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125Y1 - 광각 발광소자를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광각 발광소자를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125Y1
KR200269125Y1 KR2020010040337U KR20010040337U KR200269125Y1 KR 200269125 Y1 KR200269125 Y1 KR 200269125Y1 KR 2020010040337 U KR2020010040337 U KR 2020010040337U KR 20010040337 U KR20010040337 U KR 20010040337U KR 200269125 Y1 KR200269125 Y1 KR 2002691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frame
led
wide
light emitting
advertisemen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03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원
Original Assignee
이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원 filed Critical 이지원
Priority to KR20200100403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1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1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125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광각 발광소자를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휘도 면발광을 위한 4개의 핀을 갖는 P4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여 광고 표시판을 제작하므로, 소수의 P4 LED로도 고휘도의 광고 표시판을 제작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의 형상을 갖는 광고 표시판의 외곽틀과, 상기 외곽틀 내부에 광원 소자를 설치하고, 그 내부를 에폭시로 충진하는 광고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곽틀 내부 바닥면에 부착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해당 위치에 접속된 광각 발광소자와, 상기 빛을 발산하는 외곽틀 상부를 밀폐시키는 색상 에폭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각 발광소자를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 {Apparatus for advertisement display using P4 LED}
본 고안은 광고 표시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휘도 면발광을 위한 발광소자(Light Emitting Diode : 이하 "LED"라 약칭함.)를 이용하여 광고판을 제작하므로 소수의 LED로 고휘도의 광고 표시판을 제작하도록 하는 광각 LED를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또는 실외의 광고물이나 간판 등은 야간에 쉽게 인식될 수 있도록 네온가스를 이용한 네온사인이나 LED 등을 이용한 발광구조로 제작하거나, 또한, 실사출력한 그래픽 뒷면에 형광등을 넣어 광고하는 파나플렉스 형태가 사용된다.
여기서, 네온사인을 이용한 광고물의 경우에는 휘도가 높아 육안식별이 용이하나, 네온관이 노출되어 있으므로 파손되기 쉬우며, 물청소가 어려울 뿐만아니라, 고전압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력소비가 많고 고온이 열이 발생하여 비효율적이다.
이러한 비효율적인 문제 때문에 일반적으로 LED를 이용하여 광고판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와 같은 LED를 이용한 광고판은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10-2000-49978 호"(실내/외 광고물 제조방법)에 개시되어 있으며,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면발광 광고표시판으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20-178982 호"(합성수지와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빛의 발산구조체)에 개시되어 있다.
도 1a,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LED를 이용한 빛의 발산 구조체의 단면 사시도로서, 도 1a에 도시된 빛의 발산구조체(5)는 LED(10), 반사층(20), 수지충전물(30), 투광창(40), 외곽틀(50)을 구비한다. 외곽틀(50)의 내부에 반사층(20), LED(10), 수지충전물(30) 등을 순서대로 설치하고, 맨 위에 투광층(40)을 덮어서 제작한다. 투광창(40)의 바깥면은 발광면(51)을 이룬다.
도 1b는 칩(chip)형 LED를 이용한 빛의 발산구조체의 단면 사시도로로서, 칩형 LED(60), 반사층(20), 수지충전물(30), 외곽특(50)을 구비한다. 외곽틀(50)의 내부에 반사층(20), 칩형 발광소자(10), 수지충전물(30) 등을 순서대로 설치하여구성하되, 수지충전물(30)의 상층부는 형광물질 혹은 인광물질을 혼합하여 구성한 형광층(35)가 형성된다. 수지충전물(30)의 윗면은 외곽틀(50)의 바깥부분 중 빛을 발산하는 발광면(51)을 이룬다.
