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011B1 - 외부에서 제공되는 이종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 Google Patents

외부에서 제공되는 이종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011B1
KR102498011B1 KR1020220140608A KR20220140608A KR102498011B1 KR 102498011 B1 KR102498011 B1 KR 102498011B1 KR 1020220140608 A KR1020220140608 A KR 1020220140608A KR 20220140608 A KR20220140608 A KR 20220140608A KR 102498011 B1 KR102498011 B1 KR 102498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hydraulic pressure
crusher
supplied
hydraulic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0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홍
정건웅
김학만
Original Assignee
(주)성진이엔씨
(주)유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진이엔씨, (주)유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성진이엔씨
Priority to KR1020220140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0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CMINING OR QUARRYING
    • E21C37/00Other methods or devices for dislodging with or without loading
    • E21C37/06Other methods or devices for dislodging with or without loading by making use of hydraulic or pneumatic pressure in a boreho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16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65Control of multiple pressur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용 파쇄 장치를 이용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할 때, 포크 레인과 같은 중장비에서 제공하는 제1 유압만으로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지 않는 경우, 즉시 제1 유압 이상의 유압을 제공할 수 있는 유압 제공처(파워팩)에서 제공하는 제2 유압을 이용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할 수 있도록 하여, 잘 파쇄되지 않는 강도를 갖는 파쇄 대상물(예: 경암, 극경암)을 만나는 경우, 다른 공법이나 다른 장비로의 교체 없이, 신속하게 파쇄 대상을 파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파쇄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파쇄기 회전부(100), 실린더 회전부(200), 파쇄기(300), 유압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부에서 제공되는 이종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A crusher that is breaking rocks using two types of oil-hydraulic pressure provided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은 외부에서 제공되는 이종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압용 파쇄 장치를 이용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할 때, 포크 레인과 같은 중장비에서 제공하는 제1 유압만으로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지 않는 경우, 즉시 제1 유압 이상의 유압을 제공할 수 있는 파워팩에서 제공하는 제2 유압을 이용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할 수 있는 파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과학기술이 크게 발달하면서 토목과 건축을 포함하는 건설 분야의 기술도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고, 그 결과, 대규모의 건물과 교통 시설물(예: 교량, 지하철, 터널 등)이 건설되고 있다.
특히, 지하철, 터널과 같은 대규모 시설물의 건설 시, 지하나 산 등을 굴착 하는 터널 굴착 공사가 필수적인데, 터널 굴착 공사 시, 암반을 파쇄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암반 파쇄 시, 다이너마이트와 같은 화약을 이용한 파쇄 공법과 파쇄 장치를 이용하는 파쇄 공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때, 다이너마이트와 같은 화약을 이용한 파쇄 공법은 경제적이고 신속하게 터널 굴착이 진행된다는 장점과 함께 화약 폭발 시 큰 진동과 소음, 분진이 발생하고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파쇄 장치를 이용한 파쇄 공법은 암반에 일정 깊이로 천공을 한 후 유압용 파쇄 장치를 이용하여 암반을 파쇄하는 것으로, 다이너마이트와 같은 화약을 이용한 파쇄 공법에 비해, 진동과 소음 발생이 거의 없고 안전사고의 발생이 적다는 장점이 있고 상대적으로 공사 진행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유압용 파쇄 장치를 이용한 종래의 파쇄 공법은 파쇄 장치를 유압을 공급하는 중장비(포크 레인)에 연결한 후, 중장비(포크 레인)에서 공급되는 유압을 이용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하였으나, 잘 파쇄되지 않는 강도를 갖는 파쇄 대상물(예: 경암, 극경암)을 만나는 경우, 중장비(포크 레인)에서 공급되는 유압만으로는 파쇄 대상물(예: 경암, 극경암)을 파쇄하기가 곤란하였다.
이 경우, 새로운 유압 파쇄 장치(예: 활암봉)를 이용한 인력작업을 통해 파쇄 대상을 파쇄하게 되는데, 새로운 유압 파쇄 장치(예: 활암봉)로 교체하는 과정이 필요해 공사가 일시 중단되는 문제점과 2차 작업이 필요하여 공사 진척이 늦어지는 문제와 인력작업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과 같은 단점을 갖는다.
또한, 다이너마이트와 같은 화약을 이용한 파쇄 공법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새로운 공법(발파 공법) 적용을 위해 공사가 일시 중단되는 문제점과 발파에 따른 민원 보상 등의 경제적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잘 파쇄되지 않는 강도를 갖는 파쇄 대상물(예: 경암, 극경암)을 만나는 경우, 다른 공법이나 다른 장비로의 교체 없이, 신속하게 파쇄 대상을 파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도록, 유압용 파쇄 장치를 이용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할 때, 포크 레인과 같은 중장비에서 제공하는 제1 유압만으로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지 않는 경우, 즉시 제1 유압 이상의 유압을 제공할 수 있는 파워팩에서 제공하는 제2 유압을 이용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할 수 있는 파쇄 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2781호 자체 증압이 가능한 유압실린더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0880호 유압 파워 유니트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66521호 암반파쇄기용 유압승압장치
본 발명은 유압용 파쇄 장치를 이용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할 때, 포크 레인과 같은 중장비에서 제공하는 제1 유압만으로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지 않는 경우, 즉시 제1 유압 이상의 유압을 제공할 수 있는 파워팩에서 제공하는 제2 유압을 이용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외부에서 제공되는 이종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는,
중장비(10)에 파쇄 장치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유압유 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파쇄기(300) 전체가 좌우/경사 회전되도록 하는 파쇄기 회전부(100)와;
유압유 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만이 회전되도록 하는 실린더 회전부(200)와;
파쇄기 회전부(100) 하측에 결합하고, 유압유 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 또는 제2 유압유에 의한 제2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기(300)와;
