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969B1 -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패브릭 도어 - Google Patents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패브릭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969B1
KR102560969B1 KR1020220182887A KR20220182887A KR102560969B1 KR 102560969 B1 KR102560969 B1 KR 102560969B1 KR 1020220182887 A KR1020220182887 A KR 1020220182887A KR 20220182887 A KR20220182887 A KR 20220182887A KR 102560969 B1 KR102560969 B1 KR 102560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center
plate
ba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2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태
Original Assignee
(주)휴먼씨엠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먼씨엠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휴먼씨엠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20182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9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9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E06B9/362Travellers; Lamellae suspension stems
    • E06B9/364Operating mechanisms therei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6Details of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59Specific frame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측면에 수직기립된 판체인 외측판(11)이 형성되고, 외측판(11) 상하단과 좌우측단에서 각각 내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수평을 이루는 상하단면(11a,11b)과 좌우측단면(11c,11d)이 각각 형성되며, 외측판(11) 내측면 상하단부에는 좌우측단면(11c,11d)까지 수평연장되는 내측상하단지지판(11e,11f)이 각각 형성되고, 외측판(11) 내측면 좌측단부에는 내측상하단지지판(11e,11f)까지 수직연장되는 내측좌측단지지판(11g)이 형성되며, 외측판(11) 내측면 중심측 상하부에는 좌측단면(11c)에서 우측단면(11d)까지 수평연장되는 중심상하측지지판(11h,11i)이 각각 형성되고, 외측판(11)에서 내측상단지지판(11e)과 중심상측지지판(11h) 사이 좌측에는 직사각형상의 상부투명창(12)이 형성되며, 상부투명창(12) 직하부 외측판(11)의 중심하측지지판(11i)과 내측하단지지판(11f) 사이에는 직사각형상의 하부투명창(13)이 형성되고, 외측판(11) 우측 중심측에는 도어핸들설치공(11j)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상하단지지판(11e,11f)과 중심상하측지지판(11h,11i)의 전방측선단에는 중앙부부터 내측좌측단지지판(11g)까지 후방측으로 요부형성되는 슬라이딩이동요부(11ea,11fa)(11ha,11ia)가 더 형성되고, 상기 내측좌측단지지판(11g) 중심측의 중심상하측지지판(11h,11i) 사이에는 작동공(11ga)이 더 통공형성되는 도어몸틀(10); 상기 상부투명창(12)을 다 가리는 상하폭을 갖고 상기 중심상측지지판(11h)과 내측상단지지판(11e) 우측단부에 수직으로 축지지되는 회동축(22a)에 롤형상으로 감겨지는 상부마감패브릭스크린(21)이 형성되고, 중심상측지지판(11h) 저면에 고정되어 회동축(22a)에 축결합되는 상부우측감김모터(22)가 형성되며, 수직기립되어 상기 상부마감패브릭스크린(21) 선단부가 체결고정되면서 내측상단지지판(11e)과 중심상측지지판(11h)의 슬라이딩이동요부(11ea,11ha)에 수직안착되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이동되는 상부수직좌우이동바(23)가 형성되데 상부수직좌우이동바(23) 상단에는 후방측으로 수직절곡되어 내측상단지지판(11e) 상면에 안착되면서 상면 중심측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상단바(23aa)를 갖는 상단수평판(23a)이 형성되고 상부수직좌우이동바(23) 하단에는 후방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중심상측지지판(11h) 저면에 밀착되면서 저면 중심측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하단바(23ba)를 갖는 하단수평판(23b)이 형성되며, 상기 좌측단면(11c)과 내측좌측단지지판(11g) 사이 상부에 위치되어 고정되고 상하단부가 내측상단지지판(11e)과 중심상측지지판(11h)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상하부회동축(24a,24b)을 각각 갖으며 일단은 상부회동축(24a) 선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단바(23aa)에 고정되어 수평을 이루는 상부당김와이어(24aa)를 갖고 일단은 하부회동축(24b) 선단부에 고정되고 작동공(11ga)을 통해 타단은 하단바(23ba)에 고정되어 수평을 이루는 상부당김와이어(24aa)를 갖는 좌측상부상하감김모터(24)가 형성되는 상부패브릭스크린작동틀(20); 상기 하부투명창(13)을 다 가리는 상하폭을 갖고 상기 중심하측지지판(11i)과 내측하단지지판(11f) 우측단부에 수직으로 축지지되는 회동축(32a)에 롤형상으로 감겨지는 하부마감패브릭스크린(31)이 형성되고, 중심하측지지판(11i) 상면에 고정되어 회동축(32a)에 축결합되는 하부우측감김모터(32)가 형성되며, 수직기립되어 상기 하부마감패브릭스크린(31) 선단부가 체결고정되면서 중심하측지지판(11i)과 내측하단지지판(11f)의 슬라이딩이동요부(11ia,11fa)에 