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6318B1 - 트랙터용 일체형 엔진후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일체형 엔진후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6318B1
KR102556318B1 KR1020230007424A KR20230007424A KR102556318B1 KR 102556318 B1 KR102556318 B1 KR 102556318B1 KR 1020230007424 A KR1020230007424 A KR 1020230007424A KR 20230007424 A KR20230007424 A KR 20230007424A KR 102556318 B1 KR102556318 B1 KR 102556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ide panel
panel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7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은오
전진석
Original Assignee
율천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율천공업(주) filed Critical 율천공업(주)
Priority to KR1020230007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3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4Projection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6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9/00Tr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06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일체형 엔진후드 제조방법은, 상부패널, 제1 사이드패널 및 제2 사이드패널을 각각 성형하는 단계, 상기 상부패널의 양측에 상기 제1 사이드패널 및 상기 제2 사이드패널을 각각 CO2 용접하는 단계, 상기 상부패널에 상기 제1 사이드패널 및 상기 제2 사이드패널이 고정되도록 프로젝션 용접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젝션 용접으로 상기 상부패널, 제1 사이드패널 및 제2 사이드패널이 일체화된 엔진후드를 도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하는 단계에서, 상기 상부패널은 양측이 각각 절곡되어 한 쌍의 제1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사이드패널은 일측에 상기 한 쌍의 제1 플랜지부 중 하나에 대응되는 제2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사이드패널은 일측에 상기 한 쌍의 제1 플랜지부 중 다른 하나에 대응되는 제3 플랜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트랙터용 일체형 엔진후드 및 이의 제조방법{INTEGRAL ENGINE HOOD FOR TRA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트랙터용 일체형 엔진후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엔진후드(Engine hood)는 엔진룸을 보호하는 덮개 부분으로써, 엔진이 구동 시 발생하는 열을 대기로 순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엔진후드는 내열성과 열평형 기능성이 우수해야 하므로, 주요 재질로는 Steel(SPCE) 소재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엔진후드 제조 시 복수개의 냉간압연 강판을 유압 프레스 작업하고, 각각의 강판에 너트를 용접한 후에, 각각의 강판을 볼트로 체결시킴으로써 엔진후드의 조립을 완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제조방법은 강판에 너트를 수작업으로 용접해야 하므로 공정시간이 증가하였고, 생산 조립과정에서 다수의 작업자가 필요로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볼트 및 너트의 조립 누락이 발생하거나, 조립 시 부품간 이격이 생기는 불량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엔진후드 제조 시 프로젝션 용접(Projection weld)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원가를 감소시키며 품질이 향상된 트랙터용 일체형 엔진후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일체형 엔진후드 제조방법은, 상부패널, 제1 사이드패널 및 제2 사이드패널을 각각 성형하는 단계, 상기 상부패널의 양측에 상기 제1 사이드패널 및 상기 제2 사이드패널을 각각 CO2 용접하는 단계, 상기 상부패널에 상기 제1 사이드패널 및 상기 제2 사이드패널이 고정되도록 프로젝션 용접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젝션 용접으로 상기 상부패널, 제1 사이드패널 및 제2 사이드패널이 일체화된 엔진후드를 도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하는 단계에서, 상기 상부패널은 양측이 각각 절곡되어 한 쌍의 제1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사이드패널은 일측에 상기 한 쌍의 제1 플랜지부 중 하나에 대응되는 제2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사이드패널은 일측에 상기 한 쌍의 제1 플랜지부 중 다른 하나에 대응되는 제3 플랜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CO2 용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제2 플랜지부가 서로 마주하게 배치하여, 상기 상부패널 및 상기 제1 사이드패널의 테두리를 CO2 용접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제3 플랜지부가 서로 마주하게 배치하여, 상기 상부패널 및 상기 제2 사이드패널의 테두리를 CO2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션 용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제2 플랜지부가 서로 마주하게 배치하여, 상기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제2 플랜지부를 프로젝션 용접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제3 플랜지부가 서로 마주하게 배치하여, 상기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제3 플랜지부를 프로젝션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엔진후드를 도장하는 단계는 수용성 도료 조성물을 사용하며, 상기 수용성 도료 조성물은, 폴리올 수지, 경화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유색안료 및 용매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일체형 엔진후드 제조방법.
[화학식 3]
Figure 112023006962024-pat00001
상기 화학식 3에 있어서, B3는 -CH2-, -CH2CH2-, -CH2CH2CH2-, -CH2CH2CH2CH2- 또는 -CH2CH2CH2CH2CH2-이고, R8, R9, R10, R11, R12, R13, R14, R15 및 R16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 ~ C12의 직쇄형 알킬기 또는 C3 ~ C12의 분쇄형 알킬기이며, n는 1 ~ 15를 만족하는 유리수이고, m은 1 ~ 15를 만족하는 유리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일체형 엔진후드는, 양측이 각각 절곡되어 한 쌍의 제1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상부패널, 일측에 상기 한 쌍의 제1 플랜지부 중 하나에 대응되는 제2 플랜지부가 형성된 제1 사이드패널 및 일측에 상기 한 쌍의 제1 플랜지부 중 다른 하나에 대응되는 제3 플랜지부가 형성된 제2 사이드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일체형 엔진후드 및 이의 제조방법은, 엔진후드 제조 시 프로젝션 용접(Projection weld)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원가를 감소시키며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일체형 엔진후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트랙터용 일체형 엔진후드를 뒤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부패널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사이드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 사이드패널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사이드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2 사이드패널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후방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트랙터용 일체형 엔진후드에 전면그릴 및 측면그릴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일체형 엔진후드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CO2 용접하는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용접하는 과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일체형 엔진후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트랙터용 일체형 엔진후드를 뒤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패널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부패널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사이드패널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 사이드패널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사이드패널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2 사이드패널의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후방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따른 트랙터용 일체형 엔진후드(10)는 상부패널(100), 제1 사이드패널(200), 제2 사이드패널(300), 전방브라켓(400) 및 후방패널(5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부패널(100)은 엔진후드(10)의 상부를 이루고, 제1 사이드패널(200) 및 제2 사이드패널(300)이 각각 상부패널(100)의 양측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전방브라켓(400)이 제1 사이드패널(200) 및 제2 사이드패널(300)의 사이에 배치되고, 후방패널(500)이 상부패널(100), 제1 사이드패널(200) 및 제2 사이드패널의 후방 테두리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부패널(100)은 제1 플랜지부(110), 제1 지지브라켓(120), 고정브라켓(130), 제2 지지브라켓(140), 제1 연결플레이트(150), 제2 연결플레이트(160) 및 힌지브라켓(1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패널(100)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만곡진 형태의 판일 수 있다.
