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662B1 -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 Google Patents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662B1
KR102559662B1 KR1020220105981A KR20220105981A KR102559662B1 KR 102559662 B1 KR102559662 B1 KR 102559662B1 KR 1020220105981 A KR1020220105981 A KR 1020220105981A KR 20220105981 A KR20220105981 A KR 20220105981A KR 102559662 B1 KR102559662 B1 KR 102559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ormation
illeg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59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임
Original Assignee
(주)아이토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토브 filed Critical (주)아이토브
Priority to KR1020220105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66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6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06Q50/3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소 불법주차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기차의 충전을 위한 전기차 충전기; 전면부가 개방되어 상기 전기차 충전기를 보호하기 위한 덮개 하우징 구조의 캐노피; 상기 캐노피 상단부에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상기 전기차 충전 주차구역에 출입하는 차량을 촬영하여 녹화하는 CC 카메라장치; 및 상기 캐노피 정면의 측면부에 설치되어, 전기차가 충전 주차구역의 주정차 위반 정보 및 과금되는 주차요금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주차요금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 시스템을 구비하는 주차관제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comprising: an electric vehicle charger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 canopy of a cover housing structure for protect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by opening the front portion; a CC camera device installed at the top of the canopy to record and record vehicles entering and exit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area in real time; and a parking control device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canopy, displaying parking violation information and charged parking fee information in a parking area where electric vehicles are charged, and having a payment system for paying the parking fee.

Description

전기차 충전소 불법주차관리 시스템{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본 발명은 불법주차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차 충전 주차구역(P)의 불법주차를 예방하고, 원할한 전기차 충전소 운영을 유도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소 불법주차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capable of preventing illegal parking in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area (P) and inducing smooth ope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발명된지 100여년이 지난 내연기관 자동차의 치명적인 문제인 환경오염을 해결한다는 고전적인 이유만이 아니라, 개발 초기에 비교해서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개선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를 비롯한 전기자동차용 핵심 부품의 성능과 산업화의 진행 수준과 더불어, 다양한 국가적 지원책 등으로 인해서, 그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이며, 그 증가 속도고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Not only for the classical reason of solving environmental pollution, which is a fatal problem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s that have been invented for more than 100 years, but also due to the advanced level of industrialization and the performance of key parts for electric vehicles, including batteries for electric vehicles that have been incomparably improved compared to the early stage of development, and various national support measures, the demand will continue to increase, and the increase rate is expected to accelerate.

이에 따라, 최근 아파트, 대형 마트, 사무용 건물 등의 주거/사무/산업용 빌딩에 부속된 일반 주차장에서 일정 공간 할당하여, 전기자동차 주차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Accordingly, a certain space is allocated in a general parking lot attached to a residential/office/industrial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building, a large mart, and an office building to provide a parking space for an electric vehicle.

하지만, 전기자동차를 이용하지 않는 일부 운전자들이, 전기자동차 충전 구역에 주차를 하거나, 또는 전기자동 차 운전자들이 전기자동차 충전 구역에서 충전을 진행한뒤, 긴 시간 차를 이동하지 않아 충전이 필요한 다른 사람이 이용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However, some drivers who do not use electric vehicles park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zone, or electric vehicle drivers do not move the car for a long time after charging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zone, so others who need charging cannot use it.

전기자동차 충전 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그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기술이 국내등록특허 제10-1729450호(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 차 관리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이하 종래기술)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LPR장치를 이용하여, 주차 정보를 표시하고 차량을 감지하며, 그에 따른 주차 차량의 입출차 시간을 카운트하는 등의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A technology for recognizing the license plate number of a vehicle parked in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rea and providing a parking management system therefor has been disclosed in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729450 (an LPR device hav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nd a vehicle number recognition function and a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nd its operation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ior art). The prior art provide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that displays parking information, detects a vehicle, and counts the entry/exit time of the parked vehicle using the LPR device.

하지만, 일반 자동차 차량의 운전자가 전기자동차 주차공간에 주차한 뒤, 차를 장시간 동안 출차하지 않더라도 효과적으로 제재할 방법이 없고, 전기차 충전소의 원활하고 효율적인 운영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no effective way to sanction even if the driver of a general vehicle vehicle parks in an electric vehicle parking space and does not leave the vehicle for a long time, and it is difficult to operate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smoothly and efficiently.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과제는 다음과 같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의 과제는 전기차 충전 주차구역(P)의 불법주차를 예방하고, 원할한 전기차 충전을 유도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소 불법주차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Firs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at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that can prevent illegal parking in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area (P) and induce smooth electric vehicle charging.

둘째, 본 발명의 과제는 전기차 충전 주차구역(P) 내에 무단 불법 주차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금된 불법 주차요금을 결제하지 않고 출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소 불법주차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Seco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unauthorized and illegal parking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area (P), as well as prevent leaving the vehicle without paying the charged illegal parking fee.

셋째, 본 발명의 과제는 과금되는 주차요금 정보에 대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의 운전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 전화기로 경고 및 과금 주차요금 정보를 일정한 주기로 전송하여 경고함으로써, 불법 주차의 예방과 함께 불법 주차 시간을 단축시켜 전기차 충전소 운영을 원할하게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Thir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that can prevent illegal parking and reduce illegal parking time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by transmitting warnings and charged parking fee information to a mobile phone carried by a driver of a vehicle through a network with respect to charged parking fee information at regular intervals.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수단은, 전기차 충전소 불법주차관리 시스템으로, 전기차의 충전을 위한 전기차 충전기; 전면부가 개방되어 상기 전기차 충전기를 보호하기 위한 덮개 하우징 구조의 캐노피; 상기 캐노피 상단부에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상기 전기차 충전 주차구역에 출입하는 차량을 촬영하여 녹화하는 CC 카메라장치; 및 상기 캐노피 정면의 측면부에 설치되어, 전기차가 충전 주차구역의 주정차 위반 정보 및 과금되는 주차요금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주차요금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 시스템을 구비하는 주차관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n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which includes an electric car charger for charging an electric car; a canopy of a cover housing structure for protect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by opening the front portion; a CC camera device installed at the top of the canopy to record and record vehicles entering and exit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area in real time; and a parking control device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canopy, displaying parking violation information and charging parking fee information in a parking area for electric vehicles to charge, and having a payment system for paying the parking fee.

