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858B1 - 고전류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집전 장치 - Google Patents

고전류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집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858B1
KR102562858B1 KR1020220173185A KR20220173185A KR102562858B1 KR 102562858 B1 KR102562858 B1 KR 102562858B1 KR 1020220173185 A KR1020220173185 A KR 1020220173185A KR 20220173185 A KR20220173185 A KR 20220173185A KR 102562858 B1 KR102562858 B1 KR 102562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lt
rotational
pilla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3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준
김창호
김행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피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피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피에스티
Priority to KR1020220173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8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8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7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against vibrations, collision impact or swel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Abstract

본 발명은 홈 가공을 통해 폴리머 배터리의 리드(Lead)와 부스바아 간의 밀착력을 향상시킴으로, 저항 감소를 통해 고전류 사용 시 발생될 수 있는 발열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고전류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집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U"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리드 부스바아; 상기 리드 부스바아의 일측 내향면에 병렬 연결되어 안착되는 제1 폴리머 전지와 제2 폴리머 전지의 각 리드(Lead)를 덮고서 볼트 결합에 의해 설치되는 제1 부스바아 서포터; 및 상기 리드 부스바아의 타측 내향면에 병렬 연결되어 안착되는 제3 폴리머 전지와 제3 폴리머 전지의 각 리드(Lead)를 덮고서 볼트 결합에 의해 설치되는 제2 부스바아 서포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전류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집전 장치{Current collector capable of high current charging and discharging}
본 발명은 고전류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집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홈 가공을 통해 폴리머 배터리의 리드(Lead)와 부스바아 간의 밀착력을 향상시킴으로, 저항 감소를 통해 고전류 사용 시 발생될 수 있는 발열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고전류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집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후변환협약 등 대기오염 문제가 전 세계적으로 대두됨에 따라서 매연을 많이 발생시키는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일반 엔진 자동차를 대신하여 전기를 배터리에 저장하였다가 사용하는 전기자동차에 대한 연구개발 및 상용화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배터리 충전방식의 전기자동차는 과도한 배터리 용량과 이로 인한 차량의 무게나 부피, 비용증가, 긴 충전시간 또는 낮은 충전효율, 배터리 수명단축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전기자동차는 가솔린 자동차가 발명되기 전부터 실용화되었으나, 가솔린 자동차가 발달됨에 따라 자동차로서의 가속성능, 등판성능, 주행성능, 최고속도 등의 성능면에서 떨어지기 때문에 점차 자취를 감추었다. 그러나, 최근 자동차의 소음이나 배출가스 등의 공해문제와 에너지문제로 인하여 장래의 새로운 교통수단으로 적용하는데 목표를 두고 세계 각국에서 적극적으로 연구개발 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자동차는 크게, 전기에 의해 구동되어 전기 자동차를 운행시키기 위한 전기모터와, 그 전기모터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로 구성된다. 즉, 전기모터와 배터리가 일반 자동차의 엔진과 연료를 대치하는 것이다.
그런데, 전기자동차를 운행시키는 전기모터는 전기에너지를 과도하게 소모하므로 1회 충전으로 운행할 수 있는 거리는 일반 자동차에 비해 상당히 짧고 배터리를 충전하는 시간은 일반 연료를 급유하는 시간에 비하여 매우 길어 배터리를 자주 충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케이블의 커넥터를 전기자동차의 커넥터에 접속시키는 과정이 매우 번거롭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88263호 (2014.04.22. 공고)
본 발명의 일측면은 홈 가공을 통해 폴리머 배터리의 리드(Lead)와 부스바아 간의 밀착력을 향상시킴으로, 저항 감소를 통해 고전류 사용 시 발생될 수 있는 발열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고전류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집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류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집전 장치는, "U"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리드 부스바아; 상기 리드 부스바아의 일측 내향면에 병렬 연결되어 안착되는 제1 폴리머 전지와 제2 폴리머 전지의 각 리드(Lead)를 덮고서 볼트 결합에 의해 설치되는 제1 부스바아 서포터; 및 상기 리드 부스바아의 타측 내향면에 병렬 연결되어 안착되는 제3 폴리머 전지와 제3 폴리머 전지의 각 리드(Lead)를 덮고서 볼트 결합에 의해 설치되는 제2 부스바아 서포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드 부스바아는, 병렬 연결되는 제1 폴리머 전지와 제2 폴리머 전지, 그리고 병렬 연결되는 제3 폴리머 전지와 제4 폴리머 전지를 상호 직렬 연결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드 부스바아는, 제1 폴리머 전지와 제2 폴리머 전지의 각 리드(Lead)가 안착되는 일측 내향면과 제3 폴리머 전지와 제4 폴리머 전지의 각 리드(Lead)가 안착되는 타측 내향면이 0.1T의 홈 가공을 통해 요철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부스바아 서포터는, 제1 폴리머 전지와 제2 폴리머 전지의 각 리드(Lead)를 덮는 내향면이 0.1T의 홈 가공을 통해 요철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부스바아 서포터는, 