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990B1 - 원가 산출 시스템 및 그것의 원가 산출 방법 - Google Patents

원가 산출 시스템 및 그것의 원가 산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990B1
KR102552990B1 KR1020210057588A KR20210057588A KR102552990B1 KR 102552990 B1 KR102552990 B1 KR 102552990B1 KR 1020210057588 A KR1020210057588 A KR 1020210057588A KR 20210057588 A KR20210057588 A KR 20210057588A KR 102552990 B1 KR102552990 B1 KR 102552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t
information
resource group
worker
re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2621A (ko
Inventor
김효상
Original Assignee
김효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효상 filed Critical 김효상
Priority to KR1020210057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990B1/ko
Publication of KR20210132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2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가 산출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작업자 단말기의 입력에 따라, 복수의 개별자원 각각의 생산능력정보 및 비용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작업자 단말기의 입력에 따라, 복수의 개별자원 중 일부를 결합한 자원 그룹을 설정하는 단계, 작업자 단말기의 입력에 따라, 복수의 품목 각각에 대응하는 자원그룹이 수행하는 작업 프로세스와 관련된 복수의 공정을 설정하는 단계, 작업자 단말기의 입력에 따라, 개별자원 각각의 생산능력정보 및 비용정보를 이용하여 자원그룹이 각 품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비용을 할당하는 단계, 작업자 단말기의 입력에 따라, 각 품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공정에 대한 개별자원의 사용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및 개별자원의 사용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품목 각각에 대한 원가구성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가 산출 시스템 및 그것의 원가 산출 방법{SYSTEM FOR COST CALCAUL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원가 산출 시스템 및 그것의 원가 산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기업과 같은 조직내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소요되는 제품의 원가 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가 산출 시스템 및 그것의 원가 산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기업에서는 자사가 제공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원가를 계산하기 위해 기업 회계 기준에서 요구하는 정보의 단순한 원가 계산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최근 새로운 원가 계산 방식으로 활동기반 원가계산(Activity Based Costing)이 대두되었으나. 기업 내 활동을 분류하고 이를 계산에 반영하기 위한 많은 정보수집 비용으로 인해 이용하는 기업이 매우 적은 수준이다.
기업에서 주로 사용하는 원가 계산 방식은, 예를 들어, 공장에서 발생한 인건비, 구매비용, 관리비용 등을 포함하는 원가를 해당 공정의 작업 시간을 기준으로 해당 공정으로 할당하고, 할당 받은 해당 공정에서 발생한 비용과, 할당 받은 비용을 생산 제품에 대해 생산량 등을 기준으로 할당하는 방식으로 계산하게 된다.
이후 제품의 매출액에서 계산된 원가를 차감하여 매출이익을 계산하고, 이를 기반으로 회사의 이익이 늘었는지, 원가관리를 잘 했는지 등을 판단하고 이에 따라 해당 제품의 생산을 늘릴 것인지 줄일 것인지, 생산량에 따라 비용이 어떻게 증가 또는 감소할 것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원가 계산 방식은, 원가 계산에 가장 핵심적인 자원의 소비값을 아주 제한적으로 반영하여, 제품 및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소요되는 원가와 자원 간 인과관계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원가 계산 시 원가와 자원 간 인과관계를 보여주는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므로 기업이 이를 활용하여 사업을 계획하거나 운영을 평가하는 등 의사결정을 하는데 한계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41500호(2011.06.08.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원가 산출 시, 제품 생산과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작업과 소비되는 자원의 파악을 가능하게 하는 원가 산출 시스템 및 그것의 원가 산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원가 산출 시, 제품 또는 서비스의 원가와 자원의 소비량 간의 인과관계가 반영되도록 하는 원가 산출 시스템 및 그것의 원가 산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원가 산출 시, 제품 생산과 서비스 제공을 위해 투입되는 자원의 개별적인 운영 효율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원가 산출 시스템 및 그것의 원가 산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가 산출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작업자 단말기의 입력에 따라, 복수의 개별자원 각각의 생산능력정보 및 비용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작업자 단말기의 입력에 따라, 복수의 개별자원 중 일부를 결합한 자원 그룹을 설정하는 단계, 작업자 단말기의 입력에 따라, 복수의 품목 각각에 대응하는 자원그룹이 수행하는 작업 프로세스와 관련된 복수의 공정을 설정하는 단계, 작업자 단말기의 입력에 따라, 개별자원 각각의 생산능력정보 및 비용정보를 이용하여 자원그룹이 각 품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비용을 할당하는 단계, 작업자 단말기의 입력에 따라, 각 품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공정에 대한 개별자원의 사용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및 개별자원의 사용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품목 각각에 대한 원가구성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개별자원의 사용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각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개별자원이 소비하는 작업시간, 기계가동시간, 소요면적, 재료의 투입량과 같은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개별자원의 사용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개별자원이 사용중인 단말장치에서 측정된 상기 사용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사용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사용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근거리 무선통신(NFC)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장치에서 감지된 상기 사용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원가구성정보는, 상기 복수의 품목 각각에 대해 상기 각 공정별로 소비되는 상기 개별자원의 단가정보 및 수량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원가구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품목 각각에 대한 원가와 상기 개별자원 간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분석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각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비용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개별자원 각각의 예산비용과 실제비용 간 차이를 상기 비용의 할당 시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개별자원의 생산능력정보와 대비하여 상기 개별자원의 사용정보가 적정 수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개별자원의 사용정보가 적정 수준이 아닌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의 품목 각각에 대한 원가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 품목에 대한 총원가가 기 설정된 적정 원가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가 산출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복수의 개별자원 각각의 생산능력정보 및 비용정보를 등록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개별자원 중 일부를 결합한 자원그룹을 설정되는 동작, 복수의 품목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자원그룹이 수행하는 작업 프로세스와 관련된 복수의 공정을 설정하는 동작, 상기 개별자원 각각의 생산능력정보 및 비용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자원그룹이 각 품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비용을 할당하는 동작, 상기 각 품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공정에 대한 상기 개별자원의 사용정보를 등록하는 동작, 및 상기 개별자원의 사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품목 각각에 대한 원가구성정보를 산출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가 산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원가 산출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정보를 보여주는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가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원정보를 이용하여 작업 공정별 비용을 구성하는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 품목에 대한 자원그룹이 수행하는 작업 프로세스를 설정하는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 품목에 대한 자원그룹이 수행하는 작업 프로세스별 비용이 계산되는 예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원가 산출 방법에 있어 원가구성정보를 산출하는 예이다.