여기서, 칩형 LED(60)는 일반적인 LED(10)와는 달리 연결단자(11), 발광배선(12)등이 별도로 연결되지 않고 편편한 PCB(Printed Circuit Board)(62) 위의 LED(61)가 납땜등의 방법으로 부착된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칩형 LED(60)를 채용하면 빛의 발산구조체(6) 두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사층(20)과 수지충전물(30)은 도 1의 구조와 동일하며, 형광층(35)은 LED(61)에서 나오는 빛을 다양한 색깔로 발산함으로써, 발광면(51)의 발광효과를 증진시킨다. 발광면(51)을 제외한 외곽틀(50)의 구조는 도 1의 구조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빛의 발산구조체는 외곽틀 안의 바닥면, 양측면에 소정의 우레탄 페인트를 이용하여 반사판을 만들어 표면에 보다 밝은 빛을 내도록하고, 양측면과 표면에 투명에폭시를 충진시킴으로 빛을 산란시켜 면발광의 효과를 얻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빛의 발산구조체는 외곽틀 안에 반사판과 양쪽 벽면 등에 투명에폭시를 충진시켜야 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하여 제작된 광고표시판의 경우에는 사용되는 LED 또는 칩형 LED의 특성상 발광시 광각이 좁아 에폭시로 산란되었다 하더라도, LED 발광 초점이 육안으로 인식되어, 다수개의 LED 또는 칩형 LED를 사용하여 광고표시판을 제작할 경우 표면의 밝기가 고르지 않으므로, 장시간 바라볼 경우 눈에 피로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LED 또는 칩형 LED의 경우 발열이 많은데다가 에폭시로 밀폐시킴으로 방열효과가 더 떨어져 장시간 사용시 수명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고휘도 면발광을 위한 4개의 핀을 갖는 광각 LED(이하 "P4 LED"라 약칭함)를 광원으로 이용하여 광고 표시판을 제작하므로, 소수의 LED로도 고휘도의 광고 표시판을 제작하도록 하는 광각 LED를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광고표시판의 구성도이고,
도 2,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광각 발광소자를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의 단면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 발광 광고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프레임 110 : 외곽틀
111 : 인쇄회로기판 112 : P4 LED
113 : 색상 에폭시 114 : 투명 에폭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광각 LED를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광고 표시판의 외곽틀과, 상기 외곽틀 내부에 광원 소자를 설치하고, 그 내부를 에폭시로 충진하는 광고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곽틀 내부 바닥면에 부착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해당 위치에 접속된 광각 발광소자와, 상기 빛을 발산하는 외곽틀 상부를 밀폐시키는 색상 에폭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각 LED를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의 구조도로서, 광고 표시판을 고정하는 프레임(101)과, 프레임 상부에 소정의 광고 문양 또는 문자 형태의 외곽틀(110)과, 외곽틀 내부에 하단에 부착된 인쇄회로기판(111)과, 인쇄회로기판(111)의 해당 위치에 접속된 P4 LED(112)와, P4 LED(112) 주변과 외곽틀 내부에 충진된 투명 에폭시(114)와, 외곽틀(110)을 밀폐시키도록 투명에폭시(114) 표면에 부착된 색상 에폭시(113)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은 광각 발광소자인 P4 LED를 사용하여 광고 표시판을 제작하므로 광고 표시판 표면에 고르게 분산시켜 면발광 효과를 극대화 시키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광각 LED를 이용한 광고표시장치의 단면 형상도로서, 프레임(101) 위에 광고 표시장치를 고정하게 된다.
광고표시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도형 또는 문자 모양의 상부가 개방된 외곽틀(110)을 형성한다.
외곽틀(110)의 바닥면에 P4 LED(112)가 접속된 PCB(111)를 설치한다.
이때, 외곽틀(110) 내부에 흰색 우레탄 페인트 등을 이용하여 반사판을 만들지 않아도 되며, 틀 높이에서 2∼3㎜ 정도를 남겨놓은 다음 투명 에폭시(114)를 충진시킨다. 그 다음 필요에 따라서 염료를 섞은 색상 에폭시(113)를 충진시켜 표면에 직접 빛을 비춰 빛을 손실없이 최대로 활용하여 면발광 방식을 이루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외곽틀(110)의 내부에 충진하는 투명 에폭시(114)는 필요에 따라 충진하지 않고, 외곽틀(110)의 상부에 색상 에폭시(113)만을 충진하여 외곽틀(110)을밀폐시키도록 한다.
PCB(111)에 접속되어 발광하는 P4 LED(112)는 일반적인 LED나 칩 LED와는 달리 4개의 접속핀을 구비하고 있어 전류가 흐를 때 생기는 열을 외부로 빨리 방출시키므로, 방열효과가 매우 우수하며, 그에 따라 다른 LED에 비교하여 수명이 매우 길다. 뿐만 아니라, 빛의 밝기가 일반적인 LED에 비교하여 매우 밝으며, 광각이 100°이상으로 동일 면적을 면발광 방식으로 제작할 때 칩 LED보다 훨씬 적은 수량으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고휘도임에도 불구하고 초점이 생기지 않아 빛의 손실없이 표면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은 광고 표시장치에서 외곽틀의 바닥면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하여 문양 또는 문자등의 광고 표시장치에 후광의 효과를 주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프레임(101)의 상부와 일정간격을 두고 광고표시장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외곽틀(110)은 개방된 그 상부가 프레임(101)측으로 향하도록 하고, 그 바닥면에 PCB(111)를 고정시키고, P4 LED(112)의 조사방향이 외곽틀(110)의 상부를 향하도록 PCB(111)의 해당 위치에 4개의 접속핀을 고정시킨다.
