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431B1 - 다이버시티 수신기에 관련한 시스템, 디바이스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이버시티 수신기에 관련한 시스템, 디바이스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431B1
KR102559431B1 KR1020177014718A KR20177014718A KR102559431B1 KR 102559431 B1 KR102559431 B1 KR 102559431B1 KR 1020177014718 A KR1020177014718 A KR 1020177014718A KR 20177014718 A KR20177014718 A KR 20177014718A KR 102559431 B1 KR102559431 B1 KR 102559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ature
paths
signal
receiving system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4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4699A (ko
Inventor
스테판 리차드 마리 왈로지시아크
윌리엄 제이. 도미노
비풀 아가왈
Original Assignee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4/727,739 external-priority patent/US9893752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4/734,775 external-priority patent/US9571037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4/734,746 external-priority patent/US9485001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4/735,482 external-priority patent/US10050694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4/836,575 external-priority patent/US9813137B2/en
Application filed by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04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03F3/1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using a combination of severa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72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57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diplexing or multiplexing filter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8Input circuits, e.g. for coupling to an antenna or a transmission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 H04B7/08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multiple receivers and antenna path selection
    • H04B7/08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multiple receivers and antenna path selection selecting best antenna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 H04B7/082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main and with auxiliary or diversity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6Route discovery packe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11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dual or triple band amplifier, e.g. 900 and 1800 MHz, e.g. switched or not switched, simultaneously or no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294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low noise amplifier [LNA]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5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radio frequency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2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2203/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2203/211Indexing scheme relating to 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using a combination of several amplifiers
    • H03F2203/21106An input signal being distributed in parallel over the inputs of a plurality of powe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72Indexing scheme relating to 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 H03F2203/7209Indexing scheme relating to 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the gated amplifier being switched from a first band to a second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다이버시티 수신기에 관련한 시스템, 디바이스 및 방법. 일부 실시예에서, 수신 시스템은 입력과 출력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어기와 복수의 증폭기를 포함하고, 복수의 증폭기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증폭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시스템은 (a) 가변-이득 증폭기, (b) 위상-이동 컴포넌트, (c)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 (d) 증폭기-후 필터, (e) 스위칭 네트워크 및 (f) 유연한 대역 라우팅 중 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런 수신 시스템은 다이버시티 수신(DRx)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이버시티 수신기에 관련한 시스템, 디바이스 및 방법{SYSTEMS, DEVICES AND METHODS RELATED TO DIVERSITY RECEIVERS}
관련 출원 참조
본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DIVERSITY RECEIVER FRONT END SYSTEM"인 2014년 10월 3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073,043호에 대한 출원일의 혜택과 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발명의 명칭이 "DIVERSITY FRONT END SYSTEM WITH VARIABLE-GAIN AMPLIFIERS"인 2015년 6월 1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14/727,739호의 부분연속 출원이며, 이 출원들의 개시내용은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참조로 통합되어 있다.
본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DIVERSITY RECEIVER FRONT END SYSTEM"인 2014년 10월 3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073,043호, 발명의 명칭이 "CARRIER AGGREGATION USING POST-LNA PHASE MATCHING"인 2014년 10월 3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073,040호, 및 발명의 명칭이 "PRE-LNA OUT OF BAND IMPEDANCE MATCHING FOR CARRIER AGGREGATION OPERATION"인 2014년 10월 3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073,039호 각각에 대한 출원일의 혜택과 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발명의 명칭이 "DIVERSITY RECEIVER FRONT END SYSTEM WITH PHASE-SHIFTING COMPONENTS"인 2015년 6월 9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14/734,759호의 부분 연속 출원이며, 이 출원들의 개시내용은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참조로 통합되어 있다.
본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DIVERSITY RECEIVER FRONT END SYSTEM"인 2014년 10월 3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073,043호, 발명의 명칭이 "CARRIER AGGREGATION USING POST-LNA PHASE MATCHING"인 2014년 10월 3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073,040호, 및 발명의 명칭이 "PRE-LNA OUT OF BAND IMPEDANCE MATCHING FOR CARRIER AGGREGATION OPERATION"인 2014년 10월 3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073,039호 각각에 대한 출원일의 혜택과 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발명의 명칭이 "DIVERSITY RECEIVER FRONT END SYSTEM WITH IMPEDANCE MATCHING COMPONENTS"인 2015년 6월 9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14/734,775호의 부분 연속 출원이며, 이 출원들의 개시내용은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참조로 통합되어 있다.
본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DIVERSITY RECEIVER FRONT END SYSTEM"인 2014년 10월 3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073,043호 및 발명의 명칭이 "DIVERSITY RECEIVER ARCHITECTURE HAVING PRE AND POST LNA FILTERS FOR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인 2014년 11월 10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077,894호 각각에 대한 출원일의 혜택과 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발명의 명칭이 "DIVERSITY RECEIVER FRONT END SYSTEM WITH POST-AMPLIFIER FILTERS"인 2015년 6월 10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14/735,482호의 부분 연속 출원이며, 이 출원들의 개시내용은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참조로 통합되어 있다.
본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DIVERSITY RECEIVER FRONT END SYSTEM"인 2014년 10월 3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073,043호 및 발명의 명칭이 "ADAPTIVE MULTIBAND LNA FOR CARRIER AGGREGATION"인 2014년 10월 3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073,041호 각각에 대한 출원일의 혜택과 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발명의 명칭이 "DIVERSITY RECEIVER FRONT END SYSTEM WITH SWITCHING NETWORK"인 2015년 6월 9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14/734,746호의 부분 연속 출원이며, 이 출원들의 개시내용은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참조로 통합되어 있다.
본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DIVERSITY RECEIVER FRONT END SYSTEM"인 2014년 10월 3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073,043호 및 발명의 명칭이 "FLEXIBLE MULTI-BAND MULTI-ANTENNA RECEIVER MODULE"인 2014년 10월 3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073,042호 각각에 대한 출원일의 혜택과 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발명의 명칭이 "DIVERSITY RECEIVER FRONT END SYSTEM WITH FLEXIBLE ROUTING"인 2015년 8월 26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14/836,575호의 부분 연속 출원이며, 이 출원들의 개시내용은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참조로 통합되어 있다.
기술 분야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이버시티 수신 안테나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용례에서, 크기, 비용 및 성능은 주어진 제품을 위해 중요할 수 있는 인자의 예이다. 예를 들어,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이버시티 수신 안테나 및 연계된 회로 같은 무선 컴포넌트들이 점점 더 대중화되어가고 있다.
많은 무선-주파수(RF) 용례에서, 다이버시티 수신 안테나는 주 안테나로부터 물리적으로 멀리 위치한다. 양 안테나가 한 번에 사용되면, 트랜시버는 데이터 처리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양 안테나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수신 시스템의 입력과 수신 시스템의 출력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하는 무선-주파수(RF) 수신 시스템에 관련한다. 이 RF 수신 시스템은 또한 복수의 증폭기를 포함하고, 이 복수의 증폭기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증폭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이 RF 수신 시스템은 또한 RF 수신 시스템을 위해 구현된 제1 피처, 제2 피처, 제3 피처, 제4 피처, 제5 피처 및 제6 피처 중 둘 이상을 포함한다.
제1 피처는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를 포함하고,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대역통과 필터에서 수신된 신호를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필터링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증폭기 중 적어도 일부는 복수의 가변-이득 증폭기(VGA)로서 구현되고, 복수의 VGA 중 각각의 하나는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증폭기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이득으로 대응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제2 피처는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통과하는 신호를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제3 피처는 복수의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복수의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며, 복수의 경로 중 하나의 대역외 이득 또는 대역외 잡음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제4 피처는 복수의 증폭기-후 대역통과 필터를 포함하고, 복수의 증폭기-후 대역통과 필터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증폭기 중 대응하는 하나의 출력에서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해 신호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된다.
제5 피처는 하나 이상의 단극/단투 스위치를 갖는 스위칭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스위치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둘을 결합한다. 스위칭 네트워크는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제6 피처는 입력 멀티플렉서 및 출력 멀티플렉서를 포함하고, 입력 멀티플렉서는 하나 이상의 입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하나 이상의 RF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입력 멀티플렉서 출력 중 하나 이상으로 하나 이상의 RF 신호 각각을 출력하여 복수의 경로 중 각각의 하나 이상을 따라 전파시키도록 구성되고, 출력 멀티플렉서는 하나 이상의 각각의 출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복수의 경로 중 각각의 하나 이상을 따라 전파하는 하나 이상의 증폭된 RF 신호를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증폭된 RF 신호 각각을 복수의 출력 멀티플렉서 출력 중 선택된 출력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1 피처 및 제2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1 피처 및 제3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1 피처 및 제4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2 피처 및 제3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2 피처 및 제4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3 피처 및 제4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1 피처, 제2 피처 및 제3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1 피처, 제2 피처 및 제4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1 피처, 제3 피처 및 제4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2 피처, 제3 피처 및 제4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1 피처, 제2 피처, 제3 피처 및 제4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1 피처, 제2 피처 및 제5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1 피처, 제3 피처 및 제5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1 피처, 제4 피처 및 제5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2 피처, 제3 피처 및 제5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2 피처, 제4 피처 및 제5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3 피처, 제4 피처 및 제5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1 피처, 제2 피처, 제3 피처 및 제5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1 피처, 제2 피처, 제4 피처 및 제5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1 피처, 제3 피처, 제4 피처 및 제5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2 피처, 제3 피처, 제4 피처 및 제5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1 피처, 제2 피처, 제3 피처, 제4 피처 및 제5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1 피처, 제2 피처 및 제6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1 피처, 제3 피처 및 제6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1 피처, 제4 피처 및 제6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2 피처, 제3 피처 및 제6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2 피처, 제4 피처 및 제6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3 피처, 제4 피처 및 제6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1 피처, 제2 피처, 제3 피처 및 제6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1 피처, 제2 피처, 제4 피처 및 제6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1 피처, 제3 피처, 제4 피처 및 제6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2 피처, 제3 피처, 제4 피처 및 제6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1 피처, 제2 피처, 제3 피처, 제4 피처 및 제6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1 피처, 제2 피처, 제5 피처 및 제6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1 피처, 제3 피처, 제5 피처 및 제6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1 피처, 제4 피처, 제5 피처 및 제6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2 피처, 제3 피처, 제5 피처 및 제6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2 피처, 제4 피처, 제5 피처 및 제6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3 피처, 제4 피처, 제5 피처 및 제6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1 피처, 제2 피처, 제3 피처, 제5 피처 및 제6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1 피처, 제2 피처, 제4 피처, 제5 피처 및 제6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1 피처, 제3 피처, 제4 피처, 제5 피처 및 제6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2 피처, 제3 피처, 제4 피처, 제5 피처 및 제6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1 피처, 제2 피처, 제3 피처, 제4 피처, 제5 피처 및 제6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1 피처 및 제5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2 피처 및 제5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3 피처 및 제5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4 피처 및 제5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1 피처 및 제6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2 피처 및 제6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3 피처 및 제6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4 피처 및 제6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5 피처 및 제6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1 피처, 제5 피처 및 제6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2 피처, 제5 피처 및 제6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3 피처, 제5 피처 및 제6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수신 시스템은 제4 피처, 제5 피처 및 제6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구현예에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복수의 컴포넌트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패키징 기판과 패키징 기판 상에 구현된 수신 시스템을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RF) 모듈에 관한 것이다. 수신 시스템은 수신 시스템의 입력과 수신 시스템의 출력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어기와 복수의 증폭기를 포함하고, 복수의 증폭기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증폭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시스템은 또한 RF 수신 시스템을 위해 구현된 제1 피처, 제2 피처, 제3 피처, 제4 피처, 제5 피처 및 제6 피처 중 둘 이상을 포함한다.
제1 피처는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를 포함하고,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대역통과 필터에서 수신된 신호를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필터링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증폭기 중 적어도 일부는 복수의 가변-이득 증폭기(VGA)로서 구현되고, 복수의 VGA 중 각각의 하나는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증폭기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이득으로 대응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제2 피처는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통과하는 신호를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제3 피처는 복수의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복수의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며, 복수의 경로 중 하나의 대역외 이득 또는 대역외 잡음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제4 피처는 복수의 증폭기-후 대역통과 필터를 포함하고, 복수의 증폭기-후 대역통과 필터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증폭기 중 대응하는 하나의 출력에서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해 신호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된다.
제5 피처는 하나 이상의 단극/단투 스위치를 갖는 스위칭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스위치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둘을 결합한다. 스위칭 네트워크는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제6 피처는 입력 멀티플렉서 및 출력 멀티플렉서를 포함하고, 입력 멀티플렉서는 하나 이상의 입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하나 이상의 RF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입력 멀티플렉서 출력 중 하나 이상으로 하나 이상의 RF 신호 각각을 출력하여 복수의 경로 중 각각의 하나 이상을 따라 전파시키도록 구성되고, 출력 멀티플렉서는 하나 이상의 각각의 출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복수의 경로 중 각각의 하나 이상을 따라 전파하는 하나 이상의 증폭된 RF 신호를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증폭된 RF 신호 각각을 복수의 출력 멀티플렉서 출력 중 선택된 출력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모듈은 다이버시티 수신기 프론트-엔드 모듈(FEM)일 수 있다.
일부 기술에서, 본 개시내용은 하나 이상의 무선-주파수(RF)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안테나와 제1 안테나와 통신하는 제1 프론트-엔드 모듈(FEM)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제1 FEM은 복수의 컴포넌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패키징 기판을 포함한다. 제1 FEM은 패키징 기판 상에 구현된 수신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수신 시스템은 수신 시스템의 입력과 수신 시스템의 출력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어기와 복수의 증폭기를 포함하고, 복수의 증폭기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증폭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시스템은 또한 RF 수신 시스템을 위해 구현된 제1 피처, 제2 피처, 제3 피처, 제4 피처, 제5 피처 및 제6 피처 중 둘 이상을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또한 수신 시스템으로부터 처리된 버전의 하나 이상의 RF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된 버전의 하나 이상의 RF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비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제1 피처는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를 포함하고,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대역통과 필터에서 수신된 신호를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필터링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증폭기 중 적어도 일부는 복수의 가변-이득 증폭기(VGA)로서 구현되고, 복수의 VGA 중 각각의 하나는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증폭기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이득으로 대응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제2 피처는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통과하는 신호를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제3 피처는 복수의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복수의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며, 복수의 경로 중 하나의 대역외 이득 또는 대역외 잡음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제4 피처는 복수의 증폭기-후 대역통과 필터를 포함하고, 복수의 증폭기-후 대역통과 필터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증폭기 중 대응하는 하나의 출력에서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해 신호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된다.
제5 피처는 하나 이상의 단극/단투 스위치를 갖는 스위칭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스위치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둘을 결합한다. 스위칭 네트워크는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제6 피처는 입력 멀티플렉서 및 출력 멀티플렉서를 포함하고, 입력 멀티플렉서는 하나 이상의 입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하나 이상의 RF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입력 멀티플렉서 출력 중 하나 이상으로 하나 이상의 RF 신호 각각을 출력하여 복수의 경로 중 각각의 하나 이상을 따라 전파시키도록 구성되고, 출력 멀티플렉서는 하나 이상의 각각의 출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복수의 경로 중 각각의 하나 이상을 따라 전파하는 하나 이상의 증폭된 RF 신호를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증폭된 RF 신호 각각을 복수의 출력 멀티플렉서 출력 중 선택된 출력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셀룰러 폰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을 요약하기 위해, 본 발명의 소정의 양태, 장점 및 신규 피처가 본원에 설명되었다. 그러한 모든 장점들이 본원 발명의 임의의 특별한 실시예에 따라서 반드시 달성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원에 교시된 하나의 이점 또는 그룹의 이점들을, 본원에 교시되거나 암시된 다른 이점들을 반드시 달성할 필요 없이 달성하거나 최적화하는 방식으로 구현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도 1은 주 안테나 및 다이버시티 안테나에 결합된 통신 모듈을 구비한 무선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2는 DRx 프론트-엔드 모듈(FEM)을 포함하는 다이버시티 수신기(DRx)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DRx) 구성이 다중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다중 경로를 갖는 DRx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다이버시티 수신기(DRx) 모듈보다 소수의 증폭기를 갖는 다이버시티 RF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오프-모듈 필터에 결합된 DRx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6은 일부 실시예에서, 가변-이득 증폭기가 우회가능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7은 일부 실시예에서, 가변-이득 증폭기의 이득이 단계-가변성 또는 연속-가변성일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8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튜닝가능한 정합 회로를 갖는 DRx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9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다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10은 RF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하나 이상의 위상 정합 컴포넌트를 구비한 DRx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12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하나 이상의 위상 정합 컴포넌트 및 이중-스테이지 증폭기를 구비한 DRx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13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하나 이상의 위상 정합 컴포넌트 및 조합기-후 증폭기를 구비한 DRx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14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구비한 DRx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15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하나 이상의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를 구비한 DRx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16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를 구비한 DRx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17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입력 및 출력에 배치된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를 구비한 DRx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18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다수의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를 구비한 DRx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19는 RF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0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복수의 증폭기의 출력에 배치된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를 갖는 다이버시티 수신기(DRx)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21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다이버시티 수신기(DRx) 모듈보다 소수의 증폭기를 갖는 다이버시티 RF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22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오프-모듈 필터에 결합된 DRx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23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튜닝가능한 정합 회로를 갖는 DRx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24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단극/단투 스위치를 구비한 DRx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25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구비한 DRx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26은 RF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7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튜닝가능한 정합 회로를 갖는 DRx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28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다수의 전송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29는 동적 라우팅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출력 멀티플렉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0은 동적 라우팅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출력 멀티플렉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1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다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32는 동적 라우팅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입력 멀티플렉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3은 동적 라우팅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입력 멀티플렉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4 내지 도 39는 동적 입력 라우팅 및/또는 출력 라우팅을 갖는 DRx 모듈의 다양한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40은 RF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1a 및 도 41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42a 및 도 42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43a 및 도 43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44a 및 도 44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45a 및 도 45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46a 및 도 46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47a 및 도 47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48a 및 도 48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49a 및 도 49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50a 및 도 50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51a 및 도 51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52a 및 도 52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53a 및 도 53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54a 및 도 54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55a 및 도 55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56a 및 도 56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57a 및 도 57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58a 및 도 58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59a 및 도 59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60a 및 도 60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61a 및 도 61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62a 및 도 62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63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64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65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66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67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68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69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70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71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72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73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74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75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76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77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78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79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80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81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82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83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84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85a 및 도 85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86a 및 도 86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87a 및 도 87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88a 및 도 88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89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90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91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92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93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94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95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96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97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98은 일부 실시예에서,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피처를 갖는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다이버시티 수신(DRx) 모듈 같은 모듈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99는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피처를 갖는 다이버시티 수신기 아키텍쳐를 도시한다.
도 100은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피처를 갖는 무선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서두가 제공된다면, 본원에 제공된 서두는 단지 편의상의 이유이며, 청구된 발명의 범주나 의미에 반드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도입
도 1은 주 안테나(130) 및 다이버시티 안테나(140)에 결합된 통신 모듈(110)을 구비한 무선 디바이스(100)를 도시한다. 통신 모듈(110)(그리고, 그 구성 컴포넌트)은 제어기(1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통신 모듈(110)은 아날로그 무선-주파수(RF) 신호와 디지털 데이터 신호 사이에서의 변환을 위해 구성된 트랜시버(112)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트랜시버(112)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캐리어 주파수로 또는 그로부터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를 변조 또는 복조하기 위한 로컬 오실레이터, 디지털 샘플과 데이터 비트(예를 들어, 음성 또는 다른 유형의 데이터) 사이에서 변환하는 기저대역 프로세서 또는 다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0)은 주 안테나(130)와 트랜시버(112) 사이에 결합된 RF 모듈(114)을 더 포함한다. RF 모듈(114)이 케이블 손실에 기인한 감쇠를 감소시키기 위해 주 안테나(130)에 물리적으로 근접할 수 있기 때문에, RF 모듈(114)은 프론트-엔드 모듈(FEM)이라 지칭될 수 있다. RF 모듈(114)은 트랜시버(112)를 위해 주 안테나(130)로부터 수신된 또는 주 안테나(130)를 통한 전송을 위해 트랜시버(112)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RF 모듈(114)은 필터, 파워 증폭기, 대역 선택 스위치, 정합 회로 및 기타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통신 모듈(110)은 다이버시티 안테나(140)와 유사한 처리를 수행하는 트랜시버(112) 사이에 결합된 다이버시티 RF 모듈(116)을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에 신호가 전송될 때, 신호는 주 안테나(130) 및 다이버시티 안테나(140) 양자 모두에서 수신될 수 있다. 주 안테나(130) 및 다이버시티 안테나(140)는 주 안테나(130) 및 다이버시티 안테나(140)에서의 신호가 상이한 특성으로 수신되도록 물리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로서, 일 실시예에서, 주 안테나(130) 및 다이버시티 안테나(140)는 상이한 감쇠, 잡음, 주파수 응답 또는 위상-이동을 갖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트랜시버(112)는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 비트를 결정하기 위해 상이한 특성을 갖는 신호 양자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트랜시버(112)는 최고 신호-대-잡음 비율을 갖는 안테나를 선택하는 것 같이 특성에 기초하여 주 안테나(130)와 다이버시티 안테나(140)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트랜시버(112)는 조합된 신호의 신호-대-잡음 비율을 증가시키도록 주 안테나(130)와 다이버시티 안테나(140)로부터의 신호를 조합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트랜시버(112)는 다중입력/다중출력(MIMO)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신호를 처리한다.
다이버시티 안테나(140)가 주 안테나(130)로부터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다이버시티 안테나(140)는 케이블 또는 인쇄 회로 보드(PCB) 트레이스 같은 전송 라인(135)에 의해 통신 모듈(110)에 결합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전송 라인(135)은 손실성이며, 통신 모듈(110)에 도달하기 이전에 다이버시티 안테나(140)에서 수신된 신호를 감쇠시킨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후술된 바와 같이, 다이버시티 안테나(140)에서 수신된 신호에 이득(gain)이 적용된다. 이득(그리고, 다른 아날로그 처리, 예컨대, 필터링)은 다이버시티 수신기 모듈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이런 다이버시티 수신기 모듈이 다이버시티 안테나(140)에 물리적으로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다이버시티 수신기 프론트-엔드 모듈이라 지칭될 수 있다.
도 2는 DRx 프론트-엔드 모듈(FEM)(210)을 포함하는 다이버시티 수신기(DRx) 구성(200)을 도시한다. DRx 구성(200)은 다이버시티 신호를 수신하고, 다이버시티 신호를 DRx FEM(210)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140)를 포함한다. DRx FEM(210)은 다이버시티 안테나(140)로부터 수신된 다이버시티 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예로서, DRx FEM(210)은 예를 들어, 제어기(120)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액티브 주파수 대역에 대해 다이버시티 신호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DRx FEM(210)은 다이버시티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DRx FEM(210)은 필터, 저 잡음 증폭기, 대역 선택 스위치, 정합 회로 및 다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DRx FEM(210)은 전송 라인(135)을 거쳐 다운스트림 모듈에, 예컨대, 추가 처리된 다이버시티 신호를 트랜시버(112)에 공급하는 다이버시티 RF(D-RF) 모듈(116)에, 처리된 다이버시티 신호를 전송한다. 다이버시티 RF 모듈(116)(그리고, 일부 구현예에서, 트랜시버)은 제어기(120)에 의해 제어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어기(120)는 트랜시버(112)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DRx) 구성(300)이 다중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다중 경로를 갖는 DRx 모듈(310)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DRx 구성(300)은 다이버시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다이버시티 안테나(140)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다이버시티 신호는 단일 주파수 대역 상으로 변조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단일 대역 신호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다이버시티 신호는 다중 주파수 대역 상으로 변조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중 대역 신호(대역간 캐리어 집성 신호라고도 지칭됨)일 수 있다.
DRx 모듈(310)은 다이버시티 안테나(140)로부터 다이버시티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및 (전송 라인(135) 및 다이버시티 RF 모듈(320)을 거쳐) 트랜시버(330)에 처리된 다이버시티 신호를 제공하는 출력을 갖는다. DRx 모듈(310) 입력은 제1 멀티플렉서(MUX)(311)의 입력에 공급된다. 제1 멀티플렉서(311)는 복수의 멀티플렉서 출력을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DRx 모듈(310)의 입력과 출력 사이의 경로에 대응한다. 경로 각각은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할 수 있다. DRx 모듈(310)의 출력은 제2 멀티플렉서(312)의 출력에 의해 제공된다. 제2 멀티플렉서(312)는 복수의 멀티플렉서 입력을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DRx 모듈(310)의 입력과 출력 사이의 경로 중 하나에 대응한다.
주파수 대역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주파수 대역 같은 셀룰러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예로서, 제1 주파수 대역은 1930 메가헤르쯔(MHZ)와 1990 MHz 사이의 UMTS 다운링크 또는 "Rx" 대역 2일 수 있고, 제2 주파수 대역은 869 MHz와 894 MHz 사이의 UMTS 다운링크 또는 "Rx" 대역 5일 수 있다. 표 1에서 아래에 설명된 것들이나 다른 비-UMTS 주파수 대역 같은 다른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모듈(310)은 DRx 제어기(302)를 포함하며, DRx 제어기는 제어기(120)(통신 제어기라고도 지칭됨)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입력과 출력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모듈(310)은 DRx 제어기(302)를 포함하지 않으며, 제어기(120)가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직접적으로 선택적으로 활성화한다.
본원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일부 구현예에서, 다이버시티 신호는 단일 대역 신호이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제1 멀티플렉서(311)는 단극/다투(SPMT) 스위치이고, 이는 다이버시티 신호를 DRx 제어기(302)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단일 대역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경로 중 하나로 라우팅한다. DRx 제어기(302)는 통신 제어기(120)로부터 DRx 제어기(302)에 의해 수신된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일부 구현예에서, 제2 멀티플렉서(312)는 SPMT 스위치이고, 이는 DRx 제어기(302)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단일 대역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경로 중 하나로부터의 신호를 라우팅한다.
본원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일부 구현예에서, 다이버시티 신호는 다중 대역 신호이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제1 멀티플렉서(311)는 신호 분할기이고 이 신호 분할기는 DRx 제어기(302)로부터 수신된 분할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다중 대역 신호 중 둘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경로 중 둘 이상으로 다이버시티 신호를 라우팅한다. 신호 분할기의 기능은 SPMT 스위치, 다이플렉서 필터 또는 이들의 소정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일부 구현예에서, 제2 멀티플렉서(312)는 신호 조합기이고, 이 신호 조합기는 DRx 제어기(302)로부터 수신된 조합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다중 대역 신호의 둘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경로 중 둘 이상으로부터 신호를 조합한다. 신호 조합기의 기능은 SPMT 스위치, 다이플렉서 필터 또는 이들의 소정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DRx 제어기(302)는 통신 제어기(120)로부터 DRx 제어기(302)에 의해 수신된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분할기 제어 신호 및 조합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302)는 (예를 들어, 통신 제어기(120)로부터) DRx 제어기(302)에 의해 수신된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302)는 분할기 제어 신호를 신호 분할기에, 그리고, 조합기 제어 신호를 신호 조합기에 전송함으로써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다.
