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478B1 -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을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스크럽 화장료용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스크럽 화장료용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 - Google Patents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을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스크럽 화장료용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스크럽 화장료용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478B1
KR101894478B1 KR1020170053580A KR20170053580A KR101894478B1 KR 101894478 B1 KR101894478 B1 KR 101894478B1 KR 1020170053580 A KR1020170053580 A KR 1020170053580A KR 20170053580 A KR20170053580 A KR 20170053580A KR 101894478 B1 KR101894478 B1 KR 101894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scrub
cosmetic composition
egg shell
quail eg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석
박기문
김선희
양희진
박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균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균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균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70053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4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2Reproductive organs; Embryos, Eg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을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스크럽 화장료용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스크럽 화장료용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은 각질 제거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아 피부가 예민한 사람도 사용이 가능하며, 보습력이 높아 사용 후 피부가 당기는 현상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 후 피부톤이 밝아지고 피부가 맨들맨들해지는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의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은 폐기물로 버려지는 메추리알 껍질로부터 얻어지는 난각막을 이용하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을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스크럽 화장료용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스크럽 화장료용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Scrub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quail egg-shell membrane powder, manufacturing method of quail egg-shell membrane powder for scrub cosmetics, quail egg-shell membrane powder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을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스크럽 화장료용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스크럽 화장료용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에서부터 순서대로 표피, 진피, 피하지방 조직의 3개 층으로 크게 구분되며 자외선, 미생물 등 외부 환경과 직접 접하면서 인체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생화학적, 물리적으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중요한 조직이다.
생체의 방어기능을 하는 것은 상기 표피 중에서도 각질층이다. 상기 각질층은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지만 각질층이 지나치게 두꺼워지면 수분과 영양 공급을 막을 뿐만 아니라 피부 트러블의 원인이 된다. 또한, 각질을 제때 제거하지 않으면 모공을 막아 피지나 노폐물이 피부 밖으로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며, 잔주름이 늘어나고 피부탄력이 감소되어 노안의 주범이 될 수 있다.
현대 사회의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한 호르몬의 이상과 급작스런 외부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피부의 방어기제를 능가하는 대기 오염 물질이나 자외선 등의 영향으로 각질층의 각질이 정상적인 주기로 떨어져 나가지 못하거나 혹은 떨어져 나가는 주기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피부톤이 일정치 않게 되어 피부가 거칠고, 칙칙해 보이게 된다. 필링(peeling)은 각질층이 두꺼워져 있을 경우 누적된 각질을 인공적으로 박리시키는 것으로 피부의 신진대사를 빠르게 하고, 영양물질이 피부에 침투할 수 있도록 흡수력을 높여 피부 재생의 효과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며, 정상적인 각화현상을 유도하여 피부 노화를 막기 위해 실시한다. 물리적 필링 방법의 하나인 스크럽제를 통한 각질제거는 천연곡물을 이용하거나 제품화된 스크럽제를 이용함으로써 피부 손상이 적으면서도 집에서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스크럽은 크림이나 젤 상에 알갱이가 함유된 제품으로 마찰로서 죽은 세포를 제거하는 홈 케어를 위한 각질제거의 가장 대중적인 형태이다.
환경친화적이고 자연지향적인 추세에 따라 화장품에 사용되는 유효성분들도 화학물질 뿐만 아니라 동물 또는 식물 유래의 천연물이 그 유용성을 기반으로 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화장품에 배합되어 이용되고 있다. 천연 재료는 피부에 부작용이 적을 뿐 아니라, 천연 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치가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가치가 늘어나고 있다. 천연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는 추세와 더불어 화장품 사용과 소비량의 증가는 다양한 기능과 효능, 효과를 나타내는 제품에 대한 연구개발의 증대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천연 소재 중 계란의 구성성분인 난각막은 세포활성 및 콜라겐의 생성을 촉진해 피부 노화를 방지하고, 자외선에 의한 피부의 손상, 염증, 자극 등을 완화하여 면역 증강 작용 및 미생물 증식을 억제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무코다당류 등이 함유되어 있어 보습효과가 높다고 알려져 있다.
