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476B1 - 병원 수술도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병원 수술도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476B1
KR102560476B1 KR1020220054902A KR20220054902A KR102560476B1 KR 102560476 B1 KR102560476 B1 KR 102560476B1 KR 1020220054902 A KR1020220054902 A KR 1020220054902A KR 20220054902 A KR20220054902 A KR 20220054902A KR 102560476 B1 KR102560476 B1 KR 102560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urgical
surgical instrument
hospital
surgical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신환
Original Assignee
조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신환 filed Critical 조신환
Priority to KR1020220054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476B1/ko
Priority to PCT/KR2023/005998 priority patent/WO2023214779A1/ko
Priority to KR1020230089197A priority patent/KR20230155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4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70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90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원 수술도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병원 수술도구 관리 시스템은 병원에서 사용되는 수술도구가 병원 보관소에 입고되고, 수술도구 요청정보에 따라 출고 준비되기 전 수술도구 확인 및 수량체크, 출고대기처리, 병원 부서 또는 수술실로 출고되어 수술에 사용된 모든 이력을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병원 수술도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Management System For Surgical Device And Management Method Therefore}
본 발명은 병원 수술도구 관리시스템 및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병원에 사용되는 수술도구가 보관소에 입고되고 출고되어 수술에 사용된 모든 이력을 자동으로 관리해주는 병원 수술도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술은 수술도구를 사용하여 인체 조직을 절개, 절단 및 봉합하는 행위이다. 통상적으로 의료 시스템에서는 의사가 수술 전에 수술에 사용되는 도구들을 수기로 처방하고 있으며, 수기로 처방된 수술도구들은 수술 전에 간호사에 의해 준비된다. 그러나 수술도구가 수기로 처방되는 의료 시스템에서는 의료인들이 수술도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실수나 누락의 문제가 발생하기 쉬운 문제가 있다. 수술도구 세트를 잘못 준비하게 되면 수술이 지연되거나 수술 과정에서 수술도구의 누락에 의한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현재 종합병원 및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기존 종이 문서에 기록되던 의무기록을 전산 매체에 저장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EMR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으며, 수술이 완료된 후 수술에 사용된 기구를 컴퓨터 입력을 통해 EMR 시스템에 기록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7534호에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수술 정보 관리 장치 및 그 관리 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7534호를 포함하는 종래의 EMR 시스템에는 의무기록을 기록 하는 창에 수술도구를 선택하는 선택창 또는 체크박스가 형성되어 있으며, 의료인은 수술 종료 후 선택창 또는 체크박스에서 수술에 사용된 기구를 컴퓨터의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사용하여 선택함으로써 EMR 시스템에 저장하게 된다. 그러나 수술 및 시술 종류에 따라 수술에 사용되는 기구의 종류가 광범위함에 따라, 선택창 또는 체크박스에서 수술에 사용된 기구를 선택하는 과정에 긴 시간이 소요되며, 오기나 누락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가 있다.
특히 외과적인 수술에는 수술도구의 메인 세트와 병변의 위치에 따라 추가되는 서로 다른 수술도구 세트가 모두 준비되어야 하는데, 외과적인 수술 후 실제 수술에 사용된 수술도구는 1차적으로 수기로 정리하여 기록한 후 2차적으로 EMR 시스템에 저장하게 되며, 외과적인 수술은 사용되는 수술도구의 종류가 다양하여 오기나 누락의 문제가 더욱 크게 발생하게 된다. 현재 종합병원 및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구축된 EMR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술도구의 오기나 누락 문제를 안고 있으며, 수술도구의 오기나 누락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고가의 수술도구가 사용되더라도 수가 반영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아, 종합병원과 대학병원은 이에 따른 손실을 떠안을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7534호(공개일자 2014년11월04일)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03779호(등록일자 2017년02월01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병원에 사용되는 수술도구가 보관소에 입고되고 출고되고 수술에 사용된 모든 이력을 자동으로 관리해주는 병원 수술도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수술도구 관리 시스템은, 관리자 조작 및 입력에 따라 병원 창고에 입고되는 수술도구의 식별정보와 명칭과 수량이 입력되면 상기 수술도구의 식별정보와 명칭과 수량과 입력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는 수술도구 입고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입고처리부와;
