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080B1 - 메뉴별 최저가 식자재 발주 및 이를 위한 업체 입찰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메뉴별 최저가 식자재 발주 및 이를 위한 업체 입찰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080B1
KR102261080B1 KR1020200155552A KR20200155552A KR102261080B1 KR 102261080 B1 KR102261080 B1 KR 102261080B1 KR 1020200155552 A KR1020200155552 A KR 1020200155552A KR 20200155552 A KR20200155552 A KR 20200155552A KR 102261080 B1 KR102261080 B1 KR 102261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menu
price
acc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골든브릿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골든브릿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골든브릿지
Priority to KR1020200155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0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외식 업체가 자신이 취급하는 메뉴만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식자재 주문이 가능하되, 해당 식자재를 최저가에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별 최저가 식자재 발주 및 이를 위한 업체 입찰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메뉴별 최저가 식자재 발주 및 이를 위한 업체 입찰 방법에 있어서, 식자재 발주를 통해 식자재를 구매하는 제1 유저의 계정으로부터 적어도 식자재를 이용하여 조리되는 메뉴의 속성 정보 및 개수 정보에 관한 정보인 주문 요청 정보를 수신 시, 수신한 주문 요청 정보로부터 필요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을 포함하는 상품 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주문 생성 단계; 식자재를 판매하는 업체 계정들 중, 제1 유저의 계정과 계약된 상태인 제2 유저의 계정 정보들 중, 주문 생성 단계에 의하여 생성된 상품 주문 정보에 포함된 각 식자재별 판매 가격 정보를 로드하는 가격 로드 단계; 가격 로드 단계에 의하여 로드된 판매 가격 정보들 중, 식자재별로 판매 가격 정보가 가장 낮은 판매 가격 정보를 선택하는 가격 선택 단계; 및 가격 선택 단계에 의하여 선택된 판매 가격 정보를 갖는 제2 유저의 계정별로 선택된 판매 가격 정보의 식자재에 대한 발주를 수행하는 식자재별 발주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메뉴별 최저가 식자재 발주 및 이를 위한 업체 입찰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PROVIDING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OF ORDERING THE LOWEST PRICE FOOD MATERIAL BY MENU AND BIDDING FOR THE SAME}
본 발명은 온라인을 통한 식자재 발주 및 이를 위한 식자재 판매 업체의 입찰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식자재에 대한 발주에 있어서, 구매자가 취급하는 메뉴별로 주문을 수행하더라도 정확하게 해당 메뉴에 대한 식자재의 주문이 가능하되, 각 식자재별로 최저가의 식자재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를 위해서 식자재 판매 업체와 구매자의 계약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을 통한 유통망이 확산되면서 소비자들은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서 다양한 식자재 또는 요리를 구매할 수 있고, 판매자는 이를 소비자에게 배송하는 플랫폼의 이용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음식점 등을 운영하는 구매자는 매일 또는 매주 식자재를 도매상 등 식자재 판매 업체에 주문하여 식자재를 구매하고, 이를 통해서 자신이 취급하는 메뉴를 제조하여 소비자에게 판매하게 된다.
이러한 식자재 유통망에 있어서도 특히 상술한 온라인 쇼핑몰의 이용이 확산되고 있다. 이는, 식자재의 대량 판매 업체의 판매 가격 및 판매 형태를 구매자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음에 따른 정보의 비대칭에 의한 피해가 증가된 상태에서, 투명한 가격 관리가 가능한 온라인 쇼핑몰의 상대적인 장점이 부각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온라인 쇼핑몰은 상술한 장점은 있지만, 기존 거래 업체를 통한 거래 시, 주기적인 구매량을 거래 업체가 인지하고 있어, 별도의 불편한 발주 절차 없이도 편리하게 식자재의 주문이 가능한 점은 없어, 이 점이 단점으로 꼽히고 있다. 또한 가격의 직관적인 비교가 불가능하여, 결국 정보의 비대칭성이 완전히 해소되지 못하는 문제가 존재하여 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한국 등록특허 제10-1994607호 등에서는, 식자재 유통 서버와, 식품 창고 서버, 음료 창고 서버, 생산지 서버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상품 정보를 상품 페이지로 구성하고, 이를 기준으로 재고 파악, 배송 파악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들 역시, 구매자는 일일이 자신이 취급하는 메뉴의 제조를 위한 식자재의 양을 직접 계산해야 하는 문제가 있고, 이에 따라서 불편한 구매 인터페이스의 이용이 불가피하여, 식자재 구매의 경우 아직도 온라인이 아닌 지역 오프라인 영업 형태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실질적으로 식자재 주문 시 구매자의 편의성이 크게 증가되는 동시에, 구매자가 최적의 가격으로 각 식자재를 주문할 수 있는 플랫폼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음식료 판매 업체 등 식자재의 구매자가 일일이 식자재의 양을 계산하지 않고도, 자신이 취급하는 메뉴만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식자재 주문이 가능하되, 해당 식자재를 최저가에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여, 온라인을 통한 식자재 발주 시의 유저의 편의성을 크게 증가시키고, 이를 위한 구매자와 식자재 판매 업체의 계약을 위한 입찰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별 최저가 식자재 발주 및 이를 위한 업체 입찰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메뉴별 최저가 식자재 발주 및 이를 위한 업체 입찰 방법에 있어서, 식자재 발주를 통해 식자재를 구매하는 제1 유저의 계정으로부터 적어도 식자재를 이용하여 조리되는 메뉴의 속성 정보 및 개수 정보에 관한 정보인 주문 요청 정보를 수신 시, 수신한 주문 요청 정보로부터 필요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을 포함하는 상품 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주문 생성 단계; 식자재를 판매하는 업체 계정들 중, 상기 제1 유저의 계정과 계약된 상태인 제2 유저의 계정 정보들 중, 상기 주문 생성 단계에 의하여 생성된 상품 주문 정보에 포함된 각 식자재별 판매 가격 정보를 로드하는 가격 로드 단계; 상기 가격 로드 단계에 의하여 로드된 판매 가격 정보들 중, 식자재별로 판매 가격 정보가 가장 낮은 판매 가격 정보를 선택하는 가격 선택 단계; 및 상기 가격 선택 단계에 의하여 선택된 판매 가격 정보를 갖는 제2 유저의 계정별로 선택된 판매 가격 정보의 식자재에 대한 발주를 수행하는 식자재별 발주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문 