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879B1 -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879B1
KR101149879B1 KR1020090109889A KR20090109889A KR101149879B1 KR 101149879 B1 KR101149879 B1 KR 101149879B1 KR 1020090109889 A KR1020090109889 A KR 1020090109889A KR 20090109889 A KR20090109889 A KR 20090109889A KR 101149879 B1 KR101149879 B1 KR 101149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isplay groove
display
workpiec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9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3075A (ko
Inventor
조충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화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화신
Priority to KR1020090109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879B1/ko
Publication of KR20110053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7Rigid pipes obtained by bending a sheet longitudinally and connecting the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08Making tubes with welded or soldered se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06Rigid pipes specially profi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2Rigid pipe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의 제조방법은: 작업대상물을 공급하는 공급단계와, 작업대상물이 성형롤러를 지나면서 표시홈을 형성하는 표시홈 성형단계와, 작업대상물을 원통 형상으로 굽히는 포밍단계 및 작업대상물의 마주하는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를 용접으로 고정시키는 용접단계를 포함한다.
몸체부, 표시홈, 성형롤러, 돌출부, 조관

Description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PIPE WITH SIGN GROOV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조관용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관용 파이프의 몸체부에 표시홈을 구비하는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일을 통하여 공급된 철판이 조관장치를 지나면서 원통 형상으로 굽혀지며, 굽혀진 철판의 양측 단부는 용접으로 고정되어 자동차의 부품 등에 사용되는 조관용 파이프가 생산된다.
조관용 파이프는 단일 부품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연결부재와 용접으로 결합되어 하나의 모듈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조관용 파이프가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경우, 조관용 파이프의 용접된 부위가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부위에 위치되어 조관용 파이프의 구조 강성을 높이는 작업이 요구되나, 작업자가 조관용 파이프의 용접된 부위를 용이하게 파악하지 못하므로 작업시간 및 제품 불량률이 증가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조관용 파이프의 용접된 부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는: 조관 작업으로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는 몸체부 및 몸체부에 형성되는 표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표시홈은 몸체부에서 용접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시홈은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시홈은 몸체부에서 용접이 이루어지는 부분의 양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시홈은 몸체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시홈은 몸체부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의 제조방법은: 작업대상물을 공급하는 공급단계와, 작업대상물이 성형롤러를 지나면서 표시홈을 형성하는 표시홈 성형단계와, 작업대상물을 원통 형상으로 굽히는 포밍단계 및 작업대상물의 마주하는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를 용접으로 고정시키는 용접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공급단계와 표시홈 성형단계의 사이에는, 작업대상물이 평면롤러를 지나면서 평탄화되는 평면성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성형롤러의 외주면에는 표시홈을 성형하는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시홈 성형단계에서, 표시홈이 작업대상물에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시홈 성형단계에서, 작업대상물의 일측 단부에서 이격된 부분과 타측 단부에서 이격된 부분에 표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용접부를 인식할 수 있는 표시홈을 몸체부에 형성하여 작업시간 단축 및 제품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인발 공정 없이도 돌출부를 구비한 성형롤러를 이용하여 표시홈을 성형하므로 생산공정 및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동차의 부품으로 사용되는 조관용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에 연결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홈 성형부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홈 성형부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1)는, 조관 작업으로 내측에 중공(5)이 형성되는 몸체부(3) 및 몸체부(3)에 형성되는 표시홈(8)을 포함한다.
몸체부(3)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용접부(7)가 구비되며, 용접부(7)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표시홈(8)은 몸체부(3)에 복수로 구비된다.
