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129B1 -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 Google Patents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129B1
KR102356129B1 KR1020210084575A KR20210084575A KR102356129B1 KR 102356129 B1 KR102356129 B1 KR 102356129B1 KR 1020210084575 A KR1020210084575 A KR 1020210084575A KR 20210084575 A KR20210084575 A KR 20210084575A KR 102356129 B1 KR102356129 B1 KR 102356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ncrete structure
repair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옥
Original Assignee
한성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옥 filed Critical 한성옥
Priority to KR1020210084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1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1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07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with masses bonded by inorganic cements
    • C04B41/5079Portland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9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re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598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wast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66Halogenated compounds, e.g. perfluor-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8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41/4803Polysaccharides, e.g. 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8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41/4857Other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41/487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9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arbon-to-metal or carbon-to-silicon linkages ; Organo-clay compounds; Organo-silicates, i.e. ortho- or polysilicic acid esters ; Organo-phosphorus compounds; Organo-inorganic complexes
    • C04B41/4905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arbon-to-metal or carbon-to-silicon linkages ; Organo-clay compounds; Organo-silicates, i.e. ortho- or polysilicic acid esters ; Organo-phosphorus compounds; Organo-inorganic complexe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02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with ceramic materials
    • C04B41/5037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02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with ceramic materials
    • C04B41/5048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072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with oxides or hydroxides not covered by C04B41/5025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07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with masses bonded by inorganic cements
    • C04B41/508Aluminous cements
    • C04B41/5081Calcium alumino sulfate c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골재 5 내지 90 중량%, 결합재 5 내지 90 중량%, 혼화재 0.5 내지 25 중량% 및 물 1 내지 3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재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100 중량부, 고로슬래그 미분말 10 내지 30 중량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10 내지 30 중량부, 마그네슘-아미노점토 1 내지 10 중량부, 인산지르코늄 1 내지 10 중량부, 난각막 미분말 1 내지 10 중량부 및 수산화바륨티타네이트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혼화재는 스티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10 내지 30 중량부, 실리콘-(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10 내지 30 중량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아진 티올 1 내지 10 중량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0.1 내지 5 중량부, 클로로페네신 0.1 내지 5 중량부 및 피탄트리올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열악한 환경에서의 우수한 경화성능, 고유동성 및 고점성을 가져, 시공성 및 친환경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열악한 환경에서도 강도가 우수하고, 우수한 균열저항성 및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22005715534-pat00009

상기 식에서 R은 -SH, -NHR1 또는 -NR2R3이고,
상기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0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이다.

Description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mortar composition for repairing and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 exposed under highly wet environment and method of repairing and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악한 환경에서의 우수한 경화성능, 고유동성 및 고점성을 가져, 시공성 및 친환경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열악한 환경에서도 강도가 우수하고, 우수한 균열저항성 및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이 장기간 대기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와 산성비, 자동차 배기가스 중의 아황산 성분 등에 의하여, 화학적 부식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화학적 부식은 시간이 지날수록 콘크리트 구조물을 열화시켜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고,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및 철근의 인장강도가 점차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균열 부위를 통해 노출된 콘크리트는 염소이온 침투, 동결융해, 중성화 현상이 진행되어 철근부식과 함께 심한 경우에는 구조물이 붕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해양 콘크리트, 화학공장, 식품공장, 축사 바닥, 폐수처리장, 정수장이나 배수지, 복개 구조물, 교량 측구, 중앙분리벽, 맨홀, 옹벽 등과 같은 외부로 확인할 수 있는 지상 구조물 뿐만 아니라, 이들의 지하매설 시설물이나 수중구조물, 지하구조물(지하 암거, 지하 공동구 등), 화학적 부식을 많이 받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나 발전소 및 화학시설물, 하수도 관련 하수관거 및 하수암거 등과 같이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에는 구조적으로 가장 중요한 기초 부분이거나 집중하중을 받는 경우가 많고, 쇄굴, 충격 또는 기타 사유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기 쉬운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물 또는 화학성분이 상기한 균열부위로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고, 내부 철근을 부식시킴으로써 콘크리트가 쉽게 파손될 수 있다. 또한,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에는 생활하수 등에 포함된 유기물과 세균의 반응에 의한 황산이온, 온천지대 또는 산성비 등에 의한 산성물질, 해양환경에서의 염해, 폐수 내의 산성가스, 직접적인 산성폐수, 물의 정화를 위한 염소 또는 오존 등과의 직접 접촉에 의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화학적 부식 및 노후화가 더 빨리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하여, 많은 예산을 들여 진단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이 열화되어 균열이 발생하면 조속하게 상기 열화된 부위를 보수보강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콘크리트 구조물이 열악한 환경에 건설된 경우에는 이러한 진단 및 보수보강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수보강하기 위한 모르타르 조성물은 물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은 이러한 방식으로도 타설 초기 물과 접촉하는 것을 막기 어렵고, 타설 후에는 경화 및 접착불량, 부착강도의 심각한 저하 현상 등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물과의 접촉에 의한 재료분리 및 환경오염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우수한 경화성능, 휨강도, 압축강도, 부착강도 등의 우수한 강도 및 내구성을 구현함으로써,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모르타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3606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2192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2477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열악한 환경에서의 우수한 경화성능, 우수한 강도 및 내구성을 구현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는 잔골재 5 내지 90 중량%, 결합재 5 내지 90 중량%, 혼화재 0.5 내지 25 중량% 및 물 1 내지 3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재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100 중량부, 고로슬래그 미분말 10 내지 30 중량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10 내지 30 중량부, 마그네슘-아미노점토 1 내지 10 중량부, 인산지르코늄 1 내지 10 중량부, 난각막 미분말 1 내지 10 중량부 및 수산화바륨티타네이트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혼화재는 스티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10 내지 30 중량부, 실리콘-(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10 내지 30 중량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아진 티올 1 내지 10 중량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0.1 내지 5 중량부, 클로로페네신 0.1 내지 5 중량부 및 피탄트리올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2005715534-pat00001
상기 식에서 R은 -SH, -NHR1 또는 -NR2R3이고,
상기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0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이다.
