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807B1 -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807B1
KR101934807B1 KR1020170152401A KR20170152401A KR101934807B1 KR 101934807 B1 KR101934807 B1 KR 101934807B1 KR 1020170152401 A KR1020170152401 A KR 1020170152401A KR 20170152401 A KR20170152401 A KR 20170152401A KR 101934807 B1 KR101934807 B1 KR 101934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information
shipping
management server
shopping 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권석
Original Assignee
고권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권석 filed Critical 고권석
Priority to KR1020170152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807B1/ko
Priority to PCT/KR2018/012953 priority patent/WO2019098571A1/ko
Priority to US16/762,144 priority patent/US2020026537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7Representative agent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1Overseas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4Choice of carriers
    • G06Q10/08345Pr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1Currency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30/0635Processing of requisition or of purchase ord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을 온라인 쇼핑몰의 관여없이 주문자에 의하여 선택된 배송업자를 통하여 배송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을 주문자에 의하여 선택된 배송업자를 통하여 배송하기 위한 온라인 공개 배송 시스템이고, 회원으로 가입된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과 배송업자 정보를 웹 사이트를 통하여 제공하고, 상기 웹 사이트에서 상기 배송업자에 의하여 등록된 국내 또는 국외의 주소 정보(이하, 배송존 정보), 배송존 정보에 따른 배송 요금 정보, 배송 수단 정보 및 포인트 정보를 제공하며, 주문자(회사 또는 개인)에 의하여 특정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된 상품을 해당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자 또는 관리자에 의하여 선택된 배송업자를 통하여 배송지에 배송하도록 하는 배송 관리 서버; 및 상기 주문자가 사용하는 단말로서, 상기 배송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 중 어느 하나에서의 상품 선택과, 상기 배송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배송수단 선택과, 상기 상품 또는 배송업자에 대한 구매 결제 또는 배송 결제를 수행하며, 상기 배송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택된 배송업자로부터 상품을 배송받을 배송지 정보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주문자 단말;을 포함하는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ON-LINE OPEN DELIVERY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에 쇼핑몰은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오픈 마켓(open market) 또는 인터넷 쇼핑몰(internet shopping mall) 형태, 지상파 방송 또는 케이블 방송을 통한 TV 홈쇼핑 형태, 고객에게 카탈로그를 발송한 뒤에 해당 카탈로그에 기재된 상품 주문 정보를 받아 상품을 발송하는 카탈로그 판매 형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쇼핑몰이란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판매 형태를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 예로, 오픈 마켓(open market) 또는 인터넷 쇼핑몰(internet shopping mall)은 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상품을 매매 할 수 있도록 만든 가상 상점을 말한다. 인터넷 쇼핑몰은 전통 시장과 같은 시간적/공간적 제약이 없고 국경이 없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소비자들은 인터넷에 개설된 세계 각국의 가상상점에서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시간에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상품을 구입할 수 있다. 운영자의 입장에서는 운영비가 거의 들지 않고 상권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소비자의 취향에 맞는 상품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오픈 마켓을 포함한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쇼핑몰에 운영에 있어서, 배송 시스템은 크게 2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일 예로, 통상 "쇼핑몰 배송" 방식이라고 불리우는 방식은, 쇼핑몰 운영자가 판매자("협력사" 또는 "벤더"라고도 할 수 있다)로부터 직접 물품을 제공받아 구매자에게 전달하거나, 쇼핑몰 운영자가 구매자의 주문 정보를 배송업체로 전달하고 이를 전달받은 배송업체가 직접 판매자의 물품을 집하하여 구매자에게 전달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다른 예로, 통상 "판매자 직접배송" 방식이라고 불리우는 방식은, 쇼핑몰 운영자로부터 구매자의 주문 정보를 전달받은 판매자가 직접 배송업체에 연락하여 고객에게 물품을 전달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위와 같은 2가지 방식 중 판매자 직접배송 방식의 경우, 쇼핑몰 운영자는 판매자가 입력한 출고정보(출고완료 키인(Key-in))에 의존하여 쇼핑몰 홈페이지 상에 배송현황을 개시하였다. 따라서, 판매자가 실제로 상품을 출고하지 않고도, 상품을 출고한 것으로 입력하게 되면, 구매자는 이미 상품의 배송이 시작된 것으로 오인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구매자가 쇼핑몰 측으로 배송지연에 대한 불만을 제기하는 원인이 되어왔다.
또한, 각각의 판매자가 직접 각각의 배송 업체와 개별적으로 계약을 하여 배송을 수행하여 왔기 때문에, 배송상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쇼핑몰 측에서 개입하여 해결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69760호 (등록공고: 2016. 10. 26)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을 주문자에 의하여 선택된 배송업자를 통하여 배송하기 위한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은 회원으로 가입된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과 배송업자 정보를 웹 사이트를 통하여 제공하고, 상기 웹 사이트에서 상기 배송업자에 의하여 등록된 국내 또는 국외의 주소 정보(이하, 배송존 정보), 배송존 정보에 따른 배송 요금 정보, 배송 수단 정보 및 포인트 정보를 제공하며, 주문자(회사 또는 개인)에 의하여 특정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된 상품을 해당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자 또는 관리자에 의하여 선택된 배송업자를 통하여 배송지에 배송하도록 하는 배송 관리 서버; 및 상기 주문자가 사용하는 단말로서, 상기 배송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 중 어느 하나에서의 상품 선택과, 상기 배송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배송수단 선택과, 상기 상품 또는 배송업자에 대한 구매 결제 또는 배송 결제를 수행하며, 상기 배송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택된 배송업자로부터 상품을 배송받을 배송지 정보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주문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은 상기 배송업자가 운영 또는 관리하는 서버로서, 상기 배송 관리 서버에 접속후 회원으로 가입하고, 상기 웹 사이트 또는 온라인 쇼핑몰에 연동되어 상기 배송업자 정보, 상기 배송존 정보와 해당 배송존 정보에 따른 배송 요금 정보, 배송 수단 정보 및 포인트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주문자에 의하여 구매된 상품을 입력된 배송지로 배송하는 배송업자 서버; 및 상기 온라인 쇼핑몰의 관리자가 운영 또는 관리하는 서버로서, 상기 배송 관리 서버에 접속후 회원으로 가입하고, 상기 웹 사이트에 연동되어 온라인 쇼핑몰 정보 및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쇼핑몰 운영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송 관리 서버는 온라인 쇼핑몰과 연동되어, 주문자에 의하여 선택된 상품에 대한 구매 결제와, 배송에 대한 배송 결제를 모두 수행하게 하거나, 상기 배송 결제만을 수행하도록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상기 배송 결제시 상기 주문자에 의하여 입력된 배송 정보를 기초로 자동으로 제1 배송 비용을 산출하고, 상기 제1 배송 비용과 상기 배송업자 서버에 의하여 산출된 제2 배송 비용을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배송 비용을 산출하여 배송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배송업자 서버는 이동하면서 배송 상품을 수집하는 제1 수집 단말과, 이동하지 않고 배송 상품을 수집하는 제2 수집 단말과, 이동하면서 배송 상품을 배송하는 제1 배송 단말과, 이동하지 않고 배송 상품을 배송하는 제2 배송 단말과 연계되어 상기 배송 상품을 수집 및 배송하되, 상기 배송 정보에 포함된 상품의 무게 및 부피 정보와 배송지 정보에 의하여 제1 배송 비용을 자동 산출하고, 상기 제1 수집 단말, 제2 수집 단말, 제1 배송 단말 및 제2 배송 단말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상기 배송 상품의 측정 무게 및 부피 정보를 제2 배송 비용으로 하여 상기 배송업자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배송 관리 서버는,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과 배송업자가 회원으로 등록되는 회원 등록부; 상기 온라인 쇼핑몰을 상기 주문자 단말로 제공하는 웹사이트 중개부; 상기 주문자 단말로부터 상품 선택, 배송수단 선택, 구매 결제, 배송 결제, 배송지 선택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고, 해당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자 또는 관리자에 의하여 배송업자가 선택되는 정보 입력부; 상기 배송업자에 의하여 입력된 배송존 정보와 상기 해당 배송존 정보에 따른 배송 요금 정보 및 배송 수단 정보가 저장되는 배송지 데이터베이스; 상기 주문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상품 선택 정보, 구매 결제 정보를 상기 온라인 쇼핑몰과 주문자 단말간에 중개하는 상품구매 중개부; 상기 주문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배송수단 선택 정보, 배송 결제 정보를 상기 웹 사이트와 배송업체 서버간에 중개하는 상품배달 중개부; 상기 주문자 단말에 의하여 선택된 상품에 대한 구매 결제와, 배송에 대한 배송 결제를 모두 수행하게 하거나, 상기 배송에 대한 배송 결제만을 수행하도록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결제 대행부; 상기 주문 정보, 배송 정보, 배송 비용 정보, 배송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배송정보 제공부; 및 상기 배송 관리 서버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송 관리 서버는 상기 쇼핑몰 운영서버에 의하여 등록된 상품 정보와 상기 배송업자 서버에 의하여 등록된 배송존 정보 중 주문자에 의하여 입력된 배송지 정보에 따른 배송 수단 정보 및 배송 요금 정보를 리스트화하거나 해당 상품과 배송 요금을 각각 합산하여 상기 웹 사이트에 제공하는 가격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송 관리 서버는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판매자 정보와 구매자 정보는 쇼핑몰 운영서버와 공유하고, 상기 배송업자 서버와는 공유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은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을 온라인 쇼핑몰의 관여없이 주문자에 의하여 선택된 배송업자를 통하여 배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품 구매 비용과 배송 비용을 모두 관리 서버에서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합리적인 가격으로 물품을 구매 및 배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관리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에서 주문자에 의하여 상품을 배송할 전담 배송회사를 선택하거나 주소정보를 입력하는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에서 배송결제가 이루어지는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에서 배송회사가 배송존을 생성하기 전과 후의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에서의 제1 배송존 정보가 선택되는 경우의 배송료 산출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에서의 배송 관리 서버의 배송존 정보는 배송회사 서버와 연동되어 배송회사에 의하여 등록된 국내 및 국외 주소 정보로서, 본 출원인의 기등록특허 제10-1702240호(발명의 명칭: 전자상거래에서의 물품 배송요금 산출 시스템)에서의 배송존 정보와 동일하고, 나아가 본 발명에서의 배송 관리 서버는 배송존 정보에 따른 자동 배송요금 산출 방식도 동일하게 적용하게 된다.
