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3925B1 - 조리흄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조리흄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925B1
KR102553925B1 KR1020210193715A KR20210193715A KR102553925B1 KR 102553925 B1 KR102553925 B1 KR 102553925B1 KR 1020210193715 A KR1020210193715 A KR 1020210193715A KR 20210193715 A KR20210193715 A KR 20210193715A KR 102553925 B1 KR102553925 B1 KR 102553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pace
air
cabine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3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3104A (ko
Inventor
유승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감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감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감성
Priority to KR1020210193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925B1/ko
Publication of KR20230103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3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흄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흡기구와 배기부가 구비되어 있는 캐비닛과; 캐비닛의 내부 공간을 중앙공간, 상부공간,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격판과; 상부공간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된 물을 수용하는 상부탱크와; 상부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하향 분출하여, 물이, 흡기구를 통해 중앙공간으로 유입하는 공기와 접촉되게 하는 물분출부와; 하부공간에 위치하고, 물분출부로부터 낙하하는 물을 받아들여 임시 수용하는 하부탱크와; 중앙공간에 설치되는 팬, 응축기, 건조기, 필터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조리흄 제거장치는, 흡기되는 흄을 물과 접촉시켜 흄에 혼합되어 있는 분진과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장치가 콤팩트하고 이동식으로 구현되어 필요한 장소로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순환하는 물에 소독용 약품을 추가할 수 있어 바이러스 등의 세균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흄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cooking fume}
본 발명은 주방에서 주로 발생하는 조리흄을 흡기 및 제거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흄의 제거 효율이 양호하고, 이동식으로 구현되어 필요한 장소로 이동 사용이 가능한, 조리흄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방에서 음식의 가열 조리 시 발생하는 흄(fume)은, 독성을 갖는 가스로서, 배기후드를 통해 강제 배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배기후드는, 렌지 등의 가열장치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로, 요리 시 발생하는 흄을 빨아올려 외부로 배출한다.
그런데, 가령, 학교나 공공건물 등과 같은 대규모 급식시설의 경우, 주방에서 발생하는 흄의 량이 많으므로, 배기후드를 이용해 흄을 제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배기후드가 배출하지 못한 흄은, 주방에 잔류하거나 홀이나 복도 등 거주공간으로 퍼져, 거주자에게 불쾌감을 주고 호흡기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의 흄 제거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가령,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325563호에는, 이동식 조리연기 제거기가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조리연기 제거기는, 배출구를 구비한 하우징, 음식물 조리시 발생되는 조리연기가 흡입되는 흡입부, 하우징과 흡입부 사이에 구비되어 조리연기의 유동 통로를 제공하는 연통관 및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조리연기 제거기에 있어서, 흡입부는 단면상 상면부, 저면부, 외측부 및 내측부로 이루어지되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몸체가 원형링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외측부에 결속공이 형성되는 흡입링과,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이고 양 단부에 결속공에 끼워지는 중공의 돌출부가 구비되며 후면부에 개방홈이 구비되는 연결구와, 개방홈에 결합되는 개방부가 전면부에 형성되고 후면부에 연통관의 연결을 위한 결합공이 형성되는 접속구를 포함하며, 내측부에는 다수의 흡입공이 상부에서 하부로 차례로 구비되고, 흡입공들은 중공부와 연통되며, 흡입링의 내측부에는 결속공과 마주보는 측에 차폐판이 구비되는 구성을 갖는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조리연기 제거기는, 연기의 제거효율이 그다지 높지 않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동식이면서도 고성능의 흄 제거능력을 갖는 제거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325563호 (이동식 조리연기 제거기)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875206호 (홈 후드설비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티라인 노즐 분사식 에어커튼)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흄에 혼합되어 있는 분진과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필요한 장소로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소독용 약품을 추가하여 바이러스 등의 세균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조리흄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조리흄 제거장치는, 전면에 흡기구가 