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708B1 - 루버시스템의 자동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루버시스템의 자동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708B1
KR101975708B1 KR1020180081146A KR20180081146A KR101975708B1 KR 101975708 B1 KR101975708 B1 KR 101975708B1 KR 1020180081146 A KR1020180081146 A KR 1020180081146A KR 20180081146 A KR20180081146 A KR 20180081146A KR 101975708 B1 KR101975708 B1 KR 101975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ing
louver
opening
louvers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석
Original Assignee
정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준석 filed Critical 정준석
Priority to KR1020180081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7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06B7/086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으로 작동되던 루버시스템에 루버 개폐용 손잡이를 제거한 후 상호 연동하여 개폐되는 다수의 개폐루버중 하나와 자동개폐장치를 연결하여 개폐루버들이 동시에 자동 개폐되도록 함으로서 루버시스템의 개폐를 매우 용이하게 한 루버시스템의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손잡이를 분리하여 개폐루버들이 자유자재로 동시에 회동가능하게 한 다음, 상기 개폐루버 중 최상부 또는 최하부에 위치한 개폐루버의 중간지점에 소정 높이의 회동지지구를 설치하되, 상기 회동지지구가 개폐루버의 양측 단부의 중간에 형성된 개폐회전축들과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설치하여 회동지지구를 동작시켰을 때 개폐루버가 개폐회전축을 중심으로 개폐되도록 하고, 상기 회동지지구의 상단 일측방으로 회동축을 직각되게 설치하는 한편, 상기 회동지지구와 근접된 프레임과 개폐루버 사이의 공간지점에 자동개폐수단을 설치하되, 상기 자동개폐수단은 프레임에 다수의 나사로서 결합되며, 그 상부면 네 모서리부분에는 일정 높이의 나사보스가 형성되어진 하부베이스판과; 상기 하부베이스판의 나사보스가 관통하여 면접밀착되게 안내공이 네모서리부에 형성되고,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가 상부면 일측에 설치되어지되,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이 하부베이스판의 일측으로 일정 거리 돌출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측에 편심돌기부가 측방으로 돌출되는 회전캠을 설치하고, 상기 편심돌기부의 단부에 편심축을 직각되게 설치하는 한편, 외부의 리모컨 또는 온도나 진동을 감지하여 구동모터를 일정각 정역회전을 수행할 수 있게 전자회로수단이 설치되어진 작동베이스판과; 상기 하부베이스판의 나사보스와 대응되는 나사공이 네모서리부에 형성되어 나사로서 결합고정되고, 하부베이스판의 일측으로 돌출되어진 구동모터의 구동축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안내장공이 일측면에 형성되어진 상부케이스와; 상기 편심돌기부의 편심축과 개폐루버에 설치된 회동지지구의 회동축 사이에 고정너트로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편심돌기부의 편심축의 회전에 따라 회동지지구가 일정각 연동되게 하는 작동로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루버시스템의 자동개폐장치{Driving Apparatus in a louver system}
본 발명은 실내의 환기를 목적으로 설치되는 루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동식으로 구동되던 루버시스템을 자동으로 동작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방지한 루버 시스템의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버시스템은 폭이 좁은 판을 비스듬히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배열한 것으로, 건축에서 미늘살문이나 미늘살창이라고도 하며, 채광(採光), 인공조명, 일조조정(日照調整), 통풍, 환기(換氣)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즉, 통풍이나 환기를 위해서는 빗물이 스며드는 관계로 루버시스템을 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채광, 인공조명, 일조조정에 사용할 경우는 반드시 루버시스템 형식을 취하지는 않는다. 즉, 가로, 세로 또는 격자창(格子窓)으로 하든지, 이것들의 변형을 응용해서 여러 가지 종류를 택할 수가 있다.