제1 플랜지부(110)는 상부패널(10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랜지부(110)는 상부패널(100)의 좌우 양측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랜지부(110)는 상부패널(100)의 테두리부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플랜지부(110)에는 복수개의 코드클램프(111)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지지브라켓(120)은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평판 형상으로, 상부패널(1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브라켓(120)은 길이방향이 좌우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브라켓(120)의 중심부에는 볼트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브라켓(130)은 상부패널(100)의 전방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고정브라켓(130)은 제1 지지브라켓(120)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제2 지지브라켓(140)은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제1 지지브라켓(120) 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브라켓(140)은 길이방향이 좌우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브라켓(140)은 양단부가 절곡되어 'C'형 단면 또는 'ㄷ'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플레이트(150)는 제2 지지브라켓(140)의 일면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플레이트(150)는 소정의 판 형상으로 중심부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플레이트(150)에는 트랙터의 엔진룸에 설치된 실린더(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일체형 엔진후드(10)가 실린더에 의해 상하부로 회전되어 엔진룸을 개폐할 수 있다.
제2 연결플레이트(160)는 한 쌍이 좌우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힌지브라켓(170)은 제2 지지브라켓(140)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플레이트(160)의 일측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브라켓(170)은 한 쌍의 제2 연결플레이트(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브라켓(170)은 'ㄱ'자 형상으로, 일단부는 한 쌍의 제2 연결플레이트(160) 사이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제2 지지브라켓(14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힌지브라켓(170) 사이에는 제3 연결플레이트(171)가 연결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제1 사이드패널(200)은 제2 플랜지부(210), 제1 개방부(220), 제1 결합부(230), 제1 실링브라켓(240), 제1 연결브라켓(250), 제1 램프브라켓(2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이드패널(200)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만곡진 형태이 판일 수 있다. 제1 사이드패널(200)은 상부패널(1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랜지부(210)는 제1 사이드패널(200)의 상부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제2 플랜지부(210)는 상부패널(100)의 제1 플랜지부(110)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플랜지부(110) 및 제2 플랜지부(210)는 서로 면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플랜지부(210)는 제1 사이드패널(200)의 테두리부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방부(220)는 제1 사이드패널(200)의 측면에 소정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개방부(220)를 통해 엔진룸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결합부(230)는 제1 개방부(22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230)는 제1 개방부(220)의 테두리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결합부(230)에는 측면그릴(미도시)이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230)에는 볼트가 체결되기 위한 제1 체결부(231)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면그릴이 제1 결합부(230)에 배치되어 볼트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제1 실링브라켓(240)은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배열되어 제1 사이드패널(200)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브라켓(250)은 제1 개방부(220)를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링브라켓(240)은 엔진룸에 설치되는 라디에이터(미도시)등의 장치와 엔진후드 내면 사이의 간격을 차폐할 수 있다.
제1 연결브라켓(250)은 제1 사이드패널(200)의 하부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브라켓(250)에는 볼트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브라켓(250)에는 엔진후드(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면그릴(600)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램프브라켓(260)은 소정의 판 형상으로, 일면에는 타원형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램프브라켓(260)은 제1 사이드패널(200)의 측면에서 제1 실링브라켓(24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사이드패널(200)의 테두리에는 너트(270)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그릴(600)을 제1 사이드패널(200)에 연결시킨 후 너트(270)에 볼트를 체결시킴으로써, 전면그릴(600)이 제1 사이드패널(20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제1 사이드패널(200)은 제3 플랜지부(310), 제2 개방부(320), 제2 결합부(330), 제2 실링브라켓(340), 제2 연결브라켓(350), 제2 램프브라켓(3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이드패널(300)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만곡진 형태이 판일 수 있다. 제2 사이드패널(300)은 상부패널(10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사이드패널(300)은 제1 사이드패널(200)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플랜지부(310)는 제2 사이드패널(300)의 상부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제3 플랜지부(310)는 상부패널(100)의 제1 플랜지부(110)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플랜지부(110) 및 제3 플랜지부(310)는 서로 면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플랜지부(210)는 제2 사이드패널의 테두리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방부(320)는 제2 사이드패널(300)의 측면에 소정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개방부(320)를 통해 엔진룸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결합부(330)는 제2 개방부(32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부(330)는 제2 개방부(320)의 테두리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결합부(330)에는 측면그릴(미도시)이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부(330)에는 볼트가 체결되기 위한 제2 체결부(331)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면그릴이 제2 결합부(330)에 배치되어 볼트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제2 실링브라켓(340)은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배열되어 제2 사이드패널(300)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브라켓(350)은 제2 개방부(320)를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링브라켓(340)은 엔진룸에 설치되는 라디에이터(미도시)등의 장치와 엔진후드 내면 사이의 간격을 차폐할 수 있다.
제2 연결브라켓(350)은 제2 사이드패널(300)의 하부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브라켓(350)에는 볼트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브라켓(350)에는 엔진후드(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면그릴(600)이 연결될 수 있다.
제2 램프브라켓(360)은 소정의 판 형상으로, 일면에는 타원형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램프브라켓(360)은 제2 사이드패널(300)의 측면에서 제2 실링브라켓(34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사이드패널(300)의 테두리에는 너트(370)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그릴(600)을 제2 사이드패널(300)에 연결시킨 후 너트(370)에 볼트를 체결시킴으로써, 전면그릴(600)이 제2 사이드패널(30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전방브라켓(400)은 소정의 판 형상으로 다단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방브라켓(400)의 양단부에는 각각 한 쌍의 사이드브라켓(410)이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브라켓(400)은 엔진후드(10)의 전방에 배치되고 한 쌍의 사이드브라켓(410)은 각각 제1 사이드패널(200) 및 제2 사이드패널(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전방브라켓(400)은 전면그릴(600)에 연결되어 전면그릴(600)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후방패널(500)은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양측이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방패널(500)은 엔진후드(10)의 내측면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패널(500)은 엔진후드(10)의 후방 내측면에 배치되어, 상부패널(100), 제1 사이드패널(200) 및 제2 사이드패널(3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트랙터용 일체형 엔진후드에 전면그릴 및 측면그릴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패널(100), 제1 사이드패널(200) 및 제2 사이드패널(300)이 일체화된 일체형 엔진후드(10)에는 전면그릴(600) 및 측면그릴(700)을 추가로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그릴(600) 및 측면그릴(700)은 복수개의 홀이 형성된 타공판 또는 메쉬망일 수 있다.
전면그릴(600)은 엔진후드(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부패널(100), 제1 사이드패널(200) 및 제2 사이드패널(300)에 연결될 수 있다. 측면그릴(700)은 한 쌍으로 형성되어, 각각 제1 사이드패널(200) 및 제2 사이드패널(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측면그릴(700)은 각각 제1 결합부(230) 및 제2 결합부(330)에 결합되어, 제1 개방부(220) 및 제2 개방부(320)를 덮을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일체형 엔진후드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CO2 용접하는 과정의 순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용접하는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트랙터용 일체형 엔진후드의 제조방법은 성형하는 단계(S100), CO2 용접하는 단계(S200), 프로젝션 용접하는 단계(S300), 도장하는 단계(S400), 그릴을 장착하는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부패널, 제1 사이드패널 및 제2 사이드패널을 각각 성형할 수 있다(S100). 구체적으로, 금형을 통해 냉간 압연 강판에 유압 프레스 작업을 수행하여 상부패널(100), 제1 사이드패널(200) 및 제2 사이드패널(300)을 성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간 압연 강판을 블랭킹(Blanking)하여 통해 원하는 크기의 소재를 다수 개로 제작할 수 있다. 블랭킹된 소재는 금형에 투입하고 펀치로 가압하는 드로잉(Drawing)을 통해 변형될 수 있다. 드로잉된 소재는 벤딩(Bending) 공정을 통해 최종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벤딩 공정을 통해 상부패널(100), 제1 사이드패널(200) 및 제2 사이드패널(300)에 각각 제1 플랜지부(110), 제2 플랜지부(210) 및 제3 플랜지부(31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성형된 상부패널(100), 제1 사이드패널(200) 및 제2 사이드패널(300)에는 전술한 브라켓, 플레이트, 너트 등의 구성이 장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상부패널(100), 제1 사이드패널(200) 및 제2 사이드패널(300)은 용접 지그에 장착되어, 브라켓, 플레이트, 너트 등의 구성들이 용접되어 장착될 수 있다.