마련되어 있고, 상측에 배기부가 구비되어 있는 캐비닛과; 캐비닛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되,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기된 공기를 받아들여 통과시키는 중앙공간, 중앙공간 상측의 상부공간, 중앙공간 하측의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격판과; 상기 상부공간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된 물을 수용하는 상부탱크와; 상부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하향 분출하여, 물이, 흡기구를 통해 중앙공간으로 유입하는 공기와 접촉되게 하는 물분출부와; 하부공간에 위치하고, 물분출부로부터 낙하하는 물을 받아들여 임시 수용하는 하부탱크와; 상기 중앙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캐비닛 외부의 공기를 중앙공간으로 빨아들인 후 상기 배기부로 올려 보내는 팬, 흡기되어 물과 접촉한 공기의 습기를 제거하는 응축기, 응축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 건조시키는 건조기, 건조기를 통과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캐비닛의 흡입구와 응축기의 사이에는, 분출부에 의해 하향 분출되는 물을 받아 펼쳐 워터커튼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지지력을 제공하는 프레임과; 일정폭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의 형상을 취하고, 양단부가 지지축을 통해 프레임에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호 다른 고도에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로, 하강하는 물을 펼쳐 내려 보내는 다수의 유도베인과; 유도베인을 축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고, 각 유도베인의 표면에는 광촉매층이 코팅되어 있으며, 유도베인에는, 이웃하는 유도베인의 광촉매층에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 자외선광을 확산시키는 확산렌즈, 자외선램프를 구동하는 램프구동부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는 사각의 챔버설치구가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기부는; 유도덕트를 통해 팬과 연결되고 팬에 의해 유도된 공기를 임시 수용하는 에어챔버와, 에어챔버의 내부공간을 상부로 개방하는 것으로서, 캐비닛의 상부로 돌출되는 사각의 받침덕트와, 받침덕트의 상단부에 구비된 시일과, 받침덕트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하강한 상태로 시일과 접하여 받침덕트를 밀폐하고, 팬의 작동 시 상승하여 공기가 배출되게 하는 승강덮개와, 상기 에어챔버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압력센서의 센싱정보를 전달받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모터제어기와, 모터제어기에 의해 동작하여 승강덮개를 승강시키는 덮개구동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상부탱크의 상류측에는, 상부탱크로 이동하는 물에 기능성 약품을 투입하는 것으로서, 상부탱크를 향하는 물을 통과시키는 혼합공간을 제공하고, 혼합공간을 외부로 개방하는 유입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믹싱챔버와, 투입할 약품을 수용하며 측부에 다수의 배출구멍을 가지고, 믹싱챔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로 유입슬릿을 통해 약품을 투입하는 약품카트리지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조리흄 제거장치는, 흡기되는 흄을 물과 접촉시켜 흄에 혼합되어 있는 분진과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장치가 콤팩트하고 이동식으로 구현되어 필요한 장소로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순환하는 물에 소독용 약품을 추가할 수 있어 바이러스 등의 세균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조리흄 제거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제거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 보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제거장치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제거장치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워터커튼형성기를 별도로 도시한 절제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워터커튼형성기의 동작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유도베인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약품공급부를 별도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제거장치에서의 배기부 및 승강덮개의 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승강덮개의 승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조리흄 제거장치(10)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2는 따른 조리흄 제거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 보인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제거장치(10)는, 격판(11a)이 내장된 캐비닛(11), 상부탱크(37), 물분출부, 하부탱크(43), 팬(26), 응축기(22), 건조기(23), 필터(24a,24b)를 구비한다.
캐비닛(11)은 조리시 발생하는 흄을 통과시키며 정화 처리 하는 육면체 형태의 케이스로서 하단부에 바퀴(13)를 갖는다. 바퀴(13)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제거장치(10)를 원하는 위치로 운반하여 사용 가능하다. 캐비닛(11)의 사이즈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캐비닛(11)의 전면(前面)에는 흡기구(11g)가 형성되어 있다. 흡기구(11g)는 오염된 공기, 즉, 흄이 캐비닛(11) 내부로 유입하는 통로로서, 흡기그릴(12)이 장착된다. 아울러 흡기구(11g)의 상부에는 터치패널(14)이 위치한다. 터치패널(14)은 조리흄 제거장치(10)의 구동을 전반적으로 컨트롤하고, 또한 작동 중의 상태를 표시하는 입출력부이다. 이를테면 상부탱크(37)와 하부탱크(43)에 수용되는 물의 잔량이나, 팬(26)의 구동 여부, 후술할 에어챔버(28a) 내부의 압력, 밸브(38a)의 개폐 상태 등을 표시한다.