빛에 관해서 이것을 사용하면 광원면(光源面)은 그다지 밝게 보이지 않게 하고, 작업면만 밝게 할 수 있으며, 광선에 지향성을 갖게 하여 실내의 조도분포(照度分布)를 균일화할 수 있고, 직사 일광을 겨울철에는 실내에 들어오게 하고 여름철에는 차단하여 일조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루버시스템은 이상의 여러 가지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밖에서는 실내가 들여다보이지 않고, 실내에서는 밖을 내다보는 데 불편이 없는 것이 특색이다.
이러한 루버시스템 형식은 보통 환기창에서 많이 사용되므로, 환기창이라고 부를수도 있는 바, 이런 환기창은 아파트의 베란다, 아파트 옥탑의 기계실 등에 환기를 목적으로 설치되며, 최근에는 주상복합의 상업용 건물에 설치되는 에어콘의 실외기가 건물 밖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주기 위해 루버시스템이 주로 설치되는 추세이다.
여기에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수동식 루버시스템은 매우 다양하지만 그 구동방식은 거의 유사하므로 그 일례를 도 1에서 보여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루버시스템은 수동으로 조작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의 개폐에 일일이 작업자의 손으로 구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음은 물론이고, 상기 루버시스템이 기계실의 구석에 설치되어 있거나, 사람의 키가 닿지 않는 높은 곳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루버시스템의 개폐가 매우 어렵다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근자에는 루버를 자동으로 동작시키는 루버구동수단을 설치한 것이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776532에 공개된 것이 있으며, 이의 구성을 도 2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루버(1a)의 루버프레임 내측에 일시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의 블레이드(102)와, 다수의 블레이드(102)를 일시에 회동시켜 개폐시키는 루버 개폐용 손잡이(101)와, 루버프레임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루버 개폐용 손잡이(101)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홈(103a)을 갖춘 블럭(103)을 포함하는 에어컨 실외기용 루버 자동 개폐장치(100)로서, 상기 루버 개폐용 손잡이(101)가 있는 루버프레임의 일측면에 브라켓(204)을 매개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하우징(201); 상기 하우징(201)에 구비되어 에어컨의 가동시 실외기(2)에서 배출되는 배출풍의 온도 또는 실내기(1)의 작동여부에 따라 정역회전 구동되는 전동모터(105); 상기 하우징(201)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전동모터(105)에 의해 정역회전되고 그 일측에는 장공(212)이 형성되는 아암(211); 상기 루버 개폐용 손잡이(10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는 연결부재(214); 상기 연결부재(214)에 그 일단부가 결합 고정되고 타단부는 아암(211)의 장공(212)에 관통 결합되어 아암(211)과 루버 개폐용 손잡이(101)를 일체로 회동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핀(213); 상기 아암(211)과 마주하는 하우징(201)의 일면에 각각 구비되어 정역회전되는 아암(211)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리미트 스위치(205a)(205b); 상기 아암(211)에 각각 돌출되게 구비되어 각 리미트 스위치(205a)(205b)와 접촉되면서 아암(211)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터치핀(215); 상기 실내기(1)의 작동 여부 또는 실외기(2)에서 배출되는 배출풍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싱부(11); 상기 센싱부(11)의 감지신호에 따라 블레이드(102)의 개폐각도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값이 저장되는 설정부(13); 및 상기 센싱부(11)의 센싱값을 설정부(13)의 설정값과 비교 판단하여 전동모터(105)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201)에서 정역회전되어 아암(211)을 수동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수동 개폐용 노브(203);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동개폐장치는 루버 개폐용 손잡이(101)에 설치한 후 상기 루버 개폐용 손잡이(101)를 연동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를 설치하는 조립작업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77653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수동으로 작동되던 루버시스템에 있어서, 루버 개폐용 손잡이를 