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981B1 - 이종 유압과 자유면 천공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 Google Patents

이종 유압과 자유면 천공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981B1
KR102560981B1 KR1020230038772A KR20230038772A KR102560981B1 KR 102560981 B1 KR102560981 B1 KR 102560981B1 KR 1020230038772 A KR1020230038772 A KR 1020230038772A KR 20230038772 A KR20230038772 A KR 20230038772A KR 102560981 B1 KR102560981 B1 KR 102560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hydraulic oil
hydraulic pressure
crushing
oil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8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범
정건웅
Original Assignee
(주)유진엔지니어링
(주)성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진엔지니어링, (주)성진이엔씨 filed Critical (주)유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30038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9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9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 E02F5/305Arrangements for breaking-up hard 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77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allowing movement, e.g. rotation or translation, of the tool around or along another axis as the movement implied by the boom or arms, e.g. for tilting bu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03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attitude of actuators, e.g. speed, floating function
    • E02F9/2207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attitude of actuators, e.g. speed, floating function for reducing or compensating osci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00Rotary drilling
    • E21B3/02Surface drives for rotary dr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CMINING OR QUARRYING
    • E21C37/00Other methods or devices for dislodging with or without loading
    • E21C37/02Other methods or devices for dislodging with or without loading by w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1Improving soil or rock, e.g. by freezing; Inj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oil Sciences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용 파쇄 장치를 이용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할 때, 포크 레인과 같은 중장비에서 제공하는 제1 유압만으로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지 않는 경우, 즉시 제1 유압 이상의 유압을 제공할 수 있는 파워팩에서 제공하는 제2 유압을 이용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하고, 제2 유압으로도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지 않는 경우, 추가로 파쇄 공 주변에 자유 면을 천공한 후 제2 유압을 이용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할 수 있어, 잘 파쇄되지 않는 강도를 갖는 파쇄 대상물(예: 경암, 극경암)을 만나는 경우, 다른 공법이나 다른 장비로의 교체 없이, 신속하게 파쇄 대상을 파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발명으로, 회전부(100), 파쇄/천공부(200),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 복수의 유압 라인(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종 유압과 자유면 천공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A crusher that is breaking rocks using two types of oil-hydraulic pressure provided from the outside and a drilling machine}
본 발명은 이종 유압과 자유면 천공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압용 파쇄 장치를 이용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할 때, 포크 레인과 같은 중장비에서 제공하는 제1 유압만으로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지 않는 경우, 즉시 제1 유압 이상의 유압을 제공할 수 있는 파워팩에서 제공하는 제2 유압을 이용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하고, 제2 유압으로도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지 않는 경우, 추가로 파쇄 공 주변에 자유 면을 천공한 후 제2 유압을 이용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하도록 하는 파쇄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최근 과학기술이 크게 발달하면서 토목과 건축을 포함하는 건설 분야의 기술도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고, 그 결과, 대규모의 건물과 교통 시설물(예: 교량, 지하철, 터널 등)이 건설되고 있다.
특히, 지하철, 터널과 같은 대규모 시설물의 건설 시, 지하나 산 등을 굴착 하는 터널 굴착 공사가 필수적인데, 터널 굴착 공사 시, 암반을 파쇄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암반 파쇄 시, 다이너마이트와 같은 화약을 이용한 파쇄 공법과 파쇄 장치를 이용하는 파쇄 공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때, 다이너마이트와 같은 화약을 이용한 파쇄 공법은 경제적이고 신속하게 터널 굴착이 진행된다는 장점과 함께 화약 폭발 시 큰 진동과 소음, 분진이 발생하고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파쇄 장치를 이용한 파쇄 공법은 암반에 일정 깊이로 천공을 한 후 유압용 파쇄 장치를 이용하여 암반을 파쇄하는 것으로, 다이너마이트와 같은 화약을 이용한 파쇄 공법에 비해, 진동과 소음 발생이 거의 없고 안전사고의 발생이 적다는 장점이 있고 상대적으로 공사 진행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유압용 파쇄 장치를 이용한 종래의 파쇄 공법은 파쇄 장치를 유압을 공급하는 중장비(포크 레인)에 연결한 후, 중장비(포크 레인)에서 공급되는 유압을 이용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하였으나, 잘 파쇄되지 않는 강도를 갖는 파쇄 대상물(예: 경암, 극경암)을 만나는 경우, 중장비(포크 레인)에서 공급되는 유압만으로는 파쇄 대상물(예: 경암, 극경암)을 파쇄하기가 곤란하였다.
이 경우, 새로운 유압 파쇄 장치(예: 활암봉)를 이용한 인력작업을 통해 파쇄 대상을 파쇄하게 되는데, 새로운 유압 파쇄 장치(예: 활암봉)로 교체하는 과정이 필요해 공사가 일시 중단되는 문제점과 2차 작업이 필요하여 공사 진척이 늦어지는 문제와 인력작업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과 같은 단점을 갖는다.
또한, 다이너마이트와 같은 화약을 이용한 파쇄 공법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새로운 공법(발파 공법) 적용을 위해 공사가 일시 중단되는 문제점과 발파에 따른 민원 보상 등의 경제적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잘 파쇄되지 않는 강도를 갖는 파쇄 대상물(예: 경암, 극경암)을 만나는 경우, 다른 공법이나 다른 장비로의 교체 없이, 신속하게 파쇄 대상을 파쇄할 수 있도록 하는 파쇄 장치 개발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필요성에 의한 것으로, 유압용 파쇄 장치를 이용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할 때, 포크 레인과 같은 중장비에서 제공하는 제1 유압만으로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지 않는 경우, 즉시 제1 유압 이상의 유압을 제공할 수 있는 파워팩에서 제공하는 제2 유압을 이용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하고, 제2 유압으로도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지 않는 경우, 추가로 파쇄 공 주변에 자유 면을 천공한 후 제2 유압을 이용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하도록 하는 파쇄 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66521호 암반파쇄기용 유압승압장치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95905호 다방향 플라즈마-유압 할암봉을 구비한 할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할암 방법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57067호 팽창성 파쇄재 주입장치 및 팽창성 파쇄재와 파쇄기를 이용한 암반 굴착공법
본 발명은 유압용 파쇄 장치를 이용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할 때, 포크 레인과 같은 중장비에서 제공하는 제1 유압만으로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지 않는 경우, 즉시 제1 유압 이상의 유압을 제공할 수 있는 파워팩에서 제공하는 제2 유압을 이용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유압으로도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지 않는 경우, 추가로 파쇄 공 주변에 자유 면을 천공한 후 제2 유압을 이용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이종 유압과 자유면 천공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는,
중장비(10)에 파쇄 장치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유압유에 의한 유압을 이용해 파쇄/천공부(200)를 좌우/경사 회전시키는 회전부(100)와;
회전부(100) 하측에 결합하고,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유압유에 의한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거나 파쇄 공 주변에 자유면을 천공하는 파쇄/천공부(200)와;
중장비(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와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 중, 어느 하나가 회전부(100)와 파쇄/천공부(200) 중, 어느 하나로 공급되도록 하는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와;
