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707B1 -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707B1
KR102562707B1 KR1020200182016A KR20200182016A KR102562707B1 KR 102562707 B1 KR102562707 B1 KR 102562707B1 KR 1020200182016 A KR1020200182016 A KR 1020200182016A KR 20200182016 A KR20200182016 A KR 20200182016A KR 102562707 B1 KR102562707 B1 KR 102562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late
girder
concrete structur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0968A (ko
Inventor
이재수
김진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충전공영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충전공영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충전공영개발
Priority to KR1020200182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707B1/ko
Publication of KR20220090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더에 결합하여, 외측은 상기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이루고, 내측은 상기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거푸집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외장플레이트; 및 상기 외장플레이트의 외측에 결합하여, 상기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 상에 상기 외장플레이트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차단벽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커튼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더에 외장플레이트를 결합시키고, 결합시킨 외장플레이트의 외측이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내측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에 타설되는 콘트리트의 거푸집을 이루도록 구성함으로써,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 제거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공사기간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MULTIFUNCTIONAL CURTAIN WALL SYSTEM}
본 발명은 커튼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형성하면서,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에 타설하는 콘크리트의 거푸집을 형성하는 외장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하중을 담당하는 주체구조는 기둥과 보의 골조만으로 이루어져서 건물에 가해지는 수직하중과 바람에 의한 수평하중 등을 지지하게 되고, 벽체는 단순히 공간을 칸막이하는 구실만을 하기 때문에 이러한 벽체를 '커튼월' 내지 '비내력 칸막이벽'이라고 호칭한다.
커튼월은 외부로부터 비나 바람을 막고 소음이나 열을 차단하는 구실을 하며, 기둥과 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구실을 하며, 현대적인 건축양식에서 외장용으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커튼월은 특히 고층건물이나 초고층건물에서 많이 사용되며, 미리 공장에서 제작한 일정크기의 외벽패널을 기계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건물 외벽으로 들어올려서 붙이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외벽패널을 공장에서 대량으로 규격화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통일성이 있고, 또한 건물의 외관도 심미감을 일으키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99368호 (2011.12.21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더에 외장플레이트를 결합시키고, 결합시킨 외장플레이트의 외측이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내측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에 타설되는 콘트리트의 거푸집을 이루도록 구성함으로써,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 제거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하여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공사기간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커튼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외장플레이트에 커튼월을 설치하여,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 상에 외장플레이트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차단벽을 형성시킴으로써, 콘크리트 건물 내부의 불빛이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의 빗물이나 바람이 개구부를 통하여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커튼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더에 결합하여, 외측은 상기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이루고, 내측은 상기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거푸집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외장플레이트; 및 상기 외장플레이트의 외측에 결합하여, 상기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 상에 상기 외장플레이트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차단벽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커튼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외장플레이트는, 상기 거더에 결합하여, 외측은 상기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이루고, 내측은 상기 거더의 상부에 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의 거푸집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하부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단부에 결합하여, 외측은 상기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이루고, 내측은 상기 슬래브 콘크리트의 상부에 타설되는 외벽 콘크리트의 거푸집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상부플레이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상기 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판상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거더의 상면에 결합하는 거더결합부; 및 상기 거더결합부로부터 상기 거더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슬래브 콘크리트의 거푸집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상단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내측에는 상기 외벽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매립철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커튼월은, 상기 외장플레이트의 외측에 결합하는 선형프레임; 상기 선형프레임과 결합하는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로부터 상기 선형프레임의 외측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선형프레임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곡형부를 포함하는 곡형프레임; 및 상기 선형프레임과 상기 곡형프레임의 상기 곡형부 사이에 구비되는 차단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더에 외장플레이트를 결합시키고, 결합시킨 외장플레이트의 외측이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내측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에 타설되는 콘트리트의 거푸집을 이루도록 구성함으로써,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 제거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공사기간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외벽 형성을 위해 거더 외측에 외벽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을 별도로 설치하던 것과 달리, 외장플레이트에 의해 외벽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장플레이트에 커튼월을 설치하여,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 상에 외장플레이트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차단벽을 형성시킴으로써, 콘크리트 건물 내부의 불빛이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의 빗물이나 바람이 개구부를 통하여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이 시공된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이 시공된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의 일부 구성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의 하부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의 상부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의 커튼월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b)는 커트월의 A-A 단면에 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의 하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이 시공된 콘트리트 구조물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이 시공된 콘트리트 구조물의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이 시공된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이 시공된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의 일부 구성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의 하부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의 상부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의 커튼월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b)는 커트월의 A-A 단면에 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의 하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이 시공된 콘트리트 구조물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이 시공된 콘트리트 구조물의 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더(10)에 결합하여, 외측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이루고, 내측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에 타설되는 콘크리트(20)의 거푸집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외장플레이트(100); 및 외장플레이트(100)의 외측에 결합하여,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30) 상에 외장플레이트(1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차단벽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커튼월(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외장플레이트(100)는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더(10)에 결합하여, 외측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이루고, 내측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에 타설되는 콘크리트(20)의 거푸집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이 시공되는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은 H형강과 같은 철골부재로 기둥과 보를 형성하는 건축 구조물일 수 있다.