상기 마그네슘-아미노점토는 염화마그네슘수화물(MgCl2·6H2O)을 에탄올 용매에 용해시키고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을 첨가하되, 상기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의 규소(Si)에 대해 상기 염화마그네슘수화물의 마그네슘(Mg)을 1: 1 내지 1.5 몰 비율로 첨가하여 침전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침전물을 원심분리, 건조 및 분쇄하여 마그네슘-아미노점토 분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난각막 미분말은 계란 껍질을 건조한 후, 상기 건조된 계란 껍질에서 난각막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난각막을 1.5 내지 5배 중량의 1 내지 15 중량% 농도 유기산 수용액에 2 내지 8 시간 동안 침지시켜 산처리하는 단계; 상기 산처리가 완료된 난각막 침지액 100 중량부에 벤조산나트륨 0.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한 후, 수분함량 20 내지 35 %의 혼합반죽을 만드는 단계; 상기 혼합반죽을 자외선 조사장치에 넣고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자외선 조사장치의 내부에서 자외선에 노출된 혼합반죽을 수분함량 15 % 이하로 건조한 후, 평균 입자 크기 200 내지 600 μm로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반죽을 만드는 단계는 상기 산처리가 완료된 난각막 침지액 100 중량부에 벤조산나트륨 0.1 내지 10 중량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실란커플링제 0.05 내지 5 중량부 및 히노키티올 0.05 내지 5 중량부를 더 혼합한 후, 수분함량 20 내지 35 %의 혼합반죽을 만드는 단계인 것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22005715534-pat00002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 1 내지 10의 1가 탄화수소기이고, X는 탄소수 1 내지 4의 1가 탄화수소기이고, n은 2 또는 3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레이탄스, 불순물 또는 열화부위를 그라인더, 평삭기, 숏블라스터 또는 핸드 워터젯으로 치핑하여 제거하고 흡입장치를 이용하여 바탕면을 정리하는 단계; 상기 정리된 바탕면과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과의 부착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정리된 바탕면에 프라이머 또는 블루밍 처리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 또는 블루밍 처리된 표면에, 상기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을 타설하여 표면을 마무리하는 단계; 상기 마무리된 표면에 표면보호 및 강화 코팅제를 도포하여 표면을 마감하는 단계; 및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에 의하면, 열악한 환경에서의 우수한 경화성능을 갖고, 고유동성 및 고점성을 가져, 재료분리가 억제되어 재료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셀프레벨링성이 우수하여, 연속타설 시공 및 수질 오염 방지 등 시공성 및 친환경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열악한 환경에서도 휨강도, 압축강도, 부착강도 등의 강도가 우수하고, 우수한 균열저항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매우 우수한 내염해성, 중성화 저항성, 방수성, 내산성, 내알칼리성, 내마모성, 동결융해저항성, 탈취성, 항균성, 내오염성, 자기보수성 등의 내구성을 제공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화학적 부식 및 노후화를 방지할 수 있는 바, 콘크리트 구조물의 공용기간 증가, 유지보수비용 절감 및 시공성 향상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해양 콘크리트, 화학공장, 식품공장, 축사 바닥, 폐수처리장, 정수장이나 배수지, 복개 구조물, 교량 측구, 중앙분리벽, 맨홀, 옹벽 등과 같은 외부로 확인할 수 있는 지상 구조물 뿐만 아니라, 이들의 지하매설 시설물이나 수중구조물, 지하구조물(지하 암거, 지하 공동구 등), 화학적 부식을 많이 받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나 발전소 및 화학시설물, 하수도 관련 하수관거 및 하수암거 등과 같이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이라 함은 해양 콘크리트, 화학공장, 식품공장, 축사 바닥, 폐수처리장, 정수장이나 배수지, 복개 구조물, 교량 측구, 중앙분리벽, 맨홀, 옹벽 등과 같은 외부로 확인할 수 있는 지상 구조물 뿐만 아니라, 이들의 지하매설 시설물이나 수중구조물, 지하구조물(지하 암거, 지하 공동구 등), 화학적 부식을 많이 받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나 발전소 및 화학시설물, 하수도 관련 하수관거 및 하수암거 등과 같이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는 잔골재 5 내지 90 중량%, 결합재 5 내지 90 중량%, 혼화재 0.5 내지 25 중량% 및 물 1 내지 3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재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100 중량부, 고로슬래그 미분말 10 내지 30 중량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10 내지 30 중량부, 마그네슘-아미노점토 1 내지 10 중량부, 인산지르코늄 1 내지 10 중량부, 난각막 미분말 1 내지 10 중량부 및 수산화바륨티타네이트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혼화재는 스티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10 내지 30 중량부, 실리콘-(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10 내지 30 중량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아진 티올 1 내지 10 중량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0.1 내지 5 중량부, 클로로페네신 0.1 내지 5 중량부 및 피탄트리올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2005715534-pat00003
상기 식에서 R은 -SH, -NHR1 또는 -NR2R3이고,
상기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0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에 의하면, 열악한 환경에서의 우수한 경화성능을 갖고, 고유동성 및 고점성을 가져, 재료분리가 억제되어 재료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셀프레벨링성이 우수하여, 연속타설 시공 및 수질 오염 방지 등 시공성 및 친환경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열악한 환경에서도 휨강도, 압축강도, 부착강도 등의 강도가 우수하고, 우수한 균열저항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매우 우수한 내염해성, 중성화 저항성, 방수성, 내산성, 내알칼리성, 내마모성, 동결융해저항성, 탈취성, 항균성, 내오염성, 자기보수성 등의 내구성을 제공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화학적 부식 및 노후화를 방지할 수 있는 바, 콘크리트 구조물의 공용기간 증가, 유지보수비용 절감 및 시공성 향상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은 잔골재 5 내지 90 중량%, 결합재 5 내지 90 중량%, 혼화재 0.5 내지 25 중량% 및 물 1 내지 35 중량%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골재는 잔골재와 굵은골재로 구분되며, 굵은골재는 평균입경 5㎜를 초과하는 골재를 의미하고,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잔골재라 함은 굵은골재와 대비하여 평균입경 5㎜ 이하의 골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상기 잔골재는 본 발명의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에 대하여, 5 내지 90 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상기 잔골재는 실리카질 규사 60 내지 90 중량% 및 부석분말 1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유동성, 강도, 내마모성, 내화성, 단열성, 내산성 등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실리카질 규사는 평균입경이 0.01 내지 2 mm인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우수한 유동성, 강도, 내마모성 등의 내구성을 매우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실리카질 규사의 평균입경이 너무 큰 경우에는 유동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너무 작은 경우에는 작업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실리카질 규사는 상기한 개선효과를 고려하여, 상기 잔골재에 대하여 60 내지 9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석분말은 화산활동으로 생성된 부석을 분쇄하여 분말화한 것으로, 평균입경이 50 내지 100 μm인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우수한 유동성, 내화성, 단열성 및 내산성 등의 내구성을 매우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부석분말은 상기한 개선효과를 고려하여, 상기 잔골재에 대하여 10 내지 4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결합재는 열악한 환경에서의 우수한 경화성능, 고유동성 및 고점성을 제공하여, 재료분리가 억제되어 재료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우수한 셀프레벨링성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열악한 환경에서도 휨강도, 압축강도, 부착강도 등의 강도가 우수하고, 우수한 균열저항성을 제공하며, 내마모성 및 탈취, 항균성능, 내수성, 내산 및 내염해성 등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결합재는 본 발명의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에 대하여, 5 내지 90 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재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100 중량부, 고로슬래그 미분말 10 내지 30 중량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10 내지 30 중량부, 마그네슘-아미노점토 1 내지 10 중량부, 인산지르코늄 1 내지 10 중량부, 난각막 미분말 1 내지 10 중량부 및 수산화바륨티타네이트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는 KS에 규정된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결합재를 구성하는 다른 성분들의 함량은 상기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
