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327B1 - 거품 발생을 억제하면서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 - Google Patents

거품 발생을 억제하면서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327B1
KR102562327B1 KR1020230028391A KR20230028391A KR102562327B1 KR 102562327 B1 KR102562327 B1 KR 102562327B1 KR 1020230028391 A KR1020230028391 A KR 1020230028391A KR 20230028391 A KR20230028391 A KR 20230028391A KR 102562327 B1 KR102562327 B1 KR 102562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operating torque
draft beer
cup
tor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8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인홍
Original Assignee
민인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인홍 filed Critical 민인홍
Priority to KR1020230028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3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Froth control
    • B67D1/1272Froth control preventing fr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6Mountings or arrangements of dispensing apparatus in or on shop or bar counter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거품 발생을 억제하면서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는 제1 축에 베어링 결합되며 제1 방향의 설정방향과 제2 방향의 작동방향을 갖는 부채꼴의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에 고정되어 연동회전되며, 컵과 따라진 생맥주의 무게에 따라 상기 제1 기어에 제2 방향의 제1 작동토크를 발생하는 컵 거치부 및 자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을 방해하는 제2 작동토크를 발생하는 작동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방향의 토크에 의해 상기 제1 기어 및 직립된 상기 컵 거치부가 설정각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제2 작동토크가 상기 제1 작동토크보다 커서 상기 제1 기어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컵에 생맥주가 따라져서 상기 제1 작동토크가 상기 제2 작동토크보다 커짐에 따라, 상기 제1 기어가 제2 방향으로 상기 설정각도만큼 서서히 회전하여 원상태로 상기 컵 거치부가 직립한다.

Description

거품 발생을 억제하면서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device for pouring draft beer with suppressed foaming}
본 발명은 컵에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품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생맥주를 컵에 따를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맥주나 탄산음료 등 탄산을 포함하는 음료를 공급하는 장치 아래에 컵을 똑바로 세워놓은 상태에서 음료를 공급하면 탄산으로 인하여 거품이 과도하게 발생하여 컵이 넘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탄산을 포함하는 음료를 컵에 따르는 경우에는, 컵을 기울여서 음료를 따르기 시작하여 음료가 컵에 찰수록 컵을 서서히 세우면서 음료를 따라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500cc나 1,000cc 정도의 대용량 컵은 그 무게가 상당한데, 거기에 음료의 무게가 더해지면, 기존의 생맥주 따르는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생맥주를 따르는 동안 컵을 들고 있는 사용자의 팔에 상당한 무리가 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하루 수백 잔의 생맥주를 따라야 하는 매장 종업원들에게는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생맥주를 따르는 동안에 사용자가 컵을 들고 있을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무게 부담을 줄여줄 수 있고, 컵을 기울여 생맥주를 따르기 시작하여 컵을 점점 세워줌으로써 거품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생맥주가 컵에서 넘치도록 따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품 발생을 억제하면서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는, 제1 축에 베어링 결합되며 시계방향의 설정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작동방향을 갖는 부채꼴의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에 고정되어 연동회전되며, 컵과 따라진 생맥주의 무게에 따라 상기 제1 기어에 반시계방향의 제1 작동토크를 발생하는 컵 거치부; 및 자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을 방해하는 제2 작동토크를 발생하는 작동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시계방향의 설정토크에 의해 상기 제1 기어 및 직립된 상기 컵 거치부가 설정각도만큼 회전하여도, 상기 제1 기어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컵에 생맥주가 따라짐에 따라 상기 제1 기어가 반시계방향으로 상기 설정각도만큼 서서히 회전하여 원상태로 상기 컵 거치부가 직립할 수 있다.
상기 작동 제어부는, 상기 제1 기어에 맞물려 제2 축을 회전시키는 제2 기어; 상기 제2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축과 함께 회전하는 자성체 원판; 및 상기 자성체 원판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어, 자력으로 상기 자성체 원반의 회전을 방해하여 상기 제2 작동토크를 발생하는 자석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는 상기 자성체 원반의 외주면과 상기 자석 어셈블리의 사이의 거리를 변경하는 작동토크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토크 조절부는, 나사 결합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자성체 원반의 외주면 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거리조절 레버; 및 일단부가 회전축에 결합된 상기 자석 어셈블리의 타단부 및 상기 거리조절 레버의 일단부 사이에 결합되는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는, 상기 거리조절 레버가 직선운동함에 따라 상기 자석 어셈블리를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기어는, 90도 내지 120도의 중심각을 갖는 부채꼴이며, 상기 설정각도는, 30도 내지 60도일 수 있다.
