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088B1 - 유저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유저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088B1
KR102563088B1 KR1020207000104A KR20207000104A KR102563088B1 KR 102563088 B1 KR102563088 B1 KR 102563088B1 KR 1020207000104 A KR1020207000104 A KR 1020207000104A KR 20207000104 A KR20207000104 A KR 20207000104A KR 102563088 B1 KR102563088 B1 KR 102563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bg
configuration
rbg size
size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0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8565A (ko
Inventor
카즈키 타케다
카즈아키 타케다
사토시 나가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200018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2Indication of how the channel is divi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5Symbol extensions, e.g. Zero Tail, Unique Word [UW]
    • H04L27/2607Cyclic extensions

Abstract

시스템 대역폭이 확대되는 장래의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주파수 방향에 있어서의 리소스 할당을 적절하게 제어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유저 단말은, 하향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하향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리소스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리소스 블록 그룹(RBG) 단위로 DL 공유 채널 및/또는 UL 공유 채널의 할당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RBG 사이즈로서 복수의 RBG 사이즈 후보가 정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RBG 사이즈 후보 중 일부의 RBG 사이즈 후보로 구성되는 소정 RBG 세트 중에서 소정의 RBG 사이즈를 선택하여 상기 할당을 판단한다.

Description

유저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네트워크에 있어서, 더욱의 고속 데이터 레이트, 저지연 등을 목적으로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이 사양화되었다(비특허문헌 1). 또, LTE(LTE Rel. 8, 9)의 더욱의 대용량, 고도화 등을 목적으로, LTE-A(LTE 어드밴스드, LTE Rel. 10, 11, 12, 13)가 사양화되었다.
LTE의 후계 시스템(예를 들면, FRA(Future Radio Access), 5G(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G+(plus), NR(New Radio), NX(New radio access), FX(Future generation radio access), LTE Rel. 14 또는 15 이후 등이라고도 한다)도 검토되고 있다.
기존의 LTE 시스템(예를 들면, LTE Rel. 8-13)의 상향 링크(UL: Uplink)에서는, DFT 확산 OFDM(DFT―s―OFDM: 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파형이 서포트되고 있다. DFT 확산 OFDM 파형은, 싱글 캐리어 파형이기 때문에, 피크 대 평균 전력 비(PAPR: Peak to Average Power Ratio)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
장래의 무선통신시스템(예를 들면, NR)의 UL에서는, 싱글 캐리어 파형인 DFT 확산 OFDM 파형에 더해, 멀티 캐리어 파형인 사이클릭 프리픽스 OFDM(CP―OFDM: Cyclic Prefix―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파형을 서포트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따라서, DL 신호(예를 들면, DL 공유 채널)와 UL 신호(예를 들면, UL 공유 채널)의 송신에 CP―OFDM을 적용한 할당을 수행하는 것이 상정된다.
또한, DFT 확산 OFDM 파형은, DFT 확산(DFT 프리코딩 등이라고도 한다)이 적용된다(with DFT―spreading) UL 신호 등이라 바뀌어 읽을 수 있으며, CP―OFDM 파형은, DFT 확산이 적용되지 않는 (without DFT―spreading) UL 신호 등이라 바뀌어 읽을 수도 있다.
기존의 LTE 시스템에서는, DL 공유 채널의 주파수 방향에 있어서의 할당은 리소스 블록 그룹(RBG) 단위로 제어된다. 또, 시스템 대역폭에 대응되는 PRB(RB) 수에 따라 RBG당 PRB 수(RBG 사이즈)가 고정적으로 정해진다.
한편으로, 장래의 무선통신시스템에서는, 기존의 LTE 시스템과 비교하여 시스템 대역폭이 확대되고, 시스템 대역폭에 있어서 UE마다 통신에 이용할 수 있는 대역폭이 각각 다르게 설정되는 것이 상정된다. 또, 같은 시간 영역에 대해 하향 제어 채널과 하향 공유 채널의 할당을 서포트하는 것도 검토되고 있다.
상기 경우, 기존 시스템과 동일하게 DL 공유 채널 및/또는 UL 공유 채널의 주파수 방향에 있어서의 할당을 제어하면, 채널 사이나 UE 사이에서 리소스의 할당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없고, 리소스의 이용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시스템 대역폭이 확대되는 장래의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주파수 방향에 있어서의 리소스 할당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유저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유저 단말은, 하향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하향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리소스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리소스 블록 그룹(RBG) 단위로 DL 공유 채널 및/또는 UL 공유 채널의 할당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RBG 사이즈로서 복수의 RBG 사이즈 후보가 정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RBG 사이즈 후보 중 일부의 RBG 사이즈 후보로 구성되는 소정 RBG 세트 중에서 소정의 RBG 사이즈를 선택하여 상기 할당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스템 대역폭이 확대되는 장래의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주파수 방향에 있어서의 리소스 할당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대역폭 및 RBG 사이즈마다 RA 필드의 비트 사이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실시형태의 공유 채널의 할당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하향 제어 채널 및 공유 채널의 할당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각 대역폭에 대해 소정의 RBG 사이즈를 선택하는 경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는, 연속하는 리소스 할당(contiguous resource allocation)에 이용하는 RA 필드의 비트 사이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개략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 단말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 단말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 및 유저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장래의 무선통신시스템(예를 들면, LTE Rel. 14, 15 이후, 5G, NR 등. 이하, NR이라고도 한다)의 UL에서는, DFT 확산 OFDM 파형에 더해, CP―OFDM 파형을 서포트라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네트워크(예를 들면, 무선기지국(BS(Base Station), 송수신 포인트(TRP: Transmission/Reception Point), eNB(eNode B), gNB 등이라도 불려도 좋다))는, 소정의 채널(예를 들면, 상향 공유 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에 대해 DFT 확산을 적용할지 여부(DFT 확산 OFDM 파형 또는 CP―OFDM 파형의 어느 하나를 이용할지)를, 유저 단말(UE: User Equipment)에 설정(configure) 또는 지정(indicate)해도 좋다.
또한, 하향 신호 및/또는 채널(예를 들면, 하향 공유 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은, CP―OFDM 파형을 이용하여 송신된다고 상정해도 좋다.
기존의 LTE에 있어서, UE는, 하향 제어 채널(예를 들면,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하향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검출한다. PDSCH의 수신, PUSCH의 송신 등은, DCI에 기초하여 UE에 지정된다.
스케줄되는 주파수 리소스의 할당은, DCI에 포함되는 리소스 할당(RA: Resource Allocation) 필드에 의해 지정된다. 기존의 LTE 시스템에서는, 리소스 블록 그룹(RBG: Resource Block Group) 레벨의 리소스 할당이 채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기존의 LTE 시스템에 있어서 서포트되고 있는 DL RA Type 0(Downlink Resource Allocation Type 0)인 경우, 하나 또는 복수의 물리 리소스 블록(PRB: Physical Resource Block)에 의해, RBG가 정의되고, RBG 단위로 리소스가 할당된다. 기존의 LTE에 있어서는, RBG 사이즈(RBG당 PRB 수)는, 시스템 대역(또는, 시스템 대역에 의해 정의되는 PRB 수)에 기초하여 고정적으로 결정되고, 1―4의 정수값을 취할 수 있다.
UE는, 시스템 대역(RBG 사이즈)에 따라, 하향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리소스 할당(RA) 필드의 사이즈(비트 수)를 판단하고, 스케줄되는 주파수 리소스를 판단한다.
그런데 NR에 있어서, CP―OFDM 파형의 주파수 리소스 할당은, LTE에서 서포트되고 있는 DL RA Type 0을 베이스로 한 통지로 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NR에서는, 기존의 LTE와는 다르고, 모든 UE가 시스템 대역폭에 일치하는 대역폭에서 통신할 수 있다고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UE 1은 소정의 캐리어에 있어서 시스템 대역폭에서 송신할 수 있는 한편으로, UE 2는 같은 캐리어에 있어서 시스템 대역폭의 40%에서밖에 통신할 수 없다는 상황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UE에 대해 기존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공통의 RBG 사이즈를 적용하면, 대역폭에 따른 유연한 할당이 어려워진다. 한편으로, 각 UE가 통신에 이용(액세스) 가능한 시스템 대역폭에 기초하여 RBG 사이즈를 결정하면, UE 사이에서 다른 RBG 사이즈가 적용된다. 이 경우, 다른 RBG 사이즈를 이용하는 UE의 공유 채널(데이터 채널)의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배치하는(즉, 간극없이 주파수 분할 다중(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하는) 것이 불가능해질 우려가 있다.
또, NR에서는, 시스템 대역의 전체에 하향 제어 채널을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주파수 영역(및 시간 영역)에 하향 제어 채널을 할당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UE에 설정되는 소정의 주파수 영역과 시간 영역(예를 들면 1 OFDM 심벌, 2 OFDM 심벌, 등)으로 이루어지는 무선 리소스는, 컨트롤 리소스 세트(CORESET: control resource set), 제어 리소스 세트, 컨트롤 서브밴드(control subband), 서치 스페이스 세트, 서치 스페이스 리소스 세트, 컨트롤 영역, 제어 서브밴드, 또는 NR―PDCCH 영역 등이라 불린다.