이후, 상부패널의 양측에 제1 사이드패널 및 제2 사이드패널을 각각 CO2 용접할 수 있다(S200).
이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00은 제1 플랜지부 및 제2 플랜지부가 서로 마주하게 배치하여, 상부패널 및 제1 사이드패널의 테두리를 CO2 용접하는 단계(S210), 제1 플랜지부 및 제3 플랜지부가 서로 마주하게 배치하여, 상부패널 및 제2 사이드패널의 테두리를 CO2 용접하는 단계(S220) 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플랜지부(110) 및 제2 플랜지부(210)는 서로 대응되므로 면접촉할 수 있고, 상부패널(100)의 테두리 및 제1 사이드패널(200)의 테두리가 맞닿은 부위를 CO2 용접함으로써, 상부패널(100) 및 제1 사이드패널(200)을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플랜지부(110) 및 제3 플랜지부(310)는 서로 대응되므로 면접촉할 수 있고, 상부패널(100)의 테두리 및 제2 사이드패널(300)의 테두리가 맞닿은 부위를 CO2 용접함으로써, 상부패널(100) 및 제2 사이드패널(30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이후, 상부패널에 제1 사이드패널 및 상기 제2 사이드패널이 고정되도록 프로젝션 용접할 수 있다(S300).
이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S300은 제1 플랜지부 및 제2 플랜지부가 서로 마주하게 배치하여, 제1 플랜지부 및 제2 플랜지부를 프로젝션 용접하는 단계(S310), 제1 플랜지부 및 제3 플랜지부가 서로 마주하게 배치하여, 제1 플랜지부 및 제3 플랜지부를 프로젝션 용접하는 단계(S320) 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플랜지부(110) 및 제2 플랜지부(210)를 면접촉 시킨 후, 제1 플랜지부(110)에 제1 전극(미도시)을 접촉시키고 제2 플랜지부(210)에 제2 전극(미도시)을 접촉시킬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전극에 전류를 인가하면 저항열에 의해 제1 플랜지부(110) 및 제2 플랜지부(210)의 접합부가 가열 융합되므로, 상부패널(100) 및 제1 사이드패널(200)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 플랜지부(110) 및 제2 플랜지부(210)는 각각 상부패널(100)의 테두리 및 제1 사이드패널(200)의 테두리로부터 수직한 각도를 이룸으로써, 프로젝션 용접용 전극이 상부패널(100) 및 제1 사이드패널(200)에 간섭받지 않고 용이하게 제1 플랜지부(110) 및 제2 플랜지부(210)에 접촉될 수 있어, 용접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플랜지부(110) 및 제3 플랜지부(310)를 면접촉 시킨 후, 제1 플랜지부(110)에 제1 전극(미도시)을 접촉시키고 제2 플랜지부(210)에 제2 전극(미도시)을 접촉시킬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전극에 전류를 인가하면 저항열에 의해 제1 플랜지부(110) 및 제2 플랜지부(210)의 접합부가 가열 융합되므로, 상부패널(100) 및 제2 사이드패널(300)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 플랜지부(110) 및 제3 플랜지부(310)는 각각 상부패널(100)의 테두리 및 제2 사이드패널(300)의 테두리로부터 수직한 각도를 이룸으로써, 프로젝션 용접용 전극이 상부패널(100) 및 제2 사이드패널(300)에 간섭받지 않고 용이하게 제1 플랜지부(110) 및 제3 플랜지부(310)에 접촉될 수 있어, 용접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상부패널(100), 제1 사이드패널(200) 및 제2 사이드패널(300)을 CO2 용접하여 각 패널의 위치를 바로잡은 후 각 패널이 상호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각 플랜지부를 프로젝션 용접함으로써 상부패널(100), 제1 사이드패널(200) 및 제2 사이드패널(300)을 고정 결합시킴으로써 일체화된 엔진후드(10)를 제조할 수 있다.
이후, 프로젝션 용접으로 상부패널, 제1 사이드패널 및 제2 사이드패널이 일체화된 엔진후드를 도장할 수 있다(S400).