병원 부서 단말 또는 수술실 단말로부터 전송된 수술도구의 명칭과 수량과 의료진정보를 포함하는 수술도구 요청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하며, 새로운 수술도구 요청정보가 도착하였음을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표시부로 출력하는 수술도구요청처리부와;
카메라에서 촬영된 복수의 수술도구가 올려진 트레이 전체 영역 이미지에서 수술도구 식별정보만으로 구성된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수술도구 식별정보만으로 구성된 이미지에서 각 수술도구의 식별정보를 판별하고, 각 수술도구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수술도구의 명칭을 저장부로부터 검출한 후 판별된 수술도구 식별정보의 개수를 이용하여 트레이에 올려진 수술도구의 수량을 산출하고, 상기 수술도구 요청정보에 포함된 수술도구의 명칭 및 수량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오디오출력부 또는 표시부로 출력하는 수술도구인식처리부와;
세정액 또는 증류수에 담지된 수술도구를 초음파로 1차 세척하고, 1차 세척된 수술도구를 초순수에 담지한 후 질소를 이용하여 2차 세척하고, 2차 세척이 완료된 수술도구를 건조하고 멸균소독하는 수술도구세척부와;
상기 수술도구세척부에서 세척, 건조 및 멸균소독된 수술도구들을 포장하여 하나의 포장물품으로 만드는 수술도구포장부와;
관리자 조작 및 입력에 따라 상기 포장물품을 사람이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송장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프린터로 출력하는 송장처리부와;
카메라에서 촬영된 송장정보가 부착된 포장물품 이미지와 상기 송장처리부에서 생성된 송장정보를 포함하는 출고대기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출고대기처리부와;
출고대기중인 포장물품에 부착된 송장정보를 스캔한 정보가 입력되면 출고날짜 및 시간과 포장물품에 포함된 수술도구의 명칭과 수량을 포함하는 수술도구 출고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출고처리부와;
저장부에 저장된 수술도구 입고정보와 수술도구 출고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남아있는 수술도구의 종류와 수량을 계산하여 재고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재고정보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술도구 요청정보는 응급 신청인지 또는 일반 신청인지를 알려주는 부가정보를 더 포함하며, 수술도구요청처리부는 상기 수술도구 요청정보에 포함된 부가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수술도구 요청정보가 응급신청인 경우, 응급 수술도구 요청정보가 도착하였음을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긴급 알람 메시지를 더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병원 수술도구 관리 시스템의 송장처리부는 수술도구를 요청한 병원 부서 정보 또는 수술실 정보와 수술도구 명칭과 수량과 출고 날짜 및 시간을 포함하는 수술도구 출고정보를 라벨스티커 출력형식으로 변환하여 프린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병원 수술도구 관리 방법은 관리자 조작 및 입력에 따라 병원 창고에 입고되는 수술도구의 식별정보와 명칭과 수량과 입력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는 수술도구 입고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와;
병원 부서 단말 또는 수술실 단말로부터 전송된 수술도구의 명칭과 수량과 의료진정보를 포함하는 수술도구 요청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하며, 새로운 수술도구 요청정보가 도착하였음을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카메라에서 촬영된 복수의 수술도구가 올려진 트레이 전체 영역 이미지에서 수술도구 식별정보만으로 구성된 이미지를 추출한 후 추출된 수술도구 식별정보만으로 구성된 이미지에서 각 수술도구의 식별정보를 판별하고, 각 수술도구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수술도구의 명칭을 저장부로부터 검출한 후 판별된 수술도구 식별정보의 개수를 이용하여 트레이에 올려진 수술도구의 수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수술도구 요청정보에 포함된 수술도구의 명칭 및 수량과 검출된 수술도구 명칭 및 수량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소리 또는 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와;
세정액 또는 증류수에 담지된 수술도구를 초음파로 1차 세척하고, 1차 세척된 수술도구를 초순수에 담지한 후 질소를 이용하여 2차 세척하고, 2차 세척이 완료된 수술도구를 건조하고 멸균소독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 건조 및 멸균소독된 수술도구들을 포장하여 하나의 포장물품으로 만드는 단계와;
관리자 조작 및 입력에 따라 상기 포장물품을 사람이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송장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프린터로 출력하는 단계와;