상기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는 상기 제1 기어의 제1 및 제2 방향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컵 거치부에 거치된 컵에 생맥주를 분사하는 분사 레버;
상기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는 전기적으로 상기 분사 레버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분사 제어부; 및 상기 제1 기어가 원상복귀하여 접촉되면 생맥주의 분사를 중단하도록 상기 분사 제어부를 제어하는 리미터(limi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품 발생을 억제하면서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는, 제1 축에 베어링 결합되며 시계방향의 설정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작동방향을 갖는 부채꼴의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에 고정되어 연동회전되며, 컵과 따라진 생맥주의 무게에 따라 상기 제1 기어에 반시계방향의 제1 작동토크를 발생하는 컵 거치부; 및 자력 기반의 제2 작동토크 및 마찰력 기반의 제3 작동토크를 발생하여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을 방해하는 작동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시계방향의 설정토크에 의해 상기 제1 기어 및 직립된 상기 컵 거치부가 설정각도만큼 회전하여도, 상기 제1 기어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컵에 생맥주가 따라짐에 따라 상기 제3 작동토크의 작용은 해제되고 상기 제2 작동토크가 작용하여 상기 제1 기어가 반시계방향으로 상기 설정각도만큼 서서히 원상태로 회전하여 상기 컵 거치부가 직립할 수 있다.
상기 작동 제어부는, 상기 제1 기어에 맞물려 제2 축을 회전시키는 제2 기어; 상기 제2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축과 함께 회전하는 자성체 원판; 및 상기 자성체 원판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어, 자력으로 상기 자성체 원반의 회전을 방해하여 상기 제2 작동토크를 발생하는 자석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 제어부는, 제3 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기어에 맞물려 상기 제3 작동토크를 발생하는 제3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기어에는,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이상 회전하면 상기 제3 기어에 맞물리도록 일부에만 기어치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생맥주를 따르는 장친는, 상기 자성체 원반의 외주면과 상기 자석 어셈블리의 사이의 거리를 변경하여 상기 제2 작동토크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상기 제3 기어의 마찰회전력을 조절하여 상기 제3 작동토크의 크기를 조절하는 작동토크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품 발생을 억제하면서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는, 컵이 거치된 상태에서 생맥주가 따라지므로 무게에 대한 사용자의 부담을 해소할 수 있고, 생맥주가 따라짐에 따라 기울어져 거치된 컵이 서서히 세워지므로 거품 발생이 억제되어 컵이 넘치는 위험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품 발생을 억제하며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의 외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를 좌측면에서 바라본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를 정면에서 바라본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를 위에서 바라본 내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의 작동토크 조절부(150)의 동작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의 리미터(180)의 동작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에 의하여 거품의 발생이 억제되면서 생맥주가 컵에 따라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를 좌측면에서 바라본 내부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에 의하여 거품의 발생이 억제되면서 생맥주가 컵에 따라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에서 제1 기어(120')의 회전에 관여하는 토크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 또는 기능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한 것일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품 발생을 억제하며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 이하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라 함)의 외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를 좌측면에서 바라본 내부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를 정면에서 바라본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를 위에서 바라본 내부 구성도이다.
상기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는 케이스(110), 제1 기어(120), 설정 레버(123), 컵 거치부(130), 작동 제어부(140), 작동토크 조절부(150), 분사 레버(1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음료분사 제어부(170), 리미터(limiter, 18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상기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생맥주 따르는 장치(100)의 몸체를 이루며, 상기 케이스(110)에는 상기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이 탑재되거나 결합된다. 상기 케이스(110)는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금속재질일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의 내측벽에는 상기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이 결합되거나 장착되는 기초가 되는 베이스(111)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111)는 금속재일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 하면에는 상기 케이스(11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1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 기어(120)는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탑재되고, 상기 베이스(111)에 고정된 제1 축(121)에 베어링 결합되어 쉽게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어(120)의 설정방향은 시계방향이고 작동방향은 반시계방향이다.
상기 설정방향은 기울어진 컵에 생맥주가 따라지기 전 상태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기어(120)를 소정의 설정각도만큼 회전시키는 방향이다. 상기 작동방향은 기울어진 컵에 생맥주가 따라짐에 따라 기울어졌던 컵이 직립하도록 상기 제1 기어(120)가 서서히 회전하는 방향이다.
