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7156Y1 - 발광체를 이용한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 - Google Patents

발광체를 이용한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7156Y1
KR200337156Y1 KR20-2003-0017298U KR20030017298U KR200337156Y1 KR 200337156 Y1 KR200337156 Y1 KR 200337156Y1 KR 20030017298 U KR20030017298 U KR 20030017298U KR 200337156 Y1 KR200337156 Y1 KR 2003371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ior material
building
light emitting
function
electrod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2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배
Original Assignee
김석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배 filed Critical 김석배
Priority to KR20-2003-00172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71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71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7156Y1/ko
Priority to PCT/KR2004/001334 priority patent/WO2004106664A1/en
Priority to CN 200480015300 priority patent/CN1798896A/zh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6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ishing Wall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광체를 이용한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타일과 같은 형태의 건축 외장재에 전력을 많이 소모하지 않는 고휘도 엘이디와 같은 발광소자를 결합함으로써 야간 뿐만 아니라 주간에도 보행자의 시선을 집중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보행자에게 광고하고자 하는 정보를 용이하게 전달하는 건축 외장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구조상 건축 외장재 용도 뿐만 아니라 보행자가 많이 다니는 공공장소의 바닥에 설치함으로써 보행자 광고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발광체를 이용한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 {CONSTRUCTION TILE-TYPE MATERIAL USING LIGHT SOURCE}
본 고안은 발광체를 이용한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타일과 같은 형태의 건축물 외장재에 전력을 많이 소모하지 않는 고휘도 엘이디와 같은 발광소자를 결합함으로써 야간 뿐만 아니라 주간에도 보행자의 시선을 집중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보행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광고를 행하는 건축 외장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로는 건물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마감재 처리 기술과 건물 내부의 난방, 냉방 효율을 높이기 위한 단열재 기술들이 있다. 근래에도 건축 현장에서 쉽게 적용되고 있는 기술이며, 예를 들면, 건물의 특성에 따라 단열을 위한 석고보드 또는 미관 개선을 위한 특수한 외장재 등이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건물들은 건축물 외장재로 마감 시공한 상태로 건물 벽면이 유지되며, 건물 사용자의 의도로 광고물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기 시공한 건축물 외장재 위 또는 건물과 별도의 독립 시설물을 세워서 광고 시설물을 시공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로 시공된 광고 시설물들은 광고효과를 높이기 위해 수많은 형광등이 결합된 실사출력 시설물이나 네온사인과 같은 높은 휘도를 발생시키는 광원을 사용한다. 이러한 시설물들의 공통적인 문제점으로는 소비전력량이 많다는 것이다. 이를 해소하면서 광고효과도 높은 시설물 또는 외장재의 개발이 필요한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건물 벽면과 같은 곳에 전력소모가 적은 고휘도 엘이디와 같은 발광소자를 결합한 건축용 타일형태의 외장재를 시공함으로써 야간 뿐만 아니라 주간에도 보행자의 시선을 집중시켜 정보를 전달하는 광고를 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구조상 건축 외장재 용도 뿐만 아니라 보행자가 많이 다니는 공공장소의 바닥에 설치함으로써 보행자에 대한 광고 효과가 큰 잇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체를 이용한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가 적용된 실시예도 및 외장재 시공예를 보여주기 위한 상세한 분해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체를 이용한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외장재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체를 이용한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의 배선장치중 측면 요철 전극단자 간략한 외형을 도시한 단면투시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체를 이용한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의 배선장치 중 하부 전극단자 경우 간략한 외형을 도시한 단면투시도 및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건물 20: 시공 실시예
30: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 31: 발광소자
32: 발광소자의 광가이드 33: 조명프레임
34: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를 구성하는 재료