컨트롤 리소스 세트는, 소정 리소스 단위로 구성되고, 시스템 대역폭(캐리어 대역폭) 혹은 해당 유저 단말이 수신 처리 가능한 최대의 대역폭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 리소스 세트를, 주파수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RB(PRB 및/또는 VRB)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RB는 예를 들면 12 서브 캐리어로 이루어지는 주파수 리소스 블록 단위를 의미한다. UE는, 컨트롤 리소스 세트의 범위 내에서 하향 제어 정보를 모니터하여 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UE는, 하향 제어 정보의 수신 처리에 있어서, 항상 시스템 대역폭 전체를 모니터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컨트롤 리소스 세트의 도입으로 인해, 하향 제어 채널이 할당되지 않는 주파수 영역을 다른 신호(예를 들면, 공유 채널)의 송신에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같은 시간 영역(예를 들면, 동일 심벌 및/또는 슬롯)이 다른 주파수 영역에 대해, 하향 제어 채널(PDCCH)과 하향 공유 채널(PDSCH)의 할당을 서포트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리소스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PDCCH와 PDSCH의 리소스 할당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그런데 제어 채널의 리소스 할당 입도로서, 적어도 6 PRB의 배수가 검토되고 있으며, 더욱, 2 PRB 및 3 PRB의 어느 것도 채용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으로, 스케줄링에 이용하는 RBG 사이즈로서는, 2의 거듭제곱을 이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고, 제어 채널의 리소스 할당 입도와의 불일치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CP―OFDM 파형을 이용하는 경우에 이어서, 공유 채널의 리소스끼리, 및/또는, 공유 채널과 제어 채널의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배치하기(즉, 간극없이 주파수 분할 다중하기) 위한 방법은, 아직 검토되고 있지 않다. 이 방법을 검토하지 않으면, 주파수 이용 효율의 저하 등이 생길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같은 시간 영역에 할당히는 신호(채널)에 대해, 소정의 관계를 갖는 RBG 사이즈를 선택하여 적용함으로써, 다른 UE 데이터끼리 및/또는 다른 채널끼리의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리고 동일 시간 리소스에 할당하는 신호에 다른 RBG 사이즈를 적용하는 경우에, 소정 조건에 따라 각 신호에 적용하는 RBG 사이즈를 선택하여 할당을 제어하는 것에 주목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DL 공유 채널 및/또는 UL 공유 채널의 할당(또는, 스케줄링) 단위가 되는 RBG의 사이즈로서 복수의 RBG 사이즈 후보를 정의하고, 복수의 RBG 사이즈 후보 중 일부의 RBG 사이즈 후보로 구성되는 RBG 세트 중에서 소정의 RBG 사이즈를 선택하여 공유 채널의 할당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소정 채널(예를 들면, 제어 채널)의 리소스 할당 입도와 친화성이 높은 RBG 세트와, 해당 RBG 세트와 다른 RBG를 포함하는 다른 RBG 세트를 정의한다. UE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RBG 세트 및/또는 RBG 사이즈를 선택하여, 하향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RA 필드의 사이즈를 판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은, 각각 단독으로 적용되어도 좋으며, 조합하여 적용되어도 좋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임의의 신호 및 채널에 관해, NR용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NR―'의 접두어가 부여되어 바뀌어 읽혀도 좋다.
〈제1 형태〉
제1 형태는, 소정의 RBG 사이즈 후보로 구성되는 RBG 세트(RBG 사이즈 세트, RBG 사이즈 그룹, 또는 RBG 그룹이라고도 부른다)를 정의하여, 리소스 할당을 제어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소정 캐리어에 있어서의 PRB 수(시스템 대역폭)와, RBG 사이즈와, 하향 제어 정보의 RA 필드의 비트 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여기서는, PRB 수가 25, 50, 75, 100, 150, 200, 250, 275에 있어서, RBG 사이즈를 각각 2, 3, 4, 6, 8, 12, 16으로 한 경우의 RA 필드의 비트 수를 나타내고 있다. 물론 적용 가능한 PRB 수 및 RBG 사이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지국은, RBG 단위(RBG 레벨)의 비트맵 리소스 할당 방법을 적용하여 DL 공유 채널 및/또는 UL 공유 채널(이하, '공유 채널'이라고 한다)의 할당을 제어한다. 또, 유저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RBG 사이즈 후보를 포함하는 RBG 세트 중에서 소정의 RBG 사이즈를 선택하여 공유 채널의 리소스 할당을 판단한다.
이하에, 복수 UE(예를 들면, 액세스 대역폭이 다른 UE)의 공유 채널을 같은 시간 영역에 할당하는 경우(타입 1)와, PDCCH과 소정의 RBG 사이즈를 적용하는 PDSCH을 같은 시간 영역에 할당하는 경우(타입 2)의 RBG 사이즈의 선택에 대해 설명한다. 시간 영역은, 하나 또는 복수 심벌이어도 좋으며, 소정의 시간 단위(예를 들면, 슬롯, 미니 슬롯 등)이어도 좋다.
〈타입 1〉
기지국은, 복수의 RBG 사이즈 후보가 포함되는 RBG 세트 중에서 소정의 RBG 사이즈를 선택하여 각 UE의 공유 채널의 할당을 제어한다. 각 RBG 세트에는, 리소스 할당 입도의 관점에서 친화성이 높은 RBG 사이즈 후보를 포함시키면 된다. 예를 들면, 제1 RBG 세트를 {2, 4, 8, 16}의 RBG 사이즈 후보로 구성한다. {2, 4, 8, 16}은 서로 네스트(nested)한 관계에 있기 때문에, 복수의 UE가 같은 RBG 세트에 포함되는 다른 RBG 사이즈를 이용하는 경우라도, 공유 채널을 효율적으로 (간극없이) 나열하여 배치(FDM)할 수 있다.
도 2a는, 제1 RBG 세트에 포함되는 RBG 사이즈 후보{2, 4, 8, 16} 중에서 선택한 RBG 사이즈를 이용하여 데이터(DL 공유 채널 및/또는 UL 공유 채널)의 할당을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기지국은, 동일 시간 영역에 복수 UE의 데이터를 스케줄링할 때에, 제1 RBG 세트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RBG 사이즈를 적용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각 UE의 데이터에 적용하는 RBG 사이즈는, 각 UE의 이용 가능한 대역폭, 각 UE에 설정된 통신 대역폭, 혹은 RBG 사이즈를 설정하기 위한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등에 기초하여 결정하면 된다.
여기서는, UE#1에 RBG 사이즈 4, UE#2에 RBG 사이즈 2, UE#3에 RBG 사이즈 8을 적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로 인해, 복수의 UE가 다른 RBG 사이즈를 이용하는 경우라도, 서로 네스트한 관계이기 때문에 공유 채널을 효율적으로 (간극없이) 나열하여 배치(FDM)할 수 있다. 또한, 어느 UE에 대해 비연속으로 할당하는 데이터에 각각 다른 RBG 사이즈를 적용해도 좋다.
또, 제2 RBG 세트를 {3, 6, 12}의 RBG 사이즈 후보로 구성해도 좋다. {3, 6, 12}는 서로 네스트(nested)한 관계에 있기 때문에, 복수의 UE가 같은 RBG 세트에 포함되는 다른 RBG 사이즈를 이용하는 경우라도, 공유 채널을 효율적으로 나열하여 배치할 수 있다.
도 2b는, 제2 RBG 세트에 포함되는 RBG 사이즈 후보{3, 6, 12} 중에서 선택한 RBG 사이즈를 이용하여 데이터(DL 공유 채널 및/또는 UL 공유 채널)의 할당을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기지국은, 동일 시간 영역에 복수 UE의 데이터를 스케줄링할 때에, 제2 RBG 세트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RBG 사이즈를 적용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여기서는, UE#1에 RBG 사이즈 3, UE#2에 RBG 사이즈 6, UE#3에 RBG 사이즈 6을 적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로 인해, 복수의 UE가 다른 RBG 사이즈를 이용하는 경우라도, 서로 네스트한 관계이기 때문에 공유 채널을 효율적으로 나열하여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어느 UE에 대해 비연속으로 할당하는 데이터에 각각 다른 RBG 사이즈를 적용해도 좋다.
도 2에서는, 제1 RBG 세트를 2의 거듭제곱이 되는 RBG 사이즈로 구성하고, 제2 RBG 세트를 X*(2의 거듭제곱)(예를 들면, X=3)이 되는 RBG 사이즈로 구성하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RBG 세트를 구성하는 RBG 사이즈 후보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제1 RBG 세트를 구성하는 RBG 사이즈 후보의 일부와, 제2 RBG 세트를 구성하는 RBG 사이즈 후보의 일부가 중복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1 RBG 세트를 {2, 4, 8, 16}의 RBG 사이즈 후보로 구성하고, 제2 RBG 사이즈를 {2, 3, 6} 또는 {2, 3, 6, 12}의 RBG 사이즈 후보로 구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동일 시간 영역에 공유 채널을 할당할 때에, 복수의 UE에 대해 친화성이 낮은 RBG 사이즈(예를 들면, 어느 UE가 RBG 사이즈 6, 다른 UE가 RBG 사이즈 8)가 선택되면, 공유 채널을 효율적으로 (간극없이) FDM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한편으로, 복수의 UE(예를 들면, 액세스 가능한 대역폭이 다른 UE)가, 동일 RBG 세트에 포함되는 RBG 사이즈를 이용함으로써, UE끼리가 다른 RBG 사이즈를 적용하는 경우라도 공유 채널을 효율적으로 FDM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리소스의 이용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UE는, 적용하는 RBG 사이즈 및/또는 RBG 세트에 관한 정보를 소정 정보(예를 들면,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예를 들면, UE는, 시스템 대역폭(또는, 시스템 대역폭을 구성하는 PRB 수(NRB))에 기초하여 RBG 사이즈 및/또는 RBG 세트를 판단해도 좋다. 혹은, UE는,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는 시스템 정보,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 MAC 시그널링 및 L1 시그널링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RBG 사이즈 및/또는 RBG 세트를 판단해도 좋다.
시스템 대역폭(또는, 시스템 대역폭을 구성하는 RB 수(NRB))은, 시스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값이어도 좋으며,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으로 통지되는 값이어도 좋다.
기지국은, 소정의 시간 영역에 공유 채널의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복수의 UE에 대해, 같은 RBG 세트에 포함되는 RBG 사이즈를 통지하면 된다. UE는, 시스템 대역폭을 구성하는 PRB 수와, RBG 사이즈에 기초하여 하향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RA 필드의 비트 수를 판단해도 좋다.
기지국은, UE에 대해 미리 하나의 RBG 세트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등으로 설정해도 좋으며, 복수의 RBG 세트를 설정해도 좋다. 하나 또는 복수의 RBG 세트를 설정하는 경우, 기지국은, 공유 채널의 할당에 이용하는 RBG 사이즈에 관한 정보를 시스템 정보, RRC 시그널링, MAC 시그널링 및 하향 제어 정보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UE에 통지하면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RB 수가 많고 RBG 사이즈가 작을수록 리소스 할당 필드의 비트 수가 커진다. 리소스 할당 필드의 비트 수가 큰 경우, 리소스 할당은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지만, 하향 제어 정보의 오버헤드가 커진다. 그 때문에, 각 PRB 수에 있어서, 리소스 할당 필드의 비트 수가 소정 값 이하가 되는 RBG 사이즈를 적용하는(비트 수가 소정 값보다 커지는 RBG 사이즈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비트 수의 소정 값으로서는, 예를 들면 25로 해도 좋다.
