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7724B1 -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7724B1
KR102557724B1 KR1020220077974A KR20220077974A KR102557724B1 KR 102557724 B1 KR102557724 B1 KR 102557724B1 KR 1020220077974 A KR1020220077974 A KR 1020220077974A KR 20220077974 A KR20220077974 A KR 20220077974A KR 102557724 B1 KR102557724 B1 KR 102557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chased
delivery
product
validation
dome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7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명만
김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이크웨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이크웨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이크웨이브
Priority to KR1020220077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7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7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39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including a method step for retrieval of the optical code
    • G06K7/1447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including a method step for retrieval of the optical code extracting optical codes from image or text carrying said optical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6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including quality enhancement steps
    • G06K7/1465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including quality enhancement steps using several successive scans of the optical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1Overseas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4Choice of carriers
    • G06Q10/08345Pri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소매상 계정으로부터 선택된 해외 쇼핑몰에 판매 등록된 물품 정보를 크롤링하여 소매상 계정이 운영하고 있는 국내 쇼핑몰에 업로드하는 물품 정보 업로드 단계; 소비자 계정으로부터 국내 쇼핑몰에 업로드된 물품 정보에 대한 구매 요청 정보가 소매상 계정으로 수신될 시, 구매 요청된 물품을 해외 쇼핑몰에서 구매하고, 물품의 배송지 정보를 해외 거점의 기 설정된 배송 대행지로 설정하는 배송 대행지 설정 단계; 구매 물품이 배송 대행지로 입고될 시, 배송 대행지에 구비된 유효성 검증 수단을 이용하여 배송된 물품의 유효성을 검증을 수행하는 유효성 검증 단계; 및, 배송 대행지에서 유효성 검증이 완료된 구매 물품에 대한 배송비를 산출하여, 소비자 계정이 입력한 국내의 배송지로 발송 처리하는 발송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OF PROVIDING PLATFORM FOR GOODS DELIVERY AGENCY SERVICE}
본 발명은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국내로 직배송을 지원하지 않는 해외 쇼핑몰에 판매 등록된 물품을 국내의 쇼핑몰을 이용하는 소비자 측에 제공하고, 소비자로부터 일 물품에 대한 구매 요청이 있을 시, 해외 쇼핑몰에서 물품을 구매하여 소비자가 배송 받기를 희망하는 국내의 배송지로 배송을 대행하도록 하는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 제공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전자상거래가 급속 성장하면서, 해외직구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수 및, 이용 계층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한국 소비자원의 조사에 따르면 해외직구를 경험한 소비자들이 대다수가 국내 구매 가격 대비 해외 구매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여 해외 직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해외 직구 시 해외 쇼핑몰이 자국에만 물품을 배송하는 경우가 많고, 국내와 다른 주소 체계를 이용하며, 배송 과정이 복잡하고, 국가별 언어의 차이에 따른 문제로 해외 직구에 어려움을 겪는 이용자들이 많았으며, 이에 해외직구와 관련된 배송 대행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있다.
일 예로서, 한국 등록 특허 제10-1786732호에서는 해외 쇼핑몰이 있는 지역에 거점하여, 소비자가 구매한 물품을 대신 받을 배송 주소를 제공하여 주고, 배송 주소에 물품이 입고하면 검수하여 최종 소비자가 위치하여 있는 국내로 배송을 대행하여 주는 배송 대행 서비스에 대한 기술이 제안된다.