생성 단계는, 메뉴별로 기 저장된 레시피 정보 및 제1 유저의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주문 요청 정보 중 단위 메뉴 개수 당 중량 정보를 이용하여 각 메뉴의 단위 개수 당 필요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 정보인 제1 정보를 산출하는 제1 산출 단계; 제1 유저의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주문 요청 정보 중 메뉴별 개수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제1 정보로부터 필요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 정보인 제2 정보를 산출하는 제2 산출 단계; 상기 제1 유저의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주문 요청 정보 중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에 대한 추가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추가 정보를 선택하는 추가 주문 선택 단계; 및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추가 정보를 합산한 결과 생성된 필요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을 상품 주문 정보로서 생성하는 주문 생성 완료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산출 단계는, 메뉴별 상기 제2 정보에 메뉴별 개수 정보를 곱하여 메뉴별 필요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 정보를 산출하는 메뉴별 산출 단계; 및 상기 메뉴별 산출 단계에 의하여 산출된 정보들을 식자재별로 그룹핑하여, 필요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 정보인 제2 정보를 산출하는 제2 산출 완료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격 로드 단계에 의하여 로드되는 판매 가격 정보는, 제1 유저의 계정과 계약을 위해 제2 유저의 계정으로부터 수신한 입찰 제안 정보에 포함된 정보로서, 입찰 제안 정보에 포함된 정보들 중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단위 수량별 판매 가격 정보는 동일한 단위 수량으로 환산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자재별 발주 단계는, 가격 선택 단계에 의하여 식자재별로 선택된 판매 가격 정보를 갖는 제2 유저의 계정별로 각 선택된 판매 가격 정보에 대응되는 식자재의 상품 주문 정보를 그룹핑하는 업체별 주문 정보 그룹핑 단계; 및 그룹핑된 상품 주문 정보에 따라서 각 제2 유저의 계정에 업체별 상품 주문 정보에 포함된 식자재에 대한 발주를 수행하는 발주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문 생성 단계의 수행 전, 제1 유저의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견적 요청 입력을 업체 계정들에 전송하는 입찰 제안 단계; 상기 업체 계정들로부터 견적 요청 입력에 대응하여 각 식자재별 판매 제안 입력을 수신하는 응답 수신 단계; 및 업체별로 수신된 판매 제안 입력을 이용하여 생성된 업체별 제안 정보를 제1 유저의 계정에 전송하고, 제1 유저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둘 이상의 업체 계정을 제1 유저에 대한 제2 유저의 계정으로 설정하는 입찰 완료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답 수신 단계 및 상기 입찰 완료 단계의 수행 사이에, 각 식자재별 판매 제안 입력에 포함된 식자재별 단위 수량 및 판매 가격을 동일한 단위 수량으로 환산하여 판매 가격 정보를 보정하여 상기 업체별 제안 정보를 생성하는 제안 보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찰 완료 단계는, 상기 제1 유저로부터 적어도 둘 이상의 업체 계정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선택 입력에 대응되는 업체 계정에 계약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계약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업체 계정으로부터의 계약 승인 신호를 수신 시, 상기 제1 유저와 업체 계정의 계약을 완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별 최저가 식자재 발주 및 이를 위한 업체 입찰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메뉴별 최저가 식자재 발주 및 이를 위한 업체 입찰 장치에 있어서, 식자재 발주를 통해 식자재를 구매하는 제1 유저의 계정으로부터 적어도 식자재를 이용하여 조리되는 메뉴의 속성 정보 및 개수 정보에 관한 정보인 주문 요청 정보를 수신 시, 수신한 주문 요청 정보로부터 필요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을 포함하는 상품 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주문 생성부; 식자재를 판매하는 업체 계정들 중, 상기 제1 유저의 계정과 계약된 상태인 제2 유저의 계정 정보들 중, 상기 주문 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상품 주문 정보에 포함된 각 식자재별 판매 가격 정보를 로드하는 가격 로드부; 상기 가격 로드부에 의하여 로드된 판매 가격 정보들 중, 식자재별로 판매 가격 정보가 가장 낮은 판매 가격 정보를 선택하는 가격 선택부; 및 상기 가격 선택부에 의하여 선택된 판매 가격 정보를 갖는 제2 유저의 계정별로 선택된 판매 가격 정보의 식자재에 대한 발주를 수행하는 식자재별 발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매자는 자신이 취급하는 메뉴의 레시피를 저장하고, 주문 시 이에 대한 메뉴의 개수 등 만을 지정하게 된다. 이때, 메뉴별 레시피에 저장된 식자재에 대한 자동 연산을 통해서, 구매자가 구매할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이 자동으로 산출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하면 구매자에게는 다수의 판매 업체가 입찰 과정을 통해서 계약되어 있는데, 구매자가 일일이 가격을 비교할 필요가 없이, 식자재의 식별 정보별로 가장 최저가의 식자재 판매 중인 판매 업체를 식자재별로 선택하여, 이에 대한 자동 주문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매자가 일일이 식자재의 양을 계산하지 않고도, 자신이 취급하는 메뉴만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식자재 주문이 가능한 동시에, 가격 또한 일일이 비교 분석할 필요가 없이 식자재별로 가장 싼 가격의 식자재에 대해서 자동 주문이 가능한 편의성 증가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5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메뉴별 최저가 식자재 발주 및 이를 위한 업체 입찰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메뉴별 최저가 식자재 발주 및 이를 위한 업체 입찰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7 내지 10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위한 유저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5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메뉴별 최저가 식자재 발주 및 이를 위한 업체 입찰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메뉴별 최저가 식자재 발주 및 이를 위한 업체 입찰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7 내지 10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위한 유저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이다.
