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305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305B1
KR102564305B1 KR1020160116783A KR20160116783A KR102564305B1 KR 102564305 B1 KR102564305 B1 KR 102564305B1 KR 1020160116783 A KR1020160116783 A KR 1020160116783A KR 20160116783 A KR20160116783 A KR 20160116783A KR 102564305 B1 KR102564305 B1 KR 102564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module
lens
display device
mode
len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9179A (ko
Inventor
이재호
김무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6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305B1/ko
Priority to US15/671,908 priority patent/US10585266B2/en
Publication of KR20180029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9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having zoom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G02B13/006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having a beam-folding prism or mirr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7Bodies with reflectors arranged in beam forming the photographic image, e.g. for reducing dimensions of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9/00Combinations of cameras, projectors 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non-photographic non-optical apparatus, e.g. clocks or weapons; Cameras having the shape of other objec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02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moving lens along base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7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 G06F1/1609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to support filters or len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3Internal mounting support structures, e.g. for printed circuit boards, internal connec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46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zoom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서로 교차하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상에서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수납 부재,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교차하는 제3 방향을 향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에 연결된 회로 기판, 및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제1 방향을 향해 배치되며, 복수의 렌즈들을 포함하는 촬영 모듈을 포함하고, 촬영 모듈의 적어도 일측은 표시 패널과 회로 기판에 의해 감싸여진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촬영 모듈이 장착된 휴대용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영상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표시 장치에 표시된 영상을 통해 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 표시 장치에는 카메라와 같은 촬영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는 촬영 모듈을 통해 촬영된 결과물을 영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는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고, 촬영된 결과물을 표시 장치를 통해 즉각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광학 줌 기능을 가진 촬영 모듈이 장착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서로 교차하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상에서,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수납 부재,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교차하는 제3 방향을 향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연결된 회로 기판, 및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제1 방향을 향해 배치되며, 복수의 렌즈들을 포함하는 촬영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촬영 모듈의 적어도 일측은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회로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감싸여질 수 있다.
상기 촬영 모듈의 상기 제1 방향에서의 길이는 제1 모드에서 고정 되고, 상기 제1 모드와 상이한 제2 모드에서 가변 되며,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촬영 모듈은 상기 수납 부재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촬영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납 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렌즈들 각각의 중심들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렌즈들은 상기 중심들 사이의 거리가 변하도록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촬영 모듈의 상기 제1 방향에서의 길이는 상기 중심들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수납 부재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제3 방향을 향해 절곡된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 중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의 적어도 일 영역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개구부가 정의되고, 상기 렌즈들의 상기 직선 이동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렌즈들은 상기 직선 이동을 통해 상기 렌즈들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수납 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렌즈들이 상기 개구부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촬영 모듈은 상기 렌즈들의 상기 직선 이동을 통해 광학 줌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렌즈들은 적어도 하나의 볼록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들은 어안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안 렌즈는 상기 렌즈들 중 최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부재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과 평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에 의해 정의되는 단면상에서, 상기 촬영 모듈은 상기 회로 기판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촬영 모듈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에워싸며 상기 촬영 모듈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휘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에 의해 정의되는 단면상에서, 상기 표시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휘어져 상기 촬영 모듈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상기 표시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휘어질 수 있다.
상기 표시 부재는 상기 제3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과 상이한 제4 방향을 향해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4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휘어진 적어도 일부에 연결되고, 상기 촬영 모듈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과 평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촬영 모듈은,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에 고정된 제1 렌즈, 및 제2 바디부 및 상기 제2 바디부에 고정된 제2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하여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 사이의 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바디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 휘어지고,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방향을 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렌즈들을 포함하는 촬영 모듈이 표시 장치의 일 구성으로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는 부피가 큰 광학 줌 촬영 모듈을 포함하면서도 슬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모드에 따른 촬영 모듈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a는 도 9에 도시된 표시 장치 중 일부 구성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b는 10a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a에는 전자 장치(DS)의 제1 모드에서의 사시도를 도시하였고, 도 1b에는 전자 장치(DS)의 제2 모드에서의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제1 모드와 제2 모드는 서로 다른 시간 동안 존재할 수 있다. 이하, 도 1a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한다.
전자 장치(DS)는 제1 방향(DR1)을 향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DS)는 제1 방향(DR1), 제1 방향(DR1)에 각각 교차하는 제2 방향(DR2) 및 제3 방향(DR3)에 의해 정의되는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DS)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장치(DS)는 제2 방향(DR2)과 제3 방향(DR3)에 의해 정의되는 액티브 영역(AR)에 영상(IM)을 표시한다. 주변 영역(BR)은 액티브 영역(AR)에 인접하고 액티브 영역(AR)을 에워쌀 수 있다.
