의 개략적인 수평 단면도이다.
도 7은 가고정부, 응력재, 지수재 등의 도시가 생략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수블록 조립체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8은 응력재, 지수재 등의 도시가 생략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수블록 조립체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A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걸쇠부가 강재 박스부의 상측에 구비된 강재 박스부 형태의 간격재를 포함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수블록 조립체의 개략적인 수평 단면도이다.
도 11은 걸쇠부가 강재 박스부의 폭방향 양측에 구비된 강재 박스부 형태의 간격재를 포함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수블록 조립체의 개략적인 수평 단면도이다.
도 12는 이탈방지용 부재가 구비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수블록 조립체의 개략적인 수평 단면도이다.
도 13은 보호부가 구비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수블록 조립체의 개략적인 수평 단면도이다.
도 14는 보호부가 구비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수블록 조립체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상부, 상단, 하측, 하단, 하면, 전방, 전면, 후방, 배면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2를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상부,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상단,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하측,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하부,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하단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6을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전방,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전면,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후방,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배면 등이 될 수 있다.
본원은 지중연속벽 이음부 보강 시공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지수블록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연속벽 이음부 보강 시공 방법(이하 '본 시공 방법'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시공 방법은 전면에 지수재(3) 및 응력재(2)가 삽입 설치된 워터스탑 블록(11)을 포함하는 지수블록 조립체(1)를 이용한 지중연속벽 이음부 보강 시공 방법이다. 이러한 지수블록 조립체(1)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만, 지수블록 조립체(1)에서 지수재(3)는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지수블록 조립체(1)는 경우에 따라 지수재(3)가 구비되지 않은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런경우 응력재(2)만 설치하는 용도로 사용될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시공 방법은 굴착 장비를 이용하여 선행 굴착 공간(91)을 형성하고, 선행 굴착 공간(91)의 일측 벽면에 지수블록 조립체(1)의 배면이 대향하도록 지수블록 조립체(1)를 배치하는 단계(제1 단계)를 포함한다. 지수 블록 조립체(1)는 워터스탑 블록(11)의 배면이 선행 굴착 공간(91)의 일측 배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t)을 두고 이격되도록 워터스탑 블록의 배면에 대하여 설치되는 간격재(1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굴착 장비는 BC 커터일 수 있다. 또한, 선행 굴착 공간(91) 형성시 굴착 장비는 중첩되게 굴착하여 복수 bite로 굴착을 수행하여 선행 굴착 공간(9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선행 굴착 공간(91)의 길이는 6-7m일 수 있고, 굴착 장비의 폭(선행 굴착 공간(91)의 길이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의 폭, 도 2 참조, a)은 약 2.8m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평 방향으로의 평면 상에서 중첩되게 굴착하여 복수 bite로 굴착을 수행하여 선행 굴착 공간(9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간격재(12)는 워터스탑 블록(11)의 배면 상에 설치되어 선행 판넬(9a)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워터스탑 블록(11)의 후측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막는 역할을 할 수 있고, 내진 보강 철근 설치 구간(후술할 제1 심도 구간(d1) 이후 구간(후술할 제2 심도 구간(d2))의 연속벽을 기존 공법과 동일하게 오버커팅하여 이음부를 형성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선행 굴착 공간(91)은 지중연속벽 이음부에 대한 응력재 연속성이 요구되는 제1 심도 구간(d1) 및 나머지 심도 구간인 제2 심도 구간(d2)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단계에서 지수블록 조립체(1)는 제1 심도 구간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다시 말해, 제1 단계는, 선행 굴착 공간(91) 형성 후, 선행 굴착 공간(91)의 제1 심도 구간(d1)에 대하여 선행 굴착 공간(91)의 일측 벽면에 지수 블록 조립체(1)의 배면이 대향하도록 지수재(3) 및 응력재(2)가 삽입 설치된 지수 블록 조립체(1)를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지수 블록 조립체(1)의 상부에는 선행 굴착 공간(91)의 폭 방향(도 1 참조 12시-6시 방향) 양측의 가이드 월에 지지되는 지지대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수 블록 조립체(1)는 지지대가 가이드 월의 상면에 지지되는 형태로 선행 굴착 공간(91)에 삽입되어 제1 심도 구간(d1)에 대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시공 방법은 선행 굴착 공간(91)에 철근망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선행 판넬(9a)을 형성하는 단계(제2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시공 방법은 굴착장비를 이용하여 선행 굴착 공간(91)의 일측에 후행 굴착 공간(92)을 형성하는 단계(제3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제3 단계는 제2 단계에서 타설된 콘크리트가 소정 이상 양생이 진행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3 단계에서, 굴착장비는 후행 굴착 공간 형성을 위한 굴착시,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미리 설정된 간격(t)에 대응하는 간격 평면 영역(t) 중 후행 굴착 공간(92)과 이웃하는 적어도 일부의 이웃 평면 영역에 대하여 병행 굴착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3의 (a) 및 (b)를 비교하여 보면, 간격재(12)는 제3 단계에서 굴착장비의 굴착에 의해 적어도 일부 제거되거나, 제2 단계와 제3 단계 사이에 미리 제거된다.