수직안착되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이동되는 하부수직좌우이동바(33)가 형성되데 하부수직좌우이동바(33) 상단에는 후방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중심하측지지판(11i) 상면에 안착되면서 상면 중심측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상단바(33aa)를 갖는 상단수평판(33a)이 형성되고 하부수직좌우이동바(33) 하단에는 후방측으로 수직절곡되면서 내측하단지지판(11f) 저면에 밀착되면서 저면 중심측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하단바(33ba)를 갖는 하단수평판(33b)이 형성되며, 상기 좌측단면(11c)과 내측좌측단지지판(11g) 사이 하부에 위치되어 고정되고 상하단부가 중심하측지지판(11i)과 내측하단지지판(11f)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상하부회동축(34a,34b)을 각각 갖으며 일단은 상부회동축(34a) 선단부에 고정되고 작동공(11ga)을 통해 타단은 상단바(33aa)에 고정되어 수평을 이루는 상부당김와이어(34aa)를 갖고 일단은 하부회동축(34b) 선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하단바(33ba)에 고정되어 수평을 이루는 하부당김와이어(34aa)를 갖는 좌측하부상하감김모터(34)가 형성되는 하부패브릭스크린작동틀(30); 상기 외측판(11) 내부 우측상부에 고정설치되어 일측에 충전부(42)를 갖고 내부에 제어부를 갖으며 상기 상하부우측감김모터(22,32)와 좌측상하부상하감김모터(24,34)와 각각 연결되어 닫힘시 좌측상하부상하감김모터(24,34)가 감김작동되어 상하부마감패브릭스크린(21,32)이 후방에서 상하부투명창(12,13)을 가려 실내측으로의 채광을 차단하고 열림시 상하부우측감김모터(22,32)가 감김작동되어 상하부마감패브릭스크린(21,32)이 상하부투명창(12,13) 후방에서 우측으로 이동되어 감겨짐으로 상하부투명창(12,13)을 통한 실내의 채광이 이루어지는 닫힘스위치(40)와 열림스위치(41); 및 상기 도어몸틀(10)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마감시키는 마감판으로, 상기 상하부투명창(12,13) 연장선상과 상기 상하부마감패브릭스크린(21,32)이 위치된 부위가 각각 개방된 상하측채광작동부(51,5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열림스위치(40)와 닫힘스위치(41)가 외부로 드러나는 스위치공(53)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핸들설치공(11j) 연장선상에 내측도어핸들설치공(54)이 형성되는 실내마감판(50,50a,50b,50c)를 구비하는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패브릭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좌측에 상하부투명창을 갖는 도어몸틀과 도어몸틀 상하부에 장착되어 상하부투명창을 열림스위치와 닫힘스위치에 의해 각각 개폐시키는 상하부패브릭스크린작동틀과 실내마감판을 구비하여 필요에 의해 실내에서 열림스위치와 닫힘스위치에 상하부투명창을 상하부패브릭스크린작동틀의 상하부마감패브릭스크린으로 좌우측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킴으로써 도어의 채광부위가 크게 형성되어 실내 넓은 부위의 충분한 채광이 손쉽게 이루어지고 상하부투명창을 좌우측으로 개폐시킴에 따라 적은 전력량의 충전장치로도 쉽게 작동시킬 수 있어 많은 전력량의 충전장치가 필요없으며 구조가 보다 간단하게 이루어져 고장이 염려가 적고 유지비용이 적게 소요되며 도어가 닫혀 있는 방범기능이 부여된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 자연 채광이 손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패브릭 도어{Fabric doors for apartment houses to promoting natural lighting}
본 발명은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패브릭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좌측에 상하부투명창을 갖는 도어몸틀과 도어몸틀 상하부에 장착되어 상하부투명창을 열림스위치와 닫힘스위치에 의해 각각 개폐시키는 상하부패브릭스크린작동틀과 실내마감판을 구비하여 필요에 의해 실내에서 열림스위치와 닫힘스위치에 상하부투명창을 상하부패브릭스크린작동틀의 상하부마감패브릭스크린으로 좌우측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킴으로써 도어의 채광부위가 크게 형성되어 실내 넓은 부위의 충분한 채광이 손쉽게 이루어지고 상하부투명창을 좌우측으로 개폐시킴에 따라 적은 전력량의 충전장치로도 쉽게 작동시킬 수 있어 많은 전력량의 충전장치가 필요없으며 구조가 보다 간단하게 이루어져 고장이 염려가 적고 유지비용이 적게 소요되며 도어가 닫혀 있는 방범기능이 부여된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 자연 채광이 손쉽게 이루어지는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패브릭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서 채광이란 실내공간에 창문을 설치하여 태양광을 받아들이는 것을 말한다. 채광 방식으로는 통상적으로 창문을 통해 태양광을 직접 받아 들이는 직접 채광 방식과 반사판을 통해 태양광을 간접적으로 받아들이는 간접 채광 방식이 있다.
직접 채광 방식은 태양광의 입사공간이 적어 실내공간으로의 자연채광이 적게 들어오는 문제점이 있고, 종래의 간접 채광 방식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자연채광이라고 하면 창문을 통하여 채광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통상적인 건축물의 도어는 채광을 위한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채광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 구성으로 생각되어 오고 있었다. 따라서 도어를 통한 채광은 생각지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채광을 원한다면 건축물의 도어를 열어 놓는 방법밖에 없었다.
