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044B1 - 압력터빈용 레이디얼 에어베어링 - Google Patents

압력터빈용 레이디얼 에어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044B1
KR102564044B1 KR1020220107824A KR20220107824A KR102564044B1 KR 102564044 B1 KR102564044 B1 KR 102564044B1 KR 1020220107824 A KR1020220107824 A KR 1020220107824A KR 20220107824 A KR20220107824 A KR 20220107824A KR 102564044 B1 KR102564044 B1 KR 102564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plate
rotation
cylinder
bumper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7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경
Original Assignee
김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경 filed Critical 김태경
Priority to KR1020220107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0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0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0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radial load only
    • F16C17/024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radial load only with flexible leaves to create hydrodynamic wedge, e.g. radial foil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2/00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C32/06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 F16C32/0603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supported by a gas cushion, e.g. an air cush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3/00Surface treatments; Hardening; Coating
    • F16C2223/30Coat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60/00Engines or pumps
    • F16C2360/23Gas turbine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터빈용 레이디얼 에어베어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범퍼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실린더부의 전단과 후단에 제 1회전방지용 돌기가 형성되고, 캡부에 제 1회전방지용 돌기가 내입되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되어 상호 구성이 돌기와 홈에 의해 고정되게 하는 한편, 실린더부에는 테프론 코팅이 이루어짐에 따라 실린더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회전축이 안정적으로 축회전되게 하는 압력터빈용 레이디얼 에어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압력터빈용 레이디얼 에어베어링{Radial Air Bearings for Pressure Turbine}
본 발명은 압력터빈용 레이디얼 에어베어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린더부의 전단과 후단에 형성된 돌기와 캡부에 형성된 회전방지홈에 의한 간단한 끼움 결함을 통해 실린더부가 쉽게 고정되는 한편, 실린더부에 테프론 코팅이 이루어짐에 따라 회전축이 안정적으로 축회전될 수 있는 압력터빈용 레이디얼 에어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기계의 고효율 및 경량화를 위해 산업기계에서 로터의 회전속도는 점차 고속으로 발전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적절한 성능을 갖는 에어 포일 베어링이 설계되어 사용되고 있다.
에어 포일 베어링은 로터가 고속 회전할 때 로터 또는 베어링 디스크와 접하는 포일 사이에 점성을 갖는 유체인 공기가 유입되어 압력을 형성함으로써 축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에어 포일 에어링은 원통형의 하우징 내측에 탄성력을 갖는 포일이 중첩되게 구비되고, 포일의 내측에 로터의 회전축이 축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에어 포일 베어링에 대한 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10-1808008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회전축을 감싸는 탑 포일과 범프 포일의 구조 및 형태를 개선시켜 베어링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 포일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상술하면,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범프 포일을 이중 구조로 구성하고, 탑 포일에 세라믹을 코팅함으로써 회전축으로부터 발생하는 마찰을 줄이는 한편, 탑 포일과 회전축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을 줄이도록 구성되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탑 포일을 고정하기 위해 탑 포일의 끝단을 변형하여 키를 형성하고, 이를 베어링 하우징에 형성된 홈에 삽입 결합함으로써 탑 포일이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의 범프 포일은 형태가 복잡하기 때문에 이를 제조하고, 베어링의 하우징에 구비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과 같이 탑 포일의 끝단을 절곡하여 키부분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탑 포일의 제조시, 끝단을 절곡하는 과정이 더 부가되어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08008호 (2017.12.05.