카메라에서 촬영된 송장정보가 부착된 포장물품 이미지와 상기 송장처리부에서 생성된 송장정보를 포함하는 출고대기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출고대기중인 포장물품에 부착된 송장정보를 스캔한 정보가 입력되면 출고날짜 및 시간과 포장물품에 포함된 수술도구의 명칭과 수량을 포함하는 수술도구 출고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저장부에 저장된 수술도구 입고정보와 수술도구 출고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남아있는 수술도구의 종류와 수량을 계산하여 재고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병원 부서 단말 또는 수술실 단말로부터 전송된 수술도구의 명칭과 수량과 의료진정보를 포함하는 수술도구 요청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하며, 새로운 수술도구 요청정보가 도착하였음을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수술도구 요청정보에 포함된 부가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수술도구 요청정보가 응급신청인 경우, 응급 수술도구 요청정보가 도착하였음을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긴급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자 조작 및 입력에 따라 상기 포장물품을 사람이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송장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프린터로 출력하는 단계는, 수술도구를 요청한 병원 부서 정보 또는 수술실 정보와 수술도구 명칭과 수량과 출고 날짜 및 시간을 포함하는 수술도구 출고정보를 라벨스티커 출력형식으로 변환하여 프린터로 출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병원에서 사용되는 수술도구가 병원 보관소에 입고되고, 수술도구 요청정보에 따라 출고 준비되기 전 수술도구 확인 및 수량체크, 출고대기처리, 병원 부서 또는 수술실로 출고되어 수술에 사용된 모든 이력을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수술도구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수술도구 관리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수술도구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서 단말(110)과 수술실 단말(12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관리자 단말(130)과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부서 단말(110)은 병원 의료진이 사용하는 단말로서, 병원 내 부서 예를 들어, 내과, 외과, 이비인후과, 정형외과 등에서 진료 기록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단말이다. 부서 단말(110)은 태블릿 PC, 노트북, 데스크탑 PC로 구현될 수 있다. 부서 단말(110)은 EMR 시스템, 즉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을 탑재할 수 있다.
부서 단말(110)은 수술도구의 명칭과 수량과 의료진정보를 포함하는 수술도구 요청정보를 생성해서 이를 관리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수술도구 요청정보는 응급 신청인지 또는 일반 신청인지를 알려주는 부가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술실 단말(120)은 병원 의료진이 수수실에서 사용하는 단말로서, 예컨대 태블릿 PC, 노트북, 데스크탑 PC로 구현될 수 있다. 수술실 단말(120)은 EMR 시스템, 즉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을 탑재할 수 있다. 수술실 단말(120)은 수술도구의 명칭과 수량과 의료진정보와 수술실 정보를 포함하는 수술도구 요청정보를 생성해서 이를 관리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수술실 단말(120)에서 전송된 수술도구 요청정보는 응급 신청으로 자동체크된 부가정보를 포함한다.
관리자 단말(130)은 병원 내에 입고 및 출고되는 수술도구를 포함하는 의료물품(예컨대, 병원복, 수술도구 등)을 관리하는 부서에서 사용하는 단말로서, 예컨대 태블릿 PC, 노트북, 데스크탑 PC로 구현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130)은 특히 수술도구의 입고, 출고, 재고 및 수술실에서의 수술도구 사용이력을 관리한다.
데이터베이스(140)는 네트워크 서버 또는 데이터센터 내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의료물품(예컨대, 병원복, 수술도구 등) 입고정보와 출고정보와 재고정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수술도구에 대한 입고정보와 출고정보와 재고정보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수술도구 입고정보는 수술도구의 식별정보와 명칭과 수량과 입력 날짜와 시간을 포함한다. 일례로 수술도구 입고정보는 수술도구를 판매하는 판매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술도구 입고정보는 수술도구의 이미지와 사용메뉴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술도구 출고정보는 수술도구의 명칭과 수량과 수술도구를 요청한 병원 부서 정보 또는 수술실 정보와 출고 날짜와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수술도구 사용이력정보는 수술에 사용된 수술도구의 이미지와 식별정보와 수술을 한 의료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수술도구 재고정보는 현재 남아있는 수술도구 각각의 재고량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수술도구 관리시스템(270)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수술도구 관리 시스템(270)은 주변장치인 통신부(210)와 사용자 조작부(220)와 카메라(230)와 표시부(240)와 프린터(250)와 스캐너(26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210)는 회선망(CSN: Circuit Switched Network)과 패킷망(PSN: Packet Switched Network)을 통해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단말 또는 서버로서, CDMA, TDMA, WCDMA, GSM, LTE 등의 통신모뎀, 와이-파이(Wi-Fi), 불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과 유선 인터넷이 가능한 형태의 통신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조작부(220)는 사용자 조작명령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조작부(220)는 음성 인식, 터치, 마우스, 키보드 등과 같은 주변장치가 될 수 있다. 카메라(230)는 렌즈모듈과 이미지신호를 처리하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230)는 입고 또는 출고를 위해 수술도구가 올려진 트레이 전체 영역을 촬영할 수 있는 광각을 갖는 렌즈를 사용한다.