한편 상술한 배송 대행 서비스의 경우, 해외 쇼핑몰에서 국내로 직배송을 지원하지 않을 경우, 소비자가 물건을 구입하기 어려웠던 문제를 해소하여 줄 수 있었으나, 배송 대행지 측에서의 물품 관리에 대한** 모니터링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로, 물품의 파손, 누락 등의 사고 발생 시, 해외 쇼핑몰 측의 문제인지 배송 대행사 측의 문제인지 그 책임 소재가 명확하지 않은 문제로 구매 물품의 사고 발생 시 소비자 측에 심각한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국내로 직배송을 지원하지 않는 해외 쇼핑몰에 판매 등록된 물품을 국내의 쇼핑몰을 이용하는 소비자 측에 제공하고, 소비자로부터 일 물품에 대한 구매 요청이 있을 시, 해외 쇼핑몰에서 물품을 구매하여 소비자가 배송 받기를 희망하는 국내의 배송지로 배송을 대행하도록 하는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에 일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송 대행지에서 구매 물품의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고, 유효성 검증 결과를 소매상 계정, 소비자 계정 및 배송 대행지 관리자 계정에 모니터링 데이터로 제공하여, 배송 대행지에서의 구매 물품 처리 현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방법은, 소매상 계정으로부터 선택된 해외 쇼핑몰에 판매 등록된 물품 정보를 크롤링하여 소매상 계정이 운영하고 있는 국내 쇼핑몰에 업로드하는 물품 정보 업로드 단계; 소비자 계정으로부터 국내 쇼핑몰에 업로드된 물품 정보에 대한 구매 요청 정보가 소매상 계정으로 수신될 시, 구매 요청된 물품을 해외 쇼핑몰에서 구매한 뒤, 물품의 배송지 정보를 해외 거점의 기 설정된 배송 대행지로 설정하는 배송 대행지 설정 단계; 구매 물품이 배송 대행지로 입고될 시, 배송 대행지에 구비된 유효성 검증 수단을 이용하여 배송된 물품의 유효성을 검증을 수행하는 유효성 검증 단계; 및, 배송 대행지에서 유효성 검증이 완료된 구매 물품에 대한 배송비를 산출하여, 소비자 계정이 입력한 국내의 배송지로 발송 처리하는 국내 발송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술한 유효성 검증 단계는, 유효성 검증 수단으로 구매 물품의 송장을 스캔하여 송장 정보를 독출하는 OCR 스캐너 및, 구매 물품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구비됨으로써, OCR 스캐너를 이용하여 송장에서 독출되는 물품 정보 및 통관부호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가 구매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구매 물품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는 제1 유효성 검증 단계; 및, 카메라를 이용하여 구매 물품의 외관 특성을 3차원 모델링 객체로 구현하여 포장 상태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는 제2 유효성 검증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제1 유효성 검증 단계 및 제2 유효성 검증 단계의 수행 결과는, 클라우드 서버에 모니터링 데이터로 관리되어,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한 배송 대행지의 관리자 계정, 소매상 계정 및 소비자 계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계정으로 공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제2 유효성 검증 단계의 수행 결과, 구매 물품의 포장 상태가 기 설정된 포장 기준을 미충족할 경우, 포장 기준을 미충족하는 구매 물품을 선별하여, 배송 대행지를 관리하는 관리자 계정에 선별된 구매 물품의 재포장을 지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국내 발송 처리 단계의 수행 시, 배송비의 산출은, 3차원 카메라 및 하중 센서를 이용하여 구매 물품의 부피 및 무게를 측정하여, 측정된 부피 및 무게에 따른 배송비를 산출하고, 산출된 배송비를 소비자 계정 측에 안내하여, 배송 대행지 측으로 산출된 배송비의 납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국내 발송 처리 단계의 수행 시, 유효성 검증이 완료된 구매 물품 중, 동일한 국내의 배송지로 발송 처리되는 둘 이상의 구매 물품이 확인될 시, 소비자 계정에 묶음 배송 여부를 질의하고, 소비자 계정에서의 응답으로 묶음 배송 요청이 수신될 시, 둘 이상의 구매 물품을 묶음 배송하여 국내의 배송지로 발송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구매 물품의 묶음 배송은, 묶음 배송되는 구매 물품의 상한 수량이 설정되어 있고, 둘 이상의 구매 물품을 묶음 배송 처리할 시, 각각의 구매 물품에 대한 가액을 고려하여 관부가세의 추가 납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수량으로 묶음 대상 구매 물품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 제공 장치는, 소매상 계정으로부터 선택된 해외 쇼핑몰에 판매 등록된 물품 정보를 크롤링하여 소매상 계정이 운영하고 있는 국내 쇼핑몰에 업로드하는 물품 정보 업로드부; 소비자 계정으로부터 국내 쇼핑몰에 업로드된 물품 정보에 대한 구매 요청 정보가 소매상 계정으로 수신될 시, 구매 요청된 물품을 해외 쇼핑몰에서 구매한 뒤, 물품의 배송지 정보를 해외 거점의 기 설정된 배송 대행지로 설정하는 배송 대행지 설정부; 구매 물품이 배송 대행지로 입고될 시, 배송 대행지에 구비된 유효성 검증 수단을 이용하여 배송된 물품의 유효성을 검증을 수행하는 유효성 검증부; 및, 배송 대행지에서 유효성 검증이 완료된 구매 물품에 대한 배송비를 산출하여, 소비자 계정이 입력한 국내의 배송지로 발송 처리하는 국내 발송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한편,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소매상 계정으로부터 선택된 해외 쇼핑몰에 판매 등록된 물품 정보를 크롤링하여 소매상 계정이 운영하고 있는 국내 쇼핑몰에 업로드하는 물품 정보 업로드 단계; 소비자 계정으로부터 국내 쇼핑몰에 업로드된 물품 정보에 대한 구매 요청 정보가 소매상 계정으로 수신될 시, 구매 요청된 물품을 해외 쇼핑몰에서 구매한 뒤, 물품의 배송지 정보를 해외 거점의 기 설정된 배송 대행지로 설정하는 배송 대행지 설정 단계; 구매 물품이 배송 대행지로 입고될 시, 배송 대행지에 구비된 유효성 검증 수단을 이용하여 배송된 물품의 유효성을 검증을 수행하는 유효성 검증 단계; 및, 배송 대행지에서 유효성 검증이 완료된 구매 물품에 대한 배송비를 산출하여, 소비자 계정이 입력한 국내의 배송지로 발송 처리하는 국내 발송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국내로 직배송을 지원하지 않는 해외 쇼핑몰에 판매 등록된 물품을 국내의 쇼핑몰을 이용하는 소비자 측에 제공하고, 소비자로부터 일 물품에 대한 구매 요청이 있을 시, 해외 쇼핑몰에서 물품을 구매하여 소비자가 배송 받기를 희망하는 국내의 배송지로 배송을 대행하도록 하는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국내의 소비자들로 하여금 해외 쇼핑몰에서 취급되는 물품의 구매 편의를 증진하여 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소매상의 경우 국내 쇼핑몰만 구축하여 두면, 소비자의 물품 구매 요청이 있을 시, 해외 쇼핑몰에서 물품을 구입하여 배송 대행지를 거쳐 소비자 측에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물품의 