도 9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원가 산출 방법에 있어 산출된 원가가 적정 원가 초과시 경고 메시지를 제공하는 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따른 실시예에 따른 개별자원의 사용정보가 적정 수준이 아닌 경우 경고 메시지를 제공하는 예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원가 산출 방법에 있어 개별자원의 사용정보를 등록하는 예이다.
도 13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원가 산출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가 산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원가 산출 시스템(100)은 서버(110)와 데이터베이스(120)를 포함하고, 작업자 단말기(10) 및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의 요청에 대해 응답을 처리한다.
서버(110)는 고정식 컴퓨팅 장치로서, 작업자 단말기(10) 및 사용자 단말기(2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작업자 단말기(10) 및 사용자 단말기(20)의 웹 브라우저로부터의 HTTP 요청에 대해 응답을 처리하는 웹 서버(WEB Server)와, 동적 콘텐츠나 웹 응용프로그램 서비스를 처리하고 데이터베이스(120)와 연동할 수 있는 WAS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WAS 서버가 웹 서버의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데이터베이스(120)는 작업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비용 정보, 자원 정보, 및 작업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원가 산출 시스템(100)에서 처리된 원가 산출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DB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베이스(120)는 비용 정보, 자원 정보, 및 작업 정보 각각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용DB(121), 자원DB(122), 및 작업DB(123)로 구성될 수 있다.
작업자 단말기(10) 및 사용자 단말기(20)는 예컨대, 개인용 데스크탑 PC와 같은 고정식 컴퓨팅 장치, 스마트 폰, 태블릿 PC, 랩톱 PC, PDA, VR(Virtual Reality) 영상 장치, AR(Augmented Reality) 영상 장치 등과 같은 이동식 컴퓨팅 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작업자 단말기(10)는 기업 내 각 부서의 직원들에 의해 사용되는 단말기로서, 원가 산출 시스템(100)으로 비용 정보, 자원 정보, 및 작업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는 원가 산출 시스템(100)으로부터 제공되는 원가 산출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의사 결정을 하는 관리자 또는 직원의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원가 산출 시스템(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생산 관리 시스템(MES: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30)과 연결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생산 관리 시스템(MES: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30)은 제품의 생산과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기업 내 모든 활동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기존의 ERP(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과 연동된다. 원가 산출 시스템(100)은 생산 관리 시스템(30)으로부터 제품 생산과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자원의 투입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원가 산출 시스템(100)은 생산 관리 시스템(MES)과의 연동 없이, ERP 시스템과의 연동만으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원가 산출 시스템(100)의 서버(110)는 작업자 단말기(10)로부터 복수의 개별자원 각각의 생산능력정보 및 비용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120) 내 비용 DB(121)에 저장한다. 여기서, 개별자원은 제품 생산과 서비스 제공을 위해 소모되는 인적, 물적 자원으로서, 예컨대 사람, 기계장치, 유무형 자산, 및 I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10)는 작업자 단말기(10)의 입력에 따라 복수의 개별자원 중 일부를 결합한 자원 그룹을 설정하고, 설정된 자원 그룹에 관한 정보는 자원DB(122)에 저장한다.
서버(110)는 작업자 단말기(10)의 입력에 따라 복수의 품목 각각에 대해 자원그룹이 수행하는 작업 프로세스와 관련된 복수의 공정을 설정하고, 설정된 복수의 공정과 관련된 정보를 작업DB(123)에 저장한다. 서버(110)는 작업자 단말기(10)의 입력에 따라 비용 DB(121)에 저장된 개별자원 각각의 생산능력정보 및 비용정보를 이용하여 자원그룹이 각 품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비용을 할당한다.