제3 폴리머 전지와 제4 폴리머 전지의 각 리드(Lead)를 덮는 내향면이 0.1T의 홈 가공을 통해 요철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전류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집전 장치는, 서로 대향하면서 이격 배치되는 상기 제1 부스바아 서포터를 상기 리드 부스바아에 체결하는 제1 고정 볼트와 상기 제2 부스바아 서포터를 상기 리드 부스바아에 체결하는 제2 고정 볼트의 각 볼트 헤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고정 볼트와 상기 제2 고정 볼트 사이를 지지하는 볼트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볼트 지지부는, 상기 제1 고정 볼트의 볼트 헤드를 덮고 맞물려 체결되는 제1 볼트 컵; 상기 제1 볼트 컵의 내부 공간의 내측에 안착되어 상기 제1 고정 볼트의 볼트 헤드에 밀착 배치되는 제1 밀착 블록; 상기 제1 볼트 컵에 나사산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제1 볼트 컵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뒤 상기 제1 밀착 블록에 회전 및 좌우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상기 제1 볼트 컵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제1 밀착 블록을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제1 밀착 볼트; 상기 제1 밀착 볼트의 일단이 연결 설치되는 상기 제1 밀착 블록의 내부 공간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1 밀착 블록의 내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형성되는 제1 지지부 안착홈 마다 설치되어 상기 제1 밀착 블록에 연결 설치되는 상기 제1 밀착 볼트의 일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밀착 블록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1 블록 지지부; 상기 제2 고정 볼트의 볼트 헤드를 덮고 맞물려 체결되는 제2 볼트 컵; 상기 제2 볼트 컵의 내부 공간의 내측에 안착되어 상기 제2 고정 볼트의 볼트 헤드에 밀착 배치되는 제2 밀착 블록; 상기 제2 볼트 컵에 나사산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제2 볼트 컵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뒤 상기 제2 밀착 블록에 회전 및 좌우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상기 제2 볼트 컵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제2 밀착 블록을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제2 밀착 볼트; 상기 제2 밀착 볼트의 일단이 연결 설치되는 상기 제2 밀착 블록의 내부 공간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2 밀착 블록의 내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형성되는 제2 지지부 안착홈 마다 설치되어 상기 제2 밀착 블록에 연결 설치되는 상기 제2 밀착 볼트의 일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2 밀착 블록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2 블록 지지부; 및 상기 제1 밀착 볼트와 상기 제2 밀착 볼트 사이를 연결하면서 고정 설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밀착 볼트와 상기 제2 밀착 볼트를 동시에 회전 구동시켜 주는 회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블록 지지부는, 원형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밀착 볼트의 일단을 지지하는 상단 지지부; 상기 상단 지지부와 이격 설치되어 제1 지지부 안착홈의 내측에 안착되는 하단 지지부;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지지부; 및 상부가 상기 회전 지지부에 나사 결합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하단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지지부를 지지하는 중단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지지부는,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측에 밀착 배치되어 상기 상단 지지부를 지지하는 회전형 지지 원통;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이 상기 상단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회전 체결홈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회전 체결 돌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나사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단 지지부의 상부 일측에 안착되어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1 회전형 완충부; 및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단 지지부의 상부 타측에 안착되어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와 함께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2 회전형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단 지지부는,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중단 지지 기둥; 상기 제1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상단 지지부로부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 진동 또는 충격이 전달됨에 따라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이 회전하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부 외측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나사산;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완충부 배치홈; 상기 제2 회전형 완충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완충부 배치홈; 및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하부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돌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단 지지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안착 블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형성하면서 상기 안착 블록의 상부에 형성되는 기둥 안착홈;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이 삽입되고 남아 있는 상기 기둥 안착홈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기둥 안착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을 지지하는 지지 유체; 상기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가 