DRx 모듈(310)은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313a-313d)를 포함한다.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313a-313d)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복수의 경로 중 하나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해 대역통과 필터에서 수신된 신호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역통과 필터(313a-313d)는 복수의 경로 중 하나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의 다운링크 주파수 서브대역에 대해 대역통과 필터에서 수신된 신호를 필터링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DRx 모듈(310)은 복수의 증폭기(314a-314d)를 포함한다. 증폭기(314a-314d)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증폭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증폭기(314a-314d)는 증폭기가 배치되는 경로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 내의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되는 협대역 증폭기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증폭기(314a-314d)는 DRx 제어기(30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로서, 일부 구현예에서, 각 증폭기(314a-314d)는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입력을 포함하고,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입력과 수신된 증폭기 인에이블 신호에 기초하여 인에이블(또는 디스에이블)된다. 증폭기 인에이블 신호는 DRx 제어기(302)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302)는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따라 각각 배치된 증폭기(314a-314d) 중 하나 이상에 증폭기 인에이블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런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302)에 의해 제어되는 대신, 제1 멀티플렉서(311)는 복수의 경로 각각에 다이버시티 신호를 라우팅하는 신호 분할기일 수 있고, 제2 멀티플렉서(312)는 복수의 경로 각각으로부터의 신호를 조합하는 신호 조합기일 수 있다. 그러나, DRx 제어기(302)가 제1 멀티플렉서(311) 및 제2 멀티플렉서(312)를 제어하는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302)는 또한 예를 들어 배터리 절약을 위해 특정 증폭기(314a-314d)를 인에이블(또는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증폭기(314a-314d)는 가변-이득 증폭기(VGA)이다. 따라서, 이 일부 구현예에서, DRx 모듈(310)은 복수의 가변-이득 증폭기(VGA)를 포함하고, VGA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어 DRx 제어기(302)로부터 수신된 증폭기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이득으로 VGA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VGA의 이득은 우회가능, 단계-가변성 및 연속-가변성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VGA 중 적어도 하나는 고정-이득 증폭기와 증폭기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가능한 우회 스위치를 포함한다. 우회 스위치는 (제1 위치에서) 고정-이득 증폭기의 입력과 고정-이득 증폭기의 출력 사이의 라인을 폐쇄하여 신호가 고정-이득 증폭기를 우회할 수 있게 한다. 우회 스위치는 (제2 위치에서) 입력과 출력 사이의 라인을 개방하여 고정-이득 증폭기를 통해 신호를 통과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우회 스위치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고정-이득 증폭기는 디스에이블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우회 모드를 수용하도록 재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VGA 중 적어도 하나는 증폭기 제어 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복수의 구성량 중 하나의 이득으로 VGA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되는 단계-가변성 이득 증폭기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VGA 중 적어도 하나는 증폭기 제어 신호에 비례하는 이득으로 VGA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 연속-가변성 이득 증폭기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증폭기(314a-314d)는 가변-전류 증폭기(VCA)이다. VCA에 의해 견인되는 전류는 우회가능, 단계-가변성 및 연속-가변성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VCA 중 적어도 하나는 고정-전류 증폭기와 증폭기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가능한 우회 스위치를 포함한다. 우회 스위치는 (제1 위치에서) 고정-전류 증폭기의 입력과 고정-전류 증폭기의 출력 사이의 라인을 폐쇄하여 신호가 고정-전류 증폭기를 우회할 수 있게 한다. 우회 스위치는 (제2 위치에서) 입력과 출력 사이의 라인을 개방하여 고정-전류 증폭기를 통해 신호를 통과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우회 스위치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고정-전류 증폭기는 디스에이블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우회 모드를 수용하도록 재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VCA 중 적어도 하나는 증폭기 제어 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복수의 구성량 중 하나의 전류를 견인함으로써 VCA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되는 단계-가변성 전류 증폭기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VCA 중 적어도 하나는 증폭기 제어 신호에 비례하는 전류를 견인함으로써 VCA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 연속-가변성 전류 증폭기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증폭기(314a-314d)는 고정-이득, 고정-전류 증폭기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증폭기(314a-314d)는 고정-이득, 가변-전류 증폭기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증폭기(314a-314d)는 가변-이득, 고정-전류 증폭기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증폭기(314a-314d)는 가변-이득, 가변-전류 증폭기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302)는 입력에서 수신된 입력 신호의 서비스 품질 척도에 기초하여 증폭기 제어 신호(들)를 생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302)는 통신 제어기(12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증폭기 제어 신호(들)를 생성하며, 통신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차례로 수신된 신호의 서비스 품질(QoS) 척도에 기초할 수 있다. 수신된 신호의 QoS 척도는 다이버시티 안테나(140) 상에 수신된 다이버시티 신호(예를 들어, 입력에서 수신된 입력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수신된 신호의 QoS 척도는 주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에 추가로 기초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302)는 통신 제어기(12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지 않고 다이버시티 신호의 QoS 척도에 기초하여 증폭기 제어 신호(들)를 생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QoS 척도는 신호 강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QoS 척도는 비트 에러율, 데이터 처리량, 전송 지연 또는 임의의 다른 QoS 척도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DRx 모듈(310)은 다이버시티 안테나(140)로부터 다이버시티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및 (전송 라인(135) 및 다이버시티 RF 모듈(320)을 거쳐) 트랜시버(330)에 처리된 다이버시티 신호를 제공하는 출력을 갖는다. 다이버시티 RF 모듈(320)은 전송 라인(135)을 거쳐 처리된 다이버시티 신호를 수신하고 추가 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처리된 다이버시티 신호는 다이버시티 RF 멀티플렉서(321)에 의해 하나 이상의 경로로 분할 또는 라우팅되고, 이 하나 이상이 경로 상에서 분할 또는 라우팅된 신호는 대응 대역통과 필터(323a-323d)에 의해 필터링되고, 대응 증폭기(324a-324d)에 의해 증폭된다. 증폭기(324a-324d) 각각의 출력은 트랜시버(330)에 제공된다.
다이버시티 RF 멀티플렉서(321)는 하나 이상의 경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제어기(120)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온칩 다이버시티 RF 제어기를 거쳐) 제어될 수 있다. 유사하게, 증폭기(324a-324d)는 제어기(1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로서, 일부 구현예에서, 증폭기(324a-324d) 각각은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입력을 포함하고, 증폭기 인에이블 신호에 기초하여 인에이블(또는 디스에이블)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증폭기(324a-324d)는 제어기(120)(또는 제어기(120)에 의해 제어되는 온칩 다이버시티 RF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증폭기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이득으로 VGA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는 가변-이득 증폭기(VGA)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증폭기(324a-324d)는 가변-전류 증폭기(VCA)이다.
다이버시티 RF 모듈(320)을 이미 포함하는 수신기 체인에 DRx 모듈(310)이 추가됨으로써, DRx 구성(300) 내의 대역통과 필터의 수가 배가된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대역통과 필터(323a-323d)는 다이버시티 RF 모듈(320)에 포함되지 않는다. 대신, DRx 모듈(310)의 대역통과 필터(313a-313d)가 대역외 블로커의 강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다이버시티 RF 모듈(320)의 자동 이득 제어(AGC) 표가 DRx 모듈(310)의 증폭기(314a-314d)에 의해 제공되는 이득의 양만큼 다이버시티 RF 모듈(320)의 증폭기(324a-324d)에 의해 제공되는 이득의 양을 감소시키도록 이동될 수 있다.
예로서, DRx 모듈 이득이 15 dB이고, 수신기 감도가 -100 dBm인 경우, 다이버시티 RF 모듈(320)은 -85 dBm의 감도를 보게 될 것이다. 다이버시티 RF 모듈(320)의 폐루프 AGC가 활성 상태인 경우, 그 이득은 자동으로 15 dB만큼 강하할 것이다. 그러나, 대역외 블로커 및 신호 컴포넌트 양자 모두는 15 dB만큼 증폭되어 수신된다. 따라서, 다이버시티 RF 모듈(320)의 15 dB 이득 강하는 또한 그 선형도에서의 15 dB 증가를 동반할 수 있다. 특히, 다이버시티 RF 모듈(320)의 증폭기(324a-324d)는 감소된 이득(또는 증가된 전류)와 함께 증폭기의 선형도가 증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어기(120)는 다이버시티 RF 모듈(320)의 증폭기(324a-324d)와 DRx 모듈(310)의 증폭기(314a-314d)의 이득(및/또는 전류)를 제어한다. 본 명세서의 예에서와 같이, 제어기(120)는 DRx 모듈(310)의 증폭기(314a-314d)에 의해 제공되는 이득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다이버시티 RF 모듈(320)의 증폭기(324a-324d)에 의해 제공되는 이득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제어기(120)는 전송 라인(135)을 거쳐 (DRx 모듈(310)의) 출력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다운스트림 증폭기(324a-324d)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해 (DRx 모듈(310)의 증폭기(314a-314d)를 위한 증폭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다이버시티 RF 모듈(320)의 증폭기(324a-324d)를 위한) 다운스트림 증폭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어기(120)는 또한 증폭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프론트-엔드 모듈(FEM)의 증폭기 같은 무선 디바이스의 다른 컴포넌트의 이득을 제어한다.
본원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일부 구현예에서, 대역통과 필터(323a-323d)는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다운스트림 증폭기(324a-324d) 중 적어도 하나는 다운스트림 대역통과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전송 라인(135)을 거쳐 (DRx 모듈(310)의) 출력에 결합된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400)이 다이버시티 수신기(DRx) 모듈(310)보다 소수의 증폭기를 갖는 다이버시티 RF 모듈(420)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400)은 도 3에 관하여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다이버시티 안테나(140) 및 DRx 모듈(310)을 포함한다. DRx 모듈(310)의 출력은 전송 라인(135)을 거쳐 다이버시티 RF 모듈(420)로 전달되고, 이 다이버시티 RF 모듈은 도 4의 다이버시티 RF 모듈(420)이 DRx 모듈(310)보다 소수의 증폭기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3의 다이버시티 RF 모듈(320)과 다르다.
본원에 언급된 바와 같이, 일부 구현예에서, 다이버시티 RF 모듈(420)은 대역통과 필터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다이버시티 RF 모듈(420)의 하나 이상의 증폭기(424)는 대역 특정적일 필요가 없다. 특히, 다이버시티 RF 모듈(420)은 해당 경로 DRx 모듈(310)과 1-대-1 맵핑되지 않는, 증폭기(424)를 각각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로(또는 대응 증폭기)의 맵핑은 제어기(120)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DRx 모듈(310)이 다수의 경로를 포함하고, 경로 각각이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반면, 다이버시티 RF 모듈(420)은 단일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부 구현예에서, 다이버시티 RF 모듈(420)은 전송 라인(135)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멀티플렉서(421)에 출력하는 단일 광대역 또는 튜닝가능한 증폭기(424)를 포함한다. 멀티플렉서(421)는 각 주파수 대역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멀티플렉서 출력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다이버시티 RF 모듈(420)은 어떠한 증폭기도 포함하지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다이버시티 신호는 단일 대역 신호이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멀티플렉서(421)는 SPMT 스위치이고, 이는 제어기(12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단일 대역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출력 중 하나에 다이버시티 신호를 라우팅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다이버시티 신호는 다중 대역 신호이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멀티플렉서(421)는 신호 분할기이고 이 신호 분할기는 제어기(120)로부터 수신된 분할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다중 대역 신호 중 둘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출력 중 둘 이상으로 다이버시티 신호를 라우팅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다이버시티 RF 모듈(420)은 단일 모듈로서 트랜시버(330)와 조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다이버시티 RF 모듈(420)은 다수의 증폭기를 포함하고, 다수의 증폭기 각각은 주파수 대역의 세트에 대응한다. 전송 라인(135)으로부터의 신호는 대역 분할기에 공급될 수 있고, 대역 분할기는 제1 경로를 따라 고 주파수를 고 주파수 증폭기로 출력하고, 제2 경로를 따라 저 주파수를 저 주파수 증폭기로 출력한다. 증폭기 각각의 출력은 트랜시버(330)의 대응 입력에 신호를 라우팅하도록 구성된 멀티플렉서(421)에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500)이 오프-모듈 필터(513)에 결합된 DRx 모듈(510)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DRx 모듈(510)은 패키징 기판(501) 상에 구현된 수신 시스템 및 복수의 컴포넌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패키징 기판(501)을 포함할 수 있다. DRx 모듈(510)은 DRx 모듈(510) 외부로 라우팅되고 임의의 원하는 대역을 위한 필터를 지지하기 위해 시스템 집성자, 설계자 또는 제조자에게 이용가능하게 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DRx 모듈(510)은 DRx 모듈(510)의 입력과 출력 사이에 다수의 경로를 포함한다. DRx 모듈(510)은 DRx 제어기(502)에 의해 제어되는 우회 스위치(519)에 의해 활성화되는 입력과 출력 사이의 우회 경로를 포함한다. 비록, 도 5가 단일 우회 스위치(519)를 포함하지만, 일부 구현예에서, 우회 스위치(519)는 다수의 스위치(예를 들어, 물리적으로 입력에 근접하게 배치된 제1 스위치 및 물리적으로 출력에 근접하게 배치된 제2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회 경로는 필터 또는 증폭기를 포함하지 않는다.
DRx 모듈(510)은 제1 멀티플렉서(511) 및 제2 멀티플렉서(512)를 포함하는 다수의 멀티플렉서 경로를 포함한다. 멀티플렉서 경로는 제1 멀티플렉서(511), 패키징 기판(501) 상에 구현된 대역통과 필터(313a-313d), 패키징 기판(501) 상에 구현된 증폭기(314a-314d) 및 제2 멀티플렉서(512)를 포함하는 다수의 온-모듈 경로를 포함한다. 멀티플렉서 경로는 제1 멀티플렉서(511), 패키징 기판(501) 외부에 구현된 대역통과 필터(513), 증폭기(514) 및 제2 멀티플렉서(512)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오프-모듈 경로를 포함한다. 증폭기(514)는 패키징 기판(501) 상에 구현된 광대역 증폭기일 수 있거나 패키징 기판(501) 외부에 구현될 수도 있다.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증폭기(314a-314d, 514)는 가변-이득 증폭기 및/또는 가변-전류 증폭기일 수 있다.
DRx 제어기(502)는 입력과 출력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502)는 (예를 들어, 통신 제어기로부터) DRx 제어기(502)에 의해 수신된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DRx 제어기(502)는 예로서 우회 스위치(519)를 개방 또는 폐쇄하거나, 증폭기(314a-314d, 514)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하거나, 멀티플렉서(511, 512)를 제어하거나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경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예로서, DRx 제어기(502)는 경로(예를 들어, 필터(313a-313d, 513)와 증폭기(314a-314d, 514) 사이의)를 따라 스위치를 개방 또는 폐쇄하거나 증폭기(314a-314d, 514)의 이득을 실질적으로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 A: 가변-이득 증폭기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증폭기는 가변-이득 증폭기(VGA)일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DRx 모듈은 복수의 가변-이득 증폭기(VGA)를 포함할 수 있고, VGA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DRx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증폭기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이득으로 VGA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VGA의 이득은 우회가능, 단계 가변성 및 연속-가변성일 수 있다. 도 6은 일부 실시예에서, 가변-이득 증폭기(A350)가 우회가능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VGA(A350)는 DRx 제어기(A302)에 의해 생성되는 증폭기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가능한 우회 스위치(A352) 및 고정-이득 증폭기(A351)를 포함한다. 우회 스위치(A352)는 (제1 위치에서) 고정-이득 증폭기(A351)의 입력과 고정-이득 증폭기의 출력 사이의 라인을 폐쇄하여 신호가 고정-이득 증폭기(A351)를 우회할 수 있게 한다. 우회 스위치(A352)는 (제2 위치에서) 고정-이득 증폭기(A351)의 입력과 고정-이득 증폭기(A351)의 출력 사이의 라인을 개방하여 신호가 고정-이득 증폭기(A351)를 통과하게 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우회 스위치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고정-이득 증폭기는 디스에이블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우회 모드를 수용하도록 재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부 구현예에서, VGA(314a-314d) 중 적어도 하나는 고정-이득 증폭기와 증폭기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가능한 우회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일부 실시예에서, 가변-이득 증폭기(A360)의 이득이 단계-가변성 또는 연속-가변성일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VGA(A360)는 단계-가변성이고, DRx 제어기(A302)에 의해 생성되는 디지털 증폭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디지털 신호에 의해 표시된 복수의 구성량 중 하나의 이득으로 VGA(A360)의 입력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VGA(A360)는 연속-가변성이고, DRx 제어기(A302)에 의해 생성되는 아날로그 증폭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아날로그 신호의 특성(예를 들어, 전압 또는 듀티 사이클)에 비례하는 이득으로 VGA(A360)의 입력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부 구현예에서, VGA(314a-314d) 중 적어도 하나는 증폭기 제어 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복수의 구성량 중 하나의 이득으로 VGA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되는 단계-가변성 이득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도 3의 VGA(314a-314d) 중 적어도 하나는 증폭기 제어 신호에 비례하는 이득으로 VGA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 연속-가변성 이득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도 3의 증폭기(314a-314d)는 가변-전류 증폭기(VCA)일 수 있다. VCA에 의해 견인되는 전류는 우회가능, 단계-가변성 및 연속-가변성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VCA 중 적어도 하나는 고정-전류 증폭기와 증폭기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가능한 우회 스위치를 포함한다. 우회 스위치는 (제1 위치에서) 고정-전류 증폭기의 입력과 고정-전류 증폭기의 출력 사이의 라인을 폐쇄하여 신호가 고정-전류 증폭기를 우회할 수 있게 한다. 우회 스위치는 (제2 위치에서) 입력과 출력 사이의 라인을 개방하여 고정-전류 증폭기를 통해 신호를 통과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우회 스위치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고정-전류 증폭기는 디스에이블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우회 모드를 수용하도록 재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VCA 중 적어도 하나는 증폭기 제어 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복수의 구성량 중 하나의 전류를 견인함으로써 VCA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되는 단계-가변성 전류 증폭기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VCA 중 적어도 하나는 증폭기 제어 신호에 비례하는 전류를 견인함으로써 VCA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 연속-가변성 전류 증폭기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도 3의 증폭기(314a-314d)는 고정-이득, 고정-전류 증폭기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증폭기(314a-314d)는 고정-이득, 가변-전류 증폭기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증폭기(314a-314d)는 가변-이득, 고정-전류 증폭기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증폭기(314a-314d)는 가변-이득, 가변-전류 증폭기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302)는 제1 멀티플렉서(311)의 입력에서 수신된 입력 신호의 서비스 품질 척도에 기초하여 증폭기 제어 신호(들)를 생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302)는 통신 제어기(12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증폭기 제어 신호(들)를 생성하며, 통신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차례로 수신된 신호의 서비스 품질(QoS) 척도에 기초할 수 있다. 수신된 신호의 QoS 척도는 다이버시티 안테나(140) 상에 수신된 다이버시티 신호(예를 들어, 입력에서 수신된 입력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수신된 신호의 QoS 척도는 주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에 추가로 기초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302)는 통신 제어기(12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지 않고 다이버시티 신호의 QoS 척도에 기초하여 증폭기 제어 신호(들)를 생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QoS 척도는 신호 강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QoS 척도는 비트 에러율, 데이터 처리량, 전송 지연 또는 임의의 다른 QoS 척도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도 3의 DRx 모듈(310)은 다이버시티 안테나(140)로부터 다이버시티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및 (전송 라인(135) 및 다이버시티 RF 모듈(320)을 거쳐) 트랜시버(330)에 처리된 다이버시티 신호를 제공하는 출력을 갖는다. 다이버시티 RF 모듈(320)은 전송 라인(135)을 거쳐 처리된 다이버시티 신호를 수신하고 추가 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처리된 다이버시티 신호는 다이버시티 RF 멀티플렉서(321)에 의해 하나 이상의 경로로 분할 또는 라우팅되고, 이 하나 이상이 경로 상에서 분할 또는 라우팅된 신호는 대응 대역통과 필터(323a-323d)에 의해 필터링되고, 대응 증폭기(324a-324d)에 의해 증폭된다. 증폭기(324a-324d) 각각의 출력은 트랜시버(330)에 제공된다.
다이버시티 RF 멀티플렉서(321)는 하나 이상의 경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제어기(120)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온칩 다이버시티 RF 제어기를 거쳐) 제어될 수 있다. 유사하게, 증폭기(324a-324d)는 제어기(1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로서, 일부 구현예에서, 증폭기(324a-324d) 각각은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입력을 포함하고, 증폭기 인에이블 신호에 기초하여 인에이블(또는 디스에이블)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증폭기(324a-324d)는 제어기(120)(또는 제어기(120)에 의해 제어되는 온칩 다이버시티 RF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증폭기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이득으로 VGA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는 가변-이득 증폭기(VGA)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증폭기(324a-324d)는 가변-전류 증폭기(VCA)이다.
다이버시티 RF 모듈(320)을 이미 포함하는 수신기 체인에 DRx 모듈(310)이 추가됨으로써, DRx 구성(300) 내의 대역통과 필터의 수가 배가된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대역통과 필터(323a-323d)는 다이버시티 RF 모듈(320)에 포함되지 않는다. 대신, DRx 모듈(310)의 대역통과 필터(313a-313d)가 대역외 블로커의 강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다이버시티 RF 모듈(320)의 자동 이득 제어(AGC) 표가 DRx 모듈(310)의 증폭기(314a-314d)에 의해 제공되는 이득의 양만큼 다이버시티 RF 모듈(320)의 증폭기(324a-324d)에 의해 제공되는 이득의 양을 감소시키도록 이동될 수 있다.
예로서, DRx 모듈 이득이 15 dB이고, 수신기 감도가 -100 dBm인 경우, 다이버시티 RF 모듈(320)은 -85 dBm의 감도를 보게 될 것이다. 다이버시티 RF 모듈(320)의 폐루프 AGC가 활성상태인 경우, 그 이득은 자동으로 15 dB만큼 강하할 것이다. 그러나, 대역외 블로커 및 신호 컴포넌트 양자 모두는 15 dB만큼 증폭되어 수신된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다이버시티 RF 모듈(320)의 15 dB 이득 강하는 또한 그 선형도에서의 15 dB 증가를 동반한다. 특히, 다이버시티 RF 모듈(320)의 증폭기(324a-324d)는 감소된 이득(또는 증가된 전류)와 함께 증폭기의 선형도가 증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어기(120)는 다이버시티 RF 모듈(320)의 증폭기(324a-324d)와 DRx 모듈(310)의 증폭기(314a-314d)의 이득(및/또는 전류)를 제어한다. 본 명세서의 예에서와 같이, 제어기(120)는 DRx 모듈(310)의 증폭기(314a-314d)에 의해 제공되는 이득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다이버시티 RF 모듈(320)의 증폭기(324a-324d)에 의해 제공되는 이득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제어기(120)는 전송 라인(135)을 거쳐 (DRx 모듈(310)의) 출력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다운스트림 증폭기(324a-324d)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해 (DRx 모듈(310)의 증폭기(314a-314d)를 위한 증폭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다이버시티 RF 모듈(320)의 증폭기(324a-324d)를 위한) 다운스트림 증폭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어기(120)는 또한 증폭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프론트-엔드 모듈(FEM)의 증폭기 같은 무선 디바이스의 다른 컴포넌트의 이득을 제어한다.
본원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일부 구현예에서, 대역통과 필터(323a-323d)는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다운스트림 증폭기(324a-324d) 중 적어도 하나는 다운스트림 대역통과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전송 라인(135)을 거쳐 (DRx 모듈(310)의) 출력에 결합된다. 이런 구현예에 관련한 예는 도 4를 참조로 본원에서 설명된다.
도 8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A600)이 튜닝가능한 정합 회로를 갖는 DRx 모듈(A610)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특히, DRx 모듈(A610)은 DRx 모듈(A610)의 입력과 출력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튜닝가능한 정합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한 다이버시티 안테나(140) 상에서 수신된 다수의 주파수 대역은 이상적 임피던스 정합을 모두 인지할 가능성은 낮다. 소형 정합 회로를 사용하여 각 주파수 대역을 정합시키기 위해, 튜닝가능한 입력 정합 회로(A616)가 (예를 들어, 통신 제어기로부터의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DRx 제어기(A602)에 의해 제어되고, DRx 모듈(A610)의 입력에서 구현될 수 있다. DRx 제어기(A602)는 튜닝 파라미터와 주파수 대역(또는 주파수 대역의 설정)을 연계시키는 참조표에 기초하여 튜닝가능한 입력 정합 회로(A616)를 튜닝할 수 있다. 튜닝가능한 입력 정합 회로(A616)는 튜닝가능한 T-회로, 튜닝가능한 PI-회로 또는 임의의 다른 튜닝가능한 정합 회로일 수 있다. 특히, 튜닝가능한 입력 정합 회로(A616)는 하나 이상의 가변 컴포넌트, 예컨대, 저항기,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 컴포넌트는 병렬 및/또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고, DRx 모듈(A610)의 입력과 제1 멀티플렉서(A311)의 입력 사이에 연결될 수 있거나 접지 전압과 DRx 모듈(A610)의 입력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유사하게, 다수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반송하는 단 하나의 전송 라인(135)(또는 적어도 소수의 케이블)으로, 다수의 주파수 대역이 이상적 임피던스 정합을 모두 인지할 가능성은 낮다. 소형 정합 회로를 사용하여 각 주파수 대역을 정합시키기 위해, 튜닝가능한 출력 정합 회로(A617)가 (예를 들어, 통신 제어기로부터의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DRx 모듈(A610)의 출력에서 구현되고 DRx 제어기(A60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DRx 제어기(A602)는 튜닝 파라미터와 주파수 대역(또는 주파수 대역의 설정)을 연계시키는 참조표에 기초하여 튜닝가능한 출력 정합 회로(A618)를 튜닝할 수 있다. 튜닝가능한 출력 정합 회로(A617)는 튜닝가능한 T-회로, 튜닝가능한 PI-회로 또는 임의의 다른 튜닝가능한 정합 회로일 수 있다. 특히, 튜닝가능한 입력 정합 회로(A617)는 하나 이상의 가변 컴포넌트, 예컨대, 저항기,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 컴포넌트는 병렬 및/또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고, DRx 모듈(A610)의 출력과 제2 멀티플렉서(A312)의 출력 사이에 연결될 수 있거나 접지 전압과 DRx 모듈(A610)의 출력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도 9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A700)이 다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비록, 도 9가 두 개의 안테나(A740a-A740b) 및 하나의 전송 라인(135)을 갖는 실시예를 예시하지만, 본원에 설명된 양태는 두 개보다 더 많은 안테나 및/또는 둘 이상의 케이블을 갖는 실시예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A700)은 제1 안테나(A740a) 및 제2 안테나(A740b)에 결합된 DRx 모듈(A710)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안테나(A740a)는 더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고대역 안테나이고, 제2 안테나(A740b)는 더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저대역 안테나이다.
DRx 모듈(A710)은 DRx 모듈(A710)의 제1 입력에서 제1 튜닝가능한 입력 정합 회로(A716a), 그리고, DRx 모듈(A710)의 제2 입력에서 제2 튜닝가능한 입력 정합 회로(A716b)를 포함한다. DRx 모듈(A710)은 DRx 모듈(A710)의 출력에서 튜닝가능한 출력 정합 회로(A717)를 더 포함한다. DRx 제어기(A702)는 튜닝 파라미터와 주파수 대역(또는 주파수 대역의 설정)을 연계시키는 참조표에 기초하여 튜닝가능한 정합 회로(A716a-A716b, A717)를 튜닝할 수 있다. 튜닝가능한 정합 회로(A716a-A716b, A717)는 튜닝가능한 T-회로, 튜닝가능한 PI-회로 또는 임의의 다른 튜닝가능한 정합 회로일 수 있다.
DRx 모듈(A710)은 DRx 모듈(A710)의 입력(제1 안테나(A740a)에 결합된 제1 입력 및 제2 안테나(A740b)에 결합된 제2 입력)과 출력(전송 라인(135)에 결합됨) 사이에 다수의 경로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모듈(A710)은 DRx 제어기(A702)에 의해 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우회 스위치에 의해 활성화되는 입력과 출력 사이의 하나 이상의 우회 경로(미도시)를 포함한다.
DRx 모듈(A710)은 제1 입력 멀티플렉서(A711a) 또는 제2 입력 멀티플렉서(A711b) 중 하나를 포함하고 출력 멀티플렉서(A712)를 포함하는 다수의 멀티플렉서 경로를 포함한다. 멀티플렉서 경로는 다수의 온-모듈 경로(미도시)를 포함하고 이는 튜닝가능한 입력 정합 회로(A716a-A716b) 중 하나, 입력 멀티플렉서(A711a-A711b) 중 하나, 대역통과 필터(A713a-A713h), 증폭기(A714a-A714h), 출력 멀티플렉서(A712) 및 출력 정합 회로(A717)를 포함한다. 멀티플렉서 경로는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오프-모듈 경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증폭기(A714a-A714h)는 가변-이득 증폭기 및/또는 가변-전류 증폭기일 수 있다.
DRx 제어기(A702)는 입력과 출력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A702)는 (예를 들어, 통신 제어기로부터) DRx 제어기(A702)에 의해 수신된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A702)는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튜닝가능한 정합 회로(A716a-A716b, A717)를 튜닝하도록 구성된다. DRx 제어기(A702)는 예로서, 증폭기(A714a-A714h)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하거나, 멀티플렉서(A711a-A711b, A712)를 제어하거나 또는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경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도 10은 RF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일부 구현예에서(그리고, 예로서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방법(A800)은 제어기, 예컨대, 도 3의 DRx 제어기(302) 또는 도 3의 통신 제어기(120)에 의해 수행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방법(A800)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처리 로직에 의해 수행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방법(A800)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에 저장된 코드를 실행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된다. 간단히, 방법(A800)은 대역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RF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이득 제어된 경로를 따라 수신된 RF 신호를 라우팅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A800)은 블록 A810에서 대역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기에서 시작한다. 제어기는 다른 제어기로부터 대역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거나 셀룰러 기지국 또는 다른 외부적 소스로부터 대역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대역 선택 신호는 무선 디바이스가 RF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역 선택 신호는 캐리어 집성 통신을 위한 주파수 대역의 세트를 나타낸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어기는 수신된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튜닝가능한 정합 회로를 튜닝한다. 예로서, 제어기는 대역 선택 신호에 의해 표시된 주파수 대역(또는 주파수 대역의 세트)를 튜닝 파라미터와 연계시키는 참조표에 기초하여 튜닝가능한 정합 회로를 튜닝할 수 있다.