서버(110)는 작업자 단말기(10)에서 입력되는 각 품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공정에 대한 개별자원의 사용정보를 수신하여 작업DB(123)에 저장하고, 저장된 개별자원의 사용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품목 각각에 대한 원가구성정보를 산출한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특정 기간 동안 발생한 특정 품목의 원가 산출 요청을 수신하면, 특정 기간 동안 발생한 특정 품목에 대한 원가구성정보를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기(2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원가 산출 시스템(100)은 제품 또는 서비스의 원가 산출 시, 제품 생산 또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작업과 소비되는 자원을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원가 산출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정보를 보여주는 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원가 산출 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120)는 비용DB(121), 자원DB(122), 및 작업DB(123)로 구성될 수 있다.
비용DB(121)는 개별자원에 의해 발생되는 비용으로서, 예컨대 복리후생비(211), 여비교통비(212), 급여(213), 감가상각비(214)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자원DB(122)는 자원그룹(22)과 자원그룹(22)에 포함되는 개별자원으로서, 예컨대 기계장치1(221), 기계장치2(222), 시설(223), 및 작업자(224)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작업 DB(122)는 제품 생산 또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소요되는 작업 프로세스(231, 232, 233)에 관한 정보와, 작업 프로세스에 포함되는 복수의 공정(24)으로서, 예컨대 전처리작업(241), 가열작업(242), 검사(243), 및 분류(244)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원가 산출 시스템(100)은 제품 또는 서비스의 원가 산출 시 사용되는 비용, 자원, 및 작업에 관한 정보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가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원가 산출 방법은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고, 예컨대 원가 산출 시스템(10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컴퓨팅 장치는 프로그램 개발 환경을 구비한 컴퓨팅 장치이거나, 응용 프로그램 실행 환경을 구비한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포함되는 일부 동작의 수행 주체에 대한 기재가 생략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 그 주체는 상기 컴퓨팅 장치임을 유의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동작 S41에서, 작업자 단말기(10)의 입력에 따라 복수의 개별자원 각각의 생산능력정보 및 비용정보가 등록되고, 동작 S42에서, 작업자 단말기(10)의 입력에 따라 복수의 개별자원 중 일부를 결합한 자원그룹이 설정된다. 여기서, 개별자원은 예컨대, 사람, 기계장치, 유무형 자산, 및 I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S43에서, 작업자 단말기(10)의 입력에 따라 복수의 품목 각각에 대응하는 자원그룹이 수행하는 작업 프로세스와 관련된 복수의 공정이 설정된다.
동작 S44에서, 작업자 단말기(10)의 입력에 따라, 동작 S41에 의해 등록된 개별자원 각각의 생산능력정보 및 비용정보를 이용하여 자원그룹이 각 품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비용이 할당된다.
여기서, 동작 S44는, 개별자원 각각의 예산 비용와 실제 비용 간 차이가 비용의 할당 시 반영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개별자원에 대해 발생한 실제 비용이 예산 비용을 초과한 경우, 원가에 반영될 수 있도록 초과분에 해당하는 비용을 각 공정에 대한 비용 할당 시 반영할 수 있다.
동작 S45에서, 작업자 단말기의 입력에 따라, 각 품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공정에 대한 개별자원의 사용정보가 등록된다. 여기서, 사용정보는, 개별자원이 복수의 공정 각각을 수행하기 위해 소모하는 개별자원의 소모량을 의미하고, 예컨대 작업시간, 비용, 및 면적 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동작 S45는, 개별자원이 사용중인 단말장치에서 측정된 사용정보가 수신되는 동작과, 수신된 사용정보가 등록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생산 작업자가 사용중인 단말장치가 근거리 무선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생산 작업자가 작업을 위해 제품의 생산라인에 설치된 센서에 근접하게 되면, 생산 작업자의 단말장치가 블루투스를 통해 센서와 자동 연결되고, 이에 따라 센서를 통해 작업시간과 같은 생산 작업자의 사용정보가 자동 감지되어 원가 산출 시스템(100)으로 제공될 수 있다.