여기서, 상기 주차관제장치는, 상기 CC 카메라장치로부터 수신받은 차량넘버 정보와, 상기 충전기로부터 수신받은 충전정보를 바탕으로 주차위반 여부를 판단하는 주차위반 판단부; 상기 충전정보 및 주차위반 판단 정보를 바탕으로 시간에 따라 과금되는 주차요금 정보를 생성하는 주차요금 과금부; 상기 주차요금 과금부에서 생성된 주차요금을 결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비하는 주차요금 결제부; 및 상기 충전정보, 주차위반 정보, 주차요금 정보 및 결제정보를 터치스크린 패널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arking control device includes: a parking violation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 parking violation is committed based on the vehicle numb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C camera device and the charg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harger; a parking fee charging unit generating parking fee information charged according to time based on the charging information and parking violation determination information; a parking fee payment unit having a system capable of paying the parking fee generated by the parking fee payment unit; and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charging information, parking violation information, parking fee information, and payment information on a touch screen panel.

또한, 상기 주차관제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CC 카메라장치에서 수신받은 전기차 충전 주차구역을 출입하는 차량의 차량번호 영상을 바탕으로 차량번호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전기차 충전기로부터 수신받은 전기차 충전정보를 바탕으로 주차위반 여부 정보와, 불법 주차요금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주차관제장치로 전송하는 불법주차관리 관제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it is connected to the parking control device through a network, and extracts vehicle number information based on the license plate image of the vehicle entering and exit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area received from the CC camera device, and generates parking violation information and illegal parking fee information based o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t may further include an illegal parking management control server for transmitting to the parking control device.

또한, 상기 주차관제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차 충전 차량이 충전 주차 허용 시간을 초과하여 과금되는 주차요금의 결제여부에 따라 전기차 충전 주차구역내 전기차 출입을 제한하도록 상기 주차구역 출입 구역 일부에 상하로 수직이동 가능한 볼라드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it is connected to the parking control device by wire or wirelessly and limits the entry and exit of electric vehicles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area according to whether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vehicle pays a parking fee charged for exceeding the charging parking time.

더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주차위반 정보, 주차요금 정보 및 결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음성출력장치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n audio output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t least one of the parking violation information, parking fee information, and payment information in voice.

그리고, 상기 주차관제장치는, 충전기로부터 수신받은 충전정보를 바탕으로, 충전완료된 차량의 사용자 휴대 전화기로 상기 충전정보, 주차요금 정보 및 출차권유 정보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캐노피의 전면 테두리는 LED 조명장치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king control device may transmit the charging information, parking fee information, and vehicle exit recommend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phone of the user of the fully charged vehicle based on the charg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harger, and the front edge of the canopy may be provided with an LED lighting devic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re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기 주차구역(P)내에서 충전완료 후 주차구역(P)에서 출차하지 않는 불법주차에 대한 주차요금을 불법주차 시간에 따라 과금하고 이에 대한 주차요금 정보와 함께 출차를 권유하는 정보를 차량 운전자에게 표시하여 제공함으로써, 전기차 충전 주차구역(P)의 불법주차를 예방하고, 원할한 전기차 충전을 유도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소 불법주차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that can prevent illegal parking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area (P) and induce smooth electric vehicle charging by charging a parking fee for illegal parking that does not leave the parking area (P) after completion of charging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parking area (P) according to the illegal parking time, and display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along with information on the parking fee and recommendation to leave.

둘째, 본 발명은 불법 주차에 대한 주차요금의 과금 위험을 효과적으로 경고하여 무단 불법 주차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금된 주차요금을 결제하지 않고 출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전기차 충전소 불법주차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illegal parking by effectively warning the risk of charging a parking fee for illegal parking, as well as prevent leaving the car without paying the charged parking fee.

셋째, 본 발명은 불법 주차 영상 등의 정보를 통해 명확한 근거를 가지고 범칙금 또는 과태료 등의 부과와 함께 견인 등의 사후 조치에 의한 분쟁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법 주차 과태료 수납을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불법주차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prevent disputes due to follow-up measures such as towing along with the imposition of fines or fines with clear grounds through information such as illegal parking images, but also provides an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that can efficiently handle illegal parking fines in the field.