표시부(240)는 LCD, LED와 같은 디스플레이로 구현된다. 표시부(240)는 통상적인 컴퓨터 모니터뿐만 아니라 TV 모니터 또는 스마트보드와 같은 표시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프린터(250)는 라벨스티커를 용지로 사용하며, 제어부(270)에서 생성된 출력정보 예를 들어, 수술도구 명칭과 출고날짜와 수량과 배송지를 포함하는 수술도구 출고정보를 라벨스티커에 인쇄한다. 스캐너(260)는 라벨스티커에 새겨진 송장정보를 판독한다.
병원 수술도구 관리시스템(270)은 물리적인 하드웨어 조합 예컨대, 실행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롬과 데이터가 저장되는 램과 직렬통신과 병렬통신과 I2C 신호를 처리하는 인터페이스모듈과 프로세서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병원 수술도구 관리시스템(27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입고처리부(271)와 수술도구요청처리부(272)와 수술도구인식처리부(273)와 수술도구세척부(274)와 수술도구포장부(275)와 송장처리부(276)와 출고대기처리부(277)와 출고처리부(278)와 재고정보처리부(279)와 저장부(28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입고처리부(271)는 관리자 조작 및 입력에 따라 병원 창고에 입고되는 수술도구의 식별정보와 명칭과 수량이 입력되면 상기 수술도구의 식별정보와 명칭과 수량과 입력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는 수술도구 입고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저장부(280)에 저장한다. 수술도구는, 예를 들어, 핀셋, 가위, 겸자, 메스핸들, 유봉침, 의료용 칼, 설압자 등 다양한 도구를 포함한다. 수술도구의 식별정보는 문자 또는 일련의 숫자들로 구현되며, 수술도구의 특정 위치에 새겨져 수술도구를 판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이다. 수술도구의 식별정보는 특정 위치뿐 아니라 특정한 모양 예컨대 반원형, 타원형 등과 같은 독특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수술도구요청처리부(272)는 병원 부서 단말 또는 수술실 단말로부터 전송된 수술도구의 명칭과 수량과 의료진정보를 포함하는 수술도구 요청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하며, 새로운 수술도구 요청정보가 도착하였음을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표시부(240)로 출력한다.
일례로, 수술도구 요청정보는 응급 신청인지 또는 일반 신청인지를 알려주는 부가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수술도구요청처리부(272)는 수술도구 요청정보에 포함된 부가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수술도구 요청정보가 응급신청인 경우, 응급 수술도구 요청정보가 도착하였음을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긴급 알람 메시지를 더 출력할 수 있다.
관리자는 복수의 수술도구 요청정보를 응급 신청과 일반 신청으로 구분하고, 응급 신청인 수술도구 요청정보에 포함된 수술도구의 명칭과 수량을 확인하고, 병원 창고에서 해당 수술도구를 찾아 트레이에 올려놓게 된다. 수술도구를 확인하고 수량을 체크하는 것을 사람이 직접 수행할 수 있으나, 단한번의 실수나 오류를 막기 위해 그리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수술도구 관리시스템(270)은 영상처리기법을 이용하여 수술도구를 확인하고 수량을 체크하도록 구현된다.
수술도구인식처리부(273)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복수의 수술도구가 올려진 트레이 전체 영역 이미지에서 수술도구 식별정보만으로 구성된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수술도구 식별정보만으로 구성된 이미지에서 각 수술도구의 식별정보를 판별하고, 각 수술도구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수술도구의 명칭을 저장부(280)로부터 검출한다. 수술도구인식처리부(273)는 판별된 수술도구 식별정보의 개수를 이용하여 트레이에 올려진 수술도구의 수량을 산출한다. 수술도구인식처리부(273)는 수술도구 요청정보에 포함된 수술도구의 명칭 및 수량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오디오출력부 또는 표시부(240)로 출력한다.