한편, 현재 배송업을 보면 크게 오프 라인(Off-Line)과 폰 라인(Phone-Line) 배송업으로 분류될 수 있다.
오프라인 배송업은 각 나라에 있는 우체국과 그 지점들이다. 현재 상품을 판매하는 형태를 보면 인터넷 쇼핑몰(On-Line Shop)과 각 지역에 있는 매장들(Off-Line Shop)이 있는데, 각 지역에 있는 매장들과 우체국들이 오프라인 배송 회사(Off-Line Shop)일 수 있다.
폰 라인 배송업은 물품을 보내는 사람들과 배송업자들 간의 연결을 전화로 하는 방식으로 우체(택배)사업을 하는 회사들이 이에 속한다. 여기에 대표적인 회사들로는 FedEx, DHL, UPS, TNT 등등이 있다. 이들 회사들은 홈페이지가 있지만 이 홈페이지는 일반회사들의 홈 페이지와 비슷한 역할을 할 뿐이지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배송(On-Line delivery)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 더더욱 물품을 보내는 자가 배송업체의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배송정보를 입력하는 서비스도 거의 해 주지 못하고 있다.
즉, 현 시점에서 보면 제대로 된 온라인 배송업을 하는 회사는 존재하지 않고 있으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온라인 배송업에 관한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이하에서, 본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은 배송 관리 서버의 웹사이트에 1개 혹은 다수의 배송회사, 1개 혹은 다수의'온라인샵', 물픔을 배송하고자 하는 다수의 일반회사 및 다수의 일반인이 가입해서 물품이나 상품을 보내는 것이다.
또한, 배송 관리 서버에 가입된 회원들과 인터넷쇼핑몰 회원들을 위해 나만의 상품가격비교를 서비스해주고, 자신의 배송회사를 많이 이용하는 고객들을 위해서, 배송회사가 독자적으로 자신의 고객들에게 포인트 시스템을 제공하여 1달에 1건 혹은 1달에 1000건을 이용하는 고객들에게 차등으로 배송요금을 적용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배송 관리 서버도 각각의 배송회사와는 별개로 포인트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다. 여기서 포인트 시스템이란 많이 이용하는 고객들에게 주는 점수로 이는 곧 배송요금의 할인을 의미하며, 포인트, 고객의 등급(각각의 배송회사, 배송 관리 서버가 별도로 정함), 적립금, 쿠폰 등이 포인트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관리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에서 주문자에 의하여 상품을 배송할 전담 배송회사를 선택하거나 주소정보를 입력하는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에서 배송결제가 이루어지는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에서 배송회사가 배송존을 생성하기 전과 후의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에서의 제1 배송존 정보가 선택되는 경우의 배송료 산출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은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을 주문자에 의하여 선택된 배송업자를 통하여 배송하기 위한 시스템이고, 배송 관리 서버(10), 주문자 단말(20), 배송업자 서버(30) 및 쇼핑몰 운영서버(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은 주문자 단말(20)로부터 주문 정보를 수신 받아, 배송업자 서버(30) 및 쇼핑몰 운영서버(4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배송 관리 서버(10)는, 배송업자 서버(30)로부터 전달받은 배송 정보를 주문자 단말(2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주문자 단말(20)이란, 컴퓨터, 전화기, 또는 휴대폰 등의 모바일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송 관리 서버(10)는 회원으로 가입된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과 배송업자 정보를 웹 사이트를 통하여 제공하고, 웹 사이트에서 배송업자에 의하여 등록된 국내 또는 국외의 주소 정보(이하, 배송존 정보), 배송존 정보에 따른 배송 요금 정보, 배송 수단 정보 및 포인트 정보를 제공하며, 주문자(회사 또는 개인)에 의하여 특정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된 상품을 해당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자 또는 관리자에 의하여 선택된 배송업자를 통하여 배송지에 배송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송 관리 서버(10)는 온라인 쇼핑몰과 연동되어, 주문자에 의하여 선택된 상품에 대한 구매 결제와, 배송에 대한 배송 결제를 모두 수행하게 하거나, 배송 결제만을 수행하도록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배송 관리 서버(10)는 배송 결제시 주문자에 의하여 입력된 배송 정보를 기초로 자동으로 제1 배송 비용을 산출하고, 제1 배송 비용과 배송업자 서버(30)에 의하여 산출된 제2 배송 비용을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배송 비용을 산출하여 배송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배송 관리 서버(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 등록부(110), 웹사이트 중개부(120), 정보 입력부(130), 배송지 데이터베이스(140), 상품구매 중개부(150), 상품배달 중개부(160), 결제 대행부(170), 배송정보 제공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배송 관리 서버(10)는, 쇼핑몰 운영서버(40)에 의하여 등록된 상품 정보와 배송업자 서버(30)에 의하여 등록된 배송존 정보 중 주문자에 의하여 입력된 배송지 정보에 따른 배송 수단 정보 및 배송 요금 정보를 리스트화하거나 해당 상품과 배송 요금을 각각 합산하여 웹 사이트에 제공하는 가격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배송 관리 서버(10)는 주소존 생성부, 배송존 정보 입력부, 배송존 확정부, 배송물품 선정부, 배송방식 선택부, 통화 생성부, 수령지 정보 확정부, 배송료 산출부, 코드 제공부, 배송존 복사부, 저장부, 결제수행부 및 마이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소존 생성부는 웹 사이트를 통하여 각각의 국가 언어로 표기되는 시티, 스테이트존 및 네이션으로 이루어지는 국내 또는 국외의 주소존을 생성하며, 이 주소들은 각 국가의 우편번호와 연계될 수 있다.
상기 배송존 정보 입력부는 주소존 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주소존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배송업자 서버(30)로부터 물품 배송을 위한 배송존 정보가 입력된다.
상기 배송존 확정부는 구매자 단말에 의하여 원하는 배송존 정보가 확정된다.
상기 배송 물품 선정부는 판매자 단말에 의하여 물품 및 물품 출고지 정보가 확정되며, 물품에 대한 가격 정보가 입력된다.
상기 배송 물품 선정부는 판매자 단말에 의하여 입력된 제1 배송존 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제1 배송존 정보를 저장부에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 배송존 정보는 판매자 단말에 의하여 삽입, 수정 및 삭제가 가능하도록 설정된다.
상기 배송 물품 선정부는 배송업자 서버(30)에 의하여 입력된 제2 배송존 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제2 배송존 정보를 저장부에 제공한다. 이때, 상기 판매자 단말은 배송업자 서버(30)로부터 제공된 코드번호, 바코드 또는 QR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코드 정보를 입력하여 제2 배송존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배송 방식 선택부는 판매자 단말에 의하여 물품의 배송 방법, 배송 수단 및 배송료가 선택 또는 입력된다.
