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692B1 - 자연 채광과 환기를 선택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 Google Patents

자연 채광과 환기를 선택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692B1
KR102214692B1 KR1020200133465A KR20200133465A KR102214692B1 KR 102214692 B1 KR102214692 B1 KR 102214692B1 KR 1020200133465 A KR1020200133465 A KR 1020200133465A KR 20200133465 A KR20200133465 A KR 20200133465A KR 102214692 B1 KR102214692 B1 KR 102214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door
spring
ventilation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복
Original Assignee
(주)부산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부산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부산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00133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6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0Peep-holes; Devices for speaking through; Doors having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5Sectional doors
    • E06B3/486Sectional doors with hinges being at least partially integral part of the section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2007/026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with air flow between p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7Electrically powered illu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출입구 문틀에 고정되어 출입구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출입 손잡이가 구비되는 직사각형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그 양측에 마련되며, 방범살이 형성된 좌우 환기창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중앙부 외측면에 두께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되게 형성되는 폴딩홈으로 구성됨을 포함하되, 상기 폴딩홈의 양측면은 외향으로 확개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며, 폴딩홈의 중앙에는 투명강화유리가 마련된 것을 더 포함하는 메인도어; 상기 메인도어의 외측면에 적층되게 설치되어 상기 좌우 환기창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으로, 좌측 폴딩도어와 우측 폴딩도어가 힌지 결합되어 이 힌지 결합된 경계부위가 폴딩되되, 상기 폴딩부위에는 상기 투명강화유리를 관통하여 메인도어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폴딩 손잡이가 마련되어, 상기 폴딩 손잡이를 잡아당김에 따라 상기 좌측 폴딩도어와 우측 폴딩도어의 폴딩부위가 상기 폴딩홈에 요입되어 좌측 및 우측 경사면에 각각 밀착됨에 따라 상기 경사면의 경사각도 만큼 V자 형태로 폴딩되어 상기 좌우 환기창을 개방하는 폴딩도어; 및 상기 메인도어의 도어프레임 상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채, 상기 폴딩도어를 폴딩할 때는 탄성 압축되고, 언폴딩시에는 인장되면서 폴딩도어를 폴딩 이전 상태로 복원시켜주는 탄성부재;로 구성됨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케이스와; 상기 스프링케이스의 개방된 상부에 덮힘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덮개와; 상기 스프링케이스에 내장된 채 스프링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압축 및 인장이 가능한 상태인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외향단에 배치되는 스프링 압축블록;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프링 압축블록은 상기 좌,우측 폴딩도어의 상하단에 형성된 채 상기 장공을 관통하는 가이드 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좌,우측 폴딩도어의 폴딩시에는 가이드 돌기의 이동에 따라 스프링 압축블록이 동방향으로 함께 이동되면서 코일스프링을 압축하고, 상기 좌,우측 폴딩도어의 언폴딩시에는 가이드 돌기의 역방향 이동에 따라 스프링 압축블록이 동방향으로 함께 이동됨으로써 코일스프링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인장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폴딩홈의 적어도 일측 경사면에는 엘이디 램프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도어의 중앙부 내측에는 사용자가 근접했을 때 상기 엘이디 램프를 자동으로 점등하여 주는 근접스위치가 설치되어, 엘이디 램프가 점등됨에 따라 투명강화유리를 통해 램프의 빛이 투광되도록 한 것을 더 포함하는 자연 채광과 환기를 선택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현관)도어의 환기창을 필요에 따라서 손쉽게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음으로 인해 짧은 시간 동안에도 실내로 유입되는 태양광이나 외부 공기의 실내 유입량을 높일 수 있어 겨울철 실내공간의 온도를 충분히 높이거나 실내의 공기를 충분히 환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연 채광과 환기를 선택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Doors for apartment houses with natural light and ventilation options}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도어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메인도어에 환기창을 형성하고, V자 형상으로 폴딩되는 폴딩도어에 의해 환기창을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환기 및 채광을 가능케 한 자연 채광과 환기를 선택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채광이란 실내공간에 창문을 설치하여 빛을 받아들이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채광 방식으로는 창문을 통해 빛을 직접 받아들이는 직접 채광 방식과 반사판을 통해 빛을 간접적으로 받아들이는 간접 채광 방식이 있다.