넷째, 전기차 충전 주차구역(P)내에서 주차한 차량이 충전결제 및 충전완료 후, 출차를 위한 허용된 시간 경과 후 과금되는 주차요금 정보에 대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의 운전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 전화기로 경고 및 과금 주차요금 정보를 일정한 주기로 전송하여 경고함으로써, 불법 주차의 예방과 함께 불법 주차 시간을 단축시켜 전기차 충전소 운영을 원할하게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Fourth, after the vehicle parked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area (P) is charged and paid for, charging is completed, and the parking fee information charged after the allowed time for exiting the vehicle is transmitted through a network to the mobile phone carried by the driver of the vehicle, warning and charged parking fee information are transmitted and warned at regular intervals, thereby preventing illegal parking and reducing illegal parking time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소 불법주차관리 시스템의 구성 모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소 불법주차관리 시스템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전기차 충전소 불법주차관리 시스템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1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the configuration of an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detailed block configuration of an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detailed block configuration of an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o the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disclosures, and includes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directly between" or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describ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exis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소 불법주차관리 시스템의 구성 모식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소 불법주차관리 시스템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1 shows a configuration schematic diagram of an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hows a detailed block configuration of an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소 불법주차관리 시스템은, 전기차의 충전을 위한 전기차 충전기(100); 전면부가 개방되어 상기 전기차 충전기(100)를 보호하기 위한 덮개 하우징 구조의 캐노피(170); 상기 캐노피(170) 상단부에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상기 전기차 충전 주차구역(P)에 출입하는 차량을 촬영하여 녹화하는 CC 카메라장치(200); 및 상기 캐노피(170) 정면의 측면부에 설치되어, 전기차가 충전 주차구역(P)의 주정차 위반 정보 및 과금되는 주차요금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주차요금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 시스템을 구비하는 주차관제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ic vehicle charger 100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 canopy 170 of a cover housing structure for protect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00 by opening the front portion; a CC camera device 200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canopy 170 to record and record vehicles entering and exit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area P in real time; And a parking control device 300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canopy 170 to display parking violation information and charged parking fee information in the parking area P where the electric vehicle is charged, and a payment system for paying the parking fe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arking control device 300.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전기차 충전소 불법주차관리 시스템은, 전기차 충전기(100) 주차구역(P)내에서 충전완료 후 주차구역(P)에서 출차하지 않는 불법주차에 대한 주차요금을 불법주차 시간에 따라 과금하고 이에 대한 주차요금 정보와 함께 출차를 권유하는 정보를 차량 운전자에게 표시하여 제공함으로써, 전기차 충전 주차구역(P)의 불법주차를 예방하고, 원할한 전기차 충전을 유도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소 불법주차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As such, another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ges a parking fee for illegal parking that does not leave the parking area (P) after completion of charging in the parking area (P)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00), and displays and provides parking fe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recommending exit to the vehicle driver, thereby preventing illegal parking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area (P) and inducing smooth electric vehicle charging. .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법주차관리 시스템을 구성요소별로 상세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법주차관리 시스템은, 전기차 충전기(100), 전면부가 개방되어 충전기(100)를 덮는 하우징 구조의 캐노피(170), 캐노피(170) 상단에 설치되어 전기차 충전 주차구역(P)에 출입되는 차량을 실시간 촬영하는 CC 카메라장치(200), 전기차 충전정보, 불법주차 여부의 주차위반 정보, 과금되는 주차요금 정보를 표시하는 LCD 장치를 구비하는 주차관제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 looking at the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by component, the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ic vehicle charger 100, a canopy 170 of a housing structure with an open front portion covering the charger 100, a CC camera device 200 installed on top of the canopy 170 to record vehicles entering and exit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area P in real time,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ormation, and illegal parking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arking control device 300 having an LCD device for displaying parking violation information and charged parking fee information.

여기서, 전기차 충전기(100)는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고압의 직류 전원을 만들고 이를 전기자동차 내부의 배터리 시스템에 직접 충전하는 방식이며 완속충전기(100)의 낮은 충전률 대비 최고 2 배 정도의 충전율로(급속은 약 2배, 중속은 1배 정도임) 배터리 용량의 80%정도까지 충전할 수 있다.Here, the EV charger 100 receives AC power to generate high-voltage DC power and directly charges it in the battery system inside the electric vehicle, and can be charged up to about 80% of the battery capacity at a charging rate that is up to twice as high as the low charging rate of the slow charger 100 (about twice as fast and about twice as fast as medium speed).

이와 같은 전기차 충전기(100)를 이용하여 전기차를 충전하는 방법은 크게 AC 충전과 DC 충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전기차에 탑재되는 배터리는 고전압 DC 배터리에 충전되는 전류는 직류이어야 하는데, 보통 국가 전력망은 장거리 전송이 유리한 교류 전류를 사용하는데 이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바꾸어야만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되므로, AC 충전방식을 적용하는 전기차 충전기(100)는 AC 전류를 입력받아 배터리 충전에 필요한 고전압 DC 전류를 차량의 전류 변환 장치를 이용해 직접 만들어서 충전하게 되는 방법을 AC 충전이라고 한다.The method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using such an electric vehicle charger 100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C charging and DC charging. The battery mounted in the electric vehicle requires that the current charged to the high-voltage DC battery must be direct current. Usually, national power grids use AC current, which is advantageous for long-distance transmission, and the battery can be charged only by converting this AC current into DC current. is called AC charging.

그리고, DC 충전은 충전기(100) 쪽에서 전력망으로부터 공급받은 3상 교류 전류를 직접 직류로 변환하고 차량 쪽은 충전에 필요한 전압과 전류량을 충전기(100) 쪽에 요청하여 고전압 DC 전류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대부분의 급속 충전기(100)는 DC 충전방식을 채택한다.In DC charging, the charger 100 directly converts the three-phase alternating current supplied from the power grid into direct current, and the vehicle side requests the charger 100 for the voltage and current required for charging and inputs the high voltage DC current. Most of the fast chargers 100 adopt the DC charging method.

