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483B1 - 건축용 실내전실 보조도어 - Google Patents

건축용 실내전실 보조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483B1
KR101855483B1 KR1020170119684A KR20170119684A KR101855483B1 KR 101855483 B1 KR101855483 B1 KR 101855483B1 KR 1020170119684 A KR1020170119684 A KR 1020170119684A KR 20170119684 A KR20170119684 A KR 20170119684A KR 101855483 B1 KR101855483 B1 KR 101855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xtension
main
extended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영
Original Assignee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70119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4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03Door leaves consisting of several adjacent similar elements, e.g. planks, without outer covering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11Door leaves with easily replaceable or interchangeable panels
    • E06B2003/7013Door leaves with easily replaceable or interchangeable panels put in place through a slot in the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출입구에서 이격되어 실내측에서 실내전실을 개폐하는 보조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건축용 실내전실 보조도어는 출입문에서 이격되어 실내전실을 개폐하는 건축용 실내전실 보조도어에 있어서, 상기 실내전실의 둘레에 설치되는 문틀, 상기 문틀의 상부에 설치되어 문틀의 상부를 밀폐하는 상단패널, 상기 문틀의 측단에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도어, 상기 메인도어가 실내전실을 개방하는 폭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메인도어의 측단에 상호 끼워져 설치되는 복수 개의 연장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도어의 일측단에 형성되는 연장걸침홈, 상기 연장도어의 타측단에 형성되어 인접한 연장도어의 상기 연장걸침홈에 걸쳐져 상호 결합하는 연장후크부, 상기 메인도어의 힌지가 연결되는 반대방향의 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연장도어의 상기 연장후크부가 걸쳐져 연결되는 메인걸침홈, 상기 메인도어가 힌지에 의해 결합되는 문틀의 반대방향에 위치되는 문틀에 형성되어 상기 연장도어를 좌,우 반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장도어를 문틀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연장후크부가 걸쳐지는 틀걸침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용 실내전실 보조도어{A Indoor interior room door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물의 출입구에서 이격되어 실내측에서 실내전실을 개폐하는 보조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에는 출입하는 현관문으로 들어오면 신발을 벗기 위한 전실이 위치되고, 전실에는 신발을 보관할 수 있는 신발장 등이 설치된다.
한편, 전실은 외부와 통하는 현관문과 바로 연통되어 실내를 냉난방 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거나, 냉난방된 내기가 외부로 유출되면서 냉난방의 효율을 하락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전실에 보조도어를 설치하여 현관문의 출입시 내기의 유출 및 외기의 유출을 최소화시켜 냉난방효율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건축용 실내 전실 보조도어는 한국등록특허 제10-0997729호(2010.12.1.공고)에 개시된 바가 있다.
종래의 건축용 실내 전실 보조도어는 사각틀체 형상으로 내측에 형성된 단턱부를 기준으로 현관도어설치홈과 보조도어설치홈으로 구획되며, 상기 보조도어설치홈의 상면과 바닥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양측벽에는 제1 차단날개가 부착고정되며, 상기 보조도어설치홈의 일측벽에 설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의 내측에 압축스프링이 삽입되어 그 일단이 설치공의 내벽에 고정되며, 상기 보조도어설치홈의 타측 상하부에 상기 가이드홈과 연통을 이루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의 상부 내면에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의 내측에 가이드롤러가 힌지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설치홈과 가이드홀 사이에 연결홈이 형성된 문틀프레임; 상기 문틀프레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현관도어설치홈에 삽입 되어 일단이 상기 문틀프레임과 힌지연결된 현관도어; 상기 설치홈에 상하단부가 삽입되어 힌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권취드럼이 구비된 권취롤러; 상기 보조도어설치홈을 개폐하여 소음 및 냉온기의 유출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권취롤러에 고정되어 권취롤러에 감기고, 타측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자유단을 이루며, 타측 단부에 연장돌출핀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돌출핀의 상하단부에 가로바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가로바 중 상부에 위치한 가로바에는 상기 압축스프링의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가로바의 양단부에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회전롤러가 구비된 개폐스크린; 상기 현관도어의 전면에 설치고정되며, 내측에 설치공간과 이와 연통을 이루는 개구공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간에 회동조절레버를 갖는 나선축이 