상기 통화 생성부는 판매자 단말에 의하여 물품의 가격에 대한 통화를 생성한다. 이러한 통화 생성부는 국내 또는 국외의 화폐 단위와 상호간의 환전을 위한 환전 프로그램이 미리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통화 생성부는 환전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모든 통화의 기준이 되는 기축통화 정보와, 판매자 및 구매자가 수령 및 지급받고자 하는 판매자 화폐 및 구매자 화폐 정보와, 배송회사 또는 금융 기관에서 제공하는 환율 정보와, 환율 정보에 의하여 환전시 부가되는 수수료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수령지 정보 확정부는 웹 사이트에서 특정 물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 단말에 의하여 특정 물품을 수령하는 수령지 정보를 선택 및 입력한다.
상기 배송료 산출부는 배송료 정보를 기초로 물품 출고지 정보와 수령지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물품의 배송료를 산출한다. 이러한 배송료 산출부는 판매자 단말에 의하여 입력된 제1 배송존 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출고지 정보의 네이션, 스테이트존 및 시티와 대응되는 수령지 정보의 네이션, 스테이트존 및 시티가 각각 또는 순차적으로 동일한 지 여부를 판단하여 네이션, 스테이트존 및 시티별로 책정된 배송료를 산출한다.
상기 코드 제공부는 판매자 단말 또는 배송업자 서버(30)에 상품 코드 또는 회사 코드를 각각 제공한다.
상기 배송존 복사부는 판매자 단말또는 배송업자 서버(30)에 의하여 생성된 배송존 정보를 복사하여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송존 복사부는 다른 판매자 단말로부터의 요청과 전자상거래 사이트의 관리자 단말의 허락에 의하여 배송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주소존 및 배송존 정보와, 물품에 대한 물품 정보, 출고지 정보, 가격 정보, 배송 방법, 배송 수단, 배송료, 통화 및 수령지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주문자 단말(20)로부터 수신되는 주문 정보, 쇼핑몰 운영서버(40)로부터 수신되는 상품 정보, 배송업자 서버(30)로부터 수신되는 배송 정보 및 코드 제공부에서 제공된 코드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마이컴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상기 저장부는 그 외에도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부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수행부는 외부 결제 서버 등에 연계되어 기축통화 정보, 판매자 화폐 정보, 구매자 화폐 정보, 환율 정보 및 수수료 정보를 이용하여 물품을 구매하는 구매자 단말에 의하여 결제가 수행된다.
상기 마이컴은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주소존을 이용하여 판매자 또는 배송회사가 최적의 배송존을 생성하여 최적의 배송 요금과 상품 가격을 산출하여 사용하도록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주소존 생성부, 배송존 정보 입력부, 배송존 확정부, 배송물품 선정부, 배송방식 선택부, 통화 생성부, 수령지 정보 확정부, 배송료 산출부, 코드 제공부, 배송존 복사부, 저장부, 결제수행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회원 등록부(110)는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과 배송업자가 회원으로 등록되는 구성으로서, 배송 관리 서버(10)가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한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 관리자와 배송업자에 의하여 회원 정보가 입력되면 회원으로 인증하여 등록한다.
상기 웹사이트 중개부(120)는 회원으로 등록된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을 주문자 단말(20)로 제공한다.
상기 정보 입력부(130)는 주문자 단말(20)로부터 상품 선택, 배송수단 선택, 구매 결제, 배송 결제, 배송지 선택에 관한 정보가 입력된다. 상기 정보 입력부(130)는 해당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자 또는 관리자에 의하여 배송업자가 선택된다.
상기 배송지 데이터베이스(140)는 배송업자에 의하여 입력된 배송존 정보와 해당 배송존 정보에 따른 배송 요금 정보 및 배송 수단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상기 배송지 데이터베이스(140)는 배송 관리 서버(10)의 운영 주체로부터 입력된 배송존 정보와 해당 배송존 정보에 따른 배송 요금 정보 및 배송 수단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배송지 데이터 베이스는 상술한 저장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상품구매 중개부(150)는 주문자 단말(20)로부터 입력된 상품 선택 정보, 구매 결제 정보를 온라인 쇼핑몰과 주문자 단말(20)간에 중개한다.
상기 상품배달 중개부(160)는 주문자 단말(20)로부터 입력된 배송수단 선택 정보, 배송 결제 정보를 웹 사이트와 배송업체 서버간에 중개한다. 이때, 상기 상품배달 중개부(160)는 배송수단 선택 정보를 기초로 주문자가 원하는 때에 배송이 가능하도록 스케쥴링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결제 대행부(170)는 주문자 단말(20)에 의하여 선택된 상품에 대한 구매 결제와, 배송에 대한 배송 결제를 모두 수행하게 하거나, 배송에 대한 배송 결제만을 수행하도록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배송정보 제공부(180)는 주문 정보, 배송 정보, 배송 비용 정보, 배송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등을 통하여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190)는 배송 관리 서버(1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회원으로 가입된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과 배송업자 정보를 웹 사이트를 통하여 제공하고, 웹 사이트에서 배송업자에 의하여 등록된 배송존 정보를 제공하며, 주문자에 의하여 구매된 상품을 선택된 배송업자를 통하여 배송지에 배송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90)는 상술한 마이컴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배송 관리 서버(10)는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판매자 정보와 구매자 정보는 쇼핑몰 운영서버(40)와 공유하고, 배송업자 서버(30)와는 공유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회원 등록부(110), 웹사이트 중개부(120), 정보 입력부(130), 배송지 데이터베이스(140), 상품구매 중개부(150), 상품배달 중개부(160), 결제 대행부(170), 배송정보 제공부(180) 및 제어부(190) 중 둘 이상의 구성요소는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상 기능별로 나눈 것임을 밝혀둔다.
상기 주문자 단말(20)은 주문자가 사용하는 단말로서, 배송 관리 서버(10)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 중 어느 하나에서의 상품 선택과, 배송 관리 서버(10)에서 제공하는 배송수단 선택과, 상품 또는 배송업자에 대한 구매 결제 또는 배송 결제를 수행하며, 배송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택된 배송업자로부터 상품을 배송받을 배송지 정보를 선택하여 입력한다.
즉, 상기 주문자 단말(20)은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주문자 회원으로 가입하여 온라인 쇼핑몰 상의 판매자의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서, 웹 사이트 상에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 및 그 정보를 선택 및 등록하고, 웹 사이트 상에 배송업자를 선택하여 상품 수령지의 주소를 등록하고, 배송 비용에 대한 결제를 수행한다.
이외에, 상기 주문자 단말(20)은 보내는 주소, 전화번호, 보내는 사람 이름, 받는 주소, 전화번호, 받는 사람 이름, 배송회사 선택, 배송방식선택(일반, 속달, 등기, 항공, 선박 등), 배송소포의 개수 선택 등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주문자 단말(20)은 상품을 선택하여 배송을 요청하는 주문자 이외에도, 상품에 대한 일반 배송을 보내는 사람이나 상품을 직접 배송을 요청하는 상품 판매자 등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송업자 서버(30)는 배송업자가 운영 또는 관리하는 서버로서, 배송 관리 서버(10)에 접속후 회원으로 가입하고, 웹 사이트에 연동되어 배송업자 정보, 배송존 정보와 해당 주소 정보에 따른 배송 요금 정보 및 배송 수단 정보를 제공하고, 주문자에 의하여 구매된 상품을 입력된 배송지로 배송한다.
상기 배송업자 서버(30)는 이동하면서 배송 상품을 수집하는 제1 수집 단말과, 이동하지 않고 배송 상품을 수집하는 제2 수집 단말과, 이동하면서 배송 상품을 배송하는 제1 배송 단말과, 이동하지 않고 배송 상품을 배송하는 제2 배송 단말과 연계되어 배송 상품을 수집 및 배송한다.
상기 제1 수집 단말, 제2 수집 단말, 제1 배송 단말 및 제2 배송 단말은 편의점, 의류점, 상점 등과 이동하지 않는 고정식과 봉고차, 트럭, 오토바이 등과 같은 이동식 단말이나 장소 또는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제1 수집 단말, 제2 수집 단말, 제1 배송 단말 및 제2 배송 단말을 배송업자로 하여 도면부호 31로 예를 들어 도시되어있다.
