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335B1 - 비대칭 듀얼 팬 슈라우드 - Google Patents

비대칭 듀얼 팬 슈라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335B1
KR102559335B1 KR1020190006146A KR20190006146A KR102559335B1 KR 102559335 B1 KR102559335 B1 KR 102559335B1 KR 1020190006146 A KR1020190006146 A KR 1020190006146A KR 20190006146 A KR20190006146 A KR 20190006146A KR 102559335 B1 KR102559335 B1 KR 102559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roud
fan
pwm unit
pwm
ai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9440A (ko
Inventor
조준우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6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335B1/ko
Publication of KR20200089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3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10Guiding or ducting cooling-air, to, or from, liquid-to-air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4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by varying driving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41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F01P2005/025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using two or more air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기가 다른 두 개의 팬이 팬 슈라우드 상에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공진을 방지하고, 작은 사이즈의 팬이 장착되는 슈라우드 영역에 두 개의 PWM부가 위치함으로써 한정된 슈라우드의 크기 내에서 PWM부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고, 팬 사이즈 및 배치 위치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비대칭 듀얼 팬 슈라우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 듀얼 팬 슈라우드는, 제1송풍구가 형성되는 제1슈라우드, 제2송풍구가 형성되는 제2슈라우드, 상기 제1슈라우드 하면에 장착되는 제1팬, 상기 제1팬보다 크기가 작고, 상기 제2슈라우드 하면에 장착되는 제2팬, 상기 제1팬에 연결되어 상기 제1팬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PWM부 및 상기 제2팬에 연결되어 상기 제2팬을 회전시키는 제2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PWM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PWM부 및 상기 제2PWM부가 상기 제2슈라우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대칭 듀얼 팬 슈라우드{Asymmetric dual fan shroud}
본 발명은 비대칭 듀얼 팬 슈라우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팬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의 제어를 담당하는 PWM부 설치 위치를 지정하여, 슈라우드에 설치되는 팬의 크기 및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팬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바람에 의해 PWM부를 고르게 냉각시킬 수 있고, 듀얼 팬 회전 시에도 슈라우드의 강성이 유지될 수 있는 비대칭 듀얼 팬 슈라우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룸에는 차량용 열교환기를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 팬 조립체가 사용되며, 이러한 냉각 팬 조립체는 크게 팬과 슈라우드와 모터 및 조립부품으로 구성된다. 팬은 모터로부터 회전력들 전달받아 냉각풍을 발생시키는 작용을 하며, 팬 슈라우드는 냉각 팬에 의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효율적으로 라디에이터 코어에 보냄과 동시에 팬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PWM부는 슈라우드에 장착되어,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차량용 열교환기의 냉각 성능을 높이기 위해, 하나의 슈라우드에 두 개의 팬이 장착되는 듀얼팬 구조의 팬 슈라우드가 차량에 적용되고 있으며, 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0503호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의 두 개의 팬이 적용되는 팬 슈라우드 구조는 자동차용 열교환기(R)로부터 방열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팬(10)과, 상기 팬(10)을 구동시키는 팬 모터(20)와, 상기 팬 모터(20)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팬(10)에 의해 배출된 공기가 유통되는 공기유로(31)가 구비된 슈라우드(30)와, 상기 슈라우드(30)에 고정되며 상기 팬 모터(20)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스위칭소자(41)가 구비된 팬 제어기(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두 개의 팬이 장착되는 팬 슈라우드의 경우, 두 개의 팬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진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 팬의 작동주파수를 일정 Hz이상 이격시켜야 하므로 서로 다른 RPM을 갖는 서로 다른 사이즈의 팬을 사용해야 하며, 두 개의 팬을 작동시키기 위한 두 개의 PWM부가 슈라우드 상에 장착되어야 하므로, 이를 위한 공간 확보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0503호 (공개일자 2010.11.1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크기가 다른 두 개의 팬이 팬 슈라우드 상에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공진을 방지하고, 작은 사이즈의 팬이 장착되는 슈라우드 영역에 두 개의 PWM부가 위치함으로써 한정된 슈라우드의 크기 내에서 PWM부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고, 팬 사이즈 및 배치 위치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비대칭 듀얼 팬 슈라우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 듀얼 팬 슈라우드는, 제1송풍구가 형성되는 제1슈라우드, 제2송풍구가 형성되는 제2슈라우드, 상기 제1슈라우드 하면에 장착되는 제1팬, 상기 제1팬보다 크기가 작고, 상기 제2슈라우드 하면에 장착되는 제2팬, 상기 제1팬에 연결되어 상기 