재고를 쌓아둘 별도의 창고가 요구되지 아니하여 쇼핑몰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이에 소자본으로 국내의 쇼핑몰을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의 운영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외 쇼핑몰의 물품 정보가 국내 쇼핑몰로 크롤링되어 업로드되는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배송 대행지에서 구매 물품의 유효성 검증이 수행되는 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묶음 배송 처리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 제공 장치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방법과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직배송을 지원하지 않는 해외 쇼핑몰에 판매 등록된 물품을 국내의 쇼핑몰을 이용하는 소비자 측에 제공하고, 소비자로부터 일 물품에 대한 구매 요청이 있을 시, 해외 쇼핑몰에서 물품을 구매하여 소비자가 배송 받기를 희망하는 국내의 배송지로 배송을 대행하도록 하는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에 제1 목적이 있고, 배송 대행지에서 구매 물품의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고, 유효성 검증 결과를 소매상 계정, 소비자 계정 및 배송 대행지 관리자 계정에 모니터링 데이터로 제공하여, 배송 대행지에서의 구매 물품 처리 현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언급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하나 이상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방법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매상 계정으로부터 선택된 해외 쇼핑몰에 판매 등록된 물품 정보를 크롤링하여 소매상 계정이 운영하고 있는 국내 쇼핑몰에 업로드하는 물품 정보 업로드 단계(S10)가 수행되게 된다.
이때, 상술한 소매상 계정이라 함은, 물품을 소비자에게 직접 제공하기 위한 소매 활동을 하는 유저의 계정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소매상 계정에 사업자등록증을 요청하여 사업자등록증 상의 업태와 종목을 확인한 후, 소매상으로 인증된 유저 계정에 소매상 계정을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S10 단계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해외 쇼핑몰에 판매 등록된 물품 정보를 크롤링하여 소매상 계정이 운영하고 있는 국내 쇼핑몰에 물품 정보를 업로드하는 처리가 수행된다.
이때 상술한 S10 단계에서는 공지의 크롤링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해외 쇼핑몰에 판매 등록된 물품 정보를 국내 쇼핑몰로 크롤링 처리할 수 있을 것이고, 번역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외 쇼핑몰의 국가 정보를 확인하여 국내 쇼핑몰에 대응되는 자국어로 번역 처리하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음이 당연하다.
한 실시 예로서,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도 4의 A에서는 해외 쇼핑몰에 판매 등록된 물품 정보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의 B에서는 소매상 계정으로부터 도 4의 A에 대한 해외 쇼핑몰에 판매 등록된 물품 정보의 크롤링이 이루어져 국소매상 계정이 운영하는 국내 쇼핑몰에 해외 쇼핑몰 A에서 판매되는 물품 정보가 그대로 수집된 예를 살펴볼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에서는 도 4의 A의 물품 정보를 수집하되, 물품 정보에 대한 세부 정보들을 국내의 쇼핑몰에서 통용되는 언어로 번역 처리(해외 쇼핑몰이 중국이고, 국내 쇼핑몰이 한국의 쇼핑몰일 경우, 중국어가 한국어로 번역 처리)되어 있는 예를 살펴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국내 쇼핑몰에 접속한 다수의 소비자 계정에서 모국어로 해외 쇼핑몰에서 취급되는 물품의 소개 정보를 안내 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때 상술한 S10 단계에서는 해외 쇼핑몰에서 물품 정보를 크롤링하여 국내 쇼핑몰에 물품 정보들이 업로드될 시, 크롤링된 물품 정보 중, 물품이 포장되는 포장재에 대한 부피 정보 및, 물품의 실질 무게 정보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본 발명에서는 소비자 계정에서 구매하려는 물품의 예상 배송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인데 구체적인 배송비 산출 기준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만 이때 본 발명에서는 단순 수치적인 배송비를 제공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소비자 계정이 소매상이 운영하는 국내 쇼핑몰에서의 물품 구매 이력이 있는 소비자 계정일 경우, 소비자 계정에서 기 구매한 물품을 단위 유닛으로 이용하여 배송비를 안내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물품 A에 대한 배송비가 무게 기준으로 산출되고, 물품 A에 대한 무게가 10Kg이고, 소비자 계정에서 기 구매한 물품 중 2.5Kg의 물품 B가 존재하는 경우, 예상 배송비에 대한 정보로서, 물품 A에 대한 예상 배송비 정보로서, 소비자 계정의 유저 인터페이스에 물품 B를 4개 배송하는 것과 같다는 시각화 데이터를 출력하여 예상 배송비에 대한 안내를 소비자 계정이 쉽게 인지할 수 있는 형태로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배송 대행지에서 실질적인 배송비가 산출되기 이전, 국내 쇼핑몰을 통해 해외에서 취급되는 물품을 구매하려는 소비자 계정 측에 물품의 실질 구매 가격(물품 자체에 대한 가격 + 예산 배송비)을 안내하여 줄 수 있어 소비자 계정의 국내 쇼핑몰 이용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상술한 S10 단계의 수행 후에는 소비자 계정으로부터 국내 쇼핑몰에 업로드된 물품 정보에 대한 구매 요청 정보가 소매상 계정으로 수신될 시, 구매 요청된 물품을 해외 쇼핑몰에서 구매한 뒤, 물품의 배송지 정보를 해외 거점의 기 설정된 배송 대행지로 설정하는 배송 대행지 설정 단계(S20)가 수행된다.