또한, 상기 제1 수집 단말, 제2 수집 단말, 제1 배송 단말 및 제2 배송 단말은 저울 등과 같은 무게 또는 부피 측정 수단을 구비하여 배송 상품의 무게 또는 부피를 특정하여 배송업자 서버(30)를 통하여 배송 관리 서버(1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배송업자 서버(30)는 배송 정보에 포함된 상품의 무게 및 부피 정보와 배송지 정보에 의하여 제1 배송 비용을 자동 산출하고, 제1 수집 단말, 제2 수집 단말, 제1 배송 단말 및 제2 배송 단말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배송 상품의 측정 무게 및 부피 정보를 제2 배송 비용으로 하여 배송업자 서버(3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수집 단말, 제2 수집 단말, 제1 배송 단말 및 제2 배송 단말은 컴퓨터 또는 휴대전화(홈페이지 체크), 봉고차(트럭), 저울(고정저울, 손저울), 스티커 생성기(주소 등 소포보내는 사람이 입력한 데이터 프린트-출력해서 소포에 부착), 포스단말기(현찰이 아닌 카드결제), 소포를 수령했다는 인증 단말기(소포 수령자가 거기에 사인함)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수집 단말, 제2 수집 단말, 제1 배송 단말 및 제2 배송 단말은 고정수집, 이동수집, 고정보관 및 전달, 이동배송 중 어느 하나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고정수집과 고정보관 및 전달은 편의점에서 동시에 가능하고, 이동수집 및 이동배송은 봉고차나 트럭을 보유한 업체나 개인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송업자 서버(30)는 예를 들어, 소포를 집(사무실, 공장)으로 가지러 오거나, 소포를 가지고 편의점으로 가거나, 소포를 집까지 가져다 주거나, 수취인이 소포를 가지러 특정 편의점(집에서 가장 가까운)으로 가지러 가서 상품을 수집할 수도 있다.
만약, 주문자 중 비회원이 웹 사이트에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 소포 수집인(고정, 이동)을 부르면 소포 수집인이 대신 해주고, 소정의 수수료를 별도로 받게 된다.
또한, 상기 배송업자 서버(30)는 이동식 수집을 위하여 해당 항목을 선택하면 보내는 곳, 받는 곳과, 우송방식이 정해진 상황에서 봉고차 콜을 하면 봉고차(트럭) 예약시간(ex)2017년 7월 23일 1:30pm-2:30pm)이 자동으로 뜨도록 각각의 수집 단말과 배송 단말과 연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송업자 서버(30)는 고정식 수집을 위하여 해당 항목을 선택하면 정보 입력후 가장 가까운 또는 편리한 곳에 있는 고정식 수집단말과 배송 단말에게 가져가 소포를 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수집 단말, 제2 수집 단말에 의하여 수집된 소포들은 직접 창고로 운송되거나, 수령자가 직접 전화를 하면 소포를 수집하여 직접 창고로 운송되어 배송될 수도 있다.
상기 쇼핑몰 운영서버(40)는 온라인 쇼핑몰의 관리자가 운영 또는 관리하는 서버로서, 배송 관리 서버(10)에 접속후 회원으로 가입하고, 웹 사이트에 연동되어 온라인 쇼핑몰 정보 및 상품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쇼핑몰 운영서버(40)는 물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단말과도 연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판매자 단말, 구매자 단말, 제1 수집 단말, 제2 수집 단말, 제1 배송 단말 및 제2 배송 단말은 본 온라인 공개 배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기기 상에서 인터넷 브라우저 및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가능한 스마트폰, IPad,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HPC(Hand Personal Computer), 웹패드, 노트북,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폰, 팜PC, e-Book단말기, HHT(Hand Held Terminal), PC, 스마트 TV 등의 개인 정보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은 배송업자 서버(30), 쇼핑몰 운영서버(40), 배송 관리 서버(10) 및 주문자 단말(20) 간에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배송업자 서버(30)를 배송업자, 쇼핑몰 운영서버(40)를 온라인 쇼핑몰, 주문자 단말(20)을 주문자로 기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배송업자와 온라인 쇼핑몰은 각각의 업체 정보를 배송 관리 서버(10)가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등록하여 회원가입절차를 수행한다(S1, S2).
배송 관리 서버(10)는 각각의 업체 정보를 기초로 회원으로 등록하게 된다(S3).
이때, 배송업자는 배송존 정보도 함께 웹 사이트에 등록할 수 있다.
주문자는 웹 사이트에 접속(S4)하여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 중 자신이 원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주문 또는 구매할 상품을 선택(S5)후, 해당 상품 구매 비용을 결제한다(S6).
주문자에 의하여 선택 및 결제된 상품은 해당 온라인 쇼핑몰에서 배송업자 서버로 인도된다(S7).
주문자는 웹 사이트에서 자신이 원하는 조건에 맞는 배송수단을 선택(S8)하고, 배송 정보를 입력한다(S9).
배송 관리 서버(10)는 주문자에 의하여 입력된 배송 정보와 배송회사에 의하여 입력된 배송존 정보를 기초로 자동으로 제1 배송비용을 산출한다(S10).
배송업체는 인도된 상품을 수집(S11)하여 해당 상품의 무게 및 부피를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와 배송회사에 의하여 입력된 배송존 정보를 기초로 제2 배송비용을 산출하게 된다(S12).
배송 관리 서버(10)는 제1 배송비용과 제2 배송비용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비용 확정 알고리즘에 의하여 최종 배송 비용을 확정한다(S13).
주문자가 확정된 최종 배송 비용을 결제(S14)하게 되면, 배송업체는 상품을 배송지로 배송하게 된다(S15).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은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을 온라인 쇼핑몰의 관여없이 주문자에 의하여 선택된 배송업자를 통하여 배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품 구매 비용과 배송 비용을 모두 관리 서버에서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합리적인 가격으로 물품을 구매 및 배송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특정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을 보다 상세하게 다루기로 한다.
배송 회사는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으로 가입하고, 자신의 배송존과 그에 따른 배송요금을 입력하며, 일반, 속달, 등기, 항공, 선박 등의 배송수단 및 기타 정보도 입력하고, 고객을 위한 포인트 제도도 설정한다(도 6 내지 도 7 참조)
예를 들어, 일반인이 배송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일반 사람들이 친척이나 다른 사람들한테 소포를 보내려 하면 보통은 우체국에 가는데, 이 경우는 배송 관리 서버가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로그인해서 소포를 발송하게 된다. 이때, 일반인은 회원가입 후 주소 등 배송 관리 서버에서 요구하는 개인정보를 입력한다. 비회원이 소포를 보낼 경우 배송 관리 서버에서는 임시 배송코드를 부여하고 그 배송코드에 관련된 배송정보를 입력한다.
또한, 배송서비스를 많이 이용하는 일반 회사들의 경우에, 현재 주로 일반적인 배송업체들을 이용하여 자신들의 서류나 소포를 해외로 보낸다. 이 경우는 배송 관리 서버가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로그인해서 소포나 서류들을 보낸다. 일반회사들은 회원가입 후 주소 등 배송 관리 서버에서 요구하는 개인정보를 입력한다. 그리고 거래하는 혹은 거래하고자 하는 전담배송회사를 선택한다. 이 회사들은 전담배송회사들을 선택하기 전 혹은 후에 배송회사와 오프라인(Off-Line)으로 만나 미리 배송요금을 상담하고 상담된 배송요금을 배송회사는 포인트 시스템으로 배송요금을 활인해 줄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은 배송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회원가입하고 요구되는 정보를 입력한다. 이는 배송에 관련된 부분을 전문업체(배송 관리 서버에 가입된 배송업체들)한테 이양하는 것이다.
배송서비스를 많이 이용하는 판매자들의 경우에, 상품 판매자가 개인적으로 혹은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자 자격으로 배송 관리 서버의 웹 사이트에 회원가입을 하고, 온라인 쇼핑몰에서 부여한 판매자 고유코드를 배송 관리 서버의 정보란에 입력하고, 배송 관리 서버에 가입된 배송회사 중에서 전담배송회사를 선택하고, 기준배송을 선택한다(도 4의 ② 참조). 판매자 고유코드입력과 전담배송회사를 선택한다는 의미는 전담배송회사와 판매자의 온라인 쇼핑몰이 시스템상으로 정보 공유를 한다는 의미이다.
판매자들이 배송 관리 서버에서 배송서비스를 받으려면 판매자들이 소속되어있는 온라인 쇼핑몰이 반드시 배송 관리 서버에 회원가입되어 있어야 한다.
상품을 받는 구매자들의 경우에, 구매자는 판매자에 의해 선택된 전담배송업체의 배송수단(일반, 등기, 속달, 항공, 선박, 배송보험 등)을 선택할 수 있다(도 5의 ②, ③, ④, ⑤ 참조). 이 경우 상품구매자는 배송 관리 서버의 웹 사이트에서 배송수단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구매자가 상품을 구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웹 사이트에서 선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배송 관리 서버와 온라인 쇼핑몰의 시스템이 호환이 되어야 한다.