제1팬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PWM부 및 상기 제2팬에 연결되어 상기 제2팬을 회전시키는 제2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PWM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PWM부 및 상기 제2PWM부가 상기 제2슈라우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제1PWM부 및 상기 제2PWM부는 상기 제2슈라우드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1PWM부 및 상기 제2PWM부는 상기 제2팬의 중심이 상기 제2슈라우드의 중심에서 편심되어 설치됨으로써 형성되는 상기 제2팬이 편심된 방향과 반대 방향의 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1PWM부는 상기 제1팬에 편향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2슈라우드는 상기 제1PWM부가 안착되는 위치의 하면이 상기 제2슈라우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PWM 설치부 및 상기 제2PWM부가 안착되는 위치의 하면이 상기 제2슈라우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PWM 설치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1PWM 설치부는 평면을 이루고, 상기 제1PWM부가 안착되는 제1평면부 및 상기 제1PWM 설치부의 돌출 길이를 이루는 제1둘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PWM 설치부는 평면을 이루고, 상기 제2PWM부가 안착되는 제2평면부 및 상기 제2PWM 설치부의 돌출 길이를 이루는 제2둘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1둘레부는 상기 제2슈라우드에서 상기 제1평면부로 갈수록 기울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둘레부는 상기 제2슈라우드에서 상기 제2평면부로 갈수록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1평면부는 상기 제1PWM부가 설치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1PWM부를 상기 제2슈라우드 후면의 냉각공기와 접촉시키는 제1관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평면부는 상기 제2PWM부가 설치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2PWM부를 상기 제2슈라우드 후면의 냉각공기와 접촉시키는 제2관통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1관통부는 상기 제1PWM부가 설치되는 면적에 대응되어 분포되는 다수개의 관통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관통부는 상기 제2PWM부가 설치되는 면적에 대응되어 분포되는 다수개의 관통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1슈라우드와 상기 제2슈라우드가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1슈라우드 및 상기 제2슈라우드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송풍구와 상기 제2송풍구를 가로지르는 지점에 일정 두께와 높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강성 립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강성 립부는 상기 제1팬에서 발생하는 바람이 상기 제2슈라우드의 하면에 전달되도록, 상기 강성 립부 일측의 높이가 주변보다 낮게 이루어져 형성되는 바람 유도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강성 립부는 상기 제1팬에서 발생하는 바람이 상기 제2슈라우드의 하면에 전달되도록, 상기 강성 립부 일측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 유도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강성 립부는 상기 제1팬에서 발생하는 바람이 상기 제2슈라우드의 하면에 전달되도록, 상기 강성 립부 일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개의 타공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강성 립부는 상기 강성 립부의 측면과 상기 제1슈라우드 및 상기 제2슈라우드의 하면을 연결하여 상기 강성 립부를 지지하는 보조 립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 듀얼 팬 슈라우드는 크기가 다른 두 개의 팬이 팬 슈라우드 상에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공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은 사이즈의 팬이 장착되는 영역에 두 개의 PWM부가 위치함으로써 한정된 슈라우드 설치 영역 내에서 PWM부의 설치 공간을 확보 할 수 있으며, 팬 사이즈 및 배치 위치를 용이하게 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팬 슈라우드 구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비대칭 듀얼 팬 슈라우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비대칭 듀얼 팬 슈라우드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대칭 듀얼 팬 슈라우드(100)는, 제1송풍구(210)가 형성되는 제1슈라우드(200), 제2송풍구(310)가 형성되는 제2슈라우드(300), 상기 제1슈라우드(200) 하면에 장착되는 제1팬(220), 상기 제1팬(220)보다 크기가 작고, 상기 제2슈라우드(300) 하면에 장착되는 제2팬(320), 상기 제1팬(220)에 연결되어 상기 제1팬(220)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2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PWM부(240) 및 상기 제2팬(320)에 연결되어 상기 제2팬(320)을 회전시키는 제2구동모터(3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PWM부(3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PWM부(240) 및 상기 제2PWM부(340)가 상기 제2슈라우드(30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송풍구(210)는 상기 제1팬(220)에 의해 차량 엔진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1슈라우드(200)의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1팬(220)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관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팬(220)은 다수개의 블레이드가 상기 제1팬(220)의 중심인 제1허브(221)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허브(221)에 탑재되는 제1구동모터(230)에 의해 회전하며 바람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제1송풍구(210)가 형성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허브(221)는 상기 제1 슈라우드에 형성되는 제1스테이터(250)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1팬(220)이 상기 제1슈라우드(200)에 장착된다.
