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944B1 -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용기 - Google Patents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944B1
KR102558944B1 KR1020210126045A KR20210126045A KR102558944B1 KR 102558944 B1 KR102558944 B1 KR 102558944B1 KR 1020210126045 A KR1020210126045 A KR 1020210126045A KR 20210126045 A KR20210126045 A KR 20210126045A KR 102558944 B1 KR102558944 B1 KR 102558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ing
folded
area reduc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6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3314A (ko
Inventor
이창훈
Original Assignee
이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훈 filed Critical 이창훈
Priority to KR1020210126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944B1/ko
Publication of KR20230043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3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0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the container body having hollow side-walls
    • B65D5/2009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the container body having hollow side-walls all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5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characterised by integral closure-flaps
    • B65D5/2057Inter-engaging self-locking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held erect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sides being doubled-over to enclose extensions of adjacent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 B65D5/24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and the gussets fold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면적이 축소되도록 보조하는 면적 축소 접힘선이 형성된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일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면적 축소 접힘선에 의해 접혀진 용기부를 고정하는 날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용기{ Container being capable of reducing volume }
본 발명은 용기의 접힘과 고정에 의해 용기의 면적 및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회 용 용기의 경우, 정리하지 않고 무분별하게 대충 버려지는 경우가 많다. 특히 용기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는 쓰레기의 부피가 매우 커진다. 특히 용기의 입체적인 모양 때문에 쓰레기 수거 시, 쓰레기를 처리하는 사람에게 많은 어려움을 준다.
또한 야외 활동에 필요한 용기가 많이 필요할 때, 기존의 용기를 그대로 갖고 나가는 것은 그 부피로 인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의 접힘과 고정에 의해 용기의 면적 및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면적이 축소되도록 보조하는 면적 축소 접힘선이 형성된 용기부, 및 용기부의 일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면적 축소 접힘선에 의해 접혀진 용기부를 고정하는 날개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용기부에 형성된 용기부의 벽면이 용기부 안쪽으로 접히도록 보조하는 벽면 접힘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용기부는 날개부가 거치되는 날개 거치부를 포함하고, 용기부의 벽면이 접히면서 날개부가 날개 거치부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날개 거치부는, 용기부에 형성된 벽면이 연장되고, 연장된 벽면의 접힘에 의해 날개부의 거치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용기부의 바닥에 면적 축소 접힘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날개부는, 접힌 용기부 최장 길이의 절반을 초과한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날개부는, 날개부의 끝에 결합부를 포함하고, 결합부끼리 결합되어 용기부의 접힌 상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부는, 날개부의 끝에 절단선으로 형성되고, 절단선을 기준으로 나뉜 양단이 서로 다른 높이의 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부에 형성된 절단선의 끼움에 의해 날개부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날개부는, 용기부의 접힌 상태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날개 접힘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면적이 축소되도록 보조하는 면적 축소 접힘선이 형성된 용기부 용기부의 일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면적 축소 접힘선에 의해 접혀진 용기부를 고정하는 날개부 및 용기부의 벽면이 용기부 안쪽을 접히도록 보조하는 벽면 접힘선을 포함하고, 벽면 접힘선에 따라 용기부의 벽면이 평면으로 접히고, 면적 축소 접힘선은 용기부 바닥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부에 면적 축소 접힘선을 형성함으로써 용기부의 면적 및 부피를 축소하는 장점이 있으며,
접힌 용기부를 날개부가 고정함으로써 접힘에 의해 축소된 면적 및 부피를 유지하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부 및 날개부가 도시된 전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개도에 따라 조립된 용기부가 접힌 모습을 과정 별로 도시한 과정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용기부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를 도시한 부분 전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용기부에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날개부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용기부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덮개부가 더 포함된 것을 도시한 전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용기의 구성
도 1은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부 및 날개부가 도시된 전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면적이 축소되도록 보조하는 면적 축소 접힘선(11)이 형성된 용기부(10), 용기부(10)의 일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면적 축소 접힘선(11)에 의해 접혀진 용기부(10)를 고정하는 날개부(20)를 포함한다.