종래에, 이러한 달걀의 난각막 분쇄물 및 난각막 가수분해물의 혼합물을 이용한 비누 조성물이 있었으나, 상기 비누 조성물을 스크럽제로 이용하기에는 각질제거 효과가 충분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새로운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한 결과, 메추리알의 난각막 분쇄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각질 제거 및 보습 효과가 매우 우수하고, 피부 자극 정도가 매우 낮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10-1348167 B
본 발명은 각질 제거 및 보습 효과가 매우 우수하고, 피부 자극 정도가 매우 낮은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을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은 에멀젼, 젤, 폼, 바디워시, 파우더, 스크럽 샴푸, 마사지 크림 및 클렌징 크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메추리알 껍질을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건조된 껍질에서 난각막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난각막을 산처리하는 단계; 및 (D) 분쇄단계;를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용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A) 단계에서의 건조는 60 내지 120 ℃에서 0.5 내지 4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C) 단계에서의 산처리는 1 내지 15%(w/w) 유기산 수용액에 2 내지 8 시간 동안 침지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기산은 포름산, 아세트산, 뷰티르산, 팔미트산, 옥살산, 안식향산, 살리실산, 구연산, 스테아르산 및 요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의 평균 입자 크기는 200 내지 600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럽 화장료용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을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은 각질 제거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아 피부가 예민한 사람도 사용이 가능하며, 보습력이 높아 사용 후 피부가 당기는 현상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을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 후 피부톤이 밝아지고 피부가 맨들맨들해지는 피부결 개선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의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을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은 폐기물로 버려지는 메추리알 껍질로부터 얻어지는 난각막을 이용하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난각막의 표면을 촬영한 사진으로써, 구체적으로는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메추리알 난각막의 표면, 도 1의 b는 일반 메추리알 난각막의 표면, 도 1의 c는 일반 달걀 난각막의 표면을 전자현미경으로 각각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 후의 피부를 디지털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각질 제거 효과, 피부결 개선 효과, 미백 효과 및 보습 효과 등이 우수한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3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이 상기 하한치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분쇄물의 첨가로 인한 각질제거능 및 보습력 등의 효과가 미미해질 우려가 있고, 상기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이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물성이 되직해지고 혼합이 어려워지며, 발림성이 나빠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 이외에 보습제, 첨가제, 부형제, 유화제, 안정화제, 분산제, 점도조절제, 산화방지제, 오일, 향료, 계면활성제, 및 수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은 에멀젼, 젤, 폼, 바디워시, 파우더, 스크럽 샴푸, 마사지 크림 및 클렌징 크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은 (A) 메추리알 껍질을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건조된 껍질에서 난각막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난각막을 산처리하는 단계; 및 (D) 분쇄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의 제조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A) 건조단계
먼저, 메추리알의 껍질을 건조한다. 이때, 상기 메추리알 껍질은 회전시키면서 건조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단계는 60 내지 1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 ℃,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 ℃에서 0.5 내지 4 시간 동안,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시간, 가장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메추리알 껍질을 건조하는 경우 상기 껍질의 외막과 내막이 분리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알 껍질의 내막을 "난각막"이라고 한다.
이때, 건조 온도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메추리알 껍질을 건조하면서 난각의 외막과 내막을 분리시키는 효과가 미미해질 우려가 있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메추리알 난각막의 단백질이 변성되어 그 색이 붉게 변하는 현상이 나타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건조 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메추리알 껍질을 건조하면서 난각의 외막과 내막을 분리시키는 효과가 미미해질 우려가 있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메추리알 난각막의 단백질이 변성되어 그 색이 붉게 변하는 현상이 나타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B) 메추리알 난각막 수득단계
다음으로, 상기 (A)의 건조단계에서 분리된 메추리알 껍질의 외막을 제거한 후, 메추리알 껍질의 내막(난각막)만을 수득한다.
