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865B1 - 판매 정보 및 유통 연동 구조를 통한 식자재 소상공인의 통합 발주 및 배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판매 정보 및 유통 연동 구조를 통한 식자재 소상공인의 통합 발주 및 배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865B1
KR102318865B1 KR1020210038065A KR20210038065A KR102318865B1 KR 102318865 B1 KR102318865 B1 KR 102318865B1 KR 1020210038065 A KR1020210038065 A KR 1020210038065A KR 20210038065 A KR20210038065 A KR 20210038065A KR 102318865 B1 KR102318865 B1 KR 102318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ood material
sales
information
acc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골든브릿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골든브릿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골든브릿지
Priority to KR1020210038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8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식자재 소상공인 사이에서의 계약에 따라서 구매자가 대형 마트 또는 대기업 유통 구조를 거치지 않고도, 다양한 식자재를 통합적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하고, 식자재 소상공인의 배송 상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서, 식자재를 구매하는 제1 유저가 식자재를 판매하는 제2 유저의 온라인 상의 판매 공간에 식자재 조회 및 발주를 위해 접속함을 감지 시 제2 유저가 판매하는 식자재의 정보 조회 및 발주 입력이 가능하도록 제2 유저별로 마련된 쇼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접속 처리 단계; 쇼핑 인터페이스에 판매 대상이 되는 식자재의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해서 쇼핑 인터페이스에 등록할 식자재의 정보를 추출 시, 제공된 쇼핑 인터페이스를 운영하는 제2 유저가 판매자 계정으로 설정된 식자재인 제1 식자재 정보 및 제2 유저 이외의 판매자가 판매자 계정으로 설정된 식자재들 중 제2 유저가 판매 대행자 계정으로 설정된 제3 유저가 판매자 계정으로 설정된 식자재인 제2 식자재 정보를 추출하는 판매 대상 결정 단계; 및 판매 대상 결정 단계에 의하여 결정된 제1 식자재 정보 및 제2 식자재 정보를 쇼핑 인터페이스에 등록하여, 쇼핑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유저가 제1 식자재 정보 및 제2 식자재 정보를 확인 후 발주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판매 정보 적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판매 정보 및 유통 연동 구조를 통한 식자재 소상공인의 통합 발주 및 배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PROVIDING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OF INTEGRATED ORDERING AND DELIVERY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F SMALL BUSINESS OWNERS THROUGH SALES INFORMATION AND DISTRIBUTION LINKAGE STRUCTURE}
본 발명은 온라인을 통한 식자재 발주 및 결제 등을 통한 유통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식자재 소상공인 사이에서의 계약에 따라서 구매자가 대형 마트 또는 대기업 유통 구조를 거치지 않고도, 다양한 식자재를 통합적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하고, 식자재 소상공인의 배송 상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상공인과 소비자 간의 직거래 형태가 온라인 상에서 구현되고 있다. 온라인 쇼핑의 이용 규모가 늘어나면서, "로켓 배송", "쓱 배송"등 일반 공산품에서 식료품까지 다양한 제품에 대한 신속한 배송 시스템이 늘어나면서, 이용자들은 언제 어디서든지 편리하게 자신이 원하는 물품을 배송받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식자재 유통망 구조에서도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식자재는 식료품부터 공산품까지 음식을 만드는 데에 쓰는 재료를 통틀어 이르는 개념이다. 농산물, 수산물, 축산물 및 공산품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외식업체, 급식업체 및 식품 가공업체 등의 업체에 식자재를 납품하는 유통 구조가 포함되어 있다.
외식업체 등 식자재에 대한 구매자는 자신이 알고있는 식자재 업체 등을 소개받아서 발주를 수행하고, 식자재 업체에서는 발주 요청을 수신 시 이에 대한 제품 대금을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결제받고 매일 또는 주기적으로 구매자에게 식자재를 납품하고 있다.
이러한 식자재 유통망 구조는 매우 폐쇄적이어서, 구매자 측면에서는 식자재 판매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쉽지 않아 일부 식자재 판매 업체의 독점에 의한 비용 소모가 극심하고, 식자재 판매 업체 측면에서는 보다 넓은 범위의 구매자의 확보를 통한 유통망 확장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한국특허출원 제10-2019-0048173호 등에서는, 생산자들로부터 통합 서버에 물품을 공급하도록 하고, 통합 서버에 접속한 구매자들은 식자재의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발주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통합 유통망 구조는, 하나의 허브, 즉 대기업이 주체가 되어 생산자와 구매자를 연결하기 때문에, 허브의 유통망에 따라서 소상공인들이 구매자를 직접 확보하지 못해, 결국, 대기업 유통망의 독점이 이루어져 지역 내 소상공인의 수익이 크게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한편 소상공인에 대한 정보 공유를 통해 구매자와 소상공인을 연결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더라도, 식자재의 유통은 구매자가 주기적으로 다종 소량의 식자재를 구매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식자재 판매자가 다수의 구매자에게 일일이 배송을 하는 데에는 배송 비용이 과다하게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서 결국 다수의 식자재를 한 번에 유통하는 종합 식자재 판매업체를 이용할 수 밖에 없는데, 이러한 종합 식자재 판매업체는 식자재 비용이 매우 비싼 문제가 있다. 