용기부(10)의 바닥에 면적 축소 접힘선(11)이 형성된다. 용기부(10)에는 벽면이 형성된다. 용기부(10)에는 벽면이 용기부(10) 안쪽으로 접히도록 보조하는 벽면 접힘선(12)이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적 축소 접힘선(11) 및 벽면 접힘선(12)의 패턴을 설명한다. 도 1의 전개도를 조립하였을 때, 육방면체의 형태를 갖는다. 면적 축소 접힘선(11) 및 벽면 접힘선(12)의 패턴은 육방면체의 면적과 부피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면적 및 부피의 최소화하기 위하여 먼저 부피를 구성하는 벽면을 눕혀 평면을 만들고, 다음으로 접힘에 의해 평면의 면적을 줄인다.
면적 축소 접힘선(11)은 용기부(10) 및 좌우 벽면의 중앙을 동시에 가로질러 형성된다. 이에 의해 용기부(10)의 바닥 면적이 1/2로 줄어든다.
바닥 면적과 함께 벽면 면적도 줄이기 위해 벽면이 안쪽으로 접히도록 하여야 한다. 벽면 접힘선(12)가 그 역할을 담당한다. 벽면 접힘선(12)은 좌우측 벽면과 거치부(24)가 만나는 점에서 시작하여 벽면의 외주까지 이어져 형성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벽면 점힘선(12)과 면적 축소 접힘선(12)의 양쪽 끝부분이 간격을 두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용기부(10)가 접히는 여유를 두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간격은 용기부(10)의 두께에 따라 다르게 정해진다. 용기부(10)가 두꺼운 재질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더 큰 간격을 갖고, 얇은 재질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더 좁은 간격을 갖는다.
용기부(10)는 날개부(20)가 거치되는 날개 거치부(24);를 포함한다. 날개 거치부(24)가 개방된 상태에서 용기부(10)의 벽면이 접히면서 날개부(20)가 날개 거치부(24)로부터 인출된다.
용기부(10)에 형성된 벽면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날개 거치부(24)는 연장된 벽면(25)의 접힘에 의해 날개부(20)의 거치 공간이 형성된다. 연장된 벽면(25) 끝에는 접힌 후에 고정하는 쐐기 홈이 형성된다. 날개 거치부(24)와 용기부(10) 바닥이 만나는 선에 쐐기 홈이 들어가 고정되는 홀이 형성된다.
날개부(20)는, 접힌 용기부(10) 최장 길이의 절반을 초과한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날개부(20)는 용기부(10)가 접힌 상태를 고정한다.
날개부(20)는, 날개부(20)의 끝에 결합부(22);를 포함한다. 결합부(22)끼리 결합되어 용기부(10)의 접힌 상태가 고정된다.
날개부(20)는, 용기부(10)의 접힌 상태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날개 접힘선(21)이 형성된다. 용기가 단일 용기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날개 접힘선(21)이 상대적으로 얇은 폭으로 형성된다. 용기가 덮개를 포함하는 용기라면, 덮개만큼의 두께를 감당할 수 있는 정도의 추가된 폭으로 형성된다.
결합부(22)는, 날개부(20)의 끝에 절단선(23)으로 형성된다. 결합부(22)에 형성된 절단선(23)의 끼움에 의해 날개부(20)가 서로 결합된다.
결합부(22)는 절단선(23)을 기준으로 나뉜 양단이 서로 다른 높이의 단을 갖는다. 날개부(20) 끝이 서로 다른 높이의 단을 가짐으로써 날개부(20)를 쉽게 끼워 결합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접힘 및 고정 구조에 의하여 사용한 일회용 용기를 간편하게 접어 정돈된 모양으로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다. 또한 용기부(10)가 일회용 제품이 아닌 경우에, 용기부(10)를 접어 휴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용기가 접히는 순서 및 접힌 용기의 고정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개도에 따라 조립된 용기부(10)가 접힌 모습을 과정 별로 도시한 과정도이다. 도 2의 (a) 부터 (c)까지의 과정으로 용기부(10)가 접혀 고정된다.