수술도구세척부(274)는 세정액 또는 증류수에 담지된 수술도구를 초음파로 1차 세척하고, 1차 세척된 수술도구를 초순수에 담지한 후 질소를 이용하여 2차 세척하고, 2차 세척이 완료된 수술도구를 건조하고 멸균소독한다.
수술도구포장부(275)는 수술도구세척부에서 세척, 건조 및 멸균소독된 수술도구들을 포장하여 하나의 포장물품으로 만든다. 수술도구포장부(275)는 박스 또는 비닐봉지를 포장하는 포장기계로 구현될 수 있다.
송장처리부(276)는 관리자 조작 및 입력에 따라 포장물품을 사람이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송장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프린터(250)로 출력한다. 송장정보는 수술도구 명칭과 수량과 수술도구를 요청한 병원 부서 또는 수술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송장처리부는 수술도구를 요청한 병원 부서 정보 또는 수술실 정보와 수술도구 명칭과 수량과 출고 날짜 및 시간을 포함하는 수술도구 출고정보를 라벨스티커 출력형식으로 변환하여 프린터(250)로 출력할 수 있다.
출고대기처리부(277)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송장정보가 부착된 포장물품 이미지와 송장처리부(276)에서 생성된 송장정보를 포함하는 출고대기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저장부(280)에 저장한다.
출고처리부(278)는 출고대기중인 포장물품에 부착된 송장정보를 스캐너로 스캔한 정보가 입력되면 출고날짜 및 시간과 포장물품에 포함된 수술도구의 명칭과 수량과 수술도구를 요청한 병원 부서 또는 수술실 정보와 출고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는 수술도구 출고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저장부(280)에 저장한다.
재고정보처리부(279)는 저장부(280)에 저장된 수술도구 입고정보와 수술도구 출고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남아있는 수술도구의 종류와 수량을 계산하여 재고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저장부(280)에 저장한다.
병원 수술도구 관리시스템(270)은 병원에서 사용되는 수술도구가 병원 보관소에 입고되고, 수술도구 요청정보에 따라 출고 준비되기 전 수술도구 확인 및 수량체크, 출고대기처리, 병원 부서 또는 수술실로 출고되어 수술에 사용된 모든 이력을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수술도구 관리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311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수술도구 관리방법은, 관리자 조작 및 입력에 따라 병원 창고에 입고되는 수술도구의 식별정보와 명칭과 수량과 입력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는 수술도구 입고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한다. 일례로 수술도구 입고정보는 수술도구를 판매하는 판매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술도구 입고정보는 수술도구의 이미지와 사용메뉴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수술도구 관리방법은, 단계 S312에서 병원 부서 단말 또는 수술실 단말로부터 전송된 수술도구의 명칭과 수량과 의료진정보를 포함하는 수술도구 요청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하며, 새로운 수술도구 요청정보가 도착하였음을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단계 S312에서 일례로, 수술도구 요청정보는 응급 신청인지 또는 일반 신청인지를 알려주는 부가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수술도구 관리방법은, 수술도구 요청정보에 포함된 부가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수술도구 요청정보가 응급신청인 경우, 응급 수술도구 요청정보가 도착하였음을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긴급 알람 메시지를 더 출력할 수 있다.
관리자는 복수의 수술도구 요청정보를 응급 신청과 일반 신청으로 구분하고, 응급 신청인 수술도구 요청정보에 포함된 수술도구의 명칭과 수량을 확인하고, 병원 창고에서 해당 수술도구를 찾아 트레이에 올려놓게 된다. 수술도구를 확인하고 수량을 체크하는 것을 사람이 직접 수행할 수 있으나, 단한번의 실수나 오류를 막기 위해 그리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영상처리기법을 이용하여 수술도구를 확인하고 수량을 체크하도록 구현된다.