(C) 난각막 산처리단계
다음으로, 상기 수득한 메추리알 난각막을 산처리한다. 상기 산처리는 1 내지 15%(w/w),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w/w), 가장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w/w) 유기산 수용액에 2 내지 8 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 시간, 가장 바람직하게는 4 내지 5 시간 동안 침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추리알 난각막을 산처리하는 경우 상기 (A)의 건조단계에서 미처 분리되지 않은 난각 입자나 분진 형태로 묻어 있는 난각 입자를 말끔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건의 산처리 과정을 거치는 경우 난각막의 표면이 개질되어 각각의 미세 섬유에 작은 돌기들이 형성됨으로써 더욱 넓은 표면적을 갖게 되며(도 1 참조), 이로 인해 난각막의 스크럽 효과 및 각질 제거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유기산 수용액의 농도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잔여 난각 입자가 제거되지 못하며 난각막 표면 개질 효과가 미미해질 우려가 있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난각막이 과도하게 거칠어지는 현상이 나타나 피부에 자극을 줄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침지 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잔여 난각 입자가 제거되지 못하며 난각막 표면 개질 효과가 미미해질 우려가 있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난각막이 과도하게 거칠어지는 현상이 나타나 피부에 자극을 줄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유기산은 포름산, 아세트산, 뷰티르산, 팔미트산, 옥살산, 안식향산, 살리실산, 구연산, 스테아르산 및 요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아세트산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D) 분쇄단계
다음으로, 상기 유기산 수용액으로 처리된 메추리알 난각막을 분쇄한다. 이때, 상기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의 평균 입자 크기는 200 내지 6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500 ㎛, 가장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450 ㎛일 수 있다.
상기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의 평균 입자 크기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사용 후 잘 제거되지 않는 분쇄물의 입자로 인해 피부 트러블이 유발되거나 스크럽 효과가 미미해질 수 있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에 미세한 상처를 내거나 피부가 맨들맨들해지는 피부결 개선 효과가 미미해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유기산 수용액 처리단계와 분쇄단계 사이에 ① 상기 유기산 수용액으로 처리된 메추리알 난각막을, 미처 제거되지 못한 알 껍질 또는 이외의 불순물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척하는 세척단계, ② 110 내지 130 ℃,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25 ℃에서 고압멸균하는 멸균단계, ③ 40 내지 60 ℃에서의 열풍건조 단계 등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은 섬유구조 하나하나에 작은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어, 아무 처리를 하지 않고 제조한 일반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에 비해 더욱 넓은 표면적을 가지며(도 1 참조), 다른 일반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 또는 달걀 난각막 분쇄물에 비해 각질 제거 효과, 피부결 개선 효과, 미백 효과 및 보습 효과 등이 더욱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
1.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의 제조
먼저, (A) 메추리알 껍질을 75 ℃에서 2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B)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외막과 내막이 분리된 난각(껍질)으로부터 메추리알 난각막(난각 내막)만을 수득하였다.
(C) 수득한 난각막은 상기 난각막 중량에 대하여 15 배(중량)의 5%(w/w) 아세트산 수용액에 5시간 동안 침지시켰다.
다음으로, ① 상기 침지된 난각막을 세척한 후 ② 121 ℃에서 고압멸균 후 ③ 50 ℃에서 30분간 열풍건조하였다. 상기 건조처리가 끝난 난각막의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S-3000N, HITACHI INSTRUMENTS, JAPAN)을 이용하여 촬영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D) 이후, 상기 난각막을 평균 입자 크기 400 ㎛로 분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을 제조하였다.