이때 상술한 물품 정보에 대한 구매 요청 정보로는, 물품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와 함께, 소비자 계정이 물품을 배송 받을 배송지 정보가 포함될 수 있을 것이고, 해외 배송이 이루어지는 특성 상, 소비자 계정의 실명, 연락처, 관세청이 부여한 통관부호(또는 개인통관고유부호) 정보가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해외 거점의 기 설정된 배송 대행지라 함은, 상기 해외 쇼핑몰의 국가 정보에 대응되는 지역에 거점하여 있는 배송 대행지일 수도 있을 것이나, 상기 해외 쇼핑몰에서 직배송을 지원하는 타국에 거점하여 있는 배송 대행지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상술한 S20 단계의 수행 후에는, 구매 물품이 배송 대행지로 입고될 시, 배송 대행지에 구비된 유효성 검증 수단을 이용하여 배송된 물품의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는 유효성 검증 단계(S30)가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S30 단계에서는 유효성 검증 수단으로 구매 물품의 송장을 스캔하여 송장 정보를 독출하는 OCR 스캐너 및, 구매 물품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술한 유효성 검증 수단을 이용하여 적어도 2 단계로 이루어진 유효성 검증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도 2를 동시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S30 단계는 OCR 스캐너를 이용하여 송장에서 독출되는 물품 정보 및 통관 부호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가 구매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구매 물품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제1 유효성 검증 단계(S31)가 수행되며, S31 단계의 수행 후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구매 물품의 외관 특성을 3차원 모델링 객체로 구현하여 포장 상태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는 제2 유효성 검증 단계(S32)가 수행되게 된다.
이러한 S31 단계 및 S32 단계에 대한 실시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5의 A를 참조하여 보면 도 5의 A에서는 OCR 스캐너가 구매 물품의 송장에서 독출한 송장 스캔 정보와 구매 요청 정보 상의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송장 스캔 정보와 구매 요청 정보가 일치할 경우, 통관 보류의 우려가 없어 S31단계의 유효성 검증을 통과한 것으로 유효성 검증 결과를 도출할 수 있고, 도 5의 A의 실시 예와 달리 송장 스캔 정보와 구매 요청 정보가 불일치할 경우, 통관이 보류될 것이기에 유효성 검증을 미통과한 것으로 유효성 검증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B를 참조하여 보면 도 5의 B에서는 카메라를 통해 구매 물품을 촬영한 뒤, 촬영 영상으로부터 구매 물품의 외관 특성을 3차원 모델링 객체로 구현하여 포장 상태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술한 카메라는 적어도 구매 물품의 전면, 배면, 좌측면, 우측면 및 평면에 대한 촬영 영상을 획득함으로써 구매 물품의 포장 상태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복수 개의 카메라가 이용되거나, 기 설정된 각도(예를 들어 360도)로 회전하면서 촬영을 수행하는 회전 카메라가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촬영 영상을 3차원 모델링 객체로 구현하기 위하여 2차원의 영상을 3차원 모델링 객체로 생성하여 주는 GANverse3D 프로그램, DIB-R 프로그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매 물품의 촬영 영상에서 파악된 외관 형상에 대응하는 3차원 모델링 객체를 도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렇게 도출된 3차원 모델링 객체는 포장재의 종류에 따른 정상 포장 상태와 비정상 포장 상태에 대한 데이터 셋이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구매 물품의 포장 상태가 양호한지 또는 불량한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1의 S32 단계의 수행 결과, 구매 물품의 포장 상태가 기 설정된 포장 기준을 미충족할 경우에는 포장 기준을 미충족하는 구매 물품을 별도 선별하여 배송 대행지를 관리하는 관리자 계정에 선별된 구매 물품의 재포장을 지시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소비자 측에 구매 물품이 배송되는 과정 중, 구매 물품의 포장 상태가 불량하여 구매 물품이 파손되거나, 누락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술한 S31 단계 및 S32 단계의 수행 결과는 클라우드 서버에 모니터링 데이터로 관리되어,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한 배송 대행지의 관리자 계정, 소매상 계정 및 소비자 계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계정으로 공유되도록 하여, 구매 물품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계정들에 구매 물품에 대한 유효성 검증 결과를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로서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전술한 S30 단계의 수행 후에는, 배송 대행지에서 유효성 검증이 완료된 구매 물품에 대한 배송비를 산출하여 소비자 계정이 입력한 국내의 배송지로 발송 처리하는 국내 발송 처리 단계(S40)가 수행되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배송비의 산출은 3차원 카메라 및 하중 센서를 이용하여 구매 물품의 부피 및 무게를 측정하여, 측정된 부피 및 무게에 따른 배송비가 산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배송 대행지에서는 구매 물품의 포장재에 측정된 부피를 무게로 환산한 부피무게 및 구매 물품의 실질 무게(중량) 중 더 큰 무게를 갖는 값을 기준으로 배송비를 산출한다.