이와 같은 전기차 충전기(100)는 운전자가 키오스크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해서 충전 정보를 입력하고, 충전기(100) 플러그를 차량에 접속하여 충전하는 장치로서 차량정보, 충전시간, 충전 상태정보(충전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 충전 요금 및 결제정보를 포함하는 충전정보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충전기(10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충전 정보를 입력하는 충전 입력부(110)와 입력한 충전정보에 따라 카드, 모바일 페이 등의 기기의 접촉 등을 통해 전기차 충전 결제를 진행하는 충전 결제부(120)와, 충전 결제가 완료되면 충전기(100)의 플러그를 전기차 충전 접속단자에 접속하여 충전을 진행시키는 충전부(130)와, 상술한 충전 입력정보, 결제정보 등을 포함하는 충전정보를 충전기(100) 키오스크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는 충전정보 출력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uch an electric vehicle charger 100 is a device in which a driver inputs charging information using a kiosk-type display panel and connects a plug of the charger 100 to the vehicle to charge the vehicle, and can display and provide charging information including vehicle information, charging time, charging state inform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degree of charging), charging rate, and payment information on the display panel. That is, the charger 100 includes a charging input unit 110 through which a user inputs charging information through a display panel, a charging payment unit 120 that proceeds with charging and payment for an electric vehicle through contact with a device such as a card or mobile pay according to the input charging information, a charging unit 130 that proceeds with charging by connecting the plug of the charger 100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nection terminal when charging and payment is completed, and charg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harging input information and payment information, and the like to the charger 100 kiosk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harging information output unit 140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of the devic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노피(170)는 충전기(100)를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일부분 보호하기 위해, 충전 공간인 전면부가 개방되어 있는 덮개 형상의 하우징 구조이다. 전기차 충전기(100)는 고전압 및 고전류가 흐르는 장치라는 점에서 빗물 등에 의해 합선 및 폭발 사고 등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면, 후면 및 측면을 가릴 수 있는 덮개 구조의 캐노피(170)가 요구된다. As shown in FIG. 1 , the canopy 170 is a cover-shaped housing structure in which a front portion, which is a charging space, is opened in order to partially protect the charger 100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Since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00 is a high-voltage and high-current device, a canopy 170 having a cover structure that can cover the top, rear, and side surfaces is required to prevent risks such as short circuits and explosion accidents caused by rainwater.

또한, 캐노피(170)의 외측면에는 광고판을 구비하여 다양한 광고를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고판(175)을 LED 및 LCD 등의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광고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various advertisements can be displayed by providing a billboar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nopy 170, and various advertisements can be quickly and effectively displayed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through an electronic display device such as LED or LCD using the billboard 175.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노피(170)의 전면 테두리에 LED 조명장치(173)를 구비할 수 있는데, 청색, 녹색 및 적색 등의 다양한 색상으로 조명할 수 있고, 필요 또는 설정에 따라 색상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an LED lighting device 173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edge of the canopy 170, and it may illuminate in various colors such as blue, green, and red, and the color may be changed according to need or sett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법주차관리 시스템 캐노피(170)의 전면 테두리에 LED 조명장치(173)를 구비하여 조명하는 것은, 전기차 충전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현재 상태를 LED 조명의 색상으로 표시하여 전기차 충전소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에게 충전소 이용 상태를 쉽게 알리고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특히 야간에, 청색 조명일 때는 현재 전기차 충전구역이 비어 있는 상태로 충전 가능함을 알리는 것이고, 녹색 조명일 때는 현재 전기차 충전 중임을 알리는 것이고, 적색 조명일 때는 주차 또는 정차 위반의 상태를 알리는 것으로 설정하여 전기차 충전소 이용자들에게 충전소 사용의 상태 정보를 가시성 및 직관성을 높여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reason why the front rim of the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canopy 17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LED lighting devices 173 to illuminate is that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parked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rea is displayed in the color of the LED lighting, so that users who want to use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can easily inform and deliver the charging station usage status. For example, especially at night, when blue light is displayed, it is notified that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rea is currently empty and charging is possible, when green light is displayed, it is notified that the electric car is currently being charged, and when red light is set to notify parking or stopping violation conditions, visibility and intuitiveness of information on the status of using the charging station can be provided to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users.

여기서, LED 조명장치는 전술한 캐노피의 테두리 등에 적용하는 것 외에도, 벽보판 또는 키오스크 형태로 충전기 부근에 설치하여, 충전소 이용상태 정보를 알리는 것도 가능하고, 그 밖에 광고 정보를 알리는 조명장치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LED lighting device, in addition to being applied to the rim of the canopy described above, can be installed near the charger in the form of a wallboard or kiosk to notify the charging station usage status information, and other advertising informat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it as a lighting device.

또한, 도 1에 도시된 CC 카메라장치(200)는 CCTV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장치를 구비한 장치로서, 실시간을 전기차 충전 주차구역(P)내 출입하는 차량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이 CC 카메라장치(200)를 구비하는 것은, 전기차 충전 주차구역(P)내의 불법 주차 여부에 대한 증거자료를 확보하고, 해당 영상을 통해 차량번호 등의 차량정보를 확보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양한 안전사고에 대한 영상을 확보하여 사건 발생 후 책임소재 등의 판단에 근거자료를 확보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CC camera device 200 shown in FIG. 1 is a device equipped with a CCTV device and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is a device that acquires imag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ntering and exit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area P in real time. In this way, having the CC camera device 200 is to secure evidence of whether or not illegal parking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area (P) and secure vehicle information such as vehicle number through the image, as well as securing images for various safety accidents to secure basis data for determining responsibility after an incident occurs.