제거한 후 루버시스템의 프레임에 상호 연동하여 개폐되는 다수의 개폐루버중 하나와 연결된 자동개폐장치를 설치하여 개폐루버들이 동시에 자동 개폐되도록 함으로서 루버시스템의 개폐를 매우 용이하게 한 루버시스템의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장방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 상,하부에 다수 설치되어 외기를 차폐할 수 있게 설치되어지는 개폐루버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개폐루버들을 동시에 열고 닫을 수 있는 손잡이: 등을 포함하여 된 루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를 분리하여 개폐루버들이 자유자재로 동시에 회동가능하게 한 다음, 상기 개폐루버 중 최상부 또는 최하부에 위치한 개폐루버의 중간지점에 소정 높이의 회동지지구를 설치하되, 상기 회동지지구가 개폐루버의 양측 단부의 중간에 형성된 개폐회전축들과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설치하여 회동지지구를 동작시켰을 때 개폐루버가 개폐회전축을 중심으로 개폐되도록 하고, 상기 회동지지구의 상단 일측방으로 회동축을 직각되게 설치하는 한편, 상기 회동지지구와 근접된 프레임과 개폐루버 사이의 공간지점에 자동개폐수단을 설치하되, 상기 자동개폐수단은 프레임에 다수의 나사로서 결합되며, 그 상부면 네모서리부분에는 일정 높이의 나사보스가 형성되어진 하부베이스판과; 상기 하부베이스판의 나사보스가 관통하여 면접밀착되게 안내공이 네모서리부에 형성되고,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가 상부면 일측에 설치되어지되,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이 하부베이스판의 일측으로 일정 거리 돌출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측에 편심돌기부가 측방으로 돌출되는 회전캠을 설치하고, 상기 편심돌기부의 단부에 편심축을 직각되게 설치하는 한편, 외부의 리모컨 또는 온도나 진동을 감지하여 구동모터를 일정각 정역회전을 수행할 수 있게 전자회로수단이 설치되어진 작동베이스판과; 상기 하부베이스판의 나사보스와 대응되는 나사공이 네모서리부에 형성되어 나사로서 결합고정되고, 하부베이스판의 일측으로 돌출되어진 구동모터의 구동축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안내장공이 일측면에 형성되어진 상부케이스와; 상기 편심돌기부의 편심축과 개폐루버에 설치된 회동지지구의 회동축 사이에 고정너트로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편심돌기부의 편심축의 회전에 따라 회동지지구가 일정각 연동되게 하는 작동로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수동으로 작동되던 루버시스템에 있어서, 루버 개폐용 손잡이를 제거한 후 상호 연동하여 개폐되는 다수의 루버중 하나와 자동개폐장치를 연결하여 루버들이 동시에 자동 개폐되도록 함으로서 루버시스템의 개폐를 매우 용이하게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루버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개폐장치의 요부를 발췌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루버시스템의 자동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장치의 작동으로 개폐루버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장치의 작동으로 개폐루버가 폐쇄된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장치가 설치되어진 상태를 보인 루버시스템의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시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루버시스템의 자동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장치의 작동으로 개폐루버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장치의 작동으로 개폐루버가 폐쇄된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장치가 설치되어진 상태를 보인 루버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6과 같이, 수동식 루버시스템은 이미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이의 구성은 장방형상의 프레임(11)을 구비한 프레임틀(10); 상기 프레임(11)의 내측에 외기를 차폐할 수 있게 설치되어지는 다수의 개폐루버(12); 상기 개폐루버(12)의 양단부에 이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브라켓(미도시)이 설치되어 상호 대향하고 있는 수직 프레임(미도시)의 삽입공(미도시)에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의 일측의 회동 샤프트는 프레임(11) 내부의 고정 플레이트(미도시)를 회전가능하게 관통하여 개폐루버(12)들을 일시에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진 두 로드바(미도시); 상기 두 로드바와 연결되어 이의 수직왕복 운동을 관장하는 손잡이부(13); 등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수동형 루버시스템을 자동개폐방식으로 전환시키고자 한다.
