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9710A -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9710A
KR20220109710A KR1020210013049A KR20210013049A KR20220109710A KR 20220109710 A KR20220109710 A KR 20220109710A KR 1020210013049 A KR1020210013049 A KR 1020210013049A KR 20210013049 A KR20210013049 A KR 20210013049A KR 20220109710 A KR20220109710 A KR 20220109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hion product
fashion
information
product
cons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3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너마켓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너마켓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너마켓
Priority to KR1020210013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9710A/ko
Publication of KR20220109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7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50/2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는, 통신 모듈;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상기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및 패션 상품 위탁 판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접수된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신청 요청에 따라 패션 상품 수거를 위한 전용 가방을 해당 사용자에게 배송하는 전용 가방 배송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전용 가방을 통해 해당 사용자로부터 배송된 패션 상품의 상품화 처리 과정에서 수집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상품화 처리 과정이 완료된 패션 상품의 판매 절차 진행 여부 및 판매 예상 가격에 대한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최종 결정된 각 패션 상품의 판매 절차 진행 여부 및 최종 판매 가격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패션 상품 쇼핑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패션 상품 위탁 판매를 실행한다.

Description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FASHION GOODS CONSIGNMENT SALES SERVICE}
본 발명은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다양한 종류의 전자 상거래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중고 상품 거래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통상적인 중고 상품 거래 서비스들의 경우, 거래 상대방을 서로 연계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기능이나, 중고 거래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기 사건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에스크로 결제 등의 기능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의류나 신발, 가방과 같은 패션 상품 상품의 경우 트렌드에 민감하여 각 사용자가 다수의 중고 물품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들을 개별적으로 중고 거래 하기 위해서는 개별 제품 별로 상품을 촬영하고 다수의 제품에 대한 상품 등록을 진행해야 하는등 상당히 번거로운 절차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이러한 작업에 부담을 느껴 벌크로 의류를거래하거나 폐기 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충분한 교환 가치를 가진 패션 상품에 대해서 적절한 가격을 보상받지 못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패션 상품의 중고 거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비자의 작업을 최소화하면서, 적정한 교환 가치를 보상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개념의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7-0019285호(발명의 명칭: 중고옷 나눔 시스템 장치)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다량의 패션 상품을 일괄적으로 위탁 판매를 의뢰할 수 있고, 위탁 판매 의뢰에 따른 상품화 처리 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패션 상품의 품질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는, 통신 모듈;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상기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및 패션 상품 위탁 판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접수된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신청 요청에 따라 패션 상품 수거를 위한 전용 가방을 해당 사용자에게 배송하는 전용 가방 배송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전용 가방을 통해 해당 사용자로부터 배송된 패션 상품의 상품화 처리 과정에서 수집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상품화 처리 과정이 완료된 패션 상품의 판매 절차 진행 여부 및 판매 예상 가격에 대한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최종 결정된 각 패션 상품의 판매 절차 진행 여부 및 최종 판매 가격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패션 상품 쇼핑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패션 상품 위탁 판매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를 이용한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상기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운영되는 사용자 단말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접수된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신청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신청 요청에 따라 패션 상품 수거를 위한 전용 가방을 해당 사용자에게 배송하는 전용 가방 배송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전용 가방을 통해 해당 사용자로부터 배송된 패션 상품의 상품화 처리 과정에서 수집된 정보를 상기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d) 상기 상품화 처리 과정이 완료된 패션 상품의 판매 절차 진행 여부 및 판매 예상 가격에 대한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e)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최종 결정된 각 패션 상품의 판매 절차 진행 여부 및 최종 판매 가격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패션 상품 쇼핑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패션 상품 위탁 판매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번거로운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다량의 패션 상품을 손쉽게 위탁 판매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품화 처리 과정에서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이를 사용자 및 관리자가 모두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상품화 처리 과정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탁 판매를 의뢰한 사용자와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자 간에 발생할 수 있는 불필요한 분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통해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ㄹ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하며, 하나의 유닛이 둘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행동 습관 개선을 제공하는 관리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각종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제공 시스템(1)은 서버(100),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 상품화 처리 과정에서 정보를 수집하는 복수의 장치(400~440)를 포함한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접수된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신청 요청에 따라 패션 상품 수거를 위한 전용 가방을 해당 사용자에게 배송하는 전용 가방 배송 처리를 수행하고, 전용 가방을 통해 해당 사용자로부터 배송된 패션 상품의 상품화 처리 과정에서 수집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또한, 서버(100)는 상품화 처리 과정이 완료된 패션 상품의 판매 절차 진행 여부 및 판매 예상 가격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최종 결정된 각 패션 상품의 판매 절차 진행 여부 및 최종 판매 가격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패션 상품 쇼핑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패션 상품 위탁 판매를 실행한다.