전자 장치(DS)는 수납 부재(100), 표시 부재(200), 회로 기판(300), 촬영 모듈(400), 및 윈도우 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 부재(100)는 표시 장치(DS)의 외측을 정의한다. 수납 부재(100)는 바닥부(110) 및 측벽부(120)를 포함한다.
바닥부(110)는 제2 방향(DR2) 및 제3 방향(DR)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과 평행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측벽부(120)는 바닥부(110)의 측면들에 연결되어 바닥부(110)로부터 제1 방향(DR1)을 향해 연장된다. 바닥부(110) 및 측벽부(120)는 서로 연결되어 상측(DR3)이 오픈된 소정의 내부 공간(SP)을 정의한다. 내부 공간(SP)에는 표시 부재(200), 회로 기판(300), 및 촬영 모듈(400)이 수납된다.
본 실시예에서, 수납 부재(100)에는 소정의 개구부(OP)가 정의될 수 있다. 개구부(OP)는 수납 부재(100)의 측벽부(120) 중 일 영역에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개구부(OP)는 측벽부(120) 중 제3 방향(DR3)을 따라 연장된 일 영역에 제2 방향(DR2)으로 관통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표시 부재(200)는 전기적 신호를 인가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부재(200)는 액정 표시 패널, 유기발광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전기 습윤 표시 패널, 또는 그 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부재(200)는 다양한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부재(200)는 베이스 층(210) 및 표시층(220)을 포함한다. 베이스 층(210)은 절연 기판 또는 절연 필름일 수 있다. 베이스 층(210)은 복수의 구동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배선들은 표시층(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표시층(220)은 베이스 층(210) 상에 배치된다. 표시층(220)은 적어도 액티브 영역(AR)에 중첩한다. 표시층(220)은 미 도시된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적어도 하나의 표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소자는 표시 부재(200)를 구성하는 표시 패널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소자는 액정 커패시터, 유기 발광 다이오드, 전기 영동 소자, 또는 전기 습윤 소자일 수 있다.
회로 기판(300)은 표시 부재(200)의 일 측에 연결된다. 표시 부재(200)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거나, 표시 부재(20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300)은 베이스 기판(210)을 통해 표시층(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구동 회로는 베이스 기판(210)의 구동배선과 연결되어 표시층(220)과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촬영 모듈(400)은 내부 공간(SP)에 수납된다. 촬영 모듈(400)은 표시 부재(200)와 수납 부재(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촬영 모듈(400)은 영상(IM)이 표시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촬영 모듈(400)은 영상(IM)이 표시되는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 모듈(400)은 제1 방향(DR1) 및 제3 방향(DR3)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상에 존재하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촬영 모듈(400)은 모드에 따라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모드와 제2 모드는 서로 다른 시간에 구동되는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촬영 모듈(400)은 제1 모드에서 수납 부재(100) 내에 수용되고 수납 부재(100)에 매립된 상태일 수 있다. 제1 모드는 일반 촬영 모드일 수 있다. 표시 장치(DS)는 제1 모드에서 피사체를 단순히 촬영하거나, 디지털 주밍 기능을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도 있다.
또는, 제1 모드는 촬영 모듈(400)이 턴-오프된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모드에서 촬영 모듈(400)을 통한 피사체 촬영을 종료하고, 액티브 영역(AR)에 표시되는 영상(IM)을 통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촬영 모듈(400)은 수납 부재(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촬영 모듈(400)에 의한 영향 없이 자유롭게 표시 장치(DS)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모드에서 촬영 모듈(400)은 수납 부재(100)에 의해 안정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카메라 모듈(400)의 적어도 일부는 제2 모드에서 수납 부재(10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렌즈부(420)는 제2 모드에서 수납 부재(10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모드는 주밍 촬영 모드일 수 있다. 제2 모드는 촬영 모듈(400)의 제2 방향(DR2)에서의 길이가 가변되는 상태일 수 있다. 촬영 모듈(400)은 제2 모드에서 상대적으로 원 거리에 존재하는 피사체를 촬영하거나, 동일 거리에 있는 피사체를 확대하여 촬영할 수 있다.