그리고 상기 제1 기어(120)를 설정각도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설정토크라 한다. 설정토크는 사용자가 상기 설정 레버(123)에 기계 방향의 힘을 가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시계방향으로 설정각도만큼 회전된 상기 제1 기어(12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작동토크라 한다. 작동토크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제1 기어의 무게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체 작동토크와 자력에 기초하여 상기 작동 제어부(140)에서 발생하는 제2 작동토크가 합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의 설정 및 작동은 다른 구성요소들과 연동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그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향후 다시 상세히 살펴본다
상기 제1 기어(120)는 상기 제1 축(121)에 결합된 연장부재(122)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설정 레버(123)에 가해지는 힘인 설정토크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설정 레버(123)는 작동의 편리함을 위하여 상기 케이스(110)의 우측면 외부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기어(120)는 원형이 아니라 부채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기 제1 기어(120)의 구조적 특징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원재료가 절감될 수 있의며 상기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어(120)가 부채꼴 형상인 것의 다른 효과는 설정방향인 시계방향으로 설정각도만큼 회전한 다음에는 무게에 의하여 작동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자체적인 작동토크를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제1 기어(120)의 중심각은 90도 내지 120도 사이일 수 있다. 상기 제1 기어(120)의 중심각도는 생맥주를 컵에 따를 때 거품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울이는 30도 내지 60도의 설정각도를 기초로 하여,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의 작동각도 마진 및 상기 제1 기어(120)의 무게에 의한 자체 작동토크의 발생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어(120)의 회전각도는 상기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의 설정각도와 작동각도 사이로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는 이를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제1 기어(120)에 형성된 회전 가이딩홈(124)과 스토퍼(12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컵 거치부(130)는 상기 제1 기어(120)에 고정되어 상기 제1 기어(12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컵 거치부(130)는, 상기 제1 기어(120)와 함께 설정방향으로 회전된 다음에는, 상기 컵 거치부(130)에 거치된 컵(200)과 상기 컵(200)에 따라지는 생맥주의 무게에 따라 상기 제1 기어(1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1 작동토크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컵 거치부(130)는 상기 제1 기어(120)에 결합되되, 공간활용도 또는 공간효율의 향상을 위하여 상기 설정 레버(123)와는 반대방향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110) 좌측면 외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컵 거치부(130)는 상기 제1 기어(120)에 결합된 고정축(126)에서 상기 케이스(110)의 좌측면 외부로 돌출된 연장축(127)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컵 거치부(130)는 통상적인 원통형의 컵을 홀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 제어부(140)는 상기 제1 기어(120)의 회전을 방해하는 제2 작동토크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어(120)가 시계방향의 설정토크에 의하여 설정각도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컵 거치부(130)가 상기 제1 기어(120)와 함께 설정각도만큼 회전한다. 그에 따라 생맥주가 따라질 컵도 초기의 직립된 상태에서 설정각도만큼 기울어진다.
이 설정상태는 생맥주가 컵에 따라지기 전이므로 상기 제1 기어(1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이는 상기 제1 기어(120)의 무게에 의한 자체 작동토크와 상기 컵 거치부(130)에 의한 상기 제1 작동토크의 합이 상기 작동 제어부(140)에서 발생하는 상기 제2 작동토크보다 작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컵에 생맥주가 따라짐에 따라 상기 제1 작동토크가 점점 증가하는데, 그러면 상기 제1 기어(120)는 반시계방향으로 설정각도만큼 서서히 회전하여 원상태로 복귀한다. 이때, 상기 컵 거치부(130)도 초기상태와 같이 직립하게 되고 생맥주를 따르는 과정이 완료된다.
이때, 자력에 기초한 상기 제2 작동토크가 작용하고 있고, 상기 컵에 생맥주 역시 서서히 따라지므로, 상기 제1 기어(120)는 한 번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컵에 맥주가 따라지는 양에 따라 서서히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컵에 생맥주를 따를 때 컵을 기울였다가 서서히 잔을 채우는 것과 같이 거품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작동 제어부(140)는 상기 제1 기어(120)에 맞물려 제2 축(141)을 회전시키는 제2 기어(142), 상기 제2 축(141)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축(141)과 함께 회전하는 자성체 원판(143) 및 자력기반으로 상기 자성체 원판(143)의 회전을 방해하는 제2 작동토크를 발생하는 자석 어셈블리(144)를 포함한다.
