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069B1 -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069B1
KR102563069B1 KR1020210027916A KR20210027916A KR102563069B1 KR 102563069 B1 KR102563069 B1 KR 102563069B1 KR 1020210027916 A KR1020210027916 A KR 1020210027916A KR 20210027916 A KR20210027916 A KR 20210027916A KR 102563069 B1 KR102563069 B1 KR 102563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buffer member
attachment
disposed
suppl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4386A (ko
Inventor
나예능
이종섭
이기상
Original Assignee
(주)포스코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스코엠텍 filed Critical (주)포스코엠텍
Priority to KR1020210027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069B1/ko
Publication of KR20220124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05Stacking of articles by using insertions or spacers between the stack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5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otary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8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with at least two picking-up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65H35/0026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 B65H35/0033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nd affixing it to a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2Coils, bobbins,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Special Article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2단으로 적재되는 강판의 코일 적재면에 완충부재를 부착하는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은 완충부재가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배치되며 코일로 완충부재를 공급하는 공급장치 및 코일과 공급장치 사이에 배치되며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완충부재를 픽업하여 코일의 상부에 배치 및 코일과 완충부재를 테이핑하는 부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THE BUFFER MEMBER ATTACHING SYSTEM FOR STEEL COIL}
본 발명은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판 코일의 상하 방향으로 적재될 때 적재면을 완충하기 위한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 공정은 철광석 등을 주원료로 쇳물을 생산하는 제선 공정, 쇳물에서 불순물을 제거하여 용강을 만드는 제강 공정, 액체 상태의 용강을 고체 상태로 만드는 연주 공정 및 고체 상태의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제조하는 압연 공정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연주 공정은 액체 상태의 용강을 주형(mold)에 주입하여 연속 주조기를 통과시키고, 이때 냉각 및 응고의 과정에 의해 연속적인 슬래브(slab), 블룸(bloom), 빌릿(billet) 등의 중간 소재를 생산한다. 이러한 중간 소재 중 슬래브는 압연 공정에서 회전하는 복수 개의 롤 사이를 통과하면서 얇은 강판의 제품으로 제조된다. 얇은 강판은 유통 상의 편의 및 제품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일 형태(이하, 코일이라고 함)로 감겨 제공되며, 최종적으로 포장재에 의해 포장되어 운반 및 유통된다.
코일의 포장 방식은 다양한 방식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코일의 측면을 보호하는 단면 측판, 모서리 판지, 외주링 부착과 함께 코일의 상부를 보호하는 외보호판 부착, 그리고 코일 내부를 보호하는 내보호판 삽입 및 내주링 부착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포장 방식에 의해 포장재로 포장이 완료된 코일은 운반 및 유통 시 외부의 환경적인 요인 및/또는 물리적인 요인에 의해 코일에 발생하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코일은 그 자체로 큰 중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적재 없이 단일의 코일로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코일이 보관 공간 및 운반 공간의 제약에 의해 2단으로 적재될 수 있다.
그런데, 코일을 상하 방향으로 적재할 때 코일 자체의 큰 중량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적재된 코일이 적재면에 큰 하중이 생성되어 적재면에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코일의 상하 방향 적재 시 적재면에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5826호: 코일 포장로봇
본 발명의 목적은 포장이 완료된 코일을 상하 방향으로 적재할 때 상하 방향으로 적재된 코일의 적재면을 완충하는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2단으로 적재되는 강판의 코일 적재면에 완충부재를 부착하는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가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배치되며 상기 코일로 상기 완충부재를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상기 코일과 상기 공급장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상기 완충부재를 픽업하여 상기 코일의 상부에 배치 및 상기 코일과 상기 완충부재를 테이핑하는 부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부착장치는 상기 코일과 상기 공급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코일과 상기 공급장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는 부착 로봇 아암과, 상기 부착 로봇 아암에 연결되며 상기 공급장치에 배치된 상기 완충부재를 진공 흡착하여 상기 코일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흡착 수단과, 상기 부착 로봇 아암에 연결되며 상기 코일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완충부재를 테이핑 하는 테이핑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착 수단과 상기 테이핑 수단은 선택적으로 상기 부착 로봇 아암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착장치는 상기 테이핑 수단에 배치되어 상기 코일과 상기 완충부재의 테이핑 시 상기 코일에 대한 상기 완충부재의 테이핑 위치를 비전 검사하는 비전 검사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은 상기 부착 로봇 아암이 상기 코일과 상기 공급장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는 