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361B1 - 말단이 확장된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말단이 확장된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361B1
KR102555361B1 KR1020210037344A KR20210037344A KR102555361B1 KR 102555361 B1 KR102555361 B1 KR 102555361B1 KR 1020210037344 A KR1020210037344 A KR 1020210037344A KR 20210037344 A KR20210037344 A KR 20210037344A KR 102555361 B1 KR102555361 B1 KR 102555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pipe
fixing
hole
expansion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2268A (ko
Inventor
이재윤
Original Assignee
이재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윤 filed Critical 이재윤
Priority to KR1020210037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361B1/ko
Publication of KR20220132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4Tapping pipe walls, i.e. making connections through the walls of pipes while they are carrying fluids; Fit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8Tube expanders
    • B21D39/20Tube expanders with mandrels, e.g. expandable
    • B21D39/203Tube expanders with mandrels, e.g. expandable expandable by fluid or elas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16Control arrangements for fluid-driven pr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말단이 확장된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의 말단을 가압하여 관의 외면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확장시켜 관의 표면에 이어붙이기 용이한 모양으로 성형된 말단이 확장된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말단이 확장된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Distribution pipe with extended en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말단이 확장된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의 말단을 가압하여 관의 외면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확장시켜 관의 표면에 이어붙이기 용이한 모양으로 성형된 말단이 확장된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 공장 시설 등에는 물, 가드 등의 유체 및 기체를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관(管, pipe)이 설치되며, 이러한 관은 크게 유체의 전체 흐름을 형성하는 주관과, 주관을 따라 흐르는 유체를 다양한 장소로 분배하는 분배관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분배관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주관에서 분배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분배관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T밸브의 경우, 관과 관 사이에 설치한 후 분배관을 결합하되, 결합부분은 유체 및 기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테이핑이 선행작업이 필수로 진행됨에 따라, 시공이 복잡하여 작업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장기간 사용시 결합부분 및 테이핑의 노후에 의해 누수 등이 발생하여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로 "용접부가 없는 유체 이송 및 분배용 파이프"가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각종 배관 라인을 형성시킴에 있어서 주관에 형성된 구멍을 외부로 확장시켜 분기관을 삽입할 수 있도록 가공한다.
이를 통해 직경이 큰 피가공 파이프 상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 분기관을 일체로 형성한다.
하지만, 직경이 큰 피가공 파이프를 외부로 확장시킴에 따라 확장부분의 두께가 얇아져 분기관과 연결된 부분이 균열 및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미 건물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주관에 적용하기 어려워, 사전에 설계된 위치에 맞춰 시공이 가능하여 현장에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5666호(2002.02.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 및 기체가 단일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주관의 외주면에 맞춰 확장시켜 주관의 외주면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말단이 확장된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단일 유로를 따라 흐르는 유체 및 기체를 다양한 경로로 분배하기 위해 기존 설치된 주관에 통공을 형성한 후 유체 및 기체를 분배하는 분배관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말단이 확장된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된 분배관의 말단을 일정한 가압력을 통해 정해진 길이만큼 가압하여, 다수개의 분배관을 일관성 있게 제작할 수 있는 말단이 확장된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관 및 분배관의 직경에 맞춰 깔끔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규격에 맞춰 제작할 수 있는 말단이 확장된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배관의 