유압유의 공급과 회수를 위한 복수의 유압 라인(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압용 파쇄 장치를 이용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할 때, 포크 레인과 같은 중장비에서 제공하는 제1 유압만으로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지 않는 경우, 즉시 제1 유압 이상의 유압을 제공할 수 있는 파워팩에서 제공하는 제2 유압을 이용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하고, 제2 유압으로도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지 않는 경우, 추가로 파쇄 공 주변에 자유 면을 천공한 후 제2 유압을 이용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할 수 있어, 잘 파쇄되지 않는 강도를 갖는 파쇄 대상물(예: 경암, 극경암)을 만나는 경우, 다른 공법이나 다른 장비로의 교체 없이, 신속하게 파쇄 대상을 파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부 세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파쇄/천공부 세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파쇄기 및 천공기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파쇄기 세부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천공기 세부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유압 라인 세부 구성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인 이종 유압과 자유면 천공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이하 본 발명)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용 파쇄 장치를 이용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할 때, 포크 레인과 같은 중장비에서 제공하는 제1 유압만으로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지 않는 경우, 즉시 제1 유압 이상의 유압을 제공할 수 있는 파워팩에서 제공하는 제2 유압을 이용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하고, 제2 유압으로도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지 않는 경우, 추가로 파쇄 공 주변에 자유 면을 천공한 후 제2 유압을 이용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할 수 있어, 잘 파쇄되지 않는 강도를 갖는 파쇄 대상물(예: 경암, 극경암)을 만나는 경우, 다른 공법이나 다른 장비로의 교체 없이, 신속하게 파쇄 대상을 파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발명으로, 회전부(100), 파쇄/천공부(200),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 복수의 유압 라인(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인 이종 유압과 자유면 천공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장비(10)에 파쇄 장치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유압유에 의한 유압을 이용해 파쇄/천공부(200)를 좌우/경사 회전시키는 회전부(100)와;
회전부(100) 하측에 결합하고,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유압유에 의한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거나 파쇄 공 주변에 자유면을 천공하는 파쇄/천공부(200)와;
중장비(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와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 중, 어느 하나가 회전부(100)와 파쇄/천공부(200) 중, 어느 하나로 공급되도록 하는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와;
유압유의 공급과 회수를 위한 복수의 유압 라인(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중장비(10)에서 제공되어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회전부(100)와 파쇄/천공부(200)에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은 일반적으로 300bar 이하이고, 파워팩(20)에서 제공되어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파쇄/천공부(200)에 공급되는 제2 유압유에 의한 제2 유압은 일반적으로 300bar 이상 500bar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100)는 중장비(10)에 파쇄 장치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유압유에 의한 유압을 이용해 파쇄/천공부(200)를 좌우/경사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장비(10)에 파쇄 장치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좌우 회전하여 파쇄/천공부(200) 전체가 좌우 회전되도록 하는 좌우 회전부(110)와,
좌우 회전부(110) 하측에 결합하고,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경사 회전하여 파쇄/천공부(200) 전체가 경사 회전되도록 하는 경사 회전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우 회전부(110)는 중장비(10)에 파쇄 장치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좌우 회전하여 파쇄/천공부(200) 전체가 좌우 회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좌우 회전부(11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장비(10)에 파쇄 장치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링크가 형성된 고정 디스크(111)와,
고정 디스크(111) 하측에 결합하고,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에 의해 고정 디스크(111)에 대해 좌우 회전하는 회전 디스크(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디스크(111)는 중장비(10)에 파쇄 장치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링크가 형성된 구성으로, 상기 고정 디스크(111)에 형성된 링크를 통해 포크 레인과 같은 중장비(10)에 본 발명의 파쇄 장치가 연결 설치되며, 고정 디스크(111)의 하측에 후술할 회전 디스크(112)가 회전 결합하게 된다.
상기 회전 디스크(112)는 고정 디스크(111) 하측에 결합하고,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에 의해 고정 디스크(111)에 대해 좌우 회전하는 구성으로,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디스크(111) 하측에 결합 된 상태로 고정 디스크(111)에 대해 좌우 회전하며, 회전 디스크(112) 하측으로 경사 회전부(120)가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에 의해 회전 디스크(112)가 고정 디스크(111)에 대해 좌우 회전하고, 이로 인해, 하측에 위치한 파쇄/천공부(200) 전체가 좌우 회전되도록 하여 파쇄 장치의 좌우 수평 위치가 조절된다.
상기 경사 회전부(120)는 좌우 회전부(110) 하측에 결합하고,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경사 회전하여 파쇄/천공부(200) 전체가 경사 회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사 회전부(120)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 파쇄/천공부(200)의 설치 마운팅부(210)가 결합하고, 좌우 회전부(110)에 힌지 결합하고, 상측 면에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가 설치되고, 한 쌍의 유압 피스톤(122)에 의해 좌우 회전부(110)에 대해 힌지 방식 방식으로 경사 회전하는 경사 회전판(121)과,
일측은 경사 회전판(121)에 타측은 좌우 회전부(110)의 회전 디스크(112)에 결합하고,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에 의해 피스톤 운동하여 경사 회전판(121)을 경사 회전시키는 한 쌍의 유압 피스톤(1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 회전판(121)은 하측에 파쇄/천공부(200)의 설치 마운팅부(210)가 결합하고, 좌우 회전부(110)에 힌지 결합하고, 상측 면에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가 설치되고, 한 쌍의 유압 피스톤(122)에 의해 좌우 회전부(110)에 대해 힌지 방식 방식으로 경사 회전하는 구성이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 회전판(121)은 좌우 회전부(110)(구체적으로 회전 디스크(112))에 힌지 결합 되어 있어, 한 쌍의 유압 피스톤(122) 피스톤 운동 시, 경사 회전하고, 이로 인해, 하측에 위치한 파쇄/천공부(200) 전체가 경사 회전되도록 하여 파쇄 장치의 경사 수직 위치가 조절된다.
상기 유압 피스톤(122)은 일측은 경사 회전판(121)에 타측은 좌우 회전부(110)의 회전 디스크(112)에 결합하고,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에 의해 피스톤 운동하여 경사 회전판(121)을 경사 회전시키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유압 피스톤(122)은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는 피스톤 운동을 통해 경사 회전판(121)이 수직 방향으로 경사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파쇄/천공부(200)는 회전부(100) 하측에 결합하고,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유압유에 의한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거나 파쇄 공 주변에 자유 면을 천공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쇄/천공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기(220)와 천공기(230)가 설치되고,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파쇄 방향에 대응되도록 파쇄기(220)를 회전시키고, 천공 위치에 대응되도록 천공기(230)의 천공 드릴(231) 위치를 변경시키는 설치 마운팅부(210)와;
설치 마운팅부(210)의 설치 마운트(211)에 설치되고,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 또는 제2 유압유에 의한 제2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기(220)와;
설치 마운팅부(210)에 설치되고,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파쇄 공 주변에 자유 면을 천공하는 천공기(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치 마운팅부(210)는 파쇄기(220)와 천공기(230)가 설치되고,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파쇄 방향에 대응되도록 파쇄기(220)를 회전시키고, 천공 위치에 대응되도록 천공기(230)의 천공 드릴(231) 위치를 변경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설치 마운팅부(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기(220)와 천공기(230)가 설치되는 설치 마운트(211)와,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회전 기어(213)를 회전시키는 제1 유압 모터(212)와,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 외측 면에 형성된 톱니와 톱니 결합하고, 제1 유압 모터(212)에 의해 정/역 회전하여, 파쇄기(220)의 웨지 라이너(223)의 벌어짐 방향이 조절될 수 있도록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는 회전 기어(213)와,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천공기(230)의 드릴 회전판(233)을 회전시키는 제2 유압 모터(214)와,
드릴 회전판(233) 회전에 따라 설치 마운트(211) 상에서의 위치가 변경되는 천공 드릴(231)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설치 마운트(211) 전면에 형성되는 이동 안내홈(2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치 마운트(211)는 파쇄기(220)와 천공기(230)가 설치되는 구성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 마운트(211)에는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가 관통 설치되고, 내측 공간에는 천공기(230)가 설치된다.