〈타입 2〉
기지국은, 복수의 RBG 사이즈 후보가 포함되는 RBG 세트 중에서 소정의 RBG 사이즈를 선택하여 하향 제어 채널과 공유 채널의 할당을 제어한다. 각 RBG 세트에는, 리소스 할당 입도의 관점에서 친화성이 높은 RBG 사이즈 후보를 포함시키면 된다. 또, 하향 제어 채널의 리소스 할당 입도와 친화성이 높은 RBG 사이즈 후보를 포함시킨다.
여기서, 하향 제어 채널의 CCE 사이즈는 6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REG)으로 구성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1 REG는, 1 OFDM에 있어서의 1 PRB에 대응한다. 이 경우, 하향 제어 채널의 CCE(PDCCH의 리소스 할당 입도)는, 6 PRB의 배수가 된다. 그 때문에, 하향 제어 채널의 할당 입도(여기서는, 6)가 포함되도록 RBG 세트의 RBG 사이즈 후보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하향 제어 채널과 같은 시간 영역에 할당하는 공유 채널에 적용하는 RBG 세트를 {3, 6, 12}의 RBG 사이즈 후보로 구성하면 된다.
{3, 6, 12}는 서로 네스트(nested)한 관계에 있기 때문에, 복수의 UE가 같은 RBG 세트에 포함되는 같은 RBG 사이즈를 이용하는 경우라도, 공유 채널과 하향 제어 채널을 효율적으로 나열하여 FDM할 수 있다. 또한, 하향 제어 채널의 할당 입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하향 제어 채널(또는, 컨트롤 리소스 세트)이 할당되는 시간 영역에 데이터(DL 공유 채널)를 할당하는 경우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하향 제어 채널이 6 PRB의 배수로 할당되기 때문에, DL 데이터에 대해 제2 RBG 세트에 포함되는 RBG 사이즈 후보 {3, 6, 12}에서 선택한 RBG 사이즈를 적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기지국은, 동일 시간 영역에 하향 제어 채널과 DL 데이터를 스케줄링할 때에, DL 데이터에 제2 RBG 세트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RBG 사이즈를 적용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각 DL 데이터에 적용하는 RBG 사이즈는, 대응하는 UE의 이용 가능한 대여폭, 각 UE에 설정된 통신 대역폭, 혹은 RBG 사이즈를 설정하기 위한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등에 기초하여 결정하면 된다.
여기서는, 하향 제어 채널(또는, 컨트롤 리소스 세트)을 6 PRB로 설정하고, UE#1에 RBG 사이즈 3, UE#2에 RBG 사이즈 3을 적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로 인해, 하향 제어 채널과 데이터를 같은 시간 영역에 할당하는 경우라도, 하향 제어 채널과 데이터의 할당 단위가 서로 네스트한 관계이기 때문에 하향 제어 채널과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나열하여 FDM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RBG 세트를 {3, 6, 12}의 RBG 사이즈 후보로 구성하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RBG 사이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하향 제어 채널의 맵핑 방법에 따라 RBG 세트를 구성하는 RBG 사이즈 후보를 변경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하향 제어 채널의 CCE를 국소적(논 인터리브)으로 맵핑하는 경우와, 분산적(인터리브)으로 맵핑하는 경우, PDCCH의 REG 맵핑의 단위(유닛)가 다르다. 분산적으로 맵핑하는 경우, REG 맵핑 유닛이 2, 3 또는 6이 된다. REG 맵핑 유닛이 2인 경우에는, RBG 세트를 {2, 4, 8, 16}의 RBG 사이즈 후보로 구성해도 좋다. 한편으로, 국소적(논 인터리브)으로 맵핑하는 경우, REG 맵핑 유닛이 6이 되기 때문에, RBG 세트를 {3, 6, 12}의 RBG 사이즈 후보로 구성하면 된다.
이와 같이,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는(예를 들면, 서로 네스트한 관계에 있는) RBG 사이즈 후보에 이용하여 RBG 세트를 정의하고, 같은 시간 영역에 할당하는 공유 채널의 RBG 사이즈를 동일 RBG 세트로부터 선택함으로써, 리소스의 이용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소정 RBG 사이즈의 결정 방법〉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은, UE에 대해 미리 1 이상의 RBG 세트를 시스템 대역폭 및/또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등으로 설정해도 좋다. 하나 또는 복수의 RBG 세트를 설정하는 경우, 기지국은, 공유 채널의 스케줄링에 이용하는 RBG 사이즈에 관한 정보를 시스템 정보, RRC 시그널링, MAC 시그널링 및 하향 제어 정보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도 UE에 통지하면 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RBG 세트로부터 각각 RBG 사이즈 후보를 하나씩 선택(UE에 지정)하고,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공유 채널에 적용되는 소정의 RBG 사이즈 등을 UE가 판단해도 좋다. 이하에, 시스템 대역폭(PRB 수)에 기초하여, 제1 RBG 세트와 제2 RBG 세트로부터 각각 RBG 사이즈 후보를 하나씩 선택하고, 하향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RBG 사이즈를 결정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시스템 대역폭(PRB 수)과, RBG 사이즈와, 하향 제어 정보의 RA 필드의 비트 정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의 일 예이다. 도 4의 테이블에서는, 각 PRB 수에 있어서, 제1 RBG 세트의 RBG 사이즈 후보 {2, 4, 8, 16}과, 제2 RBG 세트의 RBG 사이즈 후보 {3, 6, 12}로부터 하나씩 RBG 사이즈가 선택되도록 RBG 사이즈를 제한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각 PRB에 있어서 선택(또는, 제한)되는 RBG 사이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UE는, 시스템 대역폭(PRB 수)에 기초하여 각 RBG 세트에 포함되는 RBG 사이즈 후보를 하나씩 선택한다. PRB 수에 관한 정보는,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및/또는 시스템 정보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RB 수가 100인 경우, UE는, 제1 RBG 세트에 포함되는 RBG 사이즈 4와, 제2 RBG 세트에 포함되는 RBG 사이즈 6을 선택한다. 또, PRB 수가 200인 경우에는, UE는, 제1 RBG 세트에 포함되는 RBG 사이즈 8과, 제2 RBG 세트에 포함되는 RBG 사이즈 12를 선택한다.
이어서, UE는, 각 RBG 사이즈에 대응되는 하향 제어 정보(DCI 포맷)를 모니터링하고, 검출한 DCI 포맷에 따라 RBG 사이즈를 결정한다. UE는, 결정한 RBG 사이즈가 공유 채널에 적용된다고 상정하여, DL 공유 채널의 수신 및/또는 UL 공유 채널의 송신을 제어한다.
UE는, DCI 포맷이 어느 RBG 사이즈에 대응될지를, 페이로드 사이즈에 기초하여 판단해도 좋다. 예를 들면, DCI의 페이로드가 소정 값보다 큰 경우에 비트 수가 많은 RBG 사이즈를 선택하고, DCI의 페이로드가 소정 미만인 경우에 비트 수가 작은 RBG 사이즈를 선택한다.
혹은, UE는, DCI 포맷이 어느 RBG 사이즈에 대응될지를, DCI가 할당되는 서치 스페이스 및/또는 컨트롤 리소스 세트(CORSET)에 기초하여 판단해도 좋다. 이 경우, 각 RBG 사이즈의 DCI 포맷과, 서치 스페이스 및/또는 컨트롤 리소스 세트와의 대응 관계는 사양으로 미리 정의해도 좋으며, 기지국으로부터 유저 단말에 통지해도 좋다.
혹은, UE는, DCI 포맷이 어느 RBG 사이즈에 대응될지를, DCI에 포함되는 소정 비트(예를 들면, 플래그 비트)에 기초하여 판단해도 좋다.
이와 같이, 다른 RBG 세트로부터 각각 RBG 사이즈 후보를 선택하고, 하향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어느 한 RBG 사이즈 후보를 선택함으로써, RBG 사이즈를 유연하게 변경하여 리소스의 할당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하향 제어 채널 및/또는 공유 채널의 스케줄링을 유연하게 제어하면서 리소스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형태〉
제2 형태는, UL 공유 채널(PUSCH)의 주파수 방향의 할당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 형태에서는, PUSCH 송신에 CP―OFDM 파형(멀티 캐리어 파형)을 적용하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PUSCH 송신에 DFT―s―OFDM 파형(싱글 캐리어 파형)을 적용해도 좋다. 싱글 캐리어 파형을 이용하는 경우, 하나 또는 연속하는 복수의 PRB를 이용하여 PUSCH를 송신한다.
도 5는, PUSCH에 싱글 캐리어 파형을 적용하는 경우에, 대역폭(PRB 수)과 하향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리소스 할당(RA) 필드의 비트 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여기서는, PUSCH에 연속하는 리소스 할당(contiguous resource allocation)을 적용하고, PRB 수마다 RA 필드의 비트 사이즈를 고정적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PRB 수에 따라 미리 RA 필드의 비트 사이즈를 고정적으로 정의함으로써, 유저 단말의 블라인드 검출 제어에 있어서, 고정의 페이로드의 DCI에 대해 블라인드 복호하면 좋아지기 때문에, 단말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제3 형태〉
제3 형태는, 복수의 DCI(DCI 포맷)를 이용하여 공유 채널의 리소스 할당을 제어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NR에 있어서, CP―OFDM 파형의 주파수 리소스 할당은, 큰 리소스 할당과 작은 리소스 할당을 동적으로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소정의 슬롯에 있어서 시스템 대역 전체(또는 거의 전체)의 스케줄링이 수행된 후, 다음의 슬롯에 있어서 하나 또는 적은 수의 PRB의 스케줄링이 수행되는 케이스도 서포트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CP―OFDM 파형을 적용하는 공유 채널에 대해, RBG 단위(RBG 레벨)의 비트맵 리소스 할당만 서포트하는 경우, 리소스 할당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넓게 하는 것(예를 들면, 대역폭 전체로부터 하나 또는 몇 PRB의 할당)은 어려워진다. 예를 들면, 시스템 대역폭의 PRB 수가 275인 경우, RA 필드의 비트 수를 소정 값(예를 들면, 25 이하)으로 하는 경우, RBG 사이즈는 12 및/또는 16이 선택된다. 그 때문에, 1 또는 몇 PRB 단위로 할당을 제어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제3 형태에서는, UE가, 다른 리소스 할당 타입 및/또는 다른 RBG 사이즈가 각각 설정된 복수의 DCI 포맷을 모니터한다. 예를 들면, UE는, RBG 레벨의 비트맵이 규정된 RA 필드를 포함하는 DCI 포맷에 더해, 연속하는 리소스 할당(contiguous resource allocation)의 지정에 이용하는 RA 필드를 포함하는 DCI 포맷을 모니터한다. 연속하는 리소스 할당(contiguous resource allocation)의 지정에 이용하는 RA 필드는, DFT―s―OFDM 파형에서 이용하는 RA 필드와 같은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UE는 페이로드 사이즈가 다른 복수의 DCI 포맷을 모니터하면 된다. 페이로드 사이즈가 다른 DCI 포맷은, 다른 컨트롤 리소스 세트에서 각각 송신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컨트롤 리소스 세트마다 UE가 모니터하는 PDCCH 후보 수를 각각 설정해도 좋다.