여기서 ②의 경우는 개인들이 어쩌다가 물품을 다른 사람들한테 보내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③의 일반 회사들은 거의 매일 물품이나 서류를 배송업자들을 이용해서 보낸다. 이런 일반 회사들 때문에 각각의 배송회사에서는 포인트 시스템을 이용하고 고객들을 관리한다. 배송 관리 서버는 개인들과 일반회사들로부터 배송요금의 결제를 받아 배송회사에게 전달한다. 당연히 결제금액은 배송회사들이 제공한 포인트시스템에 의하여 결정된 금액(할인된 배송요금)을 받는 것이다.
④의 경우는 배송 관리 서버의 시스템과 온라인 쇼핑몰의 시스템과 정보들의 일부를 공유해야 한다.
결제시스템의 경우, 배송 관리 서버가 온라인 쇼핑몰의 결제 시스템 중 일부(배송요금) 혹은 전부(상품판매대금과 배송요금)의 권한을 이양 받을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의 요구에 의하여 배송 관리 서버에 결제를 이양하지 않고 결제 전부를 온라인 쇼핑몰이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결제의 일부를 이양받는 경우,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의 대금과 배송요금 중 온라인 쇼핑몰은 배송 관리 서버에 배송요금의 징수 권한만 이양해 주는 것이다. 이 경우 배송 관리 서버는 온라인 쇼핑몰의 구매자로부터 배송요금을 결제 받아 배송회사에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결제의 일부를 이양받는 경우,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대금과 배송요금의 결제 중 국내와 해외결제가 있는데, 국내는 각각의 온라인 쇼핑몰에서 결제 받고, 해외는 배송 관리 서버에서 결제 받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온라인 쇼핑몰에서 한국 국내는 한국 PG사(이니시스 등)에서 결제를 받고, 해외는 배송 관리 서버에서 해외 결제회사(페이팔[PayPal], 알리페이등)를 이용해 결제를 받는 경우이다.
또한, 결제 전부를 이양받는 경우, 상품대금과 배송요금을 모두 배송 관리 서버에서 결제 받아 일정 수수료를 제외하고 배송요금은 배송회사로 결제하고, 상품대금은 온라인 쇼핑몰에 결제해 주는 시스템이다. 온라인 쇼핑몰이 배송 관리 서버에 결제 전부를 이양해 주면 온라인 쇼핑몰은 PG회사에 가입하고, 또 PG회사에 관련된 각 카드사에 허락을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진다.
앞서 설명한 결제에서, 구매자의 결제는 상품을 구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이루어지고, 배송 관리 서버와 온라인 쇼핑몰의 시스템 호환에 의해서 실제결제는 배송 관리 서버에 하는 것이다. 여기서 배송 관리 서버는 PG사와 같이 상품대금을 받아 건네주는 역할만 할 뿐 후에 발생되는 상품하자에 대한 반송은 온라인 쇼핑몰의 의무이다.
한편, 상품가격비교 페이지의 경우, 각 온라인 쇼핑몰에 가입된 판매자들의 상품정보(상품가격, 상품 출고지 주소 등)와 판매자가 선택한 전담배송회사의 정보를 공유해야 한다. 그래야 각 온라인 쇼핑몰의 웹 사이트에서 제시한 상품가격을 배송 관리 서버의 상품가격비교페이지에서 상품예비 구매자에게 제공 할 수 있다.
판매자가 배송 관리 서버에 회원가입 후 판매자 코드번호를 입력하고 전담배송회사를 선택하면, 판매자가 소속된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배송 난에 판매자가 선택한 배송회사의 배송수단과 배송요금이 보여진다.
배송회사들은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자들과 구매자들의 정보 및 주소는 개인정보 침해문제로 인하여 공유할 수 없다. 다만, 상품배송 건이 들어오면 판매자의 상품배송에 관련된 정보, 구매자의 배송에 관련된 정보만을 전달받는다.
온라인 쇼핑몰은 자신 고유의 웹사이트에서 상품을 판매하고 배송 관리 서버는 배송시스템, 상품가격비교시스템, 결제시스템으로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판매를 도울 수 있다.
한편, 현재 상품가격을 비교해서 볼 수 있는 사이트가 많이 있다. 이런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상품가격은 말 그대로 상품가격일 뿐 배송비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배송 관리 서버가 제공하는 웹 사이트 상에서의 상품가격비교는 ‘상품가격 +배송비 =총액’을 보여준다. 그렇기 때문에 100명이 상품가격비교 페이지에서 1명의 판매자가 판매하는 특정상품을 검색하면 상품가격은 같지만 배송비는 100명이 전부 다를 수 있다. 회원 로그인하면 판매자의 주소와 구매자의 주소가 이미 입력되어 있어 그 주소로 배송비를 찾아주고, 비회원이 상품을 검색하면 판매자의 주소와 상품을 보고 있는 사람의 IP주소로 배송비를 찾아 준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품비교페이지에서 상품을 보면 판매자의 상품가격과 더불어 판매자가 지정한 전담 배송회사(도 4의 ②)의 기준배송가격이 보여진다. 판매자가 기준배송을 지정하지 않으면 배송회사가 제시한 가장 저렴한 배송요금이 보여진다.
상품예비구매자가 상품가격비교페이지에서 검색할 시 배송요금이 별도로 표기되지 않는 상품 가격이 나오거나 배송공짜로 나오는 경우는 배송요금이 상품가격에 포함된 경우이다.
한편, 배송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포인트 제공 시스템과 관련하여 설명하자면, 우선 현존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포인트제도는 상품가격을 할인해 주는 제도로 쿠폰, 적립금, 고객등급의 조정이 이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자가 구매자에게 직접 쿠폰을 지급하거나 포인트 및 고객등급의 조정을 해 주지 못하고 있다. 이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자가 판매자의 상품을 대부분 1번 구입한다. 아주 특이한 경우에 같은 상품을 2~3회 더 구매한다. 구매자가 특정 판매자의 특정상품을 한 달에 100개 1000개를 구입하는 경우는 사업을 목적으로 구매하는 경우 이외에는 드물다 할 것이다. 그러나, 일반회사들과 판매자들은 특정배송회사에 1달 100회 혹은 1만회의 배송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배송 관리 서버에서는 각각의 배송회사들의 마이페이지(My Page)에서 포인트를 운영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축해 준다.
배송 관리 서버 또한 회원들에게 배송을 활인해 주는 쿠폰을 지급하고 많이 이용하는 회원들에게 적립금을 적립해줄 수 있다. 배송 관리 서버에 가입되어 있는 배송업체들도 자신만의 포인트시스템(온라인 쇼핑몰과 비교해 보면 없는 제도)을 운영할 수 있다. 배송업체들이 운영할 수 있는 포인트 시스템으로는 고객 등급 상향 및 하향(고객 등급 - 자신의 배송회사를 많이 이용하면 할수록 높아지는 제도), 쿠폰과 적립금 등을 '배송 관리 서버와 별도로 운영할 수 있다.
배송 관리 서버는 기 출원특허에서 언급한 주소체계를 포함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회원으로 가입된 1개 혹은 다수의 배송회사와 물품을 보내고자 하는 일반인 및 일반회사, 1개 혹은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에 구축된 시스템을 제공한다.
배송회사는 회원가입 후 배송 관리 서버에서 제공된 주소시스템으로 자신만의 배송존과 그에 따른 배송요금을 기입한다. 그리고 배송수단(일반, 등기, 속달 등)에 관련된 배송요금도 제공한다(도 4의 ②, 도 5의 ④ 참조)
이 배송회사에서 제공된 서비스를 일반인, 일반회사, 판매자들이 이용하여 물품을 배송한다.
여기서, 일반인들과 일반회사들이 배송회사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일반인, 일반회사들이 배송 관리 서버에 회원가입을 한다.
그런 다음, 회원가입 중 주소를 포함한 정보를 입력한다. 이 주소가 후에 전담배송회사를 선택하면 도 4의 ③에서 보내는 주소가 된다. 또한, 도 4의 ①에는 회원가입시 받은 ID가 자동으로 표기된다
그런 다음, 배송 관리 서버에 가입된 배송회사들 중 본인이 거래하고 있는 배송회사나, 거래하고 있는 배송회사가 없으면 가장 적합한 배송회사를 찾아 선택한다(도 4의 ②). 여기서 배송회사가 점포이면 점포를 선택한다. 또한, 일반회사도 배송회사(이 경우 점포와 비슷한 배송역할)로 등록하고 자신이 보낼 물품들을 자신들이 처리할 수도 있다. 또한, 배송서비스를 많이 이용하는 일반회사들은 배송부서를 두어 배송경비를 줄일 수 있다.
그런 다음, 물건을 보낼 주소를 입력한다. 이때 물건을 받을 사람이 자신의 주소에서 받을 건지 아니면 배송회사와 협력된 점포(편의점, 식당 등)에서 받을 건지도 정한다(도 4의 ④). 이 경우는 물품을 보내는 사람이 정한다.