설치 마운트(211)에는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가 관통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실린더 관통구(2111)가 형성되고, 설치 마운트(211) 내측 공간에는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를 회전시키도록 동작하는 제1 유압 모터(212)와 회전 기어(213), 천공기(230)의 천공 드릴(231)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동작하는 제2 유압 모터(214)가 설치되고, 설치 마운트(211) 전면에는 위치가 변경되는 천공 드릴(231)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안내홈(215)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유압 모터(212)는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회전 기어(213)를 회전시키는 구성이고, 상기 회전 기어(213)는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 외측 면에 형성된 톱니와 톱니 결합하고, 제1 유압 모터(212)에 의해 정/역 회전하여, 파쇄기(220)의 웨지 라이너(223)의 벌어짐 방향이 조절될 수 있도록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가 제공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제1 유압 모터(212)가 회전 기어(213)를 정/역 회전시키면, 회전 기어(213)에 톱니 결합 된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도 정/역 회전하게 된다.
이때,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를 정/역 회전시키는 이유는 파쇄기(220)의 웨지 라이너(223)의 벌어짐 방향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즉, 파쇄 대상물의 파쇄를 위해, 파쇄 대상물에 천공된 구멍인 파쇄 공에 파쇄기(220)의 웨지 라이너(223)가 삽입되고, 파쇄기(220)의 웨지(222) 전진에 따라 웨지 라이너(223)가 벌어져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는데, 웨지 라이너(223)가 벌어지는 방향이 암질이 강한 암이 위치하는 방향이거나 파쇄 자유면까지의 거리가 멀어지는 방향인 경우, 파쇄 대상물이 잘 파쇄되지 않는다. 이 경우, 웨지 라이너(223)의 벌어짐 방향을 상대적으로 암질이 약한 암이 위치하는 방향이나 파쇄 자유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전환하면, 파쇄 대상물이 잘 파쇄된다.
따라서 웨지 라이너(223)의 벌어짐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웨지 라이너(223)가 결합 되어 있는 유압 실린더(221)를 회전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한 구성이 제1 유압 모터(212)와 회전 기어(213)이다.
상기 제2 유압 모터(214)는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천공기(230)의 드릴 회전판(233)을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유압 모터(214)는 회전 기어(2141)와 축 결합 되고, 회전 기어(2141)는 드릴 회전판(233)과 톱니 결합 되어 있다.
따라서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제2 유압 모터(214)가 회전 기어(2141)를 회전시키면, 회전 기어(2141)에 톱니 결합 된 드릴 회전판(233)도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2 유압 모터(214)를 이용해 천공기(230)의 드릴 회전판(233)만을 회전시키는 이유는, 천공기(230)의 천공 드릴(231)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파워팩(20)에서 제공되는 제2 유압으로도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의 파쇄 장치는 파쇄 대상물 파쇄가 쉬워지도록 추가로 파쇄 공 주변에 자유 면을 천공하게 되는데, 천공 위치는 작업 현장 상황에 따라 다르다. 즉, 작업 현장 상황에 따라 천공 위치가 다르게 되고, 달라지는 천공 위치에 대응할 수 있도록 천공기(230)의 천공 드릴(231)의 위치가 조절되어야 한다.
천공 드릴(231)의 위치 조절을 위해, 천공 드릴(231)이 결합 설치된 드릴 회전판(233)을 회전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한 구성이 제2 유압 모터(214)이다.
상기 이동 안내홈(215)은 드릴 회전판(233) 회전에 따라 설치 마운트(211) 상에서의 위치가 변경되는 천공 드릴(231)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설치 마운트(211) 전면에 형성되는 구성이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설치 마운트(211) 전면에는 이동 안내홈(215)이 형성되어 있어, 드릴 회전판(233) 회전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천공 드릴(231)의 이동이 안내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 드릴(231) 일부가 이동 안내홈(215)을 통해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드릴 회전판(233)이 회전하게 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 드릴(231)이 이동 안내홈(215)을 따라 이동하여 위치가 변경된다.
상기 파쇄기(220)는 설치 마운팅부(210)의 설치 마운트(211))에 설치되고,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 또는 제2 유압유에 의한 제2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쇄기(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 또는 제2 유압유에 의한 제2 유압을 이용해 웨지(320)를 전/후진시키는 피스톤(2211)이 내부에 설치되고, 웨지 라이너(223)의 벌어짐 방향이 조절되도록 회전 가능한 유압 실린더(221)와,
유압 실린더(221)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2211)의 전/후진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는 웨지(222)와,
전진하는 웨지(222)에 의해 벌어져 대상물을 파쇄하는 웨지 라이너(2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압 실린더(221)는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 또는 제2 유압유에 의한 제2 유압을 이용해 웨지(222)를 전/후진시키는 피스톤(2211)이 내부에 설치되고, 웨지 라이너(223)의 벌어짐 방향이 조절되도록 회전 가능한 구성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221) 내부 공간에는 피스톤(2211)이 설치되고, 유압 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 또는 제2 유압유에 의한 제2 유압에 의해 피스톤(2211)이 전/후진하고, 피스톤(2211)의 전/후진에 따라 피스톤(2211)에 결합 된 웨지(222)가 전/후진하고, 웨지(222)의 전진에 따라 웨지 라이너(223)가 벌어져 파쇄 대상물이 파쇄된다.
또한, 유압 실린더(221)는 웨지 라이너(223)의 벌어짐 방향이 조절되도록, 설치 마운트(211)에 관통 설치된 상태에서 상술한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1 유압 모터(212)와 회전 기어(213)에 의해 회전이 조절된다.
상기 웨지(222)는 유압 실린더(221)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2211)의 전/후진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는 구성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222)의 일단은 피스톤(2211)에 결합 되어 있어, 피스톤(2211)의 왕복 운동에 따라 웨지(222)는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는데, 웨지(222)가 전진하는 경우, 웨지 라이너(223)는 벌어지고, 웨지(222)가 후진하는 경우, 벌어진 웨지 라이너(223)는 오므려진다.