블록 A820에서, 제어기는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다이버시티 수신기(DRx)의 하나 이상의 경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한다.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DRx 모듈은 DRx 모듈의 하나 이상의 입력(하나 이상의 안테나에 결합됨) 및 하나 이상의 출력(하나 이상의 케이블에 결합됨) 사이에 다수의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로는 우회 경로 및 멀티플렉서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플렉서 경로는 온-모듈 경로 및 오프-모듈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는 예로서, 하나 이상의 우회 스위치를 개방 또는 폐쇄하거나, 증폭기 인에이블 신호를 거쳐 경로를 따라 배치된 증폭기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하거나, 분할기 제어 신호 및/또는 조합기 제어 신호를 거쳐 하나 이상의 멀티플렉서를 제어하거나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예로서, 제어기는 경로를 따라 배치된 스위치를 개방 또는 폐쇄하거나 경로를 따라 배치된 증폭기의 이득을 실질적으로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블록 A830에서, 제어기는 하나 이상의 활성화된 경로를 따라 각각 배치된 하나 이상의 증폭기에 증폭기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증폭기 제어 신호는 증폭기 제어 신호가 송신되는 증폭기의 이득(또는 전류)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증폭기는 고정-이득 증폭기와 증폭기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가능한 우회 스위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증폭기 제어 신호는 우회 스위치가 개방되는지 또는 폐쇠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증폭기는 증폭기 제어 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복수의 구성량 중 하나의 이득으로 증폭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되는 단계-가변성 이득 증폭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증폭기 제어 신호는 복수의 구성량 중 하나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증폭기는 증폭기 제어 신호에 비례하는 이득으로 증폭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 연속-가변성 이득 증폭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증폭기 제어 신호는 비례적 이득량을 나타낸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어기는 입력에서 수신된 입력 신호의 서비스 품질(QoS) 척도에 기초하여 증폭기 제어 신호(들)를 생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어기는 다른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증폭기 제어 신호(들)를 생성하며, 이 수신된 신호는 차례로 수신된 신호의 QoS 척도에 기초할 수 있다. 수신된 신호의 QoS 척도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상에 수신된 다이버시티 신호(예를 들어, 입력에서 수신된 입력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수신된 신호의 QoS 척도는 주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에 추가로 기초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어기는 다른 제어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지 않고 다이버시티 신호의 QoS 척도에 기초하여 증폭기 제어 신호(들)를 생성한다. 예로서, QoS 척도는 신호 강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QoS 척도는 비트 에러율, 데이터 처리량, 전송 지연 또는 임의의 다른 QoS 척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블록 A830에서 제어기는 또한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거쳐 출력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다운스트림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하도록 증폭기 제어 신호에 기초한 다운스트림 증폭기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특히, 가변 이득 증폭기에 관련한 전술한 예 A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제1 멀티플렉서의 입력과 제2 멀티플렉서의 출력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하는 수신 시스템에 관련한다. 수신 시스템은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를 추가로 포함한다.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대역통과 필터에서 수신된 신호를 각각의 대역에 대하여 필터링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시스템은 복수의 가변-이득 증폭기(VGA)를 더 포함한다. 복수의 VGA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증폭기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이득으로 VGA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제어기에 의해 수신된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제1 멀티플렉서에 분할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제2 멀티플렉서에 조합기 제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따라 각각 배치된 복수의 VGA 중 하나 이상에 증폭기 인에이블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VGA 중 적어도 하나는 고정-이득 증폭기와 증폭기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가능한 우회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VGA 중 적어도 하나는 증폭기 제어 신호에 의해 나타나는 복수의 구성량 중 하나의 이득으로 VGA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 계단-가변성 이득 증폭기 또는 증폭기 제어 신호에 비례하는 이득으로 VGA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 연속-가변성 이득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VGA 중 적어도 하나는 증폭기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전류량을 견인함으로써 증폭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 가변-전류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증폭기 제어 신호는 제1 멀티플렉서의 입력에서 수신되는 입력 신호의 서비스 품질 척도에 기초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VGA 중 적어도 하나는 저잡음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신 시스템은 입력 및 출력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튜닝가능한 정합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신 시스템은 제2 멀티플렉서의 출력에 결합되고 하나 이상의 다운스트림 증폭기를 포함하는 다운스트림 모듈에 결합된 전송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하나 이상의 다운스트림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해 증폭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다운스트림 증폭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운스트림 증폭기 중 적어도 하나는 다운스트림 대역통과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전송 라인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다운스트림 증폭기의 수는 VGA의 수보다 적을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복수의 컴포넌트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패키징 기판을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RF) 모듈에 관한 것이다. RF 모듈은 패키징 기판 상에 구현된 수신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수신 시스템은 제1 멀티플렉서의 입력과 제2 멀티플렉서의 출력(예를 들어, RF 모듈의 입력 및 RF 모듈의 출력) 사이에서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한다. 수신 시스템은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를 추가로 포함한다.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해 대역통과 필터에서 수신된 신호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시스템은 복수의 가변-이득 증폭기(VGA)를 더 포함한다. 복수의 VGA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증폭기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이득으로 VGA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모듈은 다이버시티 수신기 프론트-엔드 모듈(FEM)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경로는 오프-모듈 경로를 포함한다. 오프-모듈 경로는 오프-모듈 대역통과 필터 및 복수의 VGA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기술에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제1 무선-주파수(RF)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에 관련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제1 안테나와 통신하는 제1 프론트-엔드 모듈(FEM)을 더 포함한다. 제1 FEM은 복수의 컴포넌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패키징 기판을 포함한다. 제1 FEM은 패키징 기판 상에 구현된 수신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수신 시스템은 제1 멀티플렉서의 입력과 제2 멀티플렉서의 출력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한다. 수신 시스템은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를 추가로 포함한다.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대역통과 필터에서 수신된 신호를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필터링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시스템은 복수의 가변-이득 증폭기(VGA)를 더 포함한다. 복수의 VGA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증폭기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이득으로 VGA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케이블을 거쳐 출력으로부터 처리된 버전의 제1 RF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된 버전의 제1 RF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비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제2 무선-주파수(RF)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안테나 및 제2 안테나와 통신하는 제2 FEM을 더 포함한다. 통신 모듈은 제2 FEM의 출력으로부터 처리된 버전의 제2 RF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된 버전의 제2 RF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비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통신 모듈의 하나 이상의 다운스트림 증폭기의 이득과 제1 FEM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통신 제어기를 포함한다.
예 B: 위상-이동 컴포넌트
도 11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B600)이 하나 이상의 위상 정합 컴포넌트(B624a-B624b)를 구비한 DRx 모듈(B610)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DRx 모듈(B610)은 안테나(140)에 결합된 DRx 모듈(B610)의 입력 및 전송 라인(135)에 결합된 DRx 모듈(B610)의 출력으로부터의 두 개의 경로를 포함한다.
도 11의 DRx 모듈(B610)에서, 신호 분할기 및 대역통과 필터는 다이플렉서(B611)로서 구현된다. 다이플렉서(B611)는 안테나(140)에 결합된 입력, 제1 증폭기(314a)에 결합된 제1 출력 및 제2 증폭기(314b)에 결합된 제2 출력을 포함한다. 제1 출력에서, 다이플렉서(B611)는 제1 주파수 대역에 대해 필터링된 (예를 들어, 안테나(140)로부터의) 입력에서 수신된 신호를 출력한다. 제2 출력에서, 다이플렉서(B611)는 제2 주파수 대역에 대해 필터링된 입력에서 수신된 신호를 출력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다이플렉서(B611)는 DRx 모듈(B610)의 입력에서 수신된 입력 신호를 복수의 경로를 따라 전파되는 각각의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서 복수의 신호로 분할하도록 구성된 트라이플렉서, 쿼드플렉서 또는 임의의 다른 멀티플렉서로 대체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증폭기(314a-314b) 중 각각의 하나는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증폭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증폭기(314a-314b)의 출력은 신호 조합기(B612)에 의해 조합되기 이전에 대응하는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a-B624b)를 통해 공급된다.
신호 조합기(B612)는 제1 위상 이동 컴포넌트(B624a)에 결합된 제1 입력, 제2 위상 이동 컴포넌트(B624b)에 결합된 제2 입력 및 DRx 모듈(B610)의 출력에 결합된 출력을 포함한다. 신호 조합기의 출력에서의 신호는 제1 입력 및 제2 입력에서의 신호의 합이다. 따라서, 신호 조합기는 복수의 경로를 따라 전파되는 신호를 조합하도록 구성된다.
신호가 안테나(140)에 의해 수신될 때, 신호는 다이플렉서(B611)에 의해 제1 주파수 대역에 대해 필터링되고, 제1 증폭기(314a)를 통해 제1 경로를 따라 전파된다. 필터링되고 증폭된 신호는 제1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a)에 의해 위상-이동되고, 신호 조합기(B612)의 제1 입력에 공급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신호 조합기(B612) 또는 제2 증폭기(314b)는 역방향으로 제2 경로를 따라 신호 조합기(B612)를 통해 신호가 지속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신호는 제2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b)를 통해, 그리고, 제2 증폭기(314b)를 통해 전파되고, 여기서 이는 다이플렉서(B611)로부터 반사된다. 반사된 신호는 제2 증폭기(314b)와 제2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b)를 통해 전파되어 신호 조합기(B612)의 제2 입력에 도달한다.
(신호 조합기(B612)의 제1 입력에서의) 초기 신호 및 (신호 조합기(B612)의 제2 입력에서의) 반사된 신호가 위상차를 가질 때, 신호 조합기(B612)에 의해 수행되는 합산은 신호 조합기(B612)의 출력에서의 신호의 약화를 초래한다. 유사하게, 초기 신호 및 반사된 신호가 동일 위상일 때, 신호 조합기(B612)에 의해 수행되는 합산은 신호 조합기(B612)의 출력에서 신호의 강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제2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b)는 초기 신호 및 반사된 신호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 위상이도록 신호(적어도, 제1 주파수 대역에서)를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특히, 제2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b)는 초기 신호와 반사된 신호의 합의 진폭이 초기 신호의 진폭보다 더 크도록 신호(적어도 제1 주파수 대역에서)를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로서, 제2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b)는 제2 증폭기(314b)를 통한 역방향 전파, 다이플렉서(B611)로부터의 반사 및 제2 증폭기(314b)를 통한 순방향 전파에 의해 도입되는 위상-이동의 -1/2배만큼 제2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b)를 통과하는 신호를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b)는 제2 증폭기(314b)를 통한 역방향 전파, 다이플렉서(B611)로부터의 반사 및 제2 증폭기(314b)를 통한 순방향 전파에 의해 도입되는 위상-이동과 360도 사이의 차이의 절반만큼 제2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b)를 통과하는 신호를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2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b)는 초기 신호 및 반사된 신호가 360도의 정수배(0 포함)의 위상차를 갖도록 제2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b)를 통과하는 신호를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초기 신호는 0도(또는 임의의 다른 기준 위상)일 수 있고, 제2 증폭기(314b)를 통한 역방향 전파, 다이플렉서(B611)로부터의 반사 및 제2 증폭기(314b)를 통한 순방향 전파는 140도 위상 이동을 도입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제2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b)는 -70도만큼 제2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b)를 통과하는 신호를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초기 신호는 제2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b)에 의해 -70도로, 제2 증폭기(314b)를 통한 역방향 전파, 다이플렉서(B611)로부터의 반사 및 제2 증폭기(314b)를 통한 순방향 전파에 의해 70도로, 그리고, 제2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b)에 의해 다시 0도로 위상 이동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2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b)는 110도만큼 제2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b)를 통과하는 신호를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초기 신호는 제2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b)에 의해 110도로, 제2 증폭기(314b)를 통한 역방향 전파, 다이플렉서(B611)로부터의 반사 및 제2 증폭기(314b)를 통한 순방향 전파에 의해 250도로, 그리고, 제2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b)에 의해 360도로 위상 이동된다.
동시에, 안테나(140)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다이플렉서(B611)에 의해 제2 주파수 대역에 대해 필터링되고, 제2 증폭기(314b)를 통해 제2 경로를 따라 전파된다. 필터링되고 증폭된 신호는 제2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b)에 의해 위상-이동되고, 신호 조합기(B612)의 제2 입력에 공급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신호 조합기(B612) 또는 제1 증폭기(314a)는 역방향으로 제1 경로를 따라 신호 조합기(B612)를 통해 신호가 지속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신호는 제1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a)를 통해, 그리고, 제2 증폭기(314a)를 통해 전파되고, 여기서 이는 다이플렉서(B611)로부터 반사된다. 반사된 신호는 제1 증폭기(314a)와 제1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a)를 통해 전파되어 신호 조합기(B612)의 제1 입력에 도달한다.
(신호 조합기(B612)의 제2 입력에서의) 초기 신호 및 (신호 조합기(B612)의 제1 입력에서의) 반사된 신호가 위상차를 가질 때, 신호 조합기(B612)에 의해 수행되는 합산은 신호 조합기(B612)의 출력에서의 신호의 약화를 초래하고, 초기 신호 및 반사된 신호가 동일 위상일 때, 신호 조합기(B612)에 의해 수행되는 합산은 신호 조합기(B612)의 출력에서 신호의 강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제1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a)는 초기 신호 및 반사된 신호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 위상이도록 신호(적어도, 제2 주파수 대역에서)를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로서, 제1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a)는 제1 증폭기(314a)를 통한 역방향 전파, 다이플렉서(B611)로부터의 반사 및 제1 증폭기(314a)를 통한 순방향 전파에 의해 도입되는 위상-이동의 -1/2배만큼 제1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a)를 통과하는 신호를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a)는 제1 증폭기(314a)를 통한 역방향 전파, 다이플렉서(B611)로부터의 반사 및 제1 증폭기(314a)를 통한 순방향 전파에 의해 도입되는 위상-이동과 360도 사이의 차이의 절반만큼 제1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a)를 통과하는 신호를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a)는 초기 신호 및 반사된 신호가 360도의 정수배(0 포함)의 위상차를 갖도록 제1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a)를 통과하는 신호를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a-B624b)는 패시브 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a-B624b)는 LC 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인덕터 및/또는 커패시터 같은 하나 이상의 패시브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패시브 컴포넌트는 병렬 및/또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고, 신호 조합기(B612)의 입력과 증폭기(314a-314b)의 출력 사이에 연결될 수 있거나 접지 전압과 증폭기(314a-314b)의 출력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a-B624b)는 증폭기(314a-314b)와 동일한 다이 또는 동일한 패키지에 통합된다.
일부 구현예에서(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a-B624b)는 증폭기(314a-314b) 이후 경로를 따라 배치된다. 따라서,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a-B624b)에 의해 유발되는 임의의 신호 감쇠는 모듈(B610)의 성능, 예를 들어 출력 신호의 신호-대-잡음 비율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일부 구현예에서,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a-B624b)는 증폭기(314a-314b) 이전의 경로를 따라 배치된다. 예로서, 위상-이동 컴포넌트(B624a-B624b)는 다이플렉서(B611)와 증폭기(314a-314b) 사이에 배치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에 통합될 수 있다.
도 12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B640)이 하나 이상의 위상 정합 컴포넌트(B624a-B624b) 및 이중-스테이지 증폭기(B614a-B614b)를 구비한 DRx 모듈(B641)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12의 DRx 모듈(B641)은 도 11의 DRx 모듈(B610)의 증폭기(314a-314b)가 도 12의 DRx 모듈(B641)에서 이중-스테이지 증폭기(B614a-B614b)로 대체되는 것을 제외하면 도 11의 DRx 모듈(B610)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도 13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B680)이 하나 이상의 위상 정합 컴포넌트(B624a-B624b) 및 조합기-후 증폭기(B615)를 구비한 DRx 모듈(B681)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13의 DRx 모듈(B681)은 도 13의 DRx 모듈(B681)이 신호 조합기(B612)의 출력과 DRx 모듈(B681)의 출력 사이에 배치된 조합기-후 증폭기(B615)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11의 DRx 모듈(B610)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증폭기(314a-314b)와 유사하게, 조합기-후 증폭기(B615)는 DRx 제어기(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는 가변-이득 증폭기(VGA) 및/또는 가변-전류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B700)이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B724a-B724d)를 구비한 DRx 모듈(B710)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B724a-B724d) 각각은 DRx 제어기(B702)로부터 수신된 위상-이동 튜닝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양만큼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통과하는 신호를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B700)은 안테나(140)에 결합된 입력 및 전송 라인(135)에 결합된 출력을 갖는 DRx 모듈(B710)을 포함한다. DRx 모듈(B710)은 DRx 모듈(B710)의 입력과 출력 사이에 다수의 경로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모듈(B710)은 DRx 제어기(B702)에 의해 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우회 스위치에 의해 활성화되는 입력과 출력 사이의 하나 이상의 우회 경로(미도시)를 포함한다.
DRx 모듈(B710)은 입력 멀티플렉서(B311)와 출력 멀티플렉서(B312)를 포함하는 다수의 멀티플렉서 경로를 포함한다. 멀티플렉서 경로는 입력 멀티플렉서(B311), 대역통과 필터(B313a-B313d), 증폭기(B314a-B314d),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B724a-B724d), 출력 멀티플렉서(B312) 및 조합기-후 증폭기(B615)를 포함하는 다수의 온-모듈 경로(도시됨)를 포함한다. 멀티플렉서 경로는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오프-모듈 경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증폭기(B314a-B314d)(이득-후 증폭기(B615)를 포함함)는 가변-이득 증폭기 및/또는 가변-전류 증폭기일 수 있다.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B724a-B724d)는 하나 이상의 가변 컴포넌트, 예컨대,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 컴포넌트는 병렬 및/또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고, 출력 멀티플렉서(B312)의 입력과 증폭기(B314a-B314d)의 출력 사이에 연결될 수 있거나 접지 전압과 증폭기(B314a-B314d)의 출력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DRx 제어기(B702)는 입력과 출력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B702)는 (예를 들어, 통신 제어기로부터) DRx 제어기(B702)에 의해 수신된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DRx 제어기(B702)는 예로서, 증폭기(B314a-B314d)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하거나, 멀티플렉서(B311, B312)를 제어하거나 또는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경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B702)는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B724a-B724d)를 튜닝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B702)는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B724a-B724d)를 튜닝한다. 예로서, DRx 제어기(B702)는 대역 선택 신호에 의해 표시된 주파수 대역(또는 주파수 대역의 세트)를 튜닝 파라미터와 연계시키는 참조표에 기초하여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B724a-B724d)를 튜닝할 수 있다. 따라서,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DRx 제어기(B702)는 튜닝 파라미터에 따라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또는 그 가변 컴포넌트)를 튜닝하도록 각 액티브 경로의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B724a-B724d)에 위상-이동 튜닝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DRx 제어기(B702)는 대역외 반사된 신호가 대역외 초기 신호와 출력 멀티플렉서(B312)에서 동일 위상이도록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B724a-B724d)를 튜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대역 선택 신호가 제1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제1 경로(제1 증폭기(B314a)를 통해), 제2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제2 경로(제2 증폭기(B314b)를 통해), 그리고, 제3 경로(제3 증폭기(B314c)를 통해)가 활성화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DRx 제어기(B702)는 (1)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제2 경로를 따라 전파하는 신호에 대하여, 초기 신호가 제1 경로를 따라 역방향 전파하고, 대역통과 필터(B313a)로부터 반사되고 제1 경로를 따라 순방향 전파되는 반사된 신호와 동일 위상이고, (2) (제3 주파수 대역에서) 제3 경로를 따라 전파하는 신호에 대하여, 초기 신호가 제1 경로를 따라 역방향 전파하고, 대역통과 필터(B313a)로부터 반사되고 제1 경로를 통해 순방향 전파되는 반사된 신호와 동일 위상이도록 제1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B724a)를 튜닝할 수 있다.
DRx 제어기(B702)는 제2 주파수 대역이 제3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양으로 위상 이동되도록 제1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B724a)를 튜닝할 수 있다. 예로서, 제2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는 140도만큼 위상 이동되고, 제3 주파수 대역이 제1 증폭기(B314a)를 통한 역방향 전파, 대역통과 필터(B313a)로부터의 반사 및 제1 증폭기(B314b)를 통한 순방향 전파에 의해 130도만큼 위상-이동되는 경우, DRx 제어기(B702)는 제1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B724a)를 튜닝하여 제2 주파수 대역을 -70도(또는 110도)만큼 위상-이동시키고 제3 주파수 대역을 -65도(또는 115도)만큼 위상-이동시킬 수 있다.
DRx 제어기(B702)는 유사하게 제2 위상-이동 컴포넌트(B724b) 및 제3 위상-이동 컴포넌트(B724c)를 유사하게 튜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대역 선택 신호가 제1 경로, 제2 경로, 그리고, 제4 경로(제4 증폭기(B314d)를 통해)가 활성화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DRx 제어기(B702)는 (1)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제2 경로를 따라 전파하는 신호에 대하여, 초기 신호가 제1 경로를 따라 역방향 전파하고, 대역통과 필터(B313a)로부터 반사되고 제1 경로를 따라 순방향 전파되는 반사된 신호와 동일 위상이고, (2) (제4 주파수 대역에서) 제4 경로를 따라 전파하는 신호에 대하여, 초기 신호가 제1 경로를 따라 역방향 전파하고, 대역통과 필터(B313a)로부터 반사되고 제1 경로를 통해 순방향 전파되는 반사된 신호와 동일 위상이도록 제1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B724a)를 튜닝할 수 있다.
DRx 제어기(B702)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의 세트에 대하여 상이한 값을 갖도록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B724a-B724d)의 가변 컴포넌트를 튜닝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B724a-B724d)는 DRx 제어기(B702)에 의해 제어되거나 튜닝되지 않는 고정 위상-이동 컴포넌트로 대체된다.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된 위상-이동 컴포넌트 중 각각의 하나는 대응하는 다른 경로를 따른 초기 신호가 경로 중 하나를 따라 역방향 전파되고 대응 대역통과 필터로부터 반사되고 경로 중 하나를 통해 순방향 전파되는 반사된 신호와 동일 위상이도록 다른 주파수 대역의 각각을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제3 위상-이동 컴포넌트(B724c)는 고정될 수 있고, (1) (제1 경로를 따라 전파하는) 제1 주파수에서의 초기 신호가 제3 경로를 따라 역방향 전파하고, 제3 대역통과 필터(B313c)로부터 반사되고 제3 경로를 통해 순방향 전파되는 반사된 신호와 동일 위상이도록 제1 주파수 대역을 위상-이동시키고 (2) (제2 경로를 따라 전파하는) 제2 주파수에서의 초기 신호가 제3 경로를 따라 역방향 전파하고, 제3 대역통과 필터(B313c)로부터 반사되고 제3 경로를 통해 순방향 전파되는 반사된 신호와 동일 위상이도록 제2 주파수 대역을 위상-이동시키고 및 (3) (제4 경로를 따라 전파하는) 제4 주파수에서의 초기 신호가 제3 경로를 따라 역방향 전파하고, 제3 대역통과 필터(B313c)로부터 반사되고 제3 경로를 통해 순방향 전파되는 반사된 신호와 동일 위상이도록 제4 주파수 대역을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위상-이동 컴포넌트는 유사하게 고정 및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DRx 모듈(B710)은 DRx 모듈(B710)의 입력과 DRx 모듈(B710)의 출력 사이에서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DRx 제어기(B702)를 포함한다. DRx 모듈(B710)은 또한 복수의 증폭기(B314a-B314d)를 포함하고, 이 복수의 증폭기(B314a-B314d)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증폭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DRx 모듈은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B724a-B724d)를 포함하고,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B724a-B724d)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통과하는 신호를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위상-이동 컴포넌트(B724a)는 제1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제1 주파수 대역 필터(B313a)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제1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제1 경로를 따라 전파되는 반사된 신호 및 제2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제2 경로를 따라 전파되는 초기 신호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 위상이도록 제1 위상-이동 컴포넌트(B724a)를 통과하는 신호의 제2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제2 대역통과 필터(B313b)의 주파수 대역)을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위상-이동 컴포넌트(B724a)는 제1 경로를 따라 전파되는 반사된 신호와 제3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제3 경로를 따라 전파되는 초기 신호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 위상이도록 제1 위상-이동 컴포넌트(B724a)를 통과하는 신호의 제3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제3 대역통과 필터(B313c)의 주파수 대역)을 위상-이동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유사하게, 일부 구현예에서, 제2 경로를 따라 배치된 제2 위상-이동 컴포넌트(B724b)는 제2 경로를 따라 전파되는 반사된 신호 및 제1 경로를 따라 전파되는 초기 신호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 위상이도록 제2 위상-이동 컴포넌트(B724b)를 통과하는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을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17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BC1000)이 입력 및 출력에 배치된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를 구비한 DRx 모듈(BC1010)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DRx 모듈(BC1010)은 DRx 모듈(BC1010)의 입력 및 출력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DRx 모듈(BC1010)은 DRx 모듈(BC1010)의 입력에 배치된 입력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1016), DRx 모듈(BC1010)의 출력에 배치된 출력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1017) 또는 양자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한 다이버시티 안테나(140) 상에서 수신된 다수의 주파수 대역은 이상적 임피던스 정합을 모두 인지할 가능성은 낮다. 소형 정합 회로를 사용하여 각 주파수 대역을 정합시키기 위해, 튜닝가능한 입력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1016)가 (예를 들어, 통신 제어기로부터의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DRx 제어기(BC1002)에 의해 제어되고 DRx 모듈(BC1010)의 입력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로서, DRx 제어기(BC1002)는 대역 선택 신호에 의해 표시된 주파수 대역(또는 주파수 대역의 세트)를 튜닝 파라미터와 연계시키는 참조표에 기초하여 튜닝가능한 입력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1016)를 튜닝할 수 있다. 따라서,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DRx 제어기(BC1002)는 입력 임피던스 튜닝 신호를 튜닝가능한 입력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1016)에 전송하여 튜닝 파라미터에 따라 튜닝가능한 입력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또는 그 가변 컴포넌트)를 튜닝할 수 있다.
튜닝가능한 입력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1016)는 튜닝가능한 T-회로, 튜닝가능한 PI-회로 또는 임의의 다른 튜닝가능한 정합 회로일 수 있다. 특히, 튜닝가능한 입력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1016)는 하나 이상의 가변 컴포넌트, 예컨대, 저항기,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 컴포넌트는 병렬 및/또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고, DRx 모듈(BC1010)의 입력과 제1 멀티플렉서(BC311)의 입력 사이에 연결될 수 있거나 접지 전압과 DRx 모듈(BC1010)의 입력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유사하게, 다수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반송하는 단 하나의 전송 라인(135)(또는 적어도 소수의 케이블)으로, 다수의 주파수 대역이 이상적 임피던스 정합을 모두 인지할 가능성은 낮다. 소형 정합 회로를 사용하여 각 주파수 대역을 정합시키기 위해, 튜닝가능한 출력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1017)가 (예를 들어, 통신 제어기로부터의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DRx 제어기(BC1002)에 의해 제어되고 DRx 모듈(BC1010)의 출력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로서, DRx 제어기(BC1002)는 대역 선택 신호에 의해 표시된 주파수 대역(또는 주파수 대역의 세트)를 튜닝 파라미터와 연계시키는 참조표에 기초하여 튜닝가능한 출력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1017)를 튜닝할 수 있다. 따라서,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DRx 제어기(BC1002)는 출력 임피던스 튜닝 신호를 튜닝가능한 출력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1017)에 전송하여 튜닝 파라미터에 따라 튜닝가능한 출력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또는 그 가변 컴포넌트)를 튜닝할 수 있다.
튜닝가능한 출력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1017)는 튜닝가능한 T-회로, 튜닝가능한 PI-회로 또는 임의의 다른 튜닝가능한 정합 회로일 수 있다. 특히, 튜닝가능한 출력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1017)는 하나 이상의 가변 컴포넌트, 예컨대, 저항기,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 컴포넌트는 병렬 및/또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멀티플렉서(BC312)의 출력과 DRx 모듈(BC1010)의 출력 사이에 연결될 수 있거나 접지 전압과 제2 멀티플렉서(BC312)의 출력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8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BC1100)이 다수의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를 구비한 DRx 모듈(BC1110)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BC1100)은 안테나(140)에 결합된 입력 및 전송 라인(135)에 결합된 출력을 갖는 DRx 모듈(BC1110)을 포함한다. DRx 모듈(BC1110)은 DRx 모듈(BC1110)의 입력과 출력 사이에 다수의 경로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모듈(BC1110)은 DRx 제어기(BC1102)에 의해 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우회 스위치에 의해 활성화되는 입력과 출력 사이의 하나 이상의 우회 경로(미도시)를 포함한다.
DRx 모듈(BC1110)은 입력 멀티플렉서(BC311)와 출력 멀티플렉서(BC312)를 포함하는 다수의 멀티플렉서 경로를 포함한다. 멀티플렉서 경로는 다수의 온-모듈 경로(미도시)를 포함하고 이는 튜닝가능한 입력 임피던스 정합 회로(BC1016), 입력 멀티플렉서(BC311), 대역통과 필터(BC313a-BC313d),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934a-BC934d), 증폭기(BC314a-BC314d),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BC724a-BC724d), 출력 멀티플렉서(BC312) 및 튜닝가능한 출력 임피던스 정합 회로(BC1017)를 포함한다. 멀티플렉서 경로는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오프-모듈 경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증폭기(BC314a-BC314d)는 가변-이득 증폭기 및/또는 가변-전류 증폭기일 수 있다.
DRx 제어기(BC1102)는 입력과 출력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BC1102)는 (예를 들어, 통신 제어기로부터) DRx 제어기(BC1102)에 의해 수신된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DRx 제어기(BC902)는 예로서, 증폭기(BC314a-BC314d)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하거나, 멀티플렉서(BC311, BC312)를 제어하거나 또는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경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BC1102)는 하나 이상의 활성화된 경로를 따라 각각 배치된 하나 이상의 증폭기(BC314a-BC314d)에 증폭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증폭기 제어 신호는 증폭기 제어 신호가 송신되는 증폭기의 이득(또는 전류)을 제어한다.