그런 다음, 물품의 부피, 무게(본인이 저울을 가지고 있는 경우 임시로 무게를 기입) 등과 같이 배송회사에서 요구하는 자료를 입력한다(도 5의 ②, ③, ④, ⑤)
도 5의 ③에서 배송결제화폐란의 국가를 선택하면, 그 선택된 국가의 화폐로 배송비용을 지불하겠다는 의미이다. 어느 국가의 화폐를 수령하는지는 보통은 배송회사가 정한다. 즉, 배송회사가 1개의 화폐만 수령하겠다면 물품을 보내는 사람의 화폐선택권은 없다.
이러한 모든 정보가 입력되고, 물건의 예측 무게가 포함될 경우 예측 배송요금이 화면에 보여진다(도 5의 ⑥)
배송회사가 차주(차량)인 경우, 이런 자료들을 입력을 하면 자동시스템에 의해 배송회사가 물건을 수령할 예측 날짜와 시간과 배송수집인의 전화번호를 물품을 보내는 사람한테 보내준다.
배송회사는 예측시간에 와서 배송회사가 보유한 저울에 물건의 무게를 달고 예측무게와 같으면, 예측 배송요금을 그대로 받고, 무게(상품을 보내는 자가 입력한 배송정보)가 틀리면 입력된 정보를 수정하고 수정된 배송요금을 결제 받고 물품을 가져간다(도 5의 ⑦, ⑧)
배송회사가 점포인 경우, 배송에 필요한 자료들(도 4, 도 5)을 입력한 후에 전담배송회사로 선택한 점포로 물품을 가져가고, 점포 배송담당에게 물품을 보내는 사람의 ID(배송 관리 서버의 ID)를 말한다.
점포는 점포의 컴퓨터에 물건을 보내고자 하는 사람의 ID를 체크하면 물건을 보내고자 하는 사람이 입력한 배송정보를 볼 수 있다.
점포가 보유한 저울에 물건의 무게를 달고 예측무게와 같으면(배송정보), 예측 배송요금을 그대로 받고, 무게가 틀리면 예측무게에 입력된 무게(배송정보)를 수정하고 수정된 배송요금을 결제 받고 물품을 수령한다(도 5의 ⑦, ⑧)
이와 같이 물품을 보내는 곳과 물품을 받는 곳(배송정보)을 물품을 보내는 사람이 직접 입력하기 때문에 물건을 배송하는 배송회사 입장에서 안전하고, 편리하고 시간절약을 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자와 구매자들이 배송업체를 이용하는 경우, 판매자는 온라인 쇼핑몰이 배송 관리 서버에 회원가입하고, 일부 시스템과 정보를 호환시킨다.
판매자는 온라인 쇼핑몰에 상품정보 및 상품 출고지 주소를 입력한다(이는 배송 관리 서버와 연계됨-도 5의 ③). 여기서 판매자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제공한 판매자 코드번호를 받는다.
배송 관리 서버의 웹사이트에 들어와 개인적으로 회원가입을 하거나, 본인이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온라인 쇼핑몰의 ID를 이용해서 회원을 가입하고, 판매자 코드번호를 입력하는 난에 온라인 쇼핑몰에서 부여한 자신의 코드번호를 입력한다(도 4의 ①).
판매자는 배송 관리 서버에 가입된 배송회사들 중에 거래하고 있는 배송회사나 혹은 거래하고 있는 배송회사가 없으면 본인에게 가장 적합한 배송회사(전담배송회사)를 정한다. 이 경우 배송회사와 직접 만나 배송에 관한 상담을 할 수도 있다.
전담 배송회사의 주소를 찾아 배송회사의 이름을 선택하고, 전담배송회사로 선택하고, 전담배송회사에서 제시한 배송수단 중 1개를 기준배송으로 선택한다. (도 4의 ②)
이러한 경우 도 4의 ③에서의 보내는 주소에 판매자의 상품 출고지 주소가 자동으로 표기된다.
구매자는, 상품 예비구매자가 배송 관리 서버의 상품가격비교페이지나 온라인 쇼핑몰에서 특정상품을 열람하면, 특정상품의 판매자가 선택한 전담배송회사에 입력한 배송에 관련된 정보와 구매자가 미리 입력한 구매자 주소 정보를 종합해서 배송요금과 상품가격이 자동으로 보여진다. 이때, 보여지는 배송비는 판매자가 도 4의 ②에서 선택한 기준배송의 배송요금이 보여진다.
구매자가 특정 판매자의 특정상품의 구매를 결정하면, 구매자는 배송회사가 제시한 결제화폐와 배송수단(일반, 속달, 등기, 항공, 배편 등)과 그에 따른 배송요금을 선택한다(도 7의 ②, ③, ④, ⑤, ⑥). 판매자 또한 자신의 상품대금으로 받을 결제화폐를 별도로 지정할 수 있다. 배송회사와 판매자의 지정화폐가 틀릴 경우는 카드회사에서 각각의 결제를 한다. 이 경우 상품가격비교페이지에는 자동환율계산에 의해 구매자가 살고 있는 국가의 화폐로 보여진다. 이 경우 판매자와 배송회사는 서로 합의를 봐서 구매자들의 혼동을 덜어주기 위해 자국의 화폐와 기축통화만을 결제화폐로 지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품가격비교사이트와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상세페이지에는 배송회사 및 판매자와 같은 국가에 살고 있는 구매자한테는 상품가격이 같은 국가의 화폐로 보여지고, 구매자가 제3국인 일 경우는 기축통화로 보여진다[도 5의 ③]. 배송회사가 1개 국가의 화폐만 지정해 놓으면 구매자는 선택의 여지없이 지정된 화폐로 결제 해야 한다.
구매자가 본인의 집에서 상품을 받고 싶으면 본인의 집주소를, 판매자 전담배송업체가 서비스하는 집근처의 특정 점포에서 상품을 받고 싶으면 상품 수령지를 점포로 선택한다(도 5의 ①). 이 경우 집에서 상품을 수령하는 경우와 집 근처의 점포에서 상품을 수령하는 경우의 배송가격이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이는 상품을 수령하는 구매자의 선택사항이다.
배송회사는, 배송 관리 서버에 배송회사가 회원가입하면 배송 관리 서버에서 제공한 주소 시스템에서 주소존을 생성해야 하고 생성된 각각의 주소존에 배송요금을 적용하고, 배송수단도 생성해야 한다(도 6 및 도 7).
배송회사는 배송업을 하기를 원하는 사업주들을 통칭한다. 배송회사의 종류는 점포들(편의점, 식당 등의 모든 점포들), 트럭 등등의 차주들(차량을 이용해서 배송업을 하는 자들), 온라인 배송중개인(On-Line Delivery Middleman)을 포함한다.
이?, 온라인 배송중개인은 점포들이나 차주들이 배송 관리 서버에 가입해서 배송업을 처음으로 시작하려고 하면 배송요금을 적용하기 위해 본인들의 배송존과 그에 따른 배송요금 및 일반, 속달, 등기 등등을 만들기가 어렵다. 그래서 이러한 것들을 구축해 주고, 배송중에 필요한 배송연결차량, 물건이 머무는 창고의 수배, 물건을 목적지까지 전달해 주는 다른 배송회사들과의 연결 등등을 해주고 점포나 차주들한테 배송요금에서 일정액을 받는다. 현재 화물의 포워더 같은 역할을 온라인 배송중개인이 한다.
기존의 배송회사들은 차량으로 물품을 수령하는 경우에 차량, 저울, 배송비결제 받을 결제단말기, 시스템을 볼 수 있는 컴퓨터나 스마트폰, 결제가 이루어지면 물품을 보내는 주소와 받는 주소가 자동으로 출력되는 출력기 등을 구비하고, 점포에서 물품을 수령하는 경우에 점포, 저울, 배송비결제 받을 결제단말기, 시스템을 볼 수 있는 컴퓨터나 스마트폰, 결제가 이루어지면 물품을 보내는 주소와 받는 주소가 자동으로 출력되는 출력기 등을 구비하면 된다.