2. 세안제 베이스 제조
라우린산 7중량%, 미리스틴산 15중량%, 스테아린산 6중량%,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6중량%, 페녹시에탄올 0.5중량%, 1,2-헥산디올 1중량%, 정제수 64.5중량%를 혼합 및 균질화하여 세안제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3.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1.에서 제조된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 20중량%와 2.에서 제조된 세안제 베이스 80중량%를 혼합한 후 충분하게 균질화하여 본 발명의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일반 메추리알 난각막의 분쇄물
상기 실시예 1의 1.에서 제조된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 대신 동일 입자크기의 일반 메추리알 난각막((A)~(C) 무처리군)의 분쇄물을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의 입자크기가 100 ㎛인 경우
상기 실시예 1의 1.에서 제조된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의 평균 입자 크기를 400 ㎛ 대신 100 ㎛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의 입자크기가 700 ㎛인 경우
상기 실시예 1의 1.에서 제조된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의 평균 입자 크기를 400 ㎛ 대신 700 ㎛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비교예 1. 세안제 베이스만 포함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은 포함하지 않고, 상기 실시예 1의 2.에서 제조된 세안제 베이스만을 100중량%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일반 달걀 난각막 분쇄물 포함
상기 실시예 1의 1.에서 제조된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 대신 동일 입자크기의 일반 달걀 난각막((A)~(C) 무처리군)의 분쇄물을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메추리알 대신 달걀의 껍질을 이용
상기 실시예 1의 1.에서 메추리알 껍질 대신 달걀 껍질을 이용하여 달걀 난각막 분쇄물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C) 아세트산 처리 단계를 거치지 않는 경우
상기 실시예 1의 1.에서 (C) 아세트산 처리 단계를 거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A) 건조단계를 거치지 않는 경우
상기 실시예 1의 1.에서 (A) 건조단계를 거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메추리알 난각막 가수분해물 이용
메추리알 껍질에서 얻어진 난각막을 건조한 후 건조된 난각막을 칭량하여 100g당 증류수, 수산화 나트륨(NaOH) 및 에탄올(EtOH)을 각각 첨가하였고 70 ℃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 후 아세트산을 첨가하여 중화시키고, 활성탄을 첨가하여 20분간 교반하면서 탈색시켰다. 탈색된 물질을 탈염시키고 단백질 분자량의 크기가 3 내지 20 kDa 부분을 분리하여 감압 농축 후 동결건조함으로써 난각막 가수분해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의 1.에서 제조된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 대신 상기 제조한 메추리알 난각막 가수분해물을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달걀 난각막 가수분해물 이용
메추리알 껍질 대신 달걀 껍질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안정성 평가(인체 폐쇄첩포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실시하기 위하여 건강한 피험자 20명을 대상으로 인체 폐쇄첩포 시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시험은 시험실시 전에 대상자에게 충분히 설명한 후 동의를 얻어 진행하였으며, '화장품법'의 시험방법을 참고하여 시행하였다.