또한 캐비닛(11)의 상부에는 상단장착구(11k)가 마련되어 있다. 상단장착구(11k)에는 후술할 배기부(28)가 설치된다. 그리고 캐비닛(11)의 측부에는 메인점검도어(11m)와 보조점검도어(11n)가 마련되어 있다. 메인점검도어(11n)는 중앙공간(11d) 및 하부공간(11e)에 수용되어 있는 부품을 유지 보수하기 위한 것이고, 보조점검도어(11n)는 상부공간(11c) 내의 부품을 유지보수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부공간(11c)에 수용되는 약품카트리지(35f)도 보조점검도어를 열여 교체한다.
격판(11a)은 캐비닛(11)의 내부공간을, 상부공간(11c), 중앙공간(11d), 하부공간(11e)으로 구획한다. 중앙공간(11d)은 흡기구(11g)를 통해 전방으로 개방되는 공간으로서, 응축기(22), 열교환기(23b), 필터(24a,24b), 팬(26)을 수용한다.
상부공간(11c)에는 상부탱크(37), 물분출부, 약품공급부(35), 배기부(28)의 일부가 수용된다.
상부탱크(37)는 급수관(34a)을 통해 공급된 물을 임시 수용하는 탱크이다. 급수관(34a)은 수돗물을 유도하는 파이프이다. 물분출부는 상부탱크(37)에 수용되어 있는 물을 하부로 분출하는 것으로서 분출파이프(38)와 밸브(38a)를 구비한다. 분출파이프(38)는 물을 하향 유도하는 파이프이고, 밸브(38a)는 분출파이프를 개폐하는 전자식 밸브이다. 밸브(38a)는 터치패널(14)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상부탱크(37)에 수용되어 있는 물은, 위치에너지에 의해 분출파이프(38)를 통과해 하부로 낙하하며, 흡기구(11g)를 통해 유입하는 오염된 공기와 접한다. 오염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분진이나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은 물에 포집되어 하부탱크(43)로 떨어진다.
약품공급부(35)는 상부탱크(37)를 향하는 물에 기능성 약품을 투입하는 것이다. 기능성 약품에는 살균제가 포함될 수 있다. 약품공급부(35)의 구조는 도 8과 같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품공급부(35)는 믹싱챔버(35a)와 약품카트리지(35f)를 갖는다. 믹싱챔버(35a)는 수평으로 관통된 장착홀(35b)을 갖는 밀폐 용기로서, 급수관(34a)이나 순환파이프(48)와 연결된다. 순환파이프(48)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을 순환하는 파이프로서,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급수관이나 순환파이프를 통해 유입한 물은 믹싱챔버(35a)의 혼합공간(35d)에 일단 채워지고 약품카트리지(35f)로부터 투입된 약품과 혼합된 후 상부탱크(37)로 이동한다.
장착홀(35b)은 일정내경을 가지며 수평으로 연장된 구멍으로서 내주면 하측부에 유입슬릿(35c)을 갖는다. 유입슬릿(35c)은 혼합공간(35d)을 개방하는 관통로이다. 약품카트리지(35f)의 배출구멍(35h)을 통해 배출된 약품은 유입슬릿(35c)을 통해 혼합공간(35d)으로 투입된 후 물과 혼합된다.
약품카트리지(35f)는 일정직경을 갖는 원통형 부재로서 측부에 다수의 배출구멍(35h)을 갖는다. 또한 약품카트리지(35f)의 일단부에는 주둥이부(35g)가 마련되어 있다. 주둥이부(35g)를 통해 약품을 넣을 수 있다. 주둥이부(35g)는 마개(35k)에 의해 밀폐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약품카트리지(35f)를 장착홀(35b)에 삽입하면, 약품카트리지(35f)의 외주면과 장착홀(35b)의 내주면은 면접한다. 이 상태에서 각도표시부(36a,36b)를 맞추면, 배출구멍(35h)이 유입슬릿(35c)에 맞추어져 약품이 혼합공간(35d)으로 공급되게 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하부공간(11e)에 하부탱크(43)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하부탱크(43)는, 분출파이프(38)로부터 낙하한 물을 받아들여 임시 수용하는 탱크로서, 리시버(41)를 갖는다. 리시버(41)는 호퍼의 형상을 취하며 물을 하부탱크(43)로 받아들인다.