결국, 배송금액의 증가 및 소량 배송의 기피에 의하여 소상공인을 주체로 한 통합 유통망의 구축은 사실상 매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고안된 것으로서, 소상공인이 주체가 되는 식자재의 통합 유통망 구축에 있어서 식자재 판매자인 소상공인 측면에서는 다수의 구매자에 대해서 한 번의 배송을 통해 최대한 다수의 물품을 배송할 수 있도록 하고, 구매자의 풀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수익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동시에, 구매자인 외식업체의 측면에서는, 종합 식자재 판매업체 또는 대기업의 유통망을 통하지 않도록 하여 매우 싼 가격으로 통합 식자재 유통망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품질이 좋은 식자재를 싼 값에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배송 시 마진율 조정을 통해서 소상공인들 각각이 하나의 허브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식자재 통합 유통 구조를 구축하여, 독점 허브를 이용할 때보다 더욱 합리적인 유통 가격으로 통합 식자재 유통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 정보 및 유통 연동 구조를 통한 식자재 소상공인의 통합 발주 및 배송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판매 정보 및 유통 연동 구조를 통한 식자재 소상공인의 통합 발주 및 배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식자재를 구매하는 제1 유저가 식자재를 판매하는 제2 유저의 온라인 상의 판매 공간에 식자재 조회 및 발주를 위해 접속함을 감지 시 제2 유저가 판매하는 식자재의 정보 조회 및 발주 입력이 가능하도록 제2 유저별로 마련된 쇼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접속 처리 단계; 상기 쇼핑 인터페이스에 판매 대상이 되는 식자재의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쇼핑 인터페이스에 등록할 식자재의 정보를 추출 시, 제공된 쇼핑 인터페이스를 운영하는 제2 유저가 판매자 계정으로 설정된 식자재인 제1 식자재 정보 및 상기 제2 유저 이외의 판매자가 판매자 계정으로 설정된 식자재들 중 제2 유저가 판매 대행자 계정으로 설정된 제3 유저가 판매자 계정으로 설정된 식자재인 제2 식자재 정보를 추출하는 판매 대상 결정 단계; 및 상기 판매 대상 결정 단계에 의하여 결정된 제1 식자재 정보 및 제2 식자재 정보를 상기 쇼핑 인터페이스에 등록하여, 상기 쇼핑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유저가 상기 제1 식자재 정보 및 상기 제2 식자재 정보를 확인 후 발주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판매 정보 적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매 대행자 계정은, 상기 제2 유저와 제3 유저 사이의 계약에 의하여, 상기 제2 유저가 상기 제3 유저가 판매하는 식자재의 판매를 대행할 것으로 계약 시 상기 제2 유저에게 설정되는 계정으로서, 식자재를 판매하는 유저들은 다른 식자재를 판매하는 유저와의 관계에 의하여 상기 제2 유저 또는 제3 유저 중 어느 한 지위를 가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매 대행자 계정은, 상기 제3 유저가 또 다른 제3 유저의 판매 대행자 계정인 경우, 상기 또 다른 제3 유저에 대해서도 상기 제2 유저가 상기 또 다른 제3 유저에 대한 판매 대행자 계정으로 자동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매 정보 적용 단계의 수행 후, 제1 유저로부터 상기 제2 유저에 대한 식자재 발주 요청을 수신 시, 상기 발주 요청에 포함된 식자재에 대한 판매자 계정별로 식자재를 분류하는 발주 분류 단계; 상기 발주 분류 단계에 의하여 분류된 식자재에 대한 세부 발주 요청을 각 식자재의 판매자 계정에 전송하는 발주 수행 단계; 및 상기 발주 요청에 따른 대금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결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제 단계는, 제1 유저로부터 결제된 대금 중, 제2 유저가 판매자 계정인 식자재에 대응되는 제1 대금을 제2 유저 계정에 지급하는 제1 정산 단계; 상기 제3 유저가 판매자 계정인 식자재에 대응되는 제2 대금에 대해서 상기 제2 유저에게 기설정된 비율의 수수료인 제3 대금을 지급하는 제2 정산 단계; 및 상기 제2 대금으로부터 제3 대금을 차감한 제4 대금을 상기 제3 유저의 계정에 지급하는 제3 정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제 단계는, 상기 제1 유저가 상기 결제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제2 유저의 계정에 대금을 지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주 수행 단계의 수행 후,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배송 시점에 있어서, 다수의 제1 유저로부터 상기 제2 유저에 대한 발주 수행 단계의 수행 결과 누적된 발주 데이터에 따라서 식자재를 상기 제1 유저에게 배송하도록 하는 배송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송 단계는, 배송 시점까지 상기 제2 유저에 대한 발주 수행 단계의 수행 결과 누적된 발주 데이터를 상기 제2 유저 및 상기 제3 유저별로 분류하는 발주 데이터 분류 단계; 분류된 발주 데이터에 따라서 제3 유저들 각각으로부터 발주 데이터에 포함된 식자재를 상기 제2 유저에게 배송하도록 상기 제3 유저에게 요청하는 중개 배송 요청 단계; 및 상기 제3 유저의 발주 데이터에 포함되어 제2 유저에게 배송된 식자재 및 상기 제2 유저의 발주 데이터에 포함된 식자재를 상기 제2 유저의 배송망을 통해 상기 제1 유저에게 배송하도록 상기 제2 유저에게 요청하는 배송 수행 요청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 정보 및 유통 연동 구조를 통한 식자재 소상공인의 통합 발주 및 배송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판매 정보 및 유통 연동 구조를 통한 식자재 소상공인의 통합 발주 및 배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식자재를 구매하는 제1 유저가 식자재를 판매하는 제2 유저의 온라인 상의 판매 공간에 식자재 조회 및 발주를 위해 접속함을 감지 시 제2 유저가 판매하는 식자재의 정보 조회 및 발주 입력이 가능하도록 제2 유저별로 마련된 쇼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접속 처리부; 상기 쇼핑 인터페이스에 판매 대상이 되는 식자재의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쇼핑 인터페이스에 등록할 식자재의 정보를 추출 시, 제공된 쇼핑 인터페이스를 운영하는 제2 유저가 판매자 계정으로 설정된 식자재인 제1 식자재 정보 및 상기 제2 유저 이외의 제3 유저가 판매자 계정으로 설정된 식자재들 중 제2 유저가 판매 대행자 계정으로 설정된 식자재인 제2 식자재 정보를 추출하는 판매 대상 결정부; 및 상기 판매 대상 결정부에 의하여 결정된 제1 식자재 정보 및 제2 식자재 정보를 상기 쇼핑 인터페이스에 등록하여, 상기 쇼핑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유저가 상기 제1 식자재 정보 및 상기 제2 식자재 정보를 확인 후 발주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판매 정보 적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유저 및 제3 유저로 구성되는 판매자 계정들은 상호간에 서로 제2 유저 또는 제3 유저로 계약을 맺고, 각 제2 유저에게 제1 유저로부터 입력되는 발주를 통해, 구매자 및 발주에 따라서 서로가 각각 유통 구조에서의 허브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한 구매자들은 해당 제2 유저가 운영하는 쇼핑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제2 유저 및 제3 유저가 판매하는 식자재를 통합적으로 구매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진율 적용을 통해서, 제3 유저들은 제2 유저에게 다수의 제1 유저로부터 발주된 물품을 한 번에 배송하고, 제2 유저들은 제1 유저들이 각각 다수의 물품에 대해 발주한 양을 배송하면 되기 때문에, 배송 단가가 크게 감소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구매자 측면에서는 종합 식자재 판매업체에서와 같은 다양한 물품을 소상공인들에게 구매할 수 있어 매우 싼 가격에 좋은 품질의 물품을 구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판매자 측면에서는 대기업의 유통 구조를 이용하지 않거나 특정 허브의 유통 구조를 이용하지 않아 소상공인들의 수익이 보장되는 동시에, 물품에 대한 배송 부담이 크게 감소하고, 다수의 구매자를 확보할 수 있어 수익이 크게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5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판매 정보 및 유통 연동 구조를 통한 식자재 소상공인의 통합 발주 및 배송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판매 정보 및 유통 연동 구조를 통한 식자재 소상공인의 통합 발주 및 배송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가 구현되는 유통 구조의 예.