상기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잠재 수경성 특성, 장기 강도 발현 및 내구성 증진을 위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철강 산업 부산물로서 주성분이 CaO와 SiO2 등으로, 시멘트와 그 조성이 유사하면서도 CO2를 발생시키지 않아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용광로 제선과정 중에서 발생되는 것으로서, 슬래그 배출 시에 고온 용융 상태의 고로 슬래그를 살수 급냉함으로써, 평균입경 5 mm 미만의 비결정질 알갱이 상태로 형성되는 수재슬래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재슬래그를 분말화하여, 분말도가 4,500 내지 8,000 ㎠/g인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상기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초기강도가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는 초기 강도 발현 및 수축 방지 효과를 매우 개선함으로써, 열악한 환경에서도 빠른 시간 내에 경화되어 시공시간이 짧으면서도 시공의 용이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고, 재료분리가 억제되어 재료손실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는 상기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경화속도가 지나치게 빨라져 작업성이 저하되거나 제조원가가 높아져 가격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마그네슘-아미노점토는 반응성 개선을 위한 촉매역할을 함으로써, 더욱 빠른 경화특성을 제공하고, 우수한 분산성을 제공하여, 재료분리 억제 및 재료손실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뿐만 아니라, 우수한 강도 및 내마모성을 제공할 수 있고, 우수한 흡착성으로 탈취, 항균성능의 내구성을 개선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마그네슘-아미노점토는 염화마그네슘수화물(MgCl2·6H2O)을 에탄올 용매에 용해시키고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을 첨가하되, 상기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의 규소(Si)에 대해 상기 염화마그네슘수화물의 마그네슘(Mg)을 1: 1 내지 1.5 몰 비율로 첨가하여 침전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침전물을 원심분리, 건조 및 분쇄하여 마그네슘-아미노점토 분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슘-아미노점토는 상기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그네슘-아미노점토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마그네슘-아미노점토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경화속도가 지나치게 빨라져 작업성이 저하되거나 제조원가가 높아져 가격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인산지르코늄은 우수한 내마모성, 내화학성, 내알칼리성, 내오염성 등의 내구성을 개선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인산지르코늄은 표면이 폴리도파민으로 코팅된 인산지르코늄을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욱 우수한 분산성 및 고유동성을 제공하여, 재료분리 억제 및 재료손실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면이 폴리도파민으로 코팅된 인산지르코늄은 탈이온수에 인산지르코늄(Zr(HPO4)2ㆍH2O)을 바스켓 밀(basket mill)을 통하여 100 내지 500 nm의 입자크기로 분쇄한 후 반응기에 넣고, 20 내지 60 ℃에서 0.2 내지 1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분산시키는 단계; 상기 인산지르코늄이 분산된 탈이온수를 도파민 용액에 적가하여 표면이 폴리도파민으로 코팅된 인산지르코늄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도파민으로 코팅된 인산지르코늄을 여과하고, 세척 및 열풍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파민 용액은 도파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dopamine hydrochloride), 노레피네프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Norepinephrine hydrochloride), 에피네프린 클로라이드( Epinephrine hydrochlorid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용매에 녹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매는 버퍼용액, 에틸렌 글라이콜(ethylene glycole), 다이메틸 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다이메틸 포름아마이드(dimethyl formamid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도파민으로 코팅된 인산지르코늄을 여과하고, 세척 및 열풍건조하는 단계는 상기 폴리도파민으로 코팅된 인산지르코늄을 여과한 후, 탈이온수로 세척하고 75 내지 115 ℃에서 4 내지 12 시간 동안 원적외선 건조기로 열풍건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인산지르코늄은 상기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산지르코늄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인산지르코늄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작업성이 저하되거나, 제조원가가 높아져 가격 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난각막 미분말은 열악한 환경에서 고유동을 발휘하여, 재료분리 및 재료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미경화 상태에서 침하되거나 수축하는 것을 방지하여, 수심이 깊은 곳, 침출수가 많은 곳에서도 연속타설 시공 및 수질 오염 방지 등 시공성 및 친환경성을 매우 개선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난각막 미분말은 자외선을 조사한 것을 사용함으로써,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욱 우수한 분산성 및 고유동성을 제공하여, 재료분리 억제 및 재료손실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난각막 미분말은 계란 껍질을 건조한 후, 상기 건조된 계란 껍질에서 난각막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난각막을 1.5 내지 5배 중량의 1 내지 15 중량% 농도 유기산 수용액에 2 내지 8 시간 동안 침지시켜 산처리하는 단계; 상기 산처리가 완료된 난각막 침지액 100 중량부에 벤조산나트륨 0.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한 후, 수분함량 20 내지 35 %의 혼합반죽을 만드는 단계; 상기 혼합반죽을 자외선 조사장치에 넣고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자외선 조사장치의 내부에서 자외선에 노출된 혼합반죽을 수분함량 15 % 이하로 건조한 후, 평균 입자 크기 200 내지 600 μm로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계란 껍질의 건조는 70 내지 100 ℃에서 1 내지 4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산은 포름산, 아세트산, 뷰티르산, 팔미트산, 옥살산, 안식향산, 살리실산, 구연산, 스테아르산, 요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유기산은 구연산 및 스테아르산을 1: 0.1 내지 0.5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는 자외선 조사장치에서, 단위면적당 20 내지 100 W의 에너지가 공급되도록 자외선을 3 내지 24시간 동안 조사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반죽을 만드는 단계는 상기 산처리가 완료된 난각막 침지액 100 중량부에 벤조산나트륨 0.1 내지 10 중량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실란커플링제 0.05 내지 5 중량부 및 히노키티올 0.05 내지 5 중량부를 더 혼합한 후, 수분함량 20 내지 35 %의 혼합반죽을 만드는 단계인 것일 수 있다. 이로써,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욱 빠른 경화특성을 제공하여, 재료분리 억제 및 재료손실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22005715534-pat00004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 1 내지 10의 1가 탄화수소기이고, X는 탄소수 1 내지 4의 1가 탄화수소기이고, n은 2 또는 3이다.
