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844B1 - 자연순환식 공동주택용 창문틀 - Google Patents

자연순환식 공동주택용 창문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844B1
KR102497844B1 KR1020220032403A KR20220032403A KR102497844B1 KR 102497844 B1 KR102497844 B1 KR 102497844B1 KR 1020220032403 A KR1020220032403 A KR 1020220032403A KR 20220032403 A KR20220032403 A KR 20220032403A KR 102497844 B1 KR102497844 B1 KR 102497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indow frame
shaft
lever
fram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피디자인그룹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피디자인그룹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피디자인그룹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20032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8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1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by special construction of the fram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4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with ventilati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사각형상의 링체로, 벽체(60)의 창틀삽입공(61)에 삽입고정되고, 외부측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일정길이 수직돌출되는 외부측사각돌출단턱(11)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외부측사각돌출단턱(11)과 접하는 내측면 중심부에는 중앙수평내측면(1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중앙수평내측면(12) 내측상면선단에서 내측상방으로 경사지는 내측상방경사면(13)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수평내측면(12) 내측하면선단에서 내측하방으로 경사지는 내측하방경사면(13a)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수평내측면(12) 좌우측면에서 내부측 동일평면으로 수직연장되는 내측좌우측수직면(14,14a)이 각각 형성되며, 측단면이 외측으로 90도 누인 좌협우광인 사다리꼴형상의 사각관체로 내부중심측에는 외측면과 내측면을 수평으로 한몸연결하는 이음지지판(15a)를 갖고 일단은 상기 외부측사각돌출단턱(11)의 우측 중앙부 내측면에 위치되고 타단은 이와 마주보는 외부측사각돌출단턱(11)의 좌측 중앙부 내측면에 위치되어 외부측사각돌출단턱(11)을 중앙에서 수평으로 한몸연결하는 중앙수평지지바(15)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수평지지바(15)의 좌우측단 후방측 중앙수평내측면(12) 상하부에 중심상부좌우측축공(16,16a)과 중심하부좌우측축공(17,17a)이 각각 통공형성되며, 상기 중심상부좌우측축공(16,16a)과 중심하부좌우측축공(17,17a) 사이 중심측 후방의 내측좌우측수직면(14,14a)에는 내부측으로 좌우측출몰고정장바공(18,18a)(18b,18c)(18d,18e)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통공형성되고, 상기 상하부 내측좌우측수직면(14,14a)의 상기 좌우측출몰고정장바공(18,18a)(18b,18c)(18d,18e) 상하부에서 내실측으로 수평되게 요부형성되는 좌우측상하부가이드홈(19,19a)(19b,19c)이 각각 형성되는 제1창틀몸체(10); 유리창(22)을 갖고 유리창(22)을 고정지지하는 사각틀의 제2창틀몸체(21)를 갖으며 하단부는 상기 중앙수평지지바(15) 상부측 후방면과 밀착되고 상단부는 외부측사각돌출단턱(11) 상단부 내측면과 중앙수평내측면(12) 상단부와 밀착되어 수직을 이루는 사각창문으로, 상기 제2창틀몸체(21) 하단부 좌우측면에는 상기 중심상부좌우측축공(16,16a)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하단부좌우측축바(21a,21b)를 각각 갖고, 제2창틀몸체(21) 하단부는 상기 하단부좌우측축바(21a,21b)를 기준으로 측면에서 반원형을 이루는 하단회동반원면(21c)을 갖으며 내측으로 축회동되는 상부내측축회동창문(20); 상기 상부내측축회동창문(20) 직하부에 수직으로 밀착위치되는 사각창문으로, 유리창(32)을 갖고, 유리창(32)을 고정지지하는 사각틀의 제3창틀몸체(31)를 갖으며, 제3창틀몸체(31) 상단부 좌우측면에는 상기 중심하부좌우측축공(17,17a)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상단부좌우측축바(31a,31b)를 각각 갖고, 제3창틀몸체(31) 상단부는 상기 중앙수평지지바(15) 하부측 후방면과 