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994B1 - 회전식 큐브타입의 led 전광판 - Google Patents

회전식 큐브타입의 led 전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994B1
KR102552994B1 KR1020220077407A KR20220077407A KR102552994B1 KR 102552994 B1 KR102552994 B1 KR 102552994B1 KR 1020220077407 A KR1020220077407 A KR 1020220077407A KR 20220077407 A KR20220077407 A KR 20220077407A KR 102552994 B1 KR102552994 B1 KR 102552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be
rotating
led
squar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7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현자
Original Assignee
유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현자 filed Critical 유현자
Priority to KR1020220077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9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75Pillars
    • G09F15/0081Rotating pill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식 큐브타입의 LED 전광판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이루고 각면에 광고를 게시할 수 있는 LED 모듈이 구비되는 큐브형 본체부; 및 상기 큐브형 본체부의 일측 꼭지점을 관통하여 타측 꼭지점에 고정되는 회전축을 회전시켜 상기 큐브형 본체부가 회전하면서 광고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큐브형 본체부의 모든 면이 주기적으로 보이게 하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식 큐브타입의 LED 전광판{The LED display board of the rotating cube type}
본 발명은 LED 전광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각면에 LED 모듈이 부착된 큐브형상의 전광판이 회전하는 회전식 큐브타입의 LED 전광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고판이란 자기 자신의 상호, 상품이나 서비스 등의 특정 정보를 불특정 다수인에게 홍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광고판은 건물의 외벽 등에 부착하는 형태로 사용되는 부착식 광고판과 지면 등의 통상적인 바닥면에 세워 놓을 수 있는 형태의 입식 광고판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광고판 중 부착식 광고판은 장소를 많이 차지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어 좁은 복도나 거리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입식광고판은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용이하게 위치 점유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입식 광고판은 광고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광고판을 회전시켜 전후방에 형성된 광고면을 번갈아 가면서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회전형 광고판이 제공되고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385342호에는 회전광고장치가 제안되었는데,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회전광고판을 회전시키는 회전광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광고판을 안정되게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광고판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이용하여 회전광고판 내에서 빛을 발산하는 다수개의 형광등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회전광고판의 안정된 회전력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형광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의 꼬임을 방지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회전광고장치는 일반적인 광고판을 사용한 것에 불과하고, 최근 광고에 널리 사용되는 LED를 전혀 활용하지 못하는 기술이다.
즉 근래 광고판에는 발광 다이오드 등의 발광소자를 복수개 행과 열로 배치하고 이러한 발광소자들을 선택적으로 발광시켜 이미지 또는 정보를 표시하는 방식의 전광판 광고를 많이 한다.
특히, LED(Light Emitting Diode)의 발전과 더불어 LED를 이용한 도트 매트릭스(dot matrix) 모듈로 구성된 LED 전광판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LED 전광판은 하나의 도트(dot)를 픽셀(pixel)로 구성하고 단위 픽셀을 하나 이상의 LED로 구성하여 LED의 제어를 통해 단색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상의 그림이나 문자를 표시 할 수 있다.
그러나 LED를 이용한 전광판이나 고정식이 대부분이다. 즉, 벽이나 건물에 부착하는 부착식의 경우 고정시킨 구조이고, 입식 전광판이라 하더라도 고정식이므로 보이는 면에만 LED가 설치되어 한 종류의 광고만 시현하거나 주기적으로 여러 광고를 교체해주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전광판 자체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역동적이지 못하고 사람의 주의와 관심을 끄는데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182460(2020.11.18.) "엘이디 회전형 광고판"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304631(2021.9.15.) "옥외용 전면개폐식 전광판"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큐브 형상의 각면에 LED 모듈을 부착하고, 큐브 전체를 회전구동함으로써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회전식 큐브타입의 LED 전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큐브의 각면에 LED 모듈을 자석에 의해 탈부착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회전식 큐브타입의 LED 전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립링을 사용하여 회전하는 큐브에 전선의 꼬임없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회전식 큐브타입의 LED 전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큐브타입의 LED 전광판은, 육면체 형상을 이루고 각면에 광고를 게시할 수 있는 LED 모듈이 구비되는 큐브형 본체부; 및 상기 큐브형 본체부의 일측 꼭지점을 관통하여 타측 꼭지점에 고정되는 회전축을 회전시켜 상기 큐브형 본체부가 회전하면서 광고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큐브형 본체부의 모든 면이 주기적으로 보이게 하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큐브형 본체부는, 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큐브프레임과, 상기 큐브프레임의 각면에 탈부착되는 사각하우징과, 전면에 다수개의 LED 칩이 배열되어 발광하고 상기 사각하우징의 일면에 결합되는 LED모듈과, 상기 큐브프레임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LED 칩과 연결되어 상기 LED 칩의 색상과 밝기를 제어하는 LED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큐브프레임의 각면에는 상기 LED모듈이 결합된 하나 이상의 사각하우징이 타일 형태로 탈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큐브프레임의 각면에는 그리드(grid) 형상의 지지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상기 사각하우징의 수에 대응되는 수의 사각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철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각하우징의 네 꼭지점에는 자석이 결합되어 상기 사각하우징을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자력으로 탈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큐브프레임의 각면 테두리에는 지지턱이 내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사각하우징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지지턱의 경사와 대응되게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큐브프레임에 상기 사각하우징의 맞춤 장착이 용이하다.