힌지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나선축에 와이어홀을 갖는 이송구가 축결합되고, 상기 와이어홀의 인접한 일측에 상기 와이어홀의 내부로 돌출되는 고정나사가 체결된 장력조절장치 및 상기 현관도어의 개폐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권취롤러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와이어홀에 삽입되어 고정나사에 의해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가이드롤러와 권취드럼에 감김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가로바에 묶음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건축용 실내 전실 보조도어는 현관문와 연동되어 개폐스크린이 연동하여 동작함으로써, 소음 및 냉,온기의 유출입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건축용 실내 전실 보조도어는 실내 전실을 전체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실내의 냉난방 시 실내전실로 냉난방된 공기가 유출되어 냉난방의 효율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내 전실을 개폐하는 보조도어를 필요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경하여 냉난방효율의 하락됨을 방지함과 동시에 출입이 용이한 건축용 실내전실 보조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건축용 실내전실 보조도어는 출입문에서 이격되어 실내전실을 개폐하는 건축용 실내전실 보조도어에 있어서, 상기 실내전실의 둘레에 설치되는 문틀, 상기 문틀의 상부에 설치되어 문틀의 상부를 밀폐하는 상단패널, 상기 문틀의 측단에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도어, 상기 메인도어가 실내전실을 개방하는 폭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메인도어의 측단에 상호 끼워져 설치되는 복수 개의 연장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도어의 일측단에 형성되는 연장걸침홈, 상기 연장도어의 타측단에 형성되어 인접한 연장도어의 상기 연장걸침홈에 걸쳐져 상호 결합하는 연장후크부, 상기 메인도어의 힌지가 연결되는 반대방향의 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연장도어의 상기 연장후크부가 걸쳐져 연결되는 메인걸침홈, 상기 메인도어가 힌지에 의해 결합되는 문틀의 반대방향에 위치되는 문틀에 형성되어 상기 연장도어를 좌,우 반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장도어를 문틀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연장후크부가 걸쳐지는 틀걸침홈을 포함한다.
상기 상단패널의 내부에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문틀에 상기 연장도어의 결합 시 상기 상단패널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연장도어의 상단을 지지하는 도어고정브래킷, 상기 도어고정브래킷을 상기 상단패널의 상부에서 탄성력에 의해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브래킷실린더, 및 상기 도어고정브래킷이 상기 상단패널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고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걸침홈 또는 상기 연장걸침홈에 끼워지는 도어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손잡이는 상기 메인걸침홈 또는 상기 연장걸침홈에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된 체결판부, 상기 체결판부의 양단에서 상기 체결판부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도어손잡이가 결합되는 상기 메인도어 또는 연장도어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판부, 및 상기 지지판부의 각각에서 돌출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도어에 연장도어를 탈착시켜 메인도어의 폭을 가변적으로 변경함으로써, 냉난방시에는 개방도를 최소화시키고, 평시에는 출입이 용이하도록 실내전실의 개방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메인도어에서 분리되는 연장도어를 문틀에 고정시켜 분리도니 연장도어의 보관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며, 연장도어를 메인도어에 끼우는 형태로 고정하여 메인도어에 연장도어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또한, 상부패널에는 문틀에 결합되는 연장도어를 지지하는 도어고정브래킷이 설치되어 문틀에 연장도어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손잡이가 연장도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변되는 메인도어의 크기에 따라 도어 손잡이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연장도어에는 표시조명이 설치되어 메인도어와 연결되어 연동하는 연장도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실내전실 보조도어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실내전실 보조도어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실내전실 보조도어의 메인도어와 연장도어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a)는 끼워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실내전실 보조도어의 상부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실내전실 보조도어의 상부패널에 설치된 도어고정브래킷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 4의 A-A를 절단한 측단면도로서, (a)는 도어고정브래킷이 연장도어를 고정하기 전의 상태, (b)는 도어고정브래킷이 연장도어를 고정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실내전실 보조도어의 도어손잡이를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실내전실 보조도어의 연장도어를 다양한 형태로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건축용 실내전실 보조도어(100)는 출입문을 통해 실내로 진입할 때, 신발을 벗거나 신기 위해 형성되는 실내전실에서 실내측에 설치되어 출입문과 함께 실내전실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실내전실 보조도어(100)는 