그리고, 주차관제장치(300)는 캐노피(170) 정면의 측면부에 설치되어, 전기차가 충전 주차구역(P)의 주정차 위반 정보 및 과금되는 주차요금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주차요금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 시스템을 구비하는 장치일 수 있다. 즉, 주차관제장치(300)는 충전기(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충전정보를 수신받고, 수신받은 충전정보에 따라 현재 전기차 충전 주차구역(P) 내에 진입하여 주차된 차량의 주차위반 여부를 판단하고, 충전 완료 후 출차하지 않는 차량에 시간에 따른 주차요금을 과금하고 과금되는 주차요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arking control device 300 is installed on the side part of the front of the canopy 170, displays parking violation information and charged parking fee information in the charging parking area P of the electric vehicle, and pays the parking fee. It may be a device equipped with a payment system. That is, the parking control device 300 is connected to the charger 100 by wire or wirelessly to receive charging information, and according to the received charging information, determines whether or not a parking violation of a vehicle currently parked in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area P is provided, and after charging is completed, a device capable of charging a parking fee according to time to a vehicle that does not leave the vehicle and displaying the information on the charged parking fee is provided.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관제장치(300)는, LCD 패널 형태로, 캐노피(170)의 측면부에 장착되어 전기차를 충전하고자 하는 차량 운전자가 쉽게 접근하여 터치 패널을 통해 쉽게 입력하고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서, 상기 CC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수신받은 차량정보와 상기 충전기(100)로부터 수신받은 충전정보를 바탕으로 주차위반 여부를 판단하는 주차위반 판단부(310); 상기 충전정보 및 주차위반 판단 정보를 바탕으로 시간에 따라 과금되는 주차요금 정보를 생성하는 주차요금 과금부(320); 상기 주차요금 과금부(320)에서 생성된 주차요금을 결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비하는 주차요금 결제부(330); 및 상기 충전정보, 주차위반 정보, 주차요금 정보 및 결제정보를 터치스크린 패널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the parking control device 300 is a device in the form of an LCD panel moun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anopy 170 so that a vehicle driver who wants to charge an electric vehicle can easily approach and easily input and check displayed information through a touch panel. A parking violation determining unit 310 that determines whether a parking violation is committed based on the vehicl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C camera device 200 and the charg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harger 100; a parking fee charging unit 320 that generates parking fee information charged according to time based on the charging information and parking violation determination information; a parking fee payment unit 330 having a system capable of paying the parking fee generated by the parking fee payment unit 320; and a display unit 340 that displays the charging information, parking violation information, parking fee information, and payment information on a touch screen panel.

여기서, 주차위반 판단부(310)는, 충전기(100)에서 수신받은 충전정보로부터 충전완료 여부를 확인하고, 충전완료 후에는 출차를 위한 준비시간으로 허용되는 일정한 시간 경과 후에 충전 주차구역(P)내의 주차는 주차위반에 해당하게 되므로, 이를 판단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그러므로, 주차위반 판단부(310)는 차량이 충전 주차구역(P)내에 주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감지장치를 구비할 수 있고, 감지된 차량의 유무 정보와 충전완료에 따른 주차금지 시간 정보를 바탕으로 실시간으로 충전 주차구역(P)내에 주차되어 있는 차량의 주차위반 여부를 판단한다.Here, the parking violation judging unit 310 checks whether or not charging is complete from the charg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harger 100, and after charging is complete, parking within the charging parking area P is a parking violation, so it is a component for determining this. Therefore, the parking violation determining unit 310 may include a detection device for check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charging parking area P, and based on the detected vehicle presence information and parking prohibition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charging completion, it is determined in real time whether the vehicle parked in the charging parking area P has a parking violation.

여기서 차량의 충전 주착구역내 주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CC 카메라장치(200)에서 수신받은 영상정보로부터 차량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주차관제장치(300)에 설치된 물체 감지장치 등의 IoT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Here,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charging area,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vehicle from the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C camera device 200, and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vehicle using an IoT sensor such as an object detection device installed in the parking control device 300.

주차요금 과금부(320)는 주차위반 판단부(310)에서 주차위반으로 판단되는 경우, 시간에 따라 주차요금이 과금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당 불법 주차비용을 실시간으로 산출하여 과금되는 LCD 패널로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34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시간당 불법 주차비용은 통상의 비용보다 높게 설정하여 불법 주차 예방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When the parking violation determination unit 310 determines that a parking violation is determined, the parking fee charging unit 320 calculates a preset illegal parking fee per hour in real time so that the parking fee can be charged according to time. Here, the illegal parking cost per hour may be set higher than the normal cost to increase the effect of preventing illegal parking.

또한, 주차요금 결제부(330)는 상기 주차요금 과금부(320)에서 생성된 주차요금을 결제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충전기(100)의 충전 결제부(120)와 동일하게, 카드 또는 모바일 페이 등으로 결제 또는 정산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340)를 통해 결제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king fee payment unit 330 may be provided as a system capable of paying the parking fee generated by the parking fee billing unit 320. Like the charging and payment unit 120 of the charger 100, a system capable of paying or settling with a card or mobile pay and displaying payment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340 may be provided.

또한, 디스플레이부(340)는 전술한 주차위반 정보, 주차요금 정보 및 결제정보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는 것뿐만 아니라,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음성출력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전기차 운전자가 주차관제장치(300)에 가까이 가지 않으면 정보를 확인하는 어려움을 음성 출력을 통해 보완하고, 불법 주차에 대한 주차요금의 과금 위험을 효과적으로 경고하여 무단 불법 주차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40 may include an audio output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in voice as well as displaying the aforementioned parking violation information, parking fee information, and payment information on the display panel. This is to supplement the difficulty of checking information when the electric vehicle driver does not approach the parking control device 300 through voice output, and to effectively prevent unauthorized illegal parking by effectively warning the risk of charging parking fees for illegal parking.