상기 난각막 미분말은 상기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난각막 미분말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난각막 미분말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작업성이 저하되거나, 제조원가가 높아져 가격 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수산화바륨티타네이트는 잠재 수경성 특성을 갖는 상기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알칼리 자극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초기강도를 개선하는 기능을 한다. 뿐만 아니라, 강도 및 고유동성을 제공할 수 있고, 동결융해저항성 및 마모저항성의 내구성을 개선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수산화바륨티타네이트는 펜탄올, 헥산올, 헵탄올, 옥탄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알코올에 바륨티타늄 복합알콕사이드를 0.01 내지 0.15 mol/ℓ 용해하여 얻어진 용액 40 내지 70 부피%와; 메틸에틸케톤 25 내지 45 부피%를 20 내지 60 ℃의 온도에서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용액에 에탄올과 0.03 내지 0.30 mol/ℓ의 물을 혼합하되, 상기 에탄올과 물의 합이 5 내지 15 부피%가 되도록 혼합하여 반응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반응용액을 상온에서 0.2 내지 1.5 시간동안 교반하면서 상기 반응용액 형성 초기에 핵생성된 수산화 바륨티타네이트 미립자 핵을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되어, 평균입경이 100 내지 800 nm이고 구상인 것을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더욱 우수한 고유동성을 제공하여, 재료분리 억제 및 재료손실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수산화바륨티타네이트는 상기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산화바륨티타네이트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수산화바륨티타네이트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작업성이 저하되거나, 제조원가가 높아져 가격 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혼화재는 부착력, 유동성, 응집력 및 재료분리 방지성을 더욱 개선하고, 매우 우수한 강도, 내염해성, 중성화 저항성, 방수성, 내산성, 내알칼리성, 내마모성, 동결융해저항성, 탈취성, 항균성, 내오염성, 자기보수성 등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혼화재는 본 발명의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에 대하여, 0.5 내지 25 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화재는 스티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10 내지 30 중량부, 실리콘-(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10 내지 30 중량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아진 티올 1 내지 10 중량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0.1 내지 5 중량부, 클로로페네신 0.1 내지 5 중량부 및 피탄트리올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티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강도, 부착력, 응집력, 재료분리 방지성 및 내구성을 개선하는 기능을 한다.
이하, 상기 혼화재를 구성하는 다른 성분들의 함량은 상기 스티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
상기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는 우수한 기계적 강도, 응집력, 재료분리 방지성, 내염해성, 중성화 저항성, 내산성, 내알칼리성, 동결융해저항성, 내오염성 등의 내구성을 개선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는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및 트리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각각 1 내지 10: 1의 몰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는 상기 스티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제조원가가 높아져 가격 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실리콘-(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는 우수한 부착력, 강도, 유동성, 재료분리 저항성, 방수성, 내수성 및 내열성 등의 내구성을 개선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실리콘-(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는 상기 스티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실리콘-(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제조원가가 높아져 가격 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아진 티올은 우수한 기계적 강도, 응집력, 재료분리 방지성, 내염해성, 중성화 저항성 등의 내구성을 개선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아진 티올은 상기 스티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아진 티올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아진 티올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제조원가가 높아져 가격 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는 우수한 강도, 부착력, 유동성, 응집력 및 재료분리 방지성, 내염해성, 중성화 저항성, 내산성, 내알칼리성, 동결융해저항성, 자기보수성 등의 내구성을 개선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는 상기 스티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제조원가가 높아져 가격 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클로로페네신은 우수한 유동성, 항균성, 산화방지효과, 내산성, 내염해성 및 동결융해 저항성 등의 내구성을 개선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클로로페네신은 상기 스티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로로페네신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클로로페네신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제조원가가 높아져 가격 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피탄트리올은 우수한 유동성, 항균성, 산화방지효과, 내산성, 내염해성 및 동결융해 저항성 등의 내구성을 개선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피탄트리올은 상기 스티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탄트리올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피탄트리올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제조원가가 높아져 가격 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혼화재는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소포제, 감수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화재는 조성물 내의 기포를 제거하여 강도 및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소포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포제가 혼화재에 첨가되면 공기연행 효과를 부여하여 작업성 및 가사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상기 스티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포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알콜계 소포제, 실리콘계 소포제, 지방산계 소포제, 오일계 소포제, 에스테르계 소포제, 옥시알킬렌계 소포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소포제로는 디메틸실리콘유, 폴리오가노염화비닐리덴-염화비닐, 플루오로실리콘유 등이 있다. 상기 지방산계 소포제로는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등이 있다. 상기 오일계 소포제로는 등유, 동식물유, 피마자유 등이 있다. 상기 에스테르계 소포제로는 솔리톨트리올레이트, 글리세롤모노리시놀레이트 등이 있다. 상기 옥시알킬렌계 소포제로는 폴리옥시알킬렌, 아세틸렌에테르류, 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아민 등이 있다. 상기 알콜계 소포제로는 글리콜(glycol) 등이 있다.