상술한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메뉴별 최저가 실자재 발주 및 이를 위한 업체 입찰 방법은, 컴퓨팅 장치 및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메뉴별 최저가 식자재 발주 및 이를 위한 업체 입찰 장치(10)의 각 구성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10)는 도 11에서 후술할 컴퓨팅 장치의 일부 또는 그 자체, 또는 다수의 컴퓨팅 장치의 그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는 식자재 발주를 통해 식자재를 구매하는 제1 유저의 계정으로부터 적어도 식자재를 이용하여 조리되는 메뉴의 속성 정보 및 개수 정보에 관한 정보인 주문 요청 정보를 수신 시, 수신한 주문 요청 정보로부터 필요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을 포함하는 상품 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주문 생성 단계(S10)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제1 유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식자재를 구매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서비스 이용을 위해서 가입한 계정의 계정주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음식료 판매 업체 등 식자재를 구매하여 레시피에 따라서 메뉴를 제조하고 이를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업체의 계정주가 제1 유저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유저, 제2 유저 및 업체 계정으로부터 모든 데이터에 대한 수신 및 송신이 이루어짐은, 각 계정이 본 발명의 서비스 이용을 위해서 각 계정이 보유한 단말을 통해 온라인으로 서비스 이용을 위한 웹페이지에 접속하거나 어플리케이선을 실행하고, 계정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통해서 로그인한 뒤, 서비스 이용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이를 통해 출력될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 이외에, 상술한 로그인 프로세스 등을 포함하여, 결제, 배송 프로세스 등 일반적으로 식자재 발주 및 배송을 위해서 이루어지는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식자재는 레시피를 통해서 메뉴를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모든 식자재를 의미한다. 또한 메뉴의 속성 정보는, 메뉴에 포함되는 식자재의 식별 정보, 메뉴의 단위 수량(1개 또는 60g 등의 수치 및/또는 중량 정보를 포함)에 대한 정보, 각 단위 수량에 포함되는 식자재의 수량(1개 또는 60g 등의 수치 및/또는 중량 정보를 포함)에 대한 정보, 메뉴의 이름, 메뉴의 종류(면요리, 찌개 요리 등인지 여부를 구분하는 정보)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뉴의 개수 정보는 메뉴의 단위 수량별로 몇 개의 메뉴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10개 등의 단수 또는 10인분 등의 메뉴의 단위 수량이 인분으로 결정될 때의 필요 개수 파악이 가능한 수치를 의미한다.
주문 요청 정보에는 상술한 메뉴의 속성 정보 및 개수 정보가 포함되는 것으로서, 추가적으로 주문을 수행하는 제1 유저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유저의 정보는 제1 유저의 계정의 정보로서, 아이디, 업체명, 주소, 거래 내역, 사업자 정보 등 제1 유저를 식별하고, 제1 유저가 어떤 업체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주문 요청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인터페이스의 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화면(100)을 참조하면 제1 유저(F1)는 자신이 원하는 식자재를 일일이 입력할 필요가 없이, 자신이 업장에서 취급하는 메뉴(101)를 선택하고 이에 대한 수량(102)을 입력하여, 상술한 주문 요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유저(F1)는 자신이 원하는 메뉴에 대한 모든 정보를 입력하고, 주문 생성 메뉴(103)를 선택하여 상술한 주문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컴퓨팅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S10 단계를 통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한 주문 요청 정보로부터 필요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을 포함하는 상품 주문 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상품 주문 정보는 제1 유저의 편의를 위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를 통해, 제1 유저의 단말에 출력될 수 있다.
도 8의 화면(110)을 참조하면, 도 7의 화면(100)에서 메뉴별로 주문 정보를 입력 수, 주문 생성 메뉴(103)를 선택 시, 메뉴별 주문 정보가 식자재별 상품 주문 정보로 전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식자재(111)의 식별 정보 및 필요 수량이 각 식자재별로 통합 관리되는 단위 수량 및 이에 대한 개수로 표현되며, 최종적으로 제1 유저는 가격 조회 및 주문 메뉴(112)를 통해 후술하는 기능 수행에 따른 자동 주문이 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다시 도 1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서, 이러한 메뉴 입력 및 식자재 주문 정보로의 전환은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로 설명될 수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S10 단계의 구체적인 수행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는 먼저, 메뉴별로 기 저장된 레시피 정보 및 제1 유저의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주문 요청 정보 중 단위 메뉴 개수 당 중량 정보를 이용하여 각 메뉴의 단위 개수 당 필요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 정보인 제1 정보를 산출하는 제1 산출 단계(S11)를 수행한다.