본 발명에서 대상으로 하는 패션 상품은 의류, 신발, 가방류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패션 상품 중에서도 상품의 사용주기가 짧아 중고 거래가 상대적으로 활발한 유아나 어린이 대상 패션 상품을 주로 대상으로 한다. 유아동은 성장기에 있어 상품의 사용주기가 매우 짧은 편인데, 최근 유아동을 대상으로 고급 패션 상품을 구매해주고자 하는 부모의 심리를 기반으로, 구매자와 판매자를 적절히 연계하면 다수의 중고 상품 거래를 유도할 수 있다.
상품화 처리 과정에서 정보를 수집하는 복수의 장치(400~440)에는 상품화 처리 과정을 녹화하는 CCTV(400), 각 패션 상품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410), 패션 상품에 대한 클리닝을 처리하는 클리닝 장치(420), 패션 상품에 대한 수선을 처리하는 수선 장치(430), 상품화 처리를 수행하는 작업자가 사용하는 작업자 단말(440)을 포함한다.
패션 상품의 상품화 처리를 위해서, 각 작업자는 전용 가방을 개봉하는 절차, 전용 가방에 담긴 패션 상품을 각각 확인하고 전체 패션 상품에 대한 인증 사진을 촬영하는 절차, 각 작업자가 상품이 판매 가능한 상태임을 확인하는 외관 검사, 패션 상품의 브랜드, 색상, 사이즈 및 패션 상품의 종류와 같은 패션 상품 상제 정보를 확인하는 절차, 패션 상품에 대한 세척 또는 수선이 필요한 경우 적절한 클리닝과 수선 작업을 수행하는 절차 등이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패션 상품의 상품화 처리 과정에 대해서는 CCTV를 통해 모든 과정이 녹화되고, 위탁 판매 신청 요청 행위별로 생성되는 식별 정보에 매칭되에 데이터에이스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전체 과정을 녹화하는 이유는 사용자와 위탁 판매자 간에 상품화 처리 과정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일부 사용자의 경우가 착오에 의해 또는 의도적으로 패션 상품이 누락 또는 분실되었다고 주장하고, 위탁 판매자에게 상품의 배상을 요청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반대로 사용자는 정상적으로 패션 상품을 배송하였으나, 위탁 판매자가 상품화 처리 과정에서 배송된 상품을 분실하거나 잘못 처리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품화 처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패션 상품의 손상 또는 패션 상품의 분실에 대비하여, 전체 상품화 과정을 녹화함으로써, 누구의 책임인지를 명확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와 위탁 판매자 사이에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CCTV가 존재하는 것 만으로, 작업자가 훨씬 신중하게 상품화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CCTV(400)는 촬영 각도를 다르게 하여 복수대가 배치될 수 있다.
작업자는 작업자 단말(440)을 통해 상품화 처리 개시를 알리는 제1 시간 정보와 상품화 처리 종료에 대한 제 2 시간 정보를 각각 입력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제 1 시간 정보와 제 2 시간 정보를 기초로 서버(100)는 각 CCTV 영상을 분할하고, 각 식별 정보에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한편, 각 작업자들은 상품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품의 위탁 판매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패션 상품의 판매 절자 진행 여부에 대한 정보를 작업자 단말(440)을 통해 입력하여 서버(100)로 전송한다. 즉, 작업자 단말(440)을 통해 개별 패션 상품에 대하여 패션 상품 위탁 판매 대상으로 지정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개별 패션 상품을 반품 대상 또는 기부 대상으로 지정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이는 각각의 패션 상품에 대한 정보로서 서버(10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서버(100)는 통신 모듈(110),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120),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130) 및 패션 상품 위탁 판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접수된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신청 요청에 따라 패션 상품 수거를 위한 전용 가방을 해당 사용자에게 배송하는 전용 가방 배송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패션 상품 위탁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전용 가방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배송된 패션 상품의 상품화 처리 과정에서 수집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또한, 패션 상품 위탁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상품화 처리 과정이 완료된 패션 상품의 판매 절차 진행 여부 및 판매 예상 가격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최종 결정된 각 패션 상품의 판매 절차 진행 여부 및 최종 판매 가격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패션 상품 쇼핑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패션 상품 위탁 판매를 실행한다.