그러나, 겨울철 등 외기의 온도가 낮을 경우, 실내의 온기가 외부로 유출되므로 장시간 도어를 열어 놓아 채광하는 것은 열손실면에서 큰 문제가 있다.
이에, 근자에 들어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등록 제10-0990930호(2010.11.01. 공고)와 같이, 자연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 구조가 제안된바 있는데, 이러한 건축물 도어는 편광판을 회전시키면 편광판의 편광 정도에 따라 빛이 차단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인바, 정밀한 편광판을 이용하여야 하므로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수직 상태를 정확히 맞추어 설치하는 것이 힘들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는 단순히 채광을 목적으로 하는 것인바, 환기가 필요시 역시 도어를 개방하여야 함으로 이 또한 겨울철 상당한 열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내부에 공간부(130)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사각 형태의 채광홀(140)이 형성되며, 공간부(130)에서 채광홀(140)의 상부와 하부에는 대항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다수의 반구형 가이드홈(151)이 연속 형성된 상,하부 가이더(150)(150')가 형성된 도어(100); 각각의 가이드홈(151)에 배열되는 수직형 와이어(211)와, 와이어(211)의 중간부에서 상부에 형성되며 가이드홈(151)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되어 채광홀(140)을 선택 개폐하는 원형봉 형태의 불투명봉(212)과, 와이어(211)의 중간부에서 불투명봉(212)의 하부로 이격형성되며 가이드홈(151)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되어 채광홀(140)을 선택 개폐하는 원형봉 형태의 투명봉(213)으로 된 다수의 채광봉 유닛(210)으로 된 채광유닛(200); 공간부(130)의 상부 및 하부에서 각각의 채광봉 유닛(210)의 와이어(211) 상단 및 하단이 연결되어 와이어(211)를 권취 및 권해하여 채광봉 유닛(210)의 불투명봉(212)과 투명봉(213)이 상,하 승강되어 채광홀(14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단속하는 권해수단(300); 및 도어(100)의 실내측에 형성되며, 권해수단(300)의 작동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10)와, 권해수단(300)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420)로 된 컨트롤러(4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 채광 및 통풍 구조를 갖는 건축물 도어."가 특허등록 제10-594842호(2016.02.17. 공고)로 개시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자연 채광 및 통풍 구조를 갖는 건축물 도어는, 도어가 닫혀 있는 방범기능이 부여된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간단한 조작으로 자연 채광이 가능한 반면에, 도어(100) 중앙의 채광홀(140)을 통해서만 채광유닛(200)에 의해 채광이 이루어짐에 채광부위가 너무 작고 한정적이라 충분한 실내의 채광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권해수단(300)이 상하부로 승하강되는 구조이므로 이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많은 부하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많은 전력량을 필요로 하여 큰 용량의 충전장치가 필요해 유지비용이 많이 추가되는 구조적이고 비용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KR)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90930호(2010.11.01. 공고) (KR)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594842호(2016.02.17.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좌측에 상하부투명창을 갖는 도어몸틀과 도어몸틀 상하부에 장착되어 상하부투명창을 열림스위치와 닫힘스위치에 의해 각각 개폐시키는 상하부패브릭스크린작동틀과 실내마감판을 구비하여 필요에 의해 실내에서 열림스위치와 닫힘스위치에 상하부투명창을 상하부패브릭스크린작동틀의 상하부마감패브릭스크린으로 좌우측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킴으로써 도어의 채광부위가 크게 형성되어 실내 넓은 부위의 충분한 채광이 손쉽게 이루어지고 상하부투명창을 좌우측으로 개폐시킴에 따라 적은 전력량의 충전장치로도 쉽게 작동시킬 수 있어 많은 전력량의 충전장치가 필요없으며 구조가 보다 간단하게 이루어져 고장이 염려가 적고 유지비용이 적게 소요되며 도어가 닫혀 있는 방범기능이 부여된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 