또한, 상기 혼화재는 물-시멘트비를 감소시켜 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하고,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감수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수제는 상기 스티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수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폴리카본산계, 멜라민계 또는 나프탈렌계 감수제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나프탈렌계와 멜라민계는 폴리카본산계에 비하여 조성물의 강도가 떨어지고 작업성 및 가사시간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조성물의 강도, 작업성 및 가사시간을 저하시키지 않는 폴리카본산계 감수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은 잔골재 5 내지 90 중량% 및 결합재 5 내지 90 중량%를 진공형 강제식 믹서에서 프리믹싱한 후, 혼화재 0.5 내지 25 중량% 및 물 1 내지 35 중량%를 더욱 첨가하여 강제식 믹서나 연속식 믹서로 소정시간(예컨대, 1 내지 10분) 동안 믹싱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레이탄스, 불순물 또는 열화부위를 그라인더, 평삭기, 숏블라스터 또는 핸드 워터젯으로 치핑하여 제거하고 흡입장치를 이용하여 바탕면을 정리하는 단계; 상기 정리된 바탕면과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과의 부착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정리된 바탕면에 프라이머 또는 블루밍 처리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 또는 블루밍 처리된 표면에, 상기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을 타설하여 표면을 마무리하는 단계; 상기 마무리된 표면에 표면보호 및 강화 코팅제를 도포하여 표면을 마감하는 단계; 및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열화부위는 철근의 하부까지 제거하고, 상기 프라이머 또는 블루밍 처리하는 단계 전에 노출된 철근의 녹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레이탄스, 불순물 또는 열화부위를 그라인더, 평삭기, 숏블라스터 또는 핸드 워터젯으로 치핑하여 제거하는 경우에 정상적인 경우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이 노출되지 않지만, 열화가 심한 경우에는 열화된 부위에서 철근이 노출될 수도 있는데, 이렇게 철근이 노출되는 경우에는 방청 처리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 또는 블루밍 처리는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styrene-butadiene latex)(공중합체), 폴리 아크릴 에스테르, 아크릴, 에틸 비닐 아세테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실란계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표면보호 및 강화 코팅제는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 폴리 아크릴 에스테르, 아크릴, 에틸 비닐 아세테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실리카-실란계 화합물(축중합 혼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에 의하면, 열악한 환경에서의 우수한 경화성능을 갖고, 고유동성 및 고점성을 가져, 재료분리가 억제되어 재료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셀프레벨링성이 우수하여, 연속타설 시공 및 수질 오염 방지 등 시공성 및 친환경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열악한 환경에서도 휨강도, 압축강도, 부착강도 등의 강도가 우수하고, 우수한 균열저항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매우 우수한 내염해성, 중성화 저항성, 방수성, 내산성, 내알칼리성, 내마모성, 동결융해저항성, 탈취성, 항균성, 내오염성, 자기보수성 등의 내구성을 제공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화학적 부식 및 노후화를 방지할 수 있는 바, 콘크리트 구조물의 공용기간 증가, 유지보수비용 절감 및 시공성 향상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해양 콘크리트, 화학공장, 식품공장, 축사 바닥, 폐수처리장, 정수장이나 배수지, 복개 구조물, 교량 측구, 중앙분리벽, 맨홀, 옹벽 등과 같은 외부로 확인할 수 있는 지상 구조물 뿐만 아니라, 이들의 지하매설 시설물이나 수중구조물, 지하구조물(지하 암거, 지하 공동구 등), 화학적 부식을 많이 받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나 발전소 및 화학시설물, 하수도 관련 하수관거 및 하수암거 등과 같이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제조예 1>
마그네슘-아미노점토 분말의 제조
염화마그네슘수화물(MgCl2·6H2O)을 에탄올 용매에 840 g/L 농도로 용해시키고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을 첨가하되, 상기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의 규소(Si)에 대해 상기 염화마그네슘수화물의 마그네슘(Mg)을 1: 1.34 몰 비율로 첨가하고, 하루 동안 교반하여 침전물을 생성하였다. 이후, 상기 생성된 침전물을 300 rpm에서 15 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세척 및 약 65 ℃에서 건조한 후, 분쇄하여 마그네슘-아미노점토 분말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표면이 폴리도파민으로 코팅된 인산지르코늄의 제조
탈이온수에 인산지르코늄(Zr(HPO4)2ㆍH2O)을 바스켓 밀(basket mill)을 통하여 약 197 nm의 입자크기로 분쇄한 후 반응기에 넣고, 55 ℃에서 30분 동안 교반하면서 분산시켰다. 상기 인산지르코늄이 분산된 탈이온수를 도파민 용액에 적가하여 표면이 폴리도파민으로 코팅된 인산지르코늄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도파민 용액은 도파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Dopamine hydrochloride) 200 mg를 트리스 버퍼용액(Tris-buffer, trizma base)을 물에 녹여 10 mM의 농도로 제조한 용매 100 mL에 녹인 것을 사용하였다. 이후, 상기 폴리도파민으로 코팅된 인산지르코늄을 여과한 후, 탈이온수로 세척하고 105 ℃에서 7 시간 동안 원적외선 건조기로 열풍건조함으로써, 표면이 폴리도파민으로 코팅된 인산지르코늄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난각막 미분말의 제조
계란 껍질을 100 ℃에서 2 시간 동안 건조한 후, 상기 건조된 계란 껍질에서 난각막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된 난각막을 3배 중량의 10 중량% 농도 구연산 수용액에 6 시간 동안 침지시켜 산처리하였다. 상기 산처리가 완료된 난각막 침지액을 여과 및 세척한 후, 50 ℃에서 열풍건조하였다. 상기 건조처리가 끝난 난각막을 평균 입경 400 μm로 분쇄함으로써, 난각막 미분말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자외선을 조사한 난각막 미분말의 제조
계란 껍질을 100 ℃에서 2 시간 동안 건조한 후, 상기 건조된 계란 껍질에서 난각막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된 난각막을 3배 중량의 9 중량% 농도 유기산 수용액(구연산 및 스테아르산을 1: 0.5 중량비율로 혼합)에 6 시간 동안 침지시켜 산처리하였다. 상기 산처리가 완료된 난각막 침지액을 여과 및 세척한 후, 상기 산처리가 완료된 난각막 침지액 100 중량부에 벤조산나트륨 8 중량부를 혼합한 후, 수분함량 25 %의 혼합반죽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혼합반죽을 자외선 조사장치에 넣고 100 W의 에너지가 공급되도록 자외선을 19 시간 동안 조사하였다. 이후, 상기 자외선 조사장치의 내부에서 자외선에 노출된 혼합반죽을 수분함량 15 % 이하가 되도록 50 ℃에서 열풍건조한 후, 평균 입자 크기 400 μm로 분쇄함으로써, 난각막 미분말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자외선을 조사한 난각막 미분말의 제조
계란 껍질을 100 ℃에서 2 시간 동안 건조한 후, 상기 건조된 계란 껍질에서 난각막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된 난각막을 3배 중량의 9 중량% 농도 유기산 수용액(구연산 및 스테아르산을 1: 0.5 중량비율로 혼합)에 6 시간 동안 침지시켜 산처리하였다. 상기 산처리가 완료된 난각막 침지액을 여과 및 세척한 후, 상기 산처리가 완료된 난각막 침지액 100 중량부에 벤조산나트륨 8 중량부, 하기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실란커플링제 3 중량부 및 히노키티올 2 중량부를 혼합한 후, 수분함량 25 %의 혼합반죽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혼합반죽을 자외선 조사장치에 넣고 100 W의 에너지가 공급되도록 자외선을 19 시간 동안 조사하였다. 이후, 상기 자외선 조사장치의 내부에서 자외선에 노출된 혼합반죽을 수분함량 15 % 이하가 되도록 50 ℃에서 열풍건조한 후, 평균 입자 크기 400 μm로 분쇄함으로써, 난각막 미분말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2-1]
Figure 112022005715534-pat00005