여기서, 외장플레이트(100)가 결합하는 거더(10)는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부에 설치된 거더(10)일 수 있으며,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에 타설되는 콘크리트(20)는 거더(10)의 상부에 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21) 및 슬래브 콘크리트(21) 상부에 타설되는 외벽 콘크리트(2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외장플레이트(100)는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부에 설치되는 거더(10)의 일측에 결합하여, 외측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이루도록 하고, 내측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에 타설하는 콘크리트의 거푸집 일부를 이루도록 구성하였다.
종래의 경우,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더(10) 외측에 외벽을 시공하기 위하여 거더(10)의 외측에 거푸집을 형성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다시 거푸집을 제거하는 시공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의 경우, 거푸집 설치 및 제거를 위하여 공사기간이 늘어나고, 작업자가 거더(10)의 외측에 거푸집을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경우, 거더(10)에 외장플레이트(100)를 결합시켜 외측이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구성하도록 하면서, 내측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래브나 외벽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의 거푸집으로 기능하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거더(10)에 결합하는 외장플레이트(100)의 외측 및 내측이 각각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관을 형성하면서 동시에 콘트리트 타설시 거푸집 역할을 하게 됨으로,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을 다시 제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공사기간을 상당시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거더(10)에 외장플레이트(100)를 결합시키는 시공방법에 의해, 종래 거더(10) 외측에 거푸집을 형성하는 시공방법에 비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장플레이트(100)는 거더(10)에 결합하여, 외측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이루고, 내측은 거더(10)의 상부에 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21)의 거푸집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하부플레이트(110); 및 하부플레이트(110)의 상단부에 결합하여, 외측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이루고, 내측은 슬래브 콘크리트(21)의 상부에 타설되는 외벽 콘크리트(23)의 거푸집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상부플레이트(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외장플레이트(110)는 거더(10)에 결합하는 하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30)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상부플레이트(13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하부플레이트(110)는 거더(10)에 결합하여, 외측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이루고, 내측은 거더(10)의 상부에 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21)의 거푸집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부플레이트(110)는 거더(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판상형으로 구비되어, 거더(10)의 상면에 결합하는 거더결합부(111); 및 거더결합부(111)로부터 거더(10)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슬래브 콘크리트(21)의 거푸집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상단커버(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거더결합부(111)는 거더(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판상형으로 구비되어, 거더(10)의 상면에 결합하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 거더(10)가 H형강으로 구비되는 경우 거더결합부(111)는 하면이 거더(10)의 상부플랜지 상면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어서, 상단커버(113)는 거더결합부(111)로부터 거더(10)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판상형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단커버(113)는 거더(10)의 끝단부에 거더(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벽을 형성할 수 있는데, 거더(10)에 데크 플레이트 등을 이용하여 슬래브를 형성하는 경우, 상단커버(113)는 데크 플레이트에 타설된 슬래브 콘트리트(21)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플레이트(110)는 거더결합부(111)로부터 거더(10)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거더(10)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하단커버(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단커버(115)는 거더결합부(111)로부터 거더(10)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판상형 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 하단커버(115)는 거더결합부(111)로부터 거더(10)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거더(10)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되어 거더(10)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거더(10)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 빗물 등에 의해 녹이 슬거나 페인트가 벗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하부플레이트(110)는 거더(10)를 커버하는 하단커버(115)를 형성하여, 거더(1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하단커버(115)가 거더(10)의 외측을 가려 외장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게 구성하였다.