제1 모드와 제2 모드의 변경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표시 장치에 모드 변경 명령을 입력하여 용이하게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제1 모드 상태인 촬영 모듈(400)의 일부에 압력을 가해 제2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촬영 모듈(400)은 수납 부재(100) 내에 매립된 상태에 있다가 외부에서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소정 부분 수납 부재(100)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길이 변경이 가능한 제2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기재한 것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모드와 제2 모드 사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시킬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촬영 모듈(400)은 조작부(410) 및 렌즈부(420)를 포함한다. 조작부(410)는 내부 공간(SP)에 수용되고, 촬영 모듈(400)의 온/오프 및 렌즈부(4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조작부(410)는 모드에 따라 위치 변화 없이 동일한 위치에 고정된다. 조작부(410)는 표시 부재(200)의 하측에 고정될 수 있다.
렌즈부(420)는 조작부(410)에 연결될 수 있다. 렌즈부(420)는 제2 방향(DR2)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촬영 모듈(400)은 렌즈부(420)가 향하는 제2 방향에 배치되는 피사체를 촬영한다. 이에 따라, 촬영 모듈(400)이 향하는 방향은 실질적으로 렌즈부(420)가 향하는 방향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렌즈부(420)는 수납 부재(100)의 개구부(OP)에 배치될 수 있다. 수납 부재(100)의 개구부(OP)는 실질적으로 렌즈부(420)과 동일한 평면상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렌즈부(420)의 제2 방향(DR2)에서의 길이는 조작부(410)의 조작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렌즈부(420)의 길이 변화에 따라 실질적으로 촬영 모듈(400)이 수납 부재(100)로부터 돌출되거나 수납 부재(100) 내에 온전히 수용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500)는 표시 부재(200) 상에 배치된다. 윈도우 부재(500)는 내부 공간(LS)의 상측을 커버한다. 윈도우 부재(500)는 수납 부재(100)와 결합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500)는 표시 장치(DS)의 외측을 정의한다.
윈도우 부재(500)는 제2 방향(DR2) 및 제3 방향(DR3)이 정의하는 평면상에서, 투과 영역(500-AR)과 차광 영역(500-BR)으로 구분될 수 있다. 투과 영역(500-AR)은 광을 투과시킨다. 투과 영역(500-AR)은 표시 부재(200)가 표시하는 영상(IM)이 용이하게 외부에 시인되도록 한다. 투과 영역(500-AR)은 표시 부재(200)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여 상술한 액티브 영역(AR)을 정의할 수 있다.
차광 영역(500-BR)은 투과 영역(500-AR)에 인접한다. 차광 영역(500-BR)은 차광 영역(500-BR)에 입사되는 광을 반사하거나 흡수할 수 있다. 차광 영역(500-BR)은 주변 영역(BR)을 정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S)는 영상(IM)이 제공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을 향해 배치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길이 방향이 표시 장치(DS)의 두께 방향(제3 방향, DR3)과 상이한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의 길이와 표시 장치(DS)의 두께를 각각 독립적으로 설계할 수 있어, 길이 가변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면서도 슬림한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모드에 따른 촬영 모듈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에는 제1 모드에서의 촬영 모듈(400)의 사시도를 도시하였고, 도 3b에는 제2 모드에서의 촬영 모듈(400)의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도 4에서 좌측에는 촬영 모듈(400)의 제1 모드에서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하였고, 우측에는 촬영 모듈(4000)의 제2 모드에서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이하, 도 3a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듈(400)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 한편, 도 1a 내지 도 2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촬영 모듈(400)은 조작부(410) 및 렌즈부(420)를 포함한다. 렌즈부(420)는 제1 렌즈부(421) 및 제2 렌즈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모드에서 제1 렌즈부(421)와 제2 렌즈부(423)는 단면상에서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외부에서 시인되는 제1 렌즈부(421)의 길이 및 제2 렌즈부(423)의 길이는 고정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제1 렌즈부(421)와 제2 렌즈부(423)는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촬영 모듈(400)은 제1 모드에서 제1 렌즈부(421)와 제2 렌즈부(423) 각각의 길이가 고정된 상태로 피사체를 촬영하거나 오프될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제1 렌즈부(421)와 제2 렌즈부(423)는 조작부(410) 내에 매립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렌즈부(421)와 제2 렌즈부(423)는 조작부(410) 내에 수용되어 조작부(4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기재한 것이고, 제1 렌즈부(421)와 제2 렌즈부(423)는 제1 모드에서 길이가 고정된 상태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렌즈부(421) 및 제2 렌즈부(423)는 제2 모드에서 일 방향을 따라 각각 직선 운동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에서 시인되는 제1 렌즈부(421)의 길이 및 제2 렌즈부(423)의 길이는 가변될 수 있다. 