안착되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기둥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는 수직 이동 가이드홈; 및 상기 안착 블록의 하부 내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기둥 안착홈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지지 유체를 공급받거나 공급받았던 상기 지지 유체를 상기 기둥 안착홈의 하부 공간으로 배출시켜 주면서 상기 중단 지지 기둥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보조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완충부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 블록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지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상기 기둥 안착홈을 따라 수직 하강되는 상기 중단 지지 기둥에 의해 압축되는 상기 지지 유체를 전달받아 상측으로부터 수용하는 이너 하우징;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기 지지 유체가 수용되는 상부 공간과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공간으로 구획시키면서 상기 이너 하우징의 중단에 설치되는 지지 파티션; 및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파티션의 하측을 지지하는 파티션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는,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에 배치되는 곡선형 하부 블록;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곡선형 하부 블록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상기 기둥 안착홈을 따라 하강되는 상기 안착 블록에 의해 압축되는 상기 지지 유체를 전달받는 곡선형 실린더;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곡선형 실린더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의 전단을 지지하며, 상기 곡선형 실린더로 상기 지지 유체가 전달됨에 따라 상기 곡선형 실린더로부터 노출되면서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의 전단을 밀어 상기 중단 지지 기둥으로부터 상승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을 회전시켜 주는 곡선형 피스톤; 및 상기 곡선형 하부 블록의 후단과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곡선형 하부 블록의 후단을 지지하는 진동 완충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단 지지부는, 상기 지지 원통의 회전 시 마찰력을 감소시켜 줄 수 있도록 하측을 따라 다수 개의 회전 유도 구체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홈 가공을 통해 폴리머 배터리의 리드(Lead)와 부스바아 간의 밀착력을 향상시킴으로, 저항 감소를 통해 고전류 사용 시 발생될 수 있는 발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류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집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리드 부스바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부스바아 서포터와 제2 부스바아 서포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전류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집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5의 볼트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은 도 5의 제1 블록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회전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도 7의 중단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7의 하단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류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집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류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집전 장치(10)는, 리드 부스바아(100), 제1 부스바아 서포터(200) 및 제2 부스바아 서포터(300)를 포함한다.
리드 부스바아(100)는, 리드 부스바아(100)는, "U" 형태로 절곡 형성된다.
제1 부스바아 서포터(200)는, 리드 부스바아(100)의 일측 내향면에 병렬 연결되어 안착되는 제1 폴리머 전지(B1)와 제2 폴리머 전지(B2)의 각 리드(Lead) (L1, L2)를 덮고서 볼트 결합에 의해 설치된다.
제2 부스바아 서포터(300)는, 리드 부스바아(100)의 타측 내향면에 병렬 연결되어 안착되는 제3 폴리머 전지(B3)와 제3 폴리머 전지(B3)의 각 리드(Lead)(L3, L4)를 덮고서 볼트 결합에 의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리드 부스바아(100)는, 병렬 연결되는 제1 폴리머 전지(B1)와 제2 폴리머 전지(B2), 그리고 병렬 연결되는 제3 폴리머 전지(B3)와 제4 폴리머 전지(B4)를 상호 직렬 연결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드 부스바아(100)는, 제1 폴리머 전지(B1)와 제2 폴리머 전지(B2)의 각 리드(Lead)가 안착되는 일측 내향면(110)과 제3 폴리머 전지(B3)와 제4 폴리머 전지(B4)의 각 리드(Lead)가 안착되는 타측 내향면(120)이 홈 가공(H1)을 통해 0.1T의 요철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부스바아 서포터(200)는, 제1 폴리머 전지(B1)와 제2 폴리머 전지(B2)의 각 리드(Lead)를 덮는 내향면(210)이 0.1T의 홈 가공(H2)을 통해 1/1000~10/1000 높이의 요철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부스바아 서포터(300)는, 제3 폴리머 전지(B3)와 제4 폴리머 전지(B4)의 각 리드(Lead)를 덮는 내향면(310)이 0.1T의 홈 가공(H3)을 통해 1/1000~10/1000 높이의 요철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종래의 집전 장치의 경우, 폴리머 배터리 셀(Li-polymer pouch cell)을 병렬 연결할 때 lead 두께(각 0.2T)에 의해 총 0.4T가 형성되고, 0.4t를 Busbar 사이에서 단순히 Bolt를 체결하는 경우 접착력에 문제가 있어 접촉 저항이 발생할 수 있었으며, Busbar와 Lead 사이의 밀착력 문제로 저항이 증가하고 고전류 사용 시 발열의 원인이 되었다(예를 들어, 3C의 전류에서 100도C이상 온도 상승 등).