이때, 패션 상품 위탁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가격 결정 알고리즘에 따라 각 패션 상품에 대한 판매 예상 가격을 산출한다. 가격 결정 알고리즘은 패션 상품의 브랜드, 사이즈 및 패션 상품의 종류를 포함하는 패션 상품의 상세 정보와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를 통해 거래가 수행된 과거 판매 이력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은 브랜드나, 상품 사이즈별 소비자의 수요, 상품의 종류별 소비자의 수요 등을 고려하고, 과거에 유사 종류의 제품의 판매 실적 데이터를 고려하여 대략적인 판매 예상 가격이 산출될 수 있다.
한편, 패션 상품 위탁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패션 상품 별 판매 예상 가격외에 각 상품별로 위탁 판매자가 사용자로부터 지급받는 수수료를 차등화하여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의 인기도가 높아 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상품 브랜드에 대해서는 낮은 수수료를 적용하여, 해당 패션 상품의 위탁 판매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인하고,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낮거나 거래 실적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품 브랜드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수수료를 적용하여, 위탁 판매자가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통해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실행되는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접수된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신청 요청을 수신한다(S310). 사용자는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의 주소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통해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신청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은 위탁 판매할 상품의 양에 따라 복수의 전용 가방을 선택하게 하거나, 여러 종류의 용량을 가진 전용 가방 중 적절한 용량의 전용 가방을 선택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100)는 패션 상품 수거를 위한 전용 가방을 해당 사용자에게 배송하는 전용 가방 배송 처리를 수행한다(S320). 사용자가 설정한 배송 주소 정보에 맞춰 배송 처리를 수행하며, 사용자가 입력한 전용 가방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전용 가방을 배송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서버(100)는 전용 가방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배송된 패션 상품의 상품화 처리 과정에서 수집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33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패션 상품의 상품화 처리 과정의 시작과 끝까지 영상 녹화를 진행하여 해당 정보가 함께 저장되도록 한다. 또한, 각 패션 상품의 브랜드, 사이즈 및 패션 상품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패션 상품 상세 정보, 각 패션 상품의 수선 처리에 대한 정보, 각 패션 상품의 클리닝 처리에 대한 정보가 함께 저장되도록한다. 또한, 상품화 처리 과정이 완료된 패션 상품에 판매 절차 진행 여부에 대한 정보로서, 상품 위탁 판매 대상인지, 반품 또는 기부 대상인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이와 같이 저장된 정보는 도 4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사용자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각 패션 상품 별로 패션 상품의 상세 정보, 패션 상품의 수선 처리 또는 클리닝 처리 정보, 상품화 처리 과정에 대한 영상을 확인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뢰한 위탁 판매 상품이 정상적으로 상품화 처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위탁 판매자에 의해 결정된 판매 절차 진행 여부에 대한 정보와 판매 예상 가격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가 의뢰한 위탁 판매 상품이 어느 정도의 상품성을 인정받았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실제 위탁 판매 진행 여부에 대하여 의사 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같이, 패션 상품에 대한 위탁 판매 절차 진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판매 예상 가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희망하는 최종 판매 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 예상 가격이 3만 5천원으로 제시되었을 때, 사용자는 이를 그대로 받아들이거나 자신이 희망하는 가격으로 최종 판매 가격을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100)는 상품화 처리 과정이 완료된 패션 상품의 판매 절차 진행 여부 및 판매 예상 가격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한다(S340). 즉, 해당 상품이 패션 상품 위탁 판매 대상에 해당하는지, 또는 반품 대상이나 기부 대상으로 지정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한다. 또한, 앞서 설명한 가격 결정 알고리즘에 따라 판매 예상 가격을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한다.