중장비(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를 파쇄기 회전부(100)와 실린더 회전부(200)로 공급하고, 중장비(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와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 중 어느 하나를 파쇄기(300)로 공급하는 유압 제어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압용 파쇄 장치를 이용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할 때, 포크 레인과 같은 중장비에서 제공하는 제1 유압만으로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지 않는 경우, 즉시 제1 유압 이상의 유압을 제공할 수 있는 파워팩에서 제공하는 제2 유압을 이용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할 수 있도록 하여, 잘 파쇄되지 않는 강도를 갖는 파쇄 대상물(예: 경암, 극경암)을 만나는 경우, 다른 공법이나 다른 장비로의 교체 없이, 신속하게 파쇄 대상을 파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파쇄기 회전부 세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린더 회전부 세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파쇄기 세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유압 제어부 세부 구성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인 외부에서 제공되는 이종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이하 본 발명)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용 파쇄 장치를 이용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할 때, 포크 레인과 같은 중장비(10)에서 제공하는 제1 유압만으로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지 않는 경우, 즉시 제1 유압 이상의 유압을 제공할 수 있는 파워팩(20)에서 제공하는 제2 유압을 이용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할 수 있도록 하여, 잘 파쇄되지 않는 강도를 갖는 파쇄 대상물(예: 경암, 극경암)을 만나는 경우, 다른 공법이나 다른 장비로의 교체 없이, 신속하게 파쇄 대상을 파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파쇄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파쇄기 회전부(100), 실린더 회전부(200), 파쇄기(300), 유압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외부에서 제공되는 이종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장비(10)에 파쇄 장치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유압 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파쇄기(300) 전체가 좌우/경사 회전되도록 하는 파쇄기 회전부(100)와;
유압 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만이 회전되도록 하는 실린더 회전부(200)와;
파쇄기 회전부(100) 하측에 결합하고, 유압 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 또는 제2 유압유에 의한 제2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기(300)와;
중장비(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를 파쇄기 회전부(100)와 실린더 회전부(200)로 공급하고, 중장비(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와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 중 어느 하나를 파쇄기(300)로 공급하는 유압 제어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중장비(10)에서 제공되어 유압 제어부(400)를 통해 파쇄기 회전부(100), 실린더 회전부(200), 파쇄기(300)에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은 일반적으로 300bar 이하이고, 파워팩(20)에서 제공되어 유압 제어부(400)를 통해 파쇄기(300)에 공급되는 제2 유압유에 의한 제2 유압은 일반적으로 300bar 이상 500bar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쇄기 회전부(100)는 중장비(10)에 파쇄 장치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유압 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파쇄기(300) 전체가 좌우/경사 회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쇄기 회전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장비(10)에 파쇄 장치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유압 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좌우 회전하여 파쇄기(300) 전체가 좌우 회전되도록 하는 좌우 회전부(110)와,
좌우 회전부(110) 하측에 결합하고, 유압 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경사 회전하여 파쇄기(300) 전체가 경사 회전되도록 하는 경사 회전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우 회전부(110)는 중장비(10)에 파쇄 장치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유압 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좌우 회전하여 파쇄기(300) 전체가 좌우 회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좌우 회전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장비(10)에 파쇄 장치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링크가 형성된 고정 디스크(111)와,
고정 디스크(111) 하측에 결합하고, 유압 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에 의해 고정 디스크(111)에 대해 좌우 회전하는 회전 디스크(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디스크(111)는 중장비(10)에 파쇄 장치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링크가 형성된 구성으로, 상기 고정 디스크(111)에 형성된 링크를 통해 포크 레인과 같은 중장비(10)에 본 발명의 파쇄 장치가 연결 설치되며, 고정 디스크(111)의 하측에 후술할 회전 디스크(112)가 회전 결합하게 된다.
상기 회전 디스크(112)는 고정 디스크(111) 하측에 결합하고, 유압 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에 의해 고정 디스크(111)에 대해 좌우 회전하는 구성으로,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디스크(111) 하측에 결합 된 상태로 고정 디스크(111)에 대해 좌우 회전하며, 회전 디스크(112) 하측으로 경사 회전부(120)가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유압 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에 의해 회전 디스크(112)가 고정 디스크(111)에 대해 좌우 회전하고, 이로 인해, 하측에 위치한 파쇄기(300) 전체가 좌우 회전되도록 하여 파쇄 장치의 좌우 수평 위치가 조절된다.
상기 경사 회전부(120)는 좌우 회전부(110) 하측에 결합하고, 유압 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경사 회전하여 파쇄기(300) 전체가 경사 회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사 회전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가 결합하고, 좌우 회전부(110)에 힌지 결합하고, 상측 면에 유압 제어부(400)가 설치되고, 한 쌍의 유압 피스톤(122)에 의해 좌우 회전부(110)에 대해 힌지 방식 방식으로 경사 회전하는 경사 회전판(121)과,
일측은 경사 회전판(121)에 타측은 좌우 회전부(110)의 회전 디스크(112)에 결합하고, 유압 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에 의해 피스톤 운동하여 경사 회전판(121)을 경사 회전시키는 한 쌍의 유압 피스톤(1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 회전판(121) 하측에 파쇄기(300)가 결합하고, 좌우 회전부(110)에 힌지 결합하고, 상측 면에 유압 제어부(400)가 설치되고, 한 쌍의 유압 피스톤(122)에 의해 좌우 회전부(110)에 대해 힌지 방식 방식으로 경사 회전하는 구성이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 회전판(121)은 좌우 회전부(110)(구체적으로 회전 디스크(112))에 힌지 결합 되어 있어, 한 쌍의 유압 피스톤(122) 피스톤 운동 시, 경사 회전하고, 이로 인해, 하측에 위치한 파쇄기(300) 전체가 경사 회전되도록 하여 파쇄 장치의 경사 수직 위치가 조절된다.
상기 유압 피스톤(122) 일측은 경사 회전판(121)에 타측은 좌우 회전부(110)의 회전 디스크(112)에 결합하고, 유압 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에 의해 피스톤 운동하여 경사 회전판(121)을 경사 회전시키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유압 피스톤(122)은 유압 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는 피스톤 운동을 통해 경사 회전판(121)이 수직 방향으로 경사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실린더 회전부(200)는 유압 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만이 회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린더 회전부(200)는 유압 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를 일정 각도 회전시켜, 파쇄기(300)의 웨지 라이너(330)의 벌어짐 방향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 회전부(200)는,
유압 실린더(310)를 지지하고, 유압 실린더(310)가 관통하는 실린더 관통구(211)가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 지지 바디(210)와,
유압 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회전수단(230)을 회전시키는 유압 모터(220)와,
유압 모터(220)에 의해 정/역 회전하여, 유압 실린더(310)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 바디(21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310)가 관통하는 실린더 관통구(211)가 형성되어 있고, 유압 실린더(310) 외측 면에는 회전수단(230)과 톱니 결합하는 톱니가 형성되어 있어, 유압 제어부(400)가 제공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유압 모터(220)가 회전수단(230)을 정/역 회전시키면, 회전수단(230)에 톱니 결합 된 유압 실린더(310)도 정/역 회전하게 된다.