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류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집전 장치(10)는, 종래 25℃에서 105℃(80℃ 상승)을 25℃에서 57℃(32℃ 상승)로 3C(270A) 전류 통전 시 발명이 48℃ 감소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저항 감소를 통해 고전류 사용 시 발생될 수 있는 발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전류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집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전류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집전 장치(20)는, 리드 부스바아(100), 제1 부스바아 서포터(200), 제2 부스바아 서포터(300) 및 볼트 지지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리드 부스바아(100), 제1 부스바아 서포터(200) 및 제2 부스바아 서포터(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볼트 지지부(400)는, 서로 대향하면서 이격 배치되는 제1 부스바아 서포터(200)를 리드 부스바아(100)에 체결하는 제1 고정 볼트(B1)와 제2 부스바아 서포터(300)를 리드 부스바아(100)에 체결하는 제2 고정 볼트(B2)의 각 볼트 헤드 사이에 설치되어 제1 고정 볼트(B1)와 제2 고정 볼트(B2) 사이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전류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집전 장치(20)는, 볼트 지지부(400)를 이용하여 제1 고정 볼트(B1)와 제2 고정 볼트(B2) 사이를 지지함으로써, 제1 고정 볼트(B1) 또는 제2 고정 볼트(B2)가 제1 부스바아 서포터(200) 또는 제2 부스바아 서포터(3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5의 볼트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볼트 지지부(400)는, 제1 볼트 컵(410), 제1 밀착 블록(420), 제1 밀착 볼트(430), 제1 블록 지지부(440), 제2 볼트 컵(450), 제2 밀착 블록(460), 제2 밀착 볼트(470), 제2 블록 지지부(480) 및 회전 플레이트(490)를 포함한다.
제1 볼트 컵(410)은, 제1 고정 볼트(B1)의 볼트 헤드를 덮고 맞물려 체결된다.
제1 밀착 블록(420)은, 제1 볼트 컵(410)의 내부 공간의 내측에 안착되어 제1 고정 볼트(B1)의 볼트 헤드에 밀착 배치된다.
제1 밀착 볼트(430)는, 제1 볼트 컵(410)에 나사산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되, 일단이 제1 볼트 컵(41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뒤 제1 밀착 블록(420)에 회전 및 좌우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제1 볼트 컵(410)의 내부 공간에서 제1 밀착 블록(420)을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제1 블록 지지부(440)는, 제1 밀착 볼트(430)의 일단이 연결 설치되는 제1 밀착 블록(420)의 내부 공간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제1 밀착 블록(420)의 내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형성되는 제1 지지부 안착홈(H1) 마다 설치되어 제1 밀착 블록(420)에 연결 설치되는 제1 밀착 볼트(430)의 일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제1 밀착 블록(42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제2 볼트 컵(450)은, 제2 고정 볼트(B2)의 볼트 헤드를 덮고 맞물려 체결된다.
제2 밀착 블록(460)은, 제2 볼트 컵(450)의 내부 공간의 내측에 안착되어 제2 고정 볼트(B2)의 볼트 헤드에 밀착 배치된다.
제2 밀착 볼트(470)는, 제2 볼트 컵(450)에 나사산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되, 일단이 제2 볼트 컵(45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뒤 제2 밀착 블록(460)에 회전 및 좌우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제2 볼트 컵(450)의 내부 공간에서 제2 밀착 블록(460)을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제2 블록 지지부(480)는, 제2 밀착 볼트(470)의 일단이 연결 설치되는 제2 밀착 블록(460)의 내부 공간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제2 밀착 블록(460)의 내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형성되는 제2 지지부 안착홈(H2) 마다 설치되어 제2 밀착 블록(460)에 연결 설치되는 제2 밀착 볼트(470)의 일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제2 밀착 블록(46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회전 플레이트(490)는, 제1 밀착 볼트(430)와 제2 밀착 볼트(470) 사이를 연결하면서 고정 설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 밀착 볼트(430)와 제2 밀착 볼트(470)를 동시에 회전 구동시켜 주는;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볼트 지지부(400)는, 제1 고정 볼트(B1)와 제2 고정 볼트(B2) 사이를 지지함은 물론 제1 고정 볼트(B1) 또는 제2 고정 볼트(B2)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줌으로써, 제1 고정 볼트(B1) 또는 제2 고정 볼트(B2)가 제1 부스바아 서포터(200) 또는 제2 부스바아 서포터(3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제1 블록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블록 지지부(500)는, 상단 지지부(510), 하단 지지부(520), 회전 지지부(530) 및 중단 지지부(5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블록 지지부(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지지부(510)와 하단 지지부(520)가 전후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과 같이 뉘인 형태로 설치될 것이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단 지지부(510)가 상측에 위치하고 하단 지지부(520)가 하측에 위치하는 것과 같이 수직 방향으로 직립된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2 블록 지지부(480)는, 후술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블록 지지부(50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후술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블록 지지부(500)의 상단 지지부(510), 하단 지지부(520), 회전 지지부(530) 및 중단 지지부(540)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단 지지부(510)는, 원형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 지지부(53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회전 지지부(530)에 의해 지지되어 제1 밀착 볼트(430)의 일단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단 지지부(5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회전 시 마찰력을 감소시켜 줄 수 있도록 하측을 따라 다수 개의 회전 유도 구체(512)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될 수 있다.