자연 채광이 손쉽게 이루어지는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패브릭 도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측면에 수직기립된 판체인 외측판(11)이 형성되고, 외측판(11) 상하단과 좌우측단에서 각각 내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수평을 이루는 상하단면(11a,11b)과 좌우측단면(11c,11d)이 각각 형성되며, 외측판(11) 내측면 상하단부에는 좌우측단면(11c,11d)까지 수평연장되는 내측상하단지지판(11e,11f)이 각각 형성되고, 외측판(11) 내측면 좌측단부에는 내측상하단지지판(11e,11f)까지 수직연장되는 내측좌측단지지판(11g)이 형성되며, 외측판(11) 내측면 중심측 상하부에는 좌측단면(11c)에서 우측단면(11d)까지 수평연장되는 중심상하측지지판(11h,11i)이 각각 형성되고, 외측판(11)에서 내측상단지지판(11e)과 중심상측지지판(11h) 사이 좌측에는 직사각형상의 상부투명창(12)이 형성되며, 상부투명창(12) 직하부 외측판(11)의 중심하측지지판(11i)과 내측하단지지판(11f) 사이에는 직사각형상의 하부투명창(13)이 형성되고, 외측판(11) 우측 중심측에는 도어핸들설치공(11j)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상하단지지판(11e,11f)과 중심상하측지지판(11h,11i)의 전방측선단에는 중앙부부터 내측좌측단지지판(11g)까지 후방측으로 요부형성되는 슬라이딩이동요부(11ea,11fa)(11ha,11ia)가 더 형성되고, 상기 내측좌측단지지판(11g) 중심측의 중심상하측지지판(11h,11i) 사이에는 작동공(11ga)이 더 통공형성되는 도어몸틀(10);
상기 상부투명창(12)을 다 가리는 상하폭을 갖고 상기 중심상측지지판(11h)과 내측상단지지판(11e) 우측단부에 수직으로 축지지되는 회동축(22a)에 롤형상으로 감겨지는 상부마감패브릭스크린(21)이 형성되고, 중심상측지지판(11h) 저면에 고정되어 회동축(22a)에 축결합되는 상부우측감김모터(22)가 형성되며, 수직기립되어 상기 상부마감패브릭스크린(21) 선단부가 체결고정되면서 내측상단지지판(11e)과 중심상측지지판(11h)의 슬라이딩이동요부(11ea,11ha)에 수직안착되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이동되는 상부수직좌우이동바(23)가 형성되데 상부수직좌우이동바(23) 상단에는 후방측으로 수직절곡되어 내측상단지지판(11e) 상면에 안착되면서 상면 중심측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상단바(23aa)를 갖는 상단수평판(23a)이 형성되고 상부수직좌우이동바(23) 하단에는 후방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중심상측지지판(11h) 저면에 밀착되면서 저면 중심측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하단바(23ba)를 갖는 하단수평판(23b)이 형성되며, 상기 좌측단면(11c)과 내측좌측단지지판(11g) 사이 상부에 위치되어 고정되고 상하단부가 내측상단지지판(11e)과 중심상측지지판(11h)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상하부회동축(24a,24b)을 각각 갖으며 일단은 상부회동축(24a) 선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단바(23aa)에 고정되어 수평을 이루는 상부당김와이어(24aa)를 갖고 일단은 하부회동축(24b) 선단부에 고정되고 작동공(11ga)을 통해 타단은 하단바(23ba)에 고정되어 수평을 이루는 상부당김와이어(24aa)를 갖는 좌측상부상하감김모터(24)가 형성되는 상부패브릭스크린작동틀(20);
상기 하부투명창(13)을 다 가리는 상하폭을 갖고 상기 중심하측지지판(11i)과 내측하단지지판(11f) 우측단부에 수직으로 축지지되는 회동축(32a)에 롤형상으로 감겨지는 하부마감패브릭스크린(31)이 형성되고, 중심하측지지판(11i) 상면에 고정되어 회동축(32a)에 축결합되는 하부우측감김모터(32)가 형성되며, 수직기립되어 상기 하부마감패브릭스크린(31) 선단부가 체결고정되면서 중심하측지지판(11i)과 내측하단지지판(11f)의 슬라이딩이동요부(11ia,11fa)에 수직안착되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이동되는 하부수직좌우이동바(33)가 형성되데 하부수직좌우이동바(33) 상단에는 후방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중심하측지지판(11i) 상면에 안착되면서 상면 중심측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상단바(33aa)를 갖는 상단수평판(33a)이 형성되고 하부수직좌우이동바(33) 하단에는 후방측으로 수직절곡되면서 내측하단지지판(11f) 저면에 밀착되면서 저면 중심측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하단바(33ba)를 갖는 하단수평판(33b)이 형성되며, 상기 좌측단면(11c)과 내측좌측단지지판(11g) 사이 하부에 위치되어 고정되고 상하단부가 중심하측지지판(11i)과 내측하단지지판(11f)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상하부회동축(34a,34b)을 각각 갖으며 일단은 상부회동축(34a) 선단부에 고정되고 작동공(11ga)을 통해 타단은 상단바(33aa)에 고정되어 수평을 이루는 상부당김와이어(34aa)를 갖고 일단은 하부회동축(34b) 선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하단바(33ba)에 고정되어 수평을 이루는 하부당김와이어(34aa)를 갖는 좌측하부상하감김모터(34)가 형성되는 하부패브릭스크린작동틀(30);