아울러 리시버(41)의 하부에는 충돌판(44)이 고정되어 있다. 충돌판(44)은 낙하하는 물과 충돌하며, 음이온을 발생하는 판상 부재이다. 폭포의 물이 지면에 부딪힐 때 음이온이 발생하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발생된 음이온은 캐비닛(11)의 주변으로 퍼져 나간다. 하부공간(43)에 채워지는 물은 배수관(34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후 정화처리 된다.
한편, 중앙공간(11d)에는, 응축기(22), 열교환기(23b), 필터(24a,24b), 팬(26)이 설치된다.
응축기(22)는, 분출파이프(38)를 통해 하부로 낙하하는 물과 접함에 의해 축축해진 공기를 통과시키며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한다. 응축기(22)는 촘촘한 망으로서, 응축기(22)를 통과하는 공기의 수분은 응축기 내부의 망에 응결되어 하부로 빠진다.
열교환기(23b)는, 응축기(22)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 건조시키는 건조기(23)의 일부이다. 건조기(23)는 히터(23a)와 열교환기(23b)로 구성된다. 열교환기(23b)는 중앙공간(11d)에 설치되며 히터(23a)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공기를 가열한다. 1차적으로 습기가 제거된 공기는 열교환기(23b)와 접하며 가열되어 건조한 상태가 된다. 필터(24a,24b)는 열교환기(23b)를 통과한 공기를 통과시키며 잔류하는 오염물질을 추가적으로 필터링한다. 필터에는 헤파필터나 탈취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팬(26)은 유도덕트(26a)를 통해 배기부(28)와 연결된다. 캐비닛(11) 전방의 공기는 팬(26)에 의해 당겨져, 응축기(22), 열교환기(23b), 필터(24a,24b)를 차례로 통과한 후 팬(26)을 거쳐 유도덕트(26a)를 통과해 배기부(28)로 이동한다.
배기부(28)는 유도덕트(26a)를 통해 상향 유도된 공기를 받아들인 후 상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도 9는 배기부 및 승강덮개의 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승강덮개의 승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부(28)는, 에어챔버(28a)와 다수의 받침덕트(28c)를 갖는다. 에어챔버(28a)는, 테두리부 상단부가 캐비닛(11)의 상단판(11r) 저면에 용접 고정된 사각 케이스로서, 공간부(28b)를 제공한다. 유도덕트(26a)를 통해 상부로 올라온 공기는, 에어챔버(28a)로 유입하며 공간부(28b)를 채운다.
받침덕트(28c)는 에어챔버(28a)의 공간부(28b)를 상부로 개방하는 사각 덕트로서, 상단판(11r)의 표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돌출되어 있다. 배기부(28)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단판(11r)에는 사각의 챔버설치구(11p)가 마련되어있다. 공간부(28b)에 채워진 공기가 받침덕트(28c)를 상향 통과하여 배기되는 것이다. 받침덕트(28c)는 사각틀의 형태를 취한다. 또한 받침덕트(28c)의 상단부에는 시일(28e)이 고정되어 있다. 시일(28e)은 덮개플레이트(29a)의 저면과 접하며 외부 이물질이 에어챔버(28a)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에어챔버(28a)의 내부에는 압력센서(33)와 모터제어기(32)가 장착된다. 압력센서(33)는, 받침덕트(28c)가 승강덮개(29)에 의해 닫혀 있는 상태에서 에어챔버(28a) 내부의 압력을 감지한다. 압력센서(33)가 감지한 압력정보는 모터제어기(32)로 전달된다.
모터제어기(32)는, 압력센서의 센싱정보를 전달받아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덮개구동부의 모터(31)를 제어한다. 덮개구동부는 모터(31)와 피니언기어(31a)를 구비한다. 피니언기어(31a)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후술할 랙기어(29c)와 치합한다. 모터(31)는 받침덕트(28c)의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승강덮개(29)는, 받침덕트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하강한 상태로 시일(28e)과 접하여 공간부(28b)를 밀폐한다. 또한, 팬(26)의 작동시에은 상승하여 공기가 받침덕트(28c)를 통해 배출되게 하는 것으로서, 덮개플레이트(29a), 수직로드(29b), 랙기어(29c)를 포함한다.