한 예로서, 중국에 위치한 배송 대행지의 경우 부피 무게의 산출 공식으로 가로(cm)*세로(cm)*높이(cm))/5,000의 수식을 이용하고 있으며, 일 예로서, 구매 물품의 포장재가 갖는 가로, 세로, 높이가 각 30cm, 20cm, 15cm이고, 구매 물품의 실질 무게는 1.5Kg일 경우, 배송비는 상대적으로 더 무거운 무게를 갖는 부피 무게(1.8Kg)를 기준으로 산출될 수 있으며, 부피무게 및 실질 무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무게가 증가할수록 배송비 역시 늘어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이렇게 산출된 배송비는 소비자 계정 측에 안내되어, 배송 대행지 측으로 산출된 배송비의 납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고, 배송비의 납부가 완료될 시 배송 대행지 측에서는 구매 물품을 소비자 측에 발송 처리하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술한 배송비는 해외 쇼핑몰에서 구매 물품의 부피 무게 및 실질 무게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시, 상술한 3차원 카메라 및 하중 센서를 이용하지 않고, 해외 쇼핑몰에서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배송비를 산출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S40 단계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서는 배송 대행지에서 유효성 검증이 완료된 구매 물품 중 동일한 국내의 배송지로 발송 처리되는 둘 이상의 구매 물품이 확인될 시, 소비자 계정에 묶음 배송 여부를 질의하고, 소비자 계정에서의 응답으로 묶음 배송 요청이 수신될 시, 둘 이상의 구매 물품을 묶음 배송하여 국내의 배송지로 발송 처리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물론 이때, 상술한 구매 물품의 묶음 배송은 묶음 배송 되는 구매 물품의 상한 수량이 설정(예를 들어 최대 5개)되어 있고, 둘 이상의 구매 물품을 묶음 배송 처리할 시, 각각의 구매 물품에 대한 가액을 고려하여 구매 물품이 국내로 반입될 시 관부가세의 납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수량으로 묶음 대상 구매 물품을 구성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묶음 배송 시, 구매 물품의 가액이 면세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묶음 배송 처리하여 관부가세의 납부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 예로서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소비자 계정에서 구매한 구매 물품이 4개이고, 묶음 배송에 대한 질의에 대한 응답으로 묶음 배송 요청이 수신되었을 시, 본 발명에서는 4개의 구매 물품을 하나로 묶음 배송 처리하기 보다는, 각각의 구매 물품에 대한 가액을 고려하여, 면세 한도(예를 들어 150$)를 초과하지 않도록 묶음 배송 대상이 되는 구매 물품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에서는 구매 물품 A, B, C, D의 가액이 100$, 35$, 60$, 80$로, 면세 한도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로 묶음 배송을 처리하기 위하여 구매 물품 A와 B를 하나로 묶음 배송 처리하고, 구매 물품 C와 D를 다른 하나로 묶음 배송 처리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기능 수행에 의하여 소비자 계정에서의 배송비 부담을 크게 경감하여 줄 수 있음과 동시에 소비자 계정으로 하여금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 이용 만족도를 크게 증대하여 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에서는 전술한 도 1의 S10 내지 S40 단계의 수행에 따른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의 개략적인 운영 개념도가 나타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에서는 국내 쇼핑몰을 운영하는 소매상 계정이 해외 쇼핑몰의 물품 정보를 크롤링하여 해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물품 정보들을 국내 쇼핑몰에 업로드하고, 국내 쇼핑몰을 이용하는 소비자 계정으로부터 물품에 대한 구매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일 소비가 계정에서 국내 쇼핑몰에 등록된 물품에 대한 구매 요청이 수신되면, 소매상 계정은 해외 쇼핑몰에서 대응되는 물품을 구매한 뒤, 해외에 거점하여 있는 배송 대행지 주소를 넘겨줌으로써 해외 쇼핑몰에서 배송 대행지 측으로 구매 물품이 1차적으로 배송되게 한다.
이후 배송 대행지에서는 전술한 유효성 검증 수단을 이용하여 구매 물품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한 뒤, 구매 물품을 소비자가 있는 국내로 발송하여 구매 물품을 실질적은 구매자인 소비자 측에 2차 배송하는 과정이 수행되게 되는 것이다.