상기 제1PWM부(240)는 상기 제1팬(220)의 회전을 제어하는 상기 제1구동모터(230)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와이어(120)를 통해 상기 제1허브(221)에 탑재되는 상기 제1구동모터(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송풍구(310)는 상기 제2팬(320)에 의해 차량 엔진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2슈라우드(300)의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2팬(320)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관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팬(320)은 다수개의 블레이드가 상기 제2팬(320)의 중심인 제2허브(321)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허브(321)에 탑재되는 제2구동모터(330)에 의해 회전하며 바람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제2송풍구(310)가 형성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2허브(321)는 상기 제2슈라우드(300)에 형성되는 제2스테이터(350)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2팬(320)이 상기 제2슈라우드(300)에 장착된다.
상기 제2PWM부(340)는 상기 제2팬(320)의 회전을 제어하는 상기 제2구동모터(330)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와이어(120)를 통해 상기 제2허브(321)에 탑재되는 상기 제2구동모터(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2팬(320)은 상기 제1팬(220)보다 크기가 더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상기 제2송풍구(310)도 상기 제1송풍구(210)보다 크기가 더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슈라우드(200)와 상기 제2슈라우드(30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은 한정적인데, 상기 제1송풍구(210)의 크기가 상기 제2송풍구(31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면, 슈라우드에서 송풍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더 적은 상기 제2슈라우드(300)에 PWM부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인 플래넘부(110)가 더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제1PWM부(240) 및 상기 제2PWM부(340)는 상기 제2슈라우드(300)에 형성되는 상기 플래넘부(110)에 설치되어, 상기 제1팬(220)의 설치 위치 및 크기와 상기 제1송풍구(210)의 배치 위치 및 크기를 더 자유롭게 설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PWM부(240) 및 상기 제2PWM부(340)는 상기 제2슈라우드(30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제2슈라우드(300)의 상면은 상기 제2팬(320)이 설치되는 면의 반대면을 의미하고, 상기 제2슈라우드(300)의 일측은 상기 제2슈라우드(300) 상에 형성되는 상기 플래넘부(110) 중에서 더 넓은 면적을 가지는 위치를 의미한다.
이 때, 상기 제1PWM부(240)와 상기 제2PWM부(340)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PWM부(240) 및 상기 제2PWM부(340)는 상기 제2팬(320)의 중심이 상기 제2슈라우드(300)의 중심에서 편심되어 설치됨으로써 형성되는 상기 제2팬(320)이 편심된 방향과 반대 방향의 공간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상기 제2팬(320)이 편심된 방향과 반대 방향의 공간은 상기 제2팬(320)의 편심으로 인하여 상기 제2슈라우드(300) 상에 형성되는 상기 플래넘부(110) 중에서 더 넓은 면적을 가지는 위치를 의미한다.
이 때, 상기 제1PWM부(240)와 상기 제2PWM부(340)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PWM부(240)는 상기 제1팬(220)에 편향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PWM부(240)가 상기 제1팬(220)에 편향되어 설치되면, 상기 제1팬(220)과 상기 제1구동모터(2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120)의 길이가 짧아져 설치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이 때, 상기 제2PWM부(340)는 상기 제2팬(320)에 편향되어 설치되어, 상기 제2팬(320)과 상기 제2구동모터(3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120)의 길이가 최소화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제1PWM부(240)와 상기 제2PWM부(340)의 설치 위치가 분산되면, 상기 제1PWM부(240)와 상기 제2PWM부(340)의 하중으로 인하여 상기 제2슈라우드(300)에 가해지는 응력이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슈라우드(300)는 상기 제1PWM부(240)가 안착되는 위치의 하면이 상기 제2슈라우드(300)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PWM 설치부(360) 및 상기 제2PWM부(340)가 안착되는 위치의 하면이 상기 제2슈라우드(300)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PWM 설치부(3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PWM 설치부(360) 및 상기 제2PWM 설치부(370)는 상기 제2슈라우드(300)의 하면이 상기 제2슈라우드(300)의 상부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슈라우드(300)의 두께보다 더 얇게 형성되어, 상기 제1PWM부(240)에서 발생하는 열을 보다 빠르게 외부로 방출 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제1PWM부(240)의 냉각 효과를 높인다.
