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478B1 - 조립식 충전 구조물 - Google Patents

조립식 충전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478B1
KR102560478B1 KR1020210042646A KR20210042646A KR102560478B1 KR 102560478 B1 KR102560478 B1 KR 102560478B1 KR 1020210042646 A KR1020210042646 A KR 1020210042646A KR 20210042646 A KR20210042646 A KR 20210042646A KR 102560478 B1 KR102560478 B1 KR 102560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ans
groove
prefabricated
protrud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6693A (ko
Inventor
김강욱
Original Assignee
김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강욱 filed Critical 김강욱
Priority to KR1020210042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478B1/ko
Publication of KR20220136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5/02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for distributing, circulating, and accumulating liquid
    • F28F25/08Splashing boards or grids, e.g. for converting liquid sprays into liquid films; Elements or beds for increasing the area of the contact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14Fastening; Joining by using form fitting connection, e.g. with tongue and groo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충전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결합부재 또는 결합홀 없이 자체적으로 끼워져 조립됨으로써 내구도를 높인 조립식 충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립식 충전 구조물은 서로 조립가능한 개체와, 각 개체의 조립으로 인해 구현되는 구조물을 제안함으로써, 크기에 제한 없이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고, 각 개체 간에 조립 홀을 형성하거나, 조립을 위한 부가 구성(나사, 리벳, 접착제 등)을 추가하지 않아도 서로 밀접하게 결합 가능하여 냉각탑 등에 적용될 시 냉각수의 낙하 시 냉각탑 외측으로 냉각수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충전 구조물{Prefabricated structure}
본 발명은 조립식 충전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결합부재 또는 결합홀 없이 자체적으로 끼워져 조립됨으로써 내구도를 높인 조립식 충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냉각탑에 적용되는 충전재인 루버는 냉각탑의 하측에 위치하여 냉각탑 외부 공기의 유입을 유도하고, 냉각탑 내부에서 낙하하는 냉각수가 냉각탑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루버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로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공기가 냉각탑 외측에서 냉각탑 내측으로 유입될 시 상측에서 하측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함으로써 공기가 냉각탑의 최하단에 위치할 수 있게 하여 냉각탑 상부에서 작동하는 팬으로 인해 공기가 냉각탑의 상측으로 빨려 올라가 충전재의 하단부에 공기 유입이 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낙하되는 냉각수가 냉각탑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종래의 루버는 냉각탑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넓은 면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큰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냉각탑은 건물 하나 정도의 크기로, 그때의 루버 역시 통상적으로 제작되는 1블록의 루버가 가로 방향으로 다수 설치되는 것이 필수 불가결하다. 이 때, 종래에는 루버를 설치함에 있어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 각 루버 블록을 일렬로 배치하였는데, 각 루버 블록이 서로 접촉되는 면은 평판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평편한 루버 블록의 면 사이에 미세한 틈이 발생하기 쉽고 이 틈으로 냉각수가 비산되는 문제점들이 발생했다. 냉각탑이 클수록 낙하되는 냉각수의 유량도 많아지게 되므로, 루버 블록과 루버 블록 사이로 비산되는 냉각수량을 최소화 하기 위해 이러한 문제점의 개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3-0001210"물 튀김 방지용 루버 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조립 가능한 개체와, 각 개체의 조립으로 인해 구현되는 구조물을 제안함으로써, 크기에 제한 없이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조립식 충전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각 개체 간에 조립 홀을 형성하거나, 조립을 위한 부가 구성(나사, 리벳, 접착제 등)을 추가하지 않아도 서로 밀접하게 결합 가능하여 냉각탑 등에 적용될 시 냉각수의 낙하 시 냉각탑 외측으로 냉각수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충전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조립을 위한 요철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조립 공정에 편의성을 제공하고, 나아가 조립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충전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식 충전 구조물은,평편한 면을 소정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2개 이상의 구조부 및 평판인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부는, 일측으로 볼록하게 절곡되고, 최상면에 돌출면을 갖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고, 최하면에 홈면을 갖는 홈부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와 상기 홈부는 서로 교번되어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구조부는 평편한 면의 수직 방향으로 제 1 고정수단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구조부는 상기 제 1 고정수단을 통해 평편한 