상기 자석 어셈블리(144)는 상기 자성체 원판(143)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자석 어셈블리(144)는 호(弧, Arc)의 형태의 하우징(144-1)과 상기 하우징(144-1)의 내측이 결합된 복수의 자석 소자(144-2)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토크 조절부(150)는 상기 자성체 원판(143)과 상기 자석 어셈블리(144) 사이의 거리를 변경하여 상기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는 상기 제2 작동토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작동토크 조절부(150)는 거리조절 레버(151) 및 링크(152)를 포함한다. 상기 거리조절 레버(151)는 나사결합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자성체 원판(143)의 외부면 방향으로 직선운동(전진 또는 후진)을 할 수 있다.
상기 링크(152)는 상기 거리조절 레버(151)의 일단부와 상기 자석 어셈블리(144)의 타단부(145) 사이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자석 어셈블리(144)의 일단부는 회전축(146)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자석 어셈블리(144) 전체는 상기 회전축(146)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링크(152)는 상기 거리조절 레버(151)가 직선 운동함에 따라 상기 자석 어셈블리(144)의 타단부(145)를 위로 들거나 아래로 내림으로써(즉. 상기 자석 어셈블리(144)를 상기 회전축(146)을 기준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자석 어셈블리(144)와 상기 자성체 원판(143)의 외주면 사이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자석 어셈블리(144)와 상기 자성체 원판(143)의 외주면 사이의 거리 변경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작동토크가 조절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작동토크 조절부(150)를 통하여 상기 제2 작동토크를 조절하면, 서로 무게가 다른 다양한 종류의 컵에 대해서도 거품 발생을 억제하면서 생맥주를 따를 수 있다.
상기 작동토크 조절부(150)는 상기 거리조절 레버(151)의 직선 이동거리를 나타내는 눈금(153)과 기준바(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바(154)는 상기 눈금(15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개구(155)를 통해 상기 케이스(110)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거리조절 레버(151)의 직선 이동거리를 확인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눈금(153)과 상기 기준바(155)를 활용하여 다양한 무게의 컵에 대해 거품발생이 가장 적은 상기 거리조절 레버(151)의 이동거리를 미리 확인해 놓으면 컵의 종류가 바뀌더라도 빠르고 쉽게 대처할 수 있다.
상기 작동토크 조절부(150)의 동작과 기능에 대해서는 향후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상기 분사 제어부(170)는 전기적 메커니즘에 따라 컵 거치부(130)에 거치된 컵에 생맥주를 분사하는 분사레버(160)의 동작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분사 제어부(170)는 레버 홀딩부(171), 수직 연결부재(172), 수평 이동부(173) 및 작동 버튼(174)을 포함한다.
상기 레버 홀딩부(171)는 상기 분사 레버(160)를 홀딩한다. 상기 수직 연결부재(172)는 상기 레버 홀딩부(171)과 상기 수평 이동부(173)를 연결한다. 상기 수평 이동부(173)는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하여 실린더를 전진/후진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수평 이동부(173)의 직선운동에 의하여 상기 분사 레버(160)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기적 신호는 상기 작동 버튼(174)에 대한 조작에 기초하여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는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기적 신호는 상기 제1 기어(120)가 회전에 기초하여 발생할 수도 있다.
상기 리미터(180)는 컵에 맥주를 따른 동작이 완료되면(즉, 상기 제1 기어(120)가 원상복귀되면), 생맥주의 분사를 중단하도록 상기 분사 제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리미터(180)의 구체적인 동작과 기능에 대해서는 향후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의 작동토크 조절부(150)의 동작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 상태에서, 사용자가 거리조절 레버(15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거리조절 레버(151)는 자성체 원판(143)의 외주면 반대방향으로 후진한다. 그러면 상기 거리조절 레버(151)가 자석 어셈블리(144)의 타단부(145)를 당기게 되어, 상기 자석 어셈블리(144) 전체가 회전축(146)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도 5의 (b)와 같이, 상기 자석 어셈블리(144)와 상기 자성체 원판(143)의 외주면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짐으로써 제2 작동토크가 증가한다.
반대로 도 5의 (b) 상태에서, 사용자가 거리조절 레버(15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거리조절 레버(151)는 자성체 원판(143)의 외주면 방향으로 전진한다. 그러면 상기 거리조절 레버(151)가 자석 어셈블리(144)의 타단부(145)를 밀게 되어, 상기 자석 어셈블리(144) 전체가 회전축(146)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도 5의 (a)와 같이, 상기 자석 어셈블리(144)와 상기 자성체 원판(143)의 외주면 사이의 거리가 멀어짐으로써 제2 작동토크가 감소한다.