또한, 상기 제1PWM 설치부(360) 및 상기 제2PWM 설치부(370)는 상기 제1PWM부(240)와 상기 제2PWM부(340)가 설치되는 위치의 상기 제2슈라우드(300)의 두께를 감소시켜, 상기 제2슈라우드(300)의 무게를 줄이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제1팬(220) 및 상기 제2팬(320)에서 발생하는 바람을 수용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여, 상기 제1PWM부(240) 및 상기 제2PWM부(340)를 냉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 때, 상기 제1PWM 설치부(360)는 평면을 이루고, 상기 제1PWM부(240)가 안착되는 제1평면부(361) 및 상기 제1PWM 설치부(360)의 돌출 길이를 이루는 제1둘레부(362)를 포함하고, 상기 제2PWM 설치부(370)는, 평면을 이루고, 상기 제2PWM부(340)가 안착되는 제2평면부(371) 및 상기 제2PWM 설치부(370)의 돌출 길이를 이루는 제2둘레부(37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둘레부(362)는 상기 제2슈라우드(300)에서 상기 제1평면부(361)로 갈수록 기울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둘레부(372)는 상기 제2슈라우드(300)에서 상기 제2평면부(371)로 갈수록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평면부(361) 및 상기 제2평면부(371)는 상기 제2슈라우드(300) 하면의 냉각공기가 상기 제1PWM부(240) 및 상기 제2PWM부(340)에 면 접촉을 통해 간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1PWM부(240) 및 상기 제2PWM부(340)를 냉각시키는 구성이며, 상기 제1둘레부(362) 및 상기 제2둘레부(363)는 상기 제2슈라우드(300) 하면의 냉각공기가 상기 제1둘레부(362) 및 상기 제2둘레부(363)의 기울어진 형상을 따라 상기 제1평면부(361) 및 상기 제2평면부(371)를 향하여 전달되도록 유도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제1평면부(361)는 상기 제1PWM부(240)가 설치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1PWM부(240)를 상기 제2슈라우드(300) 후면의 냉각공기와 접촉시키는 제1관통부(363)를 포함하고, 상기 제2평면부(371)는 상기 제2PWM부(340)가 설치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2PWM부(340)를 상기 제2슈라우드(300) 후면의 냉각공기와 접촉시키는 제2관통부(37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부(363)은 상기 제1PWM부(24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배출시키고, 공기를 순환 시키며, 상기 제2슈라우드(300) 하면의 냉각공기와 상기 제1PWM부(240)의 하면을 접촉시켜 상기 제1PWM부(240)의 냉각 효과를 높인다.
또한, 상기 제1관통부(363)은 상기 제1팬(220) 또는 상기 제2팬(320)에서 발생한 바람이 상기 제1관통부(363)을 통해 상기 제1PWM부(240)에 도달 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1PWM부(240)에서 발생한 열과 상기 제1PWM부(240)의 주변 열이 상기 제1팬(220) 또는 상기 제2팬(320)에서 발생하여 전달된 바람에 의해 냉각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관통부(373)은 상기 제1PWM부(34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배출시키고, 공기를 순환 시키며, 상기 제2슈라우드(300) 하면의 냉각공기와 상기 제2PWM부(340)의 하면을 접촉시켜 상기 제2PWM부(340)의 냉각 효과를 높인다.
또한, 상기 제2관통부(373)은 상기 제1팬(220) 또는 상기 제2팬(320)에서 발생한 바람이 상기 제2관통부(373)을 통해 상기 제2PWM부(340)에 도달 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2PWM부(340)에서 발생한 열과 상기 제2PWM부(340)의 주변 열이 상기 제1팬(220) 또는 상기 제2팬(320)에서 발생하여 전달된 바람에 의해 냉각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시화 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관통부(363)은 상기 제1PWM부(240)의 둘레를 지지하는 부위를 제외한 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부(373)은 상기 제2PWM부(340)의 둘레를 지지하는 부위를 제외한 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상기 제1PWM부(240) 및 상기 제2PWM부(340)의 방열 및 냉각 면적인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관통부(363)은 상기 제1PWM부(240)가 설치되는 면적에 대응되어 분포되는 다수개의 관통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관통부(373)은 상기 제2PWM부(340)가 설치되는 면적에 대응되어 분포되는 다수개의 관통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부(363) 및 상기 제2관통부(373)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홀은 일정 길이를 가지는 형상으로 도시화 되었지만, 관통된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다수개가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상기 제1팬(220) 및 상기 제2팬(320)에서 발생하는 바람의 가이드역할이 가능하며, 상기 제1PWM 설치부(360) 및 상기 제2PWM 설치부(370)의 강성을 유지하며, 상기 제1팬(220) 및 상기 제2팬(320)에서 발생하는 바람의 속도를 높여 상기 제1PWM부(240) 및 상기 제2PWM부(340)에 전달 할 수 있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대칭 듀얼 팬 슈라우드(100)는 상기 제1슈라우드(200)와 상기 제2슈라우드(300)가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슈라우드(200)와 상기 제2슈라우드(30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면, 상기 제1PWM부(240)와 