실린더 회전부(200)를 통해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만을 회전시키는 이유는 파쇄기(300)의 웨지 라이너(330)의 벌어짐 방향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즉, 파쇄 대상물의 파쇄를 위해, 파쇄 대상물에 천공된 구멍에 파쇄기(300)의 웨지 라이너(330)가 삽입되고, 파쇄기(300)의 웨지(320) 전진에 따라 웨지 라이너(330)가 벌어져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는데, 웨지 라이너(330)가 벌어지는 방향이 암질이 강한 암이 위치하는 방향이거나 파쇄 자유면까지의 거리가 멀어지는 방향인 경우, 파쇄 대상물이 잘 파쇄되지 않는다. 이 경우, 웨지 라이너(330)의 벌어짐 방향을 상대적으로 암질이 약한 암이 위치하는 방향이나 파쇄 자유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전환하면, 파쇄 대상물이 잘 파쇄된다.
따라서, 웨지 라이너(330)의 벌어짐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웨지 라이너(330)가 결합되어 있는 유압 실린더(310)를 회전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한 구성이 실린더 회전부(200)이다.
상기 파쇄기(300)는 파쇄기 회전부(100) 하측에 결합하고, 유압 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 또는 제2 유압유에 의한 제2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쇄기(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회전판(221) 하측에 결합하고, 유압 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 또는 제2 유압유에 의한 제2 유압을 이용해 웨지(320)를 전/후진시키는 피스톤(311)이 내부에 설치된 유압 실린더(310)와,
피스톤(311)의 전/후진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는 웨지(320)와,
전진하는 웨지(310)에 의해 벌어져 대상물을 파쇄하는 웨지 라이너(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압 실린더(310)는 경사 회전판(221) 하측에 결합하고, 유압 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 또는 제2 유압유에 의한 제2 유압을 이용해 웨지(320)를 전/후진시키는 피스톤(311)이 내부에 설치된 구성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310) 내부 공간에는 피스톤(311)이 설치되고 유압 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 또는 제2 유압유에 의한 제2 유압에 의해 피스톤(311)이 전/후진하고, 피스톤(311)의 전/후진에 따라 피스톤(311)에 결합 된 웨지(320)가 전/후진하고, 웨지(320)의 전진에 따라 웨지 라이너(330)가 벌어져 파쇄 대상물이 파쇄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310)는 실린더 회전부(200)에 의해 회전하여, 웨지 라이너(330)의 벌어짐 방향을 조절한다.
상기 웨지(320)는 피스톤(311)의 전/후진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는 구성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320)의 일단은 피스톤(311)에 결합 되어 있어, 피스톤(311)의 왕복 운동에 따라 웨지(320)는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는데, 웨지(320)가 전진하는 경우, 웨지 라이너(330)는 벌어지고, 웨지(320)가 후진하는 경우, 벌어진 웨지 라이너(330)는 오므려진다.
상기 웨지 라이너(330)는 전진하는 웨지(310)에 의해 벌어져 대상물을 파쇄하는 구성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 라이너(330)는 웨지(310) 전진 시, 벌어져 파쇄 대상물에 파쇄력을 가해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도록 하고, 웨지(310) 후진 시,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310)의 회전에 따라 웨지 라이너(330)의 벌어짐 방향이 조절되는데, 웨지 라이너(330)의 벌어짐 방향을 조절하는 이유는 파쇄 대상물의 파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파쇄 대상물의 파쇄를 위해, 파쇄 대상물에 천공된 구멍에 파쇄기(300)의 웨지 라이너(330)가 삽입되고, 파쇄기(300)의 웨지(320) 전진에 따라 웨지 라이너(330)가 벌어져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는데, 웨지 라이너(330)가 벌어지는 방향이 암질이 강한 암이 위치하는 방향이거나 파쇄 자유면과의 거리가 먼 경우, 파쇄 대상물이 잘 파쇄되지 않는다. 이 경우, 웨지 라이너(330)의 벌어짐 방향을 상대적으로 암질이 약한 암이 위치한 방향이나 파쇄 자유면까지의 거리가 멀어지는 방향인 경우, 파쇄 대상물이 잘 파쇄되지 않는다. 이 경우, 웨지 라이너(330)의 벌어짐 방향을 상대적으로 암질이 약한 암이 위치하는 방향이나 파쇄 자유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유압 실린더(310)를 회전시키게 되고, 유압 실린더(310)의 회전에 따라 웨지 라이너(330)의 벌어짐 방향이 조절되어 동일 유압으로도 파쇄 대상물을 손쉽게 파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파쇄기(300)는 기본적으로 중장비(10)에서 유압 제어부(400)로 제공하고, 유압 제어부(400)가 파쇄기(300)로 제공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파쇄 대상물의 파쇄를 진행한다. 이때, 파쇄 대상물이 경도가 강한 암석일 경우,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만으로는 파쇄력이 부족하여 파쇄가 진행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에는, 새로운 유압 파쇄 장치(예: 활암봉 등)를 이용한 인력작업을 통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하거나 다이너마이트와 같은 화약을 이용해 파쇄 대상물을 파쇄하였다. 그러나 새로운 유압 파쇄 장치(예: 활암봉)로 교체하는 과정이나 다이너마이트와 같은 화약을 설치하는 과정이 필요해 공사가 일시 중단되어 공사 진척이 늦어지는 문제와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과 같은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잘 파쇄되지 않는 강도를 갖는 파쇄 대상물(예: 경암, 극경암 등)을 만나는 경우, 다른 공법이나 다른 장비로의 교체 없이, 신속하게 파쇄 대상을 파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구성이 본 발명의 유압 제어부(400)이다.