밀착되면서 상기 상부내측축회동창문(20) 제2창틀몸체(21)의 하단회동반원면(21c)과 밀착되며, 제3창틀몸체(31) 하단부는 외부측사각돌출단턱(11) 하단부 내측면과 중앙수평내측면(12) 하단부와 밀착되어 수직을 이루며 내측으로 축회동되는 하부내측축회동창문(30); 측단면이 사각형상으로 상기 내측좌우측수직면(14,14a)을 수평으로 위치되는 지지대몸체(41)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몸체(41) 좌측단은 제1창틀몸체(10)의 내측좌측수직면(14)의 좌측상하부가이드홈(19,19a)의 상하측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면서 선단면 상하부에서 돌출되어 좌측상하부가이드홈(19,19a)에 각각 내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좌측상하부가이드돌기(42,42a)가 각각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대몸체(41) 우측단은 제1창틀몸체(10)의 내측우측수직면(14a)의 우측상하부가이드홈(19b,19c)의 상하측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면서 선단면 상하부에서 돌출되어 우측상하부가이드홈(19b,19c)에 각각 내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우측상하부가이드돌기(43,43a)가 각각 돌출형성되며, 지지대몸체(41) 중심측 중앙에는 내측으로 직사각형상의 레버작동요부(44)가 요부형성되고, 상기 레버작동요부(44) 의 좌우측면 내측에는 각각 좌우측축홈(44a,44b)이 각각 형성되며, 긴 바로 일단은 상기 좌우측상하부가이드돌기(42,42a)(43,43a) 사이에 위치되어 내외측으로 출몰되고 타단은 지지대몸체(41)를 관통하여 스프링(45a,46a)에 의해 각각 레버작동요부(44)로 각각 돌출되는 좌우측출몰고정장바(45,46)가 형성되고, 외측면 상하단 좌우측단 모서리부에 각각 축결합되어 돌출됨에 따라 상기 상하부내측축회동창문(20,30)의 내측방향 회동시 창틀몸체(21,31)와 맞닿아 내측방향의 개방각도를 한정하는 상부좌우측 및 하부좌우측받침롤러(47,47a)(48,48a)가 형성되는 슬라이딩수평지지대(40); 및 상기 슬라이딩수평지지대(40)의 레버작동요부(44)에 삽입되어 축회동되는 직육면체인 레버몸체(51)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몸체(51) 좌우측선단면 내측방향에는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좌우측축홈(44a,44b)에 각각 축결합되는 좌우측회동축돌부(52,52a)가 돌출형성되고, 레버몸체(51) 하단면 내측방향에는 하부로 돌출되는 손잡이돌부(52)가 형성되며, 레버몸체(51) 외측 좌우측단면 하부에는 상기 좌우측출몰고정장바(45,46)의 내측선단면이 밀착되어 좌우측출몰고정장바(45,46)의 외측선단부를 좌우측출몰고정장바공(18,18a)(18b,18c)(18d,18e)에 삽입고정시키는 좌우측삽입돌부(54,54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삽입돌부(54,54a) 상부측인 레버몸체(51) 외측 좌우측단면 상부에는 요부형성되어 상기 좌우측회동축돌부(52,52a)에 의한 레버몸체(51)의 내측방향 축회동시 좌우측출몰고정장바(45,46)의 외측선단부를 좌우측출몰고정장바공(18,18a)(18b,18c)(18d,18e)에서 이탈 분리시키는 좌우측분리요부(55,55a)가 각각 형성되는 지지대작동레버(50)를 구비하는 자연순환식 공동주택용 창문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외부측사각돌출단턱과 중앙수평지지바와 중심상하부좌우측축공을 갖는 창틀몸체와 축회동되는 상하부내측축회동창문과 슬라이딩수평지지대와 지지대작동레버를 구비하여 별도의 동력발생장치나 환기장치를 필요치 않아 시공비용이 절감되며 비교적 복잡하지 않은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조작이나 작동이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절감되며 진환경적인 자연순환식의 환기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연순환식 공동주택용 창문틀{Window frames for natural circulation apartment houses}
본 발명은 자연순환식 공동주택용 창문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측사각돌출단턱과 중앙수평지지바와 중심상하부좌우측축공을 갖는 창틀몸체와 축회동되는 상하부내측축회동창문과 슬라이딩수평지지대와 지지대작동레버를 구비하여 별도의 동력발생장치나 환기장치를 필요치 않아 시공비용이 절감되며 비교적 복잡하지 않은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조작이나 작동이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절감되며 진환경적인 자연순환식의 환기가 이루어지는 자연순환식 공동주택용 창문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단독주택, 공장 등에서는 실내의 공기를 효율적으로 환기시키기 위하여 환기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환기장치는 도어, 혹은 창문등에 설치됨으로써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게 된다.