이때 기 저장된 레시피 정보는 각 메뉴별로 필요되는 식자재의 수량 및 식별 정보에 대한 정보 및 실제 메뉴를 제조하기 위한 요리 과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으며, 이는 S10 단계의 수행 시 제1 유저에 의하여 주문 시마다 입력되거나, 제1 유저의 계정 정보로서 후술하는 데이터베이스(컴퓨팅 장치의 일부)에 의하여 관리되면서, S11 단계의 수행 시마다 로드되어 사용될 수 있다.
S11 단계에 의하면 메뉴에 대한 제1 유저의 입력 결과를 바탕으로 먼저 메뉴의 단위 개수 당 필요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 정보인 제1 정보가 산출된다. 이후, 제1 유저의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주문 요청 정보 중 메뉴별 개수 정보에 따라서 제1 정보로부터 필요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 정보인 제2 정보를 산출하는 제2 산출 단계(S12)가 수행된다.
즉 제1 유저는 상술한 주문 요청 정보를 입력 시 메뉴당 필요 메뉴 수량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것이며, 이에 따라서 메뉴별 개수 정보가 도출될 것이다. 컴퓨팅 장치는 S12 단계를 통해서, S11 단계에서 도출된 제1 정보에 메뉴별 개수 정보를 곱하여, 제1 유저가 입력한 메뉴를 통합하여 필요한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 정보를 제2 정보로서 산출하게 된다.
S12 단계는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S12 단계의 수행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는 먼저 메뉴별 제2 정보에 메뉴별 개수 정보를 곱하여 메뉴별 필요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 정보를 산출하는 메뉴별 산출 단계(S121)를 수행한다.
이후, 메뉴별 산출 단계에 의하여 산출된 정보들을 식자재별로 그룹핑하여, 필요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 정보인 제2 정보를 산출하는 제2 산출 완료 단계(S122)를 수행한다. 즉, 제2 정보를 도출하기 위해서 먼저 메뉴별로 필요한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을 산출한 뒤, 이를 식자재별로 그룹핑하여 메뉴에 대한 주문 정보를 식자재를 기준으로 재정렬함으로써, 제1 유저들은 메뉴만 입력하도록 하여 편의성을 제공하고, 제1 유저와 계약되어 식자재를 납품하는 제2 유저들에 대해서는 제2 정보를 이용하여 발주를 수행함으로써 식자재별로 편리하게 납품을 진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도 2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서, S12 단계가 수행되면, 컴퓨팅 장치는 제1 유저의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주문 요청 정보 중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에 대한 추가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추가 정보를 선택하는 추가 주문 선택 단계(S13)를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S13 단계는 추가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수행되는 스텝이다.
추가 정보는, 제1 유저가 예를 들어 식자재의 여유로운 주문을 위하는 등, 만약을 대비하여 식자재별로 주문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정보로서, 식자재별 식별 정보 및 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즉 제2 정보와 동일한 구성의 정보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S13 단계가 완료되면, 컴퓨팅 장치는 제2 정보 및 상기 추가 정보를 합산한 결과 생성된 필요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을 상품 주문 정보로서 생성하는 주문 생성 완료 단계(S14)를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제1 유저는 메뉴별 또는 식자재별로 매우 자유롭게 주문 요청 정보를 작성할 수 있고, 후술하는 제2 유저에게 입력된 정보가 자동으로 식자재별 발주 정보로 가공되어 제공되는 것이다.
다시 도 1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서, 상술한 바와 같이 S10 단계의 수행이 완료되면 서버는 식자재를 판매하는 업체 계정들 중, 제1 유저의 계정과 계약된 상태인 제2 유저의 계정 정보들 중, 주문 생성 단계에 의하여 생성된 상품 주문 정보에 포함된 각 식자재별 판매 가격 정보를 로드하는 가격 로드 단계(S20)를 수행한다.
제2 유저는, 식자재를 판매하는 업체 계정들 중, 제1 유저와 식자재 납품 계약이 체결된 상태로 인식되는 모든 계정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제1 유저 별 제2 유저는 둘 이상의 복수의 계정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저에 대해서 제2 유저로 설정되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도 5에 도시된 S1 내지 S5 단계의 수행을 통해서 제1 유저와 납품 계약이 체결된 상태일 요건이 필요시된다.
이러한 S1 내지 S5 단계의 수행에 대한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나, 제2 유저들은 자신이 취급하는 식자재 및 거래 형태에 따라서 서로 다른 단위 수량을 갖고 입찰에 참가하거나 물품을 판매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의 통합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컴퓨팅 장치에서 관리되는 정보로서, S20 단계에 의하여 로드되는 판매 가격 정보는, 가격의 비교를 위해서, 제1 유저의 계정과 계약을 위해 제2 유저의 계정으로부터 수신한 입찰 제안 정보에 포함된 정보로서, 입찰 제안 정보에 포함된 정보들 중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단위 수량별 판매 가격 정보는 동일한 단위 수량으로 환산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쪽파"의 경우, 식별 정보 입력 시 "a 지역 산 쪽파", "b 업체에서 가공된 쪽파", "c 품종 쪽파" 등으로 식별 정보가 각각 제2 유저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고, 그 단위 수량 역시 "1단", "x그램" 등으로 다양하게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명확한 가격 비교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식별 정보는 "쪽파" 등 최대한 구체적으로 식별 가능한 식별 정보로 통합되고, 단위 수량 역시 "1단, 1단당 x 그램" 등으로 관리되어, 후술하는 가격 비교의 명확성을 보장하도록 할 수 있다.