상기 외측판(11) 내부 우측상부에 고정설치되어 일측에 충전부(42)를 갖고 내부에 제어부를 갖으며 상기 상하부우측감김모터(22,32)와 좌측상하부상하감김모터(24,34)와 각각 연결되어 닫힘시 좌측상하부상하감김모터(24,34)가 감김작동되어 상하부마감패브릭스크린(21,32)이 후방에서 상하부투명창(12,13)을 가려 실내측으로의 채광을 차단하고 열림시 상하부우측감김모터(22,32)가 감김작동되어 상하부마감패브릭스크린(21,32)이 상하부투명창(12,13) 후방에서 우측으로 이동되어 감겨짐으로 상하부투명창(12,13)을 통한 실내의 채광이 이루어지는 닫힘스위치(40)와 열림스위치(41); 및
상기 도어몸틀(10)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마감시키는 마감판으로, 상기 상하부투명창(12,13) 연장선상과 상기 상하부마감패브릭스크린(21,32)이 위치된 부위가 각각 개방된 상하측채광작동부(51,5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열림스위치(40)와 닫힘스위치(41)가 외부로 드러나는 스위치공(53)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핸들설치공(11j) 연장선상에 내측도어핸들설치공(54)이 형성되는 실내마감판(50,50a,50b,50c)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좌측에 상하부투명창을 갖는 도어몸틀과 도어몸틀 상하부에 장착되어 상하부투명창을 열림스위치와 닫힘스위치에 의해 각각 개폐시키는 상하부패브릭스크린작동틀과 실내마감판을 구비하여 필요에 의해 실내에서 열림스위치와 닫힘스위치에 상하부투명창을 상하부패브릭스크린작동틀의 상하부마감패브릭스크린으로 좌우측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킴으로써 도어의 채광부위가 크게 형성되어 실내 넓은 부위의 충분한 채광이 손쉽게 이루어지고 상하부투명창을 좌우측으로 개폐시킴에 따라 적은 전력량의 충전장치로도 쉽게 작동시킬 수 있어 많은 전력량의 충전장치가 필요없으며 구조가 보다 간단하게 이루어져 고장이 염려가 적고 유지비용이 적게 소요되며 도어가 닫혀 있는 방범기능이 부여된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 자연 채광이 손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패브릭 도어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패브릭 도어의 시공후 실내 채광시 모습을 내부에서 본 사용상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패브릭 도어의 시공후 실내 채광시 모습을 외부에서 본 사용상태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패브릭 도어의 시공후 창문 폐쇄시 모습을 내부에서 본 사용상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패브릭 도어의 시공후 창문 폐쇄시 모습을 외부에서 본 사용상태 배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 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패브릭 도어(1)는, 도어몸틀(10)과, 상부패브릭스크린작동틀(20)과, 하부패브릭스크린작동틀(30)과, 닫힘스위치(40) 및 열림스위치(41)와, 실내마감판(50,50a,50b,50c)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몸틀(10)은, 외측면에 수직기립된 판체인 외측판(11)이 형성되고, 외측판(11) 상하단과 좌우측단에서 각각 내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수평을 이루는 상하단면(11a,11b)과 좌우측단면(11c,11d)이 각각 형성되며, 외측판(11) 내측면 상하단부에는 좌우측단면(11c,11d)까지 수평연장되는 내측상하단지지판(11e,11f)이 각각 형성되고, 외측판(11) 내측면 좌측단부에는 내측상하단지지판(11e,11f)까지 수직연장되는 내측좌측단지지판(11g)이 형성되며, 외측판(11) 내측면 중심측 상하부에는 좌측단면(11c)에서 우측단면(11d)까지 수평연장되는 중심상하측지지판(11h,11i)이 각각 형성되고, 외측판(11)에서 내측상단지지판(11e)과 중심상측지지판(11h) 사이 좌측에는 직사각형상의 상부투명창(12)이 형성되며, 상부투명창(12) 직하부 외측판(11)의 중심하측지지판(11i)과 내측하단지지판(11f) 사이에는 직사각형상의 하부투명창(13)이 형성되고, 외측판(11) 우측 중심측에는 도어핸들설치공(11j)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상하단지지판(11e,11f)과 중심상하측지지판(11h,11i)의 전방측선단에는 중앙부부터 내측좌측단지지판(11g)까지 후방측으로 요부형성되는 슬라이딩이동요부(11ea,11fa)(11ha,11ia)가 더 형성되고, 상기 내측좌측단지지판(11g) 중심측의 중심상하측지지판(11h,11i) 사이에는 작동공(11ga)이 더 통공형성된다.