본 발명의 유압 제어부(400)는 중장비(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를 파쇄기 회전부(100)와 실린더 회전부(200)로 공급하고, 중장비(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와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 중 어느 하나를 파쇄기(300)로 공급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압 제어부(400)는, 도 2,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장비(10)로부터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공급되고, 중장비(10)에서 공급된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를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파쇄기 회전부(100)의 좌우 회전부(110)와 경사 회전부(120)와 실린더 회전부(200)와 이종 유압 공급부(420) 중 어느 하나로 공급하고, 좌우 회전부(110)와 경사 회전부(120)와 실린더 회전부(200)와 이종 유압 공급부(420) 중 어느 하나에서 회수된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중장비(10)로 회수되도록 하는 유압 블록(410)과,
유압 블록(4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와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 중 어느 하나가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로 공급되도록 하는 이종 유압 공급부(420)와,
유압유의 공급과 회수를 위한 복수의 유압 라인(4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압 블록(410)은 중장비(10)로부터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공급되고, 중장비(10)에서 공급된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를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파쇄기 회전부(100)의 좌우 회전부(110)와 경사 회전부(120)와 실린더 회전부(200)의 유압 모터(220)와 이종 유압 공급부(420) 중 어느 하나로 공급하고, 좌우 회전부(110)와 경사 회전부(120)와 실린더 회전부(200)와 이종 유압 공급부(420) 중 어느 하나에서 회수된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중장비(10)로 회수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 블록(410)은 일종의 유압 분배기로, 중장비(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파쇄기 회전부(100)의 좌우 회전부(110)와 경사 회전부(120)와 실린더 회전부(200)의 유압 모터(220)와 이종 유압 공급부(42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제1 유압 라인(431), 한 쌍의 제2 유압 라인(432), 한 쌍의 제3 유압 라인(433), 한 쌍의 제4 유압 라인(434), 한 쌍의 제5 유압 라인(435)이 각각 연결된다.
파쇄기 회전부(100)의 좌우 회전부(110)와 경사 회전부(120)와 실린더 회전부(200)의 유압 모터(220)와 이종 유압 공급부(420)로의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 공급은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수행되는데, 제1 제어 신호는 조정기(30)가 제공하는 신호로, 작업자(예: 포크 레인 기사)는 조정기(30)를 이용해 제1 유압유 공급을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유압 블록(410)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파쇄기(300) 전체를 좌우 회전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파쇄기 회전부(100)의 좌우 회전부(110)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조정기(30)를 이용해 유압 블록(410)으로 제공하고, 파쇄기(300) 전체를 경사 회전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파쇄기 회전부(100)의 경사 회전부(120)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조정기(30)를 이용해 유압 블록(410)으로 제공하고, 파쇄 대상물 파쇄를 위해 웨지(320)를 전진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이종 유압 공급부(420)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조정기(30)를 이용해 유압 블록(410)으로 제공하고, 파쇄 대상물 파쇄 중, 웨지 라이너(330)의 벌어짐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유압 실린더(310)를 회전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실린더 회전부(200)의 유압 모터(220)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조정기(30)를 이용해 유압 블록(410)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이종 유압 공급부(420)는 유압 블록(4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와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 중 어느 하나가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로 공급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종 유압 공급부(4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에는 유압 블록(4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유가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로 공급되던 중, 제2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파쇄 대상물의 파쇄 여부에 따라 작업자가 조정기(30)를 통해 제공하는 신호이거나, 압력 감지기(40)가 자동으로 제공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쇄 대상물의 파쇄 작업 시, 초기에는 중장비(10)에서 제공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를 이용해 파쇄 작업을 하도록 이종 유압 공급부(420)는 유압 블록(4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를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로 공급한다.
제1 유압유를 이용한 파쇄 작업 중, 파쇄 대상물이 경도가 강한 암석인 경우,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만으로는 파쇄력이 부족하여 파쇄가 진행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공법이나 다른 장비로의 교체 없이, 신속하게 파쇄 대상을 파쇄할 수 있도록 제1 유압 이상의 유압을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로 공급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구성이 파워팩(20)이다.
파워팩(20)은 중장비(10)에서 제공하는 제1 유압 이상의 유압(300bar 이상 500bar 이하)을 생성하는 장비로, 이종 유압 공급부(420)는 중장비(10)에서 제공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만으로는 파쇄력이 부족하여 파쇄가 진행되지 않는 경우,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신속히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로 공급되도록 한다.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로의 제2 유압 공급은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수행되는데, 제2 제어 신호는 파쇄 대상물의 파쇄 여부에 따라 작업자가 조정기(30)를 통해 제공하는 신호이거나, 압력 감지기(40)가 자동으로 제공하는 신호이다.
조정기(30)를 이용해 이종 유압 공급부(420)로 제2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중장비(10)에서 제공하는 제1 유압을 이용한 파쇄 작업 중, 제1 유압만으로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작업자는 조정기(30)를 통해 제2 제어 신호를 이종 유압 공급부(420)로 제공하게 되고,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한 이종 유압 공급부(420)는, 즉시,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로 공급되는 유압유를 중장비(10)에서 제공하는 제1 유압유 대신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유로 전환한다.
또 다른 실시예인 압력 감지기(40)를 이용해 이종 유압 공급부(420)로 제2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압력 감지기(40)는 이종 유압 공급부(420)와 유압 실린더(310)를 연결하는 제6 유압 라인(436)에 설치되어 제6 유압 라인(436)의 내부 유압을 감지하고, 감지한 유압이 사전 설정치(중장비에서 최대 제공 가능한 유압)까지 상승한 후 떨어지지 않고, 사전 설정치로 계속 유지되면 제2 제어 신호를 이종 유압 공급부(42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유압유를 이용한 파쇄 작업 중, 파쇄 대상물 파쇄를 위해 유압 실린더(310)로 공급되고 있는 제1 유압유의 제1 유압이 상승하다가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는 순간, 유압 실린더(310)로 공급되고 있는 제1 유압유의 제1 유압이 즉시 떨어지게 된다. 이때, 파쇄 대상물 파쇄를 위한 제1 유압유의 제1 유압의 상승 범위는 파쇄 대상물별로 상이하다.