외부에서 시인되는 제1 렌즈부(421)의 길이 및 제2 렌즈부(423)의 길이는 단면상에서 서로 중첩하는 비율이 작아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촬영 모듈(400)은 렌즈부(421)의 길이 및 제2 렌즈부(423)의 길이를 제어함으로써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렌즈부(421)는 제1 바디부(SP1) 및 제1 렌즈(LS1)를 포함하고, 제2 렌즈부(423)는 제2 바디부(SP2) 및 제2 렌즈(LS2)를 포함한다. 제1 렌즈(LS1)는 제1 바디부(SP1)에 수용되어 제1 바디부(SP1)에 의해 지지되고, 제2 렌즈(LS2)는 제2 바디부(SP2)에 수용되어 제2 바디부(SP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 렌즈(LS1)는 제1 바디부(SP1)에 의해 이동되고, 제2 렌즈(LS2)는 제2 바디부(SP2)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제1 렌즈(LS1)와 제2 렌즈(LS2)는 서로 상이한 광학 배율을 가질 수 있다. 제1 렌즈(LS1)와 제2 렌즈(LS2)는 서로 상이한 초점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제1 렌즈(LS1)와 제2 렌즈(LS2) 각각의 초점 거리나 광학 배율은 제1 렌즈(LS1)와 제2 렌즈(LS2) 사이의 중심 거리에 따라 다르게 조합될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제1 렌즈(LS1)와 제2 렌즈(LS2)는 서로 동일한 광학 배율을 갖거나 서로 동일한 초점 거리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듈(400)은 다양한 종류의 렌즈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렌즈부(421)와 제2 렌즈부(423)의 직선 이동에 따라, 제1 렌즈(LS1)와 제2 렌즈(LS2) 사이의 중심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제1 렌즈(LS1)의 중심(CP1)과 제2 렌즈(LS2)의 중심(CP2)은 소정의 중심축(CX)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촬영 모듈(400)이 표시 장치(DS: 도 2 참조)에 조립될 때, 중심축(CX)은 제2 방향(DR2, 도 2 참조)과 일치할 수 있다.
제1 렌즈(LS1)와 제2 렌즈(LS2) 사이의 중심 거리는 제1 렌즈(LS1)의 중심(CP1)으로부터 제2 렌즈(LS2)의 중심(CP2)까지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에서 제1 바디부(SP1)와 제2 바디부(SP2)는 단면상에서 중첩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1 렌즈(LS1)와 제2 렌즈(LS2) 사이의 중심 거리(D11)는 최단 거리일 수 있다.
제2 모드에서 제2 바디부(SP2)는 제1 바디부(SP1)로부터 이동하고, 제1 바디부(SP2)도 조작부(410)로부터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모드에서의 제1 렌즈(LS1)와 제2 렌즈(LS2) 사이의 중심 거리(D12)는 제1 모드에서의 제1 렌즈(LS1)와 제2 렌즈(LS2) 사이의 중심 거리(D11)에 비해 증가할 수 있다.
제1 렌즈(LS1)와 제2 렌즈(LS2) 사이의 중심 거리는 렌즈부(420)의 초점 거리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제1 렌즈(LS1)와 제2 렌즈(LS2) 사이의 중심 거리가 증가할수록 원 거리에 존재하는 피사체를 촬영하거나, 피사체를 확대하여 촬영하는데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렌즈(LS1)와 제2 렌즈(LS2) 사이의 중심 거리(D11)를 가진 제1 모드에서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제1 모드가 촬영 모듈을 오프 시킨 상태일 때, 렌즈들은 개구부(OP: 도 2 참조) 내에 안정적으로 수용됨으로써, 외부 충격으로부터 렌즈들이 용이하게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LS1)와 제2 렌즈(LS2) 사이의 중심 거리(D12)를 가진 제2 모드에서 원거리 촬영이나 확대 촬영이 가능하다. 실제 복수의 렌즈들에 의한 광학 줌 기능이 가능하므로, 조작이 용이하고, 향상된 촬영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광학 줌 기능을 가진 촬영 모듈을 구비할 수 있어, 렌즈를 별도로 추가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촬영 모드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좌측에는 제1 모드에서의 촬영 모듈(400-1)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하였고, 우측에는 제2 모드에서의 촬영 모듈(400-1)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5는 도 4와 대응되도록 도시하였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듈(400-1)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도 1a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렌즈부(420-1)는 제1 렌즈부(421)와 상이한 렌즈를 포함하는 제2 렌즈부(42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렌즈부(425)는 제3 바디부(SP3) 및 제3 렌즈(LS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 제3 렌즈부(425)는 도 4에 도시된 렌즈부(420) 중 제2 렌즈부(423)를 치환한 것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420-1)는 도 4에 도시된 렌느부(420)에 제3 렌즈부(425)를 더 포함하는 삼중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3 렌즈(LS3)는 광각 렌즈일 수 있다. 제3 렌즈(LS3)는 제1 렌즈(LS1)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곡률을 가진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렌즈(LS3)는 예를 들어, 어안렌즈(fish?eye lens)일 수 있다.