상기 상부패브릭스크린작동틀(20)은, 상기 상부투명창(12)을 다 가리는 상하폭을 갖고 상기 중심상측지지판(11h)과 내측상단지지판(11e) 우측단부에 수직으로 축지지되는 회동축(22a)에 롤형상으로 감겨지는 상부마감패브릭스크린(21)이 형성되고, 중심상측지지판(11h) 저면에 고정되어 회동축(22a)에 축결합되는 상부우측감김모터(22)가 형성되며, 수직기립되어 상기 상부마감패브릭스크린(21) 선단부가 체결고정되면서 내측상단지지판(11e)과 중심상측지지판(11h)의 슬라이딩이동요부(11ea,11ha)에 수직안착되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이동되는 상부수직좌우이동바(23)가 형성되데 상부수직좌우이동바(23) 상단에는 후방측으로 수직절곡되어 내측상단지지판(11e) 상면에 안착되면서 상면 중심측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상단바(23aa)를 갖는 상단수평판(23a)이 형성되고 상부수직좌우이동바(23) 하단에는 후방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중심상측지지판(11h) 저면에 밀착되면서 저면 중심측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하단바(23ba)를 갖는 하단수평판(23b)이 형성되며, 상기 좌측단면(11c)과 내측좌측단지지판(11g) 사이 상부에 위치되어 고정되고 상하단부가 내측상단지지판(11e)과 중심상측지지판(11h)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상하부회동축(24a,24b)을 각각 갖으며 일단은 상부회동축(24a) 선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단바(23aa)에 고정되어 수평을 이루는 상부당김와이어(24aa)를 갖고 일단은 하부회동축(24b) 선단부에 고정되고 작동공(11ga)을 통해 타단은 하단바(23ba)에 고정되어 수평을 이루는 상부당김와이어(24aa)를 갖는 좌측상부상하감김모터(24)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패브릭스크린작동틀(30)은, 상기 하부투명창(13)을 다 가리는 상하폭을 갖고 상기 중심하측지지판(11i)과 내측하단지지판(11f) 우측단부에 수직으로 축지지되는 회동축(32a)에 롤형상으로 감겨지는 하부마감패브릭스크린(31)이 형성되고, 중심하측지지판(11i) 상면에 고정되어 회동축(32a)에 축결합되는 하부우측감김모터(32)가 형성되며, 수직기립되어 상기 하부마감패브릭스크린(31) 선단부가 체결고정되면서 중심하측지지판(11i)과 내측하단지지판(11f)의 슬라이딩이동요부(11ia,11fa)에 수직안착되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이동되는 하부수직좌우이동바(33)가 형성되데 하부수직좌우이동바(33) 상단에는 후방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중심하측지지판(11i) 상면에 안착되면서 상면 중심측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상단바(33aa)를 갖는 상단수평판(33a)이 형성되고 하부수직좌우이동바(33) 하단에는 후방측으로 수직절곡되면서 내측하단지지판(11f) 저면에 밀착되면서 저면 중심측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하단바(33ba)를 갖는 하단수평판(33b)이 형성되며, 상기 좌측단면(11c)과 내측좌측단지지판(11g) 사이 하부에 위치되어 고정되고 상하단부가 중심하측지지판(11i)과 내측하단지지판(11f)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상하부회동축(34a,34b)을 각각 갖으며 일단은 상부회동축(34a) 선단부에 고정되고 작동공(11ga)을 통해 타단은 상단바(33aa)에 고정되어 수평을 이루는 상부당김와이어(34aa)를 갖고 일단은 하부회동축(34b) 선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하단바(33ba)에 고정되어 수평을 이루는 하부당김와이어(34aa)를 갖는 좌측하부상하감김모터(34)가 형성된다.
상기 닫힘스위치(40) 및 열림스위치(41)는, 상기 외측판(11) 내부 우측상부에 고정설치되어 일측에 충전부(42)를 갖고 내부에 제어부를 갖으며 상기 상하부우측감김모터(22,32)와 좌측상하부상하감김모터(24,34)와 각각 연결되어 닫힘시 좌측상하부상하감김모터(24,34)가 감김작동되어 상하부마감패브릭스크린(21,32)이 후방에서 상하부투명창(12,13)을 가려 실내측으로의 채광을 차단하고 열림시 상하부우측감김모터(22,32)가 감김작동되어 상하부마감패브릭스크린(21,32)이 상하부투명창(12,13) 후방에서 우측으로 이동되어 감겨짐으로 상하부투명창(12,13)을 통한 실내의 채광이 이루어진다.
상기 실내마감판(50,50a,50b,50c)은, 상기 도어몸틀(10)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마감시키는 마감판으로, 상기 상하부투명창(12,13) 연장선상과 상기 상하부마감패브릭스크린(21,32)이 위치된 부위가 각각 개방된 상하측채광작동부(51,5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열림스위치(40)와 닫힘스위치(41)가 외부로 드러나는 스위치공(53)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핸들설치공(11j) 연장선상에 내측도어핸들설치공(5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좌측에 상하부투명창(12,13)을 갖는 도어몸틀(10)과, 도어몸틀(10) 상하부에 장착되어 상하부투명창(12,13)을 열림스위치(40)와 닫힘스위치(41)에 의해 각각 개폐시키는 상하부패브릭스크린작동틀(20,30)과, 실내마감판(50,50a,50b,50c)을 구비하여, 필요에 의해 실내에서 열림스위치(40)와 닫힘스위치(41)에 상하부투명창(12,13)을 상하부패브릭스크린작동틀(20,30)의 상하부마감패브릭스크린(21,31)으로 좌우측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킴으로써, 패브릭 도어(1)의 채광부위가 상하로 크게 형성되어 실내 넓은 부위의 충분한 채광이 손쉽게 이루어지고, 상하부투명창(12,13)을 상하부패브릭스크린작동틀(20,30)에 의해 좌우측으로 개폐시킴에 따라 적은 전력량의 충전장치로도 쉽게 작동시킬 수 있어 많은 전력량의 충전장치가 필요없으며, 구조가 보다 간단하게 이루어져 고장이 염려가 적고 유지비용이 적게 소요되며, 패브릭 도어(1)가 닫혀 있어 방범기능이 부여된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 자연 채광이 손쉽게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패브릭 도어