35: 전극단자 40: 도안 정보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고휘도 엘이디 또는 반도체 레이저 같은 저전력 소모의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문자 또는 그림 정보를 표현할 때 고정기능 및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이 포함된 조명프레임과, 상기 조명프레임에 전원을 공급 및 전달하는 배선장치와, 상기 조명프레임과 상기 배선장치를 고정시키는 건축용 외장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를 이용한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발광소자의 구조가 외형상 헤드부분이 긴 형태의 광가이드를 가지는 것과 외장재의 마모와 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조명프레임 구조는 일반적으로 메쉬형태를 가지며, 표현하고자 하는 정보의 해상도가 낮을 경우에는 각 외장재마다 단색 발광소자로 구성되며, 해상도가 높을 경우에는 하나의 외장재 내부에 다양한 색상의 발광소자가 삽입되는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고휘도 엘이디와 같은 2극단자 전기소자를 조명프레임에 삽입하는 과정만으로 전기적으로 폐회로가 형성되는, 즉, 연결을 위한 별도의 솔더링 작업이 필요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배선장치가 외장재 측면의 요철 형태 전극단자로 구성되어 인접한 외장재 전극단자 또는 전원과 연결되는 기능을 가지는 것과 외장재 하측의 삽입형 전극단자로 구성되어 기 설치된 전원공급용 전선과 결합하여 연결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기존 건축용 외장재가 가지지 못한 광고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고휘도 엘이디 또는 레이저와 같은 발광소자를 건축용 외장재에 결함함으로써 야간 뿐만 아니라 주간에도 보행자의 시선을 집중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체를 이용한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가 적용된 실시예도 및 외장재 시공예를 보여주기 위한 상세한 분해단면도이다.
여기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10)의 외벽에 문자 또는 그림 같은 도안 정보(40)를 표시한 상세한 시공 실시예(20)를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면, 도안 정보(40)인 문자를 구성하는 'G'는 확대된 상세도에서 보면, 여러개의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30)가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G'라는 문자를 나타내기 위하여 구성된 외장재들은 시공된 위치에 따라 발광하는 면적이 다르며, 해상도가 낮은 경우에는 하나의 외장재를 단위 색상으로 설정하여 단색 발광소자로 시공할 수 있으며, 반대로 해상도가 높은 경우에는 하나의 외장재에 빨강, 녹색, 파랑, 흰색의 다수개의 발광소자를 섞어서 조합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체를 이용한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외장재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발광소자(31)는 조명프레임(33)에 결합되어 발광소자와 일체형 또는 부착형의 광가이드(32)를 통하여 외장재 표면으로 빛을 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명프레임(33)의 전극 배선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장재의 측면 전극단자(35A, 35B) 또는 외장재의 하부 전극단자(35C)와 각각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상기 조명프레임과 상기 배선장치의 조립이 완성되면, 발광체를 이용한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 형태를 구성하는 재료(34)로 고무, 우레탄, 유리, 플라스틱, 시멘트, 대리석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립과정은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건축용 외장재를 먼저 형성하고, 발광소자로 구성된 조명프레임과 배선장치를 외장재에 삽입하는 제조공정도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예를 들면, 대리석과 같은 건축용 외장재에 발광소자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멍을 뚫어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체를 이용한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의 배선장치중 측면 요철 전극단자(35A, 35B)의 간략한 외형을 도시한 단면투시도 및 측면도이다.
여기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장재 측면 요철 전극단자(35A, 35B)는 인접한 외장재와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며, 작은 위치변화에 강인한 특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밀결합 시공보다는 소결합 시공을 기본으로 하여 연결하는 오프세트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체를 이용한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의 배선장치 중 하부 전극단자(35C)의 간략한 외형을 도시한 단면투시도 및 측면도이다.
여기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전극단자(35C)는 전원 시설을 먼저 시공한 다음 정해진 위치에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를 전원 시설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장재 하부 전극단자도 상기 도 3에서 설명한 외장재 측면 전극단자처럼 외부충격에 강인한 특성을 갖는, 즉 오프세트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와 같은 건축용 외장재는 야간 뿐만 아니라 주간에도 보행자 및 운전자의 시선을 집중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저전력으로 운용되는 잇점이 있어서 광고 효과 외 에너지 절약 효과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건물 벽면에 전력소모가 적은 고휘도 엘이디와 같은 발광소자를 결합한 건축용 타일형태의 외장재를 시공함으로써 보행자의 시선을 집중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광고하고자 하는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또한, 구조상 건축 외장재 용도 뿐만 아니라 보행자가 많이 다니는 공공장소의 바닥에 설치함으로써 보행자에 대한 광고 효과가 큰 잇점이 있다.