예를 들어, 파쇄 대상물별로 제1 유압유의 제1 유압은 200bar까지 상승하다가 떨어질 수도 있고, 250bar까지 상승하다가 떨어질 수도 있고, 280bar까지 상승하다가 떨어질 수도 있다. 즉, 파쇄 대상물이 단단한 암질일수록 제1 유압의 상승 범위는 커진다.
그러나 제1 유압유의 제1 유압이 상승 한계치인 사전 설정치(중장비에서 최대 제공 가능한 유압)까지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유압 다운이 발생하지 않게 되면, 파쇄 대상물은 제1 유압유의 제1 유압으로는 파쇄되지 않는 파쇄 대상물이다.
따라서 상기 압력 감지기(40)는 이종 유압 공급부(420)와 유압 실린더(310)를 연결하는 제6 유압 라인(436)을 통해 제1 유압유의 제1 유압이 유압 실린더(310)로 공급되는 상태에서, 제6 유압 라인(436)의 내부 유압을 감지하고, 감지한 유압이 사전 설정치(중장비에서 최대 제공 가능한 유압)까지 상승한 후 떨어지지 않고, 사전 설정치로 계속 유지되면, 파쇄 대상물은 제1 유압유의 제1 유압으로는 파쇄되지 않는 대상으로 판단하여, 제2 제어 신호를 이종 유압 공급부(420)로 제공하고,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한 이종 유압 공급부(420)는, 즉시,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로 공급되는 유압유를 중장비(10)에서 제공하는 제1 유압유 대신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유로 전환하여,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도록 한다.
한편,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를 이용해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면, 유압 블록(4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로 공급되도록 하는 초기 상태로의 복귀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상기 이종 유압 공급부(420)는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로 공급되도록 한 후, 제3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유압 블록(4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3 제어 신호는 파쇄 대상물의 파쇄 여부에 따라 작업자가 조정기(30)를 통해 제공하는 신호이거나, 압력 감지기(40)가 자동으로 제공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를 이용한 파쇄 작업을 통해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면, 외부에서 제공되는 제3 제어 신호에 따라 이종 유압 공급부(420)는 유압 블록(4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로 다시 공급되도록 하는 초기 상태로 복귀시킨다.
즉,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로의 제1 유압유 복귀 공급은 제3 제어 신호에 따라 수행되는데, 제3 제어 신호는 파쇄 대상물의 파쇄 여부에 따라 작업자가 조정기(30)를 통해 제공하는 신호이거나, 압력 감지기(40)가 자동으로 제공하는 신호이다.
조정기(30)를 이용해 이종 유압 공급부(420)로 제3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파워팩(20)에서 제공하는 제2 유압(300bar 이상 500bar 이하)을 이용한 파쇄 작업 중, 파쇄 대상물이 파쇄된 것으로 판단한 작업자는 조정기(30)를 통해 제3 제어 신호를 이종 유압 공급부(420)로 제공하게 되고, 제3 제어 신호를 수신한 이종 유압 공급부(420)는, 즉시,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로 공급되는 유압유를 파워팩(20)에서 제공하는 제2 유압유 대신 중장비(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유로 전환한다.
또 다른 실시예인 압력 감지기(40)를 이용해 이종 유압 공급부(420)로 제3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압력 감지기(40)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로 공급되는 상태에서 제6 유압 라인(436)의 내부 유압을 감지하고, 감지한 유압이 사전 설정치(중장비에서 최대 제공 가능한 유압)를 초과하여 상승한 후 떨어지면(예: 중장비에서 최대 제공 가능한 유압 ~ 500bar 사이 유압으로 상승한 후 떨어지면), 제3 제어 신호를 이종 유압 공급부(42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유압유를 이용한 파쇄 작업 중, 파쇄 대상물 파쇄를 위해 유압 실린더(310)로 공급되고 있는 제2 유압유의 제2 유압이 상승하다가 파쇄 대상물이 파쇄되는 순간, 유압 실린더(310)로 공급되고 있는 제2 유압유의 제2 유압이 즉시 떨어지게 된다. 이때, 파쇄 대상물 파쇄를 위한 제2 유압유의 제2 유압의 상승 범위는 파쇄 대상물별로 상이하다.
예를 들어, 파쇄 대상물별로 제2 유압유의 제2 유압은 300bar까지 상승하다가 떨어질 수도 있고, 350bar까지 상승하다가 떨어질 수도 있고, 400bar까지 상승하다가 떨어질 수도 있다. 즉, 파쇄 대상물이 단단한 암질일수록 제2 유압의 상승 범위는 커진다.
상승하던 제2 유압유의 제2 유압이 떨어진다는 것은 파쇄 대상물이 파쇄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압력 감지기(40)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로 공급되는 상태에서 제6 유압 라인(436)의 내부 유압을 감지하고, 감지한 유압이 사전 설정치(중장비에서 최대 제공 가능한 유압)를 초과하여 상승한 후, 떨어지면, 파쇄 대상물이 제2 유압유의 제2 유압으로 파쇄된 것으로 판단하여, 제3 제어 신호를 이종 유압 공급부(420)로 제공하고, 제3 제어 신호를 수신한 이종 유압 공급부(420)는, 즉시,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로 공급되는 유압유를 파워팩(20)에서 제공하는 제2 유압유 대신 중장비(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유로 전환되도록 한다.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로 공급할 유압유를 중장비(10)에서 제공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 또는 파워팩(20)에서 제공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로의 선택 전환을 위해, 본 발명의 이종 유압 공급부(420)는 유압 전환 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종 유압 공급부(420)를 유압 전환 밸브로 구성하는 경우, 유압 전환 밸브는 제2 제어 신호가 제공되면,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로 공급할 유압유가 중장비(10)에서 제공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 대신 파워팩(20)에서 제공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되도록 전환 동작하고,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로 파워팩(20)에서 제공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3 제어 신호가 제공되면,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로 공급할 유압유가 파워팩(20)에서 제공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 대신 중장비(10)에서 제공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되도록 전환 동작하는 것이다.