외곽틀(110)내부는 필요한 경우 투명 에폭시(114)로 충진하거나, 투명 에폭시(114) 충진없이 개방된 외곽틀(110)의 상부를 색상 에폭시로 충진시켜 밀폐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완성된 후광용 광고 표시장치는 광고하고자 하는 문자 또는 문양에 후광 효과를 주어 심미감을 더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외곽틀의형태를 단면발광, 3면 입체 발광, 후광발광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광각 LED를 이용한 광고표시장치는 광각의 P4 LED를 사용하므로, 외곽틀 내부에 투명 에폭시로 광원을 산란시키지 않아도 광원이 광고 표면에 고르게 분산되어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고, 심미감을 더 할 수 있으며, 광각으로 조사므로 일반적인 LED를 사용할 때 보다 적은 수의 P4 LED만을 사용해도 보다 효과적으로 면발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부에 투명 에폭시를 충진시킬 필요가 없고, 효과적인 면발광을 위하여 별도의 반사판이 필요없으므로 제조공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광고표시장치의 전체 무게와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소정의 형상을 갖는 광고 표시판의 외곽틀과, 상기 외곽틀 내부에 광원 소자를 설치하고, 그 내부를 에폭시로 충진하는 광고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곽틀 내부 바닥면에 부착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해당 위치에 접속된 광각 발광소자;
    상기 빛을 발산하는 외곽틀 상부를 밀폐시키는 색상 에폭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발광소자를 이용한 광고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각 발광소자는 인쇄회로기판에 접속하는 4개의 접속핀을 갖는 광각조사가 가능한 'P4 LED'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발광소자를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에폭시와 외곽틀 내부는 투명 에폭시를 선택적으로 충진하는 것 특징으로 하는 광각 발광소자를 이용한 광고표시장치.
KR2020010040337U 2001-12-27 2001-12-27 광각 발광소자를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 KR2002691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337U KR200269125Y1 (ko) 2001-12-27 2001-12-27 광각 발광소자를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337U KR200269125Y1 (ko) 2001-12-27 2001-12-27 광각 발광소자를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5954A Division KR20030055843A (ko) 2001-12-27 2001-12-27 광각 발광소자를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125Y1 true KR200269125Y1 (ko) 2002-03-18

Family

ID=73083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0337U KR200269125Y1 (ko) 2001-12-27 2001-12-27 광각 발광소자를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1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057A (ko) * 2002-04-03 2002-04-17 김재현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고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057A (ko) * 2002-04-03 2002-04-17 김재현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고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95602A1 (en) LED illuminating module
JP2011034674A (ja) 面状光源および電飾看板
KR101101213B1 (ko) 전방 및 후방 측면에서 발광되는 면발광 광고장치
KR101040164B1 (ko) 엘이디를 이용한 입체발광 사인물
JP2009152043A (ja) 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並びに照明装置用の反射構体の製造方法
KR20030055843A (ko) 광각 발광소자를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
KR200454644Y1 (ko) 곡선형 채널 간판
KR20070051079A (ko) 스크래치보드 광고판
JP3110114U (ja) 防水型led発光装置
KR200269125Y1 (ko) 광각 발광소자를 이용한 광고 표시장치
KR200444857Y1 (ko) 십자형 엘이디 광고판
KR100824975B1 (ko) 렌즈 부착형 엘이디 모듈
KR20050041659A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면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70062003A (ko) 광색 변화되는 조명 광고판
JP2001092397A (ja) 光源を内蔵する壁面用の看板文字または図形
CN112634782A (zh) 一种标牌发光结构
JP2004221528A (ja) 発光ダイオードを内蔵する表示灯
KR200178982Y1 (ko) 합성수지와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빛의 발산구조체
KR200387500Y1 (ko) 광색 변화되는 광고판
KR100354656B1 (ko) 발광소자 모듈을 이용한 조명간판
KR19980074066A (ko) 조명 간판
KR101434134B1 (ko) 양방향 조사용 단면발광램프 및 이를 이용한 양면광고물
KR200291662Y1 (ko) 엘이디를 이용한 발광광고장치
KR101357080B1 (ko) 용적발광형 조명장치
KR20060105399A (ko) 광색 변화되는 광고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