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173B1 - 전기 기기 - Google Patents

전기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173B1
KR102558173B1 KR1020180141116A KR20180141116A KR102558173B1 KR 102558173 B1 KR102558173 B1 KR 102558173B1 KR 1020180141116 A KR1020180141116 A KR 1020180141116A KR 20180141116 A KR20180141116 A KR 20180141116A KR 102558173 B1 KR102558173 B1 KR 102558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mode
input
unit
safety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7170A (ko
Inventor
이영수
이종훈
이재환
권기근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1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173B1/ko
Publication of KR20200057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7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touch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afety Devices In Control Systems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잠금 기능의 수행 중에 기설정된 복수의 버튼 입력들에 의해서 절전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의 모드 변환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의도되지 않은 입력에 대한 불필요한 처리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킨 전기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절전 모드와, 대기 모드 및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 전기 기기는 안전 잠금 기능의 설정 및 해제를 포함하는 안전 잠금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전기 기기의 고유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부와, 복수의 입력을 위한 버튼들을 구비하는 입력부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안전 잠금 설정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안전 잠금 기능의 설정 시에 안전 잠금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입력부로부터 획득되는 복수의 버튼 입력들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절전 모드를 상기 대기 모드로의 모드 변환을 수행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전기 기기{ELECTRIC DEVICE}
본 발명은 전기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전 잠금 기능의 수행 중에 기설정된 복수의 버튼 입력들에 의해서 절전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의 모드 변환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의도되지 않은 입력에 대한 불필요한 처리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킨 전기 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 기기는 의도되지 않은 입력에 따른 기능 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버튼 잠금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전기 레인지는 컨트롤 패널에 어린이의 장난이나 사용자의 실수 또는 반려 동물의 접촉으로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 및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버튼 잠금 기능 버튼이 구비된다.
이러한 버튼 잠금 기능 버튼을 구비한 종래의 전기 기기는 버튼 잠금용 잠금키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잠금키를 눌러서 버튼 잠금 기능이 수행되며, 버튼 잠금의 해제를 위해서 잠금키를 수 초 동안 눌러주면 버튼 잠금이 해제되었다. 이러한 버튼 잠금의 해제 방식의 경우, 어린이가 잠금키를 조작하거나 반려 동물이 잠금키를 밟거나 그 위에 앉음에 의해서 버튼 잠금이 쉽게 해제되고, 버튼 잠금 해제 후에 어린이나 반려 동물이 추가적인 버튼(예를 들면, 가열 버튼 등)을 조작하거나 접촉하면 전기 기기가 가동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기 기기가 발열 기기인 경우, 화재나 화상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전기 기기의 입력 수단으로서, 터치 감응 제어 인터페이스가 그 편의성 및 신뢰성으로 인해 기계식 스위치를 대신하여 점차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 감응 제어 인터페이스의 경우, 어린이에 의한 잠금키 조작이나 반려 동물의 접촉에 의한 잠금키 조작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며, 성인 사용자도 전기 기기를 청소하는 과정 등에서도 의도하지 않게 잠금키를 조작하여 전기 기기를 가동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안전 잠금 기능의 수행 중에 기설정된 복수의 버튼 입력들에 의해서 절전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의 모드 변환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의도되지 않은 입력에 대한 처리를 방지하여 화상이나 화재 방지 등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전기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절전 모드와, 대기 모드 및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 전기 기기는 안전 잠금 기능의 설정 및 해제를 포함하는 안전 잠금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전기 기기의 고유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부와, 복수의 입력을 위한 버튼들을 구비하는 입력부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안전 잠금 설정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안전 잠금 기능의 설정 시에 안전 잠금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입력부로부터 획득되는 복수의 버튼 입력들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절전 모드를 상기 대기 모드로의 모드 변환을 수행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버튼 입력들을 기준으로 하되, 상기 입력부의 기설정된 제 1 버튼과 제 2 버튼의 동시 입력 유지 시간이 제 1 기준 시간과 제 2 기준 시간 사이로 유지된 경우에, 상기 모드 변환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기 기기는 상기 입력부의 상기 복수의 버튼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표시를 포함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전 잠금 동작을 수행하면서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표시들 각각을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점등시키며, 상기 복수의 표시들 각각에 대응하는 버튼 입력들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절전 모드를 상기 대기 모드로의 모드 변환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를 수행하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안전 잠금 설정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안전 잠금 기능의 설정 시에 상기 동작 모드의 수행 이후 잠금 기준 시간이 경과된 경우에, 버튼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안전 잠금 기능의 수행 중에 기설정된 복수의 버튼 입력들에 의해서 절전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의 모드 변환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의도되지 않은 입력에 대한 불필요한 처리를 방지하여 화상이나 화재 방지 등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안전 잠금 기능으로서 버튼 잠금 기능을 수행하여, 안전 사고의 예방 뿐만 아니라, 의도하지 않은 조작에 의한 불필요한 동작을 방지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기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기 기기의 표시부 및 입력부가 구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이다.