S20 단계에 의하여 제2 유저의 각 식자재별 판매 가격 정보가 로드되면 컴퓨팅 장치는 가격 로드 단계(S20)에 의하여 로드된 판매 가격 정보들 중, 식자재별로 판매 가격 정보가 가장 낮은 판매 가격 정보를 선택하는 가격 선택 단계(S30)를 수행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특정 제2 유저에 대한 무조건적인 발주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S30 단계의 수행에 의하여 식자재별로 판매 가격 정보가 가장 낮은 것을 선택하여, 매우 효율적인 식자재 주문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이용하여 컴퓨팅 장치는 이후 가격 선택 단계(S30)에 의하여 선택된 판매 가격 정보를 갖는 제2 유저의 계정별로 선택된 판매 가격 정보의 식자재에 대한 발주를 수행하는 식자재별 발주 단계(S40)를 수행하게 된다.
S40 단계의 수행에 의하여 컴퓨팅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괄적으로 주문을 어느 한 특정 제2 유저에게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식자재별로 가장 낮은 가격으로 판매하고 있는 제2 유저들 각각에게 식자재별로 자동 구분 발주를 수행하여, 제1 유저가 매우 합리적인 가격으로 식자재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S40 단계를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4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는 S40 단계를 수행함에 있어서 먼저 가격 선택 단계(S30)에 의하여 식자재별로 선택된 판매 가격 정보를 갖는 제2 유저의 계정별로 각 선택된 판매 가격 정보에 대응되는 식자재의 상품 주문 정보를 그룹핑하는 업체별 주문 정보 그룹핑 단계(S41)를 수행한다. 즉, 발주를 수행하기 위해서 최저 가격이 선택된 식자재에 대해서 각 식자재의 최저 판매 가격 정보를 갖는 제2 유저별로 식자재별 주문을 그룹핑하는 것이다.
이후 컴퓨팅 장치는 그룹핑된 상품 주문 정보에 따라서 각 제2 유저의 계정에 업체별 상품 주문 정보에 포함된 식자재에 대한 발주를 수행하는 발주 단계(S42)를 수행하여 식자재별 및 제2 유저별로 식자재 주문이 되도록 하여, 이후의 결제 프로세스 등의 진행에 따라서 식자재에 원하는 시간에 제1 유저에게 배송되도록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자동 주문을 확인할 수 있는 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9의 화면(120)을 참조하면, 제1 유저들이 S10 내지 S40 단계의 수행에 의하여 주문을 수행하기 직전, 화면(120)이 출력되어 최종 발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정보에는 각 식자재별(121) 최저가 정보와 함께 해당 최저가 정보에 해당하는 식자재를 납품할 제2 유저(S1, S2)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주문하기 메뉴(122)를 통해서 최종적으로 해당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식자재의 발주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유저는 제1 유저와 식자재를 납품할 것으로 계약된 계정이다. 이때 제2 유저는, 이러한 식자재의 발주의 수행 전에, 제1 유저에 대한 입찰 및 계약 체결을 통해서 제2 유저로서 판매 업체가 설정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컴퓨팅 장치는 S10 단계의 기능을 수행하기 전,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은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즉 도 5는 식자재의 판매 업체와 제1 유저 사이의 입찰 및 계약 체결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먼저 컴퓨팅 장치는 제1 유저의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견적 요청 입력을 업체 계정들에 전송하는 입찰 제안 단계(S1)를 수행한다. 견적 요청 입력은 예를 들어 통칭 RFP로 지칭되는 제1 유저들의 정보 및 이를 이용한 1회 주문 기준의 견적 요청 품목 정보, 기타 요청 사항, 제안 요청 대상의 조건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을 의미한다. 이에 대한 예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의 화면(1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저들은 도 10의 화면(130)에 도시된 각종 정보들을 해당 정보 메뉴 탭을 선택하여 입력하여, 견적 요청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도 5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서, S1 단계를 수행한 후, 컴퓨팅 장치는 업체 계정들로부터 견적 요청 입력에 대응하여 각 식자재별 판매 제안 입력을 수신하는 응답 수신 단계(S2)를 수행한다. 판매 제안 입력은 각 식자재에 대한 판매 업체 계정으로부터의 단위 수량 정보 및 단위 수량 당 판매 가격 정보를 포함할 것이다.
한편, 이후 업체별로 수신된 판매 제안 입력을 이용하여 생성된 업체별 제안 정보를 제1 유저의 계정에 전송하고, 제1 유저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둘 이상의 업체 계정을 제1 유저에 대한 제2 유저의 계정으로 설정하는 입찰 완료 단계(S4)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S4 단계의 수행 전, 상술한 바와 같이 식자재를 핀매하는 업체 계정별로 서로 다른 단위 수량이 입력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정확한 가격 비교를 위해서, S2 단계 및 S4 단계의 수행 사이에, 각 식자재별 판매 제안 입력에 포함된 식자재별 단위 수량 및 판매 가격을 동일한 단위 수량으로 환산하여 판매 가격 정보를 보정하여 상기 업체별 제안 정보를 생성하는 제안 보정 단계(S3)를 더 수행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단위 수량에 대한 통일화를 통해 정확한 가격 비교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입찰 및 계약 프로세스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 S4 단계는 제1 유저로부터 적어도 둘 이상의 업체 계정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선택 입력에 대응되는 업체 계정에 계약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계약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업체 계정으로부터의 계약 승인 신호를 수신 시, 제1 유저와 업체 계정의 계약을 완료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구매자는 자신이 취급하는 메뉴의 레시피를 저장하고, 주문 시 이에 대한 메뉴의 개수 등 만을 지정하게 된다. 이때, 메뉴별 레시피에 저장된 식자재에 대한 자동 연산을 통해서, 구매자가 구매할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이 자동으로 산출하여 발주가 수행된다.