먼저, 상기 손잡이(13)를 프레임(11)으로부터 분리하여 프레임(11) 내부의 로드바를 자유롭게 함으로써 개폐루버(12)들이 자유자재로 동시에 회동가능하게 한다,
그런 다음, 도 4, 도 5와 같이 상기 개폐루버(12) 중 최상부에 위치한 개폐루버(12)의 중간지점에 소정 높이의 회동지지구(28a)를 나사(28b)로서 고정 설치하는데, 상기 회동지지구(28a)는 개폐루버(12)의 양측 단부의 중간에 형성된 개폐회전축(미도시)들과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설치하여 회동지지구(28a)를 동작시켰을 때 개폐루버(12)가 개폐회전축을 중심으로 개폐되도록 하고, 상기 회동지지구(28a)의 상단 일측방으로 회동축(28c)을 직각되게 설치한다.
한편, 도 3과 같이 상기 회동지지구(28a)와 근접된 프레임(11)과 개폐루버(12) 사이의 공간지점에 자동개폐수단(20)을 설치하는데, 상기 자동개폐수단(20)을 구성하고 있는 하부베이스판(26)은 프레임에(11)에 다수의 나사(미도시)로서 결합되며, 상기 하부베이스판(26)의 상부면 네 모서리부분에는 일정 높이의 나사보스(26c)가 소정 높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베이스판(26)의 양측 단부에는 프레임(11)과 면접 밀착되는 고정편(26a)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편(26a)에는 프레임과 나사로서 체결되는 나사공(26b)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하부베이스판(26) 상면에 설치되는 작동베이스판(미도시)은 하부베이스판(26)의 나사보스(26c)가 관통하여 면접밀착되게 안내공(23)이 네모서리부에 형성되고, 상기 작동베이스판의 상부 일측에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24)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구동모터(24)는 클램프(24f)에 의해 작동베이스판과 결합되며, 상기 구동모터(24)의 구동축(24a)은 하부베이스판(26)의 일측으로 일정 거리 돌출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구동모터(24)의 구동측(24a)에는 편심돌기부(24c)가 측방으로 돌출되는 회전캠(24b)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편심돌기부(24c)의 단부에 편심축(24d)을 직각되게 설치하는 한편, 외부의 리모컨 또는 온도나 진동을 감지하여 구동모터(24)를 일정각 정역회전을 수행할 수 있게 전자회로수단(22)들이 설치되어진다.
상기 작동베이스판 및 하부베이스판(26)과 대응되는 상부케이스(27)는 하부베이스판(26)의 나사보스(26c)와 대응되는 나사공(27b)이 네모서리부에 형성되어 나사(27c)로서 결합고정되고, 상기 상부케이스(27)의 일측면에는 하부베이스판(26)의 일측으로 돌출되어진 구동모터(24)의 구동축(24a)이 통과하여 간섭을 받지 않도록 안내장공(27a)이 형성되어진다.
마지막으로, 상기 편심돌기부(24c)의 편심축(24d)과 개폐루버(12)에 설치된 회동지지구(28a)의 회동축(28c) 사이에 고정너트(25c)로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편심돌기부(24c)의 편심축(24d)의 회전에 따라 회동지지구(28a)가 일정각 연동되게 하는 작동로드(25)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너트(25c)는 편심축(24d) 단부의 나사부(24e)와 회동축(28c) 단부의 나사부에 결합되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루버시스템의 자동개폐장치의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동식 루버시스템은 도 6과 같이 장방형상의 프레임(11)을 구비한 프레임틀(10); 상기 프레임(11)의 내측에 외기를 차폐할 수 있게 설치되어지는 다수의 루버(12); 상기 루버(12)의 양단부에 이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브라켓(미도시)이 설치되어 상호 대향하고 있는 수직 프레임(미도시)의 삽입공(미도시)에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의 일측의 회동 샤프트는 프레임(11) 내부의 고정 플레이트(미도시)를 회전가능하게 관통하여 루버(12)들을 일시에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진 두 로드바(미도시); 상기 두 로드바와 연결되어 이의 수직왕복 운동을 관장하는 손잡이부(13); 등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수동형 루버시스템을 자동개폐방식으로 전환시키고자 하면, 먼저 상기 손잡이(13)를 프레임(11)으로부터 분리하여 프레임(11) 내부의 로드바를 자유롭게 함으로써 개폐루버(12)들이 자유자재로 동시에 회동가능하게 한다,
그런 다음, 도 4, 도 5와 같이 상기 개폐루버(12) 중 최상부에 위치한 개폐루버(12)의 중간지점에 소정 높이의 회동지지구(28a)를 나사(28b)로서 고정 설치하는데, 상기 회동지지구(28a)는 개폐루버(12)의 양측 단부의 중간에 형성된 개폐회전축(미도시)들과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설치하여 회동지지구(28a)를 동작시켰을 때 개폐루버(12)가 개폐회전축을 중심으로 개폐되도록 하고, 상기 회동지지구(28a)의 상단 일측방으로 회동축(28c)을 직각되게 설치한다.