확장부분에 일정하게 가해진 가압력을 통해 확장된 직경에 맞춰 동일한 두께를 유지하여 균열 및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말단이 확장된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확장수단을 통해 발생하는 가압력에 의해 말단을 확장시켜 주관의 외면에 밀착되는 확장부를 구비한 분배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분배관이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상기 분배관을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베이스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확장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확장수단을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분배관의 말단을 가압하는 제1가압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수단은, 상기 고정수단과 일정간격 이격시켜 고정배치되며,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삽입공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양측으로 노출된 이동축과, 상기 이동축의 끝단에서 상기 삽입공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분배관을 향해 배치되며, 외부면에 결합공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결합공에 탈착가능한 결합돌기가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분배관을 가압하여 확장시키는 확장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판의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을 일측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수단의 관통홀에 분배관을 삽입하며, 삽입된 상기 분배관을 고정부를 통해 고정하는 준비단계; 상기 준비단계에서 고정된 상기 분배관의 말단에 확장수단을 밀착시키는 밀착단계; 상기 밀착단계에서 상기 분배관에 밀착된 확장수단을 가압하여, 상기 분배관의 말단을 확장시키는 확장단계; 상기 확장단계에서 상기 분배관을 가압한 확장수단이 이탈되고, 상기 고정부를 상기 분배관에서 분리하는 분리단계; 상기 분리단계에 분리된 상기 분배관을 상기 관통홀에서 이탈시키는 이탈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말단이 확장된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유체 및 기체가 단일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주관의 외주면에 맞춰 확장시켜 주관의 외주면에 용이하게 밀착시킨 후 간편하게 용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단일유로를 따라 흐르는 유체 및 기체를 다양한 경로로 분배하기 위해 기존 설치된 주관에 통공을 형성한 후 유체 및 기체를 분배하는 분배관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된 분배관의 말단을 확장수단을 통해 가해진 일정한 가압력을 통해 정해진 길이만큼 가압하여, 다수개의 분배관을 일관성 있게 제작하여 다수개의 분배관을 주관에 밀착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확장부재 및 고정판을 주관 및 분배관의 직경 및 규격에 맞춰 교체하여 용이하게 확장부를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확장부재를 통해 분배관의 내부를 일정한 힘으로 가압하여, 확장 시 분배관의 두께를 일정하여 유지하여 용접이 용이하며,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말단이 확장된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 및 확장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배관의 고정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가압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말단이 확장된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말단이 확장된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 및 확장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배관의 고정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가압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말단이 확장된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의 말단을 가압하여 관의 외면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확장시켜 관의 표면에 이어붙이기 용이한 모양으로 성형된 말단이 확장된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끝단이 확장되어 주관(20)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분배관(10)으로 구성된다.
상기 분배관(10)은 고정수단(10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확장수단(200)을 통해 발생하는 가압력에 의해 말단을 확장시켜 주관(20)의 외면에 밀착되는 확장부(11)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분배관(10)은 상기 고정수단(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확장수단(200)을 가압하여 말단에 상기 확장부(11)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확장부(11)는 상기 확장수단(200)이 상기 분배관(10)의 내주면을 가압하여 외주면을 향해 서서히 확장되는 '
Figure 112023023834784-pat00009
'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주관(20)의 외부면에 용이하게 밀착된다.
이때, 상기 확장부(11)는 중앙부분에서 끝단을 향해 서서히 확장되도록 이루어지며, 확장되는 지름이 커질수록 두께가 서서히 얇아진다.
그리고 상기 확장부(11)의 끝단은 상기 주관(2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용접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분배관(10)을 연결한다.