이 경우 구매자가 일일이 가격을 비교할 필요가 없이, 식자재의 식별 정보별로 가장 최저가의 식자재 판매 중인 판매 업체를 식자재별로 선택하여, 이에 대한 자동 주문이 이루어지게 되기 때문에, 구매자가 일일이 식자재의 양을 계산하지 않고도, 자신이 취급하는 메뉴만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식자재 주문이 가능한 동시에, 가격 또한 일일이 비교 분석할 필요가 없이 식자재별로 가장 싼 가격의 식자재에 대해서 자동 주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메뉴별 최저가 식자재 발주 및 이를 위한 업체 입찰 장치(10)는 도 6에 도시된 바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4 및 7 내지 10에 대한 설명에서 중복 언급된 불필요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치(10)는 주문 생성부(12), 가격 로드부(13), 가격 선택부(14) 및 식자재별 발주부(15)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입찰 모듈(11)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관리되는 모든 데이터들은 데이터베이스(40)에 의하여 저장/관리될 수 있다.
먼저 입찰 모듈(11)은 도 5의 S1 내지 S4 단계로서, 제1 유저의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견적 요청 입력을 업체 계정들에 전송하는 입찰 제안 단계; 업체 계정들로부터 견적 요청 입력에 대응하여 각 식자재별 판매 제안 입력을 수신하는 응답 수신 단계; 각 식자재별 판매 제안 입력에 포함된 식자재별 단위 수량 및 판매 가격을 동일한 단위 수량으로 환산하여 판매 가격 정보를 보정하여 상기 업체별 제안 정보를 생성하는 제안 보정 단계; 및 업체별로 수신된 판매 제안 입력을 이용하여 생성된 업체별 제안 정보를 제1 유저의 계정에 전송하고, 제1 유저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둘 이상의 업체 계정을 제1 유저에 대한 제2 유저의 계정으로 설정하는 입찰 완료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세스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주문 생성부(12)는 식자재 발주를 통해 식자재를 구매하는 제1 유저의 계정(20)으로부터 적어도 식자재를 이용하여 조리되는 메뉴의 속성 정보 및 개수 정보에 관한 정보인 주문 요청 정보를 수신 시, 수신한 주문 요청 정보로부터 필요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을 포함하는 상품 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즉, 도 1의 S10 및 도 1의 S11 내지 S14 단계, 도 3의 S121 및 S122 단계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가격 로드부(13)는 식자재를 판매하는 업체 계정(30)들 중, 제1 유저의 계정과 계약된 상태인 제2 유저의 계정(31) 정보들 중, 주문 생성부(12)에 의하여 생성된 상품 주문 정보에 포함된 각 식자재별 판매 가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로부터 로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1의 S20 단계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가격 선택부(14)는 가격 로드부(13)에 의하여 로드된 판매 가격 정보들 중, 식자재별로 판매 가격 정보가 가장 낮은 판매 가격 정보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도 1의 S30 단계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식자재별 발주부(15)는 가격 선택부(14)에 의하여 선택된 판매 가격 정보를 갖는 제2 유저의 계정(31)별로 선택된 판매 가격 정보의 식자재에 대한 발주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1의 S40 단계 및 도 4의 S41 및 S42 단계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10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11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11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1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11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메뉴별 최저가 식자재 발주 및 이를 위한 업체 입찰 방법에 있어서,
    식자재 발주를 통해 식자재를 구매하는 제1 유저의 계정으로부터 적어도 식자재를 이용하여 조리되는 메뉴의 속성 정보 및 개수 정보에 관한 정보인 주문 요청 정보를 수신 시, 수신한 주문 요청 정보로부터 필요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을 포함하는 상품 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주문 생성 단계;
    식자재를 판매하는 업체 계정들 중, 상기 제1 유저의 계정과 계약된 상태인 제2 유저의 계정 정보들 중, 상기 주문 생성 단계에 의하여 생성된 상품 주문 정보에 포함된 각 식자재별 판매 가격 정보를 로드하는 가격 로드 단계;
    상기 가격 로드 단계에 의하여 로드된 판매 가격 정보들 중, 식자재별로 판매 가격 정보가 가장 낮은 판매 가격 정보를 선택하는 가격 선택 단계; 및
    상기 가격 선택 단계에 의하여 선택된 판매 가격 정보를 갖는 제2 유저의 계정별로 선택된 판매 가격 정보의 식자재에 대한 발주를 수행하는 식자재별 발주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문 생성 단계는,
    메뉴별로 기 저장된 레시피 정보 및 제1 유저의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주문 요청 정보 중 메뉴의 속성 정보에 포함된 단위 메뉴 개수 당 중량 정보를 이용하여 각 메뉴의 단위 개수 당 필요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 정보인 제1 정보를 산출하는 제1 산출 단계;
    제1 유저의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주문 요청 정보 중 메뉴별 개수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제1 정보로부터 필요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 정보인 제2 정보를 산출하는 제2 산출 단계;
    상기 제1 유저의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주문 요청 정보 중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에 대한 추가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추가 정보를 선택하는 추가 주문 선택 단계; 및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추가 정보를 합산한 결과 생성된 필요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을 상품 주문 정보로서 생성하는 주문 생성 완료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 메뉴의 단위 개수당 필요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 정보는 상기 기 저장된 레시피 정보에 포함된 것으로서,