이동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부착 로봇 아암에 선택적으로 상기 흡착 수단과 상기 테이핑 수단이 연결되도록 상기 흡착 수단과 상기 테이핑 수단이 배치되는 툴 테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완충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본체와 상기 부착장치 사이에서 리니어 왕복 이동되는 복수 개의 팔레트를 갖는 제 1공급장치와, 상기 제 1공급장치와 상기 부착장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팔레트가 인입 및 인출되고 상하 방향으로 승강 운동하는 제 2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은 상기 공급장치의 배치 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고 복수 개의 코일을 순차적으로 상기 완충부재가 부착되는 부착 위치로 이송하는 이송장치와, 상기 이송장치의 양측에 상기 코일의 이송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부착 위치에서 상기 코일의 위치를 비전 검사하는 위치 검사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착 수단은 진공 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완충부재를 흡입하는 진공 흡입력을 제공하는 진공 흡입부와, 상기 진공 흡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완충부재의 길이에 따라 가변되어 상기 진공 흡입부로부터 제공된 진공 흡입력에 따라 상기 완충부재를 흡착하는 흡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이핑 수단은 상기 부착 로봇 아암에 연결되어 상기 완충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리니어 이동되는 테이핑 본체와, 상기 테이핑 본체에 배치되어 롤 형상을 갖는 테이프를 수용하며 테이프를 롤 방식으로 공급하는 공급 롤러와, 상기 테이핑 본체가 상기 완충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리니어 이동할 때 상기 완충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공급 롤러로부터 공급된 테이프를 압착하는 압착 롤러와, 상기 공급 롤러와 상기 압착 롤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공급 롤러로부터 상기 압착 롤러로 이동되는 테이프를 가이드 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롤러와, 상기 압착 롤러와 복수 개의 상기 가이드 롤러 사이에 배치되어 롤 방식으로 공급되는 테이프를 커팅하는 커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가이드 롤러 중 상기 커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압착 롤러와 대향 배치된 어느 하나의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공급 롤러로부터 상기 압착 롤러로 테이프의 이동 및 상기 커터부에 의해 테이프 커팅 시 테이프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테이프에 진공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팔레트 중 최하부의 상기 팔레트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완충부재가 공급되고, 상기 완충부재가 공급된 상기 팔레트는 상기 제 2공급장치로 이동 및 상기 제 2공급장치의 상승 운동에 의해 상기 완충부재가 미수용된 상기 팔레트에 상기 완충부재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팔레트에는 각각 길이가 상이한 상기 완충부재가 수용되고, 상기 부착장치는 상기 코일의 크기에 대응된 상기 완충부재를 픽업하여 상기 코일에 부착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하 방향으로 적재되는 코일의 적재면에 완충부재를 부착하여 상하 방향으로 코일을 적재할 때 코일이 적재면에 대한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적재된 코일이 적재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코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코일이 적재면에 부착되는 완충부재를 공급하는 공급장치 및 공급장치로부터 제공된 완충부재를 자동으로 코일에 배치하여 부착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공정 소요 시간을 감소와 함께 수작업 시 발생하는 작업자의 피로도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의 제 1작동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의 제 2작동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의 제 3작동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의 측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의 평면도,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 중 부착장치의 흡착 수단에 대한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 중 부착장치의 테이핑 수단에 대한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은 코일이 상하 방향으로 적재되는 기준으로 적재면에 2개의 완충부재를 부착하는 것으로 기재 및 도시하였으나, 완충부재의 개수는 2개 이상이 사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의 부착장치에서 사용되는 부착 로봇 아암의 형상은 도시된 형상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을 가진 로봇 아암이 사용될 수 있음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의 제 1작동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의 제 2작동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의 제 3작동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의 측면도, 그리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10)은 공급장치(100) 및 부착장치(7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10)은 이송장치(300), 위치 검사장치(500) 및 툴(tool) 테이블(90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10)은 포장이 완료된 코일(C)의 상부에 2개의 완충부재(B)를 부착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를 초과한 완충부재(B)가 부착될 수 있다. 코일(C)의 상부에 부착되는 완충부재(B)는 다른 코일(C)이 적재될 때 상부의 코일(C)로부터 제공되는 하중을 완충하여 코일(C)의 적재면 파손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10)에서 사용되는 완충부재(B)는 고무패드가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코일(C)의 적재면에서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공급장치(100)는 코일(C)의 적재면에 부착되는 완충부재(B)를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로 적재한다. 공급장치(100)는 코일(C)로 완충부재(B)를 공급한다. 공급장치(100)는 이송장치(300)가 코일(C)을 이송하는 이송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완충부재(B)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공급장치(100)는 제 1공급장치(110) 및 제 2공급장치(130)를 포함한다.