한편, 상기 LED 컨트롤러에는 WiFi로 데이터 송수신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WiFi 모듈이 내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상기 큐브형 본체부의 꼭지점에서 만나는 세장의 LED모듈 및 사각하우징의 꼭지점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회전축이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원통형상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구비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종동기어와, 하단이 상기 종동기어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큐브형 본체부를 관통하는 회전축과,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동컨트롤러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외부전원으로부터 회전하는 상기 큐브형 본체부에 전선의 꼬임없이 전류를 공급하는 슬립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립링의 고정편에 전원공급선이 연결되고, 상기 슬립링의 회전부재에 연결된 전선이 중공형상을 이루는 상기 회전축을 통해 연장되어 상기 큐브형 본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의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노절하는 조절노브가 구비되고, 더불어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 및 전원 OFF를 선택할 수 있는 텀블러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큐브 형상의 각면에 부착된 LED 모듈로부터 동일한 광고를 디스플레이하여 하나의 광고를 집중적으로 제공하거나, 모두 다른 광고가 디스플레이 되게 함으로써 다양한 광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큐브형 본체부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각 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모든 광고를 소비자에게 주기적으로 시현하고, 동적인 시각효과로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큐브형 본체부의 각면에 LED 모듈을 자석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므로 장착 및 교체가 매우 용이하다.
넷째, 슬립링을 사용하여 회전하는 LED 모듈에 전선의 꼬임없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회전식 큐브타입의 LED 전광판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각하우징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사각하우징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사각하우징의 탈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삽입홈을 나타내는 사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회전구동부의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조절노브와 텀블러 스위치를 나타내는 사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아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덧붙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회전식 큐브타입의 LED 전광판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회전하면서 LED 발광에 의해 광고를 수행하는 큐브형 본체부(100)와, 상기 큐브형 본체부(100)를 회전구동하는 회전구동부(20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3 내지 5를 함께 참조하여 상기 큐브형 본체부(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각하우징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사각하우징의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사각하우징의 탈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상기 큐브형 본체부(100)는 전체적으로 대략 육면체 형상을 이루면서 각면에 LED 모듈(130)이 복수개 부착되어 광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큐브형 본체부(100)는 큐브프레임(110), 사각하우징(120), LED 모듈(130)및 LED 컨트롤러(140)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큐브프레임(110)은 12개의 빔이 단부간에 서로 결합되어 육면체의 모서리를 이루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큐브프레임(110)은 수지재질 또는 금속재질일 수 있다.
그리고 사각하우징(120)은 수지재질로 이루어지고 사각형상을 이룬다.
상기 사각하우징(120)은 상기 LED 모듈(130)을 상기 큐브프레임(110)에 장착하기 위한 수단이며, 상기 LED 모듈(130)의 변형이나 벤딩을 방지하여 상기 LED 모듈(130)이 평판 형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사각하우징(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을 이루는 메인프레임(121)과, 상기 메인프레임(121)의 중앙을 가로질러 구비되는 크로스프레임(122)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메인프레임(121)은 트러스구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사각하우징(120)은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상기 큐브프레임(110)의 각면에 매트릭스 혹은 타일형태로 배열되어 탈부착될 수 있다.