다른 컨트롤 리소스 세트에 있어서 페이로드 사이즈 등이 다른 DCI 포맷을 송신함으로써, UE는 컨트롤 리소스 세트마다 소정의 페이로드 사이즈의 DCI 포맷을 선택적으로 모니터하면 된다. 그 때문에, 컨트롤 리소스 세트마다 UE가 모니터해야 하는 PDCCH 후보 수 등을 제어함으로써, UE의 블라인드 복호 횟수가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RBG 단위의 리소스 할당을 지시하는 RA 필드를 포함하는 DCI와는 별도로, 다른 리소스 할당(예를 들면, 다른 RBG 단위의 리소스 할당, 또는 연속하는 리소스 할당)을 지시하는 RA 필드를 포함하는 DCI를 이용하여 공유 채널의 할당을 제어함으로써, 대역폭(PRB 수)이 넓은 경우라도 리소스 할당을 유연하게 제어할 수 있다.
(무선통신시스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각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통신이 수행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개략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LTE 시스템의 시스템 대역폭(예를 들면, 20 MHz)을 1 단위로 하는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컴포넌트 캐리어)을 일체로 한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 및/또는 듀얼 커넥티비티(DC)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시스템(1)은,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LTE-B(LTE-Beyond), SUPER3 3G, IMT-Advanced, 4G(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G(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NR(New Radio), FRA(Future Radio Access), New-RAT(Radio Access Technology) 등이라 불려도 좋으며, 이들을 실현하는 시스템이라 불려도 좋다.
무선통신시스템(1)은, 비교적 커버리지가 넓은 매크로 셀(C1)을 형성하는 무선기지국(11)과, 매크로 셀(C1) 내에 배치되고, 매크로 셀(C1)보다도 좁은 스몰 셀(C2)을 형성하는 무선기지국(12(12a-12c))을 구비하고 있다. 또, 매크로 셀(C1) 및 각 스몰 셀(C2)에는, 유저 단말(20)이 배치되어 있다. 각 셀 및 유저 단말(20)의 배치, 수 등은, 도에 도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저 단말(20)은, 무선기지국(11) 및 무선기지국(12)의 쌍방에 접속할 수 있다. 유저 단말(20)은, 매크로 셀(C1) 및 스몰 셀(C2)을, CA 또는 DC에 의해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상정된다. 또, 유저 단말(20)은, 복수의 셀(CC)(예를 들면, 5개 이하의 CC, 6개 이상의 CC)을 이용하여 CA 또는 DC를 적용해도 좋다.
유저 단말(20)과 무선기지국(11)과의 사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 대역(예를 들면, 2 GHz)으로 대역폭이 좁은 캐리어(기존 캐리어, legacy carrier 등이라고도 불린다)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유저 단말(20)과 무선기지국(12)과의 사이는,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 대역(예를 들면, 3.5 GHz, 5 GHz 등)으로 대역폭이 넓은 캐리어가 이용되어도 좋으며, 무선기지국(11)과의 사이와 같은 캐리어가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각 무선기지국이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유저 단말(20)은, 각 셀에서, 시분할 이중통신(TDD: Time Division Duplex) 및/또는 주파수 분할 이중통신(FDD: Frequency Division Duplex)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 각 셀(캐리어)에서는, 단일의 수비학이 적용되어도 좋으며, 다른 복수의 수비학이 적용되어도 좋다.
무선기지국(11)과 무선기지국(12)과의 사이(또는, 2개의 무선기지국(12) 사이)는, 유선(예를 들면,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에 준거한 광섬유, X2 인터페이스 등) 또는 무선에 의해 접속되어도 좋다.
무선기지국(11) 및 각 무선기지국(12)은, 각각 상위국 장치(30)에 접속되고, 상위국 장치(30)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40)에 접속된다. 또한, 상위국 장치(30)에는, 예를 들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RNC), 모빌리티 매니지먼트 엔티티(MME)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 각 무선기지국(12)은, 무선기지국(11)을 통해 상위국 장치(30)에 접속되어도 좋다.
또한, 무선기지국(11)은, 상대적으로 넓은 커버리지를 갖는 무선기지국이며, 매크로 기지국, 집약 노드, eNB(eNodeB), 송수신 포인트,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무선기지국(12)은, 국소적인 커버리지를 갖는 무선기지국이며, 스몰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 피코 기지국, 펨토 기지국, HeNB(Home eNodeB), RRH(Remote Radio Head), 송수신 포인트 등이라 불려도 좋다. 이하, 무선기지국(11 및 12)을 구별하지 않는 경우는, 무선기지국(10)이라 총칭한다.
각 유저 단말(20)은, LTE, LTE-A 등의 각종 통신 방식에 대응된 단말이며, 이동 통신 단말(이동국)뿐 아니라 고정 통신 단말(고정국)을 포함해도 좋다.
무선통신시스템(1)에 있어서는,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 링크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이 적용되고, 상향 링크에 싱글 캐리어-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SC-FDM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및/또는 OFDMA가 적용된다.
OFDMA는, 주파수 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 대역(서브 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서브 캐리어에 데이터를 맵핑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멀티 캐리어 전송 방식이다. SC-FDMA는, 시스템 대역폭을 단말마다 하나 또는 연속한 리소스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대역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단말이 서로 다른 대역을 이용함으로써, 단말 간의 간섭을 저감하는 싱글 캐리어 전송 방식이다. 또한, 상향 및 하향의 무선 액세스 방식은, 이들의 조합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무선 액세스 방식이 이용되어도 좋다.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하향 링크의 채널로서, 각 유저 단말(20)에서 공유되는 하향 공유 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 하향 L1/L2 제어 채널 등이 이용된다. PDSCH에 의해, 유저 데이터, 상위 레이어 제어 정보, SIB(System Information Block) 등이 전송된다. 또, PBCH에 의해, MIB(Master Information Block)가 전송된다.
하향 L1/L2 제어 채널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등을 포함한다. PDCCH에 의해, PDSCH 및/또는 PUSCH의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등이 전송된다.
또한, DCI에 의해 스케줄링 정보가 통지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DL 데이터 수신을 스케줄링하는 DCI는, DL 어사인먼트라 불려도 좋으며, UL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DCI는, UL 그랜트라 불려도 좋다.
PCFICH에 의해, PDCCH에 이용하는 OFDM 심벌 수가 전송된다. PHICH에 의해, PUSCH에 대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의 송달 확인 정보(예를 들면, 재송 제어 정보, HARQ-ACK, ACK/NACK 등이라고도 한다)가 전송된다. EPDCCH는, PDSCH(하향 공유 데이터 채널)과 주파수 분할 다중되고, PDCCH와 마찬가지로 DCI 등의 전송에 이용된다.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상향 링크의 채널로서, 각 유저 단말(20)에서 공유되는 상향 공유 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상향 제어 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등이 이용된다. PUSCH에 의해, 유저 데이터, 상위 레이어 제어 정보 등이 전송된다. 또, PUCCH에 의해, 하향 링크의 무선 품질 정보(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송달 확인 정보, 스케줄링 리퀘스트(SR: Scheduling Request) 등이 전송된다. PRACH에 의해, 셀과의 접속 확립을 위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이 전송된다.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하향 참조 신호로서, 셀 고유 참조 신호(CRS: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 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복조용 참조 신호(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위치 결정 참조 신호(PRS: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등이 전송된다. 또,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상향 참조 신호로서, 측정용 참조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 복조용 참조 신호(DMRS) 등이 전송된다. 또한, DMRS는 유저 단말 고유 참조 신호(UE-specific Reference Signal)라 불려도 좋다. 또, 전송되는 참조 신호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기지국)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무선기지국(10)은,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101)와, 앰프부(102)와, 송수신부(103)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와, 호 처리부(105)와,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송수신 안테나(101), 앰프부(102), 송수신부(103)는, 각각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면 된다.
하향 링크에 의해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 유저 단말(20)로 송신되는 유저 데이터는, 상위국 장치(30)로부터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서는, 유저 데이터에 관해,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레이어의 처리, 유저 데이터의 분할·결합, RLC(Radio Link Control) 재송 제어 등의 RLC 레이어의 송신 처리, MAC(Medium Access Control) 재송 제어(예를 들면, HARQ의 송신 처리), 스케줄링, 전송 포맷 선택, 채널 부호화, 역고속 푸리에 변환(IFFT: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 프리코딩 처리 등의 송신 처리가 수행되어 송수신부(103)에 전송된다. 또, 하향 제어 신호에 관해서도, 채널 부호화, 역고속 푸리에 변환 등의 송신 처리가 수행되어, 송수신부(103)에 전송된다.
송수신부(103)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로부터 안테나마다 프리코딩하여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 주파수대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송수신부(103)에서 주파수 변환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앰프부(102)에 의해 증폭되고, 송수신 안테나(101)로부터 송신된다. 송수신부(103)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트랜스미터/레시버, 송수신 회로 또는 송수신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03)는, 일체의 송수신부로서 구성되어도 좋으며, 송신부 및 수신부로 구성되어도 좋다.
한편, 상향 신호에 대해서는, 송수신 안테나(101)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앰프부(102)에서 증폭된다. 송수신부(103)는 앰프부(102)에서 증폭된 상향 신호를 수신한다. 송수신부(103)는, 수신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주파수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로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서는, 입력된 상향 신호에 포함되는 유저 데이터에 대해, 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 역이산 푸리에 변환(IDFT: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처리, 오류 정정 복호, MAC 재송 제어의 수신 처리, RLC 레이어 및 PDCP 레이어의 수신 처리가 이루어지고,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상위국 장치(30)로 전송된다. 호 처리부(105)는, 통신 채널의 호 처리(설정, 해방 등)나, 무선기지국(10)의 상태 관리, 무선리소스의 관리 등을 수행한다.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위국 장치(3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는, 기지국 간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에 준거한 광섬유,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무선기지국(10)과 신호를 송수신(백홀 시그널링)해도 좋다.