다름으로는 상기 분배관(10)의 확장부(11)를 형성하는 고정수단(100) 및 확장수단(2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고정수단(100)은 상기 분배관(10)이 삽입 고정할 수 있도록 베이스(110), 고정부(120) 및 지지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분배관(10)이 삽입되는 관통홀(11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가 베이스(110)는 상기 분배관(10)이 삽입되어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는 원통,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111)은 상기 분배관(1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직경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분배관(10)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다양한 직경의 상기 분배관(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관통홀(111)은 상기 분배관(1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분배관(10)의 말단에 형성된 상기 확장부(11)가 이동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베이스(110)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111)에 삽입된 상기 분배관(10)을 고정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관통홀(111)에 삽입된 상기 분배관(1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고정부(120)의 일예로, 상기 관통홀(111)이 형성된 양측 중 어느 한군데 또는 양측에 선택적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110)에 결합되어 상기 분배관(10)을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베이스(110)에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분배관(10)을 상기 관통홀(111)의 중심선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는 클램프, 선반척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관통홀(111)에 삽입된 상기 분배관(10)은 상기 고정부(120)를 통해 중심축선상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20)의 또 다른 일예로, 상기 베이스(110)의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111)에 삽입된 상기 분배관(10)을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10)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관통홀(111)에 삽입된 상기 분배관(10)이 노출되는 다수개의 개방공(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개방공(112)을 통해 상기 관통홀(111)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분배관(10)을 고정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베이스(110)의 외부면에서 회전을 통해 상기 분배관(10)을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121), 회전부재(124) 및 탄성부재(127)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121)는 상기 개방공(112)에 삽입된 일측이 상기 관통홀(111)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분배관(10)을 접촉되는 가압부분(122)과, 상기 가압부분(122)의 타측에서 상기 베이스(110)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가압부분(122)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 접촉부분(12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부재(124)는 상기 베이스(110)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면에 상기 고정부재(121)의 타측이 삽입되는 삽입홈(12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홈(125)의 내면에는 상기 고정부재(121)의 개수에 맞춰 상기 고정부재(121)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드돌기(126)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홈(125)의 내주면은 상기 접촉부분(123)의 끝단과 밀착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가이드돌기(126)의 돌출된 간격만큼 상기 고정부재(121)를 상기 베이스(110)의 중심부분을 향해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124)는 상기 개방공(112)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110)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124)의 내주면에는 끼움홈(124a)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10)에는 상기 개방공(112)과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124a)에 삽입되는 끼움돌기(121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124)는 상기 끼움돌기(121a)와 끼움홈(124a)의 상호 체결되어 상기 개방공(112)을 감싼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124)는 상기 베이스(110)의 외면에 원활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호 결합되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27)는 상기 가압부분(122)에 삽입되어, 상기 접촉부분(123)과, 상기 베이스(110)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부재(121)를 상기 베이스(110)의 외주면을 향해 이동할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127)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121)는 상기 베이스(110)의 외주면을 향해 이동하며, 상기 회전부재(124)를 통해 상기 관통홀(111)의 중심부분을 향해 이동한다.
이를 통해 상기 회전부재(124)는 상기 베이스(110)의 외주면에서 회전을 통해 상기 고정부재(121)를 가압하여, 상기 관통홀(111)에 삽입된 상기 분배관(10)을 상기 관통홀(111)의 중심선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124)를 회전하여 가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부재(127)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121)를 상기 분배관(10)과 이탈시켜, 상기 분배관(10)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베이스(110)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확장수단(200)을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베이스(110)에서 상기 관통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확장수단(200)이 고정한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수단(100)과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상기 확장수단(200)이 위치하여, 상기 분배관(10)의 말단을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확장수단(200)을 탈착 또는 이동시켜 상기 분배관(10)이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110)에 고정된 상기 분배관(10)은 삽입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30)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확장수단(200)을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분배관(10)의 말단을 가압하는 제1가압부재(131)가 더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제1가압부재(131)는 실린더구성, 래크피니언구성 및 리니어가이드 구성 등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수단(100)과 상기 확장수단(2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수단(100)에 고정된 상기 분배관(10)의 노출된 길이에 맞춰 상기 확장수단(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확장수단(200)은 상기 고정수단(100)에 고정된 분배관(10)의 끝단을 가압하여 말단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지지판(210), 이동축(220) 고정판(230) 및 확장부재(2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판(210)은 상기 고정수단(100)과 일정간격 이격시켜 고정배치되며, 중앙에 삽입공(21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공(211)은 상기 관통홀(111)의 중심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부(130)가 체결되는 체결홈(212)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축(220)은 상기 삽입공(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양측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축(220)은 상기 삽입공(21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관통홀(111)에 고정된 상기 분배관(10)을 가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판(230)은 상기 이동축(220)의 끝단에서 상기 삽입공(211)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분배관(10)을 향해 배치되며, 외부면에 결합공(231)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판(230)은 상기 삽입공(211)보다 넓은 면적을 통해 상기 이동축(220)이 상기 분배관(10)을 향해 이동하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고정판(230)은 상기 이동축(220)에 나사결합 끼움결합 등을 통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판(230)의 일면은 상기 분배관(10)이 끝단이 밀착되는 주관(20)의 외주면과 동일한 직경에 맞춰 교체하여, 끝단을 용이하게 마감 처리할 수 있다.