먼저, 첩포 부위를 70% 에탄올로 닦고 건조시킨 후 상기 실시예의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을 핀챔버에 0.2g 가해 좌측 상완의 안쪽에 24시간 부착하였다. 핀챔버와 피부의 잔여물을 제거한 후 2시간 후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수포발생, 홍반 및 알러지 등의 발생여부를 전문가 2인이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ICDRG) 규격에 따라 무자극(0 점), 희미한 또는 가까스로 감지할 수 있는 가벼운 홍반(0.5 점),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부종 및 구진(1 점), 뚜렷한 홍반, 구진 및 소수포(2 점), 심한 홍반, 대수포 및 가피현상(3 점)으로 나누어 관찰을 진행하였으며, 홍반량은 피부측정기(Cutometer MPA580, 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통해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안전성을 조사하였다. 상기 조사 또는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도포 전 홍반량
(Erythem value)
도포 후 홍반량
(Erythem value)
육안관찰
(ICDRG score)
실시예 1 287.18 281.15 0
실시예 2 285.26 279.57 0
실시예 3 286.35 285.26 0
실시예 4 288.17 287.43 0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때 홍반, 부종, 수포, 알러지 등은 나타나지 않았다. 홍반량을 측정하는 Erythem value 또한 도포 전 후의 수치 변화가 미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에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사용 전 후의 피부 특성 비교
건강한 20~40대 남, 여 13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10명씩 선정하여 2주간 사용하게 하였다. 매일 1회 상기 조성물을 5 ㎖씩 손에 덜어낸 후 10초간 문질러 거품을 생성시키고, 상기 거품으로 얼굴을 20초간 20회 문지르게 한 후 흐르는 물로 헹구었으며, 세안시 손등도 같이 씻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피부측정기(Cutometer MPA580, 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2주간 사용 전 후의 피부의 거칠기, 수분 함유량, 수분 증발량, pH, 멜라닌 수치, 홍반량을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피부거칠기(Frictiometer value) 수분함유량(Corneometer value) 수분증발량(Tewameter value) pH 멜라닌
(Melanin value)
홍반
(erythem value)
실시예 1 사용 전 202.34 47.25 18.34 5.54 147.34 361.33
사용 2주후 140.55 57.22 17.70 5.48 134.30 350.45
증감률(%) -30.54 21.1 -4.13 -1.08 -8.85 -3.01
실시예 2 사용 전 203.12 48.33 18.45 5.55 150.73 359.24
사용 2주후 149.17 57.14 17.87 5.49 140.0 349.22
증감률(%) -26.56 18.23 -4.05 -1.07 -7.12 -2.79
실시예 3 사용 전 205.66 49.12 19.10 5.57 150.69 358.64
사용 2주후 156.61 59.49 18.34 5.51 142.72 348.49
증감률(%) -23.85 21.12 -3.99 -1.10 -5.29 -2.83
실시예 4 사용 전 204.97 48.95 19.12 5.58 151.25 357.98
사용 2주후 154.79 59.25 18.35 5.52 142.00 361.99
증감률(%) -24.48 21.04 -4.02 -1.09 -6.12 1.12
비교예 1 사용 전 190.55 49.84 19.55 5.73 155.25 368.11
사용 2주후 174.25 58.57 19.47 5.65 145.34 360.18
증감률(%) -8.55 17.52 -0.41 -1.40 -6.38 -2.15
비교예 2 사용 전 209.24 49.55 20.18 5.61 151.48 350.18
사용 2주후 172.14 58.24 19.58 5.55 148.11 358.24
증감률(%) -17.73 17.54 -2.97 -1.07 -2.22 2.30
비교예 3 사용 전 200.19 48.12 19.13 5.64 149.89 360.50
사용 2주후 150.26 57.52 18.50 5.58 143.06 356.64
증감률(%) -24.94 19.54 -3.34 -1.09 -4.56 -1.07
비교예 4 사용 전 195.49 48.58 19.08 5.63 149.65 360.37
사용 2주후 155.53 58.09 18.38 5.57 141.93 355.51
증감률(%) -20.44 19.58 -3.68 -1.11 -5.16 -1.35
비교예 5 사용 전 194.68 47.96 18.74 5.59 152.61 357.58
사용 2주후 150.94 57.52 18.13 5.53 145.07 353.83
증감률(%) -22.47 19.94 -3.24 -1.13 -4.94 -1.05
비교예 6 사용 전 205.52 48.55 19.47 5.65 150.56 359.38
사용 2주후 160.02 57.78 18.75 5.59 144.06 354.89
증감률(%) -22.14 19.02 -3.71 -1.15 -4.32 -1.25
비교예 7 사용 전 202.13 48.32 18.65 5.69 153.98 357.51