상기 식에서 R은 메틸기이고, X는 에틸기이고, n은 2이다.
<제조예 6>
수산화바륨티타네이트의 제조
옥탄올에 바륨티타늄 복합알콕사이드 0.15 mol/ℓ을 용해하여 얻어진 용액 55 부피%와; 메틸에틸케톤 35 부피%를 45 ℃의 온도에서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용액에 에탄올과 0.22 mol/ℓ의 물을 혼합하되, 상기 에탄올과 물의 합이 10 부피%가 되도록 혼합하여 반응용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반응용액을 상온에서 1 시간동안 교반하면서 상기 반응용액 형성 초기에 핵생성된 수산화 바륨티타네이트 미립자 핵을 성장시켜, 평균입경이 370 nm이고 구상인 수산화바륨티타네이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성분 및 함량으로 혼합된 잔골재 및 결합재를 진공형 강제식 혼합믹서에 투입하여, 건배합 조건으로 3분 동안 프리믹싱한 후,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성분 및 함량으로 혼합된 혼화재 및 물을 더욱 첨가하여 2분 동안 믹싱하여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비교용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잔골재 53 53 53 53 53
(중량%) 실리카질 규사
(평균입경:1.53mm)
87 87 87 100 100
부석분말
(평균입경: 88μm)
13 13 13 - -
결합재 38 38 38 38 38
(중량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100 100
100 100 100
고로슬래그 미분말
(분말도: 5,510 ㎠/g)
28 28
28 - 28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21 21
21 - 21
마그네슘-아미노점토
[제조예1]
7 7
7 - -
인산지르코늄 3
[통상의
인산지르코늄 분말]
3
[통상의
인산지르코늄 분말]
3
[제조예2]
- -
난각막 미분말 5
[제조예3]
5
[제조예4]

5
[제조예5]
- -
수산화바륨티타네이트
[제조예6]
6 6
6 - -
5 5 5 5 5
혼화재 4 4 4 - 4
(중량부) 스티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00 100
100
- 100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1) 20 20
20
- 20
실리콘-(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17 17
17
- -
트리아진 티올
[화학식 1-1]
7 7
7
- -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2 2
2
- -
클로로페네신 1.5 1.5 1.5 - -
피탄트리올 1.5 1.5 1.5 - -
실리콘계 소포제 0.5 0.5 0.5 - -
폴리카본산계 감수제 0.5 0.5 0.5 - -
1)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및 트리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를 각각 4: 1의 몰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사용함

[화학식 1-1]
Figure 112022005715534-pat00006

상기 식에서 R은 -NR2R3이고, 상기 R2 및 R3는 각각 메틸기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의 특성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과 비교예 1 및 2의 특성을 비교한 실험결과들을 나타낸 것이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비교용 모르타르 조성물을 KS L 5220에 규정한 방법에 따라 플로우 시험(비타격 시의 흐름성)을 수행하였다. 이때, 재료분리는 모르타르 슬러리를 손으로 저어 보아 판단하였으며, 수중 제작 공시체는 수면아래 10 cm 몰드를 설치한 후 자유 낙하하여 제작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플로우(㎜) 195 200 202 128 169
재료분리 없음 없음 없음 발생 발생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은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비교용 모르타르 조성물과 비교하여, 비타격 시의 흐름성이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 바, 본 발명의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은 유동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비교용 모르타르 조성물은 재료분리가 발생하였으나,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은 재료분리가 발생하지 않아 수중불분리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비교용 모르타르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비교용 모르타르 조성물을 KS F 4042(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시험방법)에 의한 휨강도, 압축강도 및 접착강도 시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각각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휨강도
(MPa)
수중 9.3 9.5 9.7 4.2 6.1
기중 9.6 10.1 10.3 5.3 6.9
압축강도
(MPa)
수중 53.2 54.4 54.7 45.6 47.5
기중 54.9 55.4 56.0 46.8 48.7
접착강도
(MPa)
수중 1.5 1.7 1.9 0.6 1.0
기중 1.8 1.9 2.1 1.0 1.5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은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비교용 모르타르 조성물과 비교하여, 휨강도, 압축강도 및 접착강도가 월등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비교용 모르타르 조성물을 KS F 4042에 의한 길이변화율, 염화물이온침투저항성 및 중성화 시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각각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길이변화율
(%)
0.01 0.01 0.01 0.42 0.13
염화물이온침투저항성
(Coulombs)
593 582 567 1,913 985
중성화 깊이
(mm)
0.5 0.3 0.1 2.9 1.0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은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비교용 모르타르 조성물과 비교하여, 길이변화율, 염화물이온침투저항성 및 중성화 저항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비교용 모르타르 조성물을 KS F 2456에 규정한 방법에 따라 동결융해저항성 시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이때, 동결융해는 콘크리트에 흡수된 수분이 결빙되고 녹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동결융해가 반복되면 콘크리트 조직에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게 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하기 표 5의 결과는 동결융해 저항성 시험에 따른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 1 및 2의 내구성 지수를 표시한 것이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내구성 지수 90 92 94 56 83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은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비교용 모르타르 조성물과 비교하여, 내구성 지수가 월등히 높으므로, 동결융해 저항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5>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비교용 모르타르 조성물을 일본 공업 규격 원안 [콘크리트의 용액침적에 의한 내약품성 시험 방법]에 준하여 2% 염산, 5% 황산 및 45% 수산화 나트륨의 수용액을 시험 용액으로 28일 공시체를 침적하여 내약품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각각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중량변화율
(%)
염산 -0.8 -0.4 -0.2 -4.7 -1.7
황산 -0.9 -0.5 -0.2 -3.5 -1.5
수산화나트륨 +0.7 +0.4 +0.3 +2.4 +1.0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은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비교용 모르타르 조성물과 비교하여, 내약품성에 대한 중량변화율이 적게 나타났는데, 이는 내약품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험예 6>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비교용 모르타르 조성물을 KS F 4042에 의한 내알칼리성, 투수량, 물흡수계수 및 습기투과저항성 시험을 수행하였고; KFIA-FI-1004에 의한 암모니아 가스의 탈취율을 측정하여 탈취성 시험을 실시하였고; KS A 0702에 의한 항균성 시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각각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내알칼리성 (MPa) 38.6 39.3 39.4 20.9 32.5
투수량 (g) 0.3 0.1 0.1 2.3 1.0