등록)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린더부의 전단과 후단에 형성된 돌기와 캡부에 형성된 회전방지홈에 의한 간단한 끼움 결함을 통해 실린더부가 쉽게 고정되는 한편, 실린더부에 테프론 코팅이 이루어짐에 따라 회전축이 안정적으로 축회전될 수 있는 압력터빈용 레이디얼 에어베어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되,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기둥으로 구성되는 하우징부(100); 일면에 복수 개의 범프(221)가 배열된 박판으로 구성되며, 타면이 상기 하우징부(100)의 내측면에 밀착 구비되는 범퍼부(200); 일측에 슬릿(311)이 형성된 환형의 기둥으로 이루어져, 상기 범퍼부(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실린더부(300); 및 상기 실린더부(300)가 축회전되지 않게 고정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부(100)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구비되는 캡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범퍼부(200)는, 평평한 박판이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부(100)의 내측면에 밀착 구비되는 제 1박판부(210); 및 단면이 만곡형인 복수 개의 범프(221)가 좌우방향으로 배열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 1박판부(210)의 내측면에 용접 결합되는 제 2박판부(22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 2박판부(220)는, 평평한 박판을 프레스 가압함으로써 복수 개의 범프(221)가 좌우방향으로 연결 배치되면서 만곡부(221a)와 절곡부(221b)가 번갈아 배치된 박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좌우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범프(221)는, 서로 다른 곡률로 구성되되, 현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박판부(220)는, 복수 개가 상기 제 1박판부(210)의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실린더부(300)는, 전후방향 길이가 하우징부(100)의 전후방향 길이에 대응하게 형성되되, 외주반경(R2)이 범퍼부(200)의 내주반경(R1)에 대응하게 형성된 중공의 관으로 구성되며, 외주 일측에 슬릿(311)이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실린더몸체(310); 및 실린더몸체(310)의 전단과 후단에서 각각 전방과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전단과 후단에 각각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제 1회전방지용 돌기(320);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 1회전방지용 돌기(320)는, 한 쌍이 상기 실린더몸체(310)의 슬릿(311)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구비되되, 상기 실린더몸체(310)의 외주 둘레방향의 양끝단측에 구비되며, 상기 캡부(400)는, 내주면 일측에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1회전방지용 돌기(320)가 삽입 배치되는 제 1회전방지홈(4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실린더부(300)에는, 상기 제 1회전방지용 돌기(320)와 상하방향으로 대칭되는 제 2회전방지용 돌기(330)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캡부(400)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제 1회전방지홈(410)과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2회전방지용 돌기(330)가 삽입 배치되는 제 2회전방지홈(4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실린더부(300)는, 내측면에 테프론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범퍼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실린더부의 전단과 후단에 제 1회전방지용 돌기가 형성되고, 캡부에 제 1회전방지용 돌기가 삽입되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되어 상호 구성이 돌기와 홈에 의해 고정되게 함에 따라 실린더부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회전축이 동작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실린더부의 외측에 테프론이 코팅됨에 따라 회전축과 실린더부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터빈용 레이디얼 에어베어링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베어링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베어링의 파단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범퍼부의 실시예의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실린더부의 실시예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터빈용 레이디얼 에어베어링의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압력터빈용 레이디얼 에어베어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범퍼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실린더부의 전단과 후단에 제 1회전방지용 돌기가 형성되고, 캡부에 제 1회전방지용 돌기가 내입되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되어 상호 구성이 돌기와 홈에 의해 고정되게 하는 한편, 실린더부에는 테프론 코팅이 이루어짐에 따라 실린더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회전축이 안정적으로 축회전되게 하는 압력터빈용 레이디얼 에어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부(100), 범퍼부(200), 실린더부(300) 및 캡부(40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부(100)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되,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기둥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부(100)의 전단과 후단에는 복수 개의 제 1볼트홈(110)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 4a 내지 도 4c와 같이, 상기 범퍼부(200)는 일면에 복수 개의 범프(221)가 배열된 박판으로 구성되며, 타면이 상기 하우징부(100)의 내측면에 밀착 구비되는데, 이는 제 1박판부(210)와 제 2박판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박판부(210)는 평평한 박판이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부(100)의 내측면에 밀착 구비된다.
한편, 제 2박판부(220)는 단면이 만곡형인 복수 개의 범프(221)가 일방향으로 배열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범프(221)가 제 1박판부(210)의 원주방향으로 배열되게 상기 제 1박판부(210)의 내측면에 용접 결합된다.
상술하면, 상기 제 2박판부(220)는 평평한 박판을 프레스 가압함으로써 복수 개의 범프(221)가 일방향으로 연결 배치되면서 만곡부(221a)와 절곡부(221b)가 번갈아 배치된 박판으로 구성되며, 이와 같이 제조된 제 2박판부(220)는 제 1박판부(210)에 스폿 용접(W)되어 상호 구성이 하나의 판형을 이루게 하며, 이후, 이 판형을 원통형으로 밴딩함으로써 원통형을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박판부(210)와 제 2박판부(220)는 평평한 상태에서 용접이 이루어진다.