문틀(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문틀(110)은 실내전실의 실내측의 둘레에 설치되어 하기에 설명될 메인도어(130)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문틀(110)은 바닥을 제외한 실내전실의 둘레에 설치될 수 있으며, 실내전실의 양측에 위치되는 측면틀(113), 측면틀(113)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틀(1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실내전실의 양측에 위치되는 측면틀(113) 중 어느 하나의 측면틀(113)에는 메인도어(1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117)가 설치될 수 있으며, 힌지(117)는 메인도어(130)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측면틀(113) 중 힌지(117)가 설치된 측면틀(113)과는 반대방향에 위치되는 측면틀(113)에는 측면틀(113)의 상하로 복수 개의 틀걸침홈(115)이 형성될 수 있으며, 틀걸침홈(115)은 하기에 설명될 메인도어(130)의 메인후크부 또는 연장도어(140)의 연장후크부(141)가 걸쳐질 수 있도록 메인후크부 또는 연장후크부(141)와 대응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틀걸침홈(115)은 연장도어(140)의 연장후크부(141)가 걸쳐질 경우, 연장도어(140)의 하단이 실내의 바닥에 밀착되도록 측면틀(113)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틀걸침홈(115)은 하기에 설명될 연장후크부(141)보다 더 큰 둘레를 갖는 후크헤드(143)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틀걸침홈(115)의 하부로는 틀걸침홈(115)으로 삽입된 후크헤드(143)가 하부로 이동 시 측면틀(113)에 걸쳐지도록 틀걸침홈(115)의 둘레보다는 작은 둘레를 갖는 틀연장홈(116)이 하향 연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도 2,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실내전실 보조도어(100)는 상부패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상부패널(120)은 메인도어(130)의 높이에 따라 상부틀(111)과 메인도어(130)의 사이 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한편, 상부패널(120)은 내부가 빈 형상으로 문틀(1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부패널(120)에서 메인도어(130)가 위치되지 않는 나머지 부분에는 도어고정브래킷(121)이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어고정브래킷(121)은 하기에 설명될 연장도어(140)가 측면틀(113)에 결합되었을 때, 각 연장도어(140)가 고정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 마다 설치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연장도어(140)가 설치되므로 연장도어(140)가 위치되는 부분에 두 개의 도어고정브래킷(121)을 설치하였다.
한편, 도어고정브래킷(121)은 연장도어(140)의 상단에 끼워져 상부패널(120)에 연장도어(14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양측단이 하부로 절곡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패널(120)에는 연장도어(140)의 고정 시 상부패널(120)의 하부로 도어고정브래킷(121)이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어 연장도어(140)의 상부에 끼워지도록 도어고정브래킷(121)을 탄성력에 의해 돌출시키는 브래킷실린더(123)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브래킷실린더(123)은 하우징 내부에 피스톤이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는 피스톤의 끝단에 도어고정브래킷(121)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패널(120)에는 도어고정브래킷(121)이 브래킷실린더(123)의 피스톤을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강제적으로 상부패널(120)의 내부로 삽입한 상태에서 도어고정브래킷(121)이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지 않도록 상부패널(120)을 관통하여 도어고정브래킷(121)의 하단을 지지하는 스토퍼(125)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스토퍼(125)은 상부패널(120)의 하부를 관통하여 나사체결되도록 볼트로 구현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상부패널(120)은 측면틀(113)에 연장도어(140)가 결합되는 경우, 연장도(140)는 바닥에 밀착되기 때문에 상부패널(120)과 연장도어(140)의 상단의 사이 공간이 이격된다.
이 부분을 밀폐하기 위해 측면틀(113)에 결합된 연장도어(140)이 위치된 상부패널(120)의 부분에서 스토퍼(125)을 제거하면, 브래킷실린더(123)의 피스톤이 탄성력에 의해 도어고정브래킷(121)을 상부패널(120)의 하부로 밀어내고, 도어고정브래킷(121)은 연장도어(140)의 상단부분에 끼워져 연장도어(140)를 문틀에서 견고히 지지한다.
한편, 도어고정브래킷(121)에는 조명자석(127)이 설치되어 하기에 설명될 연장도어(140)의 상단부분에 도어고정브래킷(121)이 끼워지면, 자력에 의해 표시조명(160)의 전원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실내전실 보조도어(100)는 메인도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메인도어(130)는 실내전실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으며, 메인도어(130)는 문틀(110)에 힌지(11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실내전실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한편, 메인도어(130)는 사각의 프레임(130a)과 프레임(130a)의 내주에는 유리판(130b)이 끼워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도어(130)의 폭은 측면틀(113)의 사이를 일부 밀폐할 수 있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메인도어(130)는 측면틀(113)의 사이를 세 개로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 중 어느 한 부분의 밀폐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하였다.