이런 환기장치는 회전하는 팬과, 상기 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조립체와,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그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모터 조립체를 구동시키는 경우, 팬이 회전함으로써 흡입력에 의하여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환기장치는 모터와 같은 동력발생장치를 구비하고, 전원을 공급하여야 하므로 제조단가 및 유지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동력발생장치가 구비되므로 환기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짐으로 조립시간이 증가하고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창문의 일측 내부에 환기장치를 구비하므로 시야를 차단하고, 또한 창문 제조시 환기장치를 고려하여 제조하므로 설계의 다양성을 높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여닫이 창문의 경우 환기장치의 두께에 제약을 받음으로써 환기장치의 설계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문틀에 형성된 통풍구의 일측에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릴이 구비됨으로써 공기가 유동가능한 내측패널; 상기 통풍구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내측패널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릴이 형성됨으로써 공기가 유동가능한 외측패널; 상기 내측 및 외측패널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내측 및 외측패널의 사이를 선택적으로 가로막는 개폐부; 그리고 상기 개폐부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내측 및 외측패널 사이로 공기가 흐르도록 하는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풍구의 내측에 지지 프레임이 추가로 포함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은 일측에는 외측패널의 측부와 방충망이 삽입되는 제1 삽입부와, 타측에는 상기 작동부가 고정되는 제2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는 통풍구의 상부, 중간부, 하부에 각각 구비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다수의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바가 회전하는 경우 통풍구를 개폐하는 날개와, 상기 회전바를 서로 연결하여 연동시키는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바는 상기 브래킷에 형성된 관통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외부에는 제1 브래킷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바에 의하여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연결바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회전바가 회전가능하며, 상기 회전바의 양측에는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고, 이 결합홈에 상기 날개가 장착되고, 상기 작동부는 통풍구의 일측에 구비되며 돌출턱이 형성되는 지지 브래킷과, 상기 지지 브래킷의 돌출턱에 힌지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와 상기 회전바를 연결하는 로드와, 상기 지지 브래킷을 지지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축을 포함하며, 상기 로드는 상기 레버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1 로드와, 일측은 상기 제1 로드의 내부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바에 돌출 형성된 제2 브래킷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로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축은 일측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 브래킷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축의 일측에는 나사홀이 형성되므로써 체결나사를 삽입하여 조절함으로서 상기 고정축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창문틀용 환기장치."가 실용신안등록 제20-0435570호(2007.01.31.공고)로 개시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창문틀용 환기장치는, 동력발생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자연환기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창문틀과 인접된 환기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므로 별도의 시공비용이 추가되고, 환기장치를 갖는 별도의 복잡한 창문틀을 구비하여야 되는 구조적으로 복잡한 창문틀 구조가 제공되고 그 제작 비용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35570호(2007.01.31.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측사각돌출단턱과 중앙수평지지바와 중심상하부좌우측축공을 갖는 창틀몸체와 축회동되는 상하부내측축회동창문과 슬라이딩수평지지대와 지지대작동레버를 구비하여 별도의 동력발생장치나 환기장치를 필요치 않아 시공비용이 절감되며 비교적 복잡하지 않은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조작이나 작동이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절감되며 진환경적인 자연순환식의 환기가 이루어지는 자연순환식 공동주택용 창문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직사각형상의 링체로, 벽체(60)의 창틀삽입공(61)에 삽입고정되고, 외부측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일정길이 수직돌출되는 외부측사각돌출단턱(11)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외부측사각돌출단턱(11)과 접하는 내측면 중심부에는 중앙수평내측면(1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중앙수평내측면(12) 내측상면선단에서 내측상방으로 경사지는 내측상방경사면(13)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수평내측면(12) 내측하면선단에서 내측하방으로 경사지는 내측하방경사면(13a)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수평내측면(12) 좌우측면에서 내부측 동일평면으로 수직연장되는 내측좌우측수직면(14,14a)이 각각 형성되며, 측단면이 외측으로 90도 