상기 직접 채광 방식은 빛의 입사공간이 적어 실내공간으로의 자연채광이 적은 문제점이 있고, 종래의 간접 채광 방식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서는 창문을 통해 자연채광을 도모하고 있으나, 주택의 면적에 비해 창문이 차지하는 비율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자연채광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공동주택의 도어는 사람의 출입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벽면 개구부에 힌지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종래 공동주택의 도어는 아무런 채광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상기 도어를 통한 채광은 생각지도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으며, 채광을 원한다면 상기 도어를 열어 놓는 방법 밖에 없는 것이다.
이런 종래 도어를 이용한 자연채광방법은 여름철 각종 벌레들이 실내로 유입될 뿐만 아니라, 겨울철과 같이 외부기온이 낮을 경우에는 차가운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어 난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등록특허공보 제10-1693796호(2017.1.2 등록) 2. 등록특허공보 제10-1923600호(2018.11.23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메인도어에 환기창을 형성하고, V자 형상으로 폴딩되는 폴딩도어에 의해 환기창을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환기 및 채광을 가능케할 수 있는 자연 채광과 환기를 선택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출입구 문틀에 고정되어 출입구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출입 손잡이가 구비되는 직사각형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그 양측에 마련되며, 방범살이 형성된 좌우 환기창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중앙부 외측면에 두께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되게 형성되는 폴딩홈으로 구성됨을 포함하되, 상기 폴딩홈의 양측면은 외향으로 확개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며, 폴딩홈의 중앙에는 투명강화유리가 마련된 것을 더 포함하는 메인도어; 상기 메인도어의 외측면에 적층되게 설치되어 상기 좌우 환기창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으로, 좌측 폴딩도어와 우측 폴딩도어가 힌지 결합되어 이 힌지 결합된 경계부위가 폴딩되되, 상기 폴딩부위에는 상기 투명강화유리를 관통하여 메인도어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폴딩 손잡이가 마련되어, 상기 폴딩 손잡이를 잡아당김에 따라 상기 좌측 폴딩도어와 우측 폴딩도어의 폴딩부위가 상기 폴딩홈에 요입되어 좌측 및 우측 경사면에 각각 밀착됨에 따라 상기 경사면의 경사각도 만큼 V자 형태로 폴딩되어 상기 좌우 환기창을 개방하는 폴딩도어; 및
상기 메인도어의 도어프레임 상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채, 상기 폴딩도어를 폴딩할 때는 탄성 압축되고, 언폴딩시에는 인장력에 의해 되면서 폴딩도어의 폴딩 이전 상태로 복원시켜주는 탄성부재;로 구성됨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케이스와; 상기 스프링케이스의 개방된 상부에 덮힘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덮개와; 상기 스프링케이스에 내장된 채 스프링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압축 및 인장이 가능한 상태인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외향단에 배치되는 스프링 압축블록;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프링 압축블록은 상기 좌,우측 폴딩도어의 상하단에 형성된 채 상기 장공을 관통하는 가이드 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좌,우측 폴딩도어의 폴딩시에는 가이드 돌기의 이동에 따라 스프링 압축블록이 동방향으로 함께 이동되면서 코일스프링을 압축하고, 상기 좌,우측 폴딩도어의 언폴딩시에는 가이드 돌기의 역방향 이동에 따라 스프링 압축블록이 동방향으로 함께 이동되면서 코일스프링을 인장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폴딩홈의 적어도 일측 경사면에는 엘이디 램프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도어의 중앙부 내측에는 사용자가 근접했을 때 상기 엘이디 램프를 자동으로 점등하여 주는 근접스위치가 설치되어, 엘이디 램프가 점등됨에 따라 투명강화유리를 통해 램프의 빛이 투광되도록 한 것을 더 포함하는 자연 채광과 환기를 선택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를 제공한다.