덮개플레이트(29a)는 일정두께를 갖는 사각판이다. 덮개플레이트(29a)는, 조리흄 제거장치(10))를 사용하지 않을 때, 받침덕트(28c)를 덮어 먼지나 이물질이 에어챔버(28a)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수직로드(29b)는 덮개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수직 하부로 연장된 막대형 부재로서, 일측에 랙기어(29c)를 갖는다. 결국 모터(31)의 작동에 의해 덮개플레이트(29a)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이다.
모터제어기(32)는 공간부(28b)에 압력이 상승할 때 승강덮개(29)를 상승시킨다. 압력이 상승한다는 것은 팬(26)으로부터 공기가 올라온다는 의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제거장치(10)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로서 그에 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캐비닛의 흡입구(11g)와 응축기(22)의 사이에 워터커튼형성기(50)가 설치됨을 알 수 있다. 워터커튼형성기는, 분출파이프(38)를 통해 하향 분출되는 물을 받아 수평으로 펼쳐 다단으로 하강시키며 워터커튼(water curtain)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워터커튼이라 함은, 일정폭의 유동단면적을 가지며 하부로 낙하하는 층류 흐름이 만드는, 말하자면, 수직의 물 벽(water wall)이다.
도 5는 워터커튼형성기(50)를 별도로 도시한 절제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워터커튼형성기의 동작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도 5의 유도베인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워터커튼형성기(50)는, 프레임(51), 다수의 유도베인(53), 각도조절부를 구비한다.
프레임(51)은 지지력을 제공하는 구조체로서 흡기구(11g)를 통해 유입하는 공기를 그 내부로 통과시킨다. 프레임(51)의 상부는 분출파이프(38)로부터 분출되는 물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프레임(51)의 하측에는 물이 빠지는 배출통로(51a)가 마련되어 있다.
유도베인(53)은, 일정폭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의 형상을 취한다. 유도베인(53)은 폭방향으로 만곡되며 오목한 부분이 상부를 향한다.
유도베인(53)의 양단부는 지지축(53a)을 통해 프레임(51)에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지지축(53a)은 프레임(51)의 외부로 연장되며 연장단부에 각도조절노브(54)를 갖는다. 각도조절노브(54)는 유도베인(53)을 화살표 a방향이나 b방향으로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이다. 도면부호 53b는 지지축(53a)이 결합하는 축구멍이다.
상기 유도베인(53)은 상호 평행하며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치된다. 최상층 유도베인(53)으로 낙하한 물은 유도베인의 길이방향으로 펼쳐짐과 아울러 한 단계씩 하부로 흘러내린다. 흡기구(11g)를 통해 유입한 공기는 유도베인(53)의 사이를 통과하며 흘러내리는 물의 벽을 통과한 후 응축기(22)로 들어간다.
유도베인(53)을 따라 하부로 유동하는 물의 속도는, 유도베인(53)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여 변경할 수 있다. 도 6a는 유도베인(53)의 틸팅각도가 도 6b에 비해 작으므로, 하부탱크(43)를 향해 내려가는 물의 유속이 상대적으로 느리다. 유속이 느리면 단위 시간당 유량이 작다. 공기 중의 오염물질이 많을 경우, 틸팅각도를 크게 조절하여 보다 많은 유량의 물이 낙하하게 한다.
한편, 각 유도베인(53)의 표면에는 광촉매층(53d)이 적층되어 있다. 광촉매층(53d)은 자외선램프(56)에서 조사된 빛에 반응하여 세균을 살균한다. 즉, 하강하는 물에 섞여 있는 바이러스나 병원균 등을 살균하는 것이다.