도 2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2(a)는 도 1의 전개도에 따라 용기부(10)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용기부(10)의 벽면에는 용기부(10)의 벽면이 안쪽으로 접히도록 보조하는 벽면 접힘선(12)이 형성된다. 또한 용기부(10)의 바닥에 면적 축소 접힘선(11)이 형성된다. 연장된 벽면(25)이 접힌 내부에 날개부(20)가 거치된다.
도 2(b)는 벽면 접힘선(12)에 따라 용기(10)의 벽면이 접힌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거치부(24)에 거치되어 있던 날개부(20)는 연장된 벽면을 홈에서 빼내면 인출할 수 있다. 인출된 날개부(20)는 양 옆으로 펼쳐진다. 벽면이 벽면 접힘선(12)에 의해 안쪽으로 접힌다.
중앙에 용기의 바닥면을 1/2로 나누는 면적 축소 접힘선(11)을 기준으로 용기부(10)의 상단은 좌우측 벽면과 거치부(24)를 포함한 벽면이 안쪽으로 접힌다. 그리고 용기부(10)의 하단은 좌우측 벽면과 하단 벽면이 안쪽으로 접힌다.
도 2(c)는 도 2(b)의 상태에서 용기부(10)의 바닥에 형성된 면적 축소 접힘선(11)에 따라 접힌 후 날개부(20)가 접힌 용기부(10)를 고정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b)에서 상단과 하단이 각각 접힌 후, 중앙에 형성된 면적 축소 접힘선(11)을 따라 한 번 더 접힌다.
그 다음 날개부(20) 끝에 절단선(23)으로 형성된 결합부(22)가 서로 연결되어 접힌 상태의 용기부(10)가 고정된다.
날개부 실시예 1
도 3은 도 1의 용기부(10)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22)를 도시한 부분 전개도이다.
도 1에서 결합부(22)는 도면 기준 횡방향으로 절단선(23)이 형성되었는데, 도 3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도면 기준 종방향으로 절단선(27)이 형성된다.
결합부(22)는 이외에도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용기부(10)의 재질이 철재 알루미늄 재질인 경우에는 결합부(22)는 날개부(20)에 자석을 포함하여 날개부(20)가 서로 결합된다.
결합부(22)가 암수로 구성된 스냅 단추로 형성되어 날개부(20)가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날개부 실시예 2
도 4는 도 1의 용기부(10)에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날개부(20)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4에서 도면 기준 좌측의 날개부(20)는 우측의 날개부(20)보다 짧다. 상대적으로 더 긴 우측의 날개부(20)가 좌측의 날개부(20)까지 도달하여 결합부가 서로 결합한다. 이 경우에도 벽면에서 날개부(20)로 연장되는 부분에서 시작하여 용기부(10)가 접힌 두께에 대응되는 만큼의 간격을 두고 날개 접힘선이 형성된다.
상대적으로 더 긴 날개부(20)의 날개 길이는 거치부(24)의 길이에 대응된 길이로 형성된다.
덮개를 포함한 실시예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용기부(10)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덮개부(30)가 더 포함된 것을 도시한 전개도이다.
표시한 일점쇄선을 기준으로 상단은 용기부(10)로서 도 1에서 설명한 부분과 같다. 일점쇄선을 기준으로 하단은 덮개부(30)에 해당한다. 덮개부(30)는 용기부(30)에 포함된 내용물이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덮개부(30)의 (다) 부분과 (라) 부분 좌우가 각각 접착되어 덮개로 형성된다.