상기 확장부재(240)는 상기 결합공(231)에 탈착가능한 결합돌기(241)가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분배관(10)을 가압하여 '
Figure 112023023834784-pat00010
' 형상으로 확장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판(230)의 일면 중앙에는 상기 결합돌기(241)에 대응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나사결합, 끼움결합 등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확장부재(240)는 상기 분배관(10)에 삽입되는 일측단에서 상기 결합돌기(241)가 형성된 타측단을 향해 서서히 확장되는 나팔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확장부재(240)는 상기 분배관(10)의 내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분배관(10)의 말단에 확장부(11)를 성형한다.
즉, 상기 이동축(220)의 타측을 타격, 또는 일정한 힘으로 눌러 발생한 가압력을 통해 일측에 위치한 상기 확장부재(240)가 상기 분배관(10)의 내부로 삽입시켜 상기 분배관(10)의 말단을 나팔 형상으로 확장시킨다.
이때, 상기 지지판(210)의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230)을 일측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부재(250)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제2가압부재(250)는 상기 확장부재(240)를 상기 분배관(10)의 말단을 향해 가압할 수 있는 실린더 구성, 기어와 모터 등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확장부재(240)를 일정한 힘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확장부재(240)는 상기 제2가압부재(250)를 통해 일정한 힘으로 상기 분배관(10)을 가압되어 균일한 두께로 확장된 상기 확장부(11)를 성형한다.
또한, 상기 제2가압부재(250)의 가압 거리에 맞춰 상기 확장부재(240)가 상기 분배관(10)의 삽입되는 길이를 일정하게 조절하여, 다수개의 분배관(10)을 작업시 동일한 상기 확장부(11)로 일관성 있게 작업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배관(10)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분배관(10)의 상기 확장부(11)는 상기 고정수단(100) 및 상기 확장수단(200)을 통해 준비단계(S10), 밀착단계(S20), 확장단계(S30), 분리단계(S40), 이탈단계(S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준비단계(S10)는 고정수단(100)의 관통홀(111)에 상기 분배관(10)을 삽입하며, 삽입된 상기 분배관(10)을 고정부(120)를 통해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준비단계(S10)는 상기 고정수단(10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111)의 타측에서 상기 분배관(10)을 삽입하여 말단이 상기 확장수단(200)의 상기 확장부재(240)에 밀착시킨 후, 상기 고정부(120)를 통해 고정한다.
아울러 상기 관통홀(111)은 상기 분배관(10)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상기 분배관(10)에 형성된 확장부(11)가 이동할 수 있는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분배관(10)의 삽입방향으로 이탈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관통홀(111)은 상기 분배관(10)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직경의 상기 분배관(10)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111)은 상기 분배관(10)의 외주면이 삽입되어 접촉되는 직경으로 이루어져, 안정적으로 상기 분배관(10)을 지지힌다.
이러한 상기 관통홀(111)은 직경에 맞는 상기 분배관(10)의 외주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관통홀(111)은 상기 분배관(10)에 맞춰 상대적으로 큰 직경 또는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황에 맞춰 상기 분배관(10)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관통홀(111)의 직경에 맞춰 상기 분배관(10)의 삽입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수단(100)에서 이탈시키거나, 상기 확장수단(200)의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고정수단(100)에서 이탈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확장수단(200)은 상기 제1가압부재(131)를 통해 상기 고정수단(100)과 이격된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분배관(10)의 삽입 길이 및 전체 길이 등에 따라 상기 분배관(10)의 말단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베이스(110)의 양측 중 어느 한군데 또는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클램프, 선박척 등의 구조를 통해 상기 관통홀(111)의 중심선상에서 상기 분배관(10)을 고정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120)의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124)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고정부재(121)를 통해 상기 관통홀(111)의 중심선상에서 상기 분배관(10)을 고정한다.