한편, 하단커버(115)의 하측단부에는 하단커버(115)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115a)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커버(115)의 하측단부에 절곡부(115a)를 형성시킴으로써, 하부플레이트(110) 시공시 작업자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하단커버(115)의 하측단부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부플레이트(130)는 하부플레이트(110)의 상단부에 결합하여, 외측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이루고, 내측은 슬래브 콘크리트(21)의 상부에 타설되는 외벽 콘크리트(23)의 거푸집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된다.
상부플레이트(130)는 일예로 하부플레이트(110)에 대응하는 길이의 판상형 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플레이트(130)는 하단부가 하부플레이트(110)의 상단부에 용접 등의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130)가 하부플레이트(110)의 상단부에 결합함으로써, 외측은 하부플레이트(110)의 외측과 함께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관을 이루게 되고, 내측은 슬래브 콘크리트(21) 상부에 타설되는 외벽 콘크리트(23)의 거푸집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부플레이트(130)는 내측에 외벽 콘크리트(23)에 매립되는 매립철근부(13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철근부(131)는 상부플레이트(130)의 내측에서 기립 형성되는 연결재(133)와, 상부플레이트(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면서, 상부플레이트(130)에 인접하게 연결재(133)에 결합하는 제1매립철근(135) 및 상부플레이트(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면서, 제1매립철근(135)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연결재(133)에 결합하는 제2매립철근(137)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슬래브 콘크리트(21)의 상부에 외벽 콘크리트(23)를 타설하는 경우, 상부플레이트(130) 내측에 구비된 매립철근부(131)는 외벽 콘크리트(23) 양생 후 철근 콘크리트조의 철근으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외장플레이트(100)는 상부플레이트(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플레이트(130)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상부지지앵글(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지지앵글(150)은 일예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단면이 'ㄱ' 형상으로형성된 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플레이트(130)에 상부지지앵글(150)을 결합시켰을 때, 절곡된 상단부가 상부플레이트(130)의 내측을 향하도록 상부플레이트(130)의 상단부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부지지앵글(150)은 상부플레이트(130)의 보강재로써 상부플레이트(130)의 상단부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고, 상부플레이트(130)의 상단부에 상부지지앵글(150)이 구비됨으로써 외벽 콘크리트(23) 타설 시 상부플레이트(130)의 파손 내지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어서, 커튼월(200)은 외장플레이트(100)의 외측에 결합하여,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30) 상에 외장플레이트(1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차단벽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커튼월(200)은 다수개가 외장플레이트(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튼월(200)을 외장플레이트(100)의 외측에 결합시켜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에 커튼월(200)을 구비시킴으로써,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서 발생하는 불빛 등이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3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외부 환경에 따른 바람이나 빗물이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30)를 통해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200)은 외장플레이트(100)의 외측에 결합하는 선형프레임(210); 선형프레임(210)과 결합하는 접합부(231)와, 접합부(231)로부터 선형프레임(210)의 외측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선형프레임(210)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곡형부(233)를 포함하는 곡형프레임(230); 및 선형프레임(210)과 곡형프레임(230)의 곡형부(233) 사이에 구비되는 차단플레이트(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선형프레임(210)은 일예로 단면이 사각형상인 각관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외장플레이트(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외장플레이트(100)의 외측에 결합한다.
이때, 선형프레임(210)은 일예로 용접 등의 방식으로 외장플레이트(100)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어서, 곡형프레임(230)은 일예로 단면이 사각형상인 각관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선형프레임(210)에 결합하여, 외장플레이트(1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되도록 구비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곡형프레임(230)은 선형프레임(210)과 결합하는 접합부(231)와, 접합부(231)로부터 선형프레임(210)의 외측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선형프레임(210)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곡형부(2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접합부(231)는, 선형프레임(210)의 외측에 결합하되, 곡형부(233)가 외장플레이트(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30)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선형프레임(210)에 결합할 수 있다.
