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394B1 - 배 건조 파우더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배 건조 파우더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배 건조 파우더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배 건조 파우더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394B1
KR102563394B1 KR1020200127391A KR20200127391A KR102563394B1 KR 102563394 B1 KR102563394 B1 KR 102563394B1 KR 1020200127391 A KR1020200127391 A KR 1020200127391A KR 20200127391 A KR20200127391 A KR 20200127391A KR 102563394 B1 KR102563394 B1 KR 102563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ar
composition
skin
powder
d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7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3697A (ko
Inventor
이은정
유정진
공봉주
이지현
권순상
김민기
공광택
강승현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7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394B1/ko
Publication of KR20220043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3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3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 건조 파우더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배 건조 파우더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일 양상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배 건조 파우더는 적절한 표면 거칠기를 가져 피부 자극이 매우 적으면서도, 피부의 불필요한 각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피부 결 정리, 및 피부 톤 개선에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배 건조 파우더는 천연물로 안정성 및 사용감이 우수하며, 기존에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었던 미세플라스틱의 대체재가 될 수 있어 친환경적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 건조 파우더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배 건조 파우더 및 그 용도{Method for preparing dried pear powder, dried pear powder prepared thereby,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배 건조 파우더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배 건조 파우더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최외곽층인 각질층(Stratum corneum)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수분과 전해질의 손실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건조를 막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각질층은 기저층의 각질 형성 세포로부터 형성, 분화되어 과립층까지 도달한다. 과립층에 도달한 세포가 세포핵이 소실되어 각질세포가 되어 각질층에서 탈락하는 일련의 과정을 "각화(Keratinization)"라고 한다. 피부 각질층의 턴오버 주기는 4주 정도로 오래된 각질이 제대로 제거되어야 피부 기저층의 세포로부터 새로운 각질세포가 분화되어 건강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노화 등의 내부적인 요인이나 자외선, 환경오염 등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이 순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피부는 칙칙해지고 각화되어 거친 피부가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각질층이 오래되고 중층화되어 피부가 칙칙해지고 피부톤이 불균일해지며 피부가 각화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하지만 강한 자극으로 문질러 피부 각질을 제거하는 방법은 정상적인 각질층을 손상시켜 각질층의 기능을 약화시켜 피부 자극을 유발하여 염증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듯 두꺼워진 각질을 제거하고 칙칙함을 없애기 위하여 다양한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들이 사용되고 있다.
각질제거용 화장료는 각질을 제거하는 방법에 따라 화학적 각질제거용 화장료 및 물리적 각질제거용 화장료로 나눌 수 있다. 화학적 각질제거 방법으로는 알파하이드록시산(AHA; Alpha hydroxyl acid) 또는 베타하이드록시산(BHA; Beta hydroxy acid) 등 화학물질로 각질을 녹여 제거하는 것이다. 낮은 pH에 활성이 있는 AHA나 BHA를 사용할 경우 피부 자극, 따가움, 간지러움, 피부 홍반 등의 부작용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물리적 각질제거 방법으로는 여러 형태의 스크럽(scrub) 등을 제형 내에 첨가한 화장료를 피부와 마찰을 발생시켜 노후된 각질을 제거시키는 방법이 있다. 스크럽제는 화학적인 각질제거 제형보다 화학적인 피부 부작용은 없지만 입자크기가 크고 거친 스크럽을 사용하게 되어 물리적인 자극감을 느낄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스크럽제로는 폴리에틸렌, 나일론과 같은 합성원료와 셀룰로오스, 만난, 호두 껍질, 복숭아씨 또는 살구씨와 같은 단단한 씨를 갈아서 만든 천연 스크럽제, 그리고 소금, 설탕, 칼슘클로라이드, 알루미늄옥사이드, 소듐바이카보네이트와 같은 결정을 이루는 스크럽제류가 있다.