상기 웨지 라이너(223)는 전진하는 웨지(222)에 의해 벌어져 대상물을 파쇄하는 구성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 라이너(223)는 웨지(222) 전진 시, 벌어져 파쇄 대상물에 파쇄력을 가해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도록 하고, 웨지(222) 후진 시,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221)의 회전에 따라 웨지 라이너(223)의 벌어짐 방향이 조절되는데, 웨지 라이너(223)의 벌어짐 방향을 조절하는 이유는 파쇄 대상물의 파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파쇄 대상물의 파쇄를 위해, 파쇄 대상물에 천공된 구멍에 파쇄기(220)의 웨지 라이너(223)가 삽입되고, 파쇄기(220)의 웨지(222) 전진에 따라 웨지 라이너(223)가 벌어져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는데, 웨지 라이너(223)가 벌어지는 방향이 암질이 강한 암이 위치하는 방향이거나 파쇄 자유면과의 거리가 먼 경우, 파쇄 대상물이 잘 파쇄되지 않는다. 이 경우, 웨지 라이너(223)의 벌어짐 방향을 암질이 약한 암이 위치하는 방향이나 파쇄 자유 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유압 실린더(221)를 회전시키게 되고, 유압 실린더(221)의 회전에 따라 웨지 라이너(223)의 벌어짐 방향이 조절되어 동일 유압으로도 파쇄 대상물을 손쉽게 파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파쇄기(220)는 기본적으로 포크 레인과 같은 중장비에서 제공하는 제1 유압만으로 파쇄 대상물을 파쇄하는데, 만일, 제1 유압만으로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지 않는 경우, 즉시 제1 유압 이상의 유압을 제공할 수 있는 파워팩에서 제공하는 제2 유압을 이용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한다. 그러나 제2 유압으로도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지 않는 경우, 파쇄 대상물을 파쇄할 수 있는 추가적 방법이 필요한데, 본 발명에서는 추가적 방법으로 파쇄 공 주변에 자유 면을 천공한 후 제2 유압을 이용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구성이 설치 마운팅부(210)의 설치 마운트(211)에 설치되는 천공기(230)이다.
상기 천공기(230)는 설치 마운팅부(210)의 설치 마운트(211)에 설치되고,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파쇄 공 주변에 자유 면을 천공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천공기(2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 회전판(233) 회전에 따라 설치 마운트(211) 전면에 형성된 이동 안내홈(215)을 따라 이동이 안내되어 설치 마운트(211) 전면 상에서의 위치가 변경되고, 제3 유압 모터(232)에 의해 회전하여 파쇄 공 주변에 자유 면을 천공하는 천공 드릴(231)과,
드릴 회전판(233)에 결합 설치되고,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천공 드릴(231)을 회전시키는 제3 유압 모터(232)와,
천공 드릴(231)이 결합된 제3 유압 모터(232)가 결합 설치되고,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2 유압 모터(214)에 의해 회전하는 드릴 회전판(2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공 드릴(231)은 드릴 회전판(233) 회전에 따라 설치 마운트(211) 전면에 형성된 이동 안내홈(215)을 따라 이동이 안내되어 설치 마운트(211) 전면 상에서의 위치가 변경되고, 제3 유압 모터(232)에 의해 회전하여 파쇄 공 주변에 자유 면을 천공하는 구성이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 드릴(231)은 드릴 회전판(233) 회전에 따라 설치 마운트(211) 전면에 형성된 이동 안내홈(215)을 따라 이동이 안내되다가 드릴 회전판(233) 정지에 따라 자유 면을 천공할 위치에 있게 된다.
자유 면을 천공할 위치에 있는 천공 드릴(231)은 제3 유압 모터(232)에 의해 회전하여 파쇄 공 주변에 자유 면을 천공하게 된다.
상기 제3 유압 모터(232)는 드릴 회전판(233)에 결합 설치되고,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천공 드릴(231)을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유압 모터(232) 일 측은 드릴 회전판(233)에 결합하고 타 측은 천공 드릴(231)이 축 결합 되어 있어, 드릴 회전판(233) 회전에 따라 설치 마운트(211) 전면 상에서의 천공 드릴(231) 위치가 변경되도록 하고, 자유 면 천공을 위해 천공 드릴(231)을 회전시킨다.
상기 드릴 회전판(233)은 천공 드릴(231)이 결합 된 제3 유압 모터(232)가 결합 설치되고,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2 유압 모터(214)에 의해 회전하는 구성으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릴 회전판(233)은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2 유압 모터(214)와 회전기어(2141)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데, 드릴 회전판(233)의 회전에 따라 설치 마운트(211) 전면 상에서의 천공 드릴(231) 위치가 변경된다.
상기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는 중장비(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와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 중, 어느 하나가 회전부(100)와 파쇄/천공부(200) 중, 어느 하나로 공급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신호에 따라, 중장비(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회전부(100)의 좌우 회전부(110)와 경사 회전부(120),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1 유압 모터(212),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 중 어느 하나로 공급되도록 하고, 좌우 회전부(110)와 경사 회전부(120)와 제1 유압 모터(212)와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 중 어느 하나에서 회수된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중장비(10)로 회수되도록 하는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과,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와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 중 어느 하나가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2 유압 모터(214), 천공기(230)의 제3 유압 모터(232) 중 어느 하나로 공급되도록 하고, 유압 실린더(221), 제2 유압 모터(214), 제3 유압 모터(232) 중 어느 하나에서 회수된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는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으로 회수되도록 하고, 유압 실린더(221)에서 회수된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는 파워팩(20)으로 회수되도록 하는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은 제어 신호에 따라, 중장비(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회전부(100)의 좌우 회전부(110)와 경사 회전부(120),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1 유압 모터(212),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 중 어느 하나로 공급되도록 하고, 좌우 회전부(110)와 경사 회전부(120)와 제1 유압 모터(212)와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 중 어느 하나에서 회수된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중장비(10)로 회수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은 일종의 유압 분배기로, 중장비(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회전부(100)의 좌우 회전부(110)와 경사 회전부(120),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1 유압 모터(212),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 중 어느 하나로 공급될 수 있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유압 라인(410), 한 쌍의 제2 유압 라인(420), 한 쌍의 제3 유압 라인(430), 한 쌍의 제4 유압 라인(440), 한 쌍의 제5 유압 라인(450)이 각각 연결된다.
이때, 회전부(100)의 좌우 회전부(110)와 경사 회전부(120),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1 유압 모터(212),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으로의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 공급은 작업자(예: 중장비 기사)가 조정기(30)를 통해 제공하는 신호인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수행된다.
예를 들어, 파쇄 장치 전체를 좌우 회전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작업자는 조정기(30)를 이용해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회전부(100)의 좌우 회전부(110)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으로 제공하게 되고,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은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회전부(100)의 좌우 회전부(110)로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파쇄 장치 전체를 경사 회전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작업자는 조정기(30)를 이용해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회전부(100)의 경사 회전부(120)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으로 제공하게 되고,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은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회전부(100)의 경사 회전부(120)로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웨지 라이너(233)의 벌어짐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유압 실린더(310)를 회전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작업자는 조정기(30)를 이용해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1 유압 모터(212)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으로 제공하게 되고,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은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1 유압 모터(212)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은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와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 중 어느 하나가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2 유압 모터(214), 천공기(230)의 제3 유압 모터(232) 중 어느 하나로 공급되도록 하고, 유압 실린더(221), 제2 유압 모터(214), 제3 유압 모터(232) 중 어느 하나에서 회수된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는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으로 회수되도록 하고, 유압 실린더(221)에서 회수된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는 파워팩(20)으로 회수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 역시 일종의 유압 분배기로,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와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 중 어느 하나가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2 유압 모터(214), 천공기(230)의 제3 유압 모터(232) 중 어느 하나로 공급될 수 있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5 유압 라인(450), 한 쌍의 제6 유압 라인(460), 한 쌍의 제7 유압 라인(470), 한 쌍의 제8 유압 라인(480), 한 쌍의 제9 유압 라인(490)이 각각 연결된다.