도 8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제1 유저가 쇼핑 인터페이스에 접속 시의 식자재에 대한 판매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수익이 분배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물품이 배송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5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판매 정보 및 유통 연동 구조를 통한 식자재 소상공인의 통합 발주 및 배송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판매 정보 및 유통 연동 구조를 통한 식자재 소상공인의 통합 발주 및 배송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가 구현되는 유통 구조의 예, 도 8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제1 유저가 쇼핑 인터페이스에 접속 시의 식자재에 대한 판매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수익이 분배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물품이 배송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위해서 하나 이상이 동시에 참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 정보 및 유통 연동 구조를 통한 식자재 소상공인의 통합 발주 및 배송 방법은 후술하는 도 11에 도시된 컴퓨팅 장치 하나 또는 둘 이상이 각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서 구현될 수 있고, 도 11에 도시된 컴퓨팅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 정보 및 유통 연동 구조를 통한 식자재 소상공인의 통합 발주 및 배송 장치의 각 구성 또는 전부를 이루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 정보 및 유통 연동 구조를 통한 식자재 소상공인의 통합 발주 및 배송 방법 역시 도 6에 도시된 장치의 각 구성에 의하여 단계별 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는 먼저 식자재를 구매하는 제1 유저가 식자재를 판매하는 제2 유저의 온라인 상의 판매 공간에 식자재 조회 및 발주를 위해 접속함을 감지 시 제2 유저가 판매하는 식자재의 정보 조회 및 발주 입력이 가능하도록 제2 유저별로 마련된 쇼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접속 처리 단계(S10)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제2 유저의 온라인 상의 판매 공간은, 일종의 폐쇄몰 형태의 온라인 공간으로서, 외식업체, 즉 식자재 구매자 계정인 제1 유저가 식자재 판매업체인 제2 유저와의 계약을 통해, 제2 유저가 판매하는 식자재를 구매 가능한 것으로 설정되는 경우 접속 가능한 온라인 쇼핑몰을 지칭한다. 이에 따라서 S10 단계에서 제1 유저는 제2 유저가 운영하는 쇼핑몰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 자신의 단말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웹 접속을 통해서 쇼핑 인터페이스를 실행시키고, 제2 유저와의 계약에 대한 인증을 서버와 수행하여, 유효하게 인증된 제1 유저가 쇼핑 인터페이스에 제2 유저가 판매하는 식자재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쇼핑 인터페이스가 가공되어 제1 유저가 접속한 단말에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쇼핑 인터페이스는 상술한 제2 유저별 온라인 상의 판매 공간에서 제1 유저가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쇼핑 인터페이스는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 구현을 위해서, 정보 조회 등의 기능 수행을 위하여 유저가 단말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창, 각종 데이터의 출력이 수행되는 출력 영역, 특정 기능을 선택하여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 복수의 인터페이스 전환 기능, 결제 기능, 발주 기능, 메시지 송수신 기능 등 일반적으로 온라인 쇼핑몰에서 이용 가능한 대부분의 기능 수행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식자재의 정보 조회는, 제1 유저가 상술한 입력 창 등을 이용하여 특정 식자재의 종류, 이름, 가격, 단위 등을 검색하고, 그 결과 조건에 매칭되는 식자재의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일련의 기능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식자재의 정보는, 예를 들어 식자재의 이름, 종류, 단위 수량, 단위 수량별 또는 특정 단위별 판매 가격, 해당 식자재의 원산지, 제조업체, 제조지역, 배송 가능 지역, 예상 배송 일자 등 제품에 대해서 확인 가능한 모든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발주 입력은, 제2 유저에게 제1 유저가 해당 식자재를 구매할 것으로 결정하여 입력하는 정보를 입력하는 행위 또는 그 결과 생성되어 제2 유저에게 전송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발주 입력에는, 식자재의 식별 정보, 구매 수량, 가격, 배송지(제1 유저의 주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S10 단계는 상술한 쇼핑 인터페이스의 기능 수행을 위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쇼핑 인터페이스의 프레임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이해될 수 있다. 즉 후술하는 기능의 수행을 통해서 쇼핑 인터페이스에 판매 대상이 되는 식자재에 대한 정보가 결정되고, 이를 통해서 최종적으로 제1 유저가 쇼핑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술한 정보 조회 및 발주 입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S10 단계의 수행이 완료되면, 컴퓨팅 장치는 이후 쇼핑 인터페이스에 판매 대상이 되는 식자재의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해서 쇼핑 인터페이스에 등록할 식자재의 정보를 추출 시, 제공된 쇼핑 인터페이스를 운영하는 제2 유저가 판매자 계정으로 설정된 식자재인 제1 식자재 정보 및 제2 유저 이외의 제3 유저가 판매자 계정으로 설정된 식자재들 중 제2 유저가 판매 대행자 계정으로 설정된 식자재인 제2 식자재 정보를 추출하는 판매 대상 결정 단계(S20)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제2 유저와 제3 유저는 모두 식자재를 판매하는 판매자 계정으로 설정된 유저들 중, 제1 유저와의 관계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설정되는 지위로서 이해될 수 있다. 즉 제1 유저와의 관계에 있어서 제2 유저는 직접 제1 유저와의 계약이나 제1 유저가 조회하는 행위 등을 통해서, 식자재를 직접 판매하는 계정의 지위이다. 반편, 제3 유저는 제1 유저와의 관계에 있어서 식자재를 직접 판매하지 않고, 제2 유저를 통해서 식자재를 판매하는 계정의 지위이다.