도 3은 도 1의 전기 기기의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이다.
도 4는 도 1의 전기 기기의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예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기기의 구성도이다. 전기 기기는 전기 기기의 동작에 관련된 설정 정보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1)와, 복수의 버튼들을 포함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3)와, 전기 기기의 고유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부(5)와, 사용자에게 설정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등을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7) 및 상술된 구성요소들(저장부(1), 입력부(3), 동작부(5), 표시부(7) 등)을 제어하여 전기 기기의 고유 기능을 수행하며, 안전 잠금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10)로 구성된다. 다만, 외부 상용 전원을 공급 받아 전기 기기 내의 구성요소들(저장부(1), 입력부(3), 동작부(5), 표시부(7) 및 제어부(10)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와, 입력부(3)(예를 들면, 기계식 버튼, 터치 감응식 패드 등) 및 표시부(7)(예를 들면, LED, LCD 등)가 구비되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당연히 인식되는 정보에 해당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저장부(1)는 전기 기기의 동작에 관련된 설정 정보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 소자(예를 들면, ROM, RAM 등)로 구현된다. 설정 정보는 전기 기기의 고유 기능에 대한 동작 설정 정보(예를 들면, 설정 화력, 예약 시간, 음성 안내 등)와, 안전 잠금 설정 정보, 안전 잠금을 수행하기 위한 안전 잠금 정보 등을 포함한다. 안전 잠금 설정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안전 잠금 기능의 설정 및 해제를 포함한다.
안전 잠금 정보는 절전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의 모드 변환을 위한 입력을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판단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기준 시간(t1), (t2)과, 고유 기능의 동작 수행 중(즉, 동작 모드의 수행 중)에 버튼 잠금을 수행하기 위한 잠금 기준 시간(예를 들면, 30초)과, 버튼 잠금의 수행 중에 버튼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 기준 시간(예를 들면, 2초)과, 절전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의 변환을 위한 입력 지시를 표시하기 위한 점등 기준 시간(예를 들면, 3초)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보다 자세하게, 제 1 기준 시간(t1)은 모드 변환을 위한 입력(복수의 입력들)이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짧은 시간의 입력 조작(접촉이나 스침)이나, 반려 동물의 짧은 접촉에 의한 입력 조작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 시간으로, 예를 들면 1초로 설정된다. 제 2 기준 시간(t2)은 모드 변환을 위한 입력(복수의 입력들)이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긴 시간의 입력 조작이나, 반려 동물의 긴 접촉(예를 들면, 입력부(3)에 앉거나 누운 경우의 긴 접촉)에 의한 입력 조작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 시간으로, 예를 들면 5초로 설정된다. 제어부(10)는 모드 변환을 위한 입력(복수의 입력들)이 제 1 기준 시간(t1)을 초과하고 제 2 기준 시간(t2) 미만으로 유지되는 경우에만 모드 변환을 위한 입력이 사용자의 의도에 의한 입력인 것으로 판단한다.
동작부(5)는 전기 기기의 고유 기능(예를 들면, 가열 기능, 세탁 기능, 조리 기능 등)을 제어부(10)의 제어 명령에 의해 수행하는 수단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기기로 전기 레인지가 예시로 기재된다. 전기 레인지의 동작부(5)는 IH 방식 및/또는 하이라이트 방식의 가열 소자와, 가열 소자에 전원 공급/차단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어부(10)는 상술된 구성요소들(저장부(1), 입력부(3), 동작부(5), 표시부(7) 등)을 제어하여 전기 기기의 고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절전 모드, 대기 모드 및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 데이터 프로세서(예를 들면, CPU, 마이크 프로세서 등)로 구현된다. 여기서, 대기 모드는 전원부가 외부 상용 전원을 인가 받아 전기 기기의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인가한 상태이면서, 제어부(10)가 입력부(3)를 통하여 전기 기기의 고유 기능에 대한 설정(안전 잠금 기능의 설정/해제, 예약 설정/해제, 화력 설정 등) 입력, 수행할 기능의 선택(예를 들면, 가열, 취사, 보온, 헹굼 등) 및 전기 기기의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동작 버튼의 입력을 획득하는 모드에 해당된다. 또한, 절전 모드는 대기 모드 이전에 전원부가 외부 상용 전원을 인가 받아 전기 기기의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인가한 상태이나, 제어부(10)가 입력부(3)를 통하여 입력을 획득하여 모드 변경만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드에 해당된다. 또한, 동작 모드는 제어부(10)가 대기 모드의 수행 중에 동작 버튼의 입력에 의해 고유 기능을 수행하는 모드에 해당된다. 제어부(10)는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은 후에, 절전 모드, 대기 모드 및 동작 모드를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0)는 절전 모드 및 동작 모드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드의 수행 중에 안전 잠금 기능을 수행한다.