제1 렌즈(LS1)의 중심(CP1)과 제3 렌즈(LS3)의 중심(CP3)은 소정의 중심축(CX)을 따라 정렬된다. 제1 모드에서의 제1 렌즈(LS1)와 제3 렌즈(LS3) 사이의 중심 거리(D21) 보다 제2 모드에서의 제1 렌즈(LS1)와 제3 렌즈(LS3) 사이의 중심 거리(D22)가 클 수 있다. 제1 모드에서의 제1 렌즈(LS1)와 제3 렌즈(LS3) 사이의 중심 거리(D21)가 다소 작으므로, 제1 렌즈(LS1)와 제3 렌즈(LS3)는 최대한 밀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수납 부재(100: 도 2 참조)의 개구부(OP: 도 2 참조)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제2 모드에서는 제1 렌즈(LS1)와 제3 렌즈(LS3) 사이의 중심 거리(D22)가 증가함에 따라, 제3 렌즈(LS3)를 활용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촬영 모듈(400-1)은 제1 렌즈(LS1)와 제3 렌즈(LS3) 사이의 중심 거리(D22)를 제어하여 광각의 촬영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3 렌즈(LS3)는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모드에서 제3 렌즈(LS3)에 의해 촬영 결과물이 왜곡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제2 모드에서만 장착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의 폭의 제한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듈(400-1)은 다양한 렌즈들을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효과가 반영된 촬영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곡률이 큰 제3 렌즈를 더 포함하면서도 표시 장치 내에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어,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듈(400-1)의 사시도를 도시하였고, 도 6b에는 도 6a에 도시된 구성 중 렌즈부(420-2)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렌즈부(420-2)는 제1 렌즈부(421) 및 제2 렌즈부(42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렌즈부(423-1)는 직선 이동 및 좌우 이동을 할 수 있다. 제2 렌즈부(423-1)는 제1 렌즈부(421)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점선 처리된 형상을 가진다. 이후, 제2 렌즈부(423-1)는 제2 렌즈부(423-1)가 향하는 방향이 변경되도록 부분적으로 휘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 모듈(400-1)은 수납된 방향과 상이한 방향에 배치된 피사체를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렌즈부(423-1)는 휘어질 수 있는 제2 바디부(SP2-1) 및 제2 렌즈(LS2)를 포함한다. 제1 렌즈부(421)는 도 4에 도시된 제1 렌즈부(421)와 대응될 수 있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바디부(SP2-1)는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바디부(SP2)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렌즈(LS1)가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휘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렌즈(LS2)와 제1 렌즈(LS1)는 제2 모드에서 서로 교차하는 방향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제2 바디부(SP2-1)는 리지드한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제2 바디부(SP2-1)는 소정의 힌지(hinge)를 포함함으로써, 제2 렌즈(LS2)가 제1 렌즈(LS1)와 상이한 방향을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바디부(SP2-1)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제2 렌즈(LS2)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제2 바디부(SP2-1)의 내측면(SP2-IS)은 입사되는 광을 반사하는 면일 수 있다. 내측면(SP2-IS)은 반사율이 높은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두 개의 렌즈들(LS1, LS2)을 통해서도 광의 경로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 피사체를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렌즈들 중 적어도 일부 렌즈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은 촬영 모듈(400-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 모듈(400-1)이 표시 장치의 측면 방향을 향해 수납되더라도, 촬영 시 렌즈의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다양한 방향에서의 피사체 촬영이 가능하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a에는 도 2에 도시된 표시 장치(DS) 구성 중 수납 부재(100) 및 윈도우 부재(500)를 생략한 결합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용이한 설명을 위해 도 6a에는 제2 모드에서의 표시 장치(DS)의 일부 구성들을 도시하였다. 이하,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S)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도 1a 내지 도 6b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촬영 모듈(400)은 표시 부재(200)의 하측에 배치된다. 회로 기판(300)은 표시 부재(200) 중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일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촬영 모듈(400)은 표시 부재(200)와 회로 기판(300)에 의해 에워싸일 수 있다. 표시 부재(200)와 연결된 회로 기판(300)은 촬영 모듈(400)의 적어도 일측을 둘러싸며 표시 부재(200)의 하측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촬영 모듈(400) 중 조작부(410)의 일 측면 및 하면은 회로 기판(300)에 의해 에워싸일 수 있다.