사용 2주후 154.25 57.83 17.93 5.63 145.50 352.33
증감률(%) -23.69 19.68 -3.85 -1.13 -5.51 -1.45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에 비하여 각질제거 효과 및 피부결 개선 효과(피부거칠기), 보습력(수분함유량, 수분증발량), 미백효 과(멜라닌 수치) 등이 모두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은 각질제거 효과 및 피부결 개선 효과(피부거칠기)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의 효과를 더욱 상세히 비교하기 위하여 디지털 현미경(FXC500DE, FIXCOPE, KOREA)을 이용해 사용 전 후의 손등 사진을 촬영하였다(도 2 참조). 도 2a 내지 도 2c는 스트럽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기 전의 손등 사진이고, 도 2d는 실시예 1을 2주간 사용한 후의 손등 사진이며, 도 2e는 비교예 1을 2주간 사용한 후의 손등 사진이고, 도 2f는 비교예 2를 2주간 사용한 후의 손등 사진이다. 상기 사진들을 살펴보면,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2주간 사용한 경우 피부결이 현저히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관능평가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 따라 제조한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을 2주 동안 사용한 후 관능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관능평가는 관능평가에 대한 훈련을 받은 관능요원 15명을 패널로 선발하였고, 발림성, 도포 후 느낌, 제거 용이성, 보습력, 각질 제거 후 부드러움 및 전체적 기호도 등의 특성을 5점 척도법(5=매우좋음; 4=좋음; 3=보통; 2=나쁨; 1=매우나쁨)에 준하여 기호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때 통계처리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다중범위 검정법(DMR-test; Duncan multiple range test)으로 유의수준 p<0.05에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구분 발림성 도포후 느낌 제거 용이성 보습력 각질제거 후 부드러움 전체적
기호도
실시예 1 4.15 3.87 3.75 4.14 4.34 4.23
실시예 2 4.12 3.44 3.61 4.05 4.21 4.10
실시예 3 4.19 3.80 3.55 4.11 4.25 4.13
실시예 4 4.05 3.79 3.66 4.09 4.26 4.15
비교예 1 3.85 3.08 3.55 3.05 3.55 3.57
비교예 2 4.08 3.60 2.94 3.48 3.74 3.66
비교예 3 4.07 3.51 3.51 3.87 4.11 3.92
비교예 4 3.95 3.23 3.54 3.76 3.89 3.87
비교예 5 4.02 3.55 3.52 3.85 3.79 3.88
비교예 6 4.01 3.56 3.41 3.89 3.78 3.85
비교예 7 4.04 3.72 3.62 4.00 3.91 3.97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에 비하여 발림성, 도포후 느낌, 제거 용이성, 보습력, 각질제거 후 부드러움 및 전체적 기호도가 모두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은 발림성, 보습력 및 각질제거 후 부드러움에 대한 만족도가 더욱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9)

  1. 유기산 처리한 난각막 분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난각막 분쇄물은 상기 난각막을 구성하는 미세섬유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평균 입자 크기가 200 내지 6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3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은 에멀젼, 젤, 폼, 바디워시, 파우더, 스크럽 샴푸, 마사지 크림 및 클렌징 크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4. (A) 메추리알 껍질을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건조된 껍질에서 난각막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난각막을 1 내지 15%(w/w) 유기산 수용액에 2 내지 8 시간 동안 침지시켜 산처리하는 단계; 및
    (D) 상기 산처리한 난각막을 평균 입자 크기 200 내지 600 ㎛로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용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의 건조는 60 내지 120 ℃에서 0.5 내지 4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럽 화장료용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의 제조방법.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은 포름산, 아세트산, 뷰티르산, 팔미트산, 옥살산, 안식향산, 살리실산, 구연산, 스테아르산 및 요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럽 화장료용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의 제조방법.