10 : 도어몸틀
20 : 상부패브릭스크린작동틀
30 : 하부패브릭스크린작동틀
40 : 열림스위치
41 : 닫힘스위치
50,50a,50b,50c : 실내마감판

Claims (1)

  1. 외측면에 수직기립된 판체인 외측판(11)이 형성되고, 외측판(11) 상하단과 좌우측단에서 각각 내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수평을 이루는 상하단면(11a,11b)과 좌우측단면(11c,11d)이 각각 형성되며, 외측판(11) 내측면 상하단부에는 좌우측단면(11c,11d)까지 수평연장되는 내측상하단지지판(11e,11f)이 각각 형성되고, 외측판(11) 내측면 좌측단부에는 내측상하단지지판(11e,11f)까지 수직연장되는 내측좌측단지지판(11g)이 형성되며, 외측판(11) 내측면 중심측 상하부에는 좌측단면(11c)에서 우측단면(11d)까지 수평연장되는 중심상하측지지판(11h,11i)이 각각 형성되고, 외측판(11)에서 내측상단지지판(11e)과 중심상측지지판(11h) 사이 좌측에는 직사각형상의 상부투명창(12)이 형성되며, 상부투명창(12) 직하부 외측판(11)의 중심하측지지판(11i)과 내측하단지지판(11f) 사이에는 직사각형상의 하부투명창(13)이 형성되고, 외측판(11) 우측 중심측에는 도어핸들설치공(11j)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상하단지지판(11e,11f)과 중심상하측지지판(11h,11i)의 전방측선단에는 중앙부부터 내측좌측단지지판(11g)까지 후방측으로 요부형성되는 슬라이딩이동요부(11ea,11fa)(11ha,11ia)가 더 형성되고, 상기 내측좌측단지지판(11g) 중심측의 중심상하측지지판(11h,11i) 사이에는 작동공(11ga)이 더 통공형성되는 도어몸틀(10);
    상기 상부투명창(12)을 다 가리는 상하폭을 갖고 상기 중심상측지지판(11h)과 내측상단지지판(11e) 우측단부에 수직으로 축지지되는 회동축(22a)에 롤형상으로 감겨지는 상부마감패브릭스크린(21)이 형성되고, 중심상측지지판(11h) 저면에 고정되어 회동축(22a)에 축결합되는 상부우측감김모터(22)가 형성되며, 수직기립되어 상기 상부마감패브릭스크린(21) 선단부가 체결고정되면서 내측상단지지판(11e)과 중심상측지지판(11h)의 슬라이딩이동요부(11ea,11ha)에 수직안착되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이동되는 상부수직좌우이동바(23)가 형성되데 상부수직좌우이동바(23) 상단에는 후방측으로 수직절곡되어 내측상단지지판(11e) 상면에 안착되면서 상면 중심측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상단바(23aa)를 갖는 상단수평판(23a)이 형성되고 상부수직좌우이동바(23) 하단에는 후방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중심상측지지판(11h) 저면에 밀착되면서 저면 중심측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하단바(23ba)를 갖는 하단수평판(23b)이 형성되며, 상기 좌측단면(11c)과 내측좌측단지지판(11g) 사이 상부에 위치되어 고정되고 상하단부가 내측상단지지판(11e)과 중심상측지지판(11h)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상하부회동축(24a,24b)을 각각 갖으며 일단은 상부회동축(24a) 선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단바(23aa)에 고정되어 수평을 이루는 상부당김와이어(24aa)를 갖고 일단은 하부회동축(24b) 선단부에 고정되고 작동공(11ga)을 통해 타단은 하단바(23ba)에 고정되어 수평을 이루는 상부당김와이어(24aa)를 갖는 좌측상부상하감김모터(24)가 형성되는 상부패브릭스크린작동틀(20);
    상기 하부투명창(13)을 다 가리는 상하폭을 갖고 상기 중심하측지지판(11i)과 내측하단지지판(11f) 우측단부에 수직으로 축지지되는 회동축(32a)에 롤형상으로 감겨지는 하부마감패브릭스크린(31)이 형성되고, 중심하측지지판(11i) 상면에 고정되어 회동축(32a)에 축결합되는 하부우측감김모터(32)가 형성되며, 수직기립되어 상기 하부마감패브릭스크린(31) 선단부가 체결고정되면서 중심하측지지판(11i)과 내측하단지지판(11f)의 슬라이딩이동요부(11ia,11fa)에 수직안착되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이동되는 하부수직좌우이동바(33)가 형성되데 하부수직좌우이동바(33) 상단에는 후방측으로 수직절곡되어 중심하측지지판(11i) 상면에 안착되면서 상면 중심측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상단바(33aa)를 갖는 상단수평판(33a)이 형성되고 하부수직좌우이동바(33) 하단에는 후방측으로 수직절곡되면서 내측하단지지판(11f) 저면에 밀착되면서 저면 중심측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하단바(33ba)를 갖는 하단수평판(33b)이 형성되며, 상기 좌측단면(11c)과 내측좌측단지지판(11g) 사이 하부에 위치되어 고정되고 상하단부가 중심하측지지판(11i)과 내측하단지지판(11f)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상하부회동축(34a,34b)을 각각 갖으며 일단은 상부회동축(34a) 선단부에 고정되고 작동공(11ga)을 통해 타단은 상단바(33aa)에 고정되어 수평을 이루는 상부당김와이어(34aa)를 갖고 일단은 하부회동축(34b) 선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하단바(33ba)에 고정되어 수평을 이루는 하부당김와이어(34aa)를 갖는 좌측하부상하감김모터(34)가 형성되는 하부패브릭스크린작동틀(30);
    상기 외측판(11) 내부 우측상부에 고정설치되어 일측에 충전부(42)를 갖고 내부에 제어부를 갖으며 상기 상하부우측감김모터(22,32)와 좌측상하부상하감김모터(24,34)와 각각 연결되어 닫힘시 좌측상하부상하감김모터(24,34)가 감김작동되어 상하부마감패브릭스크린(21,32)이 후방에서 상하부투명창(12,13)을 가려 실내측으로의 채광을 차단하고 열림시 상하부우측감김모터(22,32)가 감김작동되어 상하부마감패브릭스크린(21,32)이 상하부투명창(12,13) 후방에서 우측으로 이동되어 감겨짐으로 상하부투명창(12,13)을 통한 실내의 채광이 이루어지는 닫힘스위치(41)와 열림스위치(40); 및