회로 기판(300)은 촬영 모듈(400)의 적어도 일측을 에워싸며 구부러져 수납 부재(100) 내에 수납된다. 회로 기판(300)은 베이스 층(100)의 일측만을 에워싸며 휘어질 때보다 더 큰 곡률 반경으로 휘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로 기판(300)에 미치는 곡률 스트레스가 완화되어 회로 기판(300)이 안정적으로 수납 부재(100) 내에 수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촬영 모듈(400)은 촬영 모듈(400)의 길이 방향이 표시 장치(DS)의 두께 방향과 상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촬영 모듈(400)은 표시 장치(DS)의 측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 모듈(400)의 길이와 표시 장치(DS)의 두께는 서로에 대해 미치는 영향이 없이 각각 독립적으로 설계될 수 있어, 표시 장치(DS)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촬영 모듈(400)은 렌즈부(420)가 수납 부재(100)의 개구부(OP)와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렌즈부(420)의 제2 방향(DR2)에서의 길이(LD)는 제2 모드에서 가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S)는 수납 부재(100)에 개구부(OP)가 정의됨으로써, 렌즈부(420)의 제2 방향(DR2)에서의 길이(LD) 변화를 위한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부(420)의 제2 방향(DR2)에서의 길이(LD) 변화에 따라 렌즈부(420)가 수납 부재(100)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수납 부재(100) 내부에 수용됨으로써, 렌즈부(420)의 제2 방향(DR2)에서의 길이(LD) 변화가 수납 부재(100)의 형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촬영 모듈(400)이 표시 장치(DS)의 두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렌즈부(420)의 길이에 대한 제한이 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장치의 측면을 향하도록 촬영 모듈(400)을 배치시킴으로써, 촬영 모듈(400)의 길이에 제한이 없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DS)는 다양한 수의 렌즈들을 포함하고, 다양한 종류의 렌즈들을 포함하는 촬영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용이한 설명을 위해 도 8a는 도 1b와 대응되는 영역을 도시하였고, 도 8b는 도 7a와 대응되는 영역을 도시하였다. 이하,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S)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도 1a 내지 도 7b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 장치(DS-1)는 제3 방향(DR3)을 향해 배치된 촬영 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DS-1)에 있어서, 제2 모드에서 촬영 모듈(400)의 적어도 일부는 수납 부재(100-1)의 측벽부로부터 제3 방향(DR3)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로 기판(300)은 표시 부재(200) 중 제3 방향(DR3)을 따라 연장된 일 측에 배치된다. 회로 기판(300)은 표시 부재(200)에 연결되어 표시 부재(200)의 하측으로 휘어져 수납 부재(100-1)에 수용된다.
이때, 회로 기판(300)은 촬영 모듈(400)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에워싸며 휘어질 수 있다. 회로 기판(300)은 촬영 모듈(400)이 조작부(410)를 에워싸며 촬영 모듈(400)의 하측으로 휘어진다.
이에 따라, 회로 기판(300)이 촬영 모듈(400)의 촬영에 미치는 영향은 적을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300)은 촬영 모듈(400)을 에워싸며 휘어지므로, 큰 곡률 반경을 이루며 휘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로 기판(300)에 미치는 굴곡 스트레스가 완화되고, 회로 기판(300)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S-1)에 있어서, 표시 장치(DS-1)의 두께 방향인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DR3)을 향해 촬영 모듈(400)이 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렌즈들을 포함하는 촬영 모듈(400)은 표시 장치(DS-1)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표시 장치(DS-1)에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듈은 표시 장치의 두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면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a는 도 9에 도시된 표시 장치 중 일부 구성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b는 10a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도 9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살펴본다. 한편, 도 1 내지 도 8b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표시 장치(DS-2)는 적어도 일부가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장치(DS-2)의 전면은 액티브 영역(AR) 및 주변 영역(BR)으로 구분된다. 액티브 영역(AR)은 제2 방향(DR2) 및 제3 방향(DR3)이 정의하는 평면상에서 적어도 일 영역에 정의된 곡면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DS-2)는 제1 영상(IM) 및 제2 영상(IM2)을 표시할 수 있다. 액티브 영역(AR)의 적어도 일부가 휘어짐에 따라, 제1 영상(IM)과 제2 영상(IM2)은 상이한 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다.