각 유도베인(53)의 폭방향 일단부에는 설치홈(53f)이 마련되어 있다. 설치홈(53f)은 유도베인(5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홈으로서 다수의 자외선램프(56)를 수용한다. 자외선램프(56)는 램프구동부(55)에 의해 동작하여 자외선을 출력한다. 램프구동부(55)는 유도베인(53)에 내장되며 자외선램프(56)를 온오프시킨다. 아울러 설치홈(53f)에는 확산렌즈(58)가 더 장착된다. 확산렌즈(58)는 자외선램프(56)에서 조사되는 자외선광을 넓게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확산렌즈(58)에 의해 광촉매층(53d)의 대부분의 면에 자외선이 도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제거장치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조리흄 제거장치(40)는 하부공간(11e)에 펌프(46)를 갖는다. 펌프(45)는 순환파이프(48)를 통해 하부탱크(43) 및 약품공급부(35)와 연결된다. 도 4에 도시한 제거장치(10)는. 외부로부터 공급도는 수돗물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내부에 공급되어 있는 물을 순환하는 타입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조리흄제거장치 11:캐비닛 11a:격판
11c:상부공간 11d:중앙공간 11e:하부공간
11g:흡기구 11k:상단장착구 11m:메인점검도어
11n:보조점검도어 11p:챔버설치구 11r:상단판
12:흡기그릴 13:바퀴 14:터치패널
22:응축기 23:건조기 23a:히터
23b:열교환기 24a:필터 24b:필터
26:팬 26a:유도덕트 28:배기부
28a:에어챔버 28b:공간부 28c:받침덕트
28e:시일 29:승강덮개 29a:덮개플레이트
29b:수직로드 31:모터 31a:피니언기어
32:모터제어기 33:압력센서 34a:급수관
34b:배수관 35:약품공급부 35a:믹싱챔버
35b:장착홀 35c:유입슬릿 35f:약품카트리지
35g:주둥이부 35h:배출구멍 35k:마개
36a,36b:각도표시부 37:상부탱크 38:분출파이프
38a:밸브 41:리시버 43:하부탱크
44:충돌판 46:펌프 48:순환파이프
50:워터커튼형성기 51:프레임 51a:배출통로
53:유도베인 53a:지지축 53b:축구멍
53d:광촉매층 53f:설치홈 54:각도조절노브
55:램프구동부 56:자외선램프 58:확산렌즈

Claims (4)

  1. 전면에 흡기구가 마련되어 있고, 상측에 배기부가 구비되어 있는 캐비닛과; 캐비닛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되,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기된 공기를 받아들여 통과시키는 중앙공간, 중앙공간 상측의 상부공간, 중앙공간 하측의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격판과; 상기 상부공간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된 물을 수용하는 상부탱크와; 상부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하향 분출하여, 물이, 흡기구를 통해 중앙공간으로 유입하는 공기와 접촉되게 하는 물분출부와; 하부공간에 위치하고, 물분출부로부터 낙하하는 물을 받아들여 임시 수용하는 하부탱크와; 상기 중앙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캐비닛 외부의 공기를 중앙공간으로 빨아들인 후 상기 배기부로 올려 보내는 팬, 흡기되어 물과 접촉한 공기의 습기를 제거하는 응축기, 응축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 건조시키는 건조기, 건조기를 통과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의 흡입구와 응축기의 사이에는, 분출부에 의해 하향 분출되는 물을 받아 펼쳐 워터커튼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지지력을 제공하는 프레임과; 일정폭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의 형상을 취하고, 양단부가 지지축을 통해 프레임에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호 다른 고도에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로, 하강하는 물을 펼쳐 내려 보내는 다수의 유도베인과; 유도베인을 축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며, 각 유도베인의 표면에는 광촉매층이 코팅되어 있으며, 유도베인에는, 이웃하는 유도베인의 광촉매층에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 자외선광을 확산시키는 확산렌즈, 자외선램프를 구동하는 램프구동부가 설치된,
    조리흄 제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는 사각의 챔버설치구가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기부는;
    유도덕트를 통해 팬과 연결되고 팬에 의해 유도된 공기를 임시 수용하는 에어챔버와,
    에어챔버의 내부공간을 상부로 개방하는 것으로서, 캐비닛의 상부로 돌출되는 사각의 받침덕트와,
    받침덕트의 상단부에 구비된 시일과,
    받침덕트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하강한 상태로 시일과 접하여 받침덕트를 밀폐하고, 팬의 작동 시 상승하여 공기가 배출되게 하는 승강덮개와,
    상기 에어챔버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압력센서의 센싱정보를 전달받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모터제어기와,
    모터제어기에 의해 동작하여 승강덮개를 승강시키는 덮개구동부를 구비하는,
    조리흄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탱크의 상류측에는, 상부탱크로 이동하는 물에 기능성 약품을 투입하는 것으로서,
    상부탱크를 향하는 물을 통과시키는 혼합공간을 제공하고, 혼합공간을 외부로 개방하는 유입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믹싱챔버와,
    투입할 약품을 수용하며 측부에 다수의 배출구멍을 가지고, 믹싱챔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로 유입슬릿을 통해 약품을 투입하는 약품카트리지가 포함되는,
    조리흄 제거장치.