구체적으로, 일체화된 엔진후드(10)는 전착 도장, 중도 도장, 상도 도장 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착 도장 공정에서, 엔진후드(10)는 전착 도료에 침지되고, 엔진후드(10)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엔진후드(10)의 표면에 도막을 형성시킬 수 있다. 중도 도장 공정에서, 전착 도장이 완료된 엔진후드(10)의 표면에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료를 분사할 수 있다. 상도 도장 공정에서, 중도 도장이 완료된 엔진후드(10)의 표면에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료를 분사하여 원하는 색상의 도막을 형성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작업자가 수동으로 스프레이를 분사하여 도막을 균일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한편, 상도 도장 공정에서는 수용성 도료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수용성 도료 조성물은 폴리올 수지 및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폴리올 수지는 아크릴 폴리올 수지 및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아크릴 폴리올 수지 60 ~ 80 중량% 및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20 ~ 4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아크릴 폴리올 수지 65 ~ 75 중량% 및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25 ~ 3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폴리올 수지가 아크릴 폴리올 수지 및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모두 포함하지 않거나, 상기 기재된 중량% 범위를 벗어나게 된다면 기계적 물성, 부착력, 광택도, 방식성, 수분반발성 및 오염방지성 효과에 대하여 목적하는 물성을 모두 달성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스티렌(styrene), n-부틸메타크릴레이트(n-butyl methacrylate),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2-하이드록실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및 메타아크릴산(methacrylic acid)의 반응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스티렌(styrene) 100 중량부에 대하여, n-부틸메타크릴레이트(n-butyl methacrylate) 90 ~ 1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95 ~ 105 중량부,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115 ~ 13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20 ~ 130 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90 ~ 1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95 ~ 105 중량부, 2-하이드록실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65 ~ 8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0 ~ 80 중량부 및 메타아크릴산(methacrylic acid) 2 ~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 15 중량부를 포함하여 반응시킨 반응물일 수 있으며, 만일 이와 같은 중량부 범위를 벗어나게 된다면 기계적 물성, 부착력, 광택도, 방식성, 수분반발성 및 오염방지성 효과에 대하여 목적하는 물성을 모두 달성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네오펜틸 글리콜(neopentyl glycol), 1,6-헥산디올(1,6-hexanediol),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무수프탈산(phthalic anhydride) 및 아디픽산(adipic acid)의 반응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네오펜틸 글리콜(neopentyl glycol) 100 중량부에 대하여, 1,6-헥산디올(1,6-hexanediol) 1.5 ~ 3.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 3 중량부,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73.5 ~ 93.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8.5 ~ 88.5 중량부, 무수프탈산(phthalic anhydride) 8 ~ 28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3 ~ 23 중량부 및 아디픽산(adipic acid) 25 ~ 4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 ~ 40 중량부를 포함하여 반응시킨 반응물일 수 있으며, 만일 이와 같은 중량부 범위를 벗어나게 된다면 기계적 물성, 부착력, 광택도, 방식성, 수분반발성 및 오염방지성 효과에 대하여 목적하는 물성을 모두 달성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경화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및 폴리올 변성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40 ~ 60 중량% 및 폴리올 변성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40 ~ 6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45 ~ 55 중량% 및 폴리올 변성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45 ~ 5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경화제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및 폴리올 변성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모두 포함하지 않거나, 상기 기재된 중량% 범위를 벗어나게 된다면 기계적 물성, 부착력, 광택도, 방식성, 수분반발성 및 오염방지성 효과에 대하여 목적하는 물성을 모두 달성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4,4-메틸렌 디사이클로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4,4-methylene dicyclohexyl diisocyanate)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반응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3006962024-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B1은 -CH2-, -CH2CH2-, -CH2CH2CH2-, -CH2CH2CH2CH2- 또는 -CH2CH2CH2CH2CH2-이고, 바람직하게는 -CH2-, -CH2CH2- 또는 -CH2CH2CH2-이다.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 ~ C12의 직쇄형 알킬기 또는 C3 ~ C12의 분쇄형 알킬기이고, 바람직하게는 C1 ~ C12의 직쇄형 알킬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C1 ~ C3의 직쇄형 알킬기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23006962024-pat00003
상기 화학식 2에 있어서, B2은 -CH2-, -CH2CH2-, -CH2CH2CH2-, -CH2CH2CH2CH2- 또는 -CH2CH2CH2CH2CH2-이고, 바람직하게는 -CH2-, -CH2CH2- 또는 -CH2CH2CH2-이다.
상기 화학식 2에 있어서, R5, R6 및 R7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 ~ C12의 직쇄형 알킬기 또는 C3 ~ C12의 분쇄형 알킬기이고, 바람직하게는 C1 ~ C12의 직쇄형 알킬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C1 ~ C3의 직쇄형 알킬기이다.
구체적으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4,4-메틸렌 디사이클로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 15 ~ 3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 30 중량부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5 ~ 8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6 ~ 7 중량부를 포함하여 반응시킨 반응물일 수 있으며, 만일 이와 같은 중량부 범위를 벗어나게 된다면 기계적 물성, 부착력, 광택도, 방식성, 수분반발성 및 오염방지성 효과에 대하여 목적하는 물성을 모두 달성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폴리올 변성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는 폴리올 수지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반응물일 수 있다. 이 때, 폴리올 수지는 제1혼합물 및 제2혼합물의 반응물일 수 있고, 제1혼합물은 부틸 아세테이트(butyl acetate), 톨루엔(toluene) 및 자일렌(xylene)을 포함할 수 있고, 제2혼합물은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스티렌(styrene),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n-부틸메타크릴레이트(n-butyl methacrylate),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및 1,1'-아조비스(사이클로헥산카보니트릴)[(1,1′-Azobis(cyclohexanecarbonitrile)]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올 변성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는 폴리올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5 ~ 2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 20 중량부를 포함하여 반응시킨 반응물일 수 있다. 또한, 폴리올 수지는 제1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2혼합물 800 ~ 12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950 ~ 1050 중량부를 포함하여 반응시킨 반응물일 수 있다. 또한, 제1혼합물은 부틸 아세테이트(butyl acetate)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톨루엔(toluene) 80 ~ 1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90 ~ 110 중량부 및 자일렌(xylene) 180 ~ 2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90 ~ 2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혼합물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15 ~ 35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 30 중량%, 스티렌(styrene) 15 ~ 35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 30 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1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3 ~ 7 중량%, n-부틸메타크릴레이트(n-butyl methacrylate) 15 ~ 35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 30 중량%,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1 ~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 15 중량%,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1 ~ 5 중량%, 바람직하게는 2 ~ 4 중량% 및 1,1'-아조비스(사이클로헥산카보니트릴)[(1,1′-Azobis(cyclohexanecarbonitrile)] 3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 9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수용성 도료 조성물은 폴리올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30 ~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5 ~ 4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만일 이와 같은 중량부 범위를 벗어나게 된다면 기계적 물성, 부착력, 광택도, 방식성, 수분반발성 및 오염방지성 효과에 대하여 목적하는 물성을 모두 달성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수용성 도료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23006962024-pat00004
상기 화학식 3에 있어서, B3는 -CH2-, -CH2CH2-, -CH2CH2CH2-, -CH2CH2CH2CH2- 또는 -CH2CH2CH2CH2CH2-이고, 바람직하게는 -CH2CH2-, -CH2CH2CH2- 또는 -CH2CH2CH2CH2-이다.
상기 화학식 3에 있어서, R8, R9, R10, R11, R12, R13, R14, R15 및 R16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 ~ C12의 직쇄형 알킬기 또는 C3 ~ C12의 분쇄형 알킬기이고, 바람직하게는 C1 ~ C12의 직쇄형 알킬기이며, 더욱 바람지가헥는 C1 ~ C3의 직쇄형 알킬기이다.
상기 화학식 3에 있어서, n는 1 ~ 15를 만족하는 유리수이고, 바람직하게는 1 ~ 5를 만족하는 유리수이다.
상기 화학식 3에 있어서, m은 1 ~ 15를 만족하는 유리수이고, 바람직하게는 1 ~ 5를 만족하는 유리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수용성 도료 조성물은 폴리올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5 ~ 12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6 ~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만일 이와 같은 중량부 범위를 벗어나게 된다면 기계적 물성, 부착력, 광택도, 방식성, 수분반발성 및 오염방지성 효과에 대하여 목적하는 물성을 모두 달성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수용성 도료 조성물은 유색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유색안료로 당업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유색안료는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고, 일 예로서, 케이씨씨 사의 CL4960-녹색(1), CL4960-마룬색(2), CL4960-바이올렛색(2), CL4960-바이올렛색(3), CL4960-백색(1), CL4960-분홍색, CL4960-오렌지색(4), CL4960-적색(1), CL4960-적색(6), CL4960-적색(8), CL4960-적색(10), CL4960-적색(15), CL4960-적색(18), CL4960-청색(1), CL4960-청색(2), CL4960-청색(5), CL4960-청색(8), CL4960-황색(2), CL4960-황색(6), CL4960-황색(9), CL4960-황색(11), CL4960-흑색(3)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용성 도료 조성물은 폴리올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색안료 1 ~ 8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수용성 도료 조성물은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용매로서 당업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용매는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고, 유기 용제 및 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물은 탈이온수(DIW) 및 증류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용제는 물과 상용성이 있는 용제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이소프로판올, 프로필렌글리콜, 노말프로필 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노말부틸 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노말부틸 에테르, 디베이직 에테르, 프로판디올 디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용성 도료 조성물은 폴리올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용매 20 ~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 ~ 4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수용성 도료 조성물은 분산제, 경화촉진제 및 첨가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성분은 도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고, 통상적으로 상도 도료 조성물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일 예로서, 본 발명의 수용성 도료 조성물은 폴리올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분산제 1 ~ 5 중량부, 경화촉진제 0.1 ~ 3 중량부 및 첨가제 2 ~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도장단계(S400) 이전에 수용성 도료 조성물의 제조단계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제1단계 및 제2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수용성 도료 조성물의 제조단계의 제1단계는 폴리올 수지 및 경화제를 각각 준비할 수 있다.