송수신부(103)는, 소정의 송신 단위(예를 들면, RBG 단위)로 리소스에 할당되는 DL 데이터(DL 공유 채널) 및 하향 제어 정보(PDCCH)를 송신한다. 또, 송수신부(103)는, 소정의 송신 단위(예를 들면, RBG 단위)로 리소스에 할당되는 UL 데이터(UL 공유 채널)를 수신한다. 또, 송수신부(103)는, UE가 RBG 사이즈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한다. 예를 들면, 송수신부(103)는, UL 및/또는 DL 시스템 대역에 관한 정보(NRB UL 및/또는 NRB DL), RBG 사이즈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시스템 정보,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 MAC 시그널링 및 L1 시그널링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송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본 예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특징 부분의 기능 블록을 주로 나타내고 있으며, 무선기지국(10)은, 무선통신에 필요한 다른 기능 블록도 갖고 있는 것으로 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는, 제어부(스케줄러)(301)와, 송신신호 생성부(302)와, 맵핑부(303)와, 수신신호 처리부(304)와, 측정부(305)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구성은, 무선기지국(10)에 포함되어 있으면 되며, 일부 또는 전부의 구성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 포함되지 않아도 좋다.
제어부(스케줄러)(301)는, 무선기지국(10) 전체의 제어를 실시한다. 제어부(301)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컨트롤러, 제어 회로 또는 제어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301)는, 예를 들면, 송신신호 생성부(302)에 의한 신호의 생성, 맵핑부(303)에 의한 신호의 할당 등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301)는, 수신신호 처리부(304)에 의한 신호의 수신 처리, 측정부(305)에 의한 신호의 측정 등을 제어한다.
제어부(301)는, 시스템 정보, 하향 데이터 신호(예를 들면, PDSCH에서 송신되는 신호), 하향 제어 신호(예를 들면, PDCCH 및/또는 EPDCCH에서 송신되는 신호, 송달 확인 정보 등)의 스케줄링(예를 들면, 리소스 할당)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301)는, 상향 데이터 신호에 대한 재송 제어의 필요 여부를 판정한 결과 등에 기초하여, 하향 제어 신호, 하향 데이터 신호 등의 생성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301)는, 동기 신호(예를 들면,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하향 참조 신호(예를 들면, CRS, CSI-RS, DMRS) 등의 스케줄링의 제어를 수행한다.
또, 제어부(301)는, 상향 데이터 신호(예를 들면, PUSCH에서 송신되는 신호), 상향 제어 신호(예를 들면, PUCCH 및/또는 PUSCH에서 송신되는 신호, 송달 확인 정보 등),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예를 들면, PRACH에서 송신되는 신호), 상향 참조 신호 등의 스케줄링을 제어한다.
제어부(301)는, 동일 시간 영역에 할당하는 복수의 공유 채널에 대해, 동일한 RBG 세트(RBG 그룹)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RBG 사이즈 후보를 적용하여 할당(스케줄링)을 제어한다. 또, 동일 시간 영역에 하향 제어 채널과 하향 공유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경우, 하향 제어 채널의 할당 입도를 고려한 RBG 사이즈 후보가 포함되는 RBG 세트로부터 소정 RBG 사이즈를 적용하여 하향 공유 채널의 할당을 제어한다.
송신신호 생성부(302)는, 제어부(3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하향 신호(하향 제어 신호, 하향 데이터 신호, 하향 참조 신호 등)를 생성하여, 맵핑부(303)로 출력한다. 송신신호 생성부(30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생성기, 신호 생성 회로 또는 신호 생성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송신신호 생성부(302)는, 예를 들면, 제어부(3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하향 데이터의 할당 정보를 통지하는 DL 어사인먼트 및/또는 상향 데이터의 할당 정보를 통지하는 UL 그랜트를 생성한다. DL 어사인먼트 및 UL 그랜트는, 모두 DCI이며, 대응되는 DCI 포맷에 따른다. 또, 하향 데이터 신호에는, 각 유저 단말(20)로부터의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 등에 기초하여 결정된 부호화율, 변조 방식 등에 따라 부호화 처리, 변조 처리가 수행된다.
맵핑부(303)는, 제어부(3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송신신호 생성부(302)에서 생성된 하향 신호를, 소정의 무선 리소스에 맵핑하여, 송수신부(103)로 출력한다. 맵핑부(303)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맵퍼, 맵핑 회로 또는 맵핑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수신신호 처리부(304)는, 송수신부(103)로부터 입력된 수신 신호에 대해, 수신 처리(예를 들면, 디맵핑, 복조, 복호 등)를 수행한다. 여기서, 수신 신호는, 예를 들면, 유저 단말(20)로부터 송신되는 상향 신호(상향 제어 신호, 상향 데이터 신호, 상향 참조 신호 등)이다. 수신신호 처리부(30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처리기, 신호 처리 회로 또는 신호 처리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수신신호 처리부(304)는, 수신 처리에 의해 복호된 정보를 제어부(301)로 출력한다. 예를 들면, HARQ-ACK를 포함하는 PUCCH을 수신한 경우, HARQ-ACK를 제어부(301)로 출력한다. 또, 수신신호 처리부(304)는, 수신신호 및/또는 수신 처리 후의 신호를, 측정부(305)로 출력한다.
측정부(305)는, 수신한 신호에 관한 측정을 실시한다. 측정부(30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측정기, 측정 회로 또는 측정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부(305)는,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측정,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측정 등을 수행해도 좋다. 측정부(305)는, 수신 전력(예를 들면,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수신 품질(예를 들면,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신호 강도(예를 들면,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전파로 정보(예를 들면, CSI) 등에 대해 측정해도 좋다. 측정 결과는, 제어부(301)로 출력되어도 좋다.
(유저 단말)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 단말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유저 단말(20)은,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201)와, 앰프부(202)와, 송수신부(203)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와, 애플리케이션부(20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송수신 안테나(201), 앰프부(202), 송수신부(203)는, 각각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면 된다.
송수신 안테나(201)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앰프부(202)에서 증폭된다. 송수신부(203)는, 앰프부(202)에서 증폭된 하향 신호를 수신한다. 송수신부(203)는, 수신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주파수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로 출력한다. 송수신부(203)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트랜스미터/레시버, 송수신 회로 또는 송수신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203)는, 일체의 송수신부로서 구성되어도 좋으며, 송신부 및 수신부로 구성되어도 좋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는, 입력된 베이스밴드 신호에 대해, FFT 처리, 오류 정정 복호, 재송 제어의 수신 처리 등을 수행한다. 하향 링크의 유저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부(205)로 전송된다. 애플리케이션부(205)는, 물리 레이어나 MAC 레이어보다 상위의 레이어에 관한 처리 등을 수행한다. 또, 하향 링크의 데이터 중 브로드캐스트 정보도 애플리케이션부(205)로 전송되어도 좋다.
한편, 상향 링크의 유저 데이터에 대해서는, 애플리케이션부(205)로부터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로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에서는, 재송 제어의 송신 처리(예를 들면, HARQ의 송신 처리), 채널 부호화, 프리코딩, 이산 푸리에 변환(DFT: Discrete Fourier Transform) 처리, IFFT 처리 등이 이루어져 송수신부(203)로 전송된다. 송수신부(203)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로부터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 주파수대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송수신부(203)에서 주파수 변환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앰프부(202)에 의해 증폭되고, 송수신 안테나(201)로부터 송신된다.
송수신부(203)는, 소정의 송신 단위(예를 들면, RBG 단위)로 리소스에 할당되는 DL 데이터(DL 공유 채널) 및 하향 제어 정보(PDCCH)를 수신한다. 또, 송수신부(203)는, 소정의 송신 단위(예를 들면, RBG 단위)로 리소스에 할당되는 UL 데이터(UL 공유 채널)를 송신한다. 또, 송수신부(203)는, 공유 채널에 적용되는 RBG 사이즈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송수신부(203)는, UL 및/또는 DL 시스템 대역에 관한 정보(NRB UL 및/또는 NRB DL), RBG 사이즈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시스템 정보,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 MAC 시그널링 및 L1 시그널링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 단말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특징 부분의 기능 블록을 주로 나타내고 있으며, 유저 단말(20)은, 무선 통신에 필요한 다른 기능 블록도 갖고 있는 것으로 한다.
유저 단말(20)이 갖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는, 제어부(401)와, 송신신호 생성부(402)와, 맵핑부(403)와, 수신신호 처리부(404)와, 측정부(405)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구성은, 유저 단말(20)에 포함되어 있으면 되며, 일부 또는 전부의 구성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에 포함되지 않아도 좋다.
제어부(401)는, 유저 단말(20) 전체의 제어를 실시한다. 제어부(401)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컨트롤러, 제어 회로 또는 제어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401)는, 예를 들면, 송신신호 생성부(402)에 있어서의 신호의 생성, 맵핑부(403)에 있어서의 신호의 할당 등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401)는, 수신신호 처리부(404)에 있어서의 신호의 수신 처리, 측정부(405)에 있어서의 신호의 측정을 제어한다.
제어부(401)는,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 송신된 하향 제어 신호 및 하향 데이터 신호를, 수신신호 처리부(404)로부터 취득한다. 제어부(401)는, 하향 제어 신호 및/또는 하향 데이터 신호에 대한 재송 제어의 필요여부를 판정한 결과 등에 기초하여, 상향 제어 신호 및/또는 상향 데이터 신호의 생성을 제어한다.
제어부(401)는, 하향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리소스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리소스 블록 그룹(RBG) 단위로 DL 공유 채널 및/또는 UL 공유 채널의 할당을 판단한다. 또, RBG의 사이즈로서 복수의 RBG 사이즈 후보가 정의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401)는,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RBG 사이즈 후보 중 일부의 RBG 사이즈 후보로 구성되는 소정 세트 중에서 소정의 RBG 사이즈를 선택하여 공유 채널의 할당을 판단한다.
또, 제어부(401)는, 소정의 RBG 사이즈와 시스템 대역폭에 기초하여, 하향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리소스 할당 정보의 비트 수를 판단해도 좋다.