DRx 제어기(BC1102)는 튜닝가능한 입력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1016),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934a-BC934d),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BC724a-BC724d) 및 튜닝가능한 출력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1017) 중 하나 이상을 튜닝하도록 구성된다. 예로서, DRx 제어기(BC1102)는 대역 선택 신호에 의해 표시된 주파수 대역(또는 주파수 대역의 세트)를 튜닝 파라미터와 연계시키는 참조표에 기초하여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를 튜닝할 수 있다. 따라서,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DRx 제어기(BC1101)는 튜닝 파라미터에 따라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또는 그 가변 컴포넌트)를 튜닝하도록 (액티브 경로의) 튜닝가능한 컴포넌트에 튜닝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BC1102)는 증폭기(BC314a-BC314d)의 이득 및/또는 전류를 제어하도록 전송되는 증폭기 제어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를 튜닝한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튜닝가능한 컴포넌트 중 하나 이상은 DRx 제어기(BC1102)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 고정 컴포넌트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튜닝가능한 컴포넌트 중 하나의 튜닝은 다른 튜닝가능한 컴포넌트의 튜닝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제1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를 위한 참조표의 튜닝 파라미터는 제2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를 위한 튜닝 파라미터에 기초할 수 있다. 예로서,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BC724a-BC724d)를 위한 튜닝 파라미터는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934a-BC934d)를 위한 튜닝 파라미터에 기초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934a-BC934d)를 위한 튜닝 파라미터는 튜닝가능한 입력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1016)를 위한 튜닝 파라미터에 기초할 수 있다.
도 19는 RF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일부 구현예에서(그리고, 일 예로서 후술된 바와 같이), 방법(BC1200)은 도 18의 DRx 제어기(BC1102) 같은 제어기에 의해 수행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방법(BC1200)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처리 로직에 의해 수행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방법(BC1200)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에 저장된 코드를 실행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된다. 간단히, 방법(BC1200)은 대역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RF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튜닝된 경로를 따라 수신된 RF 신호를 라우팅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BC1200)은 블록 BC1210에서 대역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기에서 시작한다. 제어기는 다른 제어기로부터 대역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거나 셀룰러 기지국 또는 다른 외부적 소스로부터 대역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대역 선택 신호는 무선 디바이스가 RF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역 선택 신호는 캐리어 집성 통신을 위한 주파수 대역의 세트를 나타낸다.
블록 BC1220에서, 제어기는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다이버시티 수신기(DRx)의 하나 이상의 경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한다.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DRx 모듈은 DRx 모듈의 하나 이상의 입력(하나 이상의 안테나에 결합됨) 및 하나 이상의 출력(하나 이상의 전송 라인에 결합됨) 사이에 다수의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로는 우회 경로 및 멀티플렉서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플렉서 경로는 온-모듈 경로 및 오프-모듈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는 예로서, 하나 이상의 우회 스위치를 개방 또는 폐쇄하거나, 증폭기 인에이블 신호를 거쳐 경로를 따라 배치된 증폭기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하거나, 분할기 제어 신호 및/또는 조합기 제어 신호를 거쳐 하나 이상의 멀티플렉서를 제어하거나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예로서, 제어기는 경로를 따라 배치된 스위치를 개방 또는 폐쇄하거나 경로를 따라 배치된 증폭기의 이득을 실질적으로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블록 BC1230에서, 제어기는 하나 이상의 활성화된 경로를 따라 배치된 하나 이상의 튜닝가능한 컴포넌트에 튜닝 신호를 송신한다.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는 DRx 모듈의 입력에 배치도니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 복수의 경로를 따라 각각 배치된 복수의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 복수의 경로를 따라 각각 배치된 복수의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 또는 DRx 모듈의 출력에 배치된 튜닝가능한 출력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는 대역 선택 신호에 의해 표시된 주파수 대역(또는 주파수 대역의 세트)를 튜닝 파라미터와 연계시키는 참조표에 기초하여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를 튜닝할 수 있다. 따라서,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DRx 제어기는 튜닝 파라미터에 따라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또는 그 가변 컴포넌트)를 튜닝하도록 (액티브 경로의) 튜닝가능한 컴포넌트에 튜닝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어기는 하나 이상의 활성화된 경로를 따라 각각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증폭기의 이득 및/또는 전류를 제어하도록 전송되는 증폭기 제어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를 튜닝한다.
특히, 위상-이동 컴포넌트에 관련한 전술한 예 B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수신 시스템의 입력과 수신 시스템의 출력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하는 수신 시스템에 관련한다. 수신 시스템은 복수의 증폭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복수의 증폭기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증폭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시스템은 추가로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통과하는 신호를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경로 중 제1 경로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 중 제1 위상-이동 컴포넌트는 제2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경로 중 제2 경로를 따라 전파되는 제2 초기 신호와 제1 경로를 따라 전파되는 제2 반사된 신호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 위상이도록 제1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통과하는 신호의 제2 주파수 대역을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2 경로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의 제2 위상-이동 컴포넌트는 제2 경로를 따라 전파되는 제1 반사된 신호 및 제1 경로를 따라 전파되는 제1 초기 신호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 위상이도록 제2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통과하는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을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위상-이동 컴포넌트는 제1 경로를 따라 전파되는 제3 반사된 신호와 제3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경로 중 제3 경로를 따라 전파되는 제3 초기 신호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 위상이도록 제1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통과하는 신호의 제3 주파수 대역을 위상-이동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위상-이동 컴포넌트는 제2 초기 신호 및 제2 반사된 신호가 360도의 정수배의 위상차를 갖도록 제1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통과하는 신호의 제2 주파수 대역을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신 시스템은 입력에서 수신된 입력 신호를 복수의 경로를 따라 전파되는 각각의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복수의 신호로 분할하도록 구성된 멀티플렉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신 시스템은 복수의 경로를 따라 전파되는 신호를 조합하도록 구성된 신호 조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신 시스템은 신호 조합기와 출력 사이에 배치된 조합기-후 증폭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조합기-후 증폭기는 조합기-후 증폭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증폭기 중 각각의 하나와 신호 조합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증폭기 중 적어도 하나는 이중-스테이지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 중 적어도 하나는 패시브 회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 중 적어도 하나는 LC 회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 중 적어도 하나는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위상-이동 튜닝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양으로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통과하는 신호를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된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신 시스템은 복수의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며,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의 대역외 이득 또는 대역외 잡음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복수의 컴포넌트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패키징 기판을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RF) 모듈에 관한 것이다. RF 모듈은 패키징 기판 상에 구현된 수신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수신 시스템은 수신 시스템의 입력과 수신 시스템의 출력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한다. 수신 시스템은 복수의 증폭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복수의 증폭기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증폭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시스템은 추가로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통과하는 신호를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모듈은 다이버시티 수신기 프론트-엔드 모듈(FEM)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경로 중 제1 경로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 중 제1 위상-이동 컴포넌트는 제2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경로 중 제2 경로를 따라 전파되는 제2 초기 신호와 제1 경로를 따라 전파되는 제2 반사된 신호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 위상이도록 제1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통과하는 신호의 제2 주파수 대역을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기술에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제1 무선-주파수(RF)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에 관련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제1 안테나와 통신하는 제1 프론트-엔드 모듈(FEM)을 더 포함한다. 제1 FEM은 복수의 컴포넌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패키징 기판을 포함한다. 제1 FEM은 패키징 기판 상에 구현된 수신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수신 시스템은 수신 시스템의 입력과 수신 시스템의 출력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한다. 수신 시스템은 복수의 증폭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복수의 증폭기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증폭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시스템은 추가로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통과하는 신호를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전송 라인을 거쳐 출력으로부터 처리된 버전의 제1 RF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된 버전의 제1 RF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비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제2 무선-주파수(RF)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안테나 및 제1 안테나와 통신하는 제2 FEM을 더 포함한다. 트랜시버는 제2 FEM의 출력으로부터 처리된 버전의 제2 RF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된 버전의 제2 RF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비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경로 중 제1 경로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 중 제1 위상-이동 컴포넌트는 제2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경로 중 제2 경로를 따라 전파되는 제2 초기 신호와 제1 경로를 따라 전파되는 제2 반사된 신호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 위상이도록 제1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통과하는 신호의 제2 주파수 대역을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예 C: 임피던스-이동 컴포넌트
도 15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C800)이 하나 이상의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834a-C834b)를 구비한 DRx 모듈(C810)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DRx 모듈(C810)은 안테나(140)에 결합된 DRx 모듈(C810)의 입력 및 전송 라인(135)에 결합된 DRx 모듈(C810)의 출력으로부터의 두 개의 경로를 포함한다.
도 15의 DRx 모듈(C810)(도 11의 DRx 모듈(B610))에서, 신호 분할기 및 대역통과 필터는 다이플렉서(C611)로서 구현된다. 다이플렉서(C611)는 안테나에 결합된 입력, 제1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834a)에 결합된 제1 출력 및 제2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834b)에 결합된 제2 출력을 포함한다. 제1 출력에서, 다이플렉서(C611)는 제1 주파수 대역에 대해 필터링된 (예를 들어, 안테나(140)로부터의) 입력에서 수신된 신호를 출력한다. 제2 출력에서, 다이플렉서(C611)는 제2 주파수 대역에 대해 필터링된 입력에서 수신된 신호를 출력한다.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834a-C634d) 각각은 다이플렉서(C611)와 증폭기(C314a-C314b) 사이에 배치된다.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증폭기(C314a-C314b) 중 각각의 하나는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증폭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증폭기(C314a-C314b)의 출력은 신호 조합기(C612)에 공급된다.
신호 조합기(C612)는 제1 증폭기(C314a)에 결합된 제1 입력, 제2 증폭기(C314b)에 결합된 제2 입력 및 DRx 모듈(C610)의 출력에 결합된 출력을 포함한다. 신호 조합기의 출력에서의 신호는 제1 입력 및 제2 입력에서의 신호의 합이다.
신호가 안테나(140)에 의해 수신될 때, 신호는 다이플렉서(C611)에 의해 제1 주파수 대역에 대해 필터링되고, 제1 증폭기(C314a)를 통해 제1 경로를 따라 전파된다. 유사하게, 신호는 제2 주파수 대역에 대해 다이플렉서(C611)에 의해 필터링되고 제2 증폭기(C314b)를 통해 제2 경로를 따라 전파된다.
경로 각각은 잡음 지수 및 이득에 의해 특징지어질 수 있다. 각 경로의 잡음 지수는 경로를 따라 배치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 및 증폭기에 의해 유발되는 신호-대-잡음 비율(SNR)의 악화의 표현이다. 특히, 각 경로의 잡음 지수는 증폭기(C314a-C314b)의 출력에서 SNR과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834a-C834b)의 입력에서 SNR 사이의 데시벨(dB) 단위 차이이다. 따라서, 잡음 지수는 동일한 이득을 갖는 "이상적" 증폭기(잡음을 생성하지 않음)의 잡음 출력에 대한 증폭기의 잡음 출력 사이의 차이의 척도이다. 유사하게, 각 경로를 위한 이득은 경로를 따라 배치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와 증폭기에 의해 유발되는 이득의 표현이다.
각 경로의 이득 및 잡음 지수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 대해 상이할 수 있다. 예로서, 제1 경로는 제1 주파수 대역에 대한 대역내 잡음 지수 및 대역내 이득과 제2 주파수 대역에 대한 대역외 잡음 지수 및 대역외 이득을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경로는 제2 주파수 대역에 대한 대역내 잡음 지수 및 대역내 이득과 제1 주파수 대역에 대한 대역외 잡음 지수 및 대역외 이득을 가질 수 있다.
DRx 모듈(C810)은 또한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 대해 상이할 수 있는 잡음 지수 및 이득에 의해 특징지어질 수 있다. 특히, DRx 모듈(C810)의 잡음 지수는 DRx 모듈(C810)의 출력에서의 SNR과 DRx 모듈(C810)의 입력에서의 SNR 사이의 dB 단위 차이이다.
각 경로(각 주파수 대역)의 잡음 지수 및 이득은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834a-C834b)의 임피던스(각 주파수 대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할 수 있다. 따라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834a-C834b)의 임피던스는 각 경로의 대역내 잡음 지수가 최소화되고 및/또는 각 경로의 대역내 이득이 최대화되도록 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834a-C834b) 각각은 (이런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834a-C834b)가 없는 DRx 모듈에 비해) 그 각각의 경로의 대역내 잡음 지수를 감소시키고 및/또는 그 각각의 경로의 대역내 이득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두 경로를 따라 전파되는 신호가 신호 조합기(C612)에 의해 조합되기 때문에, 증폭기에 의해 생성되거나 증폭되는 대역외 잡음은 조합된 신호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로서, 제1 증폭기(C314a)에 의해 생성되거나 증폭되는 대역외 잡음은 제2 주파수에서 DRx 모듈(C810)의 잡음 지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834a-C834b)의 임피던스는 각 경로의 대역외 잡음 지수가 최소화되고 및/또는 각 경로의 대역외 이득이 최소화되도록 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834a-C834b) 각각은 (이런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834a-C834b)가 없는 DRx 모듈에 비해) 그 각각의 경로의 대역외 잡음 지수를 감소시키고 및/또는 그 각각의 경로의 대역외 이득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834a-C834b)는 패시브 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834a-C834b)는 RLC 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패시브 컴포넌트, 예컨대, 저항기, 인덕터 및/또는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패시브 컴포넌트는 병렬 및/또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고, 다이플렉서(C611)의 출력과 증폭기(C314a-C314b)의 입력 사이에 연결될 수 있거나 접지 전압과 다이플렉서(C611)의 출력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834a-C834b)는 증폭기(C314a-C314b)와 동일한 다이에 또는 동일한 패키지에 통합된다.
본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특정 경로에 대하여,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834a-C834b)의 임피던스는 대역내 잡음 지수가 최소화되고, 대역내 이득이 최대화되고, 대역외 잡음 지수가 최소화되고, 대역외 이득이 최소화되도록 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단지 두 개의 자유도(예를 들어, 제1 주파수 대역에서의 임피던스 및 제2 주파수 대역에서의 임피던스) 또는 다양한 제약(예를 들어, 컴포넌트 수, 비용, 다이 공간)에서 이들 목적 넷 모두를 달성하도록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834a-C834b)를 설계하는 것은 과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대역내 잡음 지수에서 대역내 이득을 감산한 대역내 척도가 최소화되고, 대역외 잡음 지수와 대역외 이득을 합한 대역외 척도가 최소화된다. 다양한 제약에서 이들 목적 양자 모두를 달성하기 위해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834a-C834b)를 설계하는 것은 여전히 과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대역내 척도는 제약 세트가 적용되어 최소화되고, 대역외 척도는 이 제약 세트와, 대역내 척도가 임계량(예를 들어, 0.1 dB, 0.2 dB, 0.5 dB 또는 임의의 다른 값)을 초과한 만큼 증가되지 않는다는 추가적 제약이 적용되어 최소화된다. 따라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는 대역내 잡음 지수에서 대역내 이득을 감산한 대역내 척도를 대역내 척도 최소치, 예를 들어, 임의의 제약이 적용되는 최소의 가능한 대역내 척도의 임계량 이내로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는 대역외 잡음 지수와 대역외 이득의 합의 대역외 척도를 대역내 제약된 대역외 최소치, 예를 들어, 대역내 척도가 임계량을 초과한 만큼 증가되지 않는다는 추가적 제약이 적용된 최소의 가능한 대역외 척도로 감소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역내 척도(대역내 인자로 가중됨)와 대역외 척도(대역외 인자로 가중됨)의 합의 합성 척도는 임의의 제약이 적용되어 최소화된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834a-C834b) 각각은 (예를 들어, 대역내 잡음 지수를 감소시킴으로써, 대역내 이득을 증가시킴으로서 또는 양자 모두에 의해) 그 각각의 경로의 대역내 척도(대역내 잡음 지수에서 대역내 이득을 감산함)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834a-C834b) 각각은 (예를 들어, 대역외 잡음 지수를 감소시킴으로써, 대역외 이득을 감소시킴으로서 또는 양자 모두에 의해) 그 각각의 경로의 대역외 척도(대역외 잡음 지수와 대역외 이득을 합산함)를 감소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역외 척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834a-C834b)는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잡음 지수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키지 않고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DRx 모듈(C810)의 잡음 지수를 감소시킨다.
도 16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C900)이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934a-C934d)를 구비한 DRx 모듈(C910)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934a-C934d) 각각은 DRx 제어기(C902)로부터 수신된 임피던스 튜닝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임피던스를 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C900)은 안테나(140)에 결합된 입력 및 전송 라인(135)에 결합된 출력을 갖는 DRx 모듈(C910)을 포함한다. DRx 모듈(C910)은 DRx 모듈(C910)의 입력과 출력 사이에 다수의 경로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모듈(C910)은 DRx 제어기(C902)에 의해 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우회 스위치에 의해 활성화되는 입력과 출력 사이의 하나 이상의 우회 경로(미도시)를 포함한다.
DRx 모듈(C910)은 입력 멀티플렉서(C311)와 출력 멀티플렉서(312)를 포함하는 다수의 멀티플렉서 경로를 포함한다. 멀티플렉서 경로는 입력 멀티플렉서(C311), 대역통과 필터(C313a-C313d),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934a-C934d), 증폭기(C314a-C314d), 및 출력 멀티플렉서(C312)를 포함하는 다수의 온-모듈 경로(도시됨)를 포함한다. 멀티플렉서 경로는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오프-모듈 경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증폭기(C314a-C314d)는 가변-이득 증폭기 및/또는 가변-전류 증폭기일 수 있다.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934a-C934b)는 튜닝가능한 T-회로, 튜닝가능한 PI-회로 또는 임의의 다른 튜닝가능한 정합 회로일 수 있다.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934a-C934d)는 하나 이상의 가변 컴포넌트, 예컨대, 저항기,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 컴포넌트는 병렬 및/또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고, 입력 멀티플렉서(C311)의 출력과 증폭기(C314a-C314d)의 입력 사이에 연결될 수 있거나 접지 전압과 입력 멀티플렉서(C311)의 출력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DRx 제어기(C902)는 입력과 출력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C902)는 (예를 들어, 통신 제어기로부터) DRx 제어기(C902)에 의해 수신된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DRx 제어기(C902)는 예로서, 증폭기(C314a-C314d)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하거나, 멀티플렉서(C311, C312)를 제어하거나 또는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경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C902)는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934a-C934d)를 튜닝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C702)는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934a-C934d)를 튜닝한다. 예로서, DRx 제어기(C902)는 대역 선택 신호에 의해 표시된 주파수 대역(또는 주파수 대역의 세트)를 튜닝 파라미터와 연계시키는 참조표에 기초하여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934a-C934d)를 튜닝할 수 있다. 따라서,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DRx 제어기(C902)는 임피던스 튜닝 신호를 각 액티브 경로의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934a-C934d)에 전송하여 튜닝 파라미터에 따라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또는 그 가변 컴포넌트)를 튜닝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C902)는 증폭기(C934a-C934d)의 이득 및/또는 전류를 제어하도록 전송되는 증폭기 제어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314a-C314d)를 튜닝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C902)는 대역내 잡음 지수가 최소화(또는 감소)되고, 대역내 이득이 최대화(또는 증가)되고, 각각의 다른 액티브 경로를 위한 대역외 잡음 지수가 최소화(감소)되고 및/또는 각각의 다른 액티브 경로를 위한 대역외 이득이 최소화(또는 감소)되도록 각 액티브 경로의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934a-C934d)를 튜닝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C902)는 대역내 척도(대역내 잡음 지수로부터 대역내 이득을 감산)가 최소화(또는 감소)되고, 각각의 다른 액티브 경로를 위한 대역외 척도(대역외 잡음 지수와 대역외 이득의 합)이 최소화(또는 감소)되도록 각 액티브 경로의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934a-C934d)를 튜닝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C902)는 대역내 척도는 제약 세트가 적용되어 최소화(또는 감소)되고, 각각의 다른 액티브 경로를 위한 대역외 척도는 이 제약 세트와, 대역내 척도가 임계량(예를 들어, 0.1 dB, 0.2 dB, 0.5 dB 또는 임의의 다른 값)을 초과한 만큼 증가되지 않는다는 추가적 제약이 적용되어 최소화(또는 감소)되도록 각 액티브 경로의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934a-C934d)를 튜닝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C902)는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가 대역내 잡음 지수에서 대역내 이득을 감산한 대역내 척도를 대역내 척도 최소치, 예를 들어, 임의의 제약이 적용되는 최소의 가능한 대역내 척도의 임계량 이내로 감소시키도록 각 액티브 경로의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934a-C934d)를 튜닝하도록 구성된다. DRx 제어기(C902)는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가 대역외 잡음 지수와 대역외 이득의 합의 대역외 척도를 대역내 제약된 대역외 최소치, 예를 들어, 대역내 척도가 임계량을 초과한 만큼 증가되지 않는다는 추가적 제약이 적용된 최소의 가능한 대역외 척도로 감소시키도록 각 액티브 경로의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934a-C934d)를 튜닝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C902)는 대역내 척도(대역내 인자로 가중됨)와 각각의 다른 액티브 경로를 위한 대역외 척도(각각의 다른 액티브 경로를 위한 대역외 인자로 가중됨)의 합의 합성 척도가 임의의 제약이 적용되어 최소화(또는 감소)되도록 각 액티브 경로의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934a-C934d)를 튜닝하도록 구성된다.
DRx 제어기(C902)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의 세트에 대하여 상이한 값을 갖도록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934a-C934d)의 가변 컴포넌트를 튜닝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934a-C934d)는 DRx 제어기(C902)에 의해 제어되거나 튜닝되지 않는 고정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로 대체된다.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 중 각각의 하나는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위한 대역내 척도를 감소(또는 최소화)시키고 다른 주파수 대역 중 하나 이상(예를 들어, 다른 주파수 대역 각각)을 위한 대역외 척도를 감소(또는 최소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제3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934c)는 고정될 수 있고, (1) 제3 주파수 대역을 위한 대역내 척도를 감소시키고, (2) 제1 주파수 대역을 위한 대역외 척도를 감소시키고, (3) 제2 주파수 대역을 위한 대역외 척도를 감소시키고 및/또는 (4) 제4 주파수 대역의 대역외 척도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다른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는 유사하게 고정 및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DRx 모듈(C910)은 DRx 모듈(C910)의 입력과 DRx 모듈(C910)의 출력 사이에서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DRx 제어기(C902)를 포함한다. DRx 모듈(C910)은 또한 복수의 증폭기(C314a-C314d)를 포함하고, 이 복수의 증폭기(C314a-C314d)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증폭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DRx 모듈은 복수의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934a-C934d)를 더 포함하고,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C934a-C934d)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며, 복수의 경로 중 하나의 대역외 이득 또는 대역외 잡음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934a)는 제1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제1 대역통과 필터(C313a)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제1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제2 경로에 대응하는 제2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제2 대역통과 필터(C313b)의 주파수 대역)의 대역외 이득 또는 대역외 잡음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934a)는 제3 경로에 대응하는 제3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제3 대역통과 필터(C313c)의 주파수 대역)을 위한 대역외 이득 또는 대역외 잡음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유사하게, 일부 구현예에서, 제2 경로를 따라 배치된 제2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C934b)는 제1 주파수 대역을 위한 대역외 이득 또는 대역외 잡음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17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BC1000)이 입력 및 출력에 배치된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를 구비한 DRx 모듈(BC1010)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DRx 모듈(BC1010)은 DRx 모듈(BC1010)의 입력 및 출력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DRx 모듈(BC1010)은 DRx 모듈(BC1010)의 입력에 배치된 입력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1016), DRx 모듈(BC1010)의 출력에 배치된 출력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1017) 또는 양자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한 다이버시티 안테나(140) 상에서 수신된 다수의 주파수 대역은 이상적 임피던스 정합을 모두 인지할 가능성은 낮다. 소형 정합 회로를 사용하여 각 주파수 대역을 정합시키기 위해, 튜닝가능한 입력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1016)가 (예를 들어, 통신 제어기로부터의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DRx 제어기(BC1002)에 의해 제어되고 DRx 모듈(BC1010)의 입력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로서, DRx 제어기(BC1002)는 대역 선택 신호에 의해 표시된 주파수 대역(또는 주파수 대역의 세트)를 튜닝 파라미터와 연계시키는 참조표에 기초하여 튜닝가능한 입력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1016)를 튜닝할 수 있다. 따라서,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DRx 제어기(BC1002)는 입력 임피던스 튜닝 신호를 튜닝가능한 입력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1016)에 전송하여 튜닝 파라미터에 따라 튜닝가능한 입력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또는 그 가변 컴포넌트)를 튜닝할 수 있다.
튜닝가능한 입력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1016)는 튜닝가능한 T-회로, 튜닝가능한 PI-회로 또는 임의의 다른 튜닝가능한 정합 회로일 수 있다. 특히, 튜닝가능한 입력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1016)는 하나 이상의 가변 컴포넌트, 예컨대, 저항기,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 컴포넌트는 병렬 및/또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고, DRx 모듈(BC1010)의 입력과 제1 멀티플렉서(BC311)의 입력 사이에 연결될 수 있거나 접지 전압과 DRx 모듈(BC1010)의 입력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유사하게, 다수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반송하는 단 하나의 전송 라인(135)(또는 적어도 소수의 케이블)으로, 다수의 주파수 대역이 이상적 임피던스 정합을 모두 인지할 가능성은 낮다. 소형 정합 회로를 사용하여 각 주파수 대역을 정합시키기 위해, 튜닝가능한 출력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1017)가 (예를 들어, 통신 제어기로부터의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DRx 제어기(BC1002)에 의해 제어되고 DRx 모듈(BC1010)의 출력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로서, DRx 제어기(BC1002)는 대역 선택 신호에 의해 표시된 주파수 대역(또는 주파수 대역의 세트)를 튜닝 파라미터와 연계시키는 참조표에 기초하여 튜닝가능한 출력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1017)를 튜닝할 수 있다. 따라서,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DRx 제어기(BC1002)는 출력 임피던스 튜닝 신호를 튜닝가능한 출력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1017)에 전송하여 튜닝 파라미터에 따라 튜닝가능한 출력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또는 그 가변 컴포넌트)를 튜닝할 수 있다.
튜닝가능한 출력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1017)는 튜닝가능한 T-회로, 튜닝가능한 PI-회로 또는 임의의 다른 튜닝가능한 정합 회로일 수 있다. 특히, 튜닝가능한 출력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1017)는 하나 이상의 가변 컴포넌트, 예컨대, 저항기,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 컴포넌트는 병렬 및/또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멀티플렉서(BC312)의 출력과 DRx 모듈(BC1010)의 출력 사이에 연결될 수 있거나 접지 전압과 제2 멀티플렉서(BC312)의 출력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8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BC1100)이 다수의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를 구비한 DRx 모듈(BC1110)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BC1100)은 안테나(140)에 결합된 입력 및 전송 라인(135)에 결합된 출력을 갖는 DRx 모듈(BC1110)을 포함한다. DRx 모듈(BC1110)은 DRx 모듈(BC1110)의 입력과 출력 사이에 다수의 경로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모듈(BC1110)은 DRx 제어기(BC1102)에 의해 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우회 스위치에 의해 활성화되는 입력과 출력 사이의 하나 이상의 우회 경로(미도시)를 포함한다.
DRx 모듈(BC1110)은 입력 멀티플렉서(BC311)와 출력 멀티플렉서(BC312)를 포함하는 다수의 멀티플렉서 경로를 포함한다. 멀티플렉서 경로는 다수의 온-모듈 경로(미도시)를 포함하고 이는 튜닝가능한 입력 임피던스 정합 회로(BC1016), 입력 멀티플렉서(BC311), 대역통과 필터(BC313a-BC313d),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934a-BC934d), 증폭기(BC314a-BC314d),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BC724a-BC724d), 출력 멀티플렉서(BC312) 및 튜닝가능한 출력 임피던스 정합 회로(BC1017)를 포함한다. 멀티플렉서 경로는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오프-모듈 경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증폭기(BC314a-BC314d)는 가변-이득 증폭기 및/또는 가변-전류 증폭기일 수 있다.
DRx 제어기(BC1102)는 입력과 출력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BC1102)는 (예를 들어, 통신 제어기로부터) DRx 제어기(BC1102)에 의해 수신된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DRx 제어기(BC902)는 예로서, 증폭기(BC314a-BC314d)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하거나, 멀티플렉서(BC311, BC312)를 제어하거나 또는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경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BC1102)는 하나 이상의 활성화된 경로를 따라 각각 배치된 하나 이상의 증폭기(BC314a-BC314d)에 증폭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증폭기 제어 신호는 증폭기 제어 신호가 송신되는 증폭기의 이득(또는 전류)을 제어한다.
DRx 제어기(BC1102)는 튜닝가능한 입력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1016),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934a-BC934d),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BC724a-BC724d) 및 튜닝가능한 출력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1017) 중 하나 이상을 튜닝하도록 구성된다. 예로서, DRx 제어기(BC1102)는 대역 선택 신호에 의해 표시된 주파수 대역(또는 주파수 대역의 세트)를 튜닝 파라미터와 연계시키는 참조표에 기초하여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를 튜닝할 수 있다. 따라서,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DRx 제어기(BC1101)는 튜닝 파라미터에 따라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또는 그 가변 컴포넌트)를 튜닝하도록 (액티브 경로의) 튜닝가능한 컴포넌트에 튜닝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BC1102)는 증폭기(BC314a-BC314d)의 이득 및/또는 전류를 제어하도록 전송되는 증폭기 제어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를 튜닝한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튜닝가능한 컴포넌트 중 하나 이상은 DRx 제어기(BC1102)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 고정 컴포넌트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튜닝가능한 컴포넌트 중 하나의 튜닝은 다른 튜닝가능한 컴포넌트의 튜닝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제1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를 위한 참조표의 튜닝 파라미터는 제2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를 위한 튜닝 파라미터에 기초할 수 있다. 예로서,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BC724a-BC724d)를 위한 튜닝 파라미터는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934a-BC934d)를 위한 튜닝 파라미터에 기초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934a-BC934d)를 위한 튜닝 파라미터는 튜닝가능한 입력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BC1016)를 위한 튜닝 파라미터에 기초할 수 있다.