단계 S313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수술도구 관리방법은, 카메라에서 촬영된 복수의 수술도구가 올려진 트레이 전체 영역 이미지에서 수술도구 식별정보만으로 구성된 이미지를 추출한 후 추출된 수술도구 식별정보만으로 구성된 이미지에서 각 수술도구의 식별정보를 판별하고, 각 수술도구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수술도구의 명칭을 저장부로부터 검출한 후 판별된 수술도구 식별정보의 개수를 이용하여 트레이에 올려진 수술도구의 수량을 산출한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수술도구 관리방법은, 수술도구 요청정보에 포함된 수술도구의 명칭 및 수량과 검출된 수술도구 명칭 및 수량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소리 또는 화면으로 출력한다.
단계 S314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수술도구 관리방법은, 세정액 또는 증류수에 담지된 수술도구를 초음파로 1차 세척하고, 1차 세척된 수술도구를 초순수에 담지한 후 질소를 이용하여 2차 세척하고, 2차 세척이 완료된 수술도구를 건조하고 멸균소독한다.
단계 S315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수술도구 관리방법은, 포장장치에서 세척, 건조 및 멸균소독된 수술도구들을 포장하여 하나의 포장물품으로 만든다.
단계 S316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수술도구 관리방법은, 관리자 조작 및 입력에 따라 포장물품을 사람이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송장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프린터로 출력한다. 일례로, 수술도구를 요청한 병원 부서 정보 또는 수술실 정보와 수술도구 명칭과 수량과 출고 날짜 및 시간을 포함하는 수술도구 출고정보를 라벨스티커 출력형식으로 변환하여 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317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수술도구 관리방법은, 카메라에서 촬영된 송장정보가 부착된 포장물품 이미지와 송장정보를 포함하는 출고대기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단계 S318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수술도구 관리방법은, 출고대기중인 포장물품에 부착된 송장정보를 스캔한 정보가 입력되면 출고날짜 및 시간과 포장물품에 포함된 수술도구의 명칭과 수량을 포함하는 수술도구 출고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단계 S319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수술도구 관리방법은, 저장부에 저장된 수술도구 입고정보와 수술도구 출고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남아있는 수술도구의 종류와 수량을 계산하여 재고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이상 본 발명을 여러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는데,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위 실시예를 기술사상을 유지한 채 다른 형태로 변형하거나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의 권리범위는 아래의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므로,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이 아래의 특허 청구범위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Claims (6)

  1. 관리자 조작 및 입력에 따라 병원 창고에 입고되는 수술도구의 식별정보와 명칭과 수량이 입력되면 상기 수술도구의 식별정보와 명칭과 수량과 입력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는 수술도구 입고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입고처리부와;
    병원 부서 단말 또는 수술실 단말로부터 전송된 수술도구의 명칭과 수량과 의료진정보를 포함하는 수술도구 요청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하며, 새로운 수술도구 요청정보가 도착하였음을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표시부로 출력하는 수술도구요청처리부와;
    카메라에서 촬영된 복수의 수술도구가 올려진 트레이 전체 영역 이미지에서 수술도구 식별정보만으로 구성된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수술도구 식별정보만으로 구성된 이미지에서 각 수술도구의 식별정보를 판별하고, 각 수술도구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수술도구의 명칭을 저장부로부터 검출한 후 판별된 수술도구 식별정보의 개수를 이용하여 트레이에 올려진 수술도구의 수량을 산출하고, 상기 수술도구 요청정보에 포함된 수술도구의 명칭 및 수량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오디오출력부 또는 표시부로 출력하는 수술도구인식처리부와;
    세정액 또는 증류수에 담지된 수술도구를 초음파로 1차 세척하고, 1차 세척된 수술도구를 초순수에 담지한 후 질소를 이용하여 2차 세척하고, 2차 세척이 완료된 수술도구를 건조하고 멸균소독하는 수술도구세척부와;
    상기 수술도구세척부에서 세척, 건조 및 멸균소독된 수술도구들을 포장하여 하나의 포장물품으로 만드는 수술도구포장부와;
    관리자 조작 및 입력에 따라 상기 포장물품을 사람이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송장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프린터로 출력하는 송장처리부와;
    카메라에서 촬영된 송장정보가 부착된 포장물품 이미지와 상기 송장처리부에서 생성된 송장정보를 포함하는 출고대기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출고대기처리부와;
    출고대기중인 포장물품에 부착된 송장정보를 스캔한 정보가 입력되면 출고날짜 및 시간과 포장물품에 포함된 수술도구의 명칭과 수량을 포함하는 수술도구 출고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출고처리부와;
    저장부에 저장된 수술도구 입고정보와 수술도구 출고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남아있는 수술도구의 종류와 수량을 계산하여 재고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재고정보처리부;
    를 포함하는 병원 수술도구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수술도구 요청정보는 응급 신청인지 또는 일반 신청인지를 알려주는 부가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술도구요청처리부는 상기 수술도구 요청정보에 포함된 부가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수술도구 요청정보가 응급신청인 경우, 응급 수술도구 요청정보가 도착하였음을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긴급 알람 메시지를 더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수술도구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송장처리부는 수술도구를 요청한 병원 부서 정보 또는 수술실 정보와 수술도구 명칭과 수량과 출고 날짜 및 시간을 포함하는 수술도구 출고정보를 라벨스티커 출력형식으로 변환하여 프린터로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수술도구 관리 시스템.