이에 따라, 제3 단계에서 굴착장비는 간격재(12)를 파쇄하며 후행 굴착 공간(92)에 대한 굴착뿐만 아니라 간격 평면 영역(t)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굴착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2 단계와 제3 단계 사이에서 간격재(12)가 미리 제거된 경우, 굴착장비는 후행 굴착 공간(92)로부터 간격 평면 영역(t) 중 적어도 일부에 걸쳐 삽입 배치되어 후행 굴착 공간(92)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를 참조하면, 제3 단계 수행시 굴착 장비는 선행 굴착 공간(91)의 제2 심도 구간(d2)의 간격 평면 영역(t) 중 적어도 일부를 굴착하며 후행 굴착 공간(92)을 형성할 수 있고, 선행 판넬(9a)의 제2 심도 구간(d2) 부분의 미리 설정된 간격(t)에 대응하는 간격 평면 영역(t) 중 적어도 일부는 오버 커팅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시공 방법은 지수블록 조립체(1)를 지수재(3) 및 응력재(2)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제4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제4 단계는 지수블록 조립체(1)를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심도 구간(d1)에는 지수재(3) 및 응력재(2)가 잔존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시공 방법은 후행 굴착 공간(92)에 철근망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후행 판넬(9b)을 형성하는 단계(제5 단계)를 포함한다. 제5 단계 수행시, 콘크리트가 선행 굴착 공간(91)의 지수블록 조립체(1)(또는 워터스탑 블록(11)이 배치되었던 영역에까지 타설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행 판넬(9b)은 타단부가 선행 판넬(9a)에 쐐기 형상으로 삽입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음부가 횡방향 힘에 대한 전단 저항력이 증가하고 내진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도 4를 참조하면, 제3 단계에서의 평행 굴착에 의해 제2 단계에서 제2 심도 구간(d2)에 대하여 타설된 콘크리트 중 이웃 평면 영역에 대응하는 일부 콘크리트가 오버 커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행 판넬(9a)의 제2 심도 구간의 미리 설정된 간격(t)에 대응하는 간격 평면 영역(t)의 적어도 일부는 오버커팅에 의해 매끄럽지 않은 거친 면(예를 들면 커터에 의해 커팅되면서 상대적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 또는 상대적으로 함몰되는 복수의 함몰부를 포함하는 커팅면)을 형성할 수 있고, 제2 심도 구간(d2)에 대하여 후행 판넬(9b)과 선행 판넬(9a) 사이의 차수 효과가 매끄러운 커팅면과 대비하여 크게 증가할 수 있다.
참고로 간격재(12)는 두께가 10cm 이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지수재(3) 및 응력재(2)의 잔존 배치에 의해 지중연속벽 이음부에 대한 차수성 및 응력재 연속성이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시공 방법에 의하면, 제1 심도 구간(d1)에 대해서는 지수재(3) 및 응력재(2)의 잔존 배치에 의해 지중연속벽 이음부에 대한 선행 판넬(9a)과 후행 판넬(9b) 사이의 차수성 및 응력재 연속성이 제공될 수 있고, 제2 심도 구간(d2)에 대해서는 선행 판넬(9a)에 대한 오버 커팅에 의해 선행 판넬(9a)과 후행 판넬(9b) 사이의 차수성이 확보될 수 있다.