상기 제1구동모터(230)를 연결하는 와이어(120)의 길이가 짧아져, 설치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제1팬(220)과 상기 제2팬(320)에 의해 발생하는 바람이 상기 제1송풍구(210)와 상기 제2송풍구(310)를 통해서 일정한 방향으로 송풍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슈라우드(200)와 상기 제2슈라우드(300)를 동시에 차량의 엔진룸에 설치할 수 있어, 설치 시간이 짧아지며, 유지 및 보수를 위한 시간 또한 단축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강성이 보강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슈라우드(200)와 상기 제2슈라우드(30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때, 본 발명의 상기 비대칭 듀얼 팬 슈라우드(100)는 상기 제1슈라우드(200) 및 상기 제2슈라우드(300)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송풍구(210)와 상기 제2송풍구(310)를 가로지르는 지점에 일정 두께와 높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강성 립부(4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강성 립부(400)는 상기 제1송풍구(210)와 상기 제2송풍구(310)를 가로지르는 지점 중, 상기 제1슈라우드(200)와 상기 제2슈라우드(30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있는 상태에서의 무게중심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강성 립부(400)는 상기 제1슈라우드(200)와 상기 제2슈라우드(300)가 일체화된 상태에서 상기 제1슈라우드(200)와 상기 제2슈라우드(300)가 일체화된 지점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연속해서 형성되어, 일체화된 상기 제1슈라우드(200)와 상기 제2슈라우드(300)의 강도를 보강하는 구성으로, 일정 두께와 높이를 가지는 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슈라우드(200)와 상기 제2슈라우드(300)가 일체화된 지점 하면이 일정 두께와 높이를 가지고 연장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강성 립부(400)는 상기 제1팬(220)에서 발생하는 바람이 상기 제2슈라우드(300)의 하면에 전달되도록, 상기 강성 립부(400) 일측의 높이가 주변보다 낮게 이루어져 형성되는 바람 유도부(4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바람 유도부(410)는 상기 제1PWM부(240)와 상기 제2PWM부(340)가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제2PWM부(340)의 설치 위치와 근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람 유도부(410)는, 상기 강성 립부(400)가 상기 제1슈라우드(200) 및 상기 제2슈라우드(300)의 강성을 보강하는 동시에, 상기 제1팬(220)에서 발생하는 바람이 상기 제2슈라우드(300)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1PWM부(240) 및 상기 제2PWM부(340)를 냉각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 제1팬(220)과 상기 제2팬(320)은 요구 풍량에 따라 동시 작동하지 않고, 사이즈가 더 큰 상기 제1팬(220)만 작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강성 립부(400)로 인하여 상기 제1팬(220)의 바람이 상기 제2슈라우드(300)측에 설치된 상기 제1PWM부(240)로 전달되기 어렵게 되므로, 상기 제1PWM부(240)를 냉각할 수 없게 되어, 내구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람 유도부(410)를 통해 상기 제1팬(220)에서 발생하는 바람을 상기 제1PWM부(240)로 전달하여 상기 제1PWM부(240)를 냉각한다.
상기 제1팬(220) 및 상기 제2팬(320)은 둘레부분으로 갈수록 바람이 퍼지는 경향이 있어, 상기 바람 유도부(410)만으로도 상기 제1팬(220)의 바람이 상기 제1PWM부(24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강성 립부(400)는 상기 제1팬(220)에서 발생하는 바람이 상기 제2슈라우드(300)의 하면에 전달되도록, 상기 강성 립부(400) 일측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 유도홀(42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관통 유도홀(420)은 상기 제1PWM부(240)와 상기 제2PWM부(340)가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제2PWM부(340)의 설치 위치와 근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 유도홀(420)은, 상기 강성 립부(400)가 상기 제1슈라우드(200) 및 상기 제2슈라우드(300)의 강성을 보강하는 동시에, 상기 제1팬(220)에서 발생하는 바람이 상기 제2슈라우드(300) 방향으로 전달되어 상기 제1PWM부(240) 및 상기 제2PWM부(340)를 냉각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 관통 유도홀(420)은 제1팬(220)에 의해 발생한 바람이 상기 제2슈라우드(300)로 전달되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며, 상기 제1팬(220)에 의해 발생한 바람은 상기 관통홀을 지나며 더 빠른 속도로 상기 제2슈라우드(300)로 전달될 수 있어, 상기 제1PWM부(240)의 냉각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제1팬(220)과 상기 제2팬(320)은 요구 풍량에 따라 동시 작동하지 않고, 사이즈가 더 큰 상기 제1팬(220)만 작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강성 립부(400)로 인하여 상기 제1팬(220)의 바람이 상기 제2슈라우드(300)측에 설치된 상기 제1PWM부(240)로 전달되기 어렵게 되므로, 상기 제1PWM부(240)를 냉각할 수 없게 되어, 내구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통 유도홀(420)을 통해 상기 제1팬(220)에서 발생하는 바람을 상기 제1PWM부(240)로 전달하여 상기 제1PWM부(240)를 냉각한다.