폴리올 수지는 아크릴 폴리올 수지 및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혼합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올 수지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아크릴 폴리올 수지 60 ~ 80 중량% 및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20 ~ 40 중량%를 혼합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아크릴 폴리올 수지 65 ~ 75 중량% 및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25 ~ 35 중량%를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스티렌(styrene), n-부틸메타크릴레이트(n-butyl methacrylate),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2-하이드록실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및 메타아크릴산(methacrylic acid)의 반응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스티렌(styrene) 100 중량부에 대하여, n-부틸메타크릴레이트(n-butyl methacrylate) 90 ~ 1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95 ~ 105 중량부,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115 ~ 13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20 ~ 130 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90 ~ 1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95 ~ 105 중량부, 2-하이드록실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65 ~ 8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0 ~ 80 중량부 및 메타아크릴산(methacrylic acid) 2 ~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응시킨 반응물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스티렌(styrene) 100 중량부에 대하여, n-부틸메타크릴레이트(n-butyl methacrylate) 90 ~ 1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95 ~ 105 중량부,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115 ~ 13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20 ~ 130 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90 ~ 1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95 ~ 105 중량부, 2-하이드록실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65 ~ 8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0 ~ 80 중량부 및 메타아크릴산(methacrylic acid) 2 ~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제조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개시제 5 ~ 15 중량부 및 중합조절제 0.1 ~ 1.0 중량부를 혼합한 후, 유기용매에 적정한 후 유지시켜 제조한 것일 수 있다.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네오펜틸 글리콜(neopentyl glycol), 1,6-헥산디올(1,6-hexanediol),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무수프탈산(phthalic anhydride) 및 아디픽산(adipic acid)의 반응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네오펜틸 글리콜(neopentyl glycol) 100 중량부에 대하여, 1,6-헥산디올(1,6-hexanediol) 1.5 ~ 3.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 3 중량부,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73.5 ~ 93.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8.5 ~ 88.5 중량부, 무수프탈산(phthalic anhydride) 8 ~ 28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3 ~ 23 중량부 및 아디픽산(adipic acid) 25 ~ 4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 ~ 4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응시킨 반응물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네오펜틸 글리콜(neopentyl glycol) 100 중량부에 대하여, 1,6-헥산디올(1,6-hexanediol) 1.5 ~ 3.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 3 중량부,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73.5 ~ 93.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8.5 ~ 88.5 중량부, 무수프탈산(phthalic anhydride) 8 ~ 28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3 ~ 23 중량부 및 아디픽산(adipic acid) 25 ~ 4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 ~ 4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제조한 혼합물에 주석계 촉매를 넣은 후 질소를 첨가하면서 혼합물의 온도가 90 ~ 110℃가 되도록 가열하고, 가열된 혼합물을 교반 및 축합수(H20)를 제거하면서 220 ~ 240℃까지 가열한 후, 환류 반응을 수행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다.
경화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및 폴리올 변성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혼합한 것일 수 있다. 경화제는 바람직하게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40 ~ 60 중량% 및 폴리올 변성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40 ~ 60 중량%를 혼합한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45 ~ 55 중량% 및 폴리올 변성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45 ~ 55 중량%를 혼합한 것일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4,4-메틸렌 디사이클로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4,4-methylene dicyclohexyl diisocyanate)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반응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3006962024-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B1은 -CH2-, -CH2CH2-, -CH2CH2CH2-, -CH2CH2CH2CH2- 또는 -CH2CH2CH2CH2CH2-이고, 바람직하게는 -CH2-, -CH2CH2- 또는 -CH2CH2CH2-이다.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 ~ C12의 직쇄형 알킬기 또는 C3 ~ C12의 분쇄형 알킬기이고, 바람직하게는 C1 ~ C12의 직쇄형 알킬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C1 ~ C3의 직쇄형 알킬기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23006962024-pat00006
상기 화학식 2에 있어서, B2은 -CH2-, -CH2CH2-, -CH2CH2CH2-, -CH2CH2CH2CH2- 또는 -CH2CH2CH2CH2CH2-이고, 바람직하게는 -CH2-, -CH2CH2- 또는 -CH2CH2CH2-이다.
상기 화학식 2에 있어서, R5, R6 및 R7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 ~ C12의 직쇄형 알킬기 또는 C3 ~ C12의 분쇄형 알킬기이고, 바람직하게는 C1 ~ C12의 직쇄형 알킬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C1 ~ C3의 직쇄형 알킬기이다.
구체적으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4,4-메틸렌 디사이클로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 15 ~ 3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 30 중량부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5 ~ 8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6 ~ 7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응시킨 반응물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4,4-메틸렌 디사이클로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 15 ~ 3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 30 중량부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5 ~ 8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6 ~ 7 중량부를 혼합하고, 질소 하에 교반하면서 50 ~ 70℃로 승온한 다음, 인산을 적하한 후 80 ~ 100℃로 승온한 다음, 환류 반응을 수행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다.
또한, 폴리올 변성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는 폴리올 수지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반응물, 바람직하게는 폴리올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5 ~ 2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 20 중량부를 적하하여 반응시킨 반응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올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5 ~ 2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 20 중량부를 적하한 후, 70 ~ 90℃로 승온한 다음, 환류 반응을 수행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폴리올 수지는 제1혼합물 및 제2혼합물의 반응물일 수 있고, 제1혼합물은 부틸 아세테이트(butyl acetate), 톨루엔(toluene) 및 자일렌(xylene)을 혼합한 것일 수 있고, 제2혼합물은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스티렌(styrene),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n-부틸메타크릴레이트(n-butyl methacrylate),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및 1,1'-아조비스(사이클로헥산카보니트릴)[(1,1′-Azobis(cyclohexanecarbonitrile)]을 혼합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올 수지는 제1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2혼합물 800 ~ 12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950 ~ 1050 중량부를 적하하여 반응시킨 반응물, 바람직하게는 제1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2혼합물 800 ~ 12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950 ~ 1050 중량부를 적하한 후, 1 ~ 4시간 동안 유지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수용성 도료 조성물의 제조단계의 제2단계는 제1단계에서 준비한 폴리올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1단계에서 주닙한 경화제 30 ~ 50 중량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5 ~ 12 중량부, 유색안료 1 ~ 8 중량부 및 용매 20 ~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수용성 도료 조성물를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23006962024-pat00007
상기 화학식 3에 있어서, B3는 -CH2-, -CH2CH2-, -CH2CH2CH2-, -CH2CH2CH2CH2- 또는 -CH2CH2CH2CH2CH2-이고, 바람직하게는 -CH2CH2-, -CH2CH2CH2- 또는 -CH2CH2CH2CH2-이다.