    상기 각 메뉴에 대한 레시피 정보는, 제1 유저의 계정 정보로서 제1 유저에 의하여 입력되어 데이터베이스에 관리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별 최저가 식자재 발주 및 이를 위한 업체 입찰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산출 단계는,
    메뉴별 상기 제2 정보에 메뉴별 개수 정보를 곱하여 메뉴별 필요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 정보를 산출하는 메뉴별 산출 단계; 및
    상기 메뉴별 산출 단계에 의하여 산출된 정보들을 식자재별로 그룹핑하여, 필요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 정보인 제2 정보를 산출하는 제2 산출 완료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별 최저가 식자재 발주 및 이를 위한 업체 입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격 로드 단계에 의하여 로드되는 판매 가격 정보는,
    제1 유저의 계정과 계약을 위해 제2 유저의 계정으로부터 수신한 입찰 제안 정보에 포함된 정보로서,
    입찰 제안 정보에 포함된 정보들 중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단위 수량별 판매 가격 정보는 동일한 단위 수량으로 환산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별 최저가 식자재 발주 및 이를 위한 업체 입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자재별 발주 단계는,
    가격 선택 단계에 의하여 식자재별로 선택된 판매 가격 정보를 갖는 제2 유저의 계정별로 각 선택된 판매 가격 정보에 대응되는 식자재의 상품 주문 정보를 그룹핑하는 업체별 주문 정보 그룹핑 단계; 및
    그룹핑된 상품 주문 정보에 따라서 각 제2 유저의 계정에 업체별 상품 주문 정보에 포함된 식자재에 대한 발주를 수행하는 발주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별 최저가 식자재 발주 및 이를 위한 업체 입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생성 단계의 수행 전,
    제1 유저의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견적 요청 입력을 업체 계정들에 전송하는 입찰 제안 단계;
    상기 업체 계정들로부터 견적 요청 입력에 대응하여 각 식자재별 판매 제안 입력을 수신하는 응답 수신 단계; 및
    업체별로 수신된 판매 제안 입력을 이용하여 생성된 업체별 제안 정보를 제1 유저의 계정에 전송하고, 제1 유저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둘 이상의 업체 계정을 제1 유저에 대한 제2 유저의 계정으로 설정하는 입찰 완료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별 최저가 식자재 발주 및 이를 위한 업체 입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수신 단계 및 상기 입찰 완료 단계의 수행 사이에,
    각 식자재별 판매 제안 입력에 포함된 식자재별 단위 수량 및 판매 가격을 동일한 단위 수량으로 환산하여 판매 가격 정보를 보정하여 상기 업체별 제안 정보를 생성하는 제안 보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별 최저가 식자재 발주 및 이를 위한 업체 입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찰 완료 단계는,
    상기 제1 유저로부터 적어도 둘 이상의 업체 계정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선택 입력에 대응되는 업체 계정에 계약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계약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업체 계정으로부터의 계약 승인 신호를 수신 시, 상기 제1 유저와 업체 계정의 계약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별 최저가 식자재 발주 및 이를 위한 업체 입찰 방법.
  9.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메뉴별 최저가 식자재 발주 및 이를 위한 업체 입찰 장치에 있어서,
    식자재 발주를 통해 식자재를 구매하는 제1 유저의 계정으로부터 적어도 식자재를 이용하여 조리되는 메뉴의 속성 정보 및 개수 정보에 관한 정보인 주문 요청 정보를 수신 시, 수신한 주문 요청 정보로부터 필요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을 포함하는 상품 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주문 생성부;
    식자재를 판매하는 업체 계정들 중, 상기 제1 유저의 계정과 계약된 상태인 제2 유저의 계정 정보들 중, 상기 주문 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상품 주문 정보에 포함된 각 식자재별 판매 가격 정보를 로드하는 가격 로드부;
    상기 가격 로드부에 의하여 로드된 판매 가격 정보들 중, 식자재별로 판매 가격 정보가 가장 낮은 판매 가격 정보를 선택하는 가격 선택부; 및
    상기 가격 선택부에 의하여 선택된 판매 가격 정보를 갖는 제2 유저의 계정별로 선택된 판매 가격 정보의 식자재에 대한 발주를 수행하는 식자재별 발주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문 생성부는,
    메뉴별로 기 저장된 레시피 정보 및 제1 유저의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주문 요청 정보 중 메뉴의 속성 정보에 포함된 단위 메뉴 개수 당 중량 정보를 이용하여 각 메뉴의 단위 개수 당 필요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 정보인 제1 정보를 산출하고, 제1 유저의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주문 요청 정보 중 메뉴별 개수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제1 정보로부터 필요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 정보인 제2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제1 유저의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주문 요청 정보 중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에 대한 추가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추가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추가 정보를 합산한 결과 생성된 필요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을 상품 주문 정보로서 생성하고,
    상기 각 메뉴의 단위 개수당 필요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 정보는 상기 기 저장된 레시피 정보에 포함된 것으로서,
    상기 각 메뉴에 대한 레시피 정보는, 제1 유저의 계정 정보로서 제1 유저에 의하여 입력되어 데이터베이스에 관리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별 최저가 식자재 발주 및 이를 위한 업체 입찰 장치.