상기 제1팬(220) 및 상기 제2팬(320)은 둘레부분으로 갈수록 바람이 퍼지는 경향이 있어, 상상기 관통 유도홀(420)만으로도 상기 제1팬(220)의 바람이 상기 제1PWM부(24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강성 립부(400)는 상기 제1팬(220)에서 발생하는 바람이 상기 제2슈라우드(300)의 하면에 전달되도록, 상기 강성 립부(400) 일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개의 타공홀(43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타공홀(430)은 상기 제1PWM부(240)와 상기 제2PWM부(340)가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되게 분포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제2PWM부(340)의 설치 위치와 근접하게 분포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개의 타공홀(430)은 상기 강성 립부(400)가 상기 제1슈라우드(200) 및 상기 제2슈라우드(300)의 강성을 보강하는 동시에, 상기 제1팬(220)에서 발생하는 바람이 상기 제2슈라우드(300) 방향으로 전달되어 상기 제1PWM부(240) 및 상기 제2PWM부(340)를 냉각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 다수개의 타공홀(430)은 제1팬(220)에 의해 발생한 바람이 상기 제2슈라우드(300)로 전달되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며, 상기 제1팬(220)에 의해 발생한 바람은 상기 다수개의 타공홀(430)을 지나며 더 빠른 속도로 상기 제2슈라우드(300)로 전달될 수 있어, 상기 제1PWM부(240)의 냉각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제1팬(220)과 상기 제2팬(320)은 요구 풍량에 따라 동시 작동하지 않고, 사이즈가 더 큰 상기 제1팬(220)만 작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강성 립부(400)로 인하여 상기 제1팬(220)의 바람이 상기 제2슈라우드(300)측에 설치된 상기 제1PWM부(240)로 전달되기 어렵게 되므로, 상기 제1PWM부(240)를 냉각할 수 없게 되어, 내구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개의 타공홀(430)을 통해 상기 제1팬(220)에서 발생하는 바람을 상기 제1PWM부(240)로 전달하여 상기 제1PWM부(240)를 냉각한다.
상기 제1팬(220) 및 상기 제2팬(320)은 둘레부분으로 갈수록 바람이 퍼지는 경향이 있어, 상기 다수개의 타공홀(430)만으로도 상기 제1팬(220)의 바람이 상기 제1PWM부(24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강성 립부(400)는 상기 강성 립부(400)의 측면과 상기 제1슈라우드(200) 및 상기 제2슈라우드(300)의 하면을 연결하여 상기 강성 립부(400)를 지지하는 보조 립부(44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립부(440)는 일정 두께와 길이를 같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강성 립부(400)의 양 측면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슈라우드(200) 및 상기 제2슈라우드(300)의 하면에 연결되어 상기 강성 립부(40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강성 립부(400)의 강성을 보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립부(440)는 상기 강성 립부(400) 상에 상기 바람 유도부(410) 또는 상기 관통 유도홀(420) 또는 상기 다수개의 타공홀(430)이 형성될 시, 상기 보조 립부(440)의 일측은 상기 제1팬(220)에서 발생한 바람이 상기 제2슈라우드(300)로 전달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의 상기 강성 립부(400)의 측면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조 립부(440)는 도 7에 도시화 된 것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 립부(440)는 상기 바람 유도부(410) 또는 상기 관통 유도홀(420) 또는 상기 다수개의 타공홀(430)이 형성될 시, 그 형성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람 유도부(410) 또는 상기 관통 유도홀(420) 또는 상기 다수개의 타공홀(430)이 형성되지 않은 지점에도 형성되어 상기 강성 립부(400)의 강성을 보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비대칭 듀얼 팬 슈라우드 110 : 플래넘부
120 : 와이어
200 : 제1슈라우드 210 : 제1송풍구
220 : 제1팬 221 : 제1허브
230 : 제1구동모터 240 : 제1PWM부
250 : 제1스테이터
300 : 제2슈라우드 310 : 제2송풍구
320 : 제2팬 321 : 제2허브
330 : 제2구동모터 340 : 제2PWM부
350 : 제2스테이터 360 : 제1PWM 설치부
361 : 제1평면부 362 : 제1둘레부
363 : 제1관통부
370 : 제2PWM 설치부 371 : 제2평면부
372 : 제2둘레부 373 : 제2관통부
400 : 강성 립부 410 : 바람 유도부
420 : 관통 유도홀 430 : 다수개의 타공홀
440 : 보조 립부

Claims (15)

  1. 제1송풍구가 형성되는 제1슈라우드;
    제2송풍구가 형성되는 제2슈라우드;
    상기 제1슈라우드 하면에 장착되는 제1팬;
    상기 제1팬보다 크기가 작고, 상기 제2슈라우드 하면에 장착되는 제2팬;
    상기 제1팬에 연결되어 상기 제1팬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PWM부; 및
    상기 제2팬에 연결되어 상기 제2팬을 회전시키는 제2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PWM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PWM부 및 상기 제2PWM부가 상기 제2슈라우드에 설치되되,
    상기 제2슈라우드는,
    상기 제1PWM부가 안착되는 위치의 하면이 상기 제2슈라우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PWM 설치부; 및