이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에 의하여 최종 결정된 각 패션 상품의 판매 절차 진행 여부 및 최종 판매 가격에 대한 정보를 서버(100)에 전송하며,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패션 상품 쇼핑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패션 상품 위탁 판매를 실행한다(S350).
이때, 판매 절차 진행 여부와 관련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반품 대상으로 결정되는 경우에는 해당 상품을 포장하여 반품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조치는 상품의 상태가 판매에 적절하지 못한 상태여서 위탁 판매자에 의해 반품 대상으로 분류된 경우, 사용자가 이를 받아들여 반품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서버(100)에 의해 제시된 판매 예상 가격이 너무 낮게 책정되었다고 판단한 사용자는 자신이 직접 판매를 진행하기 위해 반품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판매 절차 진행 여부와 관련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기부 대상으로 결정되는 경우에는 해당 상품을 포장하여 기부처로 배송하는 배송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조치는 상품의 상태가 판매에 적절하지 못한 상태여서 위탁 판매자에 의해 기부 대상으로 분류된 경우, 사용자가 이를 받아들여 기부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앞서 반품 대상으로 분류되었거나, 서버(100)에 의해 제시된 판매 예상 가격이 너무 낮게 책정되었다고 판단한 사용자는 판매 보다는 기부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위탁 판매를 진행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동의한 경우에는, 사용자 또는 위탁 판매자에 의해 설정된 소정의 기간 동안 패션 상품의 위탁 판매가 진행되며, 패션 상품 위탁 판매에 대한 수익금을 기반으로 정산 절차가 이루어진다. 이때, 미리 설정된 수수료를 제외한 정산 금액이 사용자에게 지급된다. 이때, 수수료 요율은 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상품 브랜드에 대해서는 낮은 수수료 요율을 적용하고, 거래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상품 브랜드에 대해서는 높은 수수료 요율을 적용하여, 상품의 활발한 거래와 아울러 위탁 판매자에게도 적정한 수익이 보장되도록 한다.
한편,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실행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탁 판매 상품의 판매 현황을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위탁 판매 상품의 거래 이후 정산 절차의 수행까지 지원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제공 시스템
100: 서버
200: 사용자 단말
400: 정보 수집 장치

Claims (10)

  1.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에 있어서,
    통신 모듈;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상기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및
    패션 상품 위탁 판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접수된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신청 요청에 따라 패션 상품 수거를 위한 전용 가방을 해당 사용자에게 배송하는 전용 가방 배송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전용 가방을 통해 해당 사용자로부터 배송된 패션 상품의 상품화 처리 과정에서 수집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상품화 처리 과정이 완료된 패션 상품의 판매 절차 진행 여부 및 판매 예상 가격에 대한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최종 결정된 각 패션 상품의 판매 절차 진행 여부 및 최종 판매 가격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패션 상품 쇼핑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패션 상품 위탁 판매를 실행하는,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션 상품의 상품화 처리 과정에서 수집된 정보는 각 패션 상품의 브랜드, 사이즈 및 패션 상품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패션 상품 상세 정보, 각 패션 상품의 수선 처리에 대한 정보, 각 패션 상품의 클리닝 처리에 대한 정보, 상기 패션 상품의 상품화 처리 과정을 녹화한 영상 정보 및 상기 상품화 처리 과정이 완료된 패션 상품의 판매 절차 진행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는 상기 위탁 판매 신청 요청 행위별 식별 정보에 매칭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것인,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화 처리 과정이 완료된 패션 상품의 판매 절차 진행 여부에 대한 정보는 해당 패션 상품을 패션 상품 위탁 판매 대상으로 지정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해당 패션 상품은 반품 대상 또는 기부 대상으로 지정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는, 해당 패션 상품의 브랜드, 사이즈 및 패션 상품의 종류를 포함하는 패션 상품의 상세 정보와 상기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를 통해 거래가 수행된 과거 판매 이력을 고려한 가격 결정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판매 예상 가격을 산출하여 제공하는 것인,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패션 상품 위탁 판매에 따라 발생한 수익 중 미리 설정된 수수료를 제외한 정산금액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산 절차를 진행하는,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
  6.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를 이용한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운영되는 사용자 단말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접수된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신청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신청 요청에 따라 패션 상품 수거를 위한 전용 가방을 해당 사용자에게 배송하는 전용 가방 배송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전용 가방을 통해 해당 사용자로부터 배송된 패션 상품의 상품화 처리 과정에서 수집된 정보를 상기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d) 상기 상품화 처리 과정이 완료된 패션 상품의 판매 절차 진행 여부 및 판매 예상 가격에 대한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e)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최종 결정된 각 패션 상품의 판매 