제 1공급장치(110)는 외부로부터 완충부재(B)를 공급 받아 부착장치(700)로 완충부재(B)를 제공한다. 제 2공급장치(130)는 제 1공급장치(110)와 부착장치(700) 사이에 배치되며 제 1공급장치(110)로부터 제공된 완충부재(B)를 부착장치(700)의 픽업 위치로 이송한다. 제 2공급장치(130)는 제 1공급장치(110)로부터 제공된 완충부재(B)를 픽업 위치로 이송하도록 승강 운동한다.
제 1공급장치(110)는 본체(111) 및 복수 개의 팔레트(113)를 포함한다. 본체(111)는 복수 개의 팔레트(113)가 상하 방향으로 적재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복수 개의 팔레트(113)는 완충부재(B)의 픽업을 위해 승강 운동하는 제 2공급장치(130)로 리니어 이동된다. 복수 개의 팔레트(113)는 제 1팔레트(113a) 및 제 2팔레트(113b)를 포함한다.
제 1팔레트(113a)는 부착장치(700)에 의해 픽업되는 완충부재(B)가 배치된다. 제 1팔레트(113a)는 본체(111)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치된다. 제 2팔레트(113b)는 본체(111)의 하부에 배치, 즉 복수 개의 팔레트(113) 기준으로 최하부에 배치된다. 제 2팔레트(113b)는 외부의 외부 공급장치(S)로부터 공급되는 완충부재(B)를 수용한다. 외부 공급장치(S)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지게차가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수단 또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제 2팔레트(113b)는 제 2공급장치(130)에 리니어 이동되고, 제 2공급장치(130)에 수용된 제 2팔레트(113b)는 완충부재(B)가 수용되지 않은 제 1팔레트(113a)로 승강 운동되어 완충부재(B)를 공급한다. 상세하게 본체(111)의 최하부에 배치된 제 2팔레트(113b)는 제 1팔레트(113a)에 완충부재(B)가 소진된 후 외부로부터 공급된 완충부재(B)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복수 개의 팔레트(113)에는 코일(C)의 크기에 대응되어 부착장치(700)에 의해 픽업되는 각각 상이한 길이를 갖는 완충부재(B)가 수용된다.
이송장치(300)는 공급장치(100)의 배치 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송장치(300)는 복수 개의 포장이 완료된 코일(C)을 순차적으로 완충부재(B)가 부착되는 부착 위치로 이송한다.
위치 검사장치(500)는 이송장치(300)의 양측에 코일(C)의 이송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다. 위치 검사장치(500)는 완충부재(B)의 부착 위치에서 코일(C)의 위치를 비전 검사한다. 즉, 위치 검사장치(500)에 의해 비전 검사된 코일(C)의 위치가 부착 위치에 위치될 때, 코일(C)에 완충부재(B)를 부착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다음으로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 중 부착장치의 흡착 수단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 중 부착장치의 테이핑 수단에 대한 확대도이다.
부착장치(70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C)과 공급장치(100) 사이에 배치된다. 부착장치(700)는 공급장치(100)로부터 공급된 완충부재(B)를 픽업하여 코일(C)의 상부에 배치 및 코일(C)과 완충부재(B)를 테이핑 한다. 부착장치(7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부착 로봇 아암(710), 흡착 수단(730) 및 테이핑 수단(750)을 포함한다. 또한, 부착장치(700)는 비전 검사 수단(770)을 더 포함한다.
부착 로봇 아암(710)은 코일(C)과 공급장치(100) 사이에 배치되어 코일(C)과 공급장치(100) 사이에서 왕복 이동한다. 흡착 수단(730)은 부착 로봇 아암(710)에 연결되며 공급장치(100)에 배치된 완충부재(B)를 진공 흡착하여 코일(C)의 상부로 이동시킨다.