먼저, 안전 잠금 기능이 설정된 경우, 제어부(10)는 절전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의 변환 과정을 하기의 2가지의 안전 잠금 동작을 통하여 수행한다.
먼저, 제 1 방법인 안전 잠금 동작은 절전 모드의 수행 중에 제어부(10)가 입력부(3)를 통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버튼만이 동시에 눌러져서 유지되는 시간(동시 입력 유지 시간(St))이 상술된 제 1 기준 시간(t1)과 제 2 기준 시간(t2) 사이로 유지된 경우에만 절전 모드를 대기 모드로 변환하는 방법이다. 제 1 방법인 안전 잠금 동작은 도 3에서 기재된다.
다음으로, 제 2 방법인 안전 잠금 동작은 기설정된 복수의 버튼들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복수의 표시들을 순차적으로 점등 기준 시간 동안 표시부(7)에 표시하며, 각 점등 기준 시간 내에 각 표시에 대응하는 버튼 입력이 입력부(3)를 통하여 입력된 경우에만 절전 모드를 대기 모드로 변환하는 방법이다. 제 2 방법인 안전 잠금 동작은 도 4에서 기재된다.
또한, 동작 모드에서의 수행 중에 안전 잠금 기능이 설정된 경우의 안전 잠금 동작으로, 제어부(10)는 동작 버튼의 입력에 따라 선택 기능(예를 들면, 가열, 세탁, 조리 등)의 동작을 시작하며, 동작 시작 이후(즉, 동작 모드의 시작 이후)에 잠금 기준 시간이 경과되면 버튼 잠금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버튼 잠금 기능의 수행 중에, 제어부(10)가 해제 기준 시간을 경과(또는 초과)하여 입력부(3)로부터의 정지/잠금 버튼(B2)의 입력을 지속적으로 입력 받은 경우에만 버튼 잠금 기능을 해제하여 입력부(3)를 통한 입력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이 과정은 도 3에서 기재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기기는 전기 레인지를 예시로 하여 설명된다.
도 2는 도 1의 전기 기기의 표시부 및 입력부가 구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 1 내지 제 3 화구 각각을 선택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화구 버튼(F1, F2, F3)과, 화력의 세기를 조절(증감)하기 위한 화력 버튼(L)과, 선택된 화구의 꺼짐 시간을 예약하기 위한 꺼짐 예약 버튼(T)과, 전원의 인가 및 차단 또는 안전 잠금 기능의 해제 시에 절전 모드를 대기 모드로 변환하기 위한 전원 버튼(B1)과, 동작의 정지 및 버튼 잠금 기능의 설정 및 해제를 위한 정지/잠금 버튼(B2)과, 전기 기기의 고유 기능에 대한 설정, 음성 안내 기능의 설정 및 해제, 안전 잠금 기능의 설정 및 해제 등을 위한 설정 버튼(B3) 및 알람 기능과 안전 잠금 기능의 수행 시의 모드 변환을 위한 안전 버튼(B4)을 포함하는 입력부(3)를 구비한다. 전원 버튼(B1)과 안전 버튼(B4) 사이의 간격은 제 1 방법인 안전 잠금 동작의 수행과 사용자의 의도적인 조작의 확인을 위해 일정 거리 이상이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버튼이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버튼들은 다양한 입력 방식(예를 들면, 터치 감응 방식, 기계식 스위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 1 내지 제 3 화구 버튼(F1, F2, F3) 각각에 대응하는 제 1 내지 제 3 화구 표시(D1, D2, D3)과, 전원 버튼(B1)에 대응하는 전원 표시(C1)와, 정지/잠금 버튼(B2)에 대응하는 정지/잠금 표시(C2)와, 설정 버튼(B3)에 대응하는 설정 표시(C3)와, 안전 버튼(B4)에 대응하는 안전 표시(C4), 음성 안내 기능이 설정되어 있음을 표시하는 음성 표시(S)를 포함하는 표시부(7)를 구비한다.
도 3은 도 1의 전기 기기의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이다.