마직막으로, 동작S46에서, 동작 S45에 의해 등록된 개별자원의 사용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품목 각각에 대한 원가구성정보가 산출된다. 여기서, 원가구성정보는, 복수의 품목 각각에 대해 각 공정별로 소비되는 개별자원의 단가정보 및 수량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품목에 대해 산출된 원가구성정보(71)의 상세 내역(72)을 통해, 총원가(Y)가 공정1에 투입된 작업자 A의 작업시간(X1)과 시간당 인건비(w1)의 곱, 공정1에 투입된 작업자 B의 작업시간(X2)과 시간당 인건비(w2)의 곱, ?? 등을 모두 합한 값으로 계산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시간당 인건비(w1, w2)는 단가정보에 해당하고, 작업시간(X1, X2)은 수량정보에 해당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원가구성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품목 각각에 대한 원가와 개별자원 간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분석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도 8의 예에서, 하나의 품목에 대해 산출된 원가구성정보(71)의 상세 내역(72)을 소정 기간 동안 축적하고, 이에 따라 생성되는 누적 원가 정보(80)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가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자원을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원가를 종속변수로 하고, 개별자원 각각의 수량정보를 독립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모델(Multiple Regression Model)을 생성함에 의해, 원가와 개별자원 간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다중회귀모델에 의한 그래프를 생성하여, 원가에 개별자원 각각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개별자원의 생산능력정보와 대비하여 개별자원의 사용정보가 적정 수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과, 판단에 기초하여 개별자원의 사용정보가 적정 수준이 아닌 경우, 관리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20)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하나의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개별자원으로서 기계장치가 사용되는 경우, 기계장치가 처리 가능한 시간당 처리량을 초과하여 사용되면, 이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관리자에게 보내어 기계장치가 과도하게 사용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복수의 품목 각각에 대한 원가구성정보(70)에 기초하여, 각 품목에 대한 총원가가 기 설정된 적정 원가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관리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20)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가 산출 시스템(100)에서 산출된 원가구성정보(70)의 총원가가 적정 원가를 초과했음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기(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총원가를 적정 원가 수준으로 관리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20) 상에서 총원가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자원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작업 시간을 변경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가 산출 방법에 의하면, 제품 또는 서비스의 원가 산출 시, 제품 또는 서비스의 원가와 자원의 소비량 간의 인과관계가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품 생산 또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투입되는 자원의 개별적인 운영 효율성에 대한 정보 또한 제공해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원정보를 이용하여 작업 공정별 비용을 구성하는 예이다. 도 4는 도3의 동작 S44에 대응하고,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앞서 설명된 도2의 원가 산출 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120)를 구성하는 비용DB(121), 자원DB(122), 및 작업DB(123)를 이용하여, 제품 생산 또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자원그룹이 수행하는 작업 프로세스에 포함된 복수의 공정 각각에 대해 자원그룹의 자원정보를 이용하여 비용이 할당되는 예를 보여준다.
일 실시예로서, 자원그룹(22)은 기계장치1(221), 기계장치2(222), 시설(223), 및 작업자(224)와 같은 개별자원을 결합하여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개별자원(221, 222, 223, 224) 각각에 대한 비용정보(33) 및 생산능력정보(34)가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되고, 자원그룹(22)에 대한 비용정보(31) 및 생산능력정보(32)가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개별자원(221, 222, 223, 224) 중 작업자(224)의 비용정보(33)는 복리후생비(331), 여비교통비(332), 및 급여(333)를 포함하고, 이를 개별자원의 생산능력정보(34)의 증감에 따라 변동되는 변동비(334)와 증감과 상관없이 변하지 않는 고정비(335)로 구분할 수 있다. 개별자원(221, 222, 223, 224) 중 작업자(224)의 생산능력정보(34)는 작업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작업자(224)의 작업시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생산직 근로자 인건비, 초과근무수당 등의 비용은 변동비에 해당되고, 작업시간과 상관없이 발생하는 상여금, 고정형 복리후생비 등의 비용은 고정비에 해당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자원그룹(22)의 비용정보(31)는 개별자원(221, 222, 223, 224) 각각의 비용정보(33)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자원그룹(22)의 비용정보(31)는 복리후생비(311), 여비교통비(312), 급여(313), 및 감가상각비(314)를 포함하고, 이를 자원그룹(22)의 생산능력정보(32)의 증감에 따라 변동되는 변동비(315)와 증감과 상관없이 변하지 않는 고정비(316)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자원그룹(22)의 생산능력정보(32)는 개별자원(221, 222, 223, 224) 각각의 생산능력정보(34)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예컨대 작업시간(321), 시간당 처리량(322), 및 필요 면적(32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자원그룹(22)이 하나의 제품 생산 또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행하게 되는 작업 프로세스(35)는 복수의 공정을 포함하고, 각각의 공정은 예컨대 전처리작업(351), 가열작업(352), 검사(353), 및 분류(3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공정에 대한 비용을 할당함에 있어, 자원그룹(22)의 비용정보(31) 및 생산능력정보(32)가 이용될 수 있다.
예로서, 복수의 공정 중 분류(354) 공정에 대해 할당되는 비용(36)은, 간접비 정보(361)와 직접비 정보(364)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간접비 정보(361)는 투입자원(362)과 처리시간(363)을 포함하고, 직접비 정보(364)는 투입소모품목의 단가(365)와 투입소모품목의 재료량(366)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간접비 정보(361)는 자원그룹(22)의 비용정보(31)와 생산능력정보(32)를 이용하여 할당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공정 중 분류(354) 공정에 투입되는 자원그룹(22)에 의해 발생되는 비용인 간접비 정보(361)는, 자원그룹(22)에 포함된 개별자원이 작업자(224)인 경우 작업시간(321)을 이용하여 계산되고, 개별자원이 기계장치1(221) 또는 기계장치2(222)인 경우 시간당 처리량(322)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또한, 개별자원이 시설(223)인 경우 필요면적(323)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가 산출 방법에 의하면, 자원에 관한 비용정보와 생산능력 정보가 체계적으로 관리되므로, 자원이 수행하는 복수의 공정 각각에 대한 비용을 할당 시 보다 효율적이고 투명하게 처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 품목에 대한 자원그룹이 수행하는 작업 프로세스를 설정하는 예이다. 도 5는 도3의 동작 S43에 대응한다. 도시된 구성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원가 산출 시스템(100)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각 부서의 작업자 단말기(10)에서의 입력에 따라, 원가 대상(53)인 각각의 품목(531, 532, 533)을 생산하기 위해 수행되는 작업 프로세스(521, 525)를 설정하고, 작업 프로세스(521, 525)를 수행하는 주체로서 자원그룹1(511)을 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자원센터(51) 부서의 작업자 단말기(10)를 통해, 자원그룹1(511)에 포함되는 개별자원으로서 기계장치1(512), 작업자1(514), 작업자2(514)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작업센터1(52) 부서의 작업자 단말기(10)를 통해, 원가 대상(53)인 품목1(531)과 품목2(532)를 생산하기 위한 작업 프로세스로서 프로세스1(521)이 배정되고, 프로세스1(521)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공정으로서 전처리 활동(522), 생산가공(523), 마감처리(524)가 배정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공정(522, 523, 524)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시간 또한 할당될 수 있다.