표시홈(8)은 몸체부(3)의 외측면이나 내측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는 몸체부(3)의 내측면에 표시홈(8)이 형성된다.
이러한 표시홈(8)은 몸체부(3)에서 용접이 이루어지는 부분인 용접부(7)의 양측에 형성되며, 작업자는 표시홈(8)의 사이에 있는 용접부(7)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표시홈(8)은 용접부(7)와 같이 몸체부(3)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1)를 임의의 지점에서 절단하여도 용접부(7)의 양측에 표시홈(8)이 형성되어 용접부(7)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1)가 연결부재(10)와 연결되는 경우, 작업자는 표시홈(8)을 보고 용접부(7)의 위치를 확인한 후, 연결부재(10)와 연결되는 부위에 용접부(7)를 위치시킨다.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1)의 용접부(7)가 연결부재(10)와 용접으로 고정되므로,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1)의 내구성은 향상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2)는, 몸체부(3)에서 용접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접하여 표시홈(9)이 형성된다.
이러한 표시홈(9)은 조관 작업 후 별도의 인발 작업으로 형성되며, 단일의 표시홈(9)을 형성할 때는 용접부(7)의 내측면에 표시홈(9)을 형성하고, 복수의 표시홈(9)을 형성할 때는 용접부(7)의 양측에 표시홈(9)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1)를 성형하는 조관장치(20)는 공급부(30)와 평면성형부(40)와 표시홈 성형부(50) 및 포밍부(60)를 포함한다.
공급부(30)는 작업대상물(34)이 권선된 코일(32)을 포함하며, 코일(32)이 풀리면서 작업대상물(34)이 생산라인을 따라 이동된다. 작업대상물(34)은 철판을 포함하여 다양한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공급부(30)에 연이어 설치된 평면성형부(40)는, 작업대상물(34)을 펴주는 평면롤러(42)를 구비한다.
평면롤러(42)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하로 마주보며 설치되며, 평면롤러(42)를 지나는 작업대상물(34)을 평탄화시킨다.
평면성형부(40)에 연이어 설치된 표시홈 성형부(50)는, 돌출부(54)를 구비하는 성형롤러(52)와, 성형롤러(52)의 하측에 설치되는 지지롤러(56)를 포함한다.
돌출부(54)는 성형롤러(52)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며, 표시홈(8)의 개수에 따라 돌출부(54)의 개수도 변동된다.
성형롤러(52)의 양측에 돌출부(54)가 각각 구비되므로, 성형롤러(52)를 지나는 작업대상물(34)의 일측 단부에서 이격된 부분과 타측 단부에서 이격된 부분에 표시홈(8)이 형성된다.
표시홈 성형부(50)와 연이어 설치된 포밍부(60)는, 작업대상물(34)을 원통 형상으로 굽히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수의 상부롤러(62)와 하부롤러(64)가 설치된다.
상부롤러(62)와 하부롤러(64)를 지나는 작업대상물(34)은 점차 원통 형상으로 굽어지며, 작업대상물(34)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마주하며 접한 상태에서 용접이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1)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1)의 제조방법은, 작업대상물(34)을 공급하는 공급단계를 갖는다.(S10)
공급부(30)에 구비된 코일(32)이 풀리면서 조관장치(20)로 작업대상물(34)이 공급된다.
작업대상물(34)이 평면롤러(42)를 지나면서 평탄화되는 평면성형단계를 갖는다.(S20)
공급부(30)를 통과한 작업대상물(34)이 평면성형부(40)의 평면롤러(42) 사이를 지나면서 평탄화되므로, 조관 작업중에 불량률 발생을 감소시킨다.
평면성형부(40)를 지나면서 평탄화되는 작업대상물(34)이 성형롤러(52)를 지나면서 표시홈(8)이 형성되는 표시홈 성형단계를 갖는다.(S30)
성형롤러(52)의 외주면에는 표시홈(8)을 성형하는 돌출부(54)가 구비되며, 성형롤러(52)에 접하면서 이동되는 작업대상물(34)에는 표시홈(8)이 구비된다.
표시홈(8)은 작업대상물(34)에 복수로 형성되며,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홈(8)은 작업대상물(34)의 일측 단부에서 이격된 부분과 타측 단부에서 이격된 부분에 형성된다.
표시홈(8)이 형성된 작업대상물(34)을 원통 형상으로 굽히는 포밍단계를 갖는다.(S40)
작업대상물(34)은 상부롤러(62)와 하부롤러(64)를 지나면서 원통 형상으로 점차 굽혀지면서 파이프 형상으로 성형된다.
작업대상물(34)의 마주하는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를 용접으로 고정시키는 용접단계를 갖는다.(S50)
작업대상물(34)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접한 상태에서 용접되어 용접부(7)를 형성하며, 용접부(7)의 양측에는 표시홈(8)이 구비된다.
용접부(7)를 통과한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1)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돌출된 비드를 제거한 후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1)를 일정 시간 냉각시킨다.
용접부(7)를 냉각 처리한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1)는 원통 형상으로 다시 형상을 보정하는 작업을 한 후,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여 출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1) 및 그 제조방법은, 용접부(7)를 인식할 수 있는 표시홈(8)을 몸체부(3)에 형성하여 작업시간 단축 및 제품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인발 공정 없이도 성형롤러(52)를 이용하여 표시홈(8)을 성형하므로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자동차의 부품으로 사용되는 조관용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다양한 종류의 기계장치와 건축 구조물에도 본 발명의 조관용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에 연결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홈 성형부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홈 성형부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
3: 몸체부 7: 용접부
8,9: 표시홈 10: 연결부재
20: 조관장치 30: 공급부
32: 코일 34: 작업대상물
40: 평면성형부 42: 평면롤러
50: 표시홈 성형부 52: 성형롤러
54: 돌출부 56: 지지롤러
60: 포밍부