소정 세트는, {2, 4, 8, 16}의 적어도 하나의 RBG 사이즈 후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제1 세트, 및/또는 {3, 6, 12}의 적어도 하나의 RBG 사이즈 후보를 포함하는 제2 세트여도 좋다. 제어부(401)는,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세트와 제2 세트로부터 각각 RBG 사이즈 후보를 적어도 하나씩 선택하고, 각 RBG 사이즈 후보에 대응되는 하향 제어 정보의 모니터를 제어해도 좋다. 제어부(401)는, 하향 제어 정보와 같은 시간 영역에 할당되는 DL 공유 채널의 할당에 대해 제2 세트에 포함되는 RBG 사이즈 후보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된다고 상정해도 좋다.
송신신호 생성부(402)는, 제어부(4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향 신호(상향 제어 신호, 상향 데이터 신호, 상향 참조 신호 등)를 생성하여, 맵핑부(403)로 출력한다. 송신신호 생성부(40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생성기, 신호 생성 회로 또는 신호 생성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송신신호 생성부(402)는, 예를 들면, 제어부(4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송달 확인 정보, 채널 상태 정보(CSI) 등에 관한 상향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 송신신호 생성부(402)는, 제어부(4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향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송신신호 생성부(402)는,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 통지되는 하향 제어 신호에 UL 그랜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제어부(401)로부터 상향 데이터 신호의 생성을 지시받는다.
맵핑부(403)는, 제어부(4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송신신호 생성부(402)에서 생성된 상향 신호를 무선 리소스에 맵핑하여, 송수신부(203)로 출력한다. 맵핑부(403)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맵퍼, 맵핑 회로 또는 맵핑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송수신부(203)로부터 입력된 수신 신호에 대해, 수신 처리(예를 들면, 디맵핑, 복조, 복호 등)를 수행한다. 여기서, 수신 신호는, 예를 들면,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 송신되는 하향 신호(하향 제어 신호, 하향 데이터 신호, 하향 참조 신호 등)이다.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처리기, 신호 처리 회로 또는 신호 처리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부를 구성할 수 있다.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수신 처리에 의해 복호된 정보를 제어부(401)로 출력한다.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예를 들면, 브로드캐스트 정보, 시스템 정보, RRC 시그널링, DCI 등을, 제어부(401)로 출력한다. 또,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수신 신호 및/또는 수신 처리 후의 신호를, 측정부(405)로 출력한다.
측정부(405)는, 수신한 신호에 관한 측정을 실시한다. 측정부(40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측정기, 측정 회로 또는 측정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부(405)는,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RRM 측정, CSI 측정 등을 수행해도 좋다. 측정부(405)는, 수신 전력(예를 들면, RSRP), 수신 품질(예를 들면, RSRQ, SINR, SNR), 신호 강도(예를 들면, RSSI), 전파로 정보(예를 들면, CSI) 등에 대해 측정해도 좋다. 측정 결과는, 제어부(401)로 출력되어도 좋다.
(하드웨어 구성)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블록도는, 기능 단위의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기능 블록(구성부)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또, 각 기능 블록의 실현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각 기능 블록은,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으로 결합한 하나의 장치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으며,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으로 분리한 2개 이상의 장치를 직접적 및/또는 간접적(예를 들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하고, 이들 복수의 장치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기지국, 유저 단말 등은, 본 발명의 무선 통신 방법의 처리를 수행하는 컴퓨터로서 기능해도 좋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 및 유저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상술한 무선기지국(10) 및 유저 단말(20)은, 물리적으로는,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스토리지(1003), 통신장치(1004), 입력장치(1005), 출력장치(1006), 버스(1007)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장치'라는 문언은, 회로, 디바이스, 유닛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무선기지국(10) 및 유저 단말(20)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면에 도시한 각 장치를 하나 또는 복수 포함하도록 구성되어도 좋으며, 일부의 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는 하나만 도시되어 있지만, 복수의 프로세서가 있어도 좋다. 또, 처리는,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도 좋으며, 처리가 동시에, 축차적으로, 또는 그 외의 수법으로, 1 이상의 프로세서로 실행되어도 좋다. 또한, 프로세서(1001)는, 1 이상의 칩으로 실장되어도 좋다.
무선기지국(10) 및 유저 단말(20)에 있어서의 각 기능은,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등의 하드웨어 상에 소정의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읽어들임으로써, 프로세서(1001)가 연산을 수행하고, 통신장치(1004)에 의한 통신을 제어하거나, 메모리(1002) 및 스토리지(1003)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독출 및/또는 쓰기를 제어하거나 함으로써 실현된다.
프로세서(1001)는, 예를 들면,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동작시켜 컴퓨터 전체를 제어한다. 프로세서(100)는, 주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제어장치, 연산장치, 레지스터 등을 포함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술한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204)), 호 처리부(105) 등은, 프로세서(1001)에서 실현되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는,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데이터 등을, 스토리지(1003) 및/또는 통신장치(1004)로부터 메모리(1002)에 독출하고, 이들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프로그램으로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유저 단말(20)의 제어부(401)는, 메모리(1002)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001)에서 동작하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고, 다른 기능 블록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실현되어도 좋다.
메모리(1002)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PROM), RAM(Random Access Memory), 그 외의 적절한 기억매체의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도 좋다. 메모리(1002)는, 레지스터, 캐시, 메인 메모리(주기억장치) 등이라 불려도 좋다. 메모리(100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003)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플렉서블 디스크, 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예를 들면, 콤팩트디스크(CD-ROM(Compact Disc ROM) 등),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 Blu-ray(등록 상표) 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스마트카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자기테이프, 데이터베이스, 서버, 그 외의 적절한 기억매체의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도 좋다. 스토리지(1003)는, 보조기억장치라 불려도 좋다.
통신장치(1004)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송수신 디바이스)이며, 예를 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 네트워크 컨트롤러, 네트워크 카드, 통신 모듈 등이라고도 한다. 통신장치(1004)는, 예를 들면 주파수 분할 이중통신(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및/또는 시분할 이중통신(TDD: Time Division Duplex)을 실현하기 위해, 고주파 스위치, 듀플렉서, 필터, 주파수 신시사이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술한 송수신 안테나(101(201)), 앰프부(102(202)), 송수신부(103(203)), 전송로 인터페이스(106) 등은, 통신장치(1004)로 실현되어도 좋다.
입력장치(1005)는,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받는 입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스위치, 버튼, 센서 등)이다. 출력장치(1006)는, 외부로의 출력을 실시하는 출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스피커, LED(Light Emitting Diode) 램프 등)이다. 또한, 입력장치(1005) 및 출력장치(1006)는, 일체로 된 구성(예를 들면, 터치패널)이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등의 각 장치는,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버스(1007)로 접속된다. 버스(1007)는, 단일의 버스로 구성되어도 좋으며, 장치 간에 다른 버스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무선기지국(10) 및 유저 단말(20)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고,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각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체가 실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는, 이들의 하드웨어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실장되어도 좋다.
(변형 예)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용어 및/또는 본 명세서의 이해에 필요한 용어에 대해서는, 동일한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갖는 용어와 치환해도 좋다. 예를 들면, 채널 및/또는 심벌은 신호(시그널링)이어도 좋다. 또, 신호는 메시지여도 좋다. 참조 신호는, RS(Reference Signal)이라 약칭할 수 있고, 적용되는 표준에 의해 파일럿(Pilot), 파일럿 신호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컴포넌트 캐리어(CC: Component Carrier)는, 셀, 주파수 캐리어, 캐리어 주파수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무선 프레임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기간(프레임)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는 해당 하나 또는 복수의 각 기간(프레임)은, 서브 프레임이라 불려도 좋다. 또한,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슬롯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서브 프레임은, 수비학에 의존하지 않는 고정의 시간 길이(예를 들면, 1 ms)이어도 좋다.
또한, 슬롯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벌 등)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슬롯은, 수비학에 기초하는 시간 단위여도 좋다. 또, 슬롯은, 복수의 미니 슬롯을 포함해도 좋다. 각 미니 슬롯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미니 슬롯은, 서브 슬롯이라 불려도 좋다.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벌은, 모두 신호를 전송할 때의 시간 단위를 나타낸다.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벌은, 각각에 대응되는 다른 호칭이 이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1 서브 프레임이 송신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불려도 좋으며, 복수의 연속된 서브 프레임이 TTI라 불려도 좋으며, 1 슬롯 또는 1 미니 슬롯이 TTI라 불려도 좋다. 즉, 서브 프레임 및/또는 TTI는, 기존의 LTE에 있어서의 서브 프레임(1 ms)이어도 좋으며, 1 ms보다 짧은 기간(예를 들면, 1-13 심벌)이어도 좋으며, 1 ms보다 긴 기간이어도 좋다. 또한, TTI를 나타내는 단위는, 서브 프레임이 아니라 슬롯, 미니 슬롯 등이라 불려도 좋다.
여기서, TTI는, 예를 들면, 무선통신에 있어서의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를 말한다. 예를 들면, LTE 시스템에서는, 무선기지국이 각 유저 단말에 대해, 무선 리소스(각 유저 단말에 있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주파수 대역폭이나 송신전력 등)을, TTI 단위로 할당하는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또한, TTI의 정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TI는, 채널 부호화된 데이터 패킷(트랜스포트 블록), 코드 블록, 및/또는 코드워드의 송신 시간 단위여도 좋으며, 스케줄링, 링크 어댑테이션 등의 처리 단위가 되어도 좋다. 또한, TTI가 부여되었을 때, 실제로 트랜스포트 블록, 코드 블록, 및/또는 코드워드가 맵핑되는 시간 구간(예를 들면, 심벌 수)은, 해당 TTI보다도 짧아도 좋다.
또한, 1 슬롯 또는 1 미니 슬롯이 TTI라 불리는 경우, 1 이상의 TTI(즉, 1 이상의 슬롯 또는 1 이상의 미니 슬롯)가,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가 되어도 좋다. 또, 해당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를 구성하는 슬롯 수(미니 슬롯 수)는 제어되어도 좋다.
1 ms의 시간 길이를 갖는 TTI를, 통상 TTI(LTE Rel.8-12에 있어서의 TTI), 노멀 TTI, 롱 TTI, 통상 서브 프레임, 노멀 서브 프레임, 또는 롱 서브 프레임 등이라 불러도 좋다. 통상 TTI보다 짧은 TTI는, 단축 TTI, 쇼트 TTI, 부분 TTI(partial 또는 fractional TTI), 단축 서브 프레임, 쇼트 서브 프레임, 미니 슬롯, 또는, 서브 슬롯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한, 롱 TTI(예를 들면, 통상 TTI, 서브 프레임 등)는, 1 ms를 초과하는 시간 길이를 갖는 TTI로 대체해도 좋으며, 쇼트 TTI(예를 들면, 단축 TTI 등)는, 롱 TTI의 TTI 길이 미만 그리고 1 ms 이상의 TTI 길이를 갖는 TTI로 대체해도 좋다.