면의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어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는 제 2 고정수단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구조부의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는, 각각의 상기 제 2 고정수단의 사이, 즉 공기가 유동되는 통로의 중심에 물튀김 방지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물튀김 방지수단은, 소정높이로 절곡되어 돌출된 턱이되, 공기가 유동되는 방향을 따라 2개 이상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제 1 고정수단은 상기 돌출면 및 상기 홈면의 일면에 요철이 소정 패턴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이고, 상기 돌출면과 상기 홈면에 형성된 요철의 상기 패턴은 서로 닮음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홈면의 요철이 상기 돌출면의 요철보다 소정 비율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면에 형성된 제 1 고정수단의 일면이 상기 홈면에 형성된 제 1 고정수단의 타면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와 상기 홈부는 공기가 연통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유로는 양 단부에 유입구와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토출구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와 상기 홈부는 상기 돌출면 및 상기 홈면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절곡되고,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홈부로 이루어지는 공기유로의 단면은 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2개의 상기 구조부의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제 1 고정수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 1 고정수단의 요철의 상기 패턴과 닮음꼴으로 제 2 고정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고정수단의 요철은,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요철보다 소정 비율 만큼 크고, 상기 홈부에 형성된 요철보다 소정 비율 만큼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고정수단의 일면은 상기 홈면에 형성된 제 1 고정수단의 타면으로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제 2 고정수단의 타면은 상기 돌출면에 형성된 제 1 고정수단의 일면과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조립식 충전 구조물은 서로 조립가능한 개체와, 각 개체의 조립으로 인해 구현되는 구조물을 제안함으로써, 크기에 제한 없이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개체 간에 조립 홀을 형성하거나, 조립을 위한 부가 구성(나사, 리벳, 접착제 등)을 추가하지 않아도 서로 밀접하게 결합 가능하여 냉각탑 등에 적용될 시 냉각수의 낙하 시 냉각탑 외측으로 냉각수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립을 위한 요철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조립 공정에 편의성을 제공하고, 나아가 조립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식 충전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식 충전 구조물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조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조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구조부와 구조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구조부와 지지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물튀김 방지수단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로,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조립식 충전 구조물(1000)의 기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조립식 충전 구조물(1000)은 평편한 면의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판인 2개 이상의 구조부(100)와 평판인 지지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구조부(100)는 제 1 고정수단(130)이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부(200)는 제 2 고정수단(210)이 일체로 형성되어, 구조부(100)와 구조부(100), 구조부(100)와 지지부(200)가 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제 1 고정수단(130) 및 제 2 고정수단(210)이 각각 구조부(100) 및 지지부(200)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크기에 제한 없이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고, 지지부(200)의 포함 여부를 사용자가 유연하게 결정 가능함에 따라 조립식 충전 구조물(1000) 전체의 강성 또한 임의 조정될 수 있다. 또한 각 개체 간에 조립 홀을 형성하거나, 조립을 위한 부가 구성(나사, 리벳, 접착제 등)을 추가하지 않아도 서로 밀접하게 결합 가능하여 냉각탑 등에 적용될 시 냉각수의 낙하 시 냉각탑 외측으로 냉각수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조부(100)는 일측으로 돌출되어 절곡된 돌출부(110)와, 돌출부(110)와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홈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돌출부(110)와 홈부(120)는 교번되어 형성될 수 있고, 보다 자세히, 돌출부(110)가 1개 형성되면, 돌출부(110)의 양측에 홈부(120)가 1개씩 형성되는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구조부(100)는 판의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사인그래프 형상을 띠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구조부(100)와 구조부(100)는 서로 결합될 수 있고, 하나의 구조부(100)의 돌출부(110)와, 또 다른 하나의 구조부(100)의 홈부(120)는 서로 결합되어 돌출부(110)와 홈부(120) 사이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0)와 홈부(120)의 결합으로 인해 본 발명의 조립식 충전 구조물(1000)은 공기가 연통되는 공기 유로(140)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공기유로는 양 단부에 유입구(141)와 토출구(142)를 포함하고, 