    상기 제2PWM부가 안착되는 위치의 하면이 상기 제2슈라우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PWM 설치부를 더 포함하는, 비대칭 듀얼 팬 슈라우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PWM부 및 상기 제2PWM부는 상기 제2슈라우드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 듀얼 팬 슈라우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PWM부 및 상기 제2PWM부는,
    상기 제2팬의 중심이 상기 제2슈라우드의 중심에서 편심되어 설치됨으로써 형성되는 상기 제2팬이 편심된 방향과 반대 방향의 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 듀얼 팬 슈라우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PWM부는 상기 제1팬에 편향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 듀얼 팬 슈라우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PWM 설치부는,
    평면을 이루고, 상기 제1PWM부가 안착되는 제1평면부; 및
    상기 제1PWM 설치부의 돌출 길이를 이루는 제1둘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PWM 설치부는,
    평면을 이루고, 상기 제2PWM부가 안착되는 제2평면부; 및
    상기 제2PWM 설치부의 돌출 길이를 이루는 제2둘레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 듀얼 팬 슈라우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둘레부는,
    상기 제2슈라우드에서 상기 제1평면부로 갈수록 기울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둘레부는,
    상기 제2슈라우드에서 상기 제2평면부로 갈수록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 듀얼 팬 슈라우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평면부는,
    상기 제1PWM부가 설치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1PWM부를 상기 제2슈라우드 후면의 냉각공기와 접촉시키는 제1관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평면부는,
    상기 제2PWM부가 설치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2PWM부를 상기 제2슈라우드 후면의 냉각공기와 접촉시키는 제2관통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 듀얼 팬 슈라우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부는,
    상기 제1PWM부가 설치되는 면적에 대응되어 분포되는 다수개의 관통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관통부는,
    상기 제2PWM부가 설치되는 면적에 대응되어 분포되는 다수개의 관통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 듀얼 팬 슈라우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슈라우드와 상기 제2슈라우드가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 듀얼 팬 슈라우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슈라우드 및 상기 제2슈라우드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송풍구와 상기 제2송풍구를 가로지르는 지점에 일정 두께와 높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강성 립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 듀얼 팬 슈라우드.
  12. 제1송풍구가 형성되는 제1슈라우드;
    제2송풍구가 형성되는 제2슈라우드;
    상기 제1슈라우드 하면에 장착되는 제1팬;
    상기 제1팬보다 크기가 작고, 상기 제2슈라우드 하면에 장착되는 제2팬;
    상기 제1팬에 연결되어 상기 제1팬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PWM부; 및
    상기 제2팬에 연결되어 상기 제2팬을 회전시키는 제2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PWM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PWM부 및 상기 제2PWM부가 상기 제2슈라우드에 설치되되,
    상기 제1슈라우드 및 상기 제2슈라우드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송풍구와 상기 제2송풍구를 가로지르는 지점에 일정 두께와 높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강성 립부; 및
    상기 제1팬에서 발생하는 바람이 상기 제2슈라우드의 하면에 전달되도록, 상기 강성 립부 일측의 높이가 주변보다 낮게 이루어져 형성되는 바람 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비대칭 듀얼 팬 슈라우드.
  13. 제1송풍구가 형성되는 제1슈라우드;
    제2송풍구가 형성되는 제2슈라우드;
    상기 제1슈라우드 하면에 장착되는 제1팬;
    상기 제1팬보다 크기가 작고, 상기 제2슈라우드 하면에 장착되는 제2팬;
    상기 제1팬에 연결되어 상기 제1팬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PWM부; 및
    상기 제2팬에 연결되어 상기 제2팬을 회전시키는 제2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PWM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PWM부 및 상기 제2PWM부가 상기 제2슈라우드에 설치되되,
    상기 제1슈라우드 및 상기 제2슈라우드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송풍구와 상기 제2송풍구를 가로지르는 지점에 일정 두께와 높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강성 립부; 및
    상기 제1팬에서 발생하는 바람이 상기 제2슈라우드의 하면에 전달되도록, 상기 강성 립부 일측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 유도홀을 더 포함하는, 비대칭 듀얼 팬 슈라우드.