Claims (8)

  1. 고휘도 엘이디 또는 반도체 레이저 같은 저전력 소모의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문자 또는 그림 정보를 표현할 때 고정기능 및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이 포함된 조명프레임과,
    상기 조명프레임에 전원을 공급 및 전달하는 배선장치와,
    상기 조명프레임과 상기 배선장치를 고정시키는 건축용 외장재료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를 이용한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외형상 헤드부분이 긴 형태의 광가이드를 가지는 것과
    외장재의 마모와 같이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를 이용한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장치(30)가
    외장재 측면의 요철 형태 전극단자로 구성되어 인접한 외장재 전극단자 또는 전원과 연결되는 기능을 가지는 것과,
    외장재 하측의 삽입형 전극단자로 구성되어 기 설치된 전원공급용 전선과 결합하여 연결되는 기능을 가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를 이용한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장치의 전극단자는
    외부 충격에 대비하여 외장재 연결부분의 위치변화에 따른 오프세트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를 이용한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 외장 재료는
    상기 조명프레임과 상기 배선장치를 고정 및 지지하는 기능과 외부 충격에 강인함을 가지는 유리, 우레탄, 고무, 아크릴, 플라스틱, 석고, 시멘트, 대리석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를 이용한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가
    보행자 통로 또는 공공장소의 바닥에 광고용으로 시공이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를 이용한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가
    원형, 삼각형, 사각형 및 다각형의 타일 형태로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를 이용한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가
    전달하고자 하는 도안 정보의 해상도가 낮을 경우, 단일 색상의 단일 외장재로 구성되는 것과,
    도안 정보의 해상도가 높을 경우, 빨강, 녹색, 파랑, 흰색이 단일 외장재 내부에 혼합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를 이용한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
KR20-2003-0017298U 2003-06-03 2003-06-03 발광체를 이용한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 KR2003371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298U KR200337156Y1 (ko) 2003-06-03 2003-06-03 발광체를 이용한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
PCT/KR2004/001334 WO2004106664A1 (en) 2003-06-03 2004-06-03 Construction tile-type material using light source
CN 200480015300 CN1798896A (zh) 2003-06-03 2004-06-03 利用发光体的建筑用瓷砖形态的装饰材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298U KR200337156Y1 (ko) 2003-06-03 2003-06-03 발광체를 이용한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189A Division KR20040104299A (ko) 2004-01-16 2004-01-16 발광체를 이용한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7156Y1 true KR200337156Y1 (ko) 2003-12-31

Family

ID=36819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298U KR200337156Y1 (ko) 2003-06-03 2003-06-03 발광체를 이용한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337156Y1 (ko)
CN (1) CN1798896A (ko)
WO (1) WO20041066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495B1 (ko) 2009-12-28 2010-05-07 김세진 조명타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1224U (ja) * 1992-02-26 1993-09-28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舗装用弾性ブロック
JPH0723382U (ja) * 1993-09-28 1995-04-25 インフラテック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製のe.l表示平板
US5887389A (en) * 1997-10-22 1999-03-30 Ceramica, Inc. Decorative construction module with marking indicia
TW425533B (en) * 1998-10-27 2001-03-11 Avix Inc High-rise building with large scale display device inside transparent glassexterior
US6367218B2 (en) * 1999-08-09 2002-04-09 Jamie A. Lombardo Removable tile wall covering
KR200288137Y1 (ko) * 2002-06-05 2002-09-09 (주) 한백종합기술공사 라이트 라인
KR200297393Y1 (ko) * 2002-09-18 2002-12-11 윤갑석 방향 표시 블록용 커버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495B1 (ko) 2009-12-28 2010-05-07 김세진 조명타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106664A1 (en) 2004-12-09
CN1798896A (zh)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5307B1 (ko) 실/내외 광고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8552929B2 (en) Flexible pixel hardware and method
KR20040064245A (ko) 발광유니트(Unit)
JPH03502849A (ja) 発光パネル
KR20060069213A (ko) 엘이디 면 발광 채널간판 조명장치
KR101076604B1 (ko) Led 모듈이 설치된 장식용 석재블록
KR20120118967A (ko) 경관 조명용 방수형 풀컬러 엘이디 클러스터
KR200337156Y1 (ko) 발광체를 이용한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
JP4013862B2 (ja) 線状発光構造体
KR20040104299A (ko) 발광체를 이용한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
KR200387500Y1 (ko) 광색 변화되는 광고판
KR20030055843A (ko) 광각 발광소자를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
KR101123369B1 (ko) 이미지 표시장치
KR100601830B1 (ko) 고 휘도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간판
KR200269125Y1 (ko) 광각 발광소자를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
KR20060105399A (ko) 광색 변화되는 광고판
KR100887637B1 (ko) 광고표시장치
KR200346369Y1 (ko) 광고장치
CN201069105Y (zh) 一种led点光源阵列灯具
JP4410688B2 (ja) 照明具
KR101111251B1 (ko) 입체 형태 표시장치
KR200425848Y1 (ko) 엘이디를 이용한 광고패널 구조
CN103886815A (zh) 一种户外led显示屏
KR20050114300A (ko) 후광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판 및 그 제작방법
KR20050113368A (ko) 면발광(面發光)유니트(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