단계(S1)에서, 제어부(10)는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동작하여 절전 모드를 수행한다. 절전 모드의 수행 시에 제어부(10)는 표시부(7)의 표시를 오프시키고, 입력부(3)의 버튼 입력만을 획득한다. 제어부(10)는 절전 모드를 수행하면서 단계(S3)로 진행한다.
단계(S3)에서, 제어부(10)는 저장부(1)로부터 안전 잠금 설정 정보를 판독하여 현재 안전 잠금 기능의 설정 및 해제를 확인한다. 만약 안전 잠금 기능이 설정되었으면 제어부(10)는 단계(S7)로 진행하여 안전 잠금 동작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고 안전 잠금 기능이 해제되었으면 제어부(10)는 단계(S5)로 진행한다.
단계(S5)에서, 제어부(10)는 입력부(3)로부터 전원 버튼(B1)의 입력을 획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전원 버튼(B1)의 입력이 획득되었으면, 제어부(10)는 단계(S17)로 진행하여 절전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의 모드 변환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의 절전 모드를 수행하면서 단계(S5)를 계속 수행한다.
단계(S7)에서, 제어부(10)는 절전 모드를 수행하면서 입력부(3)를 통하여 전원 버튼(B1) 또는 안전 버튼(B4) 중의 어느 하나의 버튼 입력을 획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전원 버튼(B1) 또는 안전 버튼(B4) 중의 어느 하나의 버튼 입력이 획득되면, 제어부(10)는 단계(S9)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어부(10)는 단계(S7)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단계(S9)에서, 제어부(10)는 절전 모드를 수행하면서 입력부(3)로부터 동시에 전원 버튼(B1) 및 안전 버튼(B4)의 입력을 획득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전원 버튼(B1) 및 안전 버튼(B4)의 입력을 동시에 획득하면 제어부(10)는 단계(S13)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고 전원 버튼(B1) 및 안전 버튼(B4)의 입력을 동시에 수행하지 않았으면 제어부(10)는 사용자가 안전 잠금 동작이 수행 중인 것을 잊거나,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조작이나 반려 동물에 의한 접촉으로 인한 입력으로 판단하여 단계(S11)로 진행한다.
단계(S11)에서, 제어부(10)는 안전 잠금 동작이 수행 중임을 알리는 가이드와, 절전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의 모드 변환을 위한 버튼 입력들(전원 버튼(B1) 및 안전 버튼(B4)의 동시 입력)에 대한 가이드를 표시부(7)를 제어하여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한다. 제어부(10)는 단계(S11)를 수행하고, 단계(S7)로 진행한다.
단계(S13)에서, 제어부(10)는 입력부(3)로부터 전원 버튼(B1) 및 안전 버튼(B4) 이외의 다른 버튼(예를 들면, 설정 버튼(B3) 등) 입력을 추가적으로 획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전원 버튼(B1) 및 안전 버튼(B4) 이외의 다른 버튼의 추가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0)는 반려 동물에 의한 접촉으로 판단하고, 단계(S7)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고 전원 버튼(B1) 및 안전 버튼(B4)만이 동시에 입력되었으면, 제어부(10)는 사용자에 의한 의도적인 조작인 것으로 판단하여 동시 입력 유지 시간(St)의 산정을 시작하며 단계(S15)로 진행한다.
본 실시예는 제어부(10)가 상술된 단계(S7), (S9) 및 (S13)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기재하고 있을 뿐이다. 즉, 제어부(10)는 상술된 단계(S7), (S9) 및 (S13)의 수행 순서와 관계없이 단계(S3)에서 단계(S15)로 진행할 수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서 전원 버튼(B1) 및 안전 버튼(B4)만이 동시에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면 된다.
단계(S15)에서, 제어부(10)는 전원 버튼(B1) 및 안전 버튼(B4)만이 동시에 입력되는 동안 동시 입력 유지 시간(St)을 계속 산정하며, 안전 잠금 정보를 판독하여 동시 입력 유지 시간(St)이 제 1 기준 시간(t1)을 초과하고 제 2 기준 시간(t2) 미만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동시 입력 유지 시간(St)이 제 1 기준 시간(t1)을 초과하고 제 2 기준 시간(t2) 미만이면 제어부(10)는 단계(S17)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즉, 동시 입력 유지 시간(St)이 제 1 기준 시간(t1) 이하이거나 제 2 기준 시간(t2) 이상이면) 제어부(10)는 단계(S7)로 진행한다. 또한, 제어부(10)는 단계(S15)에서 단계(S7)로 진행할 때, 이전에 산정된 동시 입력 유지 시간(St)을 초기화한다.