또 상기 LED 모듈(130)은 PCB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면에 다수개의 LED 칩(131)이 촘촘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LED 칩(131)은 SMD(Surface mounted device) 방식으로 PCB 표면에 실장된다.
그리고 하나의 상기 LED 모듈(130)은 하나의 상기 사각하우징(120)의 전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LED 모듈(130)과 사각하우징(120)은 하나의 카트리지와 같이 상기 큐브프레임(110)에 장착 또는 탈착할 수 있다.
또 상기 LED 컨트롤러(140)는 상기 큐브프레임(11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LED 모듈(130)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LED 모듈(130)을 각각 제어한다. 즉, 각 LED 모듈(130)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그램화된 영상, 이미지, 텍스트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적절한 컨텐츠를 선정하여 LED 모듈에 전송해 주며, 상기 LED 칩(131)의 색상, 밝기 등을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큐브프레임(110)의 6개의 각면에는 지지플레이트(150)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50)는 체크 또는 그리드(grid)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큐브프레임(110)의 각면에 결합되어 상기 큐브프레임(110)의 인장, 압축 또는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큐브프레임(110)의 각면을 분할하고 상기 사각하우징(120) 및 LED 모듈(130)의 장착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150)가 설치되면, 상기 큐브프레임(110)의 각면을 분할함으로써 복수개의 사각홀(151)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사각홀(151)에는 각각 대응되는 상기 사각하우징(120) 및 LED 모듈(130)이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플레이트(150)가 십자(+) 형상일 경우 상기 큐브프레임(110)의 각면을 4개의 동일한 섹터로 구획하여 4개의 사각홀(151)이 형성되며, 각 사각홀(151)에 상기 사각하우징(120)을 장착하여 4개의 사각하우징(120)을 장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플레이트(150)는 철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사각하우징(120)을 상기 큐브프레임(110)에 탈부착하기 위해서 자력을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를 위해, 상기 사각하우징(120)의 네 꼭지점에는 자석(123)이 고정되어 상기 자석이 상기 지지플레이트(150)의 표면에 자력으로 부착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외력으로 상기 사각하우징(120)을 상기 지지플레이트(150)로부터 탈착시킬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큐브프레임(110)에 상기 사각하우징(120)을 부착시킬 때 정확한 위치에 부착되도록 상기 큐브프레임(110)의 각면 테두리에는 내측으로 하향 경사진 지지턱(111)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지지턱(111)은 45°내외가 적절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큐브프레임(110)의 각면은 상기 사각하우징(1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사각하우징(120)의 네 가장자리에는 상기 지지턱(111)의 경사와 대응되게 내향 경사진 경사면(12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경사면(124)의 경사각도 대략 45°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턱(111)과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각하우징(120)을 상기 큐브프레임(110)의 각면에 부착할 때 상기 경사면(124)이 상기 지지턱에 맞닿으면서 밀착된 상태로 안내되어 맞춤 삽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사각하우징(120)의 장착이 용이하다. 물론, 삽입이 이루어지면 상기 자석이 상기 지지플레이트(150)에 부착되면서 장착이 완료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LED 컨트롤러(140)에는 WiFi 모듈(미도시)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WiFi 모듈은 WiFi로 무선 데이터 송수신 및 제어가 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LED 모듈(130)에 다양하게 프로그램된 광고, 안내문구가 담긴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시현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큐브형 본체부(100)는 후술하는 회전구동부(200)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이를 위해, 상기 큐브형 본체부(100)에는 회전축(250)이 관통하면서 결합되는데, 상기 회전축(250)은 상기 큐브형 본체부(100)의 최하단 꼭지점(Vl)을 관통하여 최상단 꼭지점(Vh)에 결합된다. 즉, 거리가 가장 먼 대각선 방향의 두 꼭지점을 잇는 선분을 따라 관통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250)이 상기 큐브형 본체부(100)의 최하단 꼭지점(Vl)을 관통하기 위해서는 상기 꼭지점(Vl)에 상기 회전축(250)의 외경보다 큰 홀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상기 큐브형 본체부의 최하단 꼭지점(Vl)에서 만나는 3개의 사각하우징(120) 및 LED 모듈(130)의 꼭지점 일부를 절개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각하우징(120) 및 LED 모듈(130)의 꼭지점을 '∧' 형상으로 절개한 삽입홈(160)을 형성시켜 상기 회전축(250)이 삽입, 관통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8을 함께 참조하여 상기 회전구동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회전구동부의 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조절노브와 텀블러 스위치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상기 회전구동부(200)는, 상기 큐브형 본체부(100)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큐브형 본체부(100)의 모든 면이 잠재적 소비자들에게 주기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크게 케이싱(210), 모터(220), 구동기어(230), 종동기어(240), 회전축(250), 구동컨트롤러(260), 슬립링(270)을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고, 부가적으로 조절노브(280) 및 텀블러 스위치(29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케이싱(210)은 상기 모터(220), 구동기어(230), 종동기어(240), 회전축(250) 일부, 구동컨트롤러(260), 슬립링(270)이 내설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케이싱(21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일 수 있으나, 어떤 형상이든지 가능할 것이다. 