이성의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현관)도어의 환기창을 필요에 따라서 손쉽게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음으로 인해 짧은 시간 동안에도 실내로 유입되는 태양광이나 외부 공기의 실내 유입량을 높일 수 있어 겨울철 실내공간의 온도를 충분히 높이거나 실내의 공기를 충분히 환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 채광과 환기를 선택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 채광과 환기를 선택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의 정면도(외면도) 및 배면도(내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 채광과 환기를 선택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의 평단면도로서, 언폴딩과 폴딩시의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 채광과 환기를 선택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용 탄성부재의 분해 사시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상부", "하부", "전단" 및 "하단"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 채광과 환기를 선택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 채광과 환기를 선택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의 정면도(외면도) 및 배면도(내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 채광과 환기를 선택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의 평단면도로서, 언폴딩과 폴딩시의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 채광과 환기를 선택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용 탄성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위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연 채광과 환기를 선택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이하, '공동주택 도어'라 약칭함)(100)는 메인도어(200), 폴딩도어(300) 및 탄성부재(4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도어(200)는 공동주택의 출입구 문틀에 고정되어 출입구를 개폐하는 하는 실질적인 도어로서, 상기 메인도어(200)는 출입구의 문틀프레임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그 반대쪽에는 메인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출입손잡이(211)가 구비되는 직사각형의 도어프레임(210)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중앙부(220)를 중심으로 그 양측에 마련되는 좌우 환기창(230)과, 상기 도어프레임(210)의 중앙부(220) 외측면에 두께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되게 형성되는 폴딩홈(2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좌우 환기창(230)에는 방범을 위하여 방범살(231)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딩홈(240)은 상기 폴딩도어(200)를 V자 형태로 폴딩하기 위한 요홈으로써 폴딩홈(240)의 양측면은 외향으로 확대되도록 경사면(241)이 형성되며, 폴딩홈(240)의 중앙에는 투명강화유리(24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명강화유리(242)에는 상기 폴딩도어(200)의 폴딩 조작을 위한 폴딩 손잡이(후술함)가 관통 설치되는 손잡이 홀(24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딩홈(240)의 적어도 일측 경사면에는 엘이디 램프(500)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도어(200)의 중앙부 내측에는 사용자가 근접했을 때 상기 엘이디 램프(500)를 자동으로 점등하여 주는 근접스위치(60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엘이디 램프(500)가 점등되면 투명강화유리(242)를 통해 램프의 빛이 투광됨으로써 야간에 폴딩 손잡이(후술함)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고, 인테리어 효과도 있다.
상기 폴딩도어(300)는 상기 메인도어(200)의 외측면에 적층되게 설치된 채, 상기 메인도어(200)의 좌우 환기창(230)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것으로, 좌측 폴딩도어(310)와 우측 폴딩도어(320)가 접철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 두 폴딩도어(310,320)의 경계부에는 상기 투명강화유리(242)에 마련된 손잡이 홀(242a)을 관통하여 메인도어(20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폴딩 손잡이(330)가 설치되어, 폴딩도어(330)의 폴딩 및 언폴딩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두 폴딩도어(310,320)의 상단 및 하단에는 가이드 돌기(311,3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돌기(311,321)는 상기 탄성부재(400)와 결속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폴딩 손잡이(330)는 상기 폴딩도어(300)에 체결되는 체결구(331)와, 상기 체결구(331)에 핀 결합되어 좌우로 회절 가능한 상태인 'ㅁ'자 형태의 손잡이부(3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폴딩도어(300)는 상기 폴딩 손잡이(330)를 잡아당길 경우, 좌측 폴딩도어(310)와 우측 폴딩도어(320)의 경계부위가 상기 폴딩홈(240)에 요입됨에 따라 두 폴딩도어의 폴딩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홀딩홈(240)의 양측면은 외향으로 확개된 경사면(241)이므로 두 폴딩도어(310,320)는 경사면(241)에 말착되면서 경사면의 각도만큼 V자형으로 폴딩된다(도 3참조). 이에 따라, 좌우 환기창(230)으로부터 두 폴딩도어(310,320)가 이격됨으로써 좌우 환기창(230)을 개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폴딩 손잡이(330)는 상기 폴딩도어(30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손잡이부(332)를 일측으로 회절 절첩하여 상기 메인도어(200)에 고정하는 구성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00)는 상기 폴딩도어(300)의 폴딩 및 언폴딩시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몰딩도어에 탄성력을 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메인도어(200)의 도어프레임(210) 상하좌우에 마련된 설치홈(211)에 각각 설치된 채, 상기 폴딩도어(300)를 폴딩할 때는 탄성 압축되고, 언폴딩시에는 인장되면서 폴딩도어(300)를 폴딩 이전의 상태로 복원시켜준다.