하단 지지부(520)는, 상측에 설치되는 중단 지지부(540)에 의해 상단 지지부(510)와 이격 설치되며, 제1 지지부 안착홈(H1)의 내측면에 안착되어 지지한다.
회전 지지부(530)는, 중단 지지부(54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단 지지부(510)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단 지지부(510)를 지지한다.
중단 지지부(540)는, 상부가 회전 지지부(530)에 나사 결합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하단 지지부(520)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전 지지부(530)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블록 지지부(500)는, 고정 설치되는 상단 지지부(510)와 하단 지지부(520)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지지부(530)와 상하 방향으로 노출과 삽입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중단 지지부(540)의 회전 또는 수직 이동 과정에서 상단 지지부(510)와 하단 지지부(520)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회전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회전 지지부(530)는, 회전형 지지 원통(531), 회전 체결 돌기(532), 제1 나사산(533), 제1 회전형 완충부(534) 및 제2 회전형 완충부(535)를 포함한다.
회전형 지지 원통(531)은, 내주면을 따라 제1 나사산(533)을 형성하면서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 지지부(510)의 하측에 밀착 배치되어 상단 지지부(510)를 지지하며, 상측을 따라 회전 체결 돌기(532)가 형성된다.
회전 체결 돌기(532)는, 회전형 지지 원통(531)이 상단 지지부(510)에 회전 가능하도록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단 지지부(510)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회전 체결홈(51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제1 나사산(533)은, 회전형 지지 원통(531)으로 수직 방향으로 전달되는 힘에 의해 회전형 지지 원통(531)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제2 나사산(542)에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제1 회전형 완충부(534)는,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어 중단 지지부(54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완충부 배치홈(543)에 안착되어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회전형 지지 원통(53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즉, 상단 지지부(51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회전형 지지 원통(531)이 하방 압력을 받음에 따라 제1 나사산(533)과 제2 나사산(542) 간의 결합에 의해 회전형 지지 원통(531)이 회전하면서 중단 지지부(540)의 상부가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것이다.
이때, 제1 회전형 완충부(534)와 제2 회전형 완충부(535)는, 회전형 지지 원통(531)이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동시에 회전형 지지 원통(53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회전형 완충부(534)는, 곡선형 하부 블록(5341), 곡선형 실린더(5342), 곡선형 피스톤(5343) 및 진동 완충 스프링(5344)을 포함할 수 있다.
곡선형 하부 블록(5341)은,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제2 회전형 완충부(535)와 대향하면서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1 완충부 배치홈(543)에 배치되며, 전단 하측에 곡선형 실린더(5342)가 설치된다.
곡선형 실린더(5342)는,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곡선형 하부 블록(5341)의 전단에 설치되며, 회전형 지지 원통(53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기둥 안착홈(522)을 따라 하강되는 안착 블록(521)에 의해 압축되는 지지 유체(523)를 전달받아 내측에 설치되는 곡선형 피스톤(5343)을 내측으로부터 노출시켜 준다.
곡선형 피스톤(5343)은,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곡선형 실린더(5342)에 연결 설치되어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의 전단을 지지하며, 곡선형 실린더(5342)로 지지 유체(523)가 전달됨에 따라 곡선형 실린더(5342)로부터 노출되면서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의 전단을 밀어 중단 지지 기둥(541)으로부터 상승되는 방향으로 회전형 지지 원통(531)을 회전시켜 준다.