상술한 바의 제2 유저는 일종의 제3 유저에 대한 판매 대행자 계정으로 설정된 유저를 의미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판매 대행자 계정은 기존의 판매 대행 서비스와 같이, 특정 판매자 계정이 판매 대행자 계정으로 확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유저와의 관계에 있어서, 제2 유저와 제3 유저는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저(31) 및 제3 유저(32)는 서로의 계약에 의하여, 제2 유저(31)가 특정 제1 유저(20)와의 관계에 있어서 제3 유저(32)가 판매하는 식자재의 판매를 대행할 것으로 계약 시 제2 유저(31)에게 설정되는 계정이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유저(20), 즉 제2 유저(31)에 대해서 제2 유저(31)가 운영하는 쇼핑 공간에서 식자재를 구매, 즉 발주할 수 있는 것으로 계약된 유저들에 대해서는, 제3 유저(32)는 제2 유저(31)를 통해서 자신의 물품을 제1 유저(20)에게 판매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식자재를 판매하는 유저들의 사이에 있어서 제1 유저(20)가 아닌 다른 어떤 제1 유저가 예를 들어 S2유저와의 계약에 의하여 발주 가능한 것으로 계약된 경우, 이때 S2 유저는 해당 제1 유저와의 관계에 있어서 제2 유저의 지위를 가지게 될 것이며, 예를 들어 S2 유저와 계약을 통해 자신의 물품을 대신 판매할 것으로, 즉 S2 유저가 판매 대행자 계정으로 설정된 S3 유저(33)는 해당 제1 유저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제3 유저가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 식자재를 판매하는 유저(31, 32, 33)들은 다른 식자재를 판매하는 유저와의 관계에 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동시에 제2 유저 또는 제3 유저의 지위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어느 한 유저가 허브로서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제1 유저, 제2 유저 및 제3 유저들 사이의 계약 및 상대적인 관계에 따라서 제2 유저와 제3 유저 중 어느 한 유저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제2 유저와 제3 유저의 지위 단계가 다층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한 제2 유저는 다른 판매자 계정 유저와의 계약을 통해서 제3 유저를 동시에 다수 가질 수 있다. 이때, 동시에 제3 유저를 다수 가질 수 있음은 예를 들어 병렬 구조 또는 직렬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저(20)와의 관계에 있어서 제2 유저(31)와 제3 유저(32)가 존재하고, 이때 제3 유저(32)가 또 다른 제3 유저(33)와의 계약을 통해서 제2 유저의 지위, 즉 판매 대행자 계정의 지위인 경우, 제3 유저(33)에 대해서도 제2 유저(31)는 해당 제3 유저(33)에 대한 판매 대행자 계정으로 자동으로 또는 제3 유저(33)와 제2 유저(31) '사이의 계약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하면, 다양한 소상공인의 그룹(S1 내지 S5)이 서로의 고객인 제1 유저들과의 관계에 있어서 집단 통합 쇼핑몰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고, 후술하는 마진율에 의한 수수료 지급 등을 통해서, 자신의 고객에 대한 판매 시의 메리트(Merit)를 취할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의 이용률이 크게 증가하는 동시에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2 유저 및 제3 유저에 대해서 S20 단계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유저가 직접 판매하는 식자재를 제1 식자재 정보로서 선택하고, 제2 유저와의 관계에 있어서 제2 유저와 계약된 제3 유저가 판매자 계정으로 설정된 식자재들, 즉 제2 유저가 판매 대행자 계정으로 설정된 판매자 계정인 제3 유저가 판매하는 판매자 계정으로 설정된 식자재인 제2 식자재 정보를 추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컴퓨팅 장치는, 결정된 제1 식자재 정보 및 제2 식자재 정보를 쇼핑 인터페이스에 등록하여, 쇼핑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유저가 제1 식자재 정보 및 제2 식자재 정보를 확인 후 발주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판매 정보 적용 단계(S30)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서, 제1 유저는 제2 유저가 운영하는 쇼핑 공간에 접속 시에도, 쇼핑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제2 유저와 계약된 제3 유저가 판매하는 식자재에 대한 정보까지 확인하고 이에 대한 구매를 위해서 발주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어떤 제1 유저(20)는 특정 판매자(31)가 운영하는 쇼핑 공간에 접속 시 쇼핑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술한 기능 수행을 통해서 선택된 다수의 식자재 정보(310, 311)를 확인하여 이를 통해 발주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식자재 정보(310, 311)는 상술한 제1 식자재 정보(310) 및 제2 식자재 정보(311)를 포함한다. 즉 제1 식자재 정보(3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저로 설정된 판매자(31)가 판매자 계정으로 등록된, 즉 해당 업체에서 직접 취급하는 식자재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한편 제2 식자재 정보(311)는 판매자(31) 및 제1 유저(20)와의 관계에 있어서 제3 유저로 설정된 판매자(32) 또는 제3 유저로 설정된 판매자(32)와 또 다른 제3 유저로 계약된 판매자(33)가 판매자 개정으로 등록된, 즉 해당 업체에서 취급하는 식자재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저(20)는 해당 식자재에 대한 정보(310, 311)를 확인하고 해당 식자재의 정보(310, 311)를 특정 판매자(31)가 운영하는 쇼핑 공간에서 한 번에 확인하고 이에 대한 발주를 수행할 수 있어, 특정 판매자(31)가 취급하는 식자재뿐 아니라 제3 유저로 설정된 판매자가 취급하는 물건에 대해서도 제3 유저와의 별도의 계약 없이 물품을 구매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2 유저의 측면에서는 자신이 판매하는 식자재뿐 아니라, 계약된 다른 판매자가 판매하는 식자재 역시 자신이 판매하는 것과 다름 없이 발주를 입력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1 식자재 정보(310)와 제2 식자재 정보(311)를 서로 구분 없이 출력하도록 하여, 제1 유저는 마치 종합 식자재 공급업체에서 물품을 구매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에 비하여 소상공인들의 판매 가격, 즉 종합 식자재 공급업체에서의 판매 가격에 비하여 싼 가격으로 식자재를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2 유저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온라인 종합 쇼핑몰과 같이 특정 대기업이나 유통 전문 기업이 운영하는 허브 계정이 아니라, 식자재를 판매하는 소상공인의 계정이면서, 또한 제2 유저는 다른 판매자 및 구매자와의 관계에 있어서 제3 유저 및 또 다른 제3 유저가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제2 유저 및 제3 유저로 구성되는 판매자 계정들은 상호간에 서로 제2 유저 또는 제3 유저로 계약을 맺고, 각 제2 유저에게 제1 유저로부터 입력되는 발주를 통해, 구매자 및 발주에 따라서 서로가 각각 유통 구조에서의 허브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한 구매자들은 해당 제2 유저가 운영하는 쇼핑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제2 유저 및 제3 유저가 판매하는 식자재를 통합적으로 구매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진율 적용을 통해서, 제3 유저들은 제2 유저에게 다수의 제1 유저로부터 발주된 물품을 한 번에 배송하고, 제2 유저들은 제1 유저들이 각각 다수의 물품에 대해 발주한 양을 배송하면 되기 때문에, 배송 단가가 크게 감소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구매자 측면에서는 종합 식자재 판매업체에서와 같은 다양한 물품을 소상공인들에게 구매할 수 있어 매우 싼 가격에 좋은 품질의 물품을 구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판매자 측면에서는 대기업의 유통 구조를 이용하지 않거나 특정 허브의 유통 구조를 이용하지 않아 소상공인들의 수익이 보장되는 동시에, 물품에 대한 배송 부담이 크게 감소하고, 다수의 구매자를 확보할 수 있어 수익이 크게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발주 시 해당 물품의 대금의 분배 및 배송 구조를 통해서, 상술한 구조에서의 배송 비용의 절감 및 판매 대행에 따른 수익 창출 효과를 실질적으로 실현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적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이를 위해서 도 2 등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는 S30 단계의 수행 에 따라서 제1 유저가 접속한 유저 단말에 상술한 바와 같이 쇼핑 인터페이스 및 쇼핑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제1 및 제2 식자재 정보가 적용되도록 한 뒤에, 이를 이용하여 제1 유저가 특정 식자재 및 해당 식자재의 수량에 대한 입력 후, 제2 유저에 대한 식자재 발주 요청을 수행하면, 이를 수신하여 발주 요청에 포함된 식자재에 대한 판매자 계정별로 식자재를 분류하는 발주 분류 단계(S40)를 수행한다.