상기 복수의 유압 라인(430)은 유압유의 공급과 회수를 위한 구성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유압 라인(4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중장비(10)에서 유압 블록(410)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유압 블록(410)에서 중장비(10)로 회수되도록 유압 블록(410)과 중장비(10)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유압 라인(431)과,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유압 블록(410)에서 파쇄기 회전부(100)의 좌우 회전부(110)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파쇄기 회전부(100)의 좌우 회전부(110)에서 유압 블록(410)으로 회수되도록, 유압 블록(410)과 좌우 회전부(110)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유압 라인(432)과,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유압 블록(410)에서 파쇄기 회전부(100)의 경사 회전부(120)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파쇄기 회전부(100)의 경사 회전부(120)에서 유압 블록(410)으로 회수되도록, 유압 블록(410)과 경사 회전부(120)를 연결되는 한 쌍의 제3 유압 라인(433)과,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유압 블록(410)에서 실린더 회전부(200)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실린더 회전부(200)에서 유압 블록(410)으로 회수되도록, 유압 블록(410)과 실린더 회전부(200)를 연결되는 한 쌍의 제4 유압 라인(434)과,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유압 블록(410)에서 이종 유압 공급부(420)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이종 유압 공급부(420)에서 유압 블록(410)으로 회수되도록, 유압 블록(410)과 이종 유압 공급부(420)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5 유압 라인(435)과,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 또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이종 유압 공급부(420)에서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 또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에서 이종 유압 공급부(420)로 회수되도록, 이종 유압 공급부(420)와 유압 실린더(310)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6 유압 라인(436)과,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워팩(20)에서 이종 유압 공급부(420)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이종 유압 공급부(420)에서 파워팩(20)로 회수되도록 이종 유압 공급부(420)와 파워팩(20)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7 유압 라인(4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유압 라인(431)은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중장비(10)에서 유압 블록(410)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유압 블록(410)에서 중장비(10)로 회수되도록 유압 블록(410)과 중장비(10)를 연결하는 한 쌍의 구성이다.
즉, 한 쌍의 제1 유압 라인(431)을 통해,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파쇄기(300) 전체의 좌우/경사 회전과 파쇄 대상물 파쇄를 위해, 중장비(10)에서 유압 블록(410)으로 공급되고, 파쇄기(300) 전체의 좌우/경사 회전과 파쇄 대상물 파쇄를 위해 사용된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유압 블록(410)에서 중장비(10)로 회수된다.
상기 제2 유압 라인(432)은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유압 블록(410)에서 파쇄기 회전부(100)의 좌우 회전부(110)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파쇄기 회전부(100)의 좌우 회전부(110)에서 유압 블록(410)으로 회수되도록, 유압 블록(410)과 좌우 회전부(110)를 연결하는 한 쌍의 구성이다.
즉, 한 쌍의 제2 유압 라인(432)을 통해,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파쇄기(300) 전체의 좌우 회전을 위해, 유압 블록(410)에서 파쇄기 회전부(100)의 좌우 회전부(110)로 공급고, 파쇄기(300) 전체의 좌우 회전을 위해 사용된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파쇄기 회전부(100)의 좌우 회전부(110)에서 유압 블록(410)으로 회수된다.
상기 제3 유압 라인(433)은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유압 블록(410)에서 파쇄기 회전부(100)의 경사 회전부(120)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파쇄기 회전부(100)의 경사 회전부(120)에서 유압 블록(410)으로 회수되도록, 유압 블록(410)과 경사 회전부(120)를 연결되는 한 쌍의 구성이다.
즉, 한 쌍의 제3 유압 라인(433)을 통해,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파쇄기(300) 전체의 경사 회전을 위해, 유압 블록(410)에서 파쇄기 회전부(100)의 경사 회전부(120)로 공급고, 파쇄기(300) 전체의 경사 회전을 위해 사용된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파쇄기 회전부(100)의 경사 회전부(120)에서 유압 블록(410)으로 회수된다.
상기 제4 유압 라인(434)은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유압 블록(410)에서 실린더 회전부(200)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실린더 회전부(200)에서 유압 블록(410)으로 회수되도록, 유압 블록(410)과 실린더 회전부(200)를 연결되는 한 쌍의 구성이다.
즉, 한 쌍의 제4 유압 라인(434)을 통해,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유압 실린더(310) 회전을 위해 유압 블록(410)에서 실린더 회전부(200)로 공급되고, 유압 실린더(310) 회전을 위해 사용된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실린더 회전부(200)에서 유압 블록(410)으로 회수된다.
상기 제5 유압 라인(435)은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유압 블록(410)에서 이종 유압 공급부(420)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이종 유압 공급부(420)에서 유압 블록(410)으로 회수되도록, 유압 블록(410)과 이종 유압 공급부(420)를 연결하는 한 쌍의 구성이다.
즉, 한 쌍의 제5 유압 라인(435)을 통해,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파쇄 대상물 파쇄를 위해 유압 블록(410)에서 이종 유압 공급부(420)로 공급되고, 파쇄 대상물 파쇄를 위해 사용된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이종 유압 공급부(420)에서 유압 블록(410)으로 회수된다.
상기 제6 유압 라인(436)은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 또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이종 유압 공급부(420)에서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 또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에서 이종 유압 공급부(420)로 회수되도록, 이종 유압 공급부(420)와 유압 실린더(310)를 연결하는 한 쌍의 구성이다.
즉, 한 쌍의 제6 유압 라인(436)을 통해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 또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쇄 대상물 파쇄를 위해 이종 유압 공급부(420)에서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로 공급되고, 파쇄 대상물 파쇄를 위해 사용된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 또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에서 이종 유압 공급부(420)로 회수된다.
상기 제7 유압 라인(437)은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워팩(20)에서 이종 유압 공급부(420)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이종 유압 공급부(420)에서 파워팩(20)로 회수되도록 이종 유압 공급부(420)와 파워팩(20)을 연결하는 한 쌍의 구성이다.