리소스 블록(RB: Resource Block)은,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의 리소스 할당 단위이며,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연속된 부반송파(서브 캐리어(subcarrier))를 포함해도 좋다. 또, RB는,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을 포함해도 좋으며, 1 슬롯, 1 미니 슬롯, 1 서브 프레임 또는 1TTI의 길이어도 좋다. 1TTI, 1 서브 프레임은,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블록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하나 또는 복수의 RB는, 물리 리소스 블록(PRB: Physical RB), 서브 캐리어 그룹(SCG: Sub-Carrier Group),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REG: Resource Element Group), PRB 페어, RB 페어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리소스 블록은,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엘리먼트(RE: Resource Element)로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1 RE는, 1 서브 캐리어 및 1 심벌의 무선 리소스 영역이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벌 등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다. 예를 들면,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 프레임의 수, 서브 프레임 또는 무선 프레임당의 슬롯의 수, 슬롯 내에 포함되는 미니 슬롯의 수, 슬롯 또는 미니 슬롯에 포함되는 심벌 및 RB의 수, RB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수, 및 TTI 내의 심벌 수, 심벌 길이, 사이클릭 프리픽스(CP: Cyclic Prefix) 길이 등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정보, 파라미터 등은, 절대값으로 나타내어져도 좋으며, 소정의 값으로의 상대값으로 나타내어져도 좋으며, 대응되는 다른 정보로 나타내어져도 좋다. 예를 들면, 무선 리소스는, 소정의 인덱스로 지시되는 것이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파라미터 등에 사용하는 명칭은, 어떠한 점에 있어서도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다양한 채널(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 및 정보 요소는, 모든 바람직한 명칭에 의해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다양한 채널 및 정보 요소에 할당하고 있는 다양한 명칭은, 어떠한 점에 있어서도 한정적인 명칭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정보, 신호 등은, 다양한 다른 기술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표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설명 전체에 걸쳐 언급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 커맨드, 정보, 신호, 비트, 심벌, 칩 등은, 전압, 전류, 전자파, 자계 혹은 자성 입자, 빛의 장 혹은 광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되어도 좋다.
또, 정보, 신호 등은, 상위 레이어로부터 하위 레이어, 및/또는 하위 레이어로부터 상위 레이어로 출력될 수 있다. 정보, 신호 등은,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입출력되어도 좋다.
입출력된 정보, 신호 등은, 특정한 장소(예를 들면, 메모리)에 저장되어도 좋으며, 관리 테이블에서 관리해도 좋다. 입출력되는 정보, 신호 등은, 덮어쓰기, 갱신 또는 추기가 될 수 있다. 출력된 정보, 신호 등은, 삭제되어도 좋다. 입력된 정보, 신호 등은, 다른 장치로 송신되어도 좋다.
정보의 통지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형태/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수행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정보의 통지는,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하향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상향 제어 정보(UCI: Uplink Control Information)),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정보(마스터 정보 블록(MIB: Master Information Block), 시스템 정보 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 등), MAC(Medium Access Control) 시그널링), 그 외의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시되어도 좋다.
또한,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은, L1/L2(Layer 1/Layer 2) 제어 정보(L1/L2 제어 신호), L1 제어 정보(L1 제어 신호)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RRC 시그널링은, RRC 메시지라 불려도 좋으며, 예를 들면, RRC 접속 셋업(RRCConnectionSetup) 메시지, RRC 접속 재구성(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 등이어도 좋다. 또, MAC 시그널링은, 예를 들면, MAC 제어 요소(MAC CE(Control Element))를 이용하여 통지되어도 좋다.
또, 소정의 정보의 통지(예를 들면, 'X인 것'의 통지)는, 명시적인 통지에 한정되지 않으며, 암시적(예를 들면, 해당 소정의 정보의 통지를 수행하지 않는 것에 의해 또는 다른 정보의 통지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판정은, 1 비트로 표현되는 값(0인지 1인지)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으며, 진(true) 또는 위(false)로 표현되는 진위 값(boolean)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으며, 수치의 비교(예를 들면, 소정의 값과의 비교)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 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라 불리든, 다른 명칭으로 불리든 상관없이, 명령, 명령 세트, 코드, 코드 세그먼트,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서브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모듈,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패키지, 루틴, 서브 루틴, 오브젝트, 실행 가능 파일, 실행 스레드, 수순, 기능 등을 의미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또, 소프트웨어, 명령, 정보 등은, 전송 매체를 통해 송수신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가, 유선 기술(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Digital Subscriber Line) 등) 및/또는 무선 기술(적외선, 마이크로파 등)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리모트 소스로부터 송신되는 경우, 이들의 유선 기술 및/또는 무선 기술은, 전송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시스템' 및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기지국(BS: Base Station)', '무선기지국', 'eNB', 'gNB', '셀', '섹터', '셀 그룹', '캐리어' 및 '컴포넌트 캐리어'라는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B, eNodeB(eNB),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펨토 셀, 스몰 셀 등의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은, 하나 또는 복수(예를 들면, 3개)의 셀(섹터라고도 불린다)을 수용할 수 있다. 기지국이 복수의 셀을 수용하는 경우, 기지국의 커버리지 에어리어 전체는 복수의 보다 작은 에어리어로 구분할 수 있고, 각각의 보다 작은 에어리어는, 기지국 서브 시스템(예를 들면, 실내용 소형 기지국(RRH: Remote Radio Head)에 의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셀' 또는 '섹터'라는 용어는, 이 커버리지에 있어서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지국 및/또는 기지국 서브 시스템의 커버리지 에어리어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동국(MS: Mobile Station)', '유저 단말(user terminal)', '유저장치(UE: User Equipment)' 및 '단말'이라는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B, eNodeB(eNB),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펨토 셀, 스몰 셀 등의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이동국은, 당업자에 따라,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와이어리스 유닛, 리모트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통신 디바이스, 리모트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 모바일 단말, 와이어리스 단말, 리모트 단말, 핸드셋, 유저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몇 가지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무선기지국은, 유저 단말로 대체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무선기지국 및 유저 단말 사이의 통신을, 복수의 유저 단말 간(D2D: Device-to-Device)의 통신으로 치환한 구성에 대해, 본 발명의 각 형태/실시형태를 적용해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무선기지국(10)이 갖는 기능을 유저 단말(20)이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상향'이나 '하향' 등의 문언은, '사이드'로 대체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향 채널은, 사이드 채널로 대체되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유저 단말은, 무선기지국으로 대체되어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유저 단말(20)이 갖는 기능을 무선기지국(10)이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을 갖는 하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은, 기지국, 기지국 이외의 1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또는 S-GW(Serving-Gateway) 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으며,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으며, 실행에 따라 전환하여 이용해도 좋다. 또,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의 처리 수순, 시퀀스, 흐름도 등은, 모순이 없는 한, 순서를 바꿔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방법에 대해서는, 예시적인 순서로 다양한 단계의 요소를 제시하고 있으며, 제시된 특정한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는,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LTE-B(LTE-Beyond), SUPER 3G, IMT-Advanced, 4G(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G(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RA(Future Radio Access), New-RAT(Radio Access Technology), NR(New Radio), NX(New radio access), FX(Future generation radio access, GSM(등록 상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2000, UMB(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1(Wi-Fi(등록 상표)), IEEE 802.16(WiMAX(등록 상표)), IEEE 802.20, UWB(Ultra-WideBand), Bluetooth(등록 상표), 그 외의 적절한 시스템을 이용하는 시스템 및/또는 이들에 기초하여 확장된 차세대 시스템에 적용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각별히 명기되어 있지 않은 한, '에만 기초하여'를 의미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에만 기초하여'와 '에 적어도 기초하여'의 양방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제1', '제2' 등의 호칭을 사용한 요소에 대한 어떠한 참조도, 그들의 요소의 양 또는 순서를 전반적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들의 호칭은, 2개 이상의 요소 간을 구별하는 편리한 방법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요소의 참조는, 2개의 요소만이 채용될 수 있는 것 또는 어떠한 형태로 제1 요소가 제2 요소에 선행해야 하는지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판단(결정)(determining)'이라는 용어는, 다종다양한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판단(결정)'은, 계산(calculating), 산출(computing), 처리(processing), 도출(deriving), 조사(investigating), 탐색(looking up)(예를 들면,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의 탐색), 확인(ascertaining) 등을 '판단(결정)'하는 것이라고 간주되어도 좋다. 또, '판단(결정)'은, 수신(receiving)(예를 들면, 정보를 수신하는 것), 송신(transmitting)(예를 들면, 정보를 송신하는 것), 입력(input), 출력(output), 액세스(accessing)(예를 들면, 메모리 안의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 등을 '판단(결정)'했다고 간주되어도 좋다. 또, '판단(결정)'은, 해결(resolving), 선택(selecting), 선정(choosing), 확립(establishing), 비교(comparing) 등을 '판단(결정)'하는 것이라고 간주되어도 좋다. 즉, '판단(결정)'은, 어떠한 동작을 '판단(결정)'했다고 간주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접속된(connected)', '결합된(coupled)'이라는 용어, 또는 이들의 모든 변형은, 2개 또는 그 이상의 요소 간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모든 접속 또는 결합을 의미하고, 서로 '접속' 또는 '결합'된 2개의 요소 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간 요소가 존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요소 간의 결합 또는 접속은, 물리적인 것이라도, 논리적인 것이라도, 혹은 이들의 조합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접속'은 '액세스'로 대체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2개의 요소가 접속되는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선, 케이블 및/또는 프린트 전기 접속을 이용하여, 및 몇 가지의 비한정적이고 비포괄적인 예로서, 무선 주파수 영역, 마이크로파 영역 및/또는 광(가시 및 불가시의 양방) 영역의 파장을 갖는 전자 에너지 등을 이용하여, 서로 '접속' 또는 '결합'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A와 B가 다르다'라는 용어는, 'A와 B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의미해도 좋다. '떨어지다', '결합되는' 등의 용어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포함하는(including)', 포함하고 있는(comprising)' 및 이들의 변형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 이들 용어는, 용어 '구비하는'과 마찬가지로, 포괄적인 것이 의도된다. 또한, 본 명세서 혹은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 '또는(or)'는, 배타적 논리합이 아닌 것이 의도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안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로 인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Claims (10)

  1. 복수의 리소스 블록 그룹(RBG: Resource Block Group) 사이즈 후보로 각각 구성되는 제1 RBG 구성과 제2 RBG 구성의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1 RBG 구성 및 상기 제2 RBG 구성 중 지정된 RBG 구성에 포함되는 RBG 사이즈 후보 중에서 RBG 사이즈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위 레이어에 의해 설정되는 소정의 대역폭'의 리소스 블록 수에 기초하여 상기 RBG 사이즈를 결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RBG 사이즈 및 상기 소정의 대역폭의 리소스 블록 수에 기초하여 하향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주파수 리소스 할당 필드의 비트 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RBG 구성에 포함되는 복수의 RBG 사이즈 후보와, 상기 제2 RBG 구성에 포함되는 복수의 RBG 사이즈 후보는 일부가 중복되고,