이들 중 각질 제거용 세안제 및 치약에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소재는 폴리에틸렌, 나일론 등 미세 플라스틱이다. 이들은 5mm 이하 크기로 마이크로비즈(microbeads)로 불리며 하수처리시설에 걸러지지 않고, 바다와 강으로 그대로 유입되어 해양 오염의 주범이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2018년 7월부터 마이크로비즈를 화장품에 사용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점차 범위가 늘어날 전망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를 대체하기 위한 미세 플라스틱 대체재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일 양상은 1) 세척한 배를 착즙하여 배즙을 제거하는 단계;
2) 상기 1) 단계에서 수득한 배 잔사를 회수하여 물로 추출하는 단계;
3) 상기 2) 단계에서 수득한 추출 잔사를 회수하여 에탄올로 추출하는 단계;
4) 상기 3) 단계에서 수득한 추출 잔사를 회수하여 진공건조하는 단계; 및
5) 상기 4) 단계에서 건조한 잔사를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 건조 파우더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배 건조 파우더를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첨부한 청구범위 및 도면과 함께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본 출원의 기술 분야 또는 유사한 기술 분야 내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인식하고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일 양상은 1) 세척한 배를 착즙하여 배즙을 제거하는 단계;
2) 상기 1) 단계에서 수득한 배 잔사를 회수하여 물로 추출하는 단계;
3) 상기 2) 단계에서 수득한 추출 잔사를 회수하여 에탄올로 추출하는 단계;
4) 상기 3) 단계에서 수득한 추출 잔사를 회수하여 진공건조하는 단계; 및
5) 상기 4) 단계에서 건조한 잔사를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 건조 파우더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상에 따른 배 건조 파우더는 기존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주로 쓰이는 미세플라스틱의 대체재로 사용될 수 있어,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여 각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면서도, 환경오염 문제를 야기하지 않아 친환경적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배 잔사"는 배를 착즙한 후 배즙 제거 시 남은 부산물로서 고형물인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추출 잔사"는 배 잔사를 수득한 후 상기 배 잔사를 물 또는 에탄올 등 유기 용매로 추출한 뒤 얻어지는 부산물로서 고형물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 2) 단계의 물로 추출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물의 양은 잔사 무게의 2배 내지 8배, 바람직하게는 3배 내지 7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4배 내지 6배, 가장 바람직하게는 5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3) 단계의 에탄올로 추출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에탄올의 양은 잔사 무게의 2배 내지 4배, 바람직하게는 2.5배 내지 3.5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3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2) 단계 및 3) 단계의 추출은 상온에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4) 단계의 진공건조는 10시간 내지 30시간, 바람직하게는 12시간 내지 28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시간 내지 25시간, 가장 바람직하게는 18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4) 단계에서 수득한 추출 잔사를 열풍건조하게 되면 제조되는 배 건조 파우더의 표면의 거칠기가 높아 피부 자극 정도가 크므로, 저자극으로 피부 각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진공건조를 통해 배 건조 파우더를 제조함이 보다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배 건조 파우더는 30 내지 60 메쉬(mesh)가 되도록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공은 30 내지 60 메쉬의 그물망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6) 분쇄된 배 잔사를 30 내지 60 메쉬(mesh) 그물망으로 분리하여 배 건조 파우더를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배 건조 파우더를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배 건조 파우더는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배 건조 파우더가 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피부에 적용할 경우 피부를 과도하게 자극하게 되고, 0.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스크럽 성분의 농도가 낮아져 피부 각질 제거 효과가 미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적절하다.
일 구체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당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당 성분은 자당 (sucrose), 과당 (fructose), 포도당 (glucose), 소르비톨 (sorbitol), 또는 이노시톨 (inositol)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자당 또는 과당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자당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당 성분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7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당 성분은 일 양상에 따른 배 건조 파우더의 제조 시 물 및 에탄올을 통해 배 잔사를 추출한 용액에 포함된 것을 분리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물 및 에탄올 추출 용액의 용매를 건조시켜서 분리한 자당 성분을 정제수에 녹여 클렌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로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일 구체예에서는 상기 당 성분을 더 포함함으로써 클렌징 후 피부 보습 