상기 화학식 3에 있어서, R8, R9, R10, R11, R12, R13, R14, R15 및 R16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 ~ C12의 직쇄형 알킬기 또는 C3 ~ C12의 분쇄형 알킬기이고, 바람직하게는 C1 ~ C12의 직쇄형 알킬기이며, 더욱 바람지가헥는 C1 ~ C3의 직쇄형 알킬기이다.
상기 화학식 3에 있어서, n는 1 ~ 15를 만족하는 유리수이고, 바람직하게는 1 ~ 5를 만족하는 유리수이다.
상기 화학식 3에 있어서, m은 1 ~ 15를 만족하는 유리수이고, 바람직하게는 1 ~ 5를 만족하는 유리수이다.
이후, 엔진후드에 그릴을 장착할 수 있다(S500). 구체적으로, 용접에 의해 일체화된 엔진후드(10)에 전면그릴(600) 및 측면그릴(700)을 추가로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그릴(600) 및 측면그릴(700)은 복수개의 홀이 형성된 타공판 또는 메쉬망일 수 있다.
전면그릴(600)은 엔진후드(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부패널(100), 제1 사이드패널(200) 및 제2 사이드패널(300)에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측면그릴(700)은 각각 제1 결합부(230) 및 제2 결합부(330)에 결합되어, 제1 개방부(220) 및 제2 개방부(320)를 덮을 수 있다.
즉, CO2 용접 및 프로젝션 용접에 의해 일체화된 엔진후드를 제조 후, 이에 그릴을 장착함으로써 최종 제품을 완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일체형 엔진후드 제조방법은, 엔진후드 제조 시 프로젝션 용접(Projection weld)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조립 체결을 위한 볼트 및 너트가 불필요하므로 너트를 용접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 및 작업자를 단축할 수 있었고,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원가를 감소시키며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실시예]
준비예 1 :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제조
(1) 스티렌(styrene) 100 중량부에 대하여, n-부틸메타크릴레이트(n-butyl methacrylate) 100 중량부,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125 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100 중량부, 2-하이드록실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75 중량부 및 메타아크릴산(methacrylic acid)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2) 제조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개시제인 터트-부틸퍼옥사이드(tert-butylperoxide) 10 중량부, 중합조절제인 n-옥틸메르캅탄(1-Mercaptooctane) 0.3 중량부를 혼합한 후, 유기용매(ExxonMobil, SolvessoTM 100)에 4시간에 걸쳐 적정한 후 3시간동안 유지시켜,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제조하였다.
준비예 2 :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1) 네오펜틸 글리콜(neopentyl glycol) 100 중량부에 대하여, 1,6-헥산디올(1,6-hexanediol) 2.5 중량부,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83.5 중량부, 무수프탈산(phthalic anhydride) 18 중량부 및 아디픽산(adipic acid) 35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혼합물에 주석계 촉매를 넣은 후 질소를 조금씩 첨가하면서 혼합물의 온도가 100℃가 되도록 가열하였다. 다음으로, 가열된 혼합물이 용융되면 교반 및 축합수(H20)를 제거하면서 230℃까지 서서히 가열하였다. 다음으로, 혼합물의 온도가 230℃에 도달하면 환류 반응을 수행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2)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sophorone Diisocyanate)를 1 : 0.5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질소하에 교반하면서 70℃로 서서히 승온하였다. 다음으로, 혼합물의 온도가 70℃에 도달하면 환류 반응을 수행하여 아크릴 우레탄 폴리머를 제조하였다.
(3)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상기 아크릴 우레탄 폴리머를 1 : 0.15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질소하에 교반하면서 80℃로 서서히 승온하였다. 혼합물의 온도가 80℃에 도달하면 환류 반응을 수행하여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준비예 3 :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의 제조
(1)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4,4-메틸렌 디사이클로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4,4-methylene dicyclohexyl diisocyanate) 25 중량부 및 하기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 6.5 중량부를 혼합하고, 질소 하에 교반하면서 60℃로 서서히 승온한 다음, 인산 0.15 중량부를 1시간 동안 적하한 후 90℃로 서서히 승온한 다음, 환류 반응을 수행하여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제조하였다.
[화학식 1-1]
Figure 112023006962024-pat00008
상기 화학식 1-1에 있어서, B1은 -CH2-이고, R1, R2, R3 및 R4는 각각 메틸기이다.
[화학식 2-1]
Figure 112023006962024-pat00009
상기 화학식 2-1에 있어서, B2은 -CH2-이고, R5, R6 및 R7는 각각 메틸기이다.
준비예 4 : 폴리올 변성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의 제조
(1) 부틸 아세테이트(butyl acetate)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톨루엔(toluene) 100 중량부 및 자일렌(xylene) 2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제조하고, 제1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2혼합물 1000 중량부를 2시간 동안 균일하게 적하한 후, 2시간 동안 유지하여 폴리올 수지를 제조하였다. 이 때, 제2혼합물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25 중량%, 스티렌(styrene) 25 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5 중량%, n-부틸메타크릴레이트(n-butyl methacrylate) 25 중량%,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10 중량%,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3 중량% 및 1,1'-아조비스(사이클로헥산카보니트릴)[(1,1′-Azobis(cyclohexanecarbonitrile)] 7 중량%가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2) 제조한 폴리올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하기 화학식 2-2로 표시되는 화합물 15 중량부를 1시간 동안 균일하게 적하한 후, 80℃로 서서히 승온한 다음, 환류 반응을 수행하여 폴리올 변성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제조하였다.
[화학식 2-2]
Figure 112023006962024-pat00010
상기 화학식 2-2에 있어서, B2은 -CH2CH2CH2-이고, R5, R6 및 R7는 각각 에틸기이다.
실시예 1 : 수용성 도료 조성물의 제조
폴리올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40 중량부, 하기 화학식 3-1로 표시되는 화합물 8 중량부, 분산제(BYK, BYK-164) 2.5 중량부, 경화촉진제(테트라메틸부탄디아민) 1 중량부, 첨가제(EFKA, EFKA-2023) 7 중량부, 유색안료(케이씨씨, CL4960-적색(1)) 3.5 중량부 및 용매(프로필렌글리콜) 35 중량부를 1,500 rpm으로 30분 동안 교반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폴리올 수지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준비예 1에서 제조된 아크릴 폴리올 수지 70 중량% 및 준비예 2에서 제조된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30 중량%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고, 경화제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준비예 3에서 제조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50 중량% 및 준비예 4에서 제조된 폴리올 변성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50 중량%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화학식 3-1]
Figure 112023006962024-pat00011
상기 화학식 3-1에 있어서, B3는 -CH2CH2CH2-이고, R8, R9, R10, R11, R12, R13, R14, R15 및 R16는 각각 메틸기이며, n는 1, m은 3을 만족하는 유리수이다.