누인 좌협우광인 사다리꼴형상의 사각관체로 내부중심측에는 외측면과 내측면을 수평으로 한몸연결하는 이음지지판(15a)를 갖고 일단은 상기 외부측사각돌출단턱(11)의 우측 중앙부 내측면에 위치되고 타단은 이와 마주보는 외부측사각돌출단턱(11)의 좌측 중앙부 내측면에 위치되어 외부측사각돌출단턱(11)을 중앙에서 수평으로 한몸연결하는 중앙수평지지바(15)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수평지지바(15)의 좌우측단 후방측 중앙수평내측면(12) 상하부에 중심상부좌우측축공(16,16a)과 중심하부좌우측축공(17,17a)이 각각 통공형성되며, 상기 중심상부좌우측축공(16,16a)과 중심하부좌우측축공(17,17a) 사이 중심측 후방의 내측좌우측수직면(14,14a)에는 내부측으로 좌우측출몰고정장바공(18,18a)(18b,18c)(18d,18e)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통공형성되고, 상기 상하부 내측좌우측수직면(14,14a)의 상기 좌우측출몰고정장바공(18,18a)(18b,18c)(18d,18e) 상하부에서 내실측으로 수평되게 요부형성되는 좌우측상하부가이드홈(19,19a)(19b,19c)이 각각 형성되는 제1제1창틀몸체(10);
유리창(22)을 갖고 유리창(22)을 고정지지하는 사각틀의 제2제2창틀몸체(21)를 갖으며 하단부는 상기 중앙수평지지바(15) 상부측 후방면과 밀착되고 상단부는 외부측사각돌출단턱(11) 상단부 내측면과 중앙수평내측면(12) 상단부와 밀착되어 수직을 이루는 사각창문으로, 상기 제2창틀몸체(21) 하단부 좌우측면에는 상기 중심상부좌우측축공(16,16a)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하단부좌우측축바(21a,21b)를 각각 갖고, 제2창틀몸체(21) 하단부는 상기 하단부좌우측축바(21a,21b)를 기준으로 측면에서 반원형을 이루는 하단회동반원면(21c)을 갖으며 내측으로 축회동되는 상부내측축회동창문(20);
상기 상부내측축회동창문(20) 직하부에 수직으로 밀착위치되는 사각창문으로, 유리창(32)을 갖고, 유리창(32)을 고정지지하는 사각틀의 제3제3창틀몸체(31)를 갖으며, 제3창틀몸체(31) 상단부 좌우측면에는 상기 중심하부좌우측축공(17,17a)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상단부좌우측축바(31a,31b)를 각각 갖고, 제3창틀몸체(31) 상단부는 상기 중앙수평지지바(15) 하부측 후방면과 밀착되면서 상기 상부내측축회동창문(20) 제2창틀몸체(21)의 하단회동반원면(21c)과 밀착되며, 제3창틀몸체(31) 하단부는 외부측사각돌출단턱(11) 하단부 내측면과 중앙수평내측면(12) 하단부와 밀착되어 수직을 이루며 내측으로 축회동되는 하부내측축회동창문(30);
측단면이 사각형상으로 상기 내측좌우측수직면(14,14a)을 수평으로 위치되는 지지대몸체(41)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몸체(41) 좌측단은 제1제1창틀몸체(10)의 내측좌측수직면(14)의 좌측상하부가이드홈(19,19a)의 상하측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면서 선단면 상하부에서 돌출되어 좌측상하부가이드홈(19,19a)에 각각 내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좌측상하부가이드돌기(42,42a)가 각각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대몸체(41) 우측단은 제1창틀몸체(10)의 내측우측수직면(14a)의 우측상하부가이드홈(19b,19c)의 상하측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면서 선단면 상하부에서 돌출되어 우측상하부가이드홈(19b,19c)에 각각 내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우측상하부가이드돌기(43,43a)가 각각 돌출형성되며, 지지대몸체(41) 중심측 중앙에는 내측으로 직사각형상의 레버작동요부(44)가 요부형성되고, 상기 레버작동요부(44) 의 좌우측면 내측에는 각각 좌우측축홈(44a,44b)이 각각 형성되며, 긴 바로 일단은 상기 좌우측상하부가이드돌기(42,42a)(43,43a) 사이에 위치되어 내외측으로 출몰되고 타단은 지지대몸체(41)를 관통하여 스프링(45a,46a)에 의해 각각 레버작동요부(44)로 각각 돌출되는 좌우측출몰고정장바(45,46)가 형성되고, 외측면 상하단 좌우측단 모서리부에 각각 축결합되어 돌출됨에 따라 상기 상하부내측축회동창문(20,30)의 내측방향 회동시 창틀몸체(21,31)와 맞닿아 내측방향의 개방각도를 한정하는 상부좌우측 및 하부좌우측받침롤러(47,47a)(48,48a)가 형성되는 슬라이딩수평지지대(40); 및
상기 슬라이딩수평지지대(40)의 레버작동요부(44)에 삽입되어 축회동되는 직육면체인 레버몸체(51)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몸체(51) 좌우측선단면 내측방향에는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좌우측축홈(44a,44b)에 각각 축결합되는 좌우측회동축돌부(52,52a)가 돌출형성되고, 레버몸체(51) 하단면 내측방향에는 하부로 돌출되는 손잡이돌부(52)가 형성되며, 레버몸체(51) 외측 좌우측단면 하부에는 상기 좌우측출몰고정장바(45,46)의 내측선단면이 밀착되어 좌우측출몰고정장바(45,46)의 외측선단부를 좌우측출몰고정장바공(18,18a)(18b,18c)(18d,18e)에 삽입고정시키는 좌우측삽입돌부(54,54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삽입돌부(54,54a) 상부측인 레버몸체(51) 외측 좌우측단면 상부에는 요부형성되어 상기 좌우측회동축돌부(52,52a)에 의한 레버몸체(51)의 내측방향 축회동시 좌우측출몰고정장바(45,46)의 외측선단부를 좌우측출몰고정장바공(18,18a)(18b,18c)(18d,18e)에서 이탈 분리시키는 좌우측분리요부(55,55a)가 각각 형성되는 지지대작동레버(50)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측사각돌출단턱과 중앙수평지지바와 중심상하부좌우측축공을 갖는 창틀몸체와 축회동되는 상하부내측축회동창문과 슬라이딩수평지지대와 지지대작동레버를 구비하여 별도의 동력발생장치나 환기장치를 필요치 않아 시공비용이 절감되며 비교적 복잡하지 않은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조작이나 작동이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절감되며 진환경적인 자연순환식의 환기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자연순환식 공동주택용 창문틀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자연순환식 공동주택용 창문틀의 시공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자연순환식 공동주택용 창문틀의 사용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자연순환식 공동주택용 창문틀의 시공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자연순환식 공동주택용 창문틀의 시공모습을 보인 배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 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자연순환식 공동주택용 창문틀은, 제1창틀몸체(10)와, 상부내측축회동창문(20)과, 하부내측축회동창문(30)과, 슬라이딩수평지지대(40)와, 지지대작동레버(50)로 구성된다.