    상기 도어몸틀(10)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마감시키는 마감판으로, 상기 상하부투명창(12,13) 연장선상과 상기 상하부마감패브릭스크린(21,32)이 위치된 부위가 각각 개방된 상하측채광작동부(51,5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열림스위치(40)와 닫힘스위치(41)가 외부로 드러나는 스위치공(53)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핸들설치공(11j) 연장선상에 내측도어핸들설치공(54)이 형성되는 실내마감판(50,50a,50b,50c)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패브릭 도어.
KR1020220182887A 2022-12-23 2022-12-23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패브릭 도어 KR102560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2887A KR102560969B1 (ko) 2022-12-23 2022-12-23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패브릭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2887A KR102560969B1 (ko) 2022-12-23 2022-12-23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패브릭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0969B1 true KR102560969B1 (ko) 2023-07-28

Family

ID=87427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2887A KR102560969B1 (ko) 2022-12-23 2022-12-23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패브릭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96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842B1 (ko) 2004-05-12 2006-06-30 한국원자력연구소 격벽을 구비하는 격납건물 연료 재장전수 탱크
KR20060111755A (ko) * 2005-04-25 2006-10-30 태승산업 주식회사 도어용 커튼
KR100659018B1 (ko) * 2006-09-29 2006-12-21 주식회사 티아이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도어의 자연채광장치
KR100990930B1 (ko) 2010-08-26 2010-11-01 (주)성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자연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 구조
KR101693796B1 (ko) * 2016-06-29 2017-01-06 (주)해동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842B1 (ko) 2004-05-12 2006-06-30 한국원자력연구소 격벽을 구비하는 격납건물 연료 재장전수 탱크
KR20060111755A (ko) * 2005-04-25 2006-10-30 태승산업 주식회사 도어용 커튼
KR100659018B1 (ko) * 2006-09-29 2006-12-21 주식회사 티아이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도어의 자연채광장치
KR100990930B1 (ko) 2010-08-26 2010-11-01 (주)성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자연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 구조
KR101693796B1 (ko) * 2016-06-29 2017-01-06 (주)해동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6331B1 (ko) 의류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93796B1 (ko)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KR102068117B1 (ko) 루버 시스템
KR102560969B1 (ko)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패브릭 도어
CN108514315A (zh) 一种智能窗帘
CN108236331A (zh) 一种可自动遮阳的智能窗帘
KR101855483B1 (ko) 건축용 실내전실 보조도어
KR101069558B1 (ko) 상,하방향 개폐가능한 도어를 갖는 벽부형 진열장
KR20090019388A (ko) 개폐식 지붕 채광 창
KR101550274B1 (ko)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KR200479415Y1 (ko) 배전반
JP6184095B2 (ja) 住宅内外の中間領域創出構造
KR101923600B1 (ko)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폴딩도어
KR101370396B1 (ko) 통풍과 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현관문
KR101975708B1 (ko) 루버시스템의 자동개폐장치
KR102503928B1 (ko) 자연채광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도어
KR100326649B1 (ko) 차양 기능을 갖는 다용도 방범창문
JP2012180638A (ja) 昼光利用ブラインド
KR101594842B1 (ko) 자연 채광 및 통풍 구조를 갖는 건축물 도어
KR200481678Y1 (ko) 수평전개방식의 전동창호
KR101252724B1 (ko)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투입구가 형성된 건축물의 도어
WO2001077472A1 (en) Window assembly
JPH0734130Y2 (ja) 換気口付窓装置
KR101231684B1 (ko) 절곡형 루버 손잡이
KR200176175Y1 (ko) 차양 기능을 갖는 다용도 방범창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