즉, 한 쌍의 제7 유압 라인(437)을 통해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쇄 대상물 파쇄를 위해 파워팩(20)에서 이종 유압 공급부(420)로 공급되고, 파쇄 대상물 파쇄를 위해 사용된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이종 유압 공급부(420)에서 파워팩(20)로 회수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주 내에서 변형한 것까지 포함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중장비
20 : 파워팩
30 : 조정기
40 : 압력 감지기
100 : 파쇄기 회전부
200 : 실린더 회전부
300 : 파쇄기
400 : 유압 제어부

Claims (12)

  1. 외부에서 제공되는 이종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에 있어서,
    중장비(10)에 파쇄 장치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유압 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파쇄기(300) 전체가 좌우/경사 회전되도록 하는 파쇄기 회전부(100)와;
    유압 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만이 회전되도록 하는 실린더 회전부(200)와;
    파쇄기 회전부(100) 하측에 결합하고, 유압 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 또는 제2 유압유에 의한 제2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기(300)와;
    중장비(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를 파쇄기 회전부(100)와 실린더 회전부(200)로 공급하고, 중장비(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와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 중 어느 하나를 파쇄기(300)로 공급하는 유압 제어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 제어부(400)는,
    중장비(10)로부터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공급되고, 중장비(10)에서 공급된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를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파쇄기 회전부(100)의 좌우 회전부(110)와 경사 회전부(120)와 실린더 회전부(200)의 유압 모터(220)와 이종 유압 공급부(420) 중 어느 하나로 공급하고, 좌우 회전부(110)와 경사 회전부(120)와 실린더 회전부(200)와 이종 유압 공급부(420) 중 어느 하나에서 회수된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중장비(10)로 회수되도록 하는 유압 블록(410)과,
    유압 블록(4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와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 중 어느 하나가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로 공급되도록 하는 이종 유압 공급부(420)와,
    유압유의 공급과 회수를 위한 복수의 유압 라인(430)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유압 라인(430)은,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중장비(10)에서 유압 블록(410)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유압 블록(410)에서 중장비(10)로 회수되도록 유압 블록(410)과 중장비(10)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유압 라인(431)과,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유압 블록(410)에서 파쇄기 회전부(100)의 좌우 회전부(110)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파쇄기 회전부(100)의 좌우 회전부(110)에서 유압 블록(410)으로 회수되도록, 유압 블록(410)과 좌우 회전부(110)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유압 라인(432)과,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유압 블록(410)에서 파쇄기 회전부(100)의 경사 회전부(120)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파쇄기 회전부(100)의 경사 회전부(120)에서 유압 블록(410)으로 회수되도록, 유압 블록(410)과 경사 회전부(120)를 연결되는 한 쌍의 제3 유압 라인(433)과,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유압 블록(410)에서 실린더 회전부(200)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실린더 회전부(200)에서 유압 블록(410)으로 회수되도록, 유압 블록(410)과 실린더 회전부(200)를 연결되는 한 쌍의 제4 유압 라인(434)과,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유압 블록(410)에서 이종 유압 공급부(420)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이종 유압 공급부(420)에서 유압 블록(410)으로 회수되도록, 유압 블록(410)과 이종 유압 공급부(420)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5 유압 라인(435)과,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 또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이종 유압 공급부(420)에서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 또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에서 이종 유압 공급부(420)로 회수되도록, 이종 유압 공급부(420)와 유압 실린더(310)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6 유압 라인(436)과,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워팩(20)에서 이종 유압 공급부(420)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이종 유압 공급부(420)에서 파워팩(20)로 회수되도록 이종 유압 공급부(420)와 파워팩(20)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7 유압 라인(4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이종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 회전부(100)는,
    중장비(10)에 파쇄 장치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유압 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좌우 회전하여 파쇄기(300) 전체가 좌우 회전되도록 하는 좌우 회전부(110)와,
    좌우 회전부(110) 하측에 결합하고, 유압 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경사 회전하여 파쇄기(300) 전체가 경사 회전되도록 하는 경사 회전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이종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좌우 회전부(110)는,
    중장비(10)에 파쇄 장치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링크가 형성된 고정 디스크(111)와,
    고정 디스크(111) 하측에 결합하고, 유압 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에 의해 고정 디스크(111)에 대해 좌우 회전하는 회전 디스크(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이종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경사 회전부(120)는,
    하측에 파쇄기(300)가 결합하고, 좌우 회전부(110)에 힌지 결합하고, 상측 면에 유압 제어부(400)가 설치되고, 한 쌍의 유압 피스톤(122)에 의해 좌우 회전부(110)에 대해 힌지 방식 방식으로 경사 회전하는 경사 회전판(121)과,
    일측은 경사 회전판(121)에 타측은 좌우 회전부(110)의 회전 디스크(112)에 결합하고, 유압 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에 의해 피스톤 운동하여 경사 회전판(121)을 경사 회전시키는 한 쌍의 유압 피스톤(1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이종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회전부(200)는,
    유압 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를 일정 각도 회전시켜, 파쇄기(300)의 웨지 라이너(330)의 벌어짐 방향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이종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회전부(200)는,
    유압 실린더(310)를 지지하고, 유압 실린더(310)가 관통하는 실린더 관통구(211)가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 지지 바디(210)와,
    유압 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을 이용해 회전수단(230)을 회전시키는 유압 모터(220)와,