한편, 기존의 점포(편의점, 식당 등)와 차량을 이용한 배송업과 다른 점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차량을 이용한 배송업 관련하여, 기존의 일반배송업체들과 세계적인 배송업체(Fedex, DHL, UPS 등등)는 전화를 이용한 배송업체들로 본 특허에서 제시한 인터넷(인터넷과 전화포함)을 이용한 배송업과는 다른 점이 많다. 기존의 배송업은 고객의 전화를 받고 물품을 수령할 곳으로 가는데 그 물품이 어디로 배달되는지 무게와 부피가 어떻게 되는지에 대한 정보의 부족으로 물품을 보내는 사람한테 배송요금에 대한 정보를 주지 못하는 상황에서 물품을 수령하러 가는 경우이고, 또한 전화상으로 배송정보를 주더라도 철자(문자)의 혼동 등 전화를 하는 사람이나 전화를 받는 사람이 상당한 시간을 할애해야 한다. 또한 물품 수령시 모든 정보를 대화로 전달받아 물품의 배송가격을 추출해 내므로 물품 수령자나 물품을 보내는 자가 서로 만나 상당한 시간을 할애한다. 그런 이유로 물품수집인은 시간절약을 위해 국내와 국외 등 2개의 존만 구분하여 배송요금을 청구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미국 국내를 예를 들면 하와이에서 뉴욕까지의 배송요금과 하와이에 같은 도시로 물품을 보내는데 같은 배송요금을 적용한다는 의미이다.
점포를 이용한 배송업 관련하여, 현 점포를 이용한 배송업은, 배송회사들이 점포에 접촉해서 각각의 배송존에 따른 배송요금표, 그리고 저울을 주어서 점포에 배송의뢰건이 들어오면 배송할 곳의 주소(배송존) 및 물품의 정보와 무게를 확인하고 배송요금표에 나와있는 배송요금을 받고 배송하는 형태이다. 이 배송요금표는 일반적으로 각 국가의 국내만 해당되고 해외로 보내는 것은 서비스되지 않는다. 또한 배송물품을 받고 점포는 다시 배송회사에 배송물품을 수령했다고 전화를 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점포들이 배송 관리 서버에 회원가입해서 배송업을 하는 것으로 배송회사에 소속된 것이 아니라 독립된 배송업을 하는 것이고, 각 국가의 국내는 물론 해외까지 다른 배송업체들과 연계해서 배송서비스를 고객에게 해 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차주나 점포를 이용한 배송업체들은 물품의 무게를 제외한 모든 정보를 이미 전달받고 물품을 수령하러 가기 때문에 물품을 보내는 자와 물품을 수령하는자 간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전세계의 모든 배송업체와 전세계의 모든 물품을 보내는 자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제되기 때문에 배송정보의 누락, 혼동, 시간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배송 관리 서버가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가입한 1개 혹은 다수의 배송업체가 일반 물품을 배송하고자 하는 사람들과 인터넷에서 판매하는 상품 및 일반회사들이 보내는 소포를 같이 취급할 수 있다.
온라인 배송에 가입된 배송업체들은 일반 배송자(주로 각 나라에 있는 우체국 이용자들), 일반회사들이 취급하는 소포나 편지,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자란 고객을 자신들의 노력 여하에 따라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7에 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판매자가 완성된 배송존을 제공하고 구매자가 상품 수령지를 확정하면, 출고지 정보의 네이션, 스테이트존 및 시티와 대응되는 수령지 정보의 네이션, 스테이트존 및 시티가 각각 또는 순차적으로 동일한 지 여부를 판단하여 네이션, 스테이트존 및 시티별로 책정된 배송료를 산출한다.
웹 사이트에서 구매자들이 회원가입 혹은 상품 구입시 상품 수령지 주소를 확정하면, 판매자들이 확정한 배송존에 따른 배송요금과 연계된다. 여기서 상품구매자가 기입할 수 있는 것은 우편번호와 상세주소이고 다른 주소(국가 행정체계 명칭)는 사이트 관리자가 입력한 것을 사용한다.
이렇게 상품 수령지 주소가 완성되면 판매자들이 제공한 각각의 배송구역에 따른 배송요금이 선택된다. 각 국가마다 혹은 전 세계적으로 같은 철자로 된 지명을 볼 수 있다. 대한민국 같은 경우 각 시 마다 중구, 서구, 동구, 남구 및 북구라는 같은 지명이 존재한다. 이 경우 인간은 XX시의 동구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으나, 프로그램화되어 있지 않은 컴퓨터는 인식할 수 없다. 이것을 인식하게 하는 방법으로는 도 7 혹은 각 주소(행정구역 명칭)에 따른 배송코드를 이용할 수 밖에 없다.
만약 웹 사이트 관리자가 작성한 주소체계와 각 국가에서 지정한 우편번호의 주소체계를 도 7 혹은 배송코드에서와 같이 같은 시스템으로 호환시키면 구매자가 주소를 선택할 경우 우편번호도 자동으로 생성되어 표기 될 수 있으며 후에 우편번호나 주소의 변동사항이 있더라도 자동으로 주소나 우편번호가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배송회사의 코드인 '0082 02 05 01' 혹은 문자주소인 '대한민국 서울 강남구 삼성동'이 결정되면 '대한민국 서울 강남구 삼성동'의 우편번호인 'XXX-XX'가 자동으로 표기될 수 있다. 이 경우 배송회사의 문자주소, 지역코드와 우편번호는 숫자만 틀리지 같은 의미이다.
이 경우 국가선택과 언어선택을 한 후에 주소 기입자가 우편번호를 외우고 있다면 '우편번호 직접기입난'에 직접 우편번호를 입력하면 그 우편번호까지의 주소(행정체계)를 별도로 선택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표기되어 보여진다. 이 경우는 우편번호와 상세주소만 입력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한편, 관리서버(10)의 외부케이스 내부면에는 흡음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흡음층을 구성하는 펠트로는 니들펀치 펠트가 사용될 수 있다.
니들펀치 펠트로 이루어진 흡음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종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나일론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아크릴 섬유, 천연 섬유 등이 있다.
상기 흡음층의 두께는, 0.5 ~ 16㎜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음층의 두께가 0.5㎜ 미만에서는 충분한 흡음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16㎜를 초과하면 관리서버(10)의 외부케이스의 공간이 저감되어 관리서버(10)의 외부케이스 내부 스페이스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단점이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흡음층의 단위 무게는 5 ~ 500g/m2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g/m2 미만에서는 충분한 흡음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또한 500g/m2 을 넘으면 관리서버(10)의 경량성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흡음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0.1 ~ 20데시텍스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0.1데시텍스 미만에서는 저주파 소음의 흡수가 어렵고, 쿠션성도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20데시텍스를 넘으면 고주파 소음의 흡수가 어려우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 중에서도 흡음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0.1 ~ 15데시텍스의 범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흡음층이 관리서버(10)의 외부케이스 내측에 구비되므로 관리서버(10)의 구동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의 표면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이 도포된 오염방지도포층이 형성된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수산화나트륨 및 알킬 베타인이 포함되어 있고, 수산화나트륨 및 알킬 베타인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 10 중량%이다.