절차 진행 여부 및 최종 판매 가격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패션 상품 쇼핑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패션 상품 위탁 판매를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각 패션 상품의 브랜드, 사이즈 및 패션 상품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패션 상품 상세 정보, 각 패션 상품의 수선 처리에 대한 정보, 각 패션 상품의 클리닝 처리에 대한 정보, 상기 패션 상품의 상품화 처리 과정을 녹화한 영상 정보 및 상기 상품화 처리 과정이 완료된 패션 상품의 판매 절차 진행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는 상기 위탁 판매 신청 요청 행위별 식별 정보에 매칭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것인,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화 처리 과정이 완료된 패션 상품의 판매 절차 진행 여부에 대한 정보는 해당 패션 상품을 패션 상품 위탁 판매 대상으로 지정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해당 패션 상품은 반품 대상 또는 기부 대상으로 지정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해당 패션 상품의 브랜드, 사이즈 및 패션 상품의 종류를 포함하는 패션 상품의 상세 정보와 상기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를 통해 거래가 수행된 과거 판매 이력을 고려한 가격 결정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판매 예상 가격을 산출하여 제공하는 것인,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패션 상품 위탁 판매에 따라 발생한 수익 중 미리 설정된 수수료를 제외한 정산금액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산 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10013049A 2021-01-29 2021-01-29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KR202201097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049A KR20220109710A (ko) 2021-01-29 2021-01-29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049A KR20220109710A (ko) 2021-01-29 2021-01-29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710A true KR20220109710A (ko) 2022-08-05

Family

ID=82826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049A KR20220109710A (ko) 2021-01-29 2021-01-29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97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2179B1 (ko) 2023-08-30 2024-01-08 주식회사 리클 헌옷 검수 인증 관리 시스템
WO2024049039A1 (ko) 2022-08-31 2024-03-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체결 누락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리벳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벳팅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285A (ko) 2015-08-11 2017-02-21 박수경 중고옷 나눔 시스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285A (ko) 2015-08-11 2017-02-21 박수경 중고옷 나눔 시스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9039A1 (ko) 2022-08-31 2024-03-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체결 누락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리벳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벳팅 방법
KR102622179B1 (ko) 2023-08-30 2024-01-08 주식회사 리클 헌옷 검수 인증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84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online transactions
CN109360066B (zh) 基于互联网的b2c电子商务系统
US1172746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management of a universal shopping cart
CA2756174C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treamlined checkout process
US2015017881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ducting online transactions
WO2016183233A1 (en) Matching user provided representations of items with sellers of those items
KR20220109710A (ko) 패션 상품 위탁 판매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JP7350919B2 (ja) ユーザが提供する商品の表示を当該商品の販売者にマッチングさせること
KR102314064B1 (ko) 매장의 물품 발주 및 재고 관리 시스템
US20140156452A1 (en) System and methods to fulfill an aggregated online odrer for related users
KR20130130018A (ko) 다수의 소매상들이 소비제한 카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
JP2003141433A (ja) 決済方法、決済システム、サーバ装置、情報端末、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435484A (zh) 任务协同处理方法、装置、设备和系统
KR20200062662A (ko) 반품 효율성이 향상된 반품서비스 시스템
US11037169B1 (en) Mobile wallet for device support operations
US11823214B2 (en) Classifying fraud instances in completed orders
WO20231875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tail with smart glasses
WO2019242518A1 (zh) 一种商品交易的处理方法、装置及设备
US10565632B1 (en) Transac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JP3776739B2 (ja) オンラインショッピングシステムにおける与信情報提供サーバ装置
CN112785788A (zh) 信息处理系统、信息处理方法及设备
CN115757966A (zh) 产品推荐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电子设备
TW202228050A (zh) 販賣裝置、行動購物系統及其方法
KR20220109178A (ko) 라이브 컨텐츠 기반 매장 판매 시스템
WO201503077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ayment distribution for consigned i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