또한, 제어부(10)가 단계(S15)의 수행 중에 입력부(3)로부터 전원 버튼(B1) 및 안전 버튼(B4) 이외의 다른 버튼 입력을 획득하는 경우에도 제어부(10)는 단계(S7)로 진행한다.
또한, 제어부(10)가 단계(S7)를 반복 수행하는 경우나 단계(S13)에서 단계(S7)로 진행하는 경우, 입력 가이드를 표시하는 단계(S11)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술된 단계(S7) 내지 (S15)에서, 제어부(10)는 절전 모드를 수행하면서 상술된 제 1 방법인 안전 잠금 동작을 수행한다.
단계(S17)에서, 제어부(10)는 대기 모드를 수행한다. 이 대기 모드의 수행 중에, 제어부(10)는 입력부(3)를 통하여 전기 기기의 고유 기능에 대한 설정(안전 잠금 기능의 설정/해제, 예약 설정/해제, 화력 설정 등) 입력 및 수행할 기능의 선택 입력을 획득하여 저장부(1)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10)는 기준 시간(예를 들면, 1분) 동안 입력부(3)부터의 입력이 없으면 단계(S1)로 진행하여 대기 모드의 수행 대신에 절전 모드를 수행한다. 제어부(10)는 단계(S17)의 대기 모드를 수행하면서 단계(S19)로 진행한다.
단계(S19)에서, 제어부(10)는 대기 모드를 수행하면서 입력부(3)로부터 동작 버튼의 입력을 획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동작 버튼의 입력이 획득되면 제어부(10)는 단계(S21)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어부(10)는 대기 모드를 수행한다.
단계(S21)에서, 제어부(10)는 대기 모드의 수행 중에 획득된 선택 기능의 동작을 시작하며 동작 모드를 수행한다. 제어부(10)는 동작 모드를 수행하면서 단계(S23)로 진행한다.
단계(S23)에서, 제어부(10)는 저장부(1)에 저장된 안전 잠금 설정 정보를 판독하여 안전 잠금 기능의 설정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안전 잠금 기능이 설정되었으면 제어부(10)는 단계(S27)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25)로 진행한다.
단계(S25)에서, 제어부(10)는 안전 잠금 기능이 해제된 상태에서 동작 모드를 수행하면서 선택 기능의 동작이 수행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0)는 선택 기능의 동작의 수행 완료를 판단할 때 예약 시간(또는 꺼짐 예약 시간)에 따른 동작의 수행 완료 또는 입력부(3)로부터의 정지/잠금 버튼(B2)의 입력을 기준으로 하여 판단한다. 만약 선택 기능의 동작이 수행 완료되었으면 제어부(10)는 동작 모드를 종료하거나 단계(S1)로 진행하여 절전 모드를 수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제어부(10)는 선택 기능의 동작을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0)는 동작 모드를 수행하면서, 사용자로부터의 정지/잠금 버튼(B2) 입력에 따라서 버튼 잠금 기능의 설정 및 해제를 수행할 수도 있다.
단계(S27)에서, 제어부(10)는 선택 기능의 동작을 시작하면서 동작 시간(또는 동작 모드의 수행 시간)을 산정하며, 이 동작 시간이 잠금 기준 시간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동작 시간이 잠금 기준 시간을 경과하였으면 제어부(10)는 단계(S29)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동작을 수행하면서 단계(S27)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단계(S29)에서, 제어부(10)는 동작 모드에서의 안전 잠금 동작으로서 버튼 잠금 기능을 자동적으로 시작하여 버튼 잠금을 수행한다. 제어부(10)는 입력부(3)의 정지/잠금 버튼(B2) 이외의 버튼 입력을 무시하며, 정지/잠금 버튼(B2)의 버튼 입력만을 처리하도록 한다. 그럼으로써, 전기 레인지의 사용자가 요리를 시작한 이후에 자리를 비운 사이에 어린이나 반려 동물이 입력부(3)를 조작하여 화력을 높이거나 사용 중이지 않은 화구에 대한 동작 입력을 조작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화재, 화상 등의 안전 사고가 방지된다. 제어부(10)는 버튼 잠금을 수행하면서 단계(S31)로 진행한다.
단계(S31)에서, 제어부(10)는 선택 기능의 동작이 수행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0)는 선택 기능의 동작의 수행 완료를 판단할 때 예약 시간(또는 꺼짐 예약 시간)에 따른 동작의 수행 완료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한다. 만약 선택 기능의 동작이 수행 완료되었으면 제어부(10)는 동작 모드를 종료하거나 단계(S1)로 진행하여 절전 모드를 수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제어부(10)는 동작 모드를 수행하면서 단계(S33)로 진행한다.