S40 단계의 특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유저가 운영하는 쇼핑 공간에 대한 쇼핑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제1 유저로부터 발주 요청을 수신하는 점에 있다. 이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유저가 운영하는 쇼핑 공간의 쇼핑 인터페이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식자재는 제2 유저가 판매자 계정으로 된 식자재인 제1 식자재와, 제3 유저가 판매자 계정으로 된 식자재인 제2 식자재를 포함한다.
이때 제1 유저는 제2 유저에 대해서 발주 요청을 입력하게 되며, 이때 발주 요청에는 제1 식자재에 대한 발주 및 제2 식자재에 대한 발주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S40 단계에서는, 발주 요청을 분석하여, 제2 유저에 대한 발주 요청에서 각 식자재에 대해서 판매자 계정으로 등록된 판매자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발주 요청을 각 판매자별로 분류하는 것이다.
S40 단계가 수행되면, 컴퓨팅 장치는 S40 단계에 의하여 분류된 식자재에 대한 세부 발주 요청을 각 식자재의 판매자 계정에 전송하는 발주 수행 단계(S50)를 수행한다. S40 단계의 기능 수행에 따르면 각 판매자별로 발주가 분류된 상태일 것이며, 이때 발주가 각 판매자별로 전송되는 것이다. 이때, S50 단계에 의하여 전송되는 세부 발주 요청은, 각 판매자별로 배송해야 하는 식자재의 종류 및 수량과 함께, 배송 주소는 해당 발주를 입력한 제1 유저가 아닌 제2 유저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배송 단계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하기로 한다.
이후 발주 요청에 따른 대금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결제 단계(S60)가 수행되어, 대금 결제까지 완료됨으로써 모든 발주의 요청 및 결제 프로세스가 완료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제 단계(S60)가 수행 된 후 배송이 이루어지거나, 결제 단계(S60)가 일 주기(예를 들어 1주일 또는 1달)마다 수행됨에 따라서 배송이 S60 단계보다 우선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 등에 대비하기 위하여 상술한 S50 단계에 의하여 세부 발주 요청이 각 판매자에 전송되면, 상술한 일 주기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배송 시점에 있어서, 다수의 제1 유저로부터 제2 유저에 대한 발주 수행 단계의 수행 결과 누적된 발주 데이터에 따라서 식자재를 제1 유저에게 배송하도록 하는 배송 단계(S70)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유저에게 또는 제2 유저에게 식자재를 배송하도록 함은, 해당 배송에 대한 요청 신호를 각 대상(제2 유저 및/또는 제3 유저)의 계정 또는 단말 등에 전송하여, 각 대상이 이를 확인한 후 배송 시스템을 통해서 배송을 수행하게 되면 이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배송처(제1 유저, 제2 유저 및/또는 제3 유저)에 해당하는 계정에 전송하거나, 각 대상에게 배송 완료 신호를 전송하여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이에 대한 트래킹을 통해서 배송을 확인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액션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결제 단계(S60) 및 배송 단계(S70)의 구체적인 특징에 의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 각 판매자가 제2 유저 및/또는 제3 유저의 지위를 갖도록 하더라도, 다수의 구매자 확보 및 구매자 공유에 의한 수익 창출이 되도록 하는 동시에, 이를 통한 배송 비용 절약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을 위해서 먼저 도 3 및 도 9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는 결제 단계(S60)를 수행함에 있어서 먼저 제1 유저(P1)로부터 결제된 대금(G1) 중, 제2 유저(S1)가 판매자 계정인 식자재에 대응되는 제1 대금(G2)을 제2 유저(S2) 계정에 지급하는 제1 정산 단계(S61)를 수행한다.
즉, 본 발명에서 제1 유저(P1)는 결제를 진행함에 있어서 식자재별로 판매자가 다른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서 각 판매자에게 대금을 결제하는 것이 아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쇼핑 인터페이스에서 제1 유저(P1)는 제2 유저(S1)가 모든 상품을 판매하는 것과 같이 쇼핑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결제 프로세스 역시 제2 유저(S1)에 대한 1회의 결제만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제1 유저(P1)가 결제한 대금(G1)에는 누적된 발주에 따라서 제2 유저(S1) 및 제3 유저(S2, S3)가 판매하는 식자재에 대한 모든 대금이 포함되어 있고, 상술한 S61 단계를 통해서 이 중 제2 유저(S1)가 판매하는 식자재, 즉 상술한 제1 식자재 정보에 대응되는 식자재에 대한 발주 대금(G2)만을 결제하게 하는 것이다.