이러한 탄성부재(400)는 스프링케이스(410)와; 상기 스프링케이스의 개방된 상부에 덮힘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장공(421)이 형성된 덮개(420)와; 상기 스프링케이스에 내장된 채 스프링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압축 및 인장이 가능한 상태인 코일스프링(430)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외향단에 배치되는 스프링 압축블록(4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 압축블록(440)은 상기 좌,우측 폴딩도어(310,320)의 상하단에 형성된 채 상기 장공(421)을 관통하는 가이드 돌기(311,321)와 결합되어, 상기 좌,우측 폴딩도어(310,320)의 폴딩시에는 가이드 돌기(311,321)가 상기 덮개(420)의 장공(421)을 따라 직선 이동됨에 따라 스프링 압축블록(440)이 동방향으로 함께 이동되면서 코일스프링(430)을 압축하고, 상기 좌,우측 폴딩도어(310,320)의 언폴딩시에는 가이드 돌기(311,321)의 역방향 이동에 따라 스프링 압축블록(440)도 동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코일스프링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인장된다.
상기 좌,우측 폴딩도어(310,320)의 폴딩으로 코일스프링(430)이 압축되면 코일스프링이 인장되려는 복원력에 의해 자칫 좌,우측 폴딩도어(310,320)가 언폴딩상태로 복원될 수 있음을 감안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폴딩 손잡이(330)의 손잡이부(332)를 일측으로 회절 절첩하여 상기 메인도어(200)에 고정하는 구성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언폴딩시에는 손잡이부(332)의 고정을 해제하게 되면 코일스프링(430)의 인장하려는 복원력에 의해 별도로 폴딩 손잡이(330)에 미는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좌,우측 폴딩도어(310,320)가 언폴딩상태(도 3의 상측도면 참조)가 된다.
이상 개시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공동주택 도어 200 : 메인도어
210 : 오더프레임 220 : 중앙부
230 : 좌우 환기창 240 : 폴딩홈
242 : 투명강화유리 300 : 폴딩도어
310 : 좌측 폴딩도어 320 : 우측 폴딩도어
400 : 탄성부재 410 : 스프링케이스
420 : 덮개 430 : 코일스프링
440 : 스프링 압축블록 500 : 엘이디 램프
600 : 근접스위치

Claims (1)

  1. 공동주택의 출입구 문틀에 고정되어 출입구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출입 손잡이가 구비되는 직사각형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그 양측에 마련되며, 방범살이 형성된 좌우 환기창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중앙부 외측면에 두께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되게 형성되는 폴딩홈으로 구성됨을 포함하되, 상기 폴딩홈의 양측면은 외향으로 확개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며, 폴딩홈의 중앙에는 투명강화유리가 마련된 것을 더 포함하는 메인도어;
    상기 메인도어의 외측면에 적층되게 설치되어 상기 좌우 환기창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으로, 좌측 폴딩도어와 우측 폴딩도어가 힌지 결합되어 이 힌지 결합된 경계부위가 폴딩되되, 상기 폴딩부위에는 상기 투명강화유리를 관통하여 메인도어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폴딩 손잡이가 마련되어, 상기 폴딩 손잡이를 잡아당김에 따라 상기 좌측 폴딩도어와 우측 폴딩도어의 폴딩부위가 상기 폴딩홈에 요입되어 좌측 및 우측 경사면에 각각 밀착됨에 따라 상기 경사면의 경사각도 만큼 V자 형태로 폴딩되어 상기 좌우 환기창을 개방하는 폴딩도어; 및
    상기 메인도어의 도어프레임 상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채, 상기 폴딩도어를 폴딩할 때는 탄성 압축되고, 언폴딩시에는 인장되면서 폴딩도어를 폴딩 이전 상태로 복원시켜주는 탄성부재;로 구성됨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케이스와; 상기 스프링케이스의 개방된 상부에 덮힘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덮개와; 상기 스프링케이스에 내장된 채 스프링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압축 및 인장이 가능한 상태인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외향단에 배치되는 스프링 압축블록;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프링 압축블록은 상기 좌,우측 폴딩도어의 상하단에 형성된 채 상기 장공을 관통하는 가이드 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좌,우측 폴딩도어의 폴딩시에는 가이드 돌기의 이동에 따라 스프링 압축블록이 동방향으로 함께 이동되면서 코일스프링을 압축하고, 상기 좌,우측 폴딩도어의 언폴딩시에는 가이드 돌기의 역방향 이동에 따라 스프링 압축블록이 