단계(S33)에서, 제어부(10)는 입력부(3) 중에서 정지/잠금 버튼(B2)의 입력 유지 시간이 해제 기준 시간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해제 기준 시간은 입력부(3)로부터의 입력이 사용자의 의도적인 입력인지를 판단하여 버튼 잠금의 해제를 수행하기 위한 기준 시간이며,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입력에 따른 제어가 방지되도록 한다. 만약 입력 유지 시간이 해제 기준 시간을 경과하였으면 제어부(10)는 단계(S37)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고 정지/잠금 버튼(B2)의 입력 유지 시간이 해제 기준 시간 이하이거나 정지/잠금 버튼(B2) 이외의 다른 버튼이 입력되었으면 단계(S35)로 진행한다.
단계(S35)에서, 제어부(10)는 버튼 잠금이 수행 중(또는 버튼 잠금 기능이 수행 중)임을 알리는 가이드와, 버튼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가이드(정지/잠금 버튼(B2)의 입력 가이드)를 표시부(7)를 제어하여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한다. 제어부(10)는 단계(S35)를 수행하고, 동작 모드를 수행하면서 단계(S31)로 진행한다.
단계(S37)에서, 제어부(10)는 현재 수행 중인 버튼 잠금 기능을 해제하여, 입력부(3)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버튼 입력을 획득하는 경우 버튼 입력에 따른 제어를 수행한다. 단계(S37)에서, 제어부(10)는 동작 모드에서 버튼 잠금 기능만을 해제하는 것이며 안전 잠금 기능을 설정 상태로 동일하게 유지한다. 상술된 단계(S17)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안전 잠금 기능의 설정 및 해제는 제어부(10)가 대기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만 변경이 가능하다. 제어부(10)는 버튼 잠금 기능의 해제 상태를 유지하면서 단계(S39)로 진행한다.
단계(S39)에서, 제어부(10)는 선택 기능의 동작이 수행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0)는 선택 기능의 동작의 수행 완료를 판단할 때 예약 시간(또는 꺼짐 예약 시간)에 따른 동작의 수행 완료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한다. 만약 선택 기능의 동작이 수행 완료되었으면 제어부(10)는 동작 모드를 종료하거나 단계(S1)로 진행하여 절전 모드를 수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제어부(10)는 동작 모드를 수행하면서 단계(S27)로 진행한다.
단계(S39)에서 단계(S27)로 진행된 경우, 제어부(10)는 버튼 잠금 기능의 해제 상태에서 상술된 단계(S27)의 동작을 동일하게 수행한다. 즉, 제어부(10)는 동작 모드가 진행되는 동안 버튼 잠금 기능의 설정 및 해제를 입력부(3)로부터의 버튼 입력에 따라 1회 이상 수행할 수 있다.
상술된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입력부(3)의 정지/잠금 버튼(B2)이 하나의 버튼으로 구성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 정지 버튼과 잠금 버튼 각각이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정지 버튼과 잠금 버튼 각각이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 동작 모드에서의 버튼 잠금 기능이 수행될 때, 정지 버튼과 잠금 버튼은 버튼 잠금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10)가 단계(S27) 내지 (S39)를 수행할 때도 잠금 버튼에 의한 동작(잠금 해제)과 별개로 정지 버튼의 입력을 동작의 수행 완료 입력으로 판단하여 수행 중인 동작을 중단시킬 수도 있다.
상술된 단계(S27) 내지 (S39)에서, 제어부(10)는 상술된 동작 모드에서의 안전 잠금 동작을 수행한다.
도 4는 도 1의 전기 기기의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예이다.
단계(S41)은 도 3의 단계(S1)과 동일하다.
단계(S43)에서, 제어부(10)는 절전 모드를 수행하면서 입력부(3)로부터 전원 버튼(B1)의 입력을 획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전원 버튼(B1)의 입력이 획득되었으면, 제어부(10)는 단계(S4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41)의 절전 모드를 계속 수행한다.
단계(S45)에서, 제어부(10)는 저장부(1)로부터 안전 잠금 설정 정보를 판독하여 현재 안전 잠금 기능의 설정 및 해제를 확인한다. 만약 안전 잠금 기능이 설정되었으면 제어부(10)는 단계(S49)로 진행하여 안전 잠금 동작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고 안전 잠금 기능이 해제되었으면 제어부(10)는 단계(S47)로 진행하고 절전 모드를 대기 모드로 변환하여 대기 모드를 수행한다.
단계(S47)는 도 3의 단계(S17)와 동일하며, 제어부(10)는 대기 모드를 수행하면서 단계(S19)로 진행한다.