참고로, 제1 심도 구간(d1)은 응력재 연속성이 요구되는 구간으로서, 이를 테면, 상부 8m 이상 10m 이하 구간일 수 있다. 또한, 선행 판넬(9a)의 길이는 6m 이상 7m이하일 수 있고, 후행 판넬(9b)은 2.8m 이상일 수 있는데, 여기서 2.6m는 후행 굴착 공간(92)의 길이일 수 있고, 0.2m 이상은 이웃 평면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워터스탑 블록(11)과 간격재(12)에 의해 확보되는 길이일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후행 굴착 공간(92)의 길이(도 2 참조, 3시-9시 방향 길이)는, 제3 단계에서 이용되는 굴착장비의 굴착폭(a)이 이웃 평면 영역까지 커버 가능하도록 굴착장비의 굴착폭(a)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단계에서 굴착장비가 1bite 굴착하는 것으로 후행 굴착 공간(92)뿐만 아니라 이웃 평면 영역(t)의 적어도 일부까지 굴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굴착장비의 1bite 굴착으로 제2 심도 구간(d2)에서의 선행 판넬(9a)의 이웃 평면 영역(t)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오버 커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굴착장비는 선행 굴착 공간(91)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굴착장비와 동일한 굴착장비일 수 있다.
참고로, 도 2를 참조하면, 굴착장비의 굴착폭(a)은 지중연속벽의 입장에서는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격재(12)는 굴착 장비에 의해 거팅 또는 파쇄 가능하고 부유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3 단계는 간격재(12)를 파쇄하며 굴착을 수행하여 후행 굴착 공간(91) 및 이웃 평면 영역(t)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굴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파쇄되는 간격재(12)는 후행 굴착 공간(91) 내의 안정액 상에 부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간격재(12)의 제거가 용이할 수 있다.
또는, 간격재(12)는 파쇄가 어려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를 테면 강재 박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간격재(12)가 제거된 후 제3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강재박스인 간격재(12)의 제거를 위해 후행 굴착 공간(91) 형성될 부분에 대하여 선행 굴착 공간(91) 형성시 사용된 굴착장비와 다른 타입의 굴착장비, 이를 테면 grab에 의해 소정의 굴착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그 후, 강재 박스의 제거가 이루어진 후 선행 굴착 공간(91) 형성시 사용된 굴착장비와 동일한 굴착 장비에 의한 제3 단계 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시공 방법에 있어서, 지수블록 조립체(1) 설치시 후시공 검토 및 수직도 불량으로 굴착 공간이 협소하면 grab이 적용되어 토사부 굴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워터스탑 블록(11)의 배면판(111)의 몸체부(112)의 폭 방향 양 외측으로 돌출된 날개 부분의 전면 상에 상기 날개 부분을 덮는 보조부재가 구비될 수 있는데, 보조부재는 간격재(12)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단계 및 제2 단계를 통해 형성되는 선행 판넬(9a)은 벽체 일측 방향 및 벽체 타측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선행 판넬(9a) 중 적어도 두개가 동시에 형성되도록, 제1 단계 및 제2 단계는 선행 판넬(9a)이 형성될 부분 중 적어도 두 곳에 대하여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후행 굴착 공간(92) 형성시 후행 굴착 공간(9b)의 길이 방향 일측 및 타측 각각에 위치하는 선행 판넬(9a)에 대하여 오버 커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나의 후행 굴착 공간(92)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 위치하는 선행 판넬(9a) 형성될 지점에 대하여 제1 단계 및 제2 단계가 동시에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시공 방법에 있어서, 제3 단계 내지 제5 단계를 통해 형성되는 후행 판넬(9b)은 벽체 일측 방향 및 벽체 타측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후행 판넬(9b) 중 적어도 두개가 동시에 형성되도록, 제3 단계 내지 제5 단계는 후행 판넬(9b)이 형성될 부분 중 적어도 두 곳에 대하여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수블록 조립체(이하 '본 지수블록 조립체'라 함)(1)를 제공한다. 본 지수블록 조립체(1)는 전술한 본 시공 방법에 이용되는 것으로서, 본 시공 방법과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기술적 특징 및 구성을 공유한다. 