상기 케이싱(210)의 외주면에는 외부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외부전원 케이블(OP)이 인입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210)의 바닥에는 모터(220)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220)의 축에는 구동기어(230)가 결합되어 회전되며, 상기 구동기어(230)에는 상기 종동기어(240)가 연동되어 일정한 회전비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종동기어(240)에는 수직으로 상기 회전축(250)의 하단이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250)을 회전구동한다.
상기 회전축(250)의 상단은 상기 케이싱(210)의 상부를 관통하여 노출되고 상기 삽입홈(160)을 통해 상기 큐브형 본체부(100)와 결합된다.
또 상기 모터(220)는 상기 구동컨트롤러(2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구동컨트롤러(260)는 상기 모터(220)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모터(220)에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250)에는 슬립링(27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립링(270)은 상기 큐브형 본체부(100)에 전선의 꼬임을 방지하면서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슬립링(270)은 공지된 부품으로서 회전체를 갖는 회전자의 전기회로와 고정자의 전기회로를 회전 중에도 배선의 꼬임없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
좀 더 설명하자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250)의 하단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자(271)와, 상기 회전자(27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전도성링(272)과, 상기 회전자(271)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편(273)과, 상기 고정편(273)에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전도성링(272)과 각각 접촉을 유지하는 브러시(274) 및 상기 회전자(271)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전자 케이블(275), 상기 브러시(27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정편 케이블(276)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자 케이블(275)은 중공형상의 상기 회전축(250) 내부를 통해 연장되어 상기 큐브형 본체부(100)의 내부로 노출된다.
참고로 상기 큐브형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상기 LED 모듈(130)에 각각 전원을 공급하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가 마련되며, 상기 회전자 케이블(275)이 각각 상기 SMPS(1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SMPS는 일반적으로 교류전기를 전자기기에 맞도록 변환시켜 주는 모듈형 전원공급장치로, 공지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참고로 상기 SMPS(170)는 각각 상기 LED 모듈(130)에 대응되 수만큼 구비되며, 상기 LED 모듈(130)과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접속핀이 형성된 접속소켓(171)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접속소켓(171)을 분리함으로써 상기 사각하우징(120)과 LED 모듈(130)을 상기 큐브프레임(110)으로부터 탈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싱(210)의 외주면에 조절노브(280)와 텀블러 스위치(290)가 더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조절노브(280)는 다이얼 방식으로 회전시켜 상기 모터(22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절노브(280)는 상기 구동컨트롤러(26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텀블러 스위치(290)는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텀블러 스위치(290)도 상기 구동컨트롤러(260)와 연결된다.
상기 텀블러 스위치(290)를 중앙으로 Off 시키면 상기 모터(220)의 작동이 정지하고, 일측으로 On 하면 정방향으로 회전하며, 타측으로 On 하면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텀블러 스위치(290)를 일방향으로 On 시키면 상기 모터(220)가 작동하고 상기 회전축(25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2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큐브형 본체부(100)가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LED 컨트롤러(140)에서 적절한 광고내용을 상기 LED 모듈(130)별로 전송하면 상기 큐브형 본체부(100)의 각면에 부착된 LED 모듈(130)에 광고가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각 LED 모듈(130)별로 동일한 컨텐츠를 전송하여 집중적인 광고를 수행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컨텐츠를 전송하여 소비자들이 다양한 광고를 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큐브형 본체부(100)가 회전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되는 모든 광고면을 주기적으로 볼 수 있고, 소비자들의 주의와 관심을 끌 수 있다.