그리고, 메인도어(130)의 양측단 중 힌지(117)가 결합되는 측단과는 반대방향에 위치되는 측단에는 메인걸침홈(135)이 상하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메인걸침홈(135)은 하기의 연장도어(140)에 형성된 연장후크부(141)가 삽입되어 걸쳐질 수 있으며, 메인걸침홈(135)은 연장후크부(141)의 끝단에 연장후크부(141)의 둘레보다 더 큰 둘레로 형성되는 후크헤드(143)가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걸침홈(135)은 메인걸침홈(135)과 연통되어 메인걸침홈(135)의 둘레보다 작은 메인연장홈(136)이 형성되어 연장후크부(141)가 메인걸침홈(135)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연장도어(140)의 자중에 의해 하부로 이동시 메인연장홈(136)에 후크헤드(143)가 걸쳐져 메인도어(130)에서 연장도어(14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메인연장홈(136)에 후크헤드(143)가 자중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여 삽입된 상태일 때, 메인도어(130)의 상단과 연장도어(140)의 상단이 일치될 수 있다.
또한, 메인도어(130)에는 메인도어(130)를 개방 시 자동으로 실내전실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문틀(110)에서 도어클로저(door closer)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실내전실 보조도어(100)는 연장도어(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연장도어(140)는 측면틀(113)의 사이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메인도어(130)의 나머지 개방된 부분을 메인도어(130) 또는 문틀(11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거나, 둘 모두에 결합되어 실내전실을 밀폐할 수 있다.
예컨대, 연장도어(140)는 메인도어(130)를 연장시킬 경우에는 메인도어(130)에 결합되고, 메인도어(130)에 결합되지 않을 경우, 측면틀(113)에 결합되어 메인도어(130)가 밀폐하지 못하는 나머지 부분을 연장도어(140)가 밀폐하거나, 하나는 메인도어(130)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측면틀(113)에 결합되어 메인도어(130)가 밀폐하지 못하는 나머지 부분을 밀폐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연장도어(140)를 메인도어(130)의 폭과 동일하도록 형성하여 측면틀(113)의 사이에 세개로 분할된 부분을 두 개의 연장도어(140)와 하나의 메인도어(130)가 밀폐하도록 연장도어(140)의 폭을 설정하여 형성하였다.
한편, 연장도어(140)는 메인도어(130)와 마찬가지로 상하로 긴 직사각형의 프레임(140a)의 중앙부분에 유리판(140b)이 끼워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도어(140)의 일측단에는 메인걸침홈(135) 또는 문틀(110)에 형성되는 틀걸침홈(115)에 끼워지는 연장후크부(14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도어(140)의 타측단에는 인접한 연장도어(140)의 연장후크부(141)가 걸쳐지는 연장걸침홈(145)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장걸침홈(145)은 메인걸침홈(135)과 마찬가지로 연장후크부(141)의 둘레보다 크게 형성되는 후크헤드(143)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연장걸침홈(145)에는 연장걸침홈(145)의 둘레보다 작은 둘레를 갖는 하부연장홈(146)이 하향 연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걸침홈(145)은 연장후크부(141)와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연장후크부(141)는 연장도어(140)의 일측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후크부(141)의 끝단에는 하향 절곡되어 연장후크부(141)의 둘레보다 큰 둘레를 갖는 후크헤드(143)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후크헤드(143)는 연장후크부(141)의 둘레보다 큰 둘레를 갖기 때문에 메인도어(130)에 형성되는 메인연장홈(136) 또는 연장도어(140)의 하부연장홈(146) 또는 틀걸침홈(115)의 틀연장홈(116)에 걸쳐져 메인도어(130) 또는 연장도어(140) 또는 측면틀(113)에 걸쳐져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후크헤드(143)의 내측 즉 후크헤드(143)와 연장도어(140)의 측단이 마주하는 부분에는 탄성편(144)이 돌출되어 연장후크부(141)가 메인걸침홈(135), 또는 연장걸침홈(145), 또는 틀걸침홈(115)에 끼워질 때, 연장도어(140)의 측면과 결합되는 메인도어(130)의 측면 또는 연장도어(140)의 측면 또는 측면틀(113)의 측면으로 연장도어(140)를 탄성편(144)의 탄성력에 의해 밀어 상호 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실내전실 보조도어(100)는 도어손잡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도어손잡이(150)는 메인도어(130) 또는 메인도어(130)의 끝단에 결합된 연장도어(140)에 결합되어 메인도어(13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도어손잡이(150)는 메인도어(130)의 메인걸침홈(135) 또는 연장도어(140)의 연장걸침홈(145)에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부(153)가 형성되는 체결판부(15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판부(151)의 양단에서 체결판부(151)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도어손잡이(150)가 끼워지는 메인도어(130) 또는 연장도어(140)의 