KR1020210193715A 2021-12-31 2021-12-31 조리흄 제거장치 KR102553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715A KR102553925B1 (ko) 2021-12-31 2021-12-31 조리흄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715A KR102553925B1 (ko) 2021-12-31 2021-12-31 조리흄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104A KR20230103104A (ko) 2023-07-07
KR102553925B1 true KR102553925B1 (ko) 2023-07-11

Family

ID=87154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715A KR102553925B1 (ko) 2021-12-31 2021-12-31 조리흄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9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204B1 (ko) 2023-08-09 2024-04-18 김중한 조리흄 배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69102B (zh) * 2023-11-03 2024-02-27 鑫泽晟科技有限公司 一种镀膜性能检测装置
CN117404218A (zh) * 2023-12-13 2024-01-16 江苏函越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降低扬尘的空气滤清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992Y1 (ko) 2003-01-11 2003-04-08 (주)동양전자 가습장치
JP2005110703A (ja) * 2003-10-02 2005-04-28 San Seal:Kk 空気清浄化装置
KR102211657B1 (ko) 2020-09-29 2021-02-03 주식회사 아성엔터프라이즈 공기정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206B1 (ko) 2008-06-12 2008-12-19 최윤수 흄 후드설비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티라인 노즐 분사식 에어커튼
KR102617907B1 (ko) * 2020-05-13 2023-12-28 (주)삼영메탈 공기정화장치
KR102325563B1 (ko) 2020-06-25 2021-11-12 지성산업 주식회사 이동식 조리연기 제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992Y1 (ko) 2003-01-11 2003-04-08 (주)동양전자 가습장치
JP2005110703A (ja) * 2003-10-02 2005-04-28 San Seal:Kk 空気清浄化装置
KR102211657B1 (ko) 2020-09-29 2021-02-03 주식회사 아성엔터프라이즈 공기정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204B1 (ko) 2023-08-09 2024-04-18 김중한 조리흄 배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104A (ko) 202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3925B1 (ko) 조리흄 제거장치
CN107850325B (zh) 纤薄型空气处理设备
JP3029498U (ja) 空気汚染除去手段を有する一体型吸込みフード
KR200418456Y1 (ko) 주방용 공기청정후드
US20070149103A1 (en) Full air-exchanging safety cabinet
KR102163690B1 (ko) 공조장치부를 포함하는 밀폐부스
ES2901459T3 (es) Campana de succión de laboratorio
CN109780608B (zh) 吸油烟机
CA2343045A1 (en) High mass-flow rate air purifier
TW201314140A (zh) 空氣清淨機
KR102012962B1 (ko) 흄후드
KR100983811B1 (ko) 급식실용 에어닥트 시스템
KR20090026981A (ko) 문 일체형 공기청정기
KR20180054193A (ko) 물을 이용한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
KR102420838B1 (ko) 소음저감형 열회수 환기장치
CN101131395A (zh) 生物安全试验柜
KR102116370B1 (ko) 공기청정 살균기
KR20230073400A (ko) 공기 오염물질 분해 및 살균장치
CN116427145A (zh) 衣架装置
CN214633171U (zh) 一种杀菌消毒装置
CN116427146A (zh) 衣架装置
CN116427147A (zh) 衣架装置
CN116427149A (zh) 衣架装置
CN116427142A (zh) 衣架装置
CN116427143A (zh) 衣架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