  4. 프로세서와 저장부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병원 수술도구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통신부와 사용자 조작부와 카메라와 표시부와 프린터와 스캐너를 포함하며,
    관리자 조작 및 입력에 따라 병원 창고에 입고되는 수술도구의 식별정보와 명칭과 수량과 입력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는 수술도구 입고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와;
    병원 부서 단말 또는 수술실 단말로부터 전송된 수술도구의 명칭과 수량과 의료진정보를 포함하는 수술도구 요청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하며, 새로운 수술도구 요청정보가 도착하였음을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카메라에서 촬영된 복수의 수술도구가 올려진 트레이 전체 영역 이미지에서 수술도구 식별정보만으로 구성된 이미지를 추출한 후 추출된 수술도구 식별정보만으로 구성된 이미지에서 각 수술도구의 식별정보를 판별하고, 각 수술도구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수술도구의 명칭을 저장부로부터 검출한 후 판별된 수술도구 식별정보의 개수를 이용하여 트레이에 올려진 수술도구의 수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수술도구 요청정보에 포함된 수술도구의 명칭 및 수량과 검출된 수술도구 명칭 및 수량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소리 또는 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와;
    세정액 또는 증류수에 담지된 수술도구를 초음파로 1차 세척하고, 1차 세척된 수술도구를 초순수에 담지한 후 질소를 이용하여 2차 세척하고, 2차 세척이 완료된 수술도구를 건조하고 멸균소독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 건조 및 멸균소독된 수술도구들을 포장하여 하나의 포장물품으로 만드는 단계와;
    관리자 조작 및 입력에 따라 상기 포장물품을 사람이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송장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프린터로 출력하는 단계와;
    카메라에서 촬영된 송장정보가 부착된 포장물품 이미지와 상기 송장정보를 포함하는 출고대기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출고대기중인 포장물품에 부착된 송장정보를 스캔한 정보가 입력되면 출고날짜 및 시간과 포장물품에 포함된 수술도구의 명칭과 수량을 포함하는 수술도구 출고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저장부에 저장된 수술도구 입고정보와 수술도구 출고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남아있는 수술도구의 종류와 수량을 계산하여 재고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병원 수술도구 관리 방법.
  5. 청구항 4 에 있어서,
    병원 부서 단말 또는 수술실 단말로부터 전송된 수술도구의 명칭과 수량과 의료진정보를 포함하는 수술도구 요청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하며, 새로운 수술도구 요청정보가 도착하였음을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수술도구 요청정보에 포함된 부가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수술도구 요청정보가 응급신청인 경우, 응급 수술도구 요청정보가 도착하였음을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긴급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수술도구 관리 방법.
  6. 청구항 4 있어서,
    상기 관리자 조작 및 입력에 따라 상기 포장물품을 사람이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송장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프린터로 출력하는 단계는,
    수술도구를 요청한 병원 부서 정보 또는 수술실 정보와 수술도구 명칭과 수량과 출고 날짜 및 시간을 포함하는 수술도구 출고정보를 라벨스티커 출력형식으로 변환하여 프린터로 출력하는 단계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수술도구 관리 방법.