상기 제1창틀몸체(10)는, 직사각형상의 링체로, 벽체(60)의 창틀삽입공(61)에 삽입고정되고, 외부측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일정길이 수직돌출되는 외부측사각돌출단턱(11)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외부측사각돌출단턱(11)과 접하는 내측면 중심부에는 중앙수평내측면(1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중앙수평내측면(12) 내측상면선단에서 내측상방으로 경사지는 내측상방경사면(13)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수평내측면(12) 내측하면선단에서 내측하방으로 경사지는 내측하방경사면(13a)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수평내측면(12) 좌우측면에서 내부측 동일평면으로 수직연장되는 내측좌우측수직면(14,14a)이 각각 형성되며, 측단면이 외측으로 90도 누인 좌협우광인 사다리꼴형상의 사각관체로 내부중심측에는 외측면과 내측면을 수평으로 한몸연결하는 이음지지판(15a)를 갖고 일단은 상기 외부측사각돌출단턱(11)의 우측 중앙부 내측면에 위치되고 타단은 이와 마주보는 외부측사각돌출단턱(11)의 좌측 중앙부 내측면에 위치되어 외부측사각돌출단턱(11)을 중앙에서 수평으로 한몸연결하는 중앙수평지지바(15)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수평지지바(15)의 좌우측단 후방측 중앙수평내측면(12) 상하부에 중심상부좌우측축공(16,16a)과 중심하부좌우측축공(17,17a)이 각각 통공형성되며, 상기 중심상부좌우측축공(16,16a)과 중심하부좌우측축공(17,17a) 사이 중심측 후방의 내측좌우측수직면(14,14a)에는 내부측으로 좌우측출몰고정장바공(18,18a)(18b,18c)(18d,18e)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통공형성되고, 상기 상하부 내측좌우측수직면(14,14a)의 상기 좌우측출몰고정장바공(18,18a)(18b,18c)(18d,18e) 상하부에서 내실측으로 수평되게 요부형성되는 좌우측상하부가이드홈(19,19a)(19b,19c)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상부내측축회동창문(20)은, 유리창(22)을 갖고 유리창(22)을 고정지지하는 사각틀의 제2창틀몸체(21)를 갖으며 하단부는 상기 중앙수평지지바(15) 상부측 후방면과 밀착되고 상단부는 외부측사각돌출단턱(11) 상단부 내측면과 중앙수평내측면(12) 상단부와 밀착되어 수직을 이루는 사각창문으로, 상기 제2창틀몸체(21) 하단부 좌우측면에는 상기 중심상부좌우측축공(16,16a)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하단부좌우측축바(21a,21b)를 각각 갖고, 제2창틀몸체(21) 하단부는 상기 하단부좌우측축바(21a,21b)를 기준으로 측면에서 반원형을 이루는 하단회동반원면(21c)을 갖으며 내측으로 축회동된다.
상기 하부내측축회동창문(30)은, 상기 상부내측축회동창문(20) 직하부에 수직으로 밀착위치되는 사각창문으로, 유리창(32)을 갖고, 유리창(32)을 고정지지하는 사각틀의 제3창틀몸체(31)를 갖으며, 제3창틀몸체(31) 상단부 좌우측면에는 상기 중심하부좌우측축공(17,17a)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상단부좌우측축바(31a,31b)를 각각 갖고, 제3창틀몸체(31) 상단부는 상기 중앙수평지지바(15) 하부측 후방면과 밀착되면서 상기 상부내측축회동창문(20) 제2창틀몸체(21)의 하단회동반원면(21c)과 밀착되며, 제3창틀몸체(31) 하단부는 외부측사각돌출단턱(11) 하단부 내측면과 중앙수평내측면(12) 하단부와 밀착되어 수직을 이루며 내측으로 축회동된다.