그런 다음, 도 3과 같이 상기 회동지지구(28a)와 근접된 프레임(11)과 개폐루버(12) 사이의 소망하는 지점에 자동개폐수단(20)을 설치하는데, 상부케이스(27)부터 작동베이스판 및 하부베이스판(26)을 관통한 나사(27c)를 프레임(11)에 체결한다.
이때, 도 3 및 도 4와 같이, 구동모터(24)의 구동축(24a)이 하부베이스판(26)의 일측으로 일정 거리 돌출되게 되는데, 구동측(24a)의 회전캠(24b)에 설치되어진 편심축(24d)과, 개폐루버(12)에 설치되어진 회동지지구(28a)의 회동축(28c)을 작동로드(25)으로 연결한 후 고정너트(25c)를 이용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한다.
자동개폐장치가 설치되었을 때, 개폐루버(12)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5와 같이 회전캠(24b)의 편심돌기부(24c)가 도면상에서 우측으로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술한 상태에서 구동모터(24)를 일정각 동작시키게 되면, 도 4와 같이 회전캠(24b)이 시계방향으로 일정각 회전함과 동시에 편심돌기부(24c)가 일정각 회전하면서 작동로드(25)가 도면상에서 우측으로 동작하여 회동지지구(28a)를 당기게 되는데, 이때 회동지지구(28a)와 결합된 개폐루버(12)가 개방됨과 동시에 이 개폐루버(12)와 연동되는 나머지의 개폐루버(12)들이 동시에 개방된다.
한편, 상기 자동개폐장치는 외부의 리모컨 또는, 실외기의 온도나 진동을 전자회로수단(22)이 감지하여 구동모터(24)를 일정각 정역회전을 수행하게 된다.
11:프레임 12:개폐루버
13:손잡이부 20:자동개폐장치
24:구동모터 24b:회전캠
24c:편심돌기부 25:작동로드
26:하부베이스판 27:상부케이스
28:회동지지구 28c회동축

Claims (1)

  1. 장방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 상,하부에 다수 설치되어 외기를 차폐할 수 있게 설치되어지는 개폐루버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개폐루버들을 동시에 열고 닫을 수 있는 손잡이: 등을 포함하여 된 루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를 분리하여 개폐루버들이 자유자재로 동시에 회동가능하게 한 다음, 상기 개폐루버 중 최상부 또는 최하부에 위치한 개폐루버의 중간지점에 소정 높이의 회동지지구를 설치하되, 상기 회동지지구가 개폐루버의 양측 단부의 중간에 형성된 개폐회전축들과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설치하여 회동지지구를 동작시켰을 때 개폐루버가 개폐회전축을 중심으로 개폐되도록 하고, 상기 회동지지구의 상단 일측방으로 회동축을 직각되게 설치하는 한편,
    상기 회동지지구와 근접된 프레임과 개폐루버 사이의 공간지점에 자동개폐수단을 설치하되,
    상기 자동개폐수단은 프레임에 다수의 나사로서 결합되며, 그 상부면 네 모서리부분에는 일정 높이의 나사보스가 형성되어진 하부베이스판과;
    상기 하부베이스판의 나사보스와 대응되는 안내공이 네모서리부에 형성되고,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가 상부면 일측에 설치되어지되,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이 하부베이스판의 일측으로 일정 거리 돌출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편심돌기부가 측방으로 돌출되는 회전캠을 설치하고, 상기 편심돌기부의 단부에 편심축을 직각되게 설치하는 한편, 외부의 리모컨 또는 온도나 진동을 감지하여 구동모터를 일정각 정역회전을 수행할 수 있게 전자회로수단이 설치되는 작동베이스판과;
    상기 하부베이스판의 나사보스와 대응되는 나사공이 네모서리부에 형성되어 나사로서 결합고정되고, 하부베이스판의 일측으로 돌출되어진 구동모터의 구동축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안내장공이 일측면에 형성되어진 상부케이스와;
    상기 편심돌기부의 편심축과 개폐루버에 설치된 회동지지구의 회동축 사이에 고정너트로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편심돌기부의 편심축의 회전에 따라 회동지지구가 일정각 연동되게 하는 작동로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루버시스템의 자동개폐장치.