이와 같은 주차관제장치는 도 1에 예시된 실시예와 달리, 또 다른 실시예로서, 세톱박스 또는 독립된 키오스크 형식으로 전기차 충전구역의 주차 관리 및 불법 주차관리를 관제하는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야외에 전기차 충전기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노피를 구비하여 비 등의 외부 자연환경으로부터 충전기를 보호해야 하지만, 실내에 설치되는 충전기의 경우에는 캐노피가 요구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캐노피 없이 충전기와, 키오스크 형태로 전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주차관제장치 및 볼라드를 포함하여 전기차 충전소 불법주차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미도시)Unlike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1 , such a parking control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 system for controlling parking management and illegal parking management in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rea in the form of a set-top box or an independent kiosk, as another embodiment. When an electric vehicle charger is installed outdoors, a canopy should be provided to protect the charger from external natural environments such as rain, as shown in FIG. 1, but a canopy is not required for a charger installed indoors.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n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including a charger without a canopy, a parking control device performing the above functions in the form of a kiosk, and a bollard (not shown).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소 불법주차관리 시스템은, 전술한 주차관제장치(3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차 충전 차량이 충전 주차 허용 시간을 초과하여 과금되는 주차요금의 결제여부에 따라 전기차 충전 주차구역(P)내 전기차 출입을 제한하도록 상기 주차구역(P) 출입 구역 일부에 상하로 수직이동 가능한 볼라드 장치(400)를 구비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parking control device 300 by wire or wirelessly, and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vehicle may be provided with a bollard device 400 capable of vertically moving vertically in a part of the parking area P to restrict entry and exit of the electric vehicle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area P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parking fee charged for exceeding the charging parking time is paid.

전기차 충전 주착구역내에 차량을 주차하고, 충전결제 및 충전을 완료한 후, 미리 설정된 출차 준비를 위한 주차 허용 시간을 경과한 후에도, 계속하여 주차하고 불법 주차에 대한 주차요금이 과금되어 주차관제장치(300)의 디스플레이부(340)를 통해 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과금된 불법 주차요금을 결제하지 않고 무단으로 출차하여 차량을 이동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기차 충전 주차구역(P)의 출입 구역에 상하로 직선 이동이 가능한 바(bar) 형태의 볼라드 장치(400)가 설치되어, 주차관제장치(300)를 통해 주차구역(P)의 출차를 제한할 수 있다.Even after parking the vehicle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rea, completing the charge payment and charging, and after elapsed the parking allowable time for preparing for exit, the vehicle continues to be parked and the parking fee for illegal parking is charged and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340 of the parking control device 300. A bollard device 400 in the form of a movable bar is installed, and the parking control device 300 can limit the exit of the parking area P.

즉, 평상시에는 볼라드가 하강하여 전기차 충전 주차구역(P)을 개방하고, 차량인 주착구역내로 진입하여 주차하고 충전을 완료한 후 출차를 위해 허용된 시간을 경과한 후에는, 볼라드가 수직 상승하여 출차를 제한할 수 있으며, 차량의 운전자는 주차관제장치(300)를 통해 과금된 주차요금을 결제하게 되면, 볼라드가 다시 수직 하강하여 주차구역(P)을 개방하고 차량을 출차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볼라드 장치(400)는 주차관제장치(3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주차관제장치(300)에 의해 수직 상승 및 하강에 따른 동작제어를 받고 전기차 충전 주차구역(P)의 출입을 제한할 수 있다.That is, in normal times, the bollard descends to ope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area (P), enters the vehicle parking area, parks, completes charging, and after the allowed time for exit has elapsed, the bollard rises vertically to limit the vehicle's exit, and when the driver of the vehicle pays the parking fee charged through the parking control device 300, the bollard descends vertically again to open the parking area (P) and unload the vehicle. Therefore, the bollard device 400 is connected to the parking control device 300 by wire or wirelessly, receives operation control according to vertical elevation and descent by the parking control device 300, and restricts access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area P.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소 불법주차관리 시스템은 주차관제장치(300) 및 볼라드 장치(400)를 통해 불법으로 전기차 충전 주차구역(P)내에 불법 주차되어 있는 차량에 주차요금을 시간에 따라 실시간으로 주차요금이 과금되는 것을 표시하고 출차를 제한 함으로써, 차량 운전자가 차량을 무단으로 방치하여 불법 주차시키거나 범칙금으로 부과되는 과태료 등을 무시하고 무단 주차하는 것을 경고하고 예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금된 주차요금을 결제하지 않고 출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such,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parking fee charged to a vehicle illegally parked in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area P through the parking control device 300 and the bollard device 400 in real time according to time and restricts exit, thereby warning and preventing a vehicle driver from leaving the vehicle illegally and illegally parking or ignoring fines imposed as fines, and preventing illegal parking.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preventing a driver from leaving the vehicle without paying the charged parking fee.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전기차 충전소 불법주차관리 시스템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3 shows a detailed block configuration of an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소 불법중차관리 시스템은, 충전기(100), CC 카메라장치(200), 주차관제장치(300) 및 볼라드 장치(400)와 함께, 상기 주차관제장치(3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CC 카메라장치(200)에서 수신받은 전기차 충전 주차구역(P)을 출입하는 차량의 차량번호 영상을 바탕으로 차량번호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전기차 충전기(100)로부터 수신받은 전기차 충전정보를 바탕으로 주차위반 여부 정보와, 불법 주차요금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주차관제장치(300)로 전송하는 불법주차관리 관제서버(500)와, 상기 주차관제장치(300)에 의해 충전기(100)로부터 수신받은 충전정보를 바탕으로, 충전정보, 주차요금 정보 및 출차권유 정보를 수신받는 차량의 운전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휴대 전화기(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illegal heavy vehicl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parking control device 300 through a network together with the charger 100, the CC camera device 200, the parking control device 300, and the bollard device 400, and extracts vehicle number information based on the vehicle number image of the vehicle entering and exit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area P received from the CC camera device 200, and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 Based o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100), parking violation information and illegal parking fee information ar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illegal parking management control server 500, and the parking control device 300 Based on the charg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harger 100, the user's mobile phone 600 carried by the driver of the vehicle receiving charging information, parking fee information, and exit recommendation inform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소 불법주차관리 시스템은 주차관제장치(300)와 불법 주차 여부를 단속하는 지방자치단체 등의 불법주차관리 관제서버(500)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CC 카메라장치(200) 수신받은 전기차 충전 주차구역(P)내 주차되어 있는 차량의 주차영상 및 주차관제장치(300)로부터 수신받은 전기차 충전정보 및 주차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의 불법 주차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불법 주차에 따라 과금되는 주차요금 정보를 산출하여 생성하여 다시 주차관제장치(300)로 전송하여 표시 및 출력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the parking control device 300 and the illegal parking management control server 500 of a local government that regulates illegal parking are connected to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nd illegal parking information of a vehicle can be generated based on the parking image of a vehicle parked in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area P received by the CC camera device 200 and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ormation and park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arking control device 300. Through this, it provides a system that can calculate and generate parking fee information charged according to illegal parking, transmit it to the parking control device 300, and display and output it.