실시예 2 : 수용성 도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용성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상기 화학식 3-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폴리올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8 중량부가 아닌 3 중량부를 사용하여 수용성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 수용성 도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용성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상기 화학식 3-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폴리올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8 중량부가 아닌 13 중량부를 사용하여 수용성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 수용성 도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용성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폴리올 수지는 준비예 1에서 제조된 아크릴 폴리올 수지만을 사용하여 수용성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 수용성 도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용성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폴리올 수지는 준비예 2에서 제조된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만을 사용하여 수용성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 수용성 도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용성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폴리올 수지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준비예 1에서 제조된 아크릴 폴리올 수지 50 중량% 및 준비예 2에서 제조된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50 중량%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여 수용성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 수용성 도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용성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폴리올 수지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준비예 1에서 제조된 아크릴 폴리올 수지 90 중량% 및 준비예 2에서 제조된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10 중량%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여 수용성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 수용성 도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용성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경화제는 준비예 3에서 제조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만을 사용하여 수용성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 수용성 도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용성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경화제는 준비예 4에서 제조된 폴리올 변성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만을 사용하여 수용성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 수용성 도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용성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경화제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준비예 3에서 제조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30 중량% 및 준비예 4에서 제조된 폴리올 변성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70 중량%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여 수용성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 수용성 도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용성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경화제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준비예 3에서 제조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70 중량% 및 준비예 4에서 제조된 폴리올 변성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30 중량%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여 수용성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 수용성 도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용성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경화제는 폴리올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중량부가 아닌 20 중량부를 사용하여 수용성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 수용성 도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용성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경화제는 폴리올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중량부가 아닌 60 중량부를 사용하여 수용성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수용성 도료 조성물의 제조
폴리올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40 중량부, 분산제(BYK, BYK-164) 2.5 중량부, 경화촉진제(테트라메틸부탄디아민) 1 중량부, 첨가제(EFKA, EFKA-2023) 7 중량부, 유색안료(케이씨씨, CL4960-적색(1)) 3.5 중량부 및 용매(프로필렌글리콜) 35 중량부를 1,500 rpm으로 30분 동안 교반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폴리올 수지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준비예 1에서 제조된 아크릴 폴리올 수지 70 중량% 및 준비예 2에서 제조된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30 중량%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고, 경화제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준비예 3에서 제조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50 중량% 및 준비예 4에서 제조된 폴리올 변성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50 중량%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 연필경도 측정
JIS K 5400에 의거하여 실시예 1 ~ 1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수용성 도료 조성물 각각의 연필경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 부착력 측정
ISO-2409에 의거하여 실시예 1 ~ 1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수용성 도료 조성물 각각의 부착력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3 : 광택도 측정
KSM 5000-3312에 의거하여 실시예 1 ~ 1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수용성 도료 조성물 각각의 광택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4 : 방식성 측정
내수성 분무시험법 및 내염수 분무시험법을 이용하여 방식성을 측정하였다. KSD 9502에 의거하여 실시예 1 ~ 1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수용성 도료 조성물 각각을 이용한 도막을 X자로 절개하여 상수에 침적시험 및 염수분무 시험을 24시간부터 240시간까지 실시 후 광택소실, 부풀음의 크기 및 편측 부식 폭 3 mm까지의 진행 시간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5 : 수분반발성 측정
실시예 1 ~ 1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수용성 도료 조성물 각각을 이용한 도막을 먼지 및 차량 배기가스 등의 오염발생이 심한 도로주변에 30일간 노출시킨 후, 수압이 일정한 호스에서 나오는 물을 도막에 1분간 분사하였다. 그 후, 도막 표면에서 제거되는 오염물질의 정도에 따라 오염물질이 완전히 제거된 상태를 10, 전혀 제거되지 않은 상태를 1로 평가하여 도막 각각의 수분반발성을 상대적으로 평가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6 : 오염방지성 측정
실시예 1 ~ 1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수용성 도료 조성물 각각을 이용한 도막을 먼지 및 차량 배기가스 등의 오염발생이 심한 도로주변에 30일간 노출시킨 후, 수압이 일정한 호스에서 나오는 물을 도막에 1분간 분사하였다. 그 후, 도막 표면에 붙은 오염물질의 정도에 따라 오염의 정도가 가장 심한 경우는 10, 오염의 정도가 가장 적은 경우는 1로 평가하여 도막 각각의 오염방지성을 상대적으로 평가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연필경도 H HB HB HB HB
부착력(1mm) 90/100 85/100 75/100 75/100 55/100
광택도(%) 108.0 105.0 99.0 105.3 106.0
방식성 염수분무(h) 210 200 200 155 145
내수성(h) 230 220 220 193 183
수분반발성 8 5 8 7 6
오염방지성 3 7 3 4 5
구분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연필경도 HB HB B B HB
부착력(1mm) 75/100 80/100 70/100 60/100 80/100
광택도(%) 107.5 107.0 99.7 101.5 102.0
방식성 염수분무(h) 160 165 120 104 155
내수성(h) 199 205 192 168 210
수분반발성 6 7 6 5 6
오염방지성 4 4 4 4 4
구분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비교예 1
연필경도 HB B B HB
부착력(1mm) 75/100 60/100 80/100 85/100
광택도(%) 103.0 106.0 99.0 104.0
방식성 염수분무(h) 142 102 98 190
내수성(h) 203 115 100 210
수분반발성 6 6 5 3
오염방지성 4 4 5 9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수용성 도료 조성물는 실시예 2 ~ 1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수용성 도료 조성물보다 우수한 기계적 물성, 부착력, 광택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방식성이 우수하고, 수분반발성 및 오염방지성 또한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이나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0: 트랙터용 일체형 엔진후드
100: 상부패널 110: 제1 플랜지부
111: 코드클램프 120: 제1 지지브라켓
130: 고정브라켓 140: 제2 지지브라켓