상기 슬라이딩수평지지대(40)는, 측단면이 사각형상으로 상기 내측좌우측수직면(14,14a)을 수평으로 위치되는 지지대몸체(41)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몸체(41) 좌측단은 제1창틀몸체(10)의 내측좌측수직면(14)의 좌측상하부가이드홈(19,19a)의 상하측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면서 선단면 상하부에서 돌출되어 좌측상하부가이드홈(19,19a)에 각각 내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좌측상하부가이드돌기(42,42a)가 각각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대몸체(41) 우측단은 제1창틀몸체(10)의 내측우측수직면(14a)의 우측상하부가이드홈(19b,19c)의 상하측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면서 선단면 상하부에서 돌출되어 우측상하부가이드홈(19b,19c)에 각각 내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우측상하부가이드돌기(43,43a)가 각각 돌출형성되며, 지지대몸체(41) 중심측 중앙에는 내측으로 직사각형상의 레버작동요부(44)가 요부형성되고, 상기 레버작동요부(44) 의 좌우측면 내측에는 각각 좌우측축홈(44a,44b)이 각각 형성되며, 긴 바로 일단은 상기 좌우측상하부가이드돌기(42,42a)(43,43a) 사이에 위치되어 내외측으로 출몰되고 타단은 지지대몸체(41)를 관통하여 스프링(45a,46a)에 의해 각각 레버작동요부(44)로 각각 돌출되는 좌우측출몰고정장바(45,46)가 형성되고, 외측면 상하단 좌우측단 모서리부에 각각 축결합되어 돌출됨에 따라 상기 상하부내측축회동창문(20,30)의 내측방향 회동시 창틀몸체(21,31)와 맞닿아 내측방향의 개방각도를 한정하는 상부좌우측 및 하부좌우측받침롤러(47,47a)(48,48a)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작동레버(50)는, 상기 슬라이딩수평지지대(40)의 레버작동요부(44)에 삽입되어 축회동되는 직육면체인 레버몸체(51)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몸체(51) 좌우측선단면 내측방향에는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좌우측축홈(44a,44b)에 각각 축결합되는 좌우측회동축돌부(52,52a)가 돌출형성되고, 레버몸체(51) 하단면 내측방향에는 하부로 돌출되는 손잡이돌부(52)가 형성되며, 레버몸체(51) 외측 좌우측단면 하부에는 상기 좌우측출몰고정장바(45,46)의 내측선단면이 밀착되어 좌우측출몰고정장바(45,46)의 외측선단부를 좌우측출몰고정장바공(18,18a)(18b,18c)(18d,18e)에 삽입고정시키는 좌우측삽입돌부(54,54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삽입돌부(54,54a) 상부측인 레버몸체(51) 외측 좌우측단면 상부에는 요부형성되어 상기 좌우측회동축돌부(52,52a)에 의한 레버몸체(51)의 내측방향 축회동시 좌우측출몰고정장바(45,46)의 외측선단부를 좌우측출몰고정장바공(18,18a)(18b,18c)(18d,18e)에서 이탈 분리시키는 좌우측분리요부(55,55a)가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외부측사각돌출단턱(11)과 중앙수평지지바(15)와 중심상하부좌우측축공(16,16a)(17,17a)을 갖는 제1창틀몸체(10)와 축회동되는 상하부내측축회동창문(20,30)과 슬라이딩수평지지대(30)와 지지대작동레버(50)를 구비하여 별도의 동력발생장치나 환기장치를 필요치 않아 시공비용이 절감되고, 비교적 복잡하지 않은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조작이나 작동이 간단하며,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진환경적인 자연순환식의 환기가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창틀몸체
20 : 상부내측축회동창문
30 : 하부내측축회동창문
40 : 슬라이딩수평지지대
50 : 지지대작동레버

Claims (1)

  1. 직사각형상의 링체로, 벽체(60)의 창틀삽입공(61)에 삽입고정되고, 외부측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일정길이 수직돌출되는 외부측사각돌출단턱(11)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외부측사각돌출단턱(11)과 접하는 내측면 중심부에는 중앙수평내측면(1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중앙수평내측면(12) 내측상면선단에서 내측상방으로 경사지는 내측상방경사면(13)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수평내측면(12) 내측하면선단에서 내측하방으로 경사지는 내측하방경사면(13a)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수평내측면(12) 좌우측면에서 내부측 동일평면으로 수직연장되는 내측좌우측수직면(14,14a)이 각각 형성되며, 측단면이 외측으로 90도 누인 좌협우광인 사다리꼴형상의 사각관체로 내부중심측에는 외측면과 내측면을 수평으로 한몸연결하는 이음지지판(15a)를 갖고 일단은 상기 외부측사각돌출단턱(11)의 우측 중앙부 내측면에 위치되고 타단은 이와 마주보는 외부측사각돌출단턱(11)의 좌측 중앙부 내측면에 위치되어 외부측사각돌출단턱(11)을 중앙에서 수평으로 한몸연결하는 중앙수평지지바(15)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수평지지바(15)의 좌우측단 후방측 중앙수평내측면(12) 상하부에 중심상부좌우측축공(16,16a)과 중심하부좌우측축공(17,17a)이 각각 통공형성되며, 상기 중심상부좌우측축공(16,16a)과 중심하부좌우측축공(17,17a) 사이 중심측 후방의 내측좌우측수직면(14,14a)에는 내부측으로 좌우측출몰고정장바공(18,18a)(18b,18c)(18d,18e)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통공형성되고, 상기 상하부 내측좌우측수직면(14,14a)의 상기 좌우측출몰고정장바공(18,18a)(18b,18c)(18d,18e) 상하부에서 내실측으로 수평되게 요부형성되는 좌우측상하부가이드홈(19,19a)(19b,19c)이 각각 형성되는 제1창틀몸체(10);