따라서, 본 시공 방법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며,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지수블록 조립체(1)는 워터스탑 블록(11)을 포함한다. 워터스탑 블록(11)은 상하로 연장되는 배면판(111) 및 배면판(111)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전면에 지수재(3)가 삽입되는 지수재 삽입용 홈(1121)이 형성되고, 지수재 삽입용 홈(1121)의 양측 전면 각각에 배면판(111)의 전면과 통하는 응력재 삽입용 홈(1122)이 형성되는 몸체부(112)를 포함한다. 배면판(111)의 폭 방향 양 외측부 각각은 몸체부(112)의 폭 방향 양 외측 각각보다 양 외측 각각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몸체부(112)의 규격, 형태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이를 테면, 필요한 경우, 몸체부(112)의 두께는 두껍거나, 슬림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몸체부(112)는 전후 방향으로 2단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몸체부(112)는 전후 방향으로 2단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데, 2단을 이루는 후단 블록부 및 전단 블록부 각각은 후단이 최대 폭을 가지면서 전방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폭 방향의 양 외측면이 테이퍼진(tapered) 경사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몸체부(112)는 전후 방향으로 1단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몸체부(112)는 후단이 최대 폭을 가지면서 전방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폭 방향의 양 외측면이 테이퍼진(tapered) 경사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지수재 삽입용 홈(1121)은 후방으로 함몰된 단면 형상이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수재(3)는 적어도 일부가 몸체부(112)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지수재 삽입용 홈(1121)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응력재(2)는 지중연속벽 형성 시 서로 이웃하는 지중연속벽 사이의 이음부의 철근 불연속을 커버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응력재(2)는 전단부가 몸체부(112)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고 후단부가 응력재 삽입용 홈(1122)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참고로, 응력재(2)는 철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응력재(2)는 이형 철근일 수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지수블록 조립체(1)는 배면판(111)의 배면에 대하여 설치되는 간격재(12)를 포함한다. 간격재(12)는 전술한 제3 단계에서의 병행 굴착이 가능하도록, 선행 굴착 공간(91)의 제1 심도 구간(d1)에서의 일측 벽면과 워터스탑 블록(11)의 배면 사이에 간격(t)을 확보한다. 이에 따라, 제3 단계 수행시 굴찰장비는 워터스탑 블록(11)에 간섭되지 않으며 후행 굴착 공간(91) 및 이웃 평면 영역(t)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굴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응력재 삽입용 홈(1122)은 지수재 삽입용 홈(1121)을 중심으로 횡 방향 일측 및 타측 각각에서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응력재 삽입용 홈(1122)은 복수의 응력재(2)가 상하로 간격을 두고 삽입되도록 상하로 연장되는 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응력재 삽입용 홈(1122)은 사각형 바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응력재 삽입용 홈(1122)에 복수의 응력재(2)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도 6,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워터스탑 블록(11)은 응력재 삽입용 홈(1122) 내에 배치되어 응력재 삽입용 홈(1122)에 삽입되는 복수의 응력재를 응력재 삽입용 홈(1122)에 가고정시키는 가고정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워터스탑 블록(11)은 응력재(2)와 조립된 상태로 선행 굴착 공간(91)에 배치되고, 선행 굴착 공간(91)에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지며, 선행 굴착 공간(91)의 일측으로 후행 굴착 공간(92)이 형성된 후 응력재(2)와 분리되고 제거될 수 있는데, 가고정부(113)는 워터스탑 블록(11)이 응력재(2)와 조립된 후, 워터스탑 블록(11)이 선행 굴착 공간(91)으로부터 제거될때 수행되는 응력재(2)와의 분리시까지 응력재(2)가 응력재 삽입용 홈(112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고정시킬수 있다.