진동 완충 스프링(5344)은, 곡선형 하부 블록(5341)의 후단과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어 곡선형 하부 블록(5341)의 후단을 지지한다.
제2 회전형 완충부(535)는, 제1 회전형 완충부(534)와 대향하면서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타측에 설치되어 중단 지지부(540)의 상부 타측에 안착되어 제1 회전형 완충부(534)와 함께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회전형 지지 원통(53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여기서, 제2 회전형 완충부(535)는, 상술한 제1 회전형 완충부(534)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회전형 완충부(534)의 곡선형 하부 블록(5341), 곡선형 실린더(5342), 곡선형 피스톤(5343) 및 진동 완충 스프링(5344)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회전 지지부(530)는, 상단 지지부(510)와 중단 지지부(540) 사이에서 각각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회전 운동으로 변형시켜 주는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단 지지부(51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11은 도 7의 중단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중단 지지부(540)는, 중단 지지 기둥(541), 제2 나사산(542), 제1 완충부 배치홈(543), 제2 완충부 배치홈(544) 및 다수 개의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545)를 포함한다.
중단 지지 기둥(541)은,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기둥 안착홈(522)에 안착되어 지지 유체(523)에 의해 지지되며, 제2 나사산(542), 제1 완충부 배치홈(543), 제2 완충부 배치홈(544) 및 다수 개의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545)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제2 나사산(54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나사산(533)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동시에 상단 지지부(510)로부터 회전형 지지 원통(531)으로 진동 또는 충격이 전달됨에 따라 회전형 지지 원통(531)이 회전하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중단 지지 기둥(541)의 상부 외측을 따라 형성된다.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은, 제1 회전형 완충부(534)가 배치될 수 있도록 중단 지지 기둥(541)의 상부 일측에서 곡선형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제2 완충부 배치홈(544)은, 제2 회전형 완충부(535)가 배치될 수 있도록 중단 지지 기둥(541)의 상부 타측에서 곡선형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다수 개의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545)는, 중단 지지 기둥(541)의 상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중단 지지 기둥(541)의 하부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돌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중단 지지부(540)는, 회전 지지부(530)와 하단 지지부(520)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 지지부(530)를 지지하는 동시에, 회전 지지부(53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기둥 안착홈(522)에서 지지 유체(523)를 가압하면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도 7의 하단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하단 지지부(520)는, 안착 블록(521), 기둥 안착홈(522), 지지 유체(523), 수직 이동 가이드홈(524) 및 보조 완충부(525)를 포함한다.
안착 블록(521)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기둥 안착홈(522), 지지 유체(523), 수직 이동 가이드홈(524) 및 보조 완충부(525)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기둥 안착홈(522)은, 중단 지지 기둥(541)이 안착될 수 있도록 중단 지지 기둥(541)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형성하면서 안착 블록(521)의 상부에 형성되고, 중단 지지 기둥(541)이 삽입되고 남아 있는 하측 공간에 지지 유체(523)가 수용된다.
이때, 지지 유체(523)는, 중단 지지 기둥(541)에 의해 밀폐되는 기둥 안착홈(522)의 하단에 수용되는 것이며, 중단 지지 기둥(541)의 기둥 안착홈(522)에서의 상하 이동에 상관 없이 기둥 안착홈(522)으로부터 유출되지 아니하여야 할 것이다.
지지 유체(523)는, 물 또는 오일 등과 같이 그 형상의 변형이 가능하고 유동성을 가지고 있는 물체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중단 지지 기둥(541)이 삽입되고 남아 있는 기둥 안착홈(522)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기둥 안착홈(522)에 삽입되어 있는 중단 지지 기둥(541)을 지지한다.
수직 이동 가이드홈(524)은,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545)가 안착되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중단 지지 기둥(541)의 상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기둥 안착홈(522)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된다.
보조 완충부(525)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 블록(521)의 하부 내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기둥 안착홈(522)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지지 유체(523)를 공급받거나 공급받았던 지지 유체(523)를 기둥 안착홈(522)의 하부 공간으로 배출시켜 주면서 중단 지지 기둥(54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완충부(525)는, 이너 하우징(5251), 지지 파티션(5252) 및 파티션 지지 스프링(525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하우징(5251)은,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안착 블록(521)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며, 회전 지지부(53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기둥 안착홈(522)을 따라 수직 하강되는 중단 지지 기둥(541)에 의해 압축되는 지지 유체(523)를 기둥 안착홈(522)으로부터 전달받아 상측으로부터 수용한다.