    유압 실린더(310) 외측 면에 형성된 톱니와 톱니 결합하고, 유압 모터(220)에 의해 정/역 회전하여, 유압 실린더(310)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이종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300)는,
    경사 회전판(121) 하측에 결합하고, 유압 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제1 유압유에 의한 제1 유압 또는 제2 유압유에 의한 제2 유압을 이용해 웨지(320)를 전/후진시키는 피스톤(311)이 내부에 설치된 유압 실린더(310)와,
    피스톤(311)의 전/후진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는 웨지(320)와,
    전진하는 웨지(310)에 의해 벌어져 대상물을 파쇄하는 웨지 라이너(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이종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종 유압 공급부(420)는,
    초기에는 유압 블록(4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압유가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로 공급되던 중, 제2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이종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파쇄 대상물의 파쇄 여부에 따라 작업자가 조정기(30)를 통해 제공하는 신호이거나, 압력 감지기(40)가 자동으로 제공하는 신호이고,
    상기 압력 감지기(40)는,
    이종 유압 공급부(420)와 유압 실린더(310)를 연결하는 제6 유압 라인(436)에 설치되어 제6 유압 라인(436)의 내부 유압을 감지하고, 감지한 유압이 사전 설정치(중장비에서 최대 제공 가능한 유압)까지 상승한 후 떨어지지 않고, 사전 설정치로 계속 유지되면 제2 제어 신호를 이종 유압 공급부(42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이종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종 유압 공급부(420)는,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파워팩(20)에서 공급되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로 공급되도록 한 후, 제3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유압 블록(410)에서 공급되는 제1 유압을 갖는 제1 유압유가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제3 제어 신호는,
    파쇄 대상물의 파쇄 여부에 따라 작업자가 조정기(30)를 통해 제공하는 신호이거나, 압력 감지기(40)가 자동으로 제공하는 신호이고,
    상기 압력 감지기(40)는,
    제2 유압을 갖는 제2 유압유가 파쇄기(300)의 유압 실린더(310)로 공급되는 상태에서 제6 유압 라인(436)의 내부 유압을 감지하고, 감지한 유압이 사전 설정치(중장비에서 최대 제공 가능한 유압)를 초과하여 상승한 후 떨어지면 제3 제어 신호를 이종 유압 공급부(42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이종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12. 삭제
KR1020220140608A 2022-10-27 2022-10-27 외부에서 제공되는 이종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KR102498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608A KR102498011B1 (ko) 2022-10-27 2022-10-27 외부에서 제공되는 이종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608A KR102498011B1 (ko) 2022-10-27 2022-10-27 외부에서 제공되는 이종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8011B1 true KR102498011B1 (ko) 2023-02-09

Family

ID=85224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0608A KR102498011B1 (ko) 2022-10-27 2022-10-27 외부에서 제공되는 이종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0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981B1 (ko) * 2023-03-24 2023-07-28 (주)유진엔지니어링 이종 유압과 자유면 천공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029B1 (ko) * 2002-06-28 2005-03-22 쌍용건설 주식회사 무진동 암반파쇄기용 브라켓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반굴착 방법
KR20130069286A (ko) * 2011-12-16 2013-06-26 부성테크빌드(주) 암반파쇄기 모듈
JP2014224369A (ja) * 2013-05-15 2014-12-04 株式会社クキタ 割岩装置
KR101662781B1 (ko) 2014-11-25 2016-10-05 서호덕 자체 증압이 가능한 유압실린더
KR101720880B1 (ko) 2015-12-01 2017-03-28 곽창순 유압 파워 유니트
KR101986320B1 (ko) * 2018-12-06 2019-06-05 (주)성진이엔씨 중장비에 장착 연결되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기와 이를 이용한 파쇄 굴착방법
KR102166521B1 (ko) 2017-03-20 2020-10-16 최찬희 암반파쇄기용 유압승압장치
KR102195463B1 (ko) * 2020-05-12 2020-12-28 우원개발 주식회사 무진동 암반 파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굴착 방법
KR102339389B1 (ko) * 2021-08-12 2021-12-14 (주)성진이엔씨 증압 기능을 갖는 파워팩 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029B1 (ko) * 2002-06-28 2005-03-22 쌍용건설 주식회사 무진동 암반파쇄기용 브라켓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반굴착 방법
KR20130069286A (ko) * 2011-12-16 2013-06-26 부성테크빌드(주) 암반파쇄기 모듈
JP2014224369A (ja) * 2013-05-15 2014-12-04 株式会社クキタ 割岩装置
KR101662781B1 (ko) 2014-11-25 2016-10-05 서호덕 자체 증압이 가능한 유압실린더
KR101720880B1 (ko) 2015-12-01 2017-03-28 곽창순 유압 파워 유니트
KR102166521B1 (ko) 2017-03-20 2020-10-16 최찬희 암반파쇄기용 유압승압장치
KR101986320B1 (ko) * 2018-12-06 2019-06-05 (주)성진이엔씨 중장비에 장착 연결되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기와 이를 이용한 파쇄 굴착방법
KR102195463B1 (ko) * 2020-05-12 2020-12-28 우원개발 주식회사 무진동 암반 파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굴착 방법
KR102339389B1 (ko) * 2021-08-12 2021-12-14 (주)성진이엔씨 증압 기능을 갖는 파워팩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981B1 (ko) * 2023-03-24 2023-07-28 (주)유진엔지니어링 이종 유압과 자유면 천공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75973B (zh) 具有驱动圆盘刀具的采矿机
CN104564090B (zh) 多功能巷修一体机
KR102498011B1 (ko) 외부에서 제공되는 이종 유압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CN102606177B (zh) 一种用于液压支架系统的液压支柱
CN202991028U (zh) 掘进机
CN102841030A (zh) 用于隧道掘进机刀具破岩机理模态研究的试验平台
Zhang et al. Optimization of hard roof structure over retained goaf-side gateroad by pre-split blasting technology
CN106285471A (zh) 钻爆机
KR101364791B1 (ko) 암반 파쇄기 장착유닛
KR102560981B1 (ko) 이종 유압과 자유면 천공을 이용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 장치
CN109441468B (zh) 一种盾构开挖面冲击松动与破碎装置及其工作方法
KR102339389B1 (ko) 증압 기능을 갖는 파워팩 시스템
KR101986320B1 (ko) 중장비에 장착 연결되어 대상물을 파쇄하는 파쇄기와 이를 이용한 파쇄 굴착방법
CN108952744A (zh) 一种搭载滚刀破岩的悬臂掘进机及其施工方法
Anderson Drill-split mining with radial-axial loading splitters
CN107514263A (zh) 冲击式tbm
US20240141784A1 (en) Roadway/tunnel excavation robot and automatic cutting control method
Pickering et al. Controlled foam injection: A new and innovative non-explosive rockbreaking technology
KR101424789B1 (ko) 회전 확장방식을 이용한 암반파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반파쇄공법
JP2001073662A (ja) 岩盤破砕装置
JPH11256970A (ja) 硬質岩盤掘削方法及び装置
KR102630277B1 (ko) 다중 붐 웨지 할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진동 암파쇄 공법
JPH04343993A (ja) 掘さく装置
CN215860146U (zh) 多臂多锤岩石破碎装置及掘进机
CN110185446A (zh) 通过冲击钻和切割器组合用于采矿的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