작업센터1(52) 부서의 작업자 단말기(10)를 통해, 프로세스1(521)과 프로세스2(525)를 수행하는 주체로서 자원그룹1(511)이 배정되면, 자원그룹1(511)은 품목1(531)과 품목2(532)의 생산 라인에 투입되어 프로세스1(521)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가 산출 방법에 의하면, 제품 생산 또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프로세스의 각 공정에 대해 어느 자원이 투입이 되는지, 투입된 자원의 소비량이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 품목에 대한 자원그룹이 수행하는 작업 프로세스별 비용이 계산되는 예이다. 도 6은 도 5의 작업센터1(52) 부서에서 원가대상인 품목1(531), 품목2(532), 및 품목3(533)에 대해 프로세스1(521)과 프로세스2(525)가 처리되는 건수를 이용하여 원가대상별 작업 프로세스에 대한 비용을 할당하는 예이다.
일 실시예로서, 도시된 표는 원가대상별 작업 프로세스에 대한 비용정보를 제공한다. 도시된 표에서, 작업센터명(60), 프로세스명(61), 처리건수(62), 원가대상(63), 소요단위(64), 작업센터 소요단위당 비용(65), 및 총 처리비용(66)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예로서, 원가대상인 품목1(531)에 대해 프로세스1(521)을 처리하기 위한 총 처리비용(66)은 작업센터1(52)의 처리건수(62)인 '10'과 작업센터1(52)의 소요단위당 비용(65)인 '109,000원'을 곱하여 '1,090,000원'으로 계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품목2(63)에 대해 프로세스1(521)을 처리하기 위한 총 처리비용(66) 또한, 작업센터1(52)의 처리건수(62)와 작업센터1(52)의 소요단위당 비용(65)를 곱하여 '1,090,000원'으로 계산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원가 산출 방법에 있어 원가구성정보를 산출하는 예이다.
도 7은 도 3의 동작 S46에 대응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예에서, 원가구성정보(71)는, 원가대상인 품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공정에 대해 등록되어 있는 개별자원의 사용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정보는, 개별자원이 복수의 공정 각각을 수행하기 위해 소모하는 개별자원의 소모량을 의미하고, 예컨대 작업시간, 비용, 및 면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개별자원의 사용정보는, 작업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어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가구성정보를 산출하는 수식(70)을 통해 원가대상에 소비되는 개별자원에 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수식(70)에 있어, Y는 총원가, w는 단가, 임률, 및 시간당 비용 등과 같은 단가정보를 나타낸다. X는 개별자원이 얼마나 소모되는지를 알 수 있는 작업시간, 생산량, 및 투입면적량 등과 같은 수량정보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원가구성정보를 산출하는 수식(70)을 이용하여 개별자원의 사용정보에 해당하는 단가정보 및 수량정보를 반영한 원가구성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로서, 하나의 품목에 대해 산출된 원가구성정보(71)의 상세 내역(72)을 통해, 총원가(Y)가 공정1에 투입된 작업자 A의 작업시간(X1)과 시간당 인건비(w1)의 곱, 공정1에 투입된 작업자 B의 작업시간(X2)과 시간당 인건비(w2)의 곱, ?? 등을 모두 합한 값으로 계산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시간당 인건비(w1, w2, ??)는 단가정보에 해당하고, 작업시간(X1, X2, ??)은 수량정보에 해당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가 산출 방법에 의하면, 하나의 품목에 대한 원가를 산출함에 있어, 해당 품목의 생산을 위해 처리되는 작업 공정과, 각 공정에 투입되는 자원의 소모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원가구성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해당 품목에 대한 원가구성정보를 제공함에 의해, 해당 품목의 원가와 투입된 개별자원의 소모량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하여 운영의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품목에 대해 산출된 원가구성정보(71)의 상세 내역(72)을 소정 기간 동안 축적하고, 이에 따라 누적 원가 정보(80)를 생성할 수 있다.
누적 원가 정보(80)는 기간별 하나의 품목에 대해 산출된 원가구성정보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각각의 기간에 대한 원가구성정보를 산출 시, 각각의 기간 동안 해당 품목에 대해 처리되는 복수의 공정 각각에 대해 투입된 개별자원의 단가정보 및 수량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누적 원가 정보(80)를 이용하면, 원가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자원의 종류와 소모량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누적 원가 정보(80)를 이용하면, 복수의 품목 각각에 대한 원가와 개별자원 간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분석결과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로서, 원가를 종속변수로 하고, 개별자원 각각의 수량정보를 독립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모델을 생성함에 의해, 원가와 개별자원 간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다중회귀모델에 의한 그래프를 생성하여, 원가에 개별자원 각각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할 수도 있다.