양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판부(1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체결판부(151)에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15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도어손잡이(150)는 메인도어(130)의 메인걸침홈(135) 또는 연장도어(140)에 형성된 연장걸침홈(145)과 마주하는 부분에 체결판부(151)가 위치된 상태에서 끼움부(153)가 연장걸침홈(145) 또는 메인걸침홈(135)에 끼워지고 지지판부(155)의 사이에 메인도어(130) 또는 연장도어(140)가 껴지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어손잡이(150)는 메인도어(130) 또는 연장도어(14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메인도어(130)에 연장도어(140)가 결합 또는 분리될 때마다 가장 끝단에 위치되는 메인도어(130) 또는 연장도어(140)에 도어손잡이(150)를 탈착시켜 부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실내전실 보조도어(100)는 표시조명(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표시조명(160)은 메인도어(130)와 연장도어(140)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메인도어(130)와 연장도어(140)의 인테리어적인 미감을 부여하는 동시에 메인도어(130)에 연결된 연장도어(140)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표시조명(160)은 메인도어(130)와 연장도어(140)의 상부에 연장도어(140)을 관통하여 연장도어(140)의 양측으로 빛을 발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조명(160)은 연장도어(140) 또는 메인도어(130)의 내부에 복수 개의 LED(163)이 연장도어(140)의 폭 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으며, 표시조명(160)은 LED(163)의 빛이 점광원 형태가 아니라 확산되어 보이도록 LED(163)를 중심으로 양측면에 확산판(161)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표시조명(160)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내장된 배터리(161)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으며, 배터리(161)은 교체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조명(160)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점등 후 꺼질 수 있도록 타이머를 내장할 수 있으며, 표시조명(160)은 강제적으로 전원을 차단하여 작동을 정지시키는 마그네틱스위치(165)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마그네틱스위치(165)는 연장도어(140)에만 설치될 수 있으며, 마그네틱스위치(165)는 문틀(110)에 하향되어 도어고정브래킷(121)에 설치된 조명자석(127)과 대응되는 연장도어(140)의 부분에 설치되어 도어고정브래킷(121)이 연장도어(140)를 고정하기 위해 상단에 끼워진 상태에서 조명자석(127)의 자력이 마그네틱스위치(165)로 전달되어 표시조명(160)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표시조명(160)은 꺼진 상태에서 인체를 감지하여 작동시키는 신체감지센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신체감지센서는 열 또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조명(160)은 출입문을 통해 사람이 들어오는 경우, 신체감지센서(163)가 작동하여 표시조명(160)을 켜 표시조명(160)에 따라 메인도어(130)에 연결된 연장도어(140)를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문틀(110)에 연장도어(140)가 결합된 경우에는 도어고정브래킷(121)의 조명자석(127)이 마그네틱스위치(165)에 자력을 가해 측면틀(113)에 결합된 연장도어(140)에 설치된 표시조명(160)은 전원을 차단하고, 메인도어(130)와 가동되는 연장도어(140)의 표시조명(160)만 빛을 발산함으로써, 가동되는 도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표시조명(160)은 신체를 감지하여 실내전실에 사람이 진입하는 경우에만 작동하고, 타이머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에는 전원을 차단하기 때문에 전원의 소비를 최소화하여 배터리 교체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실내전실 보조도어(100)는 실내전실의 실내측 둘레에 문틀(110)이 설치되고, 문틀(110)의 상부에는 메인도어(130)와 상부틀(111)의 사이 공간을 밀폐하는 상부패널(12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부패널(120)의 내부에는 도어고정브래킷(121)이 브래킷스프링(125)의 탄성력에 의해 삽입된 상태에서 스토퍼(127)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이때, 도어고정브래킷(121)은 연장도어(140)의 설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상부패널(12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부패널(120)의 내부에 도어고정브래킷(121)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도어고정브래킷(121)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상부패널(120)의 하단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밀폐캡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문틀(110)의 일측에는 메인도어(130)가 힌지(11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힌지(117)가 결합되는 반대방향에 위치되는 메인도어(130)의 측단에는 메인걸침홈(135)이 형성된다.