이와 같은 작동 메커니즘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는 다양한 무게의 컵에 대해서도 거품 발생을 억제하는데 가장 적합한 제2 작동토크를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의 리미터(180)의 동작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리미터(180)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구성요소들(미도시)이 내장된 몸체(181), 상기 몸체(181)의 외부로 돌출된 제1 접촉 단자(182) 및 제1 기어(120)에 의하여 가압되어 상기 제1 접촉 단자(182)에 접촉하는 제2 접촉 단자(18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기어(120)가 시계방향으로 설정각도만큼 회전하였다가(도 6의 (a) 상태), 컵에 생맥주가 따라짐에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컵 거치부(130)가 직립할 때까지 회전하면(도 6의 (b) 상태), 상기 제1 기어(120)가 상기 제2 접촉 단자(183)를 가압한다. 이때, 상기 리미터(180)는 분사 레버(160)의 작동을 중단하도록 상기 분사 제어부(170)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는 리미터(180)를 포함하고 있어 생맥주가 컵에 넘치도록 따라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전기적 신호를 발생한 다음에는, 상기 리미터(180)는 다음 설정시까지 상기 제1 및 제2 접촉 단자(182 및 183)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에 의하여 거품의 발생이 억제되면서 생맥주가 컵에 따라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7에서는 설명에 필요한 주요 구성요소만을 간략히 도시하였다.
먼저, 도 7의 (a)는, 도 2와 같은 휴지 상태(idle state)에서, 사용자가 설정 레버(123)에 시계방향의 힘을 가하여 제1 기어(120)를 시계방향으로 설정각도만큼 회전하여 생맥주가 따라질 준비 상태(ready state)를 설정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준비 상태에서는 상기 제1 기어(120)의 회전에 의하여 컵 거치부(130)와 거치된 컵(200)도 함께 설정각도만큼 회전하여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상기 준비 상태에서는 상기 제1 기어(120)의 무게에 의한 반시계방향의 자체 작동토크와 상기 컵 거치부(130)에 의한 제1 작동토크의 합이 작동 제어부(140)에서 발생하는 제2 작동토크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제1 기어(12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도 7의 (b)는 상기 컵 거치부(130)에 거치된 컵(200)에 생맥주가 따라지기 시작하여 상기 컵(200)과 생맥주의 무게로 인한 반시계 방향의 제1 작동토크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1 기어(120)가 반시계방향으로 서서히 회전하는 작동 상태(operating state)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작동 상태에서는 상기 제1 기어(120)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컵 거치부(130) 역시 반시계 방향으로 서서히 회전하는데, 이는 상기 컵(200)을 기울였다가 서서히 세우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으므로 생맥주가 따라지는 과정에서의 거품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작동 상태에서는 분사 레버(160)가 작동하여 생맥주가 분사되도록 상기 분사 제어부(170)가 작동하는데, 상기 분사 제어부(17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적 신호는 상기 분사 제어부(170)에 마련된 작동 버튼(174)에 대한 조작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도 7의 (c)는 상기 컵(200)에 생맥주가 따라지는 과정이 종료된 작동완료 상태(operation complete state)를 나타낸다. 상기 작동완료 상태에서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였던 상기 제1 기어(1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컵 거치부(130) 및 상기 컵(200)은 휴지 상태와 같이 직립한 상태가 된다.
상기 작동완료 상태에서는 리미터(180)에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여 분사 레버(160)가 맥주를 분사하지 않도록 상기 분사 제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컵(200)에 생맥주가 더 이상 따라지지 않게 되어, 상기 컵(200)에 맥주가 넘치도록 따라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작동완료 상태에서 상기 컵 거치부(130)로부터 상기 컵(200)을 제거하면, 다시 휴지 상태가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를 좌측면에서 바라본 내부 구성도이다.
상기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는 대부분의 구성요소들이 앞서 살펴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의 구성요소들과 동작원리가 같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두 장치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의 특징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에 대한 차별적 구성요소로 제1 기어(120')와 작동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기어(120')는 부채꼴의 형태를 가지며 시계방향의 설정방향과 반시계방향의 작동방향을 진다.
그러나 앞서 살펴본 제1 기어(120)와 달리, 상기 제1 기어(120')에는 기어치(128)가 일부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1 기어(120')가 시계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이상 회전하여만 상기 기어치(128)가 상기 제3 기어(190)와 맞물리게 된다.