즉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건대, 본 발명에서는 국내로 직배송을 지원하지 않는 해외 쇼핑몰에 판매 등록된 물품을 국내의 쇼핑몰을 이용하는 소비자 측에 제공하고, 소비자로부터 일 물품에 대한 구매 요청이 있을 시, 해외 쇼핑몰에서 물품을 구매하여 소비자가 배송 받기를 희망하는 국내의 배송지로 배송을 대행하도록 하는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국내의 소비자들로 하여금 해외 쇼핑몰에서 취급되는 물품의 구매 편의를 증진하여 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소매상의 경우 국내 쇼핑몰만 구축하여 두면, 소비자의 물품 구매 요청이 있을 시, 해외 쇼핑몰에서 물품을 구입하여 배송 대행지를 거쳐 소비자 측에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물품의 재고를 쌓아둘 별도의 창고가 요구되지 아니하여 쇼핑몰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이에 소자본으로 국내의 쇼핑몰을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 제공 장치(10)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6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 제공 장치(10)는 바람직하게 물품 정보 업로드부(11), 배송 대행지 설정부(12), 유효성 검증부(13) 및 국내 발송 처리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물품 정보 업로드부(11)는 소매상 계정으로부터 선택된 해외 쇼핑몰(20)에 판매 등록된 물품 정보를 크롤링하여 소매상 계정이 운영하고 있는 국내 쇼핑몰(30)에 크롤링된 물품 정보를 업로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물품 정보 업로드부(11)는 도 1의 S1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고, 이러한 물품 정보 업로드부(11)의 기능 수행에 의하면, 소매상 계정 측면으로는 큰 수고를 들이지 않고 해외 쇼핑몰(20)에서 취급되는 물품들을 국내 쇼핑몰(30)로 스크래핑해옴으로써 국내 쇼핑몰(30)의 운영 관리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소비자 계정(50) 측면으로는, 해외 쇼핑몰(20)에서 취급되는 물품들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고, 모국어로 물품 정보의 설명을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물품의 쇼핑 편의가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배송 대행지 설정부(12)는 소비자 계정(50)으로부터 국내 쇼핑몰(30)에 업로드된 물품 정보에 대한 구매 요청 정보가 소매상 계정으로 수신될 시, 구매 요청된 물품을 해외 쇼핑몰(20)에서 구매 처리한 뒤, 물품의 배송지 정보를 해외 거점의 기 설정된 배송 대행지로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술한 배송 대행지 설정부(12)는 도 1의 S2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함이 바람직할 것이고,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배송 대행지 설정부(12)의 기능 수행에 의하면, 해외 쇼핑몰(20)이 소비자가 원하는 국내지역으로의 직배송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배송 대행지가 해외 쇼핑몰(20)과 국내 지역의 브릿지 역할을 하여, 해외 쇼핑몰(20)에서 취급되는 물품의 구매를 지원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음으로 상술한 유효성 검증부(13)는 구매 물품이 배송 대행지로 입고될 시, 배송 대행지에 구비된 유효성 검증 수단을 이용하여 배송된 물품의 유효성 검증을 수행한다.
이때 상술한 유효성 검증 수단은 구매 물품의 송장을 스캔하여 송장 정보를 독출하는 OCR 스캐너 및, 구매 물품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고, 세부적으로는 OCR 스캐너를 이용하여 송장에서 독출되는 물품 정보 및 통관 부호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가 구매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유효성 검증부 및, 카메라를 이용하여 구매 물품의 외관 특성을 3차원 모델링 객체로 구현하여 포장 상태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는 제2 유효성 검증부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유효성 검증부(13)의 기능 수행 결과는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되어,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한 배송 대행지의 관리자 계정, 소매상 계정 및 소비자 계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계정(40)으로 공유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술한 유효성 검증부(13)는 전술한 도 1의 S20 단계 또는 S20, S21 및 S22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유효성 검증부(13)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구매 물품의 오배송, 분실 및 파손 등의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음으로 상술한 국내 발송 처리부(14)는 배송 대행지에서 유효성 검증이 완료된 구매 물품에 대한 배송비를 산출하여 소비자 계정(50)이 입력한 국내의 배송지로 발송 처리하는 기능이 수행된다.
즉 상술한 국내 발송 처리부(14)는 전술한 도 1의 S4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할 것이고,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국내 발송 처리부(14)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소비자 계정(50)에 합리적인 배송 비용을 청구하고, 소비가 계정이 구매 요청한 구매 물품을 국내로 안전하게 배송 처리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7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8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8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8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8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9)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방법에 있어서,
    소매상 계정으로부터 선택된 해외 쇼핑몰에 판매 등록된 물품 정보를 크롤링하여 상기 소매상 계정이 운영하고 있는 국내 쇼핑몰에 업로드하는 물품 정보 업로드 단계;