이로써, 후술하는 차단플레이트(250)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30)에 위치하여,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불빛이 외부로 방출되거나, 외부의 빗물이나 바람이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곡형부(233)는 선형프레임(210)의 외측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하되, 휘어진 부분은 호형 내지 다각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곡형부(233)는 접합부(231)가 선형프레임(210)에 결합하였을 때, 외장플레이트(100)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30) 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이어서, 차단플레이트(250)는 선형프레임(210)과 곡형프레임(230)의 곡형부(233) 사이에 구비되어,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30) 상에 차단벽을 형성한다.
차단플레이트(250)는 일예로 일부 둘레가 선형프레임(21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나머지 둘레가 곡형프레임(230)의 곡형부(233)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판상형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차단플레이트(250)는 선형프레임(210)과 곡형프레임(230)의 곡형부(233) 사이에 구비되되,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30) 상에 위치하여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불빛이 외부로 방출되거나, 외부의 빗물이나 바람이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차단플레이트(250)는 외측 둘레가 선형프레임(210) 및 곡형프레임(230)의 곡형부(233)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개구에 삽입되어 선형프레임(210) 및 곡형프레임(2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단플레이트(230)의 외측부를 선형프레임(210) 및 곡형프레임(230)의 외측부 직접 결합하지 않고 선형프레임(210) 및 곡형프레임(230)에 형성한 절개구에 삽입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차단플레이트(230)의 외측부 형상이 선형프레임(210) 및 곡형프레임(230)의 형상과 일치하지 않더라도 차단플레이트(230)를 선형프레임(210) 및 곡형프레임(230) 사이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차단플레이트(230)의 외측부를 선형프레임(210) 및 곡형프레임(230)의 외측부 직접 결합하는 것에 비하여, 더욱 견고하게 차단플레이트(230)를 선형프레임(210) 및 곡형프레임(230) 사이에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커튼월(200)의 하단을 지지하는 프레임지지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프레임지지부(270)는 커튼월(200) 선형프레임(210)의 하부 끝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앵글(271)과, 지지앵글(271)을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앵커볼트(27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지지부(270)가 구비됨으로써, 다수개의 커튼월(200)을 외장플레이트(100)에 더욱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다수개의 커튼월(200)을 외장플레이트(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할 때에 커튼월(200)들의 설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일예로, 외장플레이트(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프레임지지부(270)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설치한 후, 커튼월(200) 선형프레임(210)의 하부 끝단부를 프레임지지부(270)의 지지앵글(271)에 지지시켜 커튼월(200)을 외장플레이트(100) 외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용접 등에 의해 커튼월(200)을 외장플레이트(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커튼월(200)은 상호 높이가 동일하게 외장플레이트(100)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또한 미관을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호 높이 다르게 하여 외장플레이트(100)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시스템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부재로 구비되어 커튼월(200)의 선형프레임(210) 내측에 결합하는 난간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난간부재(30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부재로 구비되어, 외장플레이트(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선형프레임(210)들의 내측에 결합되되, 상부플레이트(130)의 상단부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부플레이트(130)의 상단부와 평행하도록 선형프레임(210)에 결합할 수 있다.
난간부재(300)는 선형프레임(210)들에 결합되어, 선형프레임(210)들을 상호 결속시킴으로써 커튼월(200)의 구조를 보강할 수 있으며, 또한 개구부(30)에 구비되는 안전난간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더에 외장플레이트를 결합시키고, 결합시킨 외장플레이트의 외측이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내측은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에 타설되는 콘트리트의 거푸집을 이루도록 구성함으로써,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 제거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공사기간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외벽 형성을 위해 거더 외측에 외벽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을 별도로 설치하던 것과 달리, 외장플레이트에 의해 외벽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장플레이트에 커튼월을 설치하여,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 상에 외장플레이트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차단벽을 형성시킴으로써, 콘크리트 건물 내부의 불빛이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의 빗물이나 바람이 개구부를 통하여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거더 20 : 콘크리트
21 : 슬래브 콘크리트 23 : 외벽 콘크리트
30 : 개구부
100 : 외장플레이트 110 : 하부플레이트
111 : 거더결합부 113 : 상단커버
115 : 하단커버 115a : 절곡부
130 : 상부플레이트 131 : 매립철근부
133 : 연결재 135 : 제1매립철근
137 : 제2매립철근 150 : 상부지지앵글
200 : 커튼월 210 : 선형프레임
230 : 곡형프레임 231 : 접합부
233 : 곡형부 250 : 차단플레이트