이후, 컴퓨팅 장치는 제3 유저(S2, S3)가 판매자 계정인 식자재에 대응되는 제2 대금(G3+G4+G5+G6)에 대해서 제2 유저(S1)에게 기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3%)의 수수료인 제3 대금(G3)을 지급하는 제2 정산 단계(S62)를 수행한다. 즉 이와 같은 마진율을 설정하는 정책을 통해서, 제2 유저(S1)들이 제3 유저(S2, S3)들이 배송해야 하는 물품을 후술하는 배송 단계(S70)에 의하여 대신 제1 유저(P1)에게 배송하는 수수료 및 대신 식자재를 판매해주는 일종의 대행 수수료에 대한 수익을 창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이후, 제2 대금(G3+G4+G5+G6)으로부터 제3 대금(G3)을 차감한 제4 대금(G4+G5+G6)을 제3 유저(S2)의 계정에 지급하는 제3 정산 단계(S63)를 수행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유저(S2)가 또 다른 제3 유저(S3)에 대한 제2 유저로서의 지위를 갖는 경우, S3 유저에 발주에 대등되는 대금(S6)을 지급 시 상술한 바와 같은 수수료(G5)를 차감한 후 지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진율(3%)는 각 판매자(S1, S2, S3)별로 계약하에 체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최종 제2 유저(S1)의 쇼핑 인터페이스에서 제1 유저(P1)가 확인할 수 있는 식자재의 판매 가격은 원래 S2, S3 유저가 설정한 식자재에 대한 판매 가격에 해당 마진율만큼 증가된 가격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S70 단계에 대해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컴퓨팅 장치는 S70 단계를 수행함에 있어서, 배송 시점까지 제2 유저(S1)에 대한 발주 수행 단계의 수행 결과 누적된 발주 데이터를 제2 유저(S1) 및 제3 유저(S2, S3, S4)별로 분류하는 발주 데이터 분류 단계(S71)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배송 시점이라 함은, 예를 들어 1일 등, 제1 유저(P1)에게 배송이 식자재의 배송이 이루어져야 하는 시점으로서, 식자재 유통의 특성 상 하나의 제2 유저(S2)로부터 제1 유저(P1)에게 배송이 시작되어야 하는 시점일 수 있다.
또한 발주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식자재의 식별 정보, 식자재의 수량 및 배송지 정보로서, 제2 유저(S1) 또는 S4 유저에 대해서는 다음 단계의 제3 유저(S2)의 업체 또는 물류 보관 장소의 주소 등 해당 유저(S1, S3)가 물품을 종합적으로 수집하여 배송할 수 있는 장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을 위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컴퓨팅 장치는 S71 단계의 수행 후, 분류된 발주 데이터에 따라서 제3 유저들(S2, S3, S4) 각각으로부터 발주 데이터에 포함된 식자재(I5, I8, I13)를 제2 유저(S1)에게 배송하도록 제3 유저(S2, S3, S4)에게 요청하는 중개 배송 요청 단계(S72)를 수행한다.
이때 제2 유저(S1)에게 식자재를 배송하도록 함은, 예를 들어 S2, S3 유저와 같이 직접 제2 유저(S1)에게 물품을 배송하도록 하거나, S4 유저와 같이 다음 단계의 제2 유저(S2)에게 물품(I13)을 배송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서 S2 유저가 종합적으로 S2 및 S4 유저의 식자재(I8, I13)를 S1 유저에게 배송하도록 중개하는 모든 개념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후, 제3 유저(S2, S3, S4)의 발주 데이터에 포함되어 제2 유저(S1)에게 배송된 식자재(I5, I8, I13) 및 제2 유저(S1)의 발주 데이터에 포함된 식자재(I1)를 제2 유저(S1)의 배송망을 통해 제1 유저(P1)에게 배송하도록 제2 유저(S1)에게 요청하는 배송 수행 요청 단계(S73)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제3 유저(S2, S3, S4)들의 경우 서로 다른 제1 유저들에게 직접 식자재를 배송할 필요가 없이 배송 시점까지 제2 유저(S1)에게 요청된 발주 데이터에 포함된 모든 식자재를 제2 유저(S1)에게 배송하면 되기 때문에 개별 배송 시보다 배송에 대한 비용 및 시간의 부담이 최소화된다. 또한 제2 유저(S1)는 제1 유저(P1)가 다수 존재 시 자신이 판매하는 식자재만을 배송 시보다, 마진율에 해당하는 수수료를 받고 다수의 식자재를 한 번에 배송하기 때문에 대량의 식자재를 한 번에 배송하여 그 비용 및 시간의 부담이 저하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종합 식자재 공급업체에서 물품을 구입 시보다 소상공인들의 P2P(Peer to Peer) 네트워크와 같은 구조의 유통 및 물품 정보 제공 구조를 통해서, 싸고 좋은 품질의 식자재를 공급받을 수 있고, 일 지역 내 소상공인들이 서로 수익을 쉐어하면서 더욱 많은 구매자와 유통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 정보 및 유통 연동 구조를 통한 식자재 소상공인의 통합 발주 및 배송 장치(10, 이하 본 발명의 장치라 함)는, 접속 처리부(11), 판매 대상 결정부(12) 및 판매 정보 적용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추가적으로 발주 프로세스 진행부(14)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처리 및 저장되는 모든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각 계정의 정보, 식자재 정보, 발주 데이터, 발주 정보 등은 데이터베이스(15)에 의하여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5, 7 내지 10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접속 처리부(11)는 식자재를 구매하는 제1 유저(20)가 식자재를 판매하는 제2 유저(30)의 온라인 상의 판매 공간에 식자재 조회 및 발주를 위해 접속함을 감지 시 제2 유저(30)가 판매하는 식자재의 정보 조회 및 발주 입력이 가능하도록 제2 유저(30)별로 마련된 쇼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1의 S10 단계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판매 대상 결정부(12)는 쇼핑 인터페이스에 판매 대상이 되는 식자재의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쇼핑 인터페이스에 등록할 식자재의 정보를 추출 시, 제공된 쇼핑 인터페이스를 운영하는 제2 유저(30)가 판매자 계정으로 설정된 식자재인 제1 식자재 정보 및 제2 유저(30) 이외의 제3 유저가 판매자 계정으로 설정된 식자재들 중 제2 유저(30)가 판매 대행자 계정으로 설정된 식자재인 제2 식자재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1의 S20 단계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것이다.
한편 판매 정보 적용부(13)는 판매 대상 결정부(12)에 의하여 결정된 제1 식자재 정보 및 제2 식자재 정보를 쇼핑 인터페이스에 등록하여, 쇼핑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유저(20)가 상기 제1 식자재 정보 및 상기 제2 식자재 정보를 확인 후 발주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1의 S30 단계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것이다.