만일, 상기 LED 모듈(130)을 교체할 경우 상기 지지플레이트(150)에 자석(123)으로 부착되어 있는 상기 사각하우징(120)을 상기 큐브프레임(110)으로부터 외력으로 쉽게 탈착한 후 다른 LED 모듈(130)을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립링(270)에 의해 상기 회전자 케이블(275)이 꼬이지 않고 상기 SMPS(170)로 전원을 공급해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00 : 큐브형 본체부
110 : 큐브프레임 111 : 지지턱
120 : 사각하우징 121 : 메인프레임
122 : 크로스프레임 123 : 자석
124 : 경사면
130 : LED 모듈 131 : LED 칩
140 : LED 컨트롤러
150 : 지지플레이트 151 : 사각홀
160 : 삽입홈
170 : SMPS 171 : 접속소켓
200 : 회전구동부
210 : 케이싱
220 : 모터
230 : 구동기어
240 : 종동기어
250 : 회전축
260 : 구동컨트롤러
270 : 슬립링 271 : 회전자
272 : 전도성링 273 : 고정편
274 : 브러시 275 : 회전자 케이블
276 : 고정편 케이블
280 : 조절노브
290 : 텀블러 스위치
Vh : 최상단 꼭지점 Vl : 최하단 꼭지점
OP : 외부전원 케이블 b : 베어링

Claims (10)

  1. 육면체 형상을 이루고 각면에 광고를 게시할 수 있는 LED 모듈이 구비되는 큐브형 본체부; 및 상기 큐브형 본체부의 일측 꼭지점을 관통하여 타측 꼭지점에 고정되는 회전축을 회전시켜 상기 큐브형 본체부가 회전하면서 광고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큐브형 본체부의 모든 면이 주기적으로 보이게 하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회전식 큐브타입의 LED 전광판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원통형상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구비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종동기어와, 하단이 상기 종동기어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큐브형 본체부를 관통하는 회전축과,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동컨트롤러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외부전원으로부터 회전하는 상기 큐브형 본체부에 전선의 꼬임없이 전류를 공급하는 슬립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슬립링은,
    상기 회전축의 하단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전도성링과, 상기 회전자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에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전도성링과 각각 접촉을 유지하는 브러시 및 상기 회전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전자 케이블과, 상기 브러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정편 케이블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자 케이블이 중공형상의 상기 회전축을 통해 연장되어 상기 큐브형 본체부의 내부로 노출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큐브타입의 LED 전광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큐브형 본체부는,
    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큐브프레임과, 상기 큐브프레임의 각면에 탈부착되는 사각하우징과, 전면에 다수개의 LED 칩이 배열되어 발광하고 상기 사각하우징의 일면에 결합되는 LED모듈과, 상기 큐브프레임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LED 칩과 연결되어 상기 LED 칩의 색상과 밝기를 제어하는 LED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큐브프레임의 각면에는 상기 LED모듈이 결합된 하나 이상의 사각하우징이 타일 형태로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큐브타입의 LED 전광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큐브프레임의 각면에는 그리드(grid) 형상의 지지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상기 사각하우징의 수에 대응되는 수의 사각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큐브타입의 LED 전광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철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각하우징의 네 꼭지점에는 자석이 결합되어 상기 사각하우징을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자력으로 탈부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큐브타입의 LED 전광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큐브프레임의 각면 테두리에는 지지턱이 내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사각하우징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지지턱의 경사와 대응되게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큐브프레임에 상기 사각하우징의 맞춤 장착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큐브타입의 LED 전광판.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LED 컨트롤러에는 WiFi로 데이터 송수신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WiFi 모듈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큐브타입의 LED 전광판.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상기 큐브형 본체부의 꼭지점에서 만나는 세장의 LED모듈 및 사각하우징의 꼭지점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회전축이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큐브타입의 LED 전광판.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노절하는 조절노브가 구비되고, 더불어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 및 전원 OFF를 선택할 수 있는 텀블러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큐브타입의 LED 전광판.