물흡수계수 (kg/m2h0.5) 0.06 0.06 0.05 0.37 0.13
습기투과저항성 (Sd, m) 0.8 0.7 0.5 2.9 1.4
탈취성 (%) 93 96 97 55 67
항균성 적합 적합 적합 부적합 부적합
상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은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비교용 모르타르 조성물과 비교하여, 내알칼리성이 우수하고, 투수량이 낮고, 물흡수계수가 낮으며, 습기투과 저항성, 탈취성 및 항균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7>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비교용 모르타르 조성물의 자기치유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모르타르 공시체를 50×50×50㎜로 각각 제작하여 양생한 후 최대 압축 하중의 85%의 압축 하중으로 미리 하중을 준 후 기건 양생 28일, 56일 및 84일 후의 압축강도 회복률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압축강도 회복률 (%) 28일 18.6 19.1 19.4 10.9 12.4
56일 39.2 39.4 39.8 12.6 23.4
84일 43.1 43.4 43.7 14.1 33.4
상기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은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비교용 모르타르 조성물과 비교하여, 균열 후 압축강도 회복률이 높게 나타나 자기 치유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잔골재 5 내지 90 중량%, 결합재 5 내지 90 중량%, 혼화재 0.5 내지 25 중량% 및 물 1 내지 3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재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100 중량부, 고로슬래그 미분말 10 내지 30 중량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10 내지 30 중량부, 마그네슘-아미노점토 1 내지 10 중량부, 인산지르코늄 1 내지 10 중량부, 난각막 미분말 1 내지 10 중량부 및 수산화바륨티타네이트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혼화재는 스티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10 내지 30 중량부, 실리콘-(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10 내지 30 중량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아진 티올 1 내지 10 중량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0.1 내지 5 중량부, 클로로페네신 0.1 내지 5 중량부 및 피탄트리올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2005715534-pat00007

    상기 식에서 R은 -SH, -NHR1 또는 -NR2R3이고,
    상기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0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슘-아미노점토는
    염화마그네슘수화물(MgCl2·6H2O)을 에탄올 용매에 용해시키고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을 첨가하되, 상기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의 규소(Si)에 대해 상기 염화마그네슘수화물의 마그네슘(Mg)을 1: 1 내지 1.5 몰 비율로 첨가하여 침전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침전물을 원심분리, 건조 및 분쇄하여 마그네슘-아미노점토 분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각막 미분말은
    계란 껍질을 건조한 후, 상기 건조된 계란 껍질에서 난각막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난각막을 1.5 내지 5배 중량의 1 내지 15 중량% 농도 유기산 수용액에 2 내지 8 시간 동안 침지시켜 산처리하는 단계; 상기 산처리가 완료된 난각막 침지액 100 중량부에 벤조산나트륨 0.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한 후, 수분함량 20 내지 35 %의 혼합반죽을 만드는 단계; 상기 혼합반죽을 자외선 조사장치에 넣고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자외선 조사장치의 내부에서 자외선에 노출된 혼합반죽을 수분함량 15 % 이하로 건조한 후, 평균 입자 크기 200 내지 600 μm로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반죽을 만드는 단계는
    상기 산처리가 완료된 난각막 침지액 100 중량부에 벤조산나트륨 0.1 내지 10 중량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실란커플링제 0.05 내지 5 중량부 및 히노키티올 0.05 내지 5 중량부를 더 혼합한 후, 수분함량 20 내지 35 %의 혼합반죽을 만드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22005715534-pat00008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 1 내지 10의 1가 탄화수소기이고, X는 탄소수 1 내지 4의 1가 탄화수소기이고, n은 2 또는 3이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항에 따른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레이탄스, 불순물 또는 열화부위를 그라인더, 평삭기, 숏블라스터 또는 핸드 워터젯으로 치핑하여 제거하고 흡입장치를 이용하여 바탕면을 정리하는 단계; 상기 정리된 바탕면과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과의 부착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정리된 바탕면에 프라이머 또는 블루밍 처리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 또는 블루밍 처리된 표면에, 상기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을 타설하여 표면을 마무리하는 단계; 상기 마무리된 표면에 표면보호 및 강화 코팅제를 도포하여 표면을 마감하는 단계; 및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KR1020210084575A 2021-06-29 2021-06-29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KR102356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575A KR102356129B1 (ko) 2021-06-29 2021-06-29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575A KR102356129B1 (ko) 2021-06-29 2021-06-29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129B1 true KR102356129B1 (ko) 2022-02-09

Family

ID=80265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575A KR102356129B1 (ko) 2021-06-29 2021-06-29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1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6718B1 (ko) 2023-07-28 2024-05-20 이동우 산업부산물의 리사이클링재를 적용한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공법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1430A (ja) * 2003-01-28 2004-08-19 Toden Kogyo Co Ltd 軽量モルタル、これを用いた形成物、及び軽量モルタルの打設方法
KR101831709B1 (ko) * 2017-03-22 2018-02-23 주식회사 윤창이엔씨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경량 모르타르 보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894478B1 (ko) * 2017-04-26 2018-09-04 주식회사 성균바이오텍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을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스크럽 화장료용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스크럽 화장료용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
KR101921929B1 (ko) 2018-04-18 2018-11-27 (주)경룡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기능성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KR101936062B1 (ko) 2018-03-16 2019-04-03 주식회사 대호영이엔씨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기능성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KR20190096215A (ko) * 2018-02-08 2019-08-19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 아미노점토 함유 항균성 하이드로겔 제조방법, 향균성 하이드로겔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성 복합재