테이핑 수단(750)은 부착 로봇 아암(710)에 연결되며 코일(C)의 상부에 배치된 완충부재(B)를 테이핑 한다. 테이핑 수단(750)은 포장이 완료된 코일(C)과 완충부재(B)가 상호 결합하도록 테이프(T)를 이용하여 코일(C)과 완충부재(B)를 테이핑 한다. 흡착 수단(730)과 테이핑 수단(750)은 선택적으로 부착 로봇 아암(71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부착 로봇 아암(710)은 공급장치(100)로부터 완충부재(B)를 픽업하여 코일(C)의 상부에 배치하도록 흡착 수단(730)과 연결되고, 코일(C)의 상부에 완충부재(B)가 배치된 후 테이핑 수단(750)과 연결되어 코일(C)과 완충부재(B)를 테이핑 한다.
비전 검사 수단(770)은 테이핑 수단(750)에 배치되어 코일(C)과 완충부재(B)의 테이핑 시 코일(C)에 대한 완충부재(B)의 테이핑 위치를 비전 검사한다. 비전 검사 수단(770)은 테이핑 수단(750)과 일체로 배치되어 테이핑 수단(750)이 코일(C)과 완충부재(B)를 테이핑할 때 비전 검사한다. 비전 검사 수단(770)은 코일(C)과 완충부재(B)가 테이핑할 때 테이프의 위치를 비전 검사할 수 있고, 코일(C)과 완충부재(B)의 테이핑 후 테이핑 위치를 비전 검사할 수 있다.
흡착 수단(7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진공 흡입부(731) 및 흡착부(733)를 포함한다. 진공 흡입부(731)는 진공 라인에 연결되어 완충부재(B)를 흡입하는 진공 흡입력을 제공한다. 흡착부(733)는 진공 흡입부(731)와 연결되며 완충부재(B)의 길이에 따라 가변되어 진공 흡입부(731)로부터 제공된 진공 흡입력에 따라 완충부재(B)를 흡착한다. 즉, 흡착부(733)는 공급장치(100)로부터 공급된 완충부재(B)의 길이에 대응되어 가변적으로 길이를 변경한다.
테이핑 수단(75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테이핑 본체(751), 공급 롤러(753), 압착 롤러(755), 가이드 롤러(757) 및 커터부(759)를 포함한다. 테이핑 본체(751)는 부착 로봇 아암(710)에 연결되어 완충부재(B)의 길이 방향을 따라 리니어 이동된다. 즉, 테이핑 본체(751)는 부착 로봇 아암(710)이 완충부재(B)의 길이 방향을 따라 리니어 이동할 때 연동한다. 공급 롤러(753)는 테이핑 본체(751)에 배치되어 롤 형상을 갖는 테이프(T)를 수용한다. 공급 롤러(753)는 테이프(T)를 롤 방식으로 공급한다. 압착 롤러(755)는 테이핑 본체(751)가 완충부재(B)의 길이 방향을 따라 리니어 이동할 때 완충부재(B)의 길이 방향으로 공급 롤러(753)로부터 공급된 테이프(T)를 압착한다. 상세하게 압착 롤러(755)는 공급 롤러(753)로부터 공급된 테이프(T)를 코일(C)과 완충부재(B)가 상호 접착되도록 테이프(T)를 압착한다.
가이드 롤러(757)는 공급 롤러(753)와 압착 롤러(755) 사이에 복수 개로 배치된다. 복수 개의 가이드 롤러(757)는 공급 롤러(753)로부터 압착 롤러(755)로 이동되는 테이프(T)의 이동을 가이드 한다. 커터부(759)는 압착 롤러(755)와 복수 개의 가이드 롤러(757) 사이에 배치되어 롤 방식으로 공급되는 테이프(T)를 커팅한다. 커터부(759)는 완충부재(B)의 길이 방향을 따라 테이핑 본체(751) 및 압착 롤러(755)가 리니어 이동된 후, 테이프(T)를 커팅하기 위해 테이프(T)의 공급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복수 개의 가이드 롤러(757) 중 커터부(759)를 사이에 두고 압착 롤러(755)와 대향 배치된 어느 하나의 가이드 롤러(757)는 테이프(T)에 진공 흡입력을 제공한다. 테이프(T)에 진공 흡입력을 제공하는 가이드 롤러(757)는 공급 롤러(753)로부터 압착 롤러(755)로 테이프(T)의 이동 및 커터부(759)에 의해 테이프(T) 커팅 시 테이프(T)의 장력을 유지시킨다.