이를 통해 상기 확장수단(200)에 상기 분배관(10)의 말단이 밀착 또는 인접한 하도록 상기 고정수단(100)을 통해 고정하여 확장부(11)의 성형을 준비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100)의 상기 관통홀(111)은 양측이 개방되며, 상기 고정부(120)에 의해 상기 분배관(10)을 고정할 수 있어 다양한 길이의 상기 분배관(10)을 고정이 가능하다.
상기 밀착단계(S20)는 상기 준비단계(S10)에서 고정된 상기 분배관(10)의 말단에 확장수단(200)을 밀착시킨다.
이러한 밀착단계(S20)는 상기 고정단계에서 상기 분배관(10)의 말단이 상기 확장부재(240)에 원활하게 밀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가압부재(131)를 통해 상기 확장부재(240)와 상기 고정부재(12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확장부재(240)가 상기 분배관(10)의 내부에 삽입밀착될 수 있도록 조절한다.
또는, 상기 확장부재(240)의 상기 삽입공(211) 내에서 상기 이동축(220)을 이동시켜 상기 확장부재(240)가 상기 분배관(10)의 내주면에 삽입되도록 밀착시킨다.
이를 통해 상기 분배관(10)과 상기 확장부재(240)가 동일중심선상에 위치하는지 확인하여 상기 확장부(11)가 원활하게 성형할 수 있도록 상기 확장수단(200) 또는 상기 확장부재(240) 중 어느 하나를 이동한다.
상기 확장단계(S30) 상기 밀착단계(S20)에서 상기 분배관(10)에 밀착된 확장수단(200)을 가압하여, 상기 분배관(10)의 말단을 확장시킨다.
즉, 상기 확장단계(S30)는 상기 확장수단(200)에 형성된 상기 이동축(220)을 타격 또는 상기 제2가압부재(250)를 통해 가압하여 상기 확장부재(240)가 상기 분배관(10)의 내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확장부(11)를 성형한다.
여기서 상기 제2가압부재(250)는 실린더, 기어 및 모터 등 길이방향 이동시 일정한 압력을 가하며, 가압되는 길이를 조절하는 다양한 구성을 통해 일정한 압력으로 정해진 길이만큼 이동하여 상기 확장부(11)가 일정한 두께로 정확한 길이에 맞춰 성형한다.
이때, 상기 확장부재(240)는 상기 분배관(10)의 직경 및 주관(20)의 직경에 맞춰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다양한 규격에 맞춰 교체하여 상기 고정판(230)에 결합한다.
또한, 상기 고정판(230)은 상기 주관(20)의 외주면의 직경에 맞춰 상기 분배관(10)의 말단을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도록 교체하여 상기 이동축(220)에 결합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판(230) 및 상기 확장부재(240)는 상기 분배관(10)의 확장시 상기 확장부(11)의 끝단과 내주면은 연결되는 상기 주관(20)의 직경 및 규격 등 직접적인 형상에 맞춰 교체하여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분배관(10)과 상기 주관(20)의 직경, 크기 등에 따른 다양한 규격에 맞춰 상호 용이하게 밀착하는 상기 확장부(11)를 성형할 수 있다.
상기 분리단계(S40)는 상기 확장단계(S30)에서 상기 분배관(10)을 가압한 확장수단(200)이 이탈되고, 상기 고정부(120)를 상기 분배관(10)에서 분리한다.
따라서 상기 분리단계(S40)는 상기 분배관(10)의 말단에 가압된 상기 확장수단(200)을 이탈시킨 후, 상기 고정수단(100)에서 상기 분배관(10)을 고정하는 고정부(120)를 분리한다.
이를 통해 상기 분배관(10)은 상기 고정수단(100)에서 이동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이탈단계(S50)는 상기 분리단계(S40)에 분리된 상기 분배관(10)을 상기 관통홀(111)에서 이탈시킨다.