효과가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상기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토너; 에멀젼; 에센스; 마사지크림, 영양 크림, 모이스쳐크림 또는 핸드크림을 포함하는 각종 크림; 메이크업베이스, 파우더, 트윈케익, 파운데이션 또는 비비크림을 포함하는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 아이메이크업 또는 립메이크업을 하기위한 포인트 메이크업 제품;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클렌징오일, 스크럽 비누, 얼굴용 스크럽제, 바디용 스크럽제, 바디오일, 바디클렌저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용 제품; 스프레이; 및 바디로션으로 구성된 제형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을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피부 세정용 제품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크럽 비누, 얼굴용 스크럽제, 또는 바디용 스크럽제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각 제형에 적합하고 당업계에 주지된 통상적인 담체 및/또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폴리올, 유지 성분, 보습제, 연화제, 계면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차단제, 방부제, 기포제거제, 점증제, 살균제, 산화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절제, 알콜, 색소, 염료, 향료, 킬레이팅제, 안정화제, 혈행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종류 및 함량은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화장료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프로판디올, 펜틸렌글라이콜, 카프릴릴글라이콜, 1,2-헥산다이올, 피이지-6 및 피이지-8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화장료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방산 비누, 다이소듐코코암포다이아세테이트, 라우릴글루코사이드, 소듐 라우릴설페이트, 소듐 라우레스설페이트, 다이소듐라우레스설포석시네이트, 암모늄 라우릴설페 이트, 암모늄 라우레스설페이트, 라우릴 글루코스 카르복실레이트, 포타슘 글리시네이트, 데실 글루코사이드, 코코 글루코사이드,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및 코카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술테인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소듐하이드록사이드가 사용될 수 있으나,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킬레이팅제는 다이소듐이디티에이가 사용될 수 있으나,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성분들을 제외한 잔량으로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각질 제거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결 개선 및 피부 톤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상기 조성물이 우수한 피부 각질 효과를 발휘하는 배 건조 파우더를 포함함에 따라 오래된 각질세포를 효과적으로 탈락시키고, 새로운 각질세포의 생성 주기인 턴오버(turnover) 주기를 단축시킴에 따른 것이다. 뿐만 아니라, 배 유래 당 성분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피부에 보습 효과를 주어 건조함이나 피부 당김 현상 없이 촉촉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배 건조 파우더는 적절한 표면 거칠기를 가져 피부 자극이 매우 적으면서도, 피부의 불필요한 각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피부 결 정리, 및 피부 톤 개선에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배 건조 파우더는 천연물로 안정성 및 사용감이 우수하며, 기존에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었던 미세플라스틱의 대체재가 될 수 있어 친환경적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배 열풍건조 파우더, 배 진공건조 파우더, 및 비교군인 호두껍질가루와 셀룰로오스 비드의 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2는 일 양상에 따른 배 건조 파우더를 포함하는 클렌저 제형을 피부에 적용 후 각질면적과 제거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일 양상에 따른 배 건조 파우더를 포함하는 클렌저 제형의 피부 적용 전후의 각질제거 정도를 확인한 도이다. 흰색으로 나타난 부분이 각질을 나타낸다.
도 4는 일 양상에 따른 배 건조 파우더와 당 성분을 포함하는 클렌저 제형의 피부 보습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여 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배 건조 파우더 제조
배 건조 파우더 제조 공정은 착즙 배박 제조 후 배 건조파우더를 제조하는 순서로 진행하였다. 먼저, 착즙용으로 사용되는 배를 세척하고 착즙기를 이용하여 배즙을 제거하였다. 배즙 제거 후 잔사를 회수하고 잔사 무게 5배 용량의 물을 이용해 2~3시간을 상온에서 추출하여 잔사 속에 남아있는 배즙을 제거하였다. 물로 추출한 결과 얻어진 추출물을 여과하여 여액을 분리하고, 그 여과로 분리된 추출 잔사를 잔사 무게 3배 용량의 에탄올을 이용해 2~3시간을 상온에서 추가로 추출하여 잔사 속에 남아있는 배즙을 제거하였다. 에탄올로 추출한 결과 얻어진 추출물을 회수하고, 배즙을 모두 제거한 배 잔사를 이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착즙 배박 제조). 상기 추출물은 당 성분 분리를 위해 따로 보관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배즙을 제거한 배 잔사를 18~24시간 동안 진공건조기로 진공건조하여 배 잔사의 수분을 제거하였다. 수분이 제거된 배 잔사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 후 30~60 메쉬(mesh) 사이에 걸러지는 파우더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배 건조 파우더를 멸균하였다(배 건조 파우더 제조).
제조예 2: 물 및 에탄올 추출단계를 거치지 않은 배 건조 파우더 제조
물 및 에탄올을 이용한 추출 단계를 거쳐 제조한 배 건조 파우더와 거치지 않고 제조한 배 건조 파우더를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착즙 배박 제조 단계에서 착즙기를 이용한 배즙 제거 후 물 및 에탄올을 이용한 추출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배 건조 파우더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물 또는 에탄올을 이용한 추출 단계를 전혀 거치지 않거나(제조예 2-1), 물로만 추출하여 제조하거나(제조예 2-2), 에탄올로만 추출하여 제조하였다(제조예 2-3).