마지막으로 툴 테이블(900)은 부착 로봇 아암(710)이 코일(C)과 공급장치(100)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는 이동로 상에 배치된다. 툴 테이블(900)에는 부착 로봇 아암(710)이 선택적으로 흡착 수단(730)과 테이핑 수단(750)에 연결되도록 흡착 수단(730)과 테이핑 수단(750)이 배치된다. 상세하게 툴 테이블(900)에 흡착 수단(730)과 테이핑 수단(750)이 배치될 때, 부착 로봇 아암(710)은 완충부재(B)를 픽업하여 코일(C)의 상부에 배치하도록 흡착 수단(730)과 연결되고, 코일(C)의 상부에 완충부재(B) 배치 후 코일(C)과 완충부재(B)를 테이핑 하도록 흡착 수단(730)과 연결 해제 및 테이핑 수단(750)과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10)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이송장치(300)의 작동에 의해 포장이 완료된 코일(C)이 순차적으로 완충부재(B)의 부착 위치로 이송된다. 위치 검사장치(500)는 코일(C)이 부착 위치에 위치되는 지 비전 검사한다. 위치 검사장치(500)에 의한 비전 검사에 의해 코일(C)이 부착 위치에 위치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공급장치(100)는 코일(C)에 대응된 길이를 갖는 완충부재(B)를 공급한다.
흡착 수단(730)과 연결된 부착 로봇 아암(710)은 공급장치(100)로 이동하여 완충부재(B)를 픽업하고, 부착 위치에 위치된 코일(C)의 상부에 완충부재(B)를 배치한다. 부착 로봇 아암(710)은 툴 테이블(900)에서 흡착 수단(730)과 테이핑 수단(750)을 상호 교체한다. 테이핑 수단(750)이 연결된 부착 로봇 아암(710)은 완충부재(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코일(C)과 완충부재(B)를 상호 테이핑 한다.
한편, 공급장치(100)에 수용된 완충부재(B)가 소진되면 제 1공급장치(110)의 최하부에 배치된 제 2팔레트(113b)에 외부로부터 완충부재(B)를 공급 받고, 제 2팔레트(113b)는 완충부재(B)가 소진된 제 1팔레트(113a)로 이동하여 완충부재(B)를 공급한다.
이에, 상하 방향으로 적재되는 코일의 적재면에 완충부재를 부착하여 상하 방향으로 코일을 적재할 때 코일이 적재면에 대한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적재된 코일이 적재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코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코일이 적재면에 부착되는 완충부재를 공급하는 공급장치 및 공급장치로부터 제공된 완충부재를 자동으로 코일에 배치하여 부착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공정 소요 시간을 감소와 함께 수작업 시 발생하는 작업자의 피로도를 저감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 100: 공급장치
110: 제 1공급장치 111: 본체
113: 팔레트 130: 제 2공급장치
300: 이송장치 500: 위치 검사장치
700: 부착장치 710: 부착 로봇 아암
730: 흡착 수단 731: 진공 흡입부
733: 흡착부 750: 테이핑 수단
751: 테이핑 본체 753: 공급 롤러
755: 압착 롤러 757: 가이드 롤러
759: 커터부 770: 비전 검사 수단

Claims (12)

  1. 적어도 2단으로 적재되는 강판의 코일 적재면에 완충부재를 부착하는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가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배치되며, 상기 코일로 상기 완충부재를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상기 코일과 상기 공급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코일과 상기 공급장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는 부착 로봇 아암과 상기 부착 로봇 아암에 연결되며 상기 공급장치에 배치된 상기 완충부재를 진공 흡착하여 상기 코일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흡착 수단과 상기 부착 로봇 아암에 연결되며 상기 코일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완충부재를 테이핑 하는 테이핑 수단을 가지며, 상기 흡착 수단과 상기 테이핑 수단이 선택적으로 상기 부착 로봇 아암에 연결되는 부착장치와;
    상기 부착 로봇 아암이 상기 코일과 상기 공급장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는 이동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부착 로봇 아암에 선택적으로 상기 흡착 수단과 상기 테이핑 수단이 연결되도록 상기 흡착 수단과 상기 테이핑 수단이 배치되는 툴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장치는,
    상기 테이핑 수단에 배치되어, 상기 코일과 상기 완충부재의 테이핑 시 상기 코일에 대한 상기 완충부재의 테이핑 위치를 비전 검사하는 비전 검사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완충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본체와 상기 부착장치 사이에서 리니어 왕복 이동되는 복수 개의 팔레트를 갖는 제 1공급장치와;
    상기 제 1공급장치와 상기 부착장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팔레트가 인입 및 인출되고 상하 방향으로 승강 운동하는 제 2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은,
    상기 공급장치의 배치 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고, 복수 개의 코일을 순차적으로 상기 완충부재가 부착되는 부착 위치로 이송하는 이송장치와;
    상기 이송장치의 양측에 상기 코일의 이송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부착 위치에서 상기 코일의 위치를 비전 검사하는 위치 검사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수단은,