    유리창(22)을 갖고 유리창(22)을 고정지지하는 사각틀의 제2창틀몸체(21)를 갖으며 하단부는 상기 중앙수평지지바(15) 상부측 후방면과 밀착되고 상단부는 외부측사각돌출단턱(11) 상단부 내측면과 중앙수평내측면(12) 상단부와 밀착되어 수직을 이루는 사각창문으로, 상기 제2창틀몸체(21) 하단부 좌우측면에는 상기 중심상부좌우측축공(16,16a)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하단부좌우측축바(21a,21b)를 각각 갖고, 제2창틀몸체(21) 하단부는 상기 하단부좌우측축바(21a,21b)를 기준으로 측면에서 반원형을 이루는 하단회동반원면(21c)을 갖으며 내측으로 축회동되는 상부내측축회동창문(20);
    상기 상부내측축회동창문(20) 직하부에 수직으로 밀착위치되는 사각창문으로, 유리창(32)을 갖고, 유리창(32)을 고정지지하는 사각틀의 제3창틀몸체(31)를 갖으며, 제3창틀몸체(31) 상단부 좌우측면에는 상기 중심하부좌우측축공(17,17a)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상단부좌우측축바(31a,31b)를 각각 갖고, 제3창틀몸체(31) 상단부는 상기 중앙수평지지바(15) 하부측 후방면과 밀착되면서 상기 상부내측축회동창문(20) 제2창틀몸체(21)의 하단회동반원면(21c)과 밀착되며, 제3창틀몸체(31) 하단부는 외부측사각돌출단턱(11) 하단부 내측면과 중앙수평내측면(12) 하단부와 밀착되어 수직을 이루며 내측으로 축회동되는 하부내측축회동창문(30);
    측단면이 사각형상으로 상기 내측좌우측수직면(14,14a)을 수평으로 위치되는 지지대몸체(41)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몸체(41) 좌측단은 제1창틀몸체(10)의 내측좌측수직면(14)의 좌측상하부가이드홈(19,19a)의 상하측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면서 선단면 상하부에서 돌출되어 좌측상하부가이드홈(19,19a)에 각각 내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좌측상하부가이드돌기(42,42a)가 각각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대몸체(41) 우측단은 제1창틀몸체(10)의 내측우측수직면(14a)의 우측상하부가이드홈(19b,19c)의 상하측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면서 선단면 상하부에서 돌출되어 우측상하부가이드홈(19b,19c)에 각각 내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우측상하부가이드돌기(43,43a)가 각각 돌출형성되며, 지지대몸체(41) 중심측 중앙에는 내측으로 직사각형상의 레버작동요부(44)가 요부형성되고, 상기 레버작동요부(44) 의 좌우측면 내측에는 각각 좌우측축홈(44a,44b)이 각각 형성되며, 긴 바로 일단은 상기 좌우측상하부가이드돌기(42,42a)(43,43a) 사이에 위치되어 내외측으로 출몰되고 타단은 지지대몸체(41)를 관통하여 스프링(45a,46a)에 의해 각각 레버작동요부(44)로 각각 돌출되는 좌우측출몰고정장바(45,46)가 형성되고, 외측면 상하단 좌우측단 모서리부에 각각 축결합되어 돌출됨에 따라 상기 상하부내측축회동창문(20,30)의 내측방향 회동시 창틀몸체(21,31)와 맞닿아 내측방향의 개방각도를 한정하는 상부좌우측 및 하부좌우측받침롤러(47,47a)(48,48a)가 형성되는 슬라이딩수평지지대(40); 및
    상기 슬라이딩수평지지대(40)의 레버작동요부(44)에 삽입되어 축회동되는 직육면체인 레버몸체(51)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몸체(51) 좌우측선단면 내측방향에는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좌우측축홈(44a,44b)에 각각 축결합되는 좌우측회동축돌부(52,52a)가 돌출형성되고, 레버몸체(51) 하단면 내측방향에는 하부로 돌출되는 손잡이돌부(52)가 형성되며, 레버몸체(51) 외측 좌우측단면 하부에는 상기 좌우측출몰고정장바(45,46)의 내측선단면이 밀착되어 좌우측출몰고정장바(45,46)의 외측선단부를 좌우측출몰고정장바공(18,18a)(18b,18c)(18d,18e)에 삽입고정시키는 좌우측삽입돌부(54,54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삽입돌부(54,54a) 상부측인 레버몸체(51) 외측 좌우측단면 상부에는 요부형성되어 상기 좌우측회동축돌부(52,52a)에 의한 레버몸체(51)의 내측방향 축회동시 좌우측출몰고정장바(45,46)의 외측선단부를 좌우측출몰고정장바공(18,18a)(18b,18c)(18d,18e)에서 이탈 분리시키는 좌우측분리요부(55,55a)가 각각 형성되는 지지대작동레버(5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순환식 공동주택용 창문틀.