이때,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2 유압 모터(214), 천공기(230)의 제3 유압 모터(232)로의 제1 유압유 또는 제2 유압유 공급은 제2~4 제어 신호에 따라 수행된다.
상기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은 초기에는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유가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로 공급되던 중, 제2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작업자가 조정기(30)를 통해 제공하는 신호이거나, 압력 감지기(40)가 자동으로 제공하는 신호이고, 상기 압력 감지기(40)는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과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를 연결하는 제6 유압 라인(460)에 설치되어 제6 유압 라인(460)의 내부 유압을 감지하고, 감지한 유압이 사전 설정치까지 상승한 후 떨어지지 않고, 사전 설정치로 계속 유지되면 제2 제어 신호를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쇄 대상물의 파쇄 작업 시, 초기에는 중장비(10)에서 제공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를 이용해 파쇄 작업을 하도록,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은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로 공급되도록 한다.
제1 유압유를 이용한 파쇄 작업 중, 파쇄 대상물이 경도가 강한 암석인 경우,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만으로는 파쇄력이 부족하여 파쇄가 진행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공법이나 다른 장비로의 교체 없이, 신속하게 파쇄 대상을 파쇄할 수 있도록 제1 유압 이상의 유압을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로 공급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구성이 파워팩(20)이다.
파워팩(20)은 중장비(10)에서 제공하는 제1 유압 이상의 유압(300bar 이상 500bar 이하)을 생성하는 장비로,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은 중장비(10)에서 제공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만으로는 파쇄력이 부족하여 파쇄가 진행되지 않는 경우,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신속히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로 공급되도록 한다.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로의 제2 유압 공급은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수행되는데, 제2 제어 신호는 파쇄 대상물의 파쇄 여부에 따라 작업자가 조정기(30)를 통해 제공하는 신호이거나, 압력 감지기(40)가 자동으로 제공하는 신호이다.
조정기(30)를 이용해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으로 제2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중장비(10)에서 제공하는 제1 유압을 이용한 파쇄 작업 중, 제1 유압만으로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작업자는 조정기(30)를 통해 제2 제어 신호를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으로 제공하게 되고,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한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은, 즉시,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로 공급되는 유압유를 중장비(10)에서 제공하는 제1 유압유 대신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유로 전환한다.
또 다른 실시예인 압력 감지기(40)를 이용해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으로 제2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압력 감지기(40)는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과 유압 실린더(221)를 연결하는 제6 유압 라인(460)에 설치되어 제6 유압 라인(460)의 내부 유압을 감지하고, 감지한 유압이 사전 설정치(중장비에서 최대 제공 가능한 유압)까지 상승한 후 떨어지지 않고, 사전 설정치로 계속 유지되면 제2 제어 신호를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으로 제공한다.
제1 유압유를 이용한 파쇄 작업 중, 파쇄 대상물 파쇄를 위해 유압 실린더(221)로 공급되고 있는 제1 유압유의 제1 유압이 상승하다가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는 순간, 유압 실린더(221)로 공급되고 있는 제1 유압유의 제1 유압이 즉시 떨어지게 된다. 이때, 파쇄 대상물 파쇄를 위한 제1 유압유의 제1 유압의 상승 범위는 파쇄 대상물별로 상이하다.
예를 들어, 파쇄 대상물별로 제1 유압유의 제1 유압은 200bar까지 상승하다가 떨어질 수도 있고, 250bar까지 상승하다가 떨어질 수도 있고, 280bar까지 상승하다가 떨어질 수도 있다. 즉, 파쇄 대상물이 단단한 암질일수록 제1 유압의 상승 범위는 커진다.
그러나 제1 유압유의 제1 유압이 상승 한계치인 사전 설정치(중장비에서 최대 제공 가능한 유압)까지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유압 다운이 발생하지 않게 되면, 파쇄 대상물은 제1 유압유의 제1 유압으로는 파쇄되지 않는 파쇄 대상물이다.
따라서 상기 압력 감지기(40)는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과 유압 실린더(221)를 연결하는 제6 유압 라인(460)을 통해 제1 유압유의 제1 유압이 유압 실린더(221)로 공급되는 상태에서, 제6 유압 라인(460)의 내부 유압을 감지하고, 감지한 유압이 사전 설정치(중장비에서 최대 제공 가능한 유압)까지 상승한 후 떨어지지 않고, 사전 설정치로 계속 유지되면, 파쇄 대상물은 제1 유압유의 제1 유압으로는 파쇄되지 않는 대상으로 판단하여, 제2 제어 신호를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으로 제공하고,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한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은, 즉시,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로 공급되는 유압유를 중장비(10)에서 제공하는 제1 유압유 대신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유로 전환하여,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도록 한다.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를 이용해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면,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로 공급되도록 하는 초기 상태로의 복귀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은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로 공급되던 중, 제3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제3 제어 신호는 작업자가 조정기(30)를 통해 제공하는 신호이거나, 압력 감지기(40)가 자동으로 제공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를 이용한 파쇄 작업을 통해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면, 외부에서 제공되는 제3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은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로 다시 공급되도록 하는 초기 상태로 복귀시킨다.
즉,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로의 제1 유압유 복귀 공급은 제3 제어 신호에 따라 수행되는데, 제3 제어 신호는 파쇄 대상물의 파쇄 여부에 따라 작업자가 조정기(30)를 통해 제공하는 신호이거나, 압력 감지기(40)가 자동으로 제공하는 신호이다.
조정기(30)를 이용해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로 제3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파워팩(20)에서 제공하는 제2 유압(300bar 이상 500bar 이하)을 이용한 파쇄 작업 중, 파쇄 대상물이 파쇄된 것으로 판단한 작업자는 조정기(30)를 통해 제3 제어 신호를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로 제공하게 되고, 제3 제어 신호를 수신한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은, 즉시,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로 공급되는 유압유를 파워팩(20)에서 제공하는 제2 유압유 대신 중장비(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유로 전환한다.
또 다른 실시예인 압력 감지기(40)를 이용해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로 제3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압력 감지기(40)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로 공급되는 상태에서 제6 유압 라인(460)의 내부 유압을 감지하고, 감지한 유압이 사전 설정치(중장비에서 최대 제공 가능한 유압)를 초과하여 상승한 후 떨어지면 제3 제어 신호를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유압유를 이용한 파쇄 작업 중, 파쇄 대상물 파쇄를 위해 유압 실린더(221)로 공급되고 있는 제2 유압유의 제2 유압이 상승하다가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는 순간, 유압 실린더(221)로 공급되고 있는 제2 유압유의 제2 유압이 즉시 떨어지게 된다. 이때, 파쇄 대상물 파쇄를 위한 제2 유압유의 제2 유압의 상승 범위는 파쇄 대상물별로 상이하다.
예를 들어, 파쇄 대상물별로 제2 유압유의 제2 유압은 300bar까지 상승하다가 떨어질 수도 있고, 350bar까지 상승하다가 떨어질 수도 있고, 400bar까지 상승하다가 떨어질 수도 있다. 즉, 파쇄 대상물이 단단한 암질일수록 제2 유압의 상승 범위는 커진다.