즉,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기차가 아닌 일반 차량이 전기차 충전 주차구역(P)내에 불법 주차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단속하기 어려운 점을 해결하기 위해, CC카메라 장치에서 확보된 주차 영상을 확보하고,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차량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차량번호를 바탕으로 등록되어 있는 전기차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불법 주차 여부를 판단하고 추가적으로 불법 주차요금을 시간에 따라 실시간으로 산출하여 주차관제장치(30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불법주차관리 관세서버(5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510) 및 불법주차 여부를 판단하고 저장하며 관리하는 불법주차 관리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real-time enforcement when a general vehicle other than an electric vehicle is illegally parked in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area (P), a parking image obtained from a CC camera device is secured, a vehicle number is extracted in real time using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and based on the extracted license plate number,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a registered electric vehicle to determine illegal parking, and additionally, an illegal parking fee is calculated in real time over time and displayed through the parking control device 300. provides Here, the illegal parking management customs server 5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510 capable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a network and an illegal parking management unit 530 that determines, stores, and manages illegal parking.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소 불법주차관리 시스템은 불법 주차를 단속하는 기관의 관제서버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전기차 충전 주차구역(P)의 불법 주차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단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CC 카메라장치(200)에 의해 확보된 불법 주차 영상 등의 정보를 통해 명확한 근거를 가지고 범칙금 또는 과태료 등의 부과와 함께 견인 등의 사후 조치에 의한 분쟁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법 주차 과태료 수납을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불법주차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control server of an agency that cracks down on illegal parking through a network to monitor and crack down on illegal parking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area (P) in real time, and, if necessary, the CC camera device 200. It is not only possible to prevent disputes due to follow-up measures such as towing along with the imposition of fines, etc. with a clear basis through information such as illegal parking images obtained by the CC camera device 200, as well as receiving fines for illegal park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that can efficiently process on-site.

또한, 도 3에 예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소 불법주차관리 시스템은, 주차관제장치(300)에서 전기차 충전 주차구역(P)내에서 주차한 차량이 충전결제 및 충전완료 후, 출차를 위한 허용된 시간 경과 후 과금되는 주차요금 정보에 대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의 운전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 전화기(600)로 경고 및 과금 주차요금 정보를 일정한 주기로 전송하여 경고함으로써, 불법 주차의 예방과 함께 불법 주차 시간을 단축시켜 전기차 충전소 운영을 원할하게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3, after the vehicle parked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area (P) in the parking control device 300 is charged and paid for, after the charging is completed, the parking fee information charged after the allowed time for leaving the vehicle is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to the mobile phone 600 carried by the driver of the vehicle to warn and warn the driver, thereby preventing illegal parking and shortening illegal parking time to charge electric vehicle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ystem that can facilitate cattle operation.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even if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replaced or substituted by other components or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전기차 충전기
170: 캐노피
200: CC 카메라장치
300: 주차관제장치
400: 볼라드 장치
500: 불법주차관리 관제서버
600: 사용자 휴대 전화기
100: EV charger
170: canopy
200: CC camera device
300: parking control device
400: bollard device
500: illegal parking management control server
600: user mobile phone

Claims (7)