여기서, 기둥 안착홈(522)과 이너 하우징(5251) 사이에는, 지지 유체(523)의 이동을 중계하기 위한 유체 이동로(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 파티션(5252)은, 이너 하우징(5251)의 내부 공간을 지지 유체(523)가 수용되는 상부 공간과 파티션 지지 스프링(5253)이 설치되는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공간으로 구획시키면서 이너 하우징(5251)의 중단에 설치된다.
파티션 지지 스프링(5253)은, 이너 하우징(5251)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어 지지 파티션(5252)의 하측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하단 지지부(520)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단 지지부(540)를 지지하는 동시에, 중단 지지부(540)로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중단 지지부(540)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 시 압축되는 지지 유체(523)의 배출 또는 유입 과정에서 진동 또는 충격 등의 완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고전류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집전 장치
100: 리드 부스바아
200: 제1 부스바아 서포터
300: 제2 부스바아 서포터
400: 볼트 지지부

Claims (11)

  1. "U"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리드 부스바아;
    상기 리드 부스바아의 일측 내향면에 병렬 연결되어 안착되는 제1 폴리머 전지와 제2 폴리머 전지의 각 리드(Lead)를 덮고서 볼트 결합에 의해 설치되는 제1 부스바아 서포터; 및
    상기 리드 부스바아의 타측 내향면에 병렬 연결되어 안착되는 제3 폴리머 전지와 제4 폴리머 전지의 각 리드(Lead)를 덮고서 볼트 결합에 의해 설치되는 제2 부스바아 서포터;를 포함하고,
    서로 대향하면서 이격 배치되는 상기 제1 부스바아 서포터를 상기 리드 부스바아에 체결하는 제1 고정 볼트와 상기 제2 부스바아 서포터를 상기 리드 부스바아에 체결하는 제2 고정 볼트의 각 볼트 헤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고정 볼트와 상기 제2 고정 볼트 사이를 지지하는 볼트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고전류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집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지지부는,
    상기 제1 고정 볼트의 볼트 헤드를 덮고 맞물려 체결되는 제1 볼트 컵;
    상기 제1 볼트 컵의 내부 공간의 내측에 안착되어 상기 제1 고정 볼트의 볼트 헤드에 밀착 배치되는 제1 밀착 블록;
    상기 제1 볼트 컵에 나사산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제1 볼트 컵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뒤 상기 제1 밀착 블록에 회전 및 좌우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상기 제1 볼트 컵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제1 밀착 블록을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제1 밀착 볼트;
    상기 제1 밀착 볼트의 일단이 연결 설치되는 상기 제1 밀착 블록의 내부 공간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1 밀착 블록의 내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형성되는 제1 지지부 안착홈 마다 설치되어 상기 제1 밀착 블록에 연결 설치되는 상기 제1 밀착 볼트의 일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밀착 블록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1 블록 지지부;
    상기 제2 고정 볼트의 볼트 헤드를 덮고 맞물려 체결되는 제2 볼트 컵;
    상기 제2 볼트 컵의 내부 공간의 내측에 안착되어 상기 제2 고정 볼트의 볼트 헤드에 밀착 배치되는 제2 밀착 블록;
    상기 제2 볼트 컵에 나사산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제2 볼트 컵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뒤 상기 제2 밀착 블록에 회전 및 좌우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상기 제2 볼트 컵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제2 밀착 블록을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제2 밀착 볼트;
    상기 제2 밀착 볼트의 일단이 연결 설치되는 상기 제2 밀착 블록의 내부 공간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2 밀착 블록의 내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형성되는 제2 지지부 안착홈 마다 설치되어 상기 제2 밀착 블록에 연결 설치되는 상기 제2 밀착 볼트의 일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2 밀착 블록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2 블록 지지부; 및
    상기 제1 밀착 볼트와 상기 제2 밀착 볼트 사이를 연결하면서 고정 설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밀착 볼트와 상기 제2 밀착 볼트를 동시에 회전 구동시켜 주는 회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고전류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집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 지지부는,
    원형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밀착 볼트의 일단을 지지하는 상단 지지부;
    상기 상단 지지부와 이격 설치되어 제1 지지부 안착홈의 내측에 안착되는 하단 지지부;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지지부; 및
    상부가 상기 회전 지지부에 나사 결합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하단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지지부를 지지하는 중단 지지부;를 포함하는, 고전류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집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부는,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측에 밀착 배치되어 상기 상단 지지부를 지지하는 회전형 지지 원통;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이 상기 상단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회전 체결홈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회전 체결 돌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나사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단 지지부의 상부 일측에 안착되어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1 회전형 완충부; 및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단 지지부의 상부 타측에 안착되어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와 함께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2 회전형 완충부;를 포함하는, 고전류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집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 지지부는,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중단 지지 기둥;