KR1020220032403A 2022-03-15 2022-03-15 자연순환식 공동주택용 창문틀 KR102497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403A KR102497844B1 (ko) 2022-03-15 2022-03-15 자연순환식 공동주택용 창문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403A KR102497844B1 (ko) 2022-03-15 2022-03-15 자연순환식 공동주택용 창문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7844B1 true KR102497844B1 (ko) 2023-02-08

Family

ID=85225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403A KR102497844B1 (ko) 2022-03-15 2022-03-15 자연순환식 공동주택용 창문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84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570Y1 (ko) 2006-09-29 2007-01-31 (주)코리아카라반 창문틀용 환기장치
JP2008019612A (ja) * 2006-07-12 2008-01-31 Nbs:Kk 電動式開閉戸
JP2016205089A (ja) * 2015-04-28 2016-12-08 三協立山株式会社 自然換気窓
KR20180042109A (ko) * 2016-10-17 2018-04-25 장혁수 암대 기능을 가지는 수직형 접이식 외여닫이 창호
KR102090470B1 (ko) * 2019-11-22 2020-03-18 조장정 커튼월 시스템
JP2020139295A (ja) * 2019-02-27 2020-09-03 日東工器株式会社 補助ドアクローザおよび開き戸構造体
KR102214692B1 (ko) * 2020-10-15 2021-02-10 (주)부산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자연 채광과 환기를 선택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9612A (ja) * 2006-07-12 2008-01-31 Nbs:Kk 電動式開閉戸
KR200435570Y1 (ko) 2006-09-29 2007-01-31 (주)코리아카라반 창문틀용 환기장치
JP2016205089A (ja) * 2015-04-28 2016-12-08 三協立山株式会社 自然換気窓
KR20180042109A (ko) * 2016-10-17 2018-04-25 장혁수 암대 기능을 가지는 수직형 접이식 외여닫이 창호
JP2020139295A (ja) * 2019-02-27 2020-09-03 日東工器株式会社 補助ドアクローザおよび開き戸構造体
KR102090470B1 (ko) * 2019-11-22 2020-03-18 조장정 커튼월 시스템
KR102214692B1 (ko) * 2020-10-15 2021-02-10 (주)부산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자연 채광과 환기를 선택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6593B2 (en) Louver module and louver system employing the same
EP1607689A1 (en) Air conditioner
KR100371353B1 (ko) 공기 조화기의 흡토출구 개폐 장치
KR102497844B1 (ko) 자연순환식 공동주택용 창문틀
KR20050119735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90093600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200435570Y1 (ko) 창문틀용 환기장치
KR100733282B1 (ko) 건축물 창호 외기유입 구조물
KR101923600B1 (ko)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폴딩도어
EP1950503A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with air inlet via movable front panel and air outlet via bottom/top towards rearside
JP6184095B2 (ja) 住宅内外の中間領域創出構造
KR100966171B1 (ko) 모서리 지지부재가 구비된 환기창
KR200472253Y1 (ko) 슬림형 창문 프레임을 위한 삽입형 롤러부
KR20030083059A (ko) 공기조화기
KR101446523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20110137152A (ko) 루버셔터
CN218265690U (zh) 一种新风功能的风扇窗
KR200387105Y1 (ko) 창틀 환기장치
JP5080364B2 (ja) 扉装置
KR20090082729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811040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JP6006042B2 (ja) 換気装置と開口部装置
KR20190041807A (ko) 공기조화기
JP2001132973A (ja) 空気調和機
JP7377537B2 (ja) 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