이에 따라, 가고정부(113)는 응력재 삽입용 홈(1122)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응력재(2)의 전단부가 콘크리트에 매입된 상태에서의 콘크리트에 의한 고정력보다 작은 가고정력을 가지도록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굴착 공간에 응력재(2)가 응력재 삽입용 홈(1122)에 삽입된 본 지수블록 조립체(1)가 굴착 공간(91)에 배치되고, 굴착 공간(91)에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지며, 굴착 공간(91)의 일측으로 이웃하는 후행 굴착 공간(92)이 굴착되고, 그 후, 워터스탑 블록(11)이 제거될 수 있는데, 응력재(2)의 돌출된 부분인 전단부는 콘크리트에 매입된 상태이므로, 전단부(응력재(2)의 응력재 삽입용 홈(1122)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타설된 콘크리트에 의한 고정력(이를 테면, 부착력)이 작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워터스탑 블록(11)의 제거시 워터스탑 블록(11)과 응력재(2)가 분리되며 응력재(2)는 남겨지고 워터스탑 블록(11)은 제거될 수 있도록, 가고정부(113)는 전단부에 작용되는 콘크리트에 의한 고정력보다 작은 가고정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가고정부(113)는 워터스탑 블록(11)이 응력재(2)와 조립된 후, 워터스탑 블록(11)이 굴착 공간(91)으로부터 제거될때 수행되는 응력재(2)와의 분리시까지 응력재(2)가 응력재 삽입용 홈(112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가고정력을 가질 수 있다. 즉, 가고정부(113)는 워터스탑 블록(11)과 조립된 후 응력재(2)와 운반, 인양 등에서 본 지수블록 조립체(1) 또는 응력재(2) 등에 예상되는 충격 정도에 대해서 이탈되지 않도록 설정되는 가고정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가고정부(113)의 가고정력은 응력재(2)의 전단부에 작용되는 콘크리트에 의한 고정력보다 작을 수 있고, 하한 값은 워터스탑 블록(11)이 굴착공간(91)으로부터 제거될때 수행되는 응력재(2)와의 분리시까지 응력재(2)가 응력재 삽입용 홈(112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가고정부(113)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응력재 삽입용 홈(1122)에 탄성 압축되어 배치되며, 응력재 삽입용 홈(1122)에 삽입되는 복수의 응력재(2) 각각의 후단부가 삽입되는 근입홀(1133)이 형성되는 블록부일 수 있다. 근입홀(1133)은 응력재(2)의 삽입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입홀(1133)의 직경, 단면 넓이 등은 응력재(2)가 삽입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근입홀(1133)의 직경은 응력재(2)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응력재(2)가 근입홀(1133)에 삽입되면 탄성을 갖는 근입홀(1133)의 직경이 증가하며 가고정부(113)가 응력재 삽입용 홈(1122)에 탄성 압축되어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가고정부(113)는 러버, 실리콘 등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고정부(113)는 근입홀(1133)을 기준으로 센터 분할된 두 개의 블록 유닛(1131, 1132) 및 두 개의 블록 유닛(1131, 1132)을 탈거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재(도시 생략)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블록 유닛(1131)을 바닥에 ?똑耽?, 하나의 블록 유닛(1131)에 형성된 근입홀(1133)의 절반에 응력재(2)의 후단부가 위치하게 응력재(2)를 배치하고, 그 위에 나머지 블록 유닛(1132)을 덮고 결합부재로 결합하고, 가고정부(113)를 응력재 삽입용 홈(1122)에 외력을 가하며 삽입(망치로 치며 삽입할 수 있음)할 수 있다. 결합부재에 의한 결합에 의해 두 개의 블록 유닛(1131, 1132)은 압착되게 응력재(2)에 대하여 결합될 수 있다.
참고로, 결합부재는 응력재(2)에 간섭되지 않게 두개의 블록 유닛(1131, 1132)을 관통하며 배치되는 볼트 및 볼트를 두 개의 블록 유닛(1131, 1132)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시키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결합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워터스탑 블록(1)의 제거시, 가고정부(113)는 제거되지 않고 지중에 남겨질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몸체부(112)는 가고정부(113)의 하측에서 응력재 삽입용 홈(1122)의 일측 내면 및 타측 내면 각각으로부터 돌출되어 응력재 삽입용 홈(1122)에 삽입되는 복수의 응력재를 사이에 두고 타측 및 일측 각각으로 돌출되어 응력재 삽입용 홈(1122)에 삽입되는 복수의 응력재의 후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단턱(112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단턱(1123)에 의해 한 쌍의 단턱(1123) 사이에 위치하는 응력재(2)의 후단부 부분이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지지되므로, 응력재(2)의 움직임이 최소될 수 있고, 응력재(2)의 유동이 저감될 수 있다. 이 점을 고려하면, 한 쌍의 단턱(1123) 사이의 간격은 응력재(2)의 삽입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최소한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테면, 한 쌍의 단턱(1123) 사이의 간격은 오차 범위를 고려하여 응력재(2)의 두께와 대응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단턱(1123)은 가고정부(113)를 지지할 수 있다. 즉, 가고정부(113)는 한 쌍의 단턱(1123)에 얹어질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워터스탑 블록(11)은 응력재 삽입용 홈(1122)의 둘레부를 형성하는 삽입용 홈 형성 단위 유닛(11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삽입용 홈 형성 단위 유닛(114)에는 전술한 단턱(112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홈 형성 단위 유닛(114)은 후단이 배면판(111) 상에 결합되는 것으로 워터스탑 블록(11)에 대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본원에 따르면, 몸체부(112)는 삽입용 홈 형성 단위 유닛(114)이 구비될 곳이 전방으로 개구되어 준비될 수 있고, 배면판(111)의 응력재 삽입용 홈(1122)이 형성될 부분에 삽입용 홈 형성 단위 유닛(114)이 구비되고, 그후, 몸체부(112)가 배면판(111)에 대하여 구비되는 것을 통해 워터스탑 블록(11)이 준비될 수 있다. 이때, 배면판(111), 몸체부(112), 삽입용 홈 형성 단위 유닛(114)은 같은 재질, 이를 테면 금속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꼬, 용접 등과 같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응력재 삽입용 홈(1122)이 각 블록별 단위 유닛 형태인 삽입용 홈 형성 단위 유닛(114)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사용중 발생되는 파손시 개별적 교체가 가능하다.