또한, 연장도어(140)의 일측단에는 연장걸침홈(145)이 형성되며, 연장도어(140)의 타측단에는 메인도어(130)에 연장도어(140)를 걸쳐 연장시키기 위한 연장후크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실내전실 보조도어(100)는 메인도어(130)에 의해 실내전실을 개방하는 폭에 따라 연장도어(140)를 설치하여 메인도어(130)의 폭을 가변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물건을 실내로 반입하기 위해 메인도어(130)의 회전에 따라 실내전실을 모두 개방하도록 구성할 경우에는 메인도어(130)의 힌지(117)가 결합되는 반대방향의 타측단에 형성된 메인걸침홈(135)에 연장도어(140)의 연장후크부(141)를 끼워 고정한다.
그리고, 메인도어(130)에 연결된 연장도어(140)의 타측단에 형성된 연장걸침홈(145)에 다른 연장도어(140)의 연장후크부(141)를 끼워 고정하고, 메인도어(130)에서 가장 멀리 위치한 연장도어(140)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연장걸침홈(145)에 도어손잡이(150)의 끼움부(153)를 끼워 고정한다.
이렇게 메인도어(130)에 두 개의 연장도어(140)가 함께 결합되어 도어손잡이(150)를 통해 메인도어(130)를 회전시키면, 메인도어(130)에 연결된 두 개의 연장도어(140)가 모두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실내전실을 모두 개방할 수 있다.
반면,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름이나 겨울철 냉난방을 수행할 때에는 실내전실로의 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메인도어(130)의 회전시 메인도어(130)만 개방하도록 메인도어(130)를 가변할 때에는 메인도어(130)에 결합된 연장도어(140)를 상부로 들어올려 연장후크부(141)를 메인걸침홈(135)에서 분리하는 형태로 분리한다.
그리고, 메인도어(130)에서 분리된 연장도어(140)를 좌,우 반전시켜 측면틀(113)에 형성된 틀걸침홈(115)에 연장도어(140)의 연장후크부(141)를 끼우고, 연장도어(140)가 상부패널(12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스토퍼(127)에 의해 고정된 도어고정브래킷(121)의 고정을 해제한다.
한편, 도어고정브래킷(121)이 고정이 해제되면 도어고정브래킷(121)은 브래킷스프링(125)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패널(120)에서 하향 이동되어 상부패널(120)의 하부에 위치된느 연장도어(140)에 끼워짐으로써, 연장도어(140)를 상부패널(120)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도어손잡이(150)는 메인도어(130)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메인걸침홈(135)에 끼움부(153)를 끼우는 형태로 설치한다.
이와 같이, 측면틀(113)에 두 개의 연장도어(140)가 연결되면, 도어손잡이(150)를 잡고 메인도어(130)의 회전 시 메인도어(130)만 회전함으로써, 실내전실의 개방을 최소화시켜 냉난방에 따른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도어(130)의 개방을 일반적으로 수행할 때에는 메인도어(130)에 하나의 연장도어(140)만 연결할 연장후크부(141)를 메인도어(130)의 메인걸침홈(135)에 끼우고, 측면틀(113)의 틀걸침홈(115)에는 좌,우 반전된 상태의 다른 연장도어(140)의 연장후크부(141)를 끼운다.
그리고, 상부패널(120)의 스토퍼(125)에 의해 고정된 도어고정브래킷(121)의 고정을 해제하여 브래킷실린더(123)의 탄성력에 탄성력에 의해 도어고정브래킷(121)이 하향 이동하여 하부에 위치된 연장도어(140)의 상단에 끼워지는 형태로 연장도어(140)를 상부패널(120)에 견고히 고정시킨다.
그리고, 메인도어(130)에 결합된 연장도어(140)의 연장걸침홈(145)에 도어손잡이(150)의 끼움부(153)를 끼워 고정한다.