KR102056891B1 (ko) * 2019-07-05 2019-12-17 이용교 고기능성 콘크리트 바닥 마감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콘크리트 바닥 마감 시공 방법
KR102124771B1 (ko) 2019-12-13 2020-06-22 김봉기 습윤 상태나 수중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보호를 위한 시공이 용이한 고기능성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ㆍ보강 공법
KR102133439B1 (ko) * 2020-03-04 2020-07-14 주식회사 씨큐알 고강도 및 고내구성의 라텍스 개질 초속경성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공법
JP2020111947A (ja) * 2019-01-11 2020-07-27 デンカ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構造物補修用樹脂組成物
KR102199459B1 (ko) * 2020-04-24 2021-01-06 (주)고려씨엔씨 수분 대응형 개질 세라믹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시공 공법
KR102256238B1 (ko) * 2021-01-14 2021-05-27 주식회사 씨앤에스테크 우수한 수중경화성능 및 고내구성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고기능성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1430A (ja) * 2003-01-28 2004-08-19 Toden Kogyo Co Ltd 軽量モルタル、これを用いた形成物、及び軽量モルタルの打設方法
KR101831709B1 (ko) * 2017-03-22 2018-02-23 주식회사 윤창이엔씨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경량 모르타르 보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894478B1 (ko) * 2017-04-26 2018-09-04 주식회사 성균바이오텍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을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스크럽 화장료용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스크럽 화장료용 메추리알 난각막 분쇄물
KR20190096215A (ko) * 2018-02-08 2019-08-19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 아미노점토 함유 항균성 하이드로겔 제조방법, 향균성 하이드로겔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성 복합재
KR101936062B1 (ko) 2018-03-16 2019-04-03 주식회사 대호영이엔씨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기능성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KR101921929B1 (ko) 2018-04-18 2018-11-27 (주)경룡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기능성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JP2020111947A (ja) * 2019-01-11 2020-07-27 デンカ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構造物補修用樹脂組成物
KR102056891B1 (ko) * 2019-07-05 2019-12-17 이용교 고기능성 콘크리트 바닥 마감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콘크리트 바닥 마감 시공 방법
KR102124771B1 (ko) 2019-12-13 2020-06-22 김봉기 습윤 상태나 수중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보호를 위한 시공이 용이한 고기능성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ㆍ보강 공법
KR102133439B1 (ko) * 2020-03-04 2020-07-14 주식회사 씨큐알 고강도 및 고내구성의 라텍스 개질 초속경성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공법
KR102199459B1 (ko) * 2020-04-24 2021-01-06 (주)고려씨엔씨 수분 대응형 개질 세라믹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시공 공법
KR102256238B1 (ko) * 2021-01-14 2021-05-27 주식회사 씨앤에스테크 우수한 수중경화성능 및 고내구성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고기능성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6718B1 (ko) 2023-07-28 2024-05-20 이동우 산업부산물의 리사이클링재를 적용한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8187B1 (ko) 고강도 및 고내구성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ㆍ보강용 기능성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 보수ㆍ보강 시공방법
KR10180161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복구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609697B1 (ko) 수중불분리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183170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경량 모르타르 보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691845B1 (ko) 코코스 섬유를 혼입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911313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바닥 보수·보강용 수중 불분리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1832164B1 (ko) 구조물 보수·보강용 자기 치유성 친환경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KR101740346B1 (ko) 지수 성능 및 자기 보수 기능을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 보수 공법
KR101825152B1 (ko) 내식성이 우수하고 기능성을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 보수 공법
KR101936062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기능성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KR101636337B1 (ko) 방수용 경량 타일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타일 시공방법
KR101789517B1 (ko) 구조물 표면 보호용 기능성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표면 보호 방법
KR101460498B1 (ko) 자기 보수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2256238B1 (ko) 우수한 수중경화성능 및 고내구성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고기능성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시공방법
KR102355709B1 (ko) 균열발생 억제효과가 우수한 고내구성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보수시공방법
KR102102627B1 (ko) 균열억제형 기능성 보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 및 보수 방법
KR10165419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 보수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 보수 마감 공법
KR101789052B1 (ko) 맥반석을 함유하는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축자재 및 상기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한 친환경 콘크리트 보수보강 방법
KR102232477B1 (ko) 습윤면 시공성이 우수한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면보수공법
KR101914474B1 (ko) 조기 강도 발현형 긴급 보수용 상온 속경성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KR10202181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 보수 방법
KR102338230B1 (ko) 수축저감형 폴리머개질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복구 및 보수방법
KR20150075466A (ko) 방수성 혼화제를 구비하는 방수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
KR102521730B1 (ko) 습윤대응 기능성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수암거 및 복개천 하부판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공법
KR101095381B1 (ko) 내산성 및 보온성이 우수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이를 이용한 내산성 및 보온성이 우수한 바닥 마감재의 제조방법 및 블록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