상승하던 제2 유압유의 제2 유압이 떨어진다는 것은 파쇄 대상물이 파쇄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압력 감지기(40)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로 공급되는 상태에서 제6 유압 라인(460)의 내부 유압을 감지하고, 감지한 유압이 사전 설정치(중장비에서 최대 제공 가능한 유압)를 초과하여 상승한 후, 떨어지면, 파쇄 대상물이 제2 유압유의 제2 유압으로 파쇄된 것으로 판단하여, 제3 제어 신호를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로 제공하고, 제3 제어 신호를 수신한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은, 즉시,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로 공급되는 유압유를 파워팩(20)에서 제공하는 제2 유압유 대신 중장비(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유로 전환되도록 한다.
한편,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를 이용하여도 파쇄 대상물의 파쇄가 진행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를 이용하여도 파쇄 대상물의 파쇄가 진행되지 않는 경우, 파쇄 대상물의 파쇄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파쇄 공 주변에 자유 면을 천공한 후 제2 유압을 이용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구성이 설치 마운팅부(210)의 설치 마운트(211)에 설치되는 천공기(230)이다.
즉, 설치 마운트(211)에 설치되는 천공기(230)를 이용해 파쇄기(220)의 웨지 라이너(223)가 삽입되는 파쇄 공 주변에 자유 면을 천공하여 파쇄 대상물 파쇄를 유도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를 이용하여도 파쇄 대상물의 파쇄가 진행되지 않는 경우, 자유 면을 천공할 지점으로 천공기(230)의 천공 드릴(231)이 위치하도록 천공 드릴(231) 위치를 조절한 후, 천공 드릴(231)을 회전시켜 파쇄 공 주변에 자유 면이 천공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은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로 공급되던 중, 제4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2 유압 모터(214)로 공급되도록 한 후,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천공기(230)의 제3 유압 모터(232)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천공기(230)의 제3 유압 모터(232)로 공급되도록 한 후, 제2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제4 제어 신호는 작업자가 조정기(30)를 통해 제공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로 공급되어 파쇄 대상물 파쇄를 진행하였으나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지 않는 경우, 작업자는 조정기(30)를 통해 제4 제어 신호를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으로 제공한다.
제4 제어 신호를 수신한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은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2 유압 모터(214)로 공급되도록 하여 드릴 회전판(233)이 회전하도록 한다.
드릴 회전판(233) 회전에 따라 천공기(230)의 천공 드릴(231)이 자유 면을 천공할 지점에 위치하게 되면,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은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천공기(230)의 제3 유압 모터(232)로 공급되도록 하여 천공 드릴(231)이 회전하도록 한다.
천공 드릴(231)을 통해 파쇄 공 주변에 자유 면이 천공되면, 작업자는 조정기(30)를 통해 제2 제어 신호를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으로 제공한다.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한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은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로 공급되도록 하여, 제2 유압유를 이용해 파쇄기(220)가 파쇄 대상물을 파쇄하게 하는데, 이때, 파쇄 공 주변에 자유 면이 천공되어 있어, 종전에 제2 유압유를 이용하여도 파쇄되지 않던 파쇄 대상물이 천공된 자유 면에 의해 쉽게 파쇄된다.
상기 복수의 유압 라인(400)은 유압유의 공급과 회수를 위한 구성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유압 라인(4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중장비(10)에서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에서 중장비(10)로 회수되도록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과 중장비(10)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유압 라인(410)과,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에서 회전부(100)의 좌우 회전부(110)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회전부(100)의 좌우 회전부(110)에서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으로 회수되도록,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과 좌우 회전부(110)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유압 라인(420)과,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에서 회전부(100)의 경사 회전부(120)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회전부(100)의 경사 회전부(120)에서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으로 회수되도록,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과 경사 회전부(120)를 연결되는 한 쌍의 제3 유압 라인(430)과,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에서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1 유압 모터(212)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1 유압 모터(212)에서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으로 회수되도록,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과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1 유압 모터(212)를 연결되는 한 쌍의 제4 유압 라인(440)과,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에서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에서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으로 회수되도록,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과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5 유압 라인(450)과,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 또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에서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 또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에서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으로 회수되도록,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과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6 유압 라인(460)과,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워팩(20)에서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에서 파워팩(20)으로 회수되도록,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과 파워팩(20)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7 유압 라인(470)과,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에서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2 유압 모터(214)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2 유압 모터(214)에서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으로 회수되도록,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과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2 유압 모터(214)를 연결되는 한 쌍의 제8 유압 라인(480)과,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에서 천공기(230)의 제3 유압 모터(232)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천공기(230)의 제3 유압 모터(232)에서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으로 회수되도록,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과 천공기(230)의 제3 유압 모터(232)를 연결되는 한 쌍의 제9 유압 라인(4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유압 라인(410)은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중장비(10)에서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에서 중장비(10)로 회수되도록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과 중장비(10)를 연결하는 한 쌍의 구성이다.
즉, 한 쌍의 제1 유압 라인(410)을 통해,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파쇄 장치 전체의 좌우/경사 회전과 파쇄 대상물 파쇄를 위해, 중장비(10)에서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로 공급되고, 파쇄 장치 전체의 좌우/경사 회전과 파쇄 대상물 파쇄를 위해 사용된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에서 중장비(10)로 회수된다.
상기 제2 유압 라인(420)은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에서 회전부(100)의 좌우 회전부(110)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회전부(100)의 좌우 회전부(110)에서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으로 회수되도록,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과 좌우 회전부(110)를 연결하는 한 쌍의 구성이다.
즉, 한 쌍의 제2 유압 라인(420)을 통해,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파쇄 장치 전체의 좌우 회전을 위해,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에서 회전부(100)의 좌우 회전부(110)로 공급고, 파쇄 장치 전체의 좌우 회전을 위해 사용된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회전부(100)의 좌우 회전부(110)에서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로 회수된다.
상기 제3 유압 라인(430)은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에서 회전부(100)의 경사 회전부(120)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회전부(100)의 경사 회전부(120)에서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으로 회수되도록,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과 경사 회전부(120)를 연결되는 한 쌍의 구성이다.
즉, 한 쌍의 제3 유압 라인(430)을 통해,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파쇄 장치 전체의 경사 회전을 위해,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에서 회전부(100)의 경사 회전부(120)로 공급되고, 파쇄 장치 전체의 경사 회전을 위해 사용된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회전부(100)의 경사 회전부(120)에서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로 회수된다.
상기 제4 유압 라인(440)은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에서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1 유압 모터(212)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1 유압 모터(212)에서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으로 회수되도록,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과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1 유압 모터(212)를 연결되는 한 쌍의 구성이다.
즉, 한 쌍의 제4 유압 라인(440)을 통해,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유압 실린더(221) 회전을 위해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에서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1 유압 모터(212)로 공급되고, 유압 실린더(221) 회전을 위해 사용된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1 유압 모터(212)에서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으로 회수된다.
상기 제5 유압 라인(450)은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에서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에서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으로 회수되도록,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과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을 연결하는 한 쌍의 구성이다.
즉, 한 쌍의 제5 유압 라인(450)을 통해,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파쇄 대상물 파쇄를 위해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에서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으로 공급되고, 파쇄 대상물 파쇄를 위해 사용된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에서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으로 회수된다.
상기 제6 유압 라인(460)은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 또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에서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 또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에서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으로 회수되도록,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과 유압 실린더(310)를 연결하는 한 쌍의 구성이다.