  8. 삭제
  9. 제4항,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럽 화장료용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
KR1020170053580A 2017-04-26 2017-04-26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을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스크럽 화장료용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스크럽 화장료용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 KR101894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580A KR101894478B1 (ko) 2017-04-26 2017-04-26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을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스크럽 화장료용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스크럽 화장료용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580A KR101894478B1 (ko) 2017-04-26 2017-04-26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을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스크럽 화장료용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스크럽 화장료용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4478B1 true KR101894478B1 (ko) 2018-09-04

Family

ID=63598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580A KR101894478B1 (ko) 2017-04-26 2017-04-26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을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스크럽 화장료용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스크럽 화장료용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4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1747A1 (ko) * 2020-06-10 2021-12-1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적합성이 향상된 난각막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료용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56129B1 (ko) * 2021-06-29 2022-02-09 한성옥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0808A (ja) * 1989-12-21 1991-08-20 Q P Corp 化粧料
JPH09143275A (ja) * 1995-11-21 1997-06-03 Ishihara Chem Co Ltd 卵殻膜微細粉末、並びにその吸油能を利用した各種機能剤
KR101348167B1 (ko) 2011-12-14 2014-01-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난각막을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
KR20140118645A (ko) * 2013-03-27 2014-10-08 고쿠리츠다이가쿠호우진 도쿄다이가쿠 난각막성분을 포함한 간보호제 및 이 간보호제를 이용한 의약조성물, 식품첨가물 및 식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0808A (ja) * 1989-12-21 1991-08-20 Q P Corp 化粧料
JPH09143275A (ja) * 1995-11-21 1997-06-03 Ishihara Chem Co Ltd 卵殻膜微細粉末、並びにその吸油能を利用した各種機能剤
KR101348167B1 (ko) 2011-12-14 2014-01-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난각막을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
KR20140118645A (ko) * 2013-03-27 2014-10-08 고쿠리츠다이가쿠호우진 도쿄다이가쿠 난각막성분을 포함한 간보호제 및 이 간보호제를 이용한 의약조성물, 식품첨가물 및 식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1747A1 (ko) * 2020-06-10 2021-12-1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적합성이 향상된 난각막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료용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53474A (ko) * 2020-06-10 2021-12-1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적합성이 향상된 난각막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료용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21128B1 (ko) * 2020-06-10 2022-07-1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적합성이 향상된 난각막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료용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56129B1 (ko) * 2021-06-29 2022-02-09 한성옥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37940B (zh) 一种沐浴露
KR101506296B1 (ko) 배석세포를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KR101737446B1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08324679A (zh) 无防腐卸妆排浊露组合物及制备方法
CN105997620A (zh) 一种含中草药成分的卸妆油及其制备方法
KR101894478B1 (ko)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을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스크럽 화장료용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스크럽 화장료용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
CN111631965A (zh) 一种植物来源的具有清洁和卸妆功能的面膜
CN106727132A (zh) 一种温和润肤洁面乳及其制备方法
RU2602475C1 (ru) Косметический скраб для тела
CN107137306A (zh) 一种纳米银净化洗卸二合一溶液
KR101348167B1 (ko) 난각막을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
CN108485851B (zh) 一种茶籽手工皂及制作该茶籽手工皂的工艺
KR102015710B1 (ko) 스피큘을 함유하는 세안제 조성물
RU2599492C1 (ru) Хвойно-угольный скраб для очищения кожи
CN110664687B (zh) 护肤型净颜卸妆膏及其制备方法
CN113768862A (zh) 抗皱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157493B (zh) 一种唇部磨砂膏及其制备方法
KR20090008544A (ko) 알긴산 염 비드를 함유하는 스크럽 조성물
KR20220043697A (ko) 배 건조 파우더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배 건조 파우더 및 그 용도
KR20100003955A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RU2799443C2 (ru) Средство для очищения и ухода за волосами и кожей волосистой части головы
CN112451463B (zh) 一种抗皮肤光老化的护肤组合物
KR20140026753A (ko) 돼지피부 유래의 콜라겐 성분을 주요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151043B1 (ko) 초임계 추출법으로 제조된 모링가 시드 박(seed bark)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08703B1 (ko)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