KR1020220054902A 2022-05-03 2022-05-03 병원 수술도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60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902A KR102560476B1 (ko) 2022-05-03 2022-05-03 병원 수술도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CT/KR2023/005998 WO2023214779A1 (ko) 2022-05-03 2023-05-03 병원 수술도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230089197A KR20230155371A (ko) 2022-05-03 2023-07-10 병원 수술도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902A KR102560476B1 (ko) 2022-05-03 2022-05-03 병원 수술도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9197A Division KR20230155371A (ko) 2022-05-03 2023-07-10 병원 수술도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0476B1 true KR102560476B1 (ko) 2023-07-26

Family

ID=874275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902A KR102560476B1 (ko) 2022-05-03 2022-05-03 병원 수술도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230089197A KR20230155371A (ko) 2022-05-03 2023-07-10 병원 수술도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9197A KR20230155371A (ko) 2022-05-03 2023-07-10 병원 수술도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560476B1 (ko)
WO (1) WO2023214779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8038A (ja) * 2005-05-10 2006-11-24 Hiroshi Takakusa 医療機器流通管理システム
KR20110111977A (ko) * 2010-04-06 2011-10-12 (주)메디이노 알에프아이디에 기반한 수술용품 관리 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140127534A (ko) 2013-04-25 2014-11-04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수술 정보 관리 장치 및 그 관리 방법
KR20160116949A (ko) * 2015-03-31 2016-10-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술 기구 및 시술 기구 자동 인식 시스템 및 이의 정보 처리 방법
US20160371639A1 (en) * 2010-03-17 2016-12-22 Medical Tracking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nd managing medical device inventory
KR101886172B1 (ko) * 2017-12-21 2018-09-06 주식회사 에스아이메디칼 의료기관용 재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920B1 (ko) * 2002-05-13 2004-07-19 전수동 자동 포장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8038A (ja) * 2005-05-10 2006-11-24 Hiroshi Takakusa 医療機器流通管理システム
US20160371639A1 (en) * 2010-03-17 2016-12-22 Medical Tracking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nd managing medical device inventory
KR20110111977A (ko) * 2010-04-06 2011-10-12 (주)메디이노 알에프아이디에 기반한 수술용품 관리 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140127534A (ko) 2013-04-25 2014-11-04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수술 정보 관리 장치 및 그 관리 방법
KR20160116949A (ko) * 2015-03-31 2016-10-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술 기구 및 시술 기구 자동 인식 시스템 및 이의 정보 처리 방법
KR101703779B1 (ko) 2015-03-31 2017-02-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술 기구 및 시술 기구 자동 인식 시스템 및 이의 정보 처리 방법
KR101886172B1 (ko) * 2017-12-21 2018-09-06 주식회사 에스아이메디칼 의료기관용 재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4779A1 (ko) 2023-11-09
KR20230155371A (ko) 202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510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medical instruments and devices
EP1816972B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for medical devices
JP3199614U (ja) 手術器具管理システム
US20150302157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Counting Packaged, Consumable, Medical Items Such as Surgical Suture Cartridges
JP2009077965A (ja) 医療器具管理用携帯端末、医療器具管理システム、及び該使用方法
WO2013148449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suitability of a mechanical implant for a medical procedure
US9268906B2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facilitating location and retrieval of health information in a healthcare system
TWI730728B (zh) 器械滅菌監測系統以及器械滅菌監測方法
JP5317783B2 (ja) 薬剤情報管理装置、薬剤情報管理方法、及び薬剤情報管理システム
JP2020003994A (ja) 手術セットおよび器具の管理システム
JP2022545544A (ja) 外科的処置中に手術用器具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TWM601369U (zh) 器械滅菌監測系統
KR102560476B1 (ko) 병원 수술도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TWI577371B (zh) 可快速精準拿取或補充物件的取物裝置
JP6250534B2 (ja) 外科器械システムの追跡管理用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80019865A (ko) 자가 건강관리 정보 기반의 맞춤형 문진지원 시스템
JP7389646B2 (ja) 医療器具セットの管理システム
JP2021108029A (ja) 医療器具セットの管理システム
JP2011204206A (ja) 医療機器情報管理システム
JP7043181B2 (ja) 手術器材管理端末、手術器材管理端末用プログラムおよび手術器材管理システム
TWI806079B (zh) 急救車藥品清點方法、程式及可讀取媒體
US11508470B2 (en) Electronic medical data tracking system
JP6767126B2 (ja) 手術器具セット管理システム
JP735805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20230159933A (ko) 영상처리 기법을 활용한 수술도구 이력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