부연하면, 평평한 제 1박판부(210)가 배치되고, 이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제 2박판부(220)가 용접되어 범퍼부(200)를 구성할 수 있으나, 회전축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더욱 효과적으로 완화하기 위해 복수 개가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배열되어 용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b와 같이, 상기 제 2박판부(220)는 복수 개가 상기 제 1박판부(210)의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데, 상기 범프(221)가 좌우방향으로 배열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 2박판부(220)의 좌우방향 일단은 상기 제 1박판부(210)의 일면에 스폿 용접(W)되고, 이의 좌우방향 타단은 결합되지 않고 자유단으로 구성됨에 따라 이후 회전축의 동작에 의해 충격이 가해지면, 제 2박판부(220)가 쉽게 변형되면서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박판부(220)는 용접시 발생하는 열에너지에 의한 범퍼부(200)의 변형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상기 제 2박판부(220)의 좌우방향 일단에서 전후방향으로 나란하게 2 ~ 3개의 지점에 스폿 용접(W)이 이루어져 제 1박판부(210)와 결합되게 한다.
한편, 도 4a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제 2박판부(220)의 전후 이격간격(D1)은 2.5 ~ 3.5mm가 되게 구비되고, 좌우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제 2박판부(220)의 좌우 이격간격(D2)은 1.5 ~ 2.5mm가 되게 구비된다.
상술하면, 상기 제 2박판부(220)의 전후 이격간격(D1)이 2.5mm 미만이거나 좌우 이격간격(D2)이 1.5mm 미만인 경우,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제 2박판부(220)의 간격이 너무 가깝기 때문에 제조시 제 2박판부(220)의 용접이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이후, 회전축의 동작시 제 2박판부(220)의 자유단이 서로 겹치게 되면서 충격 흡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제 2박판부(220)의 전후 이격간격(D1)이 3.5mm를 초과하거나, 좌우 이격간격(D2)이 2.5mm를 초과하는 경우,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제 2박판부(220) 간의 간격이 너무 멀어짐에 따라 회전축의 동작시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는 영역이 발생하여 충격 흡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제 2박판부(220)는 상기한 범위 내에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범프(221)는 호의 반경(a)이 2 ~ 3.5mm가 되게 형성되고, 호의 현 길이(b)가 2.5 ~ 4mm가 되게 형성되는데, 이들은 상기 범퍼부(200)가 하우징부(10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측정한 것으로 설정된다.
상술하면, 상기 범프(221)의 반경(a)이 2mm 미만이거나, 현 길이(b)가 2.5mm 미만인 경우, 상기 범프(221)의 만곡부(221a) 곡률이 지나치게 커짐에 따라 제 1박판부(210)와의 사이 공간이 커짐에 따라 이후 회전축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여 회전축이 뒤틀리는 문제가 발생하며, 범프(221)의 반경(a)이 3.5mm를 초과하거나 현 길이(b)가 4mm를 초과하는 경우, 실린더부(300)와 범퍼부(200)의 사이 공간이 거의 없어 회전축을 안정적으로 탄성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좌우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범프(221)는 서로 동일한 곡률로 구성될 수 있으나, 회전축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더욱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해 서로 다른 곡률로 구성되되, 서로 다른 현 길이를 갖게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실린더부(300)는 일측에 슬릿(311)이 형성된 환형의 기둥으로 이루어져, 상기 범퍼부(200)의 내부에 구비된다.
이때, 도 5a 및 도 5b와 같이, 상기 실린더부(300)는 이후 후술할 캡부(400)에 의해 상기 범퍼부(200)의 내부에서 축회전 되지 않고 고정되게 하는데, 이를 위해 실린더몸체(310) 및 제 1회전방지용 돌기(320)를 포함한다.