이러한 이탈단계(S50)는 상기 관통홀(111)의 직경 및 상기 분배관(10)의 길이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고정수단(100)에서 상기 분배관(10)을 이탈시킨다.
즉, 상기 관통홀(111)이 상기 분배관(10) 보다 넓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확장부(11)가 이동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분배관(10)이 삽입된 방향으로 이탈시키며, 상기 분배관(10)이 접촉되는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확장부(11)가 이동할 수 없는 경우, 상기 확장수단(200)을 이탈시킨 후 상기 분배관(10)을 상기 확장수단(200)의 상부로 이탈시킨다.
또한, 상기 분배관(10)의 길이가 긴 경우, 삽입된 방향으로 이탈시키며, 상기 분배관(10)의 길이가 짧은 경우, 상기 확장수단(200)을 이탈시킨 후 상기 분배관(10)을 상기 화장수단의 상부로 이탈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이탈단계(S50)는 상기 분배관(10), 상기 관통홀(111)과 더불어, 작업환경 및 요건 등에 맞춰 다양한 방향으로 상기 고정수단(100)에 삽입된 상기 분배관(10)을 이탈시킬 수 있다.
이렇게 제작된 상기 분배관(10)은 유체가 유동하는 통공(21)이 형성된 상기 주관(20)의 외면에 밀착시킨 후 용접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확장부(11)는 상기 확장부재(240)의 가압시 상기 분배관(10)의 말단이 넓게 확장됨에 따라 서서히 확장되는 지름만큼 서서히 얇은 두께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확장부(11)는 가압을 통해 상기 분배관(10)의 외주면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으며, 상기 분배관(10)의 두께가 확장된 지름에 맞춰 균일하게 이루어져, 용접결합시 파손, 손상 등의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분배관(10)은 상기 확장부(11)에 의해 상기 주관(20)에 형성된 상기 통공(21)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용접이 이루어져, 통공(21)의 손상,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기체 및 유체가 단일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주관(20)이 건물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통공(21)을 형성한 후 상기 분배관(10)을 설치하여 이미 설치된 장소에서 기체 및 유체를 분배하여 다양한 장소로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분배관 11: 확장부
20: 주관 21: 통공
100: 고정수단 110: 베이스 111: 관통홀
112: 개방공
120: 고정부 121: 고정부재
121a: 끼움돌기 122: 가압부분
123: 접촉부분 124: 회전부재
124a: 끼움홈 125: 삽입홈
126: 가이드돌기 127: 탄성부재
130: 지지부 131: 제1가압부재
200: 확장수단 210: 지지판 211: 삽입공
212: 체결홈
220: 이동축
230: 고정판 231: 결합공
240: 확장부재 241: 결합돌기
250: 제2가압부재

Claims (6)

  1. 고정수단(10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확장수단(200)을 통해 발생하는 가압력에 의해 말단을 확장시켜 주관(20)의 외면에 밀착되는 확장부(11)를 구비한 분배관(1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수단(100)은,
    상기 분배관(10)이 삽입되는 관통홀(111)이 형성된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111)에 삽입된 상기 분배관(10)을 고정하는 고정부(120)와,
    상기 베이스(110)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확장수단(200)을 지지하는 지지부(1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130)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확장수단(200)을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분배관(10)의 말단을 가압하되, 상기 고정수단(100)에 고정된 상기 분배관(10)의 노출된 길이에 맞춰 상기 확장수단(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가압부재(131)가 더 포함되고,
    상기 관통홀(111)은 상기 분배관(10)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다양한 직경의 상기 분배관(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120)는,
    개방공(112)에 삽입된 일측이 상기 관통홀(111)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분배관(10)이 접촉되는 가압부분(122)과, 상기 가압부분(122)의 타측에서 상기 베이스(110)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가압부분(122)보다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지는 접촉부분(123)이 형성된 고정부재(121)와,
    상기 베이스(110)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면에 상기 고정부재(121)의 타측이 삽입되는 삽입홈(125)이 형성된 회전부재(124)와,
    상기 삽입홈(125)의 내면에는 상기 고정부재(121)의 개수에 맞춰 상기 고정부재(121)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드돌기(126)와,