촬영 모듈(400)은 제2 방향(DR2)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 방향(DR2)은 제1 영상(IM1)이 표시되는 방향 및 제2 영상(IM2)이 표시되는 방향 각각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S-2)는 수납 부재(100-2), 표시 부재(200-1), 회로 기판(300-1), 촬영 모듈(400), 및 휘어진 윈도우 부재(500-1)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 부재(100-1)는 윈도우 부재(500-1)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납 부재(100-1)와 윈도우 부재(500-1)는 서로 결합되어 소정의 내부 공간을 정의하고, 표시 장치(DS-1)의 외측을 정의한다. 표시 부재(200-1), 회로 기판(300), 및 촬영 모듈(400)은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수납 부재(100-1) 중 제3 방향(DR3)을 따라 연장된 일측에 개구부(OP)가 정의된다.
촬영 모듈(400)은 표시 부재(200-1)의 하측에 배치된다. 촬영 모듈(400)은 제2 방향(DR2)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촬영 모듈(400)은 단면상에서 개구부(OP)에 중첩한다. 촬영 모듈(400)은 적어도 일부가 표시 부재(200-1)에 의해 에워싸일 수 있다.
표시 부재(200-1)는 휘어진 베이스 층(210-1) 및 표시층(220-1)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층(210-1)은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표시층(220-1)은 베이스 층(210-1)의 휘어진 면 상에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층(220-1)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방향을 향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부재(200-1)의 적어도 일부는 휘어지면서 표시 부재(200-1) 하측에 배치된 촬영 모듈(400)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에워쌀 수 있다. 표시 부재(200-1)의 일부는 휘어지며 촬영 모듈(400)의 하측에 배치된 상태로 수납 부재(100-2)에 수용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500-1)는 표시 부재(200-1)의 상측을 커버한다. 휘어진 윈도우 부재(500-1)는 표시 부재(200-1) 중 액티브 영역(AR)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휘어질 수 있다.
회로 기판(300-1)은 표시 부재(200-1) 중 휘어진 일 측에 연결될 수 있다. 회로 기판(300-1)은 제2 방향(DR2) 및 제3 방향(DR3)이 정의하는 평면상에서 플랫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회로 기판(300)은 플랫한 상태로 수납 부재(200-1)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촬영 모듈(400)은 표시 부재(200-1)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에워싸인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표시 부재(200-1)는 촬영 모듈(400)을 에워싸며 휘어짐에 따라, 표시 부재(200-1)에 미치는 굴곡 스트레스가 완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부재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S: 표시 장치 100: 수납 부재
OP: 개구부 200: 표시 부재
300: 회로 기판 400: 촬영 모듈
410: 조작부 420: 렌즈부
500: 윈도우 부재

Claims (20)

  1. 서로 교차하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상에서,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수납 부재;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교차하는 제3 방향을 향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연결된 회로 기판; 및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제1 방향을 향해 배치되며, 복수의 렌즈들을 포함하는 촬영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회로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휘어져 상기 촬영 모듈의 적어도 일측을 감싸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듈의 상기 제1 방향에서의 길이는 제1 모드에서 고정 되고, 상기 제1 모드와 상이한 제2 모드에서 가변 되며,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촬영 모듈은 상기 수납 부재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촬영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납 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들 각각의 중심들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렌즈들은 상기 중심들 사이의 거리가 변하도록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듈의 상기 제1 방향에서의 길이는 상기 중심들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달라지는 표시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부재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제3 방향을 향해 절곡된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 중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의 적어도 일 영역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개구부가 정의되고,
    상기 렌즈들의 상기 직선 이동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들은 상기 직선 이동을 통해 상기 렌즈들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수납 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렌즈들이 상기 개구부 내에 수용되는 표시 장치.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듈은 상기 렌즈들의 상기 직선 이동을 통해 광학 줌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들은 적어도 하나의 볼록 렌즈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들은 어안 렌즈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어안 렌즈는 상기 렌즈들 중 최 외측에 배치된 표시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과 평행한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에 의해 정의되는 단면상에서, 상기 촬영 모듈은 상기 회로 기판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촬영 모듈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에워싸며 상기 촬영 모듈의 하측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휘어지는 표시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에 의해 정의되는 단면상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적어도 일부는 휘어져 상기 촬영 모듈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휘어지는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3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과 상이한 제4 방향을 향해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4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표시 장치.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휘어진 적어도 일부에 연결되고, 상기 촬영 모듈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과 평행한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1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듈은,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에 고정된 제1 렌즈; 및
    제2 바디부 및 상기 제2 바디부에 고정된 제2 렌즈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하여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 사이의 거리를 제어하는 표시 장치.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바디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 휘어지고,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방향을 향하도록 제어되는 표시 장치.