즉, 한 쌍의 제6 유압 라인(460)을 통해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 또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쇄 대상물 파쇄를 위해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에서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로 공급되고, 파쇄 대상물 파쇄를 위해 사용된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 또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에서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으로 회수된다.
상기 제7 유압 라인(470)은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워팩(20)에서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에서 파워팩(20)으로 회수되도록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과 파워팩(20)을 연결하는 한 쌍의 구성이다.
즉, 한 쌍의 제7 유압 라인(470)을 통해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쇄 대상물 파쇄를 위해 파워팩(20)에서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으로 공급되고, 파쇄 대상물 파쇄를 위해 사용된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에서 파워팩(20)으로 회수된다.
상기 제8 유압 라인(480)은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에서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2 유압 모터(214)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2 유압 모터(214)에서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으로 회수되도록,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과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2 유압 모터(214)를 연결되는 한 쌍의 구성이다.
즉, 한 쌍의 제8 유압 라인(480)을 통해,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2 유압 모터(214) 회전을 위해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에서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2 유압 모터(214)로 공급되고,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2 유압 모터(214) 회전을 위해 사용된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2 유압 모터(214)에서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으로 회수된다.
상기 제9 유압 라인(490)은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에서 천공기(230)의 제3 유압 모터(232)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천공기(230)의 제3 유압 모터(232)에서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으로 회수되도록,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과 천공기(230)의 제3 유압 모터(232)를 연결되는 한 쌍의 구성이다.
즉, 한 쌍의 제9 유압 라인(490)을 통해,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천공기(230)의 제3 유압 모터(232) 회전을 위해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에서 천공기(230)의 제3 유압 모터(232)로 공급되고, 천공기(230)의 제3 유압 모터(232) 회전을 위해 사용된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천공기(230)의 제3 유압 모터(232)에서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으로 회수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주 내에서 변형한 것까지 포함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중장비
20 : 파워팩
30 : 조정기
40 : 압력 감지기
100 : 회전부
200 : 파쇄/천공부
300 : 유압유 공급 제어부
400 : 유압 라인

Claims (13)

  1. 이종 유압과 자유 면 천공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에 있어서,
    중장비(10)에 파쇄 장치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유압유에 의한 유압을 이용해 파쇄/천공부(200)를 좌우/경사 회전시키는 회전부(100)와;
    회전부(100) 하측에 결합하고,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유압유에 의한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거나 파쇄 공 주변에 자유 면을 천공하는 파쇄/천공부(200)와;
    중장비(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와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 중, 어느 하나가 회전부(100)와 파쇄/천공부(200) 중, 어느 하나로 공급되도록 하는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와;
    유압유의 공급과 회수를 위한 복수의 유압 라인(400)을 포함하되,

    상기 파쇄/천공부(200)는,
    파쇄기(220)와 천공기(230)가 설치되고,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파쇄 방향에 대응되도록 파쇄기(220)를 회전시키고, 천공 위치에 대응되도록 천공기(230)의 천공 드릴(231) 위치를 변경시키는 설치 마운팅부(210)와;
    설치 마운팅부(210)의 설치 마운트(211)에 설치되고,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 또는 제2 유압유에 의한 제2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기(220)와;
    설치 마운팅부(210)의 설치 마운트(211)에 설치되고,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파쇄 공 주변에 자유 면을 천공하는 천공기(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유압과 자유 면 천공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100)는,
    중장비(10)에 파쇄 장치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좌우 회전하여 파쇄/천공부(200) 전체가 좌우 회전되도록 하는 좌우 회전부(110)와,
    좌우 회전부(110) 하측에 결합하고,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경사 회전하여 파쇄/천공부(200) 전체가 경사 회전되도록 하는 경사 회전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유압과 자유 면 천공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좌우 회전부(110)는,
    중장비(10)에 파쇄 장치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링크가 형성된 고정 디스크(111)와,
    고정 디스크(111) 하측에 결합하고,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에 의해 고정 디스크(111)에 대해 좌우 회전하는 회전 디스크(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유압과 자유 면 천공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경사 회전부(120)는,
    하측에 파쇄/천공부(200)의 설치 마운팅부(210)가 결합하고, 좌우 회전부(110)에 힌지 결합하고, 상측 면에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가 설치되고, 한 쌍의 유압 피스톤(122)에 의해 좌우 회전부(110)에 대해 힌지 방식 방식으로 경사 회전하는 경사 회전판(121)과,
    일측은 경사 회전판(121)에 타측은 좌우 회전부(110)의 회전 디스크(112)에 결합하고,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에 의해 피스톤 운동하여 경사 회전판(121)을 경사 회전시키는 한 쌍의 유압 피스톤(1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유압과 자유 면 천공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치 마운팅부(210)는,
    파쇄기(220)와 천공기(230)가 설치되는 설치 마운트(211)와,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회전 기어(213)를 회전시키는 제1 유압 모터(212)와,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 외측 면에 형성된 톱니와 톱니 결합하고, 제1 유압 모터(212)에 의해 정/역 회전하여, 파쇄기(220)의 웨지 라이너(223)의 벌어짐 방향이 조절될 수 있도록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는 회전 기어(213)와,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천공기(230)의 드릴 회전판(233)을 회전시키는 제2 유압 모터(214)와,
    드릴 회전판(233) 회전에 따라 설치 마운트(211) 상에서의 위치가 변경되는 천공 드릴(231)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설치 마운트(211) 전면에 형성되는 이동 안내홈(2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유압과 자유 면 천공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220)는,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 또는 제2 유압유에 의한 제2 유압을 이용해 웨지(222)를 전/후진시키는 피스톤(2211)이 내부에 설치되고, 웨지 라이너(223)의 벌어짐 방향이 조절되도록 회전 가능한 유압 실린더(221)와,
    유압 실린더(221)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2211)의 전/후진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는 웨지(222)와,
    전진하는 웨지(222)에 의해 벌어져 대상물을 파쇄하는 웨지 라이너(2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유압과 자유 면 천공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공기(230)는,
    드릴 회전판(233) 회전에 따라 설치 마운트(211) 전면에 형성된 이동 안내홈(215)을 따라 이동이 안내되어 설치 마운트(211) 전면 상에서의 위치가 변경되고, 제3 유압 모터(232)에 의해 회전하여 파쇄 공 주변에 자유 면을 천공하는 천공 드릴(231)과,
    드릴 회전판(233)에 결합 설치되고,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천공 드릴(231)을 회전시키는 제3 유압 모터(232)와,
    천공 드릴(231)이 결합된 제3 유압 모터(232)가 결합 설치되고,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2 유압 모터(214)에 의해 회전하는 드릴 회전판(2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유압과 자유 면 천공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압유 공급 제어부(300)는,