도 19는 RF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일부 구현예에서(그리고, 일 예로서 후술된 바와 같이), 방법(BC1200)은 도 18의 DRx 제어기(BC1102) 같은 제어기에 의해 수행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방법(BC1200)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처리 로직에 의해 수행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방법(BC1200)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에 저장된 코드를 실행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된다. 간단히, 방법(BC1200)은 대역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RF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튜닝된 경로를 따라 수신된 RF 신호를 라우팅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BC1200)은 블록 BC1210에서 대역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기에서 시작한다. 제어기는 다른 제어기로부터 대역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거나 셀룰러 기지국 또는 다른 외부적 소스로부터 대역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대역 선택 신호는 무선 디바이스가 RF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역 선택 신호는 캐리어 집성 통신을 위한 주파수 대역의 세트를 나타낸다.
블록 BC1220에서, 제어기는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다이버시티 수신기(DRx)의 하나 이상의 경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한다.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DRx 모듈은 DRx 모듈의 하나 이상의 입력(하나 이상의 안테나에 결합됨) 및 하나 이상의 출력(하나 이상의 전송 라인에 결합됨) 사이에 다수의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로는 우회 경로 및 멀티플렉서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플렉서 경로는 온-모듈 경로 및 오프-모듈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는 예로서, 하나 이상의 우회 스위치를 개방 또는 폐쇄하거나, 증폭기 인에이블 신호를 거쳐 경로를 따라 배치된 증폭기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하거나, 분할기 제어 신호 및/또는 조합기 제어 신호를 거쳐 하나 이상의 멀티플렉서를 제어하거나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예로서, 제어기는 경로를 따라 배치된 스위치를 개방 또는 폐쇄하거나 경로를 따라 배치된 증폭기의 이득을 실질적으로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블록 BC1230에서, 제어기는 하나 이상의 활성화된 경로를 따라 배치된 하나 이상의 튜닝가능한 컴포넌트에 튜닝 신호를 송신한다.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는 DRx 모듈의 입력에 배치도니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 복수의 경로를 따라 각각 배치된 복수의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 복수의 경로를 따라 각각 배치된 복수의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 또는 DRx 모듈의 출력에 배치된 튜닝가능한 출력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는 대역 선택 신호에 의해 표시된 주파수 대역(또는 주파수 대역의 세트)를 튜닝 파라미터와 연계시키는 참조표에 기초하여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를 튜닝할 수 있다. 따라서,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DRx 제어기는 튜닝 파라미터에 따라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또는 그 가변 컴포넌트)를 튜닝하도록 (액티브 경로의) 튜닝가능한 컴포넌트에 튜닝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어기는 하나 이상의 활성화된 경로를 따라 각각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증폭기의 이득 및/또는 전류를 제어하도록 전송되는 증폭기 제어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를 튜닝한다.
특히, 임피던스-이동 컴포넌트에 관련한 전술한 예 C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수신 시스템의 입력과 수신 시스템의 출력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하는 수신 시스템에 관련한다. 수신 시스템은 복수의 증폭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복수의 증폭기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증폭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시스템은 복수의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를 더 포함한다. 복수의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며, 복수의 경로 중 하나의 대역외 이득 또는 대역외 잡음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경로 중 제1 경로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의 제1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는 복수의 경로 중 제2 경로에 대응하는 제2 주파수 대역을 위한 대역외 이득 또는 대역외 잡음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제2 경로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의 제2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는 제1 주파수 대역을 위한 대역외 이득 또는 대역외 잡음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는 복수의 경로 중 제3 경로에 대응하는 제3 주파수 대역을 위한 대역외 이득 또는 대역외 잡음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는 제1 주파수 대역을 위한 대역내 이득을 증가시키거나 대역내 잡음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는 대역내 잡음 지수에서 대역내 이득을 감산한 대역내 척도를 대역내 척도 최소치의 임계량 이내로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는 대역외 잡음 지수와 대역외 이득을 합산한 대역외 척도를 대역내 제약된 대역외 최소치로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신 시스템은 입력에서 수신된 입력 신호를 복수의 경로를 따라 전파되는 각각의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복수의 신호로 분할하도록 구성된 멀티플렉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증폭기 중 각각의 하나와 멀티플렉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신 시스템은 복수의 경로를 따라 전파되는 신호를 조합하도록 구성된 신호 조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임피던스 컴포넌트 중 적어도 하나는 패시브 회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 중 적어도 하나는 RLC 회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 중 적어도 하나는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임피던스 튜닝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임피던스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경로 중 제1 경로를 따라 배치된 제1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는 제2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경로 중 제2 경로를 따라 전파되는 초기 신호와 제1 경로를 따라 전파되는 반사된 신호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 위상이도록 제1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를 통과하는 신호의 제2 주파수 대역을 위상-이동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복수의 컴포넌트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패키징 기판을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RF) 모듈에 관한 것이다. RF 모듈은 패키징 기판 상에 구현된 수신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수신 시스템은 수신 시스템의 입력과 수신 시스템의 출력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한다. 수신 시스템은 복수의 증폭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복수의 증폭기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증폭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시스템은 복수의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를 더 포함한다. 복수의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며, 복수의 경로 중 하나의 대역외 이득 또는 대역외 잡음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모듈은 다이버시티 수신기 프론트-엔드 모듈(FEM)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경로 중 제1 경로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의 제1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는 복수의 경로 중 제2 경로에 대응하는 제2 주파수 대역을 위한 대역외 이득 또는 대역외 잡음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기술에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제1 무선-주파수(RF)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에 관련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제1 안테나와 통신하는 제1 프론트-엔드 모듈(FEM)을 더 포함한다. 제1 FEM은 복수의 컴포넌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패키징 기판을 포함한다. 제1 FEM은 패키징 기판 상에 구현된 수신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수신 시스템은 수신 시스템의 입력과 수신 시스템의 출력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한다. 수신 시스템은 복수의 증폭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복수의 증폭기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증폭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시스템은 복수의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를 더 포함한다. 복수의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며, 복수의 경로 중 하나의 대역외 이득 또는 대역외 잡음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전송 라인을 거쳐 출력으로부터 처리된 버전의 제1 RF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된 버전의 제1 RF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비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제2 무선-주파수(RF)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안테나 및 제1 안테나와 통신하는 제2 FEM을 더 포함한다. 트랜시버는 제2 FEM의 출력으로부터 처리된 버전의 제2 RF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된 버전의 제2 RF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비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경로 중 제1 경로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의 제1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는 복수의 경로 중 제2 경로에 대응하는 제2 주파수 대역을 위한 대역외 이득 또는 대역외 잡음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 D: 증폭기-후 필터
도 20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D400)이 복수의 증폭기(D314a-D314d)의 출력에 배치된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D423a-D423d)를 갖는 다이버시티 수신기(DRx) 모듈(D410)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D400)은 안테나(140)에 결합된 입력 및 전송 라인(135)에 결합된 출력을 갖는 DRx 모듈(D410)을 포함한다. DRx 모듈(D410)은 DRx 모듈(D410)의 입력과 출력 사이에 다수의 경로를 포함한다. 경로 각각은 입력 멀티플렉서(D311), 증폭기-전 대역통과 필터(D413a-D413d), 증폭기(D314a-D314d), 증폭기-후 대역통과 필터(D423a-D423d) 및 출력 멀티플렉서(D312)를 포함한다.
DRx 제어기(D302)는 입력과 출력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D302)는 (예를 들어, 통신 제어기로부터) DRx 제어기(D302)에 의해 수신된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DRx 제어기(D302)는 예로서, 증폭기(D314a-D314d)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하거나, 멀티플렉서(D311, D312)를 제어하거나 또는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경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DRx 모듈(D410)의 출력은 전송 라인(135)을 거쳐 다이버시티 RF 모듈(D420)로 전달되고, 이 다이버시티 RF 모듈은 도 20의 다이버시티 RF 모듈(D420)이 다운스트림 대역통과 필터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도 3의 다이버시티 RF 모듈(320)과 다르다. 일부 구현예에서(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운스트림 멀티플렉서(D321)는 샘플 스위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이버시티 RF 모듈(D420) 이외의 DRx 모듈(D410) 내에 증폭기-후 대역통과 필터(D423a-D423d)를 포함하는 것은 다수의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로서, 후술된 바와 같이, 이런 구성은 DRx 모듈(D410)의 잡음 지수를 개선시키고, 필터 설계를 단순화하고 및/또는 경로 격리를 개선시킬 수 있다.
DRx 모듈(D410)의 경로 각각은 잡음 지수에 의해 특징지어질 수 있다. 각 경로의 잡음 지수는 경로를 따른 전파에 의해 유발되는 신호-대-잡음 비율(SNR)의 악화의 표현이다. 특히, 각 경로의 잡음 지수는 증폭기-후 대역통과 필터(D423a-D4234b)의 출력에서의 SNR과 증폭기-전 대역통과 필터(D413a-D413d)의 입력에서의 SNR 사이의 데시벨(dB) 단위 차이로서 표현될 수 있다. 각 경로의 잡음 지수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 대해 상이할 수 있다. 예로서, 제1 경로는 제1 주파수 대역에 대한 대역내 잡음 지수 및 제2 주파수 대역에 대한 대역외 잡음 지수를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경로는 제2 주파수 대역에 대한 대역내 잡음 지수 및 제1 주파수 대역에 대한 대역외 잡음 지수를 가질 수 있다.
DRx 모듈(D410)은 또한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 대해 상이할 수 있는 잡음 지수에 의해 특징지어질 수 있다. 특히, DRx 모듈(D410)의 잡음 지수는 DRx 모듈(D410)의 출력에서의 SNR과 DRx 모듈(D410)의 입력에서의 SNR 사이의 dB 단위 차이이다.
두 경로를 따라 전파되는 신호가 출력 멀티플렉서(D312)에 의해 조합되기 때문에, 증폭기에 의해 생성되거나 증폭되는 대역외 잡음은 조합된 신호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로서, 제1 증폭기(D314a)에 의해 생성되거나 증폭되는 대역외 잡음은 제2 주파수에서 DRx 모듈(D410)의 잡음 지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증폭기-후 대역통과 필터(D423a)는 이 대역외 잡음을 감소시키고, 제2 주파수에서 DRx 모듈(D410)의 잡음 지수를 감소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증폭기-전 대역통과 필터(D413a-D413d) 및 증폭기-후 대역통과 필터(D423a-D423d)는 상보적으로 설계될 수 있고, 그에의해, 필터 설계를 단순화하고 감소된 비용으로 더 소수의 컴포넌트로 유사한 성능을 달성한다. 예로서, 제1 경로를 따라 배치된 증폭기-후 대역통과 필터(D423a)는 제1 경로를 따라 배치된 증폭기-전 대역통과 필터(D413a)가 더 약하게 감쇠시키는 주파수를 더 강하게 감쇠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증폭기-전 대역통과 필터(D413a)는 제1 주파수 대역 미만의 주파수를 제1 주파수 대역을 초과한 주파수보다 더 많이 감쇠시킬 수 있다. 상보적으로, 증폭기-후 대역통과 필터(D423a)는 제1 주파수 대역을 초과한 주파수를 제1 주파수 대역 미만의 주파수보다 더 많이 감쇠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함께, 증폭기-전 대역통과 필터(D413a) 및 증폭기-후 대역통과 필터(D423a)는 더 소수의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모든 대역외 주파수를 감쇠시킨다. 일반적으로, 경로를 따라 배치된 대역통과 필터 중 하나는 경로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 미만의 주파수를 각각의 주파수 대역을 초과한 주파수보다 많이 감쇠시킬 수 있고, 경로를 따라 배치된 대역통과 필터 중 다른 것은 각각의 주파수 대역을 초과한 주파수를 각각의 주파수 대역 미만의 주파수보다 많이 감쇠시킬 수 있다. 증폭기-전 대역통과 필터(D413a-D413d) 및 증폭기-후 대역통과 필터(D423a-D423d)는 다른 방식으로 상보적일 수 있다. 예로서, 제1 경로를 따라 배치된 증폭기-전 대역통과 필터(D413a)는 다수 도수만큼 신호를 위상-이동시킬 수 있고, 제1 경로를 따라 배치된 증폭기-후 대역통과 필터(D423a)는 해당 다수 도수만큼 반대로 위상-이동시킬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증폭기-후 대역통과 필터(D423a-D423d)는 경로의 격리를 개선시킬 수 있다. 예로서, 증폭기-후 대역통과 필터 없이, 제1 경로를 따라 전파하는 신호는 증폭기-전 대역통과 필터(D413a)에 의해 제1 주파수에 대해 필터링될 수 있고, 증폭기(D314a)에 의해 증폭될 수 있다. 신호는 출력 멀티플렉서(D312)를 통해 누설되어 제2 경로를 따라 역방향 전파되고, 증폭기(D314b), 증폭기-전 대역통과 필터(D413b) 또는 제2 경로를 따라 배치된 다른 컴포넌트로부터 반사될 수 있다. 이 반사된 신호가 초기 신호와 위상차를 갖는 경우, 이는 출력 멀티플렉서(D312)에 의해 조합될 수 있는 신호의 약화를 초래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증폭기-후 대역통과 필터에서, 누설된 신호(주로 제1 주파수 대역에서)는 제2 경로를 따라 배치된 증폭기-후 대역통과 필터(D423b)에 의해 감쇠되고 제2 주파수 대역과 연계되어 임의의 반사된 신호의 효과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DRx 모듈(D410)은 제2 멀티플렉서(예를 들어, 출력 멀티플렉서(D312))의 출력 및 제1 멀티플렉서(예를 들어, 입력 멀티플렉서(D311))의 입력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한다. DRx 모듈(D410)은 또한 복수의 증폭기(D314a-D314d)를 포함하고, 이 복수의 증폭기(D314a-D314d)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증폭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DRx 모듈(D410)은 제1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예를 들어, 증폭기-후 대역통과 필터(D423a-D423d))를 포함하고, 제1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증폭기(D314a-D314d) 중 대응하는 하나의 출력에서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해 대역통과 필터에서 수신된 신호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구현예에서, DRx 모듈(D410)은 제2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예를 들어, 증폭기-전 대역통과 필터(D413a-D413d))를 더 포함하고, 제2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증폭기(D314a-D314d) 중 대응하는 하나의 입력에서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해 대역통과 필터에서 수신된 신호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된다.
도 21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D450)이 다이버시티 수신기(DRx) 모듈(D410)보다 소수의 증폭기를 갖는 다이버시티 RF 모듈(D460)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본원에 언급된 바와 같이, 일부 구현예에서, 다이버시티 RF 모듈(D460)은 대역통과 필터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다이버시티 RF 모듈(D460)의 하나 이상의 증폭기(D424)는 대역 특정적일 필요가 없다. 특히, 다이버시티 RF 모듈(D460)은 DRx 모듈(D410)의 해당 경로와 1-대-1 맵핑되지 않는, 증폭기(D424)를 각각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로(또는 대응 증폭기)의 맵핑은 제어기(120)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DRx 모듈(D410)이 각각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다수의 경로를 포함하고, 다이버시티 RF 모듈(D460)은 단일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경로(다이버시티 RF 모듈(D460)의 입력으로부터 멀티플렉서(D321)의 입력까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부 구현예에서, 다이버시티 RF 모듈(D460)은 전송 라인(135)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멀티플렉서(D321)에 출력하는 단일 광대역 또는 튜닝가능한 증폭기(D424)를 포함한다. 멀티플렉서(D321)는 각 주파수 대역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멀티플렉서 출력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멀티플렉서(D321)는 동일한 스위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다이버시티 RF 모듈(D460)은 어떠한 증폭기도 포함하지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다이버시티 신호는 단일 대역 신호이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멀티플렉서(D321)는 단극/다투(SPMT) 스위치이고, 이는 다이버시티 신호를 제어기(12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단일 대역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출력 중 하나로 라우팅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다이버시티 신호는 다중 대역 신호이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멀티플렉서(D421)는 신호 분할기이고 이 신호 분할기는 제어기(120)로부터 수신된 분할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다중 대역 신호 중 둘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출력 중 둘 이상으로 다이버시티 신호를 라우팅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다이버시티 RF 모듈(D460)은 단일 모듈로서 트랜시버(D330)와 조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다이버시티 RF 모듈(D460)은 다수의 증폭기를 포함하고, 다수의 증폭기 각각은 주파수 대역의 세트에 대응한다. 전송 라인(135)으로부터의 신호는 대역 분할기에 공급될 수 있고, 대역 분할기는 제1 경로를 따라 고 주파수를 고 주파수 증폭기로 출력하고, 제2 경로를 따라 저 주파수를 저 주파수 증폭기로 출력한다. 증폭기 각각의 출력은 트랜시버(D330)의 대응 입력에 신호를 라우팅하도록 구성된 멀티플렉서(D321)에 제공될 수 있다.
도 22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D500)이 하나 이상의 오프-모듈 필터(D513, D523)에 결합된 DRx 모듈(D510)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DRx 모듈(D510)은 패키징 기판(D501) 상에 구현된 수신 시스템 및 복수의 컴포넌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패키징 기판(D501)을 포함할 수 있다. DRx 모듈(D510)은 DRx 모듈(D510) 외부로 라우팅되고 임의의 원하는 대역을 위한 필터를 지지하기 위해 시스템 집성자, 설계자 또는 제조자에게 이용가능하게 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DRx 모듈(D510)은 DRx 모듈(D510)의 입력과 출력 사이에 다수의 경로를 포함한다. DRx 모듈(D510)은 DRx 제어기(D502)에 의해 제어되는 우회 스위치(D519)에 의해 활성화되는 입력과 출력 사이의 우회 경로를 포함한다. 비록, 도 22가 단일 우회 스위치(D519)를 포함하지만, 일부 구현예에서, 우회 스위치(D519)는 다수의 스위치(예를 들어, 물리적으로 입력에 근접하게 배치된 제1 스위치 및 물리적으로 출력에 근접하게 배치된 제2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회 경로는 필터 또는 증폭기를 포함하지 않는다.
DRx 모듈(D510)은 제1 멀티플렉서(D511) 및 제2 멀티플렉서(D512)를 포함하는 다수의 멀티플렉서 경로를 포함한다. 멀티플렉서 경로는 제1 멀티플렉서(D511), 패키징 기판(D501) 상에 구현된 증폭기-전 대역통과 필터(D413a-D413d), 패키징 기판(D501) 상에 구현된 증폭기(D314a-D314d), 패키징 기판(D501) 상에 구현된 증폭기-후 대역통과 필터(D423a-D423d) 및 제2 멀티플렉서(D512)를 포함하는 다수의 온-모듈 경로를 포함한다. 멀티플렉서 경로는 제1 멀티플렉서(D511), 패키징 기판(D501) 외부에 구현된 증폭기-전 대역통과 필터(D513), 증폭기(D514), 패키징 기판(D501) 외부에 구현된 증폭기-후 대역통과 필터(D523) 및 제2 멀티플렉서(D512)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오프-모듈 경로를 포함한다. 증폭기(D514)는 패키징 기판(D501) 상에 구현된 광대역 증폭기일 수 있거나 패키징 기판(D501) 외부에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오프-모듈 경로는 증폭기-전 대역통과 필터(D513)를 포함하지 않지만, 증폭기-후 대역통과 필터(D523)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증폭기(D314a-D314d, D514)는 가변-이득 증폭기 및/또는 가변-전류 증폭기일 수 있다.
DRx 제어기(D502)는 입력과 출력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D502)는 (예를 들어, 통신 제어기로부터) DRx 제어기(D502)에 의해 수신된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DRx 제어기(D502)는 예로서 우회 스위치(D519)를 개방 또는 폐쇄하거나, 증폭기(D314a-D314d, D514)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하거나, 멀티플렉서(D511, D512)를 제어하거나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경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예로서, DRx 제어기(D502)는 경로(예를 들어, 필터(D313a-D313d, D513)와 증폭기(D314a-D314d, D514) 사이의)를 따라 스위치를 개방 또는 폐쇄하거나 증폭기(D314a-D314d, D514)의 이득을 실질적으로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3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D600)이 튜닝가능한 정합 회로를 갖는 DRx 모듈(D610)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특히, DRx 모듈(D610)은 DRx 모듈(D610)의 입력과 출력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튜닝가능한 정합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한 다이버시티 안테나(140) 상에서 수신된 다수의 주파수 대역은 이상적 임피던스 정합을 모두 인지할 가능성은 낮다. 소형 정합 회로를 사용하여 각 주파수 대역을 정합시키기 위해, 튜닝가능한 입력 정합 회로(D616)가 (예를 들어, 통신 제어기로부터의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DRx 제어기(D602)에 의해 제어되고, DRx 모듈(D610)의 입력에서 구현될 수 있다. DRx 제어기(D602)는 튜닝 파라미터와 주파수 대역(또는 주파수 대역의 설정)을 연계시키는 참조표에 기초하여 튜닝가능한 입력 정합 회로(D616)를 튜닝할 수 있다. 튜닝가능한 입력 정합 회로(D616)는 튜닝가능한 T-회로, 튜닝가능한 PI-회로 또는 임의의 다른 튜닝가능한 정합 회로일 수 있다. 특히, 튜닝가능한 입력 정합 회로(D616)는 하나 이상의 가변 컴포넌트, 예컨대, 저항기,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 컴포넌트는 병렬 및/또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고, DRx 모듈(D610)의 입력과 제1 멀티플렉서(D311)의 입력 사이에 연결될 수 있거나 접지 전압과 DRx 모듈(D610)의 입력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유사하게, 다수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반송하는 단 하나의 전송 라인(135)(또는 적어도 소수의 케이블)으로, 다수의 주파수 대역이 이상적 임피던스 정합을 모두 인지할 가능성은 낮다. 소형 정합 회로를 사용하여 각 주파수 대역을 정합시키기 위해, 튜닝가능한 출력 정합 회로(D617)가 (예를 들어, 통신 제어기로부터의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DRx 모듈(D610)의 출력에서 구현되고 DRx 제어기(D60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DRx 제어기(D602)는 튜닝 파라미터와 주파수 대역(또는 주파수 대역의 설정)을 연계시키는 참조표에 기초하여 튜닝가능한 출력 정합 회로(D618)를 튜닝할 수 있다. 튜닝가능한 출력 정합 회로(D617)는 튜닝가능한 T-회로, 튜닝가능한 PI-회로 또는 임의의 다른 튜닝가능한 정합 회로일 수 있다. 특히, 튜닝가능한 입력 정합 회로(D617)는 하나 이상의 가변 컴포넌트, 예컨대, 저항기,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 컴포넌트는 병렬 및/또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고, DRx 모듈(D610)의 출력과 제2 멀티플렉서(D312)의 출력 사이에 연결될 수 있거나 접지 전압과 DRx 모듈(D610)의 출력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증폭기-후 필터에 관련한 전술한 예 D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제1 멀티플렉서의 입력과 제2 멀티플렉서의 출력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하는 수신 시스템에 관련한다. 수신 시스템은 복수의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증폭기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증폭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 시스템은 제1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증폭기 중 대응하는 하나의 출력에서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대역통과 필터에서 수신된 신호를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필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신 시스템은 제2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증폭기 중 대응하는 하나의 입력에서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될 수 있고, 대역통과 필터에서 수신된 신호를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필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경로를 따라 배치된 제1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 중 하나 및 제1 경로를 따라 배치된 제2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 중 하나는 상보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경로를 따라 배치된 대역통과 필터 중 하나는 각각의 주파수 대역 미만의 주파수를 각각의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보다 많이 감쇠시킬 수 있고, 제1 경로를 따라 배치된 대역통과 필터 중 다른 것은 각각의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를 각각의 주파수 대역 미만의 주파수보다 많이 감쇠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신 시스템은 제2 멀티플렉서의 출력에 결합되고 다운스트림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다운스트림 모듈에 결합된 전송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운스트림 모듈은 다운스트림 대역통과 필터를 포함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운스트림 멀티플렉서는 샘플 스위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운스트림 모듈은 하나 이상의 다운스트림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다운스트림 증폭기의 수는 복수의 증폭기의 수 미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증폭기 중 적어도 하나는 저잡음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신 시스템은 제1 멀티플렉서의 입력 및 제2 멀티플렉서의 출력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튜닝가능한 정합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제어기에 의해 수신된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제1 멀티플렉서에 분할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제2 멀티플렉서에 조합기 제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복수의 컴포넌트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패키징 기판을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RF) 모듈에 관한 것이다. RF 모듈은 패키징 기판 상에 구현된 수신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수신 시스템은 제1 멀티플렉서의 입력과 제2 멀티플렉서의 출력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한다. 수신 시스템은 복수의 증폭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복수의 증폭기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증폭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 시스템은 제1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증폭기 중 대응하는 하나의 출력에서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대역통과 필터에서 수신된 신호를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필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모듈은 다이버시티 수신기 프론트-엔드 모듈(FEM)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신 시스템은 제2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증폭기 중 대응하는 하나의 입력에서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될 수 있고, 대역통과 필터에서 수신된 신호를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필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경로는 복수의 증폭기 중 하나와 오프-모듈 대역통과 필터를 포함하는 오프-모듈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기술에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제1 무선-주파수(RF)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에 관련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제1 안테나와 통신하는 제1 프론트-엔드 모듈(FEM)을 더 포함한다. 제1 FEM은 복수의 컴포넌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패키징 기판을 포함한다. 제1 FEM은 패키징 기판 상에 구현된 수신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수신 시스템은 제1 멀티플렉서의 입력과 제2 멀티플렉서의 출력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한다. 수신 시스템은 복수의 증폭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복수의 증폭기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증폭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 시스템은 제1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증폭기 중 대응하는 하나의 출력에서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대역통과 필터에서 수신된 신호를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필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전송 라인을 거쳐 출력으로부터 처리된 버전의 제1 RF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된 버전의 제1 RF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비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제2 무선-주파수(RF)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안테나 및 제2 안테나와 통신하는 제2 FEM을 더 포함한다. 통신 모듈은 제2 FEM의 출력으로부터 처리된 버전의 제2 RF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된 버전의 제2 RF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비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신 시스템은 제2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를 더 포함한다. 제2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증폭기 중 대응하는 하나의 입력에서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될 수 있고, 대역통과 필터에서 수신된 신호를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필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 E: 스위칭 네트워크
도 24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E500)이 단극/단투 스위치(E519)를 구비한 DRx 모듈(E510)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DRx 모듈(E510)은 안테나(140)에 결합된 DRx 모듈(E510)의 입력 및 전송 라인(135)에 결합된 DRx 모듈(E510)의 출력으로부터의 두 개의 경로를 포함한다. DRx 모듈(E510)은 복수의 증폭기(E514a-E514b)를 포함하고, 이 복수의 증폭기(E514a-E514b)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증폭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증폭기 중 적어도 하나는 이중-스테이지 증폭기를 포함한다.
도 24의 DRx 모듈(E510)에서, 신호 분할기 및 대역통과 필터는 다이플렉서(E511)로서 구현된다. 다이플렉서(E511)는 안테나(140)에 결합된 입력, 제1 경로를 따라 배치된 위상-이동 컴포넌트(E527a)에 결합된 제1 출력 및 제2 경로를 따라 배치된 제2 위상-이동 컴포넌트(E527b)에 결합된 제2 출력을 포함한다. 제1 출력에서, 다이플렉서(E511)는 제1 주파수 대역에 대해 필터링된 (예를 들어, 안테나(140)로부터의) 입력에서 수신된 신호를 출력한다. 제2 출력에서, 다이플렉서(E511)는 제2 주파수 대역에 대해 필터링된 입력에서 수신된 신호를 출력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다이플렉서(E511)는 DRx 모듈(E510)의 입력에서 수신된 입력 신호를 복수의 경로를 따라 전파되는 각각의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서 복수의 신호로 분할하도록 구성된 트라이플렉서, 쿼드플렉서 또는 임의의 다른 멀티플렉서로 대체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도 3의 제2 멀티플렉서(312) 같은 DRx 모듈의 출력에 배치된 출력 멀티플렉서 또는 다른 신호 조합기는 단일 대역 신호 수신시 DRx 모듈의 성능을 열화시킬 수 있다. 예로서, 출력 멀티플렉서는 단일 대역 신호에 대해 잡음을 감쇠시키거나 도입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도 3의 증폭기(314a-314d) 같은 다수의 증폭기가 다중-대역 신호를 지원하도록 동시에 인에이블될 때, 각 증폭기는 각각 대역내 잡음을 도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다중 대역 각각에 대한 대역외 잡음도 도입할 수 있다.