한편 발주 프로세스 진행부(14)는, 도 2의 S40, S50, S60 단계, 도 3의 S61, S62, S63, 도 4의 S70, 도 5의 S71, S72, S73 단계의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즉 발주를 수신하고, 이를 분류하여 결제 수행 및 발주/배송이 수행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10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11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11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1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11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판매 정보 및 유통 연동 구조를 통한 식자재 소상공인의 통합 발주 및 배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식자재를 구매하는 제1 유저가 식자재를 판매하는 제2 유저의 온라인 상의 판매 공간에 식자재 조회 및 발주를 위해 접속함을 감지 시 제2 유저가 판매하는 식자재의 정보 조회 및 발주 입력이 가능하도록 제2 유저별로 마련된 쇼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접속 처리 단계;
    상기 쇼핑 인터페이스에 판매 대상이 되는 식자재의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쇼핑 인터페이스에 등록할 식자재의 정보를 추출 시, 제공된 쇼핑 인터페이스를 운영하는 제2 유저가 판매자 계정으로 설정된 식자재인 제1 식자재 정보 및 상기 제2 유저 이외의 판매자가 판매자 계정으로 설정된 식자재들 중 제2 유저가 판매 대행자 계정으로 설정된 제3 유저가 판매자 계정으로 설정된 식자재인 제2 식자재 정보를 추출하는 판매 대상 결정 단계; 및
    상기 판매 대상 결정 단계에 의하여 결정된 제1 식자재 정보 및 제2 식자재 정보를 상기 쇼핑 인터페이스에 등록하여, 상기 쇼핑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유저가 상기 제1 식자재 정보 및 상기 제2 식자재 정보를 확인 후 발주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판매 정보 적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매 대행자 계정은,
    상기 제2 유저와 제3 유저 사이의 계약에 의하여, 상기 제2 유저가 상기 제3 유저가 판매하는 식자재의 판매를 대행할 것으로 계약 시 상기 제2 유저에게 설정되는 계정으로서, 식자재를 판매하는 유저들은 다른 식자재를 판매하는 유저와의 관계에 의하여 상기 제2 유저 또는 제3 유저 중 어느 한 지위를 가질 수 있고,
    상기 판매 대행자 계정은,
    상기 제3 유저가 또 다른 제3 유저의 판매 대행자 계정인 경우, 상기 또 다른 제3 유저에 대해서도 상기 또 다른 제3 유저와의 계약에 무관하게, 상기 제2 유저가 상기 또 다른 제3 유저에 대한 판매 대행자 계정으로 자동 설정되어, 상기 제2 유저는 상기 제3 유저와만의 계약에 의하여, 판매 대행자 계정의 지위로 미설정된 복수의 상기 또 다른 제3 유저에 대한 판매 대행자 계정으로 확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 정보 및 유통 연동 구조를 통한 식자재 소상공인의 통합 발주 및 배송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정보 적용 단계의 수행 후,
    제1 유저로부터 상기 제2 유저에 대한 식자재 발주 요청을 수신 시, 상기 발주 요청에 포함된 식자재에 대한 판매자 계정별로 식자재를 분류하는 발주 분류 단계;
    상기 발주 분류 단계에 의하여 분류된 식자재에 대한 세부 발주 요청을 각 식자재의 판매자 계정에 전송하는 발주 수행 단계; 및
    상기 발주 요청에 따른 대금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결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 정보 및 유통 연동 구조를 통한 식자재 소상공인의 통합 발주 및 배송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단계는,
    제1 유저로부터 결제된 대금 중, 제2 유저가 판매자 계정인 식자재에 대응되는 제1 대금을 제2 유저 계정에 지급하는 제1 정산 단계;
    상기 제3 유저가 판매자 계정인 식자재에 대응되는 제2 대금에 대해서 상기 제2 유저에게 기설정된 비율의 수수료인 제3 대금을 지급하는 제2 정산 단계; 및
    상기 제2 대금으로부터 제3 대금을 차감한 제4 대금을 상기 제3 유저의 계정에 지급하는 제3 정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 정보 및 유통 연동 구조를 통한 식자재 소상공인의 통합 발주 및 배송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단계는,
    상기 제1 유저가 상기 결제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제2 유저의 계정에 대금을 지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 정보 및 유통 연동 구조를 통한 식자재 소상공인의 통합 발주 및 배송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주 수행 단계의 수행 후,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배송 시점에 있어서, 다수의 제1 유저로부터 상기 제2 유저에 대한 발주 수행 단계의 수행 결과 누적된 발주 데이터에 따라서 식자재를 상기 제1 유저에게 배송하도록 하는 배송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 정보 및 유통 연동 구조를 통한 식자재 소상공인의 통합 발주 및 배송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단계는,
    배송 시점까지 상기 제2 유저에 대한 발주 수행 단계의 수행 결과 누적된 발주 데이터를 상기 제2 유저 및 상기 제3 유저별로 분류하는 발주 데이터 분류 단계;
    분류된 발주 데이터에 따라서 제3 유저들 각각으로부터 발주 데이터에 포함된 식자재를 상기 제2 유저에게 배송하도록 상기 제3 유저에게 요청하는 중개 배송 요청 단계; 및
    상기 제3 유저의 발주 데이터에 포함되어 제2 유저에게 배송된 식자재 및 상기 제2 유저의 발주 데이터에 포함된 식자재를 상기 제2 유저의 배송망을 통해 상기 제1 유저에게 배송하도록 상기 제2 유저에게 요청하는 배송 수행 요청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 정보 및 유통 연동 구조를 통한 식자재 소상공인의 통합 발주 및 배송 방법.