    상기 제1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상단 지지부로부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 진동 또는 충격이 전달됨에 따라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이 회전하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부 외측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나사산;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완충부 배치홈;
    상기 제2 회전형 완충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완충부 배치홈; 및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하부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돌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고전류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집전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지지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안착 블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형성하면서 상기 안착 블록의 상부에 형성되는 기둥 안착홈;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이 삽입되고 남아 있는 상기 기둥 안착홈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기둥 안착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을 지지하는 지지 유체;
    상기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가 안착되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기둥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는 수직 이동 가이드홈; 및
    상기 안착 블록의 하부 내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기둥 안착홈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지지 유체를 공급받거나 공급받았던 상기 지지 유체를 상기 기둥 안착홈의 하부 공간으로 배출시켜 주면서 상기 중단 지지 기둥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보조 완충부;를 포함하는, 고전류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집전 장치.
KR1020220173185A 2022-12-12 2022-12-12 고전류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집전 장치 KR102562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3185A KR102562858B1 (ko) 2022-12-12 2022-12-12 고전류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집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3185A KR102562858B1 (ko) 2022-12-12 2022-12-12 고전류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집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2858B1 true KR102562858B1 (ko) 2023-08-02

Family

ID=87566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3185A KR102562858B1 (ko) 2022-12-12 2022-12-12 고전류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집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85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263B1 (ko) 2012-04-12 2014-04-22 주식회사 올레브 Pcb를 이용한 집전장치
KR20180113813A (ko) * 2017-04-07 2018-10-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리드간 연결 구조를 개선한 배터리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1916433B1 (ko) * 2017-06-30 2018-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180135604A (ko) * 2017-06-13 2018-1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전력 저장 장치
KR20190063814A (ko)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버스바 어셈블리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263B1 (ko) 2012-04-12 2014-04-22 주식회사 올레브 Pcb를 이용한 집전장치
KR20180113813A (ko) * 2017-04-07 2018-10-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리드간 연결 구조를 개선한 배터리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35604A (ko) * 2017-06-13 2018-1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전력 저장 장치
KR101916433B1 (ko) * 2017-06-30 2018-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190063814A (ko)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버스바 어셈블리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207773U (zh) 一种新能源汽车充电桩的保护装置
CN111463954A (zh) 一种利用引力的减震降温汽车电机机械设备箱
CN210201769U (zh) 一种新能源汽车用太阳能面板收纳调节装置
CN112490565A (zh) 新能源汽车车载蓄电池抗震安装箱
JP2017225327A (ja) 電気自動車の航続距離延長・充電・駆動装置
KR102562858B1 (ko) 고전류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집전 장치
CN111976453A (zh) 一种电动汽车电池包固定装置
CN103230176B (zh) 一种车载三维自发电座椅
KR20110059353A (ko) 자동차
CN109353215A (zh) 一种新能源汽车用太阳能面板储纳调节装置
CN207644179U (zh) 一种安全型新能源汽车充电桩
CN101670777A (zh) 太阳能混合动力汽车
CN201338527Y (zh) 太阳能混合动力汽车
CN110103862A (zh) 一种车载隔振平台用压电能量回收底座
CN214898678U (zh) 一种具有减震功能的新能源汽车
CN114670612A (zh) 一种新能源汽车电机驱动辅助减震装置
CN210461529U (zh) 一种新能源汽车的减震装置
CN209786002U (zh) 一种环保型新能源汽车用双层结构铝合金电池箱
KR20170042147A (ko) 자동차의 에너지 회수 댐퍼
CN205911329U (zh) 一种避震电池包
CN207939295U (zh) 新能源汽车电机固定装置
Capaldi et al. A simple on-board electric generator for road electric vehicles based on single-cylinder engine and PM-brushless generator
CN209553313U (zh) 一种具有缓震效果的新能源物流车底盘结构
CN205311336U (zh) 节能环保双电车
CN111874141A (zh) 一种电动自行车平衡装置及电动自行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