    소비자 계정으로부터 상기 국내 쇼핑몰에 업로드된 물품 정보에 대한 구매 요청 정보가 상기 소매상 계정으로 수신될 시, 구매 요청된 물품을 상기 해외 쇼핑몰에서 구매한 뒤, 상기 물품의 배송지 정보를 해외 거점의 기 설정된 배송 대행지로 설정하는 배송 대행지 설정 단계;
    구매 물품이 상기 배송 대행지로 입고될 시, 상기 배송 대행지에 구비된 유효성 검증 수단을 이용하여 배송된 물품의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는 유효성 검증 단계; 및,
    상기 배송 대행지에서 유효성 검증이 완료된 구매 물품에 대한 배송비를 산출하여, 상기 소비자 계정이 입력한 국내의 배송지로 발송 처리하는 국내 발송 처리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유효성 검증 단계는,
    상기 유효성 검증 수단으로 상기 구매 물품의 송장을 스캔하여 송장 정보를 독출하는 OCR 스캐너 및, 상기 구매 물품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OCR 스캐너를 이용하여 상기 송장에서 독출되는 물품 정보 및 통관부호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가 상기 구매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구매 물품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는 제1 유효성 검증 단계; 및,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구매 물품의 외관 특성을 3차원 모델링 객체로 구현하여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포장 상태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여 기준 미충족 시 재포장을 지시하는 제2 유효성 검증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국내 발송 처리 단계의 수행 시,
    상기 유효성 검증이 완료된 구매 물품 중, 동일한 국내의 배송지로 발송 처리되는 둘 이상의 구매 물품이 확인될 시,
    상기 소비자 계정에 묶음 배송 여부를 질의하고, 상기 소비자 계정에서의 응답으로 묶음 배송 요청이 수신될 시, 상기 둘 이상의 구매 물품을 묶음 배송하여 국내의 배송지로 발송 처리하고,
    상기 구매 물품의 묶음 배송은, 묶음 배송되는 구매 물품의 상한 수량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둘 이상의 구매 물품을 묶음 배송 처리할 시, 하나로 묶음 배송 처리하기 보다는, 각각의 구매 물품에 대한 가액을 고려하여 면세 한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관부가세의 추가 납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수량으로 묶음 배송 대상이 되는 구매 물품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효성 검증 단계 및 상기 제2 유효성 검증 단계의 수행 결과는,
    클라우드 서버에 모니터링 데이터로 관리되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한 상기 배송 대행지의 관리자 계정, 상기 소매상 계정 및 상기 소비자 계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계정으로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효성 검증 단계의 수행 결과,
    상기 구매 물품의 포장 상태가 기 설정된 포장 기준을 미충족할 경우,
    포장 기준을 미충족하는 구매 물품을 선별하여, 상기 배송 대행지를 관리하는 관리자 계정에 선별된 구매 물품의 재포장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국내 발송 처리 단계의 수행 시,
    상기 배송비의 산출은,
    3차원 카메라 및 하중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구매 물품의 부피 및 무게를 측정하여, 측정된 부피 및 무게에 따른 배송비를 산출하고,
    산출된 배송비를 상기 소비자 계정 측에 안내하여, 상기 배송 대행지 측으로 상기 산출된 배송비의 납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방법.
  6. 삭제
  7. 삭제
  8.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 제공 장치에 있어서,
    소매상 계정으로부터 선택된 해외 쇼핑몰에 판매 등록된 물품 정보를 크롤링하여 상기 소매상 계정이 운영하고 있는 국내 쇼핑몰에 업로드하는 물품 정보 업로드부;
    소비자 계정으로부터 상기 국내 쇼핑몰에 업로드된 물품 정보에 대한 구매 요청 정보가 상기 소매상 계정으로 수신될 시, 구매 요청된 물품을 상기 해외 쇼핑몰에서 구매한 뒤, 상기 물품의 배송지 정보를 해외 거점의 기 설정된 배송 대행지로 설정하는 배송 대행지 설정부;
    구매 물품이 상기 배송 대행지로 입고될 시, 상기 배송 대행지에 구비된 유효성 검증 수단을 이용하여 배송된 물품의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는 유효성 검증부; 및,
    상기 배송 대행지에서 유효성 검증이 완료된 구매 물품에 대한 배송비를 산출하여, 상기 소비자 계정이 입력한 국내의 배송지로 발송 처리하는 국내 발송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효성 검증부는,
    상기 유효성 검증 수단으로 상기 구매 물품의 송장을 스캔하여 송장 정보를 독출하는 OCR 스캐너 및, 상기 구매 물품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OCR 스캐너를 이용하여 상기 송장에서 독출되는 물품 정보 및 통관부호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가 상기 구매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구매 물품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는 제1 유효성 검증부; 및,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구매 물품의 외관 특성을 3차원 모델링 객체로 구현하여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포장 상태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여 기준 미충족 시 재포장을 지시하는 제2 유효성 검증부;를 수행하고,
    상기 국내 발송 처리부의 수행 시,
    상기 유효성 검증이 완료된 구매 물품 중, 동일한 국내의 배송지로 발송 처리되는 둘 이상의 구매 물품이 확인될 시,
    상기 소비자 계정에 묶음 배송 여부를 질의하고, 상기 소비자 계정에서의 응답으로 묶음 배송 요청이 수신될 시, 상기 둘 이상의 구매 물품을 묶음 배송하여 국내의 배송지로 발송 처리하고,
    상기 구매 물품의 묶음 배송은, 묶음 배송되는 구매 물품의 상한 수량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둘 이상의 구매 물품을 묶음 배송 처리할 시, 하나로 묶음 배송 처리하기 보다는, 각각의 구매 물품에 대한 가액을 고려하여 면세 한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관부가세의 추가 납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수량으로 묶음 배송 대상이 되는 구매 물품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 제공 장치.