이렇게 하나의 연장도어(140)는 측면틀(113)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연장도어(140)는 메인도어(130)에 설치되어 도어손잡이(150)를 잡고 메인도어(130)의 회전 시 냉난방을 수행할 때보다는 넓은 폭으로 실내전실을 개방할 수 있다.
한편, 메인도어(130)에 두 개의 연장도어(140)가 모두 결합된 상태에서 메인도어(130) 및 연장도어(140)의 양측면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도색되어 메인도어(130)에 연결된 연장도어(140)와 문틀(110)에 좌,우 반전되어 결합되는 연장도어(140)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출입구를 통해 실내전실로 사람이 진입하는 경우, 표시조명(160)의 신체감지센서가 감지하여 메인도어(130) 및 메인도어(130)에 연결된 연장도어(140)에 설치된 표시조명을 켜 실내전실을 밝히는 동시에 메인도어(130)에 연결된 연장도어(140)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때, 문틀(110)에 고정되는 연장도어(140)는 도어고정브래킷(121)에 설치된 표시자석(127)의 자력에 의해 표시조명(160)의 마그네틱스위치(165)를 작동시켜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고정된 연장도어(140)과 메인도어(130)에 연결되어 메인도어(130)과 함께 가동되는 연장도어(140)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실내전실 보조도어(100)는 필요에 따라 메인도어(130)에 연장도어(140)를 분리하거나, 결합하는 형태로 메인도어(130)의 폭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분리된 연장도어(140)는 측면틀(113)에 고정설치되기 때문에 분리된 연장도어(140)를 별도 보관할 필요가 없다.
또한, 측면틀(113)에 설치되는 연장도어(140)는 상부패널(120)에 설치된 도어고정브래킷(121)에 끼워져 문틀(110)에 연장도어(140)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인도어(130)와 연장도어(140)는 양면이 서로 다른 색으로 도색되거나, 메인도어(130)에 연장도어(140)가 연결될 때에만 작동하는 표시조명이 설치되어 메인도어(130)에 연결된 연장도어(140)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메인도어(130)를 개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건축용 실내전실 보조도어 110: 문틀
111: 상부틀 113: 측면틀
115: 틀걸침홈 116: 틀연장홈
117: 힌지 120: 상부패널
121: 도어고정브래킷 123: 브래킷실린더
125: 스토퍼 127: 조명자석
130: 메인도어 130a,140a: 프레임
130b,140b: 유리판 135: 메인걸침홈
136: 메인연장홈 140: 연장도어
141: 연장후크부 143: 후크헤드
144: 탄성편 145: 연장걸침홈
146: 하부연장홈 150: 도어손잡이
151: 체결판부 153: 끼움부
155: 지지판부 157: 손잡이부
160: 표시조명 161: 확산판
163: LED 165: 마그네틱스위치

Claims (3)

  1. 출입문에서 이격되어 실내전실을 개폐하는 건축용 실내전실 보조도어에 있어서,
    상기 실내전실의 둘레에 설치되는 문틀,
    상기 문틀의 상부에 설치되어 문틀의 상부를 밀폐하는 상단패널,
    상기 문틀의 측단에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도어,
    상기 메인도어가 실내전실을 개방하는 폭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메인도어의 측단에 상호 끼워져 설치되는 복수 개의 연장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도어의 일측단에 형성되는 연장걸침홈,
    상기 연장도어의 타측단에 형성되어 인접한 연장도어의 상기 연장걸침홈에 걸쳐져 상호 결합하는 연장후크부,
    상기 메인도어의 힌지가 연결되는 반대방향의 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연장도어의 상기 연장후크부가 걸쳐져 연결되는 메인걸침홈,
    상기 메인도어가 힌지에 의해 결합되는 문틀의 반대방향에 위치되는 문틀에 형성되어 상기 연장도어를 좌,우 반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장도어를 문틀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연장후크부가 걸쳐지는 틀걸침홈을 포함하고,
    상기 상단패널의 내부에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문틀에 상기 연장도어의 결합 시 상기 상단패널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연장도어의 상단을 지지하는 도어고정브래킷,
    상기 도어고정브래킷을 상기 상단패널의 상부에서 탄성력에 의해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브래킷실린더, 및
    상기 도어고정브래킷이 상기 상단패널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고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실내전실 보조도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걸침홈 또는 상기 연장걸침홈에 끼워지는 도어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손잡이는 상기 메인걸침홈 또는 상기 연장걸침홈에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된 체결판부,
    상기 체결판부의 양단에서 상기 체결판부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도어손잡이가 결합되는 상기 메인도어 또는 연장도어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판부, 및
    상기 지지판부의 각각에서 돌출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실내전실 보조도어.