상기 작동 제어부(140')는 자력 기반의 제2 작동토크 및 마찰력 기반의 제3 작동토크를 발생하여 상기 제1 기어(1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상기 작동 제어부(140')는 자력기반의 제2 작동토크를 발생하기 위하여 작동 제어부(140)의 제2 기어(142), 자성체 원판(143), 자석 어셈블리(144)를 포함하는 제2 작동토크 발생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 제어부(140')는 마찰력 기반의 제3 작동 토크를 발생하기 위한 제3 기어(190)를 포함하는 제3 작동토크 발생부 더 포함한다. 상기 제3 기어(190)는 베이스(111)에 고정된 제3 축(191)에 결합된다.
상기 제3 작동토크 발생부는 상기 제3 기어(190)가 발생하는 마찰력 기반의 상기 제3 작동토크의 크기를 조절하는 작동토크 조절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토크 조절부에 대해서는 향후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사용자가 설정 레버(123)를 조작에 따른 시계방향의 설정토크에 의해 상기 제1 기어(120') 및 직립된 상기 컵 거치부(130)가 설정각도만큼 회전하여도, 상기 제1 기어(12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제1 기어(120')의 자체 작동토크와 상기 컵 거치부(130)에 의한 반시계방향의 제1 작동토크의 크기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컵에 생맥주가 따라짐에 따라 상기 제1 작동토크가 증가하면 먼저 상기 제3 작동토크의 작용이 해제된다. 그런 다음 상기 컵에 맥주가 더 따라지면 상기 제2 작동토크가 작용하여 상기 제1 기어(120')가 반시계방향으로 서서히 회전하면서 상기 컵 거치부(130)가 직립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설정과 토크의 작동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에 의하여 거품의 발생이 억제되면서 생맥주가 컵에 따라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9에서는 설명에 필요한 주요 구성요소만을 간략히 도시하였다.
먼저, 도 9의 (a)는, 도 8와 같은 휴지 상태에서, 사용자가 설정 레버(123)에 시계방향의 힘(즉, 설정토크)을 가하여 제1 기어(120')를 시계방향으로 설정각도만큼 회전하여 생맥주가 따라질 준비 상태를 설정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준비 상태에서는 상기 제1 기어(120)의 회전에 의하여 컵 거치부(130)와 거치된 컵(200)도 함께 설정각도만큼 회전하여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준비 상태에서는 상기 제1 기어(120')는 제2 기어(142) 및 제3 기어(190) 모두에 맞물린다.
상기 준비 상태에서는 상기 제1 기어(120)의 무게에 의한 반시계방향의 자체 작동토크와 상기 컵 거치부(130)에 의한 제1 작동토크의 합이 작동 제어부(140)에서 발생하는 제2 작동토크 및 제3 작동토크의 합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제1 기어(12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도 9의 (b)는 상기 컵 거치부(130)에 거치된 컵(200)에 생맥주가 따라지기 시작하여 상기 컵(200)과 생맥주의 무게로 인한 반시계방향의 제1 작동토크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1 기어(1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작동 상태는 상기 제1 기어(1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기어(120')와 상기 제3 기어(190)와의 맞물림이 해제(즉, 제3 작동토크의 작용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상기 작동 상태에서는 상기 제3 작동토크의 작용없이 상기 제2 작동토크가 작용하여 상기 제1 기어(120')가 반시계 방향으로 서서히 회전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상기 컵(200)을 기울였다가 서서히 세우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으므로 생맥주가 따라지는 과정에서의 거품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작동 상태에서는 분사 레버(160)가 작동하여 생맥주가 분사되도록 상기 분사 제어부(170)가 작동하는데, 상기 분사 제어부(17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적 신호는 상기 분사 제어부(170)에 마련된 작동 버튼(174)에 대한 조작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도 9의 (c)는 상기 컵(200)에 생맥주가 따라지는 과정이 종료된 작동완료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작동완료 상태에서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였던 상기 제1 기어(1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컵 거치부(130) 및 상기 컵(200)은 휴지 상태와 같이 직립한 상태가 된다.