  9.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소매상 계정으로부터 선택된 해외 쇼핑몰에 판매 등록된 물품 정보를 크롤링하여 상기 소매상 계정이 운영하고 있는 국내 쇼핑몰에 업로드하는 물품 정보 업로드 단계;
    소비자 계정으로부터 상기 국내 쇼핑몰에 업로드된 물품 정보에 대한 구매 요청 정보가 상기 소매상 계정으로 수신될 시, 구매 요청된 물품을 상기 해외 쇼핑몰에서 구매한 뒤, 상기 물품의 배송지 정보를 해외 거점의 기 설정된 배송 대행지로 설정하는 배송 대행지 설정 단계;
    구매 물품이 상기 배송 대행지로 입고될 시, 상기 배송 대행지에 구비된 유효성 검증 수단을 이용하여 배송된 물품의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는 유효성 검증 단계; 및,
    상기 배송 대행지에서 유효성 검증이 완료된 구매 물품에 대한 배송비를 산출하여, 상기 소비자 계정이 입력한 국내의 배송지로 발송 처리하는 국내 발송 처리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유효성 검증 단계는,
    상기 유효성 검증 수단으로 상기 구매 물품의 송장을 스캔하여 송장 정보를 독출하는 OCR 스캐너 및, 상기 구매 물품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OCR 스캐너를 이용하여 상기 송장에서 독출되는 물품 정보 및 통관부호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가 상기 구매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구매 물품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는 제1 유효성 검증 단계; 및,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구매 물품의 외관 특성을 3차원 모델링 객체로 구현하여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포장 상태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여 기준 미충족 시 재포장을 지시하는 제2 유효성 검증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국내 발송 처리 단계의 수행 시,
    상기 유효성 검증이 완료된 구매 물품 중, 동일한 국내의 배송지로 발송 처리되는 둘 이상의 구매 물품이 확인될 시,
    상기 소비자 계정에 묶음 배송 여부를 질의하고, 상기 소비자 계정에서의 응답으로 묶음 배송 요청이 수신될 시, 상기 둘 이상의 구매 물품을 묶음 배송하여 국내의 배송지로 발송 처리하고,
    상기 구매 물품의 묶음 배송은, 묶음 배송되는 구매 물품의 상한 수량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둘 이상의 구매 물품을 묶음 배송 처리할 시, 하나로 묶음 배송 처리하기 보다는, 각각의 구매 물품에 대한 가액을 고려하여 면세 한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관부가세의 추가 납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수량으로 묶음 배송 대상이 되는 구매 물품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220077974A 2022-06-27 2022-06-27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557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974A KR102557724B1 (ko) 2022-06-27 2022-06-27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974A KR102557724B1 (ko) 2022-06-27 2022-06-27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7724B1 true KR102557724B1 (ko) 2023-07-20

Family

ID=87426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7974A KR102557724B1 (ko) 2022-06-27 2022-06-27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72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2260A (ko) * 2008-06-20 2009-12-30 전달용 국내외에서의 주문과 배송 시작 후 교환 반품 등이용이하게 하게하며, 배송료를 줄일 수 있는 방법
KR20140126590A (ko) * 2013-04-23 2014-10-31 현대로지스틱스 주식회사 해외 배송 대행창고에 입고된 상품의 시각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1934807B1 (ko) * 2017-11-15 2019-01-03 고권석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
KR20190007871A (ko) * 2017-07-14 2019-01-23 십일번가 주식회사 해외 구매 대행을 위한 전자상거래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34920B1 (ko) * 2019-09-11 2021-12-03 위킵(주) 풀필먼트 기반의 물류 및 배송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2260A (ko) * 2008-06-20 2009-12-30 전달용 국내외에서의 주문과 배송 시작 후 교환 반품 등이용이하게 하게하며, 배송료를 줄일 수 있는 방법
KR20140126590A (ko) * 2013-04-23 2014-10-31 현대로지스틱스 주식회사 해외 배송 대행창고에 입고된 상품의 시각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190007871A (ko) * 2017-07-14 2019-01-23 십일번가 주식회사 해외 구매 대행을 위한 전자상거래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34807B1 (ko) * 2017-11-15 2019-01-03 고권석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
KR102334920B1 (ko) * 2019-09-11 2021-12-03 위킵(주) 풀필먼트 기반의 물류 및 배송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4568B1 (ko) 수요 공급 예측을 통한 물류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951819B1 (ko) 배달 대행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US202001845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virtual inventory management
US20130144763A1 (en) Assisted shipping system
KR102153938B1 (ko) 기계 시스템의 통합 거래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US1140357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plenishment in a freight tethering environment
JP2016533584A (ja) コード認識を利用した決済サービス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CN111861347A (zh) 用于建筑工程的物资管理系统及方法
KR102557724B1 (ko)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220109710A (ko)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KR101244106B1 (ko) 선택적 다중 영상통신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및 보안 시스템 운용 방법
JP2019032622A (ja) 変更装置、変更方法、および変更プログラム
KR20200093749A (ko) 복수의 셀러들이 입점된 오픈 마켓 플랫폼을 이용한 셀러 입점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767207B (zh) 一种处理对象数据集合的方法和设备
KR20230088207A (ko)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다국가 다채널 이커머스 풀필먼트 통합 솔루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6030726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102261080B1 (ko) 메뉴별 최저가 식자재 발주 및 이를 위한 업체 입찰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220098961A (ko) 관리비 결정 방법 및 장치
KR20210096927A (ko) 판매 대상 상품의 연관 상품 구성 분석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기록매체
US2019008037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acquisitions
KR102433008B1 (ko) 수제 상품의 주문 관리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651862B1 (ko) 쇼핑 플랫폼에서의 물품 자동 주문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603779B1 (ko) 수입신고 제출서류 자동 생성 시스템
KR102400986B1 (ko) 공간 내의 복수의 지게차의 화물 적재정보를 판단하는 방법, 서비스서버,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653182B1 (ko) 무인 결제에 따른 결제 단축 시간을 산출하는 무인 결제 카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