KR1020170119684A 2017-09-18 2017-09-18 건축용 실내전실 보조도어 KR101855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684A KR101855483B1 (ko) 2017-09-18 2017-09-18 건축용 실내전실 보조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684A KR101855483B1 (ko) 2017-09-18 2017-09-18 건축용 실내전실 보조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5483B1 true KR101855483B1 (ko) 2018-05-04

Family

ID=62199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684A KR101855483B1 (ko) 2017-09-18 2017-09-18 건축용 실내전실 보조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4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119B1 (ko) * 2019-09-24 2020-01-07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냉난방 효율과 방범기능을 증대시켜 줄 수 있는 공동주택용 현관 보조 도어
CN115419346A (zh) * 2022-10-08 2022-12-02 山东霞光集团有限公司 一种便调校遮光双移门及其制作方法
KR20230055878A (ko) * 2021-10-19 2023-04-26 정영호 미닫이문의 손잡이 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3443A (ja) * 2003-10-06 2005-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KR200412562Y1 (ko) 2006-01-20 2006-03-28 고경탁 현관문
KR100867416B1 (ko) * 2007-08-09 2008-11-06 홍종택 폭과 높이조절이 용이한 여닫이식 도어
JP5872987B2 (ja) 2012-09-11 2016-03-01 大建工業株式会社 複動式の開閉ドア
KR101749140B1 (ko) 2016-07-04 2017-06-21 경원스프링주식회사 접철식 방화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3443A (ja) * 2003-10-06 2005-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KR200412562Y1 (ko) 2006-01-20 2006-03-28 고경탁 현관문
KR100867416B1 (ko) * 2007-08-09 2008-11-06 홍종택 폭과 높이조절이 용이한 여닫이식 도어
JP5872987B2 (ja) 2012-09-11 2016-03-01 大建工業株式会社 複動式の開閉ドア
KR101749140B1 (ko) 2016-07-04 2017-06-21 경원스프링주식회사 접철식 방화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119B1 (ko) * 2019-09-24 2020-01-07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냉난방 효율과 방범기능을 증대시켜 줄 수 있는 공동주택용 현관 보조 도어
KR20230055878A (ko) * 2021-10-19 2023-04-26 정영호 미닫이문의 손잡이 조립체
KR102583649B1 (ko) * 2021-10-19 2023-09-27 정영호 미닫이문의 손잡이 조립체
CN115419346A (zh) * 2022-10-08 2022-12-02 山东霞光集团有限公司 一种便调校遮光双移门及其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5483B1 (ko) 건축용 실내전실 보조도어
KR100773155B1 (ko) 더블창짝을 구비한 창호시스템
KR20180033637A (ko) 욕실용 건조부스
US4896713A (en) Drive unit for a vertical blind or the like and vertical blind utilizing same
KR101693796B1 (ko)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KR101871475B1 (ko) 건축용 실내 전실 보조도어
KR20120029740A (ko) 조명 창호
KR101397187B1 (ko) 창문 자동 닫힘장치
KR930011295B1 (ko)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실내 조명장치
BR112019015033A2 (pt) Janela deslizante, instalação de automação residencial e método para o controle
KR101923600B1 (ko)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폴딩도어
KR101550274B1 (ko)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KR102214692B1 (ko) 자연 채광과 환기를 선택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CN205641770U (zh) 冰箱及冰箱门
KR20080004754A (ko)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발코니 도어
TW202217136A (zh) 拉門裝置及感測器單元
KR102141534B1 (ko) 공동주택용 복도 계단부에 설치되는 안전창문
US3533671A (en) Wardrobe having illuminated mirrors
EP1801341A1 (en) Entrance arrangement for an entrance opening of a building, entrance module and building provided with such arrangement or module
KR101370396B1 (ko) 통풍과 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현관문
JP2022175603A (ja) 引戸装置
KR101008357B1 (ko) 친자연 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도어
KR102053119B1 (ko) 냉난방 효율과 방범기능을 증대시켜 줄 수 있는 공동주택용 현관 보조 도어
KR102560969B1 (ko)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패브릭 도어
JP6861909B2 (ja) 照明ユニットを有する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