150: 제1 연결플레이트 160: 제2 연결플레이트
170: 힌지브라켓 171: 제3 연결플레이트
200: 제1 사이드패널 210: 제2 플랜지부
220: 제1 개방부 230: 제1 결합부
231: 제1 체결부 240: 제1 실링브라켓
250: 제1 연결브라켓 260: 제1 램프브라켓
270: 너트
300: 제2 사이드패널 310: 제3 플랜지부
320: 제2 개방부 330: 제2 결합부
331: 제2 체결부 340: 제2 실링브라켓
350: 제2 연결브라켓 360: 제2 램프브라켓
370: 너트
400: 전방브라켓 410: 사이드브라켓
420: 너트
500: 후방패널 600: 전면그릴
700: 측면그릴

Claims (4)

  1. 상부패널, 제1 사이드패널 및 제2 사이드패널을 각각 성형하는 단계;
    상기 상부패널의 양측에 상기 제1 사이드패널 및 상기 제2 사이드패널을 각각 CO2 용접하는 단계;
    상기 상부패널에 상기 제1 사이드패널 및 상기 제2 사이드패널이 고정되도록 프로젝션 용접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젝션 용접으로 상기 상부패널, 제1 사이드패널 및 제2 사이드패널이 일체화된 엔진후드를 도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하는 단계에서,
    상기 상부패널은 양측이 각각 절곡되어 한 쌍의 제1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사이드패널은 일측에 상기 한 쌍의 제1 플랜지부 중 하나에 대응되는 제2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사이드패널은 일측에 상기 한 쌍의 제1 플랜지부 중 다른 하나에 대응되는 제3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엔진후드를 도장하는 단계는 수용성 도료 조성물을 사용하며,
    상기 수용성 도료 조성물은 폴리올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35 ~ 45 중량부, 하기 화학식 3로 표시되는 화합물 6 ~ 10 중량부, 유색안료 2 ~ 5 중량부 및 용매 30 ~ 4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 수지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아크릴 폴리올 수지 65 ~ 75 중량% 및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25 ~ 35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스티렌(styrene) 100 중량부에 대하여, n-부틸메타크릴레이트(n-butyl methacrylate) 95 ~ 105 중량부,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120 ~ 130 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95 ~ 105 중량부, 2-하이드록실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70 ~ 80 중량부 및 메타아크릴산(methacrylic acid) 5 ~ 15 중량부를 포함하여 반응시킨 반응물이고,
    상기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네오펜틸 글리콜(neopentyl glycol) 100 중량부에 대하여, 1,6-헥산디올(1,6-hexanediol) 2 ~ 3 중량부,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78.5 ~ 88.5 중량부, 무수프탈산(phthalic anhydride) 13 ~ 23 중량부 및 아디픽산(adipic acid) 30 ~ 40 중량부를 포함하여 반응시킨 반응물이며,
    상기 경화제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45 ~ 55 중량% 및 폴리올 변성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45 ~ 5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4,4-메틸렌 디사이클로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4,4-methylene dicyclohexyl diisocyanate)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반응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일체형 엔진후드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23057661600-pat00027

    [화학식 2]
    Figure 112023057661600-pat00028

    [화학식 3]
    Figure 112023057661600-pat00012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B1은 -CH2-, -CH2CH2-, -CH2CH2CH2-, -CH2CH2CH2CH2- 또는 -CH2CH2CH2CH2CH2-이고,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 ~ C12의 직쇄형 알킬기 또는 C3 ~ C12의 분쇄형 알킬기이며,
    상기 화학식 2에 있어서, B2은 -CH2-, -CH2CH2-, -CH2CH2CH2-, -CH2CH2CH2CH2- 또는 -CH2CH2CH2CH2CH2-이고, R5, R6 및 R7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 ~ C12의 직쇄형 알킬기 또는 C3 ~ C12의 분쇄형 알킬기이며,
    상기 화학식 3에 있어서, B3는 -CH2CH2-, -CH2CH2CH2- 또는 -CH2CH2CH2CH2-이고, R8, R9, R10, R11, R12, R13, R14, R15 및 R16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 C12의 직쇄형 알킬기이며, n는 1 ~ 5를 만족하는 유리수이고, m은 1 ~ 5를 만족하는 유리수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CO2 용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제2 플랜지부가 서로 마주하게 배치하여, 상기 상부패널 및 상기 제1 사이드패널의 테두리를 CO2 용접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제3 플랜지부가 서로 마주하게 배치하여, 상기 상부패널 및 상기 제2 사이드패널의 테두리를 CO2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일체형 엔진후드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프로젝션 용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제2 플랜지부가 서로 마주하게 배치하여, 상기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제2 플랜지부를 프로젝션 용접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제3 플랜지부가 서로 마주하게 배치하여, 상기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제3 플랜지부를 프로젝션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일체형 엔진후드 제조방법.
  4. 삭제
KR1020230007424A 2022-02-14 2023-01-18 트랙터용 일체형 엔진후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56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7424A KR102556318B1 (ko) 2022-02-14 2023-01-18 트랙터용 일체형 엔진후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981 2022-02-14
KR1020230007424A KR102556318B1 (ko) 2022-02-14 2023-01-18 트랙터용 일체형 엔진후드 및 이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8981 Division 2022-02-14 2022-02-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6318B1 true KR102556318B1 (ko) 2023-07-17

Family

ID=87430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7424A KR102556318B1 (ko) 2022-02-14 2023-01-18 트랙터용 일체형 엔진후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3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2504A (ja) * 2008-07-04 2010-01-21 Sumitomo Metal Ind Ltd レーザ溶接構造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7087971A (ja) * 2015-11-10 2017-05-25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KR101765640B1 (ko) * 2016-07-18 2017-08-2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2504A (ja) * 2008-07-04 2010-01-21 Sumitomo Metal Ind Ltd レーザ溶接構造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7087971A (ja) * 2015-11-10 2017-05-25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KR101765640B1 (ko) * 2016-07-18 2017-08-2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3934B2 (en) Polymeric coating mixture, process for application of this coating mixture to a metallic substrate for protection of an edge or an area, covering, substrate coated in this manner and use thereof
JP6794266B2 (ja) ポリウレタン複合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238398C (zh) 能够用紫外线和热硬化的聚氨酯水分散体,以及它们的用途
CA2346357A1 (en) Curable compositions
JP5388405B2 (ja) 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及び二液型ポリウレタン組成物
KR102556318B1 (ko) 트랙터용 일체형 엔진후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035870A (zh) 活化能射线固化性涂料组合物以及涂膜形成方法
CN1934141A (zh) 用于低voc涂料的原酸酯保护的多元醇
RU2556979C2 (ru) Фотолатентные титановые катализаторы
MXPA04008572A (es) Revestimiento de poliester de alta reflectancia.
CN1829755A (zh) 用于玻璃和玻璃陶瓷的无异氰酸酯底漆组合物
KR101967873B1 (ko) Pcm용 자외선 경화형 투명 도료 조성물
US7135530B2 (en) Polymeric/oligomeric methacrylate functionalized amide acetals in coatings
JP3268612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成形品の塗装方法
WO2005113695A2 (en) Process for coating vehicle exterior parts comprising polyamide resins and parts and articles coated thereby
CN101035794A (zh) 涂料中的聚合/低聚甲基丙烯酸酯官能化的酰胺缩醛
CN1081702A (zh) 耐环境腐蚀的单组分涂料组合物、涂敷方法及由此所得的涂层
US8784555B2 (en) Surface active blocked isocyanates and coating compositions thereof
JP4915042B2 (ja) 光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光硬化型コーティング剤、光硬化型フィルム
KR102389713B1 (ko) 농기계의 상도 도장방법
JP3428370B2 (ja) 塗料組成物
KR102056890B1 (ko)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도료
JPH091730A (ja) 感熱接着性樹脂塗装金属板およびその製法
JP4194855B2 (ja) 塗装金属板
KR101888512B1 (ko) 보수판을 이용한 도로 방음벽 보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