단계(S49)에서, 제어부(10)는 표시부(7)를 제어하여 제 1 표시를 점등 기준 시간 동안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는 제 1 화구 표시(D1)를 점등 표시한다. 제어부(10)는 단계(S49)의 점등 표시를 수행하면서 단계(S51)로 진행한다.
단계(S51)에서, 제어부(10)는 제 1 표시의 점등 표시를 수행하면서, 점등 기준 시간 이내에 제 1 표시에 대응하는 제 1 입력을 입력부(3)로부터 획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는 제 1 화구 표시(D1)에 대응하는 제 1 화구 버튼(F1)의 입력을 점등 기준 시간 이내에 획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점등 기준 시간 이내에 제 1 표시에 대응하는 제 1 입력이 획득되면, 제어부(10)는 단계(S53)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41)로 진행하여 절전 모드를 수행한다.
단계(S53)에서, 제어부(10)는 제 1 표시를 소등한 후 제 2 표시를 점등 기준 시간 동안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는 제 2 화구 표시(D2)를 점등 표시한다. 제어부(10)는 단계(S53)의 점등 표시를 수행하면서 단계(S55)로 진행한다.
단계(S55)에서, 제어부(10)는 제 2 표시의 점등 표시를 수행하면서, 점등 기준 시간 이내에 제 2 표시에 대응하는 제 2 입력을 입력부(3)로부터 획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는 제 2 화구 표시(D2)에 대응하는 제 2 화구 버튼(F2)의 입력을 점등 기준 시간 이내에 획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점등 기준 시간 이내에 제 2 표시에 대응하는 제 2 입력이 획득되면, 제어부(10)는 단계(S57)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41)로 진행하여 절전 모드를 수행한다.
단계(57)에서, 제어부(10)는 제 2 표시를 소등한 후 제 3 표시를 점등 기준 시간 동안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는 제 3 화구 표시(D3)를 점등 표시한다. 제어부(10)는 단계(S57)의 점등 표시를 수행하면서 단계(S59)로 진행한다.
단계(S59)에서, 제어부(10)는 제 3 표시의 점등 표시를 수행하면서, 점등 기준 시간 이내에 제 3 표시에 대응하는 제 3 입력을 입력부(3)로부터 획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는 제 3 화구 표시(D3)에 대응하는 제 3 화구 버튼(F3)의 입력을 점등 기준 시간 이내에 획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점등 기준 시간 이내에 제 3 표시에 대응하는 제 3 입력이 획득되면, 제어부(10)는 단계(S47)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41)로 진행하여 절전 모드를 수행한다.
상술된 단계(S49) 내지 (S59)에서의 안전 잠금 동작에서,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제 1 화구 표시, 제 2 화구 표시 및 제 3 화구 표시(D1, D2, D3) 가 순차적으로 점등 시간 동안만 점등되고 있으나, 제어부(10)는 기설정된 점등 순서(예를 들면, D2->D1->D3, D3->D1->D2 등)에 따라 제 1 내지 제 3 화구 표시(D1, D2, D3) 각각을 점등 시간 동안만 점등시키고, 입력부(3)로부터의 입력을 기준으로 하여 절전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의 모드 변환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안전 잠금 동작을 통해서, 사용자가 표시되는 표시에 대응하는 버튼 입력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야만 모드 변환이 수행되므로, 사람 이외의 반려 동물의 접촉으로 인한 모드 변환을 방지하여 화재 및 안전 사고도 예방한다.