덮개부(30)에는 덮개 면적 축소 접힘선(31)이 형성된다. 덮개 면적 축소 접힘선(31)은 용기부(10)에 형성된 면적 축소 접힘선(11)과 같은 역할을 한다. 또한 벽면에 덮개부(30)가 안쪽으로 접히도록 보조하는 덮개 벽면 접힘선(3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장점은 용기부(10)와 덮개부(30) 외에도 추가로 연장되는 용기나 덮개가 있는 경우에도 접힌 부분이 날개부(20)에 의해 고정된다. 이 때 추가되는 부피에 따라 날개부(20)에 형성된 날개 접힘선(21)이 더 큰 폭으로 형성된다.
본발명의 일련의 특징에 의하여 사용자는 용기를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쓰레기 처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용기부
11 : 면적 축소 접힘선
12 : 벽면 접힘선
20 : 날개부
21 : 날개 접힘선
22 : 결합부
23 : 절단선
24 : 거치부
25 : 연장 벽면
30 : 덮개부
31 : 덮개 면적 축소 접힘선
32 : 덮개 벽면 접힘선

Claims (11)

  1. 면적이 축소되도록 보조하는 면적 축소 접힘선이 형성된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의 일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면적 축소 접힘선에 의해 접혀진 용기부를 고정하는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부는 상기 날개부가 거치되는 날개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부의 벽면이 접히면서 상기 날개부가 상기 날개 거치부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에 형성된 상기 용기부의 벽면이 상기 용기부 안쪽으로 접히도록 보조하는 벽면 접힘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 거치부는,
    상기 용기부에 형성된 벽면이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벽면의 접힘에 의해 상기 날개부의 거치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바닥에 상기 면적 축소 접힘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접힌 용기부 최장 길이의 절반을 초과한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날개부의 끝에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끼리 결합되어 상기 용기부의 접힌 상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날개부의 끝에 절단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단선을 기준으로 나뉜 양단이 서로 다른 높이의 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절단선의 끼움에 의해 상기 날개부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용기부의 접힌 상태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날개 접힘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1. 삭제
KR1020210126045A 2021-09-24 2021-09-24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용기 KR102558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045A KR102558944B1 (ko) 2021-09-24 2021-09-24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045A KR102558944B1 (ko) 2021-09-24 2021-09-24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3314A KR20230043314A (ko) 2023-03-31
KR102558944B1 true KR102558944B1 (ko) 2023-07-24

Family

ID=86005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6045A KR102558944B1 (ko) 2021-09-24 2021-09-24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944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036B1 (ko) * 2013-04-01 2015-01-30 현진제업주식회사 접이식 인스턴트 식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3314A (ko) 2023-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5761A (en) Pizza box and method of disposing of used pizza boxes
CA2300558C (en) Wet tissue package
DE60121029T2 (de) Wischtücherspendesystem
US9220380B2 (en) Disposable anti viral tissue dispenser and disposal structure
CA1230491A (en) Disposable table covering
US6915948B2 (en) Collapsible/easily disposable food container
KR102558944B1 (ko)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용기
US10487466B1 (en) Hand operable waste collection device and method therefor
US9506209B2 (en) Foldable collecting apparatus
US6247735B1 (en) Triangular trough scoop
US3851809A (en) Sheet material dispenser and blank for assembling the same
KR102034987B1 (ko) 상자접기 판재부를 구비한 치킨박스
JP4515595B2 (ja) 紙箱
US6250695B1 (en) Scoop
KR102308998B1 (ko)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 및 제조 방법
JP3071023U (ja) 吊り下げ式包装用箱
KR100712075B1 (ko) 항공기용 쓰레기 수거 박스
CN214494296U (zh) 一种一次性折叠式垃圾盒
JP3229278U (ja) 衛生用紙容器ホルダー
EP0498399A1 (en) A system for dispensing paper towels and collecting used paper towels, and containers for the same
JP3144982U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用具
KR100969960B1 (ko) 케익박스
JP3105652U (ja) プラスチック製包装用容器
KR20220001051U (ko) 티슈 박스
JP3058624U (ja) ケーキ及びピザ用サー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