상술하면, 상기 실린더몸체(310)는 전후방향 길이가 하우징부(100)의 전후방향 길이에 대응하게 형성되되, 외주반경(R2)이 범퍼부(200)의 내주반경(R1)에 대응하게 형성된 중공의 관으로 구성되며, 외주 일측에 슬릿(311)이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기 범퍼부(200)의 내주반경(R1)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퍼부(200)의 중심부에서 가장 거리가 먼 만곡부(221a)의 변곡점까지의 거리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상기 범퍼부(200)의 모든 범프(221)의 만곡부(221a)가 상기 실린더몸체(310)의 외주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실린더부(300)를 안정적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회전방지용 돌기(320)는 실린더몸체(310)의 전단과 후단에서 각각 전방과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전단과 후단에 각각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데,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경우, 짝수 개가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회전방지용 돌기(320)는 한 쌍이 상기 실린더몸체(310)의 슬릿(311)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구비되되, 상기 실린더몸체(310)의 외주 둘레방향의 양끝단측에 구비된다.
즉, 한 쌍의 제 1회전방지용 돌기(320)는 슬릿(311)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이는 실린더몸체(310)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구비되는데, 실린더몸체(310)의 전후방향을 중심부를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린더부(300)가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부(300)에는 상기 제 1회전방지용 돌기(320)와 상하방향으로 대칭되는 제 2회전방지용 돌기(33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회전방지용 돌기(330)는 상기 제 1회전방지용 돌기(320)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실린더몸체(310)의 상단에는 한 쌍의 제 1회전방지용 돌기(320)가 전단과 후단측에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몸체(310)의 하단에는 한 쌍의 제 2회전방지용 돌기(330)가 전단과 후단측에 구비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상기 실린더부(300)가 범퍼부(200)의 내부에 삽입 체결되면, 상기 제 1회전방지용 돌기(320)와 제 2회전방지용 돌기(330)는 상기 하우징부(100)의 전단과 후단측으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실린더부(300)에는 테프론 코팅이 이루어져, 이의 내부에 삽입되는 회전축의 회전시 발생하는 마찰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캡부(400)는 상기 실린더부(300)가 축회전되지 않게 고정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부(100)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구비된다.
상술하면, 상기 캡부(400)는 내주 직경이 상기 실린더부(300)의 내주 직경에 대응하게 구성되고, 외주 직경이 상기 하우징부(100)의 외주 직경에 대응하게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부(100)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실린더부(300)는 캡부(400)에 의해 축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캡부(400)는 내주면 일측에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1회전방지용 돌기(320)가 삽입 배치되는 제 1회전방지홈(410) 및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 1회전방지홈(410)과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2회전방지용 돌기(330)가 삽입 배치되는 제 2회전방지홈(4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회전방지홈(410)은 한 쌍이 제 1회전방지용 돌기(320)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한 쌍의 제 1회전방지용 돌기(320)가 이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다.
한편, 한 쌍의 제 1회전방지홈(410) 사이에는 고정돌기(440)가 구성되어 상기 슬릿(311)의 전방과 후방을 밀폐하는데, 이때, 상기 고정돌기(440)의 원주방향 양측면은 각각 한 쌍의 제 1회전방지용 돌기(320)의 원주방향으로 마주보는 측면과 맞닿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회전방지홈(420)은 제 2회전방지용 돌기(330)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데, 한 쌍이 모두 삽입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술하면, 상기 제 2회전방지홈(420)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장홈으로 이루어지는데, 도 6과 같이, 이의 호의 길이(A2)는 제 1회전방지홈(410)의 끝단에서 다른 제 1회전방지홈(410)의 끝단을 연결한 호 길이(A1)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캡부(400)에는 제 1볼트홈(110)에 대응하는 제 2볼트홈(430)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캡부(400)가 하우징부(100)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구비된 상태에서 제 1볼트홈(110)과 제 2볼트홈(430)을 동시에 관통하여 볼트가 체결됨에 따라 캡부(400)와 하우징부(100)가 체결된다.