270 : 프레임지지부 271 : 지지앵글
273 : 앵커볼트 300 : 난간부재

Claims (5)

  1.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더에 결합하여, 외측은 상기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이루고, 내측은 상기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거푸집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외장플레이트; 및
    상기 외장플레이트의 외측에 결합하여, 상기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 상에 상기 외장플레이트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차단벽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커튼월;
    을 포함하고,
    상기 외장플레이트는,
    상기 거더에 결합하여, 외측은 상기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이루고, 내측은 상기 거더의 상부에 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의 거푸집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하부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단부에 결합하여, 외측은 상기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장을 이루고, 내측은 상기 슬래브 콘크리트의 상부에 타설되는 외벽 콘크리트의 거푸집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상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상기 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판상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거더의 상면에 결합하는 거더결합부; 및
    상기 거더결합부로부터 상기 거더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슬래브 콘크리트의 거푸집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상단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내측에는 상기 외벽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매립철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월은,
    상기 외장플레이트의 외측에 결합하는 선형프레임;
    상기 선형프레임과 결합하는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로부터 상기 선형프레임의 외측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선형프레임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곡형부를 포함하는 곡형프레임; 및
    상기 선형프레임과 상기 곡형프레임의 상기 곡형부 사이에 구비되는 차단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
KR1020200182016A 2020-12-23 2020-12-23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 KR102562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016A KR102562707B1 (ko) 2020-12-23 2020-12-23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016A KR102562707B1 (ko) 2020-12-23 2020-12-23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968A KR20220090968A (ko) 2022-06-30
KR102562707B1 true KR102562707B1 (ko) 2023-08-02

Family

ID=82214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016A KR102562707B1 (ko) 2020-12-23 2020-12-23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7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0788B (zh) * 2022-05-07 2023-07-14 中建八局总承包建设有限公司 斜挂清水板幕墙及其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1177A (ja) 2000-07-10 2002-01-23 Bunka Shutter Co Ltd 建物用付設物の取付具及び建物用付設物の取付構造
JP2014136916A (ja) 2013-01-17 2014-07-28 Lixil Corp 縦庇式太陽電池モジュール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6479A (ja) * 1997-07-23 1999-02-09 Taisei Corp カーテンウォール仕上げ建築物の層間ふさぎ構造及びその工法
KR101099368B1 (ko) 2010-02-03 2011-12-29 (주)동양윈텍 커튼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1177A (ja) 2000-07-10 2002-01-23 Bunka Shutter Co Ltd 建物用付設物の取付具及び建物用付設物の取付構造
JP2014136916A (ja) 2013-01-17 2014-07-28 Lixil Corp 縦庇式太陽電池モジュール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968A (ko)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17669C (en) Curtain wall for a building
KR101666980B1 (ko) 철근콘크리트 보용 선조립 구조물
KR100721211B1 (ko) 내/외장재 패널 및 그 시공방법
US8631628B1 (en) Tilt-up concrete spandrel assemblies and methods
KR102562707B1 (ko)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
US11585080B2 (en) Balcony installation
JP6271399B2 (ja) 外壁パネルの取付け構造
KR100676193B1 (ko) 철골 계단 구조
JP4757590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既存建物の耐震補強工法
KR101818060B1 (ko) 수벽 처리용 프레임이 구비된 거푸집 일체형 보 구조물
JP3130008U (ja) 耐力構造体
KR10074672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 시스템
JP7484056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及び建物
JP5259490B2 (ja) ダブルスキンカーテンウォールの構築方法
KR102335856B1 (ko) 철골빔 설치용 안전 난간대
EP3580408A1 (en) A resuable modular building and a method for erecting the same
JP4872301B2 (ja) Rc構造体の構築工法
KR200296952Y1 (ko) 철근콘크리트 슬라브를 위한 데크패널
KR200411037Y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 시스템
KR20110029490A (ko) 경량화 구조로된 프리캐스트 패널 리모델링 시공 방법 및 프리캐스트 연결구조
JP6382767B2 (ja) 鉄骨建物の外周部の基礎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814416B1 (ko) 틸트업 내벽결합 내진보강 구조
KR20040017560A (ko) 철근콘크리트 슬라브를 위한 데크패널
JP2021139185A (ja) 建物ユニットおよび建物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2015074929A (ja) 外部張出し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