도 9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원가 산출 방법에 있어 산출된 원가가 적정 원가 초과시 경고 메시지를 제공하는 예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가 산출 시스템(100)에서 산출된 원가구성정보(70)의 총원가가 적정 원가를 초과한 경우, 관리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20)로 적정 원가가 초과했음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91)를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20)의 화면에 팝업창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관리자는 사용자 단말기(20)를 통해 경고 메시지(91)를 확인하고, 총원가가 적정 원가를 초과하지 않도록 투입되는 개별자원의 수량정보를 변경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 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되는 복수의 메뉴 중 개별자원의 작업시간 변경을 위한 메뉴(92)를 선택하고, 선택된 메뉴(92)의 화면에서 공정1에 대해 투입된 작업자A의 작업시간을 32시간에서 24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가 산출 방법에 의하면, 원가를 적정 수준으로 관리하기 위해, 원가구성정보를 이용하여 총원가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자원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수량정보를 변경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따른 실시예에 따른 개별자원의 사용정보가 적정 수준이 아닌 경우 경고 메시지를 제공하는 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가 산출 방법에 있어, 원가 산출 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되어 있는 자원그룹(22)의 생산능력정보(32)와 개별자원(221, 222, 223, 224)의 생산능력정보(34)과 대비하여, 작업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개별자원의 사용정보가 적정 수준을 초과하는 경우, 관리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20)로 경고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원가 산출 시스템(100)은 작업자 단말기(10)에서 입력되는 각 품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공정에 대한 개별자원의 사용정보를 수신하여 작업DB(123)에 저장하고, 이 때, 자원DB(122)에 기 저장되어 있는 개별자원의 생산능력정보(34)와 비교하여 개별자원의 사용정보가 적정 수준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20)로 경고 메시지(94)를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20)의 화면에 팝업창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관리자는 사용자 단말기(20)를 통해 경고 메시지(94)로서 '기계장치1의 처리한도 초과!'라는 문구를 확인하고, 기계장치1이 해당 공정에서 적정 수준으로 소비될 수 있도록 기계장치1의 작업을 변경 처리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 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되는 복수의 메뉴 중 기계장치1의 작업 변경을 위한 메뉴(95)를 선택하고, 선택된 메뉴(95)의 화면에서 기계장치1의 가동을 중단하는 버튼(96)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가 산출 방법에 의하면, 개별자원이 생산능력에 비해 과도하게 사용되는 경우 관리자에게 이러한 사실을 즉각적으로 통지하여 개별자원이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관리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원가 산출 방법에 있어 개별자원의 사용정보를 등록하는 예이다.
도 11에 도시된 예에서, 원가 산출 시스템(100)은 개별자원이 사용중인 단말장치(113)에서 측정된 사용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로서, 생산 작업자의 단말장치(113)에 근거리 무선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생산라인(111)에 근접 시, 단말장치(113)와 생산라인(111)에 설치된 센서(112)가 블루투스를 통해 자동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112)는 단말장치(113)와의 통신을 통해 작업시간과 같은 생산 작업자의 사용정보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작업시간에 관한 정보를 원가 산출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센서(112)가 단말장치(113)와의 통신을 통해 작업시간과 같은 생산 작업자의 사용정보를 감지하면, 센서(112)가 감지된 작업시간에 관한 정보를 단말장치(113)로 전송하고, 단말장치(113)가 전송 받은 작업시간에 관한 정보를 원가 산출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원가 산출 시스템(100)은 제품 생산 시 각 공정에 대해 개별자원이 사용되는 소비량을 IT 기술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등록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예에서, 원가 산출 시스템(100)은 개별자원이 사용중인 단말장치(113)에서 입력된 사용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로서, 생산 작업자는 제품 생산을 위해 해당 공정의 수행을 완료한 후, 생산 작업자의 단말장치(113) 상에서 실제 투입된 작업 시간에 관한 정보를 직접 입력하고, 입력된 정보를 원가 산출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장치(113)에서 전송된 작업 시간에 관한 정보는 원가 산출 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원가 산출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가 산출 시스템(100)는 컴퓨팅 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 버스(107),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2), 프로세서(101)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105)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103)와, 컴퓨터 프로그램(105)를 저장하는 스토리지(10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0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 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10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원가 산출 시스템(100)은 IaaS(Infrastructure-as-a-Service) 방식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팜(server farm)에 소속된 물리 서버 중 어느 하나를 가리킬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원가 산출 시스템(1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0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1)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원가 산출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103)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03)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104)로부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05)을 로드(load)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105)이 메모리(103)에 로드 되면, 로직(또는 모듈)이 메모리(103) 상에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03)의 예시는 RAM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스(107)는 원가 산출 시스템(1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버스(107)는 주소 버스(Address Bus), 데이터 버스(Data Bus) 및 제어 버스(Control Bus) 등 다양한 형태의 버스로 구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2)는 원가 산출 시스템(1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2)는 인터넷 통신 외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2)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104)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105)을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04)는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05)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이 구현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105)은 복수의 개별자원 각각의 생산능력정보 및 비용정보를 등록하는 동작, 복수의 개별자원 중 일부를 결합한 자원그룹을 설정되는 동작, 복수의 품목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자원그룹이 수행하는 작업 프로세스와 관련된 복수의 공정을 설정하는 동작, 상기 개별자원 각각의 생산능력정보 및 비용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자원그룹이 각 품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비용을 할당하는 