유입구(141)는 토출구(142)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공기가 냉각탑의 최하단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하여 냉각탑 상부에서 작동하는 팬으로 인해 공기가 냉각탑의 상측으로 빨려 올라가 충전재의 하단부에 공기 유입이 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낙하되는 냉각수가 냉각탑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10)와 홈부(120)는 돌출면(111) 및 홈면(121)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절곡되고, 돌출부(110) 및 홈부(120)로 이루어지는 공기유로의 단면은 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공기 유로(140)가 허니콤 형상으로 적층되면서 본 발명의 조립식 충전 구조물(1000)의 내구도를 극대화 할 수 있고, 돌출부(110)와 홈부(120)의 결합으로 인해 형성되는 공기유로가 단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어 공기가 균일하게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로,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조부(100) 및 제 1 고정수단(130)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부(100)는, 일측으로 볼록하게 절곡되는 돌출부(110)와, 돌출부(110)와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는 홈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10)의 최상면에는 돌출면(111)이 존재할 수 있고, 홈면(121)의 최하면에는 홈면(121)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조부(100)에는 제 1 고정수단(130)이 형성될 수 있고, 제 1 고정수단(1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면(111) 및 홈면(121)의 일면에 요철이 소정 패턴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돌출면(111)과 홈면(121)에 형성된 요철의 패턴은 서로 닮음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홈면(121)의 요철이 돌출면(111)의 요철보다 소정 비율로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소정 비율은 구조부(100)의 두께 및 구조부(100)를 구성하는 자재의 탄성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자세히, 제 1 고정수단(130)의 요철은 돌출면(111)과 홈면(121)에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면(111)에 일측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이 형성된다 했을 때, 홈면(121) 또한 일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구부러져 볼록한 형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고정수단(130)의 요철은 구조부(100)의 판이 구부러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측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이 형성되었을 때, 그 타면은 평편하지 않고, 일측 방향으로 형성된 볼록한 형상의 높이 만큼 일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 대로, 구조부(100) 중 하나의 돌출부(110)에 형성된 제 1 고정수단(130)의 일면이 또 다른 구조부(100) 중 하나의 홈면(121)에 형성된 제 1 고정수단(130)의 타면으로 함입되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구조부(100)의 개체 간에 조립 홀을 형성하거나, 조립을 위한 부가 구성(나사, 리벳, 접착제 등)을 추가하지 않아도 각 구조부(100)가 서로 밀접하게 결합 가능하여 냉각탑 등에 적용될 시 냉각수의 낙하 시 냉각탑 외측으로 냉각수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구조부(100)는 본 발명의 조립식 충전 구조물(1000)의 전체 높이를 고려하였을 때, 지면의 세로 방향으로 공기 유로(140)가 홀수 개 배치될 경우, 2개의 타입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 때, 구조부(100)의 제 1 타입은 조립식 충전 구조물(1000)의 높이 방향으로 양단에 돌출부(110)가 형성된 형상일 수 있고, 구조부(100)의 제 2 타입은 조립식 충전 구조물(1000)의 높이 방향으로 양단에 홈부(120)가 형성된 형상일 수 있다. 제 1 고정수단(130)은 구조부(100)의 제 1 타입, 제 2 타입에서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조부(100)의 제 1 타입과 제 2 타입은 서로 교번되어 결합될 수 있다. 구조부(100)의 제 1 타입 및 제 2 타입은 하나의 큰 판으로 구조부(100)를 성형한 후, 이를 절단하여 제작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조립식 충전 구조물(1000)의 전체 높이를 고려하였을 때, 지면의 세로 방향으로 공기 유로(140)가 홀수 개 배치될 경우, 구조부(100)는 하나의 타입으로 제작되어 서로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하로, 도 6 내지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지지부(200) 및 제 2 고정수단(2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0)는, 2개의 구조부(100)의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고, 제 1 고정수단(130)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1 고정수단(130)의 요철의 패턴과 닮음꼴으로 일면에 요철이 소정 패턴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 2 고정수단(2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제 2 고정수단(210)의 요철은 제 2 고정수단(210)의 요철은 돌출부(110)에 형성된 요철보다 소정 비율 만큼 크고, 홈부(120)에 형성된 요철보다 소정 비율 만큼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소정 비율은 구조부(100)와 지지부(200)의 두께 및 구조부(100) 및 지지부(200)를 구성하는 자재의 탄성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자세히, 제 2 고정수단(210)의 요철은 돌출면(111)과 홈면(121)에 형성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면(111) 및 홈면(121)에 제 1 고정수단(130)이 일측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이 형성된다 했을 때, 제 2 고정수단(210) 또한 지지부(200)에서 일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구부러져 볼록한 형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고정수단(210)의 