    상기 제1 RBG 구성 및 상기 제2 RBG 구성은, 같은 시간 영역에 대한 적용이 서포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RBG 사이즈에 기초하여 하향 공유 채널 및 상향 공유 채널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할당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대역폭은, 기지국으로부터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8. 복수의 리소스 블록 그룹(RBG: Resource Block Group) 사이즈 후보로 각각 구성되는 제1 RBG 구성과 제2 RBG 구성의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공정;
    상기 제1 RBG 구성 및 상기 제2 RBG 구성 중 지정된 RBG 구성에 포함되는 RBG 사이즈 후보 중에서 RBG 사이즈를 결정하고, 상기 RBG 사이즈를 '상위 레이어에 의해 설정되는 소정의 대역폭'의 리소스 블록 수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공정;
    상기 RBG 사이즈 및 상기 소정의 대역폭의 리소스 블록 수에 기초하여 하향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주파수 리소스 할당 필드의 비트 수를 결정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제1 RBG 구성에 포함되는 복수의 RBG 사이즈 후보와, 상기 제2 RBG 구성에 포함되는 복수의 RBG 사이즈 후보는 일부가 중복되고,
    상기 제1 RBG 구성 및 상기 제2 RBG 구성은, 같은 시간 영역에 대한 적용이 서포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9. 복수의 리소스 블록 그룹(RBG: Resource Block Group) 사이즈 후보로 각각 구성되는 제1 RBG 구성과 제2 RBG 구성의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단말로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제1 RBG 구성 및 상기 제2 RBG 구성 중 지정된 RBG 구성에 포함되는 RBG 사이즈 후보 중에서 RBG 사이즈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대역폭의 리소스 블록 수에 기초하여 상기 RBG 사이즈를 결정하고,
    상기 소정의 대역폭을, 상위 레이어에 의해 상기 단말에 설정하고,
    상기 단말의 제어부에 의해, 상기 RBG 사이즈 및 상기 소정의 대역폭의 리소스 블록 수에 기초하여 하향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주파수 리소스 할당 필드의 비트 수가 결정되고,
    상기 제1 RBG 구성에 포함되는 복수의 RBG 사이즈 후보와, 상기 제2 RBG 구성에 포함되는 복수의 RBG 사이즈 후보는 일부가 중복되고,
    상기 제1 RBG 구성 및 상기 제2 RBG 구성은, 같은 시간 영역에 대한 적용이 서포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0. 단말과 기지국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복수의 리소스 블록 그룹(RBG: Resource Block Group) 사이즈 후보로 각각 구성되는 제1 RBG 구성과 제2 RBG 구성의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1 RBG 구성 및 상기 제2 RBG 구성 중 지정된 RBG 구성에 포함되는 RBG 사이즈 후보 중에서 RBG 사이즈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위 레이어에 의해 설정되는 소정의 대역폭'의 리소스 블록 수에 기초하여 상기 RBG 사이즈를 결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RBG 사이즈 및 상기 소정의 대역폭의 리소스 블록 수에 기초하여 하향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주파수 리소스 할당 필드의 비트 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RBG 구성에 포함되는 복수의 RBG 사이즈 후보와, 상기 제2 RBG 구성에 포함되는 복수의 RBG 사이즈 후보는 일부가 중복되고,
    상기 제1 RBG 구성 및 상기 제2 RBG 구성은, 같은 시간 영역에 대한 적용이 서포트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RBG 사이즈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207000104A 2017-06-15 2017-06-15 유저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25630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22217 WO2018229954A1 (ja) 2017-06-15 2017-06-15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565A KR20200018565A (ko) 2020-02-19
KR102563088B1 true KR102563088B1 (ko) 2023-08-04

Family

ID=64659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104A KR102563088B1 (ko) 2017-06-15 2017-06-15 유저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575489B2 (ko)
EP (1) EP3641254B1 (ko)
JP (1) JP6721791B2 (ko)
KR (1) KR102563088B1 (ko)
CN (1) CN110771106B (ko)
BR (1) BR112019026714A2 (ko)
PT (1) PT3641254T (ko)
RU (1) RU2746019C1 (ko)
WO (1) WO20182299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21166A (zh) * 2017-06-22 2019-01-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基站和用户终端
CN112312547A (zh) * 2019-07-26 2021-02-0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资源分配、确定方法及装置
US11671994B2 (en) * 2020-04-10 2023-06-06 Qualcomm Incorporated Reusing PDSCH TCI and QCL for dynamic coresets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3513B2 (ja) * 2006-08-22 2011-06-1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無線基地局及び方法
US9137821B2 (en) * 2007-05-02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Flexible signaling of resources on a control channel
KR100913099B1 (ko) * 2008-01-07 2009-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산형 가상자원블록 스케쥴링 방법
US9276710B2 (en) * 2009-12-21 2016-03-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allocation with carrier extension
JP5404462B2 (ja) * 2010-02-12 2014-01-29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および集積回路
CN102238627B (zh) * 2010-05-05 2015-04-2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下行共享信道的资源分配方法及装置
CN103945542A (zh) * 2010-05-24 2014-07-23 Lg电子株式会社 用于分配不连续上行资源的方法和装置
KR101868622B1 (ko) 2010-06-17 2018-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R-pdcch 전송 및 수신 방법과 그 장치
CA2801365C (en) 2010-06-21 2019-01-08 Panasonic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llocated resource notifying method and data allocating method
CN102340875B (zh) * 2010-07-23 2014-03-26 华为技术有限公司 资源分配方法和装置
EP2437422A1 (en) * 2010-10-01 2012-04-04 Panasonic Corporation Search space for uplink and downlink grant in an OFDM-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503835A1 (en) * 2011-03-23 2012-09-26 Panasonic Corporation Resouce assignment for single and multiple cluster transmission
JP5325928B2 (ja) * 2011-05-02 2013-10-2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チャネル状態情報通知方法、無線基地局装置、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395335B1 (ko) * 2012-07-27 2014-05-16 주식회사 효성 에너지 저장장치를 이용한 비상발전기의 운전방법
GB2504544A (en) * 2012-08-02 2014-02-05 Nec Corp Resource allocation signalling within an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
JP5793131B2 (ja) * 2012-11-02 2015-10-14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CN104885508A (zh) * 2012-11-03 2015-09-02 美国博通公司 用于控制信道的资源分配方法
EP2944109B1 (en) * 2013-01-14 2019-12-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source schedu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O2014209191A1 (en) * 2013-06-28 2014-12-3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network node for providing radio resources for radio communication in a cellular network
CN105446608A (zh) * 2014-09-25 2016-03-3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信息搜索方法、信息搜索装置及电子装置
US10455579B2 (en) * 2014-09-25 2019-10-22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06162889A (zh) 2015-04-10 2016-11-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资源分配的方法和装置
WO2017017881A1 (ja) * 2015-07-24 2017-02-02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基地局、端末、送信方法および受信方法
JP6666918B2 (ja) * 2015-08-07 2020-03-18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基地局、端末、送信方法及び受信方法
EP3934357B1 (en) * 2016-08-11 2024-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data transmission in next generation cellular networks
US10863505B2 (en) * 2016-08-26 2020-12-08 Qualcomm Incorporated Data channel resource allocation
KR102137826B1 (ko) * 2016-11-01 2020-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nr 반송파의 서브밴드 집성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4096140A1 (en) * 2017-01-06 2022-11-3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Base st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8347776B (zh) 2017-01-25 2023-11-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系统中资源分配的方法及设备
CN110447193B (zh) * 2017-03-17 2022-03-15 Lg 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由终端接收数据的方法和设备
CN110393035B (zh) * 2017-03-24 2023-07-07 摩托罗拉移动有限责任公司 确定用户数据资源指配的方法和装置
ES2949410T3 (es) * 2017-03-31 2023-09-28 Ericsson Telefon Ab L M Señalización de asignación de recursos
US20210127367A1 (en) * 2017-04-20 2021-04-2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U2734106C1 (ru) 2017-06-08 2020-10-13 Гуандун Оппо Мобайл Телекоммьюникейшнз Корп., Лтд.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терми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ет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950995B1 (ko) * 2017-06-08 2019-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관련 시그널링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52623*
3GPP R1-1707116*
3GPP R1-1707200*
3GPP R1-1707708*
3GPP R1-1708017*
3GPP R1-170974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05133A1 (en) 2020-06-25
BR112019026714A2 (pt) 2020-06-30
EP3641254A4 (en) 2020-12-30
PT3641254T (pt) 2024-01-15
CN110771106B (zh) 2023-05-30
KR20200018565A (ko) 2020-02-19
EP3641254A1 (en) 2020-04-22
RU2746019C1 (ru) 2021-04-06
JPWO2018229954A1 (ja) 2020-04-16
CN110771106A (zh) 2020-02-07
WO2018229954A1 (ja) 2018-12-20
US11575489B2 (en) 2023-02-07
EP3641254B1 (en) 2023-12-20
JP6721791B2 (ja) 202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5140B1 (ko)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2456057B1 (ko)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JP6949963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JP6959338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JP6928007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基地局
JP7059275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WO2019171518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EP3739998A1 (en) User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JP7264834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JP7068330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JPWO2018198295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7074765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JPWO2019215934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6938625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JPWO2019159245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WO2019064569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WO2019069464A1 (ja) 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基地局
JPWO2019021487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WO2019135287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KR102543540B1 (ko)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JPWO2019135288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KR102563088B1 (ko) 유저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JP7089027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JP7058667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JPWO2019073966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