제조예 3: 열풍건조시킨 배 건조 파우더 제조
착즙 배박 제조 후 이를 진공건조시켜 제조한 배 건조 파우더와 열풍건조시켜 제조한 배 건조 파우더를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배 건조 파우더 제조 단계에서 착즙 배박 제조 후 50~60℃로 열풍건조시켜 배 건조 파우더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배 건조 파우더의 취(냄새) 관능평가
평균나이 27.2세의 건강한 성인 피험자 5명을 대상으로 상기 제조예 1, 2를 통해 제조한 배 건조 파우더에 대하여 취 발생정도를 비교하였다. 관능검사 점수는 취에 따른 자극여부를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nce)의 평가 항목에 대해 7점 척도(1=취 없음, 4=취 보통, 7=매우 취가 남)를 이용하여 취가 많이 날수록 높은 점수를 주도록 하여 평균값(mean score)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배 건조 파우더 평균값(mean score)
추출단계 없음(제조예 2-1) 5.8
물로만 추출(제조예 2-2) 4.0
에탄올로만 추출(제조예 2-3) 3.4
물 및 에탄올로 추출(제조예 1) 1.8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출단계를 거치지 않고 제조한 배 건조 파우더(제조예 2-1)는 추출단계를 거쳐 제조한 배 건조 파우더에 비해 평균값이 5.8로 취가 많이 발생하여 전반적인 만족도가 낮음을 확인하였다. 물 또는 에탄올을 사용한 추출단계를 거쳐 제조한 배 건조 파우더(제조예 2-2, 및 제조예 2-3)에서도 보통 정도의 취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반면, 물 및 에탄올 모두를 사용한 추출단계를 거쳐 제조한 배 건조 파우더는(제조예 1) 평균값이 1.8로 배 잔사에 남아있는 물질이 모두 제거됨에 따라 취가 가장 적게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배 건조 파우더가 화장료 조성물에 담지되었을 때의 취 발생을 방지하고, 변취에 의한 부작용 없이 안정한 제형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물 및 에탄올 모두로 추출한 배 건조 파우더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이후 실험에서는 물 및 에탄올 모두로 추출한 배 건조 파우더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2: SEM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배 건조 파우더의 구조 관찰
기존에 스크럽제로 사용되던 호두껍질가루, 셀룰로오스 비드, 및 상기 제조예 1, 3을 통해 제조한 배 건조 파우더의 구조를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y)으로 관찰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예 1을 통해 제조한 배 진공건조 파우더는 호두껍질가루보다 약간 큰 입자사이즈를 보였으며 배 진공건조 파우더와 호두껍질가루 모두 다소 불규칙적인 형태임을 확인하였다. 셀룰로오스 비드는 지름이 약 100 μm 로 가장 작은 입자사이즈를 가지고 있으며 원형 구 형태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제조예 3을 통해 제조한 배 열풍건조 파우더는 배 진공건조 파우더에 비해 입자사이즈가 클 뿐만 아니라, 표면 거칠기가 확연하게 높아 피부에 문질렀을 때 자극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에, 이후 실험에서는 착즙 배박 제조 후 이를 진공건조시켜 제조한 배 진공건조 파우더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각질제거용 클렌저 제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배 건조(진공건조) 파우더, 비교예로서 배 건조 파우더 대신 호두껍질가루(비교예 1), 및 셀룰로오스 비드(비교예 2)를 사용하여 클렌저 제형의 각질제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정제수 외 다른 성분은 모두 동일 용량으로 포함하되, 스크럽 성분은 포함하지 않는 대조군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 성분, 및 조성비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클렌저 제형을 제조하였다.