    진공 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완충부재를 흡입하는 진공 흡입력을 제공하는 진공 흡입부와;
    상기 진공 흡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완충부재의 길이에 따라 가변되어 상기 진공 흡입부로부터 제공된 진공 흡입력에 따라 상기 완충부재를 흡착하는 흡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핑 수단은,
    상기 부착 로봇 아암에 연결되어, 상기 완충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리니어 이동되는 테이핑 본체와;
    상기 테이핑 본체에 배치되어 롤 형상을 갖는 테이프를 수용하며, 테이프를 롤 방식으로 공급하는 공급 롤러와;
    상기 테이핑 본체가 상기 완충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리니어 이동할 때, 상기 완충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공급 롤러로부터 공급된 테이프를 압착하는 압착 롤러와;
    상기 공급 롤러와 상기 압착 롤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공급 롤러로부터 상기 압착 롤러로 이동되는 테이프를 가이드 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롤러와;
    상기 압착 롤러와 복수 개의 상기 가이드 롤러 사이에 배치되어, 롤 방식으로 공급되는 테이프를 커팅하는 커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가이드 롤러 중 상기 커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압착 롤러와 대향 배치된 어느 하나의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공급 롤러로부터 상기 압착 롤러로 테이프의 이동 및 상기 커터부에 의해 테이프 커팅 시, 테이프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테이프에 진공 흡입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팔레트 중 최하부의 상기 팔레트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완충부재가 공급되고,
    상기 완충부재가 공급된 상기 팔레트는 상기 제 2공급장치로 이동 및 상기 제 2공급장치의 상승 운동에 의해 상기 완충부재가 미수용된 상기 팔레트에 상기 완충부재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팔레트에는 각각 길이가 상이한 상기 완충부재가 수용되고,
    상기 부착장치는 상기 코일의 크기에 대응된 상기 완충부재를 픽업하여, 상기 코일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
KR1020210027916A 2021-03-03 2021-03-03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 KR102563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916A KR102563069B1 (ko) 2021-03-03 2021-03-03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916A KR102563069B1 (ko) 2021-03-03 2021-03-03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386A KR20220124386A (ko) 2022-09-14
KR102563069B1 true KR102563069B1 (ko) 2023-08-04

Family

ID=83279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916A KR102563069B1 (ko) 2021-03-03 2021-03-03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06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9070B2 (ja) * 1993-09-07 2004-10-2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保護部材の装着ヘッド及び保護部材の自動装着装置
KR101155826B1 (ko) 2010-02-18 2012-07-03 (주)포스코엠텍 코일 포장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386A (ko)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11618B2 (ja) 物品のパレタイジング装置
JP2009107657A (ja) 箱搬送設備
JP5643804B2 (ja) 板材保管棚
US11724896B2 (en) High-speed multi-purpose mix load robotic end-of-arm tooling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2563069B1 (ko) 코일용 완충부재 부착 시스템
CN103332426B (zh) 自动化物料传送系统
CN210709547U (zh) 一种转子铁心自动上料设备
CN110294275A (zh) 一种用于多油底壳机加线的机器人上料系统
KR20220060687A (ko) 섬유원사롤 분류하차 및 자동이송장치
JP3444838B2 (ja) 荷処理装置
JPH08197166A (ja) 板材加工機におけるワーク搬入、搬出装置
US11753260B2 (en) Unloading apparatus
US20230069867A1 (en) Unloading Apparatus
CN220055311U (zh) 输送机构、下料装置及载板作业系统
EP4183718A1 (en) Equipment for the logistics of slab-shaped manufactured articles
CN216710874U (zh) 一种抓取移动装置
JP7505463B2 (ja) 荷卸し装置
TW202304789A (zh) 玻璃板捆包體的製造方法以及玻璃板捆包體
CN212373711U (zh) 一种弹片自动抓料包装设备
JP2813874B2 (ja) バンド掛け装置
CN210709685U (zh) 一种码垛机用物料提
JP3732277B2 (ja) 切断機におけるワーク搬入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5947572B2 (ja) 板状ワークの供給装置
JP4834127B2 (ja) 搬送システム
JPH06298356A (ja) 製品自動積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