이때, 상기 제 2볼트홈(430)은 볼트 머리가 인입되어 볼트 머리부분이 캡부(400)의 겉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상기 실린더부(300)는 제 1회전방지용 돌기(320)와 제 2회전방지용 돌기(330)가 제 1회전방지홈(410)과 제 2회전방지홈(420)에 각각 삽입되어 원주방향으로 회전이 제한되는 한편, 한 쌍의 제 1회전방지홈(410)의 사이 부분이 실린더부(300)의 전후이동을 제한함에 따라 실린더부(300)가 하우징 내부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캡부(400)는 슬릿(311)의 전방과 후방을 밀폐하기 때문에 회전축과 실린더부(300)의 사이로 유입된 공기가 균일하게 퍼지면서 회전축 전체에 가해지는 공압이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 하우징부 110 : 제 1볼트홈
200 : 범퍼부 210 : 제 1박판부
220 : 제 2박판부 221 : 범프
221a : 만곡부 221b : 절곡부
300 : 실린더부 310 : 실린더몸체
311 : 슬릿 320 : 제 1회전방지용 돌기
330 : 제 2회전방지용 돌기
400 : 캡부 410 : 제 1회전방지홈
420 : 제 2회전방지홈 430 : 제 2볼트홈
440 : 고정돌기

Claims (10)

  1.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되,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기둥으로 구성되는 하우징부(100);
    일면에 복수 개의 범프(221)가 배열된 박판으로 구성되며, 타면이 상기 하우징부(100)의 내측면에 밀착 구비되는 범퍼부(200);
    일측에 슬릿(311)이 형성된 환형의 기둥으로 이루어져, 상기 범퍼부(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실린더부(300); 및
    상기 실린더부(300)가 축회전되지 않게 고정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부(100)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구비되는 캡부(400);
    를 포함하며,
    상기 범퍼부(200)는,
    평평한 박판이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부(100)의 내측면에 밀착 구비되는 제 1박판부(210); 및
    단면이 만곡형인 복수 개의 범프(221)가 좌우방향으로 배열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 1박판부(210)의 내측면에 용접 결합되는 제 2박판부(220);
    를 포함하며,
    상기 제 2박판부(220)는,
    평평한 박판을 프레스 가압함으로써 복수 개의 범프(221)가 좌우방향으로 연결 배치되면서 만곡부(221a)와 절곡부(221b)가 번갈아 배치된 박판으로 구성되며,
    좌우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범프(221)는,
    서로 다른 곡률로 구성되되, 현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구성되며,
    상기 제 2박판부(220)는,
    복수 개가 상기 제 1박판부(210)의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부(300)는,
    전후방향 길이가 하우징부(100)의 전후방향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실린더몸체(310);
    실린더몸체(310)의 전단과 후단에서 각각 전방과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전단과 후단에 각각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제 1회전방지용 돌기(320); 및
    실린더몸체(310)의 전단과 후단에서 각각 전방과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전단과 후단에 각각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 1회전방지용 돌기(320)와 대칭되게 구비되는 제 2회전방지용 돌기(330);
    를 포함하며,
    상기 캡부(400)는,
    내주면 일측에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1회전방지용 돌기(320)가 삽입 배치되는 제 1회전방지홈(410); 및
    상기 제 2회전방지용 돌기(330)가 삽입 배치되는 제 2회전방지홈(420);
    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부(300)는,
    내측면에 테프론 코팅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 2박판부(220)는,
    상기 제 2박판부(220)의 좌우방향 일단이 상기 제 1박판부(210)의 일면에 스폿 용접(W)되고, 이의 좌우방향(원주방향) 타단은 결합되지 않고 자유단으로 구성되며,
    제 2박판부(220)의 좌우방향(원주방향) 일단은,
    전후방향으로 나란하게 2 ~ 3개의 지점에 스폿 용접(W)이 이루어져 제 1박판부(210)와 결합되며,
    전후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제 2박판부(220)의 전후 이격간격(D1)은,
    2.5 ~ 3.5mm가 되게 구비되고,
    좌우방향(원주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제 2박판부(220)의 좌우 이격간격(D2)은,
    1.5 ~ 2.5mm가 되게 구비되며,
    상기 범프(221)는,