KR1020220077407A 2022-06-24 2022-06-24 회전식 큐브타입의 led 전광판 KR102552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407A KR102552994B1 (ko) 2022-06-24 2022-06-24 회전식 큐브타입의 led 전광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407A KR102552994B1 (ko) 2022-06-24 2022-06-24 회전식 큐브타입의 led 전광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2994B1 true KR102552994B1 (ko) 2023-07-06

Family

ID=87186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7407A KR102552994B1 (ko) 2022-06-24 2022-06-24 회전식 큐브타입의 led 전광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99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891Y1 (ko) * 2000-06-29 2000-12-01 복기건 회전식 입체간판
KR20050088768A (ko) * 2004-03-03 2005-09-07 유승식 전광판 회전을 이용한 3차원 입체 영상 출력장치
KR200425669Y1 (ko) * 2006-06-08 2006-09-19 이윤경 스탠드형 광고판
KR100804668B1 (ko) * 2006-01-03 2008-02-28 (주)럭스맥스 실내외 장식형 전광판
KR102146217B1 (ko) * 2020-01-10 2020-08-19 유현자 Led 전광판 설치방법
KR102175873B1 (ko) * 2018-09-05 2020-11-06 장정수 상부광고판과 저부광고판 이중구조를 이루어 회전되도록 제공되는 상업용 광고장치 및 그 광고장치의 이용방법
KR102182460B1 (ko) 2018-07-28 2020-11-24 박성배 엘이디 회전형 광고판
KR102304631B1 (ko) 2021-02-05 2021-09-23 유현자 옥외용 전면개폐식 전광판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891Y1 (ko) * 2000-06-29 2000-12-01 복기건 회전식 입체간판
KR20050088768A (ko) * 2004-03-03 2005-09-07 유승식 전광판 회전을 이용한 3차원 입체 영상 출력장치
KR100804668B1 (ko) * 2006-01-03 2008-02-28 (주)럭스맥스 실내외 장식형 전광판
KR200425669Y1 (ko) * 2006-06-08 2006-09-19 이윤경 스탠드형 광고판
KR102182460B1 (ko) 2018-07-28 2020-11-24 박성배 엘이디 회전형 광고판
KR102175873B1 (ko) * 2018-09-05 2020-11-06 장정수 상부광고판과 저부광고판 이중구조를 이루어 회전되도록 제공되는 상업용 광고장치 및 그 광고장치의 이용방법
KR102146217B1 (ko) * 2020-01-10 2020-08-19 유현자 Led 전광판 설치방법
KR102304631B1 (ko) 2021-02-05 2021-09-23 유현자 옥외용 전면개폐식 전광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2929B2 (en) Flexible pixel hardware and method
US20050052375A1 (en) Configurable large-area display system and control unit used therei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display
JP2005084691A (ja) 構成可能な大画面ディスプレイ用途で使用するためのディスプレイピクセルモジュールと、該ピクセルモジュール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
CN101836041A (zh) 以磁性方式附着的发光装置
EP1655712A2 (en) Flexible pixel string hardware and method cross references to related applications
KR102552994B1 (ko) 회전식 큐브타입의 led 전광판
CN101911161B (zh) 显示方法、显示装置和显示屏
US7053867B2 (en) Moveable image display system
KR101487906B1 (ko)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 및 그 조립모듈
KR101846789B1 (ko) 발광 블록 및 이를 갖는 발광 시스템
KR200430944Y1 (ko) 발광간판
KR101802611B1 (ko) 입체 광고가 가능한 조명등
US20050055855A1 (en) Sign
KR20090003575U (ko) 십자형 엘이디 광고판
KR100387278B1 (ko) 전광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전광판
KR100869778B1 (ko) 엘이디유닛 및 이를 이용한 광고용 램프
KR200303282Y1 (ko) 전광판을 구비한 광고탑
KR20090000435A (ko) 엘이디 모듈 스트링
WO2003012768A1 (en) Advertising display sign board
KR200481662Y1 (ko) 설치형 광고장치
WO2017013947A1 (ja) 立体光源及び立体光源ユニット
KR100968381B1 (ko) 엘이디 패키지 유닛을 이용한 전광판 장치
JP2001337628A (ja) Led表示装置
JP3134305U (ja) パネル
KR200337156Y1 (ko) 발광체를 이용한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