도 24의 DRx 모듈(E510)은 이들 과제 중 일부를 해결한다. DRx 모듈(E510)은 제1 경로를 제2 경로에 결합하는 단극/단투(SPST) 스위치(E519)를 포함한다. 제1 주파수 대역에 대해 단일 대역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치(E519)는 개방 위치에 배치되고, 제1 증폭기(E514a)는 인에이블되며, 제2 증폭기(E514b)는 디스에이블된다. 따라서, 제1 주파수 대역에서의 단일 대역 신호는 스위칭 손실 없이 제1 경로를 따라 안테나(140)로부터 전송 라인(135)으로 전파된다. 유사하게, 제2 주파수 대역에 대해 단일 대역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치(E519)는 개방 위치에 배치되고, 제1 증폭기(E514a)는 디스에이블되며, 제2 증폭기(E514b)는 인에이블된다. 따라서, 제2 주파수 대역에서의 단일 대역 신호는 제2 경로를 따라 스위칭 손실 없이 따라 안테나(140)로부터 전송 라인(135)으로 전파된다.
제1 주파수 대역 및 제2 주파수 대역에 대해 다중 대역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치(E519)는 폐쇄 위치에 배치되고, 제1 증폭기(E514a)는 인에이블되며, 제2 증폭기(E514b)는 디스에이블된다. 따라서, 다중 대역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 부분은 제1 경로를 따라 제1 위상-이동 컴포넌트(E527a), 제1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E526a) 및 제1 증폭기(E514a)를 통해 전파된다. 제1 주파수 대역 부분은 제2 위상-이동 컴포넌트(E527b)에 의해 스위치(E519)를 횡단하여 제2 경로를 따라 역방향 전파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제2 위상-이동 컴포넌트(E527a)는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임피던스를 최대화하도록(또는 적어도 증가시키도록) 제2 위상-이동 컴포넌트(E527b)를 통과하는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 부분을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다중 대역 신호의 제2 주파수 대역 부분은 제2 위상-이동 컴포넌트(E527b)를 통해 제2 경로를 따라 전파하고, 스위치(E519)를 횡단하고, 제1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E526a) 및 제1 증폭기(E314a)를 통해 제1 경로를 따라 전파한다. 제2 주파수 대역 부분은 제1 위상-이동 컴포넌트(E527a)에 의해 제1 경로를 따라 역방향 전파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제1 위상-이동 컴포넌트(E527a)는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임피던스를 최대화하도록(또는 적어도 증가시키도록) 제1 위상-이동 컴포넌트(E527a)를 통과하는 신호의 제2 주파수 대역 부분을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경로 각각은 잡음 지수 및 이득에 의해 특징지어질 수 있다. 각 경로의 잡음 지수는 경로를 따라 배치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E526a-E526b) 및 증폭기에 의해 유발되는 신호-대-잡음 비율(SNR)의 악화의 표현이다. 특히, 각 경로의 잡음 지수는 증폭기(E314a-E314b)의 출력에서 SNR과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E526a-E526b)의 입력에서 SNR 사이의 데시벨(dB) 단위 차이이다. 따라서, 잡음 지수는 동일한 이득을 갖는 "이상적" 증폭기(잡음을 생성하지 않음)의 잡음 출력에 대한 증폭기의 잡음 출력 사이의 차이의 척도이다.
각 경로의 잡음 지수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 대해 상이할 수 있다. 예로서, 제1 경로는 제1 주파수 대역을 위한 제1 잡음 지수 및 제2 주파수 대역을 위한 제2 잡음 지수를 가질 수 있다. 각 경로(각 주파수 대역)의 잡음 지수 및 이득은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E526a-E526b)의 임피던스(각 주파수 대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할 수 있다. 따라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E526a-E526b)의 임피던스는 각 경로의 잡음 지수가 최소화(또는 감소)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2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E526b)는 제2 주파수 대역을 위한 잡음 지수를 최소화(또는 감소)시키는 임피던스를 제시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E526a)는 제1 주파수 대역을 위한 잡음 지수를 최소화(또는 감소)시킨다. 다중 대역 신호의 제2 주파수 대역이 제1 부분을 따라 부분적으로 전파될 수 있을 때,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E526a)는 제2 대역을 위한 잡음 지수 및 제1 대역을 위한 잡음 지수를 포함하는 척도를 최소화(또는 감소)시킨다.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E526a-E526b)는 패시브 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E526a-E526b)는 RLC 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패시브 컴포넌트, 예컨대, 저항기, 인덕터 및/또는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패시브 컴포넌트는 병렬로 및/또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고, 위상-이동 컴포넌트(E527a-E527b)의 출력과 증폭기(E514a-E415b)의 입력 사이에 연결될 수 있거나 접지 전압과 위상-이동 컴포넌트(E527a-E527b)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유사하게, 위상-이동 컴포넌트(E527a-E527b)는 패시브 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위상-이동 컴포넌트(E527a-E527b)는 LC 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인덕터 및/또는 커패시터 같은 하나 이상의 패시브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패시브 컴포넌트는 병렬 및/또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고, 다이플렉서(E511)의 출력과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E526a-E526b)의 입력 사이에 연결될 수 있거나 접지 전압과 다이플렉서(E511)의 출력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5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E600)이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E627a-E627d)를 구비한 DRx 모듈(E610)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E627a-E627d) 각각은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위상-이동 튜닝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양만큼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통과하는 신호를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E600)은 안테나(140)에 결합된 입력 및 전송 라인(135)에 결합된 출력을 갖는 DRx 모듈(E610)을 포함한다. DRx 모듈(E610)은 DRx 모듈(E610)의 입력과 출력 사이에 다수의 경로를 포함한다. 각 경로는 멀티플렉서(E311), 대역통과 필터(E313a-E313d),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E627a-E627d), 스위칭 네트워크(E612),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E626a-E626d) 및 증폭기(E314a-E314d)를 포함한다.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증폭기(E314a-E314d)는 가변-이득 증폭기 및/또는 가변-전류 증폭기일 수 있다.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E627a-E627d)는 하나 이상의 가변 컴포넌트, 예컨대,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 컴포넌트는 병렬 및/또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고, 멀티플렉서(E311)의 출력과 스위칭 네트워크(E612)의 입력 사이에 연결될 수 있거나 접지 전압과 멀티플렉서의 출력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E626a-E626d)는 튜닝가능한 T-회로, 튜닝가능한 PI-회로 또는 임의의 다른 튜닝가능한 정합 회로일 수 있다.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E626a-E626d)는 하나 이상의 가변 컴포넌트, 예컨대, 저항기,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 컴포넌트는 병렬 및/또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고, 스위칭 네트워크(E612)의 출력과 증폭기(E314a-E314d)의 입력 사이에 연결될 수 있거나 접지 전압과 스위칭 네트워크(E612)의 출력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DRx 제어기(E602)는 입력과 출력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E602)는 (예를 들어, 통신 제어기로부터) DRx 제어기(E602)에 의해 수신된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DRx 제어기(E602)는 예로서, 증폭기(E314a-E314d)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하거나, 멀티플렉서(E311) 및/또는 스위칭 네트워크(E612)를 제어하거나 또는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경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E602)는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스위칭 네트워크(E612)를 제어한다. 스위칭 네트워크는 복수의 경로 중 두 개를 각각 스위치 결합하는 복수의 SPST 스위치를 포함한다. DRx 제어기(E602)는 복수의 SPST 스위치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해 스위칭 네트워크에 스위칭 신호(또는 다수의 스위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로서, 대역 선택 신호는 입력 신호가 제1 주파수 대역 및 제2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DRx 제어기(E602)는 제1 경로와 제2 경로 사이에서 스위치를 폐쇄할 수 있다. 대역 선택 신호가 입력 신호가 제2 주파수 대역 및 제4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DRx 제어기(E602)는 제2 경로와 제4 경로 사이에서 스위치를 폐쇄할 수 있다. 대역 선택 신호가 입력 신호가 제1 주파수 대역, 제2 주파수 대역 및 제4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DRx 제어기(E602)는 스위치 양자 모두를 폐쇄(및/또는 제1 경로와 제2 경로 사이의 스위치 및 제1 경로와 제4 경로 사이의 스위치를 폐쇄)할 수 있다. 대역 선택 신호가 입력 신호가 제2 주파수 대역, 제3 주파수 대역 및 제4 주파수를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DRx 제어기(E602)는 제2 경로와 제3 경로 사이의 스위치 및 제3 경로와 제4 경로 사이의 스위치를 폐쇄(및/또는 제2 경로와 제3 경로 사이의 스위치 및 제2 경로와 제4 경로 사이의 스위치를 폐쇄)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E602)는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E627a-E627d)를 튜닝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E602)는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E627a-E627d)를 튜닝한다. 예로서, DRx 제어기(E602)는 대역 선택 신호에 의해 표시된 주파수 대역(또는 주파수 대역의 세트)를 튜닝 파라미터와 연계시키는 참조표에 기초하여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E627a-E627d)를 튜닝할 수 있다. 따라서,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DRx 제어기(E602)는 튜닝 파라미터에 따라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또는 그 가변 컴포넌트)를 튜닝하도록 각 액티브 경로의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E627a-E627d)에 위상-이동 튜닝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DRx 제어기(E602)는 다른 액티브 경로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임피던스를 최대화(또는 적어도 증가)시키도록 각 액티브 경로의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E627a-E627d)를 튜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경로 및 제3 경로가 액티브 상태인 경우, DRx 제어기(E602)는 제3 주파수 대역에서 임피던스를 최대화(또는 적어도 증가)시키도록 제1 위상-이동 컴포넌트(E627a)를 튜닝할 수 있는 반면, 제1 경로 및 제4 경로가 액티브 상태인 경우, DRx 제어기(E602)는 제4 주파수 대역에서 임피던스를 최대화(또는 적어도 증가)시키도록 제1 위상-이동 컴포넌트(E627a)를 튜닝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E602)는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E626a-E626d)를 튜닝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E602)는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E626a-E626d)를 튜닝한다. 예로서, DRx 제어기(E602)는 대역 선택 신호에 의해 표시된 주파수 대역(또는 주파수 대역의 세트)를 튜닝 파라미터와 연계시키는 참조표에 기초하여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E626a-E626d)를 튜닝할 수 있다. 따라서,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DRx 제어기(E602)는 튜닝 파라미터에 따른 액티브 증폭기를 갖는 경로의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E626a-E626d)에 임피던스 튜닝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E602)는 각 액티브 경로의 대응 주파수 대역을 위한 잡음 지수를 포함하는 척도를 최소화(또는 감소)시키도록 액티브 증폭기를 갖는 경로의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E626a-E626d)를 튜닝한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E626a-E626d) 및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E627a-E627d) 중 하나 이상은 DRx 제어기(E602)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 고정 컴포넌트로 대체될 수 있다.
도 26은 RF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E700)의 흐름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일부 구현예에서(그리고, 일 예로서 후술된 바와 같이), 방법(E700)은 도 25의 DRx 제어기(E602) 같은 제어기에 의해 수행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방법(E700)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처리 로직에 의해 수행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방법(E700)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에 저장된 코드를 실행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된다. 간단히, 방법(E700)은 대역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RF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경로를 따라 수신된 RF 신호를 라우팅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E700)은 블록 E710에서 대역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기에서 시작한다. 제어기는 다른 제어기로부터 대역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거나 셀룰러 기지국 또는 다른 외부적 소스로부터 대역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대역 선택 신호는 무선 디바이스가 RF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역 선택 신호는 캐리어 집성 통신을 위한 주파수 대역의 세트를 나타낸다.
블록 E720에서, 제어기는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DRx 모듈의 증폭기에 증폭기 인에이블 신호를 송신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역 선택 신호는 단일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고, 제어기는 단일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경로를 따라 배치된 증폭기를 인에이블하도록 증폭기 인에이블 신호를 송신한다. 제어기는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다른 경로를 따라 배치된 다른 증폭기를 디스에이블하도록 증폭기 인에이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역 선택 신호는 다수의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고, 제어기는 다수의 주파수 대역 중 하나에 대응하는 경로 중 하나를 따라 배치된 증폭기를 인에이블하도록 증폭기 인에이블 신호를 송신한다. 제어기는 다른 증폭기를 디스에이블하도록 증폭기 인에이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어기는 최저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경로를 따라 배치된 증폭기를 인에이블한다.
블록 E730에서, 제어기는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단극/단투(SPST) 스위치의 스위칭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스위칭 신호를 송신한다. 스위칭 네트워크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경로를 결합시키는 복수의 SPST 스위치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역 선택 신호는 단일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고, 제어기는 SPST 스위치 모두를 개방시키는 스위칭 신호를 송신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역 선택 신호는 다수의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고, 제어기는 다수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경로를 결합하도록 하나 이상의 SPST 스위치를 폐쇄하기 위해 스위칭 신호를 송신한다.
블록 E740에서, 제어기는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튜닝가능한 컴포넌트에 튜닝 신호를 송신한다.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는 복수의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 또는 복수의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는 대역 선택 신호에 의해 표시된 주파수 대역(또는 주파수 대역의 세트)를 튜닝 파라미터와 연계시키는 참조표에 기초하여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를 튜닝할 수 있다. 따라서,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DRx 제어기는 튜닝 파라미터에 따라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또는 그 가변 컴포넌트)를 튜닝하도록 (액티브 경로의) 튜닝가능한 컴포넌트에 튜닝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스위칭 네트워크에 관련한 전술한 예 E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복수의 증폭기를 포함하는 수신 시스템에 관련한다. 복수의 증폭기 중 각각의 하나는 수신 시스템의 출력과 수신 시스템의 입력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증폭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단극/단투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칭 네트워크를 더 포함한다. 스위치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둘을 결합한다. 수신 시스템은 대역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증폭기 중 하나를 인에이블하고 스위칭 네트워크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단일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대역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단일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증폭기 중 하나를 인에이블하고 하나 이상의 스위치 모두를 개방하도록 스위칭 네트워크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다수의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대역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다수의 주파수 대역 중 하나에 대응하는 복수의 증폭기 중 하나를 인에이블하고 다수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경로 사이에서 하나 이상의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폐쇄하도록 스위칭 네트워크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신 시스템은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통과하는 신호를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복수의 경로 중 다른 하나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해 임피던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 중 각각의 하나는 스위칭 네트워크와 입력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 중 적어도 하나는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위상-이동 튜닝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양으로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통과하는 신호를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된 튜닝가능한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한 위상-이동 튜닝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신 시스템은 복수의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경로 중 하나의 잡음 지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 중 각각의 하나는 스위칭 네트워크와 복수의 증폭기 중 대응하는 하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 중 적어도 하나는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임피던스 튜닝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임피던스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튜닝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한 위상-이동 튜닝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신 시스템은 입력에서 수신된 입력 신호를 복수의 경로를 따라 전파되는 각각의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복수의 신호로 분할하도록 구성된 멀티플렉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증폭기 중 적어도 하나는 이중-스테이지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복수의 증폭기 중 하나를 인에이블하고 복수의 증폭기 중 나머지를 디스에이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복수의 컴포넌트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패키징 기판을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RF) 모듈에 관한 것이다. RF 모듈은 패키징 기판 상에 구현된 수신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수신 시스템은 복수의 증폭기를 포함한다. 복수의 증폭기 중 각각의 하나는 수신 시스템의 출력과 수신 시스템의 입력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증폭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단극/단투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칭 네트워크를 더 포함한다. 스위치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둘을 결합한다. 수신 시스템은 대역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증폭기 중 하나를 인에이블하고 스위칭 네트워크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모듈은 다이버시티 수신기 프론트-엔드 모듈(FEM)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신 시스템은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통과하는 신호를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복수의 경로 중 다른 하나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해 임피던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부 기술에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제1 무선-주파수(RF)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에 관련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제1 안테나와 통신하는 제1 프론트-엔드 모듈(FEM)을 더 포함한다. 제1 FEM은 복수의 컴포넌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패키징 기판을 포함한다. 제1 FEM은 패키징 기판 상에 구현된 수신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수신 시스템은 복수의 증폭기를 포함한다. 복수의 증폭기 중 각각의 하나는 수신 시스템의 출력과 수신 시스템의 입력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증폭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단극/단투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칭 네트워크를 더 포함한다. 스위치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둘을 결합한다. 수신 시스템은 대역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증폭기 중 하나를 인에이블하고 스위칭 네트워크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케이블을 거쳐 출력으로부터 처리된 버전의 제1 RF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된 버전의 제1 RF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비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제2 무선-주파수(RF)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안테나 및 제1 안테나와 통신하는 제2 FEM을 더 포함한다. 트랜시버는 제2 FEM의 출력으로부터 처리된 버전의 제2 RF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된 버전의 제2 RF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비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신 시스템은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 중 각각의 하나는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통과하는 신호를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복수의 경로 중 다른 하나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해 임피던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 F: 유연한 대역 라우팅
도 27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F600)이 튜닝가능한 정합 회로를 갖는 DRx 모듈(F610)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특히, DRx 모듈(F610)은 DRx 모듈(F610)의 입력과 출력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튜닝가능한 정합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한 다이버시티 안테나(140) 상에서 수신된 다수의 주파수 대역은 이상적 임피던스 정합을 모두 인지할 가능성은 낮다. 소형 정합 회로를 사용하여 각 주파수 대역을 정합시키기 위해, 튜닝가능한 입력 정합 회로(F616)가 (예를 들어, 통신 제어기로부터의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DRx 제어기(F602)에 의해 제어되고, DRx 모듈(F610)의 입력에서 구현될 수 있다. DRx 제어기(F602)는 튜닝 파라미터와 주파수 대역(또는 주파수 대역의 설정)을 연계시키는 참조표에 기초하여 튜닝가능한 입력 정합 회로(F616)를 튜닝할 수 있다. 튜닝가능한 입력 정합 회로(F616)는 튜닝가능한 T-회로, 튜닝가능한 PI-회로 또는 임의의 다른 튜닝가능한 정합 회로일 수 있다. 특히, 튜닝가능한 입력 정합 회로(F616)는 하나 이상의 가변 컴포넌트, 예컨대, 저항기,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 컴포넌트는 병렬 및/또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고, DRx 모듈(F610)의 입력과 제1 멀티플렉서(F311)의 입력 사이에 연결될 수 있거나 접지 전압과 DRx 모듈(F610)의 입력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유사하게, 다수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반송하는 단 하나의 전송 라인(135)(또는 적어도 소수의 케이블)으로, 다수의 주파수 대역이 이상적 임피던스 정합을 모두 인지할 가능성은 낮다. 소형 정합 회로를 사용하여 각 주파수 대역을 정합시키기 위해, 튜닝가능한 출력 정합 회로(F617)가 (예를 들어, 통신 제어기로부터의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DRx 모듈(F610)의 출력에서 구현되고 DRx 제어기(F60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DRx 제어기(F602)는 튜닝 파라미터와 주파수 대역(또는 주파수 대역의 설정)을 연계시키는 참조표에 기초하여 튜닝가능한 출력 정합 회로(F618)를 튜닝할 수 있다. 튜닝가능한 출력 정합 회로(F617)는 튜닝가능한 T-회로, 튜닝가능한 PI-회로 또는 임의의 다른 튜닝가능한 정합 회로일 수 있다. 특히, 튜닝가능한 출력 정합 회로(F617)는 하나 이상의 가변 컴포넌트, 예컨대, 저항기,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 컴포넌트는 병렬 및/또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고, DRx 모듈(F610)의 출력과 제2 멀티플렉서(F312)의 출력 사이에 연결될 수 있거나 접지 전압과 DRx 모듈(F610)의 출력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8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F700)이 다수의 전송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28이 하나의 안테나(140) 및 두 개의 전송 라인(F735a-F735b)을 갖는 실시예를 예시하고, 본원에서 설명된 양태는 둘을 초과하는 전송 라인 및/또는 (추가로 후술된 바와 같은) 둘 이상의 안테나를 갖는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F700)은 안테나(140)에 결합된 DRx 모듈(F710)을 포함한다. DRx 모듈(F710)은 DRx 모듈(F710)의 입력(예를 들어, 안테나(140a)에 결합된 입력)과 DRx 모듈의 출력(예를 들어, 제1 전송 라인(F735a)에 결합된 제1 출력 또는 제2 전송 라인(F735b)에 결합된 제2 출력) 사이에 다수의 경로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모듈(F710)은 DRx 제어기(F702)에 의해 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우회 스위치에 의해 활성화되는 입력과 출력 사이의 하나 이상의 우회 경로(미도시)를 포함한다.
DRx 모듈(F710)은 입력 멀티플렉서(F311)와 출력 멀티플렉서(F712)를 포함하는 다수의 멀티플렉서 경로를 포함한다. 멀티플렉서 경로는 입력 멀티플렉서(F311), 대역통과 필터(F313a-F313d), 증폭기(F314a-F314d) 및 출력 멀티플렉서(F712)를 포함하는 다수의 온-모듈 경로(도시됨)를 포함한다. 멀티플렉서 경로는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오프-모듈 경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증폭기(F314a-F314d)는 가변-이득 증폭기 및/또는 가변-전류 증폭기일 수 있다.
DRx 제어기(F702)는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F702)는 (예를 들어, 통신 제어기로부터) DRx 제어기(F702)에 의해 수신된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DRx 제어기(F702)는 예로서, 증폭기(F314a-F314d)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하거나, 멀티플렉서(F311, F712)를 제어하거나 또는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경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다수의 전송 라인(F735a-F735b)을 더 양호하게 활용하기 위해서, DRx 제어기(F702)는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출력 멀티플렉서(F712)를 제어하여 전송 라인(F735a-F735b) 중 선택된 하나로 경로를 따라 전파하는 신호 각각을 라우팅할 수 있다(또는 전송 라인(F735a-F735b)에 대응하는 멀티플렉서 출력을 출력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역 선택 신호가 수신된 신호가 단일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DRx 제어기(F702)는 대응하는 경로 상에서 전파하는 신호를 디폴트 전송 라인으로 라우팅하도록 출력 멀티플렉서(F712)를 제어할 수 있다. 디폴트 전송 라인은 모든 경로(그리고,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동일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전송 라인(F735a-F735b) 중 하나가 더 짧을 때, 더 적은 잡음을 도입하거나 달리 바람직하다. 디폴트 전송 라인은 상이한 경로에 대하여 상이할 수 있다. 예로서, 저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경로는 제1 전송 라인(F735b)으로 라우팅될 수 있고, 고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경로는 제2 전송 라인(F735b)으로 라우팅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멀티플렉서(F311)에서 수신된 하나 이상의 RF 신호가 단일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DRx 제어기(F702)는 디폴트 출력 멀티플렉서 출력에 단일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출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수신된 증폭된 RF 신호를 라우팅하도록 제2 멀티플렉서(F712)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디폴트 출력 멀티플렉서 출력은 모든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동일하거나 상이한 단일 주파수 대역에 대해 상이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역 선택 신호는 수신된 신호가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DRx 제어기(F702)는 출력 멀티플렉서(F712)를 제어하여 제1 주파수에 대응하는 경로를 따라 전파하는 신호를 제1 전송 라인(F735a)으로 라우팅하고, 제2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경로를 따라 전파하는 신호를 제2 전송 라인(F735b)으로 라우팅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주파수 대역 양자 모두가 고 주파수 대역(또는 저 주파수 대역인 경우에도), 대응하는 경로를 따라 전파하는 신호는 상이한 전송 라인으로 라우팅될 수 있다. 유사하게, 셋 이상의 전송 라인의 경우에, 셋 이상의 주파수 대역 각각은 상이한 전송 라인으로 라우팅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멀티플렉서(F311)에서 수신된 하나 이상의 RF 신호가 제1 주파수 대역 및 제2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DRX 제어기(F702)는 제1 출력 멀티플렉서 출력에 제1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출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수신된 증폭된 RF 신호를 라우팅하고, 제2 출력 멀티플렉서 출력에 제2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출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수신된 증폭된 RF 신호를 라우팅하도록 제2 멀티플렉서(F712)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원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1 주파수 대역 및 제2 주파수 대역 양자 모두는 고 주파수 대역 또는 저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역 선택 신호는 수신된 신호가 세 개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DRx 제어기(F702)는 출력 멀티플렉서(F712)를 제어하여 주파수 대역 중 둘에 대응하는 두 개의 경로를 따라 전파하는 신호 중 둘을 조합하고 전송 라인 중 하나를 따라 조합된 신호를 라우팅하고 전송 라인 중 나머지를 따른 제3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경로를 따라 전파하는 신호를 라우팅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F702)는 출력 멀티플렉서(F712)를 제어하여 함께 가장 근접한 세 개의 주파수 대역 중 둘(예를 들어, 양 저 주파수 대역 또는 양 고 주파수 대역)을 조합한다. 이런 구현예는 DRx 모듈(F710)의 출력 또는 다운스트림 모듈의 입력에서 임피던스 정합을 단순화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F702)는 가장 멀리 이격된 세 개의 주파수 대역 중 둘을 조합하도록 출력 멀티플렉서(F712)를 제어한다. 이런 구현예는 다운스트림 모듈에서 주파수 대역의 분리를 단순화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멀티플렉서(F311)에서 수신된 하나 이상의 RF 신호가 제1 주파수 대역, 제2 주파수 대역 및 제3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DRx 제어기(F702)는 제2 멀티플렉서(F712)를 제어하여 (a) 제1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출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수신된 증폭된 RF 신호와 제2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출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수신된 증폭된 RF 신호를 조합하여 조합된 신호를 생성하고, (b) 제1 출력 멀티플렉서 출력에 조합된 신호를 라우팅하고 및 (c) 제3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출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수신된 증폭된 RF 신호를 제2 출력 멀티플렉서 출력으로 라우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원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1 주파수 대역 및 제2 주파수 대역은 3개 주파수 대역 중 함께 가장 근접하거나 가장 먼 것들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역 선택 신호는 수신된 신호가 네 개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DRx 제어기(F702)는 출력 멀티플렉서(F712)를 제어하여 주파수 대역 중 둘에 대응하는 두 경로를 따라 전파하는 신호 중 둘을 조합하고 전송 라인 중 하나를 따라 제1 조합된 신호를 라우팅하고 주파수 대역 중 다른 둘에 대응하는 두 개의 경로를 따라 전파하는 신호 중 둘을 라우팅하고 전송 라인 중 나머지를 따라 제2 조합된 신호를 라우팅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F702)는 주파수 대역 중 셋에 대응하는 세 개의 경로를 따라 전파하는 신호 중 셋을 조합하여 조합된 신호를 전송 라인 중 하나를 따라 라우팅하고, 전송 라인 중 나머지를 따라 제4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경로를 따라 전파하는 신호를 라우팅하도록 출력 멀티플렉서(F712)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런 구현예는 주파수 대역 중 셋이 함께(예를 들어, 모든 저 주파수 대역) 근접하고, 제4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고 주파수 대역)이 이격되는 경우 유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역 선택 신호가 수신된 신호가 전송 라인이 존재하는 것보다 더 많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DRx 제어기(F702)는 출력 멀티플렉서(F712)를 제어하여 주파수 대역 중 둘 이상에 대응하는 둘 이상의 경로를 따라 전파하는 신호 중 둘 이상을 조합하고, 조합된 신호를 전송 라인 중 하나로 라우팅할 수 있다. DRx 제어기(F702)는 함께 가장 근접하거나 가장 먼 주파수 대역을 조합하기 위해 출력 멀티플렉서(F712)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경로 중 하나를 따라 전파하는 신호는 다른 경로를 따라 전파하는 다른 신호에 의존하여 전송 라인 중 상이한 하나에 출력 멀티플렉서(F712)에 의해 라우팅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3 증폭기(F314c)를 통과하는 제3 경로를 따라 전파하는 신호는 제3 경로가 유일한 액티브 경로일 때 제2 전송 라인(F735b)에 라우팅될 수 있고, 제4 경로(제4 증폭기(F314d)를 통과함)가 또한 활성상태일 때(그리고, 제2 전송 라인(735b)으로 라우팅됨) 제1 전송 라인(F735a)으로 라우팅된다.
따라서, DRx 제어기(F702)는 제1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출력 멀티플렉서(F712)를 제어하여 출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수신된 증폭된 RF 신호를 제1 출력 멀티플렉서 출력으로 라우팅하고, 제2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출력 멀티플렉서를 제어하여 출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수신된 증폭된 RF 신호를 제2 출력 멀티플렉서 출력으로 라우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DRx 모듈(F710)은 복수의 증폭기(F314a-F314d)를 포함하는 수신 시스템을 구성하고, 복수의 증폭기(F314a-F314d) 중 각각의 하나는 수신 시스템의 입력(예를 들어, 안테나(140)에 결합된 DRx 모듈(F710)의 입력 및/또는 다른 안테나에 결합된 DRx 모듈(F710)의 추가적 입력)과 수신 시스템의 출력(예를 들어, 전송 라인(F735a-F735b)에 결합된 DRx 모듈(F710)의 출력 및/또는 다른 전송 라인에 결합된 DRx 모듈(F710)의 추가적 출력)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된다. 증폭기(F314a-F314d) 각각은 증폭기(F314a-F314d)에서 수신된 RF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DRx 모듈(F710)은 하나 이상의 입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하나 이상의 RF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입력 멀티플렉서 출력 중 하나 이상에 하나 이상의 RF 신호 각각을 출력하여 복수의 경로 중 각각의 하나 이상을 따라 전파시키도록 구성된 입력 멀티플렉서(F311)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모듈(F710)은 단일 입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단일 RF 신호를 수신하고, 단일 RF 신호를 대역 선택 신호에 표시된 각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입력 멀티플렉서 출력 중 하나 이상에 출력하도록 DRx 제어기(F702)에 의해 제어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모듈(F710)이 다수의 입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다수의 RF 신호(각각 대역 선택 신호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의 상이한 세트에 대응함)를 수신하고, 다수의 RF 신호 각각을 각각의 RF 신호의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의 세트에 대응하는 입력 멀티플렉서 출력 중 하나 이상에 츨력하도록 DRx 제어기(F702)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입력 멀티플렉서(F311)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RF 신호를 수신하고, RF 신호의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경로를 따라 각 RF 신호를 라우팅하도록 DRx 제어기에 의해 제어된다.