  14. 제1송풍구가 형성되는 제1슈라우드;
    제2송풍구가 형성되는 제2슈라우드;
    상기 제1슈라우드 하면에 장착되는 제1팬;
    상기 제1팬보다 크기가 작고, 상기 제2슈라우드 하면에 장착되는 제2팬;
    상기 제1팬에 연결되어 상기 제1팬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PWM부; 및
    상기 제2팬에 연결되어 상기 제2팬을 회전시키는 제2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PWM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PWM부 및 상기 제2PWM부가 상기 제2슈라우드에 설치되되,
    상기 제1슈라우드 및 상기 제2슈라우드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송풍구와 상기 제2송풍구를 가로지르는 지점에 일정 두께와 높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강성 립부; 및
    상기 제1팬에서 발생하는 바람이 상기 제2슈라우드의 하면에 전달되도록, 상기 강성 립부 일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개의 타공홀을 더 포함하는, 비대칭 듀얼 팬 슈라우드.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립부는,
    상기 강성 립부의 측면과 상기 제1슈라우드 및 상기 제2슈라우드의 하면을 연결하여 상기 강성 립부를 지지하는 보조 립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 듀얼 팬 슈라우드.
KR1020190006146A 2019-01-17 2019-01-17 비대칭 듀얼 팬 슈라우드 KR102559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146A KR102559335B1 (ko) 2019-01-17 2019-01-17 비대칭 듀얼 팬 슈라우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146A KR102559335B1 (ko) 2019-01-17 2019-01-17 비대칭 듀얼 팬 슈라우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440A KR20200089440A (ko) 2020-07-27
KR102559335B1 true KR102559335B1 (ko) 2023-07-26

Family

ID=71894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146A KR102559335B1 (ko) 2019-01-17 2019-01-17 비대칭 듀얼 팬 슈라우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3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3720A (ja) * 2003-12-04 2005-06-23 Denso Corp 自動車用熱交換装置
CN105275854A (zh) * 2015-10-26 2016-01-27 日本电产凯宇汽车电器(江苏)有限公司 一种汽车散热器用的电子风扇总成
US20180017063A1 (en) 2016-07-14 2018-01-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an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484B1 (ko) * 2001-03-13 2007-11-01 한라공조주식회사 팬과 슈라우드 조립체
RU2282731C2 (ru) * 2002-03-15 2006-08-27 Роберт Бош Корпорейшн Вентиляторный узел охлаждения двигателя с перекрывающими друг друга вентиляторами
KR20100120503A (ko) 2009-05-06 2010-11-16 한라공조주식회사 팬 슈라우드 구조
KR20120107618A (ko) * 2011-03-22 2012-10-04 한라공조주식회사 쿨링모듈
JP5965296B2 (ja) * 2012-11-22 2016-08-0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車両用冷却ファ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3720A (ja) * 2003-12-04 2005-06-23 Denso Corp 自動車用熱交換装置
CN105275854A (zh) * 2015-10-26 2016-01-27 日本电产凯宇汽车电器(江苏)有限公司 一种汽车散热器用的电子风扇总成
US20180017063A1 (en) 2016-07-14 2018-01-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an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440A (ko) 2020-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6898B1 (ko) 자동차 축류팬용 쉬라우드
US6179561B1 (en) Fan wheel structures
EP1063752B1 (en) Brushless Motor
JP6148358B2 (ja) モータの放熱を行うインフレータ装置
JP2016174529A (ja) ファンモジュール
JP2006174541A (ja) 回転電機
WO2018116942A1 (ja) 温度調和ユニット、温度調和システム及び車両
WO2017017922A1 (ja) 温度調和ユニット、温度調和システム、車両
JP2009050062A (ja) 自己冷却後面接続駆動原動機組立品
KR102559335B1 (ko) 비대칭 듀얼 팬 슈라우드
KR101973554B1 (ko) 듀얼팬 일체형 팬 쉬라우드
JP4983995B1 (ja) 照明装置及び照明装置用送風ユニット
KR101784881B1 (ko) 팬 슈라우드 조립체
JP7029593B2 (ja) 温度調和ユニット
KR101471142B1 (ko) 팬 및 쉬라우드 조립체
CN108155756B (zh) 外转型旋转电机
JPH10148353A (ja) 天井カセット形空気調和装置のファンモータ取付構造
JP2008240564A (ja) ファ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冷却システム
KR20160013653A (ko) 쿨링 모듈
US20060063648A1 (en) Motor and inertia flywheel arrangement of a fitness machine
KR200205488Y1 (ko) 모터용 냉각 팬
KR20210011165A (ko) 팬 슈라우드
JP2009191627A (ja) 電動ファン装置
KR20150048383A (ko) 산업용 전동기
JP3178531U (ja) 空冷モーター及びそのジャ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