전성분명(함량: 중량%)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대조군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7.00 7.00 7.00 7.00
다이소듐코코암포다이아세테이트 2.00 2.00 2.00 2.00
라우릴글루코사이드 3.00 3.00 3.00 3.00
다이소듐라우레스설포석시네이트 5.00 5.00 5.00 5.00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3.00 3.00 3.00 3.00
카프릴릴글라이콜 0.50 0.50 0.50 0.50
1,2-헥산다이올 0.60 0.60 0.60 0.60
소듐하이드록사이드 0.30 0.30 0.30 0.30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5 0.05 0.05 0.05
배 진공건조 파우더 1.00 - - -
호두껍질가루 - 1.00 - -
셀룰로오스 비드 - - 1.00 -
합계 100 100 100 100
실험예 3: 각질제거효능 임상평가
평균나이 27.2세의 건강한 성인 피험자 5명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를 통해 제조한 각질제거용 클렌저에 대하여 각질제거 효능 임상평가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여 문지른 뒤, 미온수로 헹구어 내어, 적용 전후의 피부 각질을 채취하였다. 피부 각질은 2cm x 2cm 크기의 테이프를 피부에 부착한 뒤 5회 눌렀다가 떼어내는 방법으로 채취하였다. 각질이 부착된 테이프를 C-cube(PIXIENCE, FRANCE)로 관찰하여 얻어진 이미지를 Image Pro Analyzer(Media Cybernetics, Inc., U.S.A)로 분석하여 각질면적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 건조 파우더를 포함하는 실시예 1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호두껍질가루를 포함하는 클렌저(비교예 1)를 사용했을 때보다 약 9배 우수한 각질개선 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셀룰로오스 비드를 포함하는 클렌저(비교예 2)와 스크럽 성분을 포함하지 않은 대조군의 경우에는 클렌저를 사용한 뒤 각질면적의 유의한 증감을 보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각질제거 효과가 우수하여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피부 자극여부 관능평가
평균나이 27.2세의 건강한 성인 피험자 5명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를 통해 제조한 각질제거용 클렌저에 대하여 피부 자극여부를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를 통해 제조한 조성물을 오른손 및 왼손 손등에 도포하여 20회 롤링한 뒤 자극여부를 비교하였다. 관능검사 점수는 자극여부를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nce)의 평가 항목에 대해 7점 척도(1=자극 없음, 4=자극 보통, 7=매우 자극 있음)를 이용하여 자극이 있을수록 높은 점수를 주도록 하여 평균값을 계산하였고, 상기 평균값이 0.00~1.50인 경우 무자극, 1.51~4.00인 경우 경자극, 4.01~5.50인 경우 중자극, 5.51~7.00인 경우 강자극으로 판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스크럽 성분 평균값(mean score) 판정
배 건조 파우더 포함(실시예 1) 3.2 경자극
호두껍질가루 포함(비교예 1) 4.6 중자극
셀룰로오스 비드 포함(비교예 2) 3.4 경자극
스크럽 성분 미포함(대조군) 1.4 무자극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럽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대조군은 자극이 거의 없어 무자극으로 판정되었다. 배 건조 파우더(실시예 1) 또는 셀룰로오스 비드를 포함하는 조성물(비교예 2) 역시 평균값이 각각 3.2, 3.4로 피부에 자극이 거의 없으며, 셀룰로오스 비드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비교하여 배 건조 파우더를 포함하는 조성물 사용 시 피부자극이 보다 적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호두껍질가루를 포함한 조성물(비교예 1)은 평균값이 4.6으로 피부자극정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각질제거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피부 자극이 매우 적어, 기능성과 사용감이 우수한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당 성분을 포함하는 각질제거용 클렌저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배 건조 파우더의 제조 시, 물 및 에탄올을 통해 배 잔사를 추출한 용액에 당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Sucrose colormetric/fluorometric 분석 키트 (BioVision, U.S.A.)를 이용하여 자당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물 및 에탄올 추출 용액에 착즙 배박 원물 100g 당 자당 1.27g 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추가적인 피부보습 효과를 위하여 당 성분을 포함하는 각질제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실시예 1의 조성 성분, 및 조성비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클렌저 제형으로 제조하되, 물 및 에탄올 추출 용액의 용매를 건조시켜서 분리한 자당 성분을 정제수에 녹인 뒤 해당 조성물을, 클렌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로 포함하여 제조하였다.
실험예 5: 피부 보습효과 평가
평균나이 27.2세의 건강한 성인 피험자 5명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당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클렌징 후 피부 보습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2를 통해 제조한 조성물을 오른손 및 왼손 손등에 도포하여 20회 롤링한 뒤 미온수로 씻어내고 도포 전 후의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여 보습효과를 평가하였다. 피부 수분량은 수분 분석 전문 광학장비 (Epsilo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포하지 않은 경우 피부의 수분도가 5.61에서 도포 30분 후에 5.38로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그에 반해,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조성물은 당 성분에 의한 보습효과로 피부 수분도가 5.53에서 10.03으로 약 82% 증가하여 각질제거 효과와 함께 우수한 보습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일 양상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배 건조 파우더를 포함함에 따라 기존에 사용되던 호두껍질 및 셀룰로오스 비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비해 우수한 각질개선 효능을 보이고, 적절한 표면 거칠기를 가져 피부 자극이 낮은 바 미세플라스틱이 주를 이루던 기존의 화장료 조성물을 대체하여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물 및 에탄올을 통해 배 잔사를 추출한 용액에서 분리한 자당 성분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각질 제거 후에도 피부에 보습 효과를 부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1)

1) 세척한 배를 착즙하여 배즙을 제거하는 단계;
2) 상기 1) 단계에서 수득한 배 잔사를 회수하여 물로 추출하는 단계;
3) 상기 2) 단계에서 수득한 추출 잔사를 회수하여 에탄올로 추출하는 단계;
4) 상기 3) 단계에서 수득한 추출 잔사를 회수하여 진공건조하는 단계; 및
5) 상기 4) 단계에서 건조한 잔사를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 건조 파우더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2) 단계 및 3) 단계의 추출은 상온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2) 단계 및 3) 단계에서 수득한 추출 잔사는 각각 물 또는 에탄올로 추출한 결과 얻어진 추출물을 여과하여 여액을 분리하고 남은 고형물인 것인 방법.