DRx 모듈(F710)은 출력 멀티플렉서(F712)를 더 포함하고, 이 출력 멀티플렉서는 하나 이상의 각각의 출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복수의 경로 중 각각의 하나 이상을 따라 전파하는 하나 이상의 증폭된 RF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출력 멀티플렉서 출력(각각은 복수의 출력 전송 라인(F735a-F735b) 중 하나에 각각 결합됨) 중 선택된 하나에 하나 이상의 증폭된 RF 신호 각각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DRx 모듈(F710)은 대역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입력 멀티플렉서 및 출력 멀티플렉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DRx 제어기(F702)를 더 포함한다.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DRx 제어기(F702)는 입력 멀티플렉서가 RF 신호의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경로를 따라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RF 신호 각각을 라우팅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DRx 제어기(F702)는 DRx 모듈(F710)에 결합된 전송 라인(F735a-F735b)을 더 양호하게 활용하기 위해 복수의 출력 멀티플렉서 출력 중 선택된 하나에 하나 이상의 경로를 따라 전파하는 하나 이상의 증폭된 RF 신호 각각을 라우팅하도록 제어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역 선택 신호가 수신된 신호가 다수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DRx 제어기(F702)는 출력 멀티플렉서(F712)가 다수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경로를 따라 전파하는 신호 모두를 조합하고 조합된 신호를 전송 라인 중 하나로 라우팅하도록 제어한다. 이런 구현예는 다른 전송 라인이 사용불가할 때(예를 들어, 특정 무선 통신 구성에서 손상되거나 존재하지 않음) 사용될 수 있고, 전송 라인 중 하나가 사용불가라는 DRx 제어기(F702)에 의해 수신된(예를 들어, 통신 제어기로부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멀티플렉서(F311)에서 수신된 하나 이상의 RF 신호가 다수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그리고, 전송 라인이 사용불가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기 신호에 응답하여, DRx 제어기(F702)는 출력 멀티플렉서(F712)를 제어하여 다수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다수의 출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수신된 다수의 증폭된 RF 신호를 조합하여 조합된 신호를 생성하며 조합된 신호를 출력 멀티플렉서 출력으로 라우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9는 동적 라우팅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출력 멀티플렉서(F812)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출력 멀티플렉서(F812)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경로를 따라 배치된 증폭기에 각각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입력(F801a-F801d)을 포함한다. 출력 멀티플렉서(F812)는 복수의 전송 라인에 각각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출력(F802a-F802b)을 포함한다. 각각의 출력(F802a-F802b)은 각각의 조합기(F820a-F820b)의 출력에 결합된다. 각각의 입력(F801a-F801d)은 단극/단투(SPST) 스위치(F830)의 세트 중 하나를 거쳐 각 조합기(F820a-F820b)의 입력에 결합된다. 스위치(F830)는 DRx 제어기에 결합될 수 있는 제어 버스(F803)를 거쳐 제어될 수 있다.
도 30은 동적 라우팅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출력 멀티플렉서(F912)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출력 멀티플렉서(F912)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경로를 따라 배치된 증폭기에 각각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입력(F901a-F901d)을 포함한다. 출력 멀티플렉서(F912)는 복수의 전송 라인에 각각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출력(F902a-F902b)을 포함한다. 각각의 출력(F902a-F902b)은 각각의 조합기(F920a-F920b)의 출력에 결합된다. 제1 입력(F901a)은 제1 조합기(F920a)의 입력에 결합되고, 제4 입력(F901d)은 제2 조합기(F920d)의 입력에 결합된다. 제2 입력(F901b)은 조합기(F920a-F920b) 각각에 결합된 출력을 갖는 제1 단극/다투(SPMT) 스위치(F930a)에 결합된다. 유사하게, 제3 입력(F901c)은 각각의 조합기(F920a-F920b)에 결합된 출력을 갖는 제2 SPMT 스위치(F930b)에 결합된다. 스위치(F930a-F930b)는 DRx 제어기에 결합될 수 있는 제어 버스(F903)를 거쳐 제어될 수 있다.
도 8의 출력 멀티플렉서(812)와 달리, 도 9의 출력 멀티플렉서(912)는 각각의 입력(901a-901d)이 임의의 출력(902a-902b)으로 라우팅될 수 없게 한다. 대신, 제1 입력(901a)은 제1 출력(902a)으로 고정식으로 라우팅되고, 제4 입력(902d)은 제2 출력(902b)으로 고정식으로 라우팅된다. 이런 구현예는 제어 버스(903)의 크기를 감소시키거나 제어 버스(903)에 부착된 DRx 제어기의 제어 로직을 단순화할 수 있다.
도 29의 출력 멀티플렉서(F812) 및 도 30의 출력 멀티플렉서(F912) 양자 모두는 제1 출력 멀티플렉서 출력(F802a, F902a)에 결합된 제1 조합기(F820a, F920a) 및 제2 출력 멀티플렉서 출력(F802b, F902b)에 결합된 제2 조합기(F820b, F920b)를 포함한다. 또한, 도 29의 출력 멀티플렉서(F812) 및 도 30의 출력 멀티플렉서(F912) 양자 모두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DRx 제어기에 의해 제어됨)를 거쳐 제1 조합기(F820a, F920a) 및 제2 조합기(F820b, F920b) 양자 모두에 결합된 출력 멀티플렉서 입력(F801b, F901b)을 포함한다. 도 29의 출력 멀티플렉서(F812)에서, 출력 멀티플렉서 입력(F801b)은 두 개의 SPST 스위치를 거쳐 제1 조합기(F820a) 및 제2 조합기(F820b)에 결합된다. 도 30의 출력 멀티플렉서(F912)에서, 출력 멀티플렉서 입력(F901b)은 단일 SPMT 스위치를 거쳐 제1 조합기(F920a) 및 제2 조합기(F820b)에 결합된다.
도 31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F1000)이 다수의 안테나(F1040a-F1040b)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비록 도 31이 하나의 전송 라인(135) 및 두 개의 안테나(F1040a-F1040b)를 갖는 실시예를 예시하지만, 본원에서 설명된 양태는 둘 이상의 전송 라인 및/또는 둘 보다 많은 안테나를 갖는 실시예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F1000)은 제1 안테나(F1040a) 및 제2 안테나(F1040b)에 결합된 DRx 모듈(F1010)을 포함한다. DRx 모듈(F1010)은 DRx 모듈(F1010)의 입력(예를 들어, 제1 안테나(F1040a)에 결합된 제1 입력 또는 제2 안테나(F1040b)에 결합된 제2 입력)과 DRx 모듈의 출력(예를 들어, 전송 라인(135)에 결합된 출력) 사이에 다수의 경로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모듈(F1010)은 DRx 제어기(F1002)에 의해 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우회 스위치에 의해 활성화되는 입력과 출력 사이의 하나 이상의 우회 경로(미도시)를 포함한다.
DRx 모듈(F1010)은 입력 멀티플렉서(F1011)와 출력 멀티플렉서(F312)를 포함하는 다수의 멀티플렉서 경로를 포함한다. 멀티플렉서 경로는 입력 멀티플렉서(F1011), 대역통과 필터(F313a-F313d), 증폭기(F314a-F314d) 및 출력 멀티플렉서(F312)를 포함하는 다수의 온-모듈 경로(도시됨)를 포함한다. 멀티플렉서 경로는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오프-모듈 경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증폭기(F314a-F314d)는 가변-이득 증폭기 및/또는 가변-전류 증폭기일 수 있다.
DRx 제어기(F1002)는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DRx 제어기(F1002)는 (예를 들어, 통신 제어기로부터) DRx 제어기(F1002)에 의해 수신된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DRx 제어기(F1002)는 예로서, 증폭기(F314a-F314d)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하거나, 멀티플렉서(F1011, F312)를 제어하거나 또는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경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다양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에서, 안테나(F1040a-F1040b)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예로서, 일 구현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은 저 주파수 대역 및 중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제1 안테나(F1040a) 및 고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제2 안테나(F1040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은 저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제1 안테나(F1040a) 및 중간 주파수 대역 및 고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제2 안테나(F104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은 저 주파수 대역, 중 주파수 대역 및 고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단지 제1 광대역 안테나(F1040a)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안테나(F1040b)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동일한 DRx 모듈(F1010)은 안테나 구성 신호(예를 들어, 통신 제어기로부터 수신되거나 영구적 메모리 또는 다른 유선결선 구성에 저장되고 그로부터 판독됨)에 기초한 DRx 제어기(F1002)에 의한 입력 멀티플렉서(F1011)의 제어를 통해 이들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 모두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안테나 구성 신호가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F1000)이 단지 단일 안테나(F1040a)를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낼 때, DRx 제어기(F1002)는 단일 안테나(F1040a)에서 수신된 신호를 모든 경로(또는 대역 선택 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은 모든 액티브 경로)에 라우팅하도록 입력 멀티플렉서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단일 안테나를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안테나 구성 신호에 응답하여, DRx 제어기(F1002)는 입력 멀티플렉서를 제어하여 단일 입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수신된 RF 신호를 복수의 입력 멀티플렉서 출력 모두 또는 RF 신호의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과 연계된 복수의 입력 멀티플렉서 출력 모두에 라우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안테나 구성 신호가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F1000)이 저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제1 안테나(F1040a)와 중 주파수 대역 및 고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제2 안테나(F1040b)를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낼 때, DRx 제어기(F1002)는 입력 멀티플렉서(F1011)를 제어하여 제1 안테나(F1040a)에서 수신된 신호를 제1 경로(제1 증폭기(F314a)를 포함)로 라우팅하고, 제2 안테나(F1040b)에서 수신된 신호를 제2 경로(제2 증폭기(F314b)를 포함), 제3 경로(제3 증폭기(F314c)를 포함) 및 제4 경로(제4 증폭기(F314d)를 포함) 또는 경로들 중 적어도 대역 선택 신호에 의해 액티브 상태로 표시된 것들로 라우팅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안테나 구성 신호가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F1000)이 저 주파수 대역 및 하부 중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제1 안테나(F1040a)와 상부 중 주파수 대역 및 고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제2 안테나(F1040b)를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낼 때, DRx 제어기(F1002)는 입력 멀티플렉서(F1011)를 제어하여 제1 안테나(F1040a)에서 수신된 신호를 제1 경로 및 제2 경로로 라우팅하고, 제2 안테나(F1040b)에서 수신된 신호를 제3 경로 및 제4 경로 또는 경로들 중 적어도 대역 선택 신호에 의해 액티브 상태로 표시된 것들로 라우팅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안테나 구성 신호가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F1000)이 저 주파수 대역 및 중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제1 안테나(F1040a)와 고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제2 안테나(F1040b)를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낼 때, DRx 제어기(F1002)는 입력 멀티플렉서(F1011)를 제어하여 제1 안테나(F1040a)에서 수신된 신호를 제1 경로, 제2 경로 및 제3 경로로 라우팅하고, 제2 안테나(F1040b)에서 수신된 신호를 제4 경로 또는 경로들 중 적어도 대역 선택 신호에 의해 액티브 상태인 것으로 표시된 것들로 라우팅한다.
따라서, 특정 경로(예를 들어, 제3 경로)를 따라 전파하는 신호는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안테나 구성 신호에 의해 표시된 바에 따라)에 의존하는 입력 멀티플렉서 입력 중 상이한 것들(안테나(F1040a-F1040b) 중 하나에 결합됨)로부터 입력 멀티플렉서(F1011)에 의해 라우팅될 수 있다.
따라서, DRx 제어기(F1002)는 제1 안테나 구성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 멀티플렉서(F1011)를 제어하여 제1 입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수신된 RF 신호를 입력 멀티플렉서 출력에 라우팅하고, 제2 안테나 구성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 멀티플렉서(F1011)를 제어하여 제2 입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수신된 RF 신호를 입력 멀티플렉서 출력으로 라우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DRx 제어기(F1002)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경로를 따라,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각각 포함하는 수신된 신호를 라우팅하도록 입력 멀티플렉서(F1011)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입력 멀티플렉서(F1011)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경로를 따라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 각각을 출력하는 대역 분할기로서 추가로 작용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입력 멀티플렉서(F1011) 및 대역통과 필터(F313a-F313d)는 이런 대역 분할기를 구성한다. 다른 구현예(추가로 후술된 바와 같은)에서, 대역통과 필터(F313a-F313d) 및 입력 멀티플렉서(F1011)는 대역 분할기를 형성하도록 다른 방식으로 통합될 수 있다.
도 32는 동적 라우팅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입력 멀티플렉서(F1111)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입력 멀티플렉서(F1111)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에 각각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입력(F1101a-F1101b)을 포함한다. 입력 멀티플렉서(F1111)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경로를 따라 배치된 증폭기에 각각 결합될 수 있는(예를 들어, 대역통과 필터를 거쳐) 복수의 출력(F1102a-F1102d)을 포함한다. 각각의 입력(F1101a-F1101b)은 단극/단투(SPST) 스위치(F1130)의 세트 중 하나를 거쳐 각 출력(F1102a-F1102d)에 결합된다. 스위치(F1130)는 DRx 제어기에 결합될 수 있는 제어 버스(F1103)를 거쳐 제어될 수 있다.
도 33은 동적 라우팅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입력 멀티플렉서(F121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입력 멀티플렉서(F1211)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에 각각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입력(F1201a-F1201b)을 포함한다. 입력 멀티플렉서(F1211)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경로를 따라 배치된 증폭기에 각각 결합될 수 있는(예를 들어, 대역통과 필터를 거쳐) 복수의 출력(F1202a-F1202d)을 포함한다. 제1 입력(F1201a)은 제1 출력(F1202a), 제1 다극/단투(MPST) 스위치(F1230a) 및 제2 MPST 스위치(F1230b)에 결합된다. 제2 입력(F1201b)은 제1 MPST 스위치(F1230a), 제2 MPST 스위치(F1230b) 및 제4 출력(F1202d)에 결합된다. 스위치(F1230a-F1230b)는 DRx 제어기에 결합될 수 있는 제어 버스(F1203)를 거쳐 제어될 수 있다.
도 32의 입력 멀티플렉서(F1111)와 달리, 도 33의 출력 멀티플렉서(F1211)는 각각의 입력(F1201a-F1201b)이 임의의 출력(F1202a-F1202d)으로 라우팅될 수 없게 한다. 대신, 제1 입력(F1201a)은 제1 출력(F1202a)에 고정식으로 라우팅되고, 제2 입력(F1201b)은 제4 출력(F1202d)으로 고정식으로 라우팅된다. 이런 구현예는 제어 버스(F903)의 크기를 감소시키거나 제어 버스(F903)에 부착된 DRx 제어기의 제어 로직을 단순화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테나 구성 신호에 기초하여, DRx 제어기는 스위치(F1230a-F1230b)를 제어하여 입력(F1201a-F1201b)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2 출력(F1202b) 및/또는 제3 출력(F1202c)으로 라우팅할 수 있다.
도 32의 입력 멀티플렉서(F1111) 및 도 33의 입력 멀티플렉서(F1211) 양자 모두는 다극/다투(MPMT) 스위치로서 동작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입력 멀티플렉서(F1111, F1211)는 삽입 손실을 감소시키도록 필터 또는 정합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이런 필터 또는 정합 컴포넌트는 DRx 모듈(예를 들어, 도 31의 대역통과 필터(F313a-F313d))의 다른 컴포넌트와 공동설계될 수 있다. 예로서, 입력 멀티플렉서 및 대역통과 필터는 전체 컴포넌트의 수를 감소시키도록 단일 부품으로서 통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입력 멀티플렉서는 특정 출력 임피던스(예를 들어, 50 Ohms이 아닌 것)를 위해 설계될 수 있고, 대역통과 필터는 이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34 내지 도 39는 동적 입력 라우팅 및/또는 출력 라우팅을 갖는 DRx 모듈의 다양한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34는 일부 실시예에서, DRx 모듈(F1310)은 단일 입력 및 두 개의 출력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DRx 모듈(F1310)은 대역 분할기로서, 입력 신호를 저 주파수 대역과 중 및 고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는 고-저 다이플렉서(F1311), 이극/팔투 스위치(F1312)(제1 단극/삼투 스위치 및 제2 단극/오투 스위치로서 구현됨) 및 다양한 필터와 대역 분할 다이플렉서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고-저 다이플렉서(F1311) 및 다양한 필터와 대역-분할 다이플렉서는 공동 설계될 수 있다.
도 35는 일부 실시예에서, DRx 모듈(F1320)은 단일 입력 및 단일 출력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DRx 모듈(F1320)은 대역 분할기로서, 입력 신호를 저 주파수 대역과 중 및 고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는 고-저 다이플렉서(F1321), 이극/팔투 스위치(F1322)(제1 단극/삼투 스위치 및 제2 단극/오투 스위치로서 구현됨) 및 다양한 필터와 대역 분할 다이플렉서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고-저 다이플렉서(F1321) 및 다양한 필터와 대역-분할 다이플렉서는 공동 설계될 수 있다. DRx 모듈(F1320)은 출력 멀티플렉서로서, 고-저 조합기(F1323)를 포함하고, 이는 두 입력에서 수신된 신호를 필터링 및 조합하고 조합된 신호를 출력한다.
도 36은 일부 실시예에서, DRx 모듈(F1330)이 2개 입력 및 3개 출력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DRx 모듈(F1330)은 대역 분할기로서, 입력 신호를 저 주파수 대역과 중 및 고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는 고-저 다이플렉서(F1331), 삼극/팔투 스위치(F1332)(제1 단극/삼투 스위치, 제2 단극/이투 스위치 및 제3 단극/삼투 스위치로서 구현됨) 및 다양한 필터와 대역 분할 다이플렉서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고-저 다이플렉서(F1331) 및 다양한 필터와 대역-분할 다이플렉서는 공동 설계될 수 있다.
도 37은 일부 실시예에서, DRx 모듈(F1340)이 2개 입력 및 2개 출력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DRx 모듈(F1340)은 대역 분할기로서, 입력 신호를 저 주파수 대역과 중 및 고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는 고-저 다이플렉서(F1341), 삼극/팔투 스위치(F1342)(제1 단극/삼투 스위치, 제2 단극/이투 스위치 및 제3 단극/삼투 스위치로서 구현됨) 및 다양한 필터와 대역 분할 다이플렉서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고-저 다이플렉서(F1341) 및 다양한 필터와 대역-분할 다이플렉서는 공동 설계될 수 있다. DRx 모듈(F1340)은 출력 멀티플렉서의 일부로서, 고-저 조합기(F1343)를 포함하고, 이는 두 입력에서 수신된 신호를 필터링 및 조합하고 조합된 신호를 출력한다.
도 38은 일부 실시예에서 DRx 모듈(F1350)은 다극/다투 스위치(F1352)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DRx 모듈(F1340)은 대역 분할기로서 입력 신호를 저 주파수 대역과 중 및 고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는 고-저 다이플렉서(F1351), 삼극/팔투 스위치(F1352) 및 다양한 필터와 대역 분할 다이플렉서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고-저 다이플렉서(F1341) 및 다양한 필터와 대역-분할 다이플렉서는 공동 설계될 수 있다. 삼극/팔투 스위치(F1352)는 제1 극 상에서 수신된 신호를 오투 중 하나로 라우팅하고 제2 극에서 수신된 신호를 삼투 중 하나로 라우팅하기 위해 제1 단극/삼투 스위치 및 제2 이극/오투 스위치로서 구현된다.
도 39는 일부 실시예에서 DRx 모듈(F1360)은 입력 선택기(F1361)와 다극/다투 스위치(F1362)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DRx 모듈(F1360)은 대역 분할기로서 입력 선택기(F1361)(이극/사투 스위치로서 동작하고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됨), 사극/십투 스위치(F1362) 및 다양한 필터, 정합 컴포넌트 및 대역 분할 다이플렉서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입력 선택기(F1361), 스위치(F1362) 및 다양한 필터, 정합 컴포넌트와 대역 분할 다이플렉서는 공동 설계될 수 있다. 입력 선택기(F1361) 및 스위치(F1362)는 함께 이극/십투 스위치로서 동작한다. DRx 모듈(F1360)은 출력 멀티플렉서로서 출력 선택기(F1363)를 포함하고, 출력 선택기는 입력을 출력 중 선택된 하나(조합 신호를 포함할 수 있음)로 라우팅할 수 있다. 출력 선택기(F1363)는 도 29 및 도 30에 예시된 양태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40은 RF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일부 구현예에서(그리고, 예로서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방법(F1400)은 제어기, 예컨대, 도 28의 DRx 제어기(F702) 또는 도 3의 통신 제어기(120)에 의해 수행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방법(F1400)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처리 로직에 의해 수행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방법(F1400)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에 저장된 코드를 실행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된다. 간단히, 방법(F1400)은 대역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RF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경로를 따라 수신된 RF 신호를 선택된 출력으로 라우팅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F1400)은 블록 F1410에서 대역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기에서 시작한다. 제어기는 다른 제어기로부터 대역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거나 셀룰러 기지국 또는 다른 외부적 소스로부터 대역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대역 선택 신호는 무선 디바이스가 RF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역 선택 신호는 캐리어 집성 통신을 위한 주파수 대역의 세트를 나타낸다.
블록 F1420에서, 제어기는 대역 선택 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각 주파수 대역에 대해 출력 단자를 결정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역 선택 신호는 단일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고, 제어기는 단일 주파수 대역을 위한 디폴트 출력 단자를 결정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역 선택 신호는 2개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고, 제어기는 2개 주파수 대역 각각을 위한 상이한 출력 단자를 결정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역 선택 신호는 사용가능한 출력 단자보다 많은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고, 제어기는 주파수 대역 중 둘 이상을 조합할 것을 결정한다(그리고, 따라서, 둘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동일한 출력 단자를 결정한다). 제어기는 가장 근접한 주파수 대역 또는 가장 먼 것들을 조합하기를 결정할 수 있다.
블록 F1430에서, 제어기는 각 주파수 대역에 대한 신호를 결정된 출력 단자로 라우팅하도록 출력 멀티플렉서를 제어한다. 제어기는 하나 이상의 SPST 스위치를 개방 또는 폐쇄하여 하나 이상의 SPMT 스위치의 상태를 결정하거나, 출력 멀티플렉서 제어 신호를 송신하거나 다른 메커니즘에 의해 출력 멀티플렉서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유연한 대역 라우팅에 관련한 전술한 예 F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복수의 증폭기를 포함하는 수신 시스템에 관련한다. 복수의 증폭기 중 각각의 하나는 수신 시스템의 출력과 수신 시스템의 입력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증폭기에서 수신된 라디오-주파수(RF)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입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하나 이상의 RF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입력 멀티플렉서 출력 중 하나 이상에 하나 이상의 RF 신호 각각을 출력하여 복수의 경로 중 각각의 하나 이상을 따라 전파시키도록 구성된 입력 멀티플렉서를 추가로 포함한다. 수신 시스템은 출력 멀티플렉서를 더 포함하고, 이 출력 멀티플렉서는 하나 이상의 각각의 출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복수의 경로 중 각각의 하나 이상을 따라 전파하는 하나 이상의 증폭된 RF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출력 멀티플렉서 출력 중 선택된 하나에 하나 이상의 증폭된 RF 신호 각각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시스템은 대역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입력 멀티플렉서 및 출력 멀티플렉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RF 신호가 단일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기는 디폴트 출력 멀티플렉서 출력에 단일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출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수신된 증폭된 RF 신호를 라우팅하도록 출력 멀티플렉서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폴트 출력 멀티플렉서 출력은 상이한 단일 주파수 대역에 대해 서로 다르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RF 신호가 제1 주파수 대역 및 제2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기는 제1 출력 멀티플렉서 출력에 제1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출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수신된 증폭된 RF 신호를 라우팅하고, 제2 출력 멀티플렉서 출력에 제2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출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수신된 증폭된 RF 신호를 라우팅하도록 출력 멀티플렉서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주파수 대역 및 제2 주파수 대역 양자 모두는 고 주파수 대역 또는 저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RF 신호가 제1 주파수 대역, 제2 주파수 대역 및 제3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기는 출력 멀티플렉서를 제어하여 제1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출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수신된 증폭된 RF 신호와 제2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출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수신된 증폭된 RF 신호를 조합하여 조합된 신호를 생성하고, 제1 출력 멀티플렉서 출력에 조합된 신호를 라우팅하고 및 제3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출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수신된 증폭된 RF 신호를 제2 출력 멀티플렉서 출력으로 라우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주파수 대역 및 제2 주파수 대역은 제1 주파수 대역, 제2 주파수 대역 및 제3 주파수 대역 중 함께 가장 근접한 것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주파수 대역 및 제2 주파수 대역은 제1 주파수 대역, 제2 주파수 대역 및 제3 주파수 대역 중 함께 가장 먼 것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RF 신호가 다수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그리고, 전송 라인이 사용불가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기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기는 출력 멀티플렉서를 제어하여 다수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다수의 출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수신된 다수의 증폭된 RF 신호를 조합하여 조합된 신호를 생성하며 조합된 신호를 출력 멀티플렉서 출력으로 라우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제1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출력 멀티플렉서를 제어하여 출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수신된 증폭된 RF 신호를 제1 출력 멀티플렉서 출력으로 라우팅하고, 제2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출력 멀티플렉서를 제어하여 출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수신된 증폭된 RF 신호를 제2 출력 멀티플렉서 출력으로 라우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출력 멀티플렉서는 제1 출력 멀티플렉서 출력에 결합된 제1 조합기 및 제2 출력 멀티플렉서 출력에 결합된 제2 조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출력 멀티플렉서 입력은 하나 이상의 스위치를 거쳐 제1 조합기 및 제2 조합기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출력 멀티플렉서를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스위치는 두 개의 단극/단투(SPST)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스위치는 단일 단극/다투(SPMT)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신 시스템은 복수의 출력 멀티플렉서 출력에 각각 결합된 복수의 전송 라인을 더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복수의 컴포넌트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패키징 기판을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RF) 모듈에 관한 것이다. RF 모듈은 패키징 기판 상에 구현된 수신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수신 시스템은 복수의 증폭기를 포함한다. 복수의 증폭기 중 각각의 하나는 수신 시스템의 출력과 수신 시스템의 입력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증폭기에서 수신된 라디오-주파수(RF)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입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하나 이상의 RF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입력 멀티플렉서 출력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하나 이상의 RF 신호 각각을 출력하여 복수의 경로 중 각각의 하나 이상을 따라 전파시키도록 구성된 입력 멀티플렉서를 포함한다. 수신 시스템은 출력 멀티플렉서를 포함하고, 이 출력 멀티플렉서는 하나 이상의 각각의 출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복수의 경로 중 각각의 하나 이상을 따라 전파하는 하나 이상의 증폭된 RF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출력 멀티플렉서 출력 중 선택된 하나에 하나 이상의 증폭된 RF 신호 각각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시스템은 대역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입력 멀티플렉서 및 출력 멀티플렉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모듈은 다이버시티 수신기 프론트-엔드 모듈(FEM)일 수 있다.