상기 작동완료 상태에서는 리미터(180)에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여 분사 레버(160)가 맥주를 분사하지 않도록 상기 분사 제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컵(200)에 생맥주가 추가적으로 따라지지 않게 되어, 상기 컵(200)에 맥주가 넘치도록 따라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작동완료 상태에서 상기 컵 거치부(130)로부터 상기 컵(200)을 제거하면, 다시 휴지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와 달리, 제3 작동토크를 제공하는 제3 기어(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 작동토크는 컵(200)에 맥주가 따라지기 시작하는 작동상태의 초기에만 작용한다. 작동상태의 초기에는, 상기 컵(200)이 기울어진 각도가 크기 때문에, 생맥주가 따라짐에 따라 컵 거치부(130)에서 발생하는 제1 작동토크가 급격히 증가하는데, 상기 제1 작동토크를 자력 기반의 제2 작동토크만으로 상쇄하면서 상기 컵 거치부(130)가 서서히 회전하도록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는, 상기 작동 상태의 초기에는 급격히 증가하는 제1 작동토크를 상기 제3 기어(190)가 제공하는 상기 제3 작동토크로 커버하고, 상기 작동 상태의 초기 이후에는 상대적으로 천천히 증가하는 상기 제1 작동토크를 자력 기반의 상기 제2 작동토크로 커버하여 상기 컵 거치부(130)가 서서히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에서 제1 기어(120')의 회전에 관여하는 토크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참고로 도 10은 상기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100')에서 컵(200)에 생맥주를 따르기 시작하기 전인 준비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제1 기어(120')의 회전을 위한 토크를 제공하는 핵심 구성요소들은 반시계방향의 자체 작동토크를 발생하는 제1 기어(120'), 컵(200)이 거치되어 반시계방향의 제1 작동토크를 발생하는 컵 거치부(130), 상기 제1 기어(120')에 맞물린 제2 기어(142)와 함께 회전하는 자성체 원판(143), 상기 자성체 원판(143)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을 방해하여 자력 기반의 제2 작동토크를 발생하는 자석 어셈블리(144), 상기 제1 기어(120')에 맞물려 상기 제1 기어(1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해하는 제3 작동토크를 발생하는 제3 작동토크 발생부(195)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작동토크 발생부(195)는 제3 축(191)에 결합되는 제3 기어(190)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축(191)에는 상기 제3 기어(190)에서 발생하는 마찰력 기반의 제3 작동토크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작동토크 조절부(192)가 더 결합되어 있다. 상기 작동토크 조절부(192)는 가압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제3 기어(190)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하여 마찰력 기반의 작동토크 조절부(1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축(191)에는 상기 제3 기어(190)가 상기 제1 기어(120')와 정확하게 맞물리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가이딩부재(193)가 더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가이딩부재(193)는 상기 제3 기어(190)보다 직경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 110: 케이스
120: 제1 기어 130: 컵 거치부
140: 작동 제어부 142: 제2 기어
143: 자성체 원판 144: 자석 어셈블리
150: 작동토크 조절부
160: 분사 레버 170: 음료분사 제어부
180: 리미터 190: 제3 기어

Claims (9)

  1. 제1 축에 베어링 결합되며 제1 방향의 설정방향과 제2 방향의 작동방향을 갖는 부채꼴의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에 고정되어 연동회전되며, 컵과 따라진 생맥주의 무게에 따라 상기 제1 기어에 제2 방향의 제1 작동토크를 발생하는 컵 거치부; 및
    자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을 방해하는 제2 작동토크를 발생하는 작동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1 방향의 토크에 의해 상기 제1 기어 및 직립된 상기 컵 거치부가 설정각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제2 작동토크가 상기 제1 작동토크보다 커서 상기 제1 기어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으며,
    상기 컵에 생맥주가 따라져서 상기 제1 작동토크가 상기 제2 작동토크보다 커짐에 따라, 상기 제1 기어가 제2 방향으로 상기 설정각도만큼 서서히 회전하여 원상태로 상기 컵 거치부가 직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발생을 억제하면서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제어부는,
    상기 제1 기어에 맞물려 제2 축을 회전시키는 제2 기어;
    상기 제2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축과 함께 회전하는 자성체 원판; 및
    상기 자성체 원판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어, 자력으로 상기 자성체 원반의 회전을 방해하여 상기 제2 작동토크를 발생하는 자석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발생을 억제하면서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는,
    90도 내지 120도의 중심각을 갖는 부채꼴이며,
    상기 설정각도는,
    45도 내지 6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발생을 억제하면서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원반의 외주면과 상기 자석 어셈블리의 사이의 거리를 변경하는 작동토크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발생을 억제하면서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토크 조절부는,
    나사 결합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자성체 원반의 외주면 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거리조절 레버; 및
    일단부가 회전축에 결합된 상기 자석 어셈블리의 타단부 및 상기 거리조절 레버에 결합되는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는,