  9.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판매 정보 및 유통 연동 구조를 통한 식자재 소상공인의 통합 발주 및 배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식자재를 구매하는 제1 유저가 식자재를 판매하는 제2 유저의 온라인 상의 판매 공간에 식자재 조회 및 발주를 위해 접속함을 감지 시 제2 유저가 판매하는 식자재의 정보 조회 및 발주 입력이 가능하도록 제2 유저별로 마련된 쇼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접속 처리부;
    상기 쇼핑 인터페이스에 판매 대상이 되는 식자재의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쇼핑 인터페이스에 등록할 식자재의 정보를 추출 시, 제공된 쇼핑 인터페이스를 운영하는 제2 유저가 판매자 계정으로 설정된 식자재인 제1 식자재 정보 및 상기 제2 유저 이외의 판매자가 판매자 계정으로 설정된 식자재들 중 제2 유저가 판매 대행자 계정으로 설정된 제3 유저가 판매자 계정으로 설정된 식자재인 제2 식자재 정보를 추출하는 판매 대상 결정부; 및
    상기 판매 대상 결정부에 의하여 결정된 제1 식자재 정보 및 제2 식자재 정보를 상기 쇼핑 인터페이스에 등록하여, 상기 쇼핑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유저가 상기 제1 식자재 정보 및 상기 제2 식자재 정보를 확인 후 발주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판매 정보 적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매 대행자 계정은,
    상기 제2 유저와 제3 유저 사이의 계약에 의하여, 상기 제2 유저가 상기 제3 유저가 판매하는 식자재의 판매를 대행할 것으로 계약 시 상기 제2 유저에게 설정되는 계정으로서, 식자재를 판매하는 유저들은 다른 식자재를 판매하는 유저와의 관계에 의하여 상기 제2 유저 또는 제3 유저 중 어느 한 지위를 가질 수 있고,
    상기 판매 대행자 계정은,
    상기 제3 유저가 또 다른 제3 유저의 판매 대행자 계정인 경우, 상기 또 다른 제3 유저에 대해서도 상기 또 다른 제3 유저와의 계약에 무관하게, 상기 제2 유저가 상기 또 다른 제3 유저에 대한 판매 대행자 계정으로 자동 설정되어, 상기 제2 유저는 상기 제3 유저와만의 계약에 의하여, 판매 대행자 계정의 지위로 미설정된 복수의 상기 또 다른 제3 유저에 대한 판매 대행자 계정으로 확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 정보 및 유통 연동 구조를 통한 식자재 소상공인의 통합 발주 및 배송 장치.
  10.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식자재를 구매하는 제1 유저가 식자재를 판매하는 제2 유저의 온라인 상의 판매 공간에 식자재 조회 및 발주를 위해 접속함을 감지 시 제2 유저가 판매하는 식자재의 정보 조회 및 발주 입력이 가능하도록 제2 유저별로 마련된 쇼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접속 처리 단계;
    상기 쇼핑 인터페이스에 판매 대상이 되는 식자재의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쇼핑 인터페이스에 등록할 식자재의 정보를 추출 시, 제공된 쇼핑 인터페이스를 운영하는 제2 유저가 판매자 계정으로 설정된 식자재인 제1 식자재 정보 및 상기 제2 유저 이외의 판매자가 판매자 계정으로 설정된 식자재들 중 제2 유저가 판매 대행자 계정으로 설정된 제3 유저가 판매자 계정으로 설정된 식자재인 제2 식자재 정보를 추출하는 판매 대상 결정 단계; 및
    상기 판매 대상 결정 단계에 의하여 결정된 제1 식자재 정보 및 제2 식자재 정보를 상기 쇼핑 인터페이스에 등록하여, 상기 쇼핑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유저가 상기 제1 식자재 정보 및 상기 제2 식자재 정보를 확인 후 발주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판매 정보 적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매 대행자 계정은,
    상기 제2 유저와 제3 유저 사이의 계약에 의하여, 상기 제2 유저가 상기 제3 유저가 판매하는 식자재의 판매를 대행할 것으로 계약 시 상기 제2 유저에게 설정되는 계정으로서, 식자재를 판매하는 유저들은 다른 식자재를 판매하는 유저와의 관계에 의하여 상기 제2 유저 또는 제3 유저 중 어느 한 지위를 가질 수 있고,
    상기 판매 대행자 계정은,
    상기 제3 유저가 또 다른 제3 유저의 판매 대행자 계정인 경우, 상기 또 다른 제3 유저에 대해서도 상기 또 다른 제3 유저와의 계약에 무관하게, 상기 제2 유저가 상기 또 다른 제3 유저에 대한 판매 대행자 계정으로 자동 설정되어, 상기 제2 유저는 상기 제3 유저와만의 계약에 의하여, 판매 대행자 계정의 지위로 미설정된 복수의 상기 또 다른 제3 유저에 대한 판매 대행자 계정으로 확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210038065A 2021-03-24 2021-03-24 판매 정보 및 유통 연동 구조를 통한 식자재 소상공인의 통합 발주 및 배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318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065A KR102318865B1 (ko) 2021-03-24 2021-03-24 판매 정보 및 유통 연동 구조를 통한 식자재 소상공인의 통합 발주 및 배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065A KR102318865B1 (ko) 2021-03-24 2021-03-24 판매 정보 및 유통 연동 구조를 통한 식자재 소상공인의 통합 발주 및 배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8865B1 true KR102318865B1 (ko) 2021-10-28

Family

ID=78232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065A KR102318865B1 (ko) 2021-03-24 2021-03-24 판매 정보 및 유통 연동 구조를 통한 식자재 소상공인의 통합 발주 및 배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88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987B1 (ko) * 2015-05-28 2017-05-23 이병희 클러스터 기반의 온라인 판매 서비스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987B1 (ko) * 2015-05-28 2017-05-23 이병희 클러스터 기반의 온라인 판매 서비스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6596B2 (en) Online transaction method and system using a payment platform and a logistics company
US874491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tail networking
JP5714130B2 (ja) 複数の販売業者のための在庫プール
US87256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negotiating improved terms for products and services being purchased through the internet
US10546262B2 (en) Supply chain management system
US20150161709A1 (en) Pop-up recommendation lists
TWI499991B (zh) 於實體銷售點商務前自動講價之方法及設備
US20120209683A1 (en) Discounted Deal Pricing
US20120041811A1 (en) e-COMMERCE VOLUME PRICING
US10217155B2 (en) Product cross-selling method and system
KR20150116141A (ko) 온라인 웹 사이트를 이용한 직거래 판매대행 및 광고 시스템
KR20220041806A (ko) 철강 제품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9146614B (zh) 一种基于小程序的商城数据处理方法及系统
JP6697421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10163720A (zh) 一种基于大宗商品交易的即时竞价的系统及方法
JP6043857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225376B1 (ko) 검증센터를 이용한 인터넷상의 중고품 판매 방법
KR102318865B1 (ko) 판매 정보 및 유통 연동 구조를 통한 식자재 소상공인의 통합 발주 및 배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200093749A (ko) 복수의 셀러들이 입점된 오픈 마켓 플랫폼을 이용한 셀러 입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61080B1 (ko) 메뉴별 최저가 식자재 발주 및 이를 위한 업체 입찰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20076575A (ko) 구매중개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US8612304B1 (en) Seller to seller transactions
US2016030726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20030012161A (ko) 온라인 전자상거래 대행 서비스 및 통합 커머스 서비스제공 시스템
KR101076650B1 (ko) 무형 서비스 거래 중개 시스템 및 그 거래 중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