KR1020160116783A 2016-09-09 2016-09-09 표시 장치 KR102564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783A KR102564305B1 (ko) 2016-09-09 2016-09-09 표시 장치
US15/671,908 US10585266B2 (en) 2016-09-09 2017-08-08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783A KR102564305B1 (ko) 2016-09-09 2016-09-09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179A KR20180029179A (ko) 2018-03-20
KR102564305B1 true KR102564305B1 (ko) 2023-08-08

Family

ID=61560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783A KR102564305B1 (ko) 2016-09-09 2016-09-09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585266B2 (ko)
KR (1) KR1025643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00728A (zh) * 2019-10-23 2021-04-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模组及电子设备
CN113286024B (zh) * 2021-05-20 2024-01-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95499A1 (en) * 2002-11-13 2004-05-20 Alex Ning Imager module with a retractable lens
US20150331451A1 (en) * 2014-05-14 2015-11-1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429B1 (ko) 2002-06-19 2008-05-2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줌 렌즈 어셈블리의 보호 구조를 가지는 휴대형 통신기기및 줌 렌즈 어셈블리의 클로우즈 제어방법
US20060217148A1 (en) 2005-03-23 2006-09-28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phone with large sensor
KR101302271B1 (ko) * 2005-12-02 2013-09-02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어안 렌즈 및 촬상 장치
KR101356167B1 (ko) 2007-11-02 2014-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JP6237106B2 (ja) * 2013-10-18 2017-11-2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撮像装置
CN113031703A (zh) * 2013-11-28 2021-06-25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电子设备
US11927874B2 (en) 2014-07-01 2024-03-12 Apple Inc. Mobile camera system
US10225442B2 (en) * 2015-02-16 2019-03-05 Mediatek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air quality
KR102192181B1 (ko) * 2015-08-11 2020-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외관 하우징, 이의 제작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95499A1 (en) * 2002-11-13 2004-05-20 Alex Ning Imager module with a retractable lens
US20150331451A1 (en) * 2014-05-14 2015-11-1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179A (ko) 2018-03-20
US20180074292A1 (en) 2018-03-15
US10585266B2 (en) 202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1359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ing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7202777B2 (ja) 接眼ディスプレイ
CN110879454A (zh) 摄像头模组、潜望式摄像头模组、摄像头组件及电子装置
US11703722B2 (en) Electronic device
JP2021511548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10117398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220122570A (ko)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CN113242994B (zh) 嵌入有摄像头以及显示装置的电子设备
US20140307144A1 (en) Portable device with camera
CN213338283U (zh) 潜望式摄像头模组、摄像头组件及手机
KR102564305B1 (ko) 표시 장치
CN111308643A (zh) 摄像头模组、潜望式摄像头模组、摄像头组件及电子装置
KR20190056932A (ko) 카메라 모듈, 광학 기기 및 이의 이미지 생성 방법
JP7069185B2 (ja) 液体レンズ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光学機器
CN211149032U (zh) 摄像头模组
WO2021128559A1 (zh) 潜望式镜头模组、潜望式摄像装置及智能终端
JP5039399B2 (ja) レンズシステム
JP4033148B2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2020020977A (ja) 電子機器
KR102531130B1 (ko) 액체 렌즈를 포함하는 듀얼 카메라 모듈
JP2011257742A (ja) 表示パネルユニット、電子機器
JP4059229B2 (ja) デジタルカメラ用画像表示装置及びデジタルカメラ
KR20200036681A (ko) 얼라인된 카메라가 결합된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20190324235A1 (en) Optical apparatus
KR20200092644A (ko) 액체 렌즈 모듈 및 이 모듈을 포함하는 광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