요철은 지지부(200)의 평판이 구부러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측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이 형성되었을 때, 그 타면은 평편하지 않고, 일측 방향으로 형성된 볼록한 형상의 높이 만큼 일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 대로, 제 2 고정수단(210)의 일면은 홈면(121)에 형성된 제 1 고정수단(130)의 타면으로 끼워져 결합되고, 제 2 고정수단(210)의 타면은 돌출면(111)에 형성된 제 1 고정수단(130)의 일면과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각 구조부(100)의 개체 간에 조립 홀을 형성하거나, 조립을 위한 부가 구성(나사, 리벳, 접착제 등)을 추가하지 않아도 각 구조부(100)가 서로 밀접하게 결합 가능하여 냉각탑 등에 적용될 시 냉각수의 낙하 시 냉각탑 외측으로 냉각수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0)는, 각각의 제 2 고정수단(210)의 사이에 물튀김 방지수단(2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물튀김 방지수단(220)은, 소정높이로 절곡되어 돌출된 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튀김 방지수단(220)이 형성됨에 따라 냉각탑의 내부에서 낙하하는 냉각수가 냉각탑의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다.
물튀김 방지수단(220)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부(200)의 양면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고, 또는, 가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지부(200)를 구조부(100)의 두께의 50% 얇은 두께의 평판을 가공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고, 지지부(200)를 물튀김 방지수단(220)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2가지 타입으로 나누어 제조하여 구조부(100)의 사이에 지지부(200)를 각 타입 별로 1개씩 총 2개를 겹쳐 끼워 맞춤함으로써 물튀김 방지수단(220)이 지지부(200)의 양측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1000 : 조립식 충전 구조물
100 : 구조부
110 : 돌출부
111 : 돌출면
120 : 홈부
121 : 홈면
130 : 제 1 고정수단
140 : 공기 유로
141 : 유입구
142 : 토출구
200 : 지지부
210 : 제 2 고정수단
220 : 물튀김 방지수단

Claims (12)

  1. 조립식 충전 구조물에 있어서,
    평편한 면을 소정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2개 이상의 구조부; 및
    평판인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부는,
    일측으로 볼록하게 절곡되고, 최상면에 돌출면을 갖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고, 최하면에 홈면을 갖는 홈부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와 상기 홈부는 서로 교번되어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구조부는 평편한 면의 수직 방향으로 제 1 고정수단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구조부는 상기 제 1 고정수단을 통해 평편한 면의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어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는 제 2 고정수단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구조부의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는,
    각각의 상기 제 2 고정수단의 사이, 즉 공기가 유동되는 통로의 중심에 물튀김 방지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물튀김 방지수단은, 소정높이로 절곡되어 돌출된 턱이되, 공기가 유동되는 방향을 따라 2개 이상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충전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수단은
    상기 돌출면 및 상기 홈면의 일면에 요철이 소정 패턴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이고,
    상기 돌출면과 상기 홈면에 형성된 요철의 상기 패턴은 서로 닮음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충전 구조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홈면의 요철이 상기 돌출면의 요철보다 소정 비율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면에 형성된 제 1 고정수단의 일면이 상기 홈면에 형성된 제 1 고정수단의 타면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충전 구조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홈부는 공기가 연통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충전 구조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로는 양 단부에 유입구와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토출구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충전 구조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홈부는 상기 돌출면 및 상기 홈면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절곡되고,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홈부로 이루어지는 공기유로의 단면은 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충전 구조물.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2개의 상기 구조부의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제 1 고정수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 1 고정수단의 요철의 상기 패턴과 닮음꼴으로 제 2 고정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충전 구조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수단의 요철은,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요철보다 소정 비율 만큼 크고, 상기 홈부에 형성된 요철보다 소정 비율 만큼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고정수단의 일면은 상기 홈면에 형성된 제 1 고정수단의 타면으로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제 2 고정수단의 타면은 상기 돌출면에 형성된 제 1 고정수단의 일면과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충전 구조물.