이러한 응력재 삽입용 홈 형성 단위 유닛(114)에 의해 응력재 삽입용 홈(1122)은 사각의 단면을 가질 수 있고, 사각형 bar 형태로 제작되어 현장별 소요 철근에 따른 보강 철근(응력재(2))의 설치 간격 조정이 용이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간격재(12)는 굴착 장비에 의해 커팅 가능하고 부유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간격재는 Wheel Cutter에 의해 쉽게 제거 가능하고, 부유 성능을 가지고 있어 굴착 후 부유되어 회수 또는 처리가 용이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간격재(12)는 테이프에 의한 테이핑, 철근 망에 의한 고정 등에 의해 워터스탑 블록(11)에 대하여 구비될 수 있다. 간격재(12)가 테이핑된 경우, 간격재(12)의 파쇄시 간격재(12)와 함께 테이프가 부유하여 회수 가능하다. 또한, 간격재(12)가 철근 망에 의해 워터스탑 블록(11)에 고정된 경우, 철근 망은 매쉬 철근망 일 수 있는데, 굴착 장비에 의한 굴착시 굴착 장비에 의해 간격재(12)는 커팅되고 철근 망은 굴착 장비의 투쓰에 걸려 상측으로 이동되며 제거될 수 있다. 또는, 상황에 따라, 철근망은 지중에 잔존하게 될 수 있다.
또는, 간격재(12)는 배면판(111)의 배면 상에 탈거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행 굴착 공간(91)에 대한 타설 후 탈거가 가능한 강재 박스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간격재(12)는 배면판(111)의 배면 상에 위치하는 강재 박스부(121) 및 강재 박스부(121)를 워터스탑 블록(11)에 가고정하는 걸쇠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 되지 않았지만, 걸쇠부(122)는 강재 박스부(121)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배면판(111)의 배면 상에 걸침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도 11을 참조하면, 강재 박스부(121)의 폭 방향 양측 단부 각각으로부터 양측 각각으로 돌출되어 배면판(111)의 폭 방향 양측 단부(몸체부(112)의 양 외측으로 돌출된 날개 부분)에 KEY 타입으로 고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간격재(12)가 강재 박스부(121)를 포함하는 형태인 경우, 선행 굴착 공간(91)에 대한 타설 후(이를 테면 초기 양생이 지난 후) 후행 굴착 공간(92)에 대한 굴착 전 간격재(12)는 제거되거나(인발), grab과 같은 타설 장비에 의해 소정의 굴착이 진행된 후 인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비씨 커터와 같은 후행 굴착 공간(92)을 형성하기 위한 커터 장비에 의한 굴착 폭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본 지수블록 조립체(1)는 응력재(2)의 상측에서 상하로 연장 배치되어, 선행 굴착 공간(91)에 삽입되는 철근망과 응력재(2)의 간섭 발생시, 간섭 발생을 알려주는 이탈방지용 부재(1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응력재(2)가 상하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는데, 도 12를 참조하면, 이탈방지용 부재(14)는 상하로 연장되며 복수의 응력재(2)의 상측에서 복수의 응력재(2)를 가로지르게 배치되는 선형 부재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선형 부재는 응력재(2)와 동일한 재질일 수 있는데, 이를 테면 철근일 수 있다. 연속벽 전단 철근 설치 방향 및 위치 변경시 응력재(2)와 간격 추가 확보될 수 있는데, 이음부의 응력재(2)의 끝단(후단)과 이탈방지용 부재(14)를 용접할 수 있고, 선행 굴착 공간(91)에대한 철근망 근입시 철근망과 응력재(2)의 간섭이 발생하거나 응력재(2)의 이탈이 발생할 경우, 간섭 여부 또는 응력재(2)의 이탈 여부가 이탈방지용 부재(14)에 의해 지상에서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다.