동작, 상기 각 품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공정에 대한 상기 개별자원의 사용정보를 등록하는 동작, 및 상기 개별자원의 사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품목 각각에 대한 원가구성정보를 산출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컴퓨터 프로그램(105)은 개별자원의 사용정보를 등록하는 동작으로서, 각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개별자원이 사용하는 작업시간, 비용,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등록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컴퓨터 프로그램(105)은 개별자원의 사용정보를 등록하는 동작으로서, 개별자원이 사용중인 단말장치에서 측정된 사용정보를 수신하는 동작과, 수신된 사용정보를 등록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컴퓨터 프로그램(105)은 사용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으로서, 근거리 무선통신(NFC) 기능을 이용하여 개별자원이 사용중인 단말장치에서 감지된 사용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컴퓨터 프로그램(105)은 복수의 품목 각각에 대해 각 공정별로 소비되는 개별자원의 단가정보 및 수량정보를 포함하는 원가구성정보를 산출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컴퓨터 프로그램(105)은 원가구성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품목 각각에 대한 원가와 상기 개별자원 간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분석결과를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컴퓨터 프로그램(105)은 각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비용을 할당하는 동작으로서, 개별자원 각각의 예산비용과 실제비용 간 차이를 비용의 할당 시 반영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컴퓨터 프로그램(105)은 개별자원의 생산능력정보와 대비하여 개별자원의 사용정보가 적정 수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과, 판단에 기초하여 개별자원의 사용정보가 적정 수준이 아닌 경우, 관리자 단말기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컴퓨터 프로그램(105)은 복수의 품목 각각에 대한 원가구성정보에 기초하여, 각 품목에 대한 총원가가 기 설정된 적정 원가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관리자 단말기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05)이 메모리(103)에 로드 되면, 프로세서(101)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가 산출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하면, 제품 또는 서비스의 원가 산출 시, 제품 생산과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작업과 소비되는 자원을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품 또는 서비스의 원가와 자원의 소비량 간의 인과관계가 반영되도록 함에 의해 기업 내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을 언급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이동형 기록 매체(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USB 저장 장치, 이동식 하드 디스크)이거나, 고정식 기록 매체(ROM, RAM, 컴퓨터 구비 형 하드 디스크)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한 순서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실행되어야만 하거나 또는 모든 도시 된 동작들이 실행되어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상황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도 있다. 더욱이, 위에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구성들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고, 설명된 프로그램 컴포넌트들 및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지 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발명이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원가 산출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작업자 단말기의 입력에 따라, 복수의 개별자원 각각의 생산능력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작업자 단말기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개별자원 중 제1 작업자, 제1 재료, 및 제1 기계장치를 포함하는 제1 자원그룹이 설정되면, 상기 제1 자원그룹의 비용정보를 상기 제1 자원그룹에 속한 상기 제1 작업자, 상기 제1 재료, 및 상기 제1 기계장치 각각의 비용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하고, 상기 제1 자원그룹의 생산능력정보를 상기 제1 자원그룹에 속한 상기 제1 작업자, 상기 제1 재료, 및 상기 제1 기계장치 각각의 생산능력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작업자 단말기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자원그룹을 제1 프로세스에 배정하되, 상기 제1 프로세스는 복수의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인, 단계;
    상기 제1 프로세스가 상기 제1 자원그룹에 의하여 처리 건수 만큼 수행됨에 따라, 상기 제1 자원그룹에 속한 상기 제1 작업자, 상기 제1 재료, 및 상기 제1 기계장치 각각과 연결된 단말장치에서 측정된 상기 제1 작업자, 상기 제1 재료, 및 상기 제1 기계장치 각각의 사용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각각의 사용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로세스에 포함된 각 공정 별 비용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제1 프로세스의 처리비용을 연산하되, 상기 제1 프로세스에 포함된 각 공정 별 비용은 간접비 및 직접비를 포함하고, 상기 간접비는 상기 제1 자원그룹의 비용정보, 상기 제1 자원그룹의 생산능력정보 및 상기 제1 자원그룹에 속한 상기 제1 작업자, 상기 제1 재료, 및 상기 제1 기계장치 각각의 사용정보를 이용하여 연산되는, 단계;
    상기 제1 자원그룹에 의한 상기 제1 프로세스의 수행 결과 얻어지는 원가 대상에 대한 원가 구성 정보 산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프로세스의 처리비용 및 상기 제1 자원그룹에 의한 상기 제1 프로세스의 처리 건수를 이용하여 생성된 상기 원가 대상에 대한 상기 제1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원가 구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원가 구성 정보를 기간별로 수집한 누적 원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누적 원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자원그룹에 속한 상기 제1 작업자, 상기 제1 재료, 및 상기 제1 기계장치 각각의 사용정보를 독립 변수로 하고, 상기 원가 대상의 원가를 종속 변수로 하는 다중 회귀 모델을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다중 회귀 모델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프로세스에 배정된 상기 제1 자원그룹에 속한 상기 제1 작업자, 상기 제1 재료, 및 상기 제1 기계장치 중 상기 원가 대상의 원가와의 상관도가 기준치보다 높은 개별자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원가 대상에 대한 상기 제1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원가 구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자원그룹에 속한 상기 제1 작업자, 상기 제1 재료, 및 상기 제1 기계장치 각각의 사용정보와 상기 제1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원가를 이용하여 원가 산출 수식을 구성하되, 상기 원가 산출 수식은,
    Y=w0+w1X1+w2X2+w3X3
    (여기서, Y는 상기 제1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총원가,
    w0는 상수,
    w1은 상기 제1 작업자의 시간당 인건비, X1은 상기 제1 작업자의 작업시간,
    w2는 상기 제1 재료의 단가, X2는 상기 제1 재료의 소모량,
    w3는 상기 제1 기계장치의 시간당 원가, X3는 상기 제1 기계장치의 작업시간)와 같이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가구성 정보 산출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 원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원가 대상의 원가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상기 제1 자원그룹의 각 개별자원의 영향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가 구성 정보 산출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 원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원가 대상의 원가에 영향을 미치는 상기 제1 자원그룹의 각 개별자원의 영향도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누적 원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원가 대상의 원가와 상기 각 개별자원 간 상관 관계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가 구성 정보 산출 방법.