삭제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4) 단계의 진공건조는 18 내지 24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인, 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6) 분쇄된 배 잔사를 30 내지 60 메쉬(mesh) 그물망으로 분리하여 배 건조 파우더를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청구항 1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배 건조 파우더를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배 건조 파우더는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조성물.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당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당 성분은 자당 (sucrose)인 것인, 조성물.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당 성분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조성물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크럽 비누, 얼굴용 스크럽제, 또는 바디용 스크럽제인 것인, 조성물.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결 개선 및 피부 톤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인, 조성물.
KR1020200127391A 2020-09-29 2020-09-29 배 건조 파우더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배 건조 파우더 및 그 용도 KR102563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391A KR102563394B1 (ko) 2020-09-29 2020-09-29 배 건조 파우더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배 건조 파우더 및 그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391A KR102563394B1 (ko) 2020-09-29 2020-09-29 배 건조 파우더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배 건조 파우더 및 그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697A KR20220043697A (ko) 2022-04-05
KR102563394B1 true KR102563394B1 (ko) 2023-08-08

Family

ID=81182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391A KR102563394B1 (ko) 2020-09-29 2020-09-29 배 건조 파우더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배 건조 파우더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3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7998A (ko) 2022-06-03 2023-12-12 주식회사 루츠랩 미세플라스틱 대체용 석세포 입자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470B1 (ko) * 2017-12-19 2020-07-24 한국국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배가공부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296B1 (ko) * 2013-06-20 2015-03-27 전라남도 배석세포를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470B1 (ko) * 2017-12-19 2020-07-24 한국국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배가공부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묵은 때 벗겨주는 천연 스크럽 만들기(2016.12.08.)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697A (ko)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7564B1 (ko) 소금 및/또는 설탕을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KR102212787B1 (ko) 미백 기능의 필링제 조성물
CN106236613A (zh) 一种净润清透泡泡洁面乳及其制备方法
EP2907498A1 (en) Exfoliating cellulose beads and cosmetic uses thereof
JP4457303B2 (ja) グルコマンナンゲル粒子の製造法
KR102563394B1 (ko) 배 건조 파우더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배 건조 파우더 및 그 용도
JP2001163754A (ja) 老化防止剤及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KR101960286B1 (ko) 피부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1086B1 (ko) 점액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피부를 세정하는 방법
JPH0560808B2 (ko)
KR20190105383A (ko) 자가발포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EP4031100A1 (fr) Composition cosmétique ou dermatologique pour le nettoyage et/ou le démaquillage comprenant de l'acide succinique pour prévenir, réduire ou éliminer les imperfections cutanées, traiter des troubles cutanés et prévenir, traiter et lutter contre les états hyper séborrhéiques du cuir chevelu
CN107929106A (zh) 一种天然椰子油洁面乳及其制备方法
CN109350561B (zh) 一种稳定且有视觉化清洁功效的无泡沫洗面霜
TWI351433B (en) Hair cleansing composition
KR101894478B1 (ko)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을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스크럽 화장료용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스크럽 화장료용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
KR102252668B1 (ko) 탄력 개선 및 미백 기능의 필링제 조성물
KR101614764B1 (ko) 해마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해마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2246863B1 (ko) 변성 스타치를 포함하는 저자극, 피부각질 제거용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JPH04117318A (ja) 皮膚改善剤
WO2002051376A2 (de) Nanopartikel enthaltende peeling-zusammensetzungen
KR20130067617A (ko) 난각막을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
JP2002179528A (ja) ピーリング化粧剤およびピーリング石鹸
CN114588051B (zh) 一种氨基酸洁面泡泡及其制备方法
JP2858257B2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