또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지수블록 조립체(1)는 몸체부(112)의 전방에 구비되어 응력재(2)의 몸체부(112)로부터 돌출된 부분을 감싸는 보호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부(15)는 상하로 연통되는 연통구가 형성될 수 있고, 연통구 내에 복수의 응력재(2)의 몸체부(112)로부터 돌출된 부분이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연속벽 전단 철근 설치 방향 및 위치 변경시 응력재(2)와 간격 추가 확보될 수 있는데, 워터스탑 블록(11)의 상부 일정 구간(이를 테면, 상부 3-5 m) 구간에 대하여 보호부(15)가 설치될 수 있다. 즉, 5~10mm의 이음부 보강 철근 보호부(보호철판)(15)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보호부(15)의 적용시, 지수블록 조립체(1) 근입 후 보호부(15)가 설치될 수 있고, 철근망 근입 후 보호부(15)는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보호부(15)에는 전술한 걸쇠부와 대응되는 형태의 걸쇠부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를 테면, 걸쇠부는 보호부(15)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워터스탑 블록(11)에 탈거 가능하게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지수블록 조립체
11: 워터스탑 블록
111: 배면판
112: 몸체부
1121: 지수재 삽입용 홈
1122: 응력재 삽입용 홈
1123: 단턱
113: 가고정부
1131: 블록 유닛
1132: 블록 유닛
114: 삽입용 홈 형성 단위 유닛
12: 간격재
121: 강재 박스부
122: 걸쇠부
14: 이탈방지용 부재
15: 보호부
2: 응력재
3: 지수재
91: 선행 굴착 공간
92: 후행 굴착 공간
9a: 선행 판넬
9b: 후행 판넬

Claims (4)

  1. 배면판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몸체부의 전면에 형성된 응력재 삽입용 홈에 응력재가 삽입 설치된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 조립체를 이용한 지중연속벽 이음부 보강 시공 방법으로서,
    (a) 굴착장비를 이용하여 후행 판넬이 형성될 부분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 선행 굴착 공간을 형성하고, 타측에 형성되는 상기 선행 굴착 공간의 일측 벽면에 상기 블록 조립체의 배면이 대향하도록 상기 블록 조립체를 배치하고, 일측에 형성되는 선행 굴착 공간의 타측 벽면에 상기 블록 조립체의 배면이 대향하도록 상기 블록 조립체를 배치하되, 상기 블록 조립체는 상기 블록의 배면이 상기 선행 굴착 공간의 일측 배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상기 블록의 배면에 대하여 설치되는 간격재를 포함하는 단계;
    (b) 상기 일측 및 타측 각각의 선행 굴착 공간에 철근망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측에 위치하는 선행 판넬 및 타측에 위치하는 선행 판넬을 형성하는 단계;
    (c) 굴착장비를 이용하여 일측의 선행 판넬과 타측의 선행 판넬 사이에 후행 굴착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블록 조립체를 상기 응력재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하는 단계; 및
    (e) 상기 후행 굴착 공간에 철근망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후행 판넬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선행 굴착 공간은 지중연속벽 이음부에 대한 응력재 연속성이 요구되는 제1 심도 구간 및 나머지 심도 구간인 제2 심도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블록 조립체는 상기 제1 심도 구간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기 (c) 단계에서, 굴착장비는 상기 후행 굴착 공간 형성을 위한 굴착시,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미리 설정된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 평면 영역 중 상기 후행 굴착 공간과 이웃하는 적어도 일부의 이웃 평면 영역에 대한 병행 굴착을 수행하고,
    상기 간격재는 상기 (c) 단계에서 굴착장비의 굴착에 의해 적어도 일부 제거되거나, 상기 (b) 단계와 상기 (c) 단계 사이에 미리 제거되고,
    상기 후행 굴착 공간의 길이는, 상기 (c) 단계에서 이용되는 굴착장비의 굴착폭이 상기 이웃 평면 영역까지 커버 가능하도록 상기 굴착장비의 굴착폭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인, 지중연속벽 이음부 보강 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의 상기 병행 굴착에 의해,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2 심도 구간에 대하여 타설된 콘크리트 중 상기 이웃 평면 영역에 대응하는 일부 콘크리트가 오버 커팅되고,
    상기 (d) 단계에서의 상기 응력재의 잔존 배치에 의해, 지중연속벽 이음부에 대한 응력재 연속성이 제공되는 것인, 지중연속벽 이음부 보강 시공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재는 굴착 장비에 의해 커팅 또는 파쇄 가능하고 부유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인, 지중연속벽 이음부 보강 시공 방법.