또한, 제어부(10)는 상술된 실시예에서 3개의 표시를 점등시키고 있으나, 2개의 표시만의 순차적인 점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점등 순서는 입력부(3)의 버튼들의 배치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일정한 규칙성을 지닌 패턴 형태의 순서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전원부 3: 입력부
5: 동작부 7: 표시부
10: 제어부

Claims (10)

  1. 절전 모드와, 대기 모드 및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 전기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는:
    안전 잠금 기능의 설정 및 해제를 포함하는 안전 잠금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전기 기기의 고유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부와;
    복수의 입력을 위한 버튼들을 구비하는 입력부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안전 잠금 설정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안전 잠금 기능의 설정 시에 안전 잠금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입력부로부터 획득되는 복수의 버튼 입력들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거나 상기 절전 모드를 상기 대기 모드로 변환시키는 안전 잠금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입력부의 기설정된 제 1 버튼과 제 2 버튼의 동시 입력 유지 시간이 제 1 기준 시간을 초과하고 제 2 기준 시간 미만인 경우, 상기 절전 모드를 상기 대기 모드로 변환시키고,
    상기 동시 입력 유지 시간이 상기 제 1 기준 시간 이하이거나 상기 제 2 기준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안전 잠금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제 1 버튼과 제 2 버튼만이 동시에 입력된 경우에 상기 동시 입력 유지 시간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튼과 제 2 버튼 사이의 간격은 상기 안전 잠금 동작의 수행을 위해 일정 거리 이상이며, 상기 제 1 버튼과 제 2 버튼 사이에 다른 버튼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전기 기기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버튼과 제 2 버튼의 동시 입력을 획득하지 않으면 상기 안전 잠금 동작이 수행 중이며 상기 모드 변환을 위한 버튼 입력들에 대해서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버튼과 제 2 버튼 외의 다른 버튼이 추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5. 절전 모드와, 대기 모드 및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 전기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는:
    안전 잠금 기능의 설정 및 해제를 포함하는 안전 잠금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전기 기기의 고유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부와;
    복수의 입력을 위한 버튼들을 구비하는 입력부와;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안전 잠금 설정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안전 잠금 기능의 설정 시에 안전 잠금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입력부로부터 획득되는 복수의 버튼 입력들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거나 상기 절전 모드를 상기 대기 모드로 변환시키는 안전 잠금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되,
    상기 전기 기기는 상기 입력부의 상기 복수의 버튼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표시를 포함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안전 잠금 동작을 수행하면서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표시들 각각을 점등 기준 시간 동안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점등 표시 후 소등시키되, 점등된 표시들 각각에 대응되는 버튼 입력들 각각을 상기 점등 기준 시간 이내에 획득한 경우에, 상기 절전 모드를 상기 대기 모드로 변환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6. 삭제
  7.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기 모드를 수행하면서 상기 안전 잠금 기능에 대한 설정 및 해제 입력을 획득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8.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를 수행하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안전 잠금 설정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안전 잠금 기능의 설정 시에 상기 동작 모드의 수행 이후 잠금 기준 시간이 경과된 경우에, 버튼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튼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잠금 버튼의 입력 유지 시간이 해제 기준 시간을 경과한 경우에, 상기 버튼 잠금 기능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튼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잠금 버튼의 입력 유지 시간이 해제 기준 시간 이하이거나 상기 잠금 버튼 이외의 다른 버튼이 입력된 경우에,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버튼 잠금이 수행 중이고 상기 버튼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입력 가이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KR1020180141116A 2018-11-15 2018-11-15 전기 기기 KR102558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116A KR102558173B1 (ko) 2018-11-15 2018-11-15 전기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116A KR102558173B1 (ko) 2018-11-15 2018-11-15 전기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170A KR20200057170A (ko) 2020-05-26
KR102558173B1 true KR102558173B1 (ko) 2023-07-24

Family

ID=70915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116A KR102558173B1 (ko) 2018-11-15 2018-11-15 전기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17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4394A (ja) * 2012-07-05 2014-01-30 Sharp Corp 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8211A (ko) * 1997-12-30 1999-07-15 전주범 전자렌지의 어린이 보호용 잠금장치및 그 제어방법
TWI268079B (en) * 2004-12-10 2006-12-01 Giga Byte Tech Co Ltd Encryption device and method of handheld device for personal data securit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4394A (ja) * 2012-07-05 2014-01-30 Sharp Corp 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170A (ko) 202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451045U (zh) 一种电烹饪器的工作状态显示装置及电烹饪器
JP5368986B2 (ja) 加熱調理器
JP2007075481A (ja) 加熱調理器
CN101690388B (zh) 感应加热烹调器
CN107198433B (zh) 一种功能菜单显示方法、装置及电烹饪器
CN110089921A (zh) 一种养生壶的操作方法和养生壶
KR102558173B1 (ko) 전기 기기
KR102105924B1 (ko) 조리기기의 터치스위치 오조작 판단방법
CN205862138U (zh) 烹饪电器
JPH0493525A (ja) 電気調理器のスイッチ装置
KR200473450Y1 (ko) 차일드락 스위치를 포함하는 조리기
CN107589678A (zh) 烹饪电器及其状态切换控制方法
JP4196117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6699393B2 (ja) 加熱調理機器
JP4172400B2 (ja) 給湯機
JP2007285558A (ja) 加熱調理装置
KR102341097B1 (ko) 전기 조리기
JP2016039441A (ja) リモコン装置
JP2675518B2 (ja) 加熱機器の安全装置
CN204442794U (zh) 家用电器和家用电器的输入装置
JP3777597B2 (ja) 心電情報報知機能付き風呂給湯器
JP6218702B2 (ja) リモコン装置
KR102386128B1 (ko) 조리음기능을 탑재한 전기레인지 및 그의 제어방법
JP4617466B2 (ja) 加熱調理器
JP4882689B2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