  11. 삭제
  12. 삭제
KR1020210042646A 2021-04-01 2021-04-01 조립식 충전 구조물 KR102560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646A KR102560478B1 (ko) 2021-04-01 2021-04-01 조립식 충전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646A KR102560478B1 (ko) 2021-04-01 2021-04-01 조립식 충전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693A KR20220136693A (ko) 2022-10-11
KR102560478B1 true KR102560478B1 (ko) 2023-07-28

Family

ID=83598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646A KR102560478B1 (ko) 2021-04-01 2021-04-01 조립식 충전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47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366B1 (ko) * 2012-11-30 2015-11-16 (주)대일아쿠아 직교류형 냉각탑 충전재
KR101676852B1 (ko) * 2015-07-17 2016-11-17 현성씨티(주) 조립성을 향상시킨 냉각탑용 필러
CN110671963A (zh) * 2019-09-17 2020-01-10 马鞍山汉德绿色建筑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换热效率的耐用型填料纸
KR102155355B1 (ko) * 2020-02-12 2020-09-11 디에이치테크 주식회사 냉각탑용 루버시스템
KR102162553B1 (ko) * 2019-03-14 2020-10-07 김영철 냉각수의 비산 방지를 위한 돌출부가 형성된 충진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1210U (ko) 2012-10-30 2013-02-20 씨티케이 주식회사 물 튀김 방지용 루버 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366B1 (ko) * 2012-11-30 2015-11-16 (주)대일아쿠아 직교류형 냉각탑 충전재
KR101676852B1 (ko) * 2015-07-17 2016-11-17 현성씨티(주) 조립성을 향상시킨 냉각탑용 필러
KR102162553B1 (ko) * 2019-03-14 2020-10-07 김영철 냉각수의 비산 방지를 위한 돌출부가 형성된 충진재
CN110671963A (zh) * 2019-09-17 2020-01-10 马鞍山汉德绿色建筑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换热效率的耐用型填料纸
KR102155355B1 (ko) * 2020-02-12 2020-09-11 디에이치테크 주식회사 냉각탑용 루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693A (ko)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4976B2 (ja) 熱交換プレートおよびプレートパッケージ
KR102124654B1 (ko) 바닥 패널
US4361426A (en) Angularly grooved corrugated fill for water cooling tower
RU2561356C1 (ru) Теплообменник с двусторонним рисунком углублений
CA2924162C (en) Tile for use in a modular flooring system
CN107462093B (zh) 板式换热器
TWM596253U (zh) 一種蜂巢板
KR102560478B1 (ko) 조립식 충전 구조물
US20190323233A1 (en) Vented suspension ceiling beam and suspension ceiling system
TWI708005B (zh) 一種蜂巢板
US20070151717A1 (en) Heat exchange plate
JPH08291990A (ja) 熱交換素子
TWI745235B (zh) 塑製板材
KR102162553B1 (ko) 냉각수의 비산 방지를 위한 돌출부가 형성된 충진재
JP6688060B2 (ja) 基礎パッキン
JP4035364B2 (ja) 換気扇
JP7002880B2 (ja) 排水口カバー
JPH09184693A (ja) 熱交換エレメント
KR20200076609A (ko) 지붕으로부터 열을 환기 및 방산시키기 위한 굴곡판
KR20200076606A (ko) 지붕용 환기 및 방열 조립체
JP2019056531A (ja) ファンガードおよ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JP7168512B2 (ja) 気液接触用充填板、クロスフロー型冷却塔
JP3207377B2 (ja) クロスフロー型クーリングタワの充填材
JP2005156037A (ja) 直交流型冷却塔
JPH05157480A (ja) 熱交換エレ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