    상기 가압부분(122)에 삽입되어, 상기 접촉부분(123)과 상기 베이스(110)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부재(121)를 상기 베이스(110)의 외주면을 향해 이동할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27)로 이루어지고,
    상기 확장수단(200)은,
    상기 고정수단(100)과 일정간격 이격시켜 고정배치되며, 중앙에 삽입공(211)이 형성된 지지판(210)과,
    상기 삽입공(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양측으로 노출된 이동축(220)과,
    상기 이동축(220)의 끝단에서 상기 삽입공(211)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분배관(10)을 향해 배치되며, 외부면에 결합공(231)이 형성된 고정판(230)과,
    상기 결합공(231)에 탈착가능한 결합돌기(241)가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분배관(10)을 가압하여 '
    Figure 112023054369523-pat00012
    ' 형상으로 확장시키는 확장부재(2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판(210)의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230)을 일측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부재(25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단이 확장된 분배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10037344A 2021-03-23 2021-03-23 말단이 확장된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 KR102555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344A KR102555361B1 (ko) 2021-03-23 2021-03-23 말단이 확장된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344A KR102555361B1 (ko) 2021-03-23 2021-03-23 말단이 확장된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268A KR20220132268A (ko) 2022-09-30
KR102555361B1 true KR102555361B1 (ko) 2023-07-12

Family

ID=83451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344A KR102555361B1 (ko) 2021-03-23 2021-03-23 말단이 확장된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36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3368A (ja) * 2003-02-13 2004-09-02 Nippon Denshi Gijutsu Kk 可搬式拡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666Y1 (ko) 2001-11-12 2002-02-25 주식회사 현성종합피팅 용접부가 없는 유체 이송 및 분배용 파이프
KR20200036663A (ko) * 2018-09-28 2020-04-07 (주)케이씨이앤씨 배관 확장 장치 및 배관 확장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3368A (ja) * 2003-02-13 2004-09-02 Nippon Denshi Gijutsu Kk 可搬式拡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268A (ko) 2022-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0696B2 (en) Internal pipe clamp alignment guides with purge backup
CN112549522B (zh) 一种内衬塑料管的制造设备及方法
KR101656473B1 (ko) 파이프용 지그
JP2007185663A (ja) インターナルクランプ装置
KR102555361B1 (ko) 말단이 확장된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
JP6120401B2 (ja) 内張り材の端部処理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内張り材の端部処理具
CN102245031A (zh) 联接件
CN110695606A (zh) 一种高空管道的对接装置及对接方法
KR101149879B1 (ko)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JP4717409B2 (ja) 挿入体の設置工事における切断口防錆方法
CN110805768A (zh) 一种复合金属接头及制造方法
KR20160001763U (ko) 파이프/플랜지 연결부 얼라인 핏업 장치
JP6048613B1 (ja) 梁用貫通孔形成具
CN219966939U (zh) 一种用于三通管道安装更换的辅助装置
CN220178005U (zh) 一种太阳能主轴快速安装用缩口装置及主轴结构
KR102684401B1 (ko) 커플러용 그립링 제조장치
CN217393537U (zh) 一种用于φ20钢管扩口24°的模具
CN218748028U (zh) 胶管剥胶工装
CN210860278U (zh) 一种用于管道内翻衬软管导引装置
JP2001263559A (ja) 管継手、そ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20110011186U (ko) 배수관용 본관의 지관 연결구
JP3038127U (ja) 多孔管及び多孔管の成形装置
KR200150694Y1 (ko) 파이프 확관기
KR20170111070A (ko) 파이프 플랜지 성형장치
JP2020153492A (ja) 合成樹脂製電気融着サドル分水栓に対する耐圧試験具の着合方法とこれに用いる着合用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