    제어 신호에 따라, 중장비(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회전부(100)의 좌우 회전부(110)와 경사 회전부(120),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1 유압 모터(212),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 중 어느 하나로 공급되도록 하고, 좌우 회전부(110)와 경사 회전부(120)와 제1 유압 모터(212)와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 중 어느 하나에서 회수된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중장비(10)로 회수되도록 하는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과,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와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 중 어느 하나가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2 유압 모터(214), 천공기(230)의 제3 유압 모터(232) 중 어느 하나로 공급되도록 하고, 유압 실린더(221), 제2 유압 모터(214), 제3 유압 모터(232) 중 어느 하나에서 회수된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는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으로 회수되도록 하고, 유압 실린더(221)에서 회수된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는 파워팩(20)으로 회수되도록 하는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이종 유압과 자유 면 천공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은,
    작업자가 조정기(30)를 통해 제공하는 신호인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중장비(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회전부(100)의 좌우 회전부(110)와 경사 회전부(120),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1 유압 모터(212),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 중 어느 하나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유압과 자유 면 천공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은,
    초기에는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유가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로 공급되던 중, 제2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로 공급되도록 하되,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작업자가 조정기(30)를 통해 제공하는 신호이거나, 압력 감지기(40)가 자동으로 제공하는 신호이고,
    상기 압력 감지기(40)는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과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를 연결하는 제6 유압 라인(460)에 설치되어 제6 유압 라인(460)의 내부 유압을 감지하고, 감지한 유압이 사전 설정치까지 상승한 후 떨어지지 않고, 사전 설정치로 계속 유지되면 제2 제어 신호를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유압과 자유 면 천공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은,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로 공급되던 중, 제3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유압유 공급 블록(3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제3 제어 신호는 작업자가 조정기(30)를 통해 제공하는 신호이거나, 압력 감지기(40)가 자동으로 제공하는 신호이고,
    상기 압력 감지기(40)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로 공급되는 상태에서 제6 유압 라인(460)의 내부 유압을 감지하고, 감지한 유압이 사전 설정치를 초과하여 상승한 후 떨어지면 제3 제어 신호를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유압과 자유 면 천공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압유 공급 블록(320)은,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로 공급되던 중, 제4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설치 마운팅부(210)의 제2 유압 모터(214)로 공급되도록 한 후,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천공기(230)의 제3 유압 모터(232)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천공기(230)의 제3 유압 모터(232)로 공급되도록 한 후, 제2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쇄기(220)의 유압 실린더(221)로 공급되도록 하되,
    상기 제4 제어 신호는 작업자가 조정기(30)를 통해 제공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유압과 자유 면 천공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KR1020230038772A 2023-03-24 2023-03-24 이종 유압과 자유면 천공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KR102560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8772A KR102560981B1 (ko) 2023-03-24 2023-03-24 이종 유압과 자유면 천공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8772A KR102560981B1 (ko) 2023-03-24 2023-03-24 이종 유압과 자유면 천공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0981B1 true KR102560981B1 (ko) 2023-07-28

Family

ID=87427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8772A KR102560981B1 (ko) 2023-03-24 2023-03-24 이종 유압과 자유면 천공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9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60819A (zh) * 2022-05-24 2022-08-30 广西新港湾工程有限公司 一种液压柱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029B1 (ko) * 2002-06-28 2005-03-22 쌍용건설 주식회사 무진동 암반파쇄기용 브라켓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반굴착 방법
KR20130069286A (ko) * 2011-12-16 2013-06-26 부성테크빌드(주) 암반파쇄기 모듈
JP2014224369A (ja) * 2013-05-15 2014-12-04 株式会社クキタ 割岩装置
KR101986320B1 (ko) * 2018-12-06 2019-06-05 (주)성진이엔씨 중장비에 장착 연결되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기와 이를 이용한 파쇄 굴착방법
KR102166521B1 (ko) 2017-03-20 2020-10-16 최찬희 암반파쇄기용 유압승압장치
KR102195463B1 (ko) * 2020-05-12 2020-12-28 우원개발 주식회사 무진동 암반 파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굴착 방법
KR102195905B1 (ko) 2019-08-19 2020-12-2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다방향 플라즈마-유압 할암봉을 구비한 할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할암 방법
KR102257067B1 (ko) 2020-09-08 2021-06-01 엘케이건설산업 주식회사 팽창성 파쇄재 주입장치 및 팽창성 파쇄재와 파쇄기를 이용한 암반 굴착공법
KR102339389B1 (ko) * 2021-08-12 2021-12-14 (주)성진이엔씨 증압 기능을 갖는 파워팩 시스템
KR102498011B1 (ko) * 2022-10-27 2023-02-09 (주)성진이엔씨 외부에서 제공되는 이종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029B1 (ko) * 2002-06-28 2005-03-22 쌍용건설 주식회사 무진동 암반파쇄기용 브라켓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반굴착 방법
KR20130069286A (ko) * 2011-12-16 2013-06-26 부성테크빌드(주) 암반파쇄기 모듈
JP2014224369A (ja) * 2013-05-15 2014-12-04 株式会社クキタ 割岩装置
KR102166521B1 (ko) 2017-03-20 2020-10-16 최찬희 암반파쇄기용 유압승압장치
KR101986320B1 (ko) * 2018-12-06 2019-06-05 (주)성진이엔씨 중장비에 장착 연결되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기와 이를 이용한 파쇄 굴착방법
KR102195905B1 (ko) 2019-08-19 2020-12-2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다방향 플라즈마-유압 할암봉을 구비한 할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할암 방법
KR102195463B1 (ko) * 2020-05-12 2020-12-28 우원개발 주식회사 무진동 암반 파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굴착 방법
KR102257067B1 (ko) 2020-09-08 2021-06-01 엘케이건설산업 주식회사 팽창성 파쇄재 주입장치 및 팽창성 파쇄재와 파쇄기를 이용한 암반 굴착공법
KR102339389B1 (ko) * 2021-08-12 2021-12-14 (주)성진이엔씨 증압 기능을 갖는 파워팩 시스템
KR102498011B1 (ko) * 2022-10-27 2023-02-09 (주)성진이엔씨 외부에서 제공되는 이종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60819A (zh) * 2022-05-24 2022-08-30 广西新港湾工程有限公司 一种液压柱
CN114960819B (zh) * 2022-05-24 2024-01-05 广西新港湾工程有限公司 一种液压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75973B (zh) 具有驱动圆盘刀具的采矿机
KR102560981B1 (ko) 이종 유압과 자유면 천공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AU2020286272B2 (en) Mining Machine with Driven Disc Cutters
CN109441468B (zh) 一种盾构开挖面冲击松动与破碎装置及其工作方法
CN114961684A (zh) 具有冲击地压危险性顶板的煤层增透与防冲协同连续作业方法
KR102498011B1 (ko) 외부에서 제공되는 이종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Danilov et al. Justification of basic diagrams of horizontal drilling deflectors
KR101698445B1 (ko) 슬라이딩붐을 이용한 암파쇄장치
Wilke et al. Development of a non-explosive mining system for underground hard rock mining
KR102630277B1 (ko) 다중 붐 웨지 할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진동 암파쇄 공법
CN220226869U (zh) 一种破岩装置及劈裂掘进机
JP3238635B2 (ja) 坑道掘進方法及び穿孔装置
KR101874708B1 (ko) 무진동 터널굴착방법 및 무진동 터널굴착장치
Visser Shaft sinking methods based on the townlands ore replacement project-rise boring
Danilov et al. Optimization of technical solutions for pilot hole drilling in soil
Dunn The Non-Explosive Mechanization of the South African Gold Mine Stoping Operation
Xu et al. The use of waterjets in the pre-profiling of underground excavations
Xu et al. TUNNEL BORING MACHINE ENHANC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