KR1020210057588A 2020-04-27 2021-05-04 원가 산출 시스템 및 그것의 원가 산출 방법 KR102552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588A KR102552990B1 (ko) 2020-04-27 2021-05-04 원가 산출 시스템 및 그것의 원가 산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534 2020-04-27
KR1020210057588A KR102552990B1 (ko) 2020-04-27 2021-05-04 원가 산출 시스템 및 그것의 원가 산출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534 Division 2020-04-27 2020-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621A KR20210132621A (ko) 2021-11-04
KR102552990B1 true KR102552990B1 (ko) 2023-07-06

Family

ID=78521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588A KR102552990B1 (ko) 2020-04-27 2021-05-04 원가 산출 시스템 및 그것의 원가 산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9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2710A (ja) * 2003-02-20 2004-09-09 Toppan Printing Co Ltd 原価利益管理システム、原価利益管理方法、原価利益管理プログラム
JP2005122230A (ja) * 2003-10-14 2005-05-12 Hitachi Ltd 原価管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1875A (ja) * 1996-12-06 1998-06-26 Hitachi Ltd 前後工程データ投入による全体工程原価自動計算方法
KR101041500B1 (ko) 2009-01-06 2011-06-14 권영범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서의 품목별 원가계정 구성비율에 의한 품목별 활동원가 산출 방법
KR20190114323A (ko) * 2018-03-29 2019-10-10 (주)레브웨어 원가 추적 및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2710A (ja) * 2003-02-20 2004-09-09 Toppan Printing Co Ltd 原価利益管理システム、原価利益管理方法、原価利益管理プログラム
JP2005122230A (ja) * 2003-10-14 2005-05-12 Hitachi Ltd 原価管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621A (ko)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6843B2 (en) Determining optimal device refresh cycles and device repairs through cognitive analysis of unstructured data and device health scores
US201601404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project performance analysis and project success rate prediction
US1142935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building custom automation workflows to integrate multiple applications
US20180204163A1 (en) Optimizing human and non-human resources in retail environments
Taghipour et al. Application of cloud computing in system management in order to control the process
EP3537353A1 (en) Transformation platform for implementing an erp system
WO2018180743A1 (ja) 作業管理装置、作業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6594801B2 (ja) 需給調整装置、需給調整システム、及び需給調整方法
US20070038493A1 (en) Integrating performance, sizing, and provisioning techniques with a business process
AU2019206073A1 (en) Data processing for role assessment and course recommendation
US20210365856A1 (en) Machine Learning Platform for Dynamic Resource Management
Albrecht Optimization of safety stocks in models with an order service level objective or constraint
KR101230008B1 (ko) 경영의사 결정 지원시스템
JP6395852B2 (ja) 業務状況管理システム、及び業務状況管理方法
KR102552990B1 (ko) 원가 산출 시스템 및 그것의 원가 산출 방법
US202103117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usage of computing resources
CN108268313A (zh) 数据处理的方法和装置
CN115545617A (zh) Erp电商订单库存管理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8185454B2 (en) Method and system for assigning amortizable revenue components associated with a revenue bill of material for an ordered product to appropriate revenue accounts
Demirörs et al. Exploring reuse levels in ERP projects in search of an effort estimation approach
Grytz et al. Service-oriented cost allocation for business intelligence and Analytics: who pays for BI&A?
Hung et al. Application extensions from the stochastic capacity rationing decision approach
Branch et al. A framework for predicting service delivery efforts using IT infrastructure-to-incident correlation
KR102596911B1 (ko) 협업화 툴에 플러그인이 가능한 인적 자원 관리 시스템
Ahmed et al. Business analytics: Current state & challen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