KR1020230054566A 2021-12-08 2023-04-26 지중연속벽 이음부 보강 시공 방법 KR102565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4566A KR102565961B1 (ko) 2021-12-08 2023-04-26 지중연속벽 이음부 보강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718A KR102527725B1 (ko) 2021-12-08 2021-12-08 지중연속벽 이음부 보강 시공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지수블록 조립체
KR1020230054566A KR102565961B1 (ko) 2021-12-08 2023-04-26 지중연속벽 이음부 보강 시공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718A Division KR102527725B1 (ko) 2021-12-08 2021-12-08 지중연속벽 이음부 보강 시공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지수블록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640A KR20230086640A (ko) 2023-06-15
KR102565961B1 true KR102565961B1 (ko) 2023-08-11

Family

ID=8638751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718A KR102527725B1 (ko) 2021-12-08 2021-12-08 지중연속벽 이음부 보강 시공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지수블록 조립체
KR1020230054566A KR102565961B1 (ko) 2021-12-08 2023-04-26 지중연속벽 이음부 보강 시공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718A KR102527725B1 (ko) 2021-12-08 2021-12-08 지중연속벽 이음부 보강 시공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지수블록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2772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163B1 (ko) * 2020-08-25 2021-04-20 엘티삼보 주식회사 지중연속벽 형성을 위한 워터스탑 시공시 이용되는 지수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지중연속벽 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8804B2 (ja) * 1995-03-16 2000-02-14 株式会社大林組 地中連続壁における継手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163B1 (ko) * 2020-08-25 2021-04-20 엘티삼보 주식회사 지중연속벽 형성을 위한 워터스탑 시공시 이용되는 지수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지중연속벽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640A (ko) 2023-06-15
KR102527725B1 (ko) 202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1218B1 (ko) 충격차단공과 철근-숏크리트를 이용한 근접병렬터널 시공방법
KR102242163B1 (ko) 지중연속벽 형성을 위한 워터스탑 시공시 이용되는 지수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지중연속벽 시공 방법
KR102082333B1 (ko) 프리스트레스트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1열 자립식 흙막이공법
KR101572561B1 (ko) 엄지말뚝 시공을 위한 강재조립체
KR101595702B1 (ko) 보강브릿지가 구비된 강판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68048B1 (ko) 철재 토류판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103782B1 (ko) 관로공사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JP7017541B2 (ja) 既存矢板式岸壁の改良構造及び改良方法
KR101506880B1 (ko) 흙막이 장치
JP2009114643A (ja) 地下構造物の連結構造
KR102565961B1 (ko) 지중연속벽 이음부 보강 시공 방법
JP6364211B2 (ja) 先行エレメントの端部構造、鉄筋架台および連続地中壁の施工方法
KR100797185B1 (ko) 옹벽용 또는 흙막이용 토류벽 조성장치 및 방법
JP6785591B2 (ja) 先行エレメントの端部構造および地中連続壁の施工方法
JP6692175B2 (ja) 先行エレメントの端部構造および地中連続壁の施工方法
JP2016003550A (ja) 石積み壁の補強構造及び方法
KR100567853B1 (ko) 토류판 구조물
KR20120063048A (ko) 토류판재 지지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JP7102228B2 (ja) コンクリート矢板部材、土留め壁および土留め壁の構築方法
JP4385127B2 (ja) 斜面保護擁壁の施工方法及び擁壁築造ユニット
KR101204058B1 (ko) 지중 차수벽 형성용 강관
JP2743279B2 (ja) 埋設物等の防護工法
KR100669530B1 (ko) 흙막이 시공방법
JP4460558B2 (ja) 地下構造物の継手構造
KR20080000259A (ko) 보강토옹벽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