동방향으로 함께 이동됨으로써 코일스프링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인장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폴딩홈의 적어도 일측 경사면에는 엘이디 램프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도어의 중앙부 내측에는 사용자가 근접했을 때 상기 엘이디 램프를 자동으로 점등하여 주는 근접스위치가 설치되어, 엘이디 램프가 점등됨에 따라 투명강화유리를 통해 램프의 빛이 투광되도록 한 것을 더 포함하는 자연 채광과 환기를 선택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KR1020200133465A 2020-10-15 2020-10-15 자연 채광과 환기를 선택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KR102214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465A KR102214692B1 (ko) 2020-10-15 2020-10-15 자연 채광과 환기를 선택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465A KR102214692B1 (ko) 2020-10-15 2020-10-15 자연 채광과 환기를 선택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4692B1 true KR102214692B1 (ko) 2021-02-10

Family

ID=74560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465A KR102214692B1 (ko) 2020-10-15 2020-10-15 자연 채광과 환기를 선택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6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844B1 (ko) * 2022-03-15 2023-02-08 주식회사 와이피디자인그룹건축사사무소 자연순환식 공동주택용 창문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278Y1 (ko) * 2003-08-21 2004-01-07 장경준 방범 안전 현관문
KR101693796B1 (ko) 2016-06-29 2017-01-06 (주)해동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KR101923600B1 (ko) 2018-06-12 2019-02-27 삼성유비스 주식회사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폴딩도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278Y1 (ko) * 2003-08-21 2004-01-07 장경준 방범 안전 현관문
KR101693796B1 (ko) 2016-06-29 2017-01-06 (주)해동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KR101923600B1 (ko) 2018-06-12 2019-02-27 삼성유비스 주식회사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폴딩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844B1 (ko) * 2022-03-15 2023-02-08 주식회사 와이피디자인그룹건축사사무소 자연순환식 공동주택용 창문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4692B1 (ko) 자연 채광과 환기를 선택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KR20170127867A (ko) 이중원단을 갖는 스카이 어닝의 이동부재
CN204920727U (zh) 一种电动可调光门窗
KR101923600B1 (ko)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폴딩도어
CN104196405A (zh) 一种含有内窗扇的窗户以及含有内门扇的门
GB2394767A (en) A vent through a window frame
KR102148215B1 (ko) 갤러리 창호의 개폐작동시 비상멈춤장치
KR200347854Y1 (ko) 다용도 방음부스
KR102011460B1 (ko) 건축용 누수방지 창틀
WO2004070155A1 (en) Window vent
JPS6035702Y2 (ja) 天窓開閉装置
KR200355688Y1 (ko) 창문용 환기장치
KR100876924B1 (ko) 친자연 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KR200249676Y1 (ko) 건물 창문용 스크린 장치
KR101008357B1 (ko) 친자연 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도어
KR20050058607A (ko)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
KR200369692Y1 (ko) 출입문 안전장치
JP3815459B2 (ja) 複合建具
KR200176175Y1 (ko) 차양 기능을 갖는 다용도 방범창문
JP3255760B2 (ja) 建物の開口枠への補助装置
KR200256852Y1 (ko) 출입문용 절첩식 방충망
KR100585345B1 (ko) 공동주택 및 일반건축물용 창문구조
CN108756031B (zh) 一种夏热冬暖地区专用保温幕墙
KR100636879B1 (ko) 건축용 공동주택의 차양방충망의 구조
JP3914515B2 (ja) 窓枠およびこれを備えた複合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