상기 수산화나트륨 및 알킬 베타인은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제어부(190)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190)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0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 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0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10: 배송 관리 서버 20: 주문자 단말
30: 배송업자 서버 31: 배송업자
40: 쇼핑몰 운영서버 110: 회원 등록부
120: 웹사이트 중개부 130: 정보 입력부
140: 배송지 데이터베이스 150: 상품 구매 중개부
160: 상품배달 중개부 170: 결제 대행부
180: 배송 정보 제공부 190: 제어부

Claims (7)

  1.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을 주문자에 의하여 선택된 배송업자를 통하여 배송하기 위한 온라인 공개 배송 시스템이고,
    회원으로 가입된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과 배송업자 정보를 웹 사이트를 통하여 제공하고, 상기 웹 사이트에서 상기 배송업자에 의하여 등록된 국내 또는 국외의 주소 정보(이하, 배송존 정보), 배송존 정보에 따른 배송 요금 정보, 배송 수단 정보 및 포인트 정보를 제공하며, 주문자(회사 또는 개인)에 의하여 특정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된 상품을 해당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자 또는 관리자에 의하여 선택된 배송업자를 통하여 배송지에 배송하도록 하는 배송 관리 서버; 및
    상기 주문자가 사용하는 단말로서, 상기 배송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 중 어느 하나에서의 상품 선택과, 상기 배송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배송수단 선택과, 상기 상품 또는 배송업자에 대한 구매 결제 또는 배송 결제를 수행하며, 상기 배송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택된 배송업자로부터 상품을 배송받을 배송지 정보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주문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배송업자가 운영 또는 관리하는 서버로서, 상기 배송 관리 서버에 접속후 회원으로 가입하고, 상기 웹 사이트 또는 온라인 쇼핑몰에 연동되어 상기 배송업자 정보, 상기 배송존 정보와 해당 배송존 정보에 따른 배송 요금 정보, 배송 수단 정보 및 포인트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주문자에 의하여 구매된 상품을 입력된 배송지로 배송하는 배송업자 서버; 및
    상기 온라인 쇼핑몰의 관리자가 운영 또는 관리하는 서버로서, 상기 배송 관리 서버에 접속후 회원으로 가입하고, 상기 웹 사이트에 연동되어 온라인 쇼핑몰 정보 및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쇼핑몰 운영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송 관리 서버는 온라인 쇼핑몰과 연동되어, 주문자에 의하여 선택된 상품에 대한 구매 결제와, 배송에 대한 배송 결제를 모두 수행하게 하거나, 상기 배송 결제만을 수행하도록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상기 배송 결제시 상기 주문자에 의하여 입력된 배송 정보를 기초로 자동으로 제1 배송 비용을 산출하고, 상기 제1 배송 비용과 상기 배송업자 서버에 의하여 산출된 제2 배송 비용을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배송 비용을 산출하여 배송 결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송업자 서버는 이동하면서 배송 상품을 수집하는 제1 수집 단말과, 이동하지 않고 배송 상품을 수집하는 제2 수집 단말과, 이동하면서 배송 상품을 배송하는 제1 배송 단말과, 이동하지 않고 배송 상품을 배송하는 제2 배송 단말과 연계되어 상기 배송 상품을 수집 및 배송하되,
    상기 배송 정보에 포함된 상품의 무게 및 부피 정보와 배송지 정보에 의하여 제1 배송 비용을 자동 산출하고,
    상기 제1 수집 단말, 제2 수집 단말, 제1 배송 단말 및 제2 배송 단말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상기 배송 상품의 측정 무게 및 부피 정보를 제2 배송 비용으로 하여 상기 배송업자 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송 관리 서버는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과 배송업자가 회원으로 등록되는 회원 등록부;
    상기 온라인 쇼핑몰을 상기 주문자 단말로 제공하는 웹사이트 중개부;
    상기 주문자 단말로부터 상품 선택, 배송수단 선택, 구매 결제, 배송 결제, 배송지 선택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고, 해당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자 또는 관리자에 의하여 배송업자가 선택되는 정보 입력부;
    상기 배송업자에 의하여 입력된 배송존 정보와 상기 해당 배송존 정보에 따른 배송 요금 정보 및 배송 수단 정보가 저장되는 배송지 데이터베이스;
    상기 주문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상품 선택 정보, 구매 결제 정보를 상기 온라인 쇼핑몰과 주문자 단말간에 중개하는 상품구매 중개부;
    상기 주문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배송수단 선택 정보, 배송 결제 정보를 상기 웹 사이트와 배송업체 서버간에 중개하는 상품배달 중개부;
    상기 주문자 단말에 의하여 선택된 상품에 대한 구매 결제와, 배송에 대한 배송 결제를 모두 수행하게 하거나, 상기 배송에 대한 배송 결제만을 수행하도록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결제 대행부;
    상기 주문 정보, 배송 정보, 배송 비용 정보, 배송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배송정보 제공부; 및
    상기 배송 관리 서버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배송 관리 서버는
    상기 쇼핑몰 운영서버에 의하여 등록된 상품 정보와 상기 배송업자 서버에 의하여 등록된 배송존 정보 중 주문자에 의하여 입력된 배송지 정보에 따른 배송 수단 정보 및 배송 요금 정보를 리스트화하거나 해당 상품과 배송 요금을 각각 합산하여 상기 웹 사이트에 제공하는 가격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배송 관리 서버는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판매자 정보와 구매자 정보는 쇼핑몰 운영서버와 공유하고, 상기 배송업자 서버와는 공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
KR1020170152401A 2017-11-15 2017-11-15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 KR101934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401A KR101934807B1 (ko) 2017-11-15 2017-11-15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
PCT/KR2018/012953 WO2019098571A1 (ko) 2017-11-15 2018-10-29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
US16/762,144 US20200265373A1 (en) 2017-11-15 2018-10-29 Online open deliver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401A KR101934807B1 (ko) 2017-11-15 2017-11-15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4807B1 true KR101934807B1 (ko) 2019-01-03

Family

ID=65021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401A KR101934807B1 (ko) 2017-11-15 2017-11-15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265373A1 (ko)
KR (1) KR101934807B1 (ko)
WO (1) WO201909857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103B1 (ko) * 2019-08-02 2020-08-27 김보중 통합 주문 및 통합 배송이 가능한 전자상거래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KR102557724B1 (ko) * 2022-06-27 2023-07-20 주식회사 메이크웨이브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6834B2 (en) * 2017-08-03 2022-12-13 Overhaul Group, Inc. Tracking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ensuring security of shipments
US11055800B2 (en) 2017-12-04 2021-07-06 Telcom Ventures, Llc Methods of verifying the onboard presence of a passenger, and related wireless electronic devices
US11200306B1 (en) * 2021-02-25 2021-12-14 Telcom Ventures, Llc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authenticating user identity for location-based deliveri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3303A (ko) * 2008-02-29 2009-09-02 주식회사 휴이넘 쇼핑몰 상품 거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9830572B2 (en) * 2012-03-29 2017-11-28 Amazon Technologies, Inc. Pickup locations
KR101384769B1 (ko) * 2012-07-16 2014-04-14 심익보 판매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03009B1 (ko) * 2014-04-18 2016-03-14 (주)큐텍코리아 배송업체 중심 판매 시스템 및 방법
JP5658842B1 (ja) * 2014-06-06 2015-01-28 楽天株式会社 情報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10789566B1 (en) * 2014-12-18 2020-09-29 Amazon Technologies, Inc. Capability-based accelerated fulfillment of previously-ordered item
KR101662048B1 (ko) * 2015-03-04 2016-10-10 박상완 맞춤형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70103446A1 (en) * 2015-10-09 2017-04-13 Wal-Mart Stor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purchase agreements
KR101803483B1 (ko) * 2015-12-08 2017-11-30 (주)피어플 주문 상품 배송 신청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103B1 (ko) * 2019-08-02 2020-08-27 김보중 통합 주문 및 통합 배송이 가능한 전자상거래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WO2021025387A1 (ko) * 2019-08-02 2021-02-11 김보중 통합 주문 및 통합 배송이 가능한 전자상거래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CN114341915A (zh) * 2019-08-02 2022-04-12 株式会社布林科 实现综合订购及综合配送的电子商务方法及用于其的服务器
JP2022533472A (ja) * 2019-08-02 2022-07-22 ブリンコ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統合注文および統合配送が可能な電子商取引方法およびこのためのサーバー
US11544771B2 (en) 2019-08-02 2023-01-03 Bringko Co., Ltd. Electronic commerce method capable of integrated ordering and integrated delivery, and server therefor
JP7244889B2 (ja) 2019-08-02 2023-03-23 ブリンコ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統合注文および統合配送が可能な電子商取引方法およびこのためのサーバー
KR102557724B1 (ko) * 2022-06-27 2023-07-20 주식회사 메이크웨이브 물품의 배송 대행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65373A1 (en) 2020-08-20
WO2019098571A1 (ko)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807B1 (ko) 온라인 공개 배송시스템
US11321766B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co-ordinating an alternate delivery of one or more selected items
US10445814B2 (en) International e-Commerce system
US7565308B1 (en) Method of executing an electronic commerce sale from an affiliate web site
KR102155012B1 (ko) B2b 클라이언트에 특화된 온라인 복지몰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0901643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payment and shipping information
KR101094703B1 (ko) 온라인 마켓에서 제시된 항목 선택에 의한 견적 요구와조합 견적 응대를 통한 효율적인 전자 상거래 방법 및시스템
JP2009505238A (ja) 最適化されたデータベース調整および供給チェーン効率
KR101702240B1 (ko) 전자상거래에서의 물품 배송 요금 산출 시스템
US202201479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etail product returns
CA2416675A1 (en) Method of selling or purchasing merchandise over network
JP2001306959A (ja) 電子商取引支援システム
KR20150110840A (ko) 위치기반의 c2b 중고매입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및 비즈니스 모델
JP2002230340A (ja) 販売業者管理システムおよび販売業者管理方法
KR20190116160A (ko) 해외 직접 구매를 위한 쇼핑몰 자동 번역 및 자동환전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010036579A (ko) 인터넷 중고 매매 시스템
US20200387957A1 (en) Merchandise shipping fee calculating system in electronic commerce
KR101694143B1 (ko) 데이터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여행자와 구매자 간 물품거래 중개방법
KR20020009843A (ko) 인터넷을 이용한 물류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1088805A1 (en) Internet-based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shipment of goods
KR20200091272A (ko) 상품공유가 가능한 독립형 프랜차이즈 쇼핑몰의 운영방법및 운영시스템
KR20000024613A (ko) 인터넷상의 정보제공을 통한 현물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방법
KR100911242B1 (ko) 듀얼모니터를 이용한 온오프라인 회원 및 콜센터 통합관리장치 및 그 방법
Oksenchuk Development and logistics of e-commerce in the world and the Republic of Belarus
CN113902500A (zh) 一种购物系统及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