    호의 반경(a)이 2 ~ 3.5mm가 되게 형성되고, 호의 현 길이(b)가 2.5 ~ 4mm가 되게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몸체(310)는 소정 외주반경(R2)을 가진 환형의 기둥 형태인 중공의 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몸체(310)의 외주반경(R2)은 상기 범퍼부(200)의 내주반경(R1)에 대응하고,
    상기 범퍼부(200)의 내주반경(R1)은,
    모든 범프(221)의 만곡부(221a)가 상기 실린더몸체(310)의 외주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실린더부(300)를 안정적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범퍼부(200)의 중심부에서 가장 거리가 먼 만곡부(221a)의 변곡점까지의 거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터빈용 레이디얼 에어베어링.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20107824A 2022-08-26 2022-08-26 압력터빈용 레이디얼 에어베어링 KR102564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824A KR102564044B1 (ko) 2022-08-26 2022-08-26 압력터빈용 레이디얼 에어베어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824A KR102564044B1 (ko) 2022-08-26 2022-08-26 압력터빈용 레이디얼 에어베어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4044B1 true KR102564044B1 (ko) 2023-08-03

Family

ID=87567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7824A KR102564044B1 (ko) 2022-08-26 2022-08-26 압력터빈용 레이디얼 에어베어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04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853A (ko) * 2000-08-23 2002-03-02 이중구 에어 포일 베어링
JP2005036866A (ja) * 2003-07-14 2005-02-10 Honda Motor Co Ltd フォイル式流体軸受
KR101808008B1 (ko) 2017-09-19 2017-12-11 정인환 에어 포일 베어링
KR102230226B1 (ko) * 2019-09-20 2021-03-19 주식회사 뉴로스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KR102252923B1 (ko) * 2020-09-16 2021-05-17 이일희 에어포일 레이디얼 베어링 및 그 제조방법
KR102406531B1 (ko) * 2021-07-07 2022-06-08 하이코어 주식회사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가스포일 베어링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853A (ko) * 2000-08-23 2002-03-02 이중구 에어 포일 베어링
JP2005036866A (ja) * 2003-07-14 2005-02-10 Honda Motor Co Ltd フォイル式流体軸受
KR101808008B1 (ko) 2017-09-19 2017-12-11 정인환 에어 포일 베어링
KR102230226B1 (ko) * 2019-09-20 2021-03-19 주식회사 뉴로스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KR102252923B1 (ko) * 2020-09-16 2021-05-17 이일희 에어포일 레이디얼 베어링 및 그 제조방법
KR102406531B1 (ko) * 2021-07-07 2022-06-08 하이코어 주식회사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가스포일 베어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59779B2 (ja) ジャーナルフォイル空気ベアリング
KR101808008B1 (ko) 에어 포일 베어링
CN105121256B (zh) 具有绝缘中间层的双重波形弹簧
JP6189629B2 (ja) 放射状に適合したスポークを有するロータを含む制御モーメントジャイロスコ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564044B1 (ko) 압력터빈용 레이디얼 에어베어링
JPH0676806B2 (ja) 回転軸用支持組立体
JP4867228B2 (ja) 風力発電装置
JP2020016169A (ja) マグナス式推力発生装置、前記マグナス式推力発生装置を用いた風力回転装置、水力回転装置、潮力回転装置、ならびに前記マグナス式推力発生装置を用いた風力発電機、水力発電機、潮力発電機
CN102315718B (zh) 电机
JP3795482B2 (ja) 回転陽極型x線管
KR20060094058A (ko) 보호 슬리브를 구비한 피스톤-실린더 장치
JP4315453B2 (ja) 撓み軸継手における弾性体の厚み設定方法
JP2013507594A (ja) ボールベアリングおよび対応する緩衝部品
JP2017003116A (ja) 自在継手用の継手ヨーク及び自在継手
KR102252923B1 (ko) 에어포일 레이디얼 베어링 및 그 제조방법
JP3861018B2 (ja) フォイル軸受
JPH07304314A (ja) 車輌用サスペンション
KR20230060437A (ko)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JP2014040988A (ja) ロータリーキルンのシール構造およびロータリーキルン
CN218625066U (zh) 一种x射线管轴承组件及x射线管
JP4127502B2 (ja) 回転陽極型x線管
JP7228249B2 (ja) 油圧装置
JP2017025821A (ja) 遠心圧縮機
JP2007255534A (ja) ころ軸受、保持器セグメント、間座および風力発電機の主軸支持構造
JP4021423B2 (ja) 車両ホイール懸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