  10.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식자재 발주를 통해 식자재를 구매하는 제1 유저의 계정으로부터 적어도 식자재를 이용하여 조리되는 메뉴의 속성 정보 및 개수 정보에 관한 정보인 주문 요청 정보를 수신 시, 수신한 주문 요청 정보로부터 필요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을 포함하는 상품 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주문 생성 단계;
    식자재를 판매하는 업체 계정들 중, 상기 제1 유저의 계정과 계약된 상태인 제2 유저의 계정 정보들 중, 상기 주문 생성 단계에 의하여 생성된 상품 주문 정보에 포함된 각 식자재별 판매 가격 정보를 로드하는 가격 로드 단계;
    상기 가격 로드 단계에 의하여 로드된 판매 가격 정보들 중, 식자재별로 판매 가격 정보가 가장 낮은 판매 가격 정보를 선택하는 가격 선택 단계; 및
    상기 가격 선택 단계에 의하여 선택된 판매 가격 정보를 갖는 제2 유저의 계정별로 선택된 판매 가격 정보의 식자재에 대한 발주를 수행하는 식자재별 발주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문 생성 단계는,
    메뉴별로 기 저장된 레시피 정보 및 제1 유저의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주문 요청 정보 중 메뉴의 속성 정보에 포함된 단위 메뉴 개수 당 중량 정보를 이용하여 각 메뉴의 단위 개수 당 필요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 정보인 제1 정보를 산출하는 제1 산출 단계;
    제1 유저의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주문 요청 정보 중 메뉴별 개수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제1 정보로부터 필요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 정보인 제2 정보를 산출하는 제2 산출 단계;
    상기 제1 유저의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주문 요청 정보 중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에 대한 추가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추가 정보를 선택하는 추가 주문 선택 단계; 및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추가 정보를 합산한 결과 생성된 필요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을 상품 주문 정보로서 생성하는 주문 생성 완료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 메뉴의 단위 개수당 필요 식자재의 식별 정보 및 수량 정보는 상기 기 저장된 레시피 정보에 포함된 것으로서,
    상기 각 메뉴에 대한 레시피 정보는, 제1 유저의 계정 정보로서 제1 유저에 의하여 입력되어 데이터베이스에 관리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200155552A 2020-11-19 2020-11-19 메뉴별 최저가 식자재 발주 및 이를 위한 업체 입찰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261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552A KR102261080B1 (ko) 2020-11-19 2020-11-19 메뉴별 최저가 식자재 발주 및 이를 위한 업체 입찰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552A KR102261080B1 (ko) 2020-11-19 2020-11-19 메뉴별 최저가 식자재 발주 및 이를 위한 업체 입찰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1080B1 true KR102261080B1 (ko) 2021-06-04

Family

ID=76392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552A KR102261080B1 (ko) 2020-11-19 2020-11-19 메뉴별 최저가 식자재 발주 및 이를 위한 업체 입찰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0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6391A (ko) * 2021-11-24 2023-05-31 푸드팡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의 식자재 도매 직거래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7969A (ko) * 2012-08-03 2014-02-12 임홍택 서버를 이용한 식자재 주문 방법 및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들
KR20200081970A (ko) * 2018-12-28 2020-07-08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식자재 유통을 위한 식자재 역경매 시스템 및 식자재 역경매 시스템을 이용한 식자재 역경매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7969A (ko) * 2012-08-03 2014-02-12 임홍택 서버를 이용한 식자재 주문 방법 및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들
KR20200081970A (ko) * 2018-12-28 2020-07-08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식자재 유통을 위한 식자재 역경매 시스템 및 식자재 역경매 시스템을 이용한 식자재 역경매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6391A (ko) * 2021-11-24 2023-05-31 푸드팡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의 식자재 도매 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2598665B1 (ko) * 2021-11-24 2023-11-07 푸드팡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의 식자재 도매 직거래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61709A1 (en) Pop-up recommendation lists
US20130013439A1 (en) Collective Purchase Management System
US20140244416A1 (en) Method and system to facilitate the addition of items to an electronic item catalog
US10373224B2 (en) Bidding engine for intention-based e-commerce among buyers and competing sellers
EP3100179A1 (en) Supply chain management system
JP6149067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KR102261080B1 (ko) 메뉴별 최저가 식자재 발주 및 이를 위한 업체 입찰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WO2015120788A1 (zh) 一种电子购物的方法和装置
JP2022164510A (ja) 情報提供方法およびこれを遂行する電子装置
KR101722679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22383B1 (ko) 온라인을 통한 식자재 수발주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WO201704458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ssessing order compliance by determining pre-submission order adherence of a preliminary order using a front-end server
KR20200093749A (ko) 복수의 셀러들이 입점된 오픈 마켓 플랫폼을 이용한 셀러 입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28865A (ko) 온라인 대량주문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49436A (ko) 인공지능을 통한 대형 상가 내 상점 입주 가이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318865B1 (ko) 판매 정보 및 유통 연동 구조를 통한 식자재 소상공인의 통합 발주 및 배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JP6502549B2 (ja) 電子商取引統合管理システム
US2016030726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20210096927A (ko) 판매 대상 상품의 연관 상품 구성 분석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기록매체
KR102433008B1 (ko) 수제 상품의 주문 관리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1299829B1 (ko) 온라인 트레이딩 중개 방법
JP2002074063A (ja) 商品の売買支援方法およびサーバ
KR20240015859A (ko) 온라인 오픈 마켓으로의 다종 물품 공급을 위한 공급 수량 및 발주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60104755A (ko)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35812A (ko) 커플링 철강재의 전자상거래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