KR1020180081146A 2018-07-11 2018-07-11 루버시스템의 자동개폐장치 KR101975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146A KR101975708B1 (ko) 2018-07-11 2018-07-11 루버시스템의 자동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146A KR101975708B1 (ko) 2018-07-11 2018-07-11 루버시스템의 자동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708B1 true KR101975708B1 (ko) 2019-05-07

Family

ID=66656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146A KR101975708B1 (ko) 2018-07-11 2018-07-11 루버시스템의 자동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7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9458A (ko) * 2006-09-29 2008-04-03 이덕률 견인식 루버 시스템
JP2013080815A (ja) * 2011-10-04 2013-05-02 Yamaha Corp 基板支持構造
KR20140096757A (ko) * 2013-01-29 2014-08-06 정준석 루버시스템의 구동장치
KR101776532B1 (ko) 2016-10-27 2017-09-07 유영택 에어컨 실외기용 루버 자동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9458A (ko) * 2006-09-29 2008-04-03 이덕률 견인식 루버 시스템
JP2013080815A (ja) * 2011-10-04 2013-05-02 Yamaha Corp 基板支持構造
KR20140096757A (ko) * 2013-01-29 2014-08-06 정준석 루버시스템의 구동장치
KR101776532B1 (ko) 2016-10-27 2017-09-07 유영택 에어컨 실외기용 루버 자동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0898A (ko) 태양광발전모듈루버를 구비한 루버창호
US11473367B2 (en) Shutter
KR100780271B1 (ko) 갤러리 창호
KR101487377B1 (ko) 루버시스템의 구동장치
KR102068117B1 (ko) 루버 시스템
IL188255A (en) Shutter window for air inlet and light blocker
KR101975708B1 (ko) 루버시스템의 자동개폐장치
KR200460600Y1 (ko) 루버장치용 전동개폐장치
JP5747320B2 (ja) ウィンドウ装置
KR20180043964A (ko) 작동감지센서가 부착된 실외기
KR100509343B1 (ko) 전동식 루버개폐장치
KR101443273B1 (ko) 루버시스템의 구동장치
KR101510253B1 (ko) 루버시스템의 구동장치
KR20080101154A (ko) 건축물용 환기장치
KR20190083452A (ko) 루버시스템의 전동오퍼레이터
KR102450426B1 (ko) 루버 개폐 장치
KR102086664B1 (ko) 방진방충망이 설치되어진 루버창호
KR101631708B1 (ko) 시스템루버의 구동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시스템루버 장치
KR200340249Y1 (ko) 전동식 루버개폐장치
JP6680976B2 (ja) 窓開閉装置及び開閉窓
KR101264398B1 (ko) 창문의 자동 개폐장치
KR101209081B1 (ko) 부분 채광과 통풍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
KR20190016184A (ko) 에어컨 실외기용 루버 자동 개폐장치
KR102560969B1 (ko)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패브릭 도어
KR101791071B1 (ko) 자연순환식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