Claims (11)

  1. 조관 작업으로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복수로 구비되는 표시홈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홈은 상기 몸체부에서 용접이 이루어지는 부분의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홈은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홈은 상기 몸체부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
  7. 작업대상물을 공급하는 공급단계;
    상기 작업대상물이 성형롤러를 지나면서 표시홈을 형성하는 표시홈 성형단계;
    상기 작업대상물을 원통 형상으로 굽히는 포밍단계; 및
    상기 작업대상물의 마주하는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를 용접으로 고정시키는 용접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단계와 상기 표시홈 성형단계의 사이에는,
    상기 작업대상물이 평면롤러를 지나면서 평탄화되는 평면성형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홈 성형단계에서, 상기 작업대상물의 일측 단부에서 이격된 부분과 상기 타측 단부에서 이격된 부분에 상기 표시홈이 형성되어, 몸체부에서 용접이 이루어지는 부분의 양측에 상기 표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의 제조방법.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롤러의 외주면에는 상기 표시홈을 성형하는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의 제조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홈 성형단계에서,
    상기 표시홈이 상기 작업대상물에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의 제조방법.
  11. 삭제
KR1020090109889A 2009-11-13 2009-11-13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101149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889A KR101149879B1 (ko) 2009-11-13 2009-11-13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889A KR101149879B1 (ko) 2009-11-13 2009-11-13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075A KR20110053075A (ko) 2011-05-19
KR101149879B1 true KR101149879B1 (ko) 2012-05-24

Family

ID=44362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9889A KR101149879B1 (ko) 2009-11-13 2009-11-13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8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813B1 (ko) * 2014-04-25 2014-11-28 주식회사 케이이 용접없이 정밀한 진원도를 유지하는 단관의 제조방법
US9533343B2 (en) * 2014-06-12 2017-01-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luminum porthole extruded tubing with locating feature
US10906080B2 (en) 2018-04-16 2021-02-02 Ford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s to radially orient extruded tubing for vehicle body component
US11642712B1 (en) * 2022-02-24 2023-05-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of manufacturing vehicle body structure component to include reinforced reg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354A (ja) * 1992-07-02 1994-01-25 Showa Alum Corp 熱交換管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354A (ja) * 1992-07-02 1994-01-25 Showa Alum Corp 熱交換管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075A (ko)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9879B1 (ko) 표시홈을 구비한 조관용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CN101425097A (zh) 一种薄壁管数控弯曲芯模参数设计方法
US20110107805A1 (en) Method for Forming an U-shaped Metal Frame
BR112016014203B1 (pt) componente de corpo de veículo, dispositivo de fabricação do mesmo e método de fabricação para o mesmo
CN104918722A (zh) 用于制造环形带的方法
CN105333241A (zh) 一种夹钢加肋中空塑料外波纹管及其制造方法
JP2010051977A (ja) 中空管体の製造方法
JP2012250414A (ja) 製管用部材の製造方法
DE502006005790D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binden der enden zweier flachliegender schlauchbahnen
JP2007010199A (ja) 多孔管及び多孔管の製造方法
CA2827206C (en) Device for welding a tubular lining of a wastewater pipe
KR101444317B1 (ko) 배관 변형 교정장치
KR20100125559A (ko) 배관 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JP5798818B2 (ja) 管壁穴部の被覆方法、加圧加熱治具、及び管体の接続方法
CN205348757U (zh) 一种带套管定位槽的建筑墙模板
CN103331334A (zh) 一种校正车架的装置及汽车生产流水线
KR101410952B1 (ko) 클램프 가이드를 갖는 파이프 정렬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파이프 정렬방법
KR101349940B1 (ko) 링형 클램프 제조방법
KR101209774B1 (ko) 대칭구조를 갖는 나선 금속관의 제조방법
CN109127804B (zh) 一种金属管材的弯曲成型装置及其成型方法
CN202667413U (zh) 无损伤弯管圆模
CN104455939A (zh) 交联聚乙烯保温管跨越三通报警线固定装置及固定方法
KR101605248B1 (ko) 고주파 용접을 이용한 강관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주파 용접 강관
KR101605692B1 (ko) Frp 보강근의 절곡성형장치 및 절곡성형방법
CN202667415U (zh) 无损伤弯管夹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