    상기 거리조절 레버가 직선운동함에 따라 상기 자석 어셈블리를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발생을 억제하면서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
  6. 제1 축에 베어링 결합되며 제1 방향의 설정방향과 제2 방향의 작동방향을 갖는 부채꼴의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에 고정되어 연동회전되며, 컵과 따라진 생맥주의 무게에 따라 상기 제1 기어에 제2 방향의 제1 작동토크를 발생하는 컵 거치부; 및
    자력 기반의 제2 작동토크 발생부 및 마찰력 기반의 제3 작동토크 발생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을 방해하는 작동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1 방향의 토크에 의해 상기 제1 기어 및 직립된 상기 컵 거치부가 설정각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제1 기어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으며,
    상기 컵에 생맥주가 따라짐에 따라 상기 제3 작동토크의 작용은 해제되고 상기 제2 작동토크가 작용하여 상기 제1 기어가 제2 방향으로 상기 설정각도만큼 서서히 회전하여 원상태로 상기 컵 거치부가 직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발생을 억제하면서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작동토크 발생부는,
    상기 제1 기어에 맞물려 제2 축을 회전시키는 제2 기어;
    상기 제2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축과 함께 회전하는 자성체 원판; 및
    상기 자성체 원판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어, 자력으로 상기 자성체 원반의 회전을 방해하여 상기 제2 작동토크를 발생하는 자석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발생을 억제하면서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작동토크 발생부는,
    제3 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기어에 맞물려 상기 제3 작동토크를 발생하는 제3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어는,
    제1 방향으로 제1 각도 이상 회전하면 상기 제3 기어에 맞물리도록 일부에만 기어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발생을 억제하면서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작동토크 발생부는,
    상기 제3 작동토크의 크기를 조절하는 작동토크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발생을 억제하면서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
KR1020230028391A 2023-03-03 2023-03-03 거품 발생을 억제하면서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 KR102562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8391A KR102562327B1 (ko) 2023-03-03 2023-03-03 거품 발생을 억제하면서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8391A KR102562327B1 (ko) 2023-03-03 2023-03-03 거품 발생을 억제하면서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2327B1 true KR102562327B1 (ko) 2023-07-31

Family

ID=87458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8391A KR102562327B1 (ko) 2023-03-03 2023-03-03 거품 발생을 억제하면서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3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2296A (ja) * 1995-11-08 1997-05-20 Kamoshita Seikosho:Kk 飲料品用ディスペンサーの注出自動化装置
JP2002029595A (ja) * 2000-07-17 2002-01-29 Hoshizaki Electric Co Ltd 飲料ディスペンサの傾動装置
JP2015117070A (ja) * 2013-11-14 2015-06-25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発泡性飲料自動注出装置
KR101778591B1 (ko) * 2015-12-08 2017-09-14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맥주 디스펜서 및 그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2296A (ja) * 1995-11-08 1997-05-20 Kamoshita Seikosho:Kk 飲料品用ディスペンサーの注出自動化装置
JP2002029595A (ja) * 2000-07-17 2002-01-29 Hoshizaki Electric Co Ltd 飲料ディスペンサの傾動装置
JP2015117070A (ja) * 2013-11-14 2015-06-25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発泡性飲料自動注出装置
KR101778591B1 (ko) * 2015-12-08 2017-09-14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맥주 디스펜서 및 그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3488B2 (en) Stand for a thin display
JP4776965B2 (ja) 力蓄積要素を具備する、特に手術用顕微鏡用の架台
KR102562327B1 (ko) 거품 발생을 억제하면서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
KR100793754B1 (ko) 영상표시장치
JP2002031469A (ja) 冷蔵庫のディスプレー装置の設置構造
CN108910757B (zh) 一种用于医疗设备的升降装置
JP2008191603A (ja) 表示画面旋回装置
JP3094206B2 (ja) 飲料品用ディスペンサーの注出自動化装置
JP2001183739A (ja) プロジェクタ装置
CN101546095B (zh) 一种二维云台
JPH0948498A (ja) 飲料品用ディスペンサーの注出自動化装置
GB2364038A (en) Counterbalancing mounting for payloads
JP6339900B2 (ja) 発泡性飲料自動注出装置
CN214086706U (zh) 一种重心可调翻转架
CN213646529U (zh) 一种柔性一体化高精密压装机设备
CN213512963U (zh) 投影仪安装支架
JP6721292B2 (ja) 発泡性飲料自動注出装置
CN117819457B (zh) 液体灌装设备及灌装方法
KR100344800B1 (ko) 영상표시기기의 시야각 조정장치
CN217059040U (zh) 一种称重控制器
JP2671097B2 (ja) 硬度計の荷重制御機構
JP3665657B2 (ja) ビールの注ぎ出し装置
JP2001030464A (ja) スクリーン印刷方法及び印刷機
CN218879026U (zh) 一种封边纸卷升降驱动机构
JP2669589B2 (ja) ヘッドレス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