전기차의 충전을 위한 전기차 충전기;
전면부가 개방되어 상기 전기차 충전기를 보호하기 위한 덮개 하우징 구조의 캐노피;
상기 캐노피 상단부에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상기 전기차 충전 주차구역에 출입하는 차량을 촬영하여 녹화하는 CC 카메라장치; 및
상기 캐노피 정면의 측면부에 설치되어, 전기차가 충전 주차구역의 주정차 위반 정보 및 과금되는 주차요금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주차요금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 시스템을 구비하는 주차관제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주차관제장치는, 상기 CC 카메라장치로부터 수신받은 차량넘버 정보와, 상기 충전기로부터 수신받은 충전정보를 바탕으로 주차위반 여부를 판단하는 주차위반 판단부; 상기 충전정보 및 주차위반 판단 정보를 바탕으로 시간에 따라 과금되는 주차요금 정보를 생성하는 주차요금 과금부; 상기 주차요금 과금부에서 생성된 주차요금을 결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비하는 주차요금 결제부; 및 상기 충전정보, 주차위반 정보, 주차요금 정보 및 결제정보를 터치스크린 패널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캐노피의 전면 테두리 및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인근에 각각 LED 조명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캐노피의 전면 테두리에 구비된 LED 조명장치는 상기 전기차 충전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현재 상태를 LED 조명의 색상으로 표시하되, 설정에 따라 색상을 변경하여 표시하며,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인근에 구비된 LED 조명장치는 충전소 이용상태와 광고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소 불법주차관리 시스템.
EV chargers for charging EVs;
a canopy of a cover housing structure for protect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by opening the front portion;
a CC camera device installed at the top of the canopy to record and record vehicles entering and exit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area in real time; and
A parking control device installed on the side part of the front side of the canopy, displaying parking violation information and charged parking fee information in the parking area where the electric vehicle is charged, and having a payment system for paying the parking fee,
The parking control device includes: a parking violation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 parking violation is committed based on the vehicle numb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C camera device and the charg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harger; a parking fee charging unit generating parking fee information charged according to time based on the charging information and parking violation determination information; a parking fee payment unit having a system capable of paying the parking fee generated by the parking fee payment uni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harging information, parking violation information, parking fee information, and payment information on a touch screen panel,
An LED lighting device is provided near the front edge of the canopy and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respectively,
The LED lighting device provided on the front edge of the canopy displays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parked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area in the color of the LED light, but the colo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etting, and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LED lighting device provided near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displays the charging station usage status and advertisement informa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관제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CC 카메라장치에서 수신받은 전기차 충전 주차구역을 출입하는 차량의 차량번호 영상을 바탕으로 차량번호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전기차 충전기로부터 수신받은 전기차 충전정보를 바탕으로 주차위반 여부 정보와, 불법 주차요금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주차관제장치로 전송하는 불법주차관리 관제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소 불법주차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Connected to the parking control device through a network,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further comprises an illegal parking management control server that extracts vehicle number information based on the license plate image of a vehicle entering and exit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area received from the CC camera device, and generates parking violation information and illegal parking fee information based o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transmits them to the parking contro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관제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차 충전 차량이 충전 주차 허용 시간을 초과하여 과금되는 주차요금의 결제여부에 따라 전기차 충전 주차구역내 전기차 출입을 제한하도록 상기 주차구역 출입 구역 일부에 상하로 수직이동 가능한 볼라드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소 불법주차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Connected to the parking control device by wire or wirelessly,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further comprising a bollard device capable of vertically moving up and down in a part of the parking area entrance area to limit the entry and exit of electric vehicles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area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vehicle pays a parking fee charged for exceeding the charging parking allowed tim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105981A 2022-08-24 2022-08-24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KR1025596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981A KR102559662B1 (en) 2022-08-24 2022-08-24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981A KR102559662B1 (en) 2022-08-24 2022-08-24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9662B1 true KR102559662B1 (en) 2023-07-26

Family

ID=87427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5981A KR102559662B1 (en) 2022-08-24 2022-08-24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66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559B1 (en) * 2023-08-08 2023-12-13 디비시스(주) Method for manag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using video information from closed circuit televis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288A (en) * 1986-07-10 1988-01-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easuring apparatus for long-time timer
KR20200143040A (en) * 2019-06-14 2020-12-23 최용길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KR20210105118A (en) * 2020-02-18 2021-08-26 (주)블루네트웍스 System for electric vehicle parking lot operation
KR20210150909A (en) * 2020-06-04 2021-12-13 한국전력공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Notification of Electric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288A (en) * 1986-07-10 1988-01-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easuring apparatus for long-time timer
KR20200143040A (en) * 2019-06-14 2020-12-23 최용길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KR20210105118A (en) * 2020-02-18 2021-08-26 (주)블루네트웍스 System for electric vehicle parking lot operation
KR20210150909A (en) * 2020-06-04 2021-12-13 한국전력공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Notification of Electric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559B1 (en) * 2023-08-08 2023-12-13 디비시스(주) Method for manag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using video information from closed circuit televis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9450B1 (en) Lpr device having electrical charging device and license plate recognition function and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2296004B1 (en)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 Management System
CN110634319B (en) Smart parking cloud service system
CN106530747B (en) A kind of vehicle-mounted evidence-obtaining system and method
CN109191598B (en) Parking space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CN106485840A (en) A kind of unattended cabinet type change electric system and its change method for electrically
KR101764070B1 (en) Lpr device having electrical charging device and license plate recognition function and outdoor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10626195A (en) Intelligent sharing charging pile system, use method and sharing business mode
CN106899062A (en) Charging pile by cell road
KR102559662B1 (en) Illegal 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US20230331104A1 (en) Kerbside Vehicle Charger
WO2008058424A1 (en) A method for road charging, road information and parking charging and navigation and the system thereof
CN106898024A (en) Shared vehicle parking monitoring and managing method, system and device
CN204904595U (en) Roadside parking system based on zigbeeRSSI parking stall is detected
CN106846510A (en) A kind of wisdom parking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based on compression weight sensing
CN204044889U (en) A kind of road parking intelligent charging management system
US20130193921A1 (en) Electric vehicle charge point management system
CN112884922A (en) Intelligent unattended charging management system for parking spaces inside and outside road
CN108346187A (en) A kind of intelligent parking lot charg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2405165B1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pole
CN204940165U (en) A kind of parking lot road brake system
CN202257937U (en) Device for monitoring pedestrians at road intersection
JP2022177608A (en) Branching device and system
CN210061154U (en) Highway emergency lane inspection robot
KR20220026438A (en) An illegal parking control system for eco-friendly car charging fac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