일부 기술에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제1 무선-주파수(RF)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에 관련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제1 안테나와 통신하는 제1 프론트-엔드 모듈(FEM)을 더 포함한다. 제1 FEM은 복수의 컴포넌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패키징 기판을 포함한다. 제1 FEM은 패키징 기판 상에 구현된 수신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수신 시스템은 복수의 증폭기를 포함한다. 복수의 증폭기 중 각각의 하나는 수신 시스템의 출력과 수신 시스템의 입력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증폭기에서 수신된 라디오-주파수(RF)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입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하나 이상의 RF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입력 멀티플렉서 출력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하나 이상의 RF 신호 각각을 출력하여 복수의 경로 중 각각의 하나 이상을 따라 전파시키도록 구성된 입력 멀티플렉서를 포함한다. 수신 시스템은 출력 멀티플렉서를 포함하고, 이 출력 멀티플렉서는 하나 이상의 각각의 출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복수의 경로 중 각각의 하나 이상을 따라 전파하는 하나 이상의 증폭된 RF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출력 멀티플렉서 출력 중 선택된 하나에 하나 이상의 증폭된 RF 신호 각각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시스템은 대역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입력 멀티플렉서 및 출력 멀티플렉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복수의 출력 멀티플렉서 출력에 각각 결합된 복수의 전송 라인을 거쳐 출력으로부터 처리된 버전의 제1 RF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된 버전의 제1 RF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비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제2 무선-주파수(RF)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안테나 및 제2 안테나와 통신하는 제2 FEM을 더 포함한다. 통신 모듈은 제2 FEM의 출력으로부터 처리된 버전의 제2 RF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된 버전의 제2 RF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비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처의 조합의 예
도 41a 및 도 41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A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6 내지 도 1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B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1 내지 도 14,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2a 및 도 42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A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6 내지 도 1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C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5, 도 16,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3a 및 도 43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A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6 내지 도 1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D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0 내지 도 23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4a 및 도 44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B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1 내지 도 14,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C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5, 도 16,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5a 및 도 45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B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1 내지 도 14,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D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0 내지 도 23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6a 및 도 46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C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5, 도 16,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D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0 내지 도 23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7a 및 도 47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A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6 내지 도 1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B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1 내지 도 14,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C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5, 도 16,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8a 및 도 48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A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6 내지 도 1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B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1 내지 도 14,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D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0 내지 도 23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9a 및 도 49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A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6 내지 도 1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C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5, 도 16,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D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0 내지 도 23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0a 및 도 50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B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1 내지 도 14,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C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5, 도 16,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D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0 내지 도 23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1a 및 도 51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A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6 내지 도 1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B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1 내지 도 14,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C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5, 도 16,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D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0 내지 도 23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2a 및 도 52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A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6 내지 도 1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B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1 내지 도 14,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E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4 내지 도 26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3a 및 도 53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A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6 내지 도 1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C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5, 도 16,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E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4 내지 도 26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4a 및 도 54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A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6 내지 도 1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D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0 내지 도 23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E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4 내지 도 26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5a 및 도 55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B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1 내지 도 14,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C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5, 도 16,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E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4 내지 도 26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6a 및 도 56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B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1 내지 도 14,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D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0 내지 도 23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E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4 내지 도 26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7a 및 도 57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C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5, 도 16,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D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0 내지 도 23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E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4 내지 도 26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8a 및 도 58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A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6 내지 도 1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B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1 내지 도 14,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C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5, 도 16,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E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4 내지 도 26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9a 및 도 59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A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6 내지 도 1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B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1 내지 도 14,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D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0 내지 도 23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E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4 내지 도 26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0a 및 도 60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A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6 내지 도 1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C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5, 도 16,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D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0 내지 도 23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E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4 내지 도 26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1a 및 도 61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B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1 내지 도 14,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C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5, 도 16,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D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0 내지 도 23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E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4 내지 도 26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2a 및 도 62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A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6 내지 도 1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B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1 내지 도 14,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C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5, 도 16,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D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0 내지 도 23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E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4 내지 도 26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3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A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6 내지 도 1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B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1 내지 도 14,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F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7 내지 도 4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4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A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6 내지 도 1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C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5, 도 16,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F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7 내지 도 4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5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A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6 내지 도 1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D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0 내지 도 23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F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7 내지 도 4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6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B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1 내지 도 14,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C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5, 도 16,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F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7 내지 도 4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7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B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1 내지 도 14,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D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0 내지 도 23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F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7 내지 도 4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8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C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5, 도 16,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D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0 내지 도 23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F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7 내지 도 4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9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A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6 내지 도 1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B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1 내지 도 14,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C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5, 도 16,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F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7 내지 도 4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0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A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6 내지 도 1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B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1 내지 도 14,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D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0 내지 도 23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F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7 내지 도 4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1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A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6 내지 도 1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C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5, 도 16,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D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0 내지 도 23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F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7 내지 도 4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2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B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1 내지 도 14,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C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5, 도 16,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D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0 내지 도 23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F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7 내지 도 4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3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A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6 내지 도 1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B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1 내지 도 14,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C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5, 도 16,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D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0 내지 도 23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F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7 내지 도 4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4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A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6 내지 도 1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B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1 내지 도 14,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E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4 내지 도 26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F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7 내지 도 4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5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A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6 내지 도 1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C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5, 도 16,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E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4 내지 도 26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F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7 내지 도 4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6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A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6 내지 도 1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D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0 내지 도 23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E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4 내지 도 26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F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7 내지 도 4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7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B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1 내지 도 14,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C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5, 도 16,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E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4 내지 도 26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F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7 내지 도 4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8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B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1 내지 도 14,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D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0 내지 도 23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E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4 내지 도 26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F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7 내지 도 4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9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C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5, 도 16,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D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0 내지 도 23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E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4 내지 도 26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F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7 내지 도 4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0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A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6 내지 도 1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B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1 내지 도 14,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C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5, 도 16,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E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4 내지 도 26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F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7 내지 도 4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1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A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6 내지 도 1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B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1 내지 도 14,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D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0 내지 도 23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E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4 내지 도 26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F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7 내지 도 4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2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A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6 내지 도 1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C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5, 도 16,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D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0 내지 도 23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E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4 내지 도 26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F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7 내지 도 4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3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B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1 내지 도 14,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C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5, 도 16,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D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0 내지 도 23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E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4 내지 도 26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F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7 내지 도 4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4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A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6 내지 도 1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B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1 내지 도 14,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C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5, 도 16,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D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0 내지 도 23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E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4 내지 도 26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F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7 내지 도 4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5a 및 도 85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A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6 내지 도 1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E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4 내지 도 26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6a 및 도 86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B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1 내지 도 14,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E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4 내지 도 26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7a 및 도 87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C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5, 도 16,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E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4 내지 도 26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8a 및 도 88b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D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0 내지 도 23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E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4 내지 도 26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9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A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6 내지 도 1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F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7 내지 도 4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0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B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1 내지 도 14,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F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7 내지 도 4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1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C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5, 도 16,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F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7 내지 도 4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2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D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0 내지 도 23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F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7 내지 도 4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3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E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4 내지 도 26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F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7 내지 도 4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4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A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A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6 내지 도 1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E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4 내지 도 26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F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7 내지 도 4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5는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B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B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1 내지 도 14,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E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4 내지 도 26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F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7 내지 도 4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6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C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C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15, 도 16, 도 17 내지 도 19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E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4 내지 도 26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F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7 내지 도 4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7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D의 하나 이상의 피처,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E의 하나 이상의 피처 및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예 F의 하나 이상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 D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0 내지 도 23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E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4 내지 도 26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예 F에 관련한 추가적 세부사항이 도 1 내지 도 5, 도 27 내지 도 40 및 도 98 내지 도 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여기에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의 전술한 조합은 각 예, 조합의 예들 모두 또는 그 임의의 조합와 연계된 일부 또는 모든 장점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품 및 아키텍쳐의
도 98은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들의 조합을 갖는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예를 들어, 도 41 내지 도 97) 중 일부 또는 모두를 포함하는,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 중 일부 또는 모두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일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런 모듈은 예로서 프론트-엔드 모듈(FEM)일 수 있다. 이런 모듈은 예로서 다이버시티 수신기(DRx)(FEM)일 수 있다.
도 98의 예에서, 모듈(1000)은 패키징 기판(1002)을 포함할 수 있고, 다수의 컴포넌트는 이런 패키징 기판(1002)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예로서, 제어기(1004)(프론트-엔드 파워 관리 집적 회로 [FE-PIMC]를 포함할 수 있음),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피처를 갖는 조합 조립체(1006), 멀티플렉서 조립체(1010) 및 필터 뱅크(1008)(하나 이상의 대역통과 필터를 포함할 수 있음)는 패키징 기판(1002) 내에 및/또는 상에 장착 및/또는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컴포넌트, 예컨대, 다수의 SMT 디바이스(1012)는 또한 패키징 기판(1002)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비록 모든 다양한 컴포넌트는 패키징 기판(1002) 상에 배설된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일부 컴포넌트(들)는 다른 컴포넌트(들) 위에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9는 일부 실시예에서, 피처들의 조합을 갖는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예를 들어, 도 41 내지 도 97) 중 일부 또는 모두를 포함하는, 다이버시티 수신기 구성 중 일부 또는 모두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일 아키텍쳐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런 아키텍쳐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다이버시티 수신기(DRx) 프론트-엔드 기능 같은 프론트-엔드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9의 예에서, 아키텍쳐(1100)는 제어기(1104)(프론트-엔드 파워 관리 집적 회로 [FE-PIMC]를 포함할 수 있음),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피처를 갖는 조합 조립체(1106), 멀티플렉서 조립체(1110) 및 필터 뱅크(1108)(하나 이상의 대역통과 필터를 포함할 수 있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컴포넌트, 예컨대, 다수의 SMT 디바이스(1112)가 또한 아키텍쳐(1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원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피처를 갖는 디바이스 및/또는 회로가 무선 디바이스 같은 RF 전자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런 디바이스 및/또는 회로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직접적으로,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모듈식 형태로 또는 그 소정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런 무선 디바이스는 예로서, 셀룰러 폰, 스마트폰, 전화 기능을 갖거나 갖지 않는 핸드헬드 무선 디바이스, 무선 태블릿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0은 본원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유리한 피처를 갖는 예시적 무선 디바이스(1400)를 도시한다.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피처를 갖는 하나 이상의 모듈의 맥락에서, 이런 모듈은 일반적으로 점선 박스(1401)(예로서, 프론트-엔드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음), 다이버시티 RF 모듈(1411)(예로서, 다운스트림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음) 및 다이버시티 수신기(DRx) 모듈(1000)(예로서, 프론트-엔드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음)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도 100을 참조하면, 파워 증폭기(PA)(1420)는 트랜시버(1410)로부터 그 각각의 RF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트랜시버는 증폭 및 전송될 RF 신호를 발생시키고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 및 동작될 수 있다. 트랜시버(1410)는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408)과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기저대역 서브시스템은 트랜시버(1410)를 위해 적합한 RF 신호와 사용자를 위해 적합한 데이터 및/또는 음성 신호 사이의 변환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트랜시버(1410)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1400)의 동작을 위한 파워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파워 관리 컴포넌트(1406)와 통신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런 파워 관리는 또한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408) 및 모듈(1401, 1411, 10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408)은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및/또는 데이터의 다양한 입력 및 출력을 이행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1402)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기저대역 서브시스템(1408)은 또한 메모리(1404)에 연결될 수 있고, 메모리는 무선 디바이스의 동작을 이행하기 위한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및/또는 사용자를 위한 정보의 저장소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 무선 디바이스(1400)에서, PA(1420)의 출력은 (각각의 정합 회로(1422)를 거쳐) 정합되고 그 각각의 듀플렉서(1424)로 라우팅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런 증폭 및 필터링된 신호는 전송을 위해 안테나 스위치(1414)를 통해 주 안테나(1416)로 라우팅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듀플렉서(1424)는 공통 안테나(예를 들어, 주 안테나(1416))를 사용하여 동시에 전송 및 수신 동작이 수행되게 할 수 있다. 도 100에서, 수신된 신호는 예로서, 저-잡음 증폭기(LNA)를 포함할 수 있는 "Rx" 경로로 라우팅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또한 다이버시티 안테나(1426) 및 다이버시티 안테나(1426)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다이버시티 수신기 모듈(1000)을 포함한다. 다이버시티 수신기 모듈(1000)은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신호를 전송 라인(1435)을 거쳐 다이버시티 RF 모듈(1411)에 전송하며, 다이버시티 RF 모듈은 트랜시버(1410)에 신호를 공급하기 이전에 신호를 추가 처리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원에서 설명된 예 A는 무선-주파수(RF) 수신 시스템과 관련 디바이스 및 방법의 제1 피처를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유사하게, 본원에서 설명된 예 B는 무선-주파수(RF) 수신 시스템과 관련 디바이스 및 방법의 제2 피처를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유사하게, 본원에서 설명된 예 C는 무선-주파수(RF) 수신 시스템과 관련 디바이스 및 방법의 제3 피처를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유사하게, 본원에서 설명된 예 D는 무선-주파수(RF) 수신 시스템과 관련 디바이스 및 방법의 제4 피처를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유사하게, 본원에서 설명된 예 E는 무선-주파수(RF) 수신 시스템과 관련 디바이스 및 방법의 제5 피처를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유사하게, 본원에서 설명된 예 F는 무선-주파수(RF) 수신 시스템과 관련 디바이스 및 방법의 제6 피처를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피처는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다양한 셀룰러 주파수 대역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런 대역의 예가 표 1에 나열되어 있다. 대역 중 적어도 일부는 서브대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피처는 표 1의 예 같은 명칭을 갖지 않는 주파수 범위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Figure 112017051471965-pct00001
문맥상 명시적으로 달리 필요로 하지 않는 한,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 단어 "포함하다", "포함하는" 등은 배타적이거나 총망라하는 개념 대신 포함적 개념으로 해석되며; 즉, "포함하는, 그러나 그에 한정되지 않는"의 개념으로 해석된다. 본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단어 "결합된"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하나 이상의 중간 요소를 거쳐 연결될 수 있는 둘 이상의 엘리먼트를 지칭한다. 추가적으로, 단어 "본원에서", "전술한", "후술된" 및 유사한 도입의 단어는 본 출원에서 사용될 때, 본 출원의 임의의 특정 부분이 아닌 전체로서 본 출원에서 참조되어야 한다. 문맥상 허용되는 경우, 단수 또는 복수를 사용한 전술한 설명의 단어는 또한 각각 복수 또는 단수를 포함할 수 있다. 둘 이상의 항목의 목록의 언급시 단어 "또는"은 단어의 이하의 해석 모두를 포함한다: 목록 내의 임의의 항목, 목록 내의 항목 모두 및 목록 내의 항목의 임의의 조합.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상기 상세한 설명은 모든 것을 망라하거나 상기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 및 예들이 예시의 목적을 위해 앞에서 설명되기는 하지만, 관련 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인식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등가의 수정들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프로세스들 또는 블록들이 주어진 순서로 제시되지만, 대안적인 실시예들은 상이한 순서로 단계들을 갖는 루틴들을 수행하거나, 또는 블록들을 갖는 시스템들을 채택할 수 있고, 일부 프로세스들 또는 블록들은 삭제, 이동, 부가, 세분화, 조합, 및/또는 수정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들 또는 블록들 각각은 다양하고 상이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스들 또는 블록들이 때때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보여지지만, 이러한 프로세스들 또는 블록들은 그 대신에 병행적으로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시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본 발명의 교시는 다른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지만, 반드시 상술한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앞에서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들의 요소들 및 작용들은 추가 실시예들을 제공하기 위해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예를 드는 방식으로 제시되었으며,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는 않는다. 실제로, 본원에서 설명된 신규한 방법 및 시스템은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 및 시스템의 형태의 다양한 생략, 치환 및 변경이 본 개시내용의 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첨부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은 본 개시내용의 범주 및 개념 내에 드는 것으로서 이런 형태 또는 변형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Claims (62)

  1. 수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수신 시스템의 입력과 상기 수신 시스템의 출력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의 경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어기;
    복수의 증폭기 - 상기 복수의 증폭기 중 각각의 하나의 증폭기는 상기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의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증폭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됨 -; 및
    상기 수신 시스템을 위해 구현된 제1 피처, 제2 피처, 제3 피처, 제4 피처, 제5 피처 및 제6 피처 중 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피처는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 중 각각의 하나의 대역통과 필터는 상기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의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대역통과 필터에서 수신된 신호를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해 필터링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증폭기 중 적어도 일부는 복수의 가변-이득 증폭기로서 구현되며, 상기 복수의 가변-이득 증폭기 중 각각의 하나의 가변-이득 증폭기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증폭기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이득으로 대응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피처는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 중 각각의 하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는 상기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의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통과하는 신호를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피처는 복수의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 중 각각의 하나의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는 상기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의 경로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경로 중 하나의 경로의 대역외 이득 또는 대역외 잡음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4 피처는 복수의 증폭기-후 대역통과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증폭기-후 대역통과 필터 중 각각의 하나의 증폭기-후 대역통과 필터는 상기 복수의 증폭기 중 대응하는 하나의 증폭기의 출력에서 상기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의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해 신호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5 피처는 하나 이상의 단극/단투 스위치를 갖는 스위칭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각각은 상기 복수의 경로 중 둘을 결합하고, 상기 스위칭 네트워크는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는 단일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단일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증폭기 중 하나를 인에이블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단극/단투 스위치 모두를 개방하도록 상기 스위칭 네트워크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는 다수의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다수의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증폭기 중 하나를 인에이블하고, 상기 다수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다수의 경로를 결합하도록 상기 스위칭 네트워크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6 피처는 입력 멀티플렉서 및 출력 멀티플렉서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멀티플렉서는 하나 이상의 입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입력 멀티플렉서 출력 중 하나 이상의 입력 멀티플렉서 출력에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 각각을 출력하여 상기 복수의 경로 중 각각의 하나 이상의 경로를 따라 전파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출력 멀티플렉서는 하나 이상의 각각의 출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상기 복수의 경로 중 각각의 하나 이상의 경로를 따라 전파하는 하나 이상의 증폭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증폭된 신호 각각을 복수의 출력 멀티플렉서 출력 중 선택된 출력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시스템은 상기 제1 피처 및 상기 제2 피처를 포함하는 수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시스템은 상기 제1 피처 및 상기 제3 피처를 포함하는 수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시스템은 상기 제1 피처 및 상기 제4 피처를 포함하는 수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시스템은 상기 제2 피처 및 상기 제3 피처를 포함하는 수신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시스템은 상기 제2 피처 및 상기 제4 피처를 포함하는 수신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시스템은 상기 제3 피처 및 상기 제4 피처를 포함하는 수신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시스템은 상기 제1 피처 및 상기 제5 피처를 포함하는 수신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시스템은 상기 제2 피처 및 상기 제5 피처를 포함하는 수신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시스템은 상기 제3 피처 및 상기 제5 피처를 포함하는 수신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시스템은 상기 제4 피처 및 상기 제5 피처를 포함하는 수신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시스템은 상기 제1 피처 및 상기 제6 피처를 포함하는 수신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시스템은 상기 제2 피처 및 상기 제6 피처를 포함하는 수신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시스템은 상기 제3 피처 및 상기 제6 피처를 포함하는 수신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시스템은 상기 제4 피처 및 상기 제6 피처를 포함하는 수신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시스템은 상기 제5 피처 및 상기 제6 피처를 포함하는 수신 시스템.
  17. 무선-주파수 모듈로서,
    복수의 컴포넌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패키징 기판; 및
    상기 패키징 기판 상에 구현된 수신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 시스템은 상기 수신 시스템의 입력과 상기 수신 시스템의 출력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시스템은 복수의 증폭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증폭기 중 각각의 하나의 증폭기는 상기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의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증폭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신 시스템은 상기 수신 시스템을 위해 구현된 제1 피처, 제2 피처, 제3 피처, 제4 피처, 제5 피처 및 제6 피처 중 둘 이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피처는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 중 각각의 하나의 대역통과 필터는 상기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의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대역통과 필터에서 수신된 신호를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해 필터링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증폭기 중 적어도 일부는 복수의 가변-이득 증폭기로서 구현되고, 상기 복수의 가변-이득 증폭기 중 각각의 하나의 가변-이득 증폭기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증폭기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된 이득으로 대응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피처는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 중 각각의 하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는 상기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의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통과하는 신호를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피처는 복수의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 중 각각의 하나의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는 상기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의 경로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경로 중 하나의 경로의 대역외 이득 또는 대역외 잡음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4 피처는 복수의 증폭기-후 대역통과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증폭기-후 대역통과 필터 중 각각의 하나의 증폭기-후 대역통과 필터는 상기 복수의 증폭기 중 대응하는 하나의 증폭기의 출력에서 상기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의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해 신호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5 피처는 하나 이상의 단극/단투 스위치를 갖는 스위칭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각각은 상기 복수의 경로 중 둘을 결합하고, 상기 스위칭 네트워크는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는 단일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단일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증폭기 중 하나를 인에이블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단극/단투 스위치 모두를 개방하도록 상기 스위칭 네트워크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는 다수의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다수의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증폭기 중 하나를 인에이블하고, 상기 다수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다수의 경로를 결합하도록 상기 스위칭 네트워크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6 피처는 입력 멀티플렉서 및 출력 멀티플렉서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멀티플렉서는 하나 이상의 입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입력 멀티플렉서 출력 중 하나 이상의 입력 멀티플렉서 출력에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 각각을 출력하여 상기 복수의 경로 중 각각의 하나 이상의 경로를 따라 전파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출력 멀티플렉서는 하나 이상의 각각의 출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상기 복수의 경로 중 각각의 하나 이상의 경로를 따라 전파하는 하나 이상의 증폭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증폭된 신호 각각을 복수의 출력 멀티플렉서 출력 중 선택된 출력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무선-주파수 모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모듈은 다이버시티 수신기 프론트-엔드 모듈인 무선-주파수 모듈.
  19. 무선 디바이스로서,
    안테나;
    상기 안테나와 통신하고, 패키징 기판 상에 구현된 수신 시스템을 포함하는 프론트-엔드 모듈 - 상기 수신 시스템은 상기 수신 시스템의 입력과 상기 수신 시스템의 출력 사이의 복수의 경로 중 하나 이상의 경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시스템은 복수의 증폭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증폭기 중 각각의 하나의 증폭기는 상기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의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증폭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신 시스템은 상기 수신 시스템을 위해 구현된 제1 피처, 제2 피처, 제3 피처, 제4 피처, 제5 피처 및 제6 피처 중 둘 이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피처는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대역통과 필터 중 각각의 하나의 대역통과 필터는 상기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의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대역통과 필터에서 수신된 신호를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해 필터링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증폭기 중 적어도 일부는 복수의 가변-이득 증폭기로서 구현되고, 상기 복수의 가변-이득 증폭기 중 각각의 하나의 가변-이득 증폭기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증폭기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된 이득으로 대응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피처는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 중 각각의 하나의 위상-이동 컴포넌트는 상기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의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위상-이동 컴포넌트를 통과하는 신호를 위상-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피처는 복수의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 중 각각의 하나의 임피던스 정합 컴포넌트는 상기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의 경로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경로 중 하나의 경로의 대역외 이득 또는 대역외 잡음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4 피처는 복수의 증폭기-후 대역통과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증폭기-후 대역통과 필터 중 각각의 하나의 증폭기-후 대역통과 필터는 상기 복수의 증폭기 중 대응하는 하나의 증폭기의 출력에서 상기 복수의 경로 중 대응하는 하나의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해 신호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5 피처는 하나 이상의 단극/단투 스위치를 갖는 스위칭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각각은 상기 복수의 경로 중 둘을 결합하고, 상기 스위칭 네트워크는 대역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는 단일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단일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증폭기 중 하나를 인에이블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단극/단투 스위치 모두를 개방하도록 상기 스위칭 네트워크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는 다수의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대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다수의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증폭기 중 하나를 인에이블하고, 상기 다수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다수의 경로를 결합하도록 상기 스위칭 네트워크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6 피처는 입력 멀티플렉서 및 출력 멀티플렉서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멀티플렉서는 하나 이상의 입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입력 멀티플렉서 출력 중 하나 이상의 입력 멀티플렉서 출력에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 각각을 출력하여 상기 복수의 경로 중 각각의 하나 이상의 경로를 따라 전파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출력 멀티플렉서는 하나 이상의 각각의 출력 멀티플렉서 입력에서 상기 복수의 경로 중 각각의 하나 이상의 경로를 따라 전파하는 하나 이상의 증폭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증폭된 신호 각각을 복수의 출력 멀티플렉서 출력 중 선택된 출력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됨 -; 및
    상기 수신 시스템으로부터 처리된 버전의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처리된 버전의 하나 이상의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비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셀룰러 전화인 무선 디바이스.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KR1020177014718A 2015-06-01 2016-04-26 다이버시티 수신기에 관련한 시스템,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5594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27,739 US9893752B2 (en) 2014-10-31 2015-06-01 Diversity receiver front end system with variable-gain amplifiers
US14/727,739 2015-06-01
US14/734,759 2015-06-09
US14/734,775 US9571037B2 (en) 2014-10-31 2015-06-09 Diversity receiver front end system with impedance matching components
US14/734,746 2015-06-09
US14/734,746 US9485001B2 (en) 2014-10-31 2015-06-09 Diversity receiver front end system with switching network
US14/734,759 US9385765B2 (en) 2014-10-31 2015-06-09 Diversity receiver front end system with phase-shifting components
US14/734,775 2015-06-09
US14/735,482 2015-06-10
US14/735,482 US10050694B2 (en) 2014-10-31 2015-06-10 Diversity receiver front end system with post-amplifier filters
US14/836,575 2015-08-26
US14/836,575 US9813137B2 (en) 2014-10-31 2015-08-26 Diversity receiver front end system with flexible routing
PCT/US2016/029297 WO2016195844A1 (en) 2015-06-01 2016-04-26 Systems, devices and methods related to diversity receiv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699A KR20180004699A (ko) 2018-01-12
KR102559431B1 true KR102559431B1 (ko) 2023-07-26

Family

ID=57441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4718A KR102559431B1 (ko) 2015-06-01 2016-04-26 다이버시티 수신기에 관련한 시스템, 디바이스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4) JP6640851B2 (ko)
KR (1) KR102559431B1 (ko)
CN (1) CN107113050B (ko)
DE (1) DE112016002453T5 (ko)
GB (1) GB2548043A (ko)
SG (1) SG11201703358VA (ko)
WO (1) WO20161958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29790B2 (ja) 2017-03-14 2020-07-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モジュール
CN111684727B (zh) * 2018-02-05 2022-08-09 株式会社村田制作所 高频前端模块以及通信装置
KR101984107B1 (ko) * 2018-03-26 2019-05-30 국방과학연구소 위성 항법 신호 중계 장치 및 중계 방법
JP2021161962A (ja) 2020-03-31 2021-10-11 三菱パワー株式会社 蒸気タービン及び翼
CN114285422B (zh) * 2020-09-27 2023-08-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射频drx器件、射频系统和通信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8221A (ja) * 2002-12-26 2004-07-22 Toshiba Corp 高周波帯フィルタ装置及び携帯型情報端末
JP2009218649A (ja) * 2008-03-07 2009-09-24 Tdk Corp 高周波電子部品
JP2012109972A (ja) * 2010-11-16 2012-06-07 Audio-Technica Us Inc 高密度無線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347A (ja) * 1992-07-09 1994-02-04 Sumitomo Chem Co Ltd 自動車用tvアンテナ装置
JP2003133982A (ja) * 2001-10-24 2003-05-09 Fujitsu Ten Ltd 複数周波数帯域用アンテナシステム
JP3891096B2 (ja) 2001-12-28 2007-03-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信号受信回路およびそれを備えた通信機
KR20040100056A (ko) * 2003-05-21 2004-12-02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주파수 도약 방식에 적합한 무선 수신 장치의 초단 증폭기
KR100969139B1 (ko) * 2003-09-01 2010-07-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밴드 듀플렉서 회로
JP4347072B2 (ja) * 2004-01-23 2009-10-21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マルチモード型無線通信回路および無線端末装置
KR100643461B1 (ko) * 2005-09-12 2006-11-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프론트앤드모듈의 기판 구조
US9450665B2 (en) * 2005-10-19 2016-09-20 Qualcomm Incorporated Diversity receiv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JP4996406B2 (ja) * 2007-09-25 2012-08-08 株式会社東芝 増幅器、無線送信装置および無線受信装置
KR20090005039U (ko) * 2007-11-22 2009-05-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신호 처리 장치
US7929938B2 (en) * 2008-03-19 2011-04-19 Skyworks Solutions, Inc. DC-compensated IP2 calibration for WCDMA receiver
US8260347B2 (en) 2008-05-20 2012-09-04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WO2010023783A1 (ja) * 2008-08-28 2010-03-04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装置の構成方法
US20100118924A1 (en) * 2008-11-11 2010-05-13 Debajyoti Pal Programmable wide band digital receiver/transmitter
US8175541B2 (en) * 2009-02-06 2012-05-08 Rfaxis, Inc. Radio frequency transceiver front end circuit
US20130043946A1 (en) * 2011-08-16 2013-02-21 Qualcomm Incorporated Low noise amplifiers with combined outputs
US9240811B2 (en) * 2012-10-23 2016-01-19 Intel Deutschland Gmbh Switched duplexer front end
JP6029728B2 (ja) * 2014-10-31 2016-11-24 スカイワークス ソリューション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Skyworks Solutions,Inc. 位相シフト部品を備えたダイバーシティ受信器フロントエンド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8221A (ja) * 2002-12-26 2004-07-22 Toshiba Corp 高周波帯フィルタ装置及び携帯型情報端末
JP2009218649A (ja) * 2008-03-07 2009-09-24 Tdk Corp 高周波電子部品
JP2012109972A (ja) * 2010-11-16 2012-06-07 Audio-Technica Us Inc 高密度無線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95844A1 (en) 2016-12-08
CN107113050A (zh) 2017-08-29
JP7042949B2 (ja) 2022-03-28
CN107113050B (zh) 2021-06-29
JP6640851B2 (ja) 2020-02-05
GB2548043A (en) 2017-09-06
JP7387786B2 (ja) 2023-11-28
GB201708567D0 (en) 2017-07-12
SG11201703358VA (en) 2017-05-30
DE112016002453T5 (de) 2018-03-01
JP2018520523A (ja) 2018-07-26
JP2020065282A (ja) 2020-04-23
JP2021145375A (ja) 2021-09-24
KR20180004699A (ko) 2018-01-12
JP2022091823A (ja)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0114B2 (ja) 可変利得増幅器を備えたダイバーシティ受信器フロントエンドシステム
JP6470373B2 (ja) インピーダンス整合部品を備えたダイバーシティ受信器フロントエンドシステム
US9813137B2 (en) Diversity receiver front end system with flexible routing
US9825660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related to diversity receivers
KR102559431B1 (ko) 다이버시티 수신기에 관련한 시스템, 디바이스 및 방법
JP6181731B2 (ja) スイッチングネットワークを備えたダイバーシティ受信器フロントエンドシステム
KR102246674B1 (ko) 후치-증폭기 필터들을 갖는 다이버시티 수신기 프론트 엔드 시스템
KR101767321B1 (ko) 유연한 대역 라우팅을 갖는 다이버시티 수신기 프론트 엔드 시스템
GB2562823A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related to diversity receivers
GB2536088B (en) A receiving system
GB2536085B (en) A receiving system
TW201711377A (zh) 關於分集接收器的系統、裝置及方法
GB2536089A (en) Diversity receiver front end system with flexible band rou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